KR20110065628A - 석재 복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내외장 구조체 - Google Patents
석재 복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내외장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65628A KR20110065628A KR1020090122201A KR20090122201A KR20110065628A KR 20110065628 A KR20110065628 A KR 20110065628A KR 1020090122201 A KR1020090122201 A KR 1020090122201A KR 20090122201 A KR20090122201 A KR 20090122201A KR 20110065628 A KR20110065628 A KR 201100656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ne
- composite panel
- base layer
- layer
- fi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04F15/08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시공이 용이하며, 시공 후 단차 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석재 복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내외장 구조체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재 복합 패널은 보드 형태의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석재 강화층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석재 강화층이 완전히 포개지지 않도록 상기 석재 강화층이 상기 베이스층에 대하여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쉬프트(shift)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층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테리어 소재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석재 복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내외장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음 시공을 통하여 시공성을 개선하고 여러 패널을 유기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패널 간 높이차 발생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석재 복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내외장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득 수준이 상승하고, 인테리어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향상되면서 각종 건축용 내외장재, 특히 천연 대리석을 사용한 인테리어 소재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그런데, 천연 대리석은 매우 고가인 장식재로서, 그 중량 또한 지나치게 크다. 따라서 천연 대리석을 사용한 인테리어 시공은 경제성 및 시공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천연석 소재는 표면 경도는 높으나, 취성이 커서 시공시 또는 사용시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깨지기 쉬운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천연 대리석과 같은 천연석을 건축용 내장재 또는 외장재로 사용할 시에는 천연석 자체의 비용 외에도 시공 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시공도 매우 까다로우며, 사용 시에도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가능성을 항상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천연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천연 대리석과 세라믹 타일 등을 복합한 대리석 복합 패널 제품이 제안되었다. 상기의 복합 패널 제품은 천연 대리석 자체와 대비하면 경량성이 어느 정도 달성되어 시공성이 다소 개선되었다.
그러나 복합 패널을 바탕면에 부착하는 시멘트 몰르타르 바인더가 굳기 위해서는 다소의 시간이 소요되는데, 패널 표면층이 평탄하게 시공되더라도 바인더가 굳지 않은 상태에서 자중 또는 외부의 힘이 가해지면서 일부 타일이 부분적으로 침강하여 각각의 패널 상호간에 높이차가 발생하고, 따라서 전체 제품 시공면의 외관이 불량해지며, 타일 간 높이차에 의한 둔턱 때문에 촉감이 나빠져 상당한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이런 시공상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패널 시공에 상당한 노력을 쏟지 않을 수 없으며, 이는 더 많은 시간과 비용에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입하더라도 불만요인을 완전히 해결할 수 있다고 보장할 수 없는 실정이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4385호(2006.01.12. 공개)에는 천연대리석 및 상기 천연대리석의 일면에 부착된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가 시멘트, 모래 및 물을 포함하는 액상 모르타르 또는 발포 합성 수지로 구성되는 건축용 장식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41407호(2002.06.01. 공개)에는 천연석재층 및 지지시트층이 접착제에 의해 결합된 복합 타일로서, 상기 지지시트는 실리카, 시멘트, 모래, 셀룰로오스 섬유, 안정화제 및 발수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타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들에 개시된 것 외에도 천연석에 기재(base)를 복합한 패널들은 많이 소개되고 있으나 시공 후 단차 발생의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며, 시공성의 불편함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석재 패널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시공 등을 할 경우, 시공이 용이하며, 시공 후 단차 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석재 복합 패널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음 시공을 통해 시공성을 개선하고 패널간 단차 발생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석재 복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시된 석재 복합 패널들이 치밀하게 결합되어 대리석 등의 석재의 고급 외관을 유지하고, 패널 간 단차 발생을 억제하여 촉감 저하 및 그에 따른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내외장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재 복합 패널은 보드 형태의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석재 강화층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석재 강화층이 완전히 포개지지 않도록 상기 석재 강화층이 상기 베이스층에 대하여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쉬프트(shift)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층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 구조체는 보드 형태의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석재 강화층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석재 강화층이 완전히 포개지지 않도록 상기 석재 강화층이 상기 베이스층에 대하여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쉬프트된 상태에서 부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석재 복합 패널을 포함하고, 하나의 석재 복합 패널에서 상기 석재 강화층의 쉬프트에 의하여 노출되는 석재 강화층의 하부면은 인접한 석재 복합 패널에서 상기 석재 강화층의 쉬프트에 의하여 노출되는 베이스층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재 복합 패널은 하나의 석재 복합 패널과 이웃하는 석재 복합 패널이 서로 맞닿아 시공될 수 있어, 시공면 전체에 걸쳐 패널들이 일체화되므로 시공 후 패널의 국부적인 침강을 억제하여 표면의 높이차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마루에 적용되는 Tongue & groove 방식은 베이스층의 변형에 의하여 각각의 복합 패널이 정밀하게 끼워지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석재 복합 패널의 경우 하나의 석재 복합 패널에 인접하는 다른 석재 복합 패널을 단순히 거치만 하면 되므로, Tongue & groove 방식의 잘 끼워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빠른 속도로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석재 복합 패널을 이용한 건축용 내외장 구조체는 더욱 고급스런 석재 외관을 제공하며, 시공이 편리하여 시공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시공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석재 복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내외장 구조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재 복합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석재 복합 패널은 베이스층(110)과 상기 베이스층(110)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석재 강화층(120)을 포함한다.
베이스층(110)은 미리 정해진 길이(L1)와 폭(L2)을 갖는 보드 형태로 형성된다.
석재 강화층(120)은 석재를 포함하며, 베이스층(110)의 상부면에 부착된다.
이때,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석재 복합 패널은 베이스층(110)과 석재 강화층(120)이 완전히 포개지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베이스층(110)과 석재 강화층(120)이 완전히 포개지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석재 복합 패널들로 건축용 내외장 시공하였을 때, 각각의 석재 복합 패널들 간의 단차가 발생되는 문제점 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층(110)과 석재 강화층(120)이 완전히 포개지지 않는 형태의 석재 복합 패널을 이용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석재 복합 패널은 석재 강화층(120)이 베이스층(110)에 대하여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베이스층 모서리를 기준으로 ΔL1, ΔL2) 만큼 쉬프트(shift)된 상태에서 베이스층(110)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층(110) 모서리를 기준으로 할 때 석재 강화층(120)은 대하여 베이스층(110)의 길이방향 및 폭 방향 각각으로 0.5% ~ 30% 쉬프트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1% ~ 5% 쉬프트되어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석재 강화층(120)의 길이 방향의 쉬프트 정도(ΔL1) 및 폭 방향의 쉬프트 정도(ΔL2)가 각각 베이스층(110)층 길이(L1) 및 폭(L2)의 0.5% 미만으로 쉬프트되어 있을 경우, 석재 강화층(120)의 쉬프트에 의하여 노출되는 석재 강화층(120)의 하부면 및 베이스층(110)의 상부면이 작아지게 되므로, 시공시 하나의 석재 복합 패널의 석재 강화층이 인접한 다른 하나의 석재 복합 패널의 베이스층에 맞닿는 부분이 작아져서 시공 후 석재 복합 패널들 간에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석재 강화층(120)의 석재 강화층(120)의 길이 방향의 쉬프트 정도(ΔL1) 및 폭 방향의 쉬프트 정도(ΔL2)가 각각 베이스층(110)층 길이(L1) 및 폭(L2)의 30%를 초과할 경우, 석재 강화층(120)의 쉬프트에 의하여 석재 강화층(120)의 돌출되는 부분이 커지게 되므로, 하나의 석재 복합 패널에서 석재 강화층과 베이스층의 상대적인 접착 면적이 전체 면적의 50% 미만이 되며, 이에 따라 석재 복합 패 널 자체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패널 특유의 형상으로 인해 패널의 양산성과 취급성에도 많은 불편이 야기되어 제품으로써의 가치를 잃게 된다.
석재 강화층(120)의 사이즈는 베이스층(120)의 사이즈와 동일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석재 강화층(120)의 사이즈는 베이스층(120)의 사이즈와 상이한 것이 이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석재 강화층(120)의 길이 또는 폭이 수mm 정도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석재 강화층(120)이 약간 더 큰 경우 시공시 베이스층이 약간 작은 것이 표시나지 않아 문제되지 않으나, 베이스층(110)이 약간 더 클 경우 석재 강화층(120)이 인접한 석재 강화층(120)과 맞닿지 못하여 틈이 생기는 것이 눈에 쉽게 띌 수 있기 때문이다.
베이스층(110)과 석재 강화층(120)의 사이즈가 동일한 경우, 베이스층(110)의 돌출길이(ΔL1)는 석재 강화층(120)의 돌출길이(ΔL1')와 동일하고, 또한 베이스층(110)의 돌출폭(ΔL2)은 석재 강화층(120)의 돌출폭(ΔL2')과 동일하다.
그러나 베이스층(110)과 석재 강화층(120)의 사이즈가 석재 강화층(120)의 사이즈가 상이할 경우, 베이스층(110)의 돌출길이(ΔL1)와 석재 강화층(120)의 돌출길이(ΔL1')가 서로 다르거나 또는 베이스층(110)의 돌출폭(ΔL2)과 석재 강화층(120)의 돌출폭(ΔL2')이 서로 다르게 된다.
베이스층
본 발명에서, 베이스층(110)은 무기재, 합성수지재, 목재, 금속재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층(110)은 상기 재질들이 단독으로 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2 종류 이상의 재질이 혼합되어 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질로서 무기재는 시멘트, 콘크리트, 규산칼슘, 마그네슘, 질석, 석고, 도기질 및 자기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질로서 합성수지재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마이드,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및 폴리유산(Polylactic acid)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합성수지재는 상기와 같이 합성수지 단독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시된 합성수지로부터 제조된 섬유에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우레탄, 에폭시, 멜라민, 아크릴, 페놀 및 요소 수지 중에서 하나 이상이 함침되어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질로서 목재는 합판재, 마루판재, 톱밥, 중밀도 섬유판(MDF : Medium Density Fiberboard)재, 고밀도 섬유판(HDF : High Density Fiberboard)재 및 베니어판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질로서 금속재는 알루미늄(Al), 철(fe), 구 리(Cu), 주석(Sn) 등의 금속이 이용될 수 있다. 이들 금속들을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혹은 2종 이상의 금속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금속으로 형성된 베이스층의 경우 일반적인 보드 형상이 될 수 있고, 또한 허니컴 형태도 가능하다.
베이스층의 두께는 1mm ~ 35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20mm를 제시할 수 있다. 베이스층의 두께가 1mm 미만이면, 베이스층이 너무 얇아 석재 복합 패널로서의 효과가 거의 없으며, 베이스층의 두께가 35mm를 초과하면, 패널의 취급성, 경량성 및 시공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석재
강화층
본 발명에서, 석재 강화층(120)에 포함되는 석재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건축용 내외장재로서 사용되고 있거나,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석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석재의 대표적인 예로는 각종 천연 대리석 및 인조 대리석 소재를 들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강석, 대리석, 사문석 등과 같은 천연석, 트래버틴, 오닉스, 테라조, 시멘트계 인조대리석, 수지계 인조대리석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이들 석재는 단독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2종 이상의 석재를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종래에는 천연 대리석 소재 자체의 취성 등으로 인해, 이를 박형으로 패널에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석재 강화층(120)의 두께가 매우 얇 은 박형으로 제작하여 패널에 포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석재 강화층(120)의 두께는 0.5mm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10mm, 가장 바람직하게는 2mm 내지 4mm를 제시할 수 있다. 석재 강화층의 두께가 0.5mm 미만이면, 석재 복합 패널의 전체적인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석재 강화층의 두께가 20mm를 초과하면, 경량성, 가공성, 경제성 및 취급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석재 강화층(120)과 베이스층(110)의 접착을 위하여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접착제는 에폭시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등과 같은 범용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접착제는 폴리염화비닐계 접착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 Ethylene Vinyl Acetate)계 접착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라아마이드계 접착제 등을 단독으로 혹은 2 종류 이상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시된 접착제들 이외에도 다양한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접착제는 접착 방식에 따라서도 핫멜트형, 상온경화형, 열경화형 접착제 등 다양한 형태의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 복합 패널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석재 강화층(120)의 하부에 보강재(121)가 부착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3은 석재 강화층(120)의 하부 및 베이스층(110)의 상부에 보강재(111, 121)가 부착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4는 석재 강화층(120)의 하부 및 베이스층(110)의 하부에 보강재(112, 121)가 부착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5는 석재강화층(120)의 하부, 베이스층(110)의 상부 및 하부에 보강재(111, 112, 121)가 부착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석재 복합 패널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재 강화층(120)의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보강재가 더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석재 복합 패널은 베이스층(110)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적어도 하나의 보강재가 더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들 보강재(111, 112, 121)는 석재 복합 패널의 강도나 접착성 등 여러 목적에 따라 하나의 보드 형태 혹은 복수의 보드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재는 무기 보강재, 합성수지 보강재, 섬유 보강재, 목재 보강재, 금속 보강재 등을 제시할 수 있다.
무기 보강재, 합성수지 보강재, 목재 보강재, 금속 보강재 등의 재질은 베이스층(110)을 형성하기 위한 재질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한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섬유 보강재의 종류로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마이드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아크릴 섬유, 폴리올레핀계 섬유, 셀룰로오 스계 섬유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 섬유를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섬유 보강재의 형태는 직포, 부직포, 망사형태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111, 112, 121)를 베이스층(110) 혹은 석재 강화층(120)에 접착하기 위하여, 전술한 석재 강화층(120)과 베이스층(110)의 접착에 이용되는 접착제들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건축용 내외장 구조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 복합 패널들이 결합되는 예들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 구조체는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제시된 석재 복합 패널들이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6에 도시된 석재 복합 패널의 결합 구조는 하나의 열의 베이스층의 각각의 모서리와 인접한 열의 베이스층 각각의 모서리가 맞닿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에 도시된 석재 복합 패널의 결합 구조는 하나의 열의 베이스층의 각각의 모서리가 인접한 열의 베이스층 각각의 모서리가 맞닿지 않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복수의 석재 복합 패널 각각은 보드 형태의 베이스층(110)과, 베이스층(110)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석재 강화층(120)을 포함한다. 이때, 베이스층(110)과 석재 강화층(120)이 완전히 포개지지 않도록, 석재 강화층(120)이 베이스층(110)에 대하 여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쉬프트된 상태에서 부착되어 있다.
이때, 복수의 석재 복합 패널 각각에서, 석재 강화층(12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쉬프트 정도는 모두 동일할 수 있으나,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경우에 맞게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를 갖는 석재 복합 패널 각각의 결합에 따라서, 하나의 석재 복합 패널에서 석재 강화층의 쉬프트에 의하여 노출되는 석재 강화층의 하부면은 인접한 석재 복합 패널에서 상기 석재 강화층의 쉬프트에 의하여 노출되는 베이스층의 상부면에 부착된다. 또한, 하나의 석재 복합 패널의 석재 강화층의 측면과 인접한 석재 강화층의 측면은 맞닿게 된다.
이를 통하여, 석재 복합 패널은 시공면 전체에 걸쳐 연속적으로 이어져 일체화될 수 있으며, 종래의 문제시되는 시공 후 패널 간 단차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 구조체는 상기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석재 복합 패널의 결합 구조 어느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으며, 내외장 구조체의 가장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되는 석재 복합 패널의 구조는 상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석재 복합 패널의 결합 구조에 따라서 약간 달라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석재 복합 패널을 이용한 건축용 내외장 구조 시공은 하나의 석재 복합 패널의 석재 강화층과 이웃하는 석재 복합 패널의 베이층이 서로 맞닿아 시공될 수 있어, 시공면 전체에 걸쳐 패널들이 일체화되므로 시공 후 패널의 침강을 억제하여 표면의 높이차를 해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용 내외장 구조체의 외관을 석재 외관 그대로 할 수 있으며, 시공이 편리하여 시공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재 복합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석재 강화층의 하부에 보강재가 부착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석재 강화층의 하부 및 베이스층의 상부에 보강재가 부착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석재 강화층의 하부 및 베이스층의 하부에 보강재가 부착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5는 석재강화층의 하부, 베이스층의 상부 및 하부에 보강재가 부착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 복합 패널들이 결합되는 예들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10 : 베이스층 120 : 석재 강화층
111,112,121 : 보강재
L1 : 베이스층 길이 L2 : 베이스층 폭
ΔL1 : 베이스층 돌출길이 ΔL1' : 석재 강화층 돌출길이
ΔL2 : 베이스층 돌출폭 ΔL2' : 석재 강화층 돌출폭
Claims (19)
- 보드 형태의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석재 강화층을 포함하되,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석재 강화층이 완전히 포개지지 않도록 상기 석재 강화층이 상기 베이스층에 대하여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쉬프트(shift)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층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복합 패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석재 강화층은 0.5~20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복합 패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베이스층은 1~35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복합 패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석재 강화층은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보강재가 더 부착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복합 패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베이스층은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적어도 하나의 보강재가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복합 패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석재 강화층은 상기 베이스층에 대하여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0.5% ~ 30% 쉬프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복합 패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석재 강화층은 화강석, 대리석, 사문석, 트래버틴, 오닉스, 테라조, 시멘트계 인조대리석 및 수지계 인조대리석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석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복합 패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베이스층은 무기재, 합성수지재, 목재 및 금속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복합 패널.
- 제8항에 있어서,상기 무기재는 시멘트, 콘크리트, 규산칼슘, 마그네슘, 질석, 석고, 도기질 및 자기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복합 패널.
- 제8항에 있어서,상기 합성수지재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마이드,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및 폴리유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복합 패널.
- 제8항에 있어서,상기 합성수지재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마이드,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 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및 폴리유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로부터 제조된 섬유에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우레탄, 에폭시, 멜라민, 아크릴, 페놀 및 요소 수지 중에서 하나 이상이 함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복합 패널.
- 제8항에 있어서,상기 목재는 합판재, 마루판재, 톱밥, 중밀도 섬유판(MDF)재, 고밀도 섬유판(HDF)재 및 베니어판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복합 패널.
- 제8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재는 알루미늄(Al), 철(Fe), 구리(Cu) 및 주석(Sn)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복합 패널.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상기 보강재는 무기 보강재, 합성수지 보강재, 섬유 보강재, 목재 보강재 및 금속 보강재 중 선택되는 하나의 보강재 또는 이들이 2 종류 이상 혼합된 보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복합 패널.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섬유 보강재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마이드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아크릴 섬유, 폴리올레핀계 섬유 및 셀룰로오스계 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섬유 또는 이들이 2종류 이상 혼합된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복합 패널.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보강재는직포, 부직포 및 망사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복합 패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석재 강화층은 에폭시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폴리염화비닐계 접착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접착제,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및 폴라아마이드계 접착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접착제로 상기 베이스층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복합 패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석재 강화층은 핫멜트형 상온경화형 및 열경화형 접착제 중에서 선택되는 접착제로 상기 베이스층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복합 패널.
- 보드 형태의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석재 강화층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석재 강화층이 완전히 포개지지 않도록 상기 석재 강화층이 상기 베이스층에 대하여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쉬프트된 상태에서 부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석재 복합 패널을 포함하고,하나의 석재 복합 패널에서 상기 석재 강화층의 쉬프트에 의하여 노출되는 석재 강화층의 하부면은 인접한 석재 복합 패널에서 상기 석재 강화층의 쉬프트에 의하여 노출되는 베이스층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외장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2201A KR20110065628A (ko) | 2009-12-10 | 2009-12-10 | 석재 복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내외장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2201A KR20110065628A (ko) | 2009-12-10 | 2009-12-10 | 석재 복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내외장 구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5628A true KR20110065628A (ko) | 2011-06-16 |
Family
ID=4439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2201A KR20110065628A (ko) | 2009-12-10 | 2009-12-10 | 석재 복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내외장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65628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65916A1 (ko) * | 2011-11-04 | 2013-05-10 | Son Yu-Sung | 신형 온돌바닥재 |
KR101394694B1 (ko) * | 2012-07-16 | 2014-05-15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실내공기 정화용 건축용 판넬 및 그 제조 방법 |
KR20140006220U (ko) | 2013-06-03 | 2014-12-11 | 주식회사 신아석재 | 석재고정 브라켓 구조 및 석재 복합 패널 |
KR101535453B1 (ko) * | 2013-02-01 | 2015-07-14 | 서인섭 | 건축용 석재 패널 |
KR20170003861U (ko) * | 2016-05-04 | 2017-11-14 | 임재철 | 난방 및 설치가 용이한 층간소음 방지패드 |
-
2009
- 2009-12-10 KR KR1020090122201A patent/KR20110065628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65916A1 (ko) * | 2011-11-04 | 2013-05-10 | Son Yu-Sung | 신형 온돌바닥재 |
KR101394694B1 (ko) * | 2012-07-16 | 2014-05-15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실내공기 정화용 건축용 판넬 및 그 제조 방법 |
KR101535453B1 (ko) * | 2013-02-01 | 2015-07-14 | 서인섭 | 건축용 석재 패널 |
KR20140006220U (ko) | 2013-06-03 | 2014-12-11 | 주식회사 신아석재 | 석재고정 브라켓 구조 및 석재 복합 패널 |
KR20170003861U (ko) * | 2016-05-04 | 2017-11-14 | 임재철 | 난방 및 설치가 용이한 층간소음 방지패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3646494B (zh) | 一种基于矿物的地板镶板 | |
KR100900643B1 (ko) | 천연석 복합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 |
US20070289236A1 (en) | Finishing panel using marble | |
RU2448222C1 (ru) | Строительная плита, пригодная в качестве носителя облицовочной плитки | |
KR20110065628A (ko) | 석재 복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내외장 구조체 | |
US20070003791A1 (en) | Stone-like laminate | |
CN110607893A (zh) | 适于构造地板或墙体覆盖装置的镶板 | |
US11097512B1 (en) | Floor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floor panel | |
US20230399858A1 (en) | Decorative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Floor, Ceiling or Wall Covering by Interconnecting a Plurality of Said Panels With Each Other, and Decorative Covering of Such Interconnected Panels | |
JP2023500546A (ja) | 装飾用パネルおよび当該パネルからなる装飾用床カバー材 | |
NL2024807B1 (en) | Floor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f a floor panel | |
KR20160129193A (ko) | 중공 슬래브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 |
KR200383195Y1 (ko) | 건축 구조물용 마감재의 결합구조 | |
CN201065582Y (zh) | 装饰隔声板 | |
EP3892154B1 (en) | Laminated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CN219281155U (zh) | 装配式地板单元 | |
WO2024198012A1 (zh) | 含纤维层的复合地板 | |
KR20040028446A (ko) | 건축용 복합패널 | |
ITTO20100838A1 (it) | Manufatto di rivestimento per edilizia e relativo uso | |
KR20100131774A (ko) | 핫멜트를 이용한 천연석 복합 패널 | |
KR101203447B1 (ko) | 건축장식용 복합 천연석재 및 그 복합방법 | |
JPH0571211A (ja) | 建築用パネル | |
KR20110051774A (ko) | 엔지니어드 스톤 제품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엔지니어드 스톤 제품 | |
CN202969823U (zh) | 耐磨石木复合板 | |
TWM624465U (zh) | 地板結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