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4593A - Bicycle parking tower - Google Patents

Bicycle parking t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4593A
KR20110064593A KR1020090121269A KR20090121269A KR20110064593A KR 20110064593 A KR20110064593 A KR 20110064593A KR 1020090121269 A KR1020090121269 A KR 1020090121269A KR 20090121269 A KR20090121269 A KR 20090121269A KR 20110064593 A KR20110064593 A KR 20110064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rail
guide
tir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2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31017B1 (en
Inventor
손한영
이은영
서현석
Original Assignee
프리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프리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1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017B1/en
Publication of KR20110064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5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0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8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recesses or channelled rails for embracing the bottom part of a whe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05Garages for vehicles on two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PURPOSE: A bicycle parking tower is provided to simultaneously park hundreds of bicycles and firmly secure bicycle tires on rails formed similar to the curves of the tires. CONSTITUTION: A bicycle parking tower comprises a main body(10), receiving parts(20), a carrier(30), and a transfer device(40). Bicycles enter the main body through an entrance(11). The receiving parts include a center opening(21)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rails(22). The carrier, which delivers the bicycles to the receiving parts, comprises a fixing rail in which a bicycle is secured and a driving unit(32) which moves the carrier to a floor to park the bicycle through the opening so that the fixing rail with the bicycle is connected to an empty receiving rail. The transfer device holds the tire of the bicycle and delivers or returns the bicycle to or from the fixing rail. When the fixing rail is flush with the receiving rail, the transfer device delivers the bicycle from/to the fixing rail to/from the receiving rail.

Description

자전거용 주차타워{Bicycle parking tower}Bicycle parking tower {Bicycle parking tower}

본 발명은 자전거용 주차타워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자전거가 주차되는 수납레일이 다수개 형성된 턴테이블과 이 턴테이블로 자전거가 주차되도록 이동되는 캐리어로 구성되어 동시에 수십~수백의 자전거를 주차할 수 있는 자전거용 주차타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tower for a bicycle, and more particularly, a turntable formed of a plurality of storage rails on which a bicycle is parked, and a carrier which is moved to park the bicycle by the turntable, so that several tens to hundreds of bicycles can be parked at the same time. It is about bicycle parking tower which there is.

최근에는 차량이 증가하여 교통체증 및 환경오염이 심해지는 등의 이유로 인해 근거리 이동시에는 자전거가 점차 많이 이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bicycles are increasingly used for short-distance movements due to the increase in vehicles, traffic jam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따라서, 자전거 운행에 따른 환경오염의 걱정이 없고, 사용자의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교통수단으로서, 도로공간 이용이 효율적이고 도로가 혼잡할 경우에도 개인의 이동성을 높여줄 수가 있다.Therefore, there is no worry of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the bicycle operation,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to help the user's health, the use of road space is efficient and can increase the individual mobility even when the road is crowded.

그러므로, 자전거의 생활화를 정부와 시민단체 등에서 적극 장려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의 하나로 전국에 자전거 도로망이 늘어나게 되었고, 역이나 터미널, 백화점, 공공시설 및 아파트 단지와 같은 공용주거시설 등에 자전거를 보관하기 위한 자전거 주차대가 설치되어 있다.Therefore, the life of bicycles is actively promoted by the government and civic organizations. As one of these policies, the road network of bicycles has been expanded nationwide, and it is necessary to store bicycles in public residential facilities such as stations, terminals, department stores, public facilities and apartment complexes. Bicycle parking lot is installed.

그러나, 종래의 자전거 주차대는 처마를 가지는 건축물에 주차 공간만을 제공하거나 혹은 앞바퀴를 들어올려 정돈 겸 고정할 수 있는 거치대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icycle parking lot provides only a parking space to the building having an eave or together with a cradle that can be fixed and fixed by lifting the front wheel.

즉, 종래의 자전거 주차대는 단순히 자전거를 기대어 놓을 수 있는 구조물로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 같은 자전거 주차대에 자전거를 주차하는 경우에는 자전거 소유자가 별도의 잠금장치를 휴대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전거와 주차대를 결속하는 방식으로 자전거의 도난을 방지하고 있는 실정이다.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bicycle parking lot is usually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simply lean on the bicycle, and when the bicycle is parked in such a bicycle parking lot, the bicycle owner carries a separate locking device and uses the bicycle and the parking lot using the same. It is a situation that prevents theft of bicycles by binding.

이는 자전거 주차장의 공간이 협소하여 자전거를 주차대에 잠금장치로 체결할 때 자전거의 사이를 출입하여야 하는 관계로 주차장의 공간이 협소하므로 자전거와 자전거의 사이를 통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is is because the space of the bicycle parking lot is narrow, and when the bicycle is fastened to the parking lot, the space between the bicycles is narrowed because the space between the bicycles is narrow.

또한, 종래의 자전거 주차대를 설치하는 공간이 한정되게 되어 다량의 자전거를 세워둘 수 없어 주차시설의 주변에 불법으로 세워 놓은 사례가 많고, 자전거를 세워둔다 하더라도 질서 정연하게 세위지지도 않아 미관상 및 통행에 방해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conventional bicycle parking lot is limited, so many bicycles cannot be parked, and many cases are illegally placed around the parking facility, and even if the bicycle is parked, the bicycle parking lot is not orderly washed. There was a problem that interfered with.

그리고, 비바람 등 우천시에 상기 세워진 다량의 자전거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바람 등에 의해 넘어지게 되어 자전거가 파손되거나 자전거 유지관리 시스템의 부재로 비상 상황시에 대한 대처가 미비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a large amount of bicycles erected in rainy weather or the like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y fall down due to wind and the like, and thus, the bicycles are damaged 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mergency response is insufficient due to the absence of a bicycle maintenance syst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가 주차되는 수납레일이 다수개 형성된 턴테이블과 이 턴테이블로 자전거가 주차되도록 이동되는 캐리어로 구성되어 동시에 수십~수백의 자전거를 주차할 수 있는 자전거용 주차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turntable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rails for parking the bicycle and a carrier which is moved to park the bicycle to the turntable at the same time dozens of hundreds It is to provide a bicycle parking tower that can park bicycles.

또한, 자전거가 고정 및 주차되는 레일이 자전거 타이어의 곡면과 흡사하게 제작되어 타이어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일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의해 자전거가 안전하게 이동될 수 있는 자전거용 주차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ail on which the bicycle is fixed and parked is made similar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bicycle tire, so that the tire can be firmly fixed and the bicycle parking tower for the bicycle can be safely moved by the guide groov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ail. To provide.

또한, 자전거를 이동시키는 이송장치의 그립이 자전거 타이어의 지름에 따라 적절한 대응이 가능한 자전거용 주차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grip of the transfer device for moving the bicycle is to provide a parking tower for the bicycle that can be properly responded to the diameter of the bicycle tir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는, 자전거(1)가 진입되도록 투입부(11)가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중심부에는 개구부(21)가 마련되고, 상면에는 자전거(1)가 수납되도록 다수개의 수납레일(22)이 설치되는 수납부(20);와, 상기 투입부(11)로 진입된 자전거(1)를 상기 수납부(20)로 이동시키되, 자전거(1)가 고정되도록 고정레일(31)이 설치되며, 구동유닛(32)에 의해 자전거가 주차되는 층까지 상 기 개구부(21)를 거쳐 승·하강 및 자전거(1)가 고정된 고정레일(31)과 비어있는 수납레일(22)이 연결되도록 좌·우 회전되는 캐리어(30);와, 상기 캐리어(30)에 설치되어 투입부(11)에 위치된 자전거(1)의 타이어(T)를 잡아 상기 고정레일(31)로 이동시키거나 반송시키며, 상기 고정레일(31)과 수납레일(22)의 높이가 일치하면, 고정레일(31)에 고정된 자전거(1)를 상기 수납레일(22)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수납레일(22)에 주차된 자전거(1)를 고정레일(31)로 이동시키는 이송장치(4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icycle parking tow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the input unit 11 to enter the bicycle (1); and the main body 10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the opening portion 21 is provided in the center,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rails 22 to accommodate the bicycle (1); The bicycle 1 is moved to the storage unit 20, but the fixed rail 31 is installed to fix the bicycle 1, and the opening is opened to the floor where the bicycle is parked by the driving unit 32. A carrier 30 which is rotated left and right so that the fixed rail 31 to which the bicycle 1 is fixed and the empty storage rail 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21; And hold the tire T of the bicycle 1 located in the input section 11 to move or convey the fixed rail 31, and the fixed rail 31 and the number When the heights of the rails 22 match, the bicycle 1 fixed to the fixed rail 31 is transferred to the storage rail 22 or the bicycle 1 parked on the storage rail 22 is fixed rail ( 31) a transfer device 40 for moving to;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또한, 상기 수납부(20)는 다수개의 층을 이루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part 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layers.

또한, 상기 수납레일(22)과 고정레일(31)은 상부가 자전거의 타이어(1)가 진입되도록 개방되고 내주면은 만곡형성되며, 하부에는 타이어(T)가 끼워져 가이드되도록 가이드 홈(211, 311)이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rail 22 and the fixed rail 31 are opened to allow the tire 1 of the bicycle to ente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curved, and guide grooves 211 and 311 to guide the tire T into the lower portion thereof. )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ression is formed.

또한, 상기 수납레일(22)에 주차된 자전거(1)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투입부(11)로 진입된 자전거(1)가 비어있는 수납레일(22)로 이송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icycle (1) parked in the storage rail 22; and the bicycle (1) entered into the input unit 11 receives th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is empt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o be transferred to the receiving rail 2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상기 이송장치(40)는, 상기 고정레일(3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롤러(401);와, 상기 가이드롤러(401)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고정레일(3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면에는 가이드레일(402)이 형성되는 가이드판넬(403);과, 상기 가이드판넬(403)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레일(402)과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의 움직임이 허용되는 가이드브라켓(404);과, 상기 가이드브라켓(404)의 상부에 설치되되, 승강수단(M1)을 매개로 상하작동되는 상하작동브라켓(405);과, 상기 상하작동브라켓(405)의 상면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한 쌍의 외부브라켓(406);과, 상기 외부브라켓(406)에 형성되는 가이드 홀(407);과, 상기 한 쌍의 외부브라켓(406) 사이에 형성되되, 회전 가이드봉(408)을 매개로 상기 가이드 홀(407)에 연결되며, 정면이 타이어(T)의 곡면과 상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가이드판넬(403)의 타이어(T) 접근시 타이어(T)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센터블럭(409):과, 이 센터블럭(409)을 관통하며,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형성되는 나사부재(410):와, 이 나사부재(410)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나사부재(410)의 회전에 따라 상호 접근 또는 이격되는 한 쌍의 내부브라켓(411):과, 상기 나사부재(410)의 일측에 기어(G)를 매개로 설치되는 구동모터(M2):와, 상기 내부브라켓(411)의 내측에 설치되어 타이어(T)의 측면과 접촉되는 사이드블럭(412):으로 구성되는 그립(414);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ransfer device 40, the guide roller 401 to be mov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rail 31; and,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guide roller 401 is located on the top of the fixed rail 31 A guide panel 403 having a guide rail 402 formed thereon; and a guid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panel 403, and connected to the guide rail 402 to allow movem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racket 404; and, the upper and lower operating bracket 405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bracket 404, and is operated up and down via the lifting means (M1); an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operation bracket 405 A pair of outer brackets 406 installed in a fixed state; and a guide hole 407 formed in the outer bracket 406; and formed between the pair of outer brackets 406, and rotating guide rods. 408 is connected to the guide hole 407, the front side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tire (T) The center block 409 is manufact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ire T when the guide panel 403 approaches the tire T. The center block 409 penetrates the center block 409, and the left and right screws are formed. Screw member 410: and a pair of inner brackets 411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crew member 410 and approaching or spaced apar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crew member 410: and the screw member 410. Drive motor (M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hrough the gear (G): and the side block 412 is installed in the inner bracket (411)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tire (T): Grip 414;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또한, 상기 내부브라켓(411)과 사이드블럭(412)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부재(413);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pring member 413 is installed between the inner bracket 411 and the side block 412;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상기 가이드판넬(403)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402)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브라켓(404)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기설정된 곳까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리미트센서(415);와, 상기 사이드블럭(412)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블럭(412)의 타이어(T) 가압시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박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mit sensor 415 is installed in the guide panel 403, and controls to move to a predetermined place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guide bracket 404 moved along the guide rail 402; and the side And a pressure sensor installed at the block 412 to sens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tire T is pressed by the side block 412.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자전거가 주차되는 수납레일이 다수개 형성된 턴테이블과 이 턴테이블로 자전거가 주차되도록 이동되는 캐리어로 구성되어 동시에 수십~수백의 자전거를 주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composed of a turntable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rails for parking the bicycle and a carrier which is moved so that the bicycle is parked by the turntab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ark several tens to hundreds of bicycles at the same time.

또한, 자전거가 고정 및 주차되는 레일이 자전거 타이어의 곡면과 흡사하게 제작되어 타이어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일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의해 자전거가 안전하게 이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ail on which the bicycle is fixed and parked is similar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bicycle tire, so that the tire can be firmly fix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icycle can be safely moved by the guide groov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ail.

또한, 자전거를 이동시키는 이송장치의 그립이 자전거 타이어의 지름에 따라 적절한 대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grip of the transfer device for moving the bicycle can be properly responded to the diameter of the bicycle ti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의 개략적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의 자전거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의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자전거를 수납레일에 이송시키는 모습을 보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의 고정레일과 수납레일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onceptual view of a parking tower for a bicy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a parking tower for a bicy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spective view of the bicycle transport apparatus of the bicycle parking tower according to Figure 4, Figure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Figures 5 to 7 are accommodated in the bicycle using the transportation device of the parking tower for the bicy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fixed rail and the storage rail of the parking tower for bicycl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는, 본체(10), 수납부(20), 캐리어(30) 및 이송장치(40)가 포함된다.Bicycle parking tow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 the housing 20, the carrier 30 and the transfer device 40 is included.

먼저, 본체(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main body 10 will be described.

상기 본체(10)는 후술할 본 발명의 모든 구성요소가 내부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자전거가 내부로 진입이 가능되도록 투입부(11)가 형성되며, 이러한 투입부(11)에는 상하로 개폐되는 도어(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10 is a member in which all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are installed therein, and an inlet 11 is formed to allow the bicycle to enter the inside, and the inlet 11 is opened and closed vertically. Preferably, a door (not shown) is installed.

상기 투입부(11)는 본체(10)가 지상에 설치될 경우 하부에 설치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매립될 경우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let 11 is installed at the bottom when the main body 10 is installed on the ground, as shown in Figure 1,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at the top when buried underground.

다음으로, 수납부(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storage unit 20 will be described.

상기 수납부(2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형(원판)의 부재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내부에 상하로 다수개가 층을 이루어 설치되되, 중심부에는 개구부(21)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개구부(21)는 후술할 케리어의 상하방향 작동시 지나가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The accommodating part 20 is a member of a circular (circl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ure 1,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layers up and down inside the main body 10, in the center An opening 21 is formed, and the opening 21 serves as a passage that passes during the vertical operation of the carri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수납레일(20)의 상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수납레일(22)이 설치되는데, 상기 수납레일(22)은 턴테이블(20)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횡행배치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storage rails 22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rail 20, and the storage rails 22 are arranged transverse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top of the turntable 20. .

여기서, 상기 수납레일(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20)가 원형으로 제작될 경우, 개구부의 중심을 기준점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s shown in FIG. 2, when the accommodating part 20 is manufactured in a circular shape, the accommodating rail 22 is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opening by a predetermined point.

상기와 같은 수납레일(22)과 후술할 고정레일(31)은 자전거(1)가 안정적으로 보관되도록 도 6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며, 내주면은 만곡형성되고, 하부에는 가이드 홈(221, 311)이 형성된다.6 and 8, the storage rail 22 and the fixed rail 31 to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ures 6 and 8, the upper opening is op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s curved, the lower Guide grooves 221 and 311 are formed.

즉, 상기 수납레일(22)과 고정레일(31)은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That is, the receiving rail 22 and the fixed rail 31 is formed in a cross-section "U" shape.

상기와 같은 형상의 수납레일(22)과 고정레일(31)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221, 311)은 타이어(T)의 외주면 중 돌출되는 부분(바닥면)과 밀착되면서 타이어(T)의 이동시 이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The guide grooves 221 and 311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rail 22 and the fixed rail 31 having the above shape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T, It serves as a guide when moving.

다음으로, 캐리어(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carrier 30 will be described.

상기 캐리어(30)는 본체(10)의 투입부(11)로 진입된 자전거를 상기 수납부(20)의 수납레일(22)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캐리어(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층을 이루는 수납부(20)의 수납레일(22)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승·하강 및 좌우회전되는데, 이에 따라, 캐리어(30)를 승·하강 및 좌우회전시키는 구동유닛(32)이 상기 본체(1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rrier 30 is a member that serves to move the bicycle entered into the input unit 11 of the main body 10 to the storage rail 22 of the storage unit 20, the carrier 30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unit moves up, down, and left and right so as to be movable to the storage rails 22 of the storage unit 20 constituting a plurality of layers. As a result, the driving unit for moving the carrier 30 up, down, and left and right ( 32 is preferably formed on the main body 10.

상기와 같은 구동유닛(32)에 대해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구동유닛(32)은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모터(321)와, 이 모터(321)로부터 회전을 전달받도록 결합된 플레이트(322)와, 이 플레이트(322)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메인프레임(323)과, 이 메인프레임(323)의 내주면 설치되는 레일(324)과,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도르레(325)와, 이 도르레(325)와 체인(326)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도르레(325)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되며 고정레일(31)과 연결되고 롤러(327)가 구비되어 상기 레일(324)을 따라 이동되는 연결구(328)가 포함된다.Referring to the drive unit 32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s 1 and 2, the drive unit 32 and the motor 321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his motor 321 Plate 322 coupled to receive the rotation from the main body, the main frame 323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322, the rail 324 is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frame 323, and the main body The pulley 325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10 is connected to the pulley 325 and the chain 326 by a medium, and is lift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ulley 325 and connected to the fixed rail 31. And a connector 328 provided with a roller 327 and moving along the rail 324.

이에 따라, 상기 도르레(325)가 회전되면, 상기 고정레일(31)은 승·하강되며, 상기 모터(321)가 구동되면, 좌·우로 회전된다.Accordingly, when the pulley 325 is rotated, the fixed rail 31 is raised and lowered, and when the motor 321 is driven, the fixed rail 31 is rotated left and right.

또한, 상기 캐리어(3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부(11)에 위치되는 자전거(1)를 캐리어(30)의 고정레일(31)로 이동시키는 후술할 이송장치(40)와, 이 이송장치(40)로 이동된 자전거(1)를 상기 수납레일(22)에 주차하기 전에 보관하는 고정레일(31)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이송장치(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carrier 30, as shown in Figure 2, the transfer device 40 to be described later to move the bicycle (1) located in the input unit 11 to the fixed rail 31 of the carrier 30 and , The fixed rail 31 for storing the bicycle (1) moved to the transfer device 40 before parking on the storage rail 22 is installed, a detailed description of such a transfer device 40 will be described later Shall be.

다음으로, 이송장치(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transfer device 40 will be described.

상기 이송장치(40)는 캐리어(30)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이송장치(40)는 자전거(1)를 주차 또는 출차시 자전거(1)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이송장치(4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롤러(401), 가이드판넬(403), 가이드브라켓(404), 상하작동브라켓(405), 외부브라켓(406), 가이드 홀(407), 그립(414), 리미트센서(415) 및 압박센서가 포함된다.The transfer device 40 is a member installed in the carrier 30, the transfer device 40 serves to transfer the bicycle (1) when parking or leaving the bicycle (1). As shown in Figures 3 to 4, the transfer device 40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roller 401, the guide panel 403, the guide bracket 404, the up and down operating bracket 405, the outer bracket 406 , Guide hole 407, grip 414, limit sensor 415, and pressure sensor.

상기 가이드롤러(40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레일(31)의 외주면, 즉,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데, 이러한 가이드롤러(401)에 의해 후술할 가이드판넬(403)은 고정레일(31)의 상부에서 전진 또는 후진된다. 상기 가이드롤러(401)의 전진 또는 후진시 고정레일(31)의 외주면과 맞닿은 상태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별도의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장치에 의해 이동될 수도 있을 것이다.As shown in FIG. 3, the guide roller 401 is mov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rail 31,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guide panel 403 to be described later by the guide roller 401 is a fixed rail. At the top of 31 is advanced or reversed. When moving forward or backward of the guide roller 401 is preferably moved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ed rail 31, it may be moved by a separate guide device not shown.

상기와 같이 전진 또는 후진되는 가이드롤러(401)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레일(31)의 하부의 구동롤러(R)와 이 구동롤러(R)에 감긴 체인과 연결되어 작동된다.As described above, the guide roller 401, which is advanced or retracte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roller R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rail 31 and the chain wound around the driving roller R, as shown in FIGS. It works.

여기서, 구동롤러(R)에는 체인 대신 벨트가 감길 수도 있다.Here, the belt may be wound instead of the chain to the driving roller (R).

상기 가이드판넬(403)은 상기 가이드롤러(401)의 상부에 연결되는 부재로서, 고정레일(31)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롤러(401)의 움직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된다.The guide panel 403 is a member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roller 401, is located on the top of the fixed rail 31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guide roller 401.

또한, 상기 가이드판넬(403)의 상면에는 가이드레일(40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가이드레일(402)은 후술할 가이드브라켓(404)과 연결되어 가이드브라켓(404)이 가이드판넬(403)의 상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guide rail 40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anel 403, the guide rail 402 is connected to the guide bracket 404 to be described later, the guide bracket 404 is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anel 403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한편, 상기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는 가이드브라켓(404)의 움직임이 제어되도록 리미트센서(41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리미트센서(415)는 상기 가이드브라켓(404)이 기설정된 지점,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후술할 그립(414)이 자전거 타이어(T)를 구속할 수 있는 정도까지 이동되면 상기 그립(414)의 사이드블럭(412)을 이용하여 타이어(T)를 구속한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limit sensor 415 is provided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guide bracket 404 act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limit sensor 415 is the point where the guide bracket 404 is preset, In more detail, when the grip 414 to be described later is moved to the extent that the bicycle tire T can be restrained, the tire T is restrained by using the side block 412 of the grip 414.

상기 상하작동브라켓(405)은 상기 가이드브라켓(404)의 상부에 설치되되, 승강모터(M1)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는데, 상기와 같이 상하로 작동되는 상하작동브라켓(405)에 의해 센터블럭(409)과 사이드블럭(412)으로 구속한 타이어(T)를 들어올려 고정레일(31)과 수납레일(22)을 따라 이동되는 타이어(T)와 각 레일(22, 31) 사이의 마찰력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vertical operation bracket 405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bracket 404, and is operated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otor (M1), the center by the vertical operation bracket 405 that is operated up and down as described above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tire T and each of the rails 22 and 31 that is moved along the fixed rail 31 and the receiving rail 22 by lifting the tire T constrained by the block 409 and the side block 412. It can be cut in half.

또한, 상기 승강모터(M1)는 실린더 등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lifting motor M1 may be replaced by a cylinder or the like.

상기 외부브라켓(406)은 상하작동브라켓(405)의 상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부재인데, 이러한 한 쌍의 외부브라켓(406)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며 설치된다.The outer bracket 406 is a pair of member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operation bracket 405, the pair of outer brackets 406 are installed facing each other in a stat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가이드 홀(407)은 상기 외부브라켓(406)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가이드 홀(407)은 후술할 그립(414)과 타이어(T)의 접촉시 그립(414)을 회전시켜 접촉에 따른 충격량을 감쇄시키는 역할과 타이어(T)의 크기에 따라 센터블럭(409)과 사이드블럭(412)으로 구속되는 타이어(T)의 지점을 적절하게 대응가능하게 한다.The guide hole 407 is installed in the outer bracket 406. The guide hole 407 rotates the grip 414 when the grip 414 and the tire 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reduce the amount of impact due to the contact. According to the role of attenuation and the size of the tire T, the point of the tire T constrained by the center block 409 and the side block 412 can be appropriately corresponded.

상기와 같이 센터블럭(409)과 사이드블럭(412)에 의해 구속되는 타이어(T)의 지점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예컨대, 타이어(T)를 시계에 비유하면, 싸이클과 같이 지름이 큰 타이어는 7시(또는 5시) 방향을 잡고, 아동용과 같이 지름이 작은 타이어는 8시(또는 4시) 방향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oint of the tire T constrained by the center block 409 and the side block 41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tires hold the 7 o'clock (or 5 o'clock) direction, and small tires, such as children's, can hold the 8 o'clock (or 4 o'clock) direction.

상기 그립(414)은 회전 가이드봉(408), 센터블럭(409), 나사부재(410), 내부브라켓(411), 구동모터(M2), 사이드블럭(412) 및 스프링부재(413)로 구성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그립(414)은 자전거(1)의 타이어(T)를 잡고, 잡은 타이어(T)를 상방향으로 승강하는 역할을 한다.The grip 414 includes a rotation guide rod 408, a center block 409, a screw member 410, an inner bracket 411, a drive motor M2, a side block 412, and a spring member 413. As a member to be used, the grip 414 holds the tire T of the bicycle 1 and serves to lift the caught tire T upward.

상기 센터블럭(409)은 가이드판넬(403)의 타이어(T) 접근시, 타이어(T)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재로서, 타이어(T)의 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이 극대화되도록 타이어(T) 바닥면의 곡면과 상응한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enter block 409 is a member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ire T when the guide panel 403 approaches the tire T, and the tire T so that the contact area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ire T is maximized. It is preferable to be manufact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센터블럭(409)의 양측에는 회전 가이드봉(408)이 돌출형성되는데, 이러한 회전 가이드봉(408)은 상기 가이드 홀(407)에 연결되어 그립(414)이 회 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rotating guide rods 408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block 409, and the rotating guide rods 408 are connected to the guide holes 407 to allow the grip 414 to rotate. do.

즉, 상기 센터블럭(409)은 상하작동브라켓(405)의 상면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한 쌍의 외부브라켓(406)의 사이에 회전 가이드봉(408)을 매개로 설치된다.That is, the center block 409 is installed via a rotation guide rod 408 between a pair of outer brackets 406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operation bracket 405.

상기 나사부재(410)은 일측에 왼나사, 타측에 오른나사가 한 몸에 형성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나사부재(410)는 상기 센터블럭(409)을 관통하여 상기 외부브라켓(406)의 외부까지 연장형성된다.The screw member 410 is a member formed on one side of the left screw, the right side of the screw on the other side, the screw member 410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outer bracket 406 through the center block 409 Is formed.

상기와 같은 나사부재(410)의 왼나사와 오른나사에는 각각 내부브라켓(411)이 볼트결합되는데, 이렇게 나사결합된 내부브라켓(411)은 나사부재(410)의 회전에 따라 서로 접근되거나 이격되는데, 상기와 같은 나사부재(410)의 회전은 기어(G)를 매개로 설치되는 구동모터(M2)로부터 전달받는다.The left and right screws of the screw member 410 as described above are bolted to the inner bracket 411, respectively, the screwed inner bracket 411 is approached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crew member 410, Rotation of the screw member 410 as described above is received from the drive motor (M2) is installed via the gear (G).

상기 사이드블럭(412)은 상기 내부브라켓(411)의 내측에 설치되어 구동모터(M2)의 회전에 따라 내부브라켓(411)과 연동되면서 타이어(T)의 측면과 접촉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사이드블럭(412)은 상기 구동모터(M2)의 회전수에 따라 타이어(T)의 측면을 가압하는 힘이 증감된다.The side block 412 is a member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inner bracket 411 and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tire T while interlocking with the inner bracket 411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M2. The pressure 412 of the tire T is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ing motor M2.

이에 따라, 상기 사이드블럭(412)이 타이어(T)의 측면과 접촉시 가압력이 증가되도록 사이드블럭(412)과 내부브라켓(411)의 사이에는 스프링부재(41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spring member 413 is preferably installed between the side block 412 and the inner bracket 411 so that the pressing force increases when the side block 412 contacts the side surface of the tire T.

또한, 상기 사이드블럭(412)으로 타이어(T) 측면의 가압시 타이어(T)에 과도 한 힘이 발생되어 파손될 염려가 있으므로 상기 구동모터(M2)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압박센서(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sure senso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motor (M2) because the side block 412 may be damaged due to excessive force generated in the tire (T) when pressing the side of the tire (T). It is preferable that is provided.

다음으로, 도시되지 않은 감지센서와 중앙처리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sensor and a central processor (not shown) will be described.

상기 감지센서는 수납레일(22)에 설치되어 주차된 자전거(1)의 유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감지센서는 예컨대, 수납레일(22)에 자전거(1)가 위치되면 자전거(1)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가 바람직하지만 자전거(1)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센서라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The detection sensor is a member installed on the storage rail 22 and serves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arked bicycle (1), such a detection sensor, for example, when the bicycle (1) is located on the storage rail (22) bicycle (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of 1) is preferable, but if the sensor can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icycle (1)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감지센서에 감지된 신호를 받아 상기 투입부(11)로 진입된 자전거(1)를 비어있는 수납레일(22)로 이송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controls the bicycle 1, which has entered the input unit 11, to be transferred to the empty storage rail 22 by receiving th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상기와 같은 중앙처리부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자전거(1)가 투입부(11)로 진입되면, 중앙처리부는 감지센서를 활성화시켜 비어있는 수납레일(22)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icycle 1 enters the input unit 11,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ollects information on the empty storage rail 22 by activating the sensor.

이렇게 수집된 정보에 따라 중앙처리부는 비어있는 수납레일(22)을 선정하며, 이와 동시에 이송장치(40)를 구동하여 투입부(11)에 있던 자전거(1)를 캐리어(30)로 이동시킨다.According to the collected informa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elects the empty storage rail 22, and simultaneously drives the transfer device 40 to move the bicycle 1 in the input unit 11 to the carrier 30.

상기와 같이 캐리어(30)로 이동된 자전거(1)를 해당 층의 수납부(20)와 일치되는 높이로 승강하는데, 이때, 중앙처리부는 비어있는 수납레일(22)과 고정레일(31)이 서로 일치되도록, 즉, 서로 연결되도록 캐리어(30)을 회전시키며, 수납레 일(22)과 고정레일(31)이 일치되면 이송장치(40)로 고정레일(31)에 있던 자전거(1)를 수납레일(22)로 이동시킨 후 캐리어(30)를 다시 투입부(11)로 이동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bicycle 1 moved to the carrier 30 is moved up and down to the same height as that of the storage unit 20 of the corresponding floor. In this cas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has an empty storage rail 22 and the fixed rail 31. The carrier 30 is rotated to match each other, that is,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storage rail 22 and the fixed rail 31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bicycle 1 in the fixed rail 31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device 40. After moving to the receiving rail 22, the carrier 30 is moved to the input unit 11 again.

상기와 같이 캐리어(30)가 투입부(11)로 이동되면 초기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며, 상술한 바를 참조하면, 수납레일(22)에 주차된 자전거(1)를 투입부(11)로 이동시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rrier 30 is moved to the input unit 11, the carrier 30 returns to an initial state. Referring to the bar as described above, the movement of the bicycle 1 parked on the storage rail 22 to the input unit 11 is performed. Since it can be inferr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best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Herein,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but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의 개략적인 개념도 및 부분확대도,1 is a schematic conceptu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parking tower for a bi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의 평면도 및 부분확대도,2 is a plan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parking tower for a bicy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의 자전거 이송장치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icycle transport apparatus of a parking tower for a bicy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배면사시도,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3;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의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자전거를 수납레일에 이송시키는 모습을 보인 상태도,5 to 7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icycle is transferred to the storage rail using the transport device of the parking tower for bicycl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차타워의 고정레일과 수납레일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fixed rail and the storage rail of the parking tower for bicycl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자전거1-bike

10-본체 11-투입부10-body 11-feed

20-수납부 21-개구부20-storing department 21-opening

22-수납레일 221-가이드 홈22-Storage rail 221-guide groove

30-캐리어 31-고정레일30-carrier 31-fixed rail

311-가이드 홈311-guide groove

32-구동유닛 321-모터32-drive unit 321-motor

322-플레이트 323-메인프레임322-plate 323-mainframe

324-레일 325-도르레324-rail 325-pulley

326-체인 327-롤러326-chain 327-roller

328-연결구328-connection

40-이송장치 401-가이드롤러40-Feeder 401-Guide Roller

402-가이드레일 403-가이드판넬402-Guide Rail 403-Guide Panel

404-가이드브라켓 405-상하작동브라켓404-Guide Bracket 405-Upper Bracket

406-외부브라켓 407-가이드 홀406-External Bracket 407-Guide Hole

408-회전 가이드봉 409-센터블럭408-rotating guide rod 409-center block

410-나사부재 411-내부브라켓410-Screw member 411-Internal bracket

412-사이드블럭 413-스프링부재412-side block 413-spring member

414-그립 415-리미트센서414-Grip 415-Limit Sensor

T-타이어 R-롤러T-Tire R-Roller

M1-승강모터 M2-구동모터M1-lift motor M2-drive motor

Claims (7)

자전거(1)가 진입되도록 투입부(11)가 형성되는 본체(10);와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n input unit 11 so that the bicycle 1 enters; And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중심부에는 개구부(21)가 마련되고, 상면에는 자전거(1)가 수납되도록 다수개의 수납레일(22)이 설치되는 수납부(20);와An accommodating part 2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the opening part 21 being provid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rails 22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so as to accommodate the bicycle 1; 상기 투입부(11)로 진입된 자전거(1)를 상기 수납부(20)로 이동시키되, 자전거(1)가 고정되도록 고정레일(31)이 설치되며, 구동유닛(32)에 의해 자전거가 주차되는 층까지 상기 개구부(21)를 거쳐 승·하강 및 자전거(1)가 고정된 고정레일(31)과 비어있는 수납레일(22)이 연결되도록 좌·우 회전되는 캐리어(30);와The bicycle 1, which has entered the input unit 11, is moved to the storage unit 20, and the fixed rail 31 is installed to fix the bicycle 1, and the bicycle is parked by the driving unit 32. A carrier 30 which is rotated left and right so that the fixed rail 31 to which the bicycle 1 is fixed and the empty storage rail 22 are connected via the opening 21 to the floor to be formed; 상기 캐리어(30)에 설치되어 투입부(11)에 위치된 자전거(1)의 타이어(T)를 잡아 상기 고정레일(31)로 이동시키거나 반송시키며, 상기 고정레일(31)과 수납레일(22)의 높이가 일치하면, 고정레일(31)에 고정된 자전거(1)를 상기 수납레일(22)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수납레일(22)에 주차된 자전거(1)를 고정레일(31)로 이동시키는 이송장치(4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주차타워.The tire 30 of the bicycle 1 located in the input unit 11 is installed on the carrier 30 to catch or move the fixed rail 31 to the fixed rail 31, and the fixed rail 31 and the receiving rail ( When the heights of the 22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bicycle 1 fixed to the fixed rail 31 is transferred to the storage rail 22 or the bicycle 1 parked on the storage rail 22 is fixed rail 31. Transfer device 40 for moving to; a parking tower for bicycles comprising th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수납부(20)는 다수개의 층을 이루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주차타워.The storage unit 20 is a parking tower for bicycle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수납레일(22)과 고정레일(31)은 상부가 자전거의 타이어(1)가 진입되도록 개방되고 내주면은 만곡형성되며, 하부에는 타이어(T)가 끼워져 가이드되도록 가이드 홈(221, 311)이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주차타워.The accommodating rail 22 and the fixed rail 31 are open at the upper part to allow the tire 1 of the bicycle to enter,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curved, and guide grooves 221 and 311 are formed at the lower part to guide the tire T. Bicycle parking t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ression.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수납레일(22)에 주차된 자전거(1)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icycle (1) parked in the storage rail (22); And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투입부(11)로 진입된 자전거(1)가 비어있는 수납레일(22)로 이송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주차타워.The central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to control the bicycle (1) entered into the input unit 11 to be transferred to the empty storage rail 22; Bicycle park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ow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40)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fer device 40, 상기 고정레일(3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롤러(401);와A guide roller 401 mov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rail 31; and 상기 가이드롤러(401)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고정레일(3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면에는 가이드레일(402)이 형성되는 가이드판넬(403);과A guide panel 403 positioned above the fixed rail 31 in a state connected to the guide roller 401 and having a guide rail 402 formed thereon; and 상기 가이드판넬(403)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레일(402)과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의 움직임이 허용되는 가이드브라켓(404);과A guide bracket 404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panel 403 and connected to the guide rail 402 to allow movem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상기 가이드브라켓(404)의 상부에 설치되되, 승강수단(M1)을 매개로 상하작동되는 상하작동브라켓(405);과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bracket 404, the vertical operation bracket 405 which is operated up and down via the lifting means (M1); and 상기 상하작동브라켓(405)의 상면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한 쌍의 외부브라켓(406);과A pair of external brackets 406 installed in spaced apart state on the upper and lower operation brackets 405; and 상기 외부브라켓(406)에 형성되는 가이드 홀(407);과A guide hole 407 formed in the outer bracket 406; and 상기 한 쌍의 외부브라켓(406) 사이에 형성되되, 회전 가이드봉(408)을 매개로 상기 가이드 홀(407)에 연결되며, 정면이 타이어(T)의 곡면과 상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가이드판넬(403)의 타이어(T) 접근시 타이어(T)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센터블럭(409):과, 이 센터블럭(409)을 관통하며,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형성되는 나사부재(410):와, 이 나사부재(410)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나사부재(410)의 회전에 따라 상호 접근 또는 이격되는 한 쌍의 내부브라켓(411):과, 상기 나사부재(410)의 일측에 기어(G)를 매개로 설치되는 구동모터(M2):와, 상기 내부브라켓(411)의 내측에 설치되어 타이어(T)의 측면과 접촉되는 사이드블럭(412):으로 구성되는 그립(414);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주차타워.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outer brackets 406, is connected to the guide hole 407 via a rotation guide rod 408, the front is mad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tire (T) guide A center block 409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ire T when the tire T approaches the panel 403; and a screw member 410 penetrating the center block 409 and having a left and a right screw formed therein. And: a pair of inner brackets 411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crew member 410 and approaching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crew member 410: and on one side of the screw member 410. Grip 414 consisting of a drive motor (M2) is installed via the gear (G): and a side block (412) installed in the inner bracket (411) and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tire (T). Bicycle parking tower comprising a.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내부브라켓(411)과 사이드블럭(412)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부재(413);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주차타워.Parking member for a bicy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pring member (413) installed between the inner bracket (411) and the side block (412).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가이드판넬(403)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402)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브라켓(404)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기설정된 곳까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리미트센서(415);와It is installed on the guide panel 403, the limit sensor 415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guide bracket 404 moved along the guide rail 402 to move to a predetermined place; and 상기 사이드블럭(412)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블럭(412)의 타이어(T) 가압시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박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주차타워.Bicycle pressing tower installed on the side block 412, the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pressure of the tire (T) of the side block (412).
KR1020090121269A 2009-12-08 2009-12-08 Bicycle parking tower KR1011310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269A KR101131017B1 (en) 2009-12-08 2009-12-08 Bicycle parking t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269A KR101131017B1 (en) 2009-12-08 2009-12-08 Bicycle parking tow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593A true KR20110064593A (en) 2011-06-15
KR101131017B1 KR101131017B1 (en) 2012-03-29

Family

ID=4439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269A KR101131017B1 (en) 2009-12-08 2009-12-08 Bicycle parking t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01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9418A (en) * 2017-10-30 2018-05-04 中建钢构有限公司 A kind of new bicycle storehouse
CN108005428A (en) * 2017-10-30 2018-05-08 中建钢构有限公司 Circular vertical lift type indoor bicycle parking area hoistable platform
CN108868273A (en) * 2018-08-21 2018-11-23 浙江工业大学 A kind of flexible carrier of electromobile park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7680A (en) * 1976-11-04 1978-05-25 Kawasaki Heavy Ind Ltd Three-dimensional parking system for bicycles
JP3255607B2 (en) * 1998-05-11 2002-02-12 エヌケ−ケ−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Three-dimensional bicycle parking equipment
JP3363855B2 (en) * 1999-10-23 2003-01-08 有限会社慧和工業 Bicycle park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9418A (en) * 2017-10-30 2018-05-04 中建钢构有限公司 A kind of new bicycle storehouse
CN108005428A (en) * 2017-10-30 2018-05-08 中建钢构有限公司 Circular vertical lift type indoor bicycle parking area hoistable platform
CN108868273A (en) * 2018-08-21 2018-11-23 浙江工业大学 A kind of flexible carrier of electromobile park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1017B1 (en) 201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0246A (en) Bicycle parking tower
CN103429833B (en) The automotive vehicle parking/storage system of automatization
KR101131018B1 (en) Bicycle parking tower
CN105781166B (en)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underground bicycle garage
KR101699609B1 (en) Parking device of bicycle
CN208563370U (en) Underground parking
CN107587761A (en) Rotation and lifting stopping at fixed time garage
KR100978883B1 (en) A parking tower device for bicycle
JP2009509067A (en) Rotary parking device with turntable
KR101131017B1 (en) Bicycle parking tower
KR101047206B1 (en) Parking system of parking tower
KR20130035303A (en) Bicycle parking method and the system
KR20130021754A (en) A bicycle parking apparatus
KR100798117B1 (en) A lock device for rail type platform screen door
KR20110042532A (en) Parking system for bicycle
CN105517938B (en) Passenger and vehicle lift system
CN206143679U (en) Intelligent parking stall lock system
JP2008063791A (en) Mechanical bicycle parking facility
KR101065884B1 (en) Parking system for bicycle
EP3081465B1 (en) Ground lock apparatus
KR20110135214A (en) Spiral bicycle parking system
CN208056747U (en) Rotation and lifting stopping at fixed time garage
CN210239286U (en) Wisdom parking stall guard robot
KR100873175B1 (en) Parking apparatus
NL1011380C2 (en) Parking facility for bicy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