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4157A -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4157A
KR20110064157A KR20090120643A KR20090120643A KR20110064157A KR 20110064157 A KR20110064157 A KR 20110064157A KR 20090120643 A KR20090120643 A KR 20090120643A KR 20090120643 A KR20090120643 A KR 20090120643A KR 20110064157 A KR20110064157 A KR 20110064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inking water
bubble
outlet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20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원
배상한
정성욱
Original Assignee
경원훼라이트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원훼라이트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원훼라이트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120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4157A/ko
Publication of KR20110064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에 잔류된 염소와 같은 불순물의 제거가 용이하고, 물속 용존산소량을 고농도로 높여 신체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세정효과나 멸균효과가 뛰어난 음용수를 생성하고, 초기 구동시에는 동작이 불안정하여 큰 거품이 발생된 버블수를 자동적으로 차단하여 버블수의 일정량을 버린 후, 그 이후에 공급된 버블수를 음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으며, 임펠러가 내장된 챔버에 물의 공급이 단차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모터가 항상 안정된 상태로 구동하도록 하고, 장치의 가격 및 유지비가 현저히 감소하게 되는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이 보관되는 저장조; 외부공기와 상기 저장조로 부터 물을 공급받아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켜 음용수를 생성하는 버블 발생부; 상기 버블 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버블 발생부에서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를 공급받아 배출하는 출수부;를 포함한다.
마이크로, 버블, 음용수

Description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producing device for potable water treated with micro bubble}
본 발명은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속 용존산소량을 고농도로 높여 신체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세정효과나 멸균효과가 뛰어난 음용수를 생성하고, 초기 구동시에는 동작이 불안정하여 큰 거품이 발생된 버블수를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버블(micro bubble)이란 직경이 수십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매우 미세한 초미세기포를 말한다. 이와 같은 미세한 공기 방울 입자인 버블은 음용수를 비롯하여 반도체 웨이퍼의 세척 공정, 정화시설, 세탁기, 욕실 등에서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방법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버블을 발생시키는 방법이 있다. 또 다른 대표적인 방법은 물과 공기를 비교적 높은 압력으로 오리피스 등과 같은 감압부에 통과시켜, 물속에 용존된 공기가 상기 감압부에 의해 무수히 작은 입자로 쪼개져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마이크로 버 블을 발생시키는 방법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방식으로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된 물은 염소 등의 불순물의 제거가 약물에 의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용이하고, 인체에 유익하도록 개선도리 뿐 아니라, 물속 용존산소량을 고농도로 높일 수 있으며, 세정효과나 멸균 효과 등을 얻은 수 있어 생활용수뿐 아니라, 음용수로서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근래 들어 물에 대한 관심은 건강에 대한 관심과 동일하게 급증하고 있고, 각종 몸에 좋고 건강을 증진 또는 보호할 수 있는 기능성 물에 대한 관심과 함께, 각 가정마다 정수기 등을 설치하여 건강에 좋고 안심하게 믿고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정수기는 용존 산소량이 8ppm 정도로 낮은 단순 정화된 정수만을 공급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산소, 탄산, 이온 등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산소를 단순히 물에 분사하여 용존시키려 시도하였지만 거의 모든 산소가 다시 공기층으로 튀어나와 버리므로 용존 산소량을 극대화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일본 공개특허공보 JP 2008-264771호에서는 펌프가 설치되어 물을 유입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물을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서 배출된 가압수에 기체의 혼합 비율을 높이도록 하는 기체 용해부, 상기 기체 용해부에서 배출된 기체 용해수를 마이크로 버블수로 방출하는 마이크로 버블수 방 출부를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로 구비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갖고,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하여 마이크로 버블수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마이크로 버블수 및 나노 버블수 제조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마이크로 버블 제조장치는 초기 구동시에는 동작이 불안정하여 제공된 버블수에 큰 거품이 생기게 되고, 상기와 같이 큰 거품이 발생된 버블수는 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버블수의 마이크로 버블 효과를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어, 초기에 제공된 버블수의 일정량을 버린 후,그 이후에 공급된 버블수를 음용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마이크로 버블수 방출부의 경우 임펠러가 내장된 챔버의 내부에 물이 차있는 상태로 회전되어야 모터의 구동이 안정적이기 때문에, 챔버 내의 물을 채우기 위한 펌프 등의 장비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했고, 이에 따라 장치의 부피와 중량이 증가하게 되고, 가격이 상승함과 동시에 장치의 유지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창출된 것으로, 물에 잔류된 염소와 같은 불순물의 제거가 용이하고, 물속 용존산소량을 고농도로 높여 신체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세정효과나 멸균효과가 뛰어난 음용수를 생성하는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초기 구동시에는 동작이 불안정하여 큰 거품이 발생된 버블수를 자동적으로 차단하여 버블수의 일정량을 버린 후, 그 이후에 공급된 버블수를 음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임펠러가 내장된 챔버에 물의 공급이 단차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모터가 항상 안정된 상태로 구동하도록 하고, 장치의 가격 및 유지비가 현저히 감소하게 되는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이 보관되는 저장조와, 외부공기와 상기 저장조로 부터 물을 공급받아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켜 음용수를 생성하는 버블 발생부와, 상기 버블 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버블 발생부에서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를 공급받아 배출하는 출수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는 물에 잔류된 염소와 같은 불순물의 제거가 용이하고, 물속 용존산소량을 고농도로 높여 신체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세정효과나 멸균효과가 뛰어난 음용수를 생성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는 초기 구동시에는 동작이 불안정하여 큰 거품이 발생된 버블수를 자동적으로 차단하여 버블수의 일정량을 버린 후, 그 이후에 공급된 버블수를 음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는 임펠러가 내장된 챔버에 물의 공급이 단차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모터가 항상 안정된 상태로 구동하도록 하고, 장치의 가격 및 유지비가 현저히 감소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 수 제조장치(10)는 저장조(100)와, 버블 발생부(200)와, 제어부(300)와, 출수구(400)를 포함한다.
저장조(100)는 물을 보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저장조(100)의 형태는 원통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용기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장조(100)에 보관되는 물은 정수기 등으로 정수 과정을 거친 정제수를 비롯한 일반적인 모든 물을 의미하여, 상기 저장조(100)는 수도관과 연결되어 수돗물을 항시 공급받을 수 있고, 정수기의 내부에 설치될 경우에는 정수된 물을 보관하는 정수탱크가 저장조(100)로 대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외부의 물을 유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용기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저장조(100)를 개폐하는 커버를 별도로 마련할 수 있다.
버블 발생부(200)는 외부공기와 상기 저장조(100)로 부터 물을 공급받아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켜 음용수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버블 발생부(200)는 공지의 다양한 구조를 갖는 버블발생장치가 적용될 수 있고, 일반적인 버블발생기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저장조(100)에서 물을 공급받고,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물과 공기를 비교적 높은 압력으로 오리피스 등과 같은 감압부에 통과시켜, 물속에 용존된 공기가 상기 감압부에 의해 무수히 작은 입자로 쪼개져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물에 용존되지 않은 잉여공기를 배출하도록 별도의 잉여공기배출구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버블 발생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버블 발생부(200)의 온/오프 제어를 비롯하여, 버블발생부(200)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버튼과 연결될 수 있으며, 버블 발생부(200)의 구동 시간에 따라 공급되는 음용수의 양이 달라지게 되므로, 버튼을 통해서 제어부(300)에 원하는 음용수의 양을 입력하면 원하는 만큼의 음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출수부(400)는 상기 버블 발생부(200)에서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를 공급받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출수부(400)는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버블 발생부(200)에서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으며, 버블 발생부(200) 보다 출수부(400)가 하측에 구비될 경우에는 펌프를 구비하지 않아도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물의 성질에 의해 자연적으로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가 출수부(40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초기차단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초기차단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초기 차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출수부(400)는 상기 버블 발생부(200)의 초기 구동시 음용수가 상기 출수부(400)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초기차단부(4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버블 발생부(200)는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하는 과정에서, 초기 일정시간 동안 버블 발생부(200)동작이 불안정하여 큰 거품이 발생되고, 상기와 같이 큰 거품이 발생된 음용수는 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이후에 제공되는 음용수의 마이크로 버블 효과를 감소시키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초기에 일정 시간 동안 마이크로 처리된 음용수를 버리거나 환수하고, 그 이후에 공급된 마이크로 처리된 음용수를 공급받아서 마시거나 생활용수로 사용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초기차단부(410)는 이와 같은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며, 버블 발생부(200) 가동 시 초기에 일정시간 동안 공급된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를 출수부(400)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저장조(100)로 환수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일정시간 동안 출수부(400)로 음용수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이 완료된 후에는 출수구(400)로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가 빠져나가도록 작용하여 사용자가 음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초기차단부(410)는, 상기 출수부(400)의 출수구(412)를 개폐하여, 상기 버블 발생부(200)의 초기 구동시 일정시간 동안 공급되는 음용수를 상기 출수구(412)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이후에는 공급되는 음용수를 상기 출수구(412)로 배출시키는 전자제어밸브(413)와, 상기 버블 발생부(200)로부터 공급된 음용수를 배출하는 배출구(411)로 이루어진다.
배출구(411)는 버블 발생부(200)의 초기 구동시 일정시간 동안 공급되는 음용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411)의 상단에는 초기차단부(410) 내부에 음용수가 채워지는 과정에서 내부 공기가 배출되고, 음용수가 가득 찼을 경우 저장조(100) 또는 외부로 오버플로(over flow)가 이루어지도록 오버플로용 배출구(416)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출수구(412)는 출수부(400)와 연결되어 배출구(411)로 초기의 음용수를 배출시킨 이후에 공급되는 음용수를 외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자제어밸브(413)는 전기에너지의 작용으로 출수구(412)를 개폐하는 기능을 하며, 버블 발생부(200)의 초기 구동시 일정시간 동안 출수구(412)를 차단하여 음용부가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고, 그 이후에는 출수구(412)를 개방하여 음용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양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전자제어밸브(413)는 전자신호를 받아 회전 또는 직선 및 회전운동을 하면서, 출수구(412)를 개폐하는 다양한 전자제어밸브(413)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 valve)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초기차단부(410)는, 상기 출수부(400)의 출수구(415)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버블 발생부(200)의 초기 구동시 일정시간 동안 공급되는 음용수를 외부 또는 상기 저장조(100)로 배출시키고 이후에는 음용수를 상기 출수구(415)로 배출시키는 배출구(4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구(414)는 버블 발생부(200)의 초기 구동시 일정시간 동안 공급되는 음용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출구(411)의 상단에는 초기차단부(410) 내부에 음용수가 채워지는 과정에서 내부 공기가 배출되고, 음용수가 가득 찼을 경우 저장조(100) 또는 외부로 오버플로(over flow)가 이루어지도록 오버플로용 배출구(416)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출수구(415)는 출수부(400)와 연결되어 배출구(414)로 초기의 음용수를 배출시킨 이후에 공급되는 음용수를 외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414)와 출수구(415)는 단차가 발생하여 출수구(415)보다 하측에 위치한 배출 구(414)를 통해 초기에 공급된 음용수가 배출되며, 시간이 지날수록 음용수는 초기차단부(410)의 내부에 가득 채워져 배출구(414)보다 상측에 위치한 출수구(415)까지 차오르게 되면, 비로소 상기 출수구(415)를 통해 균일한 마이크로 버블을 갖는 안정적인 음용수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버블 발생부(200)에서 공급되는 음용수의 양이 배출구(414)로 배출되는 음용수의 양보다 많아야 하므로, 배출구(414)의 크기를 알맞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버블 발생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버블 발생부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버블 발생부(200)는, 상기 저장조(100)와 연결된 흡수구(211), 외부 흡기관(240)으로 연결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212), 음용수를 출수부(400)로 배출하는 토출구(213)가 형성된 챔버(210)와, 상기 챔버(210) 내에 배치되는 임펠러(220)와, 상기 임펠러(220)를 회전시키는 모터(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버블 발생부(200)는 공지의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진 버블 발생부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 물이 유입되는 흡수부와,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부와, 상기 흡수부 및 흡기부와 연결되어 물과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펌프부와, 상기 펌프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물에 용존되지 않은 잉여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잉여공기배출공이 형성된 용존부를 포함하는 순환부 및 상기 용존부와 연결되는 것으로, 물과 공기를 공급받아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챔버(210)는 상기 저장조(100)와 연결되어 저장조(100)의 물을 유입하는 흡수구(211)와, 외부로 노출된 흡기관(240)과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212)와, 임펠러(220)의 작용으로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를 출수부(400)로 배출하는 토출구(213)가 형성되고, 공기 및 물이 수용됨과 동시에 임펠러(220)가 회전할 수 있는 밀폐된 공간을 제공한다.
임펠러(220)는 모터(23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챔버(210) 내에서 회전하여 공기가 물에 용존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고, 모터(230)는 제어부(300)와 연결되어 임펠러(22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임펠러(220)는 챔버(210) 내에 물이 충진된 상태로 회전하도록 토크가 설정되었기 때문에, 챔버(210) 내에 물이 부족하여 가득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임펠러(220)가 회전하게 되면, 모터(230)가 공회전하는 것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여 모터(230)의 구동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챔버(210) 내에 물이 가득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모터(230)가 구동하지 못하도록 단속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버블 발생부(200)는 저장조(100)의 물과 외부 공기를 챔버(210)로 흡입하는 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별도의 흡입펌프를 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챔버(210)는 상기 저장조(100)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챔버(210)가 상기 저장조(100)보다 하측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저장조(100)의 물이 챔버(210)의 내부로 저절로 흘러들 수 있 기 때문에, 챔버(210)는 상시 물이 가득 채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저장조(100)에서 유입된 챔버(210) 내의 물의 저항력으로 상기 임펠러(220) 회전시 적절한 저항이 공급되어 모터(230)가 공회전하여 과열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다.
상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0)는 상기 모터(230)의 구동전류를 센싱하는 전류센서(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센싱된 구동전류로부터 챔버(210) 내에 물이 찼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모터(23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류센서(500)는 모터(230)의 구동전류를 측정하여, 제어부(300)로 구동전류 정보를 제공받아 모터(230)의 구동을 온/오프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챔버(210)가 저장조(100)보다 하측에 마련될 경우, 저장조(100)에 물이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챔버(210)에는 상시 물이 가득 채워지게 된다.
그러나, 순간적으로 챔버(210) 내에 물이 빠져나가고, 저장조(100)의 물이 유입되는 과정에서 챔버(210)에는 물이 가득 차 있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전류센서(500)를 통해 모터(230)의 구동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구동전류가 모터의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자동적으로 모터(230)의 구동이 차단되고, 챔버(210)에 물이 가득 채워지면 모터(230)가 구동되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장치(10)는 상기 버블 발생부(200)의 전원을 온/오프 조작하는 전원스 위치(610)와, 상기 버블 발생부(200)를 설정 시간 또는 연속 시간으로 구동하도록 조작하는 타이머스위치(6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스위치(610)는 버블발생부(200)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도록 구비되고, 타이머스위치(620)는 버블발생부(200)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여, 결과적으로는 출수부(400)를 통해 배출되는 음용수의 양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한잔의 음용수를 공급받기 위해 한잔이 배출되도록 타이머스위치(620)를 조작하면 되고, 연속하여 음용수를 공급받기 위해서는 연속하여 음용수가 배출하도록 타이머스위치(620)를 조작하면 된다.
또한, 본 장치(10)는 상기 저장조(100) 및 버블 발생부(200), 제어부(300), 출수부(400)를 일체로 내장하는 케이스(7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700)는 상기 케이스(700)를 분리하고 저장조(100) 및 버블 발생부(200), 제어부(300), 출수부(400)를 점검할 수 있도록 저장조(100) 및 버블 발생부(200), 제어부(300), 출수부(400)에서 분리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케이스(700)의 구성으로, 이부 위험 요소로 부터 저장조(100) 및 버블 발생부(200), 제어부(300), 출수부(400)를 보호함과 동시에, 가정 또는 오피스에 설치하고, 휴대할 경우에 외관상 아름답도록 각종 무늬가 표출된 금속 및 아크릴소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700)에는 상기 전원스위치(610)를 비롯하여, 타이머스위치(620)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전원스위치(610), 타이머스위치(620)를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 및 타이머의 설정 값과 진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LED 또는 LCD로 이루어진 확인창을 별도로 마련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10)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장치(10)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를 공급받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케이스(700)에 마련된 전원스위치(610)를 켜고, 타이머스위치(620)를 이용하여 공급받을 음용수의 양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한잔을 공급받고자 하면, 그 양에 맞춰 타이머스위치(620)를 설정하고, 연속하여 음용수를 공급받고자 할 경우에는 연속적으로 음용수가 생성하도록 타이머스위치(620)를 조작하며, 상기 타이머스위치(620)는 한잔/연속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원스위치(610) 및 타이머스위치(620)를 이용하여 원하는 음용수의 양을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300)에서 버블발생부(200)의 구동을 지시하게 되는데, 이때, 전류센서(500)가 모터(230)의 구동 전류를 측정하여 챔버(210) 내에 물이 가득 찼는지 여부를 센싱하고, 만약 챔버(210) 내에 물이 가득 차지않아 모터(230)의 구동이 안정적이지 못하다면, 챔버(210)에 물이 가득 찰 때까지 모터(230)의 구동을 대기하도록 지시한다.
상기 챔버(210)는 저장조(100)보다 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저장조(100)의 물을 언제든지 유입될 수 있어, 펌프와 같은 별도의 장비 없이 자연적으로 물이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전류센서(500)를 통해 상기 챔버(210) 내에 물이 가득 차져있어 모 터(230)의 구동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모터(230)가 구동하게 되는데, 상기 모터(230)의 구동으로 임펠러(220)가 동시에 회전한다. 이때, 외부에 노출된 흡기관(240)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기하고, 저장조(100)에서 유입된 물과 공기를 고속으로 회전하여 공기를 물에 용존시키고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마이크로 버블이 형성된 음용수는 출수부(400)로 배출되는데, 상기 출수부(400)에는 사용자에게 음용수를 공급하기 전에 초기에 생성된 음용수를 차단하는 초기차단부(410)가 구비된다.
상기 초기차단부(410)는 전자제어밸브(413)를 이용한 방식과 단차를 이용한 방식이 있는데, 전자제어밸브(413)를 이용할 경우, 출수구(412)를 개폐하여, 초기에 생성된 음용수를 배출구(411)를 통해 저장조(100) 또는 외부로 배출하고, 일정시간 이후에는 출수구(412)를 개방하여 이후에 생성되는 음용수를 출수구(412)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단차에 의한 방식은 배출구(414)와 출수구(415)에 단차를 두어, 출수구(415)보다 하측에 위치한 배출구(414)를 통해 초기에 생성된 음용수를 배출하고, 그 이후에 생성된 음용수는 초기차단부(410)에 채워지면서 배출구(414)보다 상측에 위치한 출수구(412)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출구(411, 414)보다 상부에 위치한 오버플로용 배출구(416)를 통해 초기차단부(410) 내부의 공기가 유출되어 버블발생부(200)에서 공급된 음용수가 초기차단부(410) 내부로 안정적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오버플로용 배출구(416)는 버블발생부(200)에서 공급된 음용수의 양이 출수구(412, 415)와 배출구(411, 414)를 통해 배출되는 음용수의 양보다 많을 경우, 초기차단부(410)의 내부에 음용수가 가득 차 있더라도 버블발생부(200)에서 음용수가 계속해서 공급되더라도, 오버플로용 배출구(416)를 통해 오버플로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은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초기차단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초기차단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초기 차단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버블 발생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버블 발생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 100 : 저장조
200 : 버블 발생부 210 : 챔버
220 : 임펠러 230 : 모터
300 : 제어부 400 : 출수부
410 : 초기차단부 411, 414 : 배출구
412, 415 : 출수구 413 : 전자제어밸브
500 : 전류센서

Claims (8)

  1. 물이 보관되는 저장조;
    외부공기와 상기 저장조로 부터 물을 공급받아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켜 음용수를 생성하는 버블 발생부;
    상기 버블 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버블 발생부에서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를 공급받아 배출하는 출수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는 상기 버블 발생부의 초기 구동시 음용수가 상기 출수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초기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차단부는,
    상기 출수부의 출수구를 개폐하여, 상기 버블 발생부의 초기 구동시 일정시간 동안 공급되는 음용수를 상기 출수구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일정시간 이후에는 공급되는 음용수를 상기 출수구로 배출하는 전자제어밸브;
    상기 버블 발생부로부터 공급된 음용수를 외부 또는 상기 저장조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차단부는,
    상기 출수부의 출수구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버블 발생부의 초기 구동시 일정시간 동안 공급되는 음용수를 외부 또는 상기 저장조로 배출시키고 이후에는 음용수를 상기 출수구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
  5. 제 2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 발생부는,
    상기 저장조와 연결된 흡수구, 외부 흡기관으로 연결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 음용수를 출수부로 배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챔버;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저장조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모터의 구동전류를 센싱하는 전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구동전류로부터 챔버 내에 물이 찼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버블 발생부의 전원을 온/오프 조작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버블 발생부를 설정 시간 또는 연속 시간으로 구동하도록 조작하는 타이머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
KR20090120643A 2009-12-07 2009-12-07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 KR20110064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0643A KR20110064157A (ko) 2009-12-07 2009-12-07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0643A KR20110064157A (ko) 2009-12-07 2009-12-07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157A true KR20110064157A (ko) 2011-06-15

Family

ID=44397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20643A KR20110064157A (ko) 2009-12-07 2009-12-07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41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476B1 (ko) 수세 화장실 설비
KR100913529B1 (ko) 미세기포 발생 펌프
KR101192809B1 (ko) 극미세 버블수 발생장치
JP2005521017A (ja) 水冷却器の水リザーバを消毒する方法及び装置
US20020027109A1 (en) Pressure swing contactor for the treatment of a liquid with a gas
KR100748580B1 (ko) 미세기포 발생장치
KR200396007Y1 (ko) 욕조용 기포발생장치
EP2650045B1 (en) Liquid treatment apparatus
JP4879365B1 (ja) マイクロバブル化装置
JP5242193B2 (ja) 水素還元水の製造方法
JP4360501B1 (ja) オゾン水生成装置及びオゾン水生成方法
JP2018038944A (ja) オゾン水シャワー装置
JP2005006668A (ja) 炭酸泉生成方法及び装置
WO2013191072A1 (ja) オゾン含有液生成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洗浄装置
JP2007289492A (ja) 炭酸泉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20110064157A (ko) 마이크로 버블 처리된 음용수 제조장치
JP2010221181A (ja) オゾン水生成装置
JP2004337846A (ja) 炭酸水生成方法及び装置
JP2004237268A (ja) 酸素水生成装置
JP4965509B2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
KR20210002289U (ko) 나노버블발생장치
CN202762375U (zh) 智能漱口水机
JP2006326489A (ja) 殺菌水生成装置及び方法,殺菌消臭装置及び方法並びに殺菌水
KR101640003B1 (ko) 고농도 오존수 제조장치
KR20070030153A (ko) 제습기를 구비한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