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939A - 수직 콘크리트 부재 시공시의 연직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관절형 삼각대 타입 측정기 - Google Patents

수직 콘크리트 부재 시공시의 연직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관절형 삼각대 타입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939A
KR20110063939A KR1020090120312A KR20090120312A KR20110063939A KR 20110063939 A KR20110063939 A KR 20110063939A KR 1020090120312 A KR1020090120312 A KR 1020090120312A KR 20090120312 A KR20090120312 A KR 20090120312A KR 20110063939 A KR20110063939 A KR 20110063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vertical state
inclinometer
support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원종
김영진
강재윤
최은석
김병석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0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3939A/ko
Publication of KR20110063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9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5/24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perpendicularit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04G13/023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with means for modifying the sectional dim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7/30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perpendicula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용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사장교, 현수교 등과 같은 교량의 콘크리트 주탑(케이블 지지용 주탑) 등의 수직 콘크리트 부재가 설계된 연직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이동식 거푸집의 연직상태를 측정하여 관리하기 위한 연직상태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삼각뿔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세워지는 3개의 지지용 다리(11)와, 설치지점에서의 수평위치 좌표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GPS 단말기(12)와, 상기 GPS 단말기(12)와 연직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연직 방향으로부터의 경사도를 경사계(14)와; 각각 지지용 다리(11)로부터 상기 경사계(14)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경사계(14)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수평지지대(1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용 다리(11)의 하단부에는 고정발 부재(15)가 연결되는데, 상기 고정발 부재(15)는, 위에서부터 차례로 회전축부재(151)와, 회전부재(152)와, 지지발부재(153)로 구성되어 있어, 고정발 부재(15)는 다관절로 절곡되며; 이동식 거푸집(2)에 설치되어 상기 GPS 단말기(12)로부터의 수평 위치 좌표 데이터와 경사계(14)로부터의 경사도 데이터에 의해 이동식 거푸집(2)에 의해 시공되는 구조물의 연직상태를 측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콘크리트 부재의 연직상태 측정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직 콘크리트 부재 시공시의 연직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관절형 삼각대 타입 측정기{Triangle Apparatus for Measuring Horizontal Movement of Concrete Column}
본 발명은 수직 콘크리트 부재 시공시의 연직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관절형 삼각대 타입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기둥이나 콘크리트 굴뚝을 시공하는 경우, 또는 콘크리트 타설용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사장교, 현수교 등과 같은 교량의 콘크리트 주탑(케이블 지지용 주탑)을 시공하는 경우, 기둥이나 굴뚝, 또는 콘크리트 교량 주탑이 설계된 연직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이동식 거푸집의 수평위치와 경사도를 측정함으로써 시공되는 콘크리트 부재의 연직상태를 측정하되, 삼각대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자유롭게 구부러지는 관절구조를 구비하여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한 관절형 삼각대 타입의 연직상태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기둥이나 콘크리트 굴뚝, 또는 사장교, 현수교 등의 교량에서 케이 블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주탑과 같은 수직 콘크리트 부재를 시공함에 있어서, 시공 과정에서의 수직 콘크리트 부재의 연직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하도록 관리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매우 중요하다. 특히, 사장교나 현수교와 같은 케이블지지 장대교량의 주탑은 그 높이가 매우 높기 때문에, 시공 중에 주탑이 정확한 연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수직 콘크리트 부재의 일예인 장대교량의 주탑을 위주로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수직 콘크리트 부재의 연직상태를 측정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측량용 타겟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변위를 측정하는 레이저 변위계, 토탈스테이션 등과 같은 측량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레이저를 이용한 측량기는 온도의 영향에 의한 왜곡이 생길 수 있다는 한계가 있고, 날씨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측정 오차에 큰 차이를 보이게 된다. 특히, 해상에서 시공되는 장대교량의 주탑의 경우, 안개 등과 같은 기후조건에 따라 기존의 측량기로는 주탑의 연직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기가 매우 어렵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주탑의 연직상태의 관리가 매우 어렵게 되며 결과적으로 시공을 위한 공사 기간이 늘어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교량의 콘크리트 주탑을 시공할 때에는 주로 이동식 거푸집 시스템(Auto Climbing System) 또는 슬립폼 시스템(Slip Form System)을 이용한다. 즉,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주탑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1은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실제 교량 주탑을 시공하는 상태(좌측)와 주탑의 시공 단부에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과 작업 발판의 형상(우측)을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이동식 거푸집에 의해 주탑이 형성되는 것이므로, 주탑의 연직상태는 결국 이동식 거푸집이 비틀리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서 수직하게 상향 이동하는 것에 의해 좌우되며, 따라서 이동식 거푸집이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 상향 이동하고 있는지를 측정하여 모니터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즉, 이동식 거푸집의 수평방향 위치가 정해진 범위 내에 있어야 하며 연직 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진 정도(경사도) 역시 정해진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동식 거푸집의 연직상태 측정 및 관리를 위한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연직상태 측정기는 이동식 거푸집 상부에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이동식 거푸집 상부는 공간이 협소하고 작업자의 이동이 빈번할 뿐만 아니라, 바람에 의한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연직상태 측정기는 견고하게 그리고 작업자의 작업 행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설치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고 업계의 필요를 충족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교량의 콘크리트 주탑이나 기둥, 또는 굴뚝 등과 같은 수직 콘크리트 부재를 시공함에 있어서, 수직 콘크리트 부재의 연직상태를 설계된 범위내로 관리하기 위하여 이동식 거푸집의 수 평방향 위치와 경사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연직상태 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온도의 영향에 의한 왜곡이나, 날씨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른 오차의 발생 없이 정확하게 이동식 거푸집의 수평방향 위치와 경사도를 측정하여, 이동식 거푸집의 수평방향의 위치와 경사도를 관리하며, 그에 따라 주탑 등의 수직 콘크리트 부재의 연직상태를 측정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연직상태 측정기를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자세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쉽게 설치할 수 있고 바람에 의한 영향 등을 받지 않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며, 연직상태 측정기의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식 거푸집이 상승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하게 되는 구조물의 연직상태를 측정하는 연직상태 측정기로서, 일단이 꼭지점에서 모아지고 타단은 넓게 벌어진 삼각뿔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세워지는 3개의 지지용 다리와, 상기 지지용 다리가 모아지는 꼭지점부에 설치되어 설치지점에서의 수평위치 좌표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GPS 단말기와, 상기 GPS 단말기와 연직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연직 방향으로부터의 경사도를 경사계와; 각각 지지용 다리로부터 상기 경사계 방향으로 연장되어 GPS 단말기와 연직되는 위치에서 단부가 상기 경사계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수평지지대를 포함 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용 다리의 하단부에는 고정발 부재가 연결되는데, 상기 고정발 부재는, 위에서부터 차례로 회전축부재와, 회전부재와, 지지발부재로 구성되어 있어, 고정발 부재는 다관절로 절곡되며; 이동식 거푸집에 설치되어 상기 GPS 단말기로부터의 수평 위치 좌표 데이터와 경사계로부터의 경사도 데이터에 의해 이동식 거푸집에 의해 시공되는 구조물의 연직상태를 측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콘크리트 부재의 연직상태 측정기가 제공된다.
서로 연직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GPS 단말기와 경사계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직상태 측정기를 이용하면, 이동식 거푸집의 수평위치에 대한 변화와 연직 방향에 대한 경사도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이동식 거푸집에 의해 시공되는 주탑의 연직상태를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그리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측정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주탑의 연직상태를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직상태 측정기는 이동식 거푸집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구조물의 시공 환경, 특히 바람이나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고 연직상태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직상태 측정기(1)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지용 다리(11)를 넓게 펼쳐 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연직상태 측정기(1)의 지지용 다리(11)를 오므려 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2d는 연직상태 측정기(1)에서 GPS 단말기(12)가 위치하는 단말기 설치판(1200)이 구비된 꼭지점부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2e는 경사계(14)를 설치하기 위한 경사계 설치판(1400)만을 분리하여 그 저면을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며, 도 2f는 경사계 설치판(1400)을 분리한 상태의 연직상태 측정기(1)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2g는 경사계 설치판(1400)만을 분리하여 그 상면을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며, 도 2h 및 도 2i는 각각 연직상태 측정기(1)의 지지용 다리(11)를 오므려 놓은 상태의 상부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2h에서는 지지용 다리(11)가 신장되어 있는 상태를 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연직상태 측정기(1)는, 일단이 꼭지점에서 모아지고 타단은 넓게 벌어진 삼각뿔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세워지는 3개의 지지용 다리(11)와, 상기 지지용 다리(11)가 모아지는 꼭지점부에 설치되어 설치지점에서의 수평위치 좌표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GPS 단말기(12)와, 상기 GPS 단말기(12)와 연직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연직 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진 정도(경사도)를 측정하는 경사계(14)와, 각각 지지용 다리(11)로부터 상기 경사계(14) 방향으로 연장되어 GPS 단말기(12)와 연직되는 위치에서 단부가 상기 경사계(14)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수평지지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GPS 단말기(12)는 꼭지점부에 구비된 단말기 설치판(1200)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 대용 사진에서는 GPS 단말기(12)를 대신하여, GPS 단말기(12)를 올려놓기 위한 단말기 설치판(1200)만이 보이고, GPS 단말기(12)는 사진에서 생략되어 있다. 그러나 단말기 설치판(1200) 위에 GPS 단말기(12)가 놓일 수 있는 것이며, 사진에서 GPS 단말기(12)가 생략되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도면을 참조할 때, 편의상 단말기 설치판(1200)을 GPS 단말기(12)로 대신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면 대용 사진에서 경사계(14)를 대신하여, 경사계를 올려놓기 위한 경사계 설치판(1400)만이 보이고, 경사계(14)는 사진에서 생략되어 있으나, 역시 경사계 설치판(1400) 위에 경사계(14)가 놓일 수 있는 것이며, 단지 사진에서만 경사계(14)가 생략되었을 뿐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도면을 참조할 때, 편의상 경사계 설치판(1400)을 경사계(14)로 대신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3개의 지지용 다리(11)는 일단이 꼭지점에서 모아지고 타단은 넓게 벌어진 삼각뿔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세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용 다리(11)의 하부 단부에는 고정발 부재(15)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발 부재(15)는 다관절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도 3e 및 도 3f는 각각 다관절 구조를 가지는 고정발 부재(15)의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인데, 도 3a는 고정발 부재(15)가 직선으로 뻗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며, 도 3b는 고정발 부재(15)가 다중 굴절된 상태를 보여주며, 도 3c는 고정발 부재(15)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보여준 다. 도 3d, 도 3e 및 도 3f는 각각 각도를 달리하여 고정발 부재(15)를 보여준다.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발 부재(15)는 위에서부터 차례로 회전축부재(151)와, 회전부재(152)와, 지지발부재(153)로 구성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지지발부재(153)의 하면에 접합부재(154)가 더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부재(151)의 상단은 상기 지지용 다리(11)의 하부 단부와 연결되는데, 회전축부재(151)와 지지용 다리(11)에 존재하는 제1연결부(171)는 접철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연결부(171)에서 지지용 다리(11)의 폭 방향으로는 접철축이 구비되고, 회전축부재(151)의 단부가 접철축에 끼워져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연결부(171)가 접철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회전축부재(151)는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축부재(151)가 180도 회전하여 지지용 다리(11)의 내면 또는 외면에서 지지용 다리(11) 나란하게 위치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부재(151)와 회전부재(152)의 사이에는 제2연결부(172)가 존재하는데, 제2연결부(172)는 캠 구조로 이루어져 회전에 의해 다방면으로 접철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a는 제2연결부(172)의 상세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인데,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제2연결부(172)에서 회전축부재(151)의 하부 단부에는 원형 캠(150)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부재(152)의 상단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원형 캠(150)이 오목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오목부에 원형 캠(150)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회전부재(152)가 회전축부재(151)를 중심으로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든 자유롭게 전할 수 있게 된다. 부재번호 1520은 오목부에 삽입된 원형 캠(150)의 조임 상태를 조여주기 위한 조임손잡이(1520)이다. 조임손잡 이(1520)의 회전시킴으로써 원형 캠(150)이 오목부에서 꽉조여져서 움직이지 못하게 할 수도 있고, 풀어진 상태가 되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위의 구성과 반대로 회전축부재(151)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회전부재(152)에 원형 캠이 구비될 수도 있다.
회전부재(152)의 단부에는 지지발부재(153)가 연결되고, 양 부재 사이에는 제3연결부(173)가 존재한다. 도 4b는 제3연결부(173)와 후술하는 접합부재(154)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3연결부(173)에서 상기 지지발부재(153)는 회전부재(152)에 대해 1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면, 회전부재(152)의 하단부에 지지용 다리(11)의 횡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되고, 지지발부재(153)의 상단부에도 횡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두 개의 구멍이 일치한 상태에서 힌지축이 삽입되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3연결부(173)의 구성에서 지지발부재(153)는 지지용 다리(11)의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즉 지지발부재(153)가 접혀졌을 때 지지용 다리(11)의 외면 또는 내면과 지지발부재(153)가 나란한 위치에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지지발부재(153)가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부재번호 1530은 지지발부재(153)의 회전 상태를 조절하여 회전 가능 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고정 상태가 되도록 하는 회전조임구(1530)이다.
상기 지지발부재(153)의 하면에는 접합부재(154)가 더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접합부재(154)는 자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성을 가지는 접합부재(154)가 구비되면 철재로 만들어진 이동식 거푸집 장치에 용이 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부재번호 1540은 접합부재(154)의 자성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부재(1540)인데, 이와 같이 필요에 따라 접합부재(154)가 자성을 가지거나 또는 자성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게 장치를 착탈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지지발부재(153)의 길이보다 접합부재(154)의 길이가 더 짧은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두 부재의 길이는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자성에 의한 부착 이외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발부재(153)에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지지발부재(153)가 이동식 거푸집 등의 설치 위치 위에 직접 놓이도록 한 후에, 관통공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관통 삽입하여 견고하게 체결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구조물의 시공환경에 의한 영향 즉, 바람이나 진동이 작용하더라도 연직상태 측정기(1)가 이동식 거푸집(2)에 견고하게 설치되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지지용 다리(11)의 신축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용 다리(11)는 그 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지지용 다리(11)는 상부 다리(110)와 하부 다리(120)로 구분되고, 상부 다리(110)의 중앙에 홈(111)을 형성하고, 하부 다리(120)가 상기 홈(111)에 끼워져서 상기 홈(111) 내에서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 지지용 다리(11)가 신축할 수 있다. 부재번호 121는 상기 지지용 다리(11)를 감싸고 있으면서 감음 정도를 조절하여 상 부 다리(110)와 하부 다리(120)를 서로 결합시켜 주는 지지다리 결합조임구(121)이다. 부재번호 122는 결합조입구(121)의 조임 손잡이(122)이다. 이와 같이 조임 손잡이(122)를 조절함으로써, 하부 다리(110)가 신장된 상태 또는 수축된 상태에서 상부 다리(110)와 하부 다리(120)를 꽉 조여서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직상태 측정기(1)는 지지용 다리(11) 하단에 다관절 구조를 가지는 고정발 부재(15)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각도와 자세로 고정발 부재(15)를 구부려서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이동식 거푸집(2)의 다양한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쉽게 설치할 수 있고 바람에 의한 영향 등을 받지 않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며, 연직상태 측정기의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구부려서 접철함으로써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측정기의 이동성이 좋아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직상태 측정기(1)에서는 각각 지지용 다리(11)로부터 수평지지대(13)가 상기 경사계(14)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연장된 단부에 상기 경사계(14)가 연결되어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수평지지대(13)의 존재에 의해 3개의 지지용 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위에서 누르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전체적인 연직상태 측정기(1)의 삼각뿔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연직상태 측정기(1)에서 3개의 지지용 다리(11)의 상단부가 모아져 꼭지점이 되는 위치에 GPS 단말기(12)가 설치된다. GPS 단말기(12)는 평면상의 위치정보 즉, 위치 좌표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그 자체는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GPS 단말기(12)는 단말기 설치판(1200) 위에 놓일 수 있는데, 이 경우 단말기 설치판(1200)에 상기 지지용 다리(11)는 꺽임이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된다. 즉, 지지용 다리(11)가 모일 수 있도록 꺽여야 하며, 이렇게 꺽어지는 구성에 의하여 지지용 다리(11)의 상단이 단말기 설치판(1200)에 결합된다.
한편, GPS 단말기(12)의 위치로부터 수직한 아래 부분 즉, 3개의 지지용 다리(11)로부터 연장된 수평지지대(13)의 단부 즉, GPS 단말기(12)와 연직이 되는 위치에 경사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경사계(14)가 설치된다. 경사계(14)는 경사계 설치판(1400) 위에 놓일 수 있다. 도 2e 및 도 2g, 그리고 도 2f에서 보이듯이, 수평지지대(13) 역시 신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데, 수평지지대(13)는 경사계(14)에 부착된 부분(133)(도면에서는 경사계 설치판에 부착된 부분)과, 지지용 다리(11)에 부착된 부분(132)로 구분되어 132번 부재가 133 부재 내에 끼워지는 형태로 되어 있어 신축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132번 부재와 133 부재의 신장 범위는 제한되어 있어 지지용 다리(11)가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은 방지된다.
다음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연직상태 측정기(1)의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도 5에서는 편의상 이동식 거푸집(2)과 연직상태 측정기(1)만을 간략하게 도시하였으며, 시공된 주탑 등의 기타 부분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연직상태 측정기(1)는 주탑의 시공을 위한 이동식 거푸 집(2)에 직접 설치될 수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예처럼, 3개의 지지용 다리(11)를 모두 직선되게 펼친 상태에서 이동식 거푸집(2)에 설치할 수 있다. 물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3개의 지지용 다리(11)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제1연결부(171), 제2연결부(172) 또는 제3연결부(173)에서 각각 회전 또는 절곡한 상태로 연직상태 측정기(1)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 장소와 여건에 맞추어 필요에 따라 자유롭고 안정적으로 연직상태 측정기(1)를 이동식 거푸집(2)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동식 거푸집(2)은 일반적으로 강재로 제작되므로, 접합부재(154)의 자성을 이용하여 이동식 거푸집(2)에 부착하는 것만으로도 연직상태 측정기(1)가 이동식 거푸집(2)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접합부재(154)를 이용하지 않고, 지지발부재(153)를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직접 이동식 거푸집(2)과 체결하여 연직상태 측정기(1)를 이동식 거푸집(2)에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GPS 단말기(13)는 해당 설치 위치에서의 수평위치 좌표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여, 이동식 거푸집(2)의 수평위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게 되며, 경사계(14)는 해당 설치 위치에서의 연직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정도 즉, 경사도를 측정하여 전송함으로써, 이동식 거푸집(2)이 연직 방향으로부터 어느 정도 기울어졌는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즉, 서로 연직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GPS 단말기(13)와 경사계(14)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직상태 측정기(1)에 의하여 이동식 거푸집(2)의 수평위치에 대한 변화와 경사도의 변화를 지속 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식 거푸집(2)의 수평위치와 경사도를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이동식 거푸집(2)에 의해 시공되는 주탑의 연직상태를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측정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연직상태 측정기(1)를 이용하여 교량의 주탑에 대한 연직상태를 측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연직상태 측정기(1)는 교량 주탑의 연직상태의 측정에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기둥이나 말뚝, 빌딩 등과 같이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시공될 수 있는 기타 구조물에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각각 고정발 부재(15)의 각 연결부 및 각 구성요소에 대한 스케치 도면이다. 특히, 도 6c에는 제2연결부(172)의 캠 구조를 이루는 원형 캠(150)과 오목부의 결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7a는 도 2a의 편집전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7b는 도 2d의 편집전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7c는 도 2e의 편집전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7d는 도 2f의 편집전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7e는 도 2g의 편집전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7f는 도 2h의 편집전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7g는 도 2i의 편집전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8a는 도 3a의 편집전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8b는 도 3b의 편집전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8c는 도 3c의 편집전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8d는 도 3d의 편집전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8e는 도 3e의 편집전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8f는 도 3f의 편집전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8g는 도 4a의 편집전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8h는 도 4b의 편집전 도면 대용 사진이다. 즉, 도 2a, 도 2d 내지 도 2i, 도 3a 내지 도 3f, 그리고 도 4a, 도 4b는 각각 도 7a 내지 도 7g,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h의 사진 중에서 배경을 삭제하고, 본 발명의 구성에 해당하는 것만을 오려내어 보여주는 것이다.
도 1은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실제 교량 주탑을 시공하는 상태(좌측)와 주탑의 시공 단부에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과 작업 발판의 형상(우측)을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직상태 측정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지용 다리(11)를 넓게 펼쳐 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연직상태 측정기의 지지용 다리를 오므려 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연직상태 측정기에서 GPS 단말기가 위치하는 단말기 설치판이 구비된 꼭지점부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2e는 경사계를 설치하기 위한 경사계 설치판만을 분리하여 그 저면을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2f는 경사계 설치판을 분리한 상태의 연직상태 측정기(1)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2g는 경사계 설치판만을 분리하여 그 상면을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2h 및 도 2i는 각각 연직상태 측정기의 지지용 다리를 오므려 놓은 상태의 상부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도 3e 및 도 3f는 각각 다관절 구조를 가지는 고정발 부재(15)의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4a는 제2연결부의 상세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4b는 제3연결부(173)와 후술하는 접합부재(154)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5는 이동식 거푸집에 본 발명의 연직상태 측정기를 부착하는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각각 고정발 부재(15)의 각 연결부 및 각 구성요소에 대한 스케치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직상태 측정기
2 : 이동식 거푸집
11 : 지지용 다리
15 : 고정발 부재

Claims (5)

  1. 이동식 거푸집(2)이 상승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하게 되는 수직 콘크리트 부재의 연직상태를 측정하는 연직상태 측정기로서,
    일단이 꼭지점에서 모아지고 타단은 넓게 벌어진 삼각뿔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세워지는 3개의 지지용 다리(11)와,
    상기 지지용 다리(11)가 모아지는 꼭지점부에 설치되어 설치지점에서의 수평위치 좌표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GPS 단말기(12)와;
    상기 GPS 단말기(12)와 연직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연직 방향으로부터의 경사도를 경사계(14)와;
    각각 지지용 다리(11)로부터 상기 경사계(14) 방향으로 연장되어 GPS 단말기(12)와 연직되는 위치에서 단부가 상기 경사계(14)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수평지지대(1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용 다리(11)의 하단부에는 고정발 부재(15)가 연결되는데, 상기 고정발 부재(15)는, 위에서부터 차례로 회전축부재(151)와, 회전부재(152)와, 지지발부재(153)로 구성되어 있어, 고정발 부재(15)는 다관절로 절곡되며;
    이동식 거푸집(2)에 설치되어 상기 GPS 단말기(12)로부터의 수평 위치 좌표 데이터와 경사계(14)로부터의 경사도 데이터에 의해 이동식 거푸집(2)에 의해 시공되는 구조물의 연직상태를 측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콘크리트 부재의 연직상태 측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용 다리(11)와 회전축부재(151) 사이의 제1연결부는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콘크리트 부재의 연직상태 측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부재(151)와, 회전부재(152) 사이의 제2연결부는 캠 구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콘크리트 부재의 연직상태 측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회전부재(152)와 지지발부재(153) 제3연결부는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콘크리트 부재의 연직상태 측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지지발부재(153)의 하부에는 자성의 접합부재(15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콘크리트 부재의 연직상태 측정기.
KR1020090120312A 2009-12-07 2009-12-07 수직 콘크리트 부재 시공시의 연직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관절형 삼각대 타입 측정기 KR20110063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312A KR20110063939A (ko) 2009-12-07 2009-12-07 수직 콘크리트 부재 시공시의 연직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관절형 삼각대 타입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312A KR20110063939A (ko) 2009-12-07 2009-12-07 수직 콘크리트 부재 시공시의 연직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관절형 삼각대 타입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939A true KR20110063939A (ko) 2011-06-15

Family

ID=4439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312A KR20110063939A (ko) 2009-12-07 2009-12-07 수직 콘크리트 부재 시공시의 연직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관절형 삼각대 타입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393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5741A (zh) * 2018-08-17 2018-12-07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适用于弃渣场安全监测的装置及方法
CN109470315A (zh) * 2018-12-27 2019-03-15 昆山同日工业自动化有限公司 一种线轴检测系统及方法
CN111198393A (zh) * 2020-01-13 2020-05-26 北京建筑大学 基于卫星定位的建筑塔机塔身垂直度实时检测系统
CN112360147A (zh) * 2020-10-12 2021-02-12 中如建工集团有限公司 智慧工地盘扣早拆支撑实时监控体系施工方法
CN114737756A (zh) * 2022-04-28 2022-07-12 中建八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盘扣早拆支撑实时监控体系施工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5741A (zh) * 2018-08-17 2018-12-07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适用于弃渣场安全监测的装置及方法
CN108955741B (zh) * 2018-08-17 2023-11-03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适用于弃渣场安全监测的装置及方法
CN109470315A (zh) * 2018-12-27 2019-03-15 昆山同日工业自动化有限公司 一种线轴检测系统及方法
CN109470315B (zh) * 2018-12-27 2024-05-17 昆山同日工业自动化有限公司 一种线轴检测系统及方法
CN111198393A (zh) * 2020-01-13 2020-05-26 北京建筑大学 基于卫星定位的建筑塔机塔身垂直度实时检测系统
CN112360147A (zh) * 2020-10-12 2021-02-12 中如建工集团有限公司 智慧工地盘扣早拆支撑实时监控体系施工方法
CN114737756A (zh) * 2022-04-28 2022-07-12 中建八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盘扣早拆支撑实时监控体系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3939A (ko) 수직 콘크리트 부재 시공시의 연직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관절형 삼각대 타입 측정기
KR200372260Y1 (ko) 지피에스 측량용 삼각대
CN106679559B (zh) 一种超高土石坝内部三维变形实测装置及方法
US8230609B1 (en) Survey pole positioning system
CN113028211A (zh) 土地整理用测绘装置
US5142787A (en) Means and method for defining a layout
US7604208B2 (en) Height adjustable, platform leveling multi-pod
KR101531025B1 (ko) 측지측량 시 삼각대 보호장치
KR100925877B1 (ko) 구조물의 변위 계측장치
JP5040704B2 (ja) パッカー形成治具及びパッカー形成方法
JPH09287950A (ja) 地盤測量具
KR101403476B1 (ko) 통합기준점 및 국가수준점의 수준 측량용 높낮이 조절 장치
CN214306142U (zh) 一种建筑设计用户外数据测绘装置
KR100994821B1 (ko) 교량의 콘크리트 주탑 시공시의 연직상태 측정기
CN216385672U (zh) 一种棱镜对中杆
CN210486862U (zh) 一种精密工程测量用测距装置
CN114509746B (zh) 基于无线电波用电力工程测距设备及其测距方法
KR200275936Y1 (ko)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폴을 슬라이드식으로 한 폴결합체를 이용한 규준틀
JP2004053328A (ja) 測点観測が困難な箇所に対する測量方法及び装置
KR200446648Y1 (ko) 측정용 삼각대
KR102652298B1 (ko)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양방향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이용한 교량 유간거리 측정장치
CN215410931U (zh) 一种多地形测绘仪器用固定装置
JP4514592B2 (ja) 鉄塔主脚材据付チェック器具
KR20120008640A (ko) 침하량 계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시스템
JP2000155020A (ja) 変位計とその設置構造およびその設置方 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