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770A - 주사 안전성이 높은 일회용 주사기 - Google Patents

주사 안전성이 높은 일회용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770A
KR20110063770A KR1020117006618A KR20117006618A KR20110063770A KR 20110063770 A KR20110063770 A KR 20110063770A KR 1020117006618 A KR1020117006618 A KR 1020117006618A KR 20117006618 A KR20117006618 A KR 20117006618A KR 20110063770 A KR20110063770 A KR 20110063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ing
disposable syringe
piston
pressure ro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5700B1 (ko
Inventor
보도 아스무쎈
한스-라이너 호프만
Original Assignee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아게 filed Critical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아게
Publication of KR20110063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0Syringes for injection by jet action, without needle, e.g. for use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06Having specific accessories
    • A61M2005/2013Having specific accessories triggering of discharging means by contact of injector with patient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73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preventing premature release, e.g. by making use of a safety l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03Leak prevention means for distal end of syringes,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 A61M2005/3106Plugs for syringes without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33Spring-loaded one-shot injectors with or without automatic needle inser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가압 막대를 갖는 하우징(10), 실린더/피스톤 유닛(100), 피스톤 작동 플런저(60), 촉발 유닛(80) 및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50)를 포함하는 바늘없는 일회용 주사기로서, 상기 촉발 유닛은 예비인장된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를 가압 막대로 로크시키는 일회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가압 막대는 촉발 시에 촉발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촉발 요소(82)를 따라서 미끄러지며, 촉발 유닛의 촉발 이후에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는 피스톤 작동 플런저에 의해 가압 막대를 변위시키고 실린더/피스톤 유닛을 작동시킨다. 예비인장된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에 의해 로딩될 때, 상호 대면하는 촉발 요소의 내벽과 가압 막대의 접촉면의 교합부는, 적어도 특정 영역에서, 상호 대면하는 피스톤 작동 플런저의 칼라 표면과 가압 막대의 지지면의 교합부보다 높은 미끄럼 마찰 계수를 갖는다. 본 발명은 그 사용 중에 필요한 최소 접촉압력이 보장되는 일회용 주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사 안전성이 높은 바늘없는 일회용 주사기{NEEDLE-LESS, DISPOSABLE INJECTOR PROVIDED WITH HIGH INJECTION SAFETY}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가압 막대(press rod)를 갖는 하우징, 실린더/피스톤 유닛, 피스톤 작동 플런저, 촉발(triggering) 유닛, 및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주사기로서, 상기 촉발 유닛은 예비인장된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를 초기에 가압 막대로 인터로크시키고, 상기 가압 막대는 촉발 시에 촉발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촉발 요소를 따라서 미끄러지며, 촉발 유닛의 촉발 이후에 상기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는 피스톤 작동 플런저에 의해 가압 막대를 변위시키고 실린더/피스톤 유닛을 작동시키는 일회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일회용 주사기는 후속 공개된 DE 10 2007 034 871에 공지되어 있다. 이 주사기에서 주사 개소에 작용하는 압력이 너무 작으면, 주사액이 주사 제트의 축에 대해 측방향으로 새어나올 위험이 있다. 이는 습식 샷(wet shot)으로 알려진 것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사용이 필요한 최소 접촉력을 보장하는 일회용 주사기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 문제는 독립항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이를 위해서, 예비인장된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에 의해 로딩될 때, 상호 대면하는 촉발 요소의 내벽과 가압 막대의 접촉면의 교합부(pairing)는, 적어도 특정 영역에서, 상호 대면하는 피스톤 작동 플런저의 칼라 표면과 가압 막대의 지지면의 교합부보다 높은 미끄럼 마찰 계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 상세는 종속항, 및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제공된다.
도 1은 로킹 위치에서 변형되는 두 개의 가압 막대를 갖는 일회용 주사기의 도시도이다.
도 2는 촉발 도중의 일회용 주사기의 도시도이다.
도 3은 촉발 이후의 일회용 주사기의 도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접촉면의 펼침(unwinding)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변형예의 도시도이다.
도 8은 내벽의 펼침의 도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변형예의 도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세 가지의 다른 촉발 상태에 있는 일회용 주사기를 도시한다. 도 1은 충전 및 촉발 전의 일회용 주사기를 도시한다. 도 2는 촉발 도중의 일회용 주사기를 도시하며, 도 3은 촉발 이후의 일회용 주사기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일회용 주사기는 하우징(10), 실린더/피스톤 유닛(100), 피스톤 작동 플런저(60), 및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로서의 나선형 압축 스프링(50)으로 구성된다. 또한, 촉발 요소(82)와 밀봉 요소(90)를 갖는 촉발 유닛(80)이 하우징(10) 상에 배치된다. 도 1의 도시에서,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은 전방에서 폐쇄 캡(120)과 스토퍼(128)의 조합에 의해 폐쇄된다.
하우징(10)은 상위 플로어(39)를 갖는 원피스의 단지-형상, 하향 개방된 중공체이다. 하우징은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유리 섬유-강화 폴리아미드로 만들어진다. 하우징(10)은 실질적으로 튜브 형태를 가지며, 두 개의 기능 구역, 즉 상부 피복(envelope) 구역(31)과 하부 고정 구역(41)으로 구분된다.
피복 구역(31)에서, 하우징(10)은 예를 들어 두 개의 상호 대향하는 창-형(window-like) 개구(33)를 갖는다. 개별 개구(33)의 하단에는 탄성 굽힘 바(bending bar)로서의 가압 막대(21)가 각각 몰딩된다. 가압 막대(21)의 몰딩 개소는 고정 구역(41)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각각의 가압 막대(21)를 형성하기 위해, 피복 구역(31)의 하부에는 개별 가압 막대(21)를 상부와 측부에서 둘러싸는 적어도 대략 U자 형상의 좁은 갭이 제공된다.
가압 막대(21)는 예를 들어 그 길이의 80%에 걸쳐서, 하우징(10)의 벽 두께 및 벽의 곡률을 갖는다. 이 구역은 특히, 탄성 굽힘 바(28)의 기능을 추가로 갖는다. 이는 초승달-형상 단면을 갖는다.
적절하다면, 이 굽힘 바(28)의 일부에는 굽힘 바의 에지 구역에서 사용 중에 발생하는 굽힘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각형 단면이 제공될 수도 있다.
피스톤 작동 플런저(60)가 적어도 특정 부분에서 하우징(10) 내에서의 유격 정도가 낮은 상태로 직선 안내되고 피스톤 작동 플런저(60)가 충분한 굽힘 강도를 갖는 경우에는, 둘 이상의 가압 막대(21) 대신에 단일의 가압 막대(21)만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개별 가압 막대(21)의 상부 자유 단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캠(22)으로 형성된다. 캠은 중심선(5) 방향으로 배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23)과, 중심선(5)으로부터 외면하는 접촉면(24)을 갖는다.
하우징(10)의 하부 구역에는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을 체결하기 위한 유지(holding) 요소가 배치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은 주사액(1)이 충전될 수 있는 투명 실린더(101)로 구성된다. 도 1의 도시에서, 피스톤(111)은 전방 위치에 있다. 피스톤(111) 위에는, 피스톤 작동 플런저(60)가, 피스톤(111)을 터치하지 않더라도 그 하단부에 의해 실린더(101)의 상부 구역에서 측방으로 안내되도록, 예를 들어 하우징(10) 내에 배치된다.
하우징(10)의 하부 절반은 슬리브형 촉발 요소(82)에 의해 둘러싸인다. 촉발 요소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구체화되며,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공중합체로 만들어진다. 촉발 요소(82)는 하우징(10)의 반경방향 외표면(13) 상에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촉발 요소는 후방에서 날카로운 에지(85)로 끝나는 바, 이 에지는 촉발 요소(82)의 단부측, 역행 플랭크(set-back flank)(84)의 일부이다. 도 1에 따르면, 에지(85) 아래에서, 가압 막대(21) 상에 몰딩되는 캠(22)의 외측 접촉면(24)은 촉발 요소(82)의 내벽(59)을 확실하게 터치한다.
예를 들어, 에지(85)의 근처에서, 하우징(10)의 말단을 완전히 둘러싸는 촉발 캡(81)은 촉발 요소(82)에 체결된다. 촉발 캡(81)은, 주사기의 촉발 시에 캠(22)이 수용되는 주변 확장부(83)를 포함한다(도 3 참조). 회전 대칭적이지 않은 촉발 요소(82)의 경우에는, 이 확장부(83) 대신에, 부분 확장부 또는 비보호(non-covered) 개구가 각각의 가압 막대(21)에 제공될 수도 있다. 확장부(83) 위에서, 촉발 캡(81)은 하우징(10)의 외벽(13)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얹혀진다.
폐쇄 캡(120)은 촉발 요소(82)의 선단에 인접한다. 폐쇄 캡은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의 하측 부분을 둘러싼다. 폐쇄 캡(120)의 선단측에는 예를 들어 루어(Luer)형 내부 원추를 갖는 어댑터 개구(127)가 제공되며, 이 개구는 외부 원추형 스토퍼(128)에 의해 살균적으로 폐쇄된다. 폐쇄 캡(120)은 이 경우에 하우징(10)의 하부 구역에 장착된다.
하우징(10) 내에 배치되는 피스톤 작동 플런저(60)는 두 구역으로 구분된다. 하부 구역은 피스톤 슬라이드(76)이다. 그 직경은 실린더(101)의 후방 구역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피스톤 슬라이드(76)의 하단면은 피스톤(111)에 직접 작용한다.
피스톤 작동 플런저(60)의 상부 구역인 플런저 판(73)은 평면 디스크(flat disc)이며, 이 디스크는 적어도 특정 구역에서 원통형이고, 그 외경은 피복 구역(31)에서의 하우징(10)의 내경보다 십분의 몇 mm 정도 작다. 하단 측은 피스톤 슬라이드(76) 주위에 배치되는 칼라 표면(75)을 갖는다. 칼라 표면은, 그 정점 각도가 대략 100 내지 140도인 절두원추형 외피 형상을 갖는다. 도시된 예시적인 예에서, 칼라 표면(75)은 140도의 정점 각도를 갖는다. 절두원추형 외피의 가상 정점은 피스톤 슬라이드(76) 구역에서 중심선(5)에 얹힌다. 칼라 표면(75)은 또한 구형으로 만곡될 수도 있다.
명백히, 피스톤 슬라이드(76)는 플런저 판(73)과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피스톤 슬라이드는 이후 하우징(10)의 내벽 상에서 안내된다.
나선형 압축 스프링(50)은 플런저 판(73)과 하우징(10)의 상위 플로어(39) 사이에 예비-인장된 상태로 자리한다. 나선형 압축 스프링(50)은 하우징(10)의 상위 플로어(39) 상에 스페이서 슬리브(19)를 개재하여 지지된다. 나선형 압축 스프링(50)의 스프링력은 플런저 판(73)을 거쳐서 가압 막대(21)에 전달된다. 칼라 표면(75)의 경사로 인해, 가압 막대(21)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쐐기 기어 방식으로 압박된다. 촉발 슬리브(82)는 이 반경방향 힘을 영구적으로 지지한다.
피스톤 작동 슬리브(60)는 플런저 판(73) 위에 안내 핀(62)을 갖는다. 안내 핀은 나선형 압축 스프링(50)을 안내하거나, 그에 의해 안내된다. 일회용 주사기의 작동시에 피스톤(111)에 작용하는 피스톤 슬라이드(76)는 안내 핀(62)의 연장부의 중심에서 플런저 판(73) 아래에 배치된다. 피스톤 슬라이드(76)는 원추형의, 전방 아치형 단부면(77)을 갖는 외피를 갖는다(특히, 도 2 참조). 이 단부면(77)에 의하면, 피스톤 슬라이드는 촉발되면 피스톤(111)의 상보형 단부면과 접촉한다(도 3 참조). 양 원추는 적어도 대략 동일한 원추 각도를 갖는다.
일회용 주사기를 충전하여 사용하기 전에,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50)는 예비-인장된다(도 1 참조). 두 개의 압력-부하된 가압 막대(21)는 그 플런저 판(73) 상의 피스톤 작동 플런저(60)를 그 예비-인장된 위치에 유지시킨다. 이를 위해서, 가압 막대(21)의 지지면(23)은 플런저 판(73) 상에 지지된다. 지지면(23)과 플런저 판(73) 상의 대응 위치 사이의 각각의 접촉 면적의 크기는 2 내지 20㎟의 범위에 있다. 지지면(23) 및 상기 지지면과 대면하고 이 지지면과 짝을 이루는 칼라 표면(75)은 예를 들어 10 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평균 조도(roughness)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평균 조도 값은 6 마이크로미터이다.
가압 막대(21)와 플런저 판(73)의 굴곡 탄성은 지지 막대(21)를 촉발 요소(82)에 대해 적어도 대략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한다. 그곳에서 이들은 캠(22)을 거쳐서 촉발 요소(82)에 대해 얹힌다. 캠(22)은 이 경우에 예를 들어 가압 막대(21)의 각각의 자유 상단부의 5 내지 20 mm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따르면, 인장된 일회용 주사기의 플런저 판(73)은 그 칼라 표면(75)을 거쳐서 지지면(23) 상에 얹힌다. 이 경우에 쐐기면의 기능을 수행하는 지지면(23)은 140도의 정점 각도를 갖는 절두원추형 외피의 형상을 갖는다.
적절하다면, 가압 막대(21) 또는 칼라 표면(75)은 적어도 접촉 부위에서 세라믹 장갑(armouring)을 갖는다. 칼라 표면(75)은 예를 들어, 접착된 절두원추형 외피-형상 와셔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
캠(22)의 접촉면(24)은, 그 최대 직경이 예를 들어 하우징(10)의 외경보다 3 내지 4 mm 큰 원추의 일부이다. 일회용 주사기가 인장되면, 접촉면(24)은 슬리브형 촉발 요소(82)의 내벽(59)과 접촉한다. 접촉 부위는 도 4에 확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접촉면(24)은 개별 가압 막대(21)의 구부러짐으로 인해, 무엇보다도 그 하부 구역에서, 촉발 요소(82)의 내벽(59)에 대해 가압된다. 접촉면(24)은 조면화(roughen)되거나 구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면은 접촉면(24)의 펼침을 평면도로 도시할 때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긴 홈(flute)(도 6 참조) 또는 다이아몬드 패턴(도 7 참조)을 가질 수 있다. 이들 패턴은 예를 들어 균일하게 배치된다. 접촉면(24)의 평균 조도 값은 예를 들어 10 마이크로미터보다 크다.
도 7의 도시에서, 개별 가압 막대(21)의 접촉면(24)의 폭은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따라서, 접촉면(24)을 내벽(59)에 대해 가압하는 압력은 상부 구역에서보다 하부 구역에서 더 높다. 이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접촉면(24)은 횡방향으로 내벽(59)보다 작은 반경을 가질 수 있다(도 5 참조). 따라서 접촉면(24)의 폭은 개별 가압 막대(21)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할 수 있으려면,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은 먼저 충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어댑터 개구(127)로부터 스토퍼(128)가 제거되고, 주사액(1)이 예를 들어 압입 또는 흡입된다. 이 경우에 피스톤(111)은 뒤로 밀려나거나 뒤로 당겨진다.
주사기를 해방시키기 위해, 밀봉 요소(90), 예를 들어 절취 반데롤(banderole)(94)이 철회되고, 따라서 폐쇄 캡(120)과 촉발 요소(82) 사이의 접착 연결이 취소된다. 폐쇄 캡(120)이 철회된다. 일회용 주사기는 주사 개소에 위치한다.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50)가 인장되며; 가압 막대(21)는 플런저 판(73)의 칼라 표면(75)을 계속 지지한다.
이제, 촉발 요소(82)는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도 2 참조). 도 2에 도시된 상태는 고정적이지 않으며; 따라서 이하에서는 가상 상태로 지칭될 것이다.
일회용 주사기가 촉발되면, 촉발 요소(82)는 하우징(10)의 외벽(13) 상에서 직선 하방의 촉발 이동 방향(6)으로, 즉 주사 개소의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가압 막대(21)의 접촉면(24)은 에지(85)를 거쳐서 슬립된다. 가압 막대(21)는 그 실제 출발 위치를 향해서 외측으로 탄성 굴곡되며, 스프링 요소(50)의 힘에 의해 확장부(83)를 향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점프한다.
하우징(10)에 대해, 확장부(83)는 정밀하게 배치되며, 촉발 과정 중에 외측으로 몰려서 물러나는 가압 막대(21)를 그 캠(22)과 함께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확장부(83)의 내부 윤곽은 예를 들어, 이 경우 주사기의 중심선(5)에 수직한 평면인 역행 플랭크(84)를 갖는 채널이다. 캠(22)이 확장부로 변위되자마자, 피스톤 작동 플런저(60)는 방해없이 하방 슈팅된다(도 3 참조). 피스톤(111)은 하방으로 가압된다. 실린더(100)는 배출(drain)된다.
촉발 요소(82)의 내벽(59)은 예를 들어, 접촉면(24)이 미끄러지는 구역에서 조면화되거나 구조화된다. 그 조도 값은 예를 들어 접촉면(24)의 조도 값과 일치한다. 구조화의 경우에, 패턴은 도 6 또는 도 7에 도시하듯이 구체화될 수 있다.
그러나, 내벽(59)의 구조적 밀도 및/또는 조도는 또한 촉발 요소(82)의 내벽(59)에 대한 접촉면(24)의 이동 스트로크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도 8은 예를 들어, 그 사이의 거리가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줄어드는 상호 평행한 슬롯을 가지며 끝이 날카로운 에지(85)와 인접하는 구조적 패턴을 크게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그 다수의 비늘(scale)이 그 실시예에서 포지티브 및/또는 네거티브할 수 있는 비늘 패턴을 도시한다. 비늘 사이의 거리는 상대 이동 방향으로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증가한다. 촉발 전에 접촉면(24)이 얹히는 내벽(59) 접촉면의 최저 구역은 예를 들어 무구조(structure-free) 상태이다.
일회용 주사기의 촉발 이전과 촉발 도중에, 나선형 스프링(50)은 플런저 판(73)을 거쳐서 캠(22)을 외측으로 가압한다. 칼라 표면(75)과 지지면(23)의 교합부의 넓은 접촉 면적 및 낮은 표면 조도에 기인하는 낮은 미끄럼 마찰 계수로 인해, 이 쐐기 기어는 높은 효율을 갖는다.
주사 개소에 놓인 일회용 주사기를 촉발하기 위해, 조작자는 먼저 접촉면(24)과 내벽(59) 사이의, 특히 접촉력에 의해 초래되는 접착 마찰을 극복해야 한다. 교합부의 접촉 면적이 작을수록 그리고 표면 조도가 높을수록, 이 접착 마찰은 높아진다.
따라서, 접착 마찰력이 높을수록, 사용자는 일회용 주사기를 주사 개소에 대해 더 세게 누를 것이다. 따라서, 정지 상태에서, 접촉면(24)과 내벽(59)의 교합부의 높은 조도 값은, 사용자가 자리잡은 일회용 주사기를 최소 힘으로 주사 개소에 대해 계속 가압하도록 보장해 준다.
사용자가 촉발 중에 접착 마찰력을 극복하자마자, 촉발 요소(82)의 내벽(59)은 접촉면(24)을 따라서 미끄러진다. 이들 두 표면(24, 59)의 교합부의 미끄럼 마찰 계수는 관련 재료, 표면 조도 및/또는 표면 구조와 표면 압력에 의존한다. 이 교합부의 미끄럼 마찰 계수는 칼라 표면(75)과 지지면(23)에 의해 형성되는 교합부의 미끄럼 마찰 계수보다 크다. 예를 들어, 접촉면(24)과 내벽(59)이 도 6에 따른 구조로 구체화되면, 촉발 요소(82)를 변위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대략 일정하고 높은 이송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전한 주사에 필요한 압입력 이상의 힘으로 일회용 주사기를 주사 개소에 대해 계속 누를 것이다.
사용자는 후방 파지 플랭크(25)가 에지(85)에 도달할 때까지 이 힘을 가해야 한다. 칼라 표면(75)과 지지면(23)에 의해 형성되는 교합부의 낮은 미끄럼 마찰 및 작은 쐐기 각도로 인해, 캠(22)은 급작스럽게 확장부(83)로 변위된다.
일회용 주사기가 촉발되면, 그 내벽(59)은 예를 들어 도 8에 따른 구조를 가지며, 촉발에 필요한 힘은 촉발 요소(82)의 변위 중에 증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회용 주사기를 주사 개소에 대해 점점 세게 누르도록 강요된다. 이는 스프링 에너지가 해방될 때 일회용 주사기가 주사 개소에 대해 강력하게 가압되어 습식 샷이 방지되도록 보장해준다.
접착 마찰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촉발 요소(82)의 이송력은 미끄럼 마찰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이송력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내벽(59)은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하듯이 구체화될 수 있다. 접촉면(24)이 촉발 전에 접촉하는 내벽(59) 부위는 이 경우, 예를 들어 낮은 표면 조도를 갖는다. 접촉면(24)이 이 부위를 떠나자마자, 조도와 그로 인해 미끄럼 마찰 계수는 증가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와 같이, 촉발을 위해 균일한 힘 또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힘을 가하도록 강요될 수 있다. 캠(22)의 점핑-아웃 직전에 가해져야 하는 이송력은 적어도, 안전한 주사에 필요한 최소 접촉력 이상이다.
적절하다면, 피스톤 작동 플런저(60), 가압 막대(21) 및 촉발 요소(82)의 재료가 동일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가압 막대(21)와 플런저 판(73) 사이의 유일한 접촉 지역은, 상호 미끄럼 접촉하는 표면(23, 75)으로 구체화된다. 하나의 특정한 구성에서는, 주사기의 작동 시에 플런저 판의 표면(75)으로부터 롤러-장착 방식, 즉 저마찰 방식으로 굴러나가는 롤러가 개별 가압 막대(21)의 각 표면(23)에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0) 상에서의 촉발 요소(82)의 선형 미끄럼 운동 대신에 나선형 운동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촉발 요소(82)와 하우징(10)은 예를 들어 연결 링크와 링크 블록을 거쳐서 상호 안내된다. 적절하다면, 촉발은 하우징(10)과 촉발 요소(82) 사이의 순수한 피봇 운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피봇축은 중심선(5)이 될 것이다.
상기 여러 실시예들을 상호 조합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음은 명백한 일이다.
1: 주사액; 약물
5: 주사기의 종방향 중심선
6: (촉발 요소(82)의) 촉발 운동 방향, 하방 이동 방향 화살표
10: 하우징, 원피스
13: 외표면, 원통형
19: 스페이서 슬리브
21: 가압 막대, 지지 막대; 견인 후크
22: 캠
23: 지지면
24: 접촉면
25: 후방 파지 플랭크
28: 굽힘 바
31: 피복 구역
33: 개구
39: 플로어
41: 실린더/피스톤 유닛 고정 구역
50: 스프링 요소, 나선형 압축 스프링,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
59: (촉발 요소(82)의) 내벽
60: 피스톤 작동 플런저
62: 안내 핀
63: 구멍, 관통 구멍
73: 플런저 판
75: 칼라 표면, 원추형
76: 피스톤 슬라이드
77: 피스톤 단부면, 원추형 외피
80: 촉발 유닛
81: 촉발 캡
82: 촉발 요소
83: 확장부
84: 역행 플랭크
85: (끝이 날카로운) 에지
90: 부정개봉-방지 마개, 반데롤, 고정 요소
94: 절취 반데롤
100: 실린더/피스톤 유닛
101: 실린더
111: 피스톤
120: 폐쇄 캡, 접착 밀봉
127: 어댑터 개구
128: 스토퍼

Claims (6)

  1. 적어도 하나의 가압 막대(21)를 갖는 하우징(10), 실린더/피스톤 유닛(100), 피스톤 작동 플런저(60), 촉발 유닛(80) 및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50)를 포함하는 일회용 주사기로서,
    상기 촉발 유닛(80)은 예비인장된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50)를 초기에 가압 막대(21)로 인터로크시키고, 상기 가압 막대(21)는 촉발 시에 상기 촉발 유닛(80)의 적어도 하나의 촉발 요소(82)를 따라서 미끄러지며, 상기 촉발 유닛(80)의 촉발 이후에 상기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50)는 피스톤 작동 플런저(60)에 의해 가압 막대(21)를 변위시키고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을 작동시키는 일회용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예비인장된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50)에 의해 로딩될 때, 상호 대면하는 상기 촉발 요소(82)의 내벽(59)과 상기 가압 막대(21)의 접촉면(24)의 교합부는, 적어도 특정 영역에서, 상호 대면하는 상기 피스톤 작동 플런저(60)의 칼라 표면(75)과 상기 가압 막대(21)의 지지면(23)의 교합부보다 높은 미끄럼 마찰 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촉발 요소(82)는 적어도 특정 영역에서 상기 하우징(10)을 슬리브 형태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두 개의 가압 막대(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24) 및/또는 상기 내벽(59)의 평균 조도 값은 적어도 이들 표면(24, 59)의 접촉 부위에서 10 마이크로미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촉발 요소(82)의 내벽의 조도는 끝이 날카로운 에지(85)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접촉면(24)의 폭은 개별 가압 막대(21)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KR1020117006618A 2008-09-23 2009-08-21 주사 안전성이 높은 일회용 주사기 KR101535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48595.0 2008-09-23
DE102008048595A DE102008048595A1 (de) 2008-09-23 2008-09-23 Einweginjektor mit hoher Injektionssicherheit
PCT/EP2009/006065 WO2010034380A1 (de) 2008-09-23 2009-08-21 Nadelloser einweginjektor mit hoher injektionssicherh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770A true KR20110063770A (ko) 2011-06-14
KR101535700B1 KR101535700B1 (ko) 2015-07-09

Family

ID=41225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618A KR101535700B1 (ko) 2008-09-23 2009-08-21 주사 안전성이 높은 일회용 주사기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8287490B2 (ko)
EP (1) EP2341960B1 (ko)
JP (1) JP5520303B2 (ko)
KR (1) KR101535700B1 (ko)
CN (1) CN102159266A (ko)
AR (1) AR073306A1 (ko)
AU (1) AU2009296618A1 (ko)
BR (1) BRPI0919139A2 (ko)
CA (1) CA2735696A1 (ko)
DE (1) DE102008048595A1 (ko)
ES (1) ES2733149T3 (ko)
IL (1) IL211724A0 (ko)
MX (1) MX2011003065A (ko)
RU (1) RU2534406C9 (ko)
TW (1) TW201023930A (ko)
WO (1) WO2010034380A1 (ko)
ZA (1) ZA20110157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035B1 (ko) * 2020-12-11 2021-02-23 (주)풍림파마텍 재사용 방지를 위해 잠김 구조를 갖는 일회용 주사 장치
KR102219038B1 (ko) * 2020-12-11 2021-02-23 (주)풍림파마텍 외부 하우징에 수용된 록킹 모듈과 주사액이 담긴 약액 카트리지 간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일회용 주사 장치
KR102224517B1 (ko) * 2020-12-11 2021-03-09 (주)풍림파마텍 재사용 방지를 위해 외부 하우징과 록킹 모듈 간의 록킹 구조를 개선한 일회용 주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99627A1 (en) * 2010-06-28 2011-12-2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uto-injector
EP2468336A1 (en) * 2010-12-21 2012-06-27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uto-injector
DE102011113565A1 (de) 2011-09-19 2013-03-21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Einweginjektor mit Elementen zur Erhöhung der Auslösesicherheit
DK2822618T3 (da) * 2012-03-06 2024-01-22 Antares Pharma Inc Forfyldt nål med brudkraftfunktion
EP2703021A1 (de) * 2012-08-31 2014-03-05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Zylinerkolbeneinheit mit zweiteiligem Kolben
ES2610249T3 (es) * 2014-01-30 2017-04-26 Tecpharma Licensing Ag Dispositivo de seguridad de liberación para un autoinyector
CN104524671A (zh) * 2014-11-27 2015-04-22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电机压紧的无针注射器
JP6617158B2 (ja) * 2015-05-04 2019-12-11 エルテーエス ローマン テラピー−ジステーメ アーゲー トリガの信頼性を高めた使い捨ての注射器
CN109432553B (zh) * 2018-11-19 2024-04-16 北京快舒尔医疗技术有限公司 无针注射器的储药管的注射头组件、储药管和无针注射器
CN110236783B (zh) * 2019-07-02 2021-07-06 北京华视诺维医疗科技有限公司 房水采集装置
CN111544706B (zh) * 2020-05-11 2022-03-18 易舒康(山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剂量准确的便携无针注射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5543A (ja) 1992-11-19 1996-06-18 テブロ ソシエテ アノニム 予充填注射器用の使い捨て自動注射装置
DE69426390T2 (de) * 1993-07-31 2001-04-12 Weston Medical Ltd Nadelloser injektor
DK0762904T3 (da) * 1994-05-30 2002-10-28 B D Medico S A R L Injektionsudstyr
US5730723A (en) 1995-10-10 1998-03-24 Visionary Medical Products Corporation, Inc. Gas pressured needle-less injection device and method
US6428528B2 (en) * 1998-08-11 2002-08-06 Antares Pharma, Inc. Needle assisted jet injector
AR026914A1 (es) * 1999-12-11 2003-03-05 Glaxo Group Ltd Distribuidor de medicamento
US6517517B1 (en) * 2000-06-08 2003-02-11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Automated injection device for administration of liquid medicament
AU2002222371A1 (en) 2000-12-21 2002-07-01 Arnold Neracher Injection device with re-usable pressure generating means.
DE10351594A1 (de) * 2003-11-05 2005-06-16 Tecpharma Licensing Ag Vorrichtung für die Verabreichung eines injizierbaren Produkts
DE102005062206B3 (de) 2005-12-24 2006-12-14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Einweginjektor mit dauergeladenem Federenergiespeicher
DE102007034871A1 (de) * 2007-07-24 2009-01-29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Einweginjektor mit handbetätigbarem Kolb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035B1 (ko) * 2020-12-11 2021-02-23 (주)풍림파마텍 재사용 방지를 위해 잠김 구조를 갖는 일회용 주사 장치
KR102219038B1 (ko) * 2020-12-11 2021-02-23 (주)풍림파마텍 외부 하우징에 수용된 록킹 모듈과 주사액이 담긴 약액 카트리지 간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일회용 주사 장치
KR102224517B1 (ko) * 2020-12-11 2021-03-09 (주)풍림파마텍 재사용 방지를 위해 외부 하우징과 록킹 모듈 간의 록킹 구조를 개선한 일회용 주사 장치
WO2022124549A1 (ko) * 2020-12-11 2022-06-16 (주)풍림파마텍 외부 하우징에 수용된 록킹 모듈과 주사액이 담긴 약액 카트리지 간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일회용 주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919139A2 (pt) 2017-07-11
CA2735696A1 (en) 2010-04-01
AU2009296618A1 (en) 2010-04-01
DE102008048595A1 (de) 2010-04-01
RU2011110769A (ru) 2012-09-27
MX2011003065A (es) 2011-04-11
JP5520303B2 (ja) 2014-06-11
ES2733149T3 (es) 2019-11-27
AR073306A1 (es) 2010-10-28
JP2012502707A (ja) 2012-02-02
US20110208119A1 (en) 2011-08-25
EP2341960B1 (de) 2019-04-24
WO2010034380A1 (de) 2010-04-01
KR101535700B1 (ko) 2015-07-09
TW201023930A (en) 2010-07-01
EP2341960A1 (de) 2011-07-13
ZA201101578B (en) 2011-11-30
CN102159266A (zh) 2011-08-17
IL211724A0 (en) 2011-06-30
US8287490B2 (en) 2012-10-16
RU2534406C9 (ru) 2015-10-10
RU2534406C2 (ru) 2014-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3770A (ko) 주사 안전성이 높은 일회용 주사기
AU2008209125B2 (en) Single-use injector with at least one draw hook
AU2008241133B2 (en) Disposable injector comprising at least one draw hook and a sliding wedge-type gear for unlocking a locking element
CN101208121B (zh) 注射装置(可适配装置)
KR101195780B1 (ko) 주사 장치
US8372035B2 (en) Disposable injector with manually actuated piston
US8070713B2 (en) Disposable injector with at least one drawer hook which can be forcibly decoupled
KR20100040838A (ko) 일회용 주사기
TW200843806A (en) Disposable injector with at least one central tension bar
MX2013010861A (es) Dispositivo de autoinyector.
CN102039001A (zh) 用于注射固体的装置
KR20100041764A (ko) 일회용 주사기
CN101683541B (zh) 特别用于兽医应用的注射器
KR100316368B1 (ko) 순간 주입식 주사장치
CN111683705B (zh) 用于注射容纳在医用容器中的成分的注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