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249A -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249A
KR20110063249A KR1020100026104A KR20100026104A KR20110063249A KR 20110063249 A KR20110063249 A KR 20110063249A KR 1020100026104 A KR1020100026104 A KR 1020100026104A KR 20100026104 A KR20100026104 A KR 20100026104A KR 20110063249 A KR20110063249 A KR 20110063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deformation
slider
slide
golf bal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1311B1 (ko
Inventor
이장우
Original Assignee
(주)하이텍파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텍파츠 filed Critical (주)하이텍파츠
Priority to PCT/KR2010/00853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68348A2/ko
Publication of KR20110063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 A63B57/207Golf ball position marke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30Markers
    • A63B57/353Golf ball position markers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로부터 슬라이더를 인출하여 세워둘 수 있는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몸체, 슬라이더와 스프링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는 상부가 트여 있는 수납공간부를 가지며, 가장자리에 수납공간부와 연결되는 개방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는 수납공간부에 개방단부를 통하여 슬라이딩과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는 몸체와 슬라이더를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슬라이더가 초기 위치로부터 몸체를 따라 일정 거리까지 슬라이딩된 후 몸체에 대하여 회전되어 세워지도록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의 수납공간부에 수용되어 있는 슬라이더를 수납공간부로부터 슬라이딩시켜 인출하면, 슬라이더가 스프링 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세워져 퍼팅 그린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는 경기자가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SLIDE-UP GOLF BALL MARKER}
본 발명은 골프볼 마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로부터 슬라이더(Slider)를 인출하여 세워둘 수 있는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에 관한 것이다.
골프볼 마커는 퍼팅 그린(Putting green)에서 볼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동전과 같이 작고 둥근 물체를 의미한다. 골프볼 마커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개발되어 있으며, 작은 심벌(Symbol)이 사용되기도 한다. 퍼팅 그린에서 골프볼 마커에 의한 마크는 경기자의 볼이 다른 경기자의 퍼팅, 어프로치(Approach) 등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하고 있다. 또한, 퍼팅 그린에서의 마크는 다른 경기자가 퍼팅한 볼이 경기자의 볼에 맞을 수도 있기 때문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동전과 같이 납작하고 둥근 형태의 전통적인 골프볼 마커가 퍼팅 그린에 놓이면, 경기자가 멀리 떨어져서 찾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경기자는 골프볼 마커를 보면서 다른 경기자가 퍼팅한 볼의 퍼팅 라인(Putting line)을 파악하여 자신의 퍼팅 라인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골프볼 마커는 먼 곳에서도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식별성을 보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국특허 제7,438,652호의 골프볼 마커는 피버틀 부재(Pivotal member), 힌지(Hinge)와 메인보디(Main body)로 구성되어 있다. 피버틀 부재는 메인보디의 일측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피버틀 부재와 메인보디는 한 쌍의 자석(Magnetic)들에 의하여 붙이고 뗄 수 있도록 구성되어 피버틀 부재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메인보디에 대하여 기립되어 있으면, 경기자는 먼 곳에서도 퍼팅 그린에 놓여 있는 골프볼 마커를 쉽게 찾을 수 있다. 피버틀 부재가 닫혀 있으면, 다른 경기자의 볼이 골프볼 마커에 접촉할 우려가 낮아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골프볼 마커는 한 쌍의 자석들이 자력에 의하여 붙어있는 상태에서 닫혀 있는 피버틀 부재를 메인보디로부터 회전시켜 열어주기 위해서는 피버틀 부재와 메인보디를 양손으로 벌려주어야 하기 때문에 피버틀 부재를 여는 동작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특히, 경기자는 퍼팅 그린에서 한손으로 퍼터(Putter)를 잡고 있거나 골프 장갑을 착용하고 있기 때문에 양손으로 골프볼 마커를 취급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퍼팅 그린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으면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드업 구조에 의하여 경기자가 한 손으로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상부가 트여 있는 수납공간부를 가지며, 가장자리에 수납공간부와 연결되는 개방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수납공간부에 개방단부를 통하여 슬라이딩과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슬라이더와; 몸체와 슬라이더를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슬라이더가 초기 위치로부터 몸체를 따라 일정 거리까지 슬라이딩된 후 몸체에 대하여 회전되어 세워지도록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는 몸체의 수납공간부에 수용되어 있는 슬라이더를 수납공간부로부터 슬라이딩시켜 인출하면, 슬라이더가 스프링 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세워져 퍼팅 그린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는 경기자가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에서 슬라이더가 몸체에 수용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에서 슬라이더가 세워져 있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에서 몸체의 톱 플레이트, 슬라이더의 구성을 분리하여 저면에서 바라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에서 와이어 스프링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에서 와이어 스프링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에서 슬라이더가 몸체에 수용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에서 슬라이더가 몸체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Ⅹ-Ⅹ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에서 슬라이더가 세워져 있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에서 슬라이더가 세워져 있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의 구성을 분리하여 저면에서 바라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에서 슬라이더가 분리되어 있는 몸체와 와이어 스프링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에서 슬라이더가 수납공간부에 몰입되어 있는 상태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에서 슬라이더가 인출되어 있는 상태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에서 록킹캠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에서 슬라이더가 닫힌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에서 슬라이더가 몸체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에서 슬라이더가 세워져 있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는 퍼팅 그린에 놓이는 몸체(10)를 구비한다. 몸체(10)는 상하로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12)와 톱 플레이트(Top plate: 14)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와 톱 플레이트(14)는 베이스 플레이트(12)를 관통하여 톱 플레이트(14)에 체결되는 복수의 나사(16)들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와 톱 플레이트(14) 각각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2)와 톱 플레이트(14)는 사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10)는 베이스 플레이트(12)와 톱 플레이트(14) 각각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공간부(18)를 갖는다. 베이스 플레이트(12)와 톱 플레이트(14) 각각의 일측 가장자리에 수납공간부(18)와 연결되는 개방단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공간부(18)의 후방 양측 내면에 수납공간부(18)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구멍(Guide hole: 22)들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구멍(22)들은 베이스 플레이트(12)와 톱 플레이트(14)의 계면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구멍(22)들은 수납공간부(18)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직선이동구간(22a)과, 직선이동구간(22a)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축회전구간(22b)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구멍(22)들의 전방에 한 쌍의 관통구멍(24)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보스(Boss: 26a)와 제2 보스(26b)가 관통구멍(24)들과 인접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수납공간부(18)의 전방 양측 내면에 한 쌍의 잠금구멍(Locking hole: 28)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 도 8,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는 수납공간부(18)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Sliding)되고 회전에 의하여 수납공간부(18)로부터 인출되어 세워지도록 장착되어 있는 슬라이더(Slider: 30)를 구비한다. 슬라이더(30)는 상하로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 플레이트(Sliding plate: 32)와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 34)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플레이트(32)의 후방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축(Guide shaft: 36)들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축(36)들은 가이드구멍(22)들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며, 가이드구멍(22)들의 전방에 위치되어 회전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32)의 전방 양측면에 한 쌍의 잠금돌기(Locking lug: 38)들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돌기(38)들은 잠금구멍(28)들에 로킹(Locking)되어 슬라이더(30)의 회전을 구속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32)의 후방 양측면에 몸체(10)의 관통구멍(24)들과 정렬되도록 한 쌍의 관통구멍(40)들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플레이트(32)의 관통구멍(40)들을 연결하는 안착홈(42)이 하면에 슬라이딩 플레이트(32)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안착홈(42)의 중앙에 위치결정편(44)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34)는 슬라이딩 플레이트(32)의 하면에 안착홈(42)을 덮도록 결합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 도 7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는 슬라이더(30)가 가이드축(36)들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 부재로 와이어 스프링(Wire spring: 50)을 구비한다. 스프링 부재는 가이드축(36)에 결합되어 슬라이더(30)가 기립 방향, 즉 열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 코일스프링(Coil spring), 플레이트 스프링(Plate spring)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 스프링(50)은 가는 와이어를 벤딩(Bending)에 의하여 만든다. 와이어 스프링(50)은 수납공간부(18)의 후방에 근접하는 몸체(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제1 말단부(52)와 제2 말단부(54)를 갖는다. 제1 말단부(52)와 제2 말단부(54)는 슬라이더(30)의 관통구멍(40)들을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2)의 관통구멍(24)들에 각각 끼워져 있다. 제1 탄성변형부(56)가 제1 말단부(52)로부터 제2 말단부(54)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제2 탄성변형부(58)가 제2 말단부(54)로부터 제1 말단부(52)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1 말단부(52)는 제1 탄성변형부(56)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반원형 감김부(52a)를 갖는다. 제2 말단부(54)는 제2 탄성변형부(58)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반원형 감김부(54a)를 갖는다. 제1 및 제2 반원형 감김부(52a, 54a) 각각은 제1 및 제2 보스(26a, 26b)에 감아 걸린다. 따라서 제1 및 제2 말단부(52, 54)는 몸체(10)에 고정된다.
와이어 스프링(50)의 제3 탄성변형부(60)는 제1 탄성변형부(56)와 제2 탄성변형부(58)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 탄성변형부(60)는 제1 탄성변형부(56)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는 제1 연장부(60a)와, 제2 탄성변형부(58)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는 제2 연장부(60b)와, 제1 연장부(60a)와 제2 연장부(60b)를 연결하는 둥근연결부(60c)로 구성되어 있다. 제3 탄성변형부(60)는 제1 연장부(60a), 제2 연장부(60b)와 둥근연결부(60c)에 의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역"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와이어 스프링(50)의 제3 탄성변형부(60)는 초기 상태의 제1 위치(P1)에서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56, 58)로부터 경사지게 세워져 있다. 제1 탄성변형부(56), 제2 탄성변형부(58)와 제3 탄성변형부(60)는 안착홈(42)에 안착되어 있다. 슬라이더(30)가 수납공간부(18)에 몰입되도록 수용되면, 제3 탄성변형부(60)는 제2 위치(P2)에 배치된다. 제3 탄성변형부(60)가 제2 위치(P2)에 배치되면,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56, 58) 각각에 비틀림력(Torsion force)이 축적된다. 위치결정편(44)은 둥근연결부(60c)의 내면을 지지하여 안착홈(42)에 수용되어 있는 와이어 스프링(50)의 위치를 결정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0)가 수납공간부(18)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56, 58)가 그 초기 위치의 제3 위치(P3)에서 제3 탄성변형부(60)와 이루는 제1 각도(θ1)는 예각으로 형성된다. 제3 탄성변형부(60)가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56, 58)의 비틀림력에 의하여 회전을 시작하는 회전 시작 위치의 제4 위치(P4)에서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56, 58)가 제3 탄성변형부(60)와 이루는 제2 각도(θ2)는 둔각으로 형성된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슬라이더(30)의 잠금돌기(38)들이 잠금구멍(28)들에 로킹되어 있으면, 슬라이더(30)의 회전이 구속되어 수납공간부(18)에 몰입되어 있다. 슬라이더(30)가 수납공간부(18)에 몰입되어 있으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의 전체 외형은 동전과 같이 납작하고 둥근 형태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가 납작한 형태로 퍼팅 그린에 놓이면, 퍼팅된 볼이 닿아 볼의 진행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경기자가 엄지손가락으로 개방단부(20)를 향하여 슬라이더(30)를 밀면, 슬라이더(30)는 수납공간부(18)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더(30)의 선단은 개방단부(20)를 통하여 몸체(10) 밖으로 빠져나온다. 이때, 가이드축(36)들은 가이드구멍(22)들의 직선이동구간(22a)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슬라이더(30)의 직선운동을 안내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와이어 스프링(50)의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56, 58)는 슬라이더(30)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수평력을 부여받아 제3 위치(P3)에서 제4 위(P4)로 탄성변형되면서 수납공간부(18)로부터 슬라이더(30)의 인출을 원활하게 허용한다.
도 2와 도 11을 참조하면, 잠금돌기(38)들은 잠금구멍(28)들로부터 빠져나와 슬라이더(30)의 구속이 해제되고, 가이드축(36)들이 가이드구멍(22)들의 축회전구간(22b)에 위치된다. 슬라이더(30)의 구속이 해제되면, 제3 탄성변형부(60)는 그 탄성복원력과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56, 58)의 비틀림력에 의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되고, 슬라이더(30)는 가이드축(36)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몸체(10)의 상방으로 경사지게 세워진다. 경기자는 슬라이더(30)가 세워져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에 의하여 퍼팅 그린에서 볼의 마크를 실시한다. 경기자는 먼 곳에서도 세워져 있는 슬라이더(30)를 육안으로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한편, 경기자가 엄지손가락으로 세워져 있는 슬라이더(30)를 누르면, 슬라이더(30)는 가이드축(36)들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슬라이더(30)의 회전력에 의하여 제3 탄성변형부(60)가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56, 58)를 향하여 눕혀져 탄성복원력을 보유하게 되고,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56, 58)는 비틀림력을 보유하게 된다. 슬라이더(30)의 하면이 수납공간부(18)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회전이 멈춰지면, 잠금구멍(28)들의 전방에 잠금돌기(38)들이 정렬된다.
경기자가 엄지손가락으로 수납공간부(18)를 향하여 슬라이더(30)를 밀어 넣으면, 가이드축(36)들은 가이드구멍(22)들의 축회전구간(22b)로부터 직선이동구간(22a)으로 이동된다. 제4 위치(P4)에서 제3 위치(P3)로 복귀되는 제3 탄성변형부(60)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수납공간부(18)에 끼워지는 슬라이더(30)의 이동을 보조한다. 가이드축(36)들은 직선이동구간(22a)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잠금돌기(38)들은 잠금구멍(28)들에 끼워져 로킹된다. 따라서 슬라이더(30)는 가이드축(36)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못한다. 슬라이더(30)가 수납공간부(18)에 완전히 끼워지면, 경기자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업 골프볼 마커를 주머니에 넣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21에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는 그린에 놓이는 몸체(110)를 구비한다. 몸체(110)의 링(Ring: 120)은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22)과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공간부(124)를 갖는다. 링(120)의 일측 가장자리에 수납공간부(124)와 연결되는 개방단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공간부(124)의 후방 양측 내면에 수납공간부(1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구멍(128)들이 형성되어 있다. 링(120)의 하면 후방에 가이드구멍(128)들과 연결되도록 한 쌍의 홈(130)들이 형성되어 있다. 링(120)의 하면 후방과 전방에 복수의 스냅훅(Snap hook: 132)들과 복수의 결합돌기(134)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4와 도 19를 참조하면, 몸체(110)는 링(120)의 구멍(122)에 장착되어 있는 톱 플레이트(140), 미들 플레이트(Middle plate: 150)와 보텀 플레이트(Bottom plate: )를 구비한다. 톱 플레이트(140)의 상면 후방에 수납공간부(124)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롯(Slot: 142)이 형성되어 있다. 톱 플레이트(140)의 후단에 스냅훅(132)들이 통과되는 복수의 관통구멍(144)들이 형성되어 있다. 톱 플레이트(140)의 선단에 로크(Lock: 146)가 형성되어 있다.
미들 플레이트(150)는 톱 플레이트(140)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미들 플레이트(150)의 상면 후방과 전방에 스냅훅(132)들과 결합돌기(134)들이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 결합구멍(152, 154)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결합구멍(152)들과 근접하는 미들 플레이트(150)의 일측에 슬롯(142)과 정렬되도록 한 쌍의 관통구멍(156)들이 형성되어 있다. 톱 및 미들 플레이트(140, 150)는 금속을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금속 소재의 톱 및 미들 플레이트(140, 150)는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금속 소재의 미들 플레이트(150)는 경기자의 모자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에 붙일 수 있다. 보텀 플레이트(160)는 미들 플레이트(150)를 가려주도록 구멍(122)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는 수납공간부(18)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회전에 의하여 수납공간부(124)로부터 인출되어 세워지도록 장착되어 있는 슬라이더(170)를 구비한다. 슬라이더(170)는 상하로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80)와 커버 플레이트(200)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플레이트(180)의 후방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축(182)들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축(182)들은 가이드구멍(128)들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며, 가이드구멍(128)들의 전방에 위치되어 슬라이더(170)의 회전을 허용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180)의 하면에 제1 홈(184)과 제2 홈(18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4,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플레이트(180)의 하면 양측에 제1 홈(184)과 근접되도록 한 쌍의 로킹캠(Locking cam: (188)들이 형성되어 있다. 로킹캠(188)들은 슬라이딩 플레이트(180)의 선단에서 후단을 향하여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높이가 높은 제1 턱(188a)과 제1 턱(188a)의 높이보다 높이가 낮은 제2 턱(188b)을 갖는다. 로킹캠(188)들의 전방과 후방 각각에 한 쌍의 제1 위치결정홈(190)들과 한 쌍의 제2 위치결정홈(192)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플레이트(180)의 후단과 근접하는 하면에 복수의 보스(194)들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200)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80)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200)의 선단과 근접하는 위치에 로크(146)의 잠금을 위하여 제2 홈(186)과 정렬되는 잠금구멍(202)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146)의 상단은 초기 위치에서 슬라이더(170)의 잠금구멍(202)을 통하여 제2 홈(186)에 수용된다. 커버 플레이트(200)의 후단과 근접하는 위치에 보스(194)들이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구멍(204)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 13, 도 14와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는 슬라이더(170)가 가이드축(182)들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 부재로 와이어 스프링(210)을 구비한다. 와이어 스프링(210)은 가는 와이어를 벤딩에 의하여 만든다. 와이어 스프링(210)은 제1 및 제2 감김부(212, 214), 제1 및 제2 연장부(216, 218),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220, 222), 제1 및 제2 지지부(224, 226)와 연결부(228)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감김부(212, 214)는 와이어 스프링(2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감김부(212, 214)는 몸체(110)에 결합되도록 홈(130)들에 수용되어 있다. 제1 및 제2 감김부(212, 214)의 하부는 슬롯(142)을 통하여 관통구멍(156)들에 각각 끼워져 있다. 제1 및 제2 연장부(216, 218)는 제1 및 제2 감김부(212, 214)의 일측으로부터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연장부(216, 218)는 링(120)의 하면에 지지되어 있다.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220, 222)는 서로를 향하여 제1 및 제2 감김부(212, 214)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서로 정렬되어 있다.
제1 및 제2 지지부(224, 226)는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220, 222)의 말단으로부터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220, 22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및 제2 지지부(224, 226)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80)와 커버 플레이트(200)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연결부(228)는 제1 및 제2 지지부(224, 226)의 말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220, 222)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228)는 제1 홈(184)에 수용되어 있고, 슬라이딩 플레이트(180)와 커버 플레이트(200)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몸체(110)의 로크(146)가 슬라이더(170)의 잠금구멍(202)에 로킹되어 있으면, 슬라이더(170)의 회전이 구속되어 수납공간부(124)에 몰입되어 있다. 슬라이더(170)가 수납공간부(124)에 몰입되어 있으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의 전체 외형은 동전과 같이 납작하고 둥근 형태를 이룬다.
도 15와 도 17을 참조하면, 슬라이더(170)가 수납공간부(124)에 몰입되어 있는 초기 위치, 즉 슬라이더(17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와이어 스프링(210)의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220, 222)는 제1 위치결정홈(190)들에 위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220, 222) 각각은 비틀림력을 보유하고 있다. 로킹캠(188)의 제1 턱(188a)은 위치결정홈(190)들에 위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220, 222)에 걸린다. 따라서 슬라이더(170)는 작은 미는 힘이나 충격력에 의하여 수납공간부(124)로부터 인출되지 못한다.
도 17과 도 21을 참조하면, 경기자가 엄지손가락으로 개방단부(126)를 향하여 슬라이더(170)를 밀면, 슬라이더(170)는 수납공간부(1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더(170)의 선단은 개방단부(126)를 통하여 몸체(110) 밖으로 빠져나온다. 이때, 가이드축(182)들은 가이드구멍(128)들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슬라이더(170)의 직선운동을 안내한다. 경기자가 슬라이더(170)를 미는 힘에 의하여 로킹캠(188)들의 제1 턱(188a)은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220, 222)를 넘어서 슬라이더(170)의 슬라이딩을 허용한다. 로크(146)는 잠금구멍(202)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로킹해제위치에 위치된다.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220, 222)는 슬라이더(170)의 슬라이딩에 따라 제2 턱(188b)을 지나 제2 위치결정홈(190)에 위치되어 있다.
도 12, 도 16과 도 21을 참조하면, 와이어 스프링(210)의 제1 및 제2 지지부(224, 226)와 연결부(228)는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220, 222)의 비틀림력에 의하여 슬라이더(170)의 열림 위치, 즉 몸체(110)에 근접되어 있다가 몸체(110)로부터 펼쳐진다. 따라서 슬라이더(170)는 가이드축(182)들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몸체(110)의 상방으로 경사지게 세워진다. 경기자는 먼 곳에서도 세워져 있는 슬라이더(30)를 육안으로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경기자가 엄지손가락으로 세워져 있는 슬라이더(170)를 누르면, 슬라이더(170)는 가이드축(182)들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슬라이더(170)의 회전력에 의하여 제1 및 제2 지지부(224, 226)와 연결부(228)는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220, 222)를 향하여 눕혀지고,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220, 222)는 비틀림력을 보유하게 된다. 슬라이더(170)의 하면이 수납공간부(124)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회전이 멈춰지면, 로크(146)는 잠금구멍(202)에 정렬된다.
경기자가 엄지손가락으로 수납공간부(124)를 향하여 슬라이더(170)를 밀어 넣으면, 가이드축(182)들은 가이드구멍(128)들을 따라 이동된다. 로킹캠(188)들의 제2 턱(188b)은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220, 222)들을 원활하게 넘으며, 로킹캠(188)들은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220, 222)들을 원활하게 지나 슬라이더(170)의 슬라이딩을 허용한다. 로크(146)가 잠금구멍(202)에 로킹되면, 슬라이더(170)의 회전이 구속된다. 슬라이더(170)가 수납공간부(124)에 완전히 끼워지면, 경기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슬라이더업 골프볼 마커를 주머니에 넣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몸체 12: 베이스 플레이트
14: 톱 플레이트 18: 수납공간부
20: 개방단부 22: 가이드구멍
28: 잠금구멍 30: 슬라이더
32: 슬라이딩 플레이트 34: 커버 플레이트
36: 가이드축 38: 잠금돌기
42: 안착홈 44: 위치결정편
50: 와이어 스프링 52: 제1 말단부
54: 제2 말단부 56: 제1 탄성변형부
58: 제2 탄성변형부 60: 제3 탄성변형부
110: 몸체 120: 링
124: 수납공간부 126: 개방단부
140: 톱 플레이트 142: 슬롯
146: 로크 150: 미들 플레이트
160: 보텀 플레이트 170: 슬라이더
180: 슬라이딩 플레이트 188: 록킹캠
200: 커버 플레이트 210: 와이어 스프링
212: 제1 감김부 214: 제2 감김부
220: 제1 탄성변형부 222: 제2 탄성변형부

Claims (14)

  1. 상부가 트여 있는 수납공간부를 가지며, 가장자리에 수납공간부와 연결되는 개방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수납공간부에 상기 개방단부를 통하여 슬라이딩과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슬라이더와;
    상기 몸체와 상기 슬라이더를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가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몸체를 따라 일정 거리까지 슬라이딩된 후 상기 몸체에 대하여 회전되어 세워지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는 와이어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상기 수납공간부의 후방에 근접하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말단부와;
    상기 수납공간부의 후방에 근접하는 상기 몸체의 타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2 말단부와;
    상기 제1 말단부로부터 상기 제2 말단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제1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2 말단부로부터 상기 제1 말단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제2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1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2 탄성변형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의 회전을 위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있는 제3 탄성변형부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탄성변형부는,
    상기 제1 탄성변형부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탄성변형부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는 제2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를 연결하는 둥근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말단부는 상기 제1 탄성변형부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반원형 감김부를 가지고, 상기 제2 말단부는 상기 제2 탄성변형부에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반원형 감김부를 가지며, 상기 수납공간부에 근접하는 상기 몸체의 양측에 제1 보스와 제2 보스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반원형 감김부와 상기 제2 반원형 감김부 각각은 상기 제1 보스와 상기 제2 보스에 감아 걸려 있는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2 탄성변형부가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3 탄성변형부와 이루는 제1 각도는 예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3 탄성변형부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회전을 시작하는 회전 시작 위치에서 상기 제1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2 탄성변형부가 상기 제3 탄성변형부와 이루는 제2 각도는 둔각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업 휴대 단말기용 와이어 스프링.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하로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수납공간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수납공간부에 끼워져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제1 탄성변형부, 상기 제2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3 탄성변형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탄성변형부는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1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2 탄성변형부로부터 경사지게 세워져 있고, 세워져 있는 상기 제3 탄성변형부는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의하여 탄성변형되어 상기 안착홈에 수용되어 있는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부의 전방 양측 내면에 한 쌍의 잠금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잠금구멍들에 로킹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한 쌍의 잠금돌기들이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 양측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
  9.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수납공간부의 후방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구멍들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구멍들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구멍들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구멍들의 전방에서 회전되는 한 쌍의 가이드축들을 갖는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하로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톱 플레이트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구멍들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톱 플레이트의 계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구멍들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축들이 슬라이딩되는 직선이동구간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축들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상기 직선이동구간의 전방에 연결되어 있는 축회전구간을 갖는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와이어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부의 후방에 근접하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 감김부와;
    상기 제1 및 제2 감김부로부터 서로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의 초기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비틀림력을 보유하는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 지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의 말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방에 로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크가 로킹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잠금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 한 쌍의 로킹캠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킹캠들은 상기 슬라이더의 선단에서 후단을 향하여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높이가 높은 제1 턱과 상기 제1 턱의 높이보다 높이가 낮은 제2 턱을 가지며, 상기 로킹캠들의 전방과 후방에 상기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가 위치되도록 한 쌍의 제1 위치결정홈들과 한 쌍의 제2 위치결정홈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수납공간부의 후방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구멍들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구멍들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구멍들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구멍들의 전방에서 회전되는 한 쌍의 가이드축들을 갖는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
KR1020100026104A 2009-12-02 2010-03-24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 KR101151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8532 WO2011068348A2 (ko) 2009-12-02 2010-11-30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18780 2009-12-02
KR1020090118780 2009-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249A true KR20110063249A (ko) 2011-06-10
KR101151311B1 KR101151311B1 (ko) 2012-06-08

Family

ID=4439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104A KR101151311B1 (ko) 2009-12-02 2010-03-24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3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735B1 (ko) * 2011-08-19 2013-06-19 양경옥 골프 볼 마커
KR101658500B1 (ko) 2015-12-07 2016-09-30 시명순 골프 볼 마커를 구비한 그린 보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5373A (ko) 2019-12-13 2021-06-23 이희동 골프장 잔디 보수용 도구
KR200497908Y1 (ko) * 2021-07-12 2024-04-02 주식회사 만을 골프 볼 마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8430B1 (en) 1999-04-07 2002-08-06 Catherine M. Chong Retractable ball mark repair tool and ball marker
KR200311769Y1 (ko) 2003-01-28 2003-05-01 강흥덕 목걸이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735B1 (ko) * 2011-08-19 2013-06-19 양경옥 골프 볼 마커
KR101658500B1 (ko) 2015-12-07 2016-09-30 시명순 골프 볼 마커를 구비한 그린 보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311B1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1311B1 (ko)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
US20060234813A1 (en) Golf ball marker
US6758762B2 (en) Golf club grip in combination with ball marker and divot repairer
US20070082758A1 (en) Divot repair and ball marker tool
KR101211534B1 (ko) 골프공 홀더
WO2011068348A2 (ko) 슬라이드업 골프볼 마커
KR100964534B1 (ko) 파지부재가 마련된 골프티
KR101985135B1 (ko) 골프공의 라인 마킹 세트
KR20120003412A (ko) 골프공의 라인 마킹장치
KR101828468B1 (ko) 클립부를 갖는 골프공마커
KR200363895Y1 (ko) 휴대용 골프공 케이스
KR20090121160A (ko) 골프용 볼마커 보관함
KR20170033274A (ko) 골프 퍼팅 장치
KR200410169Y1 (ko) 골프 티의 휴대용구
KR101028636B1 (ko) 골프용 볼 마크가 구비된 팔찌
KR200479225Y1 (ko) 골프공용 라인 마커
JP3193933U (ja) ゴルフパター練習具
KR102554435B1 (ko) 골프공 라이너
WO2006080859A1 (en) Button clip for ball marker
JP6235086B1 (ja) ゴルフ用のマーカー
KR200478458Y1 (ko) 골프공용 라인 마커
KR200411430Y1 (ko) 방향 지시형 골프티
KR200494317Y1 (ko) 다기능 릴 홀더
KR200427076Y1 (ko) 골프 볼마커 수납장치
KR102254049B1 (ko) 골프용 머니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