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2139A - 입력 처리 방법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입력 처리 방법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2139A
KR20110062139A KR1020090118731A KR20090118731A KR20110062139A KR 20110062139 A KR20110062139 A KR 20110062139A KR 1020090118731 A KR1020090118731 A KR 1020090118731A KR 20090118731 A KR20090118731 A KR 20090118731A KR 20110062139 A KR20110062139 A KR 20110062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ed
tapping
range
axis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2883B1 (ko
Inventor
이성일
최지호
송교현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18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883B1/ko
Publication of KR20110062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전자 기기의 입력 처리 기술이 개시된다. 개시된 기술 중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사용자의 탭핑이 가능한 복수의 표면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표면들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가해진 사용자의 탭핑에 응답하여, 상기 탭핑이 가해진 표면 및 상기 탭핑의 세기가 속하는 범위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복수의 동작들 중에서, 상기 검출된 표면 및 상기 검출된 범위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입력 처리 방법 및 전자 기기 {input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개시된 기술은 전자 기기의 입력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지만 제한됨이 없이는(more particularly, but not exclusively), 사용자 친화적이면서 편리한 입력 방식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 전화기 중 모션을 인식할 수 있는 몇몇 휴대 전화기의 경우,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를 잡고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모션을 취하면 그 모션을 숫자나 문자로 인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하지만, 모션 인식의 경우, 사용자마다 취하는 모션이 모두 다를 뿐만 아니라, 하나의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해 들이는 수고가 너무 커서 실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개시된 기술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자 기기의 입력 처리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개시된 기술의 일 측면은 복수의 표면들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면들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가해진 사용자의 탭핑에 응답하여, 상기 탭핑이 가해진 표면 및 상기 탭핑의 세기가 속하는 범위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복수의 동작들 중에서, 상기 검출된 표면 및 상기 검출된 범위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작들은 복수의 심벌들 중에서, 상기 검출된 표면 및 상기 검출된 범위에 대응되는 심벌이 입력된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심벌들은 숫자, 자음, 모음, 알파벳, 및 특수 기호를 포함한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작들은 복수의 동작 명령들 중에서, 상기 검출된 표면 및 상기 검출된 범위에 대응되는 동작 명령에 따른 동작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작 명령들은 상기 전자 기기에서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명령,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명령,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전력 사용 형태를 변화시키는 명령을 포함한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탭핑이 가해진 표면의 세부 위치를 더 검출하고, 상기 동작부는 상기 검출된 표면, 상기 검출된 세부 위치 및 상기 검출된 범위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탭핑의 횟수를 더 검출하 고, 상기 동작부는 상기 검출된 표면, 상기 검출된 범위, 및 상기 검출된 횟수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로 입력된 연속적인 탭핑의 횟수를 상기 검출된 횟수로 결정한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가해진 탭핑의 횟수를 상기 검출된 횟수로 결정한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탭핑이 가해진 표면의 세부 위치 및 상기 탭핑의 횟수를 검출하고, 상기 동작부는 상기 검출된 표면, 상기 검출된 세부 위치, 상기 검출된 범위, 및 상기 검출된 횟수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개시된 기술의 다른 측면은 복수의 표면들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 각 축의 가속도 값을 센싱하는 2개의 3축 가속도 센서; 상기 센싱된 가속도 값들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표면들 중 사용자의 탭핑이 가해진 표면 및 상기 탭핑이 가해진 표면의 세부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복수의 동작들 중에서, 상기 검출된 표면 및 상기 검출된 세부 위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들은,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들을 가상 연결하는 직선이 상기 복수의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와는 법선 관계가 되지 않도록, 상기 전자 기기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면들은 직육면체를 형성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들은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들을 가상 연결하는 직선이 상기 직육면체의 6면 각각에 투영하였을 때, 각 면을 이루는 4개의 직선에 평행하지 않도록 배치된 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센싱된 가속도 값을 축별로 합산하고, 상기 합산된 가속도 값들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표면들 중 사용자의 탭핑이 가해진 표면을 검출하는 표면 검출부; 및 상기 표면 검출부에서 검출된 표면에 대한 정보 및 적어도 한 축에 대한 가속도 값들의 상대적 차이를 기초로, 상기 세부 위치를 검출하는 세부 위치 검출부를 포함한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센싱된 가속도 값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표면들 중 지구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표면을 상기 검출된 표면으로 결정하는 표면 검출부; 및 상기 표면 검출부에서 검출된 표면에 대한 정보 및 적어도 한 축에 대한 가속도 값들의 상대적 차이를 기초로, 상기 세부 위치를 검출하는 세부 위치 검출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개시된 기술의 또 다른 측면은 복수의 표면들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의 입력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면들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가해진 사용자의 탭핑에 응답하여, 상기 탭핑이 가해진 표면 및 상기 탭핑의 세기가 속하는 범위를 검출하는 단계; 및 복수의 동작들 중에서, 상기 검출된 표면 및 상기 검출된 범위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 처리 방법은 상기 탭핑이 가해진 표면의 세부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표면, 상기 검출된 세부 위치, 및 상기 검출된 범위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 처리 방법은 상기 탭핑의 횟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표면, 상기 검출된 범위, 및 상기 검출된 횟수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개시된 기술의 또 다른 측면은 개시된기술의 방법을 컴퓨터 상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수록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사용자 친화적이면서 편리한 입력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시야 등이 열악한 환경(장애인, 또는 극장 등의 어두운 환경)에서도 불편함이 없이 다양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미세한 동작(예컨대,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상에 촘촘히 박힌 키, 심벌, 아이콘을 정확히 터치하는 동작)을 요구함이 없이, 다양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다양한 검출 대상(예컨대, 세기 등)을 통하여 기존의 방식보다 다양한 입력 및 그에 따른 다양한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을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가능 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및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기재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 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기술한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복수의 표면(surface)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전자 기기의 예로는, 도 2에 도시된 다면체(예컨대, 직육면체 등) 형상의 휴대폰, PDA 등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는 검출부(110) 및 동작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출부(110)는 상기 복수의 표면들 중 어느 하나의 표면 에 가해진 사용자의 탭핑(tapping)에 응답하여, 상기 탭핑이 가해진 표면 및 상기 탭핑의 세기가 속하는 범위를 검출하고, 동작부(120)는 복수의 동작들 중에서, 상기 검출된 표면 및 상기 검출된 범위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탭핑은 표면에 손가락, 기타 물체(예컨대, 스타일러스 펜) 등을 통하여 힘을 가하는 동작(예컨대, 툭 치는 동작)을 의미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작들은 복수의 심벌들 중에서, 상기 검출된 표면 및 상기 검출된 범위에 대응되는 심벌이 입력된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심벌들은 숫자, 자음, 모음, 알파벳, 및 특수 기호를 포함한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가 휴대폰인 경우, 사용자는 탭핑을 통하여 발신할 전화 번호, 문자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작들은 복수의 동작 명령들 중에서, 상기 검출된 표면 및 상기 검출된 범위에 대응되는 동작 명령에 따른 동작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작 명령들은 상기 전자 기기에서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명령,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명령, 상기 전자 기기의 전력 사용 형태를 변화시키는 명령을 포함한다. 일례로, 사용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가 스마트폰인 경우, 탭핑을 통하여 각종 응용 프로그램(예컨대, 웹 브라우저, 미디어 플레이어 등)의 실행/종료, 전화 걸기 동작, 문자 메시지 송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출부(110)는 상기 복수의 표면들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가해진 사용자의 탭핑에 응답하여, 상기 탭핑이 가해진 표면, 상기 탭핑의 세기가 속하는 범위, 및 상기 탭핑이 가해진 표면의 세부 위치를 검출하고, 동작부(120)는 복수의 동작들 중에서, 상기 검출된 표면, 상기 검출된 세부 위치 및 상기 검출된 범위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복수의 동작들의 예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출부(110)는 상기 복수의 표면들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가해진 사용자의 탭핑에 응답하여, 상기 탭핑이 가해진 표면, 상기 탭핑의 세기가 속하는 범위, 및 상기 탭핑의 횟수를 검출하고, 동작부(120)는 상기 검출된 표면, 상기 검출된 범위, 및 상기 검출된 횟수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복수의 동작들의 예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출부(110)는 상기 복수의 표면들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가해진 사용자의 탭핑에 응답하여, 상기 탭핑이 가해진 표면, 상기 탭핑의 세기가 속하는 범위, 상기 탭핑이 가해진 표면의 세부 위치, 및 상기 탭핑의 횟수를 검출하고, 동작부(120)는 상기 검출된 표면, 상기 검출된 세부 위치, 상기 검출된 범위, 및 상기 검출된 횟수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복수의 동작들의 예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에서는, 검출부(110)가 상기 탭핑이 가해진 표면, 상기 탭핑의 세기가 속하는 범위, 상기 탭핑이 가해진 표면의 세부 위치, 및 상기 탭핑의 횟수 등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2 및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의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는, 대략적으로 직육면체의 외형을 가진 휴대폰(200)과 휴대폰(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3축 가속도 센서(260)가 도시되어 있다.
3축 가속도 센서(260)는 각 방향(210, 220, 230, 240, 250)으로의 탭핑(tapping)에 응답하여, 탭핑에 따른 각축의 가속도를 센싱하고,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축에 대한 가속도 값들을 출력한다. 한편, 휴대폰(200)의 후면(미도시)도 마찬가지의 탭핑이 적용되고, 검출될 수 있음은 이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도 3에서, 세로축은 3축 가속도 센서(260)의 3축의 아날로그 값에 대응되는디지털 값(이하, 가속도 값)으로서, 3축 가속도 센서(260)와 연결된 A/D(Analog-to-Digital) 변환기(미도시)의 출력 값이라 볼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가로축은 시간에 대응되는 디지털 샘플 인덱스를 나타낸다.
도 3에서, 320 영역은 도 2의 탭핑(220)이 가해지는 표면을 지구 중심으로부터 먼 방향으로 위치시킨 후, 탭핑(210)을 해당 표면에 가했을 때의 가속도 값들이 차지하는 영역이다. 상술한 환경에서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은 양의 방향으로 중력 가속도를 받으므로, 전반적으로 y축이 나머지 축(x, z)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디지털 값들을 가지며, 그 중에서도 2번의 탭핑에 따라 작은 디지털 값들을 가지는 영역 중에서 피크(peak) 값들(322, 324)이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피크 값들(322, 324)는 탭핑의 세기에 비례하는 값을 갖는다.
도 3에서의 나머지 영역(310, 330, 340, 350)에서도 마찬가지 원리로 설명된 다.
도 4는 도 1의 전자 기기에 대한 구현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400)는 3축 가속도 센서(410), A/D 변환기(420), 검출부(430), 및 동작부(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례로, 도 1의 검출부(110)는 도 4의 3축 가속도 센서(410), A/D 변환기(420), 검출부(430)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의 동작부(120)는 도 4의 동작부(440)에 대응될 수 있다. 일례로, 검출부(430)는 각종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예컨대, 휴대폰, PDA에 임베디드된 CPU, 부가적인 프로세서 등)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동작부(440)는 해당 전자 기기(400)의 특성에 따른 기타 회로들(예컨대, 전화 걸기를 위한 모듈, 입력 심벌에 따라 디스플레이 등의 처리를 수행하는 모듈,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모듈, 전자 기기의 Power On/Off 등의 전원 상태를 제어하는 모듈 등)로 구현될 수도 있다.
3축 가속도 센서(410)는 각 축의 가속도를 센싱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한다.
A/D 변환기(420)는 3축 가속도 센서(410)로부터 제공받은 각 축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들(이하, 가속도 값)로 변환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출부(430)는 A/D 변환기(420)로부터 제공되는 가속도 값들을 기초로, 복수의 표면들 중 사용자의 탭핑이 가해진 표면, 상기 탭핑의 세기가 속하는 범위를 검출하고, 동작부(440)는 복수의 동작들 중에서, 상기 검출된 표 면 및 상기 검출된 범위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출부(430)는 A/D 변환기(420)로부터 제공되는 가속도 값들을 기초로, 복수의 표면들 중 사용자의 탭핑이 가해진 표면, 상기 탭핑의 세기가 속하는 범위, 및 상기 탭핑의 횟수를 검출하고, 동작부(440)는 상기 검출된 표면, 상기 검출된 범위, 및 상기 검출된 횟수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검출부(430)가 탭핑의 시점 및 탭핑이 가해진 표면을 검출하는 방법의 예로는 다음과 같다. 일례로 검출부(430)는 미리 저장된 각 기준 패턴(각 표면에 탭핑이 가했을 때의 전형적인 가속도 값들의 패턴)과 현재의 가속도 값들의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되는 기준 패턴이 발생한 시점을 탭핑의 시점으로 결정하고, 일치되는 기준 패턴에 대응되는 표면을 탭핑이 가해진 표면으로 결정하는 패턴 인식 방법(예컨대, matched filter를 사용하거나, 디지털 신호 처리에서 상관값 등을 산출하여, 최대의 상관값을 갖는 기준 패턴을 검출하여, 탭핑된 표면 및 탭핑된 시간을 검출하는 방법 등)을 사용한다. 다른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400)가 대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표면들을 구비하고, x축의 음 또는 양의 방향의 직선들, y축의 음 또는 양의 방향의 직선들, z축의 음 또는 양의 방향의 직선들이 직육면체의 표면들과 법선 관계를 이룰 때, 검출부(4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축의 가속도 값들을 모니터링하고, 국부적으로 피크가 발생되는(또는, 근처의 평균값보다 미리 설정된 문턱치를 초과하는 가속도 값이 발생되는) 축을 검출하고, 피크가 발생되는 시점 및 검출된 축에 법선인 관계인 표면을 탭핑의 시점 및 탭핑이 가해진 표면으로 결정한다. 또 다른 일례로, 사용자가 탭핑할 표면을 지구 중심으로 부터 멀게 위치하도록 사용 방법이 정해진 경우,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력 가속도가 작용하는 표면(예컨대, 지구 중심으로부터 멀게 위치하는 표면)을 지속적으로 트래킹하고, 상기 트래킹되는 표면에 대응되는 축의 가속도 값이 변동되는 시점(예컨대, 피크 값이 발생되는 시점) 및 상기 트래킹되는 표면을 탭핑의 시점 및 탭핑이 가해지는 표면으로 결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검출부(430)가 탭핑의 범위를 검출하는 방법의 예로는, 상기 탭핑의 표면을 검출하는 방법 등으로 검출된 탭핑의 시점에 대응되는 가속도 값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들에 속하는지를 검출하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탭핑의 범위를 검출하는 방법을 예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 세로축은 y축의 가속도 값이고, 가로축은 시간(샘플 인덱스)를 나타낸다. 검출부(4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의 평균 값을 지속적으로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값을 기준으로 얼마나 벗어나는지를 판단하여, 제1 범위 내지 제 7 범위에 속하는지 를 판단한다. 이를 통하여, 중력 가속도에 의한 영향을 배제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4 범위는 탭핑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범위이며, 도 5의 피크 파형이 속하는 제3 범위는 약한 탭핑이 y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범위를 나타낸다. 또한, 제2 및 제1 범위는 중간 세기의 탭핑 및 강한 세기의 탭핑이 y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범위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제5 내지 제7 범위는 y축의 음의 방향으로 탭핑이 약, 중, 강의 세기로 가해지는 범위를 나타낸다. 만약, 도 2에 따라 3차원 가속도 센서가 배치된 경우라면, 검출부(430)는 피크 지점에서 220의 방향으로 약한 탭핑이 가해진 것으로 결정한다.
검출부(430)가 탭핑의 횟수를 검출하는 방법의 예로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로 입력된 연속적인 탭핑의 횟수를 상기 검출된 횟수로 결정하는 방법,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가해진 탭핑의 횟수를 상기 검출된 횟수로 결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작부(440)가 복수의 동작들 중에서, 수행할 동작을 결정하는 방법의 예로는 동작부(440)가 도 6과 같은 룩업 테이블을 구비하여 참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에도 도시된 룩업테이블에는 주소 영역과 동작 영역이 도시되어 있다. 주소 영역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인덱스, 범위 인덱스가 도시되어 있으며, 동작 영역에는 주소 영역에 대응되는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일례로, 도 6을 참조하면, 후면에 강한 세기의 탭핑이 검출되면, 동작부(440)는 3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동작(예컨대, 화면에 0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후속되는 전화번호 값을 대기하기 위해 0을 전화 번호 버퍼에 저장하는 동작 등)을 수행한다.
한편, 주소 인덱스 영역과 동작 인덱스 영역 간의 맵핑 방식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 편의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으며, 또한, 주소 인덱스 영역에는 탭핑의 횟수, 탭핑의 세부 위치가 더 포함되어 보다 다양한 동작 인덱스 맵핑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전자 기기에 대한 다른 구현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700)는 두 개의 3축 가속도 센서(710, 712), A/D 변환기(720), 검출부(730), 및 동작부(7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례로, 도 1의 검출부(110)는 도 7의 3축 가속도 센서들(710, 712), A/D 변환기(720), 검출부(730)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의 동작부(120)는 도 7의 동작부(740)에 대응될 수 있다.
각각의 3축 가속도 센서(710, 712)는 각 축의 가속도를 센싱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한다.
A/D 변환기(720)는 각각의 3축 가속도 센서(710, 712)로부터 제공받은 각 축별 아날로그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탭핑이 가해진 표면, 및 상기 탭핑이 가해진 표면의 세부 위치를 검출하고, 동작부(740)는 상기 검출된 표면, 및 상기 검출된 세부 위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복수의 동작들의 예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3축 가속도 센서들(710, 712)은 3축 가속도 센서들(710,712)을 가상 연결하는 직선이 복수의 표면들 중 적어도 각각에 대한 법선이 되지 않도록, 전자 기기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일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표면들은 직육면체(800)를 형성하고, 3축 가속도 센서들(710, 712)을 가상 연결하는 직선(810)은 상기 직육면체(800)의 6면에 투영하였을 때, 각 면을 이루는 4개의 직선에 평행하지 않는다. 이러한 성질(예컨대, 3축 가속도 센서들이 직육면체의 대각선에 배치되는 성질)은 세부 위치 검출에 이용될 수 있다. 일례로, 직육면체의 앞측 표면(840)의 세부 위치(830)에 탭핑(820)이 가해진 경우, 탭핑된 세부 위치(830)와 가까운 3축 가속도 센서(710)의 z축의 가속도 값 크기가 3축 가속도 센서(712)의 z축의 가속도 값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따라서, 검출부(730)는 이러한 상대적 크기를 기초로 앞측 표면(840)의 상반부에 탭핑됨을 검출할 수 있다. 나머지 표면에 대한 세부 위치 검출도 마찬가지 원리로 설명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부(730)는 표면 검출부(732) 및 세부 위치 검출부(7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표면 검출부(732)는 가속도 값을 축별로 합산하고, 상기 합산된 가속도 값들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표면들 중 사용자의 탭핑이 가해진 표면을 검출하고, 세부 위치 검출부(734)는 상기 표면 검출부(732)에서 검출된 표면에 대한 정보 및 적어도 한 축에 대한 가속도 값들의 상대적 차이를 기초로, 상기 세부 위치를 검출한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표면 검출부(732)는 가속도 값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표면들 중 지구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표면을 상기 검출된 표면으로 결정하고, 세부 위치 검출부(734)는 상기 표면 검출부(732)에서 검출된 표면에 대한 정보 및 적어도 한 축에 대한 가속도 값들의 상대적 차이를 기초로, 상기 세부 위치를 검출한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출부(730)는 상기 탭핑의 세기가 속하는 범위, 및/또는 상기 탭핑의 횟수를 더 검출하고, 동작부(740)는 상기 검출된 표면, 상기 검출된 세부 위치, 상기 검출된 범위, 및/또는 상기 검출된 횟수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복수의 동작들의 예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입력 처리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의 실시예는 도 1의 전자 기기(100)의 동작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나열한 것이므로, 도 1 이하에서 설명한 내용은 도 9의 실시예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S910에서, 검출부(110)는 사용자에 의한 탭핑을 대기한다.
S920에서, 검출부(110)는 사용자에 의한 탭핑을 감지하여, 대상(예컨대, 탭핑이 가해진 표면, 탭핑의 범위, 탭핑의 횟수, 및 탭핑의 세부 위치)를 검출한다.
S930에서, 동작부(120)는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대상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고, 다시 대기 단계인 S910로 복귀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컴퓨터라 함은 협의의 컴퓨터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기록매체에 기록된 코드를 실행시킬 수 있는 기기일 뿐, 협의의 에 따른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각종 기기를 의미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패킷이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사용자 친화적이면서 편리한 입력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시야 등이 열악한 환경(장애인, 또는 극장 등의 어두운 환경)에서도 불편함이 없이 다양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미세한 동작(예컨대,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상에 촘촘히 박힌 키, 심벌, 아이콘을 정확히 터치하는 동작)을 요구함이 없이, 다양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다양한 검출 대상(예컨대, 세기 등)을 통하여 기존의 방식보다 다양한 입력 및 그에 따른 다양한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의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전자 기기에 대한 구현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탭핑 세기의 범위를 검출하는 방법을 예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룩업 테이블을 예시한다.
도 7은 도 1의 전자 기기에 대한 다른 구현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세부 위치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입력 처리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Claims (18)

  1. 복수의 표면들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면들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가해진 사용자의 탭핑에 응답하여, 상기 탭핑이 가해진 표면 및 상기 탭핑의 세기가 속하는 범위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복수의 동작들 중에서, 상기 검출된 표면 및 상기 검출된 범위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작들은
    복수의 심벌들 중에서, 상기 검출된 표면 및 상기 검출된 범위에 대응되는 심벌이 입력된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심벌들은
    숫자, 자음, 모음, 알파벳, 및 특수 기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작들은
    복수의 동작 명령들 중에서, 상기 검출된 표면 및 상기 검출된 범위에 대응되는 동작 명령에 따른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작 명령들은
    상기 전자 기기에서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명령,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명령,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전력 사용 형태를 변화시키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탭핑이 가해진 표면의 세부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동작부는 상기 검출된 표면, 상기 검출된 세부 위치 및 상기 검출된 범위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탭핑의 횟수를 검출하고,
    상기 동작부는 상기 검출된 표면, 상기 검출된 범위, 및 상기 검출된 횟수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로 입력된 연속적인 탭핑의 횟수를 상기 검출된 횟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가해진 탭핑의 횟수를 상기 검출된 횟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탭핑의 횟수를 검출하고,
    상기 동작부는 상기 검출된 표면, 상기 검출된 세부 위치, 상기 검출된 범위, 및 상기 검출된 횟수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복수의 표면들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
    각 축의 가속도 값을 센싱하는 2개의 3축 가속도 센서;
    상기 센싱된 가속도 값들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표면들 중 사용자의 탭핑이 가해진 표면 및 상기 탭핑이 가해진 표면의 세부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복수의 동작들 중에서, 상기 검출된 표면 및 상기 검출된 세부 위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들은,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들을 가상 연결하는 직선이 상기 복수의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와는 법선 관계가 되지 않도록, 상기 전자 기기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면들은 직육면체를 형성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들을 가상 연결하는 직선은 상기 직육면체의 6면 각각에 투영하였을 때, 각 면을 이루는 4개의 직선에 평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센싱된 가속도 값을 축별로 합산하고, 상기 합산된 가속도 값들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표면들 중 사용자의 탭핑이 가해진 표면을 검출하는 표면 검출부; 및
    상기 표면 검출부에서 검출된 표면에 대한 정보 및 적어도 한 축에 대한 가속도 값들의 상대적 차이를 기초로, 상기 세부 위치를 검출하는 세부 위치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센싱된 가속도 값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표면들 중 지구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표면을 상기 검출된 표면으로 결정하는 표면 검출부; 및
    상기 표면 검출부에서 검출된 표면에 대한 정보 및 적어도 한 축에 대한 가속도 값들의 상대적 차이를 기초로, 상기 세부 위치를 검출하는 세부 위치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5. 복수의 표면들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의 입력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면들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가해진 사용자의 탭핑에 응답하여, 상기 탭핑이 가해진 표면 및 상기 탭핑의 세기가 속하는 범위를 검출하는 단계; 및
    복수의 동작들 중에서, 상기 검출된 표면 및 상기 검출된 범위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탭핑이 가해진 표면의 세부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표면, 상기 검출된 세부 위치, 및 상기 검출된 범위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탭핑의 횟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표면, 상기 검출된 범위, 및 상기 검출된 횟수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18. 제15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 상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수록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90118731A 2009-12-02 2009-12-02 입력 처리 방법 및 전자 기기 KR101172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731A KR101172883B1 (ko) 2009-12-02 2009-12-02 입력 처리 방법 및 전자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731A KR101172883B1 (ko) 2009-12-02 2009-12-02 입력 처리 방법 및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139A true KR20110062139A (ko) 2011-06-10
KR101172883B1 KR101172883B1 (ko) 2012-08-09

Family

ID=44396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731A KR101172883B1 (ko) 2009-12-02 2009-12-02 입력 처리 방법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8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355B1 (ko) * 2011-07-08 2013-09-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3302B2 (ja) 2007-01-19 2012-01-11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用コマンド入力装置および携帯端末用コマンド入力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355B1 (ko) * 2011-07-08 2013-09-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883B1 (ko) 201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52580B1 (en) Using movement of a computing device to enhance interpretation of input events produced when interacting with the computing device
CN103262008B (zh) 智能无线鼠标
US20150109221A1 (en)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terminal for unlocking
CN104423855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563948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20100129424A (ko) 터치스크린의 접촉위치 및 접촉힘의 세기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1784981A (zh) 用于操纵显示图像的方法和装置
JPWO2010049997A1 (ja) 携帯端末および入力制御方法
CN102981743A (zh) 控制操作对象的方法及电子设备
EP304600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put method, and program
CN104850339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EP2806342A1 (en) Electronic device
CN108646970A (zh) 显示控制方法及相关产品
US20170285784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that stores control program
JP6081324B2 (ja) 操作入力装置、携帯型情報端末、操作入力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172883B1 (ko) 입력 처리 방법 및 전자 기기
JP6488081B2 (ja) 表示画面を備えた端末装置を用いた周囲雑音による注意散漫の低減
CN102750022B (zh) 触控式装置的数据撷取方法及系统
WO2013103181A1 (ko) 모션센서를 이용한 텍스트 에디터의 커서 이동 방법, 그리고 모션센서를 이용한 텍스트 에디터의 커서 이동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N103870139A (zh) 一种调用输入界面的方法及电子设备
US100614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2407866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a location of a touch
US20170336881A1 (en) Discrete cursor movement based on touch input region
WO2014148095A1 (ja) 端末装置及び操作ロック解除方法
JP2013222322A (ja) 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タッチパネルにおける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