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1737A - Korean alphabets arrangement of unified keypad with selectable input modes for mobile devices - Google Patents

Korean alphabets arrangement of unified keypad with selectable input modes for mobile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1737A
KR20110061737A KR1020090118238A KR20090118238A KR20110061737A KR 20110061737 A KR20110061737 A KR 20110061737A KR 1020090118238 A KR1020090118238 A KR 1020090118238A KR 20090118238 A KR20090118238 A KR 20090118238A KR 20110061737 A KR20110061737 A KR 20110061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hangul
keyboard
input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2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98727B1 (en
Inventor
김국
Original Assignee
김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 filed Critical 김국
Priority to KR1020090118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727B1/en
Publication of KR20110061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7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7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PURPOSE: A Korean alphabet keyboard layout integrated type keyboard of a portable apparatus is provided to conveniently select an input mode and to integrately use a keyboard regardless of the kind of keyboards. CONSTITUTION: A Korean alphabet keyboard layout integrated type keyboard includes a vowel part(100). Three keys are arranged in the vowel part. Three keys are sequentially inputted. Six keys for 19 consonants and one key for one consonant are separately arranged in Korean alphabet keyboard layout integrated type keyboard.

Description

입력 모드 선택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의 한글 배열 통합형 자판{Korean Alphabets Arrangement of Unified Keypad with Selectable Input Modes for Mobile Devices}Korean Alphabets Arrangement of Unified Keypad with Selectable Input Modes for Mobile Devices}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의 한글 자판의 배열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글의 자음 모음 24개와 쌍자음 5개를 포함한 29개를 모음역 및 자음역의 2 영역으로 배열하고 모드 별로 입력이 가능하게 한 휴대용 기기의 한글 배열 통합형 자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Hangul keyboard of a portable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29 Hangul consonants including 24 consonants and 5 consonants are arranged in two regions of the vowel and consonant bands and can be input for each mode. It relates to a Hangul array integrated keyboard of a portable device.

종래의 기술에서는 예컨대 휴대전화의 한글 배열에 다양한 종류가 있어서 사용자가 다른 기종으로 바꿀 때 역학습 때문에 속도 저하와 오류 발생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불필요하게 다수의 키를 사용하고 이동거리가 상대적으로 길어서 문자 입력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반해, 본 발명은 어떠한 입력 모드이더라도 기본적으로 같은 배열을 사용토록 하여 혼동없이 최적화를 기하였다. In the related art, for example, there are various types of Hangul arrangements of mobile phones, and there are inconveniences of speed reduction and error occurrence due to dynamic learning when a user switches to another model. In addition, the use of a large number of keys unnecessarily and the moving distance is relatively long, which takes a lot of time when entering characters, the present invention is optimized to use without any confusion by basically using the same arrangement in any input mode.

또한, 종래의 문자판 배열은 모음, 자음의 구현에, 연타, 변환, 합성의 원리가 본 발명에 비해 비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불편함과 배열 간의 차이가 컸고 기종마다 달리 배열되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었다. 여기서 연타라 함은 한 키 를 제자리에서 거푸 누르는 것(tapping)을 말하고, 변환이란 한 키를 누른 뒤에 다른 기능키를 눌러서 문자를 바꾸는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용어이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dial arrangement, the vowel, consonant implementation, the principles of battering, conversion, and synthesis are unstructured compared to the present invention. gave. The term batter refers to tapping one key in place, and conversion refers to changing a character by pressing another function key after pressing one key.

본 발명은 종래의 배열에 비해 배열 모양을 일관화 하였으며, 키패드 12 키 내에서 모든 한글을 구현할 수 있고, 부호문자를 쓸 수 있도록 하였다.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rrangement, the present invention has consistent shape of the arrangement, and all Korean characters can be embodied within the keypad 12 keys, and code characters can be written.

본 발명은 종래의 휴대용 기기의 자판의 한글 배열의 단점을 해결한 것으로, 모음의 입력모드 2 가지, 자음의 입력모드 2 가지를 통합형 배열 형태로 구성하고, 어떤 모드든지 휴대용 기기의 메뉴 설정으로 혼동 없이 가능하게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shortcomings of the Hangul arrangement of the keyboard of a conventional portable device. The input mode of the vowel and the consonant input mode are configured in an integrated arrangement form, and any mode is confused with the menu setting of the portable device. Enabled without.

휴대용 기기 자판의 한글 자모 배열은 가급적 신속하게 오타 없이 한글을 입력하고자 하는 욕구와, 기종에 종속되지 않고 공통적인 자판을 사용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으나 둘 다 현 기술로 미비한 형편이다. The Hangul alphabet arrangement of the portable device keyboard has the desire to input Hangul without typos as quickly as possible, and the desire to use a common keyboard without being dependent on the model, but both are inadequate with the current technology.

일반으로, 휴대용 기기의 한글 배열은 대단히 다양하며 입력방식의 다양함과, 자음 모음용 키 개수의 다양함과, '*'키, '#'키를 일정 규칙없이, 한글을 배열하거나 기능키로 사용하는 등, 무분별하게 사용한 것이 많다. In general, the Hangul arrangement of portable devices is very diverse, the variety of input methods, the number of keys for consonant vowels, and the '*' and '#' keys are arranged without any rules. There are many things used indiscriminately.

또한 예를 들어 '저녁 먹었어'란 문장만으로 평서문인지 의문문인지 판단하는데 있어서 모호할 수 있는데, 이때 의문문을 표현하기 위한 물음표 입력시 특수문자 메뉴를 로드하여 선택하거나 별도 키를 동원하는 등, 그 부호의 입력이 현재로는 불편하게 입력하고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it may be ambiguous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plain text or a question by using only the sentence 'Evening dinner'.In this case, when inputting a question mark to express a question, a special character menu is loaded or selected, or a separate key is used. The input is currently inconvenient.

상기와 같이 기존의 배열들은 문자입력에 군더더기의 손 움직임이 많고, 부호문자의 입력이 불편하고, 무엇보다도 기종별로 배열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xisting arrangements have a lot of hand movements in the character input, the input of code characters is inconvenient, and above all,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because the arrangement form is different for each model.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과거 휴대용 기기의 한글 자판에 비해 입력 모드를 체계적으로 구분하여, 대표적인 통합형 배열 형태로 구성된 입력 모드 선택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의 한글 배열 통합형 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Hangul array integrated keyboard of a portable device capable of selecting an input mode configured in a representative integrated array form by systematically distinguishing the input mode compared to the Hangul keyboard of a portable device in the past. The purpose 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음의 경우 연타 방식이든 천지인 방식이든 3개의 키에 배열하였으며, 자음은 연타방식이든, 변환방식이든 7개의 키에 배열을 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기종에 관계없이 모든 입력 모드를 사용하기 위해서 통합형 한글배열을 하도록 하였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three keys, whether the battered method or the celestial method in the case of vowels, the consonant is arranged to seven keys whether the battered method or the conversion method. And to use all input modes regardless of the model, integrated Hangul arrangement was made.

'*' 키는 기능키로서 자음에만 사용한다. 연타방식의 경우 원칙적으로 ‘문자마침’, 변환방식일 경우 ‘변환키’의 기능이다. 문자구성 중인 상태가 아닌 경우는 *키는 ‘자판 전환키’로 사용된다. The '*' key is used only for consonants as a function key. In the case of the battering method, in principle, it is a function of 'finish the character' and in the case of the conversion method, 'conversion key'. The * key is used as a "keyboard switch key" when the character is not in a state of being composed.

'#' 키는 부호문자 키로서 대표적 예로서 ‘빈칸, 물음표, 마침표, 쉼표, @’표 등의 입력에 쓰인다.The '#' key is a sign character key, which is used for inputting 'blank, question mark, period, comma, and @' as a representative example.

모음의 입력방식(연타, 천지인)과 자음의 입력방식(연타, 변환)에 따르는 모드는 휴대용 기기의 '메뉴'-> '설정' -> '문자입력모드'-> 모드 1, 2, 3, 4(예시)와 같이 설정한다. 대표적 예로 모음 연타방식 및 자음 연타방식은 모드 1, 모음 연타방식 및 자음 변환방식은 모드 2, 모음 천지인방식 및 자음 연타방식은 모드 3, 모음 천지인방식 및 자음 변환방식은 모드 4와 같으며, 모드 식별번호 대신, '모음 연타 자음 연타'와 같이 글로 표시해도 무방하다.The modes according to the vowel input method (battery, celestial person) and the consonant input method (battery, conversion) are as follows: 'Menu'-> 'Setting'-> 'Text input mode'-> Mode 1, 2, 3, Set as 4 (example).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 vowel battering method and the consonant battering method are mode 1, the vowel battering method and the consonant conversion method are mode 2, the vowel battering method and the consonant battering method are mode 3, and the vowel battering method and consonant conversion method are the same as mode 4. Instead of an identification number, you may write it as 'vowel battering consonant battering'.

상기 입력 모드의 선택은, 휴대폰에 4가지 모드를 모두 탑재하여 사용자가 메뉴모드에서 선택하게 할 수 있고, 또는 인터넷과 같은 통신수단에서 원하는 모드를 다운로드하는 방식으로 탑재될 수 있으며, 또는 제조자가 기종 별로 한 가지 모드만 탑재한 뒤,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가 탑재된 기종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메뉴 선택에 의한 방식이 아니라, 입력모드를 통일한 단일 표준형으로 설정하여도 무방하다.The input mode may be selected by the user by selecting all four modes in the cellular phone or by downloading a desired mode from a communication means such as the Internet, or by a manufacturer. After mounting only one mode, the user can select a model equipped with a desired mode. Of course, instead of the menu selection method, the input mode may be set to a single standard type.

본 발명에 따르면, 한글의 자음, 모음 요소를 휴대용 기기 자판에 체계적으로 배열하여, 기종에 관계없이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아울러 '#'키는 부호로 사용하여 문자입력에 편리하게 하였다. 모음 및 자음의 입력 방식은 휴대용 기기의 '메뉴, 설정'으로서 모음의 연타방식 대 천지인방식과, 자음의 연타방식 대 변환방식의 4가지 조합에 의한 모드 1~4 중 선택하게 함으로서 사용자는 자기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문자입력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onant and vowel elements of Hangul are systematically arranged on the keyboard of a portable device, so that they can be used integrally regardless of the model. In addition, the '#' key is used as a sign for convenient character input. The vowel and consonant input method is a 'menu, setting' of a portable device, and the user selects one of the modes 1 to 4 based on four combinations of the vowel battering method and the celestial battering method and the consonant battering method and the conversion metho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for text input in a suitable manner.

혹은 휴대용 기기 제조자가 모드 별로 한 가지만 탑재하여 제조하고 사용자가 모드를 선택하여 구입할 수 있게 하는 경우, 제조비용 절감으로 소비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소비자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Or, if a manufacturer of a portable device manufactures only one mode for each mode and allows a user to select and purchase a mode,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s well as the consumer's choice, and the consumer's choice can be expanded. .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only to the illustrated form, and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ordinary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of the illustrated forms.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3개의 숫자 키, 예를 들어 1번, 2번, 3번 키에(도 1의 100 참조) 모음 연타방식을 위하여 각각 'ㅏㅓ', 'ㅗㅜ', 'ㅣㅡ'를 배열한다. 천지인 방식을 위하여 각각 'ㅣ, ㆍ, ㅡ'를 괄호 ( )로 병기하였다. 병기는 모드의 식별번호에 따라 반대로 해도 무방하다. 화면에서 접촉식으로 입력하는 스크린 터치패드 방식의 경우 괄호 ( )식의 병기가 필요 없고, 모음 혹은 천지인 방식의 선택 모드에 따라 해당 방식만 표시되게 한다. 사용하는 숫자 키는 나란한 3개의 숫자이면 무방하다. 예컨대 ‘1,2,3’키 또는 ‘4,5,6’키, 또는 ‘3,6,9’키 등과 같다. 예시에서는 'ㅣ'가 'ㅡ'보다 빈도가 높으므로 'ㅣ'를 먼저 자리하였다.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three digit keys, for example, 1, 2, 3 (see 100 in Figure 1) for the vowel batting method '각각', 'ㅗ TT', '| 'Is arranged. 'ㅣ, ㆍ, ㅡ' are written in parentheses () for the Cheonjiin method. The staging may be reversed depending on the mode identification number. In the case of the screen touchpad type that is input by the touch type on the screen, parenthesis () type is not required, and only the corresponding method is displayed according to a selection mode of vowel or celestial type. The numeric keys used can be three numbers side by side. For example, the '1,2,3' key or the '4,5,6' key, or the '3,6,9' key. In the example, 'ㅣ' is placed first because 'ㅣ' is more frequent than 'ㅡ'.

나머지 7개의 숫자키(도 1의 200 및 210 참조)에 예를 들어 'ㄱㅋㄲ', 'ㄴㄹㅁ', 'ㄷㅌㄸ', 'ㅂㅍㅃ', 'ㅅㅎㅆ', 'ㅈㅊㅉ', 'ㅇ'을 각각 배열한다. 기본 개념은 키 당 3개 이하의 자음으로서, 평음 격음 격음이 있는 'ㄱ,ㄷ,ㅂ,ㅈ,ㅅ'의 5 가지가 각각 한 개 키를 차지하고, 'ㅇ'의 한 개 키(도 1의 210), 나머지 'ㄴㄹㅁ' 용의 한 개 키로 배열한다. 'ㅇ'을 단독으로 배열하는 것은 문자 입력시 빈도가 제일 높으며, 받침과 초성의 연접이 가장 많기 때문이며 숫자 '0'의 모양과 정합을 꾀하였다. 'ㅎ'은 'ㅅ'의 경우 격음이 아니지만 키당 균형을 위해 'ㅅ'과 'ㅆ' 가 운데에 배열하였다. 이러한 배열은 빈도와 손가락움직임, 향후의 옛글 수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것이다.For the remaining seven numeric keys (see 200 and 210 in Fig. 1), for example, 'ㄱㅋ ㄲ', 'ㄴ ㄹㅁ', 'ㄷㅌ ㄸ', 'ㅂㄷ ㅃ', 'ㅅ ㅎㅆ', 'ㅈ ㅊㅉ', 'ㅇ 'Is arranged respectively. The basic concept is three or less consonants per key, each of which has five keys, 'a', 'c', ',', ',', with a flat vowel sound. 210), and arranged with one key for the remaining 'ㄴ ㄹㅁ'. Arranging 'ㅇ' alone is the most frequent when inputting letters, and the most frequent conjuncts between the base and the initial consonant. 'ㅎ' is not a sound in case of 'ㅅ', but is arranged in the middle of 'ㅅ' and 'ㅆ' to balance per key. This arrangement is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frequency, finger movements, and future writings.

'*' 키(도 1의 300)에는 예를 들어 '기능'이라고 표시를 하였는데 특별히 표시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키(도 1의 400)에는 예를 들어 '→(공백/띄어쓰기) ?(물음표) .(마침점) ,(쉼표), @'의 표시를 하였는데 추가해도, 혹은 순서가 달라도 상관없으며 대표적으로 사용 빈도가 높은 것을 예시한 것이다.The '*' key (300 in FIG. 1) is marked as 'function', for example, but may not be displayed. The '#' key (400 in FIG. 1) is marked with, for example, '→ (space / space)? (Question mark). (Period), (comma), @'. Representatively, the frequency of use is exemplifi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한글 자판의 핵심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3×4 키(12키)를 가지는 통상의 전화기 자판이 도시되었다.1 is a view showing the core configuration of a Hangul keyboar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ypical telephone keyboard having a 3 × 4 key (12 keys) is show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 연타방식은, 3개의 키에 해당하는 모음부(100)에 'ㅏㅓ', 'ㅗㅜ', 'ㅣㅡ'를 각각 배열하고 각각의 키는 'ㅏㅓㅑㅕ', 'ㅗㅜㅛㅠ', 'ㅣㅡㅢ'의 입력 용도로 사용한다. 모음을 구현하는 것은 이들 내에서만 연타 및 합성으로 충분하다. 예를 들어 기본모음 10개의 경우(설명에서 붙여 쓴 것은 연타, +는 키 이동을 의미함), 'ㅏ=ㅏ', 'ㅑ=ㅏㅓㅑ', 'ㅓ=ㅏㅓ', 'ㅕ=ㅏㅓㅑㅕ', 'ㅗ=ㅗ', 'ㅛ=ㅗㅜㅛ', 'ㅜ=ㅗㅜ', 'ㅠ=ㅗㅜㅛㅠ', 'ㅡ=ㅣㅡ', 'ㅣ=ㅣ'와 같다. 이들은 각 한 개 키의 연타로만 충분하다.As shown in FIG. 1, in the vowel battering method, 'ㅏㅓ', 'ㅗ TT', and 'ㅣ ㅡ' are respectively arranged in the vowel unit 100 corresponding to three keys, and each key is 'ㅏㅓ ㅑㅕ', Used for input of 'ㅗ ㅜㅗㅠ', 'ㅣ ㅡ ㅢ'. Implementing vowels is enough for battering and synthesis only within them. For example, in the case of 10 basic vowels (written in the description means battering, + means key movement), 'ㅏ = ㅏ', 'ㅑ = ㅏ ㅓㅑ', 'ㅓ = ㅏㅓ', 'ㅕ = ㅏㅓ ㅑㅕ' , 'ㅗ = ㅗ', 'ㅛ = ㅗ ㅜㅛ', 'ㅜ = ㅗㅜ', 'ㅠ = ㅗ ㅜㅛㅠ', 'ㅡ = ㅣ ㅡ', 'ㅣ = ㅣ'. These are enough for a single bat each.

중모음 11개의 경우에는, 'ㅐ=ㅏ+ㅣ', 'ㅒ=ㅏㅓㅑ+ㅣ', 'ㅔ=ㅏㅓ+ㅣ', 'ㅖ=ㅏㅓㅑㅕ+ㅣ', 'ㅘ=ㅗ+ㅏ', 'ㅙ=ㅗ+ㅏ+ㅣ', 'ㅚ=ㅗ+ㅣ', 'ㅝ=ㅗㅜ+ㅏ'(이것으로 충분), 'ㅞ=ㅗㅜ+ㅏ+ㅣ'(이것으로 충분), 'ㅟ=ㅗㅜ+ㅣ', 'ㅢ=ㅣㅡㅢ'로 입력할 수 있 다. In the case of 11 vowels, 'ㅏ = ㅏ + ㅣ', 'ㅒ = ㅏ ㅓㅑ + ㅣ', 'ㅔ = ㅏㅓ + ㅣ', 'ㅖ = ㅏㅓ ㅑㅕ + ㅣ', 'ㅘ = ㅗ + ㅏ', 'ㅙ = ㅗ + ㅏ + ㅣ ',' ㅚ = ㅗ + ㅣ ',' ㅝ = ㅗㅜ + ㅏ '(this is enough),' ㅞ = ㅗㅜ + ㅏ + ㅣ '(this is enough),' ㅟ = ㅗㅜ + ㅣ You can enter ',' ㅢ = ㅣ ㅡ ㅢ '.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ㅙ', 'ㅞ' 외의 나머지 모든 중모음은 모음용 3개의 키 중 2개의 키만 사용하며 다른 어떠한 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3개 키가 사용되는 'ㅙ', 'ㅞ'는 모음 전체의 0.1% 비율밖에 되지 않는다.All other vowels other than the relatively low frequency 'ㅙ' and 'ㅞ' use only two of the three keys for vowels and do not require any other keys. 'ㅙ' and 'ㅞ' with three keys are only 0.1% of the whole vowel.

괄호로 병기한 천지인 모드의 경우 종래의 천지인 방식과 같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case of the heaven and earth mode written in parentheses, it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heaven and earth mod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음부(도 1의 200 및 210)에 'ㄱㅋㄲ', 'ㄴㄹㅁ', 'ㄷㅌㄸ', 'ㅂㅍㅃ', 'ㅅㅎㅆ', 'ㅈㅊㅉ', 'ㅇ'이 각각 배열되며 자음을 구현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연타방식의 경우 예를 들어 'ㄱ=ㄱ', 'ㅋ=ㄱㅋ', 'ㄲ=ㄱㅋㄲ'과 같으며 다른 자음들도 유사한 방법으로 입력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sonants (200 and 210 of FIG. 1) include 'ㄱㅋ ㄲ', 'ㄴ ㄹㅁ', 'ㄷㅌ ㄸ', 'ㅂㄷ ㅃ', 'ㅅ ㅎㅆ', 'ㅈ ㅊㅉ', ' ㅇ 'is arranged separately and the consonants are implemented as follows. For the battering method, for example, 'ㄱ = ㄱ', 'ㅋ = ㄱㅋ', 'ㄲ = ㄱㅋ ㄲ' and the other consonants are input in a similar manner.

'*'키(300)는 기능키로서 자음에만 사용하고, 연타방식의 경우에 '*'키(도 1의 300)는 원칙적으로 12키의 조건하에서 '문자마침'의 기능이며, 변환방식일 경우에 '변환키'의 기능을 가진다.The '*' key 300 is used only as a consonant as a function key, and in the case of the battering method, the '*' key (300 in FIG. 1) is a function of 'finish character' under the condition of 12 keys in principle. In this case, it has the function of 'conversion key'.

연타방식의 경우 '*'키(300)는 받침과 연접되는 초성이 동일 키에 배열된 경우에 사용되며, 예를 들어 '악기'를 입력하는 방식은, 'ㅇ+ㅏ+ㄱ+*+ㄱ+ㅣ'와 같다. 그러나 '*'키 대신 종래의 휴대용 기기의 일종과 같이 12키 외의 전진키를 사용해도 되지만, 12키 내에서 문자입력을 한다는 조건일 경우 원칙적으로 문자마침 기능이다. In the case of the battering method, the '*' key 300 is used when the consonants connected to the base are arranged on the same key. For example, the method of inputting the 'instrument' is' ㅇ + ㅏ + ㄱ + * + ㄱ Same as + ㅣ '. However, instead of the '*' key, a forward key other than 12 keys may be used as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portable device, but the character end function is in principle when the character input is performed within 12 keys.

변환방식의 경우 '*'키(300)는 '변환키'의 기능으로서, 자음 입력시 기본 자음입력 후 변환키를 1~2회 연타하여 자음을 변환시키는 기능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음부(100)의 'ㄱㅋㄲ'키의 경우에 있어, '*'키(300)의 변환 기능을 이용한 입력방식은, 'ㄱ=ㄱ', 'ㅋ=ㄱ+*', 'ㄲ=ㄱ+**'의 순으로 입력하며, 다른 자음들도 유사한 방법이다. In the case of the conversion method, the '*' key 300 is a function of the 'conversion key' and may be replaced by a function of converting consonants by batting the conversion key one or two times after inputting the basic consona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ㄱㅋ ㄲ' key of the consonant part 100, the input method using the conversion function of the '*' key 300, 'ㄱ = ㄱ', 'ㅋ = ㄱ + *', ' Enter ㄲ = ㄱ + ** 'in order, and other consonants are similar.

어떠한 방식이 되었든 키를 길게 누르면 숫자가 나타나게 한다. 이것은 종래의 기술과 같다.Either way, long press the key to make the number appear. This is the same as in the prior art.

자음의 연타방식이든, 변환방식이든 '*'키는 ‘자판 전환’키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문자 구성중인 상태가 아닌 경우에, 즉 입력 초기상태, 모음 입력을 마친 상태(본 발명은 모음에 변환키가 사용되지 않는다), 또는 문자 구성을 마치고 커서가 대기상태인 경우, '*'키(300)는 '자판 전환키'로 사용될 수 있다.The '*' key can be used as the 'keyboard switching' key, whether the consonant is battered or converted. In other words, when the character is not in the form of a character, that is, the initial input state, the vowel completed state (in the present invention, no conversion key is used for the vowel), or when the cursor is finished and the character is completed, the '*' key 300 may be used as a keyboard change key.

대표적인 예를 들면 한글/한자/영(소문자)/영(대문자)/숫자/그림문자/옛글/ 등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자판의 변환 순서는 제조자가 선택하거나 표준화에 따를 수 있다.For example, it can be converted to Hangul / Hanja / English (lowercase) / English (uppercase) / number / pictogram / old letter /, etc., and the conversion order of the keyboard can be selected or standardized by the manufacturer.

이 경우 12키 외에 자판을 전환시킬 수 있는 별도의 키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어떤 모드에서도 자판 전환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keyboard can be switched in any mode without having a separate key to switch the keyboard in addition to the 12 keys.

위 예시의 경우, 기본 상태는 한글모드이고, '*'키 1회 누름시 한자모드로 변환되며, 2회 누름시 영문 소문자 모드이다.In the case of the above example, the default state is Hangul mode, when the '*' key is pressed once, it is converted to Hanja mode, and when pressed twice, it is the English lowercase mode.

더욱 구체적으로, '한'이란 글자를 입력한 상태에서 '*'키(300)를 누르면 예컨대 '0韓 1漢 2限 3寒 ...'이 표시되며, 이때 원하는 한자의 번호를 고르면 한자로 변환된다. 물론 번호와 한자의 순서는 사용빈도에 따라 배열이 변경될 수 있으며, 번호를 고르지 않고 엔터 키를 누르면 0에 해당하는 한자가 입력된다.More specifically, when pressing the '*' key 300 while entering the letter 'han', for example, '0 韓 1 漢 2 限 3 寒 ...' is displayed. Is converted. Of course, the order of numbers and Chinese character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If you press the Enter key without selecting a number, the Chinese character corresponding to 0 is entered.

계속해서 다음 자판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한자모드 상태에서 계속해서 '*'키(300)를 1회 더 누르면 영문(소문자)모드로 변환되며, 이상의 방식으로 자판을 전환할 수 있다.If you want to continue to select the next keyboard, by pressing the '*' key 300 one more time in the Chinese character mode is converted to English (lowercase) mode,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keyboard in the above manner.

옛글모드인 경우, 실시예로서 '반ㅅ'은 'ㅅ'키의 후순위 자소로, '옛ㆁ'과 '여린ㅎ'은 'ㅇ'키의 후순위 자소로, '아래아'는 모음 'ㅣ'키의 후순위 자로소 각각 배열할 수 있다. 물론 배열 위치는 달리해도 무방하며, 각 키의 깊이(레이어)는 4 이하로 충분히 배열될 수 있고, 이에 따라 '

Figure 112009074345545-PAT00001
'과 같은 옛글의 입력이 가능하다.In the old writing mode, 'ban' is the subordinate letter of the 's' key, 'old' and 'young' are the subordinate letters of the 'o' key, and 'down' is the vowel 'ㅣ' key. Each can be arranged as a subordinate of. Of course, the arrangement position may be different, and the depth (layer) of each key may be sufficiently arranged to be 4 or less.
Figure 112009074345545-PAT00001
You can enter old text such as'.

도 1의 '#'키(400)는 특수기능 또는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공백/띄어쓰기), ?(물음표), .(마침점), ,(쉼표), @' 등을 연타 방식으로 선택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녁 먹었어'란 문장 뒤에 물음표를 입력하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키(400)를 물음표가 나올 때 까지(위 예시에서는 두 번) 친다. 상기 특수기능 또는 특수문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수록할 수 있는데, '@'와 같은 경우 향후 추세의 한글 이메일 주소에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대표적인 5개를 표시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표시하지 않은 다른 특수기능이나 문자를 수록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 빈도에 따라 결정하면 무방하다.The '#' key 400 of FIG. 1 may be used as a key for inputting a special function or a special character. For example, '→ (space / space),? (Question mark),. (Period),, (comma) ), @ ', Etc. can be selected and input in a battering manner. For example, to enter a question mark after the phrase 'eating dinne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 key 400 is hit until the question mark appears (two times in the above example). The special function or special characters may be recorded in various ways as necessary, and in the case of '@', it may cope with a Korean email address of a future trend.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five representatives are displayed, and other special functions or characters which are not displayed may be included as necessary, which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따른 한글 자판의 핵심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core configuration of the Hangul keyboar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모음을 4,5,6번 키에 각각 배열한 것으로 이것은 전화 자판과 달리 숫자가 아래에서부터 1, 2, 3으로 시작되는 숫자전용판(소위 뉴머릭 패드)에 적용할 때에도 모음의 배열위치가 달라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자음의 위치를 달리한 예시도 보여주는데 'ㄴ,ㄹ,ㅁ'의 빈도를 고려하여 기능키에 가까이 함으로서 효과를 높였다. As shown in Fig. 2, the vowels are arranged on keys 4, 5, and 6, respectively, which, unlike telephone keyboards, apply to numbers-only editions (so-called numeric pads) whose numbers start with 1, 2, and 3 from the bottom. Even when you do this, the arrangement of the vowels does not change. Figure 2 also shows an example of a different position of the consonants in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of 'b, ㄹ, ㅁ' by increasing the effect by being close to the function key.

이와 같이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예컨대 빈도와, 연접 자음과, 옛글배열, 모양 정합성 등을 고려하여 0번 키에 배열한 ‘ㅇ’자 옆에 다른 문자 하나를 ‘ㅇ’키 쪽으로 옮겨 병기한다든지, ‘ㅇ’자를 0번 아닌 다른 번호 키에 배열한다든지, 또는 격음자리가 없는 ㅅ과 ㅆ 사이에 ㅎ이 아닌 다른 문자를 대신 옮긴다든지 하는 것은 본 발명을 쉽게 변형 실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달리 볼 수 없다.Thus, while the foregoing descrip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move another character to the 'ㅇ' key next to the 'ㅇ' arranged in the 0 key in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consonant consonants, the arrangement of the old letters, and the shape conformity. Arrangement on other number keys or moving other characters instead of ㅎ between and 없는 without lexicography are easily modifi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be viewed differently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한글 자판의 핵심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re configuration of the Hangul keyboar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따른 한글 자판의 핵심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core configuration of the Hangul keyboar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Explana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

100 : 모음부100: collection unit

200 : 자음부200: consonant

210 : 0번 키210: key 0

300 : *키300: * key

400 : #키400: #key

Claims (8)

입력 모드 선택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의 한글 배열 통합형 자판으로서,Hangul array integrated keyboard of portable devices with input mode selection, 3×4의 12키로 배열된 키에 대해, 연타방식으로 'ㅏㅓㅑㅕ','ㅗㅜㅛㅠ', 'ㅣㅡ'의 모음을 입력하거나 천지인 방식으로 'ㅣ', 'ㆍ', 'ㅡ'의 모음을 각각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3개의 키가 배열된 모음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모드 선택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의 한글 배열 통합형 자판.For the keys arranged with 12 keys of 3 × 4, enter the collection of '의', 'ㅏㅓ ㅑㅕ ㅜㅛㅠ', 'ㅣ ㅡ' by the battering method or the collection of 'ㅣ', '·', 'ㅡ' Hangul integrated keyboard of the portable device capable of selecting the input mo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owel portion (100) arranged to the three keys to each input selec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한글 배열 통합형 자판은, 19개의 자음 중 1개의 키당 3개씩 배열하여서 된 6개의 키와, 나머지 1개의 자음을 하나의 키에 각각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모드 선택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의 한글 배열 통합형 자판.The Hangul arrangement integrated keyboard is a Hangul arrangement of a portable device capable of selecting an input mode, characterized in that six keys arranged in three of one key among 19 consonants and one remaining consonant are arranged in one key, respectively. Integrated keyboard.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자음은 6개의 키에 각각 'ㄱㅋㄲ', 'ㄴㄹㅁ', 'ㄷㅌㄸ', 'ㅂㅍㅃ', 'ㅅㅎㅆ', 'ㅈㅊㅉ'가 배열되고, 나머지 자음 ‘ㅇ’이 하나의 키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모드 선택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의 한글 배열 통합형 자판.The consonants are arranged in six keys, 'ABL ㄲ', 'ㄴ ㄹㅁ', 'ㄷㅌ ㄸ', 'ㅂㄷ ㅃ', 'ㅅ ㅎㅆ', 'ㅈ ㅊㅉ' and the remaining consonants 'ㅇ' are one key. Hangul Hangul integrated keyboard of the portable device capable of selecting the input mod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키(300)는 문자 입력시 받침과 연접되는 초성이 동일 키에 해당하는 경우 '문자마침' 기능을 가지거나, 자음 입력시 이를 연타하여 자음을 변환시키는 자음 변환키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모드 선택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의 한글 배열 통합형 자판.'*' Key 300 has a 'character finish' function when the consonant connected to the base when entering the character corresponds to the same key, or has a consonant conversion key function to convert the consonant by battering it when the consonant is input Hangul Hanger integrated keyboard for portable devices with selectable input mode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키(300)는 자판 전환키로서 문자구성(글자 만들기)에 사용되고 있지 않을 때 자판을 전환시킬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모드 선택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의 한글 배열 통합형 자판.The '*' key 300 is a keyboard switching key, Hangul arrangement integrated keyboard of the input device can be selec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board can be switched when not being used for character composition (character making).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자판은 ‘한글, 한자, 영문(소문자), 영문(대문자), 숫자, 그림문자, 옛글’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모드 선택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의 한글 배열 통합형 자판.The keyboard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angul, Hanja, English (lowercase), English (uppercase), numbers, pictograms and old letters'. Integrated keyboar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키(400)는 특수기능 또는 특수문자를 입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모드 선택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의 한글 배열 통합형 자판.'#' Key 400 is the Hangul array integrated keyboard of the portable device capable of selecting an input mode, characterized in that to input a special function or special characters.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키(400)는 '→(공백/띄어쓰기)', '?(물음표)', '.(마침점)', ',(쉼 표)', '@'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연타방식으로 2개 이상 입력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모드 선택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의 한글 배열 통합형 자판.The '#' key 400 is any one of '→ (space / space)', '? (Question mark)', '. (Period)', ', (comma)', '@' or battering method Hangul array integrated keyboard of the portable device capable of selecting the input mode,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can be input.
KR1020090118238A 2009-12-02 2009-12-02 Korean Alphabets Arrangement of Unified Keypad with Selectable Input Modes for Mobile Devices KR1010987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238A KR101098727B1 (en) 2009-12-02 2009-12-02 Korean Alphabets Arrangement of Unified Keypad with Selectable Input Modes for Mobile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238A KR101098727B1 (en) 2009-12-02 2009-12-02 Korean Alphabets Arrangement of Unified Keypad with Selectable Input Modes for Mobile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737A true KR20110061737A (en) 2011-06-10
KR101098727B1 KR101098727B1 (en) 2011-12-23

Family

ID=44396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238A KR101098727B1 (en) 2009-12-02 2009-12-02 Korean Alphabets Arrangement of Unified Keypad with Selectable Input Modes for Mobile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72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370B1 (en) * 2013-01-27 2014-10-07 서효원 The method to input korean character for phone keypa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175B1 (en) 2013-06-04 2021-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key pad input received on touch screen of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107B1 (en) * 2004-06-16 2006-11-10 윤재조 Apparatus and method for Hangul input
KR200423637Y1 (en) 2006-05-19 2006-08-09 주식회사 에이에스테크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using a keypad having 5 key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370B1 (en) * 2013-01-27 2014-10-07 서효원 The method to input korean character for phone key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8727B1 (en) 201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22005B (en) Punching key input device
KR1006024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 on communication device
KR20060101367A (e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number key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KR20120134580A (en) A letter input method of chinese with function of intonation choice for touch screen
KR101098727B1 (en) Korean Alphabets Arrangement of Unified Keypad with Selectable Input Modes for Mobile Devices
KR20090014074A (en) Alphabet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CN102422621A (en) Alphabet input method and apparatus
KR20130069517A (en) Apparatus and method of japanese compact keyboard
JP2009129438A (en) Portable input device
KR100627964B1 (en) CrossDial Keypad for inputting letter
RU2344564C2 (en) Layouts of signs, methods of input and input device
JP4761234B2 (en) Input method of portable input terminal
JP3109642U (en) Portable Korean input device
KR20130019497A (en) Hangul Character Input Method
KR101071812B1 (en) Japanese touch screen keypad array for mobile device
KR100398668B1 (en) consonant and vowel arrangement of Korean Letters & input method
KR20070082777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for having character input function
KR20050116923A (en) S-kis: smart korean input system
KR101128734B1 (en) Hindi touch screen keypad array for mobile device
KR101039482B1 (en) Smart Input System for Korean and English Characters In A Digital Keypad
KR100450459B1 (en) Key input method
KR100618951B1 (en) key input method
KR200289449Y1 (en)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KR101615862B1 (en) Keypad and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 and Numeric using touch screen on terminal
KR20020001918A (en) Telephone and Hangul inputting method us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