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1478A -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1478A
KR20110061478A KR1020100114012A KR20100114012A KR20110061478A KR 20110061478 A KR20110061478 A KR 20110061478A KR 1020100114012 A KR1020100114012 A KR 1020100114012A KR 20100114012 A KR20100114012 A KR 20100114012A KR 20110061478 A KR20110061478 A KR 20110061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line communication
information
rail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영규
안승호
김철수
Original Assignee
곽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영규 filed Critical 곽영규
Publication of KR20110061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70Details of trackside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3Trolley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0Power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9/00Railway vehicle profile gauges; Detecting or indicating overheating of components; Apparatus on locomotives or cars to indicate bad track sections; General design of track recording vehicles
    • B61K9/04Detectors for indicating the overheating of axle bearings and the like, e.g. associated with the brake system for applying the brakes in case of a fau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05/00Communication or navigation systems for railway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monitoring the mechanical state of the rou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monitoring the mechanical state of the route
    • B61L23/041Obstacle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monitoring the mechanical state of the route
    • B61L23/042Track changes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9/00Safety means for rail/road crossing traffic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에는 전기 철도의 레일 주변의 정보를 수집하며, 전차선 또는 레일을 이용한 전력선 통신망에 상기 정보를 싣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전력선 통신망으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수 개의 모니터링부가 포함되고, 상기 모니터링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동 열차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A control system of electric railway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 철도는 전기를 동력으로 운행되는 철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동 열차를 안전하게 운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동 열차가 운행하는 레일 주변의 다양한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레일 주변에는 CCTV, 지장물 감시 장치, 건널목 안전 장치 등 다양한 안전 정보 감지 장치들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감지 장치들에서 수집된 정보는 전용망을 통해 상기 전기 철도를 관제하는 관제 센터나 상기 레일의 안전 업무를 담당하는 지소 등의 관리소로 전달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일부 철도 분야에서 RF(Radio Frequency)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레일 주변의 안전 정보를 상기 전동 열차로 전송하는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다.
한편,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은 전기를 공급하는 전력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로서, 일측에서 데이터를 특정 고주파 신호로 형성하여 전력선에 실어 보내면, 타측에서는 상기 특정 고주파 신호를 분리해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술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전동 열차는 고속으로 주행하므로, 주행 중에 상기 전동 열차와 상기 관리소 간에 신뢰성 있게 상기 안전 정보를 양 방향으로 공유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안전 정보의 공유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용망이 상기 레일이 위치하는 넓은 지역에 걸쳐 제공되어야 하므로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RF 통신을 이용하더라도, 전파 출력 및 전파 장애 등 전파 특성의 한계에 의해 단방향으로만 정보가 제공되고, 제한된 구간에서 제한된 기능만이 제공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레일을 따라 방대한 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안전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전동 열차 및 상기 관리소에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전동 열차와 관리소가 레일 주변의 안전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인프라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기 철도 구간에서 장비 특성 및 위치에 제한 없이 상기 안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에는 전기 철도의 레일 주변의 정보를 수집하며, 전차선 또는 레일을 이용한 전력선 통신망에 상기 정보를 싣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전력선 통신망으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수 개의 모니터링부가 포함되고, 상기 모니터링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동 열차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들의 나머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기 철도 관리소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선 통신망은 다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되고, 각 구간은 전력선 통신 연결 유닛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선 통신망에는 신호 증폭을 위한 전력선 통신 리피터(Repeater)가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수집부에는, 상기 레일 주변에 설치되어 정보를 수집하는 감지 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감지 장치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된 정보를 상기 전력선 통신망에 싣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장치는, 카메라, 지장물 감지 센서, 낙석 감지 센서, 교량 상태 감지 센서, 터널 상태 감지 센서, 연약 지반 감지 센서, 건널목 상태 감지 센서, 레일 온도 감지 센서, 차축열 감지 센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수집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는 상기 전력선 통신망으로 통신 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전력선 통신망으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신호 결합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에는, 상기 신호 결합기에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력선 통신용 모뎀; 및 상기 모뎀에서 수신한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 열차 내에 제공되는 모니터링부에 포함된 상기 신호 결합기는, 상기 전동 열차 외부에 제공되는 모니터링부에 포함된 상기 신호 결합기보다 높은 전압에서 구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정보를 가공하여 다른 모니터링부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들 중 상기 전동 열차 외부에 제공되는 모니터링부들 중 적어도 일부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선 통신망을 통한 상기 정보의 송수신은 실시간으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전차선 또는 상기 레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수집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동 열차가 정차하는 역사 내부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선 통신망은 한 쌍의 로드로 형성된 상기 레일을 이용하고, 상기 로드 중 어느 하나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다른 하나는 시분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전차선 또는 레일을 이용해 전력선 통신이 수행됨으로써 실시간으로 전동 열차에 레일 주변의 다양한 안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력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전동 열차와 상기 전동 열차의 운행을 관제하는 관리소 간에 실시간, 양방향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전차선 또는 레일을 이용하므로, 관리 시스템의 인프라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차선 또는 레일은 상기 레일 전 구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동 열차의 장비 특성 및 위치에 무관하게 상기 안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망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정보 수집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4는 도 1의 모니터링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의 적용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의 다른 적용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10)은 전차선 또는 레일을 이용한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이하 PLC) 통신망(20)을 사용하며, 전기 철도의 레일 주변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PLC 통신망(20)에 상기 수집된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수집부(30)와, 상기 PLC 통신망(20)에 연결되며 상기 정보 수집부(30)에서 수집한 정보를 수신하는 다수 개의 모니터링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력선 통신의 매체로 상기 전차선이 이용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겠다.
상기 모니터링부(40)는 상기 PLC 통신망(20)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PLC 통신망(20)을 통해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40) 중 일부(42, 43)는 인터넷망, 광통신망 등의 전용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PLC 통신망(20)을 통하지 않고도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정보 수집부(30)는 상기 전동 열차가 주행하는 상기 레일 주변에 설치되며, 상기 전동 열차가 주행하는 전 구간에 걸쳐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부(30)는 상기 전동 열차의 주행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며, 특히 상기 전동 열차의 주행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보들을 수집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정보 수집부(30)는 철도 건널목의 상황, 레일 주변의 장애물 상황, 상기 전동 열차의 상태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부(30)는 수집한 정보를 디지털로 변환한 후 이를 상기 전차선에 고주파 신호로 실을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부(30)에 의해 상기 전차선에 실린 정보는 상기 전차선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부(40)로 전송된다.
상기 모니터링부(40)에서 수신한 정보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 열차를 운전하는 기관사, 상기 전기 철도의 운영을 관리하는 관제사, 상기 레일 주변의 안전 상태를 관리하는 지소의 안전 관리원 등의 관련 업무 종사자들이 볼 수 있도록 출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니터링부(40)의 출력 장치로 영상, 문자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관련 업무 종사자들이 인식 가능한 음향, 빛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 발광 다이오드(LED)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4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관사가 상기 정보 수집부(30)에서 수집된 안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전동 열차에 제공된다. 상기 전동 열차에 제공되는 모니터링부를 전동 열차용 모니터링부(41)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40) 중 일부는 상기 안전 관리원 및 상기 관제사가 상기 정보 수집부(30)에서 수집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소 및 관제 센터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지소 및 관제 센터에 제공되는 모니터링부를 각각 지소용 모니터링부(42) 및 관제 센터용 모니터링부(43)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소용 모니터링부(42)와 상기 관제 센터용 모니터링부(43)는 전용망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정보 수집부(30)에서 수집된 정보는 상기 전차선을 이용한 상기 PLC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부(4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40)로 전송된 상기 수집된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상기 관련 업무 종사자들, 즉 다른 모니터링부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전차선을 이용한 상기 PLC 통신망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LC 통신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동 열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차선(220)은 상기 전동 열차가 주행하는 레일(270)을 따라 연장되며, 변전소(210)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전차선(220)은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각 구간마다 변전소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차선(220)은 카테리나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강체 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전차선(220)은 조가선(230)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전동 열차는 팬터그래프(pantograph)에 의해 상기 전차선(22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차선(220)은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되어 제공될 수 있는데, 일 구간의 전차선은 인접한 구간의 전차선과 연결 유닛(24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240)은 상기 일 구간의 전차선을 통해 전송되는 고주파의 통신 신호를 필터링하여 얻어낸 후, 이를 다시 상기 인접한 구간의 전차선에 실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270)이 장거리로 연장되더라도, 복수 개의 전차선 구간을 형성하고, 각 구간을 상기 연결 유닛(240)으로 연결함으로써, 전차선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는 끊김 없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차선(220)의 임의의 지점에는 상기 전차선(220)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시켜주는 리피터(Repeater, 250)가 제공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는 일정 거리 이상 진행하면 출력이 감쇠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상기 리피터(250)를 상기 전차선(220)에 연결하여 통신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다. 상기 리피터(250)는 각 구간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으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리피터(250)가 제공됨으로써, 상기 레일(270)이 장거리로 연장되더라도, 통신 신호의 출력 저하 없이 안정된 PLC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동 열차는 상기 팬터그래프에 의해 상기 전차선으로부터 전력과 동시에 상기 정보 수집부(30)에서 수집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PLC 통신망에는 상기 정보 수집부(30)와 상기 모니터링부(40)가 연결되어 상기 전차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정보 수집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정보 수집부(30)에는 상기 레일(270) 주변에 설치되어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는 감지 장치(310)와, 상기 감지 장치(310)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상기 전차선(220)에 싣는 PLC 신호 결합기(PLC Coupler, 380)가 포함된다.
상기 감지 장치(310)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감지부(320), 상기 감지부(320)에서 얻은 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디지털 변환부(330), 상기 감지부(320)에서 수집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340), 상기 감지 장치(31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350), 상기 PLC 신호 결합기(380)에 연결되는 PLC 모뎀(360), 및 상기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320)는 상기 레일(270) 주변, 또는 역사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레일(270) 주변에 지장물이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지장물 감지 센서, 상기 레일(270)에 낙석이 발생하는지를 감지하는 낙석 감지 센서, 철도 교량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교량 상태 감지 센서, 상기 전동 열차가 터널에 인접함을 알려주는 터널 상태 감지 센서, 지반 상태를 감지하는 연약 지반 감지 센서, 철도 건널목 내의 비상 상황을 감지하는 건널목 상태 감지 센서, 상기 레일(270)의 온도를 감지하는 레일 온도 감지 센서, 상기 전동 열차의 차륜의 온도를 감지하는 차축열 감지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감지 장치(310)에서 획득한 데이터는 상기 감지부(320)의 종류에 따라, 영상, 음향, 문자, 또는 ON/OFF 신호일 수 있다. 상기 감지부(320)에서 획득한 데이터가 영상 또는 음향 데이터인 경우, 상기 디지털 변환부(330)는 상기 PLC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상기 PLC 모뎀(36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장치(310)에서 획득한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상기 메모리(340)에 저장되었다가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상기 모니터링부(40)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350)는 상기 전차선(220)에 연결된 전원 공급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진 지역이라도 상기 전차선(220)이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정보 수집부(30)를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PLC 모뎀(360)은 상기 PLC 신호 결합기(380)에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PLC 신호 결합기(380)로부터 수신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감지 장치(310)의 외부에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PLC 신호 결합기(380)는 상기 PLC 통신망(20)에 연결되며, 고주파 신호를 분리하여 통신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고주파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전차선(220)에 데이터를 실을 수 있다. 상세히, 상기 PLC 신호 결합기(380)는 상기 디지털 변환부(330)에서 변환되어 상기 PLC 모뎀(360)을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고주파 신호로 상기 전차선(220)에 실을 수 있다.
상기 PLC 신호 결합기(380)는 접촉식, 비접촉식 모두 사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디지털 변환부(330)는 상기 감지 장치(310)의 내부에 제공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제품으로 구성되어 상기 감지 장치(310)와 상기 PLC 모뎀(360)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정보 수집부(30)는 상기 감지 장치(310)로 수집한 데이터를 상기 PLC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부(40)로 전송한다.
도 4는 도 1의 모니터링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모니터링부(40)에는 모니터링 장치(410)와, 상기 모니터링 장치(410)와 상기 PLC 통신망(20)을 연결하는 PLC 신호 결합기(480)가 포함된다.
상기 PLC 신호 결합기(480)는 상기 PLC 통신망(20)에 연결되며, 고주파 신호를 분리하여 통신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고주파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전차선(220)에 데이터를 싣는다. 즉, 상기 PLC 신호 결합기(480)는 상기 정보 수집부(30) 또는 다른 모니터링부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 및 상기 모니터링 장치(41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다른 모니터링부로 송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PLC 신호 결합기(480)는 접촉식, 비 접촉식 모두 사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전동 열차용 모니터링부(41)에 제공되는 상기 PLC 신호 결합기(480)는, 상기 전동 열차의 제동 시 발생되는 회생 제동 전압이 상기 전차선(220)의 전압보다 높기 때문에, 이에 의한 노이즈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른 신호 결합기들보다 높은 전압에서 구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410)에는 상기 PLC 신호 결합기(480)에 연결되는 PLC 모뎀(420), 적어도 상기 PLC 모뎀(42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440),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430), 상기 모니터링 장치(4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450) 및 상기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47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LC 모뎀(420)은 상기 PLC 신호 결합기(480)에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상기 PLC 신호 결합기(480)로부터 수신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410)의 외부에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PLC 모뎀(420)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정보 수집부(30)에서 수집한 데이터들의 통계를 내거나 위험 요소의 발생 추이 등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가공된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440)에 저장되거나, 다른 모니터링부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PLC 모뎀(420)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또는 상기 메모리(4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430)에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니터링부(40)가 제공되어 있는 전동 열차나, 지소, 관제 센터 등의 관리소에서 상기 관련 업무 종사자들은 상기 레일(270) 주변의 안전 상황을 점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전동 열차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장치(410)에는 상기 PLC 통신망(20)과 별도로 구성되는 전용망과 유선,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전용망 통신부(460)가 더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모니터링부(40)는 상기 PLC 통신망(20)을 통해 수신한 상기 안전 정보를 상기 관련 업무 종사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10)에 의하면, 상기 정보 수집부(30)에서 수집된 데이터들이 상기 PLC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전동 열차 및 상기 관리소 등으로 실시간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더욱 더 안정적인 철도 운행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동 열차용 모니터링부(41)와 상기 지소용 모니터링부(42) 또는 상기 관제 센터용 모니터링부(43) 상호간에 상기 PLC 통신망을 통한 안전 정보의 실시간 양방향 공유가 가능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전기 철도를 운행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전차선(220)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므로, 상기 관리 시스템(10)의 인프라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차선(220)을 통해 상기 정보 수집부(30)로 전원 공급이 가능하므로, 지역에 제한 없이 상기 정보 수집부(3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 열차는 상기 전차선(220)으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상기 전동 열차의 장비 특성 및 상기 레일(270) 상의 위치에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상기 안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의 적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PLC 통신망(20)의 통신 매개체로 상기 전차선(220)이 이용되며, 상기 전차선(220)은 상기 레일(270)을 따라 연장되고,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되어 설치될 수 있다. 각 구간은 상기 PLC 연결 유닛(24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차선(220)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는 끊기지 않고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차선(220)에는 상기 PLC 리피터(250)가 연결되어 약해진 통신 신호를 증폭시켜준다.
상기 레일(270)의 곳곳에는 전동 열차가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안전 정보를 수집하는 다수 개의 상기 정보 수집부(30)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정보 수집부(30)의 상기 감지 장치(310)로는 지장물 감지 장치나 CCTV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장치(310)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디지털로 변환되어 상기 PLC 신호 결합기(380)를 통해 상기 전차선(220)에 실린다.
상기 전차선(220)에 실린 데이터는 상기 전차선(220)을 통해 모니터링부(40)로 전송된다.
상기 모니터링부(40) 중 일부(41)는 상기 전동 열차에 제공된다. 상기 전동 열차에는, 팬터그래프와 연결되어 전력을 제공받는 변압기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PLC 신호 결합기(480)는 상기 팬터그래프와 상기 변압기를 연결하는 라인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동 열차에는 상기 PLC 신호 결합기(480)에서 추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PLC 모뎀(420) 및 상기 안전 정보를 기관사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30)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40) 중 일부(42)는 상기 레일(270) 및 상기 전동 열차의 신호 등을 관리하는 지소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소에 근무하는 안전 관리원도 상기 안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40) 중 일부(43)는 상기 전기 철도의 운행을 관제하는 관제소에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관제사들도 상기 안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40)들은 상기 전차선(220)을 이용한 상기 PLC 통신망(20)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소나 상기 관제소에 제공된 모니터링부들(42, 43)은 상기 PLC 통신망과는 별도로 제공되는 전용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차선(220)은 전기 철도의 특성 상 상기 전차선(220)의 높이와 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많은 장구류와 분기점을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장구류와 분기점들은 PLC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에 있어서 방해가 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전파 특성을 악화시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낮아지거나 전송 거리가 짧아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상기 PLC 신호 결합기(380, 480)로 비접촉식 신호 결합기를 사용할 경우 일정한 수준의 절연 조건(예를 들면, 건조섬락 180kV)을 충족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절연체를 상기 전차선(220)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전차선(220)의 물성에 의해 절연체의 하중과 부피에 제한을 받게 된다. 또한, 고압의 전기가 흐르고 있는 상기 전차선(220)에 장치를 설치하거나 관리하는 것은 매우 큰 위험을 내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번개 등 예기치 못하는 외부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어렵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PLC 통신망(20) 상기 전력선(220) 대신 상기 레일(270)을 이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동 열차의 차륜과 상기 레일(270)은 전도성 금속인 철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전동 열차의 운행 중에는 상기 전동 열차의 하중에 의해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상기 레일(270)은 철도 신호체계를 구성하는 궤도회로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전차선(220)으로부터 전력을 가압 받아 상기 전동 열차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레일(270)의 특성과 금속 도체를 매개체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PLC의 특성을 고려하면, 상기 레일(270)은 PLC 통신망의 매개체로써 충분한 요건을 가지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의 다른 적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PLC 통신망(20)의 매개체로서 상기 레일(270)을 사용하는 적용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270) 및 상기 전동 열차의 섀시(chassis)에 상기 정보 수집부(30) 및 상기 모니터링부(40)의 PLC 신호 결합기(380', 480')를 연결함으로써, PLC 통신이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270) 및 상기 섀시에 연결되는 상기 PLC 신호 결합기(380', 480')는 비접촉식 신호 결합기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레일(270)은 상기 전동 열차가 운행하는 철도 전 구간에 걸쳐서 연장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로드(road, 271, 272)로 이뤄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270)은 단선으로 제공된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레일(270)은 복선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레일(270)은 나무 침목 또는 콘크리트 침목 위에 설치될 수 있으며, PLC의 데이터 송수신 매개체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폐색신호용 궤도회로, 상기 전동 열차의 접지 라인으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레일(270)에는 약해진 통신 신호를 증폭시켜주는 상기 PLC 리피터(250)가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PLC 연결 유닛(240)이 연결되어 불연속적인 레일 간의 PLC 데이터 통신이 이뤄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레일(270)의 한 쌍의 로드 중 어느 하나(271)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다른 하나(272)는 시분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데이터 전송 속도가 줄어드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각 구간 별 최적의 주파수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전체적인 상기 PLC 통신망(20)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레일(270) 주변에는 안전 정보를 수집하는 상기 정보 수집부(30)가 다수 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수집부(30)에서 수집된 정보는 상기 PLC 신호 결합기(380')를 통해 상기 레일(270)을 이용한 상기 PLC 통신망(20)에 실릴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부(30)의 상기 PLC 신호 결합기(380')는 상기 레일(270) 주변의 지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270)과 전기적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강선 등으로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정보 수집부(30)는 상기 레일(270)로부터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레일(270)에 실린 안전 정보 데이터는 상기 레일(270)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부(40)로 전송된다.
상기 모니터링부(40)의 일부(41)는 상기 전동 열차에 제공된다. 상기 전동 열차(41)는 상기 레일(270)에 접촉되어 있는 차륜(휠)을 통해 상기 레일(270)에 실린 안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동 열차의 차륜 또는 차륜축에는 PLC를 위한 강선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차륜 또는 차륜축에 연결된 강선은 PLC 신호 결합기(480')와 연결된다. 상기 PLC 신호 결합기(480')는 상기 레일(270)로부터 상기 차륜 또는 차륜축을 통해 전송되는 PLC 통신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동 열차에는 상기 PLC 신호 결합기(480')에서 추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PLC 모뎀(420) 및 상기 안전 정보를 기관사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30)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40) 중 일부(42, 43)는 상기 지소 및 상기 관제소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소 및 관제소에 제공된 모니터링부(42, 43)의 PLC 신호 결합기(480')도 상기 레일(270) 주변의 지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강선 등으로 상기 레일(270)과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PLC 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40)들은 상기 레일(270)을 이용한 상기 PLC 통신망(20)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소나 상기 관제소에 제공된 모니터링부들(42, 43)은 상기 PLC 통신망과는 별도로 제공되는 전용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PLC 통신망(20)의 매개체로 상기 레일(270)을 이용할 경우, PLC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 상기 전동 열차의 차량 종류 또는 장비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정지해 있거나 이동중인 차량이나 동일한 조건으로 통신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전신주에 매달려 있는 상기 전차선(220)보다 설치 및 접근성이 높으므로 유지, 보수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설치 및 해체도 용이하다. 또한, 강풍, 번개 등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성도 높으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또한, 기 설치되어 있는 상기 레일(220)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구축에 소요되는 가설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용예들에서, 상기 PLC 통신망(20)은 상기 전차선(220) 또는 상기 레일(270)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PLC 통신망(20)의 일부 구간에서는 상기 전차선(220)을 이용하고, 다른 구간에서는 상기 레일(270)을 매개체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실시예의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
10 :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20 : PLC 통신망
30 : 정보 수집부 40 : 모니터링부
41 : 전동열차 모니터링부 42 : 지소 모니터링부
43 : 관제센터 모니터링부 210 : 변전소
220 : 전차선 230 : 조가선
240 : PLC 연결 유닛 250 : PLC 리피터
270 : 레일 310 : 감지장치
320 : 감지부 330 : 디지털 변환부
340 : 메모리 350 : 전원공급부
360 : PLC 모뎀 370 : 제어부
380, 380' : PLC 신호 결합기 410 : 모니터링 장치
420 : PLC 모뎀 430 : 디스플레이부
440 : 메모리 450 : 전원공급부
460 : 전용망통신부 470 : 제어부
480, 480' : PLC 신호 결합기

Claims (15)

  1. 전기 철도의 레일 주변의 정보를 수집하며, 전차선 또는 레일을 이용한 전력선 통신망에 상기 정보를 싣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전력선 통신망으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수 개의 모니터링부가 포함되고,
    상기 모니터링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동 열차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들의 나머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기 철도 관리소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통신망은 다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되고, 각 구간은 전력선 통신 연결 유닛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통신망에는 신호 증폭을 위한 전력선 통신 리피터(Repeater)가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에는,
    상기 레일 주변에 설치되어 정보를 수집하는 감지 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감지 장치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된 정보를 상기 전력선 통신망에 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장치는,
    카메라, 지장물 감지 센서, 낙석 감지 센서, 교량 상태 감지 센서, 터널 상태 감지 센서, 연약 지반 감지 센서, 건널목 상태 감지 센서, 레일 온도 감지 센서, 차축열 감지 센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는 상기 전력선 통신망으로 통신 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전력선 통신망으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신호 결합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에는,
    상기 신호 결합기에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력선 통신용 모뎀; 및
    상기 모뎀에서 수신한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열차 내에 제공되는 모니터링부에 포함된 상기 신호 결합기는,
    상기 전동 열차 외부에 제공되는 모니터링부에 포함된 상기 신호 결합기보다 높은 전압에서 구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정보를 가공하여 다른 모니터링부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들 중 상기 전동 열차 외부에 제공되는 모니터링부들 중 적어도 일부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통신망을 통한 상기 정보의 송수신은 실시간으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전차선 또는 상기 레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동 열차가 정차하는 역사 내부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통신망은 한 쌍의 로드로 형성된 상기 레일을 이용하고,
    상기 로드 중 어느 하나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다른 하나는 시분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KR1020100114012A 2009-12-01 2010-11-16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KR201100614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705 2009-12-01
KR1020090117705A KR20090130279A (ko) 2009-12-01 2009-12-01 전차선을 통한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478A true KR20110061478A (ko) 2011-06-09

Family

ID=4168985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705A KR20090130279A (ko) 2009-12-01 2009-12-01 전차선을 통한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KR1020100114012A KR20110061478A (ko) 2009-12-01 2010-11-16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KR1020100114013A KR20110061479A (ko) 2009-12-01 2010-11-16 전력선 통신 신호 결합기용 절연체 및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KR1020100114021A KR20110061480A (ko) 2009-12-01 2010-11-16 전력선 통신 및 전용 통신망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705A KR20090130279A (ko) 2009-12-01 2009-12-01 전차선을 통한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013A KR20110061479A (ko) 2009-12-01 2010-11-16 전력선 통신 신호 결합기용 절연체 및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KR1020100114021A KR20110061480A (ko) 2009-12-01 2010-11-16 전력선 통신 및 전용 통신망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09013027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4537A (zh) * 2013-08-27 2013-12-11 中国神华能源股份有限公司 铁路线路预警方法和系统
CN109032119A (zh) * 2018-09-21 2018-12-18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列车硬线控制电路监控方法及装置
KR20220029235A (ko) * 2020-09-01 2022-03-08 주식회사 에스알 폐색 장치들을 위한 지능형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열차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854B1 (ko) * 2010-07-23 2012-04-03 민근홍 전차선을 이용한 전력선통신으로 열차위치를 검지하는 열차위치검지장치 및 그 방법
CN104391472B (zh) * 2014-11-07 2017-03-29 北京铁道工程机电技术研究所有限公司 用于多种机型机车牵引作业的供电装置
CN106274980A (zh) * 2016-09-28 2017-01-04 成都奥克特科技有限公司 基于激光监测的轨道状态在线监测方法
CN110550526B (zh) * 2019-09-19 2020-12-25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电梯钢丝绳的检测方法、装置及系统
KR20240030523A (ko) 2022-08-31 2024-03-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철도 배전선로 안전감시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4537A (zh) * 2013-08-27 2013-12-11 中国神华能源股份有限公司 铁路线路预警方法和系统
CN109032119A (zh) * 2018-09-21 2018-12-18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列车硬线控制电路监控方法及装置
KR20220029235A (ko) * 2020-09-01 2022-03-08 주식회사 에스알 폐색 장치들을 위한 지능형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열차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279A (ko) 2009-12-22
KR20110061479A (ko) 2011-06-09
KR20110061480A (ko)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1478A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 철도 관리 시스템
KR101899381B1 (ko) 자동열차방호장치의 발리스 에러 검측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8639110B (zh) 一种基于tdcs信息的调车防护装置
CN102806932B (zh) 基于智能光纤传感和正反e字型漏缆安全行车方法及系统
US11548540B2 (en) Train control system, ground control apparatus, and on-board control apparatus
JP2007269245A (ja) 鉄道沿線情報伝送システム
CN105346562A (zh) 一种轨道分路不良区段监测系统
US10427700B2 (en) Railroad track circuit for determining the occupancy status of a portion of a railroad
CN102632912B (zh) 地铁列车防撞预警系统及方法
CN102647206B (zh) 一种接触网载波通信系统
CN202467919U (zh) 一种基于wifi技术的煤矿斜巷运输无线监控系统
KR20130082549A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철도 여객정보 시스템
RU2603331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а короткого замыкания и повреждения контактной сети постоянного и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7089250B (zh) 一种无线调车机车信号和监控系统的站场切换方法
CN102193546A (zh) 矿井电机车运输监控系统及矿井电机车定位方法
CN205256349U (zh) 一种轨道分路不良区段监测系统
CN110307869A (zh) 轨道交通监测系统
RU2362697C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свободности станционных участков пути
CN106274993B (zh) 一种基于无线射频技术的轨道电动车环境自动识别系统
CN205726136U (zh) 一种铁路道口视频无线传输系统
CN211336003U (zh) 一种基于铁路通信无人值守监测装置
CN204399210U (zh) 一种有轨电车的轨旁设备控制系统
CN210337928U (zh) 一种光栅计轴轨道电路系统
CN203547797U (zh) 一种煤矿轨道运输监控装置
CN113093053A (zh) 一种轨电位及杂散电流实时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