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1035A - 일회용 기능성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능성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1035A
KR20110061035A KR1020090117553A KR20090117553A KR20110061035A KR 20110061035 A KR20110061035 A KR 20110061035A KR 1020090117553 A KR1020090117553 A KR 1020090117553A KR 20090117553 A KR20090117553 A KR 20090117553A KR 20110061035 A KR20110061035 A KR 20110061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acid
extract
diaper
dispos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흥문
Original Assignee
최흥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흥문 filed Critical 최흥문
Priority to KR1020090117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1035A/ko
Publication of KR20110061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1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일회용 기능성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다량의 유사알룸 및 알룸의 복염화합물, 그리고 세레늄 및 게르마늄을 비롯한 미량금속성분이 함유된 광천수 농축액, 장호석(국화석) 미세분말, 식물한방약재의 추출액 식물성 접착제용액을 통상의 기저귀 내피 및 흡수층에 함침시키거나 침투시켜 건조하여 고정시키므로서 기저귀에 살균성, 항균성, 원적외선 방사기능 및 음이온 발생기능, 흡착탈취기능, 피부의 각종 질병에 대한 면역 및 치료기능이 부여된 기능성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기능성 기저귀{A disposable functionality diaper}
본 발명은 일회용 기능성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다량의 유사알룸 및 알룸의 복염화합물, 그리고 세레늄 및 게르마늄을 비롯한 미량금속성분이 함유된 광천수 농축액, 장호석(국화석) 미세분말, 식물한방약재의 추출액 식물성 접착제용액을 통상의 기저귀 내피 및 흡수층에 함침시키거나 침투시켜 건조하여 고정시키므로서 기저귀에 살균성, 항균성, 원적외선 방사기능 및 음이온 발생기능, 흡착탈취기능, 피부의 각종 질병에 대한 면역 및 치료기능이 부여된 기능성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기저귀는 유아 또는 배설 조절기능을 상실한 지체부자유자 및 노인, 실금증환자에게 착용하도록 구성된 널리 알려진 제품으로 일회용 기저귀와 수명이 다하도록 사용할 수 있는 세탁용 기저귀로 구분되며 주로 부드러운 무명천으로되고 양단을 밴드로 몸에 결속시켜 사용하거나 결속띠를 구비한 방수성의 외부케이싱에 무명천을 삽입하여 사용하며, 본 발명에서 시도하는 일회용 기저귀는 일반적으로 배설물을 투과시키는 펄프시트 또는 무명천으로된 배설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체불투과성 물질로 구성되는 배면시트와 배면시트, 내면시트 사이에 배설물을 흡수하기 위하여 고흡수성물질인 흡수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의 기본구성을 응용하여 변형개량 시키므로서 그 구성도 복잡해지면서 착용감, 밀착감, 배설물의 흡수성, 방수성 등 다양한 구성의 부분에서 장족의 발전을 가져왔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기능성과 관련된 분야에서는 괄목할만한 발전이 없고 미미한 정도에 불과하다.
종래기술의 하나의 예로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0038호에 "옥정수를 이용한 기저귀 세탁방법"이 게재되어 있으며, 기술내용은 애벌세탁이 완료수리된 기저귀에 있어서 기저귀를 옥정수와 식물성세제를 이용하여 세탁하고 이를 거친 기저귀를 옥정수를 이용하여 행군 다음 기저귀를 고온의 열풍으로 건조하여 살균단계를 거치는 정도의 살균처리하는 방법수준의 기술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과 유사한 생리대분야에서는 기능성을 추구하는 발명들이 소개되어 있으며, 일예로서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8-12420호에는 "기능성 생리대"가 공개되어 있으며, 기술내용은 내부시트, 흡수패드, 혼합코팅원단, 커버지, 외부시트 순서로 적층구성되는 생리대 본체에 있어서 흡수패드와 혼합코팅원단 사이에 영구자석이 삽입되고 혼합코팅원단에는 각각 동일량의 은나노입자, 제오라이트, 이온광석 조성물을 혼합코팅시킨 기능성 생리대로서 상기 조성물의 배설물에 대하여 항균, 살균, 탈취기능을 가지며 영구자석에 의해 근육통 완치기능을 갖게되는 기능성 생리대로서 이와 같은 생리대는 기능성물질들이 피부와 직접 접촉되지 않고 내 측부에 구성되므로서 피부에 미치는 기능성을 만족스럽게 기대할 수 없다.
다른 종래실시예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492750호에는 "기능성조성물이 함유되는 생리대"가 소개되고 있다 기술구성으로는 외피, 고분자 흡수체, 방수외피의 순서로 적층구성된 생리대로서 고분자 흡수체에 쑥, 천궁, 당귀, 박하, 전분으로 구성된 기능성조성물을 혼합시키거나 도포시킨 것으로 식물성 한방약재의 강력한 향을 이용악취를 상쇄시키는 작용을 갖는 생리대로서 피부에 약리적인 활성을 부여하는 기능들을 크게 기대할 수 없는 생리대라 할 수 있다.
또 다른 종래실시예로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875877호는 허브조성물이 함유된 기능성 생리대에 관한 것으로 액체투과성으로 이루어진 표지층, 액체불투과성으로 이루어진 방수층, 그리고 표지층과 방수층 사이에 흡수층이 포함되며 흡수층은 3단의 부직포층으로 구성되며 부직포층 사이에 고분자 흡수체와 허브분말이 균일하게 분포되는 구성으로된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 허브분말은 익모초, 향부자, 삼백초, 쑥, 천궁, 박하, 당귀 등으로 살균성, 항균성, 허브향에 의한 냄새 상쇄기능을 기대하고 있으나 전술한 등록특허공보 제10-492750호의 생리대와 큰 차이가 없다 하겠다.
기저귀의 착용으로 습한 배설물과 접촉빈도가 잦아지므로서 취약해진 피부를 활성화시키고 피부사상균에 의한 무좀, 만성습진, 외음 부습진, 지루성 피부염, 옴, 종창 등 각종 피부질병에 대한 면역성을 증가시키므로서 각종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그밖에도 피부에 소염작용과 배농작용 피부속의 노폐물을 배출시켜 피부신진대사를 높이고 빠르게 피부를 회복시키는 기능과 배설물의 악취를 흡착 감소시킬 수 있는 일회용 다기능성 기저귀를 제공함에 있다.
다량의 유사알룸 또는 알룸의 복염화합물, 게르마늄, 세레늄이 함유되어있는 광천수(강원도 정선군 신동읍 방제리 소재)의 농축액, 원적외선 방사 및 음이온 발생기능, 흡착탁취기능, 항균성이 우수한 장호석(국화석) 미세분말, 피부약리활성이 탁월한 지치, 율무, 약쑥, 감초로 구성되는 식물성 한방약재 추출물, 식물접착성물질인 물프레나무내피, 느릅나무외피, 해조류로부터 얻은 알긴산나트륨 농축액으로된 기능성 조성물을 기저귀의 흡수층과 피부와 접촉되는 내피에 함침 또는 코팅하여 고착시킨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므로서 본 발명이 시도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기능성 기저귀는 살균성, 항균성이 있어 배설물에 있는 유해한 세균을 사멸시키므로서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냄새를 흡착하는 기능이 있어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식물성 한방약재추출물의 기능에 의하여 피부에 약리활성을 부여하는 기능으로 곪은상처, 만성습집, 외음부습진, 알레르기 성질병을 예방치료할 수 있으며 피부의 배농작용, 피부속의 노폐물을 배출시켜 피부신진대사를 높히고 빠르게 피부를 회복시켜주며 천연의 식물성 접착제까지도 피부에 유익한 성분이 있는 일회용 기능성 기저귀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천수농축액 35중량부, 장호석 미세분말 30중량부, 식물성 한방약재 15중량부, 액상의 식물접착제 20중량부를 균질화시킨 액상조성물로 도1에 도시된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A)의 내측면으로 피부와 접촉되는 바닥면(1), 바닥면의 주름부(2), 밀착형의 탄성프랩부(3), 보조프랩부(4), 밴드부(5), 방수성외피(6)과 바닥면(1) 사이에 삽입구성되는 흡수층(7)에 각각 합침시키거나 스프레이 코팅하여 건조시킨 일회용 기능성에 관한 것으로 액상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의 특징을 알아보면,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 방제리 광천수를 1/100로 농축시킨 농축액으로 광천수에는 인체에 유익한 세레늄 게르마늄을 비롯한 미량금속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특히 유사알룸 및 알룸(Alum)인 알루미늄 설페이트, 알루미늄 설페이트 하이드레이트, 암모늄·알미늄 설페이트, 알루미늄 설페이트 소디움 실라게이트, 마그네슘·알루미늄 설페이트, 칼리움 나트륨 알룸 등의 복염화물 형태로된 유사알룸 또는 알룸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피부질환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살균성과 탈취성이 우수하여 살균제, 악취제거제로 사용하고 있으며 현지인들은 지역발전사업으로 당국의 지원 아래 관광지원으로 온욕수로 이용하는 노력하고 있다. 이 광천수의 수질분석 결 과는 다음 표(1)과 같다.
표(1)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 방제리 광천수의 수질분석치.(음용수 기준)
시험항목 수질기준 시험결과 시험항목 수질기준 시험결과
색도 5 2 납(Pb) 0.05 ND
탁도 2 1.2 세레늄(Se) 0.01 57.571ppb
냄새 무취 - 아연(Zn) 1 8.22
무미 + KMnO4 소비량 10 4.84
증발잔유물
(mg/ℓ)
500 3360 세제(ABS) 0.5 ND
수소이온농도(pH) 5.8~8.5 4.2 말라치온 0.25 ND
경도(mgCaCO3/ℓ) 300 800 파라치온 0.06 ND
암모니아성질소
(NH4 =-N)
0.5 0.164 페니트로치온 0.04 ND
질산성질소(NO3-N) 10 0.710 다이아지논 0.02 ND
염소이온(CI-) 150 10 페놀 0.005 ND
잔류염소 0.2 ND 트리할로메탄 0.1 ND
시안(CN-) ND ND 일반세균 100/mg 불검출
불소(F-) 1 7.7 대장균군 ND/50mg 음성
황산이온(SO4 2 -) 200 1910 1.1.1트리클로로에탄 0.1 ND
비소(As) 0.05 ND 게르마늄 - 133.16ppb
카드뭄(Cd) 0.01 0.021 칼슘(Ca) - 254.40
6가크롬(Cr6 =) 0.05 0.01 마그네슘(Mg) - 392.38
구리(Cu) 1 0.5 칼륨(K) - 21.88
철(Fe) 0.3 0.26 나트륨(Na) - 4.73
수은(Hg) ND ND 알루미늄(Al) 0.2 244.95
망간(Mn) 0.3 49.94 - - -
또한 장호석분말은 음이온 발생기능을 가지므로서 혈액중의 미네랄성분인 칼슘, 나트륨, 칼륨 등의 이온화율을 상승시켜 알카리화의 진행을 통해 정화작용을 하게되며 체내에 음이온이 증가함에 따라 감마그로피린(혈청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의 일종으로 면역력을 가진항체)을 증가시키며 또한 원적외선 방사기능이 우수하여 혈액순환의 촉진,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키며 신경계 및 경락체계 활성화기능을 갖게되고 그밖에도 항균성 흡착에 의한 탈취기능이 탁월하다.
상술한 장호석의 기능과 작용은 아래의 실험분석 표(1~3)에 의해 더욱 분명 해질 수 있다.
표(1) 장호석분말의 원적외선 방사율 시험결과.
시험항목 시험결과 시험방법
원적외선 방출량
(40℃)
방사율(5~20㎛) 0.919
KICM-FIR-1005
방사에너지(W/㎡) 3.71×102
(비고) 본 시험결과는 FT-IR 스펙트로메타를 이용한 흑체대비측정결과임.(한국건자재 시험연구원장)
표(2) 장호석분말의 탈취효과 시험결과.
시험항목 경과시간 Blank농도(ppm) 시료농도(ppm) 탈취율(%)

탈취시험
(암모니아가스)
30 493 50 89.9
60 414 40 90.3
90 360 25 93.1
120 312 16 94.0
※ 상기 시험성적서는 경상대학교 기초과학부 배우연 교수연구실에서 실시한 시험성적서임.
표(3) 장호석분말의 항균시험 시험결과.

시험항목
시험결과
시험방법
초기농도
(CFU/40p)
24시간후농도
(CFU/40p)
세균감소율
(%)
대장균에 의한 항균시험 BLANK 411 2830 -
KICM-FIR-
1002
암석(국화석) 411 112 72.7
농녹균에 의한 항균시험 BLANK 428 2898 -
암석(국화석) 428 196 54.2
※ 한국건자재 시험연구원.
※ 사용균주
Eschericichia coli ATCC 25922
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442
그리고 약리활성을 갖는 식물 한방약재로서 지치(Lithospermum erthrorhizon sieb)는 뿌리를 사용하며 뿌리의 성분으로는,
뿌리에 가지색을 띤 나프토키논유도체(1.8~3.5%)인 아세틸시코닌 C18H18O6(0.5~0.8%), 시코닌 C16H16O5 0.1%, 이소발레릴시코닌, β-디메틸아크릴-시코닌 1~2.1%, 테르아크릴-시코닌 0.3%, β-히드록시이소발레릴-시코닌 0.09~0.5%, α-메틸-n-부틸시코닌, 데옥시시코닌, 안히드로알칸닌 등이 있다. 또한 알칸닌과 알칸난이 들어있다.
다른 자료에 의하면, 뿌리의 색소함량이 7.1%였고 30kg의 뿌리에서 435mg의 시코닌을 얻었다고 한다. 뿌리에서는 또한 알칼로이드, 트리테르펜사포닌, ℓ-보르네시톨, 이노시트, 루틴, 니트릴배당체 등이 확인되었다. 지상부에 페놀카르본산이 0.2% 있다.
작용으로는 시코닌, 아세틸시코닌의 약리성분으로 피부의 화상, 피부의 각종염증에 바르면 치료효과가 있고, 이 식물뿌리의 항호르몬활성은 물 추출액에서만 있고 여러 가지 유기용매의 추출액에는 없다. 또한 60℃보다 높은 온도에서 열처리해도 항호르몬활성이 없어진다. 그러므로 항호르몬활성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낮은 온도에서 감압으로 졸인다. 그밖에도 동의치료에서는 새살이 빨리 살아나오게 하는 약으로 동상, 화상, 곪은 상처, 피부병, 만성습진, 외음부습진, 질염에 사용한다.(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발행)
율무는 성분으로서 씨에는 단백질 8~20%, 기름 2~8%, 탄수화물 50~78%, 회분 0.5~2.3% 있다. 단백질을 물분해한 아미노산은 로이찐 21%, 티로씬 2%, 알라닌 0.5%, 페닐알라닌 1.2%, 글루타민산 15%, 아르기닌 1.7%, 트로핀 2%, 아스파라긴 0.2%, 히스티딘 0.15%와 트립토판 등이다. 즉, 로이찐이 많다.
기름은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미리스틴산, 찌스-8-옥타데짼산(코익신산)의 글리세리드이다. 비누화되지 않는 부분에는 β-시토스테롤(기름의 약 1.3%), 약간의 α-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이 있다. 탄수화물의 대부분은 농마이다(요드시약에 붉은 밤색을 띤다.)
회분에는 P, Mg, Mn, Ca, Fe, Al, Zn, Ba, Cu, Mo, Sn, Ni 등이 있다.
씨는 아세톤추출액에는 코익세놀리드 C38H70O4 가 있다. 이 물질은 찌스-9-헥사데짼산과 트란스-11-옥타데짼산이 한 분자씩 결합된 것이다. 씨에는 또한 콜린 약 150mg%(유리형 또는 결합형)와 유기산이 있다. 유기산의 35%는 버터산, 60%는 옥시프로피온산과 약간의 다른 유기산이다.
뿌리에는 스테아린산과 팔미틴산의 글리세리드로 된 기름, β-시토스테롤, r-시토스테롤, α-시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정유 0.1%, 코익솔(C8H7O3N, 6-메톡시벤즈옥사졸론, 녹음점 151~152℃)이 있다.
작용으로 씨의 단백질함량은 벼과 식물들인 입쌀이나 밀보다 높고 로이찐을 비롯한 필수아미노산이 많다. 이밖에도 기름과 미량원소를 비롯하여 사람의 영양에 좋은 성분들이 있다.
씨는 또한 항염증작용, 과콜레스테린혈증을 낮추는 작용이 있다. 코익세놀리드는 에를리히복수암에 대한 증식억제작용이 있다. 이밖에도 씨의 약리작용은 많이 검토되었으나 연구자들에 따라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뿌리에서 얻은 코익솔은 아픔멎이작용, 진정작용이 있으며 작용세기는 코익솔 100mg/kg에 아미노필린 145mg%가 해당된다. 또한 코익솔은 혈당량을 줄인다.
이상의 작용들은 급성실험에서 얻어진 것들이며 만성실험과 임상에서는 거의 검토되지 못하였다.
씨는 보약으로 오래전부터 써왔다. 동의치료에서는 염증약, 오줌내기약, 배농약, 아픔멎이약으로 붓기, 곪는 질병, 신경통, 관절아픔에 쓴다. 또한 사마귀를 떼는데도 쓴다.
뿌리는 민간에서 벌레떼기약으로 쓰며 신경아픔과 관절염에 쓴다.
코익솔은 신경아픔에 주사하기도 한다. 율무쌀로 밥이나 떡을 만들어 오래 먹으면 몸이 건강해진다고 한다.
율무씨달임약(10~30:200)-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다. 전염성 사마귀나 혹(Molluscum contagiosiosum) 치료에 쓴다.
그밖에 율무기름은 햇볕에 그을린 피부가 진정되면서 따가운 증세가 사라지고 보습작용을 해주며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amino acid)으로 로이신(leucine), 글루탐산(glutamic acid), 발린(valine), 티로신(tyrosine) 등이 다량함유되어 피부에 소염작용과 배농작용, 피부속 노폐물을 배출시키는데 뛰어난 약리작용을 한다.(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발행)
또한 율무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질, 칼슘, 철분, 회분, 비타민 B 등으로 인하여 잡티제거와 미백작용에 특히 묵은각질을 제거해주고 모공수축 효과가 있어 피부를 깨끗하게 가꾸어준다. 특히 피부신진대사를 높이고 빠르게 피부를 회복시키는 작용으로 여드름이나 기미, 주근깨에 사용하면 진정 및 완화시켜주며 알칼리성피부에 탄력을 준다.
약쑥 성분으로는 전초에 정유, 탄닌질, 수지, 쓴맛물질, 아르테미신, 30~130mg%의 아스코르빈산, 11~12mg%의 카로틴이 있다.
잎에는 정유 0.02%(또는 0.1~0.6%)있다. 정유의 약 50%는 찌네올이며 기타는 α-투욘 C10H16O, 보르네올, 파라핀 등이다. 또한 잎에는 아데닌 0.02%, 콜린 0.11%, 비타민 A, B, D 등이 있다.
뿌리에는 다당류인 아르테모즈 약 1.8%와 0.1%까지의 정유가 있는데 디히드로마트리카린에스테르와 테트라데카트린 그리고 이눌린과 점액이 있다.
마른잎을 부스러뜨린 털에는 랍 2.3%, 트리코자놀 C22H48O, 헨트리아콘탄 C31H64, 카프린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등의 지방산혼합물이 있다.
작용으로 잎의 물추출액은 집토끼의 떼낸 창자와 개구리의 떼낸 심장에 대하여 억제작용을 하며 혈압을 내린다. 흰쥐에게 1주일동안 피하주사하면 모세피줄 투과성이 억제된다. 집토끼에게 정맥주사할때 피응고시간이 짧아지지 않는 것으로 보아 피멎이작용은 뚜렷하지 않다고도 한다.
동의치료에서 수렴성피멎이약, 아픔멎이약으로 자궁출혈, 배아픔, 피똥이 있을때 스며 강장보혈약으로도 쓴다. 그리고 마른 잎을 비벼서 겉면의 털을 모아 뜸뜨는데 쓴다. 6월 초순에 채취한 것이 좋다. 마른 잎에서 약 5%의 털을 얻을 수 있 다.
민간에서는 전초를 진정약, 진경약으로 전간, 경련, 마비, 전신강직에 쓰며 아픔멎이약으로는 산통, 머리아픔과 이쏘기, 위암, 문둥병, 매독, 림질, 뇌부종, 류마치스, 통풍에 진경약, 기침멎이약, 발한해열약으로는 기관지염, 기관지천식, 폐결핵, 폐염, 감기 등에 쓴다. 또한 오줌내기약, 열물내기약으로도 쓴다.
뿌리는 월경이 순조롭지 못할 때와 유산시킬때, 임신중독때, 자궁섬유종때 쓴다. 또한 신선한 잎을 짓찧어 벌레나 뱀에 물린데 바른다.
그밖에도 클로로필에 의한 조혈, 살균, 미세혈관 확장작용, 신진대사촉진, 피부의 항알레르기성작용 및 칼륨, 칼슘, 철분 등 우수한 영양소가 풍부하게 들어 있어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체내에서 세포의 사멸이나 기능을 저하시키는 레디칼의 활성을 억제하므로서 노화를 방지하며 탄닌(카페테인)성분이 세포에서 히스테인이란 물질이 유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의 알레르기성질병을 예방할 수 있고 지방을 분해하여 체외로 배설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약초의 성분과 이용)
감초는 국로, 곧은 감초, 민 감초, 구분 감초라고도 하며 뿌리의 부위에 따르는 글리찌리진함량을 보면 2년 생감초의 원뿌리에 6.91%, 가는 뿌리에 8.08% 그러므로 원뿌리와 뿌리줄기만을 약용으로 사용할 것이 아니라 잔뿌리도 함께 사용해야 한다.
성분으로 뿌리와 뿌리줄기에는 글리찌리진(글리찌리진산의 칼리움염 또는 칼시움염)이 5~14%(많은 것은 23%), 글라브라산(글리찌레틴, C30H46O5)이 있다.
글리찌리진산 C42H62O16은 트리테르페노이드사포닌으로서 녹음점 205℃, 분해점 220℃,[d]
Figure 112009074038296-PAT00001
+58.5°이고 알콜과 뜨거운 물에 잘 풀리며 에테르에 풀리지 않는다. 뜨거운 물에 푼것을 식히면 갖풀처럼 굳어진다. 물분해하면 맛이 없는 글리찌레틴산 C30H46O4 과 두 분자의 글리쿠론산 C6H10O7이 생긴다. 글리찌레틴산은 β-아미린계트리테르폐노이드로서 α, β체의 두가지가 있는데 쉽게 서로 변화한다. 그러나 그의 에스테르는 서로 변화하지 않는다. α-글리찌레틴산은 판모양결정(희알콜)이고 녹음점 283℃, [α]
Figure 112009074038296-PAT00002
+140°(에타놀)이며 에타놀, 디옥산, 클로로포름에 풀린다. β-글리찌레틴산은 바늘결정(에타놀)이며 녹음점 296~300℃, 에타놀, 피리딘, 초산에 풀리고 석유에테르에 잘 풀리지 않는다.
또한 플라바논배당체인 리쿠이리틴 C21H22O9, 네오리쿠이리틴, 람노리쿠이리틴(이것들의 비당부분은 모두 리쿠이리티게닌이다.)과 이에 대응한 갈콘배당체인 이소리쿠이리틴, 네오이소리쿠이리틴, 이소람노리쿠이리틴, 리쿠라이시(이것들의 비당부분은 모두 이소리쿠이리티게닌이다)가 있다. 람노리쿠이리틴을 리쿠이리토시드라고도 하는 것 같다.
요즘 감초뿌리에서 크로마토그리프로 27개를 넘는 플라보노이드류사물질이 확인되었다.
구분감초뿌리에서는 β-시토스테롤, 포르모노네틴, 리콘리콘, 리코네올리그난이 확인되었다. 또한 꽃필 때의 마른잎과 줄기에는 단백질 14~22%, 기름 2~5%, 무질소엑스 36~62%, 회분 5~20%로서 집짐승먹이로 쓸 수 있다.
감초의 플라보노이드함량은 자라는 시기에 따라 변한다. 뿌리에는 가을철, 잎과 줄기에서는 열매가 달리기 시작할 때에 제일 높다. 가을철에 리쿠라시드의 함량은 약 0.5%이다. 리쿠라시드는 총플라보노이드의 약 10%를 차지한다.
줄기와 잎에는 사포나레틴, 글리포시드, 비텍신 등이 있다. 사포나레틴은 퐁플라보노이드의 약 50%이며 열매가 열릴 때의 전초에 약 3% 들어있다.
또한 쓴맛이 있는 글리찌라마린(글리찌리진의 쓴맛 성분), 2, 4, 4'-트리히드록시갈콘과 그 배당체 디옥시티그마스테린(녹음점 135~136℃), β-시토스테린, 정유(0.03%), 아스코르빈산 11~30mg%, 아스파라긴(1~4%), 과당(2.4~6.5%), 포도당(2~4%), 만니롤, 농마(14~30%), 고무질(1.5~4%), 노란색소, 사과산, 기름, 수지, 탄닌, 단백질, 아미노산으로 아스파라긴산, 프롤린, 알라닌, 트레오닌, 세린, 글리찐, 발린, 이소로이찐, r-아미노버터산이 있다. 쓴맛물질은 제일 많을때 8%이다. 그 가운데서 물에 풀리는 것이 2.5~3%이다.
작용으로 감초뿌리의 유효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글리찌리진은 사탕의 약 40~50배 정도로 단맛이 있으며 그 단맛은 10만배의 희석액에서도 느낄 수 있다. 물용액은 흔들면 거품이 생기지만 일반 사포닌보다 약하게 일고 용혈작용도 없거나 약하다(칼리움염은 1:400). 글리찌리진의 물분해에 의하여 생긴 글리찌레틴산은 단맛이 없고 용혈작용이 있다. 그리하여 감초의 거담작용의 글리찌레틴산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글리찌리진은 또한 호흡기도를 완화시킨다.
간초뿌리엑스, 글리찌리진은 독성이 없고 포수클리랄, 스트리크닌, 요힘빈, 코카인, 모르핀, 코데인, 아트로핀, 루미날 등에 의한 중독을 풀어준다, 세균독과 비루스독 예를들면 파상풍독소, 디프테리아독소, 백독을 풀어준다. 아세틸콜린, 히스타민,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과는 길항작용을 하며 아드레날린과 비슷한 강심작용도 있다.
글리찌리진의 독풀이 작용은 물분해산물인 글루쿠론산과 관계된다. 글루쿠론산은 동식물계에 널리 들어있는 성분으로서 간에서 유독한 물질과 결합되여 글루쿠로니드를 형성하고 오줌으로 배설된다. 그러므로 글루쿠론산은 약물중독, 알콜중독, 식중독, 황달, 간경변증, 만성간장애, 류마치스, 관절아픔, 신경아픔 등에 쓰이고 있다. 글리찌리진의 독풀이 작용은 글루쿠론산에만 의한 것으로 생각되지 않으며 글리찌리진이 신상선피질호르몬과 비슷한 작용을 하는 것과도 관계된다. 글리찌리진은 신상선피질호르몬인 데스옥시코르티코스테론과 같은 효과가 있다.
글리찌레틴산은 동물실험에서 나트리움과 클로르, 오줌의 배설량을 줄이고 칼리움의 배설량을 늘인다. 즉 Na/k의 비를 낮춘다. 이와 같이 칼리움대사에는 부정적영향을 주지만 나트리움대사에는 긍정적영향을 준다. 또한 물과 염류대사에 대한 신상선피질호르몬의 영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조건을 지어주는 신상선피질의 아스코르빈산함량을 줄이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작용은 감초의 추출물과 글리찌리진에서도 있다. 사람이 먹었을 때에도 같은 작용이 나타난다.
작용의 세기는 동물실험결과 글리찌레틴산 25mg의 작용이 데스옥시코르티코스테론 1mg의 작용과 같거나 약간 세다. 작용기전에 대하여서는 두가지 견해가 있다. 즉 글리찌레틴산과 데스옥시코르티코스테론의 구조가 비슷하다는데로부터 글리 찌레틴산이 신상선피질호르몬의 농도를 높인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신상선에 직접 작용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의 실험자료들은 신상선에 직접 작용한다는 것을 보다 확신시켜준다. 신상선을 떼낸 동물에게서는 글리찌레틴산을 먹여도 무기물과 물대사에 영향을 주지않으며 신상선이 약간이라도 자기기능을 수행할 때에만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데스옥시코르티코스테론과 다른점은 글리찌레틴산이 데스옥시코르티코스테론의 무기물 및 물대사에 길항하는 오줌내기약물(△6-6-메틸코르티존아세타트)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다.
감초뿌리엑스, 글리찌리진은 항염증작용을 한다. 즉 동물적으로 일으킨 포르말린관절염의 치료때 긍정적 영향을 준다. 혈청트란스아밀라제의 활성을 억제하며 간에 있는 아데노신트리포스파타제의 활성을 높인다. 글리찌리진의 데스옥시코르티코스테론과 비슷한 항염작용은 분해산물인 글리찌레틴산에 의한 것으로 본다.
글리찌리진의 신상선피질호르몬류사작용은 코르티코이드의 생체안에서의 비활성화과정인 △4-3케톤부분의 환원을 억제하기 때문이라는 견해도 있다.
감초뿌리엑스는 동물실험에서 위장활평근에 대한 파파베린과 비슷한 향근육성 진경작용이 있다. 이 작용은 플라보노이드성분에 기인된다. 감초의 플라보노이드는 지금까지 쓰이지 않았던 것인데 진경작용, 항염증작용이 알려지면서 리용면이 개척되게 되었다. 플라보노이드성분인 리쿠라시드는 파파베린보다 3배나 센 진경작용이 있으면서도 항염증, 항궤양활성이 있다. 그리고 아세틸콜린, 히스타민에 대한 길항작용이 있다. 리쿠이리틴, 리쿠이리티게닌, 리쿠이리토시드도 리쿠라시드보다 는 약 하나같은 작용이 있다.
감초뿌리엑스가 소화성위궤양에 치료효과가 있다는 것은 1950년대에 알려졌다. 그리하여 감초뿌리에서 항궤양성물질을 찾아내기 위한 많은 실험들이 진행되었다. 1960년대에 들어와서 플라보노이드를 얻어내고 그 성분들이 진경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 많은 실험들을 통하여 진경작용 뿐 아니라 항염증작용, 항궤양작용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몇개의 감초플라보노이드의 진경, 항염증, 항궤양작용을 동물실험에서 검토한데 의하면 리쿠라시드가 제일 세다. 리쿠라시드의 진경활성은 파파베린보다 3배나 세며 아세틸콜린과 히스타민에 대한 길항작용이 있다. 리쿠이리티게닌은 리쿠라시드보다 진경활성은 3배, 항염증활성은 2배, 항궤양활성은 1.5배 약하다. 리쿠이리틴은 리쿠라시드보다 진경활성이 8배, 항궤양활성이 3배 약하다.
항궤양활성은 플라보노이드의 선광도와도 관련된다. 산분해한 게닌은 약한 좌선성이지만 효소분해하면 좌선성이 센 게닌이 얻어지는데 활성이 매우 크다.
리쿠라시드의 위십이지장궤양치료효과는 다음과 같은 치료성적에서도 볼 수 있다. 리쿠라시드와 비칼린, 플란타시드(질경이다당류)를 비교한데 의하면 리쿠라시드를 쓴 환자의 대부분은 치료기간에 궤양면이 완전히 없어졌다고 한다. 비칼린을 쓴 환자에게서는 궤양부위의 아픔이 없어지기는 하지만 궤양면이 없어진 예는 없다. 플란타시드를 쓴 환자에게서는 일부 환자들에게서 궤양면이 없어졌다.
위십이지장궤양치료에서 진경, 항염증, 항궤양작용은 매우 중요하다. 요즘에 이러한 작용들이 있는 여러가지 약들을 섞은 복방제제들을 많이 만들고 있다. 하나 의 약품이 이러한 작용들을 겸비한다면 치료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리쿠라시드는 위십이지장궤양치료에서 좋은 약이다. 감초의 진경, 항궤양성분이 글리찌리진유도체인 비오가스트론(카르벤옥솔론)이 거나 또는 껍질에 있는 이소플라보노이드라는 자료도 있다.
글리찌리진산은 계면활성이 세므로 다른 동약재와 함께 달이거나 먹으면 동약성분들을 물에 잘 풀리게 하며 흡수를 돕는다. 또한 동약재의 독성을 줄이고 맛을 바꾼다. 요즘에는 에스트로겐작용도 주목되고 있다.
감초뿌리엑스는 포도알균, 대장균, 적리균에 대한 약간의 억제작용이 있다.
글리찌리진산을 항암약인 티오포스마미드와 함께 쓰면 항암활성은 85~95%에 이른다고한다.
일반적으로 트리테르펜화합물이 지질대사에 좋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고려하여 글리찌리진산암모니움염(글리찌람)을 실험적과 지질혈증에 적용하여 보았다. 흰쥐에 과콜레스테린혈증을 일으키고 글리찌람을 준 결과 0.5g/kg에서 16%, 1g/kg에서 14.7%로 콜레스테린의 피속농도가 낮아졌다. 같은 조건에서 부채마사포닌제제(폴리스포닌)는 10mg/kg씩 3달동안 먹인 결과 39%로 피속콜레스테린함량은 낮아졌고 β-리포프로테이드는 53%, β-리포프로테이드의 콜레스테린 30%, 트리글리세리드는 23%, 간의 콜레스테린은 36%로 대조보다 낮아졌다. 같은 조건에서 폴리스포닌은 글리찌람보다 못하였다.
감초뿌리는 가래삭임작용, 완화작용, 항염증작용과 진경작용, 항히스타민작용 등이 있다. 따라서 기침가래약으로 상기도 질병에 쓴다. 단맛이 있으므로 약품 의 맛고침약으로도 쓴다. 독풀이약으로도 쓰이며 부형약으로도 쓰인다. 요즘에는 위십이지장궤양, 아디손병, 기관지천식, 황달과 간염, 습진을 비롯한 피부병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
글리찌리진산은 항암약의 활성을 높이기 위한 조보약으로 쓰이고 있다.
동의치료에서는 뿌리를 주로 동의처방에서 다른 동약들의 작용을 완화 및 조하시킬 목적으로 많이 쓴다. 즉 더운약(예를들면 부자리중탕의 부자와 생강)과 같이 쓰면 열을 완화시키면 찬약(소시호탕의 시호뿌리, 속썩은 풀뿌리)과 같이 쓰면 찬것을 완화시킨다.
이처럼 완화약 또는 아픔멎이진경약, 가래약, 기침멎이약, 독풀이약으로 위경련, 위아픔, 인후아픔,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등에 쓰며 독이 있는 동의처방에도 들어간다.
이상에서와 같이 감초는 그 자체의 약리성분도 다양하지만 감초에 있는 글리찌린산은 계면활성이 세므로 다른 동약재와 달이거나 먹으면 동약성분을 물에 잘풀리게하고 피부에 흡수를 도우며 동약재의 독성을 줄인다. 그밖에도 습진을 비롯한 피부병에 널리 쓰인다.(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발행)
상기 식물 한방약재들은 각종질병의 예방치료에도 유효하지만 특히 피부와 관련하여 우수한 약리활성을 부여할 수 있는 한방약재들을 선택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능성 조성물로 사용시에는 추출액으로 사용한다.
이 추출액을 얻는 방법은 각각 동량으로 구성된 지치, 율무, 약쑥, 감초의 한방약재를 50배에 해당하는 30%의 알콜수용액에 침지하여 온도 5~60℃로 2시간 추 출한 추출물을 압착여과 1차 추출액을 얻고 나머지 압착잔사에 다시 알콜량에 해당하는 물을 첨가하여 온도 80~100℃에서 3시간 열처리하여 얻은 추출물을 압착여과하여 얻은 2차 추출액을 얻고 1차 추출액과 2차 추출액을 혼합한 혼합추출액을 온도 40~50℃에서 진공농축하여 추출액의 1/5이 되도록 농축시킨 한방약재 추출물이다.
그밖에 접착액으로는 해조류인 곤피를 2wt%의 탄산소다용액을 끓여서 얻은 알긴산나트륨의 농축액으로서 생곤피를 수회물로 씻어 염분을 제거하고 곤피중량에 대해 3wt%의 탄산나트륨수용액 5배에 침지하여 증비하여 1/10로 농축시킨 농축액으로 우수한 접착성을 가지며 느릅나무는 껍질에 플라보노이드, 사포닌(용혈지수 : 1900), 많은량의 점액질, 잎에는 플라보노이드, 씨에 점액질 쓴맛물질, 탄닌질이 있다. 작용으로는 줄기, 뿌리, 껍질은 창자와 방광평할근의 운동을 강화시키며 기침멎이작용, 수렵작용, 항염인증작용을 한다. 동의치료에서는 껍질을 달여 위아픔, 허리통증에 먹는다. 그리고 피부병에도 사용한다. 본 발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줄기 및 뿌리 껍질을 진탕하여 껍질의 중량에 대하여 5배의 물에 침지하여 끓여서 1/10로 농축시킨 농축액을 사용한다.
상기에는 곤피 및 느릅나무는 끓인후 압착여과하여 잔사는 제거하고 농축액만을 사용한다.
이상의 기저귀는 살균력과 항균성이 우수하고 원적외선방사 및 음이온발생기능 이외에도 악취제거기능이 있고 피부에 약리활성을 부여하는 식물성 한방약재의 지치성분인 시코닌 아세틸시코닌의 약리성분에 의하여 피부의 곪은 상처, 피부병, 만성습진, 외음부습진 등 각종 피부염치료에 효과가 있고 율무 또한 항염증작용이 있고 아미노산으로 로이신, 글루탐산, 발린티로신 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피부에 소염작용, 배농작용, 피부의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피부의 잡티제거와 미백작용에 의해 묵은 각질을 제거해주고 모공수축효과가 있어 피부를 깨끗하게 해지며 신진대사를 높이고 빠르게 피부를 회복시키는 뛰어난 약리작용을 한다. 또한 약쑥성분의 크로로필에 의한 살균, 미세혈관 확장작용, 신진대사촉진, 피부의 항알레르기성 작용을 하게되며 그밖에 감초는 그 자체의 약리성분도 다양하지만 감초에 있는 글리찌린산은 계면활성이 세므로 동약성분을 물에 잘 풀리게 하고 피부에 흡수를 도우며 동약제의 독성을 줄이며 습진을 비롯한 피부병에 널리 쓰인다.
또한 접착성분을 갖는 느릅나무 추출액 또한 피부병에 효과가 있고 갈조류인 곤피에는 세포막 사이에 점액이 많아 접착성을 발휘하고 요도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피부의 상처에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식물성 한방약재 접착제 등은 모두 식용이 가능하고 약리활성이 높으며 피부에 무해한 피부에 약리 활성을 부여하는 성분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능성 기저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능성 기저귀의 일부단면 정면도.

Claims (4)

  1. 광천수 농축액 35중량부, 장호석 미세분말 30중량부, 식물성 한방약재 추출액 15중량부, 액상의 식물성 접착제를 혼합하여 균질화시킨 조성액으로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 내측면의 피부와 접촉되는 바닥면, 주름면 밀착성의 탄성프랩부, 보조프랩부, 밴드부 그리고 내측면과 방수성의 외피사이에 삽입되는 흡수층을 함침시키거나 스프레이코팅하여 건조시킨 일회용 기능성 기저귀.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광천수 농축액은 광천수를 1/50로 농축시킨 유사알룸 및 알룸 복염화합물이 다량함유된 광천수 농축액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식물성 한방약재 추출액은 지치, 율무, 약쑥, 감초를 동량으로 배합된 식물성 한방약재 추출액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액상 식물성 접착제는 갈조류 탄산소다 수용액으로 추출한 추출액이거나 느릅나무껍질을 물로 추출한 추출액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KR1020090117553A 2009-12-01 2009-12-01 일회용 기능성 기저귀 KR201100610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553A KR20110061035A (ko) 2009-12-01 2009-12-01 일회용 기능성 기저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553A KR20110061035A (ko) 2009-12-01 2009-12-01 일회용 기능성 기저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035A true KR20110061035A (ko) 2011-06-09

Family

ID=4439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553A KR20110061035A (ko) 2009-12-01 2009-12-01 일회용 기능성 기저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10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470A1 (ko) * 2015-04-13 2016-10-20 주식회사 제이와이에이치 초유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470A1 (ko) * 2015-04-13 2016-10-20 주식회사 제이와이에이치 초유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CN107735066A (zh) * 2015-04-13 2018-02-23 Jyh株式会社 含初乳的一次性吸收产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arino et al. Ethnobotanical study of the Sannio area, Campania, southern Italy
KR100606452B1 (ko)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CN102145111B (zh) 一种治疗霉菌性阴道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20084723A (ko) 소염, 부기제거, 진통에 사용되는 중국 생약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1653534B1 (ko) 원적외선 방사 및 한방성분을 함유한 여성용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273358B1 (ko) 항균, 살균 및 탈취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복합 기능성 시트를 포함하는 위생용 흡수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2288724B1 (ko) 항균, 살균, 항염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피부 면역력의 강화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KR101050472B1 (ko) 다기능성 미용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06259071A (zh) 一种河蟹的天然养殖方法
KR100867514B1 (ko) 지초 비누의 제조방법
CN103599029B (zh) 抗菌消炎组合物、爽身粉及其制备方法
KR100825436B1 (ko) 피부개선 미용비누 조성물
KR20110061035A (ko) 일회용 기능성 기저귀
CN104957952B (zh) 具有保健驱蚊功能的长叶冻绿地毯
CN104997177B (zh) 活性炭与负离子矿物质复配的透气型文胸及制造方法
CN114306526A (zh) 一种复方苦丁茶中药提取物及其在制备沐浴露或洗手液中的应用
KR101654285B1 (ko)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
Usman Poisonous Herbal Plants: NA
CN104147416A (zh) 一种治疗小儿尿布疹的爽身粉及其制备方法
CN104825379A (zh) 减少黑色素沉积的美白焕肤晚霜及其制备方法
CN104957950B (zh) 一种新型葫芦茶负离子保健型地毯
KR102488255B1 (ko) 건식 찜질용 효소 조성물
CN104921567B (zh) 一种具有红外线保健功能的多用途卧室用地毯
CN105966129A (zh) 一种具有远红外线保健功能的文具收纳盒
CN106259076A (zh) 一种河蟹的养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