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0837A - 방재용 도립벽 - Google Patents

방재용 도립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0837A
KR20110060837A KR1020100119627A KR20100119627A KR20110060837A KR 20110060837 A KR20110060837 A KR 20110060837A KR 1020100119627 A KR1020100119627 A KR 1020100119627A KR 20100119627 A KR20100119627 A KR 20100119627A KR 20110060837 A KR20110060837 A KR 20110060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evee
disaster prevention
invert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지 나이토
Original Assignee
데이지 나이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지 나이토 filed Critical 데이지 나이토
Publication of KR20110060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 E02B3/104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with self-activ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2201/00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r methods of hydraulic engin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제방 본체의 천단을 개방한 상태에서, 제방 본체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벽체를 제공한다.
제방 본체의 사면을 따라 눕힌 판형상의 벽체, 또는 제방 본체의 천단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눕힌 판형상의 벽체이다. 이 벽체를, 필요에 따라 거의 수직상태까지 일으켜 세우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방재용 도립벽{INVERT WALL FOR EMERGENCY}
본 발명은, 방재용 도립벽(倒立壁)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상 기상 등에 의하여 과거의 기록에 없는 강수량이 확인되어, 이전의 치수(治水)계획으로는 홍수류를 방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여, 유효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지구 전체의 온난화가 진행되어, 장래는 더욱 큰 홍수류의 발생이 염려되고 있다.
그러나, 댐이나 유수지의 건설,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제방이나 호안(護岸)의 증강·개수 등이 자치체나 주민 등의 반대, 또는 토지의 시가지화나 고도(高度) 이용 등 때문에 대책용 용지 확보의 곤란함 등으로, 유효한 대책의 실시가 곤란해지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그와 같은 문제를 해결로 전용할 수 있는 구조로서, 특허문헌 1과 같은 기복식(起伏式) 방파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 구조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천의 제방 본체가 아닌, 방파제의 구조이기는 하나, 평상 시는 도로면으로 되어 있는 방파제(a)의 상면에 방파판(b)을 눕혀 두고, 이상 시에는 이 방파판(b)을 잭으로 밀어 올려, 파랑을 막는 구조이다.
또한 특허문헌 2와 같은 가동 제방도 알려져 있다.
그 구조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방 본체(a) 위의 회전축(c)에 회전 자유로운 지주(d)를 설치하고, 이 지주(d) 위에 원호형상의 지붕(e)을 설치하여, 평상 시에는 차양으로 하고, 이상 시에는 지주(d)를 쓰러트려 지붕(e)을 제방으로 하는 구조이다.
또 특허문헌 2에서 공지기술로서 기재된 구조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방 본체(a)의 내부에 수직으로 상승, 하강하는 승강판(f)을 수납하여 두고, 이상 시에는 이 판(f)을 상승시켜 제방으로 하는 구조이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3-23924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2-240312호 공보.
상기한 종래의 방재용 도립벽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공지의 기술은, 어느 것이나 제방 본체의 천단(天端)(제방 본체 상의 최상면 부분)에 방파판(b), 원호판(e), 승강판(f) 등의 방재 구조물을 항구적으로 설치하는 구조이다.
<2> 그 때문에 이상 시에 천단에 자동차, 그 밖의 것이 1개라도 존재하고 있던 경우에는, 제방판의 밀어 올림이나 쓰러트림 동작이 곤란, 또는 불가능해진다.
<3> 그와 같은 경우에, 1개소라도 제방판을 일으켜 세울 수 없는 장소가 있으면, 거기까지 수위가 상승한 경우에는, 그 부분으로부터 홍수류 등이 제내지(堤內地) 측으로 흘러 들기 때문에, 모든 제방구조는 무의미해진다.
<4> 또 도 9, 도 10의 구조에서는 평상 시에도 제방 본체의 천단의 이용이 제한되어, 그 경관을 크게 변경하여 버린다.
<5> 이상 시에 천단에 제방판 등의 방재 구조물이 설치되기 때문에, 긴급 차량이나 인원의 교통이 곤란, 또는 불가능해져, 방재의 대응을 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재용 도립벽은, 제방 본체의 사면(斜面)을 따라 눕힌 판형상의 벽체로서, 필요에 따라 거의 수직상태까지 일으켜 세우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방재용 도립벽은, 제방 본체의 천단에 매설되어 있는 판형상의 벽체로서, 필요에 따라 거의 수평으로 인출하고, 그 후에 거의 수직상태까지 일으켜 세우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방재용 도립벽은, 제방 본체의 천단에, 회전축을 거쳐 거의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벽체로서, 회전축은 제방 본체의 길이 방향과 평행이고, 회전축보다 바깥쪽에, 벽체에 하향의 힘을 가하는 견인기구를 배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재용 도립벽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관리 사업자가 외적 환경이나 조건에 구속되는 일 없이, 필요에 따라 주체가 되어 본 방재용 도립벽을 설치하여 방재대책을 실시할 수 있다.
<2> 자치체나 주민 등의 의향에 상관없이, 신규의 토지수용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현황의 형태나 경관에 변화를 주지 않고, 손상하는 일이 없다. 평상 시는 제방 위로 신설의 방재 구조물이 돌출, 시인되는 일 없이, 또는 종래의 시설형태를 변경시키는 일 없이, 홍수류 재해문제를 발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3> 평상 시에는 제방 본체에 쓰러트려 격납하여 두고, 이상 시에만 기립전장(起立展張)시키기 때문에, 기존의 제방이나 호안 등의 형태나 이용도 현황을 변경하는 일은 없다.
<4> 이와 같이 하여 기립전장하는 본 방재용 도립벽은 대상 하천의 제방이나 호안 등에 인공적인 제방을 구축한 것이 되어, 제방을 증강·개수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방재용 도립벽의 설치에 의해 하천의 제방이나 호안을 증축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5> 하천에는 제방이나 호안 등의 천단 높이와 계획 고수위(高水位)의 사이에 여유 높이가 설정되어 있다. 이 여유 높이는 치수 계획상의 여유를 포함하는 것이 아니고, 이 부분으로 홍수류를 유하(流下)시킨다고 하여 그 용량을 치수 계획에 계상(計上)하는 것은 인정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방재용 도립벽의 설치에 의해 제방을 증축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여유 높이 부분은 제방으로서 이용하여 홍수류를 유하시킬 수 있다.
<6> 이 때문에, 본 방재용 도립벽의 설치에 의해 기존의 여유 높이를 신설하는 본 방재용 도립벽 부분에 대체시키면, 홍수류를 현 제방이나 호안 등의 여유 높이에 상당하는 부분으로 유하시키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해진다.
<7> 신규의 치수 계획에 의해 기존의 제방이나 호안 등으로는 대응할 수 없는 이상한 홍수류의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는 본 방재용 도립벽의 높이를 홍수 유하와 여유 높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홍수 시에는 이 부분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8> 본 방재용 도립벽이 새로운 제방이나 호안 등의 역할을 다하여, 홍수류의 넘쳐 흐름을 막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많은 하천의 홍수류 대책을 발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9> 어느 것의 구조이어도, 도 8,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종래 예와 같이 제방 본체의 천단면에 통행의 장해물이 설치되는 구조가 아니다. 따라서 벽체를 수직으로 일으켜 세워도, 도 8과 같이 제방 본체의 천단에 잭(g)이 노출되거나, 도 9와 같이 지주(d)가 통로를 차단하는 일이 없고, 천단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벽체가 제방 본체의 하천 측에 있는 경우에는, 천단의 도로는 그대로 긴급 차량이나 인원이 통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벽체가 제내지 측에 있는 경우에는 필요 폭만큼 하천 측으로 이동시키면, 마찬가지로 긴급 차량이나 인원이 통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0> 제방 본체 자체의 강도의 확보는 가장 중요한 과제이나, 본 발명의 구조를 채용하면 제방 본체 자체의 강도는, 공사 전의 수치 이상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제방 본체 내에 구축하는 구조물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11> 방재용 도립벽의 설치에 있어서 제방 본체의 일부 굴삭 등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방 본체의 강도를 착공 이전의 강도 이상을 확보하도록 복구할 수 있다.
<12> 방재용 도립벽의 설치에 의하여, 홍수류의 수심이 증가하는 경우는 그 수압에 견딜 수 있는 제방 본체의 강도를 확보하도록 설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하천 측으로부터 일으켜 세우는 형식의 실시예의 설명도,
도 3은 제방 본체로 매립하는 형식의 실시예의 설명도,
도 4는 하천 측으로 인출하여 일으켜 세우는 형식의 실시예의 설명도,
도 5는 제내지 측으로부터 일으켜 세우는 형식의 실시예의 설명도,
도 6은 제내지 측으로 인출하여 일으켜 세우는 형식의 실시예의 설명도,
도 7은 벽체를 튕겨 올리는 형식의 실시예의 설명도,
도 8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파장치의 설명도,
도 9는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가동 제방의 설명도,
도 10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가동 흉벽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기본적 구성.
본 발명의 방재용 도립벽(1)은, 벽체(11)와 일으켜 세우는 기구(12)에 의해 구성한다.
벽체(11)는, 기본적으로는 제방 본체(B)의 사면을 따라 눕힌 판형상의 벽체(11)(도 2, 도 3, 도 5), 또는 제방 본체(B)의 천단에 거의 수평방향으로 눕힌 판형상의 벽체(11)(도 4, 도 6, 도 7)이다.
일으켜 세우는 기구(12)는, 이 판형상의 벽체(11)를, 필요에 따라 거의 수직상태까지 일으켜 세우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청구항, 도면에서 「사면」이란, 실제로 경사진 면에 한정하지 않고, 경사지지 않은 수직면도 포함시킨 의미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제방 본체(B)가 경사져 있거나, 또는 수직인지의 여부에 있는 것은 아니고, 그 면으로부터 벽체(11)를 일으켜 세우는, 끌어 올리는, 또는 인출하여 일으켜 세우는 구성에 존재하는 것이다.
<2> 일으켜 세우는 형식. (도 2, 도 5)
판형상의 벽체(11)를, 제방 본체(B)의 사면에 눕힌 상태로 설치한다.
홍수, 고조(高潮), 그 밖의 위험한 이상 시에는, 이 벽체(11)를, 거의 수직의 자세까지 일으켜 세워 방재용 도립벽(1)으로서 구성한다.
그 때문에, 벽체(11)의 상부는, 제방 본체에 설치한 회전축(13)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한다.
이 회전축(13)의 축 방향은, 제방 본체의 길이 방향과 평행이다.
일으켜 세우는 기구(12)는, 종래 공지의 회전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벽체(11)의 회전축(13)에 설치한 기어에, 원동기 또는 인력에 의해 회전을 가하는 기구이다.
또는 링크기구와 유압잭의 조합, 또는 인력에 의한 잭의 조합 기구 등으로, 벽체(11)의 회전축(13)보다 제방 본체(B)의 중심 측으로, 하향의 끌어 내리는 방향의 힘을 가하는 구성이면 공지의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벽체(11)를 눕히는 측을, 하천(W) 측으로 하는 경우(도 2)와, 제내지(A) 측으로 하는 경우(도 5)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모든 도면은 설명을 위한 개념도로서, 예를 들면 회전축(13)이 천단 위로 노출되어 있지 않은, 완전히 제방 본체(B)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3> 매립형식. (도 3)
판형상의 벽체(11)를, 제방 본체(B)의 하천(W) 측의 사면에 눕힌 상태로 설치하는 점은,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단, 사면에 벽체(11)의 두께에 상당하는 깊이의 수납홈(15)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수납홈(15)의 내부에, 벽체(11)를 수납하여 두고, 벽체(11)의 상단은, 제방 본체에 설치한 회전축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한다.
이 회전축의 축 방향은, 제방 본체의 길이 방향과 평행이다.
필요에 따라 이 벽체(11)를, 회전축(도시 생략)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거의 수직의 자세까지 일으켜 세워 방재용 도립벽(1)으로서 구성한다.
일으켜 세우는 기구(12)는, 상기한 예와 마찬가지로, 종래 공지의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벽체(11)를 매립하는 측을 하천(W) 측으로 하는 경우(도 3)와, 제내지(A) 측으로 하는 경우(도시 생략)를 생각할 수 있다.
<4> 인출 형식. (도 4, 도 6)
제방 본체(B)의 천단에, 수평으로 판형상의 벽체(11)를 매설한다.
벽체(11)는, 거의 수평의 얇은 용기(14)에 수납한 상태로 제방 본체(B)의 천단에 매립되어 있다.
이 벽체(11)를, 필요에 따라 수평 용기(14)로부터 거의 수평 방향을 향하여 인출한다.
마치, 사무실 책상의 얇은 서랍을 빼낸 것 같은 상태이기 때문에, 천단의 상황에는 변화를 주는 일이 없다.
그 후에, 인출한 벽체(11)를, 거의 수직상태까지 일으켜 세울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인출한 벽체(11)가 회전하여 기립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종래 공지의 각종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벽체(11)의 회전 베어링도 동시에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인출의 종점에서 베어링의 이동을 구속하고, 그 위치에서 벽체(11)에 회전을 가하는 구성도 그 일례이다.
또는 벽판의 가장 후단(後端)에 와이어를 설치하고, 이것을 선단 측의 도르래를 거쳐 감아들임으로써 일으켜 세우는 것도 가능하고, 어떤 인출 기립 구성을 채용할 지는, 기술자의 선택 범위이다.
벽체(11)를 인출하는 방향은, 그것을 하천(W) 측으로 하는 경우(도 4)와, 제내지(A) 측으로 하는 경우(도 6)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벽체(11)를 수평 용기(14)에 수납하는 것은 불가결의 요건은 아니고, 수평 용기(14)를 사용하지 않고, 벽체(11)를 수평으로 인출하여 일으켜 세우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수평으로 인출 후의 천단의 노출면(B1)을, 콘크리트제, 아스팔트제 등의 바닥판으로서 구성하여 두면, 인출 후의 천단에서의 교통 등에 문제는 일으키지 않는다.
<5> 튕겨 오르는 형식. (도 7)
벽체(11)를 제방 본체(B)의 천단에 수평으로 설치한다.
그 벽체(11)의 제내지(A) 측을, 회전축을 거쳐 천단에 회전 자유롭게 축 고정한다.
이 회전축의 방향은, 제방 본체(B)의 길이 방향과 평행이다.
또한 회전축의 위치보다 바깥쪽, 즉 제내지(A) 측의 제방 본체(B) 내에, 일으켜 세우는 기구(12)로서 견인장치를 설치한다.
이 견인장치는, 제방 본체(B)의 내부가 아니고, 제방 본체(B)의 제내지(A) 측의 사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견인장치는, 잭이나 와이어나 기어 등, 공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일으켜 세우는 기구(12)인 견인장치에 의하여, 벽체(11)의 제내지(A) 측으로 하향의 힘을 가하면, 벽체(11)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벽체(11)의 하천(W) 측의 끝이 상승한다.
벽체(11)를 거의 수직의 상태까지 일으켜 세워 방재용 도립벽(1)을 구성한다.
회전축의 위치를, 제내지(A) 측으로 하지 않고 하천(W) 측에 설치하고, 그것보다도 하천(W) 측에, 일으켜 세우는 기구(12)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일으켜 세우는 기구(12)로서의 견인장치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밀어 올림기구가 아니기 때문에, 밀어 올림용 경사재가 도로면을 횡단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벽체(11)를 튕겨 올린 후의 천단의 노출면(B1)을, 콘크리트제, 아스팔트제 등의 바닥판으로서 구성하여 두면, 튕겨 오른 후의 천단에서의 교통 등에 문제는 일으키지 않는다.
<6> 혼재 설치.
이상의 설명은, 사면에 눕힌 벽체(11)를 일으켜 세우는 타입과, 천단의 용기 내에 눕힌 벽체(11)를 인출하는 타입을 별도로 설치하는 예이었다.
그러나, 제방 본체(B)에 경사로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또는 제방 본체(B)에 접근하여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등에서는 1개의 타입만으로는 대응할 수 없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양자를 혼재시켜 설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 벽체(11)를 구축하는 측에 장해물 등이 있는 경우는 제방 본체(B)를 횡단하여 반대 측으로 우회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7> 설계사항.
본 발명의 방재용 도립벽(1)의 높이는, 즉 벽판의 높이는 현재 개개의 하천 (W)에 설정되어 있는 계획 고수위나 여유 높이를 참고로 하여 정하면 되나, 일반적으로는 그만큼 높게 할 필요가 없고, 1∼3 m 정도이다. 단 조건에 따라서는 그것 이하, 그것 이상의 치수의 벽판을 채용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구조는 치수 계획의 설계조건에 의하나, 그만큼의 규모로는 되지 않는다.
본 방재용 도립벽(1)은 공학적으로 안전성이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설치하고, 또한 유지보수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벽체(11)를 구성하는 재질은 스틸, 철근 콘크리트, 무근 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합성수지제 등,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구조를 얻을 수 있는 재질이면 무엇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제방 본체(B)나 호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상 시에 상응하여 제방 본체(B)를 보강하거나, 제방 본체(B) 내에 차수벽(遮水壁)을 구축하거나, 그 안전성을 확보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다.
<8> 이상 시의 작동.
재해의 위험이 닥쳐 왔을 때에는, 도 2, 도 3, 도 5의 일으켜 세우는 형식에서는, 제방 본체(B)의 사면에 눕혀 있는 벽체(11)를 일으켜 세운다.
벽체(11)를 천단에 수평으로 눕혀 있는 도 4, 도 6의 인출 형식에서는, 벽체(11)를 용기 내로부터, 또는 벽체(11)의 수평방향으로 인출하고, 그 후에 일으켜 세워 거의 수직의 자세를 유지시킨다.
도 7의 튕겨 오르는 형식에서는, 견인기구에 의해 회전축보다 바깥쪽에 끌어내리는 힘을 가하여, 벽체(11)를 튕겨 올린다.
그렇게 하면, 마치 신규의 제방이나 호안을 구축한 것과 동일하게 기능하고, 그 속에 여유 높이를 포함시킨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또는 직접 본 발명의 도립벽의 일부로 홍수류를 유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재용 도립벽(1)은, 어느 실시예의 구조이어도, 도 8에 나타내는 종래 예와 같이 제방 본체의 천단의 방파판(b) 자체를 잭(g) 등으로 밀어 올리는 구조가 아니다.
따라서 벽체(11)를 수직으로 일으켜 세워도, 제방 본체(B)의 천단의 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벽체(11)가 제방 본체(B)의 하천(W) 측에 있는 경우에는, 천단의 도로는, 긴급 차량이나 인원이 그대로 통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벽체(11)가 제내지(A) 측에 있는 경우에는 벽체(11)를 필요 폭만큼 하천(W) 측으로 이동시키면, 천단에 도로를 형성할 수 있고, 역시 긴급 차량이나 인원이 통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여기에 「여유 높이」란, 「제방 높이와 계획 고수위와의 사이에 취해야 할 여유의 최소값. 홍수 시의 풍랑, 너울, 도수(跳水) 등 계획 고수위에는 고려되지 않은 일시적인 수위 상승에 대한 제방의 구조상의 안전확보, 순시·수방활동의 안전확보 등을 대상으로 하고, 치수 계획상의 여유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규정되어 있다.(토목학회, 토목용어 대사전)
<9> 구조의 추가.
벽체(11)를 이중 구조로 하여 두고, 거의 수직으로 세운 벽체(11)의 내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내부의 벽체(11)를 더욱 상승시키면, 높은 방재용 도립벽(1)을 얻을 수 있다.
또, 제방 본체(B)의 횡단 방향으로 레일을 부설(敷設)하여 두고, 거의 수직으로 세운 벽체(11)를, 제방 본체(B)의 천단을 따라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면, 벽체(11)를 제내지(A) 측으로 슬라이드시켜 강 폭을 넓히는 것이 가능해져, 유수 단면을 확대할 수 있다.
1 : 방재용 도립벽 11 : 벽체
12 : 일으켜 세우는 기구 14 : 용기
A : 제내지 B : 제방 본체
W : 하천

Claims (3)

  1. 제방 본체의 사면(斜面)을 따라 눕혀 있고,
    또한 그 상단 부근을, 제방 본체의 길이 방향과 평행의 회전축으로 제방 본체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판형상의 벽체와,
    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벽체에 회전력을 가하는, 일으켜 세우는 기구에 의하여 구성한 방재용 도립벽.
  2. 제방 본체의 천단(天端)에 거의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 단부를, 제방 본체의 길이 방향과 평행의 회전축으로 제방 본체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판형상의 벽체와,
    회전축에, 수평방향으로의 인출을 가하는 인출 기구와,
    회전축의 이동을 구속하여, 벽체에 회전을 가하는, 일으켜 세우는 기구에 의하여 구성한 방재용 도립벽.
  3. 제방 본체의 천단에, 회전축을 거쳐 거의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 일부를, 제방 본체의 길이 방향과 평행의 회전축으로 제방 본체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판형상의 벽체와,
    회전축보다 바깥쪽의 위치에서, 벽체에 하향의 힘을 가하는, 일으켜 세우는 기구에 의하여 구성한 방재용 도립벽.
KR1020100119627A 2009-11-30 2010-11-29 방재용 도립벽 KR201100608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71789 2009-11-30
JP2009271789A JP2011111860A (ja) 2009-11-30 2009-11-30 防災用倒立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837A true KR20110060837A (ko) 2011-06-08

Family

ID=44234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627A KR20110060837A (ko) 2009-11-30 2010-11-29 방재용 도립벽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1111860A (ko)
KR (1) KR20110060837A (ko)
TW (1) TW2011280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2116A (zh) * 2012-09-03 2013-01-02 无锡莱吉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河岸安全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0760B2 (ja) * 2016-05-18 2020-09-23 大成建設株式会社 堤防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3527A (ja) * 1985-01-29 1986-08-05 Fuji Xerox Co Ltd 画像デ−タ圧縮方式
JPH0710232B2 (ja) * 1987-12-09 1995-02-08 花王株式会社 脂質分解酵素および該酵素を用いたエステル合成、交換反応方法
JP2000319857A (ja) * 1999-05-07 2000-11-21 Spacetech:Kk 防潮装置
JP4100534B2 (ja) * 1999-09-17 2008-06-11 有限会社ノムラフォーシーズ 可動堤防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2116A (zh) * 2012-09-03 2013-01-02 无锡莱吉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河岸安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11860A (ja) 2011-06-09
TW201128023A (en) 201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1298B2 (en) Flood levee and barrier module and system
ES2845001T3 (es) Método y sistema para un sistema de muro de contención retráctil
US8177457B2 (en) Pipeline protection and levee module system
US20180274191A1 (en) Breakwater construction blocks having improved stability against over-turning and pulling-out when struck by natural forces
WO2008012887A1 (fr) Appareil et structure de prévention de marée
US1097553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retractable floodwall system
CN109577365A (zh) 一种桩承式排水锚杆挡墙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559069B1 (ko) 신속 전개가 가능한 도로용 매립형 차수벽 장치
JP6166370B2 (ja) 防波壁機能を有する組立式高さ可変型遮断構造物
CN109577277A (zh) 一种壁挂式排水锚杆挡墙结构及其施工方法
EP3683438A1 (de) Pumpspeicherwerk in einem gewässer und verfahren zum betrieb
KR20110060837A (ko) 방재용 도립벽
JP4000513B2 (ja) 高潮防止用水門
WO2013041231A1 (de) Schwimmende energieautarke plattformen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2013119746A (ja) 浸水防止構造
EP1738050B1 (de) Schutzwand, insbesondere hochwasserschutzwand
Hughes et al. Dam heightening–the UK perspective
Vandamme et al. Construction of the Deurganckdok in the Port of Antwerp, Belgium
Lang et al. Retrofitting the Sylvenstein reservoir
YADON Thinking Fast-Emergency Response to Seepage and Internal Erosion.
AU2020204118A1 (en) Barrier wall
Agar et al. Seaforth Dock, Liverpool: planning and design.
KR200352906Y1 (ko) 하천 제방 유실방지를 위한 돌채움 케이슨 옹벽
JP2022039178A (ja) 既存堤防の補強構造
Fetzer et al. Cofferd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