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8342A -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8342A
KR20110058342A KR1020090115093A KR20090115093A KR20110058342A KR 20110058342 A KR20110058342 A KR 20110058342A KR 1020090115093 A KR1020090115093 A KR 1020090115093A KR 20090115093 A KR20090115093 A KR 20090115093A KR 20110058342 A KR20110058342 A KR 20110058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quaintance
status information
group
address book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2607B1 (ko
Inventor
최우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5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607B1/ko
Publication of KR20110058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즌스 기반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지인주소록에서 해당 지인들을 그룹화하여 차등/관리하고, 중요그룹의 지인에 대한 상태정보는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그 외의 그룹에 속하는 지인에 대한 상태정보는 요청 시에 제공함으로써, 프레즌스 기반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따른 트래픽을 줄이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은, 상태정보알림서버가 소정 가입자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을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상기 지인주소록의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해당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며, 상기 가입자가 소정 단말장치를 통해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로그인하면, 상기 상태정보알림서버가 기 정의된 제1간격에 따라 상기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상태정보알림서버가 기 정의된 제2간격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상태정보가 적용된 지인주소록을 표시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프레즌스, 알림, 지인, 수집시기

Description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PRES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SERVICE SYSTEN AND SERVIC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즌스 기반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지인주소록에서 해당 지인들을 그룹화하여 차등/관리하고, 중요그룹의 지인에 대한 상태정보는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그 외의 그룹에 속하는 지인에 대한 상태정보는 요청 시에 제공함으로써, 프레즌스 기반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따른 트래픽을 줄이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 상태정보알림서버 및 상태정보알림서버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OMA(Open Mobile Alliance)는 3GPP IMS Network을 기반으로 여러가지 다양한 서비스들을 정의하고 있으며, 프레즌스(Presence)는 대부분 서비스들의 기반이 된다.
OMA에서 정의하는 프레즌스 기반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는 IP Network상에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장치의 프레즌스 정보를 관리하고, 관련 지인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를 위해, 사용 자 단말장치는 SIP 프로토콜을 통하여 자신의 프레즌스 정보를 네트워크로 전달하고, 네트워크에 요청하여 자신의 지인들의 프레즌스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프레즌스 기반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프레즌스 정보의 수집 및 단말장치로의 전송에 있다. 즉, 프레즌스 서비스를 위해서는 지인에 대응하는 각 단말장치의 상태가 변할 때마다 이에 대응하는 프레즌스 정보를 프레즌스 서버에서 수집해야 하고, 또한 관련된 단말장치로 상기 프레즌스 정보를 전송해줘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이 너무 빈번하고 트래픽 양이 많기 때문에 트래픽 운용에 한계점이 있다. 특히 무선 망을 통한 실시간 프레즌스 정보 전송은 더욱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상태정보알림서버가 소정 가입자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을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상기 지인주소록의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해당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며, 상기 가입자가 소정 단말장치를 통해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로그인하면, 상기 상태정보알림서버가 기 정의된 제1간격에 따라 상기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상태정보알림서버가 기 정의된 제2간격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상태 정보가 적용된 지인주소록을 표시하는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여, 프레즌스 기반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지인주소록에서 해당 지인들을 그룹화하여 차등/관리하고, 중요그룹의 지인에 대한 상태정보는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그 외의 그룹에 속하는 지인에 대한 상태정보는 요청 시에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소정 가입자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지인주소록을 저장하고, 상기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을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상기 지인주소록에 포함된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해당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며, 기 정의된 제1간격에 따라 상기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가입자에 대응하여 로그인된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기 정의된 제2간격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상태정보알림서버 및 상태정보알림서버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여 프레즌스 기반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지인주소록에서 해당 지인들을 그룹화하여 차등/관리하고, 중요그룹의 지인에 대한 상태정보는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그 외의 그룹에 속하는 지인에 대한 상태정보는 요청 시에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은 소정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로그인하여 제공되는 상태정보가 적용 된 지인주소록을 표시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를 통해 로그인된 소정 가입자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을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지인주소록의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해당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며, 기 정의된 제1간격에 따라 상기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기 정의된 제2간격에 따라 대응하는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상태정보알림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는 소정 가입자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지인주소록을 저장하고, 상기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을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지인주소록관리부; 상기 지인주소록에 포함된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해당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상태정보관리부; 및 기 정의된 제1간격에 따라 상기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가입자에 대응하여 로그인된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기 정의된 제2간격에 따라 대응하는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인주소록관리부는, 상기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을 상기 가입자에 의한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지인그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거나, 또는 기 정의된 소정 그룹구분룰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에 대응하는 지인접속이력에 따른 상기 지인주소록의 각 지인 접속빈도수를 토대 로 상기 제1지인그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정보관리부는, 상기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로그인된 해당 지인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상태제공메시지를 토대로, 해당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업데이트/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상태정보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소정 지인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1간격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상기 제1지인그룹 중 상기 상태정보가 변경된 지인의 해당 상태정보를 상기 지인주소록에 적용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기 정의된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간격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상기 제2간격 도달에 대응하는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태정보를 상기 지인주소록에 적용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알림주기시간을 저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알림주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간격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상기 제2간격 도달에 대응하는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태정보를 상기 지인주소록에 적용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상태정보 알림 서비 스 방법은 상태정보알림서버가 소정 가입자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을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단계; 상기 상태정보알림서버가 상기 지인주소록의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해당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가 소정 단말장치를 통해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로그인하는 단계; 상기 상태정보알림서버가 기 정의된 제1간격에 따라 상기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태정보알림서버가 기 정의된 제2간격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상태정보가 적용된 지인주소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소정 가입자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지인주소록을 저장하고, 상기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을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지인주소록 관리단계; 상기 지인주소록에 포함된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해당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상태정보 관리단계; 기 정의된 제1간격에 따라 상기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가입자에 대응하여 로그인된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제1제공단계; 및 기 정의된 제2간격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제2제공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인주소록 관리단계는, 상기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 인을 상기 가입자에 의한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지인그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거나, 또는 기 정의된 소정 그룹구분룰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에 대응하는 지인접속이력에 따른 상기 지인주소록의 각 지인 접속빈도수를 토대로 상기 제1지인그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정보 관리단계는, 상기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로그인된 해당 지인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상태제공메시지를 토대로, 해당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업데이트/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제공단계는, 상기 상태정보 관리단계에 의해 관리되는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소정 지인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1간격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상기 제1지인그룹 중 상기 상태정보가 변경된 지인의 해당 상태정보를 상기 지인주소록에 적용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제공단계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기 정의된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간격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상기 제2간격 도달에 대응하는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태정보를 상기 지인주소록에 적용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제공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알림주기시간을 토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알림주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간격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상기 제2간격 도달에 대응하는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태정보를 상기 지인주소록에 적용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프레즌스 기반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지인주소록에서 해당 지인들을 그룹화하여 차등/관리하고, 중요 그룹의 지인에 대한 상태정보는 변경 시마다 실시간으로 관련된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그 외의 비중요 그룹에 속하는 지인에 대한 상태정보는 관련된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 시에만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중요 그룹의 지인에 대한 상태정보는 변경 시마다 실시간으로 관련된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그 외의 비중요 그룹에 속하는 지인에 대한 상태정보는 관련된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 시에만 단말장치로 제공함으로써, 프레즌스 기반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따른 트래픽을 줄이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은, 소정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로그인하여 제공되는 상태정보가 적용된 지인주소록을 표시하는 단말장치(100)와, 단말장치(100)를 통해 로그인된 소정 가입자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을 소정의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지인주소록의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해당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며, 기 정의된 제1간격에 따라 상기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고 기 정의된 제2간격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상태정보알림서버(200)를 포함한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단말장치(100) 및 상태정보알림서버(2000 간의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호교환장치가 존재할 것이다. 이러한, 호교환장치는, 단말장치(100) 및 상태정보알림서버(2000 간의 호를 인터페이스하여 단말장치(100)에서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환장치이며, IMS 망에서 호(Call) 처리를 관장하는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호교환장치는, 단말장치(100)가 통신 서비스 이용을 위해 통신 망에 액세스 하는 최초 접속 지점에 해당하는 P(Proxy)-CSCF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단말장치(100)는,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의 가입을 요청하여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이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0)는 유선전화단말, PC, WiFi폰, 이동전화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로그인 하기 위해 단말장 치(100) 자신을 통해 로그인한 가입자(예 : 아이디-ABC)의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상태제공메시지(예 : PUBLISH 메시지)를 상태정보알림서버(200)로 제공하고, 상태정보알림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로그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100) 자신을 통해 로그인된 사용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프레즌스 정보 즉 상태정보(예 : 망 접속 여부정보, 서비스 로그인 여부정보 등)를 나타내는 상태제공메시지(PUBLISH 메시지)를 생성하여 호교환장치를 통해 상태정보알림서버(200)로 제공하고, 상태정보알림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로그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따라 상태정보알림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지인의 상태정보가 적용된 지인주소록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는,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따라 상태정보알림서버(200)로부터 지인의 상태정보가 NOTIFY 메시지 형태로 제공되면 제공된 지인의 상태정보를 자신에 저장된 지인주소록에 적용하여 지인의 현 상태 즉 프레즌스를 나타내는 지인주소록을 표시할 수 있고, 또는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따라 상태정보알림서버(200)로부터 지인의 상태정보가 적용된 지인주소록 즉 지인의 현 상태 즉 프레즌스를 나타내는 지인주소록이 NOTIFY 메시지 형태로 제공되면 제공된 지인주소록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의 Subscriber에 해당한다 할 수 있다.
상태정보알림서버(200)는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가입된 각 가입자로부터 기 등록되는 지인주소록을 저장하고, 각 가입자 별 지인주소록에 대응하여 해당 지인주소록에 포함된 지인을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상태정보알림서버(200)는 지인주소록의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해당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한다.
이러한 상태정보알림서버(200)는, 단말장치(100)를 통해 로그인된 가입자에게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기 정의된 제1간격에 따라 해당 가입자의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태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고, 기 정의된 제2간격에 따라 해당 가입자의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태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이러한 상태정보알림서버(200)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정보알림서비스의 Notifier에 해당한다 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 및 상태정보알림서버(200)는, 전술의 호교환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망을 통해 통신하며, 이러한 통신 망은 유/무선 IP망, 전화망, 이동통신망 등 다양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는, 소정 가입자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지인주소록을 저장하고, 상기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을 소정의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지인주소록관리부(210)와, 상기 지인주소록에 포함된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해당 지인의 상태정 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상태정보관리부(230)와, 기 정의된 제1간격에 따라 상기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가입자에 대응하여 로그인된 단말장치(예 : 100)로 제공하고, 기 정의된 제2간격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220)를 포함한다.
지인주소록관리부(210)는,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가입된 각 가입자로부터 기 등록되는 지인주소록을 저장하고, 각 가입자 별 지인주소록에 대응하여 해당 지인주소록에 포함된 지인을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지인주소록관리부(210)는,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을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함에 있어서,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의한 기 선택에 따라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가입자(예 : 아이디-ABC)가 자신의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예 : 지인1,2,3,4,5)을 제1지인그룹(예 : 지인1,4) 및 제2지인그룹(예 : 지인2,3,5)으로 구분하도록 선택하여 지인주소록관리부(210)에 등록할 수 있다. 물론, 가입자(예 : 아이디-ABC)가 자신의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예 : 지인1,2,3,4,5)을 제1지인그룹(예 : 지인1,4) 및 복수의 제2지인그룹(예 : 제2지인그룹A(지인2,3), 제2지인그룹B(예 : 지인5)으로 구분하도록 선택하여 지인주소록관리부(210)에 등록할 수 있다.
또는, 지인주소록관리부(210)는,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을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함에 있어서, 기 정의된 소정 그룹구분룰에 기초하여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지인접속이력에 따른 지인주소록의 각 지인 접속빈도수를 토대로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지인주소록관리부(210)는,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지인접속이력(예 : 각 지인 별 통화횟수, 메신저 대화횟수, 메시지 발송횟수 등)을 획득하고, 기 정의된 소정 그룹구분룰(예 : 특정 접속빈도수 이상-제1지인그룹 / 특정 접속빈도수 미만-제2지인그룹, 가장 많은 접속빈도수부터 순차적으로 상위 2명-제1지인그룹 / 나머지 지인-제2지인그룹)에 기초하여,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지인주소록에 속하는 각 지인의 지인접속이력에 따른 접속빈도수를 토대로 제1지인그룹(예 : 지인1,4) 및 제2지인그룹(예 : 지인2,3,5)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론, 지인주소록관리부(210)는,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지인접속이력(예 : 각 지인 별 통화횟수, 메신저 대화횟수, 메시지 발송횟수 등) 및 그룹구분룰에 기초하여, 가입자(예 : 아이디-ABC)의 지인주소록에 속하는 지인(예 : 지인1,2,3,4,5)을 제1지인그룹(예 : 지인1,4) 및 복수의 제2지인그룹(예 : 제2지인그룹A(지인2,3), 제2지인그룹B(예 : 지인5)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지인그룹은 중요그룹,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은 상대적으로 왕래가 적은 비중요그룹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태정보관리부(230)는, 각 가입자에 대응하여 해당 지인주소록에 포함된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해당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한다.
즉, 상태정보관리부(230)는, 상태정보알림서버(200)가 제공하는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의 상태정보(예 : 망 접속 여부정보, 서비스 로그인 여부정보 등)를 다양한 경로를 통해 수집/관리함으로써, 각 가입자가 등록한 지인주소록에 포함된 각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관리하게 된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0)는 자신을 통해 로그인된 사용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프레즌스 정보 즉 상태정보(예 : 망 접속 여부정보, 서비스 로그인 여부정보 등)를 나타내는 상태제공메시지(PUBLISH 메시지)를 상태정보알림서버(200)로 제공하고, 상태정보알림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로그인하므로, 상태정보관리부(23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상태제공메시지(PUBLISH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태제공메시지(PUBLISH 메시지)를 토대로 가입자(예 : 아이디-ABC)의 상태정보를 업데이트/관리하고, 결국 가입자(예 : 아이디-ABC)를 지인으로서 등록한 타 가입자에 대응해서는 지인(예 : 아이디-ABC)의 상태정보가 수집/관리되는 것이다.
이에, 상태정보관리부(230)는,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로그인된 해당 지인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상태제공메시지(PUBLISH 메시지)를 토대로, 해당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업데이트/관리할 수 있다.
서비스제공부(220)는, 기 정의된 제1간격에 도달하면, 제1간격에 도달한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의 제1지인그룹에 속하는 지인의 상태정보를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여 로그인된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그리고, 서비스제공부(220)는, 기 정의된 제2간격에 도달하면, 제2간격에 도달한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의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에 속하는 지인의 상태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비스제공부(220)는, 상태정보관리부(230)에서 관리되는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소정 지인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서비스제공부(220)는, 상태정보관리부(230)에서 관리되는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각 가입자의 상태정보 변경여부를 인지하는 중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제1지인그룹에 속하는 가입자 즉 지인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소정 지인(예 : 지인1)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서비스제공부(220)는 제1간격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제1지인그룹 중 금번 상태정보가 변경된 해당 지인(예 : 지인1)의 상태정보를 NOTIFY 메시지 형태로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제공부(220)는 금번 상태정보가 변경된 해당 지인(예 : 지인1)의 상태정보를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지인주소록에 적용하여, 중요 지인(예 : 지인1)의 상태정보가 적용된 지인주소록 즉 지인의 현 상태 즉 프레즌스를 나타내는 지인주소록을 NOTIFY 메시지 형태로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비스제공부(220)는,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소정 지인(예 : 지인1)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는 경우를 제1간격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해당 가입 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제1지인그룹의 지인(예 : 지인1,4)의 상태정보를 모두 단말장치(100)로 제공하거나, 또는 1지인그룹의 지인(예 : 지인1,4)의 상태정보를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지인주소록에 적용하여, 중요 지인(예 : 지인1,4)의 상태정보가 적용된 지인주소록 즉 지인의 현 상태 즉 프레즌스를 나타내는 지인주소록을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전술과 같이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의해 로그인된 단말장치(100)에서는, 중요 지인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따라 상태정보알림서버(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중요 지인 상태정보만을 새롭게 적용하여 지인주소록(중요 지인 상태정보 업데이트, 비중요 지인 상태정보 유지)을 표시한다.
한편, 서비스제공부(220)는,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따른 제2간격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 예로, 서비스제공부(2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기 정의된 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서비스제공부(220)는,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의해 로그인된 단말장치(100)에서 특정 버튼(예 : 프레즌스 수집 버튼, 새로고침 버튼 등)이 선택됨에 따른 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단말장치(100)로부터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서비스제공부(220)는 제2간격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제2지인그룹의 지인(예 : 지인2,3,5)의 상태정보를 NOTIFY 메시지 형태로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또는, 서비스제공부(220)는 제2지인그룹의 지인(예 : 지인2,3,5)의 상태정보를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지인주소록에 적용하여, 지인(예 : 지인2,3,5)의 상태정보가 적용된 지인주소록 즉 지인의 현 상태 즉 프레즌스를 나타내는 지인주소록을 상태정보를 NOTIFY 메시지 형태로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지인그룹의 지인(예 : 지인2,3,5)의 상태정보는, 상태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단말장치(100)로 제공되지는 않았지만 변경될 때마다 상태정보관리부(230)에 의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관리되는 정보일 것이다.
이에, 전술과 같이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의해 로그인된 단말장치(100)에서는, 가입자(예 : 아이디-ABC)가 특정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따라 상태정보알림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비중요 지인 상태정보를 새롭게 적용하여 지인주소록(중요 지인 상태정보 업데이트, 비중요 지인 상태정보 업데이트)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비스제공부(220)는,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예 : 제2지인그룹A, 제2지인그룹B)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알림주기시간을 저장한다. 이러한 제2지인그룹 각각에 대응하는 알림주기시간(예 : 제2지인그룹A-3시간, 제2지인그룹B-12시간)은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의해 기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제공부(220)는, 로그인된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알림주기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예 : 제2지인그룹A, 제2지인그룹B) 중 제2지인그룹A에 해당하는 알림주기시간(예 : 3시간)이 경과한다고 판단되면, 서비스제공부(220)는, 제2지인그룹A에 대한 제2간격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의 제2간격 도달에 대응하는 제2지인그룹A의 지인(예 : 지인2,3)의 상태정보를 NOTIFY 메시지 형태로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또는, 서비스제공부(220)는 제2지인그룹A의 지인(예 : 지인2,3)의 상태정보를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지인주소록에 적용하여, 지인(예 : 지인2,3)의 상태정보가 적용된 지인주소록 즉 지인의 현 상태 즉 프레즌스를 나타내는 지인주소록을 상태정보를 NOTIFY 메시지 형태로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판단 결과,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예 : 제2지인그룹A, 제2지인그룹B) 중 제2지인그룹B에 해당하는 알림주기시간(예 : 12시간)이 경과한다고 판단되면, 서비스제공부(220)는, 제2지인그룹B에 대한 제2간격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의 제2간격 도달에 대응하는 제2지인그룹B의 지인(예 : 지인5)의 상태정보를 NOTIFY 메시지 형태로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것이다.
여기서, 전술한 지인주소록관리부(210) 및 서비스제공부(220) 및 상태정보관리부(230)가 상태정보알림서버(200)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지인주소록관리부(210) 및 서비스제공부(220)를 포함하는 지인주소록관리장치, 상태정보관리부(230)를 포함하는 프레즌스제공장치로 각각 별도 구성되어 지인주소록관리장치와 프레즌스제공장치 간의 연동을 통해 전술한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기능이 실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은, 프레즌스 기반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지인주소록에서 해당 지인들을 그룹화하여 차등/관리하고, 중요 그룹의 지인에 대한 상태정보는 변경 시마다 실시간으로 관련된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그 외의 비중요 그룹에 속하는 지인에 대한 상태정보는 관련된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 시에만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은, 중요 그룹의 지인에 대한 상태정보는 변경 시마다 실시간으로 관련된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그 외의 비중요 그룹에 속하는 지인에 대한 상태정보는 관련된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 시에만 단말장치로 제공함으로써, 프레즌스 기반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따른 트래픽을 줄이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상태정보알림서버(200)는,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가입된 각 가입자로부터 기 등록되는 지인주소 록을 저장하고(S10), 각 가입자 별 지인주소록에 대응하여 해당 지인주소록에 포함된 지인을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여 관리한다(S20).
그리고, 상태정보알림서버(200)는 지인주소록의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해당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한다(S40).
한편,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로그인 하기 위해 가입자(예 : 아이디-ABC)가 단말장치(100)에서 로그인을 시도하면(S30), 단말장치(100)는 자신을 통해 로그인한 가입자(예 : 아이디-ABC)의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상태제공메시지(예 : PUBLISH 메시지)를 상태정보알림서버(200)로 제공하고(S35) 상태정보알림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로그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100) 자신을 통해 로그인된 사용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프레즌스 정보 즉 상태정보(예 : 망 접속 여부정보, 서비스 로그인 여부정보 등)를 나타내는 상태제공메시지(PUBLISH 메시지)를 생성하여 호교환장치를 통해 상태정보알림서버(200)로 제공하고, 상태정보알림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로그인할 수 있다.
이에, 상태정보알림서버(200)는 S40단계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상태제공메시지(PUBLISH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태제공메시지(PUBLISH 메시지)를 토대로 가입자(예 : 아이디-ABC)의 상태정보를 업데이트/관리하고, 결국 가입자(예 : 아이디-ABC)를 지인으로서 등록한 타 가입자에 대응해서는 지인(예 : 아이디-ABC)의 상태정보가 수집/관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태정보알림서버(200)는, 기 정의된 제1간격이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50), 제1간격에 도달하면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태정보를 관련된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55).
이에,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의해 로그인된 단말장치(100)에서는, 제공된 지인의 상태정보가 반영된 지인주소록을 표시할 수 있다(S60).
한편, 상태정보알림서버(200)는, 기 정의된 제2간격이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 이는,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해당하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기 정의된 요청신호가 수신되면(S65), 상태정보알림서버(200)는, 제2간격이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할 것이다.
이에, 제2간격에 도달하면, 상태정보알림서버(200)는,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태정보를 즉 S40단계에 의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관리되는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태정보를 관련된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75).
이에,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의해 로그인된 단말장치(100)에서는, 제공된 지인의 상태정보가 반영된 지인주소록을 표시할 수 있다(S80).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가입된 각 가입자로부터 기 등록되는 지인주소록을 저장하고(S100), 각 가입자 별 지인주소록에 대응하여 해당 지인주소록에 포함된 지인을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여 관리한다(S110).
S110단계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을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함에 있어서,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의한 기 선택에 따라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가입자(예 : 아이디-ABC)가 자신의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예 : 지인1,2,3,4,5)을 제1지인그룹(예 : 지인1,4) 및 제2지인그룹(예 : 지인2,3,5)으로 구분하도록 선택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에 등록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을 제1지인그룹 및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함에 있어서, 기 정의된 소정 그룹구분룰에 기초하여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지인접속이력에 따른 지인주소록의 각 지인 접속빈도수를 토대로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지인접속이력(예 : 각 지인 별 통화횟수, 메신저 대화횟수, 메시지 발송횟수 등)을 획득하고, 기 정의된 소정 그룹구분룰(예 : 특정 접속빈도수 이상-제1지인그룹 / 특정 접속빈도수 미만-제2지인그룹, 가장 많은 접속빈도수부터 순차적으로 상위 2명-제1지인그룹 / 나머지 지인-제2지인그룹) 에 기초하여,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지인주소록에 속하는 각 지인의 지인접속이력에 따른 접속빈도수를 토대로 제1지인그룹(예 : 지인1,4) 및 제2지인그룹(예 : 지인2,3,5)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지인그룹은 중요그룹,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은 상대적으로 왕래가 적은 비중요그룹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각 가입자에 대응하여 해당 지인주소록에 포함된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해당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한다(S120).
즉,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의 상태정보(예 : 망 접속 여부정보, 서비스 로그인 여부정보 등)를 다양한 경로를 통해 수집/관리함으로써, 각 가입자가 등록한 지인주소록에 포함된 각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관리하게 된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0)는 자신을 통해 로그인된 사용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프레즌스 정보 즉 상태정보(예 : 망 접속 여부정보, 서비스 로그인 여부정보 등)를 나타내는 상태제공메시지(PUBLISH 메시지)를 상태정보알림서버(200)로 제공하고, 상태정보알림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로그인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단말장치(100)로부터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상태제공메시지(PUBLISH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태제공메시지(PUBLISH 메시지)를 토대로 가입자(예 : 아이디-ABC)의 상태정보를 업데이트/관리하고, 결국 가입자(예 : 아이디-ABC)를 지인으로 서 등록한 타 가입자에 대응해서는 지인(예 : 아이디-ABC)의 상태정보가 수집/관리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로그인된 해당 지인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상태제공메시지(PUBLISH 메시지)를 토대로, 해당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업데이트/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기 정의된 제1간격에 도달하면, 제1간격에 도달한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의 제1지인그룹에 속하는 지인의 상태정보를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여 로그인된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S120단계에 의해 관리되는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소정 지인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즉,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S120단계에 의해 관리되는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각 가입자의 상태정보 변경여부를 인지하는 중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제1지인그룹에 속하는 가입자 즉 지인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소정 지인(예 : 지인1)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 은, 제1간격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제1지인그룹 중 금번 상태정보가 변경된 해당 지인(예 : 지인1)의 상태정보를 NOTIFY 메시지 형태로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S140).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금번 상태정보가 변경된 해당 지인(예 : 지인1)의 상태정보를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지인주소록에 적용하여, 중요 지인(예 : 지인1)의 상태정보가 적용된 지인주소록 즉 지인의 현 상태 즉 프레즌스를 나타내는 지인주소록을 NOTIFY 메시지 형태로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소정 지인(예 : 지인1)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는 경우를 제1간격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제1지인그룹의 지인(예 : 지인1,4)의 상태정보를 모두 단말장치(100)로 제공하거나, 또는 1지인그룹의 지인(예 : 지인1,4)의 상태정보를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지인주소록에 적용하여, 중요 지인(예 : 지인1,4)의 상태정보가 적용된 지인주소록 즉 지인의 현 상태 즉 프레즌스를 나타내는 지인주소록을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전술과 같이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의해 로그인된 단말장치(100)에서는, 중요 지인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따라 상태정보알림서버(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중요 지인 상태정보만을 새롭게 적용하여 지인주소록(중요 지인 상태정보 업데이트, 비중요 지인 상태정보 유지)을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기 정의된 제2간격에 도달하면, 제2간격에 도달한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의 제2지인그룹에 속하는 지인의 상태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단말장치(100)로부터 기 정의된 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 즉,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의해 로그인된 단말장치(100)에서 특정 버튼(예 : 프레즌스 수집 버튼, 새로고침 버튼 등)이 선택됨에 따른 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단말장치(100)로부터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제2간격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제2지인그룹의 지인(예 : 지인2,3,5)의 상태정보를 인지하고(S160) 제2지인그룹의 지인(예 : 지인2,3,5)의 상태정보를 NOTIFY 메시지 형태로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170).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제2지인그룹의 지인(예 : 지인2,3,5)의 상태정보를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지인주소록에 적용하여, 지인(예 : 지인2,3,5)의 상태정보가 적용된 지인주소록 즉 지인의 현 상태 즉 프레즌스를 나타내는 지인주소록을 상태정보를 NOTIFY 메시지 형태로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지인그룹의 지인(예 : 지인2,3,5)의 상태정보는, 상태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단말장치(100)로 제공되지는 않았지만 변경될 때마다 S120단계에 의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관리되는 정보일 것이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가입된 각 가입자로부터 기 등록되는 지인주소록을 저장하고(S200), 각 가입자 별 지인주소록에 대응하여 해당 지인주소록에 포함된 지인을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여 관리한다(S210).
S210단계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을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함에 있어서,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의한 기 선택에 따라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가입자(예 : 아이디-ABC)가 자신의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예 : 지인1,2,3,4,5)을 제1지인그룹(예 : 지인1,4) 및 복수의 제2지인그룹(예 : 제2지인그룹A(지인2,3), 제2지인그룹B(예 : 지인5)으로 구분하도록 선택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에 등록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지인접속이력(예 : 각 지인 별 통화횟수, 메신저 대화횟수, 메시지 발송횟수 등) 및 그룹구분룰에 기초하여, 가입자(예 : 아이디-ABC)의 지인주소록에 속하는 지인(예 : 지인1,2,3,4,5)을 제1지인그룹(예 : 지인1,4) 및 복수의 제2지인그룹(예 : 제2지인그룹A(지인2,3), 제2지인그룹B(예 : 지인5)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지인그룹은 중요그룹,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은 상대적으로 왕래가 적은 비중요그룹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각 가입자에 대응하여 해당 지인주소록에 포함된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해당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한다(S220). 이러한 S220단계는 전술의 도 4의 S120단계와 대응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기 정의된 제1간격에 도달하면, 제1간격에 도달한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의 제1지인그룹에 속하는 지인의 상태정보를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여 로그인된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S220단계에 의해 관리되는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소정 지인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즉,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S220단계에 의해 관리되는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각 가입자의 상태정보 변경여부를 인지하는 중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제1지인그룹에 속하는 가입 자 즉 지인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소정 지인(예 : 지인1)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제1간격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제1지인그룹 중 금번 상태정보가 변경된 해당 지인(예 : 지인1)의 상태정보를 NOTIFY 메시지 형태로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S240). 이러한 S240단계는 전술의 도 4의 S140단계와 대응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기 정의된 제2간격에 도달하면, 제2간격에 도달한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의 제2간격 도달에 대응하는 제2지인그룹에 속하는 지인의 상태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로그인된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알림주기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50).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예 : 제2지인그룹A, 제2지인그룹B)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알림주기시간을 저장한다. 이러한 제2지인그룹 각각에 대응하는 알림주기시간(예 : 제2지인그룹A-3시간, 제2지인그룹B-12시간)은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의해 기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 은, S250단계의 판단 결과,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예 : 제2지인그룹A, 제2지인그룹B) 중 제2지인그룹A에 해당하는 알림주기시간(예 : 3시간)이 경과한다고 판단되면, 제2지인그룹A에 대한 제2간격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의 제2간격 도달에 대응하는 제2지인그룹A의 지인(예 : 지인2,3)의 상태정보를 인지하고(S260), 지인(예 : 지인2,3)의 상태정보를 NOTIFY 메시지 형태로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270).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제2간격 도달에 대응하는 제2지인그룹A의 지인(예 : 지인2,3)의 상태정보를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대응하는 지인주소록에 적용하여, 지인(예 : 지인2,3)의 상태정보가 적용된 지인주소록 즉 지인의 현 상태 즉 프레즌스를 나타내는 지인주소록을 상태정보를 NOTIFY 메시지 형태로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S260단계의 판단 결과,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예 : 제2지인그룹A, 제2지인그룹B) 중 제2지인그룹B에 해당하는 알림주기시간(예 : 12시간)이 경과한다고 판단되면,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200)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제2지인그룹B에 대한 제2간격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해당 가입자(예 : 아이디-ABC)의 제2간격 도달에 대응하는 제2지인그룹B의 지인(예 : 지인5)의 상태정보를 NOTIFY 메시지 형태로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것이다.
이에, 전술과 같이 가입자(예 : 아이디-ABC)에 의해 로그인된 단말장치(100)에서는, 가입자(예 : 아이디-ABC)가 특정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따라 상태정보알림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비중요 지인 상태정보를 새롭 게 적용하여 지인주소록(중요 지인 상태정보 업데이트, 비중요 지인 상태정보 업데이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프레즌스 기반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지인주소록에서 해당 지인들을 그룹화하여 차등/관리하고, 중요 그룹의 지인에 대한 상태정보는 변경 시마다 실시간으로 관련된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그 외의 비중요 그룹에 속하는 지인에 대한 상태정보는 관련된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 시에만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은, 중요 그룹의 지인에 대한 상태정보는 변경 시마다 실시간으로 관련된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그 외의 비중요 그룹에 속하는 지인에 대한 상태정보는 관련된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 시에만 단말장치로 제공함으로써, 프레즌스 기반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따른 트래픽을 줄이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프레즌스 기반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지인주소록에서 해당 지인들을 그룹화하여 차등/관리하고, 중요 그룹의 지인에 대한 상태정보는 변경 시마다 실시간으로 관련된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그 외의 비중요 그룹에 속하는 지인에 대한 상태정보는 관련된 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 시에만 단말장치로 제공함으로써, 프레즌스 기반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따른 트래픽을 줄이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을 적용할 경우, 트래픽 운용 효율 및 서비스 이용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상태정보알림서버 및 적용 시스템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태정보알림서버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단말장치
200 : 상태정보알림서버

Claims (14)

  1. 소정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로그인하여 제공되는 상태정보가 적용된 지인주소록을 표시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를 통해 로그인된 소정 가입자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을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지인주소록의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해당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며, 기 정의된 제1간격에 따라 상기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기 정의된 제2간격에 따라 대응하는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상태정보알림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
  2. 소정 가입자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지인주소록을 저장하고, 상기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을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지인주소록관리부;
    상기 지인주소록에 포함된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해당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상태정보관리부; 및
    기 정의된 제1간격에 따라 상기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가입자에 대응하여 로그인된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기 정의된 제2간격에 따라 대응하는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정보알림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인주소록관리부는,
    상기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을 상기 가입자에 의한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지인그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거나, 또는 기 정의된 소정 그룹구분룰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에 대응하는 지인접속이력에 따른 상기 지인주소록의 각 지인 접속빈도수를 토대로 상기 제1지인그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정보알림서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관리부는,
    상기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로그인된 해당 지인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상태제공메시지를 토대로, 해당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업데이트/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정보알림서버.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상태정보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소정 지인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1간격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상기 제1지인그룹 중 상기 상태정보가 변경된 지인의 해당 상태정보를 상기 지인주소록에 적용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정보알림서버.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기 정의된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간격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상기 제2간격 도달에 대응하는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태정보를 상기 지인주소록에 적용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정보알림서버.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알림주기시간을 저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알림주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간격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상기 제2간격 도달에 대응하는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태정보를 상기 지인주소록에 적용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정보알림서버.
  8. 상태정보알림서버가 소정 가입자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을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단계;
    상기 상태정보알림서버가 상기 지인주소록의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해당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가 소정 단말장치를 통해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에 로그인하는 단계;
    상기 상태정보알림서버가 기 정의된 제1간격에 따라 상기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태정보알림서버가 기 정의된 제2간격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상태정보가 적용된 지인주소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
  9. 소정 가입자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지인주소록을 저장하고, 상기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을 제1지인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지인주소록 관리단계;
    상기 지인주소록에 포함된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해당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상태정보 관리단계;
    기 정의된 제1간격에 따라 상기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 보를 상기 가입자에 대응하여 로그인된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제1제공단계; 및
    기 정의된 제2간격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제2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정보알림서버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인주소록 관리단계는,
    상기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지인을 상기 가입자에 의한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지인그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거나, 또는 기 정의된 소정 그룹구분룰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에 대응하는 지인접속이력에 따른 상기 지인주소록의 각 지인 접속빈도수를 토대로 상기 제1지인그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정보알림서버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 관리단계는,
    상기 지인주소록에 포함되는 각 지인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로그인된 해당 지인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상태제공메시지를 토대로, 해당 지인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업데이트/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정보알림서버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공단계는,
    상기 상태정보 관리단계에 의해 관리되는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소정 지인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1간격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상기 제1지인그룹 중 상기 상태정보가 변경된 지인의 해당 상태정보를 상기 지인주소록에 적용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정보알림서버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공단계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기 정의된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간격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상기 제2간격 도달에 대응하는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태정보를 상기 지인주소록에 적용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정보알림서버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공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알림주기시간을 토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지인그룹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알림주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간격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상기 제2간격 도달에 대응하는 제2지인그룹에 해당하는 지인의 상태정보를 상기 지인주소록에 적용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정보알림서버의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
KR1020090115093A 2009-11-26 2009-11-26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 KR101632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093A KR101632607B1 (ko) 2009-11-26 2009-11-26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093A KR101632607B1 (ko) 2009-11-26 2009-11-26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342A true KR20110058342A (ko) 2011-06-01
KR101632607B1 KR101632607B1 (ko) 2016-06-23

Family

ID=44393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093A KR101632607B1 (ko) 2009-11-26 2009-11-26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6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2740A1 (en) * 2013-05-06 2014-11-13 Google Inc. Multi-status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488153B1 (ko) * 2012-05-08 2015-02-05 강동원 단말 장치에서 사용자 프로필을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
KR20170083142A (ko) * 2014-11-20 2017-07-1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연락자 정보를 표시하고 연락자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 및 관련 장치
US10206096B2 (en) 2017-03-15 2019-02-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vice querying of service entitlement st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492A (ko) * 2003-03-12 2004-09-20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무선 IP망에서 인스턴트 메신저와 Push-To-Talk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20040096331A (ko) * 2003-05-09 2004-1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00833A (ko) * 2004-06-29 2006-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상대방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55154A (ko) * 2007-11-28 2009-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인스턴트 메시징 시스템의 상태 정보 관리 방법 및 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492A (ko) * 2003-03-12 2004-09-20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무선 IP망에서 인스턴트 메신저와 Push-To-Talk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20040096331A (ko) * 2003-05-09 2004-1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00833A (ko) * 2004-06-29 2006-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상대방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55154A (ko) * 2007-11-28 2009-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인스턴트 메시징 시스템의 상태 정보 관리 방법 및 그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153B1 (ko) * 2012-05-08 2015-02-05 강동원 단말 장치에서 사용자 프로필을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
WO2014182740A1 (en) * 2013-05-06 2014-11-13 Google Inc. Multi-status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170083142A (ko) * 2014-11-20 2017-07-1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연락자 정보를 표시하고 연락자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 및 관련 장치
US10206096B2 (en) 2017-03-15 2019-02-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vice querying of service entitlement status
US11076284B2 (en) 2017-03-15 2021-07-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vice querying of service entitlement st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607B1 (ko)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8932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on of a local terminal
US8533306B2 (en) Personal presentity presence subsystem
US7227937B1 (en) Monitoring natural interaction for presence detection
US20080077685A1 (en) Dynamically configurable presence service
WO2014110820A1 (zh) 一种通知推送方法、装置和系统
KR20080024481A (ko)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의 ip 링크를 통한머신의 원격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090006613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updating a user presence status on a terminal by aggregating multisource information
US1074324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ecommended changes to communication behaviors
US201302904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resence information
US20140348321A1 (en) Presence enabled call center
KR101632607B1 (ko)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
JP6843106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20140149511A1 (en) Method for providing social presence information in telecommunication networks
JP4054806B2 (ja) プレゼンスサーバ、移動機、プレゼンス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レゼンス情報管理方法
JP4406462B2 (ja) プレゼンス管理システム、プレゼンス通知方法および端末装置
CN100527118C (zh) 在通信网络中提供实体状态信息的方法和系统
US8229454B1 (en)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KR20110025391A (ko) 컨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KR20060130799A (ko) 사용자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14294B1 (ko) 발신자정보 안내 방법
KR100869877B1 (ko) 통합 프레젠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84225B1 (ko) 프리즌스 시스템에서의 폰북 어드레스(pba) 기반의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19178B1 (ko) 스팸 전화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스팸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과 스팸 정보 서버
KR20090013274A (ko) 인맥관리를 위한 상황인식기반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서비스 방법
KR101158758B1 (ko) 프레젠스 상태 변경에 따른 호 처리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