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178B1 - 스팸 전화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스팸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과 스팸 정보 서버 - Google Patents

스팸 전화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스팸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과 스팸 정보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178B1
KR101819178B1 KR1020150020196A KR20150020196A KR101819178B1 KR 101819178 B1 KR101819178 B1 KR 101819178B1 KR 1020150020196 A KR1020150020196 A KR 1020150020196A KR 20150020196 A KR20150020196 A KR 20150020196A KR 101819178 B1 KR101819178 B1 KR 101819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pam
received
telephon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7835A (ko
Inventor
공상표
박광현
김종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50020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178B1/ko
Publication of KR20160097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팸 전화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스팸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과 스팸 정보 서버로서, 스팸 정보 서버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스팸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신고 없이도 자동적으로 수신된 전화번호에 대한 연락처 등록 여부로 스팸 전화를 판단하여 스팸 전화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스팸 전화 번호에 대한 신고를 하지 않아도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스팸 정보 서버 간의 연동으로 수신된 전화번호와 관련하여 추출한 정보들이 자동으로 전송됨으로써 대량으로 수신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스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팸 전화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스팸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과 스팸 정보 서버 {METHOD FOR PROVIDING SPAM CALL INFORMATION, APPLIACTION AND SPAM INFORMATION SERVER FOR PROVIDING SPAM INFORMATION}
본 발명은 스팸 전화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스팸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과 스팸 정보 서버에 대한 것으로서, 스팸 정보 서버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스팸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수신된 전화번호에 대한 연락처 등록 여부로 스팸 전화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신고 없이도 자동화된 방법으로 스팸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지하게 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되는 스팸 전화가 매우 증가하고 있다. 스팸 전화는 주로 광고, 사기, 음란 등의 내용으로 장소와 시간에 상관없이 발신되기에 이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이 큰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 더욱이 '010-xxx-xxxx'와 같은 개인 휴대 전화번호와 유사한 전화번호로 발신되는 스팸전화의 경우 이를 수신하여 내용을 듣기전까지는 스팸 전화인지를 알 수 없기에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스팸 전화 여부를 판단하여 차단하기 곤란한 경우가 다반사이다.
이와 같은 스팸 전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고 있는데, 그 중 스마트폰 상에 탑재되어 스팸 전화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제시된 바 있다. 스팸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사용자들이 스팸 전화번호를 서버로 신고하면 서버에서 이를 스팸 전화 목록에 등록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발신되는 콜 신호에 대해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스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스팸 정보 축적이 사용자의 신고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로부터 신고되지 않는 스팸 전화번호의 경우는 그대로 방치될 수 밖에 없으며, 나아가서 악의적인 의도로 특정인의 전화번호를 신고하여 그 전화번호가 스팸전화 번호로 등록되는 경우에 실질적으로는 스팸 전화를 발신하지 않는 사람이 스팸 전화 발신자로 오인되어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된다는 큰 문제점이 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13359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전화번호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소록 및 스팸 정보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비교하여 스팸 확률을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한 스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스팸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기존 사용자의 신고로 스팸 전화번호가 등록됨에 따라 신고되지 않은 스팸 전화가 그대로 방치됨으로써 지속적인 피해가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악의적인 의도로 특정인의 전화번호를 신고하여 그 전화번호가 스팸전화 번호로 등록되는 경우에 실질적으로는 스팸 전화를 발신하지 않는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전화 정보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는 (A)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수신전화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연락처 목록의 등록 여부에 따라 수신번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번호 정보를 스팸 정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B) 상기 스팸 정보 서버가,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번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마다 연락처 목록의 등록 여부에 따라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수신전화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단계; (A-2) 상기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상기 연락처 목록에서 검색하여, 상기 수신전화 정보의 전화번호가 상기 연락처 목록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히트 카운트(Hit count)를 증가시키고,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노 히트 카운트(No_Hit count)를 증가시켜, 상기 수신전화 정보에 대응되는 카운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A-3) 상기 카운트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번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A-4) 생성된 수신번호 정보를 상기 스팸 정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B-1)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번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2) 수집된 수신번호 정보에 대한 카운트 정보를 종합하여 전화번호마다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발신 횟수와 카운트 정보를 대비한 카운트 비율을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스팸확률을 산출하는 단계; 및 (B-3) 상기 스팸확률을 포함하는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3) 단계는, 상기 수신전화 정보에서 전화번호와 통화시간을 대응시켜 이를 포함하는 수신번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B-2) 단계는, 상기 수신번호 정보에서 전화번호와 통화시간을 추출하고, 통화시간이 기설정된 통화시간 이하인 횟수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를 상기 카운트 비율에 반영하여 스팸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A-3)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번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B) 단계는, (B-4) 상기 스팸판단 정보의 생성에 이용된 수신번호 정보의 전화번호와 고유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 처리번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1) 단계부터 상기 (B-4)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되, 상기 (B-1) 단계는, 수집된 수신번호 정보에서 전화번호와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전화번호와 고유 식별 정보를 대응시키고, 이를 상기 처리번호 리스트에서 검색하며, 상기 (B-2) 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B-5) 기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처리번호 리스트를 리셋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1) 단계는, 추출된 전화번호를 사전에 보유한 등록전화번호 리스트에서 검색하며, 상기 (B-2) 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4) 단계는, 상기 스팸 정보 서버로 전송한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누적하여 전송번호 리스트를 생성하는 전송번호 리스트 생성하며, 상기 (A-1) 단계부터 (A-4)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되, 상기 (A-1) 단계는, 추출된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상기 전송번호 리스트에서 검색하며, 상기 (A-2) 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A) 단계는, (A-5) 기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전송번호 리스트를 리셋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 (C) 상기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되는 콜신호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스팸판단 정보를 상기 스팸 정보 서버로 요청하여 상기 콜신호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스팸판단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콜신호와 함께 상기 스팸판단 정보를 시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일실시예는, 연락처 목록을 저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수신전화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한 상기 연락처 목록의 등록여부에 따라 수신번호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스팸 정보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한다.
나아가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콜 신호의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콜 신호의 전화번호에 대한 스팸판단 정보를 상기 스팸정보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스팸정보 서버로부터 전송된 스팸판단 정보를 상기 콜 신호와 함께 시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번호 정보는, 상기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한 상기 연락처 목록의 등록 여부에 따른 카운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의 통화시간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상기 스팸 정보 서버로 전송한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누적한 전송번호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번호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수신전화 정보에 대하여 수신번호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정보 서버의 일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수신전화 정보에 대한 연락처 목록의 등록 여부에 따른 수신번호 정보를 수집하는 수신번호 정보 수집부; 상기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마다 연락처 목록의 등록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스팸전화 판단부; 및 상기 스팸판단 정보를 저장한 스팸정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콜신호의 전화번호에 대한 스팸판단 정보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팸정보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콜신호의 전화번호에 대한 스팸판단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스팸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번호 정보는,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한 연락처 목록의 등록 여부에 따른 카운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팸전화 판단부는, 수집된 수신번호 정보에 대한 카운트 정보를 종합하여, 전화번호마다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발신 횟수와 카운트 정보를 대비한 카운트 비율을 기초로 스팸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번호 정보는, 상기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의 통화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팸전화 판단부는, 상기 수신번호 정보에 대한 통화시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를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카운트 비율에 반영하여 스팸확률을 산출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 상기 수신번호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팸전화 판단부는, 스팸판단 정보의 생성에 이용된 수신번호 정보의 전화번호와 고유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 처리번호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새로이 수집된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와 대응되는 고유 식별 정보가 상기 처리번호 리스트에서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팸전화 판단부는, 사전에 등록전화번호 리스트를 보유하며, 수집된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상기 등록전화번호 리스트에서 검색하여,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번호 정보에 대한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스팸 전화 번호에 대한 신고를 하지 않아도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스팸 정보 서버 간의 연동으로 수신된 전화번호와 관련하여 추출한 정보들이 자동으로 전송됨으로써 대량으로 수신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스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수신된 전화번호로 추출된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된 건수 및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스팸 정보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번호와의 일치 여부 등을 통해 스팸 확률을 계산함으로써 전화번호를 위장한 스팸 번호를 효과적으로 가려낼 수 있다.
셋째, 스팸 정보 서버는 일정 시간 동안 적어도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전화번호에 대한 히트 카운트(Hit count) 값과 노 히트 카운트(No_Hit count)값 및 통화 시간을 반영하여 수신 전화번호에 대한 스팸 확률을 계산하므로, 보다 높은 정확도의 스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스팸 정보 서버를 포함하는 스팸 정보 제공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정보 서버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정보 제공 방법에서 스팸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정보 제공 방법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정보 제공 방법에서 스팸 정보 서버의 동작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정보 제공 방법에서 스팸 판단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정보 제공 방법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스팸 판단 정보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스팸 정보 서버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스팸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신고 없이도 자동적으로 수신된 전화번호에 대한 연락처 등록 여부로 스팸 전화를 판단하여 스팸 전화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정보 서버와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는 스팸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스팸정보 서버(200)가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a, 100b,...100n)에 설치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각 이동통신 단말기(100a, 100b,...100n)마다 수신한 수신전화 정보에 대한 수신번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마다 사용자의 연락처 목록에 등록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해당 전화번호의 스팸 여부를 판단한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연락처 목록에 스팸 전화번호를 등록하지는 않으며, 연락처 목록에 등록된 전화번호의 경우에는 스팸 전화일 경우가 희박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연락처 목록을 근거로 특정 전화번호가 얼마나 많은 사용자의 연락처 목록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해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a, 100b,...100n)는 전화 통화 기능이 부여되어 전화 수신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에 대한 연락처 목록을 저장하여 보유할 수 있으며, 또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가능한 통신 장치로서, 일례로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또는 다양한 기능이 부여되는 인터넷 전화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스팸정보 서버(200)와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a, 100b,...100n)는 인터넷 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 다양한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전송으로 상호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는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a, 100b,...100n)에 설치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문자 메시지나 멀티 메시지 등을 통해 스팸정보 서버(200)로 수신번호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정보 서버와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는 스팸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살펴보자면, 먼저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a, 100b,...100n)는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부(170)가 구비된 통신장치로서, 기본적으로 수신한 수신 전화번호와 통화시간 등의 수신전화 정보가 저장된 수신통화 목록(130)과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저장한 전화번호 등이 저장된 연락처 목록(150)을 보유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구동이 가능한 구성들을 포함하여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이 설치되고 구동될 수 있다.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은 사용자의 조작이나 입력없이 자동적으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통화 목록(130)에서 수신전화 정보를 추출하여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와 통화시간 등의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고,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연락처 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락처 목록(150)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른 수신번호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스팸 정보 서버(200)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이 생성하는 수신번호 정보는 기본적으로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한 연락처 목록의 등록 여부에 따른 카운트 정보를 포함한다. 가령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가 연락처 목록에 등록된 전화번호인 경우를 카운트하거나 등록되지 않은 전화번호인 경우를 카운트할 수 있고 나아가서 이 두 경우 모두를 각각 카운트할 수 있으며, 카운트 정보를 토대로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한 수신번호 정보를 생성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수신번호 정보는 상기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의 통화시간이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통화시간에는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수신거부한 경우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고유 식별 정보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나 국제 모바일 기기 식별코드(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EI)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은, 스팸 정보 서버(200)로 전송한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누적한 전송번호 리스트를 생성하여 보유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새로이 수신한 수신전화 정보 중 상기 전송번호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전화번호에 대해서만 수신번호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전송번호 리스트를 주기적으로 리셋될 수도 있다.
이는 특정 전화번호를 스팸 전화로 유도하기 위해 악의적으로 발신을 조작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인데,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정보 제공 방법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부(170)로 콜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은 상기 콜신호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스팸 정보 서버(200)로 상기 콜신호의 전화번호에 대한 스팸판단 정보를 요청하며, 이에 대응하여 스팸 정보 서버(200)가 상기 콜신호의 전화번호에 대한 스팸판단 정보를 제공하면, 제공된 스팸판단 정보를 통화부(170)를 통해 콜신호와 함께 시현하여 사용자에게 스팸판단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서 통화부(170)는 통화기능 외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발신자 정보 표시를 시현하는 구성이나 콜신호 수신 중에도 기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공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정보 서버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스팸 정보 서버(200)는 개략적으로 수신번호 정보 수집부(210), 스팸전화 판단부(230), 스팸정보 제공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스팸정보 저장부(270)가 스팸정보 서버(200)에 포함되거나 별도로 독립적인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수신번호 정보 수집부(210)는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각각의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번호 정보를 수집하는데, 여기서 상기 수신번호 정보에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수신전화 정보에 대한 연락처 목록의 등록 여부에 따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추가적으로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시간이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스팸전화 판단부(230)는 수신번호 정보 수집부(210)가 수집한 수신번호 정보를 종합하여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하는데, 이때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마다 연락처 목록의 등록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전화 정보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한다.
가령, 수신번호 정보 수집부(210)가 수집한 수신번호 정보에는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한 연락처 목록의 등록 여부에 따른 카운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스팸전화 판단부(230)는 수집된 수신번호 정보에 대한 카운트 정보를 종합하여, 전화번호마다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발신 횟수와 카운트 정보를 대비한 카운트 비율을 기초로 스팸확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스팸확률을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시켜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스팸정보 서버(200)는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수신한 수신번호 정보 각각이 사용자의 연락처 목록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카운트한 카운트 정보를 종합하여 특정 전화번호에 대한 카운트 비율을 기초로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수신번호 정보 수집부(210)가 수집한 수신번호 정보에는 카운트 정보 외에도 상기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의 통화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스팸확률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스팸전화 판단부(230)는,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시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를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카운트 비율에 반영하여 스팸확률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산출된 스팸확률을 기초로 스팸전화 판단부(230)는 각각의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마다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스팸정보 저장부(270)에 저장한다.
나아가서 수신번호 정보 수집부(210)가 수집한 수신번호 정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수신번호 정보에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스팸전화 판단부(230)는 스팸판단 정보의 생성에 이용된 수신번호 정보의 전화번호와 고유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 처리번호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수신번호 정보 수집부(210)가 새로이 수집한 수신번호 정보에 대한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시 스팸전화 판단부(230)는 새로인 수집된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와 대응되는 고유 식별 정보가 상기 처리번호 리스트에서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스팸확률을 산출하여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국가 주요 기관이나 공공 정보 제공자 등은 주로 사용자의 연락처 목록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해 스팸 전화번호로 판단될 확률이 높아지기에 이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확인된 정상적인 전화번호들을 사전에 등록전화번호 리스트에 등록하여 보유하고, 스팸전화 판단부(230)는 수신번호 정보 수집부(210)가 수집한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가 상기 등록전화번호 리스트에 존재하는지를 검색하여 상기 등록전화번호 리스트 상에 존재하는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수신번호 정보에 대해서는 스팸 여부를 판단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스팸정보 제공부(250)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콜신호의 전화번호에 대한 스팸판단 정보의 요청에 따라 스팸정보 저장부(250)를 검색하여 상기 콜신호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스팸판단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스팸판단 정보를 상기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 스팸정보 서버(200)는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수신한 수신번호 정보를 토대로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스팸판단 정보는 단순히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콜신호에 대응되는 스팸판단 정보로 제공될 수도 있지만, 나아가서는 전화국이나 이동통신사 등에 스팸 전화번호 리스트로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인터넷을 통한 전화번호 조회 서비스로 스팸판단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살펴본 스팸 정보 서버와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 스팸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스팸 정보 제공 방법을 제시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정보 제공 방법은 스팸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스팸 판단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정보 제공 방법을 상기 두 과정으로 구분하여 이하에서는 각각의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의 스팸 정보 서버와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연동으로 구현되므로, 하기 실시예에서는 앞서 살펴본 스팸 정보 서버와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실시예를 같이 참조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정보 제공 방법에서 스팸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관련하여,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정보 제공 방법에서 스팸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수신통화 목록(130)에서 수신 전화 정보를 추출(S110)하는데, 수신 전화 정보의 추출은 수신전화가 발생되면 바로 실시간 추출할 수도 있고 또는 설정된 주기마다 한번에 수신 전화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주기적으로 수신 전화 정보를 추출하는 경우에는 이전 추출시간을 기준으로 이후 시간에 수신한 수신 전화 정보만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수신 전화 정보에는 수신 전화번호, 통화시간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은 수신 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연락처 목록(150)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기초로 수신번호 정보를 생성(S130)한다.
가령, 수신 전화 정보 상에 단순 전화번호만 존재하는 경우에,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은 수신통화 목록(130)에서 수신전화 정보의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이를 연락처 목록(150)에서 검색하여 수신전화 정보의 전화번호가 연락처 목록(150)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고,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자체가 수신 전화번호를 연락처 목록(150)의 연락처 정보와 매칭시켜서 수신통화 목록(130)에 등재하는 경우 수신통화 목록(130) 상의 수신전화 정보 자체만으로 연락처 목록(150)의 등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은 수신전화 정보의 연락처 목록 등록 여부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전화번호의 통화시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수신번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은 생성된 수신번호 정보를 스팸 정보 서버(200)로 전송(S170)하는데, 상기 수신번호 정보는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스팸 정보 서버(200) 간을 연결시킬 수 있는 인터넷 망이나 이동통신망 등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단순한 데이터 패킷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서는 문자 메시지나 멀티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이 수신전화 정보로부터 수신번호 정보를 생성하여 스팸 정보 서버(200)로 전송하는 과정은 사용자의 조작 개입없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스팸 정보 서버(200)의 수신번호 정보 수집부(2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으로부터 수신번호 정보를 수집하는데, 상기 도 4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도시하였으나, 스팸 정보 서버(200)는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이 설치된 수많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번호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그리고 스팸 정보 서버(200)의 스팸전화 판단부(230)는 수집된 방대한 양의 수신번호 정보를 종합하여 분석(S230)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S250)하여 스팸정보 저장부(270)에 저장(S270)한다.
즉, 스팸 정보 서버(200)는 수많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방대한 양의 수신번호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종합하여 해당 전화번호마다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스팸정보 저장부(270)로 제공한다.
스팸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스팸 정보 서버의 동작으로 구분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정보 제공 방법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수신 전화가 발생되는 경우 실시간으로 수신통화 목록(130)에서 수신전화 정보를 추출하거나 또는 설정된 주기 간격으로 수신통화 목록(130)에 누적된 수신전화 정보들을 추출(S110)한다.
그리고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은 수신전화 정보에 대응되는 수신번호 정보를 이미 스팸 정보 서버(200)로 전송한 바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이를 위해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는 스팸 정보 서버(200)로 전송한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들을 누적한 전송번호 리스트에서 추출한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검색(S121)하여, 추출한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가 상기 전송번호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확인(S135)하고 추출한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가 상기 전송번호 리스트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후 수신번호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물론 이 과정에 상기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가 스팸 정보 서버(200)로 수신번호 정보를 전송할때마다 수신전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누적하여 전송번호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이 전제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전송번호 리스트는 필요에 따라 설정되는 주기마다 리셋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송번호 리스트를 조회하는 과정을 통해 이후에 수행되는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하여 하루에 한번 혹은 일주일에 한번 정도로 카운트 정보를 제한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스패머(spamer)가 특정 번호로 계속 전화를 걸어 스팸 카운트(count) 정보를 임의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신규 수신전화 정보인 경우에,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은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연락처 목록(150)에 등록되었는지를 판단(S141)하여, 등록된 전화번호인 경우 히트 카운트(Hit count)를 증가(S143)시키고, 등록되지 않은 전화번호인 경우 노 히트 카운트(No_Hit count)를 증가(S145)시켜 카운트 정보를 생성(S147)한다.
가령, 수신통화 목록(130) 상의 수신전화 정보가 단순 전화번호로만 존재하는 경우에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은 연락처 목록(150)을 검색하여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가 연락처 목록(150)에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히트 카운트나 노 히크 카운트를 증가시켜 카운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수신통화 목록(130) 상의 수신전화 정보가 연락처 목록(150)의 연락처에 매칭되어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은 수신전화 정보만으로 히트 카운트를 증가시켜 카운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수신전화 정보에 대한 카운트 정보가 생성되면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은 카운트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번호 정보를 생성하는데, 이때 수신번호 정보는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시킨 카운트 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통화시간을 해당 전화번호 대응시켜 더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해당 전화번호에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 포함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통화시간은 수신차단한 경우도 포함하며 이후에 스팸 정보 서버(200)가 스팸확률을 산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고유 식별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나 IMEI가 적용되어 특정 전화번호에 대하여 악의적으로 스팸 판단 정보를 조작하는 경우를 스팸 정보 서버(200)가 방지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은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응시켜 카운트 정보, 통화시간,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번호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은 생성된 수신번호 정보를 스팸 정보 서버(200)로 전송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번호 정보는 데이터 패킷으로 전송될 수도 있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문자메시지나 멀티메시지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다.
스팸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스팸 정보 서버의 동작에 대하여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정보 제공 방법에서 스팸 정보 서버의 동작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스팸 정보 서버(200)의 수신번호 정보 수집부(210)는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으로부터 수신번호 정보를 수집(S210)하는데,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은 사용자의 별도 조작없이 자동적으로 수신번호 정보를 생성하여 스팸 정보 서버(200)로 전송하며, 스팸 정보 서버(200)의 수신번호 정보 수집부(210)는 연계된 다수의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으로부터 데이터 패킷이나 문자메시지 또는 멀티메시지 형태로 수신번호 정보를 전송받아 수집한다.
스팸 정보 서버(200)의 스팸전화 판단부(230)는 먼저 수집된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추출하며, 수신번호 정보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고유 식별 정보도 추출한다.
만약 고유 식별 정보가 추출된 경우, 스팸 정보 서버(200)의 스팸전화 판단부(230)는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와 고유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 이를 처리한 바 있는지 확인하는데, 이를 위해서 스팸 정보 서버(200)의 스팸전화 판단부(230)는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할때마다 이용된 수신번호 정보의 전화번호와 고유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 누적한 처리번호 리스트를 생성하여, 처리할 수신전화 정보에서 추출된 전화번호와 대응시킨 고유 식별 정보가 상기 처리번호 리스트에 존재하는지를 검색(S223)한다. 만약 처리할 수신전화 정보에서 추출된 전화번호와 대응시킨 고유 식별 정보가 상기 처리번호 리스트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후 스팸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 6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팸 정보 서버(200)가 수집된 수신번호 정보로 스팸 판단 정보를 생성할때마다 스팸 판단 정보에 이용된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고유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누적하여 처리번호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이 전제되어야 하며, 또한 상기 처리번호 리스트는 필요에 따라 설정되는 주기마다 리셋될 수 있다.
만약, 처리할 수신번호 정보가 상기 처리번호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팸 정보 서버(200)의 스팸전화 판단부(230)는 이후 스팸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계속적으로 수행한다.
다음으로 스팸 정보 서버(200)의 스팸전화 판단부(230)는 처리할 수신번호 정보에서 추출한 전화번호가 등록전화번호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검색(S227)하여 상기 등록전화번호 리스트에 등록된 전화번호인지 여부를 판단(S229)는데, 여기서 등록전화번호 리스트는 국가 주요 기관이나 공공 정보 제공자 등은 주로 사용자의 연락처 목록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해 스팸 전화번호로 판단될 수도 있는 전화번호들을 사전에 지정하여 저장한 목록이다.
만약 처리할 수신번호 정보에서 추출한 전화번호가 상기 등록전화번호 리스트에 등록된 번호일 경우, 이는 스팸 전화가 아닌 정상적인 전화번호이므로 스팸 정보 서버(200)의 스팸전화 판단부(230)는 해당 전화번호에 대하여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중단한다.
이와 같은 처리번호 리스트 검색과 등록전화번호 리스트 검색을 과정을 거친 후 스팸 정보 서버(200)의 스팸전화 판단부(230)는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카운트 정보를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시켜 추출(S231)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시킨 카운트 정보가 추출되면,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이미 처리한 정보들을 같이 종합하여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스팸확률을 산출(S233)한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전화번호가 현재로부터 설정된 기간 동안 발신 횟수와 카운트 정보를 대비하여 카운트 비율을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스팸확률을 산출한다. 상기 발신 횟수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수신번호 정보를 종합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으며, 카운트 비율은 설정된 기간 동안의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카운트 정보를 종합한 히트 카운트 수 또는 노 히트 카운트 수과 해당 전화번호의 발신 횟수 비율로 산출할 수 있다.
가령, 특정 전화번호에 대한 최근 발신 횟수가 250건이고 히트 카운트 수가 20건, 노 히트 카운트 수가 230건인 경우, 스팸확률은 노 히트 카운트 수 230건과 발신 횟수 250건의 비율에 대한 백분율로서 92%가 산출될 수 있다.
나아가서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스팸 확률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통화시간이 고려될 수 있는데, 수신번호 정보에는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시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스팸 정보 서버(200)의 스팸전화 판단부(230)는 통화시간이 기설정된 통화시간 이하인 횟수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를 해당 전화번호의 카운트 비율에 반영하여 스팸확률을 산출할 수도 있다.
가령, 기준 통화시간 5초이하에 대한 가중률을 0.5%로 설정한 경우, 스팸확률이 92%로 산출된 특정 전화번호에 대한 5초 이하의 통화시간이 10건 존재한다면, 10건 통화시간에 대한 가중률 0.5%를 곱하고 이를 최근 발신 횟수 250건에 대한 비율의 백분율로 산출하면, (5/250)*100으로 2%의 가중치가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산출된 가중치 2%를 상기 카운트 비율에 반영하면, 스팸 확률은 94%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기준 통화시간과 가중률 등은 필요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가중치를 반영하는 방식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스팸 정보 서버(200)의 스팸전화 판단부(230)는 전화번호마다 스팸확률을 산출하고, 전화번호와 스팸확률을 대응시킨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S250)한다.
그리고 생성된 스팸판단 정보는 스팸정보 저장부(270)에 저장되어 특정 전화번호에 대한 스팸 정보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스팸 정보 서버(200)가 수집한 수신번호 정보에 대한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미 스팸정보 저장부(270)에 저장된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스팸판단 정보가 반영되어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스팸판단 정보는 새로 갱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팸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전화번호에 대한 스팸 판단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제공될 수도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전화국이나 이동통신사 등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한 전화번호 조회 서비스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정보 제공 방법에서 스팸 판단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과 관련하여,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정보 제공 방법에서 스팸 판단 정보를 제공하는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부(170)로 콜신호가 수신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은 콜신호의 전화번호를 추출(S310)하여 이에 대한 스팸 판단 정보를 스팸 정보 서버(200)로 요청(S320)한다.
그러면 스팸 정보 서버(200)의 스팸정보 제공부(250)는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로부터 전송된 콜신호의 전화번호를 스팸정보 저장부(270)에서 검색(S330)하고, 이에 대응되는 스팸판단 정보를 스팸정보 저장부(270)에서 추출(S340)하여, 추출된 스팬판단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로 전송(S350)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이 스팸 정보 서버(200)로부터 상기 콜신호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스팸판단 정보를 전송받으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부(170)를 통해 상기 콜신호와 함께 이에 대응되는 스팸판단 정보를 같이 사용자에게 제공(S360)한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스팸판단 정보의 일례로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정보 제공 방법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스팸 정보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부(17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발신번호표시 등 콜신호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콜신호 수신과 함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은 스팸 판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령, 상기 도 8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부(170)가 콜신호를 시현하는 디스플레이(300)가 제시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발신번호 표시(310)가 시현되며, 본 발명에 따라 추가적으로 스팸판단 정보(350)가 시현될 수 있다.
시현되는 스팸판단 정보(350)에는 콜신호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스팸확률(351) 등의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며, 사용자는 콜신호의 수신시에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110)을 통해 제공되는 스팸판단 정보를 기초로 스팸 전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스팸 전화 번호에 대한 신고를 하지 않아도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스팸 정보 서버 간의 연동으로 수신된 전화번호와 관련하여 추출한 정보들이 자동으로 전송됨으로써 대량으로 수신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스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a, 100b,...100n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130 : 수신통화 목록,
150 : 연락처 목록,
170 : 통화부,
200 : 스팸 정보 서버,
210 : 수신번호 정보 수집부,
230 : 스팸전화 판단부,
250 : 스팸정보 제공부,
270 : 스팸정보 저장부,
290 : 등로전화번호 리스트.

Claims (19)

  1. (A) (A-1)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수신전화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단계;
    (A-2) 상기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연락처 목록에서 검색하여, 상기 수신전화 정보의 전화번호가 상기 연락처 목록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히트 카운트(Hit count)를 증가시키고,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노 히트 카운트(No_Hit count)를 증가시켜, 상기 수신전화 정보에 대응되는 카운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A-3) 상기 카운트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번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A-4) 생성된 수신번호 정보를 스팸 정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B) 상기 스팸 정보 서버가,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번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마다 연락처 목록의 등록 여부에 따라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전화 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번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2) 수집된 수신번호 정보에 대한 카운트 정보를 종합하여 전화번호마다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발신 횟수와 카운트 정보를 대비한 카운트 비율을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스팸확률을 산출하는 단계; 및
    (B-3) 상기 스팸확률을 포함하는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전화 정보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3) 단계는,
    상기 수신전화 정보에서 전화번호와 통화시간을 대응시켜 이를 포함하는 수신번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B-2) 단계는,
    상기 수신번호 정보에서 전화번호와 통화시간을 추출하고, 통화시간이 기설정된 통화시간 이하인 횟수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를 상기 카운트 비율에 반영하여 스팸확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전화 정보 제공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3)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번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B) 단계는,
    (B-4) 상기 스팸판단 정보의 생성에 이용된 수신번호 정보의 전화번호와 고유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 처리번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1) 단계부터 상기 (B-4)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되,
    상기 (B-1) 단계는,
    수집된 수신번호 정보에서 전화번호와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전화번호와 고유 식별 정보를 대응시키고, 이를 상기 처리번호 리스트에서 검색하며,
    상기 (B-2) 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전화 정보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5) 기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처리번호 리스트를 리셋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전화 정보 제공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
    추출된 전화번호를 사전에 보유한 등록전화번호 리스트에서 검색하며,
    상기 (B-2) 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전화 정보 제공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4) 단계는,
    상기 스팸 정보 서버로 전송한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누적하여 전송번호 리스트를 생성하는 전송번호 리스트 생성하며,
    상기 (A-1) 단계부터 (A-4)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되,
    상기 (A-1) 단계는,
    추출된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상기 전송번호 리스트에서 검색하며,
    상기 (A-2) 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전화 정보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5) 기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전송번호 리스트를 리셋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전화 정보 제공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 상기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되는 콜신호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스팸판단 정보를 상기 스팸 정보 서버로 요청하여 상기 콜신호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스팸판단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콜신호와 함께 상기 스팸판단 정보를 시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전화 정보 제공 방법.
  10. 연락처 목록을 저장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수신전화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한 상기 연락처 목록의 등록여부에 따라 수신번호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스팸 정보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수신번호 정보는 상기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한 상기 연락처 목록의 등록 여부에 따른 카운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의 통화시간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콜 신호의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콜 신호의 전화번호에 대한 스팸판단 정보를 상기 스팸정보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스팸정보 서버로부터 전송된 스팸판단 정보를 상기 콜 신호와 함께 시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12. 삭제
  13. 연락처 목록을 저장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수신전화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한 상기 연락처 목록의 등록여부에 따라 수신번호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스팸 정보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스팸 정보 서버로 전송한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누적한 전송번호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번호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수신전화 정보에 대하여 수신번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14.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수신전화 정보에 대한 연락처 목록의 등록 여부에 따른 수신번호 정보를 수집하는 수신번호 정보 수집부;
    상기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마다 연락처 목록의 등록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스팸전화 판단부; 및
    상기 스팸판단 정보를 저장한 스팸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스팸 정보 서버로,
    상기 수신번호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팸전화 판단부는,
    스팸판단 정보의 생성에 이용된 수신번호 정보의 전화번호와 고유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 처리번호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새로이 수집된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와 대응되는 고유 식별 정보가 상기 처리번호 리스트에서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정보 서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콜신호의 전화번호에 대한 스팸판단 정보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팸정보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콜신호의 전화번호에 대한 스팸판단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스팸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정보 서버.
  16.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수신전화 정보에 대한 연락처 목록의 등록 여부에 따른 수신번호 정보를 수집하는 수신번호 정보 수집부;
    상기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마다 연락처 목록의 등록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스팸전화 판단부; 및
    상기 스팸판단 정보를 저장한 스팸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스팸 정보 서버로,
    상기 수신번호 정보는,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한 연락처 목록의 등록 여부에 따른 카운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팸전화 판단부는,
    수집된 수신번호 정보에 대한 카운트 정보를 종합하여, 전화번호마다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발신 횟수와 카운트 정보를 대비한 카운트 비율을 기초로 스팸확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정보 서버.
  17.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스팸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수신전화 정보에 대한 연락처 목록의 등록 여부에 따른 수신번호 정보를 수집하는 수신번호 정보 수집부;
    상기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마다 연락처 목록의 등록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스팸전화 판단부; 및
    상기 스팸판단 정보를 저장한 스팸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스팸 정보 서버로,
    상기 수신번호 정보는, 상기 수신전화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의 통화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팸전화 판단부는,
    상기 수신번호 정보에 대한 통화시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를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카운트 비율에 반영하여 스팸확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정보 서버.
  18. 삭제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전화 판단부는,
    사전에 등록전화번호 리스트를 보유하며,
    수집된 수신번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상기 등록전화번호 리스트에서 검색하여,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번호 정보에 대한 스팸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정보 서버.
KR1020150020196A 2015-02-10 2015-02-10 스팸 전화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스팸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과 스팸 정보 서버 KR101819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196A KR101819178B1 (ko) 2015-02-10 2015-02-10 스팸 전화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스팸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과 스팸 정보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196A KR101819178B1 (ko) 2015-02-10 2015-02-10 스팸 전화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스팸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과 스팸 정보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835A KR20160097835A (ko) 2016-08-18
KR101819178B1 true KR101819178B1 (ko) 2018-02-28

Family

ID=5687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196A KR101819178B1 (ko) 2015-02-10 2015-02-10 스팸 전화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스팸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과 스팸 정보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1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844B1 (ko) 2022-04-14 2023-09-26 강성원 주소록 미등록 발신자에 대한 과금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861B1 (ko) 2012-05-29 2014-04-10 서울신용평가정보 주식회사 스팸 전화나 스팸 문자를 차단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835A (ko)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63690B (zh) 检测伪基站向移动终端发送短信息的方法和装置
CN108810116B (zh) 消息处理方法及相关产品
WO2016065908A1 (zh) 一种欺诈用户的检测方法、装置和系统
CN108540755B (zh) 身份识别方法和装置
CN104660481A (zh) 即时通讯消息处理方法及装置
CN102611746B (zh) 一种联系人信息共享方法和系统
WO2013044797A1 (zh) 通信事件处理方法及系统
CN104883671A (zh) 一种垃圾短信的判断方法及系统
KR20160100833A (ko) 보이스 피싱 위험도 단계별 경보 시스템 및 방법
CN106791230B (zh) 电话号码识别方法及装置
KR100946983B1 (ko) 스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N104394258B (zh) 对通讯对象的联系方式变化进行处理的方法和装置
KR101819178B1 (ko) 스팸 전화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스팸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과 스팸 정보 서버
WO2016037489A1 (zh) Rcs垃圾消息的监控方法、装置及系统
CN104184871A (zh) 一种提示骚扰电话号码的方法和装置
CN104506743A (zh) 一种动态拦截电话的方法及装置
CN107040603B (zh) 用于确定应用程序App活跃场景的方法和装置
KR20090096111A (ko) 스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06287A (ko) 보이스 피싱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4168423A (zh) 异常号码的呼叫监控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018095B1 (ko) 통신 호를 통해 전송한 정보를 기초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22154A (ko) 통화량 분석에 기반하는 스팸 의심 전화 안내 장치 및 스팸 의심 전화 안내 방법
CN103856601A (zh) 来电显示方法及电话呼叫方法
KR101776171B1 (ko) 착신호에 대한 평판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US11800344B2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of processing an emergency incident and emergency communication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