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8312A -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8312A
KR20110058312A KR1020090115060A KR20090115060A KR20110058312A KR 20110058312 A KR20110058312 A KR 20110058312A KR 1020090115060 A KR1020090115060 A KR 1020090115060A KR 20090115060 A KR20090115060 A KR 20090115060A KR 20110058312 A KR20110058312 A KR 20110058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d
multimedia system
pad unit
remote touch
cir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현
이상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5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8312A/ko
Publication of KR20110058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격 터치 패드부와; 상기 원격 터치 패드부로부터 수신된 2차원 터치 신호에 따라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각종 모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원격 터치 패드부의 조작된 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원격 터치 패드부를 이용한 2차원 터치 인터랙션(Touch Interaction)에 의해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조작함으로써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USER INTERFACE DEVICE FOR CONTROLLING MULTIMEDIA SYSTEM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차원 터치 인터랙션(touch interaction)을 최대한 활용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대한 입력 디바이스(Input Device)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는데, 완성차 업체 뿐만 아니라 애프터 마켓(Aftermarket)에서도 아이나비, 엑스로드 등의 많은 기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많은 입력 디바이스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활용한 제품들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많은 기기에서 포인팅 인터랙션(Pointing Interaction) 위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가 단순하게 구성되어져 있다.
즉, 현재 각 조작계의 특성과 형태를 최대한 활용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 터치 패드부를 이용한 2차원 터치 인터랙션(Touch Interaction)에 의해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조작함으로써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따라, 원격 터치 패드부와; 상기 원격 터치 패드부로부터 수신된 2차원 터치 신호에 따라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각종 모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원격 터치 패드부의 조작된 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2차원 터치 신호는 페이지 플립(page flip), 써클 드래그 (circle drag), 드래그 및 드롭(drag and drop)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페이지 플립이 가능한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플립 그래픽이 표시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써클 드래그가 가능한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써클이 표시되고 상기 원격 터치 패드부가 터치된 위치는 하이라이트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써클 드래그는 라디오 주파수, 디엠비(DMB) 채널, 노래 제목, 문자 및 숫자 등의 선정 기능과; 지도 줌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 터치 패드부를 이용한 2차원 터치 인터랙션(Touch Interaction)에 의해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조작함으로써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원격 터치 패드부(10)와, 디스플레이부(20)와, 제어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멀티미디어 시스템(40)은 차량에 탑재되어 탑승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네비게이션(Navigation) 등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원격 터치 패드부(10)는 상기 멀티미디어 시스템(40)을 원격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Input Device)로서,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포인터 등(이하, 손가락으로 칭함)으로 원격 터치 패드부(10)를 터치함으로써 2차원 터치 신호가 형성된다. 이에, 원격 터치 패드부(10)의 2차원 터치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0)로 송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40)의 각종 모드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 때, 2차원 터치 신호는 포인팅(pointing)을 포함하고, 페이지 플립(page flip), 써클 드래그(circle drag), 드래그 및 드롭(drag and drop)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원격 터치 패드부(10)는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한국특허출원 제2009-0086502호의 원격 터치 패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격으로 디스플레이부(20) 및 제어부(30)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디스플레이부(20)는 원격 터치 패드부(10)로부터 송출된 2차원 터치 신호에 따라 멀티미디어 시스템(40)의 각종 모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라디오(Radio)/미디어(Media)/폰(Phone)/네비게이션(Navigation)/정보(Information) 모드 등을 표시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20)에는 페이지 플립이 가능한 모드에서 책장이 팔랑거리는 플립 그래픽(F, 도 2 참조)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디오 모드의 페이지 양측 하단에는 플립 그래픽(F)이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원격 터치 패드부(10)를 화살표 방향으로 쓸어 올리면, 실제 책장이 넘어가는 효과와 함께 미디어 모드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라디오 주파수, 디엠비(DMB) 채널, 노래 제목, 문자 등을 선정하기 위해서, 가장 직관적인 로터리 방식인 써클 드래그를 이용하여 실제 노브(Knob)를 돌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구현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20)에는 써클 드래그가 가능한 모드에서 써클(C, 도 3 참조)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원격 터치 패드부(10)의 터치된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원격 터치 패드부(10)가 터치된 위치가 하이라이트(H)로 표시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에는 사용자가 원격 터치 패드부(10)에서 노브(knob)를 돌리듯이 써클 드래그를 할 수 있도록 써클(C)이 표시되어 있고, 사용자가 원격 터치 패드부(10)에 손가락을 댄 순간 손가락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의 써클(C) 안에 하이라이트(H)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격 터치 패드부(10)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써클 드래그를 함으로써 노래 제목을 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 모드일 때 원격 터치 패드부(10)에서 써클 드래그를 하여 숫자를 선택함으로써 전화를 걸 수도 있다. 즉, 원격 터치 패드부(10) 상에서 손가락을 돌릴 때마다 방향과 거리가 계산되어 현재 위치의 숫자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원격 터치 패드부(10)에서 손가락을 떼는 순간 그 숫자가 입력된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모드일 때 써클 드래그 하여 문자를 선택함으로써 주소를 검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한 써클 당 8개의 문자를 배당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가 나타나면 원격 터치 패드부(10) 상에서 손을 뗀 후 다시 한번 터치함으로써 문자가 입력되도록 한다. 써클(C)의 시계 방향은 자음을 입력할 수 있게 표시되고 반시계 방향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표시되나, 이와 반대로 설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된 지도에서 시계 방향으로 써클 드래그하여 줌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원격 터치 패드부(10)에서 지도 상 좀 더 크게 보고 싶어하는 영역으로 손가락을 대어 화살표를 이동시킨 후 시계 방향으로 써클 드래그를 하면, 써클 드래그한 영역이 미리 설정된 확대 배율에 의해 확대되고, 확대된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써클 드래그를 하면 정상 상태로 축소된다.
도 7은 사용자가 원격 터치 패드부(10) 상에서 드래그 및 드롭한 경우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음량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원격 터치 패드부(10) 상에서 드래그한 후 드롭하면, 원격 터치 패드부(10)의 터치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고 제어부(30)는 그 터치 신호를 받아 멀티 미디어 시스템의 음량을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도 7에서는 음량을 조절하는 경우만 예를 들었으나, 음향/음질/기타 설정 경우에도 드래그 및 드롭을 하여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30)는 상기 원격 터치 패드부(10)의 2차 터치 신호(페이지 플립, 써클 드래드, 드래그 및 드롭 등)에 따라 멀티미디어 시스템(40)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원격 터치 패드부(10)를 터치하면, 디스플레이부(20)에서는 2차원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제어부(30)에서는 2차원 터치 신호에 대응한 멀티디미어 시스템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 터치 패드부(10)를 이용한 2차원 터치 인터랙션(Touch Interaction)에 의해 멀티미디어 시스템(40)을 조작함으로써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블럭도.
도 2는 도 1의 원격 터치 패드부에 의한 페이지 플립(page flip) 효과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도 1의 원격 터치 패드부에 의한 써클 드래그(Circle Drag) 효과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원격 터치 패드부에 의한 드래그 및 드롭(drag and drop) 효과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격 터치 패드부 20 : 디스플레이부
30 : 제어부 40 : 멀티미디어 시스템

Claims (5)

  1. 원격 터치 패드부와;
    상기 원격 터치 패드부로부터 수신된 2차원 터치 신호에 따라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각종 모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원격 터치 패드부의 조작된 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원 터치 신호는 페이지 플립(page flip), 써클 드래그 (circle drag), 드래그 및 드롭(drag and drop)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플립이 가능한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플립 그래픽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써클 드래그가 가능한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써클이 표시되고 상기 원격 터치 패드부가 터치된 위치는 하이라이트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써클 드래그는 라디오 주파수, 디엠비(DMB) 채널, 노래 제목, 문자 및 숫자 등의 선정 기능과; 지도 줌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090115060A 2009-11-26 2009-11-26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20110058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060A KR20110058312A (ko) 2009-11-26 2009-11-26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060A KR20110058312A (ko) 2009-11-26 2009-11-26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312A true KR20110058312A (ko) 2011-06-01

Family

ID=44393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060A KR20110058312A (ko) 2009-11-26 2009-11-26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831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891B1 (ko) * 2015-07-21 2016-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입력장치 및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CN106293448A (zh) * 2015-06-25 2017-01-0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触摸输入设备、包括该设备的车辆以及控制该设备的方法
US10437465B2 (en) 2016-04-21 2019-10-08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3448A (zh) * 2015-06-25 2017-01-0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触摸输入设备、包括该设备的车辆以及控制该设备的方法
KR101685891B1 (ko) * 2015-07-21 2016-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입력장치 및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CN106371743A (zh) * 2015-07-21 2017-02-0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触摸输入装置及其控制方法
US10866726B2 (en) 2015-07-21 2020-12-15 Hyundai Motor Company In-vehicle touch device having distinguishable touch areas and control character input method thereof
CN106371743B (zh) * 2015-07-21 2021-03-0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触摸输入装置及其控制方法
US10437465B2 (en) 2016-04-21 2019-10-08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722B1 (ko)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101453144B1 (ko) 슬라이드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슬라이드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92078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ea-efficient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300315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ea-Efficient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00328209A1 (en) Input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KR101998941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타일의 의미 스케일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KR20090005680A (ko) 원통형 입체 형상의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gui 제공방법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JP2012098873A (ja) 車載機器、及び、車載機器の制御方法
JP2013120596A (ja) ダイナミックタッチインタラクションを利用した分割画面連動表示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882554B1 (ko) 정보를 표시하고 전자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2690541B1 (en) Method of displaying status bar
JP6102474B2 (ja) 表示装置、入力制御方法、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KR20210156126A (ko)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JP2013222214A (ja) 表示操作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
US20190324638A1 (e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device
JP6312039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58312A (ko)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JP2013161230A (ja) 入力装置
US20140204042A1 (en) Display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546637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240134515A1 (en) A computer a software module arrangement, a circuitry arrangement, a user equipment and a method for an improved user interface controlling multiple applications simultaneously
US20230009427A1 (en)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knobs
JP6481310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KR20220005947A (ko)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KR20220005946A (ko)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