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8171A - A new model of a virtual music keyboard with the touch keypad - Google Patents

A new model of a virtual music keyboard with the touch key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8171A
KR20110058171A KR1020090114858A KR20090114858A KR20110058171A KR 20110058171 A KR20110058171 A KR 20110058171A KR 1020090114858 A KR1020090114858 A KR 1020090114858A KR 20090114858 A KR20090114858 A KR 20090114858A KR 20110058171 A KR20110058171 A KR 20110058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touch
touch pad
fing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8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상정
박태운
Original Assignee
심상정
박태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상정, 박태운 filed Critical 심상정
Priority to KR1020090114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8171A/en
Priority to KR1020147001699A priority patent/KR20140018436A/en
Priority to US13/391,875 priority patent/US20120149477A1/en
Priority to KR1020147030950A priority patent/KR101560372B1/en
Priority to KR1020127004777A priority patent/KR101426843B1/en
Priority to PCT/KR2010/005604 priority patent/WO2011025200A2/en
Publication of KR20110058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171A/en
Priority to US14/208,476 priority patent/US1093608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virtual keyboard model which uses two touch key pads is provided to supply a keyboard by using two touch pads of a handheld device. CONSTITUTION: A touch panel pointing device uses a pointing control method to determine a position coordinate of fingers and a pointer posi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position of fingers on a touch pad. A push switch performs a command execution futon function and is arranged in the lower side of the touch pad.

Description

터치 키패드를 이용한 가상건반 모델{A new model of a virtual music keyboard with the touch keypad }A new model of a virtual music keyboard with the touch keypad}

본 발명의 해당 분야는 휴대용 소형디지탈기기의 입력장치와 관련된 기술분야로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으로 대변되는 포인팅장치와 관련된 하드웨어 및 이를 작동 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개발분야이다.The relate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echnical field related to the input device of a portable small digital device, and 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hardware related to a pointing device represented by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d the like and software for operating the same.

컴퓨터가 GUI(graphic user interface)시스템으로 전환되게 한 것은 컴퓨터 모니터에서 실행 명령의 내용과 위치를 지정하여 주는 포인터를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장치로 마우스가 등장하고 나서부터이다. 그 이후로 컴퓨터가 휴대용으로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사용상의 편리성을 더하기 위해 마우스를 대체할 수 있는 내장형 포인팅장치로 터치패드 및 포인팅스틱이 개발되어 사용되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현재의 휴대용 디지털 기기인 PDA, PMP 심지어 핸드폰에 이르기까지 그 내용은 컴퓨터에 가까워지고 있다. 하지만 이들 디지털기기에 포인팅장치를 설치하기에는 이들 기기가 너무 소형이어서 화면을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하여 컴퓨터에 가까운 UI(User Interface)시스템을 구성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일반적인 핸드폰에는 적어도 문 자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키패드를 사용하여 운영하게 된다. 따라서 포인팅장치를 내장형으로 갖춘 노트북 PC와 같이 UI를 완벽하게 갖춘 휴대용 디지털기기는 그 크기의 제한으로 인해 구현은 지금까지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특히 핸드폰의 경우 숫자 입력이 주된 기능이어서 터치패드, 포인팅스틱, 트랙볼 등의 포인팅장치를 설치할 경우 이들 장치가 차지할 공간의 여유도 없을뿐더러 주 기능인 숫자입력을 보조하는 정도에 그치게 되어 근본적인 키패드 중심의 형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포인팅장치인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핸드폰의 키패드의 문자입력 기능과 본래의 포인팅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computer was converted into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ystem since the advent of the mouse as a device that allows the computer monitor to move the pointer that specifies the content and location of the executable command. Since then, as computers have become smaller and more portable, touch pads and pointing stick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as built-in pointing devices that can replace the mouse for added convenience. Similarly, today's portable digital devices, such as PDAs, PMPs, and even cell phones, are getting closer to computers. However, these devices are too small to install pointing devices on the digital devices, so the screen is a touch screen to form a UI (User Interface) system close to a computer, or otherwise a keypad that enables at least text input on a general mobile phone. Is operated using. Therefore, portable digital devices with perfect UI, such as notebook PCs with built-in pointing devices, have been impossible to implement because of their size limita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obile phones, numeric input is the main function, so when pointing devices such as touch pad, pointing stick, and trackball are installed, they do not have enough space to occupy and they only support the main function of numeric input. Will be maintain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character input function and the original pointing function of the keypad of the mobile phone using the touch pad as a pointing device.

반도체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20세기 중반에 이루어진 진공관을 기반으로 한 컴퓨터가 이제는 손안에 들어올 수 있을 정도로 소형화 및 집적화가 이루어져서 더 이상 컴퓨터가 일정 공간에 갇혀져서 사용되는 기기가 아니며 데스크탑(desktop), 랩탑(laptop)컴퓨터를 거쳐 PDA까지 일상화가 이미 이루어진 상태이다. 더 나아가 핸드폰, MP3, PDP 등 예전에는 컴퓨터와는 무관하게 사용되던 기기들이 컴퓨터와 같은 기능을 추가적으로 담당하거나 아예 휴대용 팜탑(Palmtop)컴퓨터에 이들 기능이 포함되는 융합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서 컴퓨터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시스템을 이들 소형 전자기기에도 도입할 시기가 도래하고 있다. 하지만 컴퓨터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시스템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포인팅장치를 이들 소형 전자기기들의 경우 장착 시킬 수 있는 공간상의 제약과 사용 상의 문제점 때문에 적용 되지 못하고 있다. GUI(graphical user interface)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포인팅장치가 적용되려면 이미 노트북컴퓨터 등에서 내장형으로 사용되고 있는 터치패드 혹은 포인팅스틱의 크기 축소 및 이들 포인팅장치와 함께 쓰이는 기능버튼의 구조 및 크기에도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고자 고안된 것이 터치스크린과 입력펜으로 현재 팜탑 컴퓨터 혹은 PDA에 적용되고 있지만 핸드폰과 같이 한 손으로 작동시켜야 할 정도의 크기에는 이들 터치스크린이나 입력 펜의 적용이 쉽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마우스와 같이 포인팅기능이 용이하고, 문자입력도 일반적인 핸드폰의 키패드보다 용이하게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이다. 더욱이 경우에 따라서는 한 손으로도 작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기존 핸드폰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anks to advances in semiconductor technology, vacuum tube-based computers in the mid-20th century are now miniaturized and integrated so that they can fit in your hand. (laptop) Routines have already been made through computers and PDAs. Furthermor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MP3s, and PDPs, which were previously used irrelevant to computers, are in charge of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computers, or are in the age of convergence where these functions are included in portable Palmtop computers. With this trend, it is time to introduce computer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ystems to these small electronic devices. However, the pointing device, which is essential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ystem of a computer, has not been applied because of space limitations and usage problems in which these small electronic devices can be mounted. In order for the pointing device to be applied to use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ystem, the size of the touchpad or pointing stick already used in a laptop computer and the like and the structure and size of the function button used with the pointing device need to be changed. will be. Designed to overcome this point, touch screens and input pens are currently being applied to palmtop computers or PDAs, but such touch screens or input pens are not easy to apply in one hand such as mobile phones. Accordingly, it is a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put device using a touch pad which is easy to point like a mouse and makes text input easier than a keypad of a general mobile phone. In addition, in some cases, by providing a structure that can be operated with one hand to provide a method that can be used in the same way as the existing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 특히 핸드폰과 같이 파지형(Handheld) 소형 기기에서 문자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두개의 터치패드을 이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양손으로 작동하는 키보드를 내장한 효과를 가져와서 키보드를 추가적으로 내장할 필요가 없고, 휴대용 디지털기기의 좁은 공간으로도 UI를 구현에 필요한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하여준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wo touchpads may be used to facilitate text input in a handheld small device such as a mobile electronic device, especially a mobile phone, the keyboard may be additionally built by bringing an effect of a built-in keyboard operating with both hands. There is no need,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put device for implementing a UI even in a narrow space of a portable digital device.

그 원리상에서 본 발명의 터치패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정전기 방식을 이용한 것만이 아니라 터치스크린에 사용되는 저항방식, 주파수방식 등을 이용한 좌표계를 제공할 수 있는 포인팅 기능이 가능한 것이면 본 발명의 포인팅장치로 이용될 수 있으나, 현재 핸드폰의 키패드나 키보드의 기능을 대체하는 기술개발은 이들 포인팅장치 방식을 주로 터치스크린 형태로 개발되어 오고 있으며 터치스크린의 경우 각각의 명령실행을 위해서는 화면상에 존재하는 명령 버튼이나 메뉴의 크기가 손가락이 닿았을 때 각각의 버튼이나 메뉴를 구별할 수 있을 정도의 경계가 존재하여야 하고 그로 인해 기기의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를 갖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포인팅장치는 명령실행을 위한 버튼이나 메뉴를 위한 터치패드 상의 영역이 한 손가락으로 중첩되게 닿는다 해도 터치패드가 산출하는 손가락의 위치는 하나의 점(화면상에서 포인터가 위치하는 지점)으로서 표시되기 때문에 터치스크린 방식에 비해 훨씬 좁은 공간에서의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즉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가상키보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시에 각각의 키에 해당하는 영역이 엄지의 면적보다 훨씬 적어서 여러 개의 키에 해당하는 영역을 한 손가락이 동시에 닿게 되어 각각의 영역을 구분하지 못한 상태가 된다하여도 문제가 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점이 지금까지 고안된 휴대용 디지털 기기를 위한 입력장치로서 압력감지장치를 이용할 경우 각 실행명령에 해당하는 구획이 손가락이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확보되어야 하는 방향으로 개발되어 그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왔다. 즉 한 손으로 파지하고 작동시킬 정도의 디지털기기의 입력장치로서는 개발되지 못하였으며, 이러한 점을 극복한 것이 본 발명의 고안이다. In view of the principle, the touch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a pointing function capable of providing a coordinate system using a resistive method and a frequency method used in a touch screen is possible. However, technology development that replaces the functions of the keypad or keyboard of the mobile phone has been developed mainly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and in the case of the touch screen, a command button exists on the screen for each command execution. However, when the size of the menu touches a finger, there must be a boundary enough to distinguish each button or menu, thereby limiting the size of the device. On the contrary, in the poi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n area on a touch pad for executing a command or a menu is touched with one finger, the position of the finger calculated by the touch pad is one point (the point where the pointer is located on the screen). Because it is displayed as, it can be implemented in a much narrower space than the touch screen method. That is, as already explained, the area corresponding to each key is much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thumb when inputting letters using the virtual keyboard, so that one finger touches the area corresponding to several keys at the same time and cannot distinguish each area. Even if it does not matter. This is because when the pressure sensing device is used as an input device for a portable digital device designed so far, there is a limit in reducing the size of the compartment corresponding to each execution command in the direction that the area to be distinguished by the finger must be secured. come. That is, it has not been developed as an input device of a digital device enough to hold and operate with one hand, and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is point.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핸드폰 사용자는 기존의 쿼티폰(qwerty phone)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으로부터 자유롭게 되었다. 즉 기존의 쿼티폰은 누르고자 하는 키를 주위의 다른 키를 피해서 누르기 위해서는 엄지를 치켜세워 가능한 한 엄지가 키패드에 닿는 면적을 적게 하여 키를 선택하여 누르다 보니 자연적으로 엄지에 많은 피로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상의 불편을 야기 시켰는데, 이에 반해 본 발명의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은 키보드에서 누르고자 키와 주변의 키를 구분하기 위해 손가락을 조심스럽게 움직일 필요가 없으므로 전혀 피로감이 없이 빠른 문자입력이 보장된다.Therefore, the mobile phon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freed from the problems caused when using the existing qwerty phone. In other words, the existing QWERTY phone has to lift the thumb up in order to avoid the other keys around it, so that the thumb touches the keypad as small as possible, and the key is selected and pressed. This caused inconvenience in use, whereas the character input using the touchpad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move the finger carefully to distinguish the keys and surrounding keys to press on the keyboard, so fast character input without fatigue at all This is guarante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방식은 좁은 공간이라도 손쉽게 작동할 수 있는 키보드를 장착할 수 있게 함으로서, 핸드폰이 더 이상 단순한 통화기기가 아니라 손안의 컴퓨터 즉 Palmtop 컴퓨터인 PDA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 fingertop 컴퓨터 세대를 열게 되는 것이다. 이런 변화는 핸드폰이 Ubiquitous 시대에 부응하여 언제든지 컴퓨터를 몸에 지니는 효과를 가져오는 디지털기기의 등장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터치패드를 이용한 입력장치는 휴대용 디지털 전자기기 뿐만 아니라 기존의 TV, VCR, DVD 등에 사용되는 문자입력이 가능한 리모트콘트롤러(Remote Controller)로서도 사용 가능하다. 즉 단순한 포인팅장치로서만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키보드의 기능이 탑재된 만능형 포인팅장치의 기능을 제공하여 모니터를 갖는 전자기기에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입력장치는 전자기기의 컴퓨터화를 그리고 모든 기기간의 네트워킹을 가능하게 하는 진정한 의미의 손안의(Hand-In) Ubiquitous Input Device가 될 것이다. As a result, the text input method using the touch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 to install a keyboard which can be easily operated even in a narrow space, and thus, the mobile phone is no longer a simple communication device but a PDA in a hand, that is, a Palmtop computer. It will open an upgraded generation of fingertop computers. This change means the emergence of digital devices that bring mobile phones to the computer at any time in response to the Ubiquitous era. In addition, the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s used in conventional TVs, VCRs, DVDs, as well as portable digital electronic devices. That is, not only a simple pointing device but also a function of a universal pointing device equipped with a function of a keyboard substantially enables the implementation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nitor. Ultimately, 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 true hand-in Ubiquitous input device that enables computer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and networking between all devices.

본 발명의 구성은 간단히 말해 모든 입력은 터치패드로 이루어지게 하는 입력장치를 갖는 휴대용 디지털 기기의 고안인 것이다. 즉 컴퓨터의 키보드와 마우스를 터치패드로 통합하는 것이다. 도 1b에 나타나 있듯이 터치패드를 키패드 대신에 사용하는 경우 포인팅 기능은 수월해 지지만 문자의 입력은 용이하지 않게 되는 단점을 유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핵심적인 구성 내용은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는 것에 있으며 이는 바로 문자입력을 키패드를 이용할 때와 동일하거나 더 용이할 정도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터치패드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y a design of a portable digital device having an input device in which all inputs are made of a touch pad. In other words, the computer's keyboard and mouse are integrated into the touchpad. As shown in FIG. 1B, when the touch pad is used instead of the keypad, the pointing function is facilitated, but character input is not easy. Therefore, a key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which is to provide a structure of a touch pad that provides the same or easier convenience as using a keypad for text input.

일반적으로 터치패드는 포인팅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부가적인 기능버튼을 터치패드 주위에 배열하게 된다. 이들 기능버튼의 기능은 도 2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손이 놓이는 위치에 맞게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지만 도 2a의 경우와 같이 터치패드를 한 손가락을 작동하는 경우에는 기능버튼을 작동하는 동작이 사용상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요인이 된다. 두 손가락을 사용한다고 하여도 기능버튼을 작동시키는 동작이 키패드를 누르는 동작에 비해 불편하게 마련이다. 더욱이 일반적으로 터치패드의 실행버튼 기능을 터치패드를 두드림 동작으로 대체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이 두드림 동작이 부가적인 손가락의 움직임을 수반하므로 불편함을 해소하지는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터치패드의 기능버튼을 이용한 명령실행 혹은 문자입력에 수반되는 부수적인 손가락의 움직임을 생략할 수 있도록 도 5에 보여 지는 바와 같이 터치패드 자체가 버튼 기능을 담당하게 한 것이 본 발명의 첫 번째 구성이다. 이러한 터치패드의 버튼 기능의 유무에 따른 차이를 도 3(버튼 기능이 없는 경우)과 도 4(버튼 기능이 있는 경우)에서 보여주고 있다. 즉 버튼기능이 있는 터치패드 의 경우는 문자입력이 키패드를 이용하는 경우와 동일한 손동작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누름버튼 기능을 터치패드가 갖는 경우 레버 형태의 움직임에 의한 스위치 작동과(도 5, 6)과 스위치를 터치패드 아래에 설치하여 누름동작에 의한 스위치 작동(도 7)등 기계적인 방법과 아예 스위치를 터치패드와 별개로 작동이 편리한 위치에 설치하는 방법(도 23)도 있으며 더욱 간단하게 터치패드의 압력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스위치기능을 부가하는 방법(도 23a, 30, 32) 등이 있다.In general, the touchpad arranges additional function buttons around the touchpad to execute the pointing function. As shown in FIG. 2B, the function of these function buttons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hand. However, when operating a finger with a touch pad as in FIG. 2A, it is inconvenient to operate the function buttons. It is a factor that causes. Even when using two fingers, operation of the function button is inconvenient than pressing the keypad. Moreover, even if the touch button function of the touch pad is generally replaced with a tapping operation, the tapping operation does not alleviate inconvenience because the tapping operation involves additional finger movements. 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touch pad itself is responsible for the button function so as to omit an additional finger movement accompanying the command execution or the text input using the function button of the touch pad. Configuration.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button function of the touch pad is illustrated in FIGS. 3 (without a button function) and FIG. 4 (with a button function).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touch pad having a button function, the character input is performed by the same hand gesture as that of the keypad. If the touch pad has such a push button function, mechanical operation such as switch operation (Fig. 5, 6) by lever-shaped movement and switch operation by pressing operation (Fig. 7) by installing the switch under the touch pad There is also a method of installing the switch in a convenient location separately from the touch pad (Fig. 23), and more simply a method of adding a switch function using the pressure recognition function of the touch pad (Figs. 23a, 30, 32) and the like. .

본 발명의 두 번째 구성은 터치패드를 두 개를 설치하여(도 9) 문자입력 방법이 키보드를 통한 방법(도 8)과 동일하도록 한 것이다. 실제로 두 개의 터치패드를 사용하는 방법이 가능한 핸드폰의 구조는 폴더 방식(도 10, 11, 12)과 슬라이더 방식(도 18)이 가능하여 문자입력에는 양손을 사용하고 전화통화에는 한 손 만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핸드폰 고유기능과 디지털기기로서의 입력기능 모두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한다. In the secon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touch pads are installed (FIG. 9) so that the character input method is the same as the method through the keyboard (FIG. 8). In fact, the structure of the mobile phone, which can use two touchpads, can be a folder type (Figs. 10, 11, 12) and a slider type (Fig. 18), so that both hands can be used for text input and only one hand can be used for a phone call. To be. Therefore, both the mobile phone's unique function and the input function as a digital device are easily performed.

본 발명의 세 번째 구성은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터치패드위의 좌표와 화면상의 포인터의 위치를 1대 1로 대응시키는 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즉 터치패드의 일반적인 작동 원리는 터치패드 위에 손가락이 초기에 어디에 놓이는 가는 중요하지 않고 단지 처음의 위치(Xi, Yi)와 마지막의 위치(Xf, Yf)의 차이(△X, △Y)에 해당하는 변위의 크기에 비례하여 화면상의 포인터의 변위(△x, △y)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일반적인 터치패드의 변위에 의한 작동방식과 더불어서 터치패드의 한 점(X, Y)이 화면상의 한 점(x, y)에 대응 하는 1대1 대응방식에 의한 작동 원리를 동시에 가진다. 특히 이러한 1대1 대응방식에 의한 작동원리는 문자입력을 위한 포인팅 기능에 적용되어 핸드폰의 키패드를 작동시키거나 컴퓨터의 키보드를 작동시키는 것과 같이 터치패드의 일정한 영역이 특정한 문자 혹은 숫자를 대표하게 한다. 이 점이 기존의 터치패드를 작동하게 하는 방식과 다른 점이다. 도 28이 본 구성에 따르는 두 개의 터치패드를 이용한 입력 방식의 흐름도를 보여주고 있다. 문자입력을 위해서는 화면상의 포인터를 좌표 1대1 대응방식으로 제어하고 그 외의 포인팅작업에 필요한 포인터의 움직임에는 변위를 이용한 대응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다만 도 14, 15, 16에서 보여지는 가로모드에서는 문자입력을 위해 온전한 키보드가 사용되어 두 개의 터치패드를 동시에 이용되며 세로모드에서는 키패드의 모양을 갖는 간이키보드를 이용하게 되어 하나의 터치패드만을 사용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haracter is input using a touch pad, a method of using a touch pad and a coordinate on the touch pad and the position of a pointer on the screen are us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That is, the general operating principle of the touchpad does not matter where the finger is initially placed on the touchpad, on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osition (X i , Y i ) and the last position (X f , Y f ) (ΔX, △ Displacement (Δx, Δy) of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made in proportion to the magnitude of the displacement corresponding to Y). On the contrary,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by the displacement of the general touch pad,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one-to-one correspondence method in which one point (X, Y) of the touch pad corresponds to one point (x, y) on the screen is described.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this one-to-one operation principle is applied to the pointing function for text input so that a certain area of the touchpad represents a specific letter or number, such as operating the keypad of a mobile phone or the keyboard of a computer. . This is different from the way the existing touchpad works. 28 shows a flowchart of an input method using two touch pads according to the present configuration. In order to input characters,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ontrolled in a coordinated one-to-one correspondence method, and a correspondence method using displacement is applied to the movement of the pointer required for other pointing operations. However, in the horizontal mode shown in FIGS. 14, 15, and 16, an entire keyboard is used for text input, and two touch pads are used at the same time. In the vertical mode, a simple keyboard having a keypad shape is used. Done.

본 발명의 네 번째 구성은 터치패드를 마우스와 키보드를 동시에 대체하는 입력장치로 사용함으로서 휴대용 디지털기기에서의 실질적인 UI 구현이다. 이미 PDA에서는 UI 구현이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보다 더 작은 핸드폰에는 UI의 구현이 어렵게 되어 핸드폰이 PDA와 유사한 크기의 화면을 가지지 않는 작은 핸드폰에도 본 발명의 터치패드는 UI의 구현이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이다. 이의 예가 도 13, 14, 15, 16, 17에 보여지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구성은 단지 전자사전, PMP, PDA의 입력장치로 적용 가능한 것이며 도 19는 전자사전에 적용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The four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actical UI implementation in a portable digital device by using the touchpad as an input device replacing the mouse and the keyboard at the same time. In the PDA, the UI is implemented by the touch screen method, bu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UI in a smaller mobile phone, so that the touchpa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small mobile phone that does not have a screen similar to that of the PDA. It is done. Examples of this are shown in FIGS. 13, 14, 15, 16, and 17. Furthermor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pplicable to the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ictionary, PMP, PDA, Figure 19 shows an example applied to the electronic dictionary.

본 발명의 다섯 번째 구성은 터치패드의 표면에 돌기, 홈, 혹은 요철형태의 기준점을 만들어 터치패드와 화면의 1대1 대응방식에서 손가락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점이다. 이는 도 20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점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혹은 도 21, 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격자 형태의 요철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기준점이 가져오는 장점은 손가락의 터치패드위에서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게 하여 문자입력시에 화면을 보지 않고도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 혹은 숫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손가락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해주며 더욱이 이러한 이동시에 상대적인 위치를 더 용이하게 파악하게 해 주는 이점이 있다. 이들 터치패드상의 요철 외에도 터치패드가 주변과 이루는 경계면 모서리도 동일하게 기준점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터치패드 경계면 모서리의 장점을 살리는 방안의 하나가 터치패드의 영역을 상, 중, 하 삼단계로 구분하여 상, 하 영역은 터치패드의 모서리부분이 기준점으로 작동하고 중간영역은 모서리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인지되어 쉽게 위치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이 점을 활용한 것이 바로 3개의 열을 갖는 가상키보드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즉 도 9a가 보여주는 5개의 열을 갖는 가상키보드는 화면상에 많은 문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도 9b의 가상키보드보다 선택의 용이성이 있지만 실제 터치패드 상에서 이들 문자에 해당하는 위치를 얼마나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가 하는 점에서는 도 9b가 보여주는 3개의 열을 가지는 가상키보드가 유리하고 더욱이 두 개의 터치패드를 사용하는 장점을 가장 잘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방법이다.The fif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a reference point in the form of protrusions, grooves, or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of the touch pad to more easily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finger in the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the touch pad and the screen. It may have a dot shape as shown in FIG. 20 or may have a grating uneven shape as shown in FIGS. 21 and 22. The advantage of this reference point is to make it easier to identify the position on the touchpad of the finger so that you can move your finger to a position that corresponds to the letter or number you want to enter without looking at the screen. This has the advantage of making it easier to identify relative positions. In addition to the irregularities on the touch pad, the edges of the interface formed by the touch pad with the surroundings may similarly serve as reference points. One of the ways to take advantage of the edge of the touch pad interface is to divide the touch pad area into three levels: upper, middle, and lower. It is recognized as a part and can be easily located. This is how we use a virtual keyboard with three columns. In other words, the five-row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 9A allows a user to select many characters on the screen, making it easier to select than the virtual keyboard of FIG. 9B, but how easy it is to identify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se characters on the actual touchpad. In this regard, the three-row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 9B is advantageous and furthermore, it is a method that makes best use of the advantages of using two touch pads.

본 발명의 여섯 번째 구성은 문자 입력시에 이용되는 터치패드 좌표계와 화면좌표계의 1대1 대응관계식의 설정이다. 가장 전형적인 관계가 각 문자 혹은 숫자 를 대표하는 영역이 일정하게 설정되는 경우로서 도 24에 나타나 있다. 즉 터치패드 좌표계의 경우 각 문자를 대표하는 영역의 가로 폭이 동일하고 (△X1 = △X2 = △X3 = △X4 = △X5) 마찬가지로 세로폭도 동일하며( △Y1 = △Y2 = △Y3) 화면 좌표계의 경우 더 정확하게는 화면의 가상키보드의 좌표계의 경우도 가로 폭과 세로 폭이 각각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x1=△x2=△x3=△x4=△x5, △y1=△y2=△y3) 따라서 도 2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문자입력 포인터(십자형 커서)가 화면상에서 다음과 같은 좌표계 영역에 있을 경우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etting of the one-to-on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touch pad coordinate system and the screen coordinate system used for text input. The most typical relationship is shown in FIG. 24 as a case where the area representing each letter or number is set to be constant. That is, in the case of the touch pad coordinate system, the width of the area representing each character is the same (△ X 1 = ΔX 2 = ΔX 3 = ΔX 4 = △ X 5 ) Similarly, the height is the same (△ Y 1 = △ Y 2 = △ Y 3 ) In the case of the screen coordinate system, the width and the vertical width of the virtual keyboard of the screen have the same size. (△ x 1 = △ x 2 = △ x 3 = △ x 4 = Δx 5 , Δy 1 = Δy 2 = Δy 3 ) Therefore, as shown in Fig. 24B, when the character input pointer (cross cursor) is in the following coordinate system area on the screen.

xL2 < x ≤ xL3 x L2 <x ≤ x L3

y2 < y ≤ y3 y 2 <y ≤ y 3

실행버튼(도 5, 도 7, 도 22, 도 23a의 경우 터치패드 누름스위치; 도 23b의 경우는 별개의 누름스위치에 해당)을 누르면 문자 'd'가 입력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터치패드위의 손가락의 위치는 동일한 방법으로 터치패드 좌표계 상에서 다음과 같은 위치에 있어야 한다.  If the execution button (touch pad push switch in FIGS. 5, 7, 22, and 23a; corresponding push switch in FIG. 23b) is pressed, the letter 'd' is input. For this purpose, the position of the finger on the touchpad should be located in the following position on the touchpad coordinate system in the same way.

XL2 < X ≤ XL3 X L2 <X ≤ X L3

Y2 < Y ≤ Y3 Y 2 <Y ≤ Y 3

이러한 터치패드상의 손가락의 좌표와 화면상의 문자입력 포인터(커서)의 좌표의 대응관계식이 도 24c에 좌우측 손가락의 X, Y좌표 각각에 대해 나타나 있다. 도 24c는 단지 입력 실행과정을 위한 좌표 대응 방식만을 위한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14a는 가로모드의 초기화면으로 포인터(화살표 커서)가 하나이고 이 포인터가 움직일 수 있는 영역은 화면 전체여서 '전역(all area covering) 커서'라 명명된다. 이 전역커서를 제어하는 방식은 기존의 터치패드에 의한 포인팅 방식과 동일하게 손가락의 변위(위치 변화량 : △X, △Y)를 포인터의 변위(위치 변화량 : △x, △y)에 대응시키는 방식이다. 다만 변위의 대응 비례상수 즉 △x=Q△X 를 결정하는 상수 Q는 사용자의 편리성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14a의 '전역 1커서 시스템'에서 도 14g와 같이 문자입력을 위한 문자(Text) 입력모드로 전환하면 '한정영역 2 커서 시스템'으로 작동하게 되며 이 때에 포인터는 좌우 두개로 가상키보드의 좌,우측에 배치되고 이 영역 안에서만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터치패드의 좌표계를 도 25a와 같이 조정할 경우 문자입력이 한결 수월해지는데 이는 터치패드를 작동하게 되는 손가락(엄지)이 자연스러운 관절운동에 의해 만들어내는 궤적은 직선이 아니라 곡선형태를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도 25c에 보여 지는 바와 같이 각 문자에 해당하는 터치패드의 영역이 모두 동일하다면 문자열 'h j k ℓ ;'에 해당하는 가운데 영역을 가로지를 때 손가락이 가운데 영역에서 벗어나 위쪽으로 치우쳐져서 'k'대신에 'i'를 입력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수정하는 방안이 터치패드 좌표 영역에서 가상키보드의 가운데 영역(△Y2)를 아래쪽(△Y1)과 위쪽(△Y3)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만드는 방법이다. 이렇게 영역의 폭이 달라져서 화면좌표계가 산출 되는 변환식도 도 2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영역이 다르게 된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ordinates of the finger on the touch pad and the coordinates of the character input pointer (cursor) on the screen is shown for each of the X and Y coordinates of the left and right fingers in FIG. 24C. 24C shows a flowchart only for the coordinate correspondence scheme for the input execution process. Referring to FIG. 14 as an example, FIG. 14A is an initial screen of a landscape mode, in which a single pointer (arrow cursor) is moved, and an area where the pointer can move is called an 'all area covering cursor' because the entire screen is moved. This method of controlling the global cursor is the same as the pointing method by the conventional touch pad, in which the finger displacement (position change amount: ΔX, △ Y) is corresponded to the pointer displacement (position change amount: Δx, △ y). to be. However, the corresponding proportional constant of the displacement, i.e., the constant Q that determines Δx = QΔX, may be controlled by the user's convenience. In the 'Global 1 Cursor System' of FIG. 14A, when switching to a text input mode for character input as shown in FIG. 14G, the system operates as a 'limited area 2 cursor system'. It is placed on the right side and works only within this area. Furthermore, when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touch pad is adjusted as shown in FIG. 25A, character input is easier because the finger (thumb) that operates the touch pad has a curved shape instead of a straight line. .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25C, if the touch pad areas corresponding to each character are all the same, when crossing the middle area corresponding to the string 'hjk ℓ;', the fingers are shifted upward from the middle area, instead of 'k'. If you input 'i' in the case, it may happen. One way to fix this problem is to make the center area △ Y 2 of the virtual keyboard relatively larger than the bottom △ Y 1 and top △ Y 3 areas in the touch pad coordinate area. As shown in FIG. 25B, the conversion equation in which the screen coordinate system is calculated by changing the width of the region is different.

본 발명의 일곱 번째 구성은 터치패드의 X-Y좌표 축의 변환으로 핸드폰의 가로, 세로모드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실제로 핸드폰을 통화를 위해 사용할 때는 도 26과 같은 형태로 파지하게 되고 화면도 온전한 가상키보드를 배치하기에는 좁아져서 대신 기존의 핸드폰이 가지는 12개의 숫자 키패드 외에 통화, 취소, 종료에 해당하는 추가 키패드를 포함하는 가상키패드를 화면에 구성하여 문자입력 모드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로모드를 사용할 때와 마찬가지로 세로모드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가운데 영역의 폭이 넓을 경우 문자입력의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곱 번째 구성에 따르는 터치패드 신호 변환방식의 변화를 도표로서 보여주고 있다. 즉 기존의 변위에 의한 포인터 제어방식에서 좌표 값(x,y)에 의한 제어방식의 추가와 동시에 두 개의 포인터(커서)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의 도입이다.The seven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horizontal, vertical mode conversion of the mobile phone by the conversion of the X-Y coordinate axis of the touchpad. In fact, when the mobile phone is used for a call, it is held in the form as shown in FIG. 26, and the screen is narrower to place an intact virtual keyboard. Instead, it includes additional keypads corresponding to call, cancellation, and termination in addition to the 12 numeric keypads of the existing mobile phones. The virtual keypad is configured on the screen to provide a text input mode. As in the case of using the horizontal mode, the width of the middle area is also easy to input characters even in the vertical mode. 28 is a diagram showing a change in the touch pad signal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ven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in the pointer control method based on the displacement, the method of controlling two pointers (cursors) at the same time as the control method based on the coordinate values (x, y) is added.

본 발명의 여덟 번째 구성은 터치패드가 인식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중심은 실제 사용자가 터치패드의 기준점을 인식하는 점과 다를 수 있다는 점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29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문자 'k'에 해당하는 부분에 손가락이 닿았을 때 터치패드는 사용자 자신이 손가락의 중심이라고 느끼는 부분을 손가락의 중심으로 지정하지 않는다는 점이 본 구성을 고안하게 된 이유이다. 사람은 각자 다른 손가락의 모양을 가지게 되며 손가락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에 닿는 면의 형태가 달라지게 된다. 실제 정전용량을 이용하는 터치패드의 경우 점촉점(면이 아니라 점)을 산출하는 방식은 손가락이 터치패드와 이루는 X 축 Y축 방향의 정전용량 분포곡선으로부터 X, Y축 각각에 대한 centeroid를 계산하여 이들 Xcentroid, Ycentroid를 손가락의 접촉점으로 정의하는 것이며, 이러한 centroid를 산출하기 위해서 터치패드는 요철이 있는 영역(X0<X<X5, Y0<Y<Y3)보다 더 크게(도 29c의 굵은 점선 영역 - 2901) 분포하여야 한다. 그리고 실제로 핸드폰을 사용할 때 손가락이 터치패드를 닿게 되는 면은 각 사람마다 다를지는 몰라도 동일한 사람의 경우 핸드폰을 파지하는 방법이 동일하므로 일정한 접촉 패턴을 만들게 된다. 이러한 패턴으로부터 산출된 터치패드의 손가락 중심점(Pcalc)이 실제의 사용자가 느끼는 중심점(P)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도 24c, 도 25b, 도 26e, 도 27b에 의한 좌표변화는 문제점을 일으킨다. 즉 도 29c에서와 같이 실제 손가락은 터치패드의 'k'에 해당하는 영역에 위치해도 실제 터치패드가 산출하는 손가락의 중심점(Pk , calc .)은 문자 'i', 'o', 'k', 'ℓ'이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의 의도와는 달리 'k'를 입력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를 보정하는 방법은 손가락을 'h', 'j', 'k', 'ℓ', ';'에 위치한 다음 산출된 각각의 중심점의 좌표를 저장한 다음 이들 중심점의 좌표로부터 도 29c에 보이는 X'R1, X'R2, X'R3, X'R4을 산출하고 이어서 X'R1과 X'R4로부터 X'R0와 X'R5를 산출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Y축 방향으로의 보정은 'i', ','에 대한 Pk , calc .의 좌표를 산출하여 Y'1과 Y'2을 산출하고 이들로부터 다시 Y'0와 Y'3를 산출하여 전체 좌표계의 보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산출 방법이 도 29f에 나타나 있다. 이는 가상키보드와 터치패드의 영역을 일치시 키기 위해 가상키보드의 각 키 영역에 해당하는 터치패드의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각 키마다 터치패드에 닿는 손가락 면적과 모양이 다르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가상키보드의 각 키 영역에 해당하는 터치패드의 영역을 실제로 도 29a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바둑판 모양의 일정한 높이와 너비를 갖는 영역으로 배열하면, 터치패드와 가상키보드에서의 각 영역의 중심점이 어긋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 키의 중심점의 위치를 도 29c와 같이 설정하고, 키에 해당하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인접한 키 영역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을 반분하는 수평,수직선을 그어서 만들어지는 직사각형이 가상키보드의 키에 해당하는 터치패드 영역이 된다. 예를 들어 키 'J'의 경우 중심점 Pj , cal이 도 29c에 의한 방법으로 설정되고 마찬가지로 주위의 키에 해당되는 중심점(Pu , cal, Pk , cal, Pm , cal, Pn , cal)들이 설정되고 이들 중심점과의 거리가 반분되는 수평(Y = Y'2 ( uj ), Y = Y'1 ( jm )), 수직선(X = X'R1 ( hj ), X = X'R2(jk))이 형성되어 터치패드 상의 키 'J'에 대한 영역(2902)이 만들어진다. △Y u2 Y j2 는 키'J'와 키'U'의 중심점에서 이들 중심점을 반분하는 수평선(Y = Y'2 ( uj ))까지의 거리로서 그 크기는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Y j1 Y m2 와 키'J'와 키'M'의 중심점에서 이들 중심점을 반분하는 수평선(Y = Y'1( jm ))까지의 거리로서 그 크기는 동일하다. 실제로 △Y j1 와 △Y j2 의는 상이할 수 있으며 이경우 키 'J'의 중심점 Pj는 영역 직사각형 2902의 중심이 아닐 수 있다. Y축 방향과 마찬가지로 X축 방향으 로도△X h1 X j1 는 키'H'와 'J'의 중심점에서 이들 중심점을 반분하는 수직선(X = X'R1 ( hj ))까지의 거리로서 그 크기는 동일하다. 이렇게 형성된 터치패드 상의 키 영역은 도 29a의 바둑판 모양과 달리 도 29g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인접한 키 영역과 겹쳐지는 부분(2904, 2905)이 발생하는데 'J'와 'M'이 겹쳐지는 Ovjm, 'J'와 콤마(,)가 겹쳐지는 Ovj, 등이 중복영역이다. 이들 중복영역(2904, 2905)에는 해당 키를 설정하지 않는 무효영역으로 하고, 나머지 영역에 키를 할당하면 된다. 즉 키 'J'는 중복영역(2904, 2905)를 제외한 직사각형 영역(2903)에 손가락의 중심이 위치할 경우 입력되는 것이다. 이렇게 새롭게 보정된 '실질좌표계'(X'-Y')가 실제 문자입력 포인터의 위치 산출에 이용되며 이것이 도 29d와 도 29e에 나타나 있다. 도 29d와 도 29e에서 '입력좌표계 변경'이라고 표시된 부분이 바로 위에서 설명한 도 29a의 '명목상 좌표계'(X-Y)를 도 29c의 '실질 좌표계'(X'-Y')로의 전환 과정을 의미한다. An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rrecting that the center of a user's finger recognized by the touch pad may be different from the point where the actual user recognizes the reference point of the touch pad. As shown in FIG. 29A, when the finger touches a part corresponding to the letter 'k', the touch pad does not designate a part that the user feels as the center of the finger as the center of the finger. Each person has a different shape of the finger, and the shape of the surface touching the touch pad will vary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finger. In the case of a touch pad using actual capacitance, a point point (not a face)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a centeroid for each of the X and Y axes from the capacitance distribution curve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of the finger with the touch pad. These X centroid , Y centroid is defined as the point of contact of the finger, and to calculate this centroid, the touchpad is larger than the uneven area (X 0 <X <X 5 , Y 0 <Y <Y 3 ) Bold dotted area of 29c-2901). And when you actually use a mobile phone, the surface of the finger touches the touchpad may be different for each person, but the same person to hold the phone is the same way to create a constant contact pattern. If the finger center point P calc of the touch pad calculated from such a pattern does not match the center point P felt by the actual user, the coordinate change of FIG. 24C, 25B, 26E, and 27B causes a problem. That is, as shown in FIG. 29C, even if the actual finger is locat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k' of the touch pad, the center point P k , calc . Of the finger calculated by the actual touch pad is the letters 'i', 'o', and 'k'. ',' ℓ 'is located in the overlapping area, so that' k 'is not input unlike the user's intention. The method for correcting this is to store the coordinates of the respective center points, which are located next to the fingers at 'h', 'j', 'k', 'ℓ', and ';' and then the X shown in FIG. 29C from the coordinates of these center points. ' R1 , X' R2 , X ' R3 , X' R4 is calculated, and then X ' R0 and X' R5 are calculated from X ' R1 and X' R4 . Similarly, the correction in the Y-axis direction is P k , calc for 'i', ',' . Y ' 1 and Y' 2 are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coordinates, and Y ' 0 and Y' 3 are calculated again from these to correct the entire coordinate system. A detailed calculation method for this is shown in FIG. 29F. This is to set the area of the touch pad corresponding to each key area of the virtual keyboard to match the area of the virtual keyboard and the touch pad, because each key has a different shape and shape of the finger touching the touch pad. When the area of the touch pad corresponding to each key area of the virtual keyboard is actually arranged in an area having a checkerboard height and width as shown in FIG. 29A, the center points of the areas of the touch pad and the virtual keyboard are displaced. Because. Therefore, the center point of each key is set as shown in FIG. 29C, and a rectangle formed by drawing a horizontal and vertical line that divides the line connecting the center points of adjacent key areas based on the center point corresponding to the key is placed on the keys of the virtual keyboard. It becomes a corresponding touch pad area. For example, for the key 'J', the center point P j , cal is set by the method according to FIG. 29C and similarly the center point corresponding to the surrounding keys (P u , cal , P k , cal , P m , cal , P n , cal ) are set and the distance to these center points is half horizontal (Y = Y ' 2 ( uj ) , Y = Y' 1 ( jm ) ), vertical lines (X = X ' R1 ( hj ) , X = X' R2 (jk) ) is formed to create an area 2902 for the key 'J' on the touchpad. △ Y u2 and Δ Y j2 i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key 'J' and the key 'U' to the horizontal line (Y = Y ' 2 ( uj ) ) that is half of these center points, and the size is the same. Similarly with △ Y j1 Δ Y m2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key 'J' and the key 'M' to the horizontal line (Y = Y ' 1 ( jm ) ) that is half of these center points, the size is the same. In fact, Δ Y j1 and Δ Y j2 may be different, and in this case, the center point Pj of the key 'J' may not be the center of the area rectangle 2902. △ X h1 and j1 X is a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key 'H' and 'J' to the vertical (X = X 'R1 (hj )) to half of the center thereof and its size is the same. Unlike the checkerboard shape of FIG. 29A, the key region formed on the touch pad is formed with portions 2904 and 2905 overlapping with adjacent key regions as shown in FIG. 29G, where Ov jm and J overlap with 'M'. 'J' overlaps with Ov j , where the comma overlaps. In these overlapping areas 2904 and 2905, an invalid area in which the corresponding key is not set may be assigned, and the key may be assigned to the remaining areas. That is, the key 'J' is input when the center of the finger is located in the rectangular area 2907 except for the overlapping areas 2904 and 2905. This newly corrected 'real coordinate system'(X'-Y') is used to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actual character input pointer, which is shown in Figs. 29D and 29E. In FIG. 29D and FIG. 29E, the portion labeled 'change input coordinate system' refers to a process of converting the nominal coordinate system XY of FIG. 29A to the real coordinate system X'-Y of FIG. 29C.

본 발명의 아홉 번째 구성은 터치패드의 압력센싱(pressure sensing) 기능을 이용한 기능버튼의 기능 수행이다. 터치패드를 손가락으로 접촉하는 경우 압력변화의 3가지 유형이 도 30에 보여지고 있다. 도 30a가 일반적인 포인팅작업 중의 압력의 변화이고 도 30b는 누름동작을 가할 때에 압력의 변화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 30c는 탭핑 동작 중에 발생하는 압력의 변화이다. 압력의 크기로 볼 때 가장 큰 압력이 발생하는 것은 누름동작 수행 중에 일어나며 이때의 압력을 누름압력(Zpr)이라 고 하면 일반적으로 누름압력은 터치패드에 손가락이 닿아 있는 동안에 발생하므로 누름동작에 따르는 압력의 변화는 낙타 등과 같은 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터치압력보다 누름압력이 크게 되어 누름압력이 시작하는 점, t(p)1,i 혹은 t(p)2,i은 스위치 on에 해당하고 누름압력이 끝나는 점, t(p)1,f 혹은 t(p)2,f는 스위치 off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러한 누름압력의 시작점을 실질적으로 정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터치압력(Zt , max)보다 약간 큰 압력을 누름문턱압력(Zpr , th - Threshold pressure of pressing)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누름동작이 시작하여 누름압력이 누름문턱압력에 이르는 시점(tpr , th -)을 스위치 on에 해당하는 것으로 하고 누름기준압력(Zo pr)을 지나 다시 누름문턱압력에 다다르는 시점(tpr , th +)은 스위치 off에 해당한다. 이 두 누름문턱압력 시점의 시간차이가 실질적인 누름유지시간(△tpr)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렇게 누름기준압력(Zo pr)을 정의하는 이유는 터치압력(Zt,max)이 누름동작이 아닌 터치동작에서 생기는 경우에 우연하게도 누름문턱압력을 넘어서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그 누르는 압력이 누름기준압력보다 일반적으로 작으므로 누름동작으로 오인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상수이다. 통상적으로 이 누름기준압력은 최소 누름압력보다 약간 작게 하여 우연하게 높은 압력을 수반하는 터치 동작으로 인해 누름스위치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며 또 의도한 누름동작은 도 30b에 보이는 것과 같이 최대, 최소 누름압력이 누름기준압력보다 높게 되 므로 사용자의 의도적인 누름동작이 스위치 기능으로 작동하게 하여주는 기준 상수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에 쓰이는 터치패드는 탭핑에 의한 기능버튼 수행을 이미 사용하고 있다. 도 30c는 터치패드를 탭핑할 경우에 발생되는 압력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 때 발생하는 압력의 최대치를 탭핑압력(Ztap)이라고 하면 실제로 탭핑압력이 터치압력 혹은 누름압력과 동일한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하지만 탭핑을 인식하는 것은 탭핑압력보다는 터치의 단락이 이뤄지는 시간이다. 즉 도 30c에 보여지는 것처럼 터치지속시간 △ttap과 touch-off 시간 △toff가 일정한 시간 내에서( △t(t)1<△to tap, △t(o)1<△to tap : 여기서 △to tap는 사용자가 정할 수 있는 탭핑 기준시간) 연속으로 이뤄지면 탭핑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이러한 조건은 우연히 손가락이 터치패드에 닿을 경우(도 30c의 △ttap ,2에 해당) 터치지속시간이 탭핑기준시간(△to tap)보다 길거나(△ttap ,2>△to tap) 터치 단락시간이 탭핑기준시간(△toff,2>△to tap )보다 길어져서 우연한 터치가 탭핑 기능으로 잘못 작동하는 것을 막아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탭핑기능을 담당하는 영역은 핸드폰의 몸체로 터치패드(3101)가 둘러싸여 있는 영역(도 31의 (S)1, (S)2, (S)3, (S)4, (S)5, (S)6 영역)으로 정하는 것이 탭핑하는 동안 터치패드가 눌려지는 것을 막아주므로 탭핑을 자유롭게 하여 준다. 원리상으로 탭핑에 의한 압력의 변화로 기능버튼의 기능을 수행할 때와 누름동작에 의한 압력변화로 기능버튼의 기능을 수행할 때 압력이 지속 되는 시간의 패턴이 구분 되므로 굳이 탭핑영역((S)1, (S)2, (S)3, (S)4, (S)5, (S)6)과 누름영역(3102)을 구분할 필요가 없이 도 31B의 우측터치패드와 같이 요철부분을 실질적인 터치패드의 가장자리까지 확장하고 탭핑영역과 중첩되어 각각의 문자 혹은 숫자를 대표하는 영역을 더 넓게 하는 방안도 가능하다. 이 경우 손가락이 각각의 영역을 쉽게 파악하게 하여 문자입력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nin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button using the pressure sensing function of the touch pad. Three types of pressure changes when touching the touchpad with a finger are shown in FIG. 30. FIG. 30A is a change in pressure during a general pointing operation, FIG. 30B is a change in pressure when a pr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finally, FIG. 30C is a change in pressure occurring during a tapping operation. In terms of pressure, the greatest pressure occurs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When the pressure is called the pressing pressure (Z pr ), the pressing pressure is generally generated while the finger is touching the touch pad. The change in pressure has a form such as a camel. Therefore, the point at which the pressing pressure starts to be greater than the touch pressure, t (p) 1, i or t (p) 2, i corresponds to the switch on and the pressing pressure ends, t (p) 1, f Or t (p) 2, f corresponds to the switch off.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actually set the starting point of the pressing pressure, a pressure slightly larger than the touch pressure (Z t , max ) is defined as the pressing threshold pressure (Z pr , th -Threshold pressure of pressing). And point up the pressing pressure and the pressing operation is started to push the threshold pressure (t pr, th -) to switch on the to and pressing a reference pressure (Z o pr) to pass again pressing dadareuneun the threshold pressure time (t pr to the , th + ) corresponds to the switch off.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pressing threshold pressure points may be defined as the actual holding time Δt pr . The reason for defining the pressing reference pressure (Z o pr ) is that if the touch pressure (Z t, max ) occurs at the touch operation instead of the pressing operation, it may happen to exceed the pressing threshold pressure in such a case. Since it is generally smaller than the pressing reference pressure, it is a constant to prevent the mistake of the pressing operation. Typically, this pressing reference pressure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minimum pressing pressure so that the touch switch does not operate due to a touch operation involving an accidentally high pressure, and the intended pressing operation has a maximum and minimum pressing pressure as shown in FIG. 30B. Since it is higher than the pressure reference pressure, it is a reference constant that allows the user's intentional pressure to operate as a switch function. In general, the touchpad used in notebooks is already using a function button by tapping. FIG. 30C illustrates a change in pressure generated when the touchpad is tapped. If the maximum pressure generated at this time is called tapping pressure (Z tap ), the tapping pressure may actually be the same as the touch pressure or the pressing pressure. have. But recognizing the tapping is the time when the touch is shorted rather than the tapping pressure. That is, as shown in FIG. 30C, the touch duration Δt tap and the touch-off time Δt off ar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Δt (t) 1 <Δt o tap , Δt (o) 1 <Δt o tap Where Δt o tap is a user- definable tapping reference time). This condition is caused when the finger accidentally touches the touch pad (corresponding to Δt tap , 2 in FIG. 30C) or the touch duration is longer than the tapping reference time (Δt o tap ) (Δt tap , 2 > Δt o tap ). The touch short time is longer than the tapping reference time (Δt off, 2 > Δt o tap ) to prevent accidental touches from operating incorrectly with the tapping function. The area in charge of the tapping function is an area in which the touch pad 3101 is surrounded by the body of the mobile phone ((S) 1, (S) 2, (S) 3, (S) 4, (S) 5, (S) area 6) prevents the touchpad from being pressed during tapping, thereby freeing tapping. In principle, the tapping area ((S) is distinguished when the function of the function button is changed due to the pressure change due to the tapping and when the function button is functioned due to the pressure change due to the pressing operation. ) 1, (S) 2, (S) 3, (S) 4, (S) 5, (S) 6) and the pressing area (3102) need not be distinguished, as shown in FIG. 31B, It is also possible to extend to the edge of the actual touchpad and to overlap the tapping area to make the area representing each letter or number wider. In this case, the finger can easily grasp each area so that the text can be easily input.

본 발명의 열 번째 구성은 핸드폰에 설치된 터치패드에 할당된 각각의 문자의 영역이 크지 않아 문자입력을 위한 누름동작 중에 손가락의 위치가 변하여 원하지 않는 문자의 입력이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를 보완하는 방법이다. 즉 누름스위치(도 5, 도 7)를 누르거나 혹은 터치패드에 압력변화를 발생시키기 위해 터치패드를 누르거나 도 23b에 보이는 바와 같은 별개의 스위치를 누르는 동작을 할 때에 손가락의 관절운동으로 인해 손가락의 접촉면이 변하더라도 압력이 가해지는 시점의 손가락의 위치가 대표하는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는 방안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설명이 도 32에 잘 나타나 있다. 예를 들면 문자 'jkℓ'를 입력하는 과정 중에서 문자 'k'를 입력하기 전후만의 압력변화를 살펴보면, 손가락이 문자 'j'에 해당하는 영역의 중심 위치(X=X1 .5)로부터 오른쪽으로 움직여서 문자 'k'를 나타내는 영역의 중심위치(X=X2 .5)로 옮겨져서 'k'를 입력하고 다시 오른쪽으로 문자'ℓ'을 입력하기 위해 문자'ℓ'을 나타내는 영역의 중심 위치(X=X3 .5)로 이동하는 과정 중에 변화압력을 도 32b가 보여주고 있다. 가상 이상적인 입력과정이 도 32b-(A)이다. 손가락이 터치상태를 유지하며 X=X2 .5인 위치에 도달하여 손가락의 움직임 이 없이 압력을 가하여 누름기준압력(Zo pr)에 도달한 다음 터치상태를 회복하고 문자'ℓ'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이동함을 보여준다. 하지만 실제로는 도 32b-(B), (C), (D)에 보여지는 형태의 압력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도 32b-(D)의 경우 누름압력이 누름기준압력(Zo pr)에 도달하여 문자입력이 일어나는 시점에서의 문자는 의도하였던 'k'가 아니고 'ℓ'로 변하여 다시 입력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이 누름문턱압력(Zpr , th - threshold pressure of pressing)의 활용이다. 도 3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문턱압력(Zpr,th)은 누름기준압력(Zo pr)과 터치기준압력(Ztch) 사이에서 사용자의 편리성에 따라 다음 식에 의해 결정되는 변수이고 사용자는 상수 를 결정하면 된다. The ten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mpensating for a problem that an input of an unwanted character may occur due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a finger during a pressing operation for text input because the area of each character assigned to the touch pad installed in the mobile phone is not large. . That is, the finger may move due to the joint motion of the finger when pushing the push switch (FIGS. 5 and 7) or when the touch pad is pressed to generate a pressure change on the touch pad or when a separate switch as shown in FIG. 23B is pressed. Even if the contact surface is changed, it is a way to input a character represented by the position of the finger at the time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ell illustrated in FIG.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letter 'jkℓ', the pressure change only before and after the letter 'k' is input, the finger is moved from the center position (X = X 1 .5 ) to the right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letter 'j'. moving the center of the so moved to the central position (X = X 2 .5) of the area indicating the character 'k' represents the letter 'ℓ' to enter the 'k', and inputting a character 'ℓ' to the right, back region located (X = X 3 .5) giving the Fig 32b illustrates the pressure change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to. A virtual ideal input process is shown in FIG. 32B- (A). Fingers keep the touch state, and X = X 2 .5 the reached position by applying pressure without movement of the finger pressing a reference pressure (pr Z o), and then a touch area restoration condition and represents the characters 'ℓ' reach Shows moving to. In practice, however, a pressure change in the form shown in FIGS. 32B- (B), (C) and (D) may occur. Among these, in the case of FIG. 32B- (D), the pressing pressure is determined by the pressing reference pressure Z o pr . When the character is reached and the character input occurs, the character is changed to 'ℓ' instead of the intended 'k', which causes a problem of input aga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mpensate for this is the utilization of the pressure threshold pressure (Z pr , th -threshold pressure of pressing). As shown in FIG. 32B, the pressing threshold pressure Z pr, th is a variabl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between the pressing reference pressure Z o pr and the touch reference pressure Z tch , and the user is a constant. You just need to decide.

Zpr , th = Qpr , th (Zo pr - Ztch) Z pr , th = Q pr , th (Z o pr -Z tch )

여기서 Qpr , th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비례상수로서 대략 0.5 < Q < 0.9의 범위에서 결정되며, Zo pr와 Ztch는 터치패드의 초기화 과정에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Ztch는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자신이 늘 사용하는 방식대로 손가락을 터치패드 위를 움직일 때 터치압력의 최대치에 해당하는 값이다. 그리고 Zo pr는 지정된 영역을 사용자가 일상적으로 사용 시처럼 누름으로서 얻어지는 누름압력 중에 최소치(Zp,min)의 90%에 해당 하는 값이며 이 역시 사용자가 임의로 결정할 수 있지만 Zpr,th보다는 큰 값이어야 한다. 이렇게 누름문턱압력(Zpr , th)을 정하여 실제로는 누름압력(Zpr)이 누름기준압력(Zo pr)에 이르렀을 때(t(Xpr,th-))에 누름문턱압력(Zpr,th-)이 대표하는 문자- V (X(Zpr,th-))-와 누름기준압력이 대표하는 문자, -V(Zo pr)-를 비교하여 이들이 동일하면 V(Zo pr)을 다를 경우에는 V(X(Zpr,th-))를 입력하게 하는 보정방법이 본 발명의 구성이다. 즉 어느 경우에도 입력문자는 V(X(Zpr,th-))이 되므로 항상 V(X(Zpr,th-))을 입력하는 것이 본 발명의 구성이다. 따라서 도 32b-(D)와 같은 압력변화과정에서도 사용자가 의도한 문자를 입력하게 된다. 다만 우려되는 부분은 실질적으로 누름기준압력이 낮아지는 효과를 가져와 우연히 터치압력(Ztch)이 커져서 누름문턱압력(Zpr,th)에 이르는 경우이다. 만약 이렇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사용자가 입력을 의도하지 않는 경우는 터치압력(Ztch)이 누름기준압력(Zo pr)에까지는 이르지 않게 되어 문자입력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누름문턱압력의 설정은 문자입력압력을 낮추어서 터치과정 중에 입력을 하게 되는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다만 사용자의 의도대로 문자가 입력되도록 타이핑의 정확성을 올려주는 효과만을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문자입력 오류 보정방법 구성에 부가적으로 가상키보드 상에서 문자입력포인터가 움직임에 따라 포인터가 위치한 곳을 대표하는 문자를 나타내는 영역의 배경을 밝기가 다르거나 색깔을 달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면 사용자가 현재 포인터가 위치한 곳을 쉽게 인지할 수 있고, 문자입력이 한결 쉽게 되며 더 나아가 문자입력을 실행할 때 입력문자에 해당하는 영역의 배경이 또 다른 색으로 변화를 가져오면 실제 문자입력에 있어서의 오류를 더욱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렇게 문자입력의 정확성을 위해 도입된 누름문턱압력은 또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용된다. 다름 아닌 키보드에서의 shift키의 기능과의 연관성이다. 도 32c-(B)는 가상 이상적인 누름압력변화과정을 가로축을 좌표변화에 따른 압력변화와 시간 변화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시간변화에 따른 압력변화는 누름과정을 좀 더 정확히 압력변화를 보여주는데 문자입력이 실제로 일어나는 시점을 누름압력이 누름기준압력에 다다랐을 때가 아니고 누름압력이 누름기준압력보다 작아져서 다시 누름문턱압력에 이르렀을 때(X=Xpr , th +)에 문자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누름기준압력을 유지하는 시간 즉 누름유지시간 (△tpr=t(Xpr , th +)-t(Xpr,th-))이 정해진 누름기준시간(△to pr)보다 길어질 경우 키보드의 shift를 눌러주는 효과를 가져오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테면 도 1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문자의 경우 대문자 소문자를 구별하여 입력하기 위해 기능버튼을 추가로 눌러줘야 하는데 이를 누름기준시간을 설정함으로서 누름압력의 지속으로 동일한 효과를 가져오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구성의 Zpr , th -는 switch-on 기능을 Zpr , th +는 switch-off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 다만 본 구성과 같이 누름지속시간에 따른 shift 기 능을 부여할 경우는 굳이 기능버튼을 눌러 shift키의 효과를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다만 지속적으로 second key set(영문자의 경우 대문자에 해당)을 이용하여야 할 경우는 기능버튼을 이용하여 cap-lock 기능을 작동하는 것이 편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shift key의 유지를 위한 기능버튼의 기능도 도 31에 보여지는 터치패드의 외곽((S)1, (S)2, (S)3, (S)4, (S)5, (S)6)영역을 탭핑 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영어의 대문자와 같이 second key set의 연속적이 사용이 필요한 경우는 Caps Lock 기능을 이용하여 shift 기능을 유지하고, 문장의 첫머리에 대문자로 쓰여야 하는 영문자와 같이 가끔 쓰이는 shift 기능은 누름압력 지속에 의해 구현하는 것이 본 발명의 구성이다. 이러한 누름압력의 지속을 이용한 구성 원리가 도 32c-(B)와 도 32d-(B)에 나타나 있다. 도 32c-(B)는 문자 'K'를 입력하는 예를 도 32d-(B)는 'k'를 입력하는 예를 보여주는데 가로축이 X좌표를 표현하는 경우 도 32d가 더 오랫동안 누름동작이 유지되는 것으로 착각할 수 있지만 중요한 것은 시간에 따른 압력변화도표에서 누름시간(△tpr)이 누름기준시간(△to pr)보다 오랫동안 유지하느냐의 여부이다. 따라서 누름지속시간은 오히려 도 32c가 더 길다. 즉 도 32c-(B)와 도 32d-(B)에서 누름기준시간(△to pr)은 흐린 영역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도 32c-(B)의 경우는 누름시간이 그 기준시간보다 긴 경우(△tpr >△to pr)이고, 32d-(B)의 경우는 누름시간이 그 기준시간보다 짧은 경우(△tpr<△to pr)여 서 전자는 'K'를 후자는 초기누름문턱압력(Zpr,th-)에서의 대표문자인 'k'를 입력하게 된다. 이러한 본 구성의 문자 보정과정을 흐름도로서 나타낸 것이 도 33이다. 이상은 터치패드의 압력에 의한 문자입력스위치 기능을 설명한 것이지만 도 5, 도 7 및 도 23b의 기계적인 스위치를 이용하여 문자입력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32에 표시된 t(Xpr , th -)와 t(Xpr , th +)는 각각 이들 스위치의 작동시점(ton)과 종료시점(toff)에 상응하여 동일한 원리로서 입력문자를 보정하는데, 기계적 스위치가 작동하는 시점이 대표하는 문자-V(ton)-가 스위치의 작동 종료시점이 대표하는 문자-V(toff)-와 동일하면 V(toff)을 동일하지 않으면 V(ton)을 입력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같이 기계적인 입력스위치(도 5, 도 7, 도 23b)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누름압력에 의한 입력문자 보정방법을 같이 적용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들 기계적 스위치를 작동할 때 터치패드에 누름압력이 작동하게 되고 보통의 경우 스위치작동 시점(ton)보다 누름문턱압력 시점(t(Xpr , th -))이 빠르게 되므로 V(toff)와 V(t(Xpr , th -))이 동일하면 V(toff)을 입력하고 다를 경우는 V(t(Xpr,th-))을 입력하는 방법이다. 이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선택사양으로 제공되면 사용자의 누름동작 패턴에 가장 적합한 상황을 이룰 수 있게 한다. 더 나아가서 도 32d(B)에 보이는 것처럼 압력값이 변화되더라도, 압력값이 누름 문턱 압력(Zpr,th) 이상으로 증가하여 다시 누름 문턱 압력 이하로 감소하는 동안에는 처음 누름 문턱압력을 통과하는 시 점(t(Xpr,th-))에서의 (X, Y)좌표 값을 고정시키고 압력이 누름기준압력에 이르렀을 때에 이 좌표에 해당하는 문자를 입력하게 되면 압력이 낮아지는 과정에서 이웃한 키 영역으로 손가락이 이동하더라도 의도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즉 터치패드가 컴퓨터 CPU에 전달하는 손가락의 (X, Y)좌표를 누름문턱압력 이상에서는 누름문턱압력(Zpr,th-)을 통과하는 시점에서의 (X, Y)좌표로 고정시켜서 현재 손가락의 좌표로 이용하게 되면 누름 동작 중에 손가락이 이웃한 키로 이동하더라도, 실제 가상키보드 상에서는 커서의 움직임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에 해당하는 키 영역에 고정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어, 도 33에 보여지는 문자입력 오류를 방지 방법과 동일한 결과를 이룰 수 있다. Wherein Q pr, th is determined in the range of about 0.5 <Q <0.9 as a proportionality constant that the user specifies, Z o pr and Z tch is there is be done during initialization of the touch pad Z tch is a user and typically their This value is the maximum value of the touch pressure when the finger moves on the touch pad in the usual way. Z o pr is the value corresponding to 90% of the minimum value (Z p, min ) among the pressing pressures obtained by pressing the designated area as the user normally uses, which is also larger than Z pr, th. It must be a value. This pressing pressure threshold (Z pr, th) the appointed actually Press Press threshold pressure to the pressure (pr Z) based on the pressing pressure (Z o pr) (t ( X pr, th-)) when it reaches the (Z pr , th- ) compares the letter V (X (Z pr, th -))-and the letter represented by the pressure reference pressure, -V (Z o pr ) -and if they are equal, V (Z o pr ) In the case of different values, a correction method for inputting V (X (Z pr, th− )) is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since the input character becomes V (X (Z pr, th− )) in any case, it is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lways input V (X (Z pr, th− )). Accordingly, even in the pressure change process as shown in FIG. However, the concern is that the touch reference pressure is substantially lowered, and the touch pressure (Z tch ) is increased by chance and reaches the pressing threshold pressure (Z pr, th ). Even in this case, if the user does not actually intend to input, the touch pressure (Z tch ) does not reach the pressing reference pressure (Z o pr ) and the character is not input. Therefore, the setting of the pressing threshold pressure lowers the character input pressure and does not cause an error that the user inputs during the touch process. However, the setting of the pressing threshold pressure only bring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accuracy of typing so that characters are input as the user intends.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haracter input error corre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method of changing the brightness or the color of the background of the area representing the character representing the place where the pointer is located as the character input pointer moves on the virtual keyboard is provided.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where the current pointer is located, make text input easier, and furthermore, if the background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xt changes to another color when the text input is executed, Make errors easier to recognize. The push threshold pressure introduced for the accuracy of the character input is used to perform another function. This is in connection with the function of the shift key on the keyboard. 32C- (B) show the pressure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in coordinates along the horizontal axis and the pressure change according to time in the virtual ideal pressing pressure change process. In particular, the change in pressure with time shows the pressure change more accurately. The time when the character input actually occurs is not when the press pressure reaches the press reference pressure, but the press pressure is lower than the press reference pressure and the press threshold is reached again. Is entered (X = X pr , th + ).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holding time of the pressing reference pressure, that is, the holding time (△ t pr = t (X pr , th + ) -t (X pr, th- ))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pressing reference time (△ t o pr ). This is to make the effect of pressing the shift on the keyboard when it is long.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B, in the case of an English letter, a function button needs to be additionally pressed in order to input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By setting the reference time, it is possible to bring the same effect to the duration of the pressing pressure. Therefore, Z pr , th - in this configuration is responsible for the switch-on function and Z pr , th + is responsible for the switch-off function. However, when the shif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sing duration is given as in this configuration, it is not necessary to press the function button to perform the effect of the shift key. However, if you need to use the second key set (capital letters), it is convenient to use the function button to activate the cap-lock function.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of the function button for maintaining the shift key is also outlined in (S) 1, (S) 2, (S) 3, (S) 4, and (S) 5 of the touch pad shown in FIG. , (S) 6) can be implemented by tapping the area. Therefore, if it is necessary to use the second key set continuously like the capital letters of English, the shift function is maintained by using the Caps Lock function, and the shift function that is sometimes used, such as the English letter which should be written in capital letters at the beginning of the sentence, is maintained by pressing pressure. Implementation is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principle using the sustain of the pressing pressure is shown in Figs. 32C- (B) and 32D- (B). FIG. 32C- (B) shows an example of inputting the letter 'K'. FIG. 32D- (B) shows an example of inputting the 'K'. When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X coordinate, the pressing operation of FIG. 32D is maintained for a longer time. be mistaken as it is important, but if the long press time than do maintenance (△ t pr) a pressing reference time (△ t o pr) in the pressure change according to the time chart. Therefore, the push duration is rather longer in Fig. 32C. That is, in FIGS. 32C- (B) and 32D- (B), the pressing reference time Δt o pr is displayed as a dim area. In the case of FIG. 32C- (B), the pressing time is longer than the reference time ( △ t pr > Δt o pr ), and in the case of 32d- (B), when the pressing time is shorter than its reference time (△ t pr <△ t o pr ), the former is 'K' and the latter is the initial pressing threshold pressure ( Enter 'k' which is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in Z pr, th- ). 33 is a flowchart showing the character correction process of this configuration. Although the above has described the character input switch function by the pressure of the touch pad, it can be applied to the case of executing the character input using the mechanical switch of FIGS. 5, 7 and 23B. In other words, t shown in FIG. 32 (X pr, th -) and t (X pr, th +) is in correspondence with the operation time (t on) and end time (t off) of the switches each of the input character as the same principle If V (t off ) is equal to the character represented by the point at which the mechanical switch is activated- V (t on )-the character represented by the end point of the switch- V (t off ), then V is not equal. is to type (t on ). In this way, even when using the mechanical input switch (Fig. 5, Fig. 7, Fig. 23b) can be applied to the input character correction method by the pressing pressure because the pressing pressure on the touch pad when operating these mechanical switches the same - () t (X pr, th) - it is the usual case, the switch operation time (t on) than the pressing threshold pressure time (t (X pr, th) ) operation is so fast V (t off) and V Enter V (t off ), otherwise enter V (t (X pr, th- )). This provides a user selectable option to achieve a situation that best suits the user's pressing pattern. Furthermore, even if the pressure value is changed as shown in FIG. 32D (B), when the pressure value rises above the pressing threshold pressure Z pr, th and decreases below the pressing threshold pressure again, it passes the initial pressing threshold pressure. Fix the value of (X, Y) coordinate at (t (X pr, th- )) and input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is coordinate when the pressure reaches the pressure reference pressure. Even if the finger moves to the area, the intended character can be entered. That is, if the touch pad passes the push threshold pressure (Z pr, th- ) above the push threshold pressure, the touch pad fixes the (X, Y) coordinates of the finger transmitted to the computer CPU to the current finger. When used as a coordinate of, even if the finger moves to a neighboring key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the movement of the cursor on the virtual keyboard has the effect of being fixed to the key area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to be input, the character input shown in FIG. 33. The same results can be achieved with the method of preventing errors.

본 발명의 열한 번째 구성은 누름압력과 터치압력의 차이를 크게하는 방안이다. 정전용량 방식을 이용한 터치패드의 경우 터치패드가 압력을 계산하는 방식은 손가락이 터치패드를 누를 때에 손가락(3403)이 터치패드에 닿는 면적의 변화(△A=Ap-At)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터치패드를 손가락으로부터 보호하는 절연체(3402)가 비탄성체인 경우(도 34(D))이고 만약 도 34(C)에 보여지는 것처럼 절연체가 탄성체인 경우는 손가락이 터치패드를 눌러 줄 때에 터치패드위의 전극과 손가락의 거리가 △d1만큼 짧아져서 아래의 정전용량 계산식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면적의 변화만을 가져올 때보다 더 큰 정전용량의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An el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ing pressure and the touch pressure. In the case of the capacitive touchpad, the touchpad calculates the pressure by using a change in the area (△ A = A p -A t ) where the finger 3403 touches the touchpad when the finger presses the touchpad. To calculate. However, this is when the insulator 3402 that protects the touchpad from fingers is inelastic (FIG. 34 (D)) and if the insulator is elastic, as shown in FIG. 34 (C), when the finger presses the touchpad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finger on the pad is shortened by Δd 1 , resulting in a larger capacitance change than when only the area is changed as shown in the capacitance calculation equation below.

C = εA/d (1)C = εA / d (1)

여기서 C는 정전용량, ε는 비례상수로 전극을 채우는 물질의 유전상수, A는 전극 의 면적, d는 전극간의 거리이다. Where C is the capacitance, ε is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material filling the electrode with the proportional constant, A is the area of the electrode, and 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결과적으로 터치패드의 압력 산출에 면적과 함께 거리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누름압력과 터치압력의 차이가 더 커지게 되어 압력변화에 따른 문자입력 방식이 더 정확하여 지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distance and the distance also affect the pressure calculation of the touch pad,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ing pressure and the touch pressure becomes larger, and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sure change becomes more accurate.

본 발명의 열두 번째 구성은 문자입력 시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페이스와 오류수정을 위한 backspace의 실행을 가상키보드 상의 해당 키키를 눌러주는 대신에 도 3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손가락의 좌우이동만으로 손쉽게 실행할 수 있게 해 주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문자키에 해당하는 위치를 찾을 필요가 없이 단지 좌우로 손가락을 움직여 주면 되어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좌우 터치패드를 활용하는 방안으로 우측터치패드가 스페이스를 좌측터치패드가 backspace를 담당하게 하는 방안은 좌우 터치패드위에 자연스럽게 손가락(엄지)이 놓이는 위치가 우측 손가락의 경우 터치패드의 좌측에 자연히 놓이게 되고 더욱이 관절 운동도 좌->우->좌로 이동하는 경우가 편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굳이 이렇게 스페이스를 우측 손가락이 back space를 좌측 손가락이 담당하도록 고정할 필요는 없고 사용자 각자가 편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말하자면 우측 손가락으로 시작지점이 좌측이냐 우측이냐에 따라 스페이스, back space 모두 실행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In the twelf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pressing the corresponding key on the virtual keyboard, the space used most frequently during character input and the backspace for error correction can be easily executed by only moving the left and right fingers as shown in FIG. That's how you do it. This method does not need to fi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tter key, it can be easily performed simply by moving the finger to the left and right. In addition, the right touchpad uses the left and right touchpads for the space, while the left touchpad takes the backspace for the left touchpad, and the position of the finger on the left and right touchpads naturally lies on the left side of the touchpad. In addition, the joint movement is also convenient to move left-> right-> left.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fix the space so that the right finger takes charge of the back space and the left finger takes care of it. In other words, depending on whether the starting point is left or right with your right finger, you can have both space and back space run.

본 발명의 열 세 번 째 구성은 터치패드를 하나만 이용하더라도 가상키보드 상에서 자판 전체를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37a에 보이는 바와 같이 추가적인 보조 기능버튼(3701-L, 3701-R)을 배치하고 이 기능버튼의 하부 에는 두 개의 스위치를 두어 이들 스위치 중에 적어도 하나가 눌러졌을 때는 기능버튼(2303L 혹은 2303R)이 눌려져 입력되는 문자가 가상키보드 상의 두 개의 키 조합 중에서 좌측에 해당하는 키의 문자로 된다. 이를테면 도 37b의 (IV)에서 커서를 가상키보드의 중간 열 4번째 키에 해당하는 'F'와 'L'의 조합에 옮긴 다음 기능버튼 2303R을 오른손 검지로 눌러주면 'L'이 입력되고 왼손 엄지에 의해 보조기능버튼 3701-R이 눌려진 상태에서는 'F'가 입력되게 된다. 즉 보조기능버튼(3701-L, 3701-R)이 추가되어 터치패드를 하나만 장착하여도 도 21a에 보여 지는 온전한 가상 키보드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공간적으로 터치패드 두 개를 장착하기 어려운 소형 디지털전자기기에서는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이러한 보조기능버튼의 장착은 일명 전화모드(세로모드) 작동에서도 기존의 키패드 전화기와 동일한 입력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는 장점을 가져온다. 도 38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기능버튼 3701-L의 스위치1이 눌려져서 'on'상태에 있을 때는 세 개의 문자의 조합이 지정된 가상키패드의 각 키의 첫 번째 문자에 해당하는 문자가 입력되며 스위치2가 'on'되어 있을 때 는 각 키에 지정된 세 개의 문자의 조합 중에서 세 번째 문자가 입력되게 된다. 만약 보조기능버튼 3701-L(혹은 3701-R)이 눌려지지 않을 때는 세 개의 문자 조합에서 두 번째 문자에 해당되는 문자가 입력되게 되는 것이다. 더욱 문자입력을 편리하게 하는 것은 기능버튼(2303-L, 2303-R)을 사용자가 지정하는 일정한 시간(Tkey,p) 이상으로 눌러주면 대문자(alphabet의 경우 capital letter, 기타 언어의 경우는 second key set)가 입력되어 문자 입력이 한 결 간편해지는 효과를 가져 오게 된다. 이렇게 터치패드를 하나만 갖는 구 조에서도 전화모드는 도 2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될 있다. 다만 도 26b의 경우 전역모드를 담당하는 터치패드(2603)를 여분으로 갖는데 반해 도 38의 경우는 터치패드가 하나 뿐이서 전역모드와 전화모드를 동시에 실행 할 수 없고 그 중에서 하나만이 적용되어 커서의 움직임이 전역모드(변위좌표계) 혹은 문자입력모드(절대좌표계)로 작동되게 하는 점이 다를 뿐이다. The thirteen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implementing the entire keyboard on a virtual keyboard even using only one touch pad. As shown in FIG. 37A, additional auxiliary function buttons 3701-L and 3701-R are arranged, and two switches are placed below the function buttons so that at least one of these switches is pressed when the function button 2303L or 2303R is pressed. The character that is pressed and input becomes the character of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of the two key combinations on the virtual keyboard. For example, in (IV) of FIG. 37B, move the cursor to the combination of 'F' and 'L' corresponding to the fourth row of the middle column of the virtual keyboard and press the function button 2303R with the right index finger to input 'L' and the left thumb. 'F' is input when the auxiliary function button 3701-R is pressed. In other words, the auxiliary function buttons 3701-L and 3701-R are added, so that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intact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 In particular, it can be advantageously applied to small digital electronic devices in which it is difficult to mount two touch pads in space. Furthermore, the installation of the auxiliary function button brings the advantage that the same input method as the existing keypad telephone can be applied even in the so-called telephone mode (vertical mode) operation. As shown in FIG. 38, when the switch 1 of the function button 3701-L is pressed and in the 'on' state, the lett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letter of each key of the virtual keypad to which a combination of three letters is assigned is input. When is 'on', the third character of the three letter combinations assigned to each key is entered. If the auxiliary function button 3701-L (or 3701-R) is not pressed,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haracter of the three character combinations is entered. For more convenient character input, press the function buttons (2303-L, 2303-R) for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time (Tkey, p) that you specify. Capital letters for alphabet, second key for other languages set) is input, which makes the character input easier. Even in the structure having only one touch pad, the telephone mode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shown in FIG. However, in the case of FIG. 26B, an extra touch pad 2603 is in charge of the global mode, whereas in FIG. 38, there is only one touch pad, and the global mode and the phone mode cannot be simultaneously executed, and only one of them is applied to the cursor.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 movement is operated in global mode (displacement coordinate system) or character input mode (absolute coordinate system).

본 발명의 열 네 번째 구성은 기존의 키패드 핸드폰에도 보조기능버튼(3701-L, 3701-R)을 적용하여 문자입력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인 키패드 핸드폰은 공간상의 제약으로 각 키에 2~3개의 문자를 지정하여 한번, 두 번, 세 번 누름에 따라 지정된 문자 중에서 첫 번째에서 세 번째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복수 누름 방식에 의한 문자 선택은 동일한 문자를 연속으로 입력하여야 하는 경우 입력위치 이동 버튼을 중간에 눌러주어야만 동일한 문자를 연속으로 입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기존의 키패드 핸드폰에서 'cc'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도 40에서 보여지는 키패드 핸드폰을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ABC'가 지정된 키를 세 번 누른다음 우측이동 키(>)를 누른 다음 다시 'ABC'가 지정된 키를 다시 세 번 눌러 주어야 한다. 총 7번의 키 누름에 의해서 'cc'가 입력되는 것이다. 이에 반해 도 40에 나타난 보조기능버튼을 장착한 키패드 핸드폰은 단 두 번의 키를 눌러줌으로 'cc'의 입력이 완성된다. 더욱이 대문자 'CC'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대문자 선택을 위한 추가적인 키 작동이 요구되어 도 40에 보여 지는 본 발명의 구상은 입력의 효율성을 3~4배 증가시키게 된다.The fourteen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the auxiliary function buttons (3701-L, 3701-R) to the existing keypad mobile phone to facilitate text input. In general, the keypad mobile phone assigns two or three letters to each key for space limitation, so that the first to third letters can be entered by pressing once, twice, and three times. However, the character selection by the multi-press method is that when the same character must be input continuously, the same character must be continuously input by pressing the input position shift button in the middle. In other words, in order to input 'cc' in the existing keypad mobile phone, for example, the keypad mobile phone shown in FIG. 40 is described by pressing the key designated 'ABC' three times, and then pressing the right shift key (>) and then 'ABC' again. Press the key again three times. 'Cc' is input by 7 key presses. On the contrary, the keypad cellular phone equipped with the auxiliary function button shown in FIG. 40 is pressed by only two keys to complete the input of 'cc'. Furthermore, in order to input the uppercase 'CC', an additional key operation for selecting the uppercase letter is required, and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0 in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input by 3 to 4 times.

본 발명의 열 다섯 번째 구성은 도 37에 보여지는 보조기능버튼을 이용하지 않는 대신 원래 두개의 기능버튼이 가상키보드의 각 키에 부여된 두 개의 문자를 각각 담당하게 하여 일반적으로 핸드폰에서 여러 개의 문자가 부여되어 각 키를 한 번 누를 때와 두 번 (혹은 세 번까지도) 연속해서 누름에 따라 각각 첫 번째와 두 번째 문자를 구현하는 방식을 대체하게 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구성의 예가 도 41에 보여지고 있는 바 도 41a는 도 37(a)의 (I)에 보여지는 보조기능버튼(3701)이 없고 대신에 좌우 기능버튼(2303R, 2303L)이 구비되어 포인터가 'O/P' 조합 키위에 위치할 경우 이 상태에서 좌측버튼(2303L)을 누르면 'O'를 입력하고 우측버튼을 누르면 'P'를 입력하게 한다. 여러 개의 문자가 하나의 키에 부여된다고 하여도 각각의 문자를 한 번의 누름 동작에 의해서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도 41c는 'door opens'라는 문장을 입력하기 위해 가상키보드의 키를 누르는 순서를 보여주고 있다. 다만 굵은 테두리로 표시된 키는 우측기능버튼(2303R)의 누름을 의미하며 가는 테두리는 좌측기능버튼(2303L)의 누름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 41c의 굽어진 화살표는 도 35에서 설명된 바대로 터치패드 상에서 엄지가 좌우로 신속하게 움직이는 동작을 의미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을 일반적인 키패드 핸드폰의 경우를 보여주는 도 43과 비교하면 키를 눌러주는 회수가 반 이하로 줄어듦을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이 본 발명의 열 다섯 번째 구성이 갖는 장점이다. 특히 도 37에 보여지는 기능보조버튼을 이용한 문장입력 방법에 비하여 사용자의 적응이 더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데 이는 보조기능버튼을 이용할 경우 눌러 주는 동작이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을 가지는데 반해 도 41의 구성 요소는 좌우기능버튼 중에서 하나 만을 눌러 문자입력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다 더 직관적인 기능 버튼 작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가상키보드의 문자배열은 도 41(a)에 보여지는 알파벳의 순서대로의 배열 혹은 도 37b의 (IV)에 보여지는 쿼티(qwerty) 폰의 좌우 문자배열을 조합한 형태 중에서 사용자의 편리성에 따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따른 문자입력 흐름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흐름도의 핵심은 문자입력 논리에서 '문자입력을 위한 기능버튼'의 선택과정(4201)이다. The fifteen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the auxiliary function button shown in Figure 37, instead of the original two function buttons are responsible for each of the two characters assigned to each key of the virtual keyboard, generally several characters in the mobile phone Is given to replace the way each key is pressed once and twice (or even three times) in succession, implementing the first and second characters, respectively. That is, an example of such a configuration is shown in FIG. 41. In FIG. 41A, there is no auxiliary function button 3701 shown in (I) of FIG. 37 (a), and instead the left and right function buttons 2303R and 2303L are provided. If it is located on the 'O / P' combination key, pressing the left button (2303L) in this state inputs 'O' and pressing the right button inputs 'P'. Even if several characters are assigned to a single key, a method of distinguishing and inputting each character by one pressing operation is provided. FIG. 41C illustrates a sequence of pressing a key of a virtual keyboard to input a sentence of 'door opens'. However, a key indicated by a thick border means pressing the right function button 2303R, and a thin border means pressing the left function button 2303L. In addition, the curved arrow of FIG. 41C refers to an operation of rapidly moving the thumb from side to side on the touchpa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5. Compar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FIG. 43 showing a case of a general keypad mobile phone,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pressing keys is reduced to less than half, which is an advantage of the fifteen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compared to the sentence input method using the function auxiliary button shown in Figure 37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is easier to adapt. The component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more intuitive function button operation because the character input is made by pressing only one of the left and right function buttons. The character array of the virtual keyboard may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in the form of alphabetical arrangement shown in FIG. You will be able to choose. Fig. 42 shows a text input flow chart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of the flow chart is the selection process 4201 of 'function button for text input' in the text input logic.

본 발명의 열 여섯 번째 구성은 열 다섯 번째 구성의 가상키보드를 한 손으로 작동시킬 경우에도 적용한 것이다. 즉 가상키보드의 각 키에 두 개의 문자 조합을 지정하게 한다는 점이 동일하고, 한 손으로 작동해야하는 이유에서 좌우기능버튼 모두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하나의 기능버튼을 한 번 누를 때와 두 번 누르는 경우를 구분하여, 한 번 누를 경우 두 문자의 조합 중에서 첫 번째 문자를 두 번 누를 경우 두 번째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다. 다만 도 43a에 보여 지는 일반적인 키패드 핸드폰과 달리 실제 문자입력모드에서는 '통화'키가 필요 없으므로 가상키패드에서 생략되었고, 더 나아가서 '취소' 키도 생략되어 알파벳 26자를 각 키에 2개씩 지정하여 알파벳 모두를 지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알파벳을 3*5 배열을 갖는 가상키패드에 적용할 경우 그에 상응하는 터치패드의 범위가 좌우 엄지로 담당할 수 있기에 그 작동은 더욱 용이하게 된다. 문자입력에 필요한 취소(back space)와 스페이스(space) 키는 도 35에 보여지는 방법으로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알파벳을 지정할 수 있는 키의 숫자가 충분하여 각 키에 2개의 문자만 지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을 일반적인 키패드 핸드폰과 비 교하면, 도 43에 보여지는 일반적인 키패드 핸드폰은 하나의 키에 3개의 문자가 부여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세 번 연속하여 키를 눌러주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문자 입력 작업의 양이 도 43에 보여지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에 비해 두 배 이상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더군다나 일반적인 키패드 핸드폰은 동일한 문자를 연속으로 입력하기 위해서는 그 문자를 한 번 입력한 다음 방향키를(도 45b의 door의 'o'와 'o'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의 아래에 화살표 표시 - 4501') 눌러주고 다시 그 문자를 눌러주어야 한다. 이 경우 문자입력 문장에서 다음 칸으로 움직여주는 방향키는 키패드로부터 엄지의 관절운동 범위 중에서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하여 문자입력을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안은 터치패드로부터 손가락이 떨어졌다가 다시 터치패드에 닿게 될 경우(4401) 손가락의 움직임이 거의 수반되지 않으면서도 키패드의 방향키를 눌러주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는 점이다. 더 나아가서 손가락이 터치패드에 닿아 있는 상태에서도 손가락이 연속으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영역을 벗어 났다 다시 그 문자의 영역으로 되돌아오게 되는 경우(4402)에도 키패드의 방향키를 눌러주는 것과 동일한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도 44는 본 발명의 열 여섯 번째 구성의 작동 내용을 흐름도로서 보여주고 있다. 이 흐름도의 핵심은 각 키에 두 개의 문자만을 지정하여 세 번까지도 눌러야 하는 기존의 키패드 핸드폰의 단점을 극복하였다는 점과 26개의 문자를 하나의 엄지만으로도 담당할 수 있게 된 점이다. 더욱이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동일한 문자를 연속하여 입력하는 방법을 기존의 방향키(도 45의 4501)를 눌러주는 대신에 터치패드에서 손을 이격시켰다가 다시 닿는 방법과 현재 입력되고 있는 문 자의 영역을 벗어나는 방법의 구현으로 손가락의 움직임을 확연하게 단축시켜 사용자의 편리성을 배 이상 증가시킨 점이다.The sixteen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even when the virtual keyboard of the fifteenth configuration is operated with one hand. This means that you can assign two letter combinations to each key of the virtual keyboard, and because you cannot use both left and right function buttons for one hand operation, you can press one function button once and two times. If you press once, the method of inputting the second character when pressing the first character twice from the combination of the two characters is applied. However, unlike the general keypad mobile phone shown in FIG. 43A, since the 'call' key is not required in the actual character input mode, the virtual keypad was omitted from the virtual keypad. Furthermore, the 'cancel' key was also omitted. Can now be specified. When the alphabet is applied to the virtual keypad having a 3 * 5 arrangement, the range of the corresponding touchpad can be handled by the left and right thumb, so that the operation becomes easier. The backspace and space keys required for character entry can be replaced by the method shown in Fig. 35, so that the number of keys for assigning alphabets is sufficient, so that only two characters can be assigned to each key. . Compar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general keypad mobile phone, the general keypad mobile phone shown in Figure 43 is given three letters to one key, in some cases it is necessary to press the key three times in succession As a result, the amount of text input work is more than doubled compared to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In addition, in order to enter the same character in a continuous keypad mobile phone, type the character once and then use the arrow keys (arrow shown below the position between 'o' and 'o' in the door of Fig. 45B-4501 '). You have to press and press the letter again. In this case, the direction key to move to the next space in the text input sentence is located at the longest distance of the range of joint movement of the thumb from the keypad, which makes the text input more difficult. The present invention for overcoming this is that when the finger is dropped from the touch pad and touches the touch pad again (4401), the effect of pressing the direction key of the keypad is almost achieved without the movement of the finger. Furthermore, even when the finger is in contact with the touchpad, if the finger is out of the region of the character to be continuously input and returns to the region of the character (4402), the result is the same as pressing the arrow keys on the keypad. do. 44 shows in flowchart form the operation of the sixteen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int of this flowchart is that it overcomes the shortcomings of the existing keypad cell phone, which requires pressing only three times by assigning only two characters to each key, and can handle 26 characters with just one thumb. Furthermore, instead of pressing the existing direction key (4501 of FIG. 45), the method of inputting the same character consecutively in the process of inputting characters is to separate the hands from the touch pad and then touch them again and the area of the currently input charac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escape method significantly shortens the movement of the finger, which increases the convenience of the user more than twice.

본 발명의 열 일곱 번째 구성은 기능버튼의 기능 즉 문자입력 실행 명령 도구로서 기능버튼 대신에 터치패드가 가지는 압력 센싱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의 구현이다. 이론적으로 터치패드는 손가락의 접촉이 없는 상태의 압력을 '0'으로 하여 접촉이 이루어지면 그 값이 '0'보다 큰 값을 갖게 된다. 흔히 사용되는 정전용량을 이용한 터치패드의 경우 접촉하는 면적에 비례하여 압력 값이 산출되기 때문에 사람마다 손가락의 크기가 달라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누름압력(도 32의 Zpr)을 적용할 수 없으며 더욱이 도 4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실제 터치패드를 작동시키는 엄지손가락이 터치패드 위를 움직일 때는 각 영역에 닿는 엄지의 면적이 터치패드의 좌측상단에 닿을 때(도 46(I)) 가장 크고 우측하단에 닿을 때(도 46(IV)) 가장 적게 된다. 따라서 도 32b~d와 도 33에서 설명되고 있는 터치압력(Ztch)과 누름압력(Zpr)이 터치패드 전 영역에서 각기 다른 값을 갖게 되는 점을 고려한 사항이다. 그리고 도 32b~d와 도 33에서 터치 압력과 누름압력의 설정은 문자입력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착오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었지만 본 구성요소에서 이들은 기능버튼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즉 도 46(I)는 전화통화모드에서 '통화' 키를 누르는 동작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와 같이 '통화' 키에 해당하는 터치패드 영역을 누를 때는 터치압력(Ztch)과 누름압력(Zpr)와 의 값이 160과 220이라고 하면 도 46(IV)에 해당하는 '#' 키에 해당하는 터치패드 영역을 누를 때는 터치압력(Ztch)과 누름압력(Zpr)이 70과 100에 이른다. 이와 같은 차이는 터 치패드가 산출하는 압력 수치가 실제 기계적인 압력을 측정한 것이 아니라 터치패드가 이용하는 압력 환산 방식에 의해서 얻어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정전용량을 이용하는 터치패드 포인팅장치의 경우 그것이 산출하는 압력은 물체(손가락)가 터치패드에 닿게 되는 면적에 상응하는 값이어서 면적의 변화가 없는 압력의 증가는 터치패드가 측정할 수 없게 된다. 마찬가지로 실제로 물리적인 압력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도 물체가 터치패드에 닿는 면적의 변화가 발생하면 터치패드는 압력의 증가를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터치패드 혹은 터치스크린과 같은 2차원적인 평면 형태의 포인팅장치들이 갖는 일반적인 상황이다. 따라서, 문자입력의 실행에 해당하는 누름기준압력(Z*pr)을 터치패드의 모든 영역에 일정한 상수(C*pr)로서 지정한다면 터치패드의 어떤 영역에서는 손가락이 접촉만 하여도 입력이 이루어지고 어떤 영역에서는 아예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한다. 예를 들면 누름기준압력을 130으로 지정할 경우 '통화' 키에 해당하는 터치패드 영역을 누르는 압력 값(실질적인 힘에 의한 압력이 아니라 정전용량의 변화에 따라 터치패드의 논리회로에서 계산된 값)은 이 기준치보다 항상 초과하여 손가락이 접촉만 하더라도 입력이 되고, '#'의 경우 엄지를 아무리 눌러도 이 누름기준압력을 초과할 수 없어서 문자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엄지에 의한 터치패드 작동이 엄지의 관절운동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엄지의 관절이 굽혀져 있는 경우 손톱에 가까운 엄지부분이 터치패드를 닿게 되어 닿는 면적은 최소화되고 엄지의 관절이 펼쳐져 있는 경우 엄지의 지문이 발달되어 있는 넓은 부분이 닿게 되어 닿는 면적이 크게 되는 이유에서이다. 이러한 엄지의 닿는 면적의 변화를 고려하여 각 키 영역마다의 누름기준압력을 설정하는 것이 본 발명의 열 일곱 번째 구성이다. 특히 핸드폰을 초기화시킬 때 도 47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누름기준압력의 설정과 좌표계의 조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본 발명의 마지막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도 47의 흐름도에서 누름기준압력(Z* pr)은 각 키 영역에서의 값을 의미하며 누름문턱압력(Z* pr , th)도 각 영역마다 정의되는 상수이다. 이에 반해 도 36에서의 누름기준압력(Zo pr)은 터치패드를 누르거나 기능버튼을 누르는 동작에서 손가락의 이동이 발생할 경우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아닌 다른 문자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원칙의 설명으로 설정된 값이다. 따라서 만약 이 값이 터치패드 전영역에 통일된 값을 의미한다면, 이를 터치패드 작동상 누름압력값으로 적용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다만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엄지가 터치패드에 닿는 면적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여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엄지의 관절운동이 아닌 팔 혹은 손의 평행운동에 의해 터치패드위에서 운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손가락 혹은 팔의 평행운동에 의한 동작은 휴대용 디지털기기를 운용하는 인체의 움직임은 너무나 인체공학적이지 못해서 이러한 동작으로 터치패드 압력 인식 기능을 이용한 기능버튼의 구현은 이룩할 수 없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열일곱 번째 구성을 정리하면 터치패드의 기본 기능인 포인팅기능 외에 기능버튼 기능을 부가하여 문자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위 해서는 사용자마다의 특성을 맞추어 문자입력의 용이성과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초기화가 수반되며 이 과정이 도 47에 정리되어 있다. 이러한 초기화 과정이 필요한 이유는 계산식(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각자가 터치패드를 눌러주는 손가락의 크기가 다르고, 손가락이 터치패드에 닿는 방향에 따라 그 면적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보정하는 과정이 누름기준압력 설정이며, 더불어서 터치패드를 닿는 손가락이 터치패드의 한 점에 닿는 것이 아니고 일정 영역에 닿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가락이 어느 점을 지칭하는지 알지 못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느끼는 각 키의 중심을 지칭한다고 느끼는 지점과 이 지점에 해당하는 가상키보드 혹은 가상키패드 상의 각 키의 중심을 일치 시키는 것이 입력좌표계 설정단계이다. 모든 키를 눌러줘서 각 키에 해당하는 누름기준압력을 설정과 동시에 X'-Y'좌표계가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도 47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설정 작업을 독립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그 어느 과정으로 진행되든 누름기준압력 설정과 입력좌표계 설정이 끝나면 탭핑시간 설정 단계가 이어지고 각 사용자마다 탭핑설정시간을 달리 할 수 있으므로 초기화 단계에서 탭핑시간 설정이 이루어지면 탭핑에 의한 수 많은 기능의 부여가 가능하여 져서, 실제 휴대용 디지털기기의 기능버튼의 수효를 줄일 수 있게 되며 궁극적으로는 모든 기능버튼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기능버튼이 차지하는 공간을 다른 목적 이를테면 디스플레이 화면이 차지하게 하여 화면의 크기가 커질 수 있게 된다.A seventeen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lementation of a method of using a pressure sensing function of a touch pad instead of a function button as a function of a function button, that is, a letter input execution command tool. Theoretically, the touch pad has a value greater than '0' when the contact is made with the pressure of the fingerless state as '0'. In the case of the commonly used capacitive touch pad, since the pressure value is calculated in proportion to the contact area, the same pressing pressure (Zpr in FIG. 32) cannot be applied to everyone because the size of the finger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thumb operating the actual touchpad moves on the touchpad, when the area of the thumb that touches each area touches the upper left side of the touchpad (Fig. 46 (I)), and when the thumb touches the lower right side (Fig. 46 (I)) 46 (IV)) is the smallest. Accordingly, the touch pressure Ztch and the pressing pressure Zp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2B to 33 and 33 have different values in all areas of the touch pad. 32B-D and 33, the setting of the touch pressure and the pressing pressure was used as a means for preventing a mistake that may occur during character input, but in this element, they provide a method to replace the function of the function button. do. That is, FIG. 46 (I) shows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call' key in the phone call mode. Thus, when the touch pad area corresponding to the 'call' key is pressed, the touch pressure (Ztch) and the pressing pressure (Zpr) If the values are 160 and 220, the touch pressure Ztch and the pressing pressure Zpr reach 70 and 100 when the touch pad region corresponding to the '#' key corresponding to FIG. 46 (IV) is pressed. This difference is because the pressure value calculated by the touch pad is obtained not by measuring the actual mechanical pressure but by the pressure conversion method used by the touch pa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ouchpad pointing device using capacitance, the pressure it calculates is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object (finger) touches the touchpad, so that the pressure increase without changing the area cannot be measured by the touchpad. do. Similarly, even when there is no change in physical pressure, the touch pad calculates an increase in pressure when an area of the object touches the touch pad occurs. This is a common situation with two-dimensional planar pointing devices such as touch pads or touch screens. Therefore, if the pressing reference pressure (Z * pr)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of the character input is designated as a constant constant (C * pr) in all areas of the touch pad, the input is made only by touching a finger in some areas of the touch pad. In some areas there is no input at all. For example, if the pressure reference pressure is set to 130, the pressure value of the touch pad area corresponding to the 'call' key (calculated in the logic circuit of the touch pad according to the change in capacitance, not the pressure caused by the actual force) is If the finger is always in excess of the reference value, even if the contact is input, in the case of '#' no matter how pressing the thumb can not exceed this pressing reference pressure occurs a problem that the character input is not made. This problem is caused by the thumb movement of the thumb is caused by the joint movement of the thumb, so when the thumb joint is bent, the thumb area close to the nail touches the touch pad, minimizing the contact area and extending the joint of the thumb. This is because the large area where the fingerprint of the thumb is developed is touching and the area of contact is large. In consideration of such a change in the contact area of the thumb, it is the seventeen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et the pressing reference pressure for each key region. In particular, when initializing the mobile phone, as shown in FIG. 47, the setting of the push reference pressure and the adjustment of the coordinate system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Therefore, in the flowchart of FIG. 47, the pressing reference pressure Z * pr means a value in each key region, and the pressing threshold pressure Z * pr , th is also a constant defined for each region. On the other hand, the reference pressure Z o pr in FIG. 36 is a principle for preventing a case in which a character other than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made when a finger moves in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touch pad or pressing a function button. The value set in the description of. Therefore, if this value means a uniform value for the entire touch pad area,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apply it as a pressing pressure value in operation of the touch pad. To do this, however, the thumb must always maintain a constant area of contact with the touchpad. To do this, it must be operated on the touchpad by parallel movements of the arms or hands, not by the joint movement of the thumb. Therefore, the motion by the parallel motion of the finger or the arm is not so ergonomic of the human body operating the portable digital device implementation of the function button using the touch pad pressure recognition function by this operation. In summary, the seventeen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d a function button function in addition to the pointing function, which is a basic function of the touch pad, to facilitate character input. Initialization is involved to accomplish this process, which is summarized in FIG. The reason for this initialization process is as shown in the formula (1), because each user presses the touch pad, the size of the finger is different, and since the area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nger touches the touch pad, the process of correcting this is pressed. It is a reference pressure setting, and the user does not know which point the finger refers to because the finger touching the touch pad does not touch a point of the touch pad but touches a certain area. Therefore, the input coordinate system setting step is to match the center of each key on the virtual keyboard or the virtual keypad corresponding to the point where the user feels to refer to the center of each key felt by the finger. Simultaneously setting the pressing reference pressure corresponding to each key by pressing all keys, the X'-Y 'coordinate system may be set automatically or each setting operation may be independently performed as shown in FIG. In either process, after setting the reference pressure and setting the input coordinate system, the tapping time setting step is continued and the tapping setting time can be different for each us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function buttons of the actual portable digital device, and ultimately to omit all function buttons so that the space occupied by the function buttons can be occupied by other purposes such as the display screen. It can grow big.

본 발명의 열여덟 번째 구성은 열 일곱 번째의 구성과 달리 사용자마다 다른 손가락의 크기에 관계없이 터치패드 상에서 가상키보드 혹은 가상키패드의 각 키에 해당하는 영역의 누름 기준압력이 터치패드 상의 영역에 관계없이 일정한 상수를 갖게 하는 방법이다.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정전방식을 이용하는 터치패드의 경우 식(1)에 근거하여 손가락이 가하는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접촉면적(A)과 거리(d)가 정전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정전용량 값을 압력 값에 대응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순히 접촉(touch)하는 경우와 누름(pressing) 동작의 경우 손가락의 터치패드로부터의 거리에 차이를 둘 경우 단순히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 값(터치압력, Zt)의 범위가 누름동작에 발생하는 압력 값(누름압력, Zp)의 범위보다 항상 낮게 하여 이들 수치 경계에 누름압력 문턱 값(누름기준압력)이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식(1)에서 Z를 S(접촉면적)와 d(손가락의 터치패드로부터의 이격거리)의 함수로서 나타내고 이를 삼차원 그래프로 표시하면 도 48(A)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다만 Z가 임의의 단위로 표시됨으로 식(1)의 비례상수(ε)는 10으로 하였는데 이는 실제 터치패드의 압력값을 측정한 도 49와 도 50의 수치와 유사하게 하기 위한 상수값으로 실제 물질의 유전율과 관련된 상수이며 일반적으로 공기의 경우는 '1', 종이의 경우는 '3', 고무의 경우는 '7'정도의 값을 가지기 때문에 터치패드센서부와 손가락 사이에 놓이는 보호층이 고분자재질임을 감안할때 근사치에 해당한다. 실제로 터치패드와 손가락의 거리가 '0'인 경우 압력 값(Z)가 무한대가 되고, 도 49에서는 본 구성의 설명을 위한 도식적인 의미에서 x와 y의 범위를 임의로 0.03 < x < 0.1, 0.5 < y < 1.0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들 변수의 단위를 cm와 cm2으로 고려할 경우, 실제적인 상황을 대략적으로 나타내 게 된다. 도 48(A)는 d와 S의 연속적인 변화에 따른 Z(압력) 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이고, 도 48(B)는 S(접촉면적)는 주어진 범위 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되, d(손가락의 이격 거리)는 터치동작과 누름동작의 경우 △d 만큼 구분되어 불연속 구간(0.03<dp<0.037, 0.088<dt<0.1)으로 표현되고 있다. 도 48(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격거리 △d가 설정되어 손가락의 터치패드로부터의 거리가 터치동작과 누름동작에서 구분이 될 수 있다면 터치동작에서 발생하는 압력 값의 범위(도 48(B)에서 Zone 'T' - touch zone-에 해당)은 누름동작에서 발생하는 압력 값의 범위(도 48(B)에서 Zone 'P' - pressing zone-에 해당)보다 항상 낮게 되어 터치패드 전 영역에 하나의 누름기준압력을 설정할 수 있게 하여 준다. 이는 터치패드가 압력을 산출하는 원리가 정전용량의 변화에 기인하고 있기 때문에 터치면적(S)의 변화보다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의 이격거리(d)가 산출된 압력 값(Z)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이격거리의 압력값에 대한 영향을 이용한 방법으로 터치패드 전 영역에 걸쳐서 하나의 누름기준압력을 얻기 위해 터치패드의 손가락이 닿는 면에 탄성체 막을 입혀 손가락이 터치패드에 닿아있더라도 힘을 주어 누르기 전에는 항상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도 49과 50은 상용화되고 있는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탄성체가 없는 경우(도 50)와 1mm 두께의 탄성체를 터치패드에 붙인 경우(도 49) 얻어진 압력 값을 각각 보여주고 있다. 도 49와 도 50에서 압력값의 분포를 용이하게 표현하기 위해 4가지의 3차원 그래프를 보여주고 있는데 각각의 경우 (A)와 (A')는 동일한 방향에서 높이를 달리하여 바라본 모양이고 (B)와 (B')는 (A)와 (A')를 180도 회전한 방향에서 같은 높이로 바라본 모양이다. 먼저 도 50은 탄성체가 없는 상태에서 4cm*6cm 크기의 터치패드를 도 46의 형태로 파지하고 터치패드의 외곽의 폭 1cm의 영역을 제외한 2cm*4cm 크기의 내부영역을 손가락을 닿게 하여 측정한 압력값(Z)이다. 도 49과 도 50에 보여지는 그래프의 (x, y) 좌표계의 (0, 0)는 도 46에서와 같이 터치패드를 파지한 상태에서 터치패드의 좌측하단을 나타내고, (2, 4)는 우측상단을 나타낸다. 도 50(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누름압력(Zp)은 118~255의 분포를 보여주고, 터치압력(Zt)는 90~155의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이들 압력의 분포를 면으로 나타낸 것이 St(surface of touch pressure)와 Sp(surface of pressing pressure)이며, Sc(surface of criteria)는 터치압력의 최대치를 보여주는 고정면(flat surface)이다. 이미 본 발명의 열일곱번째 구성에서도 설명하였지만 도 50에서 보여주는 터치압력과 누름압력의 분포는 탄성체가 없는 터치패드를 이용할 경우 터치패드 전 영역에 하나의 누름기준압력을 설정할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나의 예로 누름기준압력을 터치압력의 최대치(도 50의 Sc) 로 설정할 경우, 누름압력을 보여주는 압력표면 Sp가 기준압력 표면 Sc 이하로 떨어지는 영역에서는 아무리 손가락으로 터치패드를 누르더라도 누름동작에 이은 명령실행이 수행될 수 없는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누름기준압력을 터치압력의 최대치보다 작게 설정할 경우 즉 도 50에서 기준압력표면 Sc를 Z축 방향의 아래쪽으로 낮추는 경우 터치압력면이 기준압력표 면위로 솟아오르는 영역이 발생하게 되고 이 영역에서는 단순한 터치만으로도 누름동작에 해당하는 명령이 수행되게 되는 오류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터치패드 각각의 영역에 상이한 누름기준압력을 설정하여야만 하는 이유를 도 50이 보여주고 있다. 이에 반해서 도 49는 탄성체가 터치패드의 터치면에 부착됨으로 하여 터치압력과 누름압력 값의 범위가 도 50에 비해 작아졌으며, 더욱이 누름압력면(Sp)이 터치압력면(St)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 누름기준압력을 터치압력의 최대치로 설정한다고 하여도 도 50에서 보여주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전용량을 이용한 터치패드의 경우 터치상태와 누름상태에서 손가락의 이격거리의 차이를 유발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터치패드 전 영역에 하나의 누름기준압력이 설정될 수 있도록 하여 터치패드에 수반되는 기능버튼스위치를 대체하는 것이 본 발명의 열여덟 번째 구성이다. 이 구성에 따르는 장점을 살펴보면, 도 22에 보여 지는 터치패드의 밑면에 위치하는 스위치 혹은 도 23에 보여지는 터치패드의 별도의 기능 버튼 없이도 터치패드의 버튼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많은 장점을 가져오게 된다. 일단 별도의 스위치가 설치될 경우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치 않으며 이들 스위치의 설치 공간을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계적 혹은 전자적인 스위치와 달리 움직이는 부품이 없다는 것이 또 하나의 장점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 이격거리를 조정하는 방법으로는 탄성체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비탄성체를 이용할 경우 요철을 갖거나 판상형태에 일정간격의 구멍을 갖게 하여 요철형태에 해당하는 효과를 가져 오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탄성체와 달리 이격 거리에 따라 서 유전율의 변화가 발생한다. 즉 손가락이 터치패드의 요철부분에 닿아 있을 경우에는 손가락과 터치패드 사이에 공기 틈새(air gap)가 있어서 실질적인 유전율이 '1'에 해당하는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하지만 손가락이 누름상태에 도달하면 손가락과 터치패드 사이의 공기 틈새가 메워져서 유전율은 공기의 유전율이 아니라 손가락의 유전율로 변화되므로 식 (1)에 의거하여 정전용량의 변화는 손가락과 터치패드 사이의 이격거리 감소에 의한 증가 외에도 유전율의 변화에 의한 증가도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는 탄성체가 없어도 탄성체의 신축에 의한 이격거리의 조절은 탄성체가 아닌 손가락의 탄성을 이용하게 되는 것이며, 탄성체를 사용할 경우 손가락이 터치패드에 전체적으로 접근하게 되지만, 이 경우에는 요(凹)부분에 닿는 손가락 영역만이 터치패드에 접근하게 되어 식(1)에 따른 이격거리의 변화에 비례한 정전용량의 변화는 요철이 없는 탄성체에 동일한 이격거리에서 상대적으로 작지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터치패드의 요(凹)부분의 공기가 손가락으로 메워짐으로 해서 정전용량의 변화가 동일한 수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터치상태에서는 손가락이 터치패드의 요철(凹凸)의 철(凸)부분에 닿아 있다가 터치패드를 눌러줄 경우 손가락의 탄성에 의해 요(凹)부분에 이르게 되어 탄성체가 제공하는 이격거리에 해당하는 거리이동을 갖게 하여 탄성체를 터치패드에 부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다만 요철형태의 경우 포인팅장치로 터치패드를 사용할 경우 평평한 면에 비해 표면의 요철로 말미암아 사용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지만 요철을 이루는 면의 굴곡 혹은 요철의 폭을 조절할 경우 이러한 단점이 극복될 수도 있다. 본 구성을 요약하면 탄성체를 터치패드에 부착하여 터치동작과 누름동 작을 구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경우 터치패드가 산출하는 압력값의 크기가 구별되어 단일 누름기준압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비탄성체의 경우도 터치패드의 터치면으로부터 손가락을 감지할 수 있는 거리까지의 두께로 터치패드에 부착하는 점은 동일하나 손가락의 탄성을 이용할 수 있도록 요철형태를 가진다는 점이 상이하다. 탄성체의 경우도 요철형태 혹은 홈을 만들어 손가락의 탄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는 다음에 설명하는 구성과 같은 경우에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 폴리우레탄 스폰지 폼과 같은 탄성체의 경우 공기가 포함되는 영역이 있어서 동일한 이격거리의 변화에도 더 큰 정전용량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고 터치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하는 이격거리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이런 이유에서 도 49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접촉상태와 누름상태가 이격거리 1mm 내에서 구분이 되는 것도 사용된 velcro loop 직물이 공기영역을 포함하고 있어서 누름상태에서는 이들 공기영역이 눌려져서 유전율이 원래 공기가 가지는 '1'에서 공기보다 훨씬 큰 직물의 고유한 값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정전용량 변화가 증폭되고 그에 따라 1mm 내외의 두께로 접촉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하는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밀도 0.44g/cm3의 1mm 두께의 폴리우레탄 폼 스폰지를 사용하여도 도 49와 같은 결과를 얻는데 이 역시 스폰지 내의 공기가 차 있는 부분이 압축될 때 공기가 제거되고 대신 우레탄스폰지로 채워지는 영역이 만들어져 그에 따른 유전율의 변화가 일어나서 새끼 손가락과 같이 조그만 손가락으로 스폰지를 눌러주어도 엄지 손가락이 터치패드(엄밀하게는 터치패드에 부착된 스폰지에)에 닿아 있을 때보다 더 큰 압력(정전용량)을 유발한다. 이와 같이 유전율이 가장 낮은 공기를 이 용할 경우 식(1)에 보여지는 변수인 손가락이 닿는 면적(S)과 이격거리(d) 중에서 터치패드로부터 손가락의 이격 거리에 의해 정전용량의 변화를 결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럴 경우 터치패드는 접근 센서(Proximity sensor)로서 작동할 수 있는데 이는 터치패드를 누르는 압력에 따라 거리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압력 센서(Pressure Sensor)로서의 기능도 발휘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공기를 이용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적용한 터치패드의 구조가 도 78b1와 78b2에 도시되어 있다. 도 78b1는 탄성체로서 스폰지를 이용하는 방법이고 도 78b2는 스폰지 대신에 키보드의 러버돔스위치(Rubber Dome Switch)처럼 손가락이 닿는 부분의 아래 부분이 빈 공간으로 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 두 가지 경우의 차이는 스폰지의 경우 공기 층이 스폰지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데 반해 러버돔스위치 구조에서는 하부에 공기층이 분포하는 구조를 가져 터치패드가 눌려질 경우 이들 공기층이 얇아져서 손가락이 터치패드를 직접 닿게 되는 구조이다. 도 78b2의 러버돔 스위치 형태의 장점은 도 78b1에 보여지는 스폰지를 이용한 방법에 비해 그 구성이 단순하고 부품 제조가 실리콘러버(silicon rubber) 판(plate, 7851')에 돌출부분(7852')의 형상의 구조를 사출(injection)하는 공정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점을 들 수 있으며 더욱이 실제 터치패드와의 부착에도 한 번의 공정으로 마무리 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78c는 도 78b에 보여지는 구조를 실제 조합하였을 때의 모양을 보여주고 있다.In the eighteen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seventeenth configuration, regardless of the size of a finger different for each user, the pressing reference pressure of an area corresponding to each key of the virtual keyboard or the virtual keypad on the touchpad is related to the area on the touchpad. It is a way to have a constant. In brief, in the case of the touch pad using the electrostatic method, the capacitance is increased as the contact area (A) and the distance (d) increase as the pressure applied by the finger increases based on the equation (1). It is to use the corresponding. Specifically, in the case of simply touching and pressing operation, if the distance from the touch pad of the finger is different, the range of the pressure value (touch pressure, Zt) generated by the contact is simply pressed. It is always made lower than the range of the pressure value (pressing pressure, Zp)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so that a pressurization pressure threshold value (pressing reference pressure) may be set in these numerical boundaries. In Equation (1), if Z is expressed as a function of S (contact area) and d (distance from the touch pad of the finger) and displayed in a three-dimensional graph, it can be expressed as shown in Fig. 48 (A). However, since Z is expressed in arbitrary units, the proportional constant (ε) of Equation (1) is set to 10, which is a constant value similar to the values of FIGS. 49 and 50 where the actual pressure values of the touch pad are measured. It is a constant related to the dielectric constant of and has a value of '1' for air, '3' for paper, and '7' for rubber, so the protective layer between the touch pad sensor and the finger is polymer. This is an approximation considering the material. In fac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ouch pad and the finger is '0', the pressure value Z becomes infinity, and in FIG. 49, the range of x and y is arbitrarily set to 0.03 <x <0.1, 0.5 <y <1.0 was set. Considering the units of these variables as cm and cm2, the actual situation is outlined. FIG. 48 (A) shows a change in Z (pressure) value according to the continuous change of d and S, and FIG. 48 (B) shows that S (contact area) continuously changes within a given range, but d ( The distance between the fingers) is expressed as a discontinuous section (0.03 <d p <0.037, 0.088 <d t <0.1) divided by Δd in the case of the touch operation and the pressing operation. As shown in FIG. 48 (B), if the distance Δd is set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touch pad of the finger can be distinguished between the touch operation and the pressing operation, the range of the pressure value generated in the touch operation (FIG. 48 ( In B), Zone 'T'-touch zone-) is always lower than the range of pressure values generated in the pressing action (corresponding to Zone 'P'-pressing zone- in Figure 48 (B)), so that the entire area of the touchpad Allows you to set one push reference pressure. This is because the principle that the touch pad calculates the pressure is due to the change in capacitance, and therefore, the finger has a greater influence on the calculated pressure value Z than the change in the touch area S than the change in the touch area S. To show. By using the influence on the pressure value of the separation distance, an elastic membrane is coated on the surface where the finger of the touch pad touches to obtain one pressing reference pressure over the entire area of the touch pad. Always keep your fingers at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touchpad. 49 and 50 show pressure values obtained when there is no elastic body (FIG. 50) and when a 1 mm thick elastic body is attached to the touch pad (FIG. 49)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touch pad. In order to easily express the distribution of pressure values in FIGS. 49 and 50, four three-dimensional graphs are shown. In each case, (A) and (A ') are viewed from different heights in the same direction (B). ) And (B ') look at the same height in the direction of (A) and (A') rotated 180 degrees. First, FIG. 50 is a pressure measured by holding a 4cm * 6cm touch pad in the form of FIG. 46 without an elastic body and touching a finger with an internal region of 2cm * 4cm except for an area of 1cm width outside the touch pad. Value Z. (0, 0) of the (x, y) coordinate system of the graphs shown in FIGS. 49 and 50 represents the lower left side of the touch pad while the touch pad is held as shown in FIG. 46, and (2, 4) is the right side. Indicates the top. As can be seen in Figure 50 (A), the pressing pressure (Z p ) shows a distribution of 118 ~ 255, the touch pressure (Z t ) shows a distribution of 90 ~ 155. The surface distribution of these pressures is the surface of touch pressure (S t ) and the surface of pressing pressure (S p ), and the surface of criteria (S c ) is the flat surface showing the maximum value of the touch pressure. Although already described in the seventeen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ibution of touch pressure and pressing pressure shown in FIG. 50 shows that one touch reference pressure cannot be set in the entire touch pad when the touch pad without an elastic body is used. As an example, if the reference pressure is set to the maximum value of the touch pressure (S c in FIG. 50), the pressure surface S p showing the pressing pressure falls below the reference pressure surface S c no matter how much the finger presses the touch pad. An operation following a command cannot be performed. To overcome this problem, when the reference pressure is set small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touch pressure, that is, when the reference pressure surface S c is lowered in the Z-axis direction in FIG. 50, an area in which the touch pressure surface rises above the reference pressure surface is generated. In this area, an error that causes a command corresponding to a pressing operation to be executed by a simple touch is generated. Therefore, FIG. 50 illustrates a reason why a different pressing reference pressure should be set in each area of the touch pad. On the contrary, in FIG. 49, since the elastic body is attached to the touch surface of the touch pad, the range of the touch pressure and the pressing pressure value is smaller than that of FIG. 50, and the pressing pressure surface S p is sufficiently formed from the touch pressure surface S t . Even when the pressing reference pressure is set to the maximum value of the touch pressure, the problem shown in FIG. 50 does not occur.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touch pad using capacitance, a single reference pressure can be set in the entire area of the touch pad by using a method that can cause a differenc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fingers in the touch state and the pressed state. Replacing the function button switch is the eighteen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Looking at the advantages of this configuration, without the switch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touch pad shown in Figure 22 or the separate function button of the touch pad shown in Figure 23 performs a button function of the touch pad brings a number of advantages. . Another advantage is that once separate switches are installed, no separate space is required to operate them,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se switches can be used for other purposes, and there are no moving parts, unlike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In this configuration, an elastic body may be used as a method of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However, inelastic materials may have irregularities or holes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plate shape, thereby producing an effect corresponding to the irregularities. In this case, unlike the elastic body, the change of permittivity occurs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In other words, when the finger touches the uneven part of the touch pad, there is an air gap between the finger and the touch pad, so that the actual dielectric constant of the capacitance changes to '1', but when the finger reaches the pressed state Since the air gap between the finger and the touch pad is filled, the dielectric constant is changed to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finger rather than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air, so according to equation (1), the change in capacitance can be achieved by increasing the dielectric constant An increase caused by the change of is also generated. In this case, even if there is no elastic body, the control of the separation distance by the elastic expansion and contraction is to use the elasticity of the finger, not the elastic body. When the elastic body is used, the finger approaches the touch pad as a whole. Only the finger area touching the touch pad approaches the touch pad, so the change in capacitance proportional to the change in the separation distance according to equation (1) is relatively small at the same separation distance to the elastic body without irregularities, but as mentioned above, As the air in the recess is filled with the finger, the change in capacitance can be made at the same level. In other words, when the finger touches the iron part of the unevenness of the touch pad and presses the touch pad, the finger reaches the uneven part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finger, which corresponds to the separation distance provided by the elastic body. By having a distance shift to make the elastic body can have the same effect as attaching to the touch pad. However, in the case of the uneven type, when using the touch pad as a pointing device, the use feeling may be lowered due to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compared to the flat surface, but this disadvantage may be overcome by adjusting the bend or the uneven width of the uneven surface. . In summary, the elastic body is attached to the touch pad to distinguish the touch operation from the pressing operation so that in each case,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value calculated by the touch pad is distinguished so that a single pressing reference pressure can be set. In the case of the non-elastic material, the point of attachment to the touch pad is the same as the distance from the touch surface of the touch pad to the distance at which the finger can be sensed, but it is different in that it has an uneven shape to use the elasticity of the finger. In the case of the elastic body,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elasticity of the finger by making the uneven shape or groove. This is because it can be used in the case of the configuration described below. Furthermore, in the case of an elastic body such as a polyurethane sponge foam, there is a region containing air, which results in a larger capacitance change even when the same separation distance is changed, and a method of reducing the separation distance that distinguishes the touch state from the pressed state is proposed. Will be provided. 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 49, the velcro loop fabric used in which the contact state and the pressed state are separated within a distance of 1 mm includes an air region, and in the pressed state, these air regions are pressed so that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original air is reduced. Since the change from '1' to the unique value of the fabric much larger than the air, the capacitance change is amplified and accordingly shows the result of distinguishing the contact state from the pressed state with a thickness of about 1mm. Similarly, using a 1mm-thick polyurethane foam sponge with a density of 0.44 g / cm3 achieves the same result as in FIG. 49, which also removes air when the air-filled portion of the sponge is compressed and instead fills with a urethane sponge. The resulting change in permittivity results in greater pressure (capacitance) than when the thumb touches the touchpad (strictly on the sponge attached to the touchpad), even when the sponge is pressed with a small finger such as a little finger. do. Thus, when using the air having the lowest dielectric constant, the change of capacitance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of the finger from the touch pad among the area (S) and distance (d) where the finger touches, which is a variable shown in Equation (1). It is. In this case, the touchpad can act as a proximity sensor, which also acts as a pressure sensor because the distance is closer depending on the pressure of the touchpad. The structure of the touch pad to which such a change in capacitance using air is applied is shown in FIGS. 78B1 and 78B2. FIG. 78B1 shows a method of using a sponge as an elastic body, and FIG. 78B2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lower portion of a finger touching portion, such as a rubber dome switch of a keyboard, becomes an empty space instead of a sponge.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cases is that in the case of sponge, the air layer is uniformly distributed inside the sponge, whereas in the rubber dome switch structure, the air layer is distributed in the lower part. The structure directly touches. The advantage of the rubber dome switch shape of FIG. 78B2 is that the configuration is simpler than the sponge-based method shown in FIG. 78B1, and the manufacturing of parts is the shape of the protrusion 7785 'on the silicon rubber plate 7851'. It can be easily made by the process of injection (injection) of the structure, and furthermore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finished in a single process even with the attachment to the actual touch pad. FIG. 78C shows the shape when the structure shown in FIG. 78B is actually combined.

본 발명의 열아홉 번째 구성은 본 발명의 구성 즉 내장이든 외장이든 기능버튼의 기능을 갖는 터치패드 방식을 단순히 터치에 의해 명령실행을 수행하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스마트핸드폰에 적용하는 것이다. 터치스크린방식이나 터치패드 방식이나 2차원 좌표계에 기반을 둔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에 이용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터치패드 방식은 커서를 이용하여 메뉴 선택 후에 명령 수행을 위해 스위치를 작동시키지만 터치스크린 방식은 메뉴선택과 명령실행이 동시에 이루어져 별도의 스위치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다. 특히 터치스크린이 메뉴선택과 실행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화면상의 메뉴 특히 가상키보드를 이용할 경우 그 크기가 손가락으로 쉽게 선택할 정도로 커야하는 점이 터치패드 방식에 비해 단점으로 작용하고 이러한 이유에서 화면을 작게 만드는데 한계가 있다. 만약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할 경우 좁은 공간에 메뉴 혹은 가상키보드를 배치할 수 있지만 일의 능률의 저하를 가져와서 손가락으로 직접 화면을 터치하는 방법에 비해 선호도가 떨어진다. 이에 반해 터치패드 방식은 화면의 메뉴가 작더라도 포인터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터치스크린 방식에 비해서 화면의 크기가 작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으며, 특히 가상키보드를 손으로 직접 작동시키기 위한 소형 휴대용 디지털 기기에 더욱 적합하다. 이러한 터치패드의 장점을 터치스크린 방식의 스마트핸드폰에도 적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열아홉 번째 구성이다. 이는 터치패드를 디지털기기의 화면과 별도의 공간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고 디지털기기의 화면위에 배치하고 도 49에 보여지는 터치압력과 누름압력의 구분에 의해 터치스크린방식과 터치패드 고유의 방식을 혼용할 수 있게 하여주는 방법이다. 다만 이를 위한 터치패드는 투명한 터치패드를 이용하여야 하는데, 이미 상용화 되고 있는 시냅틱스사의 클리어패드(Clearpad)와 같은 투명전극이 적용된 터치패드가 적용될 수 있다. 이미 앞 단락의 열여덟 번째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명 터치패드를 디지털기기의 위에 배치하되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터치패드위에 탄성체와 같은 손가락 이격 물질을 장착하지 않고 손가락이 닿을 경우 터치패드가 누름압력 값을 산출하여 메뉴실행을 위한 터치 동작으로 명령실행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통상적인 터치패드 방식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탄성체와 같은 손가락 이격 물질을 장착하여 터치하였을 경우 단순히 포인팅 기능만을 수행하고 손가락으로 터치패드를 눌러 주었을 경우에만 실행명령이 수행될 수 있도록 버튼 기능을 담당하게 하여 주는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터치패드가 화면에 적용된 스마트폰의 경우를 보여주는 도 51와 단순히 터치패드를 별도로 갖는 핸드폰의 경우를 보여주는 도 26b를 비교하면 잘 알 수 있다. 도 51의 스마트폰은 터치패드가 핸드폰의 화면위에 배치됨으로 도 26b(B)에 보여 지는 터치패드를 위한 공간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으며, 더욱이 손가락이 놓이는 가상키보드(5101)상 키의 위치를 화면상에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더욱 직관적인 디지털기기의 형태가 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더욱 증가하게 되는 장점도 가져오게 된다. 터치패드위에 놓이는 탄성체가 가상키보드를 가로막지 않게 하기 위해 불투명한 탄성체(5103)의 경우 가상키보드의 각 키에 해당하는 위치에 구멍을 갖거나 실리콘 젤 및 발포 스폰지(foamed sponge)와 같은 투명한 탄성체(5102)를 이용하여 가상키보드를 사용자가 확인하게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 이러한 탄성체가 띄었다 붙였다 할 수 있는 경우에는 화면 전체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핸드폰으로 영화 감상과 같은 경우 탄성체를 떼어내어 터치스크린 모드로 전환하여 전 체 화면을 이용할 수 있게 해 주는 장점도 가져온다.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해 손가락을 터치패드 터치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부착되는 탄성체를 힌지형태의 구조물로 디지털기기에 고정시켜 터치패드에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본 구성에 따라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지털기기를 터치패드와 같이 사용하게 될 경우 특히 가상키보드를 사용하는 문자입력방식에서는 손가락이 화면상의 가상키보드의 키를 가리게 되어 포인터(커서)가 가리키는 '키'를 눈으로 볼 수 없게 되는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도 52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상키보드외의 화면상의 영역에 현재 포인터(커서)가 위치해 있는 키를 보여 줌으로서 손의 위치를 보자 정확하게 원하는 키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탄성체로서 벨크로(Velcro)의 loops에 해당하는 직물은 복원력이 뛰어나면서도 실제 물리적인 누름압력이 터치압력과 거의 동일할 정도로 누름 동작에 힘이 들어가지 않는 탄성체여서 본 구성의 터치패드의 터치스크린에의 적용에 활용되면 누름동작에서 화면에 전혀 무리를 가하지 않고 더욱이 그 자체가 탄성체이므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화면의 손상을 막아주는 기능까지 할 수 있는 장점까지도 갖는다. 다만 그것의 불투명성으로 인해 도 51(C)에 보여주는 형태 즉 각 키의 중심에 해당하는 부분을 도려낸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The nin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the touch pad method having the function of the function button, that is, the built-in or the exterio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mart phone of a touch screen method that performs command execution by simply touching. Although it is the same in that it is used in a touch screen method, a touch pad method or a user interface based on a two-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the touch pad method uses a cursor to operate a switch to perform a command after selecting a menu, but the touch screen method is used.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at menu selection and command execution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so that no separate switch is required. In particular, in order for the touch screen to simultaneously perform menu selection and execution, the size of the on-screen menu, especially the virtual keyboard, needs to be large enough to be easily selected by the finger, which is a disadvantage compared to the touch pad method. There is. If you use a stylus pen, you can place a menu or a virtual keyboard in a small space, but this decreases your work efficiency and is less preferred than touching the screen directly with your finger. On the other hand, the touch pad method does not have a problem even if the screen size is small compared to the touch screen method because the menu can be selected by using the pointer even if the menu of the screen is small, and in particular, a small portable device for directly operating the virtual keyboard by hand. It is more suitable for digital devices. It is the nin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pply the advantages of the touch pad to a smart phone of a touch screen type. This is because the touch pad is not installed in a separate space from the screen of the digital device, but is disposed on the screen of the digital device, and the touch screen method and the touch pad method can be mixed by distinguishing the touch pressure and the pressing pressure shown in FIG. It is a way to make it possible. However, a touch pad for this purpose should use a transparent touch pad, and a touch pad to which a transparent electrode such as Synaptics' Clearpad (Clearpad), which is already commercialized, is applied. As described in the eighteenth configuration of the previous paragraph, if you want to place the transparent touchpad on the digital device, but want to use it as a touchscreen, touch the touchpad without placing a finger-spacing material such as an elastomer on the touchpad. Calculate the pressing pressure value, and the command is executed by the touch operation for executing the menu. And if you want to use a conventional touch pad method, if you touch a finger-separated material, such as an elastic body, simply perform the pointing function, and only to act as a button so that the execution command can be performed only when the touch pad is pressed with a finger. It is a way to give. The advantages of this configuration can be seen by comparing FIG. 51 which shows a case of a smart phone to which a touch pad is applied to the screen and FIG. 26B which shows a case of a mobile phone having a touch pad separately. The smart phone of FIG. 51 does not require a space for the touch pad shown in FIG. 26B (B) because the touch pad is dispos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phone, and furthermore, the position of the key on the virtual keyboard 5101 where the finger is placed is displayed on the screen. Because it can be directly confirmed in the form of a more intuitive digital device also brings the advantage that the user's convenience is further increased. In order to prevent the elastic body placed on the touchpad from blocking the virtual keyboard, the opaque elastic body 5103 has a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key of the virtual keyboard or a transparent elastic body such as a silicone gel and a foamed sponge ( 5102) allows the user to check the virtual keyboard, and furthermore, when such an elastic body floats and attaches, the entire screen can be utiliz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watching a movie on a mobile phone, the elastic body is detached and switched to the touch screen mode, which brings the advantage of making the entire screen available. For convenience of the user, the elastic body attached to separate the finger from the touch pad touch surface may be fixed to the digital device with a hinged structure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to the touch pa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a touch screen-type digital device is used together with a touch pad, especially in a text input method using a virtual keyboard, a finger hides a key of a virtual keyboard on a screen, and thus a 'key' indicated by a pointer (cursor) is indicated. To overcome the invisible situation, as shown in FIG. 52, the current pointer (cursor) is shown on the screen area other than the virtual keyboard to see the position of the hand. do. As the elastic body, the fabric corresponding to the loops of the Velcro is an elastic body that is resilient and does not enter the pressure so that the actual physical pressing pressure is almost the same as the touch pressure. When applied to the application, it does not put any pressure on the screen at the time of the pressing operation, and furthermore, since it is an elastic body,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screen from external impact. However, due to its opacity, it may be used in the form shown in FIG. 51 (C), that is,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each key.

본 발명의 스무 번째 구성은 도 23 혹은 도 52에 보여 지는 바와 같은 누름스위치 기능이 없는 일반적인 터치스크린 핸드폰의 경우 포인터 기능(화면상에 손가락을 대고 움직일 때, 그에 따라 화면 상의 활성 부분이 변화되는 기능)을 이용하여 문자입력을 손쉽게 이루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구성은 터치패드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터치패드가 터치스크린과 다른 점은 도 6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포인터 위성 창이 필요 없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터치패드의 경우 손가락이 터치스크린과 달리 화면에 놓이지 않아서 가상키보드를 가리지 않으며, 더욱이 포인터 위성 창이 가상키패드에 직접 보여 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구성의 핵심은 가상키보드를 화면에 배치하고 각 키에 해당하는 영역을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입력을 이룬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터치스크린을 갖는 핸드폰과 동일하지만, 상이한 점은 문자, 기호 혹은 숫자의 입력이 손가락이 화면을 터치할 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화면으로부터 떨어질 때 이루어지게 하여 기능버튼의 기능을 갖는 별도의 스위치가 없이도 기존의 터치패드만으로도 기능버튼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구성은 핸드폰 혹은 디지털기기의 화면에 손가락이 접촉된 상태에서도 일반적인 터치스크린과 달리 명령실행이 이루어지지 않고 터치패드와 같이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터치패드와도 다른 점은 손가락이 기기의 화면에 접촉하는 순간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영역이 제한되며, 이렇게 제한된 영역이 포인터 위성 창(satellite window for pointer)에 표시되고 손가락의 움직임이 위성 창의 분할 된 영역에 포인터를 위치하게 하여 그 영역에 해당하는 문자, 기호, 숫자가 손가락이 기기 화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순간 입력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도 54에 보여 지는 문자 입력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기존의 T9 타입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u'를 입력하려면 'STU'가 지정된 키를 세 번 연속하여 눌러 주어야 입력되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스무 번째 구성은 도 54(A)-I와같이 'STU' 키를 터치한 다음 오른 쪽으로 손을 움직인(도 54(A)-III) 다음 화면으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u'가 입력된다. 즉 하 나의 연속된 동작으로 T9 키패드의 'STU' 세 번 누름 동작과 동일한 결과를 가져온다. 심지어 'u'를 두 번 연속으로 입력하기 위해서 T9 키패드 방식의 문자입력 방법에서는 첫 번째 'u'를 입력한 후에 다음 문자 입력 단계가 시작되기 까지 일정 시간을 기다리거나 입력칸을 다음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칸 이동 키를 눌러 주어야 하는데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이러한 지연 시간이나 부가적인 키 누름 동작이 필요하지 않다. 입력에 필요한 시간의 절약과 손가락의 피로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편리성에 따라 각 키에 지정된 문자에 해당하는 영역이 활성키의 좌우만이 아니라 상하로의 배열도 가능하며 이는 도 58에 설명되어 있다. 그리고 도 55에 보여 지는 바와 같이 기호(I), 숫자(II) 및 2개 언어(한글↔영문, III)의 입력을 위한 가상키보드의 자판배열이 하나의 동작으로 이루어져서 일반적인 키보드와 같은 입력의 편리성을 가져 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한 손으로 파지 할 수 있을 정도의 휴대폰 및 디지털기기의 좁은 공간에도 full keyboard의 시각적 배열과 직관적인 사용방법의 구현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렇게 구현된 터치스크린은 본 발명의 열 아홉 번째 구성에서와 같이 완전한 터치패드의 기능을 구현하지는 못해도 제한된 터치패드 기능을 가져와 기존의 T9 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최대의 장점을 제공한다. 즉 본 구성에 적용되기 위해서 사용자들이 문자 배열 체계와 입력 방법을 새롭게 적응해야하는 장벽이 없다는 점과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드는 장점을 가져온다. 지금까지 알파벳의 경우 하나의 키에 세 개의 문자가 지정되어 많게는 하나의 키를 세 번 눌러야 하고 더 나아가서 이러한 문자를 두 번 연속하여 입력하고자 할 경우 여섯 번을 눌러야하는 단점이 있어 문자입력이 불편하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구성은 접촉에 이은 한 번의 움직임 즉 하나의 연속 동작으로 모든 문자 입력이 완성되어 입력 시간을 배 이상 줄여 주고 기호, 숫자, 외국어 문자의 혼용을 위한 자판 배열 변환도 문자 입력과 동일하게 손가락 하나의 연속된 동작으로 완성되는 장점도 가져온다.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도 59와 도 60에서 보여 주는 바와 같이 일본어와 중국어 입력방법에서 더욱 확실하게 나타난다. 일본어의 경우 일반적인 키패드 핸드폰의 경우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키를 5번까지 눌러 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며, 중국어의 경우는 제한된 키 숫자로 인해 음절 하나하나를 알파벳으로 입력한 후에 변환시켜줘야 하는 불편함을 가진다. 이에 반해 본 구성에 의한 문자입력 방법은 일본어의 경우 일반적인 키패드 핸드폰과 동일한 문자배열을 가져 사용자의 적응이 쉬울 뿐만 아니라 손가락 한 번의 움직임으로 하나의 음절을 입력할 수 있게 하여 다섯 번까지 눌러 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하여 주며, 중국어의 경우 각 음절의 구분이 이루어져서 각 음절을 일일이 변환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단어 혹은 한 문장 전체를 변환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준다. The twentie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inter function in the case of a general touch screen mobile phone without a push switch function as shown in Fig. 23 or 52 (when a finger moves on the screen, the active part on the screen is changed accordingly). It relates to a method of easily entering a text using). This configura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a touch pa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uch pad and the touch screen is that a pointer satellite window is not required as shown in FIG. 65. This is because the touchpad does not cover the virtual keyboard because the finger is not placed on the screen unlike the touch screen, and the pointer satellite window may be directly displayed on the virtual keypad. The core of this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a mobile phone with a general touch screen in that the virtual keyboard is placed on the screen and touched with a finger to touch an area corresponding to each key, but the difference is that the input of letters, symbols or numbers is different. It is not made when the finger touches the screen, but when it is moved away from the screen to enable the function of the function button only with the existing touch pad without a separate switch having the function of the function button. Therefore, this configuration is that even when a finger is in contact with the screen of a mobile phone or digital device, unlike a general touch screen, a command is not executed, and a function of moving a pointer like a touch pad is performed. Nevertheless, the difference with the touchpad is that the area at which a finger touches the device's screen can execute commands, which are then displayed in the satellite window for pointer and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satellite. The pointer is placed in a divided area of the window so that the input is completed the moment a finger falls from the screen of the device. This point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n example of the character input shown in FIG. In order to input 'u' using the existing T9 type keypad, the key designated 'STU' must be pressed three times in succession. On the contrary, in the twentie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4 (A) -I, the user touches the 'STU' key and then moves his hand to the right (FIG. 54 (A) -III). Is input. That is, one continuous operation produces the same result as pressing the 'STU' three times on the T9 keypad. Even in the T9 keypad type character input method to input 'u' twice in succession, input field for waiting a certain time or moving the input box to the next character input step after entering the first 'u' The shift key must be pressed, but this delay time or additional key press operation is not necessar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provides a way to save time required for input and significantly reduce finger fatigue.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letter assigned to each key can be arranged not only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active key but also to be arranged up and down, which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8. As shown in FIG. 55, the keyboard layout of the virtual keyboard for input of symbols (I), numbers (II), and two languages (Korean ↔ English, III) consists of one operation for convenience of input such as a general keyboard. It has the advantage of bringing the castle. And even in the narrow space of mobile phones and digital devices that can be gripped with one hand, the visual arrangement of the full keyboard and the intuitive use method are realized. The touch screen implemented as described above provides the maximum advantage of using the existing T9 system by bringing the limited touch pad function without implementing the full touch pad function as in the nin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in order to be applied to this configuration, there is no barrier for users to newly adapt the character arrangement system and input method, and the time required for input is drastically reduced. Up to now, the alphabet has three letters assigned to one key, and many times, one key needs to be pressed three times, and furthermore, if you want to input these characters twice consecutively, you need to press six times. It acted as a factor. 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ll the character input is completed by one movement following a contact, that is, one continuous operation, thereby reducing the input time by more than twice and converting the layout of the keyboard for mixing symbols, numbers, and foreign characters. It also brings the advantage of being completed in a single finger movement. The advantages of such a configuration are more apparent in Japanese and Chinese input methods as shown in FIGS. 59 and 60. In the case of Japanese, it is inconvenient to press a key up to 5 times to input a single character in the case of a general keypad mobile phone. Has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 input method by this configuration has the same character arrangement as a normal keypad mobile phone in Japanese, making it easy for the user to adapt, and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ress up to five times to input one syllable with a single finger movement. In case of Chinese, each syllable is divided so that it does not need to convert each syllable one by one, and provides a way to convert one word or one sentence.

본 발명의 스물 한번 째 구성은 위의 스무 번째 구성의 확장이다. 즉 스무 번째 구성에서 문자입력은 임의의 키를 손가락이 접촉하면 그 키에 지정된 문자들을 한 방향으로 배열하여 가상키보드 상에 보여주고 이 배열 방향으로 손가락을 움직여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위치에서 손가락을 떼면 그 문자가 입력되는 구성인데, 본 스물 한번 째 구성은 손가락의 문자의 주배열 방향(primary direction)으로의 미끄럼 동작에 이어서 손가락이 접촉된 상태에서 주배열 방향에 수직인 분기 방향(secondary direction)으로 미끄러지는 동작으로 각 문자의 속성에 변화를 주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속성의 변화는 문자의 소리에 있어서의 높낮이 변화 혹은 음가의 변화 등이 속하며 그 속성 변화의 특징은 맨 처음 손가락이 닿는 키에 지정된 모든 문자에 동일한 규칙으로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주 배열 방향과 분기 방향(secondary direction)에 의한 추가적인 문자배열은 더 많은 문자의 지정이 가능하게 하여 핸드폰의 키패드가 가질 수 있는 문자의 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다만 분기방향으로의 배열은 새로운 문자의 첨가가 아니라 주배열 방향으로 배정된 문자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변화를 가져오게끔 하여 각 키에 주배열 방향에 따른 문자들만을 가상키패드 혹은 터치패드에 표시하여도 사용자가 분기방향에 따른 문자 속성의 변화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본 구성의 특징이다. 특히 한글의 경우 도 63에 보여지는 자판 배열은 모음의 경우 두 개의 배열 방향을 갖더라도 각각이 독립적이기 때문에 모든 모음 문자가 한 번의 손가락 직선 움직임으로 입력될 수 있게 한다. 본 구성은 손가락만이 아니라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PDA 등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문자에 할당되는 화면상의 키의 크기가 3배 이상 커질 수 있어(하나의 키에 3개의 문자를 지정할 경우) PDA 사용자들이 하나의 문자만이 지정된 좁은 영역의 키를 선택하는 것보다 3배나 넓은 영역의 키를 쉽게 선택하고 이어지는 스트로크(손가락움직임에 해당)를 통해 보다 신속한 문자입력이 가능하게 된다.The twenty first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tension of the twenty-first configuration above. That is, in the twentieth configuration, when a finger touches an arbitrary key, the letters assigned to the key are arranged in one direction and displayed on the virtual keyboard, and the finger is moved in this direction to release the finger from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 to be input. The first twenty-first configuration consists of the sliding of the fingers in the primary direction of the character, followed by the sliding of the characters in the primary direction, in the secondary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in direction of the array with the fingers in contact. It is a way of changing the attributes of each character by sliding. Such a change in the property belongs to a change in height or a change in the sound value of the sound of the character,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change of the property is preferably brought to the same rules for all letters assigned to the keys touched by the first finger. This additional character arrangement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directions allows more characters to be specified, thus providing a way to increase the number of characters that a keypad of a mobile phone can have. However, the arrangement in the branching direction does not add new characters, but changes in common to the letters assigned to the main array direction. Only the letters in the main array direction of each key are displayed on the virtual keypad or touch pad. Also, it is a feature of this configuration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change of the character attribute according to the branching direction. Particularly, in the case of Hangul, the keyboard arrangement shown in FIG. 63 allows all vowel characters to be input by one finger linear movement, even though they have two arrangement directions in the case of vowels. This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finger but also to a PDA using a stylus pen.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on-screen keys assigned to each character can be more than three times larger (when three characters are assigned to one key). Users can easily select three-fold wider keys and follow subsequent strokes (finger movement) than users can select a narrow-area key.

본 발명의 스무 두 번째 구성은 하나의 키에 두 개의 문자가 지정된 경우 기준문자는 지정된 키 영역을 손가락이 접촉하였다가 이격하는 순간에 입력되고 나머지 비기준문자는 지정된 키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서 손가락이 이격되면 입력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66에 보여지는 것처럼 비기준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이 문자가 지정된 키영역 밖으로 손가락을 이동하여 터치패드 혹은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손가락을 이격하여 입력시키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의 움직임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부여한다. In the twenty secon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wo letters are assigned to one key, the reference letter is input at the time when the finger touches the designated key area and the other non-reference letter is located in the area beyond the designated key area. In order to input the non-standard characters as shown in FIG. 66, the input is spaced apart from the touch pad or the touch screen by moving the finger out of the designated key area without having to consider the direction. This gives the user the advantage of not having to consider the movement of the finger.

본 발명의 스무 세 번째 구성은 터치패드 혹은 터치스크린이 접촉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하는 기능을 가질 경우 접촉상태에서 입력되는 문자와 누름상태에서 입력되는 문자를 구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도 67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상키패드 혹은 가상키보드의 키에 두 개의 문자가 지정된 경우 기준문자는 접촉상태에서 손가락이 이격되는 경우에 입력되고, 비기준문자는 누름상태를 거쳐서 손가락이 터치패드 혹은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우에 입력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만약 하나의 키에 n 개의 문자가 지정될 경우 기준문자는 접촉상태에서 이격되는 경우에 입력되고, 나머지 비기준문자는 누름 횟수에 따라 순서대로 입력되도록하면 일반적인 키패드에 비해 누름 횟수가 1회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영어 알파벳의 경우 각 키에 3개의 문자가 지정될 경우, 어떠한 문자도 2번의 누름으로 입력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한층 용이한 문자입력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은 누름스위치가 터치패드 전 영역에 적용되는 것 뿐만 아니라 각 키에 국한된 스위치를 갖는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터치패드 전 영역에 적용 될 수 있는 구성은 미국특허 5854625(출원인 Synaptics, Incorporated, San Jose, USA)를 한 예로 들 수 있으며, 각 키에 국한된 스위치를 갖는 경우는 미국특허 7151528(출원인 Cirque Corporation, Salt Lake City, USA)을 예로 들 수 있다. 터치패드 전 영역에 적용되는 구성은 이미 설명되어 생략하고 각 키에 국한된 스위치를 갖는 경우를 도 78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8의 터치패드 장치는 일반적인 키패드폰의 키패드 하부에 터치패드가 설치되어 핸드폰 화면의 조작을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즉 숫자 및 문자의 입력은 키패드를 눌러서 통상적인 키패드 핸드폰과 동일한 조작 방법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본 구성을 적용하면 물리적인 키(7820) 영영과 가상키보드의 키 영역을 1:1로 대응시킨 다음 손가락이 키(7820)를 닿았다가 떨어지면 기준문자를 입력하고, 키를 한 번 눌렀다 손가락을 떼면 스위치(7832)가 off -> on -> off 되어 비기준문자의 첫 번째 것이 입력되며, 손가락이 키(7832)에 닿은 채로 연속해서 두 번 눌러 준 후에 손가락이 키로부터 떨어질 경우 비기준문자의 두 번째 것이 입력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도 78의 국부영역에 스위치를 갖는 터치패드의 경우에도 세개의 문자가 지정된 통상적인 T9 핸드폰자판의 경우에도 각 키에 지정된 문자를 동일한 확률로 사용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기존의 멀티탭핑 핸드론의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평균타수가 (1+2+3)/3 = 2회에서 본 구성이 적용될 경우 (1+1+2)/3=1.3회로 줄어드는 효과를 가져오며 특히 접촉만으로 기준문 자가 입력되는 경우는 누름동작 자체가 없기 때문에 전체적인 입력 피로도는 훨씬 즐어들게 되는 것이다. A twenty-thir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distinguishing a character input in a contact state and a character input in a touch state when the touch pad or the touch screen has a function of distinguishing a contact state from a pressed state. That is, as shown in FIG. 67, when two letters are assigned to the virtual keypad or the key of the virtual keyboard, the reference letter is input when the fingers are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state, and the non-reference letter is pressed through the touch state. It provides a method to be input when spaced from the touch screen. If n letters are assigned to one key, the standard letters are entered when they are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state, and the remaining non-standard letters are entered in ord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es. Will result. In the case of the English alphabet, when three letters are assigned to each key, any character can be input by pressing two times, thereby providing an easier character input method.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push switch is applied to the entire area of the touchpad, but also to a device having a switch limited to each key. The configura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entire area of the touchpad is disclosed in US Pat. , San Jose, USA). For example, US Pat. No. 7,151,528 (Cirque Corporation, Salt Lake City, USA) is an example. The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entire area of the touch pad has already been described and omitted, and the case of having a switch limited to each ke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 of FIG. 78 as follows. The touch pad device of FIG. 78 has a structure in which a touch pad is installed below a keypad of a general keypad phone so that manipulation of a mobile phone screen can be performed using the touch pad. In other words, the input of numbers and letters is to press the keypad to perform the same operation method as a conventional keypad mobile phone. When this configuration is applied to this structure, the physical key 7820 maps the key area of the virtual keyboard to 1: 1, then enters a reference letter when the finger touches the key 7820 and then presses the key once. When the finger is released, the switch (7832) is off-> on-> off, and the first one of the non-reference characters is input.If the finger is removed from the key after pressing the finger twice in succession while touching the key (7832) This is how the second of the characters are entered. In the case of a touch pad having a switch in the local area of FIG. 78, even in the case of a typical T9 mobile phone keyboard in which three characters are assigned, one of the existing multi-tapping handrons is assumed, using the same probability as the letter assigned to each key. If the average stroke for entering the character of (1 + 2 + 3) / 3 = 2 is applied to this configuration, the effect is reduced to (1 + 1 + 2) /3=1.3 times. In the case of input, the overall input fatigue is much more enjoyed because there is no push action itself.

본 발명의 스무 네 번째 구성은 가상키패드 혹은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각 키영역이 비활성상태에서는 모두 일정한 영역을 가지지만 손가락이 키를 지정하는 영역을 접촉하여 그 키가 활성화되면 키를 지정하는 영역이 확장되어 문자입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으로 도 68에 보여지고 있다. In the twenty-four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key area constituting the virtual keypad or the virtual keyboard has a certain area in the inactive state, but if the finger touches an area to designate a key and the key is activated, the area to designate the key is It is shown in FIG. 68 to expand and keep the character input stable.

본 발명의 스무 다섯 번째 구성은 접촉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하는 터치패드의 경우 터치패드의 기능버튼을 터치패드의 누름상태(Depressed State)를 이용하여 대체하는 것이다. 도 69a에 보여지는 것처럼 터치패드를 누름압력이 누름상태(Depressed State)에 해당하는 문턱값 이상에 도달하면 버튼상태가 down(ON) 상태로 전환되고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이격되어 누름압력이 제거되면 버튼상태가 up(OFF) 상태로 전환되는 기능을 부여하여 터치패드를 조작하는 손가락으로 버튼의 기능까지도 담당하게 하는 것이다. 도 69a-I에 보여지는 것처럼 터치패드를 눌러주어 누름압력이 문턱값이상에 도달하는 조작이 버튼을 눌러주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져오고 손가락을 터치패드로부터 이격시키면 눌러 주었던 버튼을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즉 도 69a-I는 마우스 버튼의 클릭(Click) 동작에 해당하고, 도 69a-II는 더블클릭(Double Click)에 해당한다. 이러한 기능은 노트북에 사용되고 있는 터치패드를 작동함에 있어서 두 손가락으로 심지어는 두 손으로 버튼조작에 따르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예 Buttonless Touchpad의 구현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서 보 여지는 바와 같이 한 손으로 작동하는 디지탈기기의 입력장치로 무버튼(Buttonless) 터치패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문자입력과 함께 포인팅기능을 한 손가락으로 (주로 엄지) 이룰 수 있게 해 준다. 본 구성의 누름상태를 이용한 버튼기능의 담당은 기존의 마우스버튼 중 명령실행 버튼(오른손 잡이의 경우 왼쪽 마우스버튼)의 기능을 대체하고, 메뉴확장 버튼(오른손 잡이의 경우 오른쪽 마우스버튼)의 기능은 탭핑(Tapping)에 의해 수행될 경우 Two-button 마우스와 같은 기능 구현에 전혀 지장이 없게 된다. 하지만 본 구성에서는 기존의 탭핑이 손가락이 이격된 상태에서 시작되어지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 69a-V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누름상태를 길게 유지하여 버튼홀드 상태를 구현하고 버튼홀드 상태의 해제를 또 다른 클릭 동작으로 이루게 된다. 이러한 방법을 기존의 탭핑 동작에 부여된 기능을 담당하는데에 적용할 경우 기존의 탭핑 동작은 본 발명의 포인팅모드에서 문자입력모드로의 변환 기능을 부여하거나(문자입력모드에서는 탭핑에 준하는 동작이 발생하므로 문자입력모드에서 포인팅모드로의 전환은 가상키보드 혹은 가상키패드 상의 키 혹은 일정 영역에 변환기능을 부여하여 이 부분을 터치하거나 누를 경우 변환이 이루어지게 하면 된다), 이후에 설명되는 팬(pan) 모드로의 변환 기능을 부여하면 기존의 탭핑 & 터치(기준시간안에 연속적인 터치오프->터치->터치오프->터치의 동작의 완료) 동작이 가지는 기능과 함께 모바일 입력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모든 명령 수행을 한 손으로 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탭핑 동작과 누름동작의 차이는 탭핑이 누름상태를 유발하지 않고 터치(Touch)상태 만을 이용하고 누름동작은 누름상태(Depressed)까지 도달하기 때문에 구분이 용이 하면 더욱이 탭핑동작의 경우 터치(Touch)상태의 유지시간이 일반적인 누름동작에 따르는 누름(Depressed) 혹은 터치(Touch)상태의 유지시간보다 짧기 때문에 이러한 시간의 차이를 이용할 수도 있어서 도 69에 보여지는 기능버튼의 구현과 탭핑 기능의 중복은 충분히 구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노트북 컴퓨터에 장착된 터치패드와 달리 도 6에 보이는 형태의 터치패드 사용 방법에 있어서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빠르기때문에 포인팅작업을 위한 손가락의 움직임이 탭핑과 동일한 동일한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탭핑동작이 이루어지는 touch-off -> touch -> touch-off 과정이 시간에 의해서만 구별되는 것이 아니라 탭핑과정에서 손가락의 변위(△x and △y)가 정해진 기준치(△x° and △y°)내에서 한정(△x < △x° and △y < △y°)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을 갖고 터치패드로 포인팅 작업을 수행하여야 손가락의 빠른 움직임에도 의도하지 않은 탭핑 동작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 점이 본 구성이 추구하는 또 하나의 목표이다. 특히 버튼이 없이 터치패드가 위해서는 한 손으로 드래그 혹은 스크롤(Scroll) 동작이 가능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버튼다운(Button-Down)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야 하는데 도 69a의 III와 IV가 누름상태와 터치상태를 구분하는 터치패드 입력장치에서 버튼없이 드래그 혹은 스크롤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터치패드의 누름상태를 이용한 또 다른 구성이 도 69b와 도 69c에 보여지고 있으며 이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69b 및 c에 대한 '간단한 도면에 대한 설명' 구절에서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그리고 도 69d~f는 누름상태를 갖지 않는 터치패드의 경우에 추가적인 스위치를 터치패드에 장착하여 누름상태를 이 스위치의 on상태로 대체하여 도 69a~c의 터치패드 운용 방식을 그대로 적용함을 보여주고 있다.In a twenty fif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touchpad that distinguishes a contact state from a pressed state, a function button of the touchpad is replaced by using a depressed state of the touchpad. When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touch pad reaches a threshold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pressed state as shown in FIG. 69A, when the button state is turned down (ON) and the finger is spaced apart from the touch pad, the pressing pressure is removed. By giving the function of switching the button state to the up (OFF) state, the finger to operate the touch pad to be responsible for the function of the button. As shown in Fig. 69A-I,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touch pad to reach the threshold value has the same effect as pressing the button, and pressing the finger away from the touch pad restores the pressed button to its original position. It will have the same effect as that. That is, FIGS. 69A-I correspond to a click operation of a mouse button, and FIGS. 69A-II correspond to a double click. This feature not only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button manipulation with two fingers or even two hands, but also enables the implementation of a Buttonless Touchpad. Moreover, as shown in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ttonless touchpad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of a digital device operating with one hand, and a pointing function is performed with one finger (mainly a thumb) together with text input. It allows you. The function of the button function using the pressed state of this configuration replaces the function of the command execution button (left mouse button in case of right-handed operation) among the existing mouse buttons, and the function of the menu expansion button (right mouse button in case of right-handed) is When performed by tapping, there is no problem in implementing a function such as a two-button mouse. However, in this configur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disadvantage that the conventional tapping is started in a state where the fingers are spaced, as shown in FIGS. 69A-V, the pressed state is kept long to implement the button hold state and release the button hold state again. It's a different click action. When this method is applied to the function assigned to the existing tapping operation, the existing tapping operation gives a conversion function from the pointing mode to the text input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apping occurs in the text input mode). Therefore, to switch from the text input mode to the pointing mode, a conversion function is applied to a key or a certain area on the virtual keyboard or the virtual keypad so that the conversion is performed when this part is touched or pressed.), A pan described later If the function of switching to the mode is given, all function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input device together with the functions of the conventional tapping & touch (continuous touch-> touch-> touch-off-> touch operation in the reference time) It offers the convenience of one-handed execution of command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pping operation and the pressing operation is that the tapping does not cause the pressing state, but only the touch state is used, and the pressing operation reaches the depressed state. Since the holding time of the state is shorter than the holding time of the depressed or touch state according to the general pressing operation, the difference in time can be used. Thus, the overlapping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function button and the tapping function shown in FIG. It can be used sufficiently distinctly. Unlike a touch pad mounted on a general notebook computer, in the method of using the touch pad shown in FIG. 6, since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fast, the movement of the finger for the pointing operation has the same result as tapping.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ouch-off-> touch-> touch-off process in which the tapp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ime, but the reference value (Δx) in which the displacement of the finger (Δx and Δy) is determined in the tapping process. It is such that it is defined within (° and Δy °) (Δx <Δx ° and Δy <Δy °). With this condition, the pointing operation must be performed with the touch pad so that an unintentional tapping operation does not occur even with a rapid movement of a finger. This is another goal of this composition. In particular, the touchpad without a button should be able to drag or scroll with one hand and provide a way to maintain the button-down state. It shows how to implement a drag or scroll operation without a button in the touchpad input device that distinguishes between touch state. Another configuration using the pressed state of the touchpad is shown in FIGS. 69B and 69C, and the description of this configuration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section 'Simple Description' for FIGS. 69B and C. 69d to f show that in the case of a touchpad that does not have a pressed state, an additional switch is mounted on the touchpad to replace the pressed state with the on state of the switch to apply the touchpad operating method of FIGS. 69a to c. Giving.

본 발명의 스무 여섯 번째 구성은 터치패드의 크기와 터치패드와 연결된 화면장치이 크기의 차가 커서 터치패드 상에서 손가락 움직임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포인팅 기능이 완수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이격 되더라도 버튼상태가 off 상태로 변환되지 않는 영역을 제공하여 드래그 및 스크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또 다른 구성이다. 도 70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드래그(Drag) 기능이 수행되는 이동 거리가 터치패드 상하, 좌우 거리보다 크게 될 경우 손가락이 터치패드의 가장자리에 이르면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이격되어 드래그하던 반대 방향으로 되돌아가서 손가락을 다시 터치패드에 접촉하여 드래그 동작을 지속하여야 하는데 기존의 터치패드 포인팅장치는 버튼이 있어서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이격하여 드래그 동작을 지속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스무 다섯 번째의 구성에 해당하는 도 69-III에 보여지는 방법이 적용될 경우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이격 될 경우 터치오프(Touch-Off)상태가 되어 버튼업(Button-Up)상태를 실행시키므로 문제가 발생 되는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도 69-IV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지만 이 방법 이외에도 도 70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터치패드의 비활성영역을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비활성영역(도 70에서 활성영역(7003)을 제외한 영역)에서는 손가락이 이격 되더라도 버튼업(Button-up)상태를 유발하지 않고 버튼홀드(Button-hold)상태를 유지시켜 손가락이 터치패드에 다시 접촉하여 버튼다운(Button-down)상태가 유지된 상태로 드래그(drag) 동 작을 지속할 수 있게 하여 주는 것이다. 비활성영역은 손가락의 터치패드로부터의 이격됨으로인해 터치오프(Touch-off)상태로의 전환이 이루어져도 버튼 상태는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가지만 다른 기능에는 활성영역과의 차이가 없다. 즉 비활성영역에서도 누름압력이 누름상태 문턱값보다 크게 되면 버튼다운(Button-down)상태로의 전환은 이루어져서 클릭, 더블클릭할 수 있는 영역에 하등의 제한은 없어서 본 구성에 의해 터치패드의 포인팅기능에 지장이 유발되지 않게 된다. 본 구성은 도 22에 보여지는 기계적 바닥스위치(Bottom SW)를 갖는 터치패드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바닥스위치가 on 되었다 off 상태로 변환되더라도 손가락이 터치패드에 접촉된 동안(touch-hold)에는 on 상태와 동일한 명령이 실행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즉 [SW-On]상태를 -> [Button-down]에, [SW-Off]를 -> [Button-up]에 대응되는 명령실행에 더불어서 [SW-On]에 이어지는 [SW-Off & Touch-On]상태를 [Button-down] 명령실행으로 이행하는 것이다. 이는 드래그 동작 중에 바닥스위치(Bottom SW)를 계속 눌러 줄 경우 손가락 피로감과 기계적인 장애 유발 요인도 제거할 수 있게 한다.In the twenty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touch pad and the screen device connected to the touch pad are large, and the button state is maintained even if the finger is separated from the touch pad in order to complete the pointing function when the finger movement is repeatedly performed on the touch pad. Is another configuration that provides a way to implement drag and scroll functionality by providing an area that does not turn off. As shown in FIG. 70, when the moving distance at which the drag function is performed is greater than the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distances of the touch pad, when the finger reaches the edge of the touch pad, the finger is spaced apart from the touch pad and returned to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drag. The touch panel again touches the touch pad to continue the drag operation. The existing touch pad pointing device has a button so that while the button is pressed, the finge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touch pad to continue the drag operation. When the method shown in FIG. 69-III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is applied, a problem occurs because the touch-off state is executed when the finger is spaced from the touch pad and the button-up state is executed. To overcome this, the method of FIG. 69-IV may be used. However, as shown in FIG. 70, a method using an inactive area of the touch pad may be used. In the inactive region (the region except for the active region 7003 in FIG. 70), the finger touches the touch pad again by maintaining the button-hold state without causing a button-up state even when the fingers are spaced apart. This allows the drag operation to continue while the button-down state is maintained. The non-active area has a function of maintaining a button state even when a switch is made to the touch-off state due to the distance from the touch pad of the finger, bu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active area and other functions. In other words, if the pressing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pressing state threshold even in the inactive area, the switch is switched to the button-down state, and there is no limit to the area where it can be clicked and double-clicked. It will not cause trouble. This configura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touchpad having a mechanical bottom switch (Bottom SW) shown in FIG. 22. Even if the floor switch is turned on and off, the touch pad is held in the on state while the finger touches the touchpad. This is how the same command is executed. That is, [SW-Off & Touch] followed by [SW-On] with command execution corresponding to [SW-On]-> [Button-down], [SW-Off]-> [Button-up]. -On] transitions to the [Button-down] command execution. This also eliminates finger fatigue and mechanical disturbances if the bottom switch is kept pressed during the drag operation.

본 발명의 스무 일곱 번째 구성은 접촉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하는 터치패드의 경우 누름압력 문턱값과 접촉상태 문턱값이 각각 하나의 기준값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누름동작시와 누름동작해제시, 접촉동작시와 이격시의 누름압력의 기준값을 달리하여 누름상태와 접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만약 접촉상태와 누름상태를 위한 문턱압력을 각각 하나의 기준값을 가질 경우 이 기준값 근처에서 누름압력이 머물게 될 경우 비접촉상태 <-> 접촉상태 <-> 누름상태의 변환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도 72와 같이 비접촉상태에서 접 촉상태로 전환될 때 적용되는 누름압력의 문턱 값(Ztouch)이 접촉상태에서 비접촉상태로 전환될 때 적용되는 누름압력의 문턱 값(Zdetouch)보다 크게 하여 일단 접촉상태로 전환되면 두 개의 문턱 값의 차이(Ztouch - Zdetouch)보다 큰 누름 압력의 감소가 없으면 비접촉상태로의 전환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비접촉상태에서는 누름압력의 문턱 값(Ztouch)보다 작은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이를테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사소한 접촉 혹은 터치패드의 예민한 감도에 의해 손가락이 터치패드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라도 터치온(Touch-on)상태로의 전환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준다. 누름상태에 적용되는 누름압력 문턱 값도 접촉상태에서 누름상태로 전환될 때 적용되는 기준 값(Zdepress)이 누름상태에서 접촉상태로 전환될 때 적용되는 기준 값(Zpress - up)보다 크게 하여 누름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며 이는 클릭과 더블 클릭의 구분을 확실하게 하여 준다. 그리고 본 구성에 따른 버튼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기존의 버튼과 달리 터치패드를 눌러 주는 동작에서 포인터의 움직임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포인터의 위치가 바뀌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누름압력이 누름상태 문턱 값보다 크게 되면 포인터가 정지되도록 하여 포인터 위치가 정지된 상태에서 명령실행을 할 수 있게 된다.In the twenty seven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touch pad for distinguishing a contact state from a pressed state, the pressing pressure threshold value and the contact state threshold value do not each have a single reference value, but at the time of the pressing operation and the pressing operation release, the contact operation time. It provides a method to keep the pressed state and the contact state stably by changing the reference value of the pressing pressure at the time of separation and the distance. If the threshold pressure for the contact state and the pressed state each has one reference value, if the pressing pressure stays near this reference value, there occurs a problem that the switching of the non-contact state <-> contact state <-> pressed state occurs repeatedly. As shown in FIG. 72, the threshold value Z touch of the press pressure applied when the contact state is switched from the non-contact state to the contact stat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Z detouch applied when the contact state is changed from the contact state to the non-contact state. Once switched to contact state, it is not easy to switch to non-contact state unless there is a reduction in the pressing pressure greater tha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resholds (Z touch -Z detouch ). Similarly, in a non-contact state, if a pressure is applied which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of the touch pressure (Z touch ), for example, the user does not touch the touch pad even when the finger does not touch the touch pad due to unintentional minor contact or sensitive sensitivity of the touch pad. -on) prevents the transition to the state. The pressing pressure threshold value applied to the pressed state is also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Z press - up ) applied when switching from the contact state to the pressed state (Z depress ). The pressed state remains stable, which ensures a distinction between clicks and double clicks. And in implementing the butt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configuration, unlike the existing buttons, the movement of the pointer occurs when the user presses the touch pad, so that the pressing pressure is larger than the pressing state threshold value to prevent the user from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desired pointer. If the pointer is stopped, the instruction can be executed while the pointer is stopped.

본 발명의 스무 여덟 번째 구성은 누름상태를 가지지 않는 일반적인 터치패드 혹은 터치스크린에서도 드래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도 7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통상적인 탭핑(Tapping)과 더블 탭핑(Double Tapping)은 각각 터치온 -터치오프(7301), 터치온-터치오프-터치온(7302)의 간격이 정해진 기준시간(△tinterval)보다 작은 경우에 적용되어 이미 노트북 컴퓨터에 장착된 터치패드 등에 클릭과 더블클릭 동작의 기능으로 이미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포인팅 작업에서 많이 사용되는 드래깅(Dragging) 작업의 경우 드래깅 구간이 길어질 경우 손가락이 터치패드 혹은 터치스크린으로부터 떨어졌다가 다시 접촉해서 드래깅 구간을 마쳐야 하는데 이때 터치오프 상태가 발생하여 터치온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드래깅 작업이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드래깅(Dragging) 작업의 버튼 다운(Button-Down)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은 도 73(III)의 730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탭핑 & 터치 동작에 의한 버튼다운 상태의 유지는 다음 탭핑 동작(7304)이 발생할 때까지 지속되도록 하면 단순한 터치오프에 의한 클릭-홀드 상태의 해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자유롭게 드래깅(Dragging) 작업을 완수할 수 있게 된다.The twenty eigh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mplementing a drag function even in a general touch pad or a touch screen that does not have a pressed state. As shown in FIG. 73, the normal tapping and the double tapping each have a reference time at which the intervals of the touch-on-touchoff 7301 and the touch-on-touchoff-touchon 7302 are defined. t interval ) is already used as a function of click and double-click operation, such as the touch pad installed in the notebook computer. However, in the case of dragging, which is frequently used in pointing work, when the dragging section becomes long, the finger should move away from the touch pad or touch screen and touch again to finish the dragging section. The problem is that the dragging operation is stopped.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method of releasing the button-down state of the dragging operation is shown in 7303 of FIG. 73 (III). By continuing until 7314 occur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lease of the click-hold state by a simple touch-off and to freely complete the dragging operation.

본 발명의 스무 아홉 번째 구성은 접촉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하나의 키에 복수의 문자가 지정되어 문자입력을 구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누름상태를 이용하여 각 키에 지정된 복수의 문자를 가상키보드 상에서의 확대 배열을 손쉽게 입력하는 방법이다. 즉 도 75f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상키보드 상에서 원하는 문자가 지정된 키를 확인한 후에 누름상태에 이르게 하여 지정된 숨겨진 복수의 문자를 화면에 보여지게 한 다음 원하는 문자영역으로 포인터를 이동하여 원하는 문자영역이 선택되면 손가락을 터치패드로부터 이격하여 입력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좁은 터치패드 영역에 다수의 키를 배열하여 통상적인 키패드 핸드폰의 키 숫자에 해당하는 분할된 터치패드 영역으로도 손쉽게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는 아래의 구성에 비해 키의 활성화를 위한 누름동작이 굳이 필요 없음에도 불구하고 활성키를 확실하게 선택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에 본 발명은 도 75aa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손가락이 터치패드에 처음 닿는 부분에 지정된 키가 활성화되어 그 키에 지정된 다수의 문자가 화면에 펼쳐지는 경우 위의 설명과 달리 굳이 누름 동작을 취하지 않고 활성키에 지정된 다수의 문자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주고 전혀 누름동작이 필요치 않은 입력방법을 제공한다. 하지만 문제는 터치패드에 손가락이 닿은 영역이 입력하고자 하는 활성문자 영역이 아닌 다른 키 영역일 경우 손가락을 떼었다가 다시 원하는 영역에 손가락을 닿게 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더욱이 잘못된 영역에서 입력이 이루어질 경우 이를 수정해야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을 발생한다. 이를 극복하는 방안은 손가락의 터치패드 접촉으로 이미 어느 하나의 키가 활성화되어 다수의 문자가 화면에 확대 나열된 경우에라도 활성키 이외의 영역으로 손가락을 이동한 다음 터치패드를 눌러줄 경우 손가락이 이동된 터치패드 영역에 해당하는 키가 활성화되는 방법이다. 이는 도 75aac에 도시되어 있으며, 일본어에서 이미 활성화된 키(あ행)를 다른 키(た행)로 변경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즉 원하는 문자는 타(た)행인데, 실수로 아(あ)행을 선택한 경우 손가락을 터치패드에 닿은 상태에서 타(た)행에 해당하는 터치패드 영역으로 손가락을 이동하여 눌러주면 접촉상태에서도 타(た)행이 활성화되고 그에 지정된 문자들이 가상키보드 상에 확장 배열되어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손가락의 터치패드 접촉상태에서의 활성화키의 변경 방법은 터치에 의한 활성키 설정 방법에서 활성키의 선택이 잘못되었을 경우 쉽게 수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러한 활성화 키 변경 방법은 터치에 의한 키 활성화를 손쉽게 적용할 수 있게 하여준다. 만약 손가락이 터치패드에 닿아 있는 상태에서 활성키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없다면 터치에 의한 키 활성화는 조심스럽게 더디게 진행되어야 하며, 특히 활성키 선정 오류로 인해 발생되는 문자입력 오류는 또 다른 불편함을 가져온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은 누름스위치가 터치패드 전 영역에 적용되는 것 뿐만 아니라 각 키에 국한된 스위치를 갖는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터치패드 전 영역에 적용 될 수 있는 구성은 미국특허 5854625(출원인 Synaptics, Incorporated, San Jose, USA)를 한 예로 들 수 있으며, 각 키에 국한된 스위치를 갖는 경우는 미국특허 7151528(출원인 Cirque Corporation, Salt Lake City, USA)을 예로 들 수 있다. 터치패드 전 영역에 적용되는 구성은 이미 설명되어 생략하고 각 키에 국한된 스위치를 갖는 경우를 도 78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8의 터치패드 장치는 일반적인 키패드폰의 키패드 하부에 터치패드가 설치되어 핸드폰 화면의 조작을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즉 숫자 및 문자의 입력은 키패드를 눌러서 통상적인 키패드 핸드폰과 동일한 조작 방법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본 구성을 적용하면 물리적인 키(7820) 영역과 가상키보드의 키 영역을 1:1로 대응시킨 다음 손가락이 키(7820)를 닿으면 그 키 영역에 지정된 문자들이 도 75aaa에서와 같이 가상키보드 상에 확대 배열되고, 현재 활성키가 아닌 키의 위치로 손가락을 이동하여 눌러주면 그 키에 지정된 문자들이 가상키보드 상에 확대 배열되도록 하는 것으로 터치패드 전 영 역에 스위치센서가 있는 경우와 동일하게 문자입력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는 방법은 키패드의 스위치를 터치패드의 굳이 가상키보드의 키 영역과 물리적인 키(7820)의 영역을 1:1로 대응시킬 필요가 없이 물리적인 키는 단지 스위치 장치로만 사용하는 것이다. 즉 물리적인 키의 간격이 손가락보다 크더라도 누름동작이 어떠한 키라도 상관없이 누를 수 있어서 터치패드를 누름상태에 이르게 하면 된다. 즉 물리적인 키의 간격이 너무 넓더라도 키가 터치패드 영역을 누르는 동작이 많은 키 중에 하나 혹은 다수의 키를 눌러 키 포스트(7824)가 스위치(7832)를 작동시킬 수 있을 정도면 되고, 반대로 키의 간격이 너무 작아 동시에 여러개의 키를 눌러 여러 스위치를 작동시키더라도 이들 스위치를 병렬관계로 연결시켜서 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하면 누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결국 스위치가 한 개이든 복수 개이든 갯 수는 의미가 없고 총체적으로 이들 스위치가 단일화된 스위치 기능을 담당하면 되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본 발명이 가지는 장점은 구조적인 면에서 터치패드는 고정이 되고 대신 터치패드 위에 위치한 탄성체만이 움직이게 되어 포인팅 작업 및 문자입력 작업에서 손가락의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적고 힘도 적게 들어 그 만큼 뛰어난 효율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보여주는 것이 도 78g이다. 특히 도 78g1(B)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원형 부분은 누름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Cirque의 특허에서 터치패드 전체가 움직여야 하는 경우에 비해 단지 일부 탄성체 부분만 눌려지는 것으로 동일한 효과를 가져옴을 보여준다. 도 78g1의 각 부품들은 도 78b1과 도 78c1의 것들과 동일하며 단지 터치패드 하부에 있는 스위치를 눌러 줄 수 있는 기둥(7858)이 추가된 점이 상이한 점이다. 본 발명이 가지는 장점들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탄성체의 이용 뿐만 아니라 도 70에 보여지는 탄성체의 분할 사용과 더 나아가서 도 78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탄성체의 중앙에 구멍을 낼 수 있다는 점이며 심지어는 도 78b2, 도 78b3, 78b4 및 도 78c2, 도 78c3와 도 78c4에 보여지는 것과 같이 폴리우에탄 폼 스폰지 등의 공기가 내포된 탄성체 대신에 실리콘고무(도 78b2) 혹은 0.2mm 두께의 폴리에틸렌 혹은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같은 휨 성질을 갖는 필름을 스페이서(7852)에 의해 터치패드로부터 분리시켜 공기층을 형성하면 스폰지와 마찬가지로 터치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과 관련되어서는 더욱 다양한 구조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심지어 이들 공기 층에 도 78g4와 도 78g5에 보이는 바와 같이 메탈돔 혹은 스프링을 삽입하여 누름상태의 느낌을 전달하든지 복원력의 증가도 꾀할 수 있다. 또 Cirque의 특허와는 달리 터치패드 하부에 스위치(7832)를 가질 필요가 없이 단지 스위치 작동 느낌만을 줄 수 있는 회로가 연결되지 않은 메탈돔과 같은 똑딱스위치(7857)를 배치하여 사용자가 터치패드를 눌러 주었을 때 누른 느낌을 받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8에 보여지는 본 구성의 터치패드 모듈 구조는 도 49에 보여지는 터치상태와 누름상태가 구분되는 정정용량의 변화 값을 보여준다. 특히 터치패드와 손가락이 닿는 면의 간격이 좁아져서 도 49에 보여지는 터치면(St)와 누름면(Sp)가 손가락 접촉면적에 관계 없이 분리되지 못하고 터치면(St)의 최고값이 누름면의 최저값보다 커지게 될 경우가 생기는 경우는 도 49의 z축 값을 일반적으로 정전용량 변화로부터 산출되는 터치패드의 압력값(Z)대신에 이를 손가락이 닿는 면적으로 나눈 보정 압력 Z'(Z/A - Here, Z is a pressure value calculated from pure electrostatic change due to a touch, and A is touched area calculated from the change of electrostatic charge along X-Y coordinates)을 이용하면 Z'는 손가락이 터치패드의 닿는 면적의 변화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무시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식 (1)에 근거하여 볼 때 정전용량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에서 면적을 제거하면 누름압력의 계산은 단순히 손가락의 터치패드로부터의 이격 거리와 손가락이 터치패드를 누름에 따라 손가락과 터치패드 사이에 놓인 공기층이 사라짐으로 해서 발생하는 정전용량 변화의 증폭효과 만이 변수로서 작용하게 되어 터치상태와 누름상태의 구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또 다른 본 구성의 요소이다.In the twentieth nin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ssigned to one key by using a touch pad that distinguishes a contact state from a pressed state. This is an easy way to enter a magnified array of characters on a virtual keyboard. That is, as shown in FIG. 75F, after confirming a key to which a desired letter is assigned on the virtual keyboard, the pressed state is reached to display a plurality of specified hidden characters on the screen, and then move the pointer to the desired letter area to select the desired letter area. The method of inputting a finger away from the touch pad. This method arranges a plurality of keys in a narrow touch pad area so that characters can be easily input into a divided touch pad area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keys of a conventional keypad mobile phone. However, this is a method for surely selecting an activation key even though a pressing operation for activating the key is not necessary compared to the following configuration. Thus, as shown in FIG. 75aaa, when a key designated at a portion where a finger first touches the touch pad is activated and a plurality of characters assigned to the key are spread out on the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is activated without taking a pressing action unlike the above description. It makes it easy to select multiple characters assigned to keys and provides an input method that does not require any pressing action. However, the problem is that if the area where the finger touches the touch pad is a key area other than the active character area that you want to input, you have to release your finger and touch the finger again to the desired area. There is a problem that needs to be corrected. To overcome this problem, even if a key is already activated by touching the touch pad of a finger and a large number of characters are listed on the screen, if the user moves the finger to an area other than the active key and then presses the touch pad, the finger is moved.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touch pad area is activated. This is illustrated in FIG. 75Aac and shows how to change an already activated key (row A) to another key (TA row) in Japanese. In other words, the desired character is the other line, but if you select the line (a) by mistake, move your finger to the touchpad area corresponding to the other line when you touch your touchpad. The other line is activated and the characters assigned to it are expanded on the virtual keyboard so that they can be selected. The method of changing the activation key in the touch pad contact state of the finger provides a method that can be easily modified when the selection of the activation key is incorrect in the activation key setting method by touch. It makes it easy to apply activation. If the activation key cannot be changed while the finger is in contact with the touchpad, the activation of the key by touch should be done slowly, especially the character input error caused by the error of the activation key selection brings another inconvenience. .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push switch is applied to the entire area of the touchpad, but also to a device having a switch limited to each key. The configura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entire area of the touchpad is disclosed in US Pat. , San Jose, USA). For example, US Pat. No. 7,151,528 (Cirque Corporation, Salt Lake City, USA) is an example. The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entire area of the touch pad has already been described and omitted, and the case of having a switch limited to each ke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 of FIG. 78 as follows. The touch pad device of FIG. 78 has a structure in which a touch pad is installed below a keypad of a general keypad phone so that manipulation of a mobile phone screen can be performed using the touch pad. In other words, the input of numbers and letters is to press the keypad to perform the same operation method as a conventional keypad mobile phone. Applying this configuration to this structure, the physical key 7820 area corresponds to the virtual keyboard key area 1: 1, and when a finger touches the key 7820,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key area are displayed as shown in FIG. 75aaa. If you move the finger to the position of a key that is not the currently active key and press the finger on the position of the virtual keyboard, the letters assigned to the key will be arranged to be enlarged on the virtual keyboard. Character input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way. In order to use this structure more conveniently, the physical key is used only as a switch device without the need for the keypad switch to correspond 1: 1 with the key area of the virtual keyboard and the area of the physical key 7820. It is. In other words, even if the physical key distance is larger than the finger, the pressing operation can be pressed regardless of any key, so that the touch pad can be pressed. That is, even if the physical key is too wide, the key post may press the key pad 7824 to operate the switch 7832 by pressing one or a plurality of keys in which the key presses the touch pad area. Even if the interval of is too small to operate several switches by pressing several keys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se switches in a parallel relationship so that at least one of them is pressed to perform a pressing operation. After all, the number of switches, whether they are single or plural, does not make sense, and all of these switches need to function as a unified switch. In the same vein, the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touch pad is fixed in structure, and instead, only the elastic body positioned on the touch pad is move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finger in the pointing and text input tasks is relatively low and the strength is low. You have efficiency. 78g shows this point. Particularly, the circular part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78G1 (B) shows a pressed state. In the Cirque patent, only a part of the elastic body is pres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entire touch pad needs to be moved, which shows the same effect. The components of FIG. 78G1 are the same as those of FIGS. 78B1 and 78C1, except that a pillar 7558 that can press a switch under the touchpad is adde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at not only the use of the elastic body but also the divisional use of the elastic body shown in FIG. 70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make a hole in the center of the elastic body as shown in FIG. 78b3, 78b4 and 78c2, 78c3 and 78c4 instead of air-containing elastomers such as polyethane foam sponge, such as silicone rubber (Fig. 78b2) or 0.2 mm thick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film When the film having the bending property is separated from the touch pad by the spacer 7772 to form an air layer, not only the sponge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touch state and the pressed state, but also related to lighting, it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tructures. Even in these air layers, as shown in FIGS. 78g4 and 78g5, metal domes or springs can be inserted to provide a feeling of depression or increase resilience. Unlike Cirque's patent, it is not necessary to have a switch 7832 below the touch pad, and a tick switch 7857, such as a metal dome, which is not connected to a circuit which can give a feeling of switching operation, can be arranged so that a user can use the touch pad. You can also feel it pressed when pressed. The structure of the touch pad module of the present configuration shown in FIG. 78 shows a change value of the correction capacitance in which the touch state and the pressed state shown in FIG. 49 are distinguished. In particular,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ouch pad and the surface where the finger touches becomes narrow, the touch surface St and the pressing surface Sp shown in FIG. 49 cannot be separated regardless of the finger contact area,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touch surface St is pressed. In the case where it becomes larger than the minimum value of, the z-axis value of FIG. 49 is divided by the area where the finger touches, instead of the pressure value Z of the touch pad, which is generally calculated from the capacitance change, and Z '(Z / A-Here, Z is a pressure value calculated from pure electrostatic change due to a touch, and A is touched area calculated from the change of electrostatic charge along XY coordinates This makes it possible to ignore the change in pressure. Therefore, based on Equation (1), if the area is removed from the factor that can cause the change in capacitance, the calculation of the pressing pressure is simply performed by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touch pad of the finger and the finger as the finger presses the touch pad. Another element of the present configuration is that the amplification effect of the capacitance change caused by the disappearance of the air layer disposed between the touch pads acts as a variable to facilitat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ouch state and the pressed state.

본 발명의 서른 번 째 구성은 도 77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접촉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하는 방법 즉 탄성체를 이용한 터치패드의 누름압력값의 이분화를 다중접촉 터치패드에 적용하여 기능버튼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 thirtie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7, a method of distinguishing a contact state from a pressed state, that is, applying a dividing value of a pressing pressure of a touch pad using an elastic body to a multi-contact touch pad to apply a function of a function button. To provide.

본 발명의 서른 한 번째 구성은 도 79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나의 키에 다수의 문자를 지정하는 경우 그 키에 해당하는 터치패드 영역에 손가락이 닿았을 경우 키 주위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12시 방향으로부터 차례대로 지정된 문자를 배열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배열하는 경우 오른손잡이, 왼손잡이 가릴 것 없이 항상 일정한 규칙을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도 80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 키에 지정되는 문자의 숫자가 동일하고 일정한 규칙을 가질 경우 각 키에 지정된 문자를 기억할 필요가 없으면 단지 각 키에 지정된 문자들의 특성만을 기억하면 되므로 손쉽게 문자입력 방법을 터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터치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하는 터치패드 입력장치는 도 75aac에 보여지는 활성키 변환기능과 더불어 동일한 활성키를 연속으로 눌러줌으로 동일한 키에 지정된 여러 그룹을 가상키보드 순서적으로 배열하여 활성키에 바로 인접한 위치에 일정한 규칙으로 배열되어 한결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방법도 제공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최적의 입력 방법을 채택하도록 한다. 즉 손가락 이동거리가 길더라도 누름 동작이 없는 경우를 선호하는 경우는 도 75c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 키에 지정된 모든 문자를 가상키보드 상에 배열하여 사용자가 한 번에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손가락 이동 거리가 가능한 짧은 것을 선호하는 사용자에게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하나의 키에 지정된 다수의 문자를 특성별로 그룹화하여 터치패드를 누르는 횟수에 따라 화면에 순서적으로 배열하여 손가락 이동을 가상키보드의 키 하나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thirty-first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9, when a plurality of letters are assigned to one key, when the finger touches a touch pad area corresponding to the key, the 12 o'clock direction is symmetrically around the key. Arranges the characters specified in order from. In this arrangement, the right handed or left handed can always apply certain rules. Especially, as shown in FIG. 80, when the number of letters assigned to each key is the same and has a certain rule, the letters assigned to each key can be remembered. If you do not need to remember on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assigned to each key, you can easily learn how to input characters. Therefore, the touchpad input device that distinguishes the touch state from the press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sequentially arranges multiple groups assigned to the same key by sequentially pressing the same active key together with the activation key conversion function shown in FIG. 75Aac. In addition, it is arranged with a certain rule in a position immediately adjacent to the activation key to provide a method for easy input, so that the optima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is adopted. In other words, if the finger movement distance is long and there is no push action, as shown in FIG. 75C, all characters assigned to each key are arranged on the virtual keyboar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m at once, and vice versa. For users who prefer to be as short as possible, a number of characters assigned to one key can be grouped according to a certain rule and arrang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touchpad is pressed. Make sure you choose a method that doesn't deviate.

본 발명의 서른 두 번째 구성은 도 81과 도 8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상키보드에서 각 키에 두 개의 문자를 배열하여 한 번의 누름 동작으로 하나의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경우로서 모음을 하나의 줄에 배열하여 초성, 중성, 종성을 갖는 문자의 입력이 용이하도록 한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을 위해서 열의 수를 5~7개로 조정할 수 있으며 도 81과 82는 열의 수를 5개로 고정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중국어와 같이 모음의 변화가 적은 경우에는 터치상태만으로 입력이 가능하나, 한글이나 일본어 및 힌두어와 같이 추가적인 배열이 필요한 경우는 누름상태도 이용하여 모음의 입력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더욱이 일본어의 경우 모음에 해당하는 문자가 존재하지만 실제로는 한글과 같은 조합형이 아니고 각 문자가 이미 모음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한글과 같은 형태의 받침형 모음을 추가함으로써 실질적인 자음+모음 체계를 구축하여 기존의 문자판 체계를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thirty secon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in which two characters are arranged on each key in a virtual keyboard as shown in FIGS. 81 and 82 so that one character is input by one pressing operation. It is a method to make it easy to input the characters having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ity by arranging. For this method, the number of columns can be adjusted to 5-7, and FIGS. 81 and 82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number of columns is fixed to five. If the vowel changes are small, such as Chinese, it is possible to input only by the touch state. However, when additional arrangement such as Korean, Japanese, and Hindi is required, the vowel can be input using the pressed state. Furthermore, in the case of Japanese, there i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vowel, but in reality, it is not combinatorial type like Hangul, and each character already contains vowel, so by adding a subtype vowel in the form of Hangul, the actual consonant + vowel system is constructed. You can easily input while using the existing dial system.

본 발명의 서른 세 번째 구성은 터치패드를 이용한 가상키보드 입력시스템에서 화면상의 가상키보드를 대신하여 입력상태를 터치패드에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핸드폰의 화면상에서 가상키보드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78d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손가락이 접촉한 터치패드 영역과 동일한 가로좌표 혹은 세로 좌표를 갖는 영역을 조명하여 굳이 가상키보드를 보지 않더라도 현재 손가락에 의해 활성화된 가상키보드의 키를 확인할 수 있게 해 주는 구성이다. 낮과 같이 밝은 때는 활성키와 동일한 가로좌표 혹은 세로 좌표를 갖는 영역을 조명하여 확인하고, 밤과 같이 터치패드를 밝혀주어야 하는 경우에는 터치패드 전체 영역은 조명을 하고 단지 활성키 영역과 동일한 가로좌표 혹은 세로 좌표를 갖는 영역만의 조명을 사라지게 하는 방법으로 활성화된 가상키보드의 키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더 나아가서 도 78d, 78e의 활성키와 동일한 가로좌표 혹은 세로 좌표를 갖는 영역을 다른 색으로 구분하여 조명할 수도 있다. 본 구성을 위한 터치패드 구조는 도 78b1~3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도 78b1은 폴리우레탄 폼 스폰지(polyurethane foam sponge)와 같은 탄성체를 이용한 경우이고 도 78b2는 실리콘고무(Silicon Rubber)를 이용한 돔 형태의 탄성체 구조를 가지는 경우이며 도 78b3 와 78b4는 탄성체 대신에 순수한 공기층만을 이용한 경우이다. 도 78b3와 도 78b4의 차이는 손가락이 닿는 필름의 복원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공기층 내에 메탈 돔(7852m)이 삽입된 점이며 이러한 메탈돔은 원추형 스프링으로 대체하여도 무방하며 메탈돔이 원추형 스프링보다 나은 점은 눌려졌을 때 사용자가 똑딱하는 느낌을 전달하여 누름상태를 전달할 수 있는 점이다. 탄성체 지지체(7853)는 도 7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탄성체(7852)를 터치패드(7854)위에 위치시키고, 핸드폰 본체(7855 - 보다 정확하게는 본체(7855)에 위치한 LED와 같은 발광체(7856))에서 발생 되는 빛을 손가락이 닿는 부분(7851)까지 투과되도록 투명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8b1의 경우 탄성체(7852)로 불투명한 스폰지가 사용되기 때문에 가운데 구멍을 만들어서 빛의 통로를 만들지만, 도 78b2의 경우 빛이 직접 불투명한 탄성체를 다다라서 조명되기 때문에 스폰지와 같이 가운데 영역에 구멍을 만들 필요는 없으며 더욱이 도 78b3와 도 78b4의 경우는 손이 닿는 부분(7851")이 폴리에틸렌 필름 혹은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같은 투명 혹은 불투명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손이 닿는 부분(7851")의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빛의 투과성과 핸드폰의 밀폐성을 추구하기 위해 터치패드 부착면(7853)은 투명한 재질을 이용하고 손가락 접촉부분(7851)은 반투명 재질 혹은 일부 투명한 영역(키에 지정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함)을 갖는 불투명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체로 공기층을 이용하는 경우 스폰지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터치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할 수 있는 이격거리를 더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도 78b1에서 탄성체인 스폰지의 두께가 1mm인 경우와 동일한 조건에서 순수한 공기층만을 이용하는 도 78b3과 도 78b4의 경우 0.5mm의 공기층 두께로도 터치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할 수 있는 터치패드의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해 준다. 공기의 유전 율이 기타 물질의 반 이하 이므로 식 (1)에서 비추어 공기를 유전체로 사용하는 경우 두 전극의 거리의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가 배 이상 증가되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본 구성이 추구하는 바는 터치패드 입력장치도 기존의 키패드 핸드폰의 각 키의 손가락 접촉부분이 밝은 곳과 어두운 곳에서 모두 이용될 수 있도록 것과 같은 것으로 단면 모식도와 조감도가 도 78c에 나타나 있으며 이를 터치패드와 수직방향으로 펼쳐져 보인 것이 도 78b에 나타나 있다. 그리고 이들 내부 발광장치에 의한 조명과는 별도로 터치패드의 바깥쪽에 터치패드의 가상키보드 배열과 동일하게 외부 발광체(7871, 7872)를 배열하여 가상키보드의 활성키의 위치를 확인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이 도 78f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발광원이 늘 켜져 있는 상태에서 색을 달리하여 현재 가상키의 위치(7862)를 확인하게 하거나 아니면 가상키에 해당하는 위치의 발광체만을 켜서 위치를 확인하게 할 수 있다. A thirty thir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splaying an input state on a touch pad in place of a virtual keyboard on a screen in a virtual keyboard input system using a touch pad. This is a method for minimizing the area occupied by the virtual keyboar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phone. As shown in FIG. 78D, an area having the same abscissa or vertical coordinates as the touchpad area where a finger touches is illuminated, even if the user does not see the virtual keyboard. This configuration allows you to check the keys of the virtual keyboard activated by your finger. When it is bright like day, check by checking the area with the same horizontal or vertical coordinates as the activation key.If you need to illuminate the touchpad at night, the whole area of the touchpad is illuminated and only the same horizontal coordinate as the activation key area. Or, the key of the activated virtual keyboard can be checked by disappearing the lighting of only the region having the vertical coordinate. Furthermore, an area having the same abscissa or ordinate as the activation keys of FIGS. 78D and 78E may be illuminated by different colors. The touch pad structure for this configuration is shown in detail in FIGS. 78B1 to 3. Figure 78b1 is a case using an elastic body, such as polyurethane foam sponge (Fig. 78b2) is a case having a dome-shaped elastomer structure using silicone rubber (Fig. 78b3 and 78b4 is a pure air layer instead of the elastic body only) This is the case. The difference between Fig. 78b3 and Fig. 78b4 is that a metal dome (7852m) is inserted into the air layer to increase the resilience of the finger-touching film. The metal dome may be replaced with a conical spring, and the metal dome is better than the conical spring. Is that when the user is pressed, the user can communicate the pressed state by transmitting a ticking feeling. Elastomeric support 7855 places elastomer 7785 over touchpad 7784 as shown in FIG. 70 and in cell phone body 7855-more precisely in light emitter 7568, such as an LED located on body 7855. It is preferable to use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generated light is transmitted to the part 7785 where the finger touches. In the case of Fig. 78B1, an opaque sponge is used as the elastic body 7702, so the center hole is made to create a path of light. However, in Fig. 78B2, the light is directly illuminated by the opaque elastic body, so the hole in the center area is like a sponge. 78b3 and 78b4, the hand portion 7785 "is composed of a transparent or opaque film such as a polyethylene film or a polypropylene film, so that various parts of the hand portion 7785" can be made. Makes this possible. In this configuration, the touch pad attaching surface 7855 uses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finger contact portion 7785 is a semi-transparent material or some transparent area (to display information assigned to a key) in order to pursue light transmission and airtightness of a mobile phon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non-transparent material having an advantage that when using the air layer as an elastic bo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further reduce the separation distance to distinguish the touch state and the pressed state than when using a sponge. For example, in FIG. 78B1, the signal of the touch pad capable of distinguishing the touch state from the pressed state even with a thickness of 0.5 mm in the case of FIGS. 78B3 and 78B4 using only a pure air layer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at of the sponge having an elastic thickness of 1 mm in FIG. 78B1. To generate. Since the dielectric constant of air is less than half of other materials, when using air as a dielectric in Equation (1), the change in capacitance due to the change in distance between two electrodes is more than doubled. The purpose of this configuration is that the touchpad input device can also be used in the light and dark areas of the finger contact of each key of the conventional keypad mobile phone. Unfolded perpendicular to the pad is shown in FIG. 78B. In addition to the illumination by the internal light emitting device, the external light emitters 7711 and 7872 may be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touch pad in the same manner as the virtual keyboard arrangement of the touch pad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active key of the virtual keyboard. This method is illustrated in FIG. 78F and the color of the light source is always turned on to check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urrent virtual key (7862) or to turn on only the light emitting body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key to confirm the position. Can be.

본 발명의 서른 네 번째 구성은 터치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가상건반악기의 구성이다. 도 83은 4cm*5.5cm 크기의 터치패드에 도 70의 구조를 갖는 5줄*7열의 키를 이용한 건반악기를 보여주고 있다. 본 구성의 건반악기와 앞서서 설명된 가상키보드를 이용한 입력장치는 터치패드를 작은 구간으로 나누어 이렇게 나누어진 영역을 가상키보드의 키에 대응시켜 터치패드 위에서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가상키보드의 정보가 실행되도록 하는 점에서 동일하다. 하지만 건반악기의 경우는 가상키보드의 실행이 음의 발생이라는 점에서 문자입력장치와는 다른 점을 갖게 되며 이러한 다른 점 때문에 가상키보드 운용도 달라지는데 본 구성은 이러한 상이한 점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본 구성에서 예로 들고 있는 7줄*5열 구조의 가상건반 구조는 F3부터 B6까지 3옥타브를 넘는 음계를 갖는다. 도 83b의 가상건반 배열은 터치패드를 한 손으로 파지하고 작동하기 위한 구조이며, 도 83e에 보여 지는 가상건반배열은 가로배열 구조로 되어 있어 두 손으로 조작되지만 한 줄에 한 옥타브의 음들이 배열되어 세로배열의 구조보다 음의 배열에 대한 인지가 훨씬 용이한 장점을 가지도록 고안된 것이다. 도 83b는 이러한 가상건반과 음의 구체적인 배열을 보여주고 있으며 회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손가락의 움직임을 편하게 하기 위해 중복되게 지정되거나(도 83b-(B)), 다른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음이 지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도 83b-(A)). 이들 가상건반의 각 건반에 해당하는 음은 피아노의 흰색 건반에 해당하는 음들이며 이 음들은 각 건반에 해당하는 터치패드 영역을 눌러 줌에 따라 발생한다. 하지만, 검은색 건반에 해당하는 음의 발생은 흰색 건반에 해당하는 터치패드 영역을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에서 가상건반에 해당하는 터치패드 영역을 벗어나면 반음 높은 음 혹은 낮은 음이 발생한다.(도 83c-(C)) 예를 들면 모든 경우에 반음 높은 음이 발생한다고 가정하면 D♭은 C#으로 대체할 수 있으므로 도 83c-(C)와 같은 손가락의 움직임으로 발생 되는 음은 도 83c-(A)에서 선택된 가상건반의 음보다 반음 높은 음이 된다. 도 83c-(C)와 같은 손가락의 움직임으로 발생 되는 음은 도 83c-(A)에서 선택된 가상건반의 음보다 반음 낮은 음이 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지정하면 되는 것이며 만약 반음 높은 음과 낮은 음을 각 가상건반에서 발생 되도록 구현한다면 도 83c-(C)에 보여지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위쪽과 아래쪽을 구분하여 위쪽으로 움직일 경우에는 반음 높은 음이 발생되고, 아래쪽으로 움직일 경우에는 반음 낮은 음이 발생 되도록 하면 된다. 전자의 경우에는 'E'와 'B', 후자의 경우 건반 'C'와 'F'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들 각각의 경우는 이미 백색건반으로 음이 발생되기 때문에 굳이 도 83c-(C)의 구성을 이용한 음의 발생은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본 구성을 정리하면, 손가락이 터치패드를 접촉하는 지점은 발생 되는 음을 결정하게 되는데 도 83c-(A)와 같이 C5음에 해당하는 키를 접촉하면 이후의 손가락의 움직임은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이격 되기 전까지는 C5와 관련된 음이 발생되는데 도83c-(B)와 같이 C5 키를 눌러주면 C5음이 발생되고, 손가락을 주위의 키로 이동시키면 반음 차이의 음을 발생하게 되며 이는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이격 될 때까지 이어진다. 도 83c-(C)의 경우는 C5#의 음이 발생 된다. 본 구성의 장점 중의 하나는 음계의 변화에 따라 터치패드위의 키에 지정되는 음을 각 음계의 기준음에 해당하는 음을 지정함으로써 굳이 검은 건반에 해당하는 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도 83c-(C)에 해당하는 터치/슬라이드 방식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으며 도 83e에 보여지는 가상건반에 명시된 음은 각 건반을 눌러 주었을 경우 각 음계의 기준음을 반음 처리하지 않고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 83e-(B)는 A장조의 가상건반을 보여주고 있는데 A장조의 '미'에 해당하는 C5#음을 발생하기 위해서는 도 83d-(A)의 C5자리를 그대로 눌러주면 된다. 즉 모든 음계의 악보를 볼 때 모든 음자리에 해당하는 키는 C장조의 건반의 위치와 동일하여 음계가 바뀜에 따라 검은 건반에 대해서 크게 고려할 필요가 없고 단지 제자리표가 붙을 경우나 임시 반음 올림표나 반음 내림표가 표시된 음에 대해서만 원래의 음을 발생하기 위해 도 83c-(C)에 보여지는 방식의 건반 운용을 하면 된다. 이러한 방식을 기존의 피아노 건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모든 위치에 검은 건반이 있어야 가능한데 실제로 도 83e(C)에 보여지는 피아노 건반의 경우 B와 C 키 사이에 검은 건반이 없기 때문에 만약 A장조의 악보에서 5C#에 해당하는 음에 임시 제자리표가 붙여지면 5C에 해당하는 키가 없으므로 본 발명의 가상키 방식은 적용하기 불가능하게 된다. 만약 악보상에 임시 제자리표 혹은 반음처리가 없다면 도 83e(C)의 갈색으로 표시된 위치에 검은색 건반이 없더라도 연주가 가능하게 되지만, 도 83e(C)의 갈색으로 표시된 위치에 검은색 건반을 삽입한다면 본 구성에 따른 백색 건반만으로의 각 조의 완벽한 기본음 연주체계가 가능하게 된다. 더 나아가서 본 구성에 의한 가상건반은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패드를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터치패드의 좁은 공간에 여러 손가락을 이용한 화음을 반주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이를 위한 구성이 도 83e에 나타나있다. 이는 도 83c-(C)와 유사한 방식이지만 단지 다른 점은 손가락이 처음 닿은 터치패드의 위치에서 벗어난 다음 이웃한 가상건반 영역에 이르러서 눌러주어야만 화음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문자입력의 경우에는 화면상에서 이전의 문자를 삭제하고 새로운 문자를 입력하면 결과적으로 새로운 문자를 입력하는 것과 동일한 것이지만 악기의 경우 발생된 음은 삭제가 불가능하므로 원하는 음의 발생 전에 그 어떤 음도 발생해서는 안되므로 도83d-(B)와 (D) 과정에서는 아무런 음도 발생되지 않는다. 이점이 도 83c-(C)와 도 83d-(B)의 차이점이다. 도 83d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C5에서 예상되는 화음이 C-Chord 하나이거나, Cm-Chord를 포함하여 두 가지라면 도 83c-(C)와 같은 구성에 문제가 없다. 왜냐하면 손가락이 'C'에 해당하는 터치패드 영역을 접촉한 후에 상하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적어도 4가지 음, 즉 반음 높은 음, 반 음 낮은 음, C-Chord, Cm-Chord를 각각 구분하여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C-chord, Cm-Chord 외에 C7-Chord 등 2개 이상의 chord의 발생이 필요할 경우에는 이들 화음 발생을 위한 확장을 위해 도 83e의 방식 즉 처음 접촉한 터치패드 영역을 벗어나서 누름동작이 이루어져야지만 음이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하는 음은 손가락이 처음 닿은 위치와 다른 위치에 지정된 음이 된다. 더 나아가서 도 83c-(C)의 손가락 상하 움직임에 의한 반 음 처리를 위한 구성이 될 경우, 좌우의 움직임에는 음색을 지정하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의 발생이 터도 83c-(B)와 도 83d-(E) 같이 터치패드 영역을 눌러서 이루어졌든, 도 83c-(C)에서와 같이 원래의 영역에서 벗어나서 이루어졌든 관계없이 일단 발생 된 지점에서 추가적인 손가락의 좌우 움직임이 있을 경우 음색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더구나 이러한 음색의 변화가 좌우 이동거리에 따라 변화될 경우 여러 악기의 혼성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서른 네 번째 구성은 누름기능이 있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가상건반에 대한 구성이지만 굳이 누름기능이 없어도 반음 조절이 가능한 가상건반을 구성할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과 같이 누름기능이 없는 터치센서를 이용한 포인팅장치에 본 구성을 적용하여 넓은 음역을 연주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미 터치패드에 손가락이 닿은 상태에서 위로 움직이면 반음 높은 음을 발생하고, 아래쪽으로 움직이면 반음 낮은 음을 발생시키는 구성은 위에서 이미 설명되었다. 다만 누름기능이 없기 때문에 누름상태 대신에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이격할 때 지정된 음을 발생시키는 방법을 이용하는 구성이다. 이를테면 도 83e(A)에서 보여지는 터치패드에 손가락이 '3F' 영역을 터치한 후에 좌우로의 움직임은 음을 발생 시키지 않으므로 손가락을 3C~4B까지 움직이면서 원하는 키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가져오는 장점은 손가락이 키를 선택함에 있어서 옥타브의 위치만 정확하게 선택하면 같은 옥타브 내에서 음의 선택은 처음 손가락이 닿는 위치가 잘못 되었다고 하더라도 손가락이 터치센서에 닿은 상태에서도 변경하여 수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는 누름기능이 있는 터치패드의 경우 손가락이 선택하고자 하는 키 대신에 이웃한 키 영역을 접촉하더라도 누름동작이 이루어지거나 상하로의 이동이 없이 처음 닿은 상태에서 그대로 이격하면 소리가 발생하지 않아서 원하는 키를 다시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 있지만, 누름기능이 없는 터치패드 혹은 터치스크린 방식에서는 불가능하므로 대신에 손가락이 터치센서를 터치한 후에도 좌우의 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손가락을 좌우로 움직여서 키 선택이 허용되는 경우, 누름기능을 갖는 터치패드를 위한 구성에서 적용된 좌우로 손가락을 움직여서 화음을 연주할 수 있는 방법은 누름기능이 없는 터치패드의 경우 불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가상건반을 화면에 보여주는 방법은 도 83e와 같이 코드로서 보여줄 수도 있고, 도 83f와 같이 음표를 음자리에 표시한 것을 각 키 영역에 보여 주어 악보와 가상건반에서의 키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게 할 수 있다. 가상건반에 음표를 음자리에 표시하는 방법으로 두 가지가 가능한데, 그 첫 번째는 도 83g(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다장조(C major)와 동일한 모양으로 사용자가 설정하는 장조와 관계없이 반음 상태를 굳이 표시하지 않고 단지 음표의 위치만을 표시하여 악보상의 음표의 위치와 가상건반에서의 키의 위치를 쉽게 연계시키는 방법과 도 83f(B)에 가장조(A major)에 해당하는 음자리표 로 보여지는 바와 같이 C장조가 아닌 경우 각각의 음자리표에 그려지는 플랫(b)와 샤프(#)를 장조에 따른 음표 위치에 병기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도 83f(A)의 경우와 같이 반음표시 없이 음표를 가상건반에 표시하더라도 사용자가 악보의 장조를 설정함에 따라 각 키가 발생하는 소리는 도 83e(B)에 표시되는 장조에 따른 코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도 83f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상건반의 각각의 키에 그 키에 해당하는 악보와 같은 음표를 표시하는 방법은 코드에 대한 교육이 없이도 직관적으로 연주가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Thirty-four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of a virtual keyboard musical instrument using a touch pad for distinguishing the touch state and the pressed state. FIG. 83 illustrates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using a 5-row * 7-row key having the structure of FIG. 70 on a 4cm * 5.5cm touchpad. The input device using the keyboard and the virtual keyboard described above divides the touchpad into small sections so that the divided regions correspond to the keys of the virtual keyboard so that the information on the virtual keyboard is executed as the finger moves on the touchpad. The same is true in that. However, in the case of the keyboard instrument, the execution of the virtual keyboard is different from the character input device in that the sound is generated, and the virtual keyboard operation is also changed because of this difference. This configuration is intended to implement these differences. In this configuration, the virtual keyboard structure of the seven-row * five-row structure has a scale of more than three octaves from F3 to B6. The virtual keyboard arrangement of FIG. 83B is a structure for gripping and operating the touch pad with one hand, and the virtual keyboard arrangement shown in FIG. 83E has a horizontal arrangement and is operated by two hands, but one octave of notes is arranged in one line. It is designed to have a much easier recognition of the negative arrangement than the structure of the vertical arrangement. Fig. 83B shows this virtual keyboard and the specific arrangement of the notes, and the parts shown in gray are designated overlapping to ease the movement of the finger (Fig. 83B- (B)), or the notes are assigned to impart other functions. May not be (FIG. 83B- (A)). The notes corresponding to each key of these virtual keys are the notes corresponding to the white keys of the piano, and these notes are generated by pressing and holding the touch pad area corresponding to each key. However, in the generation of a sound corresponding to a black key, a semitone high or low sound is generated when the finger touches a touch pad area corresponding to a white key and leaves the touch pad area corresponding to a virtual key. 83c- (C)) For example, assuming that semitones are generated in all cases, D ♭ can be replaced with C #, so that the sound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a finger as shown in Fig. 83C- (C) is 83C- (A). ) Will be a semitone higher than that of the virtual keyboard selected. The sound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finger as shown in FIGS. 83C- (C) may be a half tone lower than the sound of the virtual keyboard selected in FIG. 83C- (A). This can be specified by the user. If you implement semi-high and low notes in each virtual keyboard, move the finger movement shown in Fig. 83C- (C) up and down to semitone high. Is generated, and when moving downwards, a semitone low tone is generated. The former does not apply to the 'E' and 'B' and the latter to the keys 'C' and 'F'. This is because, in each of these cases, the sound is generated by the white keyboard already, so the generation of sound using the configuration of Fig. 83C- (C) is meaningless. In summary, the point where the finger touches the touch pad determines the sound that is generated. When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C5 sound is touched, as shown in Fig. 83C- (A), the subsequent movement of the finger causes the finger to move from the touch pad. Until it is separated, the sound related to C5 is generated. If you press the C5 key as shown in Fig. 83C- (B), the sound of C5 is generated, and if you move the finger to the surrounding key, the sound of semitone difference is generated. Continue until spaced apart from. 83C-(C), the C5 # sound is generated. One of the advantages of this configuration is to generate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black keyboard by assigning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sound of each scale to the sound assigned to the key on the touch pa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cale. The touch / slide method can be omitted, and the sound specified in the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 83E can be generated without processing the reference sound of each scale in semitones when each key is pressed. For example, FIG. 83E- (B) shows a virtual key in A major, but in order to generate C5 # sound corresponding to 'A' of A major, the C5 digit in FIG. 83D- (A) may be pressed as it is. In other words, when looking at the scores of all scales, the keys corresponding to all the clefs are the same as the positions of the key in C major. In order to generate the original sound only for the note indicated by the down mark, the keyboard operation of the method shown in Fig. 83C- (C) may be performed. In order to apply this method to the existing piano keys, it is possible to have black keys at all positions. In the case of the piano keys shown in Fig. 83E (C), since there is no black key between the B and C keys, If a temporary insignia is attached to a note corresponding to #, there is no key corresponding to 5C, and thus the virtual ke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ossible to apply. If there is no temporary indentation or semitone processing on the score, playing is possible even if there is no black key in the brown position of Fig. 83E (C), but if you insert a black key in the brown position of Fig. 83E (C), The perfect basic tone playing system of each set is possible with only the white key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Furthermore, even if the virtual keyboar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uses a touch pad capable of multi-touch, it is impossible to accompaniment chords using multiple fingers in a narrow space of the touch pad. This is similar to FIG. 83C- (C) except that the chord is generated only when the finger is moved out of the position of the touch pad where the finger first touches and then reaches the adjacent virtual keyboard area.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n case of character input, if you delete old character on screen and input new character, it is the same as inputting new character. However, in case of musical instrument, the sound generated cannot be deleted. No sound should be generated, so no sound is produced in steps 83D- (B) and (D). This is the difference between FIG. 83C- (C) and FIG. 83D- (B). Referring to the example of FIG. 83D, if the chord expected in C5 is one C-Chord or two including Cm-Chord, there is no problem in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83C- (C). Because the finger moves up, down, left, and right after touching the touch pad area corresponding to 'C', it can occur by dividing at least four sounds, namely semitone high, semitone low, C-Chord, Cm-Chord, respectively. Because there is. However, if two or more chords such as C7-Chord are required in addition to C-chord and Cm-Chord, the push operation must be made outside the touch pad area of the first touched contact in Fig. 83e to expand these chords. Occurs, and the sound generated in this way becomes a sound specifi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position where the finger first touched. 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configuration for semitone processing by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fingers of FIGS. 83C- (C), a method of designating a tone may be implemented for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For example, the sound may be generated once by pressing the touch pad area as shown in 83c- (B) and 83d- (E) or out of the original area as shown in FIG. 83c- (C). If there is additional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finger at the point, the tone changes. In addition, when the change of the ton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distance, hybridization of various instruments becomes possible. The thirty-four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for a virtual keyboard using a touch pad having a pressing function, but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virtual keyboard capable of semitone adjustment without a pressing function. In other words, this configuration is applied to a pointing device using a touch sensor without a pressing function, such as a touch screen, so that a wide range can be played. The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 semitone high when the user moves upward while the finger is in contact with the touchpad and generating a semitone low when moving downward has already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since there is no pressing function, a configuration using a method of generating a specified sound when the finger is spaced apart from the touch pad instead of the pressing state. For example, after the finger touches the '3F' area on the touch pad shown in FIG. 83E (A), movement of the left and right sides does not generate sound,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select a desired key while moving the finger to 3C to 4B. The advantage of this method is that if the finger selects the position of the octave correctly when selecting the key, the negative selection within the same octave can be modified even if the finger touches the touch sensor even if the position where the finger first touches is wrong. To provide a method. In case of touch pad with pressing function, even if the finger touches the neighboring key area instead of the key to select, it does not generate sound when it is separated from the first touch without touching or moving up and down. There is a way to select again, but it is not possible i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method without a pressing function, instead, it provides a way to select the left and right keys even after the finger touches the touch sensor. However, if a key selection is allowed by moving a finger left and right, a method of playing a chord by moving a finger left and right applied in a configuration for a touch pad having a pressing function becomes impossible in a touch pad without a pressing function. In addition, the method of showing the virtual keyboard on the screen may be shown as a chord as shown in FIG. 83E, or as shown in FIG. 83F, the key position is shown in each key region to easily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key in the score and the virtual keyboard. It can be done. There are two ways to display the notes on the virtual keyboard in the constellation. The first is the semitone state regardless of the major set by the user in the same shape as C major as shown in FIG. 83G (A). It is possible to easily associate the position of the note on the score with the key position on the virtual keyboard by simply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note without showing the symbol and the clef corresponding to the A major in FIG. 83F (B).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non-C major, the flat (b) and the sharp (#) drawn on each clef are written together in the position of the note according to the major. And even if the note is displayed on the virtual keyboard without semitones as in the case of Fig. 83F (A), the sound generated by each key is set according to the chord according to the major lines shown in Fig. 83E (B) as the user sets the major score of the score. It is decided. As shown in FIG. 83F, a method of displaying a musical note such as a sheet music on each key of the virtual keyboard has an advantage of enabling intuitive playing without training on a chord.

본 발명의 서른다섯 번째 구성은 포인팅 모드(pointing mode)를 일반적인 포인팅모드(ordinary pointing mode)와 팬 모드(pan mode)로 확장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포인팅 모드에서는 손가락이 터치패드에 닿은 상태에서 움직임이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데 반해 팬 모드에서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포인터의 움직임만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포인터가 화면을 홀딩(holding)상태를 유지하는 것처럼 동작하게 되어 포인터의 움직임에 따라 화면도 동시에 움직이게 하는 방안이다. 더 나아가서 팬 모드(pan mode)에서의 드래그 동작은 화면의 확대/축소를 가져오는 줌(Zoom) 기능을 담당하게 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하게 된다. 이러한 포인팅모드/팬모드의 변환 및 실제 적용 예가 도 84에 설명되어 있으며 도 84a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포인팅모드/팬모드의 변환은 더블 탭핑(double tapping)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inting mode is extended to a general pointing mode and a pan mode. In a general pointing mode, the movement of the pointer while the finger touches the touchpad is performed. In the fan mode, the movement of the finger not only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pointer but acts as if the pointer is holding the screen, so that the screen moves simultaneously with the movement of the pointer. Furthermore, the drag operation in the pan mode is in charge of a zoom function that brings the zoom of the screen to the user's convenience. An example of the switching and the actual application of the pointing mode / fan mode is described in FIG. 84 and the switching of the pointing mode / pan mode is performed by double tapping.

본 발명의 서른여섯 번째 구성은 싱글터치(Single touch) 기능을 갖는 터치패드를 멀티터치(Multi-touch) 기능을 갖는 터치패드로의 응용이 가능하게 하는 것 이다. 도 49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터치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할 수 있는 터치패드의 경우 터치상태에 해당하는 정전용량 변화값을 '0'로 간주하면 여러 손가락이 터치패드에 닿아 있더라도 누름상태에 이르는 손가락의 좌표만을 산출하여 화면상에 표시하게 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터치상태의 정전용량 변화 최대값을 기준값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도 85에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면 일반적인 싱글터치 터치패드를 문자입력 장치로 사용할 경우에도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키패드 핸드폰 사용시와 동일한 조작 방법(각 숫자 및 문자 키에 해당하는 영역을 눌러 주는 방법)으로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게 되어 사용자들이 터치패드를 이용한 입력방식에 적응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도록 해 준다. 도 49에 보여지는 원리를 멀티터치 기능을 갖는 터치패드에 적용하면 당연히 양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미 잘 알려진 여러 손가락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gesture command)도 병행하여 입력장치의 작동이 더욱 용이 해진다. The thirty six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application of a touch pad having a single touch function to a touch pad having a multi-touch function. As shown in FIG. 49, in the case of the touchpad capable of distinguishing the touch state from the pressed state, when the capacitance chan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touch state is regarded as '0', even if several fingers touch the touch pad, the touch pad reaches the pressed state. It is a method of calculating only the coordinates and displaying them on the screen. To this end, a method of processing the capacitance change maximum value in the touch state as a reference value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5. With this method, even when using a general single-touch touch pad as a text input device, use both hands to input numbers and letters using the same operation method as pressing a keypad cell phone (by pressing the area corresponding to each number and letter key). This ensures that users have no problem adapting to the input method using the touchpad. When the principle shown in FIG. 49 is applied to a touch pad having a multi-touch function, two hands can be used, and a gesture command using several fingers, which are well known, can be operated in parallel.

본 발명의 서른 일곱번째 구성은 도 86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터치패드 입력장치를 숫자키 만이 아니라 방향이동 키의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슬라이더 형태로 만들어서 핸드폰 화면의 상층부에 위치하도록 한 구조이다. 그리고 이러한 터치패드 입력장치를 터치 키패드라 명명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기존 키패드와 달리 누름동작이 없이 단순한 접촉 만으로도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이며, 반대로 단순한 터치패드와는 달리 각 영역이 구분된 키를 누를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터치 키패드는 도 68에 보여지는 바와 같은 키 영역 확장기능에 의해 작은 공간에 25개의 키를 배열할 수 있어서 이들 키를 기존의 키패드 핸드폰의 숫자 키와 이동키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1에 보여지는 폴더형 핸드폰의 경우 뿐만 아니라 슬라이더형 핸드폰에서도 키패드의 영역을 축소할 수 있어 핸드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져오게 되며, 특히 슬라이더형 핸드폰에서는 도 86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키패드를 핸드폰 화면 위 쪽에 배열하여 핸드폰의 크기를 더욱 축소 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져온다. 일반적인 슬라이더형 키패드 핸드폰의 경우 두개로 이루어진 몸체 중에서 위 쪽에 위치한 몸체에 화면과 방향 이동 키가 배열되고, 숫자 키는 핸드폰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나머지 몸체에 배열되는 구조를 가질 수 밖에 없다. 이는 핸드폰을 상용함에 있어서 크기를 최소화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숫자키가 화면과 마찬가지로 핸드폰 윗쪽 몸체에 배열된다면 통화버튼을 걸려오는 전화를 받기 위해서는 방향 이동키와 통화 키 등이 배열된 아래쪽 몸체를 사용하기 위해 슬라이딩 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초래하기 때문이다. 이는 슬라이더형의 핸드폰의 경우 도 23c(C)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핸드폰의 하단부를 쥐게 되는데 만약 도 86a에 보여지는 구조는 핸드폰을 쥘 수는 있을 지 몰라도 실제 키패드를 작동하는데 어려움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 86b와 같이 터치 키패드가 배열된 몸체를 속이 비게 만들어 화면이 배열된 몸체 위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것이 또 다른 본 발명의 구성이다. As shown in FIG. 86, the thirtieth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touch pad input device to simultaneously perform not only a numeric key but also a directional key, and make it a slider so that it is positioned at the upper layer of the mobile phone screen. Structure. In addition, such a touch pad input device may be called a touch keypad because, unlike a conventional keypad, a user may input a simple touch without a pressing operation. On the contrary, unlike a simple touch pad, each area may be pressed by a key. Because it can. Furthermore, the touch keypa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rrange 25 keys in a small space by a key area expansion function as shown in FIG. 68, and these keys can be assigned functions of numeric keys and mobile keys of a conventional keypad mobile phone. will be. Therefore, not only the case of the clamshell cell phone shown in FIG. 1 but also the slider cell phone can reduce the area of the keypad, thereby bringing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size of the cell phone, especially in the slider cell phone as shown in FIG. By arranging the keypad on the top of the mobile phone screen, the structure of the mobile phone can be further reduced. In the case of a typical slider-type keypad mobile phone, the screen and the direction movement keys are arranged on the upper body of the two-body body, and the numeric keys have a structure arranged on the other body to minimize the size of the mobile phone.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ize and convenience in using a mobile phone. If the numeric keys are arranged on the upper body like the screen, it is inconvenient to slide to use the lower body where the direction key and the call key are arranged in order to receive the incoming call. In the case of a slider-type mobile phone, as shown in FIG. 23C (C), the lower part of the mobile phone is held. If the structure shown in FIG. 86A may hold the mobile phone, it may cause difficulty in operating the actual keypad.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it is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ke the screen keypad slide on the arranged body by hollowing the body on which the touch keypad is arranged as shown in FIG. 86B.

본 발명의 서른여덟번째 구성은 터치패드의 포인팅 작업이 절대좌표계를 기반으로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컴퓨터에 사용되는 터치패드는 모니터에 비해 터치패드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절대좌표계를 이용하면 포인팅작업 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지만 핸드폰 화면과 같이 터치패드 정도의 크기일 경우는 굳이 상대좌표계에 의한 포인팅 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실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핸드폰의 경우는 터치센서와 모니터가 1:1 대응 관계를 갖기 때문에 당연히 절대좌표계를 가져가게 되면 터치스크린의 터치센서는 모니터 위에 동일한 크기로 배치되어 손가락의 위치를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터치패드의 경우 화면과 분리되어 동작되어야 하고, 그 크기도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절대좌표계를 이용하는 경우 도 2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상키보드와 동일하게 핸드폰 화면의 각 모서리와 그에 해당하는 터치패드의 모서리 부분을 1:1 대응시키는 것이 필요하면 이것이 본 발명의 서른여덟번째 구성이다. 다만 가상키보드와 달리 각 키 영역에 대한 보정을 굳이 진행하지 않고 전체 화면에 대한 보정만 이루어져도 사용상의 큰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도 87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단좌측 모서리에 대한 대응점과 하단우측 모서리에 대한 대응점을 대략적인 터치패드 상의 위치(가상키보드에 대응되는 상단좌측 키 영역과 하단우측 키 영역을 기준점으로 활용하면 무난하다.)에 손가락을 배치하여 도 29에 보여지는 방법으로 보정을 하게 된다.In the thirty eigh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inting operation of the touch pad is performed based on the absolute coordinate system. In general, since the touchpad used in the notebook computer is smaller than the monitor, the absolute coordinate system may reduce the accuracy of the pointing operation. However, when the touchpad is the same size as the mobile phone screen, the relative coordinate system It does not matter if you do not perform the pointing operation.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using an actual touch screen, since the touch sensor and the monitor have a 1: 1 correspondence, of course, when the absolute coordinate system is taken, the touch sensor of the touch screen is disposed in the same size on the monitor so that a user does not have to worry about the position of the finger. . However, in the case of the touch pad, the touch pad should be operated separately from the screen, and the size of the touch pad is not the same. Therefore, when using the absolute coordinate system, as shown in FIG. If it is necessary to match the parts 1: 1, this is the thirty-eigh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unlike the virtual keyboard, since the calibration for the entire screen is not performed, the calibration is performed only for the entire screen. Therefore, as shown in FIG. 87, the correspondence point for the upper left corner and the lower right corner are shown. The corresponding point on the touch pad is calibrated in a manner shown in FIG. 29 by placing a finger at a position on an approximate touch pad (using the upper left key area and the lower right key area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keyboard as reference points). .

도 1은 일반적인 핸드폰(도 1a)과 키패드를 대체하는 터치패드(104)를 장착한 핸드폰(도 1b)의 예로서 101은 전원스위치, 102(GUI/Phone mode 변환 버튼), 103(마우스의 오른쪽버튼), 105(문자입력모드전환 버튼), 106(마우스의 왼쪽버튼)은 기능버튼을 나타내는데 통상적으로 컴퓨터에 사용되는 투 버튼 마우스(two-button mouse)의 실행버튼과 메뉴확장버튼 및 기타 핸드폰 사용에 따른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데 버튼의 개수는 도 1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4개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1 is an example of a mobile phone (FIG. 1B) equipped with a touch pad 104 that replaces a conventional mobile phone (FIG. 1A) and a keypad, 101 is a power switch, 102 (GUI / Phone mode conversion button), and 103 (right of a mouse) Buttons), 105 (character input mode switch button) and 106 (mouse left button) indicate function buttons.The buttons used to execute the two-button mouse and menu expansion buttons and other mobile phones are commonly used for computers. The number of buttons need not be limited to four as shown in FIG. 1B.

도 2는 도 1b의 포인팅장치를 갖는 핸드폰을 파지한 모양으로 한 손으로(도 2a) 작동할 경우와 두 손으로(도 2b) 작동할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터치패드(202) 위에서 손가락을 움직여 화면상의 가상 키패드(201)의 번호 4에 포인터를 위치시킨 다음 실행버튼(203)을 누름으로써 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FIG. 2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mobile phone having the pointing device of FIG. 1B is gripped and operated with one hand (FIG. 2A) and with two hands (FIG. 2B). The number is entered by placing the pointer on the number 4 of the virtual keypad 201 on the screen and pressing the play button 203.

도 3은 도 1(b)의 포인팅장치를 입력장치로 하는 핸드폰을 한 손으로 작동하는 경우 '47'을 입력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3a는 화면상의 가상키패드(301)의 번호 '4'에 포인터를 위치시킨 상태이며 도 3b는 실행버튼(303)를 누름 으로써 화면상에 4를 입력하는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도 3c는이미 '4'를 입력한 상태에서 추가로 '7'을 입력하기 위해 화면상에서 포인터를 번호'7' 위로 옮기기 위해 엄지가 터치패드(302)에서 아래로 이동하는 과정을 보여주며 도 3d는 '7'을 입력하기 위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 엄지가 터치패드에서 실행버튼으로 옮겨지고 누르는 동작을 보여준다.3 illustrates a process for inputting '47' when the mobile phone having the pointing device as the input device of FIG. 1 (b) is operated with one hand. 3A illustrates a state where a pointer is positioned at the number '4' of the virtual keypad 301 on the screen, and FIG. 3B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4 is input on the screen by pressing the execution button 303. FIG. 3C shows the process of moving the thumb down on the touchpad 302 to move the pointer over the number '7' on the screen to enter an additional '7' while already entering '4'. FIG. 3D Shows that the thumb moves from the touchpad to the play button and presses to execute a command to enter a '7'.

도 4는 도 1b에서 보여 준 핸드폰의 경우 터치패드가 기능버튼(실행 버튼)의 기능을 갖게 되면 기존의 버튼 배열의 핸드폰과 동일한 작동원리로 동작하게 되어 핸드폰 작동 시에 키패드를 갖는 핸드폰(도 4c, 4d)과 손가락의 움직임이 동일함을 보여주고 있다. 즉 포인팅장치를 눌러줄 경우 실행버튼의 기능을 가지고 되는 바, 47을 입력하는 과정을 도 3과 비교하여 보면 도 3b와 도 3d에서 이루어지는 기능버튼을 눌러주는 동작이 필요 없어지고 대신 4a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터치패드에서 손가락을 움직여 화면상의 '4'를 선택하고 이어서 같은 위치에서 누름 동작이 이어져 '4'가 입력되는데 이는 도 4c에 나타난 기존의 핸드폰의 입력과 동일한 과정을 갖게 된다. 마찬가지로 '7'을 입력하는 경우도 '7'을 선택하기 위한 손가락의 움직임과 누름 동작(도 4b)이 기존의 핸드폰의 경우(도 4d)와 동일함을 보여주고 있다.4 is a mobile phone having a keypad during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when the touch pad shown in FIG. 1B has a function of a function button (execution button) and operates according to the same operation principle as the mobile phone of the existing button arrangement. , 4d) and finger movements are the same. That is, when the pointing device is pressed, it has a function of an execution button. The process of inputting 47 is no longer necessary to press the function button made in FIGS. 3B and 3D as shown in FIG. Likewise, the user moves the finger on the touch pad to select '4' on the screen, followed by a pressing operation at the same position, thereby inputting '4', which has the same process as the input of the existing mobile phone shown in FIG. 4C. Similarly, in the case of inputting '7', the movement of the finger and the pressing operation for selecting '7' (FIG. 4B)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FIG. 4D).

도 5는 기능버튼의 기능을 동시에 담당하는 터치패드의 일예를 도식적인 구조로서 보여준다. 501은 터치패드 본체이며, 502는 버튼스위치를 나타내는데 도 5a는 터치패드 본체가 눌리기 전의 상태를 도 5b는 터치패드 본체가 눌렸을 때의 상태를 나 타낸다. 도 5c와 5d는 버튼스위치가 터치패드 본체의 옆에 위치하여 포인팅장치가 눌릴 때에 스위치가 옆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Figure 5 shows an example of a touch pad in charge of the function of the function button as a schematic structure. 501 denotes a touch pad body, and 502 denotes a button switch. FIG. 5A illustrates a state before the touch pad body is pressed, and FIG. 5B illustrates a state when the touch pad body is pressed. 5C and 5D show a button switch located next to the touch pad main body so that the switch is operated in a lateral direction when the pointing device is pressed.

도 6는 기능버튼의 기능을 갖는 터치패드 뭉치와 버튼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해 터치패드 뭉치를 눌렀을 때(도 6b)의 모양을 나타낸다. 통상적인 터치패드의 경우 실행버튼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터치패드를 손가락으로 한 번 두드림(탭핑)으로서 담당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손가락을 터치패드로부터 떼어지는 순간 포인터가 이동하여 실행하여야 할 명령이 이행되지 못하는 에러가 발생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이러한 추가적인 손가락이 상하 움직임이 기존의 키패드 타입의 핸드폰에 비해 더 많은 에너지와 시간이 요구되어 번호 입력의 효율성을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FIG. 6 shows a touch pad bundle having a function of a function button and a shape when the touch pad bundle is pressed to operate a button function (FIG. 6B). In the case of the general touch pad, the touch pad is operated by tapping the touch pad once with a finger. In this case, when the finger is released from the touch pad, the pointer moves and the command to be executed cannot be fulfilled. Errors may occur and furthermore, these additional finger movements will require more energy and time than conventional keypad-type cell phones, reducing the efficiency of number entry.

도 7은 돔 스위치(703)를 터치패드(701)의 밑면 쪽에 적용한 것으로 돔스위치가 터치패드의 밑면에 닿는 부분에 배열되는 전극과 기타 전자소자 및 전기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절연막(702)을 씌우고 탄성체 스페이서(705)로서 터치패드를 감싸 터치패드의 상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터치패드가 손가락으로 눌려지더라도 터치패드가 핸드폰에 닿는 부분에 틈새가 벌어지지 않게 한다. 바닥면(704)은 터치패드가 눌려질 때 돔 스위치를 고정시켜 on/off 기능이 작동하도록 하게 한다. 도 7a는 눌려지지 않았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며 도 7b는 손가락이 터치패드를 눌러서 돔 스위치가 on 상태를 유지함을 보여 준다. 그림에서 돔 스위치의 위치는 터치패드의 가장자리 뿐만 아니라 중심부에 배열하여도 무관하며 단지 사용자가 터치패드 를 작동 시에 무리한 힘을 주지 않을 정도로 돔 스위치의 개수와 위치를 정하면 된다.7 shows the dome switch 703 applied to the bottom side of the touch pad 701. An insulating film 702 is covered to protect the electrode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and the electric circuit arranged at the portion where the dome switch touches the bottom of the touch pad. The elastic spacer 705 surrounds the touch pad to enable vertical movement of the touch pad, and at the same time, even if the touch pad is pressed by a finger, a gap does not occur in a portion where the touch pad touches the mobile phone. The bottom surface 704 locks the dome switch when the touchpad is pressed to enable the on / off function. FIG. 7A shows the state when it is not pressed and FIG. 7B shows that the finger presses the touchpad and the dome switch remains on. The position of the dome switch in the figure can be arranged not only at the edge of the touch pad but also at the center, and only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dome switch can be determined so that the user does not apply excessive force when operating the touch pad.

도 8은 Querty Phone의 두 종류를 보여주는데 도 8a는 LG에서 생산 판매되는 모델 LG9200 Qwerty Phone으로 키보드가 슬라이드형태로 제공되며 도 8b는 Blackberry 8700 모델인데 키보드가 핸드폰의 전면에 제공되고 있다.FIG. 8 shows two types of Querty Phones. FIG. 8a is a model LG9200 Qwerty Phone produced and sold by LG. The keyboard is provided in a slide form, and FIG. 8b is a Blackberry 8700 model.

도 9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터치패드 두개(906L, 906R)를 사용한 핸드폰을 나타내고 있다. 두 개의 터치패드는 문자입력방식에서 두 개의 커서에 각각 연동되어 동작되며, 각각의 커서는 가상키보드의 영역을 반분하여 좌우 영역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네 개의 기능버튼(902~905)을 갖는데 이는 핸드폰의 사용 시에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기능버튼의 배열은 양 손 혹은 한 손으로도 포인팅장치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문자입력의 편리성을 위해 일반적인 키보드의 자판(9a)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3개의 자판 열을 갖는 단축 키보드(9b)을 사용할 수도 있다.9 illustrates a mobile phone using two touch pads 906L and 906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touch pads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wo cursors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and each cursor is divided into half of the virtual keyboard to cover left and right areas. In addition, there are four function buttons 902 to 905, which perform different functions when the mobile phone is used, and the arrangement of these function buttons allows the user to fully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pointing device with both hands or with one hand. In addition, a keyboard 9a of a general keyboard may be used as it is or a shortcut keyboard 9b having three keyboard rows may be used for convenience of character input.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패드를 갖는 핸드폰의 예(도 10a, 10b)를 보여 주고 있는 바, 도 10c는 현재 삼성전자의 SPH-B3100 모델로서 화면의 가로보기와 세로보기가 가능하도록 double hinge를 사용한 기종이다. 이러한 가로보기와 세로보기가 가능한 대표적인 핸드폰 모델이 도 10f(SonyErrison Bravaio Phone W44S) ~ 도 10i(Motorola MPX)에 보여 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포인팅 장치의 배열은 이메일이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과 같이 가로보기가 유리한 경우와 단순히 전화기능 만을 위한 세로보기 경우 모두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키보드 입력장치의 기능을 갖는 QWERTY폰의 구조면에서는 도 8에 나타난 기존의 QWERTY폰에 비해 작은 공간에 키보드를 내장시킨 것뿐만 아니라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 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장점을 살펴 볼 수 있다.FIG. 10 shows an example of a mobile phone having a touch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10A and 10B), and FIG. 10C is a SPH-B3100 model of Samsung Electronics which is currently double hinged to enable horizontal and vertical views of the screen. It is a model using. Representative mobile phone models capable of such a landscape and portrait view are shown in Figure 10f (SonyErrison Bravaio Phone W44S) ~ Figure 10i (Motorola MPX). Similarly, the arrangement of the poi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both the case where the landscape view is advantageous, such as the e-mail or the multimedia player function, and the case of the portrait view for the phone function only, and the QWERTY phone having the function of the keyboard input device as shown in FIG. 9. In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QWERTY phone shown in Figure 8 can be seen in that not only the built-in keyboard in a small space but also can provide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도 11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핸드폰을 세로보기 사용 시의 모습이며 한 손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전화기능으로 간편한 다이얼링을 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송수화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bar-type의 구조를 제공한다.11 is a view of using the mobile phone provided in the vertic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 one hand to enable a simple dialing by phone function and further provides a bar-type structure that enables the handset function.

도 12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핸드폰을 가로보기 사용 시의 모습이며 이 경우 양손을 사용할 수 있어서 문자입력과 GUI시스템의 원활한 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12 is a view of the mobile phon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the landscape view, in which case both hands can be used to enable smooth operation of the character input and GUI system.

도 13은 세로보기 모드에서 GUI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으로 전화 통화를 기존의 핸드폰과 동일하게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13a는 핸드폰을 on 시켰을 경우 나타나는 초기화면으로 포인터(커서)를 전화통화 프로그램 아이콘 위에 위치시킨 다음 더블클릭(터치패드를 두 번 눌러 준다)하여 도 13b에 나타나는 가상 키패드를 연 다음 011-813-9715를 걸기 위해서는 '0'부터 '5'까지(도 13c) 기존의 핸드폰과 동일하게 원하는 번호에 커서를 옮겨서 차례로 눌러주면(터치패드를 눌러 준다) 번호가 화면상에 입력되고 마지막으로 도 13d와 같이 가상키패드의 '통화'버튼에 커서를 옮겨서 눌러주면(터치패드를 눌러준다) 통화가 되며 전화 통화가 끝내려면 '종료'버튼을 눌러주면 된다. 기존의 핸드폰과 달리 전화번호를 잘못 입력하여도 다 지울 필요 없이 잘못 입력된 번호만 선택하여 '취소'버튼을 눌러 삭제한 다음 새로 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이러한 입력방법은 컴퓨터에서 마우스를 이용하여 문자를 수정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기존의 핸드폰이 갖는 기능의 구현도 프로그램을 통하여 가능한 것이 본 발명이 제공하는 핸드폰의 장점이다. 따라서 기존의 핸드폰의 키패드를 이용한 통화방법이 익숙한 경우에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마지막 번호 9715만 입력하더라도 그에 해당하는 전화번호(011-813-9715)가 화면에 나타나 '통화'버튼을 눌러주면 된다. 또 기존 핸드폰의 단축키 기능과 같이 '1'번을 오래 누르고 있을 경우(터치패드를 오래 누르고 있는 경우) 이미 입력된 전화번호로의 연결 등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초기화면인 GUI시스템으로 돌아가려면 숨어있는 메뉴를 불러서 '메인화면' 메뉴에 커서를 옮긴 다음 버튼(터치패드)을 눌러주면 된다.(도 13e)FIG. 13 shows that a telephone call can be made identical to a conventional mobile phone by using a GUI system in a portrait view mode. FIG. 13A is an initial screen displayed when the mobile phone is turned on, and the pointer (cursor) is positioned on the telephone call program icon, and then double-clicked (double-tap of the touch pad) to open the virtual keypad shown in FIG. 13B, and then 011-813- To dial 9715, move the cursor to the number you want from '0' to '5' (Fig. 13c) and press it in turn (press the touch pad) to enter the number on the screen. Likewise, move the cursor to the 'call' button on the virtual keypad (press the touch pad) to make a call, and press the 'end' button to end the phone call. Unlike the existing mobile phone, you do not need to delete the wrong number even if you enter the wrong number, just select the wrong number and press the 'Cancel' button to delete and then enter a new number. This input method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modifying a character using a mouse in a computer. It is an advantage of the mobile phon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implementation of a function of the existing mobile phone is also possible through a program. Therefore, even if you are familiar with the call method using the keypad of the existing mobile phone provides an interface that can be used as it is. For example, even if only the last number 9715 is entered, the corresponding telephone number (011-813-9715) appears on the screen and the call button is pressed. In addition, if you press and hold '1' for a long time like the shortcut function of the existing mobile phone (if you press and hold the touch pad for a long time), you can connect to the phone number already entered. To return to the initial screen GUI system, call the hidden menu, move the cursor to the 'main screen' menu, and press the button (touch pad) (Fig. 13e).

도 14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포인팅장치를 갖는 핸드폰에서 가로보기 모드로 기존 컴퓨터의 GUI시스템에서와 같이 이메일 프로그램이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a는 핸드폰을 on 시켰을 때 메인 화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메일 프로그램 아이콘에 포인터(커서)를 위치시킨 다음 더블 클릭하면(터치패드를 빠르게 두 번 눌 러준다) 도 14b와 같은 이메일 프로그램이 열리고 다시 포인터를 송신편지함에 위치시키고 선택기능버튼(904L)을 더블 클릭하면 도 14c와 같은 송신편지 목록이 나타난다. 같은 방법으로 이메일 목록의 하나를 선택하고 더블클릭하면 이메일의 내용을 열게 되어 도 14d와 같이 새로운 입력이나 수정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때 문자입력모드를 작동시키기 위해 포인터를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곳에 위치시킨 다음 선택기능버튼(904L)을 눌러주면 문자입력 위치 커서를 표시된다. 이 때 Text/GUI mode 전환버튼(901L)을 눌러주면 화면 하단에 가상키보드가 나타나고 가상키보드 바로 위에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부분이 위치하게 되어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도 14e). 그리고 문자 입력이 끝나고 다시 도 14f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제목 입력이 끝나고 Text/GUI mode 전환버튼(901L)을 눌러주면 다시 입력하고자 하는 위치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며 이 때 본문입력 영역에 커서를 옮겨 선택버튼을 더블클릭하면 입력위치커서가 화면에 나타난다.(도 14f) 그리고 Text/GUI mode 전환버튼(901L)을 눌러주면 가상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진다.(도 14g) 문자입력모드에서 본문 입력이 끝나면(도 14h) Text/GUI mode 전환버튼(901L)을 눌러주어 UI모드로 전환하여 다음 단계로 이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포인터를 메뉴판의 파일로 옮겨 선택버튼을 눌러 다운메뉴를 펼쳐 '저장', '보내기' 혹은 '끝내기'를 실행할 수 있다. 만약 '끝내기'를 실행하면 메인화면(도 14a)으로 돌아오게 된다. Fig. 14 shows that an e-mail program is used as in the GUI system of an existing computer in a landscape view mode in a mobile phone having a pointing devic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14A shows the main screen when the mobile phone is turned on. If the pointer (cursor) is placed on the email program icon and then double-clicked (the touch pad is pressed twice quickly), the email program as shown in FIG. 14B is opened and the pointer is again displayed. Is placed in the transmission letter box and the selection function button 904L is double-clicked to display the transmission letter list as shown in FIG. In the same way, if one of the e-mail lists is selected and double-clicked, the e-mail contents are opened and a new entry or modification can be made as shown in FIG. 14D. At this time, in order to operate the character input mode, the pointer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where the character is to be input, and then the selection function button 904L is pressed to display the character input position cursor. In this case, when the text / GUI mode switching button 901L is pressed, a virtual keyboard appears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nd a portion to input a character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virtual keyboard, thereby enabling input (FIG. 14E). After the character input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4F, when the title is input and the text / GUI mode switch button (901L) is pressed, the user can select the position to be input again. Double click to display the input position cursor (Fig. 14f) and press the Text / GUI mode switch button (901L) to create a virtual keyboard environment (Fig. 14g). 14H, the text / GUI mode switch button 901L is pressed to switch to the UI mode, an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next step. For example, you can move the pointer to a file on the menu and press the Select button to expand the down menu and execute 'Save', 'Send' or 'Exit'. If you execute 'Exit', you will be returned to the main screen (Figure 14a).

도 15는 가상키보드의 모습을 나타내는데 도 15a는 문자입력모드가 시작될 때 가상 키보드가 화면에 나타나는 모습으로 좌우포인터는 'f'와 'j'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가상키보드의 좌우측에 두 개의 포인터(커서)가 나타나고 각각의 포인터는 키보드의 가운데 선을 경계선으로 하여 넘어가지 못하고 키보드의 좌측영역(1501)과 우측영역(1502)에서만 작동하게 된다. 이는 키보드와 동일하게 좌측은 왼쪽 엄지가 우측은 오른쪽 엄지가 담당하여 문자입력의 효율성을 배가시키고자 하는 고안이다. 즉 두 개의 포인터가 서로 교차하는 일도 없어지고 터치패드를 아무리 조작한다고 하여도 포인터는 좌우측에 위치가 고정되어 양손가락(엄지손가락)의 움직임이 한층 자유롭게 되고 그에 따른 문자 입력이 QWERTY 키보드와 같은 입력의 효율성을 가져오게 된다. 그리고 도 14g와 같은 문자 입력모드에서 자주 사용하게 되는 'Enter', '한/영 변환' 및 'Cap(영어의 대문자 변환기능)'의 기능을 터치패드 주변의 기능버튼이 담당하게 하여 고정된 위치에서 쉽게 조작이 가능하게 하여 문자입력의 효율성을 보다 증가시킨 것을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Cap' 기능버튼을 눌러주면 가상키보드의 키가 대문자모드로 변하게 된다.(도 15b) FIG. 15 illustrates a virtual keyboard. FIG. 15A shows a virtual keyboard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text input mode is started. The left and right pointers are located at 'f' and 'j'. At this time, two pointers (cursors) appea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irtual keyboard, and each pointer does not cross the center line of the keyboard and operates only in the left region 1501 and the right region 1502 of the keyboard. It is designed to double the efficiency of text input by the left thumb and the right thumb in the same way as the keyboard. In other words, the two pointers do not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no matter how the touchpad is operated, the pointers are fix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movement of two fingers (thumbs) is more free and the character input is the same as that of the QWERTY keyboard. It brings efficiency. And the function of the 'Enter', 'Korean / English conversion' and 'Cap (capital letters of English)' frequently used in the character input mode as shown in FIG. Easily manipulat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ext input. In fact, if you press the 'Cap' function button, the key of the virtual keyboard is changed to the uppercase mode (Fig. 15b).

도 16은 문자입력과정에서 "... I am fine."에서 "... I am"까지 입력되어 다음에 스페이스를 그리고 'fine'을 입력하는 과정이다. 도 16a는 '... am"까지 입력된 상태이고 도 16b는 스페이스를 입력하려고 오른쪽 엄지를 터치패드의 우측하단으로 움직여 눌러주면 스페이스 기능을 담당하게 한다. 스페이스 입력이 끝나고 'fine'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커서를 'f'와 'i'에 위치시키고 차례로 좌측과 우측 터치패드를 눌러주면 된다.(도 16c) 하지만 문자입력모드에서 그 어느 것보다 많이 사용 하는 것이 '스페이스'이므로 이를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이 가상키보드의 가장 아래쪽 오른쪽 구석에 위치시키는 방법과 터치패드를 누르지 않고 단지 손가락을 좌우로 이동하여 입력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도 36에 설명되어 있다.16 is a process of inputting from "... I am fine." To "... I am" in the character input process, followed by a space, and then entering 'fine'. Figure 16a is input until '... am' and Figure 16b is to enter the space by pressing the right thumb to move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touch pad to enter the space to enter the space function. To do this, place the cursor on 'f' and 'i' and press the left and right touch pads in sequence (Fig. 16c). The method can be used in the bottom right corner of the virtual keyboard and the method of inputting by simply moving a finger left and right without pressing the touch pad, which is described in FIG. 36.

도 17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두개의 터치패드와 다수의 기능버튼을 갖는 핸드폰의 경우 마우스와 같이 GUI 시스템상의 작업이 용이함을 보여주고 있다. 도 17a는 문서를 휴지통에 삭제하는 과정 중 우측 터치패드와 좌측 명령실행 버튼(좌측 터치패드의 아래쪽에 위치한 기능버튼)을 이용하여 문서를 선택하는 것이고 도 17b는 명령실행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우측터치패드를 이용하여 문서를 휴지통까지 옮기는 과정이다. 포인터가 하나이고 포인팅장치가 두 개인 경우는 포인팅장치가 각기 독립적으로 작동하므로 좌우손잡이 모두에게 손의 동작이 용이한 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마우스와 같은 작업의 편리성을 보장한다.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른손잡이의 경우는 우측터치패드를 사용하고 왼손잡이의 경우는 좌측터치패드를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좌우측 기능버튼(904L, 904R)은 마우스에서와 같이 상호 변환되어 사용될 수 있게 하면 오른손잡이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 17b의 작동이 왼손잡이에게도 적용되는 것이다. FIG. 17 shows that a mobile phone having two touch pads and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operated on a GUI system such as a mouse. FIG. 17A illustrates a method of selecting a document using a right touch pad and a left command execution button (a function button located below the left touch pad) during the process of deleting a document in the trash. FIG. 17B shows a right touch while pressing a command execution button. The process of moving a document to the trash using the pad. In the case of one pointer and two pointing devices, since the pointing devices operate independent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eft and right handed users can use the hand as easily as possible, thereby ensuring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such as a mouse. As shown in FIG. 17, the right touch pad may be used for the right handed and the left touch pad may be used for the left handed. The left and right function buttons 904L and 904R can be used interchangeably as in the mouse, and the operation of FIG. 17B showing the right handed operation is also applied to the left handed.

도 18은 두개의 터치패드를 가로보기(18c) 세로보기(18b) 모드가 모두 가능하도록 한 더블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핸드폰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핸드폰과 도 8a에 나타난 핸드폰을 비교하면 본 발명에 제공하는 핸드폰의 경우 도 8a의 핸드폰의 몸체의 키패드 길이만큼 화면을 크게 확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화면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만약 화면의 크기가 같을 경우라면 핸드폰의 크기가 도 8a의 핸드폰이 갖는 몸체의 키패드 길이만큼 작아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키패드를 이용하는 QWERTY폰에 비해 공간상으로 훨씬 효율적이며 GUI 구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보다 다양한 기능이 가능해진다.FIG. 18 illustrates a mobile phone having a double sliding structure in which two touch pads are both capable of a landscape view 18c and a portrait view 18b. Comparing the mobile phone of this structure with the mobile phone shown in FIG. 8A, the mobile phon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ce that can expand the screen as much as the keypad length of the body of the mobile phone of FIG. If the size of the screen is the same, the size of the mobile phone can be as small as the keypad length of the body of the mobile phone of Figure 8a. Therefore, it is much more efficient in space than a QWERTY phone using a conventional keypad and more various functions are possible in terms of GUI implementation.

도 19는 두 개의 터치패드를 갖는 전자사전(도 19b, 19c)을 기존의 키패드 입력장치를 갖는 전자사전(도 19a)과 나열한 것으로 본 발명이 제공하는 터치패드를 갖는 전자사전의 경우 GUI시스템을 기초로 운용되기 때문에 내장된 각각의 사전을 컴퓨터의 응용프로그램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양손을 이용하여 전자사전을 들고 사용할 경우는 도 1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하고 한 손만을 사용할 경우는 사전을 바닥에 놓고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 손만으로 터치패드를 이용하면 된다. 그리고 기존의 전자사전이 메뉴를 step down 방식이어서 단지 하나의 창을 보여주는데 반해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전자사전은 도 19c에 나타난 바와 같이 multi windows 방식이 가능하여 동시에 여러 개의 사전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준다. 즉 화면에서 "일한..."으로 표시된 하단의 radio button을 클릭하면 현재 화면에 보이는 영한사전과 동일하게 일한사전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9d와 도 19e는 터치패드 하나만을 이용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전자사전의 경우 양손으로 들고 사용하는 경우보다 바닥에 놓고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단 일 터치패드를 이용한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적용하여 가상키보드를 활용하게 되면 기존의 간이 키보드를 가진 전자사전보다 사용면에서 마우스의 기능도 겸비하여 월등한 편리성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이에 적용되는 UI는 도 28에 설명되어 있다.FIG. 19 lists electronic dictionaries having two touch pads (FIGS. 19B and 19C) and electronic dictionaries having conventional keypad input devices (FIG. 19A).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dictionary having a touch pad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 GUI system is provided. Because it operates on a basic basis, each built-in dictionary can be used in the same way as an application on a computer. When holding and using an electronic dictionary with both hands, use it as shown in FIG. 12A. 2B, the touch pad may be used with only one hand. The electronic dictionary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 of multiple dictionaries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19C, whereas the conventional electronic dictionary shows a single window by stepping down the menu. In other words, if you click the radio button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hat says "Work ...", you will be able to use the Japan-Korean dictionary in the same way as the English-Korean dictionary shown on the screen. 19d and 19e show a case where only one touch pad is used, which is often used on the floor than when the electronic dictionary is used with both hands. In this case, a user interface using a single touch pad is used. If you use the virtual keyboard by applying), you will have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mouse function in terms of use rather than the electronic dictionary with the existing simple keyboard. The UI applied thereto is described in FIG. 28.

도 20은 터치패드 위에 둘 이상의 기준점을 만들어 이들 기준점을 가상키보드의 두 개 이상의 키에 연계시킴으로써 가상키보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이 보다 용이하게 하기위한 구조를 도 20a가 보여주고 있다. 좌우 터치패드 위에 각각 4개의 기준점(2001-L1, L2, L3, L4, R1, R2, R3, R4)이 있어서 이들 기준점을 가상키보드의 s, e, f, c와 j, i, ℓ, m과 연계시킬 경우 손가락이 느끼는 이들 기준점으로부터의 상대적인 위치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 화면을 보지 않고도 알 수 있게 하는 원리이다. 예를 들면 가상키보드가 시작될 때에 포인터가 가상키보드의 f와 j에 자동으로 위치하게 하고 도 20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터치패드위의 손가락이 기준점 2001-L1과 R1에 놓고 포인터를 움직이기 위한 움직임을 시작할 경우 좌측 터치패드 위의 손가락은 2001-L1에서 L3로 움직이고 그에 따라 포인터도 화면상에서 'j'에서 's'로 움직이게 된다. 그 상태에서 터치패드를 눌러주면 's'가 입력되게 되는 것이다. 즉 기준점을 이용한 상대적인 위치 감각의 인지는 터치패드를 이용하여도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손가락을 어느 방향으로 얼마만큼 움직여야 할지를 이미 결정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화면을 계속 쳐다보면서 포인터의 위치를 맞추려고 노력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포인터를 이용한 입력방법에서도 키보드 와 같은 절대적인 위치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가상키보드가 실제 키보드와 똑 같은 편리성을 갖게 된다. 다만 실제 키보드가 다섯 손가락을 모두 이용하는 반면에 터치패드를 이용한 가상키보드는 한 손가락만을 이용한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도 20b와 20c는 손이 터치패드위의 기준점에 놓이는 위치와 가상키보드에서의 기준점에 해당하는 키의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20A illustrates a structure for making text input using a virtual keyboard easier by making two or more reference points on a touch pad and associating these reference points with two or more keys of a virtual keyboard. There are four reference points (2001-L1, L2, L3, L4, R1, R2, R3, and R4) on the left and right touch pads, respectively.These reference points are s, e, f, c and j, i, l, m on the virtual keyboard. In this case, the characters inputted from the relative position from the reference point felt by the finger can be known without looking at the screen. For example, when the virtual keyboard starts, the pointer is automatically positioned at f and j of the virtual keyboard, and the finger on the touchpad is placed at the reference points 2001-L1 and R1 as shown in FIG. 20B and starts to move the pointer. In this case, the finger on the left touchpad moves from 2001-L1 to L3, and the pointer moves from 'j' to 's' on the screen. If you press the touch pad in that state, 's' will be input. In other words, perception of relative position using the reference point makes it possible to determine the direction in which direction the finger should be moved as in the case of using the keyboard even when using the touchpad. It is not necessary. As a result, even in the input method using the pointer, absolute position such as a keyboard can be set, and the virtual keyboard has the same convenience as the actual keyboard.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 actual keyboard uses all five fingers while the virtual keyboard using the touchpad uses only one finger. 20B and 20C show the position of the hand on the reference point on the touch pad and the position of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point on the virtual keyboard.

도 21은 터치패드위에 손가락이 놓이는 기준점을 조그만 돌기가 아닌 가로세로 퍼즐의 모양을 갖는 패턴의 돌기를 배열함으로서 보다 용이하게 자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한 구조이다. 이러한 가로세로무늬의 형태의 장점은 터치패드 위에서 손가락의 움직임이 직선운동을 할 수 있는 안내역할을 하여 자판의 위치 뿐만 아니라 위치를 쉽게 찾게 해주는 역할을 해준다. 진한 색으로 표시된 정사각형 영역(2101, 2102)이 각각 가상키보드의 자판 'a'와 'm'의 위치에 해당한다. 이러한 사각형 형태의 돌기부의 요철 형태는 도 21b의 단면도에 나타나 있다. 터치패드는 주의보다 5mm이내에서 낮게하여 가장자리 모서리부분이 손가락의 안내 역할을 담당하고, 돌기부분(2101, 2102)은 1mm이내에서 돌출되어 손가락의 움직임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위치를 인지할 수 있게 해준다. 하지만 터치패드의 정전용량의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는 0.5mm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mm내외의 돌기부분(2101, 2102)을 이루는 것이 좋으며 핸드폰의 경우 터치패드에 의해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터치패드를 주위와의 높이 차이를 가능한 한 줄이는 것이 이상적이며 그 차이가 1mm 이내여도 본 발명이 추구하는 손가락의 안내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21 is a structure that makes it easier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keyboard by arranging the projection of the pattern having the shape of the puzzle in the vertical rather than the small projection of the reference point on which the finger is placed on the touch pad. The advantage of the shape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attern serve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finger on the touchpad can be a linear movement to facilitate the location of the keyboard as well as the location. The square areas 2101 and 2102 shown in dark colors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keyboard 'a' and 'm' of the virtual keyboard, respectively. The irregularities of the rectangular protrusions are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21B. Since the touchpad is lower than 5mm lower than the attention, the edge edge portion plays a role of guiding the finger, and the protrusions 2101 and 2102 protrude within 1mm so that the position can be recognized in a rang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inger movement. To make it possible. However, in order not to affect the change in the capacitance of the touch pad, it is preferable to form protrusions 2101 and 2102 of about 0.5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about 0.1 mm. Therefore, it is ideal to reduce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touchpad as much as possible, and even if the difference is within 1 mm, it can play a role of guiding the fing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pursues.

도 22는 터치패드에 수반되는 기능버튼의 배열과 터치패드(2400L, 2400R)의 단면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22a에 나타난 구조는 기능버튼으로 일반적인 돔 스위치(dome switch - 2201, 2202, 2203)와 터치패드의 밑에도 돔 스위치(2205)를 적용한 것이고 도 22b는 기계적 버튼 대신 터치패드의 가장자리((S)1, (S)2, (S)3, (S)4, (S)5, (S)6)를 두드려서(tapping) 터치패드의 정전용량 변화를 가져와 스위치 기능이 작동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두드림 동작은 터치패드 주변영역이((S)1, (S)2, (S)3, (S)4, (S)5, (S)6) 장치 케이스(case)로 막혀있기 때문에 터치패드 영역(2208L, 2208R) 상하 움직임을 통한 돔 스위치의 작동을 유발시키지 않는다. 특히 도 21의 형태와 차이점은 터치패드의 위치를 손가락이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요철형태(2207L, 2207R)를 제공하고 있다. 즉 x방향으로만 굴곡이 있고 y방향으로는 굴곡이 없어서 보다 쉽게 x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하고 y방향 위치 감각은 가장자리(2208L, 2208R) 이용하게 된다.22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function buttons accompanying the touch pad and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touch pad 2400L and 2400R. The structure shown in FIG. 22A is a function button and a dome switch 2205 is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touch pad (dome switch-2201, 2202, 2203) and the touch pad. By tapping 1, (S) 2, (S) 3, (S) 4, (S) 5, and (S) 6), the touch pad's capacitance changes, causing the switch function to work. This tapping operation is touched because the area around the touchpad is blocked by the device case ((S) 1, (S) 2, (S) 3, (S) 4, (S) 5, (S) 6). The pad regions 2208L and 2208R do not cause the dome switch to operate through the vertical movement. In particular, the shape and difference of FIG. 21 provides uneven shapes 2207L and 2207R so that a finger can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touch pad. That is, there is only a bend in the x direction and there is no bend in the y direction, so that the x position can be easily detected, and the y direction position sense is used by the edges 2208L and 2208R.

도 23은 도 22b의 구조에서 터치패드(2301L, 2301R) 밑에 돔 스위치가 적용되지 않은 구조로서 돔 스위치의 기능을 전화기의 뒷면(23b-(B)) 상, 하단부 양쪽에 위치한 스위치(2303L, 2030L', 2303R, 2303R')로 대신하는 구조이다. 이들 스위치는 'L'자형 형태의 레버와 돔 스위치(2304L, 2304R)로 구성되어 밑면, 모서리 혹은 뒷 면 어느 쪽에서도 힘을 가해 작동하며 실제 이를 작동시키는 손의 모양이 도 23c에 나타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화기 뒷면 상단에 있는 스위치(2303L', 2303R')를 생략하거나 혹은 소프트웨어로 이들 스위치의 기능이 작동하지 않게 하여 단지 하단부의 스위치만 작동하게 할 수도 있다. 도 23b-(A)는 가로모드(문자입력모드)를 23b-(B)는 세로모드(핸드폰모드)에서 오른손잡이의 경우 손가락의 위치를 보여준다. 이들 손가락의 위치는 엄지가 자유롭게 움직이면서도 스위치(2303L, 2303R)의 작동이 용이하여 터치패드 밑면에 스위치를 배치한 경우와 동일한 스위치 작동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더욱이 도 33에 설명되어 있듯이 터치패드를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발생하는 정전용량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도 함께 적용하는 방법도 가능하여 이들 스위치와 병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핸드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 이들 스위치(2303L, 2303R)를 아예 생략하고 터치패드의 정전용량변화만을 이용하여 스위치 기능이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FIG. 23 is a structure in which the dome switch is not applied under the touch pads 2301L and 2301R in the structure of FIG. 22B, and the switches 2303L and 2030L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n the rear surface 23b- (B) of the telephone. ', 2303R, 2303R'). These switches are composed of 'L' shaped levers and dome switches 2304L and 2304R, which are operated by applying force at either the bottom, the edge, or the rear side, and the shape of the hand actually operating the same is shown in FIG. 23C. In some cases, the switches 2303L 'and 2303R' at the top of the back of the phone may be omitted, or the functions of these switches may be disabled by software so that only the lower switch is activated. 23B- (A) shows the position of the finger in the landscape mode (character input mode) and 23b- (B) in the right mode in the portrait mode (cell phone mode). The position of these fingers allows the operation of the switches 2303L and 2303R while the thumb moves freely, thus providing the same ease of switch operation as the case where the switch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touchpad. Furthermore, as illustrated in FIG. 33, a method of using a capacitance change generated when a touch pad is pressed with a finger is also possible, which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se switches. Furthermore, these switches are used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a mobile phone. 2303L and 2303R may be omitted, and the switch function may be operated using only the capacitance change of the touch pad.

도 24는 본 발명에서 두 개의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a와 도 24b는 각각 터치패드의 좌표계와 가상키보드의 좌표계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도 24c에서 설명하게 될 터치패드의 작동원리의 기본이 된다. 터치패드 좌표는 좌우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작동하므로 좌표가 각각 L, R로 구분되는데 반해 가상키보드의 좌표계는 좌우가 분리되어 있지 않고 이어져 있기 때문에 x축의 범위는 -x5에서 +x5까지로 표시되어 있다. 가상키보드 좌표계의 특징은 △ x1 = △x2 = △x3 = △x4 = △x5 이고 △y1 = △y2 = △y3이다. 마찬가지로 터치패드의 좌표계도 △X1 = △X2 = △X3 = △X4 = △X5 이고 △Y1 = △Y2 = △Y3 이다. 본 발명에서 고안된 좌우분리 터치패드의 작동원리가 기존의 터치패드의 작동원리와 상이하다. 즉 일반적인 UI(UI - user interface)에서 커서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것은 포인터 입력장치인 터치패드 혹은 마우스로부터 발생되는 신호(△X, △Y-finger's diplacement)로부터 커서의 x, y 방향으로의 이동거리(△x, △y - cursor's displacement)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받아들여 커서의 새로운 위치를 선정하는데 반해 본 발명의 문자입력모드에서의 커서 작동은 터치패드의 절대좌표에 의해 결정되는데 함수과계로 설명하면 터치패드의 한 점은 가상키보드의 한 점에 대응된다는 점이다. 말하자면 포인터 입력장치인 터치패드로부터 발생되는 신호(X, Y - 손가락의 위치 좌표)로부터 커서의 좌표(x,y)를 계산하여 그 좌표에 해당하는 위치에 커서를 위치시키는 것이다. 문자 입력 시에는 두개의 커서를 독립적으로 한정된 영역(좌측 커서의 경우 -x5 ≤ x ≤ x5, y0 ≤ y ≤ y3 ; 우측커서의 경우 -x5 ≤ x ≤ x5, y0 ≤ y ≤ y3 )에서 손가락의 위치좌표(X,Y)에 해당하는 커서의 좌표(x,y)에 의해 위치가 선정되며 이러한 방식에 의한 커서의 좌표 계산식(X ->x, Y->y)은 도 24c에 나타나 있다. 예를 들면 문자입력모드에서 오른쪽 엄지가 도 24a의 우측 터치패드의 문자 'p'가 표시된 위치에 닿은 상태에서 'y'로 이동하는 경우와 손가락이 'p'로부터 떨어져서 'y'로 이동하는 경우에 차이가 없다는 점이다. 이점이 일반적인 터치패드의 작동원리와 본 발명의 문자입력모드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하는 원 리와의 차이점이다. 그리고 문자입력이 아닌 일반적인 UI 모드에서는 터치패드 위에서의 손가락의 움직인 거리(△X, △Y)를 커서의 움직이는 거리(△x, △y)로 환산하여 적용하게 되며 사용자의 편리성에 따라 손가락의 이동 거리(△X)에 해당하는 커서의 움직이는 거리(△x)의 비는 임의로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커서 작동 원리가 도 24c에 나타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두 개의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화면상의 커서를 제어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쓰이는 이동거리 신호방식과 절대좌표 신호방식이 혼용된다. 24 illustrates a method of inputting text using two touch pads in the present invention. 24A and 24B show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touch pad and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virtual keyboard, respectively, which are the basis of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touch pad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4C. Since touch pad coordinates are separated from left and right and operate independently, the coordinates are divided into L and R, respectively, whereas the virtual keyboard coordinate system is not separated from left and right, so the x-axis range is displayed from -x 5 to + x 5 . I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rtual keyboard coordinate system are Δ x 1 = Δx 2 = Δx 3 = Δx 4 = Δx 5 and Δy 1 = Δy 2 = Δy 3 . Similarly,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touch pad is also ΔX 1 = ΔX 2 = ΔX 3 = ΔX 4 = ΔX 5 and ΔY 1 = ΔY 2 = ΔY 3 .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left and right touch pads devi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conventional touch pad. In other words, determining the movement of a cursor in a general UI (UI) user interface (UI) is a movement distance in the x and y directions of the cursor from a signal (ΔX, ΔY-finger's diplacement) generated from a touch pad or a mouse that is a pointer input device. While the data corresponding to (Δx, Δy-cursor's displacement) is selected to select a new position of the cursor, the cursor operation in the character input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absolute coordinates of the touch pad. One point of the pad corresponds to one point of the virtual keyboard. In other words, the coordinates (x, y) of the cursor are calculated from signals (X, Y-finger position coordinates) generated from the touch pad, which is a pointer input device, and the cursor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When entering characters, two cursors are defin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for the left cursor, -x 5 ≤ x ≤ x 5 , y 0 ≤ y ≤ y 3 ; -X 5 ≤ x ≤ x 5 , y 0 ≤ y ≤ y 3 for the right cursor ) Is selected by the coordinates (x, y) of the curso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oordinates (X, Y) of the finger, and the coordinate calculation formula (X-> x, Y-> y) of this method is shown in Figure 24c. Is shown in. For example, in the text input mode, when the right thumb moves to 'y' while the letter 'p' of the right touch pad of FIG. 24a is displayed, and the finger moves to 'y' away from 'p'. There is no difference. This is a difference between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general touch pad and the principle of using the touch pad in the text input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general UI mode other than text input, the distances (△ X, △ Y) of the finger on the touchpad are converted to the distances (△ x, △ y) of the cursor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The ratio of the moving distance Δx of the cursor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stance ΔX may be arbitrarily adjusted. This principle of cursor operation is shown in FIG. 24C. Therefore, when controlling the cursor on the screen by using the two touch pad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distance signal method and the absolute coordinate signal method generally used are mixed.

도 25은 터치패드의 좌표계와 커서 좌표계의 대응이 비선형적인 경우이다. 이는 터치패드를 작동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관절에 의해 원운동을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직선운동이 용이하지 않아서 손가락이 좌에서 우 혹은 우에서 좌로 이동할 때 필연적으로 상하 이동이 수반되게 된다. 특히 도 25c의 'A'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손가락이 터치패드의 중앙에서 움직일 경우를 △Y1과 △Y3영역에서는 터치패드의 가장자리 모서리를 기준으로 삼아 손가락이 움직이며 상하 이동 폭이 적은데 반해 △Y2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상하 운동 폭이 심하게 되어 △Y1 혹은 △Y3 영역('i'에 해당하는 부분)을 선택하게도 되는 것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Y2 영역을 크게 함으로서(도 25c 의 'B'의 경우) 동일한 손가락의 움직임에도 실제 가상키보드에서는 △y2 영역을 선택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y2 영역에 있는 a, s, d, f, g, h, k, ℓ, ?을 쉽게 선택하고 입력할 수 있게 해 준다. 가상키보드 화면상에서 각 열의 높이(△y1, △y2, △y3)는 동일하더라도 이들 각 열에 해당하는 터치패드의 상, 중, 하 세 개의 영역의 상하 폭이 다르게 했을 때(△Y1 = △Y3 < △Y2 ), 커서의 움직임과 손가락의 터치패드 상에서의 움직임이 연계하는 관계식이 도 25b에 도식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Y -> y 변환이 직선적이지 않고 △Y1 (Y0 ≤ Y ≤ Y1)과 △Y3 (Y2 ≤ Y ≤ Y3)영역에서는 △Y1(=△Y3)->△y1(=△y2=△y3)으로 대응되고 △Y2 (Y1 ≤ Y ≤ Y2)영역에서는 △Y2->△y2으로 대응된다. 이러한 대응 관계를 이용한 장점이 도 25c에 나타나 있다. 즉 손가락의 움직임이 동일하더라도 각 열이 동일한 폭(△Y1 = △Y2 = △Y3)을 갖는 (A)의 경우 커서가 'a' -> 'i' ->'?'의 경로를 가지게 되나, 가운데 열이 넓은 폭을 갖는 (B)의 경우 커서가 동일한 'a' -> 'k' ->'?'의 경로로 동일한 열을 지나가게 된다. 실질적으로 손가락의 움직임에 여유가 생겨 손가락의 관절운동에 의해 상하로 움직임이 폭이 커지더라도 커서의 움직임은 동일한 열에서 이루어지게 하는 장점을 갖게 된다.25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touch pad and the cursor coordinate system is nonlinear. This is because the movement of the finger that operates the touch pad is circularly moved by the joints, so that the linear movement is not easy, and thus the up and down movement is necessarily accompanied when the finger moves from left to right or right to left. In particular, as shown in 'A' of FIG. 25C, when the finger moves in the center of the touch pad, the finger moves based on the edge edge of the touch pad in the areas ΔY 1 and ΔY 3 , while the width of the vertical movement is small while △ In the Y 2 region, the vertical movement width becomes relatively high, so that the region ΔY 1 or ΔY 3 (part corresponding to 'i') may be selected. To compensate for this, by increasing the area ΔY 2 (in case of 'B' of FIG. 25C), Δy 2 in the actual virtual keyboard even with the same finger movement. △ y 2 Allows easy selection and entry of a, s, d, f, g, h, k, l,? When the heights (△ y 1 , △ y 2 , △ y 3 ) of the columns on the virtual keyboard screen are the same,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upper, middle, and lower regions of the touchpad corresponding to each column are different (△ Y 1). = DELTA Y 3 <DELTA Y 2 ), and a relational expression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cursor and the movement of the finger on the touch pad are shown schematically in FIG. 25B. Y-> y transformation is not linear and △ Y 1 (= △ Y 3 )-> △ y 1 in the areas △ Y 1 (Y 0 ≤ Y ≤ Y 1 ) and △ Y 3 (Y 2 ≤ Y ≤ Y 3 ) (= △ y 2 = △ y 3) and in the corresponding △ Y 2 (Y 1 ≤ Y ≤ Y 2) region △ Y 2 -> △ correspond to y 2. The advantage of using this correspondence is shown in FIG. 25C. That is, even if the finger movements are the same, each column has the same width (△ Y 1 = (Δ) with △ Y 2 = △ Y 3 ), the cursor will have a path of 'a'->'i'->'?' Will pass through the same column with the same path 'a'->'k'->'?' Substantially there is room in the movement of the finger, even if the movement is increased up and down by the joint motion of the finger has the advantage that the movement of the cursor is made in the same row.

도 26은 도 24에 나타나 있는 구조의 터치패드를 세로모드에서 전화모드를 작동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도 26a는 세로로 전화기를 들고 있는 손의 모습이며 도 26b는 이미 전화입력모드로 변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26과 도 13을 비교하면 도 13a는 세로모드에서 전역(whole area)모드인 UI(User Interface)모드로 작동되고 있고, 도 13b는 전화모드로 변환된 상태이다. 전화모드에서 초기는 전역모드로 시 작하되 도 26b의 (A), (C)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전역터치패드(2603)에 손가락이 닿을 경우는 전역모드로 작동하여 전역커서(2602)을 화면에 표시하며 문자입력모드는 손가락이 문자입력 터치패드(2606)에 닿을 경우 작동하며 커서는 문자입력커서(2605)로 변화된다. 이들 커서의 작동 영역은 도 26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체영역(2601)과 키패드영역(2604)으로 된다. 도 26b는 활성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비활성커서는 생략되어 있으며 전역커서의 경우 26c-(A)에 표시된 위치에서 문자입력 커서를 보여주는 26c-(B)에서와 같이 전역커서를 이동하여 '5'를 선택하고 눌러줘도 작동하게 된다. 즉 전역커서는 문자입력도 가능하다. 다만 전역커서를 동작시키는 터치패드는 좌표 변화량(△x, △y)에 해당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점이 문자입력 커서를 제어하는 터치패드와 다른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전화기의 전화모드에서는 실질적으로 두 개의 커서가 존재하지만 하나만을 화면에 나타내거나 두 개를 모두 나타내되 활성과 비활성을 구분하여 작동하게 하는 semi-dual cursor 시스템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커서는 그것을 움직이게 하는 터치패드와 작동 영역이 다를 뿐이지 근본적으로 각각의 포인터로서의 기능은 동일 한 것이다. 화면상에서 활성상태에 따라 밝기의 조절이나 색깔의 차이를 주는 방법 혹은 비활성 커서를 화면상에서 사라지게 하는 것은 단지 사용자의 혼동을 막기 위한 것이며 두 개의 커서를 동시에 사용하게 된다. 이상은 두 개의 터치패드를 갖는 경우이고 실제로 세로모드에서 하나의 터치패드만을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도 1b, 도 23c-(C))는 전역모드와 문자입력모드를 변환시켜주는 기능을 갖는 버튼을 이용하여 동일한 터치패드로 두 가지 모드(도 26b-(A), (C))를 상호 전환하여 사용 할 수 있다. FIG. 26 illustrates the principle of operating the phone mode in the portrait mode of the touch pad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FIG. 26A is a view of a hand holding a telephone in a vertical position, and FIG. 26B shows a state in which a phone input mode has already been converted. Comparing FIG. 26 with FIG. 13, FIG. 13A is operated in a UI (User Interface) mode, which is a whole area mode in a portrait mode, and FIG. 13B is converted to a telephone mode. Initially in the telephone mode, the system starts in global mode. However, when a finger touches the global touch pad 2603 as shown in (A) and (C) of FIG. 26B, the global cursor 2602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character input mode is displayed when the finger touches the character input touch pad 2606 and the cursor is changed to the character input cursor 2605. The operating area of these cursors is the total area 2601 and the keypad area 2604 as shown in Fig. 26C. FIG. 26B shows that the inactive cursor is omitted to show the active state, and in the case of the global cursor, the global cursor is moved to '5' as in 26c- (B) showing the character input cursor at the position indicated in 26c- (A). Select and press will also work. That is, the global cursor can also enter characters. However, the touch pad for operating the global cursor is different from the touch pad for controlling a text input cursor in tha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change amounts Δx and Δy is provided. Therefore, in the telephone mode of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re are substantially two cursors, only a single cursor is displayed on the screen or both, but a semi-dual cursor system may be applied to distinguish between active and inactive. And each cursor has a different operating area than the touchpad that moves it, but essentially the function of each pointer is the same. How to adjust the brightness or the color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ctive state on the screen or make the inactive cursor disappear from the screen is just to prevent user confusion and use two cursors at the same time. The above is the case of having two touch pads and actually only one touch pad in the portrait mode (FIGS. 1B and 23C-(C)) shows a button having a function of switching between the global mode and the text input mode. By using the same touch pad, the two modes (Figs. 26B- (A) and (C)) can be used interchangeably.

도 27은 도 25에 나타나 있는 터치패드를 세로모드로 사용하게 될 때의 터치패드의 좌표계(도 27a)와 이 따르는 커서좌표 산출방식에 대한 흐름도(도 27b)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이용할 경우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커서의 움직임(도 27c)에 보여주고 있다. 가로모드와 달리 세로모드에서는 손가락의 좌우 움직임보다는 상하 이동시에 좌우로 치우치는 것이 문제가 되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해 △X2 영역을 △X1과 △X3영역보다 크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할 경우 손가락의 상하이동중에 좌우로의 움직임이 있더라도 실제 커서의 움직임은 △x2의 영역 안에 한정되어 안정적인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FIG. 27 shows a flowchart (FIG. 27B) of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touch pad (FIG. 27A) and the accompanying cursor coordinate calculation method when the touch pad shown in FIG. 25 is used in the portrait mode. The movement of the cursor is shown in Fig. 27C. Unlike the horizontal mode, in the vertical mode, it is more a problem to shift the left and right when moving up and down than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finger, so that the ΔX 2 area is larger than the ΔX 1 and ΔX 3 areas to correct this. In this case, even if there is a left and right movement in the middle of moving the finger, the actual cursor movement is limited to the area of Δx 2 , so that stable input is possible.

도 28은 본 발명에서 두 개의 터치패드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화면에 커서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각각의 터치패드는 (X, Y)좌표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처리 장치에 제공하고 데이터처리 장치는 이를 화면상에 전역커서와 문자입력커서를 제어하기 위해서 전역모드에서는 일반적인 커서의 화면 좌표변화량(△x, △y)을 산출하여 커서를 움직이고, 문자입력모드에서는 커서의 화면 좌표(x, y)를 산출하여 문자입력커서를 움직이게 한다. 다만 가로모드의 문자입력모드에서는 두 개의 문자입력커서를 움직이기 위해 두 개의 커서 좌표, (x1, y1), (x2, y2)를 산출하는데 반해 세로 모드에서는 문자입력모드일 경우 문자입력커서 하나만이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우측 점선으로 표시된 사각형 내의 내용은 터치패드가 하나만일 때에 UI(User Interface)를 구현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1b에 보여 지는 핸드폰의 경우에 적용되는 단일 터치패드 시스템을 위한 UI 구현 방법이다. 마찬가지로 도 19d에 보여 지는 바와 같이 바닥에 놓고 작동해야 하는 전자사전의 경우에도 단일 터치패드의 UI 시스템을 적용한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입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만 이 경우 도 28의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으로 설명되는 UI 구조에서 전역모드위의 세로모드가 핸드폰과는 달리 가로모드로서 설정되게 된다. 핸드폰의 경우이든 전자사전의 경우이든 본 발명의 터치패드의 절대좌표계를 이용한 가상키보드 문자입력 방식은 터치패드 만으로 기존의 키보드와 마우스의 역할을 동시에 담당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이를 핸드폰, 전자사전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상의 좁은 공간에 구현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게 된다.FIG. 28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rocess of displaying a cursor on a screen by using signals from two touch pads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touchpad generates (X, Y) coordinate data and provides it to the data processing device. The data processing device controls the global cursor and the text input cursor on the screen so that the coordinate change of the general cursor in the global mode (△ x, Δy) are calculated to move the cursor, and in the character input mode, the screen coordinates (x, y) of the cursor are calculated to move the character input cursor. However, in the character input mode of horizontal mode, two cursor coordinates, (x 1 , y 1 ), (x 2 , y 2 ) are calculated to move the two character input cursors. Only one input cursor will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content in the rectangle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on the right shows a method of implementing a user interface (UI) when there is only one touch pad, and is a UI implementation method for a single touch pad system applied to the case of a mobile phone shown in FIG. 1B. Similarly, as shown in FIG. 19D, even in an electronic dictionary that needs to be operated on the floor, text input is performed using a virtual keyboard to which a UI system of a single touch pad is applied. In this case, however, the vertical mode on the global mode is set as the horizontal mode unlike the mobile phone in the UI structure illustr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28.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or an electronic dictionary, the virtual keyboard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absolute coordinate system of the touch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at the touch pad can play the role of an existing keyboard and a mouse at the same time. It will open the way for small spaces on the same portable electronics.

도 29는 터치패드에 있는 기준점에 손가락이 놓일 경우 손가락이 터치패드와 접촉하는 면적의 중심이 기준점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식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도 29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판 'k'에 해당하는 점(Pk)에 손가락(엄지)이 놓인다고 해도 터치패드가 산출하는 접촉점 Pk , cal는 (X', Y')로 실제 기준점 Pk의 좌표(X, Y)와 차이를 가지게 된다. 이는 도 29b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따라서 도 24a에 나타나 있는 터치패드 좌표계를 이용하여 도 24c에 따른 방법으로 커서의 좌표를 산출하면 도 29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서를 실제로는 'i' 'o' 'k' 'ℓ'이 중첩되는 지점에 위치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Pk , cal가 실제로 'k'의 중심위치로 보정하기 위해서는 도 29b에 보여지는 실제 Pk와 Pk , cal의 차이(△Xk, △Yk)만큼 터치패드 좌표계를 이동하여 새로운 좌표계(X'-Y')를 설정하면 Pk , cal가 'k'를 나타내는 영역의 중심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설정된 새로운 터치패드 좌표계(X'-Y')를 이용하여 커서의 좌표를 가로모드와 세로모드(전화모드)에서 산출하는 방법이 각각 도 29d와 29e에 나타나 있다.FIG. 29 schematically illustrates a method for correcting that the center of the area where the finger contacts the touch pad does not coincide with the reference point when the finger is placed on the reference point of the touch pad. As shown in FIG. 29A, even if a finger (thumb) is placed at a point P k corresponding to the keyboard 'k', the touch point P k and cal calculated by the touch pad are (X ', Y') as actual reference points P k. It is different from the coordinates of (X, Y). This is shown in detail in FIG. 29B. Therefore, when the coordinates of the cursor are calculat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FIG. 24C using the touchpad coordinate system shown in FIG. 24A, the cursors are actually overlapped with 'i''o''k''ℓ' as shown in FIG. 29C. It will be located in. Therefore , in order to correct P k and cal to the center position of 'k' , the new coordinate system is moved by moving the touch pad coordinate system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P k and P k and cal (ΔX k , ΔY k ) shown in FIG. 29B. If you set (X'-Y '), P k and cal ar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area representing' k '. Methods of calculating the coordinates of the cursor in the horizontal mode and the vertical mode (telephone mode) using the new touchpad coordinate system X'-Y 'thus set are shown in FIGS. 29D and 29E, respectively.

도 30은 터치패드로 포인팅기능외의 다른 기능을 가질 때 손가락에 의한 압력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터치패드가 압력의 변화를 산출하는 원리는 손가락이 터치패드에 압력을 가할 때에 손가락이 터치패드에 닿는 면적이 증가하여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정전용량의 변화로부터 압력의 변화를 계산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포인팅 기능을 위해서 손가락이 터치패드 위에서 움직일 때는 도 30a에 나타난 것처럼 작은 압력변화를 가져오지만 포인팅작업과 달리 압력을 가해 누르면 도 30b에 나타난 것처럼 압력이 Zt , max(pressure at touch)보다 증가한 Zp,max(pressure at pressing)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압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실제 터치패드에 손가락이 가하는 압력이 누름기준압력(Zo pr)보다 큰 경우에 스위치 기능을 부여하게 되면 도 5와 도 7에 나타난 누름기능을 담당하는 스위치 장치를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누름기준압력은 실제 사용자가 터치패드를 눌러 줄 때 생기는 최소 압력(Zp , min)과 터치압력사이에 임의로 사용자가 설정하게 되는 압력이다. 이렇게 설정하는 목적은 터치패드를 눌러주었을 때 나타나는 가장 작은 압력(Zp,min)도 스위치기능을 항상 작동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또 하나의 설정 상수 즉 누름문턱압력(Zpr,th - threshold pressure of pressing)이 있는데 이는 누름압력으로 스위치 기능을 발휘하고자 할 때 스위치가 작동되는 시작압력이다. 이는 또 도 32에서 설명하는 문자입력 오류를 수정하는데 이용되어 자세한 설명은 도 32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30c에 나타난 것처럼 터치영역(회색으로 나타난 부분) 지속시간-△ttap ,1, △ttap ,2-의 단락이 연속으로 이어질 경우 또 다른 스위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는 이미 기존의 포인팅장치로 쓰이는 터치패드의 탭핑을 통한 기능버튼으로의 활용 방법이다. 다만 Ztap가 Zp , max나 Zp , max에 비해 크거나 작을 수 있지만 이는 문제가 되지 않으며 중요한 것은 우연히 터치패드에 닿았다 떨어지는 경우와 구별할 수 있는 단락시간의 크기와 변화이다. 즉 △ttap ,1, △toff,1, △ttap ,2의 범위 설정에 의해 스위치 기능을 부여하게 된다. 이렇게 정전용량의 시간적인 변화를 이용한 탭핑기능의 활용은 도 22a의 기능버튼(2201, 2202, 2203)을 제거하여 도 22b와 나타난 바와 같이 터치패드만으로 이들 기능버튼의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도 22b의 (S)1~(S)6의 영역에 각기 다른 기능을 부여하면 된다. 30 illustrates a pressure change by a finger when the touch pad has a function other than a pointing function. The principle that the touch pad calculates the change in pressure is that when the finger presses the touch pad, the area where the finger touches the touch pad increases, resulting in a change in capacitance, which causes the change in pressure to be calculated from the change in capacitance. do. Therefore, for the pointing function, when the finger moves on the touchpad, it usually produces a small pressure change as shown in FIG. 30A. However, unlike the pointing operation, when pressure is applied, the pressure is higher than Z t , max (pressure at touch) as shown in FIG. 30B. Increased Z p, max (pressure at pressing). When the pressure applied by the finger to the actual touch pad is greater than the pressing reference pressure (Z o pr ) by using the difference in pressure, the switch device for the pressing function shown in FIGS. 5 and 7 is provided. You do not need to install it. Here, the reference pressure is the pressure set by the user arbitrarily between the minimum pressure (Z p , min ) and the touch pressure generated when the user presses the touch pad. The purpose of this setting is to ensure that even the smallest pressure (Z p, min ) that appears when the touchpad is pressed can always activate the switch function. In addition, there is another set constant , Z pr (th -threshold pressure of pressing), which is the starting pressure at which the switch is operated when the switch pressure is to be activated. This is also used to correct the character input error described in FIG. 32,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made in FIG. Further, as shown in FIG. 30C, when the touch area (part shown in gray) durations Δt tap , 1 , Δt tap , 2 − are continuously connected, another switch function may be provided. This is a method of using a function button by tapping a touch pad that is already used as a pointing device. However, Z tap may be larger or smaller than Z p , max , Z p , or max , but this is not a problem and the important thing is the size and change of short time that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case of accidentally touching and dropping the touchpad. That is, the switch function is given by setting the ranges of Δt tap , 1 , Δt off, 1 , Δt tap , 2 . The use of the tapping function using the temporal change of capacitance is performed by removing the function buttons 2201, 2202, and 2203 of FIG. 22A to perform functions of these function buttons only with the touch pad as shown in FIG. 22B. Therefor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provide a different function to the area | region of (S) 1-(S) 6 of FIG. 22B.

도 31은 도 30에서 설명한 기능버튼을 대체한 탭핑이 가능한 터치패드(3101)의 영역을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도 3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탭핑과 누름기능이 터치의 단락시간에 의해 구분되지만 누름영역(3102)과 탭핑영역(터치패드의 영역에서 누름영역을 제외한 영역 : (S)1~(S)6)을 이를 기계적으로 보다 명확하게 구분한 것을 도 31-(A)에 보여주고 있으며 도 31-(B)의 우측 터치패드는 이러한 영역구분을 제거하여 문자입력모드에서 각각의 문자키에 해당하는 영역을 증가시킨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문자키의 영역이 증가되더라도 탭핑영역((S)'2, (S)'4, (S)'6)은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FIG. 31 illustrates a region of a tappable touch pad 3101 that replaces the function butt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0. In fact,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0, the tapping and pressing functions are divided by the short time of the touch, but the pressing area 3102 and the tapping area (areas except for the pressing area in the area of the touch pad: (S) 1 to (S) 6) Fig. 31- (A) shows a clearer distinction between these two parts, and the right touchpad of Fig. 31- (B) removes these areas and removes the area corresponding to each letter key in the text input mode. It shows an increase. Even if the area of the character key is increased in this way, the tapping areas (S) '2, (S)' 4, and (S) '6 can be kept as they are.

도 32는 터치패드의 누름압력변화를 이용한 버튼기능부여에 따르는 에러발생을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면 문자 'k'를 입력하기 위해 손가락을 터치패드의 'k'영역에 위치한 다음 누르는 과정이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터치패드의 위치를 X1.5~X3.5로 구분하고(도 32a) 손가락이 'j'영역에서 'ℓ'영역까지 움직이는 과정에 'k'의 위치에서 터치패드를 누르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압력의 변화가 도 32b에 나타나 있는데, 가장 이상적인 압력의 변화가 도 32b-(A)이지만 실제는 도 32b-(B)~(D)까지 가능하다. 문제는 도 32b-(D)에서 보여주는 경우인데 이는 압력을 가하는 시점은 손가락이 문자 'k'영역 안에 있을 때에 이루어지지만 최대 압력에 이르는 시점은 손가락이 'ℓ'영역 안에 이르렀을 때이어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원하는 문자와 실제 입력된 문자는 다르게 되는 에러가 발생한다. 이를 수정하기 위 해 본 발명에서 도입된 개념이 누름문턱압력(Zpr,th : pressure of threshold)이다. 이는 사용자가 터치패드를 누르는 습관에 따라 정할 수 있는 압력 변수로서 누름기준압력(Zo pr : pressure of pressing)과 Ztch(pressure of touch) 사이의 값으로 정하면 된다. 도 32b에는 누름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4가지의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압력의 변화를 X좌표를 가로축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이중 도 32b-(A)는 해당하는 가장 이상적인 입력과정을 좀 더 자세히 도 32c에 X좌표((A))와 시간((B))에 따른 압력의 변화로 나타내고 있다. 터치패드에 손가락이 닿은 상태에서 압력을 가하면 도 32c-(A)에 나타난 것처럼 X2.5에서 하나의 피크로서만 나타나서 압력변화를 자세히 볼 수 없지만 이를 시간에 대해 표시하면 시간 t(X2 .5-)에서 누름이 시작하여 t(Xpr)에서 최고압력에 이르고 다시 t(X2 .5+)에 정상적인 터치압력(Ztch)에 이르게 된다. 즉 최고 압력 전후에 문턱압력에 해당하는 시점이 존재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입력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보정하게 된다. 이상적인 누름과정에서는 문턱압력(Zpr,th)에 해당하는 두 지점 Xpr , th -(Xpr직전의 문턱압력 지점)와 Xpr , th +(Xpr직후의 문턱압력 지점)이 모두 문자 'k'의 영역 안에(X2<X<X3)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도 32a-(C)에 해당하는 누름과정에서는 Xpr , th -은 문자 'k'의 영역 안에 Xpr , th +은 문자 'ℓ'의 영역 안에 머물게 되며 더구나 입력을 실행을 결정하는 Xpr도 문자 'ℓ'의 영역 안에 머물게 된다. 따라서 도 32b-(C)와 도 32b-(D)에 해당하는 누름과정은 문자 'k'가 아닌 'ℓ'를 입력하는 에러를 발생시키는 누름과정이다. 이러한 오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은 실제로 입력되는 문자가 Xpr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고 Xpr , th -에 해당하는 문자를 입력하면 되는 것이다. 32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n error caused by imparting a button function using a change in a pressing pressure of a touch pad. For example, in order to enter the letter 'k', a finger is placed in the 'k' area of the touch pad and then pressed. In order to explain this, the position of the touch pad is divided into X1.5 to X3.5 (FIG. 32A), and the process of pressing the touch pad at the position of 'k' while the finger moves from the 'j' area to the 'ℓ' area. . In this process, the pressure change is shown in FIG. 32B. The most ideal pressure change is FIG. 32B- (A), but in practice, it is possible from FIG. 32B- (B) to (D). The problem is the case shown in Figure 32b- (D), where the pressure is applied when the finger is in the letter 'k' area, but the maximum pressure is when the finger reaches the 'l' area and the user enters it. An error occurs that the desired character is different from the actual input character. The concept introduc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correct this is the pressure threshold (Z pr, th : pressure of threshold). This user has a variable pressure that can be set in accordance with the habit of pushing the touchpad based on pressing pressure is assuming a value between (Z o pr pressure of pressing) and Z tch (pressure of touch). FIG. 32B shows four cases that can occur during the pressing process, in which the change in pressure is shown along the X-axis, and FIG. 32B- (A) shows the most ideal input process in detail in FIG. 32C. It is shown by the change of the pressure according to X coordinate (A) and time (B). As shown in FIG. 32c- (A) Applying pressure on the finger comes in contact with the touchpad state can not see one of the pressure change appear more as a peak only at X2.5 when displayed for this time to time t (X 2 .5 -) reached the maximum pressure in the t (X pr) in the press is started is reached again with t (X 2 .5+) touch pressure (Z tch) to normal. That is, a time point corresponding to the threshold pressure exists before and after the maximum pressu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rror that may occur in the input process is correcte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al press process in the threshold pressure (Z pr, th), the two points X pr, th to the - (X pr threshold pressure point immediately before) and X pr, th + (the threshold pressure point in the X pr immediately after) all the characters' stay in the region k '(X 2 <X <X 3 ). However, also in the pressing process for the 32a- (C) X pr, th - X is the X pr, th + in the area of the character 'k' are staying in the area of the character 'ℓ' determines the running Also input pr Also stays within the area of the letter 'ℓ'. Accordingly, the pressing process corresponding to FIGS. 32b- (c) and 32b- (d) is a pressing process for generating an error of inputting 'l' instead of the letter 'k'. How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se errors it is not that the characters actually entered for the X pr X pr, th - that is if you type the letter corresponding to.

도 33은 도 32에서 설명한 터치패드의 압력변화를 이용한 스위치기능을 부여함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보정하는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문자입력모드가 시작되면 도 28에 나타난 데이터처리장치는 커서좌표의 산출 뿐만 아니라 압력의 변화에 따른 문턱압력에 해당하는 좌표를 지속적으로 저장 및 업데이트하여 누름압력(Zpr) 직전의 문턱압력(Zpr,th- : 모식도에서는 P-1)과 누름압력을 비교하여 이들에 해당하는 문자-V(Zpr)-가 동일하지 않으면 실제로 입력되는 문자는 V(Zpr , th -)에 의해서 실행하게 하는 모식도이다. FIG. 33 is a flowchart for correcting an error that may occur when applying a switch function using a pressure change of the touch pa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2. When the character input mode is started,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shown in FIG. 28 continuously stores and updates the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threshold pressur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ressure as well as the calculation of the cursor coordinates so that the threshold pressure Z immediately before the pressing pressure Z pr pr, th-: a schematic view in P -1) and compared to a pressing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se characters - V (Z pr) - If the input character is actually not the same, V (Z pr, th - the running by) It is a schematic diagram.

도 34는 터치압력과 누름압력의 차이를 극대화하기 위해 터치패드(3401)위에 손가락과 접촉하는 절연막(3402)을 탄성체를 이용하는 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인 터치패드는 절연체가 비탄성체로(3402U) 이루어져서 터치되었을 때와 압력을 가해 눌려졌을 때에 두께의 차이가 없어서 터치패드가 산출하는 압력의 변화는 단지 손가락(3403)이 터치패드에 닿는 면적의 변화(△A = Ap-At)에 근거한 것인데 반해 본 발명의 터치패드 위의 절연체(3402)는 탄성체여서 눌려졌을 때에 면 적의 변화만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두께의 변화(△d1)를 가져와서 누름압력과 터치압력의 차이를 훨씬 크게 하고 그에 따라 감도가 증가하여 큰 힘을 가해주지 않아도 누름입력이 가능하게 하여 도 3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많은 힘을 가하기 위해 손가락이 움직이는 오류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도 21과 도 22에 보여 지는 터치패드위에 위치하는 절연체(3402)막의 요철구조는 터치패드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가져오는 요인이 될 수도 있으므로 이럴 경우 터치압력, 누름압력, 문턱압력의 위치에 따른 변화를 가져오게 되어 이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 34(A)에 보여 지는 칸막이형의 절연체를 사용할 수 있다.FIG. 34 schematically illustrates a method of using an elastic body with an insulating film 3402 in contact with a finger on the touch pad 3401 in order to maximi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uch pressure and the pressing pressure. The general touch pad has no difference in thickness when the insulator is made of inelastic material (3402U) and when it is touched and pressed, so the pressure change calculated by the touch pad is merely a change in the area where the finger 3403 touches the touch pad. ΔA = A p -A t ), while the insulator 3402 on the touch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astic body, and when pressed, not only changes in area but also changes in thickness (Δd1), resulting in a pressing pressur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uch pressure is much larger and accordingly the sensitivity is increas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ss the input without applying a large force, as shown in Figure 3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rror of moving the finger to apply a large force. In addition, the uneven structure of the insulator 3402 film disposed on the touch pad shown in FIGS. 21 and 22 may cause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touch pad.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touch pressure, the pressing pressure, and the threshold pressure may be reduced. As a method for correcting the change, a partition type insulator shown in FIG. 34A may be used.

도 35은 문자입력모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스페이스(space)와 백스페이스(back space)를 스위치기능을 이용하여 가상키보드상의 스페이스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도 있지만 터치패드 위에서 손가락이 터치패드와 평행하게 좌우로 이동하기만 하면 입력이 수행되도록 하는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즉 문자입력을 위해 손가락이 좌우로 이동하는 것은 일반적이지만 도 35a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터치패드의 좌에서 우로 혹은 우에서 좌로 빠르게 왕복하는 것은 본 발명에서와 같이 특수 문자 혹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움직이는 경우가 아니면 실제 문자입력을 위해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왼쪽 터치패드를 작동하는 엄지는 주로 오른쪽에 치우쳐 있으므로 우->좌->우의 움직임이 편리하고 오른쪽 터치패드를 작동하는 엄지는 왼쪽에 치우쳐 있으므로 좌->우->좌의 움직임이 편리하므로 이러한 움직임에 각각 back space와 space 기능을 부여하면 문자입력이 한결 수월해지게 된다. 이러한 작동을 위해 도 28의 데이터처리장치는 손가락의 기준 좌표(X1, X2, X3, X4, X5)를 지나치는 지점의 시간을 저장하여 이들이 그리는 궤적이 도 35c와 도 35d의 에 해당할 경우 스페이스 혹은 백스페이스를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실제 문자입력을 위해 ①, ②, ③에 해당하는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생길 수 있지만 그 경우 그러한 궤적을 그리는 시간(△t1, △t2, △t3)이 설정된 시간(tspace)보다 적은 경우에만 실행하면 스페이스와 백스페이스를 입력하고자 손가락을 의도적으로 움직이는 경우와 구별되게 된다. 이러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t1, △t2, △t3의 경우 사용자의 습관 혹은 편리성에 따라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 FIG. 35 illustrates that a space and a back space, which are most used in the text input mode, may be input by selecting a space on a virtual keyboard using a switch function, but a finger may be parallel to the touch pad on the touch pad. It just shows how to make the input work by simply moving left and right. That is, it is common for a finger to move from side to side for character input, but as shown in FIG. 35A, a quick round trip from left to right or right to left of the touch pad is intentionally moved to perform a special character or function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f not, it does not happen for actual character input. Therefore, the thumb that operates the left touchpad is mainly on the right side, so the right->left-> right movement is convenient, and the thumb that operates the right touchpad is biased on the left side, so the left->right-> left movement is convenient. If you give back motion and space function to each movement, character input will be easier. For this operation,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FIG. 28 stores the time at a point passing by the reference coordinates X 1 , X 2 , X 3 , X 4 , X 5 of the finger so that the trajectories they draw are shown in FIGS. 35C and 35D. If this applies to space or backspace will be executed. However, it is possible to draw a trajectory corresponding to ①, ②, ③ for the actual character input, but in that case, the time (△ t 1 , △ t 2 , △ t 3 ) for drawing such a trajectory is longer than the set time (t space ). Running it only in small cases distinguishes it from intentionally moving a finger to enter a space and a backspace. In the case of Δt 1 , Δt 2 , and Δt 3 used as such criteria, one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habit or convenience.

도 36는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기능버튼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초기화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가정 먼저 터치패드에 의해 설정되는 압력산출은 손가락이 터치패드에 닿는 면적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사용자마다 손가락의 크기가 달라 이를 보정하는 단계이며 다음으로 누름압력과 문턱압력의 설정이다. 이 과정이 끝나면 탭핑에 의한 기능버튼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터치 단락시간의 설정과 마지막으로 도 29에서 설명된 터치패드 좌표계의 설정을 가로모드와 세로모드에서 실행하여 새로운 좌표(X'-Y')로 변환하여 이후 문자입력모드에서 커서좌표 산출에 이용된다.36 illustrates an initialization process required to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function button using a touch pad. Assumption First, the pressure calculation set by the touch pad is determined by the area where the finger touches the touch pad, so the size of the finger is different for each user, and then the pressure and threshold pressures are set. After this process, the touch short circuit time setting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function button by tapping and the touch pad coordinate system described in FIG. 29 are executed in the horizontal mode and the vertical mode. ) And then used to calculate the cursor coordinates in character input mode.

도 37은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터치패드 하나만을 장착하여야 하는 경우로서, 도 23에 보여 지는 입력장치 구조에서 좌측 터치패드를 제거한 구조를 보여 주고 있으며, (I)는 정면도를 (II)는 배면도를 (III)는 측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다만 문자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보조기능버튼(3701-L, 3701-R)을 추가적으로 장착한 점이 다르다. 이 보조기능버튼은 하부에 두 개의 스위치를 갖고 있어서 문자입력 시에 복수의 문자가 지정된 키를 누를 때에 하나의 문자를 지정하게 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한다. 즉 도 37b의 (IV)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보조기능버튼(3701R)을 누른 상태에서 'f/ℓ'을 선택하고 기능버튼 2303R을 눌러 실행하게 되면 'f'가 입력되게 되어 온전한 키보드의 실현이 가능하면서도,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기능버튼이 도 23에 보여지는 좌측 터치패드를 대체하여 입력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주는 효과를 가져온다. 더욱이 가상키보드 상에서 커서가 선택해야 각 키의 공간(면적)도 커짐으로 해서 커서의 운용이 편리해지는 점도 또 하나의 장점이 된다.FIG. 37 illustrates a case in which only one touch pad is to be mounted due to space limitation, and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left touch pad is removed from the input device structure shown in FIG. 23. (I) is a front view and (II) is a rear view. (III) shows a side view. However, in order to facilitate character input, the auxiliary function buttons 3701-L and 3701-R are additionally installed. This auxiliary function button has two switches at the bottom so that it is in charge of a function to designate one character when pressing a key to which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ssigned during character input. That is, as shown in (IV) of FIG. 37B, when 'f / L' is selected while pressing the auxiliary function button 3701R and the function button 2303R is pressed, 'f' is inputted, thereby realizing an intact keyboard. While possible, a relatively small function button replaces the left touch pad shown in FIG. 23, thereby reducing the space occupied by the input device. Moreover, another advantage is that the cursor is selected on the virtual keyboard to increase the space (area) of each key, making the cursor easier to operate.

도 38은 도 37에 보여지는 보조기능버튼을 수반하는 단일 터치패드를 이용한 입력장치가 기존의 키패드 핸드폰에서 적용되는 문자입력 방식에도 적용될 경우 문자입력이 용이하게 됨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 키패드 핸드폰의 경우 공간상의 제약으로 15개의 키를 배치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전화통화를 위한 특수 기능 이를테면 '통화', '취소', '종료'를 제외하면 12개의 키 만이 문자입력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키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문자가 지정되고 이렇게 복수의 문자가 지정된 경우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 키를 눌러서 선택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도 37에 보여지는 보조기능버튼을 사용하면 키를 여러 번 누를 필요가 없이 보조기능버튼의 스위치를 on/off 시킴으로서 각 키에 지정된 복 수의 문자 중에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게 하여준다. 도 38b는 가상키보드 상에서 'ABC'가 지정된 키를 선택하여 실행할 경우 문자 'b'가 입력되고, 보조기능버튼의 스위치를 'on'시킨 상태에서는 'a' 혹은 'c'가 입력될 수 있다. 즉 도 38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보조기능버튼의 스위치1이 on된 상태에서는 'a'가 입력되고, 도 38c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보조기능버튼의 스위치2가 'on'된 상태에서는 'c'가 입력된다. 즉 가상키보드 상의 키를 매번 실행시킬 때마다 하나의 문자가 입력되는 일반적인 키보드의 운용방식이 구현된다.FIG. 38 shows that character input is facilitated when an input device using a single touch pad with an auxiliary function button shown in FIG. 37 is applied to a character input method applied to a conventional keypad mobile phone. In the case of the existing keypad mobile phone, 15 keys can be arranged due to space limitation. Among them, only 12 keys can be used for text input, except for 'call', 'cancel' and 'end'. have. Therefore, when at least two or more characters are assigned to each key and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specified, a method of selecting a desired character by pressing a key several times is used. However, when the auxiliary function button shown in FIG. 37 is used, it is possible to select one character among a plurality of characters assigned to each key by turning on / off the switch of the auxiliary function button without having to press the key several times. 38B illustrates that when a key designated 'ABC' is selected and executed on a virtual keyboard, a letter 'b' may be input, and 'a' or 'c' may be input while a switch of an auxiliary function button is 'on'. That is, as shown in FIG. 38A, 'a' is input when the switch 1 of the auxiliary function button is turned on, and 'c' is displayed when the switch 2 of the auxiliary function button is 'on' as shown in FIG. 38C. Is entered. That is, a general keyboard operation method is implemented in which one character is input each time a key on the virtual keyboard is executed.

도 39는 도 37에 보여지는 본 발명의 구성을 키패드를 이용한 핸드폰에도 적용된 경우를 보여진다. 즉 기존의 키패드 핸드폰과 동일하고 단지 각 키에 지정된 복수의 문자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보조기능버튼(3901-L, 3901-R)의 추가적인 장착만이 다를 뿐이다.FIG. 39 shows a case w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7 is also applied to a mobile phone using a keypad. That is, the same as the existing keypad mobile phone, only the additional mounting of the auxiliary function button (3901-L, 3901-R)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desired character among a plurality of characters assigned to each key is different.

도 40은 도 39에 보여지는 보조기능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핸드폰에서 문자입력을 보여주고 있다. 그 작동 내용은 도 38에 나타나 있는 것과 동일하다.FIG. 40 shows text input in a keypad cellular phone having an auxiliary function button shown in FIG. The operation content is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

도 41은 도 37에서 보여준 터치패드 하나만을 갖는 핸드폰의 구조로서 보조기능버튼(3701-L, R)대신에 우측기능버튼(2303R, R')을 추가로 가지는 핸드폰이다. 도 37과의 차이점은 문자 입력시에 하나의 키에 지정된 두 개의 문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이 다를 뿐이다. 즉 도 37b에서 F/L의 구분은 보조기능버튼을 눌러 줌으로서 F/L의 구분이 되는데 반해 도 41a에서는 P/Q의 구분을 좌측기능버튼(2303L)과 우측기능버튼(2303R)을 누름에 따라 P/Q의 구분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두 개 의 문자가 하나의 키에 지정되어 있다고 하여도 각 키에 지정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키를 한 번만 눌러 주면된다.(실제로 키를 눌러주는 것이 아니라 기능버튼을 눌러준다.) FIG. 41 is a structure of a mobile phone having only one touch pad shown in FIG. 37 and has a right function button 2303R or R 'instead of the auxiliary function buttons 3701-L and R. FIG. The difference from FIG. 37 is that the method of selecting one of two characters assigned to one key at the time of character input is different. In other words, the division of F / L is divided by F / L by pressing the auxiliary function button in FIG. 37B. In FIG. Therefore, the division of P / Q is made. Even if two characters are assigned to one key, you only need to press the key once to enter the character assigned to each key. (In fact, press the function button instead of pressing the key.)

도 42는 도 41에 보여주는 핸드폰의 문자입력 과정의 흐름도이다.FIG. 4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xt input process of the mobile phone shown in FIG. 41.

도 43은 핸드폰을 세로모드(전화통화모드)에서 작동할 때의 모양으로 가상키패드(도 43a)가 일반적인 키패드 핸드폰과 동일한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다만 문자입력을 위한 키패드의 배열(도 43b)은 '통화'와 '취소' 키가 생략되고 대신 그 자리에 두 개의 문자가 지정된 형태이다. 문자입력시에 '통화' 키의 기능은 필요가 없으며 '취소' 키도 도 35에서 보여지는 형태의 손가락 움직임으로 대체되어 가상키패드에서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가상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시 키 누름 순서를 도 43c가 보여주고 있다. 특이점은 도 43c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위로 향한 화살표는 손가락을 떼었다가 다시 터치패드를 닿는 손가락 움직임을 의미한다. 'door opens'를 입력할 때 'door'의 첫 번째 'o'를 한 번 눌러주고 두 번째 눌러주면 원래는 'p'가 입력되는 것이 맞지만 두 번째 눌러주기 전에 한 번 터치패드에서 손을 떼었다가 다시 'o/p'키를 눌러주기 때문에 처음에 입력한 'o'에 이어서 다시 'o'가 입력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opens의 ' 'op'의 경우도 첫 번째 'o'를 입력하고 손가락을 터치패드로부터 떼었다가 다시 원위치하고 두 번 눌러주면 'p'가 입력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43c에 보여지는 화살표는 'retouch'의 의미로서 문장의 다음 칸으로 이동하여 키를 눌러주는 회수를 다시 시작하여 새로운 문자의 입력 명령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서 터치패드를 눌러주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누름기준압력은 도 46에서 설명되고 있는 바와 같이 각 키에 해당하는 영역마다의 누름기준압력이 응용될 수도 있고, 도 49에서 설명되는 터치패드 전역에 적용되는 누름기준압력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FIG. 43 is a view of a mobile phone operating in a portrait mode (telephone call mode) in which a virtual keypad (FIG. 43A) has the same shape as a general keypad mobile phone, except that an arrangement of a keypad for inputting characters (FIG. 43B) is referred to as 'call'. The 'and' cancel 'keys are omitted and two characters are specified instead. The function of the 'call' key is not necessary when the character is input, and the 'cancel' key can also be omitted from the virtual keypad because it is replaced with a finger movement of the type shown in FIG. 35. 43C illustrates a key pressing sequence when inputting characters using the virtual keypad of this type. As shown in FIG. 43C, the upward arrow indicates a finger movement of releasing a finger and then touching the touch pad. When you type 'door opens', the first 'o' of the 'door' is pressed once and the second is correct, but the original 'p' is correct, but take your finger off the touchpad once before pressing the second Since 'o / p' key is pressed again, 'o' is input again after 'o' entered first. Similarly, in the case of ' ops ' in 'opens', the first 'o' is entered, the finger is removed from the touch pad and then pressed again. Accordingly, the arrow shown in FIG. 43C means 'retouch', and moves to the next column of the sentence, restarts the number of times of pressing a key, and executes an input command of a new character. In this configuration, as the pressing reference pressure for pressing a touch pad to input characters, the pressing reference pressure for each area corresponding to each key may be applied, as described in FIG. 46, and the touch described in FIG. 49. A push-reference pressure method, which is applied to the entire pad, may be applied.

도 44는 도 43b에 보여 지는 가상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흐름도를 보여주고 있다.FIG. 4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using the virtual keypad shown in FIG. 43B.

도 45는 일반적인 키패드 핸드폰의 키패드(도 45a)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door opens'를 입력하기 위한 키 누름 순서를 도 45b에 보여주고 있다. 4501은 방향키로서 동일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키의 누름회수 계산과정을 종료하고 문자입력을 다음 칸에서 다시 시작하라는 명령 실행의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45 illustrates a keypad (FIG. 45A) of a general keypad mobile phone, and shows a key pressing sequence for inputting a 'door opens' using the keypad. In order to input the same character as the direction key, the 4501 is in charge of executing the command to end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number of presses of the key and to start the character input again in the next column.

도 46은 한 손으로 핸드폰을 파지한 상태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엄지를 해당 영역에 위치시키고 있는 모습이다. (I)는 도 43b와 연관시켜 보면 (I)는 '통화', (II)는 '취소', (III)는 '종료'키를 작동시키기 위한 손가락 모양이고 (IV)는 '#'을 눌러주기 위한 손가락 모양이다. 각 그림에서 엄지 안에 진하게 원으로 표시된 부분은 엄지가 터치패드에 닿는 면적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보여주고 있다.46 illustrates a state where a thumb is positioned in a corresponding area in order to input text while the mobile phone is held by one hand. (I) is associated with FIG. 43B, where (I) is a 'call', (II) is a 'cancel', (III) is a finger to operate the 'end' key and (IV) is a '#' by pressing It is a finger shape to give. The dark circle in each figure shows the size of the area where the thumb touches the touchpad.

도 47은 터치패드 핸드폰을 사용시에 초기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4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itialization process when using a touch pad mobile phone.

도 48은 터치패드에 의해 압력값을 산출하는 방식의 이론적인 근거가 되는 식(1)을 비례상수를 10으로 하고, 접촉면적(S)과 터치패드로부터 손가락에 이르는 거리(d)를 변수로 하는 함수 Z(압력 값)를 삼차원그래프로 도식화 한 것이다. 도 48(A)는 d와 S를 다음과 같은 구간에서, 0.03<d<0.1, 0.5<S<1.0, 연속성 갖고 압력값(Z)을 나타낸 그림이며 도 48(B)는 d가 0.03<d<0.037, 0.088<d<0.1의 두 개의 구간을 가지고 s가 0.5<S<1.0 하나의 구간에서 연속으로 값을 취할 때 얻어지는 압력값(Z)을 3차원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FIG. 48 shows Equation (1), which i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pressure value by the touch pad, with a proportional constant of 10, and the contact area S and the distance d from the touch pad to the finger as variables. The function Z (pressure value) is plotted in a three-dimensional graph. Fig. 48 (A) shows the pressure value Z with continuity 0.03 <d <0.1, 0.5 <S <1.0 in d and S as follows, and Fig. 48 (B) shows that d is 0.03 <d. The pressure value Z obtained when two intervals of <0.037, 0.088 <d <0.1 and s takes values continuously in one interval of 0.5 <S <1.0 is represented by a three-dimensional graph.

도 49는 6.5cm*4cm 크기의 터치패드의 4cm*2cm 크기에 해당하는 내부 영역에 손가락(엄지)을 대어서 터치패드가 산출하는 압력값을 3차원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각 영역에 손을 대기 위해 터치패드를 파지는 도 46에 보여지는 방법으로 하였으며 실제의 터치패드의 크기는 도 46에 나타나 있는 터치패드의 2배 정도의 크기로 도 46에 나타나 있는 휴대폰 정도의 크기이다. 도 49(A)는 xy평면으로부터 25도 위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며 도 49(A')는 동일한 방향에서 7도 위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49(B)와 도 49(B')는 도 49(A)와 도 49(A')를 각각 z 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여 바라 본 투시도이다. 압력값을 나타내는 수치를 색깔로서 표시하기 위해 각 그래프의 우측에 색지도를 배치하였다. 각 그래프에서 Sp는 터치패드를 눌렀을 때 얻어지는 압력값(Z)의 연결 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St는 터치패드를 터치하였을 때 얻어지는 압력값의 연결 면을 나타낸다. 참고로 두 면(Sp, St)의 상호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 터치압력의 최대값에 해당하는 Z 평면을 Sc로 나타내었다. FIG. 49 illustrates a pressure value calculated by the touch pad in a three-dimensional graph by placing a finger (thumb) on an inner region corresponding to a 4 cm * 2 cm size of a 6.5 cm * 4 cm touch pad. The touch pad is held in each area to hold a hand, and the touch pad is shown in FIG. 46. The actual touch pad is about twice the size of the touch pad shown in FIG. to be. FIG. 49 (A)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above 25 degrees from the xy plane and FIG. 49 (A ')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above 7 degrees in the same direction. 49 (B) and 49 (B ') are perspective views of FIGS. 49 (A) and 49 (A') rotated 180 degrees around the z axis, respectively. A color map was placed on the right side of each graph to display numerical values representing pressure values as colors. In each graph, Sp represents the connection surface of the pressure value Z obtained when the touch pad is pressed, and St represents the connection surface of the pressure value obtained when the touch pad is touched. For reference, the Z plan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value of the touch pressure is represented by S c to show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urfaces (S p , S t ).

도 50은 도 49와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터치패드가 산출하는 압력값(Z)를 나타내고 있는데 단지 다른 점은 도 49에 사용된 터치패드가 터치패드의 터치 감지면에 마이라 필름을 코팅한 것인 반면 도 50에 나타난 압력값을 얻기 위해 사용된 터치패드는 마일라 필름대신에 1mm 두께의 벨크로 루프(velcro loop) 직물을 터치패드의 터치면에 붙여서 압력값을 산출하였다. FIG. 50 illustrates a pressure value Z calculated by the touch pad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49 except that the touch pad used in FIG. 49 is coated with a Myra film on the touch sensing surface of the touch pad. On the other hand, the touch pad used to obtain the pressure value shown in FIG. 50 was applied to the touch surface of the touch pad with a velcro loop fabric having a thickness of 1 mm instead of the mylar film to calculate the pressure value.

도 51은 정전용량방식을 채택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스마트폰을 보여주고 있다. 도 51(A)는 가상키보드(5101)를 작동하기 위해 별도의 터치패드를 이용하지 않고 핸드폰 화면에 손가락(엄지)를 직접 접촉함으로서 문자입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만 도 51(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엄지가 여러 키에 걸쳐서 화면을 접촉하게 되므로 일반적인 터치스크린에서와 같이 화면에 직접 손을 대어 입력명령을 실행할 경우 정확성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핸드폰 화면에 접촉한다고 하여도 입력명령을 즉시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손이 놓인 위치를 포인터의 위치로부터 정확히 확인한 후에 입력명령을 실행에 옮기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터치와 입력실행을 위한 누름동작을 구별하기 위해 즉 51(B)와 도 51(C)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탄성체(5102, 5103)를 화면위에 배치하여 손가락이 화면에 직접 닿지 않게 하고 대신에 손가락이 탄성체위에 단순 접촉할 경우 터치패드와 동일한 원리로 화면상에서 포인터만을 제어하는 기능만을 담당한다. 5102은 투명한 탄성체이고 5103는 불투명 탄성체여서 불투명 탄성체의 경우 화면상의 가상키보드를 확인하기 위해 가상키보드의 각 키에 해당하는 부분을 빈공간(구멍)을 만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이 가리키는 지점을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51 shows a touch screen smart phone employing the capacitive method. 51 (A) is a text input is made by directly touching the finger (thumbs) to the mobile phone screen without using a separate touch pad to operate the virtual keyboard (5101). However, as shown in FIG. 51 (A), the thumb touches the screen over several keys, so that when the user executes an input command by directly touching the screen as in a general touch screen, the user's finger is difficult to secure accuracy. Even if you touch the phone screen, you do not execute the input command immediately, but first check the position of the hand from the pointer position and then execute the input command.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the touch and the pressing operation for input execution, that is, the elastic bodies 5102 and 5103 are plac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51 (B) and Fig. 51 (C), so that a finger does not directly touch the screen. When a finger makes simple contact with an elastic body, the same principle as a touch pad is used to control only a pointer on the screen. 5102 is a transparent elastic body and 5103 is an opaque elastic body. In the case of an opaque elastic body, a space (hole) corresponding to each key of the virtual keyboard is created to check the virtual keyboard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point where the finger points. .

도 52는 터치패드의 원리가 적용된 터치스크린 핸드폰의 문자입력을 위해서 손가락이 화면상의 가상키보드의 선택된 키를 가리게 되므로(도 51(A))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입력이 이루어지는 입력창(5201)의 일부 영역 즉 입력창의 좌측하단, 우측하단, 및 입력란에 현재 손가락이 위치하여 있는 가상키보드의 키(5202)와 커서(포인터 상하 기준선-5203)를 보여주어 정확한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키와 커서가 입력란에 표시되는 경우(도 52(C)) 입력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다음 칸으로 이동하여 입력의 대기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 26(b)와 같이 별도의 터치패드를 사용할 경우 화면상의 가상키보드에서 포인터가 놓인 위치로부터 선택된 키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와는 달리 도 51에 보여지고 있는 터치패드 개념이 도입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핸드폰의 경우 화면상에 터치패드가 배치되는 연유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포인터 위치 표시 창'의 개념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단지 손가락으로 가상키보드를 가리게 되어 이를 보여주기 위한 점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포인터 위치 표시 창'이 가상키보드의 각 '키'보다 크게 하여 포인터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보여주는 기능도 담당하게 된다.FIG. 52 is a part of an input window 5201 in which an input is made to solve this problem because a finger covers a selected key of a virtual keyboard on a screen for text input of a touch screen mobile phone to which a principle of a touch pad is applied (FIG. 51 (A)). A key 5202 and a cursor (pointer up and down reference line-5203) of the virtual keyboard where the current finger is located in the area, that is, the lower left, the lower right, and the input box of the input window are displayed to ensure accurate input. In particular, when a key and a cursor are displayed in an input box (FIG. 52 (C)), when the input is completed, the terminal automatically moves to the next column to wait for input. Therefore, when using a separate touch pad as shown in FIG. 26 (b), unlike the case where the selected key can be check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laced on the virtual keyboard on the screen, the touch screen method in which the touch pad concept shown in FIG. 51 is introduced is introduced. 'S mobile phone shows the concept of' pointer display window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touch pad being placed on the screen. As a result, the 'pointer position display window' is larger than each 'key' of the virtual keyboard, so it is also in charge of showing the pointer position more accurately.

도 53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핸드폰에서 가상키보드(5301)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을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터치패드와는 달리 터치스크린을 사용할 경우 가상키보드 상의 포인터가 손가락으로 가려지기 때문에 이를 수정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의 경우 가상키보드 상의 포인터(커서) 대신에 수평(5303')과 수직(5303)커서 라인을 가지며, 보조 포인터 수직 라인(5304)을 추가적으로 가지는 포인터 위성 창(satellite window for pointer, 5302)을 특징으로 하며 포인터 위성 창에는 활성 키에 지정된 3개의 문자(5306)가 좌, 중, 우측에 배열되어 손가락이 가상키보드 상의 활성 키 위치에서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3개의 문자 중 하나가 선택되고 손가락이 터치스크린으로부터 떨어지면 입력이 완성됨을 보여준다. 도 53(A)는 가상키보드 위에 손가락이 위치했을 때 활성 키(5305, 가상키보드에서 어둡게 표시된 키)를 보여주며, 도 53(B)는 손가락이 화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입력이 완성됨을 보여준다. I, II, III은 각각 'p', 't'와 'x'를 입력하는 과정이다. 이들 'p', 't', 'x'는 각 키의 기준문자(key-point character)인데 이는 가상키보드의 키 배열이 일반적인 3개의 열을 가질 경우 첫째 열에 해당하는 키는 지정된 3개의 문자 가운데 첫 번째 문자가 기준문자가 되고, 가운데 열에 해당하는 키는 지정된 3개의 문자 중에서 가운데 문자를 기준문자로 나머지 두 문자는 비기준문자(non-key-point character)로 정의된다. 마찬가지로 가장 우측 열의 키는 지정된 3개의 문자 중에서 가장 우측 문자가 기준문자가 된다. 이렇게 기준문자를 정의하는 이유는 각 키의 비기준문자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손가락 움직임 공간을 가상키 보드 상에서 확보하기 위함이다. FIG. 53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ext input using a virtual keyboard 5301 in a touch screen type mobile phone. Unlike touch pads, the pointer on the virtual keyboard is hidden by the finger when using the touch screen. To correct this, the touch screen uses the horizontal (5303 ') and vertical (5303) cursor lines instead of the pointer (cursor) on the virtual keyboard. And a satellite window for pointer (5302) having an auxiliary pointer vertical line (5304), wherein three characters (5306) assigned to the active key are arranged on the left, middle, and right sides of the pointer satellite window. As the finger moves left and right at the active key position on the virtual keyboard, one of the three characters is selected and the input is completed when the finger is removed from the touch screen. FIG. 53 (A) shows the active key 5305 (the key darkened on the virtual keyboard) when the finger is positioned on the virtual keyboard, and FIG. 53 (B) shows that the input is completed as the finger is moved away from the screen. I, II and III are the processes of entering 'p', 't' and 'x' respectively. These 'p', 't', and 'x' are the key-point characters of each key, which means that if the virtual keyboard's key array has three columns in common,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lumn is among the three specified characters. The first character becomes the base character,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middle column is defined as the base character among the three specified characters, and the other two characters are defined as non-key-point characters. Similarly, the rightmost column key is the rightmost character among the three specified characters. The reason for defining the reference character is to secure a finger movement space on the virtual keyboard to activate the non-reference character of each key.

도 54는 가상키보드 상의 하나의 키에 지정된 다수의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을 'STU'가 지정된 키를 예로서 보여주고 있다. 문자입력의 첫 단계는 터치스크린에 손가락을 닿음으로서 시작되어 활성키(STU)가 지정되고 이후 손가락의 움직임은 단지 포인터의 좌우로의 이동만이 허용되어 포인터 위성 창에 보이는 지정된 3개의 문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됨을 보여준다. 그룹 (A)는 각 문자의 선택 과정이고 그룹(B)는 손가락을 화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입력의 완성과정을 보여준다. 따라서, 가상키보드의 가운데 열에 해당하는 키를 선택하면 활성문자는 지정된 문자 중에서 가운데에 배열된 문자가 활성화되고 그 상태에서 손가락의 좌우 움직임이 없이 화면으로부터 손가락이 떨어지면 단계 (I)와 같이 가운데 문자(t)가 입력되게 되며, 만약 단계(II)와 (III)처럼 키 선택 이후에 손가락의 좌우 움직임이 가상키보드의 좌우측 열에 해당하는 영역까지 이동하면 각각 가운데 문자의 좌우에 있는 문자가 입력됨을 보여준다.FIG. 54 illustrates, by way of example, a key designated with 'STU' as a method of selecting and inputting a plurality of characters assigned to one key on a virtual keyboard. The first step of text entry begins with touching a finger on the touch screen, whereby an activation key (STU) is assigned, and then the finger movement is only one of the three specified characters shown in the pointer satellite window, allowing only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pointer. Will be shown. Group (A) is the process of selecting each letter and group (B) shows the completion of input as the finger is removed from the screen. Therefore, when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middle column of the virtual keyboard is selected, the active character is activated in the middle of the designated characters, and the finger moves away from the screen without moving the fingers left and right in that state. t) is inputted, and if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finger moves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columns of the virtual keyboard after the key selection, as shown in steps (II) and (III), the characters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middle characters are entered.

도 55는 가상키보드의 좌측하단에 위치한 기능키의 작동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가상키보드에 지정할 수 있는 문자의 수를 확장하는 방법으로 이 기능키를 선택하고 손가락을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기호', '숫자', '한글', '영문'배열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의 작동 원리는 도 54에서 설명한 일반 문자의 선택 및 입력 방법과 동일하다. 즉 도 55(A)는 기능키를 선택한 후에 손가락을 우측으로 이동하여 가상키보드를 '기호'(I), '숫자'(II) 및 '한글'(III)로의 변환을 위한 선택과정을 보여주며 도 55(B)는 손가락을 화면으로부터 떨어지게 하여 가상키보드의 자판배열의 변환이 완료됨을 보여주고 있다.55 shows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 key located at the bottom left of the virtual keyboard. This is a way to expand the number of characters that can be assigned to the virtual keyboard. By selecting this function key and moving your finger to the right, the 'symbol', 'number', 'Korean', and 'English' arrays will be displayed on the screen. . Its operation principle is the same as the selection and input method of the general charact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5 (A) shows a selection process for converting the virtual keyboard to 'symbol' (I), 'number' (II) and 'Hangul' (III) by moving a finger to the right after selecting a function key. 55 (B) shows that the conversion of the keyboard layout of the virtual keyboard is completed by removing a finger from the screen.

도 56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한글입력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가상키보드에서 각 키에 다수의 문자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는 도 52와 도 53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지만 천지인방식에 의한 문자입력의 경우 하나의 키에 하나의 문자(ㅣ, · , ㅡ)만이 지정되어 이들 모음을 선택할 경우 더 이상의 손가락의 좌우 움직임이 필요하지 않지만 움직여서 활성 문자 좌,우를 선택한다고 하여도 동일한 모음이 입력되는 점이 다른 한글 문자나 영어 문자의 입력과 다른 점이다. 도 56(I)은 'ㄱ'의 선택과 입력(그림상에 손가락이 화면에서 떨어지는 단계가 생략되어 있슴)을 보여주며, 도 56(II)와 (III)은 'ㅏ'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 56(IV)와 (V)는 받침 'ㄴ' 혹은 'ㅁ'의 입력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도 56(IV)와 (V)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일단 가상키보드 상에서 활성키가 선택되면 손가락이 활성키 영역을 벗어나 좌우로 움직인다고 하여도 활성화된 키의 활성상태(그림에서 키 영역이 검게 표시되는 것)는 변화되지 않고 단지 포인터 위성 창에서 활성화된 키에 지정된 문자 중에서 활성화되는 문자의 지정이 변화됨이 나타난다. 한글의 경우 특히 천지인( ㅣㆍ ㅡ ) 형태의 모음 입력방법에 있어서 도 56(II)와 도 56(III)은 'ㅣ'와 'ㆍ'를 각각 터치하여 'ㅏ'의 입력과정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를 더욱 발전시켜 단지 'l'를 손가락이 접촉한 상태에서 'ㆍ'로 이동한 후에 손가락을 떼면 'ㅏ'가 입력되는 방법도 가능 하다. 따라서 도 56에 보여지는 모음 배열 형태에서는 'ㅟ'의 입력을 위해서 'ㅡ', 'ㆍ', 'ㅣ'를 각각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손가락을 핸드폰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한 번 움직이면 한 번에 'ㅟ'의 입력이 완성된다. 마찬가지로 'ㅐ' 입력의 경우 손가락의 움직임이 'l' -> 'ㆍ'-> 'l'로 이어지면 입력이 완성되는 것이다. 즉 모음의 경우 손가락이 지나치는 키의 문자를 모두 조합하여 손가락이 터치스크린으로부터 떨어질 때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럴 경우 통상 세 번의 키 누름을 통해 입력되던 모음의 경우도 한 번에 완성되는 장점도 제공한다. 자음뿐만 아니라 모음의 경우도 입력의 편리성이 더욱 증가 되는 방법이 제공되는 것이다. 56 shows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ssigned to each key in the virtual keyboard as shown in FIGS. 52 and 53, in the case of the character input by the celestial recognition method, only one character (ㅣ, ·, ㅡ) is assigned to one key. If you select the vowel, you do not need to move the left and right of the finger anymore, but the same vowel is input even if you select the left and right of the active character by moving it. 56 (I) shows selection and input of 'a' (a step in which a finger falls off the screen is omitted), and FIGS. 56 (II) and (III) show a process of inputting 'ㅏ'. 56 (IV) and (V) show an input process of the support 'b' or 'ㅁ'. As shown in Figs. 56 (IV) and (V), once the activation key is selected on the virtual keyboard, the active state of the activated key is shown as black even if the finger moves left and right away from the activation key area. Does not change, only the designation of the active character among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activated key in the pointer satellite window changes. In the case of Hangul, in particular, in the vowel input method of Cheonjiin (ㅣ · ㅡ) form, Figs. 56 (II) and 56 (III) show the input process of 'ㅏ' by touching 'ㅣ' and '·' respectively. Further, it is possible to further develop this by simply moving the 'l' to the '·' while the finger is in contact and then removing the finger. Therefore, in the vowel arrangement form shown in FIG. 56, instead of inputting 'ㅡ', '·', 'ㅣ' for the input of 'ㅟ', if the finger is moved once from the right side of the mobile phone once to the left side, 'ㅟ' 'Is completed. Similarly, in the case of the 'ㅐ' input, the input is completed when the finger movement leads to 'l'-> '·'-> 'l'.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vowels, all the characters of the keys passing by the finger are combined to input when the finger is moved away from the touch screen. In this case, the vowel, which is normally input through three key presses, also provides the advantage of being completed at once. In the case of vowels as well as consonants, a method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input is provided.

도 57은 가상키보드 상에 자판 배열이 숫자일 경우 각 키 영역에 지정된 숫자가 하나씩이므로 그 작동방법이 문자나 기호와는 다르게 운용됨을 보여준다. 즉 도 57(A)-I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키 '1' 영역에 손가락이 닿아 '1'이 활성화되었다고 하더라도 하나의 키에 다수의 문자나 기호가 지정된 경우와 달리 손가락이 화면으로부터 떨어질 때까지 활성상태가 고정되는 것이 아니고, 손가락의 좌우 움직임에 따라 활성 키도 변화하게 된다. 도 57(A)-III에서와 같이 손가락이 화면에 닿아 있는 상태에서도 손가락이 움직이면 포인터의 움직임을 말할 것도 없이 손가락의 중심이 머무는 곳이 새로운 활성키가 된다. 이렇게 숫자와 문자의 경우가 다른 점이 가상키보드 상에서 키 'GHI'가 선택될 경우 손가락의 움직임은 키 ''의 활성상태는 고정된 채로 이 키에 지정된 문자 'G', 'H' 혹은 'I'의 입력으로 이어짐이 도 57(B)-I과 III에 보여지고 있다. 다만 키선택과 문자선택을 위한 손가락의 움직임 을 구분하기 위해 손가락의 좌우움직임은 단지 활성문자의 선택을 위한 수단으로만 이용되는 것이 본 발명의 구성이다. 하지만 활성문자 선택에 손가락의 상하이동이 수반되지 않기 때문에 활성키가 속한 영역을 벋어나지 않은 상태에서는 손가락의 상하 움직임이 허용되어 또 다른 키를 선택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 도 57(B)-II이다. 이는 손가락의 중심이 각 키를 좌우에 위치한 키로부터 쉽게 분별할 수 있지만, 상하에 위치한 키로부터 구별되는 것이 덜 용이한 점을 극복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즉 활성화 시키고자 하는 키를 선택할 때 사용자가 의도한 것과 다른 키를 선택할 경우 이를 수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FIG. 57 shows that when the keyboard layout is a number on the virtual keyboard, the number assigned to each key area is one. Therefore, the operation method is operated differently from letters or symbols. That is, as shown in Fig. 57 (A) -I, even though the finger touches the key '1' area and the '1' is activated, unlike when a plurality of letters or symbols are assigned to one key, the finger is moved away from the screen. The active state is not fixed, and the active key changes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finger. As shown in FIG. 57 (A) -III, even when the finger touches the screen, when the finger moves, the new activation key becomes the place where the center of the finger stays, not to mention the movement of the pointer. The difference between numbers and letters is that when the key 'GHI' is selected on the virtual keyboard,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the letter 'G', 'H' or 'I' assigned to this key with the key '' active. Leading to is shown in Figures 57 (B) -I and III. However,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finger to distinguish the movement of the finger for the key selection and the character selection is used only as a means for the selection of the active character is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is shown in FIG. 57 (B) -II that the active character is not accompanied by the movement of the finger,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nother key by moving the finger up and down in the state where the active key belongs. This provides a way to overcome the fact that the center of the finger can easily distinguish each key from the left and right keys, but is less easy to distinguish from the keys located above and below. In other words, when selecting a key to be activated, it provides a way to modify it when the user selects a key other than the one intended.

도 58은 손가락이 터치패드를 접촉하였을 때 가상키패드의 각키에 지정된 문자배열이 도 54에 보여지는 것과 같이 좌우로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상하로 배열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어 'STU'가 지정된 키에 해당하는 터치패드의 영역을 손가락으로 접촉하면 포인터 위성창이 화면의 우측 혹은 좌측에 상하로 문자를 배열한 구조로 펼쳐진다. 이렇게 키에 지정된 문자들이 상하로 배열되고 각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손가락을 터치패드를 접촉한 상태에서 상하로 움직여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활성화(화면상에서 다른 문자보다 밝게 표시되었다.)시킨 다음 손가락을 터치패드로부터 떨어뜨리면 화면상에 문자가 입력되게 된다. 도 54와 마찬가지로 (A)는 손가락이 터치패드를 접촉하여 'STU' 키를 활성화시킨 상태이고 (B)는 'STU' 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손가락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지정된 문자 'S'(I), T(II), U(III)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떨어져서 문 자 입력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준다.FIG. 58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a character array assigned to each key of the virtual keypad is arranged up and down rather than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 54 when the finger touches the touch pad. For example, when a finger touches an area of a touch pad corresponding to a key designated as 'STU', the pointer satellite window is unfolded in a structure in which letters are arranged up and down on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screen. The letters assigned to the keys are arranged up and down, and in order to input each character, the user moves the finger up and down while touching the touch pad to activate the character to be input (it was brighter than other characters on the screen), and then touches the finger. When you move away from the pad, characters are enter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54, (A) is a state in which a finger touches the touchpad to activate the 'STU' key, and (B) is a letter 'S' (I) designated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nger while the 'STU' key is activated. ), T (II) and U (III) are activated and the finger is moved away from the touch pad to show the character input is completed.

도 59는 도 53에서 보여주는 문자입력방식을 일본어에 적용한 예로서, 일반적으로 일본에서 키패드 방식의 문자배열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한 번의 손가락움직임으로 각 키에 지정된 5개의 문자 중 하나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영어와는 달리 각 키에 5개의 문자가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3*3 형태[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의 키패드 구조에서는 포인터 위성 창에 5개의 문자가 세로로 배열되게 되는데, 각 키에 지정된 5개의 문자는 영어로 a, i, u, e, o의 순서이며 이는 일본어의 50음도의 배열 순서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배열의 경우 각 키를 손가락이 접촉하였을 때 활성문자로 화면에 보여지는 것은 '아(a)' 그룹이 아니고 키패드 상의 위치에 따라 '이(i)', '우(u)', '에(e)'로 대표되며 이러한 대표 문자가 키패드 상에 괄호안에 적혀져 있다. 따라서, 키패드의 두 번째 줄에 해당하는 아(あ), 가(か), 사(さ) 의 경우 키패드를 접촉하는 순간에 활성화되는 문자는 각각 이(い), 기(き), 시(し)이며, 세 번째 줄의 타(た), 나(な), 하(は)의 경우는 투(つ), 누(ぬ), 후(ふ)가, 네 번째 줄의 마(ま), 야(や), 라(ら) 는 각각 메(め), 유(ゆ), 레(れ)가 활성화 되는 것이다. 다만 야(や)는 나머지와 달리 단지 3개(や, ゆ, よ)의 문자만을 갖고 아(a), 이(i), 우(u), 에(e), 오(o)의 구조에서 벗어난다. 이러한 자판배열에서 입력과정의 예로 바(ば)와 아(あ)를 입력하는 과정이 각각 도 59(A)와 59(B)에서 보여주고 있다. 바(ば)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は)군에 해당하는 키 '6'을 터치한 후(도 59(A)-I) 손 가락을 가상키보드 상에서 위로 두 칸을 움직인 후(도 59(A)-II)에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손을 떼면 하(は)가 입력되고 이어서 가상키보드의 키 '#'에 해당하는 부분에 손가락을 접촉하고(도 59(A)-III) 손가락을 움직여 일본어에서 'ㅎ'->'ㅂ'로 변환시켜주는 ' " '를 선택하면(도 59(A)-IV) 바(ば)가 입력되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아(あ)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아(あ)군에 해당하는 키 '1'을 터치한 후(도 59(B)-I) 위로 손 가락을 가상키보드 상에서 위로 한 칸을 움직인 후(도 59(B)-II)에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손을 떼면 된다.FIG. 59 illustrates an example of applying the character input method shown in FIG. 53 to Japanese. In general, FIG. 59 illustrates a process of inputting one of five characters assigned to each key with one finger movement while maintaining a keypad type character arrangement in Japan. . Unlike English, since five characters are assigned to each key, the pointer satellite is used in the keypad structure of the 3 * 3 form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 The five characters are arranged vertically in the window. The five characters assigned to each key are in the order of a, i, u, e, o in English, which is in accordance with the Japanese 50-note sequence. In this arrangement, when the key touches each key, the active characters are not displayed in the 'a' group but in 'i', 'u' and 'u' according to their position on the keypad. (e) and these representative characters are written in parentheses on the keypad. Thus, in the case of a, a, and sa, which correspond to the second line of the keypad, the characters that are activated at the moment of touching the keypad are respectively い, き, and し (し). ), In the case of ta, me, and ha of the third row, to, nu, and fu, the ma in the fourth row, ya (や) and ラ (ら) are for me, yu and レ, respectively. Ya, unlike the rest, has only three letters (YA, YU, YO) and has the structure of a (a), (i), (u), (e) and (o). Escape As an example of the input process in the keyboard layout, a process of inputting a bar and a is shown in FIGS. 59 (A) and 59 (B), respectively. To enter the bar, first touch the key '6' corresponding to the lower group (Fig. 59 (A) -I), and then move two fingers up on the virtual keyboard (Fig. 59). When (A) -II) is released from the touch screen, ha is inputted, and then the finger touches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key '#' of the virtual keyboard (Fig. 59 (A) -III). If you select '' '(Fig. 59 (A) -IV) that converts to' ㅎ '->' ㅂ ', the bar will be input. Touch the key '1' corresponding to the group (Fig. 59 (B) -I) and move your finger up one space on the virtual keyboard (Fig. 59 (B) -II) Just release.

도 60은 도 53에서 보여주는 문자입력 방식을 중국어에 적용한 예로서, 중국어의 경우 표의문자이기 때문에 각 중국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영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들 중국어 발음을 나타내는 영어 자모를 0에서 9까지의 숫자 키패드 10개에 배열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 배열의 특징은 중국어 문자의 한 음절씩 구분하기 위하여 자음 군(숫자키 1~6)과 모음 군(숫자키 7~9)을 구분하였으며 특히 받침으로 쓰이는 자음(n, ng, r)을 모음 군과 함께 숫자키 '0'에 배열하여 하나의 음절의 완성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이 자음군은 하나의 키에 4개의 문자가 배열된 경우(숫자키 1~3)와 3개의 문자가 지정된 경우(숫자키 4~6)로 나뉘는데 이는 중국어 발음상 유사한 것을 그룹화하여 용이하게 각 문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하여 준다. 즉 4개의 문자가 그룹화 된 bpmf('bo', 'po', 'mo', 'fo'로 음가가 표현되는 문자 군), dtnl('de', 'te', 'ne', 'le'), zcsr('zi', 'ci', 'si', 'ri')와 3개의 문자가 그룹화 된 jqx('ji', 'qi', 'xi'), gkh('ge', 'ke', 'he'), yw'의 자음문자 그룹이 있고 모음 군은 6개로서 초성으로 쓰일 수 있는 a,o,e를 각각 서로 다른 가상 키에 배정하고 이에 나머지 모음인 i,u,

Figure 112009072652117-PAT00002
를 이들 초성 모음과 그룹화하여 사용이 용이하게 한 것이다. 이러한 배열을 이용하여 중국어 正(Zheng)을 입력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zscr/h'군이 지정된 가상키보드의 키 '3'에 손가락을 접촉하였다 떼면 'z'가 입력되고 다시 한 번 동일한 키를 접촉하면 'h'가 입력되게 된다. 이 'h'는 숫자키 '5'에 지정된 초성 'h'와 달리 단지 중국어 발음 'zh, sh, ch'만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의 편리성 도모하기 위한 것이며, 이 부분은 중국어에 적용되는 특별한 입력방법이다. 이러한 중국어 문자 배열은 각 키에 지정된 여러 개의 문자 중 하나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손가락이 모두 아래쪽으로 움직이면 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더욱 높아진 것이 특징이다.FIG. 60 is an example of applying the character input method shown in FIG. 53 to Chinese. In the case of Chinese, since the characters are ideographic characters, English is used to represent each Chinese. It shows the structure arranged in ten. The characteristics of this arrangement are to distinguish the consonant group (number keys 1 ~ 6) and the vowel group (number keys 7 ~ 9) to distinguish one syllable of Chinese characters, especially the consonants (n, ng, r) used as a support It is arranged on the numeric key '0' together with the group so that the completion of one syllable can be easily identified. Moreover, the consonants are divided into four letters arranged on one key (number keys 1 to 3) and three letters specified (number keys 4 to 6). Make sure you know the location. That is, bpmf ('bo', 'po', 'mo', 'fo' is a group of four characters), dtnl ('de', 'te', 'ne', 'le' ), zcsr ('zi', 'ci', 'si', 'ri'), and jqx ('ji', 'qi', 'xi') with three characters grouped, gkh ('ge', 'ke There are ',' he '), yw' consonant groups, and the vowel group has 6 vowels, assigning a, o, and e which can be used as initial names to different virtual keys, and the remaining vowels i, u,
Figure 112009072652117-PAT00002
Grouped with these initial vowels for ease of use. It shows the process of inputting Chinese Zheng using this arrangement. First, 'z' is input when the finger touches the key '3' on the designated virtual keyboard and the 'z' is touched. Unlike the initial letter 'h' assigned to the numeric key '5', 'h' is only for displaying the Chinese pronunciation 'zh, sh, ch' and is for convenience of input. This part is special for Chinese. Input method. The Chinese character array is characterized by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ecause the fingers all move downward to input one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assigned to each key.

도 61은 하나의 키에 지정된 다수의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더하여 각 문자에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을 손가락을 터치스크린(혹은 터치패드)로부터 이격하지 않고도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면 도 5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일본어의 경우 'bu(ぶ)'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먼저 'hu(ふ)'를 입력한 후 이를 로 변환하기 위해 ' " '가 지정된 키를 작동시키기 위한 추가 동작이 요구된다. 이를 하나의 동작에서 입력하기 위한 방법이 도 61(A)에 보여지고 있다. 손가락이 터치패드를 접촉한 상태에서 'hu(ふ)'를 선택하기 위한 손가락의 움직임(터치패드 면에서 상하 동작)과 직각이 되는 방향(좌우로 이동)으로 손가락이 이동할 경 우 하나의 키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는 'hu(ふ)'을 'bu(ぶ)'으로 변환시키고, 두 개의 키에 해당하는 이동거리는 'hu(ふ)'를 'pu(ぷ)'로 변환시켜 'bu(ぶ)' 혹은 'pu(ぷ)'의 입력을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ba' 그룹(ba, bi, bu, be, bo)과 'pa' 그룹(pa, pi, pu, pe, po)에 모두 적용되는 것이다. 즉 손가락의 터치패드 접촉에 이은 첫 번째 직선 움직임이 각 키에 지정된 문자들 중의 선택이며, 이어서 첫 번째 움직임에 직각 방향으로의 손가락의 움직임은 선택된 키에 지정된 모든 문자에 동일한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일본어 문자 중에서 sa(さしすせそ)->za(ざじずぜぞ),ta(たちつてと)->da(だぢづでど),ka(かきくけこ)->ga(がぎぐげご)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중국어의 경우도 Z->Zh(S->Sh, C->Ch)의 변환을 동일한 방법으로 이룩할 수 있으며 이는 도 61(B)에 보여지고 있다. 이 경우 도 60-II에 보여지는 'zcsr'키를 두 번 연속으로 터치할 필요가 없이 상항 방향으로의 손가락 움직임(도 61(B)-I)에 이은 좌우 움직임(도 61(B)-II)으로 완성되게 된다. FIG. 61 illustrates a method of inputting a required item for each character in addition to a method of inputting a plurality of characters assigned to one key without separating a finger from the touch screen (or touch pad). For example, in Japanese, as shown in FIG. 59, in order to input 'bu (ぶ)', first input 'hu (먼저)' and then add a key for operating a key designated '' 'to convert it to. A method for inputting this in one operation is shown in Fig. 61 (A) A finger movement (touch pad) for selecting 'hu (ふ)' while the finger is in contact with the touch pad. If the finger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moves up and down on the plane) (move left and right), the movement distance corresponding to one key converts 'hu (ふ)' into 'bu (ぶ)', The corresponding travel distance converts 'hu (ふ)' into 'pu (ぷ)' to complete the input of 'bu (ぶ)' or 'pu (ぷ)'. bi, bu, be, bo) and 'pa' groups (pa, pi, pu, pe, po), ie the first after a touchpad touch of a finger Line movement is the selection among the letters assigned to each key, and then the movement of the finger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movement produces the same change for all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selected key. )-> za (ざ じ ず ぜ ぞ), ta (た ち つ て と)-> da (だ ぢ づ で ど), ka (か き く け こ)-> ga (が ぎ ぐ げ ご) etc. In Chinese, Z Conversion of Zh (S-> Sh, C-> Ch) can be accomplished in the same way, as shown in Figure 61 (B), in which case the 'zcsr' key shown in Figure 60-II is pressed twice. There is no need to touch continuously, thereby completing the finger movement in the upward direction (Fig. 61 (B) -I) and the left and right movement (Fig. 61 (B) -II).

도 62는 도 61에서 보여지는 본 발명의 방법을 모음의 경우에 적용한 경우이다. 중국어의 경우 하나의 모음 음가에 5가지의 높낮이(1성, 2성, 3성, 4성, 경성)를 가지는데 각 모음 위에 1성(

Figure 112009072652117-PAT00003
), 2성(
Figure 112009072652117-PAT00004
), 3성(
Figure 112009072652117-PAT00005
), 4성(
Figure 112009072652117-PAT00006
) 및 경성(
Figure 112009072652117-PAT00007
)표시를 가지게 되며 본 발명에 따른 사성 입력 방법이 각각 도 62의 I, II, III, IV, V이다. 즉 이들 각각의 사성 발음은 그에 해당하는 모음을 갖는 키를 선택한 후에, 손 가락을 상하로 움직여서 사성을 선택하게 된다. 사성은 모든 모음에 공통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각개의 문자로 기억할 필요가 없이 일반적인 분류로 위에서 부터 1성, 2성, 3성, 4성을 배열하고 경성은 예외적이기 때문에 가장 위의 위치 즉 1성보다 위에 배열되어 사용자의 숙지를 용이하게 한 것이다. FIG. 62 is a case wher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1 is applied to a vowel case. In Chinese, there are five pitches (one, two, three, four and hard) in one vowel sound.
Figure 112009072652117-PAT00003
), 2 star (
Figure 112009072652117-PAT00004
), 3 star (
Figure 112009072652117-PAT00005
), 4 stars (
Figure 112009072652117-PAT00006
) And rigid (
Figure 112009072652117-PAT00007
), And the four-way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 II, III, IV, V of FIG. In other words, each of the four pronunciations of the voice, after selecting a key having a corresponding vowel, the finger is moved up and down to select the private voice. Since personality is common to all vowels, there is no need to remember them as separate letters, so that one, two, three, and four stars are arranged from the top in a general classification. It is arranged above to facilitate the user's knowledge.

도 62는 도 61에서 보여지는 본 발명의 방법을 모음의 경우에 적용한 경우이다. 중국어의 경우 하나의 모음 음가에 5가지의 높낮이(1성, 2성, 3성, 4성, 경성)를 가지는데 각 모음 위에 1성(

Figure 112009072652117-PAT00008
), 2성(
Figure 112009072652117-PAT00009
), 3성(
Figure 112009072652117-PAT00010
), 4성(
Figure 112009072652117-PAT00011
) 및 경성(
Figure 112009072652117-PAT00012
)표시를 가지게 되며 본 발명에 따른 사성 입력 방법이 각각 도 62의 I, II, III, IV, V이다. 즉 이들 각각의 사성 발음은 그에 해당하는 모음을 갖는 키를 선택한 후에, 손가락을 상하로 움직여서 사성을 선택하게 된다. 사성은 모든 모음에 공통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각개의 문자로 기억할 필요가 없이 일반적인 분류로 위에서 부터 1성, 2성, 3성, 4성을 배열하고 경성은 예외적이기 때문에 가장 위의 위치 즉 1성보다 위에 배열되어 사용자의 숙지를 용이하게 한 것이다.FIG. 62 is a case wher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1 is applied to a vowel case. In Chinese, there are five pitches (one, two, three, four and hard) in one vowel sound.
Figure 112009072652117-PAT00008
), 2 star (
Figure 112009072652117-PAT00009
), 3 star (
Figure 112009072652117-PAT00010
), 4 stars (
Figure 112009072652117-PAT00011
) And rigid (
Figure 112009072652117-PAT00012
), And the four-way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 II, III, IV, V of FIG. In other words, each of the four pronunciations of the voice, after selecting a key having a corresponding vowel, by moving the finger up and down to select the private voice. Since personality is common to all vowels, there is no need to remember them as separate letters, so that one, two, three, and four stars are arranged from the top in a general classification. It is arranged above to facilitate the user's knowledge.

도 63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방식으로 모든 모음을 입력 가능하도록 한 방법이다. 키에 지정된 문자의 표시가 상하방향과 좌우방향 모두에 배열되어 4개 이상의 문자가 하나의 키에 지정되도록 한 방법이다. 그리고,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에 배열되는 문자들의 성격을 달리하여 사용자의 숙지를 쉽게 하였다. 기본적인 모음 세 개 씩이 ['ㅏ', 'ㅗ', 'ㅛ'], ['ㅡ', 'ㅣ', 'ㅢ'], [' ㅠ', 'ㅜ', 'ㅓ']이 키패드의 지정문자로 표시되어 있고, 나머지 모음 문자들은 숨겨져 있다. 숨겨진 모음들은 각 키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하고 아래 방향으로 손가락을 움직여서 선택하면 된다. 이미 잘 알려진 천(ㆍ),지(ㅡ), 인(ㅣ) 방식에서 천에 해당하는 점(ㆍ)을 이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키보드와 같이 각각의 모음이 입력될 수 있도록 15개의 모음이 배열되어 있어서, 천지인 이외의 방식에서 사용되는 획첨가와 같은 추가적인 입력도 수반되지 않는다. 따라서, 복모음이라고 하더라도 두 번의 터치로서 입력이 되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면 '왜'의 경우 'ㅇ'+ 'ㅗ' + 'ㅐ'을 입력하여 세 번의 터치로 '왜'가 입력된다. 즉 입력 횟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63 is a method for inputting all vowels by using a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of the letter assigned to the key is arranged in both up, dow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four or more letters are assigned to one key. In addition, the user's familiarity is made easy by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tter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Each of the three basic vowels ['ㅗ', 'ㅗ', 'ㅛ'], ['ㅡ', 'ㅣ', 'ㅢ'], ['ㅠ', 'TT', '의'] Marked as a letter, and the rest of the vowels are hidden. Hidden vowels can be selected by touching each key and moving the finger downward. 15 vowels are arranged so that each vowel can be entered like a normal keyboard without using the dot (·) corresponding to the cloth in the well-known cloth (·), paper (ㅡ) and in (ㅣ) methods. It does not involve additional input, such as stroke additions used in ways other than heaven and earth. Therefore, even a double vowel is inputted with two touches. For example, in case of 'Why', 'Why' is input with three touches by entering 'ㅇ' + 'ㅗ' + 'ㅐ'. That is, it provides a way to minimize the number of inputs.

도 64는 한글 모음의 배열에 있어서 하나의 키에 4개 이상의 키가 지정되는 경우 그 규칙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즉 'ㅏ,ㅗ'가 지정된 키에서 우측으로는 'ㅗ'의 유형인 'ㅗ'와 'ㅛ'가 배열하고, 아래쪽으로의 배열은 'ㅏ'의 유형('ㅏ', 'ㅑ', 'ㅐ', 'ㅒ')만을 나열하여 상호 구분이 용이하게 하였으며, 마찬가지로 'ㅜ,ㅓ'가 지정된 키에서 좌측으로는 'ㅜ'의 유형인 'ㅜ', 'ㅠ'가 배열되고 아래쪽으로의 배열은 'ㅓ'의 유형('ㅓ', 'ㅕ', 'ㅔ', 'ㅖ')만이 나열된다. 이러한 배열의 규칙은 기본문자(ㅏ,ㅗ 혹은 ㅜ,ㅓ)에 가장 가까운 키에는 천(ㆍ)이 첨가된 문자(ㅑ, ㅕ, ㅠ, ㅕ)가, 그 다음 가까운 키에는 기본문자에 획(l)가 첨가된 문자가 배열되며 그 보다 더 먼 위치의 키에는 기본문자에 획(l)과 점(ㆍ)이 첨가된 문자가 배열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배열된 모음 문자의 총 개수는 15개로서 일반적인 컴퓨터의 자판에 제공되는 모음문자에 'ㅢ'가 추가된 것 외에는 키보드와 동일하여 키보드와 동일한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한글자판배열을 보여준다. Fig. 64 explains the rules when four or more keys are assigned to one key in the arrangement of Korean vowels. In other words, '키' and 'ㅛ' are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key designated 'ㅏ, ㅗ' and ',' and 'ㅛ' are arranged. 만을 'and' ㅒ ') are listed to make it easier to distinguish from each other.In the same way,' TT 'and' ㅠ 'types are arranged on the left side and' TT 'and' ㅠ 'are arranged on the left side. Only lists the types of 'ㅓ' ('ㅓ', 'ㅕ', 'ㅔ', 'ㅖ'). The rule of this arrangement is that the key closest to the base character (ㅏ, ㅗ or ㅜ, ㅓ) has a letter (ㅑ, ㅕ, ㅠ, ㅕ) appended with a cloth (·), and the next key has a stroke ( The letters with l) are arranged, and the keys with farther positions are arranged with the letters with the stroke (l) and dot (·) added to the base character. The total number of vowels arranged in this way is 15, showing the Hangul keyboard layout that provides the same input method as the keyboard except that 'ㅢ' is added to the vowels provided in the general computer keyboard.

도 65는 터치스크린 방식이 아닌 터치패드 방식의 핸드폰을 보여주고 있는데, 손가락이 터치패드를 작동시킬 때에 가상키보드를 가리지 않으므로 도 53 ~ 도 63에서 보여지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핸드폰에 필요한 포인터 위성 창을 별도로 가질 필요가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FIG. 65 illustrates a touch pad type mobile phone instead of a touch screen type. Since a finger does not cover the virtual keyboard when the touch pad is operated, a pointer satellite window required for the touch screen type mobile phone shown in FIGS. 53 to 63 is shown. It does not need to have it separately.

도 66은 가상키보드(키패드)의 각 키에 두 개의 문자가 지정된 경우 기준 문자와 비기준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보여주는데, 기준 문자는 지정된 키를 터치하면 입력되고 비기준 문자는 지정된 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이 그 키의 영역을 벗어나서 터치패드 혹은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이격하면 입력되도록 한 것이다. 즉 굳이 일정한 방향이나 거리에 상관없이 지정된 키 영역을 벗어나서 손가락이 이격되면 입력되도록 하여 지정키가 정해지면 더 이상 방향과 거리에 대한 생각이 필요없이 손가락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FIG. 66 illustrates a method of inputting a reference character and a non-reference character when two characters are assigned to each key of a virtual keyboard (keypad), wherein the reference character is input by touching a designated key and the non-reference character is touching a designated key. In this state, if the finger moves away from the area of the key and is separated from the touch pad or the touch screen, it is input. In other words, if a finger is spaced apart from the designated key area regardless of a certain direction or distance, the input key is determined so that the finger can move freely without any further thinking about the direction and distance.

도 67은 가상키보드(키패드)의 각 키에 두 개의 문자가 지정된 경우 기준 문자와 비기준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보여주는데, 도 66과 다른 점은 터치패드(혹은 터치스크린)가 접촉(touch) 상태와 누름(press) 상태를 구분하여 손가락이 접촉된 상태에서 터치패드(혹은 터치스크린)로부터 이격되면(도 67a-I) 기준문자 'c'가 입력 되고 손가락이 누름상태를 거쳐 이격되면(도 67a-II) 비기준문자 'd'가 입력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도 67b는 'Doors open.'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선택된 키와 각각의 키의 접촉 혹은 누름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문자의 입력은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이격될 때(touch-off) 이루어짐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력 구성을 위해서는 터치패드(혹은 터치스크린)가 도 46 혹은 도 49에 보여지는 접촉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하는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FIG. 67 illustrates a method of inputting a reference character and a non-reference character when two characters are designated to each key of the virtual keyboard (keypad). The difference from FIG. 66 is that the touch pad (or touch screen) is in a touch state. When the user is separated from the touch pad (or touch screen) while the fing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Fig. 67A-I), the reference character 'c' is input and the finger is spaced through the pressing state (Fig. 67A). -II) Shows the case where the non-reference character 'd' is entered. FIG. 67B shows a contact or depressed state of a selected key and each key in the process of inputting 'Doors open.' And input of characters is performed when a finger is touched off from the touch pad. . In order to configure the input, the touch pad (or touch screen) should have a function of distinguishing the contact state from the touch state shown in FIG. 46 or 49.

도 68은 가상키보드의 각 키 영역을 정의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바, 손가락이 각 키에 해당하는 영역을 접촉하면 원래 균등하게 할당된 영역이 활성화된 키에 대해서는 확장되는 기능을 보여주고 있다. 즉 각 키에 일정한 영역(6801)이 지정되어 있고, 이 지정된 영역에 손가락(의 중심)이 접촉하게 되면 이 키는 활성화되고, 이렇게 활성화된 활성키(6802)는 그 영역(6801)이 확장됨으로써 활성키의 영역이 이웃한 키 영역의 일부까지도 포함하여 터치패드의 좁은 면적을 실질적으로 확대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는 좁은 터치패드 혹은 터치스크린 상의 가상키보드의 좁은 활성키 영역을 넓게 하여 손가락의 움직임 반경을 크게 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며 특히 손가락이 각 키의 경계면상에 놓인다 하더라도 쉽게 이웃한 키들이 불안정하게 활성화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선택된 활성키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그에 지정된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장점을 가져온다. 즉 키 'K'와 'L'의 경계선 LKL(6804)상에 위치한 점 'PKL'(6803)에 손가락이 놓일 경우 위의 활성키 확장기능이 없을 경우(도 68-I) 키 'K'가 활성화된다고 하여도 손가락이 경계선 LKL(6804) 근처에서 약간의 움직임만으로도 활성키가 'L'로 쉽게 변경되어 'L'이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반해 활성키의 확장 기능이 부가될 경우 점 'PKL'(6803)에 손가락의 중심이 놓여 키 'K'가 활성화되면(도 68-II) 새로운 경계선 L"KL(6804K)이 형성되어 키 'L'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확장된 영역(6805)을 넘어야 하기 때문에 도 68-I에서처럼 손가락의 미동으로 인해 이웃한 키의 우연한 활성화를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키 'L'이 활성화되면 새로운 경계선 L'KL(6804L)이 형성되어 쉽게 키 'K'가 활성화되지 않는 장점을 가져온다. 이렇게 확장된 영역은 활성키를 안정적으로 만들어주지만 그 영역이 너무 커지면 이웃한 키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힘들어지게 되므로 확대된 영역이 이웃한 키 영역의 중심을 지나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확대비율이 2배이하인 경우가 바람직하다.FIG. 68 shows a method of defining each key area of the virtual keyboard, and when a finger touches an area corresponding to each key, an expanded function is applied to a key in which an evenly allocated area is activated. That is, if a certain area 6801 is assigned to each key, and the finger (the center of the finger) touches the designated area, the key is activated, and the activated key 6802 thus activated is expanded by the area 6801. This results in the area of the active key including a portion of the adjacent key area being substantially enlarged in the narrow area of the touchpad. This increases the radius of movement of the finger by widening the narrow active key area of the virtual keyboard on the narrow touchpad or touchscreen. Especially, even if the finger is placed on the boundary of each key, neighboring keys are activated unstable easi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selected activation key is kept stable and the specified character is inputted. In other words, if the finger is placed at the point 'P KL ' (6803) located on the boundary line L KL (6804) between the keys' K 'and' L ', and there is no extension of the above activation key (Fig. 68-I), the key' K Even though 'is activated, the activation key is easily changed to' L 'with a slight movement of the finger near the boundary line L KL 6804 so that' L 'may be input. On the contrary, when the extension function of the activation key is added, when the center of the finger is placed at the point 'P KL ' 6803 and the key 'K' is activated (Fig. 68-II), a new boundary line L " KL (6804K) is formed. In order to activate 'L', the extended area 6805 must be crossed, thus preventing accidental activation of neighboring keys due to finger movement as shown in Fig. 68-I. ' KL (6804L) is formed, which brings the advantage that the key' K 'is not easily activated.This extended area makes the activation key stable, but if the area becomes too large, it becomes difficult when you want to select a neighboring key. It is preferable that the enlarged area does not pass the center of the neighboring key area,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enlargement ratio is 2 times or less.

도 69는 누름상태와 접촉상태를 구별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터치패드만으로 버튼기능을 구현한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69a(Mode 1)와 도69b(Mode 2)는 각각 다른 방법으로 버튼 기능 구현 방법을 시간에 따른 압력변화와 그에 상응하는 버튼상태의 변화를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69a에 보여 지는 Mode 1은 버튼 클릭 동작에서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이격 되어지는데 반해 도 69b에 보여 지는 Mode 2는 클릭 동작에서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이격 되지 않는 것이 다른 점이다. 이러한 클릭동작의 차이점이 드래그 동작 및 (통상적인 오른손잡이용) 마우스의 오른쪽버튼 기능을 위한 동작에서 차이점을 가져오게 된다. 도 69a 및 도 69b 각각의 경우 (III)과 (IV)는 드래그 동작을 위한 터치상태의 변화를, (V)는 오른쪽버튼 기능 수행 과정에서 터치상태의 변화를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를 Mode 1과 Mode 2를 구별하여 먼저 모드 1에 해당하는 도 69a를 설명하면, 도 69a-(I), (II)는 각각 버튼 클릭(클릭 기준시간,tc°,내에 touch -> depresed -> touch -> touch-off의 과정이 이루어짐), 더블클릭(더블클릭 기준시간,tdc°,내에 두 번의 누름 동작이 이루어짐 : touch -> 1st depressed -> touch or touch-off -> 2nd depressed -> touch or touch-off의 과정으로 depressed 상태 후에 touch 혹은 touch-off가 되는지는 문제가 되지 않음) 그리고 도 69a-(III)과 (IV)는 드래그(드래그 기준시간, td°,내에 누름동작에 이어서 터치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터치상태가 이루어지는 동안 버튼 다운상태를 유지함: touch -> depressed -> touch(hold)과정)에 해당하는 접촉과 누름상태의 변화를 나타낸다. 기존의 마우스 버튼과 달리 본 발명의 누름상태를 갖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버튼기능의 구현에 있어서 차별화되는 점은 특히 드래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터치패드의 접촉유지(touch-hold)상태를 버튼홀드(Button-hold)기능에 대응시키는 점이다. 하지만 본 구성의 터치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하는 2차원 입력장치(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방식 등)의 경우 버튼 홀드(hold)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거리가 입력장치의 크기보다 클 경우 불가피하게 손가락이 입력장치로부터 이격 되어야 하고 그에 따라 도 69a-(III)의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드래그 기능은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이격 될 경우 버튼 업(button up)상태에 이르게 되므로, 적용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는 방법은 도 69a-(IV)에 보여 지는 바와 같이 누름상태에 도달한 이후에(도 69-a(IV)의 1st click이 이루어진 이후) 버튼업(Button-Up)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또 다른 누름(Depressed)동작이 있어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즉 누름상태의 해제는 또 다른 누름동작에 이은 이격동작이 실행되어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도 69a-(IV)의 내용이다. 도 69a-(IV)의 두 번째 타원형 부분의 이격(Release)과정이 이에 해당된다. 이를테면 도 69-(IV)의 첫 번째 타원형 구간(Drag 구간)에서와 같이 누름상태로부터 일정한 시간이 흘러 터치오프(Touch-Off)상태가 이루어지면 버튼업(Button-Up)상태가 되는 것이 아니라 버튼홀드(Button-Hold)상태를 지속하게 되는 것이며 도 69a-(IV)의 두번째 타원형 구간(Release 구간)에서와 같이 누름동작에 이은 이격동작이 연속적으로 실행되어야 버튼업(Button-Up)상태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도 69a에서 시간에 따른 버튼상태를 나타내는 선분 구간의 윗부분에 u, d, r.u, r.d 표시가 되어 있는데, 이는 왼쪽버튼 업(button-up, u)과 왼쪽버튼 다운(button-down, d) 및 오른쪽버튼 업(right button-up, r.u)과 오른쪽버튼 다운(right button-down, r.d)을 각각 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같은 터치상태에서도 조건에 따라 버튼 다운상태 혹은 버튼 업 상태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도 69a의 드래그 내용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는 것이 도 71이다. 그리고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오른손잡이의 경우)에 해당하는 동작을 적용하기 위해 누름상태가 지속되는 시간(tr)이 누름기준시간(tr°)보다 길게 지속되는 경우를 이용하는 것이 도 69a의 (V)에 보여지고 있다. 즉 누름지속시간이 기준시간보다 작을 경우는 왼쪽 버튼의 누름상태의 변화를 기준시간보다 길 경우에는 오른쪽 버튼의 누름상태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것이다. 왼손 버튼과 달리 오른손 버튼의 경우 드래그기능이 필요없으므로 도 69a의 (III) 혹은 (IV)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누름상태 다음의 터치상태를 버튼의 누름상태 지속(즉 버튼 홀드)을 지킬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오른쪽버튼의 누름상태의 해지는 도 69a(V)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터치패드의 누름동작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오른쪽버튼의 누름상태 해제는 도 69a(I)의 일반적인 클릭 동작과 달리 클릭을 위해 손가락이 누름동작에 이어서 터치오프가 수행되지 않고 터치상태에만 이르러도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인 개인용 컴퓨터의 윈도우즈시스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른쪽버튼의 상태는 왼쪽버튼의 클릭에 의해서 포인터가 놓인 위치에 따라 명령의 실행을 통한 해제가 되거나 단순한 해제가 이루어진다. 이와 마찬가지로 왼쪽버튼의 다운상태가 유지되는 도 69a(III) 과 (IV)의 드래그의 경우에도 이들 버튼 다운상태의 해제를 위한 클릭동작은 터치패드 누름상태에 이어 터치 상태를 유지하면 된다. 이점이 도 69a(IV)의 2nd Click에 해당된다. 그리고 이상에서 4개의 기준시간이 정의 되었는데, 터치패드 누름상태를 해석함에 있어서 제일 먼저 판정하게 되는 것이 누름지속시간(tr)이 기준시간(tr°)보다 작은지 큰지를 결정하는 것이며 만약 작다면 도 69a의 (I)~(IV)의 과정에 필요한 판정을 하게 된다. 따라서, 그 누름기준시간(tr°)은 나머지 기준시간들과 달리 누름동작에만 적용되는 시간이므로 그 크기는 다른 기준시간과 무관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만약 다른기준시간들 보다 클 경우 누름상태가 누름기준시 간보다 길게 지속된다면 다른 동작들은 모두 실행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나머지 기준시간들 중에서 클릭기준시간과 드래그 기준시간은 드래그기준시간이 클릭기준시간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정의할 수 있다. 더블 클릭기준시간은 이들 시간과 무관하게 적용되므로 클릭기준시간보다 크게 설정하여 이 기준시간안에 두 번의 누름상태가 발생하면 더블클릭을 실행하게 되는 것이며 두 번째 누름상태 이후에 발생하는 누름상태에 대해서는 다시 모든 기준을 다시 적용하게 된다. 따라서 누름동작에 따른 버튼명령 실행은 누름기준시간 -> 클릭기준시간 -> 드래그기준시간 -> 더블클릭기준시간으로 진행되는데 먼저 누름동작이 누름기준시간이상으로 지속되었는지에 따라 좌우측버튼명령으로 실행하고, 누름기준시간보다 작은 경우 클릭기준시간내에 클릭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고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그 이유가 터치상태의 유지에 의한 것이라면 드래그 동작여부를 확인하고 만약 이어서 더블클릭기준시간내에 두 번째 누름동작 발생여부에 따라 더블클릭 동작의 실행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상이 Mode 1에 대한 설명이고 도 69b에 보여지는 Mode 2에 대하여 설명하면, 가장 근본적이 차이는 클릭동작이 완료된 상태에 손가락이 터치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는 점이다. 즉 터치패드 누름상태가 버튼 업과 버튼다운을 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누름상태 후에 터치상태를 유지함으로 드래그 동작이 이루어지는 모드 1의 방법이 적용될 수 없으며 대신 누름지속 기준시간이 드래그 기준시간(td°)으로 적용되어 이 기준시간보다 누름지속시간이 길어지면 누름상태가 해제된 이후에도 버튼다운 상태를 유지하여 드래그 동작이 실행되게 하는 방법이 적용된다. 이렇게 오른쪽버튼 동작을 결정하는 기준시간이 드래그 동작을 결정하는 기준시간으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모드 2에서는 오른쪽버튼 동작을 결정하는 방법이 변경될 수 밖에 없으며 그 방법이 도 69b(IV)에 보여지고 있다. 이는 누름동작이 기준시간(tr°)내에 터치오프로 끝나면 오른쪽버튼 동작을 실행하게 되는데 이 때 적용되는 기준시간이 클릭 기준시간과 그 크기가 동일하게 하면 이 기준시간내에 누름 동작이 끝나고 터치상태로 끝나면 오른쪽버튼 클릭동작 대신 왼쪽버튼 클릭동작을 실행하게 하는 것이다. 즉 도 69b에서 클릭기준시간과 오른쪽버튼 기준시간을 동일하게 정하고 왼쪽버튼 클릭과 오른쪽 버튼의 클릭을 구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더블클릭은 클릭동작에 이어서 추가적인 클릭 동작이 기준시간(tdc°)내에 이루어질 경우 실행하게 된다. FIG. 69 illustrates a button function implemented using only a touch pad by using a touch pad that distinguishes a pressed state from a contact state. FIG. 69a (Mode 1) and 69b (Mode 2) each implement a button function in different ways. The method illustrates the change in pressure over time and the corresponding button state. In Mode 1 shown in FIG. 69A, the finger is spaced apart from the touch pad in the button click operation, whereas in Mode 2 shown in FIG. 69B, the finger is not spaced apart from the touch pad in the click operation. This difference in click behavior is what mak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ag behavior and the behavior for the right button function of a mouse (usually for right-handed use). In each of FIGS. 69A and 69B, (III) and (IV) show a change in touch state for a drag operation, and (V) shows a change in touch state in a process of performing a right button function. When it to distinguish between Mode 1 and Mode 2 describes the road 69a that corresponds to the first mode. 1, 69a- (I), (II) are each click (click on a reference time, t c °, in a touch -> depresed - >touch-> touch-off process), double click (double click reference time, t dc °, two presses are performed: touch-> 1st depressed-> touch or touch-off-> 2nd depressed- > Touch or touch-off after depressed state by touch or touch-off process does not matter) And Figures 69a- (III) and (IV) drag (drag reference time, t d °, push operation Subsequently, when the touch state is maintained, the button down state is maintained while the touch state is performed: touch->depressed-> touch (hold)). Unlike the conventional mouse button, the differenc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button function using the touch pad having the push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particular, the touch-hold state of the touch pad to implement a drag function (button hold) -hold) function. However, in the case of the two-dimensional input device (touch pad, touch screen method, etc.) that distinguishes the touch state from the pressed state of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istance to maintain the button hold state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input device, the finger is inevitably The drag function, which must be spaced from the input device and thus made by the method of FIGS. 69A- (III), becomes inapplicable when the finger is spaced from the touch pad, thus making it impossible to apply. Therefore, the method for overcoming this is to be in the button-up state after reaching the pressed state (after the 1st click of FIG. 69-a (IV) is made) as shown in FIGS. 69A- (IV). Another depressed action is needed to make this possible. That is, the contents of Figs. 69A- (IV) allow the release of the pressed state to be performed only after another pr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This corresponds to the release process of the second elliptical portion of FIGS. 69A- (IV). For example, as shown in the first elliptical section (Drag section) of FIG. 69- (IV), if a touch-off state is achieved after a certain time flows from the pressed state, it is not a button-up state but a button-up state. The button-hold state will be maintained and the button-up state will not be reached until the separation operation following the pr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continuously as in the second elliptical section (release section) of Figs. 69A- (IV). Will be done. In FIG. 69A, u, d, ru, and rd are display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ne segment showing the state of the button according to time, which means that the left button-up (u) and the left button-down (button-down, d) and The right button-up (ru) and the right button-down (right button-down, rd) are respectively displayed, an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down state or the button up state according to the condition even in the same touch state. Show that you can have 71 illustrates the drag content of FIG. 69A in more detail. And that the right mouse button (for right-handed), time (t r) is pressing condition continues to apply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 case that lasts longer than the push reference time (t r °) degree of 69a ( V) is shown. In other words, if the pressing duration is less than the reference time, the change in the pressing state of the left button is longer than the reference time. Unlike the left-hand button, the right-hand button does not need to be dragged, so it is not necessary to keep the touched state of the button pressed (ie button hold) as shown in (III) or (IV) of FIG. 69a. . Accordingly, the depressed state of the right button is made by pressing the touch pad as shown in FIG. 69A (V). In other words, unlike the normal click operation of FIG. 69A (I), the right button release state may be reached only in the touch state without the touch-off being performed following the finger pressing operation. As shown in the general Windows system of a personal computer, the state of the right button is released by executing a command or simply releas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pointer by clicking the left button. Similarly, in the case of dragging of Figs. 69A (III) and (IV) in which the left button down state is maintained, the click operation for releasing these button down states may be maintained in the touch state following the touch pad pressed state. This corresponds to 2nd Click in FIG. 69A (IV). In the above, four reference times have been defined. The first thing to be judged when interpreting the touch pad pressed state is to determine whether the pressing duration (t r ) is less than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time (t r °). If it is, the determination necessary for the process of (I)-(IV) of FIG. 69A is made. Therefore, since the pressing reference time (t r °) is a time applied only to the pressing operation unlike the other reference times, the size can be set regardless of other reference times, and if it is larger than other reference times, the pressing state is pressed. If it lasts longer than the reference time, all other operations will be disabled. Among the remaining reference times, the click reference time and the drag reference time may be defined such that the drag reference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lick reference time. Since the double click reference time is applied regardless of these times, if it is set larger than the click reference time, if two pressing conditions occur within this reference time, the double click is executed and for the pressing state occurring after the second pressing state, All criteria will be applied again. Therefore, the execution of the button command according to the pressing action proceeds to the pressing reference time-> click reference time-> drag reference time-> double click reference time. First, it is executed by the left and right button commands depending on whether the pressing operation lasts longer than the pressing reference time. If it is less than the standard time for pressing, check whether the click is made within the standard time of the click. If the reason is not due to the maintenance of the touch state, check whether the drag operation is performed. Whether or not to execute the double-click operation is determin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above description of Mode 1 and Mode 2 shown in FIG. 69B show that the most fundamental difference is that the finger remains in the touch state when the click operation is completed. In other words, the touchpad pressed state determines the button up and the button down. Therefore, the method of Mode 1, in which the drag operation is performed by maintaining the touch state after the pressing state, cannot be applied. Instead, the pressing duration reference time is applied as the drag reference time (t d °), and when the pressing duration is longer than this reference time, the pressing state is applied. The method is applied so that the drag operation is executed by maintaining the button down state even after is released. Since the reference time for determining the right button operation is changed to the reference time for determining the drag operation,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right button operation is inevitably changed in Mode 2, and the method is shown in FIG. 69B (IV). This means that if the push operation ends with a touch-off within the reference time (t r °), the right button operation is executed. If the applied reference time is the same as the click reference time, the push operation is over and the touch state is completed within this reference time. If it ends, the left button click action is executed instead of the right button click action. That is, in FIG. 69B, the click reference time and the right button reference time are set equal to each other, and the left button click and the right button click can be distinguished. The double click is executed when the additional click operation is performed within the reference time (t dc °) following the click operation.

도 69c는 도 69b에 보여지는 모드 2의 경우에서 드래그 동작(도 69b(III))과 오른쪽버튼 동작(도 69b(V)) 방법을 교환한 것으로 도 69c(III)는 드래그 동작이 누름동작에 이어서 터치오프상태가 기준시간(td°)내에 이루어질 경우 실행되도록 한 것이며 도 69c(IV)는 오른쪽버튼 클릭은 누름지속시간이 기준시간(tr°)보다 길어질 경우 실행되도록 한 것이다. 그 외의 기준시간의 적용 방법은 모드 2와 동일하다. 마지막으로 도 69d, 69e,69f는 누름상태를 갖지 않는 터치패드의 경우 추가로 스위치를 장착하여 이 스위치의 on상태를 도 69a, 69b, 69c에 보여지는 터치패드의 누름(Depressed)상태를 대체하여 터치패드 운용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즉 도 69a, 69b, 69c의 3가지 상태를 아래와 같이 변경 적용하여 도 22 및 도 23b에 보여지는 터치패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게 하여 한 손으로 터치패드를 마우스와 같이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것이다.FIG. 69C shows that the drag operation (FIG. 69B (III)) and the right button operation (FIG. 69B (V)) are exchanged in the case of Mode 2 shown in FIG. 69B. then one will be executed when the touch-off state consist in the reference time (t d °) Figure 69c (IV) is right-clicked is a case to run longer the pressing duration than the reference time (t r °). The other method of applying the reference time is the same as in mode 2. Lastly, FIGS. 69D, 69E, and 69F show that the touch pad does not have a pressed state, so that an additional switch may be installed to replace the on state of the touch pad shown in FIGS. 69A, 69B, and 69C. It explains how to operate the touchpad. That is, the three states of FIGS. 69A, 69B, and 69C may be changed and applied to the touchpad device shown in FIGS. 22 and 23B as described below, so that the touchpad may be operated like a mouse with one hand.

Touch-off -> SW-off & Touch-off, Touch-off-> SW-off & Touch-off,

Touch -> SW-off & TouchTouch-> SW-off & Touch

Depressed -> SW-on & TouchDepressed-> SW-on & Touch

도 70a은 도 49(A)와 (B)에 보여지는 원리가 적용된 누름상태와 접촉상태를 구별하는 터치패드로서 문자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터치패드(7001) 위에 부착되는 탄성체(7002)를 바둑판모양으로 배열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버튼기능을 담당하게 하기 위해 중앙의 활성영역(7003)을 설정하여 이 활성영역 이외의 영역에서는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이격 되더라도 버튼기능에서 버튼업상태로의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70-I, II, III, IV는 각각 활성영역에서의 접촉, 이격, 비활성영역에서의 접촉 및 이격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들 상태에 따른 포인팅기능의 변화를 도 71에서 보여주고 있다. 도 70에 보여지는 바둑판 구조의 탄성체는 손가락이 탄성체에 접촉할 경우 손가락이 발생시키는 정전용량이 탄성체 사이에 존재하는 골(7004)에 의해 각 탄성체 영역에 집중되도록 하는 장점을 가져오고 더불어서 손가락이 접촉하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하는 장점도 가져온다. 하지만 골의 폭이 너무 커지면 손가락이 포인팅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탄성체의 요철형태가 손가락움직임에 방해가 되므로 탄성체의 좌우 방향에 있는 골과 상하 방향에 있는 골의 폭이 각각 탄성체 가로, 세로 폭의 50%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유사한 방법으로 각 키 영역을 분리하는 골을 완전히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도 70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 키 영역의 모서리 부분을 연결할 수도 있다. 도 78c3, 78c4와 같이 키 탑(key top)에 해당하는 부분이 키 영역별로 완전히 분리되지 않게 되어 탄성력을 더해 주는 효과와 포인팅 작업에 있어서 각 키 영역의 모서리 부분이 연결되어 손가락의 움직임을 보다 원만하게 해 주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70b에서 W, H는 각 키의 가로 세로 폭을 나타내며, w와 h는 인접한 키와의 경계를 이루는 골의 가로, 세로 방향의 길이를 각각 나타낸다. d는 골의 폭을 나타내는 바 0.5~1.5mm 정도가 각 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골의 기능과 포인팅 작업에서 손가락의 움직임을 원할하게 하여 주며 w와 h는 각각 W와 H의 이분의 일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작아지면 각 키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워지고, 특히 d의 경우 1.5mm 보다 커지면 포인팅 작업시에 손의 움직임을 방해하고 누름 동작이 원할히 되지 않는 단점을 가져 올 수 있다. 다만 골의 폭이 1.5mm보다 커지더라도 w와 h의 길이가 축소되면 포인팅 작업을 불편하게 하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70A is a touch pad for distinguishing the pressed state and the contact state to which the principles shown in FIGS. 49A and 49B are applied, and an elastic body 7002 attached to the touch pad 7001 to facilitate character input. It shows the structure arranged in the shape. Especially, in order to be in charge of the button function, the center active area 7003 is set so that in the area other than this active area, even if the finger is separated from the touch pad, the button function is changed to the button up state. The conversion is not made. 70-I, II, III, and IV show contact, spaced, and inactive regions in the active region and the spaced apart state, respectively, and FIG. 71 shows the change in the poin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se states. The elastic body of the checkerboard structure shown in FIG. 70 has the advantage that when the finger touches the elastic body, the capacitance generated by the finger is concentrated in each elastic region by the valley 7004 existing between the elastic bodies and the finger touches it. It also bring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tect location. However, if the width of the bone is too large, the irregularities of the elastic body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finger when the finger performs the pointing function. It is preferable to be below%. In a similar manner, rather than completely connecting the valleys separating the respective key areas, the edge portions of the respective key areas may be connected as shown in FIG. 70B. 78c3 and 78c4, the parts corresponding to the key top are not completely separated for each key area, so that the edge portion of each key area is connected to the effect of adding elasticity and pointing.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work. In FIG. 70B, W and H represent horizontal and vertical widths of each key, and w and h represent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s of valleys forming a boundary between adjacent keys. d represents the width of the bone, and 0.5 ~ 1.5mm is the function of the bone to identify the position of each key, and the movement of the finger in the pointing work is smooth and w and h are less than half of W and H, respectively. It is desirable to be large. If it is smaller than this, it becomes difficult to grasp the position of each key, and particularly, if d is larger than 1.5mm, it may cause a disadvantage that the hand movement is hindered during the pointing operation and the pressing operation is not smooth. However, even if the width of the bone is larger than 1.5mm, if the length of the w and h is reduced can be made up for the disadvantages that make the pointing work uncomfortable.

도 71a(A)와 도 71a(B)는 각각 손가락의 움직임이 도 70의 I -> II과 I -> III -> IV의 경로를 따라 누름동작과 이격동작이 이루질 때 활성영역의 역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를 도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두 경우 모두 굳이 활성영역이 아니더라도 상관이 없지만 누름동작을 중앙의 활성영역(7003)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도 71a(A)의 경우 활성영역에서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이격되어 터치오프(Touch-Off)상태와 동시에 버튼업(Button-Up)상태로 전이된다. 도 71a(B)의 경우 누름동작이 활성영역에서 이루어진 후에 손가락이 활성영역을 벗어나(III) 터치패드로부터 이격(IV)되어 터치오프(Touch-Off)상태로 전환되더라도 버튼다운(Button-Down)상태를 유지(hold)하게 됨을 보여준다. 따라서 도 70에 보여지는 활성영역의 활용으로 포인팅 작업에서 단순한 클릭, 더블클릭외에 드래그 기능도 기능버튼없이 수행할 수 있게하여 줌을 보여주고 있다. 더우기 도 71a(C)와 71a(D)는 이러한 활성영역의 설정이 없이도 드래그(Drag)기능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즉 도 69-IV에서 보여지는 기능 즉 누름상태에서 터치오프상태로 변화되는 이격시간이 이미 정해진 기준시간(이격기준시간 - tr

Figure 112009072652117-PAT00013
)보다 클 경우 버튼다운(Button-Down)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이 적용되면 도 69-IV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드래그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이격되어도 드래그 동작이 지속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1(C)와 (D)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터치패드 누름(Depressed)상태에서 이격(Touch-Off)상태에 이르는 이격시간(Release time,tr)이 정해진 이격기준시간(tr
Figure 112009072652117-PAT00014
)을 기준으로 작을 경우와 클 경우 각각 버튼업(Button-Up)상태와 버튼홀드(Button-Hold)상태를 결정하는 것이다. 즉 도 71a(C)의 경우 이격과정(7101)이 이격기준시간(tr
Figure 112009072652117-PAT00015
)보다 작기 때문에 버튼업(Button-Up)상태에 도달하지만 도 71a(D)의 경우 이격시간(tr)이 이격기준시간(tr
Figure 112009072652117-PAT00016
)보다 크기 때문에 버튼홀드(Button-Hold)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드래그 혹은 스크롤 기능을 위한 본 발명의 이격기준시간에 의한 버튼홀드 상태의 유지 상태를 도 71b에 도식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71A (A) and 71A (B) respectively show the role of the active area when the finger movement is performed by pressing and separating movements along the paths I-> II and I->III-> IV of FIG. It shows how it works. In both cases, it does not matter even if it is not the active area, but the pressing operation is made in the center active area 7003. In the case of FIG. 71A (A), a finger is spaced apart from the touch pad in the active area to transition to a button-up state at the same time as the touch-off state. In the case of FIG. 71A (B), even if the finger is moved out of the active area (III) after being pushed out of the active area (III) and moved to the touch-off state by being separated from the touch pad (IV), the button-down is performed. Show hold. Therefore, the use of the active area shown in FIG. 70 shows that zooming can be performed without a function button in addition to simple click and double click in a pointing operation. Furthermore, FIGS. 71A (C) and 71A (D) show a method of facilitating a drag function without setting the active area. I.e. functions shown in Figure 69-IV that is pressed state from touch-off state is spaced from the reference time period is already set as a change (spaced reference time - t r
Figure 112009072652117-PAT00013
It is a method to use the function to keep the button-down state when it is larger than). When this method is applied, as shown in FIG. 69-IV, the drag operation can be continued even if the finger is separated from the touch pad in the dragging process. Figure 71 (C) and (D) which is depressing the touch pad (Depressed) spaced apart in time to reach (Touch-Off) state in a state as shown in (Release time, t r) is determined based on the time spacing (t r
Figure 112009072652117-PAT00014
In case of small and large, the button-up state and button-hold state are determined respectively. That is, in the case of FIG. 71A (C), the separation process 7101 is the separation reference time t r.
Figure 112009072652117-PAT00015
Since it reaches a button-up state because it is smaller than), in the case of FIG. 71A (D), the separation time t r is the separation reference time t r.
Figure 112009072652117-PAT00016
It is larger than), so it maintains the button-hold state. The holding state of the button hold state by the distance reference tim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uch a drag or scroll function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71B.

도 72는 누름상태와 접촉상태를 구별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버튼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접촉상태와 누름상태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누름압력의 문턱값을 4가지( Zdetouch, Ztouch, Zpress-up, Zdepress)로 구분하여 방법이 적용된 예를 도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Ztouch와 Zdetouch는 비접촉상태에서 접촉상태로 전환되기 위한 누름압력의 문턱 값으로서 Ztouch는 비접촉상태에서 접촉상태로 전환될 때 적용되는 기준 값이고 Zdetouch는 접촉상태에서 비접촉상태로 전환될 때 적용되는 기준 값이다. 이들 기준 값을 시간에 따른 누름압력의 변화에 적용되었을 때 접촉, 누름상태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살펴보면, ①과 ②는 접촉상태 문턱 값인 Ztouch를 초과하지 못하여 아직 터치오프(Touch-off)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③의 상태가 되어서야 터치온(Touch-on)상태가 된다. ③보다 누름압력이 증가한 ④는 아직 Zdepress를 초과하지 못하여 터치온(Touch-on)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⑤가 되어서야 누름(Depressed)상태가 된다. ① -> ⑤까지의 과정은 누름압력이 증가하는 과정이었지만 ⑤ -> ⑨까지의 과정은 압력이 감소하는 과정으로서 ① -> ⑤과정에서와 동일한 누름압력을 갖더라도 상이한 누름상태를 갖게되는데 이는 현재 누름상태에 따라 상이한 변환 문턱 값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즉 ②와 ⑧은 같은 누름압력을 갖는 상태이지만 ②는 터치오프(Touch-off)상태를 ⑧는 터치온(Touch-on)상태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④와 ⑥는 같은 누름압력을 갖는 상태이지만 ④는 터치온(Touch-on)상태를 ⑥는 누름(Depressed)상태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Ztouch - Zdetouch, Zdepress- Zpress - up의 누름 압력 차이가 각각 터치온(Touch-on)상태와 누름(Depressed)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완충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스무 일곱 번째 구성이다.FIG. 72 illustrates four threshold values of pressing pressure (Z detouch , Z touch , and Z press to stabilize the contact state and the pressing state in a method of implementing a button function using a touch pad that distinguishes a pressed state from a touch state. -up , Z depress ) shows an example of how the method is applied. Z touch and Z detouch are threshold values of the pressing pressure for switching from non-contact state to contact state. Z touch is a reference value applied when switching from non-contact state to contact state and Z detouch is changed from contact state to non-contact state. The reference value applied. When these reference values are applied to the change of the pressing pressure over time, how the contact and the pressing state changes, ① and ② do not exceed the touch state threshold value Z touch , so the touch-off state is not yet achieved. It is maintained, and it becomes the touch-on state when it is in the state of ③. ④, which has a higher pressing pressure than ③, has not yet exceeded Z depress , so it remains in the touch-on state. The process of ①-> ⑤ was the process of increasing the pressing pressure, but the process of ⑤-> ⑨ is the process of decreasing the pressure. This is because different conversion thresholds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sed state. That is, ② and ⑧ have the same pressing pressure, but ② represents the touch-off state and ⑧ represents the touch-on state. Similarly, ④ and ⑥ have the same pressing pressure, but ④ represents the touch-on state and ⑥ represents the depressed state. As a result, Z touch In the twenty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Z detouch and Z depress Z press - up can act as a buffer for stably maintaining the touch-on state and the depressed state, respectively. Configuration.

도 73은 일반적인 터치패드 혹은 터치스크린에서 버튼기능을 담당하는 탭핑, 더블 탭핑 과정을 도식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이들 터치패드 탭핑 및 더블 탭핑 동작은 기능버튼의 클릭과 더블클릭의 기능으로 이미 사용되고 있고, 그 원리는 터치온(Touch-on)과 터치오프(Touch-off)의 간격이 기준시간(△tinterval) 이하인 경우에 각각 탭핑 및 더블 탭핑으로 작동한다. 즉 도 73(I)과 (II)에서 터치온 간격(t2 - t1, t4-t3)과 터치오프간격(t3 - t2)이 기준시간(△tinterval)보다 작아서 탭핑과 더블탭핑에 해당하여 클릭과 더블 클릭의 기능을 담당하지만 드래그(Drag) 기능을 담당하기 위한 클릭-홀드(Click & Hold)는 도 73(III)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탭핑-터치(탭핑 & Touch, 이하 탭핑-터치를 one and half touch라고 명명한다)에 의해 구성된다. 하지만 기능버튼과 달리 터치패드만으로 드래그 기능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드래그 거리가 길어져서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이격되어 드래그 시작 방향으로 되돌아가 다시 드래그가 시작되어야 하는 과정에서 버튼다운(Button-down)에 해당하는 터치온 상태가 해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이 버튼다운 상태의 해제는 one and half 터치(탭핑 & Touch) 동작 이후에 발생되는 또 다른 탭핑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73(III)의 t4에 발생하는 터치오프는 버튼다운 상태를 해제시키지 않으며, t5와 t6 사이의 터치온상태는 기준시간(△tinterval)보다 크 기 때문에 탭핑으로 작동하지 않아서 버튼다운 상태가 지속 되며 t7에 발생하는 탭핑 동작에서야 버튼다운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7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apping and a double tapping process for a button function in a general touch pad or a touch screen. These touchpad tapping and double tapping operations are already used as the function of clicking and double-clicking the function button. The principle is that the interval between touch-on and touch-off is the reference time (Δt interval). If it is below), it works by tapping and double tapping respectively. That is, in FIGS. 73 (I) and (II), the touch-on intervals (t 2 -t 1 , t 4- t 3 ) and the touch-off intervals (t 3 -t 2 ) are smaller than the reference time (Δt interval ). Click-and-Hold for the function of clicking and double-clicking, but for the function of drag, corresponds to the double tapping, as shown in Fig. 73 (III). The tapping-touch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one and half touch). However, unlike a function button, in order to perform a drag function by using only the touch pad, the drag distance is long, and the finger is spaced from the touch pad, and the back of the drag is star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ouch-on state is released. A method for overcoming this is that the release of the buttondown state is performed by another tapping operation occurring after a one and half touch (tap & touch) operation. That is, the touch-off occurring at t 4 of FIG. 73 (III) does not release the button-down state, and the touch-on state between t 5 and t 6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time (Δt interval ), and thus does not operate by tapping. The button-down state continues and the button-down state is released only when the tapping action occurs at t 7 .

도 74는 터치패드의 기능버튼의 기능을 담당하는 스위치를 터치패드의 상부면에 부착하는 방법(도 39a)과 도선배열(도 39b) 및 터치패드를 눌러 주었을 때 스위치부가 눌려져서 스위치 회로의 단락이 이루어짐(도 39c)을 보여주고 있다. 7401과 7406은 도선을 절연시키기 고분자 필름으로 폴리에스터 필름과 같이 내구성과 유연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7402와 7403은 전기적으로 반대의 극성인 전극(각각 터치패드의 기능버튼 스위치에 연결되는 접지 전극과 일반적인 +5V 양극이 연결된다.)이 연결되는 도선으로 0.1~0.3mm의 두께로 7401 절연필름에 부착하여 터치패드 상부에 각각의 도선의 간격(

Figure 112009072652117-PAT00017
L2)이 4mm~6mm 이 되도록 배열하고 도선의 사이를 두께 1mm 내외의 폴리우레탄 폼 스폰지와 같은 탄성체를 배열하고 그 위에 또 다른 두께 0.05mm 이하의 연결 도선을 전극이 연결된 도선 7402, 7403에 직각 방향으로 배열하고 그 위에 또 다른 절연필름을 씌운다. 연결도선 7405는 외부 전극이 연결되어 있지 않고 단지 터치패드가 눌려졌을 때 전극이 연결된 전극 도선 7402와 7403을 단락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전극도선의 간격에 비해 연결 도선인 7405의 간격은 더 1mm 간격으로 하여도 무방하나 너무 촘촘할 경우 터치패드 전극과 손가락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를 손가락이 닿는 부분만이 아니라 터치패드 전체 영역에 분산시키는 부작용을 가져와서 터치패드의 포인팅기능을 마비 시킬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이상의 스위치 구조는 터치패드의 포인팅기능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터치패드가 눌려졌을 경우 기능버튼의 신호를 컴퓨터 입력 제어부에 전달하여 기능버튼의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74 illustrates a method of attaching a switch, which functions as a function button of a touch pad, to an upper surface of the touch pad (FIG. 39A), a wire arrangement (FIG. 39B), and a switch unit being pressed when the touch pad is pressed to short-circuit the switch circuit. This is done (FIG. 39C). 7401 and 7406 are polymer films that insulate conductors and preferably have durability and flexibility like polyester films. The 7402 and 7403 are electrically connected polarity electrodes (the grou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unction button switch of the touch pad and the general + 5V anode) are connected to the 7401 insulating film with a thickness of 0.1 ~ 0.3mm. Attach the gap between the conductors
Figure 112009072652117-PAT00017
L2) is 4mm ~ 6mm, and elastic body such as polyurethane foam sponge with thickness of about 1mm is arranged between conductors, and another connecting wire of 0.05mm or less in thickness is perpendicular to the conductors 7402 and 7403 connected with electrodes. And place another insulating film on it. The connecting lead 7405 is responsible for shorting the electrode leads 7402 and 7403 to which the electrodes are connected when the external electrode is not connected and the touch pad is pressed.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ng wires 7405, which is the connecting wire, may be 1 mm apart from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wires. However, if the distance is too tight, the capacitance between the touch pad electrode and the finger may be dispersed not only in the area where the finger touches but also in the entire area of the touch pad. Be careful because it can paralyze the pointing function of the touchpad. The above switch structure is to function as a function button by transmitting a signal of a function button to a computer input controller when the touch pad is pressed without disturbing the pointing function of the touch pad.

도 75는 일본어 입력 방법을 가로모드로 구현한 것을 보여주는 바, 그 입력 방법은 도 59에 보여지는 세로모드와 동일하다. 즉 기본적인 오십음도 자판배열은 3*3의 구조로서 '아'(あ)행부터 '라'(ら)행까지 배열되고 일반적인 키패드 핸드폰의 '0'에 해당하는 위치에 '와'(わ)행을 배열한다. 도 75a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오십음도의 대표 문자에 해당하는 터치패드의 위치를 손가락으로 접촉하게 되면 그 문자가 대표하는 오음문자가 좌우로 나열되며, 좌측으로부터 '아', '에', '이', '우', '오'의 음가 순이 되는데 손가락이 터치패드를 접촉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이들 오음 중에서 현재 위치한 문자가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떨어짐과 동시에 입력되는 것이다. 도 75aa는 손가락이 '아'(あ)행을 대표하는 키위치를 접촉하였다 떨어지는 경우 '이'(い)가 입력됨을 보여주고, 도 75aab는 손가락이 '아'(あ)행을 대표하는 키위치를 접촉한 후 우측으로 두 칸 더 이동하여 터치패드로부터 떨어질 경우 '에'(え)가 입력됨을 보여준다. 이러한 문자입력방식에 있어서 어려운 점은 처음 터치패드를 접촉하는 점이 원래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열이 아닌 경우이다. 즉 도 75aac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입력하려고 의도한 문자열은 '타'(た)행의 '티'(ち)인데 실제 선택한 행은 '아'(あ)행이 된 경우 의도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도 75aa에 설명된 입력 방식으로는 터치패드에서 손을 뗀 다음 입력된 문자를 취소하고 다시 '타'(た)행을 선택하여 원래 입력하고자 한 문자 '티'(ち)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으며, 도75aa-II의 가상키보드 상에 문자 지정이 되지 않 은 영역으로 손가락을 이동한 후 손을 터치패드로부터 이격하면 문자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취소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럼에도 이러한 방식은 키 선택의 잘못을 수정하기 위해 불필요한 손가락의 동작이 수반되어진다. 이를 수정하는 방안이 도 75aac에 기술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서 터치패드가 터치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도 75aac-II와 같이 '이'(い)가 선택된 상황에서 원래 의도한 '티'(ち)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손가락을 터치패드로부터 이격할 필요 없이 접촉된 상태에서 도 75aac-III과 같이 아래로 한 칸을 이동한 다음 터치패드를 눌러주어 (도 75aac-IV') '타'(た)행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손가락이 터치패드에 닿아 있는 상태에서 하나의 동작으로 입력하고자 의도한 문자의 선택이 이루어지게 되어 터치패드의 좁은 영역에 키가 지정되어 있어 잘못 선택된 키를 쉽게 수정하여용이하게 의도한 키를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수정방법은 기존의 누름기능이 없는 터치패드 혹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력 방법에서는 불가능한 것이어서 각 키에 할당되는 영역이 손가락이 쉽게 선택할 수 있을 만큼 커야 되는 단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터치패드 혹은 터치스크린의 크기가 작게 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누름기능의 터치패드는 상대적으로 적은 공간에 많은 키를 부여한다고 하여도 용이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하여 엄지 손가락의 움직일 수 있는 범위 안에 모든 문자를 배열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궁극적으로 휴대용 디지탈기기를 이용한 문자입력이 한 손 조작만으로 가능하게 하여주며, 그 언어보다도 문자입력이 어려운 일본어에서조차 용이한 문자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바 언어에 관계 없는 용이한 입력기를 제공한다. 도 75b~e는 가로모드에서의 일본어 자판 배열을 보여주고 있다. 도 75f는 도 75aac의 방법의 변형으로 단순한 접촉으로는 자판의 확대가 이루어지지 않고 터치패드가 누름상태가 될 경우에만 손가락이 눌러지는 위치에 해당하는 문자열이 확장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즉 손가락의 터치패드 접촉은 단순히 입력하고자하는 문자가 속해 있는 문자열을 선택하기 위한 과정이고 일단 원하는 문자열이 선택된 후에 터치패드를 눌러 주어 문자열 확장 명령이 실행되도록 하여 원하는 문자를 최종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이 역시 본 발명의 누름상태를 접촉상태와 구분할 수 있는 터치패드를 이용하여야 구현 가능한 방법으로 지금까지 터치패드로는 불가능하였던 기능의 실현으로 터치패드 디지탈기기를 위한 문자입력시스템의 완성인 것이다.FIG. 75 shows that the Japanese input method is implemented in the horizontal mode, and the input method is the same as the vertical mode shown in FIG. 59. In other words, the basic 50-degree keyboard layout is a 3 * 3 structure, arranged from 'a' (あ) to 'la' (ら) rows, and 'wa' (わ) row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0' of a general keypad mobile phone. Arrange As shown in FIG. 75Aa, when a finger touches a position of a touch pad corresponding to a representative character of fifty-five degrees, the vowel characters represented by the character are listed left and right, and the 'a', 'e', ' ',' 'Right' and 'o' are in order of order. As the finger moves left and right in contact with the touch pad, the character currently located among these five notes is inputted at the same time as the finger is separated from the touch pad. FIG. 75aa shows that the 'i' (い) is input when the finger touches the key position representing the 'a' (あ) row and falls. FIG. 75aab shows the key representing the 'a' (あ) row of the fingers. After contacting the location, move two spaces to the right to move away from the touchpad. The difficulty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is that the first point of contact with the touch pad is not a character string to be originally input. That is, as shown in FIG. 75aac, the string intended to be input is 'T' in the 'ta' (た) line, but the actual selected line is 'A' (あ) line. The input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5aa includes a method of releasing a character from the touch pad, then canceling the input character, and selecting a 'T' line again to input a letter 'T' (ち) originally intended for input. For example, if a user moves his or her finger away from the touch pad on the virtual keyboard of FIG. 75aa-II and the hand is spaced apart from the touch pad, character input is not made and there is no need to cancel. Nevertheless, this method involves unnecessary finger movements to correct the mistake of key selection. A method of correcting this is described in FIG. 75Aac, since the touchpad can distinguish a touch state from a pressed stat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n order to input the originally intended 'tee' in a situation where 'i' (い) is selected as shown in FIG. 75aac-II, the user does not need to separate the finger from the touch pad, as shown in FIG. 75aac-III. Move one cell and then press the touchpad (Fig. 75aac-IV ') to activate the' ta '(た) row. In this case, when the finger touches the touch pad, the character intended to be input is selected by a single action, and a key is assigned to a narrow area of the touch pad so that the wrongly selected key can be easily modified to easily It provides a way to choose. Such a modification method is impossible i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input method without a conventional pressing function, and thus has a disadvantage in that an area allocated to each key must be large enough for a finger to select. For this reason, the size of the touch pad or touch screen does not become small. Therefore, the touch pad of the push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 to easily input a letter even if a large number of keys are provided in a relatively small space, so that all the letters can be arranged within the movable range of the thumb. Ultimately, text input using a portable digital device is possible with only one hand operation, and an easy input method is provided even in Japanese, which is difficult to input text than the language. 75B-E show Japanese keyboard layout in landscape mode. 75F is a variation of the method of FIG. 75Aac, and the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finger is pressed is expand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nly when the touch pad is pressed while the keyboard is not expanded by simple contact. In other words, the touchpad touch of a finger is simply a process for selecting a character string to which a character to be input belongs, and once a desired character string is selected, the touchpad is pressed to execute a string extension command so that the character can be finally selected. to be. This is also the completion of the character input system for the touch pad digital device by realizing a function that has not been possible with the touch pad until now by using the touch pad that can distinguish the press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contact state.

도 76과 도 77은 본 발명의 구성 중에서 탄성체를 이용하여 터치패드가 제공하는 누름 압력값을 이분화하여 기능버튼의 기능을 대체하는 방법을 멀티터치 기능을 갖는 터치패드에 적용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76은 애플컴퓨터의 국제출원특허 WO 2005/114369A2에 명시한 정전용량방식의 멀티터치 기능의 터치패드의 표지 그림을 보여주고 있는데, 일반적인 터치패드와 달리 기능버튼을 이용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즉 한 점만을 감지하는 일반적인 터치패드의 경우 기능버튼의 기능은 터치패드가 감지한 하나의 접촉점에 대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하면 되지만 다중접촉의 경우 접촉된 다수의 접촉점 중에서 어는 점에 해당하는 명령을 실행하여야 할지 구분할 수가 없는 것이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탄성체를 이용한 누름 압력 이분 값은 기능버튼의 on/off의 정보뿐만이 아니라 압력의 변화가 일어난 지점 즉 접촉점 의 위치 정보도 제공하므로 다중접촉이 일어나더라도 그 중에서 누름압력값을 이분화하는 문턱값을 초과한 점에 해당하는 명령만을 실행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장점을 가져온다. 한 예로 도 77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키보드를 다중접촉 터치패드(7703)로 대체할 경우 화면(7701)상의 가상키보드(7702)와 터치패드의 키가 일대일 대응이 되도록 하고 가상키보드 상에서 접촉점(7704)과 누름점(7705 - 'g'에 해당)이 구분되어 표시되면 사용자가 일반적인 키보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편리성과 효율성을 가져오게 되는데 멀치터치가 가지는 유저인터페이스의 강점에 키보드를 대체할 수 있는 장점도 부과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탄성체를 이용한 누름 압력값의 이분화에 따른 접촉과 누름상태의 구분이 가져오는 효과를 보여주는 일 예로서 다중기능 터치패드의 기능버튼 기능을 담당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지금까지 다중접촉 터치패드의 경우 위와 같은 기능버튼의 제한적인 요소때문에 주로 명령실행을 기능버튼이 아닌 손가락의 움직임으로 구현하였는데 본 발명의 구성은 손가락의 기존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누름 동작에 의해서도 각각의 접촉점에 대한 명령 실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76 and 77 show an example of applying a method for substituting the function of the function button by dividing the pressing pressure value provided by the touch pad using the elastic bod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touch pad having a multi-touch function. have. FIG. 76 shows a cover picture of a capacitive multi-touch function described in Apple International Application WO 2005 / 114369A2, which has a problem in using a function button unlike a general touch pad. In other words, in case of general touchpad that detects only one point, the function button function can execute the command for one touch point detected by the touchpad, but in case of multi-contact, it executes the command corresponding to one of a plurality of touched points. I can't tell what to do. On the contrary, since the pressurized pressure dividing value using the elastic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not only information on / off of the function button but also information on the position where the change of pressure occurs, that is, the position of the contact point, the pressurized pressure value is divided among them even if multiple contact occurs. This brings the advantage of allowing only the instruction that corresponds to the point that exceeds the threshold to be executed.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77, when the keyboard is replaced with the multi-touch touch pad 7703, the virtual keyboard 7702 on the screen 7701 and the keys of the touch pad correspond to one-to-one correspondence, and a touch point 7704 on the virtual keyboard is provided. When the display is separated from the pressing point (equivalent to 7705-'g'), it brings convenience and efficiency to the user using a general keyboard, and also has the advantage of replacing the keyboard with the strength of the user interface of multi-touch. Is charged. This shows that the function of the function button of the multi-function touch pad is shown as an example showing the effect of the separation of the contact state and the pressing state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the pressing pressure value using the elastic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n the case of the multi-touch touch pad, the command execution is mainly implemented by the movement of the finger instead of the function button because of the limited elements of the function buttons as described above. It provides a way for command execution to the contact point to be made.

도 78a는 미국특허 7151528에 설명된 터치패드 몸체(7826)와 키패드 몸체(7822)가 결합된 형태(7818)로 숫자와 문자는 키패드에 의해 입력되고 포인팅 작업은 터치패드에 의해 수행된다. 그 작동원리는 키패드 몸체(7822)의 키(7820)의 하부면 중앙에 누름기둥(7824)이 있어서 이것이 터치패드(7826)의 구멍(7828)을 관통하여 돔스위치뭉치(7836)의 스위치(7832)에 닿아 손가락으로 키(7820)를 누를 경우 스위치(7832)를 on/off 시키게 된다. 도면에서 7834는 LED로서 야간에 키를 조 명하는 역할을 하며 7840은 터치패드와 돔스위치 사이의 간격으로 돔스위치의 on/off를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터치패드에도 본 발명의 구성이 될 수 있는 바, 각각의 키(7820)의 중심을 이에 해당하는 가상키보드 상의 키의 중심과 일치시키고 문자입력 방법을 가상키보드에 의해 실행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키(7820)를 손가락이 접촉하고 떨어질 경우는 가상키보드에 지정된 다수의 문자 중에서 첫 번째 문자가 입력되고, 키가 한 번 눌려진 후에 손가락이 키로부터 떨어지면 키에 지정된 두 번째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만약에 세 개의 문자가 하나의 키에 지정되어 있으면 키를 누르지 않은 경우, 한 번 누르는 경우, 연속해서 두 번 누르고 손가락이 키로부터 떨어질 때 키에 지정된 문자 중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문자가 각각의 경우에 입력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즉 터치패드영역 전체가 스위치 기능을 담당하지 않고 도 78에 보여지는 것처럼 지정된 영역에 국한된 스위치를 이용하여도 본 발명의 구성을 실현 할 수 있다. 다만 도 78a의 경우 기계적인 키를 가지므로 이웃한 키를 동시에 누르지 않을 정도로 키와 키 사이의 이격 거리가 충분해야 하므로 동일한 터치패드 면적에 배열할 수 있는 키의 갯수가 적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인 탄성체를 이용한 누름상태와 터치상태를 구분하는 방법을 적용한 것이 도 78b~도 78g이다. 지금까지의 구성과 다른 점은 탄성체에 구멍을 만들거나, 탄성체 대신에 공기층만을 이용하여 빛의 경로를 차단하지 않으므로서 핸드폰 몸체에 내장된 LED와 같은 발광원을 이용하여 손가락 접촉면에 대한 조명이 가능하며, 가상키보드 상에서 포인터의 역할을 이러한 조명이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78A illustrates a combination 7781 of a touch pad body 7826 and a keypad body 7822 described in US Pat. No. 7,151,528, in which numbers and letters are input by a keypad, and a point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a touch pad. The principle of operation is a push column 7824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key 7820 of the keypad body 7822, which penetrates through the holes 7828 of the touch pad 7826, and switches 7832 of the dome switch bundle 7836. ) And press the key 7820 with the finger to turn on / off the switch (7832). In the figure, the 7834 is an LED to illuminate the key at night, and the 7840 facilitates the on / off of the dome switch by the distance between the touch pad and the dome switch. A touch pad having such a structure may be a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enter of each key 7820 is matched with the center of a key on the corresponding virtual keyboard and a character input method is executed by the virtual keyboard. . For example, when a finger touches the key 7820 and falls, the first character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assigned to the virtual keyboard is input.If the finger is released from the key after the key is pressed once, the second character assigned to the key is input. If three letters are assigned to a key, if no key is pressed, if you press once, press twice in succession,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of the letters assigned to the key The first character is entered in each case. That i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even if the entire touch pad area does not play a switch function and a switch limited to a designated area is shown as shown in FIG. However, in the case of FIG. 78A, sinc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key and the key should be sufficient so as not to simultaneously press the neighboring keys, the number of keys that can be arranged in the same touch pad area is reduced. 78b to 78g apply a method for distinguishing a pressed state and a touch state using an elastic body, which is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thod for overcoming these disadvantages. Unlike the previou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illuminate the finger contact surface by using a light emitting source such as an LED built into the body of a mobile phone without making holes in the elastic body or blocking the light path using only the air layer instead of the elastic body. It also provides a way for these lights to replace the role of a pointer on a virtual keyboard.

도 79는 도 53에서 설명된 입력 방식에서 각 키에 지정된 문자를 확장하는 방법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즉 도 53은 가상키에 지정된 문자를 좌우 혹은 상하로 일 열로 배열하는 경우이고 도 79의 경우는 좌우 대칭의 형태를 갖는 경우로 다수의 문자를 지정된 키의 주변에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배열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도 79A는 이미 도 66에서 설명한 경우로 각 키에 2개의 문자만이 지정된 경우이고, 도 79B는 각 키에 3개의 문자가 지정된 경우로서 도 79B-I는 지정 키의 위치보다 위 쪽으로는 두 번째 문자를, 지정 키의 위치보다 아래 쪽으로는 세 번째 문자를 배열하는 방법이며 도 79B-II는 지정키의 좌우로 두 번째 문자를, 아래 쪽으로는 세 번째 문자를 배열하는 방법이다. 마찬가지로 도 79의 C, D, E는 각 키에 4개, 5개, 6개의 문자가 지정된 경우에 좌우 대칭의 형태로 문자를 배열하는 방법을 보여 주고 있다. 6개의 문자가 지정된 경우는 단지 하나의 배열이 가능하지만, 4개와 5개의 문자가 각 키에 지정되는 경우는 도 79C-II, 도 79D-II에 보여지는 방법과 같은 배열도 가능하다.FIG. 79 illustrates a change of a method of expanding a character assigned to each key in the input method described in FIG. 53. That is, FIG. 53 illustrates a case in which characters assigned to a virtual key are arranged in a row from side to side or up and down, and FIG. 79 has a form of left and right symmetry. Shows. FIG. 79A shows the case where only two characters are assigned to each key as described in FIG. 66, and FIG. 79B shows the case where three characters are assigned to each key. Characters are arranged in a third character below the position of the designated key, and FIGS. 79B-II illustrate a method of arranging a second charact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designated key and a third character in the bottom. Similarly, C, D, and E of FIG. 79 show a method of arranging characters in left and right symmetry when four, five, and six characters are designated for each key. If six characters are specified, only one arrangement is possible. However, if four and five characters are assigned to each key, the arrangement as shown in Figs. 79C-II and 79D-II is possible.

도 80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키에 5개의 문자가 지정되어 있는 일본어 문자 입력 방식을 위해 이들 다수의 문자를 배열하는 방법으로 도 79D의 배열을 적용한 것이며, 이 중 도 79D-I를 적용한 예가 도 80A이며 도 79D-II를 적용한 예가 도 80A'이다. 도 80A의 I, II, III은 T9의 형태를 갖는 가상키패드 상에서 키가 좌측('た(ta)')과 우측('は(ha)')에 위치할 경우 문자의 배열이 각각 우측 및 좌측 반 쪽만이 배열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80B, B', C 및 C'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터치패드의 누름상태를 이용하여 하나의 키에 추가적인 문자를 배열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단순 터치 상태에서는 제1 그룹의 문자들을 확장 배열하여 보여주고, 누름 상태에서는 제2 그룹의 문자들을 확장 배열하여 보여 줄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누름상태를 반복하는 횟 수에 따라 제3, 4... 그룹 문자를 확장할 수 도 있으며 도 80C가 제 3그룹의 문자를 확장 배열하여 보여 주고 있다. 즉 일본어 문자의 경우 'た(ta)'가 지정된 키에 해당하는 터치패드 영역을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의 제1 그룹의 문자들(たちつてと, はひふへほ)이 도 80A 혹은 도 80A'와 같이 배열되어 보여 지며, 이 영역을 한 번 눌러주어 누름 상태에 이르렀다가 다시 터치 상태로 돌아오면 제2 그룹의 문자들(だぢづでど, ばびぶべぼ)이 도 80B(도 80A에 해당)와 80B'(도 80A'에 해당)와 같이 확장 배열되어 보여져서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다시 한 번 눌러 주면 제3 그룹의 문자들(っ, ぱぴぷぺぽ)이 도 80C(도 80A에 해당) 혹은 80C'(도 80A'에 해당되며 다만 ''의 경우 제3 그룹에 속하는 문자가 'っ(romaji 표기방식으로 'ltu'에 해당)' 하나 뿐이므로 C와 C'의 구분이 무의미함)와 같이 확장 배열되어 보여져서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정리하면 일본어 문자의 제1 그룹은 모음을 포함하는 청음을 말하며, 제2 그룹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문자는 "(double quoation mark)가 붙는 탁음 문자를 말하고, 모음의 경우는 작은 글씨로 쓰이는 문자(ぁぃぅぇぉ)를 말한다. 제3 그룹은 반탁음 즉 영어의 'p' 발음에 해당하는 문자와 촉음 문자 'っ'가 해당된다. 특히 모음의 경우 누름상태에서 작음 모음을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누름상태와 터치상태를 구분하는 터치패드 입력장치의 경우 굳이 로마자 'L'을 이용하지 않고도 일본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촉음 'っ'의 경 우 로마자 입력방식에서는 'L'+'T'+'U'를 입력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T'(터치상태의 'T')+'u(ぅ)'(누름상태의 모음 'U'을 의미하며 터치상태의 'U'는 'う'를 의미)로도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작은 문자 'ゅ'를 입력하는 방법은 'Y'(터치상태의 'Y' - 'N, M, Y, R'의 경우 누름상태에 문자 변경이 없다. )+'u(ぅ)'(누름상태의 모음 'U'을 의미하며 터치상태의 'U'는 'う'를 의미)를 입력하면 된다. 이러한 예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누름상태와 터치상태를 구분하는 터치패드 입력장치의 경우 확장되는 문자의 경우의 수가 터치패드의 누름 기능을 통해 배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일본어와 같이 유사한 속성을 갖는 문자의 경우 이들 유사한 문자들을 하나의 키에 지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 75의 문자 확장배열 방법에 비해 도 80의 문자 배열이 갖는 장점은 도 75에 비해 지정 키를 눌러주어야 하는 추가적인 동작이 필요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손가락의 움직임이 지정 키의 주변 키로의 이동으로 한정되어 입력의 정확성 및 편리성이 더해진다는 것이다. 중국어의 경우는 영어와 동일하게 하나의 키에 두 개의 문자가 지정된 경우 지정된 터치패드 영역을 터치한 후에 손가락이 떨어지면 첫 번째 문자가 입력되고 지정된 영역을 한 번 눌러 준 후에 손가락이 떨어지면 두 번째 문자가 입력되는 방법이다. 다만 모음의 경우 각 키에 하나의 문자만을 배열하여 반복되는 모음의 입력을 용이하게 한 점이며 자음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키에 두 개의 모음을 지정하여 공간을 축소할 수도 있다.FIG. 80 illustrates the arrangement of FIG. 79D as a method of arranging a plurality of characters for a Japanese character input method in which five characters are designated in one key. Among them, FIG. 80A is an example in which FIG. 79D-I is applied. An example of applying FIG. 79D-II is FIG. 80A '. In FIG. 80A, I, II, and III show the arrangement of characters on the virtual keypad having the form of T9 when the keys are located at the left ('た (ta)') and the right ('は (ha)'), respectively. Only half shows the arrangement, and Figs. 80B, B ', C and C' show that additional characters can be arranged in one key by using the pressed state of the touchpad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imple touch state, the characters of the first group may be expanded and displayed, and in the pressed state, the characters of the second group may be expanded and displayed. Furthermore, the third, fourth, ... group characters may be expan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ing state is repeated, and FIG. 80C shows the third group of characters arranged and expanded. That is, in the case of Japanese characters, when a finger touches a touch pad area corresponding to a key designated by 'た (ta)', the first group of characters of the character (た ち つ て と, は ひ ふ へ ほ) is shown in FIG. 80A or 80A ' When this area is pressed once to reach the touch state and then returns to the touch state, the second group of characters (だ ぢ づ で ど, ば び ぶ べ ぼ) are shown in FIGS. 80B (corresponding to FIG. 80A) and 80B. (It corresponds to Fig. 80A), it is expanded and shown to be able to select and input. When pressed again in this state, the third group of characters (っ, ぱ ぴ ぷ ぺ ぽ) is shown in Fig. 80C (Fig. 80A). Or 80C '(Fig. 80A), but in case of' ', only one character belonging to the third group is' っ (corresponding to 'ltu' in romaji notation) '', so the distinction between C and C is meaningless. It will be shown as an extended array so that you can select it and enter it. In summary, the first group of Japanese characters refers to the hearing containing the vowels, and the second group refers to the sound of the consonants beginning with "(double quoation mark), and in the case of vowels the letters written in small letters ( (3) The third group includes semitones, ie the letters 'p' in English and the tactile letter 'っ', especially in the case of vowels. Therefore, the touch pad input device that distinguishes the pressed state from the touch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put Japanese characters without using the Roman letter 'L'. L '+' T '+' U 'should be input,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 '(' T 'of touch state) +' u (ぅ) '(press' vowel' U 'state and touch' U 'can also be implemented using the small character'. ' Input method is 'Y' (Touch status 'Y'-'N, M, Y, R' does not change the character in the pressed state.) + 'U (ぅ)' (Pressed vowel 'U' And “U” in the touch state means “う.” As shown in the example, in the case of the touchpad input device that distinguishes the pressed state from the touch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characters that are expanded It can be doubled through the touch function of the touch pad, and especially in the case of characters having similar attributes, such as Japanese, these similar characters can be assigned to a single key. An advantage of the character arrangement is that an additional action of pressing the designated key is required compared to FIG. 75, but nevertheless,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limited to the movement of the designated key to the peripheral key, thereby increasing the accuracy and convenience of the input. Chinese If two letters are assigned to one key, the first letter is entered after touching the specified touchpad area, and the second letter is entered when the finger is dropped after touching the designated area once. It is a way. However, in the case of vowels, it is easy to input repeated vowels by arranging only one character in each key. Like consonants, two vowels can be assigned to one key to reduce the space.

도 81a는 도 67의 내용을 5(줄)*5(열)(엄밀한 의미에서 문자가 지정된 배열은 3(줄)*5(열) 형태)의 가상키보드형태에 적용한 것이며 도 81a1, a2, a3, a4는 각각 영어, 일본어, 중국어 및 힌두어 가상키보드 배열을 보여주고 있다. 영어의 경우 'ab'가 지정된 키의 경우 이 키에 해당하는 터치패드 영역을 손가락으로 터치만하고 떨어지면 'a'가 입력되고, 이 영역을 눌러주어 누름상태에 도달한 후에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이격하면 'b'가 입력되는 것으로 이미 도 6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만, 영어와 달리 일본어, 중국어 및 힌두어는 가상키보드의 하나의 줄에 모음 문자만이 배열 된 것이 특징이며 이는 특히 일본어, 중국어, 모두 로마자로 입력하는 경우 초성, 중성, 종성의 배열이 확연히 구별되어 중성에 해당하는 모음을 분리하여 배열함이 문자입력 편리성을 배가시키는 장점을 가져온다. 힌두어의 경우도 모음을 분리함으로써 문자입력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게하여 준다. 한글의 경우도 마찬가지여서 모음을 가운데 줄에 모아 놓은 것이 도 82에 별도로 보여지고 있다. 중국어의 경우는 영어와 유사하게 모음을 제외한 자음을 알파벳 순서로 하나의 키에 두 개의 문자를 자동적으로 배열한 형태인 반면 일본어는 알파벳을 일본어의 자판 순서인 K(か), S(さ), T(た), H(は), N(な), M(ま), Y(や), R(ら)의 순으로 배열되며 일본어를 로마자 형식으로 입력하는데 필요한 별개의 알파벳 L과 W를 네 번째 줄에 좌우 끝에 배열하였다. 일본어의 탁음에 해당하는 문자는 해당되는 문자가 지정된 키 영역을 눌러주어 누름상태에 이른 다음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떨어지면 입력된다. 즉 'K'에 해당하는 터치패드의 영역을 단순히 터치만하고 손가락이 떨어지면 'K'가 입력되고 한 번 눌러주어 누름상태에 이른다음 이격하면 탁음인 'G'가 입력되는 것이다. 다만 H(は)의 경우 반탁음인 'P'를 포함하고 있어서 두 번 누른 후에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떨어지면 'P'가 입력되고 이어서 모 음이 입력되면 일본어 문자가 입력되는 것이다. 힌두어의 경우는 자음의 배열을 발음 구조에 근거한 것으로 연구개 폐쇄음 그룹에 해당하는 문자

Figure 112009072652117-PAT00018
(K, KH, G, GH, NG의 발음에 해당), 경구개 파찰음 그룹에 해당하는 문자
Figure 112009072652117-PAT00019
(CH, J, JH, NY의 발음에 해당), 젖혀진 혀 폐쇄음 그룹에 해당하는 문자
Figure 112009072652117-PAT00020
(TT, TTH, DD, DDH, NN의 발음에 해당), 치이 폐쇄음 그룹에 해당하는 문자
Figure 112009072652117-PAT00021
(T, TH, D, DH, N의 발음에 해당)와 양순 폐쇄음 그룹에 해당하는 문자
Figure 112009072652117-PAT00022
(P, PH, B, BH, M의 발음에 해당)을 모음 배열 아래에 배치하는데 하나의 키에 5개의 문자가 지정됨으로 해서 도 67의 방법으로 입력하기에는 불가능하므로 도 75의 방법을 적용한다. 이렇게 적용된 힌두어 입력 방법의 경우 전체적인 힌두어 문자 배열이 도 81a4와 도 81a5에 각각 모음 배열이 첫 번째 줄과 두 번째 줄에 배치된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며, 각 문자의 입력 예가 각각 도 81b1~4에 보여지고 있으며 이들 각각의 문자의 입력 예는 도 81a4의 힌두문자 배열에 따른 예이이며, 도 81a5는 모음을 중간 줄에 배치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도 81b1과 도 81b2는 모음의 경우를 특히 "우(U)" 발음에 해당하는
Figure 112009072652117-PAT00023
(각각 단 모음 U와 장모음 UU에 해당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인데 우 선 해당 키에 해당하는 영역을 터치하면 단모음 'U'에 해당하는 문자가 도 81b1과 같이 나타나는데 힌두어의 경우 기본형과 축약형이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자음과 결합하는 축약형의 형태가 해당 키의 위치에 배열되고 단독으로 쓰이는 기본형은 아래쪽으로 손가락이 이동하여 선택한 후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이격 될 때 입력되는 방법이다. 따라서 대개의 경우 자음과 결합되는 축약형의 경우에 손가락이 해당 키 영역을 터치한 후에 이격하면 입력되도록 한 배열이다. 그리고 장음 'UU'의 경우는 해당 키 영역을 눌러 줄 경우 기본형과 축약형이 도 81b1과 같이 화면에 보여지며 단음 'U'와 마찬가지로 축약형은 손가락이 눌려진 위치에서 그대로 이격되면 장음 'UU'가 입력되고 손가락이 아래 쪽으로 이동하여 기본형을 선택한 후에 이격하면 기본형이 입력되는 방법이다. 결과적으로 힌두어 모음의 경우 축약형과 기본형의 경우는 터치 혹은 한 번의 누름 동작에 입력되거나 혹은 터치 및 누름 동작에 이어지는 슬라이드 동작으로 입력되도록 한 것이지만 도 81b에 보여지는 모음 입력의 경우와 달리 축약형과 기본형의 순서가 바뀔 수도 있다. 자음의 경우 동일한 방법으로 하나의 그룹에 속한 5개의 문자를 입력되도록 한 방법이 발음 'K'가 속한 자음 그룹을 예를 들어 도 81b3~4에 보여지고 있다. 손가락이 해당 키 영역을 터치하면 이 그룹에 속한 'K', 'KH'에 해당하는 두 개의 문자와 이들 문자의 반자음 형태의 문자를 각각의 좌, 우 및 아래쪽에 배치하고 위쪽으로는 각 그룹의 콧소리 자음에 해당하는 비음 문자를 위쪽에 배치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방법이다. 그리고 해당 키 영역을 눌러주면 각 그룹의 나머지 두 개의 문자의 배열이 나타나서 선택하여 입력 되도록 한다. 즉 'K' 발음이 속한 문자 그룹의 경우 누름상태에 서는 'G'와 'GH'에 해당하는 문자 및 그의 반자음이,
Figure 112009072652117-PAT00024
가상키보드에 나타나서 선택 입력되도록 한다. 입력 방법은 도 75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들 자음, 모음 외에 비모음, 비자음 기호 등 특수 문자는 도 81a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세 번째 줄에 단독 혹은 복수의 문자가 각 키 영역에 지정될 수 있으며 그 입력 방법은 지정된 문자의 개수에 따라 기본적인 자음, 모음의 입력 방법과 동일한 방법이 적용 될 수 있다.FIG. 81A applies the contents of FIG. 67 to a virtual keyboard form of 5 (line) * 5 (column) (in the strict sense, an array in which characters are designated 3 (line) * 5 (column) form) and FIG. 81A1, a2, and a3. , a4 shows the virtual keyboard layouts in English, Japanese, Chinese, and Hindi, respectively. In the case of English, 'ab' is assigned, 'a' is input when the finger touches the touch pad area corresponding to the key and falls away.Then press this area to reach the pressed state, and then move the finger away from the touch pad. 'B' is inputt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67. However, unlike English, Japanese, Chinese, and Hindi are characterized by a single vowel character arranged on one line of the virtual keyboard. Especially, when entering Japanese, Chinese, and Roman characters, the arrangement of initial, neutral, and final is clearly distinguished. Arrangement by separating the vowels corresponding to the neutral brings the advantage of double the convenience of character input. In the case of Hindi, vowels are also separated to facilitate the convenience of character input. The same is true for Hangul, so the collection of vowels in the middle is shown separately in FIG. In Chinese, similarly to English, two letters are automatically arranged on one key in alphabetical order except for vowels, while in Japanese, the alphabets are K (K), S (さ), T (た), H (は), N (な), M (ま), Y (や), and R (ら), arranged in the order of four separate alphabets, L and W, required to enter Japanese in Roman form.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rst line are arranged. Characters corresponding to Japanese sound are input by pressing the key area where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s assigned, and then pressing the finger away from the touch pad. In other words, simply touch the area of the touch pad corresponding to 'K' and 'K' is input when the finger is dropped, and press once to reach the pressing state, and then enter 'T' when the sound is separated. However, in case of H (Ha), it contains 'P', which is a halftone sound, so if the finger is separated from the touch pad after pressing twice, 'P' is input followed by Japanese characters. In Hindi, the arrangement of consonants is based on the phonetic structure and corresponds to the group of closed closed sounds.
Figure 112009072652117-PAT00018
(Corresponds to the pronunciation of K, KH, G, GH, and NG)
Figure 112009072652117-PAT00019
(Corresponding to the pronunciation of CH, J, JH, NY)
Figure 112009072652117-PAT00020
(Corresponds to the pronunciation of TT, TTH, DD, DDH, NN)
Figure 112009072652117-PAT00021
(Corresponds to the pronunciation of T, TH, D, DH, and N) and the letter of the closed-sound closed group
Figure 112009072652117-PAT00022
(Corresponding to the pronunciation of P, PH, B, BH, M) is placed below the vowel arrangement, and since five characters are assigned to one key, it is impossible to input the method in FIG. 67. Therefore, the method of FIG. 75 is applied. In this Hindi input method, the entire Hindi character array is shown in FIGS. 81A4 and 81A5, where the vowel arrays are arranged on the first and second lines, respectively. Examples of input of each character are shown in FIGS. 81B1 to 4, respectively. An example of inputting each of these characters is based on the Hindu character arrangement of FIG. 81A4. FIG. 81A5 illustrates another method of arranging a vowel in a middle line. 81B1 and 81B2 correspond to the case of vowels, in particular, the pronunciation of “u”.
Figure 112009072652117-PAT00023
(Th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short vowel U and the long vowel UU, respectively) .However, if you touch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key, the short vowel 'U' appears as shown in Fig. 81B1. In general, the condensed form combined with the consonant is arranged at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key, and the basic form used alone is a method that is input when the finger is moved away from the touch pad after the finger is selected to move downward.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abbreviation type that is combined with the consonant in general, the arrangement is such that when the finger touches the corresponding key area and is spaced apart, the input is performed. In case of long sound 'UU', the basic type and abbreviation type are shown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81B1 when pressing the corresponding key area.Like the short sound 'U', short form 'UU' is displayed when it is separated from the pressed position. When the input is input and the finger moves downward to select the basic type and then spaced apart, the basic type is input. 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Hindi vowel, the abbreviated form and the basic form are inputted by touch or one push action or by a slide action following the touch and press action, but unlike the vowel input shown in FIG. The order of the base types may change. In the case of consonants, a method of inputting five characters belonging to one group by the same method is illustrated in FIGS. 81B3 to 4 through the consonant group to which the pronunciation 'K' belongs. When the finger touches the corresponding key area, two letters corresponding to 'K' and 'KH' belonging to this group, and the letters of the semi-consonant type of these letters are placed on the left, right and bottom respectively, and each group upwards. This is a way to select a non-negative character that corresponds to the nasal consonants of the top. If you press the corresponding key area, the remaining two letters of each group will appear and be selected. That is, in the case of the letter group belonging to the pronunciation of 'K', the letter corresponding to the letter 'G' and 'GH' and its half consonant in the pressed state,
Figure 112009072652117-PAT00024
Appears on the virtual keyboard for selection input. The input method is the same as the case of FIG. In addition to these consonants and vowels, special characters such as non-vowels and non-vowels can be assigned to each key area on the third line as shown in FIG. 81A4. The same method as the basic consonant and vowel input method can be applied.

도 82a는 도 81에 보여지는 가상키보드형태를 한국어에 적용한 것이다. 'ㄱㅋ'의 경우 지정된 터치패드 영역을 터치한 후에 손가락이 떨어지면 'ㄱ'이 입력되고 지정된 영역을 한 번 눌러 준 후에 손가락이 떨어지면 'ㅋ'이 입력되는 방법이다. 모음의 경우 'ㅏ'는 지정된 터치패드 영역을 터치한 후에 손가락이 떨어지면 'ㅏ'가 입력되고 지정된 영역을 한 번 눌러 준 후에 손가락이 떨어지면 'ㅑ'가 입력되는 방법이다. 'ㅓ', 'ㅗ', 'ㅜ', 'ㅡ'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일본어, 중국어와 마찬가지로 한국어도 초성, 중성, 종성의 구분을 가짐으로 모음을 가운데 줄에 배열함으로서 문자입력의 편리성을 배가시키는 장점을 가져오며 특히 한글 키보드 상의 shift 키를 눌러주어야 입력할 수 있는 문자들을 본 발명의 터치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할 수 있는 터치패드의 경우 shift 키를 사용하지 않고 지정된 키 영역을 눌러줌으로써 이들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ㄲ'의 경우 한글 키보드의 경우 shift+'ㄱ'을 동시에 눌러주어야만 입력이 되지만 도 82a의 한글 가상키보드에서는 'ㄱ'이 지정된 터치패드 영역을 두 번 눌러주면 ' ㄲ'이 입력되는 것이다. 즉 'shift'키가 별도로 있다고 할 경우 'shift'키를 눌러주거나 터치한 후에 원하는 문자를 터치(혹은 눌러주는) 동작이 더 이상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며 쌍자음의 의미와 두 번 눌러준다는 관련성이 사용자가 쉽게 익숙해 질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장점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82a의 특징 중의 하나는 ㅔ, ㅐ, ㅖ, ㅒ의 모음의 경우 한글 키보드와 달리 'ㅓ+ㅣ', 'ㅏ+ㅣ', 'ㅕ+ㅣ', 'ㅑ+ㅣ'로 구현되도록 하였다. 이는 ㅖ, ㅒ는 한글 키보드에서 'shift'키를 사용하여 입력되기에 'shift'키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대신 직관적으로 'ㅣ'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만 ㅔ, ㅐ는 한글 키보드와 달리 'ㅓ+ㅣ', 'ㅏ+ㅣ'의 조합으로 입력되도록 하였는데 이는 'ㅏ'와 'ㅓ'가 지정된 키 영역을 반복적으로 누름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FIG. 82A applies the virtual keyboard form shown in FIG. 81 to Korean. In the case of 'ㄱㅋ', when the finger is dropped after touching the designated touch pad area, 'ㄱ' is inputted, and when the finger is dropped after pressing the designated area once, 'ㅋ' is inputted. In the case of a vowel, 'ㅏ' is a method of inputting 'ㅏ' when a finger is dropped after touching a designated touch pad area, and 'ㅑ' when a finger is dropped after pressing a designated area once. The same is true of 'ㅓ', 'ㅗ', 'TT', and 'ㅡ'. And similar to Japanese and Chinese, Korean has the distinction of primary, neutral, and final, which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character input by arranging vowels in the middle line, especially when you press the shift key on the Korean keyboard. In the case of a touchpad capable of distinguishing the touch state from the touch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inputting these characters by pressing a designated key region without using a shift key. For example, in the case of 'ㄲ', the input is required only when the keyboard is pressed simultaneously with shift + 'ㄱ', but in the Korean virtual keyboard of FIG. 82a, '면' is input by pressing the touch pad area in which 'ㄱ' is designated twice. . In other words, if there is a separate 'shift' key,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touch (or press) a desired character after pressing or touching the 'shift' key. It also provides advantages that make it easy to get used to. One of the features of FIG. 82A is that the vowels of ㅔ, ㅐ, ㅖ, ㅒ are implemented as 'ㅓ + ㅣ', 'ㅏ + ㅣ', 'ㅕ + ㅣ', 'ㅑ + ㅣ' unlike the Korean keyboard. . This means that ㅖ and ㅒ are entered using the 'shift' key on the Korean keyboard, so that the 'shift' key is not used. However, unlike the Korean keyboard, ㅔ and ㅐ are inputted as a combination of 'ㅓ + ㅣ' and 'ㅏ + ㅣ', which can be implement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key area where 'ㅏ' and 'ㅓ' are assigned.

도 82b는 일본어의 모음입력을 완성형과 받침형의 형태로 분리한 자판을 보여주고 있다. 원래 일본어는 하나의 문자가 자음과 모음이 합해진 형태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받침형태의 모음을 표현할 수 없어서 영문자 i, u, e, o를 이용하였다. 다만 받침형 a가 없는 이유는 일본어 각 문자가 이미 a의 음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か(ka)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어지는 받침형 모음이 없는 경우 그대로 'か'가 입력되고, 받침형 모음이 입력되면 다음과 같이 'k'의 음가를 가지는 문자가 입력되게 되는 것이다.Fig. 82B shows a keyboard that separates Japanese vowel input into a completed type and a stand type. Originally Japanese cannot represent the vowels of the consonant type because the letter represents the consonant and the vowel, so the letters i, u, e and o are used. However, the reason there is no stand a is because each Japanese character already has a phonetic value of a. When the vowel is input, the character with the phonetic value of 'k' is input as follows.

'か' +'i' -> 'き', 'か' + 'i'-> 'き',

'か' +'u' -> 'く', 'か' + 'u'-> 'く',

'か' +'e' -> 'け', 'か' + 'e'-> 'け',

'か' +'o' -> 'こ', 'か' + 'o'-> 'こ',

이와 같이 일본어의 경우도 한글과 동일하게 모든 음절을 '자음'+'모음'의 형태로 입력할 수 있게 되어 키보드를 이용한 입력방법과 동일하게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82b에 보여지는 자판은 받침형 모음과 완성형 모음을 구분하여 받침형 모음은 받침으로만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우측에 보이는 받침형 모음 'i, u, e, o'에 대칭되어 좌측에 'い, う, え, お'가 배열되어 있다. 즉 'かい'를 입력하여야 할 경우 받침형 모음만 있다면 'か' +'i'의 입력으로는 'かい'를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받침형 모음 'i'를 입력하기 전에 'i'가 완성형 모음인 'い'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입력이 이를테면 일반적인 키패드 핸드폰의 '*', '#' 와 같은 특수키의 입력 등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완성형 모음이 있는 경우 이들 완성형 모음을 입력하면 된다. 즉 'かい'의 경우와 'き'의 경우가 용이하게 구별되어 사용자는 모음의 받침형과 완성형의 구분을 위한 추가적인 기능키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져서 키보드를 사용한 문자입력 방법과 유사한 편리성이 가능해진다. 도 82b의 자판의 경우 기존의 T9 키패드와 동일한 자판배열을 가지므로 사용자가 굳이 새로운 자판을 숙지할 필요가 없으며 단지 좌우측 열의 모음 배열만 익히면 손쉽게 일본어 문자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좌측의 완성형과 우측의 받침형 모음배열은 서로 바뀔 수 있다. 그리고 각 자음의 음가(예를 들면 k -> g, s -> z, t -> d, h -> b -> p)를 변화시키는 방법은 도 81a2의 설명 내용과 같다. 다만 모음의 변화 및 자음의 변화를 가져오는 'L'과 'W'의 기능은 이들 문자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자음 및 모음에 해당하는 영역을 여러번 눌러 주어 구현할 수 있다. 도 81a2의 자판에 보여지는 문자 'L'의 기능을 도 82b의 자판에 구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일반 컴퓨터의 키보드의 로마자(Romanji)입력방식에서 'あ(일반 모음)'와 'ぁ(아래위치)'의 입력은 각각 'A'와 'L'+'A'의 입력으로 구현되지만 본 발명의 도 82b의 자판구조에서는 완성형 모음 'あ'에 해당하는 키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이 이격하거나('あ'를 입력 - primary character) 터치패드를 누름상태에서 손가락 이격되어짐('ぁ'를 입력 - secondary character)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도 81a2의 자판상의 문자 'W"의 경우 해당되는 경우는 'wa(わ)'와 'wo(を)'의 경우인데 이는 도 82b의 'わを'키를 터치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이 이격하거나('わ'를 입력 - 기준문자) 터치패드를 누름상태에서 손가락 이격되어짐('を'를 입력 - 비기준문자)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도 82b의 자판구조에서 기존의 T9의 그것과 다른 점 중에 하나는 일반적으로 일본어 키패드 자판은 わをん을 동일한 키에 배정하여 한 번 누르면 ''을, 두 번 누르면 ''을 세번 누르면 'ん'이 입력되도록 하지만, 도 82b의 자판에서 'ん'는 ''와 결합되어 있다. 이는 'な'는 'か', 'さ', 'た', 'は' 등과는 달리 자음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비기준문자로 'ん'를 지정하여도 문제가 없으며 'ん'를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기존의 키패드에서는 불가능한데 왜냐하면 'な'를 눌러주어 'に,ぬ,ね,の'를 구현해야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도 82b의 자판과 같이 받침형 모음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な'를 'ん'과 결합하여 기준, 비기준문자로 지정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만약 이러한 자판 구조는 T9 키패드 구조의 좌우측에 두 개의 열을 추가하여 기존 키패드 핸드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각각의 키를 눌러주는 횟 수에 따라 모음의 변화 (あ ->ぁ) 및 자음의 음가 변화( k -> g, s -> z, t -> d, h -> b -> p ) 등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터치 키패드와 같이 터치 상태와 누름상태가 구분되는 경우 키패드 영역이 협소하여 T9구조에 좌우로 하나의 열만이 추가로 배치되어야 할 경우에는 분리형 모음(A)과 완성형 모음을 하나에 키에 지정하고 완성형 모음의 아래 글자를 누름 횟수에 따라 순서대로 지정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い의 경우 터치 키패드인 경우 터치 -> 1회 누름 -> 2회 누름에 따라 받침형 모음 i -> い -> ぃ의 순서로 각각 입력되도록 하며, 기존의 키패드에 하나의 열을 추가하여 적용하는 경우는 1회 누름 -> 2회 누름 -> 3회 누름에 따라 동일한 순서로 각각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외에도 가타가나 형태 혹은 특수 문자 등의 입력은 도 82b에 보여지는 터치 키패드의 경우 '*' 키 혹은 문자가 지정되지 않은 최상단 우측의 키를 이용하여 확장 적용할 수 있다. Like this, in case of Japanese, all syllables can be input in the form of 'consonants' + 'vowels' in the same way as Korean, so Japanese can be input in the same way as an input method using a keyboard. The keyboard shown in FIG. 82B is a structure in which the stand type bar can be used only as a stand by dividing the stand type bar and the completed type bar. Symmetrical vowels 'i, u, e, o' are shown on the right and 'い, う, え, お' is arranged on the left. In other words, if you need to input 'か い', you can't express' か い 'by inputting' か '+' i. Another input that allows you to enter 'い' should be preceded by the input of special keys such as '*' and '#' of a normal keypad mobile phone. However, if you have a complete vowel, you can enter these complete vowels. In other words, the case of 'か い' and 'き' are easily distinguished, so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use additional function keys for distinguishing the vowel stand type from the completed type, and thus the convenience similar to that of the keyboard input method is possible. . The keyboard of FIG. 82B has the same keyboard layout as the conventional T9 keypad,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be familiar with the new keyboard and can easily perform Japanese character input only by learning the vowel arrangement of the left and right columns. Supported vowel arrays can be interchanged. And the method of changing the sound value of each consonant (for example, k-> g, s-> z, t-> d, h-> b-> p)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FIG. 81A2. However, the functions of 'L' and 'W', which bring about the change of vowel and consonant, can be implemented by pressing the area corresponding to consonant and vowel used in combination with these letters several times. As an example, the function of the letter 'L' shown in the keyboard of FIG. 81A2 is implemented in the keyboard of FIG. 82B. In the Romanji input method of a general computer keyboard, 'あ (general vowel)' and 'ぁ ( Lower position) 'is implemented as input of' A 'and' L '+' A ', respectively, but in the keyboard structure of FIG. 82B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nger is touched while touching a key region corresponding to a completed vowel' あ '. Spaced apart (type 'あ'-primary character) or the touch pad is pressed while the finger is spaced apart (type 'ぁ'-secondary character). In the case of the letter 'W' on the keyboard of FIG. 81A2, 'wa' and 'wo' are applicable to the letter 'W'. Spaced apart (type 'わ'-reference character) or separated by pressing the touch pad while the fingers are spaced apart (type 'を'-non-reference character). One of the differences is that Japanese keypad keyboards generally assign わ を ん to the same key so that pressing `` once '' and pressing `` three times '' enters 'ん' three times. 'Is combined with', which means that 'な' has no change in consonant unlike 'か', 'さ', 'た' and 'は', so specifying 'ん' as a nonstandard character is a problem. It is not possible to enter 'ん' easily because it is not possible with the existing keypad. This is because the subject 'に, ぬ, ね, の' should be implemented, but in the state where the stand-type vowels are separated as in the keyboard of Fig. 82B, 'な' is combined with 'ん' to designate the reference and non-reference characters. If the keyboard structure adds two columns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9 keypad structure, it can be applied to existing keypad mobile phones. In this case, the vowel chang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each key is pressed (あ-> ぁ). ) And change in consonant value (k-> g, s-> z, t-> d, h-> b-> p), etc. And the touch state and the pressed state are distinguished as in the touch keypad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keypad area is narrow and only one additional column is to b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T9 structure, the separated vowel (A) and the completed vowel are assigned to one key, and the bottom letter of the completed vowel is assigned in ord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pressing. The method may be applied. For example, in case of い, in case of touch keypad, touch-> press one time-> press twice. Then, stand type bar is input in order of i-> い-> ,, and add one column to existing keypad. In case of applying, press once-> press twice-> press three times to input each in the same order. In addition, an input such as a katakana type or a special character may be extended and applied using the '*' key or the uppermost right key where a character is not specified in the touch keypad shown in FIG. 82B.

도 82c는 중국어의 자판을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도 81a3를 수정한 것인데 차이점은 자음의 배열을 중국어 병음을 기초로하여 동일한 발음군에 해당하는 자음을 하나의 키에 두개씩 지정한 점이다. 중국어 병음의 경우 'bpmf', 'dtnl', 'zcsr', 'jqx', 'gkh'가 동일한 발음군으로 분류되어 있어서 각 그룹에 속한 문자들을 인접한 위치에 배열할 경우 사용자가 각 키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을 가져온다. 배열 규칙은 하나의 키에 2개의 문자만을 배열하여 키보드 알고리즘(one spell per one stroke)이 적용되도록 하였으며 같은 그룹에 네개의 문자가 속하여 있으므로 이들 4개의 문자를 둘로 나누어 자판상에 아래위에 위치한 키에 각각 배열하는 것이다. 다만 'gkh'와 'jqx'의 경우 각 그룹에 3개의 문 자가 속해 있으므로 자판상의 위쪽에 위치한 키에는 2개의 문자가 나머지 하나의 문자는 아래쪽에 위치한 키에 지정하였으며, 하나의 문자만이 지정된 키에 추가적으로 'w', 'y'를 지정하여 모든 키에 2개의 문자가 지정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중국어의 경우 'h'는 'z', 'c', 's' 등과 함께 발음되는 'zh', 'ch', 'sh' 문자열을 이루므로 'gkh'그룹을 'zcsr'그룹의 우측에 배열하여 'h'를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w'와 'y'는 모음의 성격을 가지므로 도 82c에 보여지는 바와 달리 각각 'u'와 'i'에 지정하여 터치 상태에서는 'u', 'i'가 입력되고, 누름상태에서는 'w', 'y'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2c에 보여지는 자판 구조에서 모음의 배열을 4번째 줄 혹은 3번째 줄에 배열하여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터치 키패드의 경우 가상키보드를 이용하므로 키패드에 문자배열이 인쇄되어 있지 않을 경우 왼손잡이를 위해서 도 82c에 보여지는 자판 배열을 좌우대칭시킬 수 있으며, 도 82b의 일본어의 경우는 자음군은 이미 일반화되어 사용자가 암기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좌우의 모음그룹만을 좌우대칭 이동시킬 수 있다. FIG. 82C is a modification of FIG. 81A3 so that a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Chinese keyboard. The difference is that two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same pronunciation group are assigned to one key based on the Chinese Pinyin. In the case of Chinese Pinyin, 'bpmf', 'dtnl', 'zcsr', 'jqx' and 'gkh' are classified as the same pronunciation group. It brings advantages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The arrangement rule is to apply only one letter per one stroke by arranging only two letters on one key. Since four letters belong to the same group, these four letters are divided into two and placed on the upper and lower keys on the keyboard. To arrange each. However, in the case of 'gkh' and 'jqx', three characters belong to each group, so two letters are assigned to the upper key on the keyboard and one letter is assigned to the lower key. Only one letter is assigned. In addition, 'w' and 'y' are specified so that all keys have two characters. And in Chinese, 'h' forms 'zh', 'ch', 'sh' strings pronounced along with 'z', 'c', 's' and so on. 'H' is easy to input and 'w' and '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vowels. Therefore, as shown in FIG. 82C, 'u' and 'i' are respectively assigned to 'u' in the touch state. ',' i 'is input,' w ',' y 'may be input in the pressed state. In the keyboard structure shown in Fig. 82C, the arrangement of the vowels may be arranged in the fourth row or the third row. In the case of the touch keypad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irtual keyboard is not printed on the keypad, the keyboard layout shown in FIG. 82C can be left-right symmetrical for left-handed use. In the Japanese case of FIG. Since the user is memorizing, only the left and right vowel groups can be symmetrically moved.

도 83은 누름상태와 터치상태를 구분가능한 터치패드를 이용한 가상건반악기 구현의 예시도이다. 도 83a는 터치패드에 바둑판 모양의 탄성체를 붙여 가상건반악기의 건반과 1:1 대칭이 되도록 구성한 한가지 예를 보여 주고 있는데, 어둡게 표시된 부분은 음계 C에 해당하도록 배열한 구조로서 35개의 건반을 갖는 가상건반악기에 속한다. 다만 도 83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과 온음, 반음 관계를 가지는 피아노 건반과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실질적으로는 각 줄에 C, D, E에 해당하는 3개, F, G, A, B 4개의 키 만을 설정한 25개의 건반을 갖는 가 상건반악기이다. 도 83c와 도 83d는 음을 발생하기 위한 가상건반악기의 운용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83e는 가상건반악기의 음계(C major, A major)에 따른 가상건반의 음 배열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83f는 음표의 위치를 나타내는 악보를 이용한 가상건반 표시를 보여주고 있다.8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virtual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mplementation using a touchpad capable of distinguishing a pressed state from a touched state. 83A shows an example in which a checkerboard-shaped elastic body is attached to a touch pad so as to be 1: 1 symmetric with a keyboard of a virtual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nd a dark portion is a structure arranged to correspond to a musical scale C having 35 keys. It belongs to a virtual keyboard instrument. However, as shown in FIG. 83B, three lines corresponding to C, D, and E, F, G, A, and the like are substantially used to increase recognition of the user's finger movements and the piano keyboard having a whole tone or semitone relationship. B A virtual keyboard instrument with 25 keys set with only four keys. 83C and 83D illustrate a method of operating a virtual keyboard musical instrument for generating a sound, and FIG. 83E shows a musical arrangement of a virtual keyboard according to a scale (C major, A major) of the virtual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nd FIG. 83F Shows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using the score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note.

도 84는 본 발명의 터치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포인팅 모드에서 더블탭핑 혹은 탭핑에 의해 일반적인 포인팅모드에 추가하여 팬 모드(pan mode)/멀티미디어(Multimedia)모드의 운용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팬모드의 운용이 필요한 이유는 휴대용 기기를 한 손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터치패드의 기능버튼의 기능을 터치패드가 담당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팬 모드는 터치패드를 탭핑함으로서 일반 포인팅 모드로부터 전환되는데 만약 싱글 탭핑(single tapping)이 통상적인 터치패드의 오른쪽 기능버튼의 메뉴확장 기능을 담당하면 더블 탭핑(double tapping)이 포인팅 모드에서 팬모드로의 변환을 담당하게 되지만 이들 탭핑/더블탭핑 기능은 사용자의 편리성에 따라 상호 전환이 가능하다. 도 84a는 더블탭핑에 의한 포인팅모드/팬모드 변환 과정을 도식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며, 도 84b는 더블탭핑에 의해 포인팅모드(I)에서 팬 모드(II)로 전환되어 그에 따른 포인터의 모양도 포인팅용 포인터(8401)와 팬 기능의 포인터(8402)으로 구분되어 사용자가 모드의 변환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4b(II)와 같이 팬모드로의 변환이 이루어지면 도 84b(III)에 보이는 바와 같이 포인터의 움직이는 방향으로 화면도 같이 이동하게 된다. 즉 터치패드 상에서의 손가락의 움직임이 화면의 움직임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도 84c는 팬 모드에서 드래그 동작이 이루어지면 드래그로 형성되는 직사각형 크기(도 84c(II)의 붉은색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이 줌인(Zoom-in)되어 도 84c(III)과 같이 확대화면을 보여주게 된다. 여기서 드래그 동작을 위한 터치패드 작동은 도 71a(D)와 도 71b에 설명된 방법으로 하면 된다. 그리고 줌인(Zoom-in)과 줌 아웃(Zoom-out)을 구분은 드래그 방향에 따라 구분하는데, 만약 도 84c(II)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드래그의 방향이 좌상->우하로 이루어지면 줌인(Zoom-in) 화면이 보여지며, 반대로 드래그 방향이 우하->좌상으로 이루어지면 줌아웃(Zoom-out) 화면이 보여져서 자연스럽게 화면의 확대 및 축소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줌아웃의 경우 드래그에 의해 형성되는 직사각형에 현재 화면에 보여지는 영역이 축소되도록 하면 줌아웃 비율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가 용이하게 설정되게 된다. 즉 줌인(Zoom-in)과 마찬가지로 줌아웃(Zoom-out)의 경우도 드래그 영역이 작으면 축소비율이 커지고 드래그 영역이 크면 축소비율이 작아지는 것이다. 사용자의 편의상 줌인과 줌아웃 방향은 서로 바뀔 수 있다. 다만 도 84b에서 보여지는 팬 모드는 드래그 동작이 시작되면 포인터의 이동이 이루어진다고 하여도 화면의 이동은 자동으로 멈취지도록 하면 드래그 동작에서는 포인터의 움직임이 누름상태에서 시작되므로, 포인터의 움직임이 누름상태에서 시작되었는지 혹은 터치상태에서 시작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팬 동작과 줌(Zoom) 동작의 구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줌(Zoom) 동작에서 좌,우손잡이의 구분을 위해 좌상->우하로의 움직임을 우상->좌하로의 움직으로 대체할 수 있다. 84 is a view illustrating operation of a pan mode / multimedia mode in addition to a general pointing mode by double tapping or tapping in a pointing mode using a touchpad that distinguishes a touch state from a press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operation of the fan mode is necessary because the touchpad must be in charge of the function buttons of the touchpad to operate the portable device with one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n mode is switched from the normal pointing mode by tapping the touch pad. If single tapping is responsible for the menu expansion function of the right function button of the conventional touch pad, double tapping is performed in the pointing mode. It will be in charge of the conversion to fan mode, but these tapping / double tapping functions can be switch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FIG. 84A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ointing mode / fan mode conversion process by double tapping, and FIG. 84B is a double tapping mode to change from the pointing mode I to the pan mode II, thereby indicating the shape of the pointer. It is divided into a pointer 8201 and a pointer 8402 of the fan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change of mode. As shown in FIG. 84B (II), when the conversion to the fan mode is performed, the screen also moves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ointer as shown in FIG. 84B (III). In other words, the movement of the finger on the touch pad causes the movement of the screen. 84C illustrates that when a dra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pan mode, an area corresponding to a rectangular size (red area of FIG. 84C (II)) formed by dragging is zoomed in to enlarge an enlarged screen as shown in FIG. 84C (III). Will be shown. In this case, the touch pad operation for the drag operation may be performed using the method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1A and 71B. The zoom-in and the zoom-out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If the drag direction is made from the upper left to the lower right as shown in FIG. 84C (II), the zoom-in is zoomed out. in) When the screen is displayed, on the contrary, if the drag direction is made from the lower right side to the upper left side, the zoom-out screen is shown, and the screen is naturally enlarged and reduced. In the case of zooming out, if the area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is reduced in the rectangle formed by dragging, the user's perception of the zoom out ratio is easily set. In other words, like zoom-in, zoom-out may have a smaller reduction ratio when the drag area is smaller and a smaller reduction ratio when the drag area is larger. For convenience of the user, the zoom in and zoom out directions may be interchanged. However, in the fan mode shown in FIG. 84B, even if the pointer movement is performed when the drag operation is started, if the screen movement is automatically stopped, the movement of the pointer is pressed in the drag operation.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pan operation and the zoom oper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operation is started in the state or the touch state. In addition, in the zoom operation, the movement of the upper left-> right lower side may be replaced with the movement of the upper right-> left lower to distinguish left and right handles.

도 85는 싱글터치 기능을 갖는 터치패드를 멀티터치가 가능하도록 정전용량 변화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간단히 설명하면 터치상태의 손가락이 발 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는 잡음 레벨로 처리하고 누름상태에 다다른 손가락이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만을 이용하여 손가락의 위치을 터치패드가 산출하는 방법이다. 도 85a는 미국특허 5374787에서 밀러(Miller) 등이 잡음제거 방법을 도식화하여 설명한 부분인데 손가락이 터치패드에 닿을 경우 정전용량 센서 단자(X1 ~ X15)에 의해 얻어지는 정전용량 값(도 85a의 8501)에서 최소 값(도 85a에서 'Minimum Level Detected'로 표시된 값)을 각 센서 단자에서 얻어지는 값으로부터 공제하면 순수한 터치패드에 닿은 손가락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도 85a의 8502)만을 얻게 되어 정확한 손가락의 위치를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잡음제거 방식을 도 49에 보여지는 터치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하는 본 발명의 터치패드에 적용하여 터치상태에 얻어지는 최대 값을 기준점(정전용량 변화량을 '0'로 설정)으로 하여 이 보다 적은 정전용량 변화값은 모두 '0'로 변환하면 터치패드는 누름상태에 도달한 손가락만의 정전용량 변화 수치만이 손가락 위치 산출에 이용된다. 즉 여러 손가락이 동시에 터치패드를 접촉과는 무관하게 이들 손가락 중에서 누름상태에 도달한 손가락의 위치만이 산출되어 위치 데이타로 전달되게 된다. 도 85c의 8507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손가락이 터치상태에 있는 경우 정전용량 센서 단자에 얻어지는 값은 도 85b의 8503과 같은 분포를 보일 것이며 만약 도 85c의 8508, 8509와 같이 동시에 두 개의 손가락이 터치패드에 닿아서 그 중 왼손 엄지가 누름상태에 이르게 되면 정전용량 센서 단자에 얻어지는 값은 도 85b의 8504와 8505와 같은 결과가 얻어질 것이다. 만약 이러한 정전용량의 분포 만약 이 상태에서 터치패드의 잡음제거 방식이 도 85a와 같이 이루어진다면 터치패드는 산출되는 손가락의 위치 좌표는 두 개의 정전용량 분포(8504, 8505)를 함께 합산한 분포에 의해 산출될 것이다. 이럴 경우 산출된 손가락 위치는 터치패드에 닿아 있는 손가락 중에서 누름상태에 이른 손가락의 위치에 근접한 위치의 평균 값을 나타내게 된다. 만약 터치상태의 손가락이 발생시키는 정전용량의 변화가 누름상태의 그것에 비해 상당히 작을 경우 이 평균 값은 누름상태의 손가락의 위치에 근접하게 되어 싱글터치 기능의 터치패드를 멀티터치 기능의 터치패드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평균값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를 제거 위한 방법이 도 85b에 나타나 있다. 8505가 보여주는 터치상태에서의 정전용량 변화의 최대치(Maximum Level Detected for Touch)를 기준점으로 하여 이 값을 모든 센서 단자에서 얻어지는 값에서 공제하면 단지 누름상태에 있는 손가락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만이 산출되어 그 분포가 8506과 같이 얻어진다. 즉 접촉상태의 손가락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는 잡음으로 처리되는 것이다. 이렇게 될 경우 실제는 손가락이 도 85c의 8508, 8509와 같은 상태이지만 터치패드가 산출하는 손가락 위치는 8510과 같이 하나의 손가락만이 터치상태(엄밀하게는 누름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방법이 적용된 싱글터치 기능의 터치패드를 키패드 핸드폰에서와 같이 양 손으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인 터치와 누름상태 모두를 이용하는 한 손가락만을 이용한 작업에서는 8501과 8502에서 보여주는 잡음 제거 방식을 적용하고, 동시에 여러 손가락이 터치패드에 닿고 이 중 하나의 손가락의 누름 동작에 의해 문자입력이 이뤄어지는 경우에는 8504와 8506에 보여주는 잡음제거 방식을 적용하면 된다. 8504에 보여주는 정전용량 변화 최대값은 각 사용자가 도 47의 터치패드의 초기화 과정에서 설정해 줄 수 있다. 다 만 도 85에서 보여주는 잡음제거 기준치는 각각의 센서에서 얻어지는 수치라면, 도 47의 압력 값(Z)은 도 85에서 보여주는 각 센서 단자가 측정하는 값의 합 즉 정전용량 변화 분포도가 보여주는 면적에 해당하는 수치이다.FIG. 85 illustrates a method of processing capacitance change to enable multi-touch of a touch pad having a single touch function. In brief, the touch pad calculates a change in capacitance generated by a finger in a touch state at a noise level and uses only a change in capacitance generated by a finger approaching a pressed state. FIG. 85A illustrates a portion of Miller et al. Illustrating a noise removing method in US Pat. No. 5,374,787. The capacitance value obtained by the capacitive sensor terminals X1 to X15 when the finger touches the touchpad is illustrated (8501 in FIG. 85A). Subtracting the minimum value (denoted as 'Minimum Level Detected' in FIG. 85A) from the value obtained at each sensor terminal, yields only the change in capacitance caused by the finger touching the pure touchpad (8502 in FIG. 85A) To calculate the location. The noise reduction method is applied to the touch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distinguishes the touch state from the pressed state shown in FIG. 49, and the maximum value obtained in the touch state is set as the reference point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is set to '0'). When the capacitance change value is all converted to '0', only the capacitance change value of the finger that reaches the pressed state is used to calculate the finger position. In other words, only the position of the finger reaching the pressed state among these fingers is calculated and transmitted as the position data regardless of whether multiple fingers simultaneously touch the touch pad. When the finger is in the touch state as shown in 8507 of FIG. 85C, the value obtained at the capacitive sensor terminal will have the same distribution as that of 8503 of FIG. 85B. If two fingers are touch pads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8508 and 8509 of FIG. When the left thumb reaches the pressed state, the value obtained at the capacitive sensor terminal will be obtained as shown in 8504 and 8505 of FIG. 85B. If the capacitance distribution of the touch pad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85A in this state,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ouch pad calculated by the touch pad are calculated by summing two capacitance distributions 8504 and 8505 together. Will be calculated. In this case, the calculated finger position represents the average value of the position close to the position of the finger that has reached the pressed state among the fingers touching the touch pad. If the change of capacitance generated by the touched finger is considerably smaller than that of the pressed state, this average value is close to the position of the pressed finger, so that the single-touch touch pad can be used as the multi-touch touch pad. Can be. However, a method for removing the error caused by the average value is shown in FIG. 85B. Using the Maximum Level Detected for Touch as a reference point, as shown by the 8505, subtracting this value from the values obtained at all sensor terminals, only the change in capacitance caused by the finger in the depressed state Is calculated and its distribution is obtained as 8506. That is, the change in capacitance caused by the finger in the contact state is treated as noise. In this case, the finger is actually in a state such as 8508 and 8509 of FIG. 85C, but the finger position calculated by the touch pad is confirmed to be in a touch state (strictly pressed state) only by one finger as in 8510. The touchpad with the single touch function applied with this method can be used with both hands as in the keypad mobile phone. In case of using only one finger using both normal touch and pressed state, the noise canceling method shown in 8501 and 8502 is applied, and several fingers touch the touchpad at the same time, and the character input is performed by pressing one finger. The noise reduction method shown in 8504 and 8506 can be applied. The maximum change in capacitance shown in 8504 may be set by each user during initialization of the touch pad of FIG. 47. However, if the noise elimination reference value shown in FIG. 85 is obtained from each sensor, the pressure value Z of FIG. 47 corresponds to the sum of the values measured by each sensor terminal shown in FIG. That's a number.

도 86은 본 발명의 누름 상태와 터치상태를 구분하는 터치패드 입력장치를 사용할 경우 도 1에 보여지는 기존의 키패드 핸드폰의 숫자 영역의 문자키패드와 이동키패드를 하나로 합쳐진 터치 키패드의 모델을 보여준다. 도 86a(I)의 경우는 키패드가 핸드폰 화면 위에 고정된 상태이며, 도 86a(II)는 키패드가 화면으로부터 미끄러져 아래 쪽으로 이동된 상태이다. 도 86a(III)은 키패드가 미끄러져 열려진 상태에서 가로모드로 사용되는 예를 보여준다. 도 86b는 도 86a와 달리 슬라이딩 되는 키패드 부분의 두께가 나머지 핸드폰 몸체의 두께와 동일하다는 점이다. FIG. 86 is a view illustrating a model of a touch keypad in which a character keypad and a moving keypad of a numeric area of a conventional keypad mobile phone shown in FIG. 1 are combined when using a touchpad input device that distinguishes a pressed state from a touch state. In the case of Fig. 86A (I), the keypad is fixed on the mobile phone screen. In Fig. 86A (II), the keypad is slid down from the screen. 86A (III)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keypad is used in the landscape mode while the keypad is slid open. FIG. 86B illustrates that, unlike FIG. 86A, the thickness of the sliding keypad portion is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rest of the mobile phone body.

도 87은 터치키패드의 경우 일반적으로 노트북 컴퓨터에 사용되는 터치패드와 달리 절대좌표계에 의한 포인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화면과 터치패드를 1:1 대응시키기 위한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FIG. 87 illustrates a method for 1: 1 correspondence between a screen and a touch pad in order to perform a pointing operation by an absolute coordinate system, unlike a touch pad generally used in a notebook computer.

Claims (114)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손가락의 변위(△X, △Y)에 의한 포인터 위치변화를 제어하는 방식과 포인터의 위치를 터치패드위의 손가락의 위치좌표(X, Y)에 의해 결정하는 포인터 제어 방식이 모두 사용되는 터치패드 포인팅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폰, 전자사전, PDA 등 휴대용 소형 디지털 기기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pointer position change by the finger displacement (ΔX, △ Y) using the touch pad and the pointer control method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pointer by the position coordinates (X, Y) of the finger on the touch pad All used touch pad pointing devices and portable small digital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electronic dictionaries and PDAs 청구항 1에서 누름스위치를 터치패드의 아래쪽에 배치하여 명령실행 버튼의 기능을 담당하게 한 터치패드 입력장치The touch pad input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push switch is disposed under the touch pad to perform a function of a command execution button. 청구항 2에서 터치패드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를 누름스위치로 이용하여 누름스위치의 기능을 대신하게 한 입력장치Input device to replace the function of the push switch by using the change i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ouch pad in claim 2 as a push switch 청구항 2에서 터치패드 밑에 위치하는 누름스위치를 대신할 별개의 스위치를 디지털기기의 뒷면 가로방향 모서리에 배치한 입력장치An input device in which a separate switch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corner of the rear side of the digital device to replace the push switch located under the touch pad in claim 2. 청구항 1에서 문자입력을 위해 가상키보드 프로그램을 갖고 터치패드 좌표계와 1:1 대응 관계의 가상키보드 좌표계를 갖는 디지털기기Digital device having a virtual keyboard program for character input in claim 1 and having a virtual keyboard coordinate system of 1: 1 correspondence with touch pad coordinate system 청구항 5에서 터치패드 표면에 손가락이 인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형 돌기나 홈 혹은 격자형 요철 표면 등의 기준점을 갖고 가상키보드의 특정 위치와 연계시키는 터치패드 입력장치The touch pad input device of claim 5, wherein the touch pad input device has a reference point such as at least one or more small protrusions or grooves or lattice irregularities that a finger can recognize on the surface of the touch pad and associates with a specific position of the virtual keyboard. 청구항 6에서 기준점과 가상키보드의 특정 위치를 연계시키기 위해 터치패드 좌표계의 보정 프로그램을 갖는 터치패드 입력장치The touch pad input device having a calibration program of a touch pad coordinate system to associate a reference point with a specific position of the virtual keyboard of claim 6. 청구항 1에서 포인팅 장치로 두 개의 터치패드를 갖는 휴대용 소형 디지털 기기Portable small digital device having two touch pads as a pointing device in claim 1 청구항 8의 디지털기기에서 문자입력을 위한 가상키보드가 좌우창으로 나누어져 각각의 창에 문자입력 포인터가 배치되고, 이들 문자입력포인터가 좌우 터치패드에 의해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휴대용 소형 디지털기기In the digital device of claim 8, a virtual keyboard for character input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windows, and a character input pointer is disposed in each window, and these character input pointers are independently operated by a left and right touch pad. 청구항 2에서 누름스위치 작동 시 손가락의 위치가 표적 지점으로부터의 이탈하는 경우 이를 보정하기 위해 누름문턱압력을 이용한 문자입력오류 수정프로그램Character input error correction program using the push threshold pressure to correct the position of the finger from the target point when the push switch is operated in claim 2 청구항 9에서 상중하 3개 열을 갖는 가상키보드를 이용하는 휴대용 소형 디지탈기기 Portable small digital device using a virtual keyboard having three columns 청구항 1에서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파지하고 있는 손만으로도 작동이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소형 디지털 전자기기Small digital electronic device that enables operation by only the hand held in the state of holding with one hand in claim 1 청구항 12의 소형전자기기가 핸드폰인 경우에 핸드폰이 세로보기 모드로 작동될 경우 자동으로 가상키패드를 화면에 띄워 전화통화기능이 우선적으로 가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GUI시스템In the case where the small electronic device of claim 12 is a mobile phone, the GUI system ha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releasing a virtual keypad on the screen to operate a telephone call function when the mobile phone is operated in the portrait view mode. 청구항 3에서 누름압력의 크기를 확대하기 위해 터치패드의 손가락이 닿는 부분의 절연체를 탄성체로 하여 포인팅작업을 위한 터치동작에 발생하는 터치압력과 포인팅작업에서의 명령수행을 위해 버튼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누름동작에서 발생되는 누름압력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게 하여 터치패드의 전 영역에 하나의 누름기준압력을 갖게 하는 방법Claim 3 to operate the button function for performing the command in the touch operation and the touch operation generated in the touch operation for the pointing operation by using the insulator of the touched portion of the touch pad to enlarge the size of the pressing pressure How to have a single pressing reference pressure in the whole area of the touch pad by making it possible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 in pressing pressure generated in pressing operation 청구항 14의 방법을 이용하는 휴대용 디지털기기Portable digital apparatus using the method of claim 14 청구항 14에서 투명한 터치패드가 화면위에 배치되는 터치스크린방식의 경우 탄성체가 터치패드위에 부착되어 터치패드의 작동방식이 구현되어 일반적인 터치스크린 방식과 본 발명의 누름상태를 갖는 터치패드 방식이 동시에 활용되는 휴대용 디지털기기In the case of the touch screen method in which the transparent touch pad is disposed on the screen, the elastic body is attached to the touch pad so that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ouch pad is implemented, so that the general touch screen method and the touch pad method having the press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imultaneously utilized. Portable digital device 청구항 16의 휴대용 디지털기기를 위해 투명탄성체를 터치패드위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휴대용 디지탈기기A portable digital device in which a transparent elastic body is attached to a touch pad for use in a portable digital device of claim 16. 청구항 16에서 탄성체가 불투명한 경우 터치스크린 영역의 화면내용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탄성체의 해당 영역을 도려내어 이용하는 디지털기기In the case of claim 16, when the elastic body is opaque, a digital device that cuts out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elastic body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screen content of the touch screen area 청구항 16에서 디지털기기의 가상키보드상의 포인터(커서)의 위치를 보여주기 위해 추가적으로 포인터위치 표시 창을 가상키보드 이외의 영역에 포인터가 위치한 키와 함께 나타내는 방법17. A method of additionally indicating a pointer position display window together with a key located in an area other than the virtual keyboard to show the position of a pointer (cursor) on a virtual keyboard of a digital device. 청구항 1에서 터치패드의 기능버튼을 터치패드의 탭핑에 의한 기능버튼 기능을 이용하는 휴대용 소형 디지털기기Portable small digital device using a function button function by tapping the function button of the touch pad in claim 1 청구항 5에서 가상키보드가 3개의 열을 가지고 각 열에 해당하는 가상키보드 좌표계와 대응하는 터치패드 좌표계의 면적이 동일하지 않은 비선형적 대응관계를 갖는 디지털기기The digital device of claim 5, wherein the virtual keyboard has three columns and has a non-linear correspondence in which the areas of the virtual keyboard coordinate system corresponding to each column and the touch pad coordinate system are not equal to each other. 청구항 5에서 가상키보드를 이용한 문자입력과정에 스페이스와 백스페이스를 가상키보드의 키를 이용하지 않고 손가락의 터치패드 위에서의 좌우 움직임으로 대신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pace and the backspace are replaced by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finger on the touch pad without using the keys of the virtual keyboard. 청구항 1에서 휴대용 소형 디지탈기기와 일체형이 아닌 분리된 형태를 갖는 유선형 및 무선형 터치패드 포인팅장치Streamlined and wireless touch pad pointing device having a separate form from the portable small digital device of claim 1 is not integral 청구항 5에서 가상키보드가 3행 5열의 구조를 갖고 각 키에 두 개의 문자가 지정되고, 터치패드의 기능버튼 외에 이들 두 개의 문자 중에서 하나의 선택을 위한 추가적인 보조기능버튼을 갖는 디지털기기In claim 5, the virtual keyboard has a structure of three rows and five columns, and two letters are assigned to each key, and a digital device having an additional auxiliary function button for selecting one of these two letters in addition to the function buttons of the touch pad. 청구항 5에서 가상키보드가 3행 5열의 구조를 갖고 각 키에 두 개의 문자가 지정되고, 각 키에 지정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두 개의 기능버튼이 각각의 문자 입력 실행 명령을 수행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virtual keyboard has a structure of three rows and five columns, two letters are assigned to each key, and two function buttons perform respective letter input execution commands to input the letters assigned to each key. 청구항 25에서 적용된 문자입력 방법이 적용되는 디지털 기기Digital apparatus to which the character input method applied in claim 25 is applied 청구항 1에서 포인팅장치로 쓰이는 터치패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한 방법의 터치패드 뿐만 아니라 저항값의 변화를 이용한 방법 및 고주파를 이용한 방법 등 물체 특히 손가락의 위치변화를 인지하고 접촉압력의 산출이 가능한 터치패드The touch pad used as a pointing device in claim 1 recognizes a change in the position of an object, in particular a finger, such as a method using a change in capacitance, a method using a change in resistance value, and a method using a high frequency. Touchpad capable of calculating 청구항 5에서 한 손으로 작동이 가능하도록 가상키패드가 5행3열의 키 배열을 가지고 각각의 키에 2개의 문자를 지정하여 각 키의 누른 회수에 따라 각 키에 지정된 2개의 문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방법In claim 5, the virtual keypad has a five-row, three-column key arrangement so that two keys can be assigned to each key so that one of the two letters assigned to each key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ing of each key. Way 청구항 28의 문자입력 방법이 적용된 휴대용 디지털 기기Portable digital device to which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claim 28 is applied 청구항 3에서 터치패드의 압력감지방식에 의해 터치패드 영역에 따라 상이한 터치 압력과 누름압력의 발생을 적용하기 위해 각 키에 해당하는 영역마다 고유한 터치압력과 누름압력을 지정하여 터치패드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로 문자의 입력을 실행하는 입력장치According to claim 3, in order to apply different touch pressures and pressing pressures according to the touch pad area by the pressure sensing method of the touch pad, a unique touch pressure and a pressing pressure is applied to the touch pad by specifying a unique touch pressure for each area corresponding to each key. Input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by change of pressure 청구항 30의 문자입력 방법이 적용된 휴대용 디지털 기기Portable digital device to which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claim 30 is applied 청구항 5에서 터치패드 상의 기준점과 그에 상응하는 가상키보드 상의 점을 일치시키기 위한 보정 방법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패드 상의 기준점에 닿았을 때 디 지털기기의 화면상의 기준점에 포인터가 일치되게 가상키보드의 좌표계를 보정 설정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ordinates of the virtual keyboard correspond to the reference point on the screen of the digital device when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reference point on the touch pad. To calibrate 청구항 32의 방법이 적용된 휴대용 디지털 기기Portable digital apparatus to which the method of claim 32 is applied 청구항 28에서 터치패드에서 손가락을 떼거나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에 해당하는 터치패드영역을 벗어났다 다시 그 영역으로 돌아올 경우 새로운 문자입력이 시작되도록 하게 하는 문자입력 방법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claim 28, wherein when a user leaves his or her finger from the touch pad and leaves the touch pad area corresponding to a character to be input and returns to the area, a new character input is started. 청구항 6에서 터치패드의 표면에 부착 가능한 형태를 갖는 0.5mm~3mm 두께의 막에 요철형태를 갖는 기준점을 구현하여 터치패드에 부착하거나, 라벨 형태로 터치패드의 다수의 기준점에 부착하는 방법Method of attaching to the touch pad by implementing a reference point having a concave-convex shape on the film of 0.5mm ~ 3mm thickness having a form that can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ouch pad, or in a label form to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of the touch pad 청구항 35에서 막의 재질이 요철의 구현이 용이한 플라스틱인 경우The case of claim 35 wherein the material of the membrane is a plastic that is easy to implement irregularities 청구항 2에서 누름스위치의 기능을 손가락의 터치패드와의 접촉으로 대체하여 손가락의 접촉이 끊어지는 시점에서의 포인터의 위치에 해당하는 명령을 실행시키도록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unction of the push switch is replaced with the touch pad of the finger to execute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inter when the finger is disconnected. 가상키보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을 가지는 휴대용 디지털기기에 있어서 손가락이 화면과의 접촉이 이루어지면 접촉 영역에 해당하는 키를 활성화시켜 이 활성키에 지정된 복수의 문자를 상하, 좌우 한 방향으로 배열하고, 손가락이 터치패드에 접촉된 상태에서 확장된 복수의 문자 중에 손가락의 중심이 머무는 지점에 해당하는 문자가 선택되고, 문자의 입력은 손가락이 화면과의 접촉이 끝나는 시점에 선택된 문자가 이루어지는 방법In a portable digital device having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virtual keyboard, when a finger makes contact with the screen, a key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area is activated to arrange a plurality of characters assigned to the active key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point where the center of the finger stays is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extended characters while the finger is in contact with the touch pad, and the input of the character is performed when the finger is in contact with the screen. 청구항 38에서 활성키에 다수의 문자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이들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기 위해 손가락이 화면과의 접촉시점에 활성화된 키는 손가락의 화면과의 접촉이 끝날 때 까지 고정되고 손가락의 활성키 위치로부터 좌우로의 이동이 활성키에 지정된 문자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specified in the activation key according to claim 38, the keys activated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screen for selecting and entering these characters are fixed until the contact with the screen of the finger is finished and the activation key of the finger How to move left and right from position to select one of the characters specified in the activation key 청구항 39에서 각 키에 지정된 다수의 문자 중에서 기준문자(key-point character) 를 정하여 손가락이 활성키의 위치를 유지한 채로 화면과의 접촉이 끝날 경우 이 기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A method of inputting a reference character when contact with the screen ends while the finger maintains the position of the active key by setting a key-point character among a plurality of characters assigned to each key in claim 39. 청구항 39에서 활성키의 좌우 영역에 기준문자(key-point character) 이외의 비기준문자(non-key-point character)를 지정하여 손가락이 활성키의 위치에서 좌우로 벗어날 때 각각의 비기준 문자가 활성화되고, 손가락이 활성키의 위치에서 벗어난 지점에서 화면과의 접촉이 종료될 경우 손가락의 위치가 활성키의 좌측이면 좌측에 설정된 비기준문자를, 손가락의 위치가 활성키의 우측이면 우측에 설정된 비기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A non-key-point character other than a key-point character is designated in the left and right regions of the activation key so that each non-reference character is changed when the finger deviates from the position of the activation key. When the contact with the screen is terminated at the point where the finger is out of the position of the activation key, the non-reference character is set to the left if the position of the finger is to the left of the activation key, and set to the right if the position of the finger is to the right of the activation key. How to enter nonstandard characters 청구항 41에서 활성키가 가상키보드의 좌측 가장자리 혹은 우측 가장자리에 위치할 경우 비기준문자를 활성키를 제외한 우측과 좌측 영역을 비기준문자 수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분할하여 가상키보드의 키에 표시되어 있는 순서대로 배열하고 분할 된 영역에 손가락이 위치한 상태로 화면과의 접촉이 종료되면 그 위치에 지정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41. If the activation key is located at the left edge or the right edge of the virtual keyboard, the non-reference characters are divided into area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non-reference characters except for the activation key and displayed on the keys of the virtual keyboard. Arrange in order and when the contact with the screen is terminated with the finger located in the divided area, how to enter the specified character at that position 청구항 41에서 기준문자와 비기준문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포인터 위상 창(Satellite Window for pointer)을 가상키보드 이외의 영역에 표시하는 방법A method of displaying a satellite window for a pointer indicating a position of a reference character and a non-reference character in an area other than the virtual keyboard of claim 41. 청구항 41에서 비기준문자가 지정되는 영역을 활성키의 상하영역에 비기준문자를 지정하여 손가락이 활성키위치로부터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비기준문자를 활성화시키고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떨어질 때 해당되는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In claim 41, the non-reference character is designated in the upper and lower regions of the activation key by specifying the non-reference character in the area where the non-reference character is assigned to activate the non-reference character as the finger moves up and down from the active key position, and the corresponding character when the finger is separated from the touch pad. How to enter 청구항 38에서 활성키에 지정된 문자를 배열하는 주방향과 이 주방향에 직각이 방향(분기방향)으로 음높이 결정 혹은 유사 음가로의 변경 등 추가적인 기능을 부가하여 손가락이 터치패드 혹은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상태에서 주방향에 이은 분기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문자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38, wherein the finger contacts the touch pad or the touch screen by adding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the main direction for arranging the characters designated in the activation key and the pitch determination or the change to the similar pitch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in direction (branch direction). To move the main direction from the state to the branching direction 청구항 39에서 활성키에 지정된 다수의 문자를 두 개의 방향으로 배열하는 방법A method of arranging a plurality of characters assigned to an activation key in two directions in claim 39 청구항 46에서 한글 모음의 경우 모음을 3개의 키에 지정하고 각각의 방법은 ;In the case of the Korean vowel in claim 46, the vowel is assigned to three keys, and each method comprises:; 'ㅏ,ㅗ'가 지정된 키에 'ㅏ'와 'ㅗ'의 유사 문자 'ㅏ, ㅑ, ㅐ, ㅒ, ㅗ, ㅛ'을 지정하고, 'ㅓ,ㅜ'가 지정된 키에 'ㅏ'와 'ㅗ'의 유사 문자 'ㅏ, ㅑ, ㅐ, ㅒ, ㅗ, ㅛ' 을 지정하고, 나머지 키에 'ㅡ', 'ㅣ', 'ㅢ'를 지정하여 배열하는 자판배열 방법'유사, ㅗ' is assigned to the key 'ㅏ' and 'ㅗ' similar characters' ㅏ, ㅑ, ㅐ, ㅒ, ㅗ, ㅛ ', and' ㅓ 'and' A keyboard layout method in which the pseudo characters ㅏ, ㅑ, ㅐ, ㅒ, ㅗ, ㅛ 'are assigned, and' ㅡ ',' ㅣ ',' ㅢ 'are assigned to the remaining keys. 청구항 47에서 T9형태의 가상키패드 구조를 갖는 핸드폰의 경우 번호키 '1', '2', '3'에 모음문자가 배치되며, '2'키에 모음군 'ㅡ, ㅣ, ㅢ'를 지정하며, '1'키와 '3'키에 모음군 'ㅏ, ㅑ, ㅐ, ㅒ, ㅗ, ㅛ'와 'ㅏ, ㅑ, ㅐ, ㅒ, ㅗ, ㅛ'를 지정한다. 다만 '2'키에 지정된 모음문자들은 'ㅣ'를 기준 문자로 좌우로 배열됨에 반해 '1', '3'키에 지정된 모음문자들은 'ㅏ'와 'ㅓ'를 기준문자로 하여 'ㅏㅗㅛ', 'ㅜㅠㅓ'를 각각 좌우로 배열하고 나머지 'ㅑㅐㅒ', 'ㅕㅔㅖ'를 상하방향으로 배열하는 자판배열 방법In the case of the mobile phone having a virtual keypad structure of the T9 type in claim 47, vowel characters are arranged on the number keys '1', '2', and '3', and the vowel groups 'ㅡ, ㅣ, and ㅢ' are assigned to the '2' key. The vowel groups 3, 모음, ㅐ, ㅒ, ㅗ, ㅛ and ㅏ, ㅑ, ㅐ, ㅒ, ㅗ, ㅛ are assigned to the '1' and '3' keys. However, vowels assigned to '2' key are arranged left and right with 'ㅣ' as reference character, whereas vowels assigned to '1' and '3' keys have 'ㅏ ㅗㅛ' and 'ㅓ' as reference characters. ',' TT ㅠㅓ 'arranged left and right, and the remaining' 하고 ',' ㅕ ㅔ ㅖ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48에서 '1'키와 '3'키에 지정된 모음군이 서로 바뀌어, 상하방향으로의 모음배치는 동일하나, 좌우방향으로의 모음문자배열은 순서가 역으로 되는('ㅏㅗㅛ' -> 'ㅛㅗㅏ', 'ㅠㅜ ㅓ' -> 'ㅓㅜㅠ') 자판배열 방법In claim 48, the vowel groups designated by the '1' key and the '3' key are interchanged so that the vowel arrang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same, but the vowel character arrang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reversed ('ㅏ ㅗㅛ'-> 'ㅛ ㅗㅏ', 'ㅠㅜ ㅓ'-> 'ㅓ ㅜㅠ') 청구항 46에서 중국어의 경우 초성에 사용되는 자음과 종성에 사용되는 자음(n, ng, r)을 구분하고, 모음이 초성으로 사용되어 이들 종성(n, ng, r)과 짝을 이루어 한자로 변환됨을 방지하여 일반적인 컴퓨터의 키보드와 동일한 병음->한자 변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모음 앞에 입력되는 자음이 종성인지 초성인지를 구분하는 자음으로서의 " ' "를 더 포함하는 문자배열로서 다음과 같은 배열을 갖는 자판배열 ;In the case of Chinese, in the case of Chinese, the consonants used for consonants and the consonants used for species (n, ng, r) are distinguished, and vowels are used as consonants and paired with these species (n, ng, r) and converted into Chinese characters. Character string that further includes "" "as a consonant to distinguish whether the consonant entered in front of the vowel is a final or initial consonant so that the same Pinyin-> Hanja conversion is performed automatically like a normal computer keyboard. Keyboard layout; '1'키 -> 'bpmf', '2'키에 'dtnl', '3'키에 'zscr', '4'키에 'jqx', '5'키에 'gkh', '6'키에 'yw'', '7'키에 'a i', '8'키에 'o u', '9'키에 'e
Figure 112009072652117-PAT00001
', '0'키에 'n ng r'을 배정하고 각 키에 지정된 문자를 상하방향으로 배열하는 자판배열 방법
'1'key->'bpmf','dt' on '2' key, 'zscr' on '3' key, 'jqx' on '4' key, 'gkh' on '5' key, '6' key 'Yw' on '7' key, 'a i' on '8' key, 'o u' on '8' key, 'e' on '9' key
Figure 112009072652117-PAT00001
Keyboard layout method that assigns 'n ng r' to '0' key and arranges the characters assigned to each key in the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50에서 '3'키에 지정된 'zscr'의 경우 손가락움직임이 상하방향인 주방향과 이에 수직인 좌우방향으로의 분기방향을 가지고 주방향에 이은 분기방향으로의 손가락 움직임은 주방향에 의해 선택된 문자에 'h'가 추가로 입력되도록 하는 문자입력 방법In the case of 'zscr' designated in the '3' key in Claim 50, the finger movements have a main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branching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perpendicular thereto, and the finger movement in the branching direction following the main direction is selected by the main direction. Character input method to add 'h' to character 청구항 50에서 모음의 경우 손가락움직임의 주방향이 좌우방향에 더하여 분기방향으로 상하방향으로 손가락이 이어질 경우 각 모음문자의 사성에 해당하는 입력이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0, wherein the vowels are inputted corresponding to the personality of each vowel character whe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nger movement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청구항 52에서 모음이 지정된 키의 위치가 사성 중에서 3성에 해당하고 손가락이 그 키의 위로 움직일 경우 차례로 2성, 1성, 경성을 그리고 손가락이 선택된 키의 아래쪽 키로 손가락이 움직일 경우 4성에 해당하는 모음 문자가 입력하는 방법The vowel corresponding to the vowel corresponding to the vowel according to claim 52 corresponds to three stars among the four stars and the four stars when the finger moves with the lower key of the selected key in turn when the finger moves over the key. How characters enter 청구항 50에서 각 키에 지정된 문자들의 배열의 방향이 좌우로 되는 자판배열방법으로 특히 '0'키에 지정된 'n ng r'을 'ng'를 기준문자로 하여 좌우로 배열하는 자판배열 방법50. A keyboard arrangement method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of the letters assigned to each key is left and right. In particular, the 'n ng r' assigned to the '0' key is arranged left and right with 'ng' as a reference character. 청구항 46에서 일본어의 경우 오십음을 나타내는 문자를 오음도(a e i o u)에 해당하는 각 문자군을 '1'~'0'에 다음과 같이 배열하고, '1' -> 'あいうえお', '2' -> 'かきくけこ', '3' -> 'さしすせそ', '4' -> 'たちつてと', '5' -> 'なにぬねの', '6' -> 'はひふへほ', '7' -> 'まみむめも', 8' -> 'やゆよ', '9' -> 'らりるれろ', '0' -> 'わをん' 각 키에 지정된 문자를 상하방향으로 배열하는 자판배열 방법In the case of Japanese, in the case of Japanese, the character group representing the fifty digit is arranged as follows in each letter group corresponding to aeiou as '1' to '0', and '1'-> 'あ い う え お', '2' -> 'Kakikukeko', '3'-> 'Sashisuse そ', '4'-> 'Tachitsuteto', '5'-> 'Nani ぬ ね の', '6'-> 'は ひ ふへ ほ ',' 7 '->' ま み む め も ', 8'-> 'や ゆ よ', '9'-> 'ら り る れ ろ', '0'-> 'わ を ん' The character assigned to each key Arrangement method to arrange the up and down direction 청구항 55에서 'か'군, 'さ'군, 'た'군, 'は'군의 경우 손가락움직임의 주방향(상하방향)에 이은 분기방향(좌우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선택된 문자의 음을 다음과 같이 입력시켜주는 자판배열 방법 ;In the case of か, さ, た, and は group, the movement of the finger movement in the main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branching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performed. Keyboard layout method to input as follows; 'か(きくけこ)' -> 'が(ぎぐげご)', 'か (き く け こ)'-> 'が (ぎ ぐ げ ご)', 'さ(しすせそ)' -> 'ざ(じずぜぞ)', 'さ (し す せ そ)'-> 'ざ (じ ず ぜ ぞ)', 'た(ちつてと)' -> 'だ(ぢづでど)','た (ち つ て と)'-> 'だ (ぢ づ で ど)', 'は(ひふへほ)' -> 'ば(びぶべぼ)' -> 'ぱ(ぴぷぺぽ)' 'は (ひ ふ へ ほ)'-> 'ば (び ぶ べ ぼ)'-> 'ぱ (ぴ ぷ ぺ ぽ)' 가상키패드 혹은 가상키보드상의 키에 두 개의 문자가 지정된 경우 기준문자의 입력은 지정된 키에 해당하는 접촉상태에서 손가락이 이격하는 경우 입력되고 비기준문자는 손가락이 지정된 키 영역 밖에서 손가락이 터치패드 혹은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상태를 끊어버릴 경우 입력 되도록 하는 방법When two characters are assigned to a virtual keypad or a key on the virtual keyboard, the input of the reference character is input when the fingers are separated from the contact state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key, and the non-reference character is the touch pad or touch when the finger is outside the designated key area. How to input when the contact with screen is broken 터치패드 혹은 터치스크린이 접촉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하는 기능을 가진 경우 가상키패드 혹은 가상키보드상의 키에 지정된 다수의 문자 중에서 기준문자의 입력은 지정된 키에 해당하는 접촉상태에서 손가락이 이격하는 경우 입력되고, 나머지 비기준문자는 손가락이 이격되기 전에 누름상태를 반복한 횟수에 따라 순서적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방법When the touch pad or touch screen has a function of distinguishing the contact state from the pressed state The input of the reference character among the plurality of characters assigned to the keys on the virtual keypad or the virtual keyboard is input when the finger is separated from the contact state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key. The remaining non-reference characters are entered in ord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ing state is repeated before the fingers are spaced apart. 가상키보드 혹은 가상키패드의 일정하게 분할된 각 키의 영역이 손가락이 접촉하여 활성화될 때 활성키에 해당하는 터치패드 혹은 터치스크린의 영역이 확대되어 실제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키 영역이 확장되는 방법When the area of each of the virtually divided keys of the virtual keyboard or the virtual keypad is activated by touching a finger, the area of the touch pad or touch screen corresponding to the active key is enlarged so that the key area that can be actually touched is expanded. 청구항 59에서 각 키의 모양이 직사각형인 경우 확대된 활성키의 영역과 활성화 되기 전 영역의 한 변의 길이의 비례비가 2배 이하인 경우로 활성키의 이웃한 키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활성화이전의 영역의 중심에서 이웃한 키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손가락 이동 경로가 50% 증가한 활성키 영역 확대 방법60. In the case of claim 59, when the shape of each key is a rectangle,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enlarged activation key to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active area is less than twice. To increase the activation key area by 50% more finger movement paths to activate neighboring keys 접촉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하는 터치패드에서 누름상태를 기능버튼의 버튼다운(Button-down)상태로 이용하는 방법How to use the pressed state as the button-down state of the function button on the touchpad that distinguishes the contact state from the pressed state 청구항 61에서 누름상태가 기준시간안에 종료될 경우 클릭 동작을 구현하고 기준시간보다 길어질 경우 클릭동작 이외의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61, wherein the click operation is terminated within the reference time, and the click operation is performed. 청구항 62에서 터치패드의 일부 영역(비활성영역)에서는 터치온(Touch-on)상태에서 터치오프(Touch-off)상태로 전환되더라도 버튼다운(Button-down)상태에는 변화를 가져오지 않게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62, wherein in some regions (inactive regions) of the touch pad, a change is not made in the button-down state even when the touch-on state is changed from the touch-on state to the touch-off state. 청구항 62에서 접촉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이 터치패드의 밑면 혹은 윗면에 기계적인 버튼스위치의 on/off 상태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버튼스위치가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전환되었지만 손가락이 터치패드에 닿아 있는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버튼홀드(Button-hold)상태를 실행하는 방법63. The method of claim 62, wherein the contact state and the pressing state is made by using the on / off state of the mechanical button switch on the bottom or the top of the touch pad, but the button switch is switched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but the finger touches the touch pad. How to execute a button-hold state while maintaining contact 청구항 63에서 비활성영역이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해 가변적으로 적용하는 방법66. The method of claim 63, wherein the non-active area is variably applied to facilitate the user's finger movement. 청구항 61에서 터치상태와 누름상태를 정의하는 누름압력 문턱값을 각각 2가지로 구분하여 터치오프(Touch-off)상태에서 터치온(Touch-on)상태로 전환시에 필요한 누름압력 문턱값(Ztouch)이 터치온(Touch-on)상태에서 터치오프(Touch-off)상태로 전환될 때의 누름압력 문턱값(Zdetouch)보다 크게 설정하고, 마찬가지로 터치온(Touch-on)상태에서 누름(Depressed)상태로 전환시에 필요한 누름압력 문턱값(Zdepress)이 누름(Depressed)상태에서 터치온(Touch-on)상태로 전환될 때의 누름압력 문턱값(Zpress - up)보다 크게 설정하는 방법In claim 61, the pressing pressure thresholds for defining the touch state and the pressing state are divided into two types, respectively, and the pressing pressure threshold value Z required for switching from the touch-off state to the touch-on state. touch )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pressing pressure threshold (Z detouch ) when the touch-on state is changed from the touch-on state to the touch-off state. When pressing the threshold value (Z depress ) necessary to switch to the depressed state, it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pressing pressure threshold value (Z press - up ) when switching from the depressed state to the touch-on state. Way 청구항 66에서 누름압력 완충 값 △Ztouch(Ztouch - Zdetouch), △Zdepress(Zdepress - Zpress - up)이 각각 Ztouch과 Zdepress의 10% 이상이 되도록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66, wherein the pressing pressure buffer values Z touch (Z touch -Z detouch ) and Δ Z depress (Z depress -Z press - up ) are respectively 10% or more of Z touch and Z depress . 접촉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하는 터치패드를 구현하는 방법으로 탄성체를 터치패드의 손가락 접촉면에 부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문자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탄성체를 가상키보드 혹은 가상키패드의 각 키에 해당하는 영역을 바둑판 모양으로 구분하는 방법In the method of attaching the elastic body to the finger contact surface of the touch pad as a method of implementing a touch pad that distinguishes the contact state from the pressed state, in order to facilitate character input, the elastic body may be divided into areas corresponding to each key of the virtual keyboard or the virtual keypad. How to divide by tiles 청구항 68에서 각 키에 해당하는 영역의 모양이 사각형, 마름모꼴, 원형, 타원형을 이루고 각각의 영역 사이에 골을 만들어 탄성체에 손가락이 닿을 경우 전정용량이 각 키에 집중되도록 하는 방법70. The method of claim 68, wherein the shape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each key is square, rhombic, round, oval, and a valley is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areas so that the vestibular capacity is concentrated on each key when a finger touches the elastic body. 청구항 69에서 가상키보드 혹은 가상키패드의 키에 해당하는 탄성체 영역 사이에 존재하는 골의 폭이 각각 탄성체의 가로 세로 폭의 50%이하 이도록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69, wherein the widths of the valleys existing between the elastic body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keys of the virtual keyboard or the virtual keypad are respectively 50% or less of the width and width of the elastic body. 청구항 66에서 누름압력이 누름상태 문턱값(Zdepress)을 초과하여 누름상태에 이르면 손가락의 움직임이 있어도 포인터의 위치가 누름상태 문턱값에 이른 상태의 위치로 고정되고 다시 터치상태로 되돌아오면 포인터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는 방법67. The method of claim 66, when the pressing pressure exceeds the pressing state threshold (Z depress ) to reach the pressing state, even if there is a finger movement, the position of the pointer is fixed to the position that reaches the pressing state threshold and returns to the touch state. How can movement become possible? 누름상태와 터치상태의 구분이 되지 않는 일반적인 터치패드 혹은 터치스크린의 경우 기능버튼의 버튼다운(Button-down)상태의 유지를 터치패드의 탭핑-터치(Tapping & Touch)로 수행하는 방법In the case of general touch pad or touch screen which cannot be distinguished between pressed state and touch state, the method of performing button-down maintenance of the function button by tapping & touching of the touch pad 청구항 72에서 버튼다운상태의 해제가 탭핑-터치(Tapping & Touch) 후에 발생하는 첫번째 탭핑 동작에서 이행되도록 하는 방법80. The method of claim 72 wherein a release of the buttondown state is to be effected in the first tapping action that occurs after tapping & touch. 청구항 55에서 일본어의 경우 각 키에 지정된 오음의 배열이 좌우로 배열되는 방법In the case of Japanese, the arrangement of pronunciations assigned to each key is arranged left and right in the case of Japanese 청구항 38에서 활성화된 키가 손가락의 이동에 이은 누름동작으로 새로운 키가 활성화되고 새로운 활성키에 지정된 복수의 문자가 확장되어 화면에 배열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38, wherein a new key is activated and a plurality of characters assigned to the new activation key are expanded and arranged on the screen by a pressing operation following a movement of a finger. 청구항 75에서 터치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하는 터치패드의 스위치가 터치패드의 전영역이 아닌 가상키보드의 각 키에 해당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하는 방법A method of using a touch pad in which a switch of a touch pad for distinguishing a touch state from a pressed state is locat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each key of a virtual keyboard rather than the entire area of the touch pad 청구항 58에서 터치상태와 누름상태를 구분하는 터치패드의 스위치가 터치패드의 전영역이 아닌 가상키보드의 각 키에 해당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58, wherein the switch of the touch pad that distinguishes the touch state from the pressed state is locat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each key of the virtual keyboard instead of the entire area of the touch pad. 다중접촉 기능을 갖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패드에 있어서 기능버튼 on/off 상태를 탄성체를 이용한 누름압력값의 이분화로 구현하는 방법A method for implementing a function button on / off state by dividing the pressing pressure value using an elastic body in a capacitive touch pad having a multi-contact function 청구항 55에서 기준문자를 각 활성키에 배정하고 나머지 4개의 문자를 활성키의 주 변키에 좌우대칭이 되고, 위로부터 아래로 순서대로 배열하는 방법 혹은 기준문자를 포함한 5개 문자를 활성키 주변 키에 위로부터 아래로 순서대로 배열하되 좌우가 대칭이 되도록 배열하는 방법In the method of claim 55, a reference character is assigned to each activation key and the remaining four characters are left-right symmetrical to the primary key of the activation key, and five characters including the reference character are arranged in order from top to bottom. Arrange in order from top to bottom in symmetry 청구항 79에서 활성 키를 눌러서 누름상태에 이르렀다가 다시 터치상태로 회복되는 경우 새로운 문자 그룹이 배열되도록 하는 방법79. A method according to claim 79 wherein a new group of characters is arranged when an active key is pressed and then restored to a touch state 청구항 58의 경우 가상키보드의 열의 갯수를 5~7개로 하여 하나의 열에 모음만을 모아 자음과 모음을 구분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58, wherein the number of columns of the virtual keyboard is set to 5 to 7 to separate consonants and vowels by collecting only vowels in one column. 청구항 62에서 버튼다운(Button-Down)상태의 해제는 누름상태->터치상태->터치오프(Touch-Off)상태로 이어지는 변화가 기준시간(tt°)이내에 이루어 질 경우에만 이루어지고 만약 이 기준시간보다 길어질 경우 버튼다운(Button-Down)상태를 지속시키는 방법The release of a button-down state in claim 62 is only made if the change leading to the pressed state-> touch state-> touch-off state is made within the reference time (t t °). How to keep button-down state when it is longer than standard time 청구항 68에서 가상키보드의 각 키 영역에 해당하는 터치패드의 분할 영역에 위치한 탄성체의 중심에 구멍을 만들고 이 구멍을 통해 터치패드를 관통한 빛이 손가락이 닿는 면을 조명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68, wherein a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elastic body located in the divided area of the touch pad corresponding to each key area of the virtual keyboard, and the light penetrating the touch pad through the hole illuminates the touched surface. 청구항 83에서 터치패드의 각 분할 영역에 중에서 활성키와 x좌표가 동일하거나 y좌표가 동일한 분할 영역에 다른 분할 영역의 조명과 구별이 되도록 색이 다르거나 on/off가 반대인 조명을 제공함으로서 화면상의 가상키보드 상의 활성키를 확인시키는 방법84. The apparatus of claim 83, wherein each partition of the touchpad is provided with a light having a different color or an on / off opposite light so that the active key and the x-coordinate are the same or the y-coordinate is distinguished from the lighting of the other partition. To check the activation key on the virtual keyboard 청구항 83에서 가상키보드의 행과 열을 대표하는 광원을 터치패드 외부 영역에 각 행과 열과 동일선상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가상키보드의 활성키에 해당되는 행과 열을 대표하는 광원의 조명을 나머지 광원의 조명과 색을 달리하거나, on/off가 반대인 조명을 제공함으로서 가상키보드 상의 활성키를 확인시키는 방법84. The apparatus of claim 83, wherein the light sources representing the rows and columns of the virtual keyboard are disposed at the same line as each of the rows and columns in the touch pad outer region, and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 sources representing the rows and columns corresponding to the active keys of the virtual keyboard is provided. To identify the activation key on the virtual keyboard by changing the color of the rest of the light source or by providing a light that is on / off opposite. 누름상태와 터치상태를 구분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가상키보드를 가상건반악기로 이용하는 방법How to use the virtual keyboard as a virtual keyboard instrument using a touchpad to distinguish between pressed state and touch state 청구항 86에서 가상키보드의 각각의 키에 하나의 기준음을 적용하고, 각 키에 해당하는 터치패드의 영역에 손가락이 닿으면 모든 키에 하나의 기준음과 관련된 정보가 지정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86, wherein one reference sound is applied to each key of the virtual keyboard, and when a finger touches an area of a touch pad corresponding to each key, information related to one reference sound is assigned to all keys. 청구항 87에서 가상키보드의 키에 지정된 기준음의 발생은 이 키에 해당하는 터치패드 영역이 누름상태에 이르러야 완성되는 방법87. The method of claim 87, wherein the generation of the reference sound assigned to the key of the virtual keyboard is completed when the touch pad area corresponding to the key is pressed. 청구항 87에서 기준음보다 반음의 차이를 가지는 음의 발생은 키를 접촉한 손가락이 터치된 상태에서 이웃한 영역으로 이동하면 이루어지는 방법87. The method of claim 87, wherein the generation of a sound having a difference in semitones from the reference sound is made by moving to a neighboring area while a finger touching a key is touched. 청구항 89에서 기준음보다 높은 음의 경우 손가락이 기준음에 해당하는 키를 접촉한 손가락이 가상키보드의 상부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발생되고, 기준음보다 낮은 음의 경우 가상키보드의 하부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발생되는 방법In the case of a note higher than the reference sound, the finger touches a key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sound when the finger moves to the upper side of the virtual keyboard, and when the sound is lower than the reference sound, the finger moves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virtual keyboard. How 청구항 87에서 기준음과 관련된 화음 코드는 기준음에 해당하는 터치패드 분할영역 에 머물고 있는 손가락을 좌우에 위치한 분할영역으로 이동하여 눌러줌으로서 이들 분할 영역에 해당하는 키에 지정된 화음코드를 선택하여 발생시키는 방법The chord code associated with the reference sound is generated by selecting a chord code assigned to a key corresponding to the partition by moving and pressing a finger staying in the touch pad parti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sound to the left and right partitions. How to let 청구항 87에서 음의 발생이 이루어진 손가락의 위치에서 추가적으로 좌우 이동이 있을 경우 이동한 거리에 따라 음색이 변화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87, wherein the ton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istance moved when there is additional left and right movement at the position of the finger where the sound is generated. 청구항 14에서 탄성체가 공기층을 포함하여 누름상태에서 공기층의 영역이 감소하여 유전율의 증가가 수반되어 터치압력과 누름압력의 차이를 증폭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elastic body includes an air layer, and the area of the air layer is reduced,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permittivity, thereby ampl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uch pressure and the press pressure. 청구항 93에서 폴리우레탄 폼 스폰지와 같이 공기층이 탄성체 내에 균일하게 분포하는 구조물을 이용하는 방법93. A method of using a structure in which an air layer is uniformly distributed within an elastomer, such as a polyurethane foam sponge. 청구항 93에서 러버돔 스위치와 같이 공기층이 탄성체 내에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누름상태에서 탄성체의 형태의 변형으로 공기층 영역이 감소되는 형태를 이용하는 방법93. A method of using a form in which an air layer is structurally separated in the elastic body such as a rubber dome switch and the air layer region is reduced by deformation of the elastic body in a pressed state. 청구항 95에서 탄성체 대신에 비탄성체가 사용되고 공기층의 영역의 감소는 탄성체의 형태의 변화가 아니라 손가락이 공기층으로의 침투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이용하는 방법97. A method in which a non-elastic material is used in place of an elastic body and the reduction in the area of the air layer uses a structure in which the finger is penetrated into the air layer rather than a change in the shape of the elastic body. 청구항 88에서 각 키에 지정된 기준음은 조의 변화에 따라 악보상의 음표의 위치에 해당하는 음이 되도록 하는 방법 즉 A장조와 같이 악보 상에 C에 위치한 음표는 C#에 해당하는 음높이를 가지므로 가상키보드의 C 키는 C#의 기준음을 갖도록 하는 방법88. The method of designating a reference sound assigned to each key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a pair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a pair of musical notes, that is, a note located in C on a sheet of music, such as A major, has a pitch corresponding to C #. To make the C key in C # have a reference sound 청구항 97의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음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디지탈 건반악기의 경우 B키와 C키 사이 및 E키와 F키 사이에도 검은 건반을 삽입하여 장, 단조에 관계없이 흰색 건반이 모든 조의 기본음을 가지도록 하는 방법In the case of digital keyboard instruments whose pitch can be changed to apply the method of claim 97, a black key is inserted between the B key and the C key, and between the E and F keys, so that the white keys are the basic sound of all pairs regardless of the major or minor. How to have 청구항 61에서 탭핑 동작은 일반적인 터치패드의 오른쪽 기능버튼의 기능(메뉴확장기능)을 담당하도록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61, wherein the tapping operation is to perform a function (menu extension function) of a right function button of a general touch pad. 청구항 61에서 포인팅모드를 일반적인 포인팅모드와 팬 모드로 확장 구분하게 하고, 더블 탭핑 동작에 의해 상호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62. The method of claim 61, wherein the pointing mode is extended into a general pointing mode and a fan mode, and the mutual conversion is performed by a double tapping operation. 청구항 99와 100에서 탭핑과 더블 탭핑의 기능이 상호 전환되도록 하는 방법A method of causing the functions of tapping and double tapping to switch between in claims 99 and 100 청구항 100의 팬 모드의 경우 포인터의 움직임에 따라 화면도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는 방법In the case of the fan mode of claim 100, the method moves the screen simultaneously with the movement of the pointer. 청구항 100의 팬 모드에서 드래그 동작은 줌(Zoom) 동작을 이루도록 하는 방법A drag operation in a pan mode of claim 100 causes a zoom operation to occur 청구항 103에서 드래그 동작이 좌상에서 시작하여 시작점보다 오른쪽 하단 쪽에서 종결될 경우 시작점과 종결점이 이루는 영역이 확대 되도록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03, wherein when the drag operation starts from the upper left and ends at the lower right side than the starting point, the area where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ing point are formed is enlarged. 청구항 104에서 시작점과 종결점이 바뀐 경우 시작점과 종결점이 이루는 직각사각 형의 면적과 화면전체의 면적의 비에 따라 축소되어 결과적으로 줌 아웃(Zoom out)이 되도록 하는 방법104. The method of claim 104, wherein when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are changed, the method reduces the ratio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rectangular rectangle formed from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to the area of the entire screen, and consequently zooms out. 청구항 1에서 문자입력을 위해 손가락 좌표에 의한 포인터 제어방식으로의 변환이 탭핑 혹은 더블 탭핑에 의해 이루어지는 방법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version to a pointer control method by finger coordinates for character input is performed by tapping or double tapping 청구항 61에서 일정시간 안에 누름상태가 두 번 반복될 경우 더블 클릭 동작이 구현되는 방법62. A method of implementing a double-click operation when the pressing state is repeated twice within a certain time. 청구항 62에서 클릭동작의 구현 방법에 있어서 누름상태 종료 후에 터치상태가 지속될 경우 버튼다운상태를 지속하고, 버튼업 상태로의 전환은 버튼다운상태에서 발생하는 클릭동작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62. The method of implementing a click operation according to claim 62, wherein if the touch state continues after the end of the pressed state, the button-down state is maintained, and the switching to the button-up state is performed by a click action occurring in the button-down state. 청구항 62에서 기준시간안에 누름상태에서 터치상태로의 전환이 이루어질 경우 클릭 기능을 부여하고, 누름상태->터치상태-> 터치오프상태까지로의 전환 과정이 기준시간안에 이루어지는 경우는 클릭동작 이외의 또 다른 기능을 부여하는 방법62. If the switching from the pressed state to the touch state is made within the reference time, the click function is given, and if the switching from the pressed state to the touch state to the touch-off state is performed within the reference time, How to give another feature 청구항 에서 62에서 누름상태가 기준시간보다 길어질 경우 메뉴확장 기능을 부여하는 방법A method for providing a menu extension function when the pressing state becomes longer than the reference time in claim 62 청구항 109에서 누름상태->터치상태-> 터치오프상태까지로의 전환 과정이 기준시간안에 이루어지는 경우 메뉴확장 기능을 부여하는 방법109. A method for providing a menu extension function when a process of switching from a pressed state to a touch state to a touch-off state occurs within a reference time; 청구항 110과 111에서 터치패드의 탭핑( 터치오프->터치->터치오프 과정이 기준 시간안에 이루어지는 동작) 포인팅모드에서 문자입력모드로의 전환 기능을 부여하고, 기준시간안에 터치오프->터치->터치오프->터치(탭핑 & 터치)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포인팅모드<->pan 모드로의 상호 전환 기능을 부여하는 방법Claims 110 and 111 provide a function of switching from a pointing mode to a text input mode by tapping the touch pad (operation in which the touch-off-> touch-> touch-off process is performed within a reference time), and touching-off-> touch- within a reference time. When touch-to-touch (tap & touch) operation is performed, the method of providing mutual switching function to the pointing mode &lt;-&gt; 청구항 14에서 터치상태에서 발생하는 터치패드 센서 단자의 정전용량 변화 최대치를 기저값(base)으로하여 이 보다 작은 수치의 정전용량 변화 값은 '0'으로 설정하는 잡음제거 방법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maximum capacitance change value of the touch pad sensor terminal generated in the touch state is set as a base, and the smaller capacitance change value is set to '0'. 청구항 113의 잡음제거 방식을 이용하여 누름 상태에서만 손가락의 위치가 산출되도록 하는 방법A method of calculating the position of a finger only in a pressed state using the noise canceling method of claim 113
KR1020090114858A 2009-08-23 2009-11-25 A new model of a virtual music keyboard with the touch keypad KR20110058171A (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858A KR20110058171A (en) 2009-11-25 2009-11-25 A new model of a virtual music keyboard with the touch keypad
KR1020147001699A KR20140018436A (en) 2009-08-23 2010-08-23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tilizing word prediction and method thereof
US13/391,875 US20120149477A1 (en) 2009-08-23 2010-08-23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 using extension key
KR1020147030950A KR101560372B1 (en) 2009-08-23 2010-08-23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tilizing word prediction and method thereof
KR1020127004777A KR101426843B1 (en) 2009-08-23 2010-08-23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tilizing extension key and method thereof
PCT/KR2010/005604 WO2011025200A2 (en) 2009-08-23 2010-08-23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 using extension key
US14/208,476 US10936086B2 (en) 2009-08-23 2014-03-13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utilizing extension key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858A KR20110058171A (en) 2009-11-25 2009-11-25 A new model of a virtual music keyboard with the touch keyp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171A true KR20110058171A (en) 2011-06-01

Family

ID=4439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858A KR20110058171A (en) 2009-08-23 2009-11-25 A new model of a virtual music keyboard with the touch key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8171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015B1 (en) * 2011-12-16 2013-12-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A method for recognizing ponter control commands based on finger motions
KR20150076568A (en) * 2013-12-27 2015-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KR20150079838A (en) * 2013-05-22 2015-07-08 시아오미 아이엔씨. Input method and system
CN107393506A (en) * 2017-08-15 2017-11-24 北京库客音乐股份有限公司 Automatic error-correcting piano
CN111507355A (en) * 2020-04-17 2020-08-07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3821807A (en) * 2021-08-18 2021-12-21 北京中电飞华通信有限公司 Encryption method and device, decryption method and device and security system of RFID asset informatio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015B1 (en) * 2011-12-16 2013-12-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A method for recognizing ponter control commands based on finger motions
KR20150079838A (en) * 2013-05-22 2015-07-08 시아오미 아이엔씨. Input method and system
US9703479B2 (en) 2013-05-22 2017-07-11 Xiaomi Inc. Input method and device using same
KR20150076568A (en) * 2013-12-27 2015-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N107393506A (en) * 2017-08-15 2017-11-24 北京库客音乐股份有限公司 Automatic error-correcting piano
CN111507355A (en) * 2020-04-17 2020-08-07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3821807A (en) * 2021-08-18 2021-12-21 北京中电飞华通信有限公司 Encryption method and device, decryption method and device and security system of RFID asset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7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 in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EP2209646B1 (en) Wireless handheld device able to accept text input and methods for inputting text on a wireless handheld device
KR100954594B1 (en) Virtual keyboard input system using pointing apparatus in digial device
JP4084582B2 (en) Touch type key input device
US71903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input
US20110141027A1 (en) Data entry system
WO2004010276A1 (en) Information display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input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102103454A (en) Human-machine interface for predicting user input in real time
JP2010033272A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WO2010018579A2 (en) Improved data entry system
KR20110058171A (en) A new model of a virtual music keyboard with the touch keypad
KR20090115831A (en) Pressing SW for Multi-touch touchpad
JP2012084190A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JP2002342011A (en) Character input system,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program and kana/kanji conversion program
US9250710B2 (en) User interface for a hand held device
KR201000396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using touch screen
KR100656779B1 (en) Alphabet Input Apparatus Using A TouchPad And Method Thereof
KR20150132896A (en) A remote controller consisting of a single touchpad and its usage
KR20090091269A (en) Text input method by a touch pointing device with a bottom switch
KR20150066903A (en) Input method in touch screen device
TWI468986B (en) Electronic device, input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of
KR20080078088A (en) Portable digital device having touchpad with two pointing modes of displacement control and coordinate control
KR20080105183A (en) Portable digital device having touchpad with two pointing modes of displacement control and coordinate control
JP20120605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of korean alphabet
JP4027964B2 (en) Keyboard sheet sett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