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372B1 -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tilizing word prediction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tilizing word prediction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372B1
KR101560372B1 KR1020147030950A KR20147030950A KR101560372B1 KR 101560372 B1 KR101560372 B1 KR 101560372B1 KR 1020147030950 A KR1020147030950 A KR 1020147030950A KR 20147030950 A KR20147030950 A KR 20147030950A KR 101560372 B1 KR101560372 B1 KR 101560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divided
word
ext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09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41713A (en
Inventor
박태운
심상정
노희명
박은수
심민섭
Original Assignee
(주)티피다시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9007791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10020341A/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9008468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10026857A/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9008619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10028419A/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9009145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10034084A/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9009902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10042144A/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9010457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10047809A/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9011485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10058171A/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0000148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10081365A/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0000816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10088310A/en
Application filed by (주)티피다시아이 filed Critical (주)티피다시아이
Priority claimed from PCT/KR2010/005604 external-priority patent/WO2011025200A2/en
Publication of KR20140141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713A/en
Publication of KR101560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3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키를 이용한 정보입력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의 분할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할영역을 감지하는 입력부; 및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에 대응되는 정보를 할당하고, 상기 입력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 중 어느 하나의 분할영역이 선택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분할영역에 할당된 정보가 입력되는 것으로 해석하는 입력해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 각각은 복수의 문자가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분할영역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들을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의 순서에 따라 조합하여 생성될 수 있는 예측단어들이 추출되어 상기 각각의 분할영역에 할당되며,상기 입력해석부는 상기 예측단어가 할당된 분할영역이 소정의 방법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방법에 의해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예측단어가 입력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 using an extended ke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 using word prediction.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n input unit having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detecting a divided area selected by a user among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an input analyzing unit for assign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interpreting information input to the divided area as input when the input unit detects that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is selected,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when one or more of the divided areas is selected, a plurality of characters assigned to the selected divided area are combin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selected divided area, Wherein the predictive words that can be generated by the prediction method are extracted and allocated to the respective divided areas, and when the divided areas to which the predictive words are allocated are selected by a predetermined method, And the predicted word is interpreted as being input. .

Description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 및 정보입력방법{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tilizing word prediction and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inputting system,

본 발명은 확장키를 이용한 정보입력시스템 및 그 정보입력시스템을 이용한 정보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 입력시스템 및 정보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input system using an extended key and an information input method using the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an information input method through word prediction.

구체적으로 소형 디지털기기의 입력시스템에 확장키가 구비되어 있고, 이 확장키가 선택될 때 확장 영역에 새로운 항목이 할당되어 사용자가 새로 할당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 때 예측단어가 새로 할당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Specifically, the input system of the compact digital device is provided with an extended key. When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a new item is allocated to the extended area, so that the user can input newly allocated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n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made to be as follows.

최근에는 휴대폰, 게임기 등 많은 소형 디지털기기가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many small digital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game machines have been introduced and used.

이러한 소형 디지털기기는 언제 어디서나 가지고 다닐 수 있고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많은 사람의 사랑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앞으로도 다양한 제품이 소형화되어 생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These compact digital devices are loved by many people because they can be carried and used anytime and anywhere. For this reason, various products are expected to be miniaturized in the future.

한편, 이러한 소형 디지털기기에서의 문제점은 문자 등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 problem in such a small digital device is that there is not enough space available for inputt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such as characters.

예를 들어, 휴대폰의 경우 총 12개의 키만을 이용하여 모든 문자, 숫자 등을 입력하여야 하는데, 이렇게 적은 수의 키만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것은 아무래도 PC의 자판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쿼티(qwerty) 자판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불편하고 입력속도가 느려질 수밖에 없다. For example, in a mobile phone, all letters, numbers, and the like must be input using only a total of 12 keys. In order to input information using only a small number of keys, a qwerty keyboard The input speed is inconvenient and the input speed is inevitably slowed.

한글의 경우 다른 어떤 문자보다도 휴대폰이 보편화 되면서 그 입력 방법이 다양해졌다. 그 이유는 자음과 모음의 분리 방법의 다양성과 각각의 자모의 표현 방법의 다양성에 있다. In the case of Hangul, the input method has been diversified as mobile phones become more common than any other characters. The reason for this is in the diversity of the method of separating consonants and vowels and in the variety of ways of expressing each letter.

즉, 이렇게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는 이유는 가능한 한 키를 눌러 주는 횟수를 줄여주고, 키를 눌러 주기 위해 손가락이 움직이는 거리를 줄여 주어 되도록 사용자가 편리하게 문자입력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That is, the reason why the various methods exist is to reduce the number of key presses as much as possible, and to reduce the distance that the finger moves in order to press the key,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input characters .

그러나, 이러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쿼티 자판에 비해 불편하다는 것은 인정할 수밖에 없으며, 각 제품의 개발자들은 키의 갯수를 최소한으로 줄이면서도 가능한 한 키를 눌러 주는 횟수를 줄여주고, 키를 눌러 주기 위해 손가락이 움직이는 거리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In spite of this research, it is still uncomfortable compared to the QWERTY keyboard, and developers of each product can reduce the number of key presses as much as possible while minimizing the number of keys, There are many studies to develop a method to reduce moving distance.

한글뿐만 아니라 영어, 중국어, 힌두어 등 기타 언어의 입력장치도 한글과 마찬가지로 보다 효율적인 입력방법을 찾아내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여전히 획기적인 방법은 개발되지 않고 있으며,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에는 풀 쿼티 자판이 채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to Hangul, research on input devices of other languages such as English, Chinese, and Hindi has been actively pursued to find a more efficient input method as in Hangul, but there is still no revolutionary method developed. Recently, It is a fact that keyboard is adopted.

선행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71523, 2008.08.04.Prior Ar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71523, 2008.08.04. 선행문헌 2.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5-0106613, 2005.11.11.Prior art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106613, November 11, 2005. 선행문헌 3.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8-0083986, 2008.09.19Prior Art Document 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83986, September 19, 2008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입력시스템의 크기가 제한되는 소형 디지털기기에 이용되는 입력시스템에 있어서 한 키를 눌러 주는 횟수를 줄여주고, 키를 눌러 주기 위해 손가락이 움직이는 거리를 줄여 줄 수 있는 효율적인 정보입력시스템 및 그 입력시스템을 이용한 정보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n input system used in a small-sized digital device having a limited size of an input system,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times a key is pressed and the distance that a finger moves And an information input method using the input system.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record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복수의 분할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할영역을 감지하는 입력부; 및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에 대응되는 정보를 할당하고, 상기 입력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 중 어느 하나의 분할영역이 선택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분할영역에 할당된 정보가 입력되는 것으로 해석하는 입력해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해석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분할영역에는 확장키가 할당되도록 하며, 상기 확장키가 선택되면, 상기 확장키에 따라 정해진 분할영역인 확장영역에 새로운 정보가 할당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키를 이용한 정보입력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input unit having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detecting a divided area selected by a user among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an input analyzing unit for assign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interpreting information input to the divided area as input when the input unit detects that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is selected, Wherein the input analysis unit allocates an extended key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when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new information is added to the extended area defined by the extended key And an information input system using the extended key.

여기서, 상기 정보입력시스템은 상기 분할영역에 할당된 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information inpu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divided area on the screen.

이 때 상기 확장영역에 속하는 분할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분할영역에 할당되는 정보는 초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f the divided area belonging to the extended area is selected, the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divided area is preferably initialized.

또한, 상기 입력부는 키패드 또는 터치센서일 수 있으며, 터치센서의 경우 터치센서의 하단에 압력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터치센서를 누르는 경우 상기 터치센서가 아래로 이동하여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는 방식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누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nput unit may be a keypad or a touch sensor. In case of a touch sensor, a pressure sensor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touch sensor. When the user presses the touch sensor, the touch sensor moves down,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detect whether the user is pressed or not.

또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접촉, 누름 또는 접촉 후 이격 여부에 따라 상기 분할영역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input unit senses whether the divided region is selected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touches, presses, or separates after touching.

또한, 상기 정보입력시스템은 게임에 이용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확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을 선택한 경우 상기 입력해석부는 상기 확장키에 따라 정해진 분할영역인 확장영역에 상기 게임을 위한 메뉴가 할당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formation input system is used for a game, and when the user selects a divided area to which the extended key is allocated, the input analyzing unit may assign a menu for the game to the extended area defined by the extended key .

이 때, 상기 입력해석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확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을 누른 후, 상기 메뉴가 할당된 분할영역으로 드래그한 후 이격시키면 상기 이격시킨 위치의 분할영역에 할당된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input analyzing unit determines that the menu allocated to the divided area at the separated position is selected when the user presses the divided area allocated with the extended key, and then dragging the divided area to the divided area allocated with the menu and then separating .

한편, 상기 정보입력시스템은 문자입력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며, 한글, 영어, 힌두어, 중국어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Meanwhile, the information input system can be applied to a character input system, and can be applied to Korean, English, Hindi, Chinese, and the like.

또한, 상기 정보입력시스템은 휴대폰에 적용되며, 상기 휴대폰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숫자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에 문자키가 할당되도록 한다. Also, the information input system is applied to a mobile phone, and a character key is assigned to a divided area to which a number key is assigned to input a phone number in the mobile phone.

한편, 상기 정보입력시스템은 한글입력시스템이며,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에는 일대일로 대응되는 제1문자세트가 할당되며, 상기 확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확장키에 따라 정해지는 분할영역인 확장영역에 복수의 문자가 새로 할당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formation input system is a Hangul input system, and a first character set corresponding to one-to-one correspondence is allocated to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when a divided area allocated with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newly allocated to the extension area which is an area.

또한, 적어도 하나의 분할영역에는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되며, 상기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된 분할영역이 선택될 때마다 입력될 문자가 변경되도록 하거나, In addition,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llocated to at least one of the divided regions, a character to be input is changed each time a divided region to which the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ssigned,

적어도 하나의 분할영역에는 상기 복수개의 문자를 선택하는 기능키가 할당되어서, 상기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된 분할영역이 선택된 후, 상기 기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기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이 선택된 횟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문자 중 입력이 될 문자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function key for selecting the plurality of characters is assigned to at least one of the divided areas, and when a divided area to which the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ssigned is selected and a divided area to which the function key is assigned is selected, And a character to be input among the plurality of characters is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divided region is selected.

또한, 상기 제1문자세트는 모음을 포함하지 않은 문자세트이며, 적어도 하나의 확장키가 선택되어질 때 정해지는 확장영역을 구성하는 분할영역에는 모음을 포함하는 문자세트가 새로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character set is a character set that does not include a vowel, and a character set including a vowel is newly allocated to a divided area constituting an extended area determined when at least one extended key is selected.

또한, 모음을 포함하는 문자세트가 새로 할당되는 확장영역은 상기 확장키가 선택된 분할영역을 중심으로 인접한 정방형을 이루는 분할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extended area to which a character set including a vowel is newly allocated is formed of a divided area forming a square adjacent to the divided area selected by the extended key.

또한, 상기 모음이 포함된 문자세트를 새로 할당하기 위해 이용되는 확장키가 선택되었을 때 할당되는 문자세트는 단모음으로 구성된 문자세트인 것이 바람직하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character set to be allocated when the extended key used for newly assigning the character set including the vowel is selected is a character set composed of short vowels.

또한, 상기 모음을 포함하는 문자세트 중 'ㅗ' 및 'ㅜ'에 해당하는 문자는 상기 확장영역을 이루는 정방형 중 모서리에 위치한 분할영역에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mong the character sets including the vowel, th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ㅗ' and 'ㅜ' are preferably allocated to the divided areas located at corners of the square forming the extended area.

또한, 상기 모음이 포함된 문자세트를 새로 할당하기 위해 이용되는 확장키가 선택되었을 때는 단모음으로 구성된 문자세트가 상기 확장영역에 할당되고, 상기 상기 모음이 포함된 문자세트를 새로 할당하기 위해 이용되는 확장키가 다시 선택된 경우에는 겹모음으로 구성된 문자세트가 할당되도록 할 수 있다.Also, when an extended key used for newly assigning a character set including the vowel is selected, a character set composed of a short vowel is assigned to the extended area, and a character set used for newly assigning the character set including the vowel If the expansion key is selected again, it is possible to assign a character set composed of a double vowel.

또한, 상기 모음이 포함된 문자세트를 새로 할당하기 위해 이용되는 확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에는 자음도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확장키 및 자음이 할당된 분할영역이 선택될 때, 자음이 입력될 차례인지 모음이 입력될 차례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자음 및 상기 확장키 중 하나가 선택된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a consonant is also allocated to the divided area to which the extended key used for newly assigning the character set including the vowel is allocated. When the divided area allocated with the extended key and the consonant is selected, It is preferable that one of the consonant and the extended key is interpreted as being select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consonant vowel is to be inputted.

또한, 상기 입력부는 터치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모음이 포함된 문자세트를 새로 할당하기 위해 이용되는 확장키를 선택된 후 상기 단모음이 할당된 확장영역을 드래그한 후 이격하는 경우, 상기 드래그하면서 접촉된 단모음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복모음이 입력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may include a touch sensor. When the user selects an extension key used for newly assigning a character set including the vowel and then drags and separates the extension area allocated with the short vowel, It is preferable to interpret the input of a double voice formed by a combination of short vowel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모음이 포함된 문자세트를 새로 할당하기 위해 이용되는 확장키가 두번 선택된 후, 상기 확장영역에 할당된 단모음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단모음의 겹모음이 입력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In addition, when selecting the short vowels allocated to the extended area after the extension key used for newly assigning the character set including the vowel is selected twice, it may be interpreted that the selected double vowels of the selected short vowels are input,

상기 모음이 포함된 문자세트를 새로 할당하기 위해 이용되는 확장키가 두번 선택되고, 상기 확장영역에 할당된 서로 다른 두개의 단모음이 순차적으로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두개의 단모음이 조합된 복모음이 입력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으며,When an extension key used for newly assigning a character set including the vowel is selected twice and two different short vowels allocated to the extension area are sequentially selected, a combination of the selected two short vowels is input And,

상기 모음이 포함된 문자세트를 새로 할당하기 위해 이용되는 확장키가 선택된 후, 상기 확장영역에 할당된 단모음을 선택되고, 다시 상기 모음이 포함된 문자세트를 새로 할당하기 위해 이용되는 확장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단모음의 겹모음이 입력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An extension key used for newly assigning a character set including the vowel is selected, a short vowel assigned to the extension area is selected, and an extension key used for newly assigning a character set including the vowel is selected , It may be interpreted that the selected double vowel sound is input.

한편, 상기 정보입력시스템은 휴대폰에 적용되며, 상기 제1문자세트에는 입력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이동키가 포함되거나, 가장 최근에 입력된 문자의 입력을 취소할 수 있는 취소키가 포함되거나, 상기 제1문자세트에 포함되는 자음을 경음 또는 격음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경음 격음키가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formation input system is applied to a cellular phone, and the first character set includes a move key for changing the input position, or a cancel key for canceling the input of the most recently inputted character, And a verb sounding key capable of changing the consonants included in the first character set to beep or trembling.

또한, 상기 제1문자세트 중 자음이 할당된 분할영역은 확장키의 기능도 구비하며, 상기 자음이 할당된 분할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자음과 인접한 확장영역에는 모음으로 구성된 문자세트가 할당될 수 있다.In the first character set, the divided area to which the consonant is allocated has a function of an extended key. When the divided area to which the consonant is allocated is selected, a character set composed of a vowel may be assigned to the extended area adjacent to the consonant have.

또한, 상기 자음이 할당된 분할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에 의한 확장영역에는 모음 및 상기 자음의 경음 및 격음이 할당될 수 있다.Further, when the divided region to which the consonant is allocated is selected, the vowel and the consonant of the consonant may be allocated to the extended region by the selected divided region.

한편, 상기 정보입력시스템은 영어입력시스템이며,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 각각은 복수의 문자가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이 하나 이상 선택된 후, 상기 확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의 조합으로 가능한 단어의 목록이 상기 확장영역에 할당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input system is an English input system, wherein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when a divided area allocated with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after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is selected, A list of possible words in a combination of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selected divided area may be assigned to the extended area and selected by the user

또한, 상기 확장키가 선택된 후 확장영역에 할당된 단어 중 어느 하나의 단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단어 및 스페이스키가 순차적으로 입력된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In addition, if any one of the words assigned to the extended area is selected after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selected word and the space key are sequentially input,

상기 확장키가 선택된 후 확장영역에 할당된 단어 중 어느 하나의 단어가 선택된 후, 다시 상기 확장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단어 및 스페이스키가 순차적으로 입력된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If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after any one of the words assigned to the extended area is selected after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the selected word and the space key may be interpreted as being sequentially input.

또한, 상기 확장키가 선택된 후, 상기 복수의 문자가 할당된 분할영역이 하나 이상 선택된 후, 다시 상기 확장키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의 조합으로 가능한 단어 중 선택된 단어는 대문자로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and one or more of the divided regions to which the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llocated is selected and the extended key is again selected, a selected word among the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selected divided region is an uppercase letter .

또한, 상기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된 분할영역에는 숫자도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된 분할영역 중 제1분할영역이 선택된 후, 상기 확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이 할당되고, 상기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된 분할영역 중 제2분할영역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1분할영역에 할당된 복수개의 문자 중 제2분할영역에 할당된 숫자의 순서에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number is assigned to the divided area to which the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llocated, a divided area to which the extended key is allocated is allocated after the first divided area is selected among the divided areas to which the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llocated, When a second divided area is selected from among the divided areas allocated to the first divided area,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order of the numbers assigned to the second divided area among the plurality of characters allocated to the first divided area is input.

또한, 상기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된 분할영역은 드래그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vided area to which the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llocated can be selected in a drag manner.

또한, 상기 확장키가 선택된 후 확장영역에 할당된 단어 중 어느 하나의 단어가 선택된 후, 다시 상기 확장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단어가 입력되고, 상기 확장영역에 기호가 새로 할당되어 선택받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and any one of the words assigned to the extended area is selected and then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again, the selected word is input and a symbol is newly allocated to the extended area to be selected .

또한, 상기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된 분할영역이 순차적으로 선택될 때, 상기 입력해석부는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어들의 목록 중 하나의 단어를 추출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추출된 단어를 임시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divided regions to which the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llocated are sequentially selected, the input analyzing unit extracts one word from a list of words including a combination of characters assigned to the selected divided region, It is preferable to temporarily output the extracted words.

이 때,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어들 중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의 조합 부분이 모두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출력부는 상기 확장영역에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의 조합 부분을 제외한 문자만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when all of the combinations of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selected divided area among the words including the combination of the characters allocated to the selected divided area are all the same, the output unit displays the character assigned to the selected divided area in the extended area It is preferable to output only the characters except for the combination part.

또한, 상기 확장키가 선택된 후, 상기 복수의 문자가 할당된 분할영역이 하나 이상 선택된 후, 다시 상기 확장키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의 조합으로 가능한 단어 중 선택된 단어는 대문자로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and one or more of the divided regions to which the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llocated is selected and the extended key is again selected, a selected word among the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selected divided region is an uppercase letter .

한편, 상기 정보입력시스템은 힌디어입력시스템이며,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에는 일대일로 대응되고, 모음이 포함되지 않은 제1문자세트가 할당되며, 상기 확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확장키에 따라 정해지는 분할영역인 확장영역에 모음을 포함하는 문자세트가 새로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formation input system is a Hindi input system, and a first character se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on a one-to-one basis and not including a vowel is allocated. When the divided area allocated with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It is preferable that a character set including a vowel is newly allocated to the extension area which is a divided area defined by the key.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복수의 분할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할영역을 감지하는 입력부; 및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n input unit having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and detecting a divided region selected by a user among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And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에 대응되는 정보를 할당하고, 상기 입력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 중 어느 하나의 분할영역이 선택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분할영역에 할당된 정보가 입력되는 것으로 해석하는 입력해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 각각은 복수의 문자가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분할영역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들을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의 순서에 따라 조합하여 생성될 수 있는 예측단어들이 추출되어 상기 각각의 분할영역에 할당되며, 상기 입력해석부는 상기 예측단어가 할당된 분할영역이 소정의 방법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방법에 의해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예측단어가 입력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을 제공한다. An input analyzing unit that allocat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interprets that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divided area is input when the input unit detects that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is selected; Wherein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when one or more of the divided areas is selected, a plurality of characters assigned to the selected divided area are combin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selected divided areas The predictive words that can be generated are extracted and allocated to each of the divided areas, and when the divided area to which the predictive word is allocated is selected by a predetermined method, And the word input is interpreted as a word input.

여기서 상기 입력해석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할영역에는 확장키가 할당되도록 하고, 상기 분할영역이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확장키가 선택되면, 상기 확장키를 제외한, 상기 확장키에 인접한 분할영역을 포함하는 확장영역에 상기 추출된 예측단어가 할당되며, 상기 분할영역이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확장키가 선택된 후 상기 확장영역에 속하는 분할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예측단어가 할당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예측단어가 입력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Wherein the input analysis unit allocates an extended key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when one or more of the divided areas is selected and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When the extracted predicted word is allocated to an extended area including an adjacent divided area and one or more of the divided areas is selected and a divided area belonging to the extended area is selected after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rediction word assigned to the region is input.

또한, 상기 입력부는 터치센서를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의 접촉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해석부는 상기 예측단어가 할당된 분할영역에 상기 사용자가 접촉한 후, 소정 거리 이상 드래그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분할영역에 할당된 예측단어가 입력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may include a touch senso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has touched the input unit. If the input unit is determined to have been dragg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fter the user touches the divided region to which the predictive word is allocated,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rediction word allocated to the divided area is inputted.

또한, 상기 입력해석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할영역에는 확장키가 할당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이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확장키가 선택된 후 상기 확장영역에 속하는 분할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예측단어가 할당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예측단어 및 스페이스키가 순차적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이 하나 이상 선택된 다음 이루어지는 상기 확장키의 선택과 상기 분할영역의 선택은 터피센서 상에서 하나의 드래그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put analyz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allow an extended key to be alloca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to select a divided area belonging to the extended area afte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is selected and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The prediction word and the space key allocated to the divided area to which the predictive word is allocated may be sequentially input, and selection of the extended key, which is performed after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re selected, Lt; RTI ID = 0.0 > a < / RTI > drag operation on the touch sensor.

또한,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이 하나도 선택되지 않아 상기 예측단어가 상기 분할영역에 할당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확장키의 선택과 상기 분할영역의 선택을 이루는 하나의 드래그 동작이 상기 예측단어의 입력대신에 선택된 분할영역에 해당하는 문자를 대문자로 입력되도록 하여쉬프트(shift) 키의 기능을 담당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n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is selected and the predicted word is not allocated to the divided region, one drag operation that includes the selection of the extended key and the selection of the divided region is performed in place of the input of the predicted word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ivided area may be input in capital letters so as to function as a shift key.

또한, 상기 분할영역이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확장키, 상기 확장영역에 속하는 분할영역, 상기 확장키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예측단어 및 스페이스키가 순차적으로 입력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divided regions is selected and the extended key, the divided region belonging to the extended region, the predictive word assigned to the selected divided region and the space key are sequentially inputted when the extended key is sequentially selected Can be interpreted.

또한, 상기 분할영역이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확장키, 상기 확장영역에 속하는 분할영역, 상기 확장키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면, 상기 분할영역에 할당된 예측단어는 대문자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이 하나 이상 선택된 다음 이루어지는 상기 확장키, 상기 분할영역, 상기 확장키의 선택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선택과정은 터체센서 상에서 하나의 드래그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when one or more of the divided regions are selected and the extended key, the divided region belonging to the extended region, and the extended key are sequentially selected, the predicted word assigned to the divided region may be inputted in capital letters, A series of selection processes leading to selection of the extended key, the divided region, and the extended key, which are performed after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are selected, can be made as one drag operation on the body sensor.

또한, 상기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된 분할영역에는 숫자도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된 분할영역 중 제1분할영역이 선택된 후, 상기 확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이 선택되고, 상기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된 분할영역 중 제2분할영역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1분할영역에 할당된 복수개의 문자 중 제2분할영역에 할당된 숫자의 순서에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분할영역, 상기 확장키, 상기 분할영역 선택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선택과정이 터치센서 상에서 하나의 드래그 동작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number is allocated to the divided area to which the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llocated, a divided area to which the extended key is allocated is selected after the first divided area is selected among the divided areas to which the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llocated,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order of the numbers assigned to the second partitioned area among the plurality of characters assigned to the first partitioned area may be input when the second partitioned area is selected from among the divided areas to which the & A series of selection processes of the division region, the expansion key, and the division region selection may be performed by one drag operation on the touch sensor.

또한, 상기 분할영역이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확장키, 상기 확장영역에 속하는 분할영역, 상기 확장키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예측단어가 입력되고, 상기 확장영역에 기호가 새로 할당되어 선택받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확장키, 상기 분할영역, 상기 확장키의 선택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선택과정이 터치센서 상에서 하나의 드래그 동작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 In addition, when one or more of the divided regions are selected and the selected predictive word is input when the extended key, the divided region belonging to the extended region, and the extended key are sequentially selected, a symbol is newly allocated to the extended region, And a series of selection processes leading to selection of the extended key, the divided region, and the extended key may be performed by one drag operation on the touch sensor. .

또한, 상기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된 분할영역이 순차적으로 선택될 때, 상기 입력해석부는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예측단어들의 목록 중 하나의 예측단어를 추출하고, 상기 정보입력시스템은 상기 추출된 예측단어를 임시로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divided regions to which the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llocated are sequentially selected, the input analyzing unit extracts one predictive word from a list of predictive words including a combination of characters assigned to the selected divided region, The inpu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for temporarily outputting the extracted predicted word to the screen.

또한,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예측단어들 중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의 조합 부분이 모두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출력부는 상기 확장영역에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의 조합 부분을 제외한 문자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If all the combinations of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selected divided area among the predicted words including the combination of the characters allocated to the selected divided area are all the same, the output unit displays the character allocated to the selected divided area in the extended area It is possible to output only the characters except for the combination part.

또한, 상기 입력부는 터치센서를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의 접촉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해석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할영역에는 확장키가 할당되도록 하고, Also, the input unit may include a touch senso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is in contact with the input unit. The input unit may be configured to assign an extended key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1. 상기의 분할영역이 선택되고 상기 확장키가 선택되는 드래그 동작, 1. A drag operation in which the above-mentioned divided area is selected and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2. 상기의 분할영역이 선택되고 상기 확장키가 선택된 후 상기 확장영역에 속하는 분할영역이 선택되는 드래그 동작, 2. A drag operation in which a divided region belonging to the extended region is selected after the divided region is selected and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3. 상기 확장키가 선택되고 상기의 분할영역이 선택되는 드래그 동작, 3. A drag operation in which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and the divided region is selected,

4. 상기 확장키가 선택되고 상기의 분할영역이 선택된 후 상기 확장키가 선택되는 드래그 동작을 각각 구분하여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sion key is selected and the drag operation in which the extension key is selected after the division area is selected.

또한, 상기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를 선택하는 방법과 상기 분할영역에 할당된 예측단어를 선택하는 방법은 서로 구분되며, 상기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를 선택할 때에는 상기 확장키에도 문자가 할당될 수 있다. A method of selecting a character assigned to the divided area and a method of selecting a predicted word allocated to the divided area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When a character assigned to the divided area is selected, a character is also assigned to the extended key have.

지금까지 잘 알려진 한글 문자입력 시스템은 가능한 손가락의 움직임을 줄이기 위해서 모음의 모양과 관계없이 배열되어 사용자의 직관성을 가져오기 힘들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키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글의 자모 중에서 자음을 모든 키의 주된 문자(primary character)로 지정하여 각각의 키를 처음 눌러 주었을 때 입력되도록 하고, 이들 자음이 지정된 키와 별개로 모음 입력을 위해 최소 한 개의 키를 지정하여 이를 모음 입력활성화키로 지정하면 한글 자모를 위한 키의 숫자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즉 이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눌러 준 다음 이미 자음이 지정된 키라 할지라도 모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하나의 키로 자음, 모음 모두를 입력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모음만을 위한 독립적인 키의 숫자가 줄어 들어 전체 키의 숫자가 줄고, 결과적으로 한글자모의 입력을 위한 손가락의 이동거리를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가져와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원리는 힌두어 및 중국어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단어 예측 입력방법(Disambiguity Text Input Method)'의 경우 한글의 '모음 입력활성화키'에 해당하는 '예측 단어 선택기능키(확장키)'를 설정하여 예측 단어의 선택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 기능을 수행하여 문자입력에 필요한 키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더 나아가서 예측 단어의 선택과정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증가시키게 된다.Until now, the well-known Hangul character input system has been difficult to bring about the intuitiveness of the user because it is arranged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vowel in order to reduce the movement of the possible fingers.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inimize key mov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signs a consonant among Korean alphabets as a primary character of all keys, and inputs the consonants when they are pressed for the first time, By specifying at least one key for input and specifying it as a vowel input activation key, the number of keys for Hangul characters can be minimized. In other words, after pressing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the vowel can be input even if the key is already designated as a consonant, so that both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inputted by one key. As a result, the number of independent keys for the vowels is reduced, the number of the entire keys is reduced, and as a resul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finger for the input of Korean characters is minimized,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his principle can be applied to Hindi and Chinese. In the case of 'Disambiguity Text Input Method', a 'predictive word selection function key (extended key)' corresponding to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of Korean is se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number of keys required for character input by performing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o selection of a predicted word, and further facilitate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predicted word,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2는 본 발명의 입력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이 게임기에 적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38, 도 72는 본 발명이 한글입력을 위해 적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9 내지 도 61은 본 발명이 영문입력을 위해 적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2 내지 도 71은 본 발명이 영문입력을 위해 적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inpu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game machine
Figs. 5 to 38 and Fig. 7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or Hangul input
Figs. 39 to 6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or English input
62 to 7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or English inpu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정보입력시스템은 입력부(110), 입력해석부(120) 및 출력부(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information inpu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10, an input analysis unit 120, and an output unit 130.

먼저, 입력부(110)는 복수의 분할된 영역인 분할영역이 존재하며, 각 분할영역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 여부를 감지한다. First, the input unit 110 has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i.e.,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and detects whether each of the divided regions is selected by the user.

이 분할영역은 다른 분할영역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고, 하나로 형성된 전체영역에서 다른 분할영역과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This division region may be formed at intervals from the other division regions, or may be formed in connection with other division regions in the entire region formed by one.

또한, 각 분할영역의 선택 여부는 각 분할영역이 눌러지거나,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되거나, 접촉된 후 이격되는 것을 감지하는 등의 방법으로 감지될 수 있다.Whether or not each divided area is selected can be detected by detecting that each divided area is pressed, a finger of a user is touched, or is separated after being touched.

또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각 분할영역의 선택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In addition, it is not a matter of detecting whether each divided area is selected by any one method

예를 들어, 종래 휴대폰 등에 많이 사용되던 키패드 형태의 경우, 키패드를 구성하는 각 키는 다는 키들과 분리되어 구성되어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keypad type used conventionally in mobile phones or the like, each key constituting the keypad is constructed by being separated from other keys.

한편,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과 같이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입력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터치패드 등을 복수개의 분할영역으로 분할하고, 사용자가 접촉한 위치가 어떤 분할영역에 속하는지를 감지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키패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Meanwhile, in the case of using an input system such as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a touch pad or the lik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and a method of detecting a divided region in which a user touches a position is used You can get the same effect as the keypad.

또한,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과 같이 접촉(touch)를 감지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입력부(110)를 구성하더라도 사용자가 눌렀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그 분할영역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input unit 110 is configured using a touch sensing means such as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user has selected the divided region using whether or not the user has pressed the input unit 110 .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촉면적을 이용하여 단순히 접촉만 한 것인지 누른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using the contact area of the user's finger,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the user simply touches or presses.

접촉여부를 전하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장치의 경우에는, 전하량은 접촉면적에 비례하기 때문에 발생된 전하량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으로 전하량이 변경되는 경우, 눌러진 것으로 판단하고 그 이하인 경우에는 종래와 같은 기준으로 접촉만 된 것으로 판단하는 방식으로 하면, 접촉을 감지하는 수단만으로도 사용자가 입력부(110)에 접촉만 하였는지 누르기까지 하였는지 판단을 내릴 수가 있다. In the case of an apparatus for judging whether or not contact is made by using a change in the amount of charge, the amount of charge is proportional to the contact area. Therefore, when the amount of charge generated is changed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the user touches the input unit 110 only by pressing or touching by using only the means for detecting the contact.

또 다른 방법으로 터치패드 등 접촉을 감지하는 수단 아래에 압력센서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터치패드 등을 누르면 터치패드가 눌러져서 아래에 위치한 압력센서가 이를 감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 pressure sensor may be provided under the means for detecting touch such as a touch pad, so that when the user depresses the touch pad or the like, the touch pad is depressed so that the pressure sensor positioned below can detect the touch.

도 2는 접촉감지수단(201) 하부에 압력센서(202)가 구비된 경우의 구조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 2 is a structural view of the case where the pressure sensor 202 is provided under the contact sensing means 20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패드 등의 접촉감지센서(201)는 사용자가 눌렀을 경우 위아래로 이동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정해진 압력 이상으로 누르게 되면 아래에 구비된 스위치 형태의 압력센서(202)를 누르게 되어 사용자가 누르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2, the touch sensing sensor 201 such as a touch pad can be moved up and down when the user presses the touch sensor.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ure sensor 202 over a predetermined pressure,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user presses the button.

접촉감지수단(201)가 이동하는 방법은 접촉감지센서(201) 전체가 수평으로 눌러지도록 할 수도 있고, 도 2에서와 같이 경사지게 눌러지도록 할 수도 있는 등 접촉감지수단(201)이 눌러지는 방향이나 방법은 제한이 없다. The method of moving the contact detecting means 201 may be such that the entire touch detecting sensor 201 is pressed horizontally or may be inclinedly pressed as shown in FIG. There is no limit to the method.

또 다른 방법으로는 키패드와 같은 형식으로 터치패드 등을 배열할 수도 있다. 즉, 키패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키의 표면을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키를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그 키가 눌러졌을 경우에는 종래의 키패드에서 누름을 감지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누름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접촉과 누름 여부를 동시에 판단할 수 있게 된다. Alternatively, the touchpad may be arranged in the same manner as a keypad. That is, the surface of each key constituting the keypad is configured as means for detecting contact, thereby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touched the key. If the key is depressed, the same method as detecting the depression on the conventional keypad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 user touches and presses at the same time.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입력부(110)에 접촉을 했는지 입력부(110)를 눌렀는지, 접촉을 한 후 이격을 시켰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분할영역이 어디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해석부(120)에 제공한다. The input unit 110 receiv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selects the division area selected by the user based on whether the user touches the input unit 110 or the input unit 110 is pressed, (120).

사용자가 특정 분할영역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는 사용자가 그 분할영역을 접촉하였는지, 눌렀는지, 혹은 접촉 후 이격시켰는지 여부 등 하나의 기준만으로 판단할 수도 있지만, 입력되는 경우에 따라 판단되는 기준을 달리할 수도 있다. Whether or not the user has selected a particular parti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only one criterion, such as whether the user has touched the partition, pressed it, or separated it after the contact, It is possible.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입력해석부(120)는 입력부(110)의 각 분할영역이 접촉, 누름, 이격 등이 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정보를 해석 판단한다. The input analysis unit 120 interprets and determines the information that the user desires to input using the information that each of the divided regions of the input unit 110 has contacted, pressed, or separated.

즉, 입력해석부(120)는 입력부(110)의 각 분할영역에 특정 항목을 할당하여 두고, 특정 분할영역이 선택되면 그 분할영역에 할당된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해석한다. That is, the input analyzing unit 120 assigns a specific item to each of the divided areas of the input unit 110, and when a specific divided area is selected, it is interpreted that the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divided area is inputted.

이 때, 입력부(110)에 구비된 복수의 분할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분할영역은 복수의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확장키가 할당되고, 그 확장키가 할당된 경우 미리 정해진 분할영역인 확장영역에 그 확장키에 할당된 항목이 새로 할당된다. At this time, an extended key fo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is assign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of the input unit 110, and when the extended key is allocated, The item assigned to the extended key is newly assigned.

이 때, 확장영역에는 확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은 제외되고, 확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에 인접한 분할영역만 확장영역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 손가락의 움직임 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vided area to which the extended key is allocated is excluded in the extended area, and only the divided area adjacent to the divided area to which the extended key is allocated is used as the extended area.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새로 할당된 항목이 할당된 분할영역을 다시 선택하면, 입력해석부(120)는 그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해석한다. In this state, when the user again selects the divided area to which the newly allocated item is allocated, the input analysis unit 120 interprets that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tem is inputted.

만약, 확장키에 할당된 정보의 수가 그 확장키에 의한 확장영역에 포함되는 분할영역의 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처음 확장키가 선택되었을 때, 그 일부만 정해진 분할영역에 할당되고, 다시 한번 확장키가 선택된 경우에 나머지 정보가 정해진 분할영역에 다시 할당되는 것으로 해석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분할영역에 따라 그 분할영역에 할당된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해석한다.If the number of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extended key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divided areas included in the extended area by the extended key, when the extended key is first selected, only a part of the information is allocated to the predetermined divided area, It is interpreted that the remaining information is re-allocated to the predetermined divided area, and interpreted as information inputted to the divided area according to the selected divided area.

한편, 입력해석부(120)는 확장키가 설정되어 그 확장키에 따라 정해진 분할영역에 새로운 정보가 할당되고, 사용자가 새로운 정보가 할당된 분할영역을 선택하여 하나의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새로운 정보가 할당된 분할영역에 다시 최초에 할당된 정보들이 할당되도록 한다. 즉 초기화를 시키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ended key is set and new information is assigned to the divided area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xtended key, the input analyzing unit 120 selects the divided area to which the new information is allocated, and determines that one piece of information is inputted , And allocates the initially allocated information to the divided area to which the new information is allocated. That is, initialization.

그 외에, 확장키에 따른 확장영역에 포함되는 분할영역의 수와 그 분할영역에 새로 할당될 정보의 수가 동일하여 확장키를 한번만 선택하여도 그 확장영역에 포함된 분할영역에 그 확장키에 부여되는 모든 정보의 할당이 가능한 경우에는 다시 확장키를 선택하면 다시 최초의 상태로 돌아가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number of divided areas included in the extended area according to the extended key is equal to the number of information to be newly allocated to the divided area, even if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only once, the divided area included in the extended area is given If all of the information to be allocated is available, the user may return to the initial state by selecting the extended key again.

확장키에 의해 정해진 영역에 할당되는 정보는 확장키에 따라 항상 일정할 수도 있고, 가변적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다시 한번 살펴본다. The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area determined by the extended key may be always constant or may be vari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xtended key. This will be examined again through a concrete example.

확장키는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분할영역에만 할당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분할영역에 할당될 수도 있다. The extended key may be assigned to only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or may be assigned to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또한, 확장키를 선택할 때마다 새로운 정보가 할당되는 분할영역인 확장영역도 각 확장키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Also, each time an extension key is selected, an extension area, which is a divided area to which new information is allocated,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extension key.

한편, 출력부(130)는 각 분할영역에 할당된 정보를 LCD 화면 등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현재 각 분할영역에 어떤 정보가 할당되어 있는지를 알려준다. On the other hand, the output unit 130 informs the user of information allocated to each divided area, such as an LCD screen, to the user, which information is currently allocated to each divided area.

출력부(130)는 특히 입력부(110)가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되어 있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130 may be particularly useful when the input unit 11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입력부(110)가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출력부(130)는 입력부(110)의 각 분할영역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되도록 화면에 분할영역이 출력되도록 하고, 각 분할영역에 할당된 정보를 표시해준다. When the input unit 110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he output unit 130 outputs a divided area on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nd size of each divided area of the input unit 110, Display information.

터치패드나 키패드의 형태로 입력부(110)가 구현되는 경우에는 각 키 또는 터치패드의 각 분할영역에 어떤 정보가 할당되어 있는지 표시할 수 있으므로, 출력부(130)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는 없다.When the input unit 11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ouch pad or a keypad, it is possible to indicate what information is allocated to each divided area of each key or touch pad, so that the output unit 130 is not necessarily required .

그리고, 이 경우 각 분할영역에 할당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경우에도, 전 분할영역이 다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할영역에 현재 어떤 정보가 할당되어 있는지 정보만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고, 확장키가 선택되는 경우에만 특정 확장키가 선택되었다는 표시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even when the information allocated to each of the divided areas is output to the screen, the entire divided area may be displayed, or only information indicating what information is currently allocated to the divided area selected by the user may be displayed And an indication that a particular extension key has been selected may be output only when the extension key is selected.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복수의 분할영역이 구비된 입력부(110)에서 사용자가 특정 분할영역을 선택하면(301), 입력해석부(120)는 그 분할영역이 확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302).First, when a user selects a specific divided region in the input unit 110 having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301), the input analysis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divided region is a divided region to which the extended key is allocated ( 302).

만약, 선택된 분할영역이 확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이 아닌 경우에는 입력해석부(120)는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항목이 입력된 것으로 해석한다(307).If the selected partition is not the partitioned area to which the extended key is allocated, the input analysis unit 120 interprets that the item allocated to the selected partitioned area is input (307).

만약, 선택된 분할영역이 확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인 경우에는 입력해석부(120)는 그 확장키에 정해진 확장영역에 새로운 항목들이 할당되도록 하고(303), 그 확장영역에 속하는 분할영역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304), 그 확장영역에 속하는 분할영역에 새로 할당된 항목이 입력된 것으로 해석한다(305). If the selected partition is a partitioned area to which the extended key is allocated, the input analysis unit 120 allocates new items to the extended area defined in the extended key (303), and if the partitioned area belonging to the extended area is selected (304), it is interpreted that the item newly allocated to the divided area belonging to the extended area is input (305).

그렇지 않고, 확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이 다시 선택되면(308), 다시 확장영역에 새로운 항목들이 설정되도록 하여(303), 사용자가 다시 새로운 옵션 중에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Otherwise, if the partitioned area to which the extended key is allocated is selected again (308), new items are set in the extended area again (303)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gain from the new options.

만약, 확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이 선택된 후, 확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이 다시 선택되거나 확장영역에 속하는 분할영역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즉 확장영역 외의 분할영역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실수로 확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을 선택한 것으로 보고, 확장키에 의한 재할당 작업을 무효로 하고 사용자에 의해 최후로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정보가 입력되도록 한다(305).If a divided area to which an extended key is allocated is selected again or a divided area belonging to the extended area is not selected, that is, a divided area other than the extended area is selected, The reallocation operation by the extended key is invalidated and the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last selected partition is input by the user (305).

이렇게 하나의 입력이 완료되면, 다시 추가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306), 앞의 과정을 되풀이하게 된다. When one input is comple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additional input (306), and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본 발명의 입력시스템 및 입력방법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이 가능하다.The input system and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대표적인 적용분야로, 게임기의 입력시스템이나 휴대폰, PDA 등의 모바일 장치에서의 문자입력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It can be used for a character input system in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PDA or the lik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본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예 1][Example 1]

도 4는 본 발명의 입력시스템이 게임기에 이용된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inpu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game machine.

도 4의 (I) 및 (II)에 도시된 내용은 게임기에 이용되는 입력시스템으로 터치패드(400)의 형태로 구현된 경우이고, 점선으로 구분된 각각의 사각형은 분할영역을 나타낸다. The contents shown in (I) and (II) of FIG. 4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ouch pad 400 as an input system used in a game machine, and each rectangle divided by a dotted line represents a divided area.

또한, 분할영역(401, 402, 403, 404)는 확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으로 가정한다. It is also assumed that the divided areas 401, 402, 403, and 404 are divided areas to which the extended keys are allocated.

사용자가 터치패드 상에서 드래그 등의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하다가 특정 메뉴를 선택하거나 실행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선택 또는 실행시키고자 하는 메뉴에 따라 분할영역(401, 402, 403, 404)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게 된다. When the user wants to select or execute a specific menu while playing a game on the touch pad in a manner such as dragging, the user selects one of the divided areas 401, 402, 403, and 404 Quot; region "

이 때, 분할영역의 선택은 단순히 접촉 즉 터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터치한 상태에서 분할영역(401, 402, 403, 404)이 있는 위치에서 손가락을 이격시킨 경우 이루어질 수 있고, 분할영역(401, 402, 403, 404)에 손가락을 위치시킨 후 눌렀을 때 이루지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election of the divided area may be made by simply touching or touching, or may be made when the finger is separat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divided areas 401, 402, 403, and 404 are present in the touched state, , 402, 403, and 404, and may be formed when the finger is pushed.

손가락이 눌렀을 때 선택이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촉면적에 따라 터치와 누름을 구분하도록 미리 임계값을 설정해 둘 수도 있으며, 도 2와 같이 터치패드 하단에 압력센서가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order to recognize that the selection is made when the finger is pressed, a threshold value may be set in advance so as to distinguish the touch from the touch according to the contact area as described above. Alternatively, the pressure sensor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touch pad have.

만약 사용자가 분할영역(401)을 선택한 경우, 그 전까지 아무 정보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분할영역(405, 406)이 확장영역으로 되어 각각 메뉴1과 메뉴 2가 할당되게 된다. If the user selects the divided area 401, the divided areas 405 and 406 to which no information is assigned before that become the extended area, and menu 1 and menu 2 are assigned to the extended area.

사용자가 그 상태에서 분할영역(405) 또는 분할영역(406)을 선택하면 해당되는 메뉴가 선택되어 실행되게 된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divided area 405 or the divided area 406 in this state, the corresponding menu is selected and executed.

메뉴1 또는 메뉴2를 선택하는 방법도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터치, 누름, 이격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The method of selecting the menu 1 or the menu 2 can also be performed by the system designer by any one of touching, pressing, and spacing.

메뉴2를 선택한다고 할 때, 사용자가 확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401)을 누른 후, 손을 접촉한 상태로 그대로 메뉴2가 할당된 분할영역(406)까지 이동(드래그)한 후 손가락을 이격시키는 경우 메뉴2가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장 편리한 방법이 될 수 있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menu 2, the user presses the divided area 401 to which the extended key is allocated, and then moves (drag) to the divided area 406 to which the menu 2 is allocated as it is in contact with the hand, It may be the most convenient way to recognize menu 2 as being selected if it is spaced apart.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한글입력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at can be applied to a Hangul input system.

[실시예 2][Example 2]

도 5는 일반적인 휴대폰의 입력시스템에 본 발명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 5번키(501)에만 확장키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확장키(501)이 선택된 경우 확장영역에 새로 문자가 할당될 수 있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5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input system of a general mobile phone. FIG. 5 shows a case where an extension key is allocated only to the fifth key 501, and FIG. Lt; RTI ID = 0.0 > a < / RTI >

도 5에서 보듯이 최초에 각 분할영역(키)에 할당된 문자는 모음이 없으며, 모음은 확장키가 선택된 경우에만 할당되게 된다. As shown in FIG. 5, there is no vowel assigned to each division area (key) at first, and the vowel is allocated only when the extension key is selected.

즉, 확장키는 모음입력활성화키로 이용된다. 문자입력모드에서 이 확장키가 선택된 경우 1, 2, 3, 4, 6, 7, 8, 9번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은 상기한 확장키의 확장영역으로 이용되어 각 분할영역에 모음이 할당되게 된다. That is, the extended key is used as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When this extended key is selected in the character input mode, the divided area to which 1, 2, 3, 4, 6, 7, 8, and 9 keys are allocated is used as an extended area of the extended key, do.

이와 같이, 확장키인 모음입력활성화키가 선택되는 경우 문자가 재할당되는 확장영역은 모음입력활성화키와 인접하여 정방형으로 둘러싸는 분할영역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경우 모음입력활성화키를 누른 후 손가락의 이동을 최소화하면서 모음의 입력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In this manner, when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which is an extended key, is selected, the extended area to which the characters are reallocated is preferably a divided area adjacent to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and surrounded by a squar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nput the vowel while minimizing the movement of the finger after pressing the activation key of the vowel input.

도 5의 경우는 자음의 배열은 많이 사용되는 'ㅁ', 'ㅇ', 'ㅅ'을 각각 하나의 키에 지정하여 쉽게 입력되도록 한 것으로 각각의 키를 3번까지 눌러 주어 모든 자음이 입력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ㄲ'의 경우 1번 키를 3번 눌러주면 입력되고, 'ㅂ'과 'ㅍ'의 경우 4번 키를 각각 2번 과 3번 눌러 주어 입력하는 것이다.In the case of FIG. 5, the arrangement of the consonants is easily inputted by designating 'ㅁ', 'ㅇ', and 'ㅅ', which are commonly used, to one key, and each key is pressed up to three times to input all consonants . In case of 'ㄲ', it is input by pressing key 1, 3 times. In case of 'ㅂ' and 'ィ', key 4 is inputted by pressing 2 and 3 times respectively.

도 5에 보여지는 자판에는 모음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데,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확장키로 정해진 모음 입력활성화키(501)인 5번 키를 먼저 눌러준 다음 다른 키를 눌러주면 이들 모음이 각각 입력되는 것인데 이러한 입력 방법이 도 6에 보여지고 있다.도 6(I)는 모음 입력활성화키인 5번 키가 눌려졌을 경우 주위의 2번, 4번, 6번, 8번 키에 원래 지정된 자음 문자 대신에 'ㅗ', 'ㅏ', 'ㅓ', 'ㅜ'가 지정되고 각 모퉁이에 해당하는 1, 3, 7, 9번 키에는 각각 'ㅡ', 'ㅣ', 'ㅡ', 'ㅣ'가 번갈아 지정되어 있는 모음 배열을 보여주고 있다. 모음 활성화키가 눌려졌을 경우 활성화되는 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의 주변 키 지정 배열은 도 5(I)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혹은 기기 생산업체에서 임으로 조정하여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도 5(I)과 같이 지정한 이유는 모음의 순서에 따라 좌->우, 상->하의 순서로 좌측에 'ㅏ'가 우측에 'ㅓ'가 배치되고 상측에 'ㅗ'가 하측에 'ㅜ'가 배열된 의도일 뿐 본 발명의 구성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도 6(II), 도 6(III)과 같이 배열하여도 문제가 될 것은 없는 것이다. 심지어는 이들 홀 모음을 모음 입력활성화키의 주변에 십자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로 배열한다고 하여도 문제가 될 것은 없다. 더욱이 홀모음이 아닌 'ㅢ'의 경우도 모음 배열에 삽입되었는데 이는 'ㅡ'와 'ㅣ'를 각각 이어서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한 방편으로 삽입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이다.5 does not specify a vowel. In order to input a vowel,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501, which is defined by an extension key, is first pressed, and then, when a different key is pressed, This input method is shown in FIG. 6. FIG. 6 (I) shows a case where, when the key 5, which is a vowel input activation key, is pressed, instead of the consonant characters originally designated in the surrounding keys 2, 4, 6 and 8 '' ',' '', '' 'And' ㅜ 'are assigned to keys 1, 3, 7 and 9 corresponding to each corner It shows the arrangement of vowels alternately specified. The peripheral key designation array of the vowels 'a', 'b', 'b', 't', 'a' and 'l' activated when the activation key of the vowel is pressed is not limited as shown in FIG. 5 (I) It is not a problem if the user or the manufacturer of the device adjusts it. However, as shown in Fig. 5 (I), the reason for designation is as follows: 'a' is arranged on the left side, 'ㅓ' is arranged on the left side, 'ㅓ' is arranged on the upper side, Quot; are intended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re is no problem in arranging as shown in Figs. 6 (II) and 6 (III). Even if these hall vowels are arranged around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in a form other than a cross, there is no problem. Furthermore, 'ㅢ', which is not a hall vowel, is also inserted in the vowel array, which is an example showing that it can be inserted as a way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inputting 'ㅡ' and 'ㅣ' respectively.

이상은 홑모음의 경우 모음 입력활성화키로 입력하는 방식을 설명한 것인데 한글의 경우 도 6에 보여지는 홀모음 이외에 겹모음 'ㅑ', 'ㅕ', 'ㅛ', 'ㅠ'의 입력도 가능하여야 하는데 도 6에 보여지는 모음의 배열에서는 이것이 불가능하므로 다음과 같이 입력활성화키를 이용하여 이들 겹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Korean vowel, it is possible to input the double vowel 'ㅑ', 'ㅕ', 'ㅛ', and 'ㅠ' in addition to the hall vowel shown in FIG. 6 Since this is not possible in the arrangement of the vowels shown in 6, it is possible to input these double vowels using the input activation key as follows.

겹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첫 번째 방법은 도 7(I)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먼저 두 번 눌러 주면 홑 모음이 지정된 키가 겹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변환되어 겹모음이 입력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겹모음 'ㅑ', 'ㅕ', 'ㅛ', 'ㅠ'와 함께 겹모음은 아니지만 획이 3개 이상 되는 'ㅐ'와 'ㅔ'가 각각 'ㅑ'와 'ㅕ'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고 'ㅒ'과 'ㅖ'가 각각 'ㅏ'와 'ㅓ' 아래쪽으로 위치하여 사용자의 인식을 용이하게 한 배열이다. 도 7(II), 도 7(III)은 입력 가능한 모음으로 가능한 배열을 보여주고 있다. 더 나아가서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세번 눌러 주는 경우 추가로 입력 가능한 모음군을 지정하여 배열할 수도 있다. The first method for inputting a double vowel is to input a double vowel by inputting a double vowel as shown in FIG. 7 (I) to be. ㅐ 'and' ㅔ ', which are not double seams but have more than three strokes, are loc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ㅑ' and 'ㅕ' with 'ㅑ', 'ㅕ', 'ㅛ' 'And' ㅖ 'are located below' a 'and' ㅓ ', respectively, to facilitate user recognition. Figures 7 (II) and 7 (III) show possible arrangements for inputable vowels. Further, when the user presses the activation key of the vowel three times, it is possible to designate and arrange additional vowel groups.

다만 사용자가 이 많은 경우의 수를 기억하는 것은 오히려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한 누름 횟수를 줄이고 연관성이 있는 모음만을 배치하고 겹모음의 경우 홑모음의 조합으로 입력하도록 하여 쉽게 모음 입력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since the number of such memories can cause inconvenien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resses as much as possible and to arrange only the vowels having relevance. In the case of the double vowels, .

이를테면 도 7(I)에 보이는 바와 같이 'ㅖ'의 경우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두번 누른다음 9번 키를 눌러 주어 입력도 가능하지만, 'ㅕ'(도 6(I)과 도 7(I)을 참고할 경우 :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두 번 누른 다음 6번 키를 눌러 준다)와 'ㅣ'(도 6(I)를 참고할 경우 :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한 번 누른 다음 3번 키 혹은 9번 키를 눌러 준다)를 차례로 입력할 경우에도 'ㅖ'가 입력 될 수도 있도록 문자입력 오토마타를 구성하면 사용자가 두 가지 방법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에 따라 편리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I), in the case of 'ㅖ', it is possible to input by pressing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twice and then pressing the key 9, but 'ㅕ' (see FIGS. 6 (I) and 7 (Refer to Figure 6 (I): Press the key once to activate the vowel input, then press the 3 key or 9 key.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two methods and select a convenient method according to the user.

즉 초보자에게는 쉽게 인지될 수 있는 'ㅕ'와 'ㅣ'를 연속으로 입력하는 방법이 숙련자에게는 'ㅖ'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을 택하여 키 누름횟수와 손가락 이동거리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a method of inputting 'ㅕ' and 'ㅣ' which can be recognized easily for a novice user is a method of directly inputting 'ㅖ' to a skilled person and a method of minimizing the number of key presses and a finger movement distance .

도 6(I)과 도 7(I)로 나타내어 지는 자판 구조에서 '야'를 입력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면, 키 누름 순서는 6-5-5-4가 된다. '아'를 입력하기 위한 키 누름순서 6-5-4와 비교하면 첫 번째 5번 키 누름은 홀모음 입력확장 기능이고 두 번째 5번 키 누름은 홑모음 활성화 상태에서 겹모음 활성화상태로의 전이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 In the example of inputting "night" in the keyboard structure shown in FIGS. 6 (I) and 7 (I), the key press sequence is 6-5-5-4. Compared with the key press sequence 6-5-4 for inputting 'ah', the first 5th key press is a hall vowel input expansion function and the second 5th key press is a transition function from a single vowel activation state to a double vowel activation state .

즉 이와 같이 모음 입력활성화 키를 두 번 눌러주어 겹모음 활성화상태에 이르면 홀모음이 지정된 키가 홀 모음 대신에 그에 대응하는 겹모음이 지정되어 이들 키를 눌러주면 홀 모음 대신에 겹모음이 입력되는 것이다. 즉 6-5-5-4 누름 순서의 경우 '야'가 입력되는 방법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double-vowel activation key is pressed twice by pressing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a double vowel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key vowel vowel is designated and a double vowel is input instead of the vowel vowel if these keys are pressed. That is, in the case of 6-5-5-4 pressing sequence, "night" is input.

[5 - X]는 홑모음인 'ㅏ', 'ㅓ', 'ㅗ', 'ㅜ', 'ㅡ', 'ㅣ'를 나타내고 [5 - 5 - X]는 겹모음 'ㅑ', 'ㅕ', 'ㅛ', 'ㅠ'를 나타낸다. [5 - 5 - X] represents a single vowel 'a', 'ㅓ', 'ㅗ', 'ㅜ', ' , 'ㅛ', and 'ㅠ'.

[5 - X]는(여기서 'X'는 임의의 키로서 'X'가 5번 키가 아닌 경우 [5 - X]가 하나의 모음을 구성하고, 만약 'X'가 5번 키이면 그 다음 키를 확인하여 지정된 모음을 판단하여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홑모음으로 해석되며 [5 - 5 - X]경우에는 겹모음으로 해석되므로 오토마타 구성에 있어서 5 번 키는 이어져서 눌려지는 키와 함께 하나의 키로 해석되어 모음 입력을 이루게 된다. [5 - X] (where 'X' is any key and [5 - X] constitutes one vowel if 'X' is not key 5, and if 'X' 5 - 5 - X], it is interpreted as a double vowel. Therefore, in the automata construction, the 5th key is composed of a key that is connected and pressed together with one key Key is interpreted to form the vowel input.

만약 5번 키가 3번 이상 눌려지는 경우 이미 눌려진 2번의 키 누름은 소멸되고 1번의 키 누름으로 해석하면 모음 입력활성화키의 기능은 누르는 횟수에 따라 홀모음->겹모음->홀모음 순서로 순환지정이 가능할 수 있다. If the 5th key is pressed more than 3 times, the already pressed 2 key presses are extinguished and if it is interpreted as 1 key press, the function of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is circulated in the order of the hall vowel-> Designation may be possible.

아니면 3번 이상 눌려지는 경우 3번 째 누름은 모음 입력활성상태를 소멸시켜 모음입력을 비활성상태로 전환 시키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이는 혹시라도 자음을 입력하여야 하는데 사용자가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잘못 눌렀을 경우 이를 수정하는 방법으로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두 번 더 눌러 주어 자음입력이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 일종의 취소 버튼으로 활용되는 것이다. Otherwise, if the button is pressed three or more times, the third push may be used to turn the vowel input into an inactive state by destroying the vowel input active state. This is a way to correct consonant if the user accidentally presses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by pressing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twice so that the consonant input can be performed as a kind of cancel button.

본 발명의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이용하여 모음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실제 모음 입력활성화키가 눌려질 때 출력부(130)는 도 8과 같이 화면에 모음 입력활성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키패드 등을 이용하여 입력부(110)를 구현한 경우에는 키패드를 구성하는 각 키에 할당된 문자 및 확장키가 선택된 경우 할당되는 문자 등을 인쇄 그밖의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현재 확장키가 선택된 상태인지, 즉 모음입력상태인지 여부만 알려주면 사용자는 큰 불편없이 한글입력을 할 수 있게 된다. When a vowel input is performed using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ctual vowel input activation key is pressed, the output unit 130 preferably displays a vowel input active state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put unit 110 is implemented by using a keypad or the like, characters assigned to each key constituting the keypad and characters assigned when the extension key is selected can be displayed by printing or other methods, If the extension key is currently selected, that is, whether or not it is in the vowel input state, the user can input Hangul without any inconvenience.

즉, 사용자가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눌러 주었을 경우 화면 상에 도 8과 같이 모음 입력 가능한 상태를 포인터(커서)의 배경 색을 투명한 것에서 노란색으로 표시하는 것과 같이 모음입력 활성상태를 구분할 수 있도록하면 다음에 눌러주는 키가 자음을 입력하는 것인지 모음을 입력하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에 이와 같은 모음 입력 활성화상태의 표시가 없다면 사용자는 혼란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activation key of the vowel, if the user can distinguish the active state of the vowel input, such as displaying the background color of the pointer (cursor) from yellow to transparent, Since the key to be pressed can determine whether to input a consonant or a vowel. If there is no such indication of the vowel activation state, the user may be confused.

특히 도 8에 보여지는 홀모음 입력활성화 상태(포인터의 배경색을 노랑색으로 설정)와 도 9에 보여지는 겹모음 입력활성화 상태(포인터의 배경색을 붉은색으로 변경)를 도 9와 같이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 한다면 사용자는 더욱 명확한 모음 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a method of distinguishing the active state of the hall vowel input shown in Fig. 8 (the background color of the pointer is set to yellow) and the activated state of the double vowel input shown in Fig. 9 (changing the background color of the pointer to red) The user can perform a more specific vowel input.

도 8과 9에서는 포인터의 배경색을 달리하여 입력상태를 구분하였지만 포인터의 모양을 도 8에 보이는 양괄호 묶음 형태에서 사각형 형태로 변경한다든지 하고, 홀모음과 겹모음 입력 가능상태의 구분은 사각형의 갯수가 하나일 때는 홀모음 입력 가능상태를 사각형의 갯수가 두 개일 때는 겹모음 입력 가능상태를 표시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입력상태의 구분을 가능하게도 할 수 있다.In FIGS. 8 and 9, although the input state is classified by changing the background color of the pointer, the shape of the pointer may be changed from a square bracketed form to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8,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input state through a method of displaying a state in which a hall vowel can be input when the number of squares is one and a state in which a double vowel can be input when there are two squares.

[실시예 3][Example 3]

(3-1)(3-1)

도 10은 종래에 발명된 입력시스템과 본 발명의 입력시스템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for comparing a conventional input system with an inpu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III)은 특허 10-0291838의 나랏글 입력시스템의 자판배열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I), (II)는 이 시스템에 본 발명의 확장키(모음입력활성화키)의 개념을 도입하여, 최초의 문자가 할당된 배열에서 자음만을 남기고 모음을 삭제한 다음 본 발명의 모음 입력활성키(701)를 적용시킨 경우의 자판을 보여주고 있다. 10 (III) shows the keyboard layout of the bar-entry system of the patent 10-0291838, and FIGS. 10 (I) and (II) introduce the concept of the expansion key And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70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fter deleting the vowel leaving only consonants in the array to which the first letter is assigned.

한 눈에 알 수 있는 점은 나랏글 입력시스템에서 모음 입력에 필요한 (ㅏㅓ), (ㅗㅜ), (ㅣ), (ㅡ) 4개의 키가 3개로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12개의 키를 모두 사용하는 나랏글 문자입력 시스템에 비해 9개 만의 키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자판배열은 '가획(획추가)'키와 '병서(경음)'키를 4 번과 6번 키에 배열하여 손가락의 움직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음을 원리적인 면에서 보여 준다. '땅'이라는 문자를 입력하는 키 누름 순서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적용된 나랏글 문자입력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t a glance, it can be seen that the four keys needed to input vowels in the input system are reduced to three, resulting in all 12 keys The keyboard layou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only nine keys compared to the naked-character input system to be used, arranges the "stroke (additional stroke)" key and the "syllable" key in the keys 4 and 6, In terms of principle, can be dramatically reduced. The key input sequence for inputting the character 'lan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a nail letter input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or example.

도 10(III)에 보여지는 나랏글 문자입력 시스템의 경우 숫자 키 누름 순서는 다음과 같다. In the case of the text input system shown in Fig. 10 (III), the numeric key press sequence is as follows.

2 -> * -> # -> 7 -> 62 -> * -> # -> 7 -> 6

이 경우 2번 키를 눌러 'ㄴ'을 선택하고 '*'키를 눌러 가획하여 'ㄷ'으로 변환시키고 이어서 병서 키인 '#'를 눌러 겹자음 'ㄸ'을 만든 다음 7번 키를 눌러 'ㅏ'를 입력하고 마지막으로 6번 키를 눌러 'ㅇ'을 입력하여 '땅'을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총 키 누름 횟수는 5번이고 키 간 거리를 1로 가정할 때 도 10에 보여지는 방식으로 계산한 손가락의 이동거리는 9.63이 된다.In this case, press key 2 to select 'ㄴ', press' * 'key to convert it to' ㄷ ', then press'' 'key to make' ㄸ ' And finally press key 6 to enter 'o' to enter 'land'. Assuming that the total number of keystrokes is 5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keys is 1, the moving distance of the finger calculated by the method shown in FIG. 10 is 9.63.

이에 반해 도 10(I)에 보여지는 본 발명의 모음 입력시스템이 적용된 수정 나랏글 문자입력 시스템의 경우 숫자 키 누름 순서는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in the modified latent character input system to which the vowel inpu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0 (I) is applied, the numeric key press sequence is as follows.

2 -> 4 -> 6 -> 5 -> 4 -> 9 (도 10(I)의 경우)2 -> 4 -> 6 -> 5 -> 4 -> 9 (in the case of FIG. 10 (I)

이 경우 2번 키를 눌러 'ㄴ'을 선택하고 4번 키를 눌러 'ㄷ'으로 변환시키고 병서키인 6번 키를 눌러 'ㄸ'을 변환시키고, 모음 'ㅏ'를 선택하기 위해 5번 키와 6번 키를 연속으로 눌러주어 'ㅏ'를 입력한 다음 9번 키를 눌러 주어 'ㅇ'을 입력하면 '땅'을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총 키 누름 횟수는 6번이고 키 간 거리를 1로 가정할 때 도 7에 보여지는 방식으로 계산한 손가락의 이동거리는 7.8이 된다. In this case, press key 2 to select 'ㄴ', press key 4 to convert it to '' ', press key 6 to change' ㄸ ', press key 5 to select' And press key 6 in succession to enter 'a', then press key 9 to enter 'o' and you will enter 'land'. Assuming that the total number of keystrokes is 6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keys is 1, the moving distance of the finger calculated by the method shown in FIG. 7 is 7.8.

즉 누름횟수는 한 번 증가하는 대신 손가락 이동거리는 20%정도 감소한다. 이는 도 7에 보여지는 자판 구조에서 단지 9개의 키로서 모든 자모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number of presses increases by one, but the finger movement distance decreases by about 20%. This provides a way to input all alphabets as only nine keys in the keyboard structure shown in FIG.

더욱이 9개의 키만으로 한글 자모를 입력 가능하게 되어 12개의 키를 갖는 자판의 경우 3개의 키에 추가적인 기능을 부가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면에서 더욱 효율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를 테면 띄어쓰기(space key), 마침표(.) 혹은 물음표(?) 등을 입력하기 위해서 메뉴 키 혹은 이동키를 눌러 주어야 하는 것을 기존의 나랏글에서 획첨가(가획) 혹은 경음(병서)의 기능으로 사용하던 #키, *키 등으로 입력 가능하게 되어 그 편리성은 더욱 증가되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한글 자모의 입력에 필요한 누름 횟수 및 손가락 이동거리만이 아닌 실제 문장 입력에 필요한 요소로서 비교되어야 할 요소이기 때문이다. In addition, since the Korean alphabet can be input by only 9 keys, additional functions can be added to the three keys in the case of the keyboard having 12 keys, resulting in a further increase in the efficiency in the whole aspect. For example, if you use the menu key or the move key to enter a space key, a period (.), Or a question mark (?) As a function of adding or subtracting # Key, * key, etc., and the convenience is further increased. This is because it is an element to be compared as an element necessary for inputting the actual sentence, not simply the number of presses and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finger required for the input of the Korean alphabet.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이 가져오는 장점은 한글 단어의 입력이 9개의 키로서 가능하기 때문에 자판이 숙지된 후에는 자판을 보지 않고도 쉽게 문자 입력이 가능하게 되어 한 손 조작의 편리성도 함께 가져오게 하는 것이다.Furthermore, the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input of Hangul words is possible as nine keys, so that it is possible to input characters easily without having to look at the keyboard after the key board is learned, thereby bringing convenience of one hand together.

이렇게 본 발명의 입력시스템은 최초에 각 분할영역에 할당되는 문자는 모음을 제외한 문자로 하고, 모음입력활성화키인 확장키가 선택되었을 때 확장영역의 각 분할영역에 할당되는 문자는 모음을 포함하는 문자, 혹은 모음만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한정된 숫자의 분할영역을 좀 더 여유롭게 사용이 가능하고, 손가락의 이동거리도 짧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inpu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s allocated to each of the divided regions are set as characters excluding the vowel, and when the extended key as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is selected,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respective divided regions of the extended region include vowels Characters, or a vowel, it is possible to use a limited number of divided areas more easily,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finger can be shortened.

(3-2)(3-2)

도 11은 종래에 발명된 입력시스템과 본 발명의 입력시스템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11 is a diagram for comparing a conventional input system with an inpu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III)은 천지인 입력시스템의 자판배열을 도시한 것이고, 도 11(I), (II)는 이 시스템에 본 발명의 확장키(모음입력활성화키)의 개념을 도입하여, 최초의 문자가 할당된 배열에서 자음만을 남기고 모음을 삭제한 다음 본 발명의 모음 입력활성키(801)를 적용시킨 경우의 자판을 보여주고 있다. 11 (I) and 11 (II) introduce the concept of the extended key (vowel input activation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is system, And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80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fter deleting the vowel leaving only the consonants in the assigned array.

도 11(III)에 보여지는 천지인 자판 구조에 본 발명의 확장키(모음입력활성화키) 개념이 도입됨으로써 도 11(I), (II)와 같이 모음 입력에 필요한 천(ㆍ), 지(ㅡ), 인(ㅣ)에 해당하는 키가 모두 다른 기능에 활용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지금까지 천지인 문자 입력시스템의 문제로 지적되어 온 자음 충돌 문제와 띄어 쓰기(space key)가 키패드의 키에 그 기능이 적용될 수 있게 되었다. 11 (III), the concept of the extended key (vowel input activation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roduced into the keypad structure of the sky, thereby generating the necessary vowels for vowel entry as shown in Figs. 11 (I) and 11 (II). ) And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person (ㅣ) are utilized for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ly, the consonant collision problem and the space key, which have been pointed out as problems of the Chinese character input system up to now, Can be applied.

도 11에서는 이러한 이동키(종성키: 6번키) 혹은 메뉴키(0번키)가 키패드의 중앙에 배치되는 형태여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In FIG. 11, the move key (the abbreviation key: No. 6 key) or the menu key (key No. 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keypad,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for the user.

천지인의 불편 요소인 자음 충돌 문제는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이 입력된 후에 '종성'키를 눌러주면 입력 커서가 다음 칸으로 이동하여 동일한 키를 이어서 입력 가능하게 하여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테면 천지인 키패드 입력시스템의 '이동키'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를 두 번 눌러주면 스페이스(space)키도 담당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이동키'를 자판의 중심에 이동시킨 것과 동일한 결과이다. The problem of consonant collision, which is an uncomfortable element of heaven and earth, is that when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is input, pressing the 'consonance' key causes the input cursor to move to the next space so that the same key can be continuously input. For example, it corresponds to the 'move key' of the keypad input system of the sky key, and if it is pressed twice, it can also take the space key, which is the same as moving the 'move key' to the center of the keyboard.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마음에'라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입력한다.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put the word " in mind "

4 - 4 - 5 - 4 - 4 - 5 - 7 - 4 - 4 - 6 - 4 - 5 - 6 - 5 - 34 - 4 - 5 - 4 - 4 - 5 - 7 - 4 - 4 - 6 - 4 - 5 - 6 - 5 - 3

천지인 한글 문자입력 시스템의 경우 키 누름 순서가 다음과 같다.In case of Chungjin Hangul character input system, the key press sequence is as follows.

0 - 0 - 1 - 2 - 0 - 3 - 0 - 0 - (이동키) - 0 - 2 - 1 - 10 - 0 - 1 - 2 - 0 - 3 - 0 - 0 - (move key) - 0 - 2 - 1 - 1

이 예는 이동키를 제외한 나머지 키를 눌러주는 횟수는 본 발명의 경우가 더 많지만, 천지인 입력시스템의 경우에는 '음'자를 입려한 후 다시 'ㅇ'을 입력하기 위해서 한참을 기다리거나, 문자입력용 키패드가 할당된 영역 외에 위치한 이동키를 눌러야 된다는 점에서 이동거리가 매우 늘어나게 된다. In this example, the number of times to press the remaining keys except for the move key is larg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e case of a wide-area input system, the user may wait for a long time to input a ' The movement distance is greatly increased since the user must press the move key located outside the area to which the keypad is assigned.

즉, 천지인 입력방식에서는 이동거리의 증가를 가져오는 큰 요인은 자음 충돌로 인해 이동키를 눌러 주어야 한다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는 최초 자판 배열시 모음이 차지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이동키에 해당되는 항목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영역에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이다.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wide-angle input method, a large factor that increases the moving distance is that the moving key is pressed due to the consonant collis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is no part occupied by the vowel in the initial keyboard layout, To the area to be processed.

또한, 천지인 입력시스템의 경우 자음 'ㅇ'과 'ㅁ'을 모음으로부터 가장 먼거리에 있는 '0'번 키에 지정하여서 상기와 같은 경우에 이동거리가 크게 증가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자음 충돌 해결을 위한 이동키가 키패드 중심인 6번 키로 위치 이동하였고, 모음을 위한 키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0'번 키에 지정된 'ㅇ'과 'ㅁ'이 4번 키에 지정되어 결과적으로 모든 키가 자판의 중심과 인접하게 되어 언제든지 다음 키로의 이동이 눈으로 자판을 확인하지 않아도 손가락의 자판 접촉 감각으로 확인이 되므로 입력 속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문자입력이 손의 전체 움직임이 아닌 엄지 손가락 관절 운동만으로 이루어지므로 편리성이 더해지는 것이다. 이 점이 본 발명과 같이 9-key 입력 방법이 가져오는 두드러진 장점이다. Also, in the case of the wide-angle input system, the consonant 'ㅇ' and 'ㅁ' are assigned to the key '0' which is the farthest from the vowel, and the moving distance increases greatly in the above case. However, The shift key for the keypad is shifted to the key No. 6 in the center of the keypad and the keys for the vowel are not necessary so that the keys 'ㅇ' and 'ㅁ' assigned to the key '0' are assigned to the key No. 4, The center is adjacent to the center and the movement to the next key is always confirmed by touching the keyboard of the finger even if the keyboard is not recognized by the eyes. Therefore, not only the input speed is increased but also the character input is performed by only the thumb joint movement Convenience is added. This is a prominent advantage of the 9-key input metho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실시예 3-1 및 3-2에서, 지금까지 잘 알려진 두 가지 대표적인 문자입력 방식인 천지인 문자입력 방식과 나랏글 문자입력 방식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본 발명의 구성은 모음이 지정되는 키가 자음과 별도로 있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키에 자음과 모음을 함께 지정하고, 확장키에 의해 모음이 활성화되게 하였다. In Examples 3-1 and 3-2 described above, when compared with the two typical character input methods, that is, well-known character input method and rough character input metho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a key, Instead of being separate, I assigned the consonant and vowel together in the same key, and activated the vowel by the extension key.

종래의 경우 초성, 중성, 종성을 이루는 한글의 특성상 초성을 이루는 자음이 할당된 키와 중성을 이루는 모음이 할당된 키가 좌우 혹은 상하로 분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로 인해 손가락의 이동이 상하 혹은 좌우로 크게 이동할 수 밖에 없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자음과 모음을 분리 배열되지 않음으로 해서 초성과 중성 혹은 중성과 종성의 입력을 위한 거리이동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여타의 한글 입력에 비해 월등히 손가락 움직임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In the conventional cas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Korean, and Korean characters, which are composed of consonant, consonant, and neutral vowel, the key is divided into right and left or up and dow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sonant and the vowel are not arranged in a separate arrangement, the distance movement for inputting the initial, neutral, or neutral ending is relatively reduced, and the finger movement is significantly reduced as compared with other Hangul input will be.

도 12는 인터넷에 게재되어 있는 내용(http://rock1209.tistory.com/296)으로 시판되는 핸드폰에 대표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한글입력 방법들에 대한 누름 횟수와 손가락 이동거리 데이타를 보여주고 있다. 한 눈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 11에 보여지는 자판의 경우 손가락 이동거리는 그 어떤 방법보다도 짧다. FIG. 12 shows the number of pushes and finger movement distance data for Hangul input methods which are typically applied to a mobile phone marketed on the Internet (http://rock1209.tistory.com//296). As can be seen, in the case of the keyboard shown in Fig. 1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ger moving distance is shorter than any other method.

이는 9개의 키로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리적인 면에서 쉽게 이해가 되는 내용이며 이것이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 하는 취지로서 도 12가 이러한 취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This is easily understandable from a principle point of view because it is possible to input with 9 keys. Fig. 12 shows this fact as an int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현재 사용자들이 가장 편하다고 여기는 천지인의 경우 본 발명 마찬가지로 모음의 배열을 중앙으로 이동시켜 누름횟수는 동일하여도 손가락의 이동거리를 단축시킨다고 하여도 누름횟수는 37(도 12의 데이타에 오류가 있슴)로 동일하고 손가락 이동거리는 37.2(+알파; 여기서 알파는 자음충돌로 인해 이동키를 눌러주기 위해 손가락이 움직이는 거리)로 감소하여도 역시 도 11의 자판구조에 비해 누름횟수와 이동거리 각각 10%, 20% 크게 나타나므로 본 발명의 자판을 이용할 경우보다 그 편리성은 떨어지는 것으로 판명된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presses is 37 (although there is an error in the data of FIG. 12) even if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finger is shortened even if the number of presses is the same, , And the finger movement distance is 37.2 (+ alpha; where alpha is the distance that the finger moves to press the move key due to the consonant collision), the press number and movement distance are 10% and 20% %, Which proves to be less convenient than when using the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모음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의 편리성은 지금의 어떤 자판배열보다도 증가한다는 것을 도 12의 데이터를 통해 알 수 있다. 특히 도 12에 보여지는 손가락 평균이동거리(한 번 누르는 동작에 수반되는 손가락 이동거리)를 보면 삼성의 천지인 문자입력 방법을 편하게 느끼는 이유를 보여주고 있다. 즉 삼성 천지인 문자입력 방법의 경우 한 번 키를 눌러준 다음 손가락이 이동해야 하는 거리가 키 하나 정도만 이동하면 되어 쉽게 키를 찾아 갈 수 있다는 편리성을 보여주는 반면 나랏글의 경우 문자입력에 익숙해지기 전 까지는 평균이동거리가 키간 거리의 두배에 가까워 쉽게 찾아가지 못하여서 어렵게 느껴지는 것이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경우는 평균이동거리가 0.86으로 1보다 작아서 천지인 문자입력보다도 더 쉽게 찾아 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9개의 키로 문자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는 이유를 보여주고 있으며 인체공학적으로 9개의 키는 엄지의 관절운동만으로 전체 키를 담당할 수 있으므로해서 사용자가 자판을 보지 않고도 입력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다.It can be seen from the data of FIG. 12 that the ease of use increases when any understanding of the vowels is achieved, than any keyboard layout now. In particular, FIG. 12 shows the reason why the average moving distance of the finger (the distance of movement of the fingers accompanied by the one-pressing operation) is comfortable for Samsung's method of entering the sky.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letter input method of Samsung, the distance that the finger should move after moving the key once is moved only by one key, so that it is convenient to find the key easily. On the other hand, Since the average moving distance is twice the distance between the kiwans, it can not be found easily, which makes it difficult.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moving distance is 0.86, which is smaller than 1, indicating that it can be found more easily than the character input of the sky. In other words, it shows the reason why the user can input characters with 9 keys. Ergonomically, 9 keys can take the entire key only by the joint motion of the thumb,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input without looking at the keyboard.

이렇게 최초 배열된 문자에 모음을 제외함으로 인해 추가적인 기능을 제한적인 분할영역의 수를 갖는 입력시스템에 도입 가능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an additional function can be introduced into an input system having a limited number of divided regions by excluding a vowel in the firstly arranged character is as follows.

[실시예 4][Example 4]

(4-1) (4-1)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모음입력 방식이 적용되는 자음배열과 관련 된 것으로 자음의 배열을 실제 사용되는 빈도 수를 고려하여 각 키에 하나 혹은 두 개의 자음을 지정하되 가능하면 사용 빈도 수(도 14)가 큰 자음을 주(主)문자로 지정하여 각 키가 한 번 눌렸을 때 입력되도록 하고, 그 배열 순서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숙지할 수 있도록 한글에서의 자음 순서대로 배열되도록 하였다. In this embodiment, one or two consonants are assigned to each key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actually used consonants, which is related to the consonant arrangement to which the vowel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f possible, ) Designates a large consonant as a main character and inputs each key when it is pressed once. The order of the consonants is arranged in the order of consonants in the Korean alphabe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nderstand them.

따라서, 자음의 배열은 도 1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ㄱ' 'ㄴㄷ', 'ㄹ', 'ㅇㅁ', 'ㅂ', 'ㅅㅈ', 'ㅎ'이 차례대로 각각 1, 2, 3, 6, 7, 8, 9번 키에 지정하고, 이들 자음 외에 '경음' 입력에 필요한 기능을 4번 키에 지정하여 모든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였다. 'ㅎ'이 지정된 9번 키를 손가락으로 누르는 동작이 다른 키에 비해 부자연스러워서 가능하면 자판의 가운데에 위치한 8번 키에 'ㅅ'과 'ㅈ'을 같이 지정함으로써 실질적으로 'ㅊ'의 입력에는 차이가 없고 다만 'ㅈ'의 입력을 위해 누름횟수가 1회 증가하는 차이점 뿐이어서 가능하면 자판의 중앙 열에 'ㅈ'이 배치되도록 하였다. Thus, the arrangement of the consonants is 1, 2, 3, and 6,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3, in the order of 'a' 'c', 'd', 'o k', 'c', ' , 7, 8, and 9 keys. In addition to these consonants, the function necessary for inputting 'hyphen' is assigned to key 4 to allow all consonants to be input. If you press the 9th key with 'ㅎ' with your finger, it is unnatural compared to other keys. If possible, you can specify 'ㅅ' and 'ゃ' in the 8th key in the middle of the keyboard. There is no difference but only the difference that the number of presses increases by one for the input of 'i', so that if possible, 'i' is placed in the center column of the keyboard.

마찬가지로 'ㅂ'이 지정된 7번 키의 경우도 9번 키와 동일한 이유로 하나의 문자만을 지정하여 입력의 편리성을 도모하였다. Likewise, in the case of the key # 7 designated by the letter 'ƒ', only one letter is designated for the same reason as the key # 9, thereby facilitating the input.

그리고 격음 'ㅋ', 'ㅌ', 'ㅍ', 'ㅊ'은 각각 'ㄱ', 'ㄷ', 'ㅂ', 'ㅈ'이 지정된 키에 마지막 문자로 지정되게 된다. 즉 'ㅋ'과 'ㅍ'의 경우는 'ㄱ'과 'ㅂ'이 지정된 1번 키와 7번 키를 두 번 누르면 입력이 되고, 'ㅌ'과 'ㅊ'은 'ㄷ'과 'ㅅㅈ'이 지정된 2번 키와 8번 키가 세 번을 누르게 되면 입력이 된다. 이렇게 지정하면 모든 자음 입력을 위한 조건이 9개의 키로서 충족되는 것이어서 한 손가락으로 쉽게 한글 문자 입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And 격, ㅌ, ', and' are designated as the last characters in the keys designated as 'a', 'c', 'ㅂ', and 'ゃ' respectively. In the case of 'ㅋ' and '' ',' '' and 'ㅈ' are input by pressing the keys 1 and 7 twice, When the specified key 2 and key 8 are pressed three times, the input is made. In this case, the condition for inputting all consonants is satisfied as nine keys, so that the input of the Hangeul character is easily performed with one finger.

(4-2) (4-2)

위의 실시예 (4-1)에 더 나아가서 '각기'에서와 같이 'ㄱ'이 첫 글자의 종성과 두 번째 글자의 초성으로 입력되어야 하는 자음 충돌이 일어나는 경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동키'에 해당하는 기능을 별도의 키에 지정하여 손가락이 이동키까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적인 손가락 움직임을 줄이기 위해서 2번 키에 지정된 'ㄴ'과 'ㄷ'을 분리하여 각각 'ㄱ'이 지정된 1번 키와 'ㄹ'이 지정된 3번 키에 지정하고 이들 'ㄴ'과 'ㄷ'이 지정되었던 2번 키에는 '이동키'의 기능을 부여하는 자음 배열 방법이 도 15에 보여지고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consonant collision that should be entered as the first letter consonant and the second letter consonant as in 'each case' as in the above embodiment (4-1), 'move key' In order to prevent the finger from moving to the move key by assign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to the separate key, the 'ㄱ' and the 'ㄷ' specified in the second key are separated and the first key and the ' 15 shows a consonant arrangement method for assigning a function 'move key' to a key No. 2 to which a 'd' is assigned to a designated key 3 and a '2' key to which a 'c' and a 'c' are assigned.

위의 도 13과 도 15의 자음 배열의 경우에 적용된 모음 배열은 도 6(II)와 도 7(II)에 해당된다. 만약 'ㄴ'과 'ㄷ'이 분리되어 'ㄱ'과 'ㄹ'과 합쳐지는 경우 누름횟수의 증가가 예상되는만큼 가능하면 'ㄴㄷ'를 'ㄱ'과 'ㄹ'로부터 분리시키는 방안으로 이동키 기능을 경음 기능을 수행하는 4번 키(도 13(I)에서 '**'로 표시됨)에 지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면 된다. The vowel arrangement applied in the case of the consonant arrangements of Figs. 13 and 15 corresponds to Figs. 6 (II) and 7 (II). If 'a' and 'c' are separated and combined with 'a' and 'd', if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pushes is expected as much as possible, a method of separating 'b' from ' To the fourth key (indicated by ' ** ' in Fig. 13 (I)) for performing the horn function.

실제 자음충돌이 일어나는 경우는 각각의 키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드물어서 경음 기능키를 두 번 누르는 경우 이동키의 기능을 부여하여 두 번 누르는 동작이 전체 키 누름횟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사용 빈도가 두 번째로 높은 'ㄴ'을 키의 첫 번째 문자로 지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e case of a real consonant collision, it is more rare than when each key is used. Therefore, when the percussion function key is pressed twice,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two times by giving the function of the move key does not greatly affect the total number of key presses, The second highest 'c' can be specified as the first character of the key.

경음 기능을 담당하는 '**'키를 4번 키에 지정하는 것은 경음이 기능을 요하는 자음 'ㄱ', 'ㄷ', 'ㅂ', 'ㅅ', 'ㅈ'이 모두 좌측에 배열되어 있어서 손가락 이동거리를 줄일 수 있어서이다. 마찬가지로 'ㅈ'이 'ㅅ'과 동일한 키에 지정되는 이유도 앞에서 설명한 9번 키에 'ㅎ' 하나만을 지정하는 것이 유리한 점도 있지만, 'ㅈ'을 가능하면 '**'키에 가깝게 접근하도록 하는 것도 9번 키에 'ㅎ' 하나만을 지정하는 또 다른 이유이다. The consonants 'a', 'c', 'f', 'g', and 'i' are all arranged on the left side. So that the finger moving distance can be reduced. Likewise, the reason why 'ゃ' is assigned to the same key as 'ㅅ' is that it is advantageous to designate only 'ㅎ' in the key 9 as described above. Another reason is that you only specify 'he' in key 9.

경음 기능을 담당하는 '**'는 'ㄱ'을 'ㄲ'으로 변환하는 경음 변환기능만을 당담하는 것이 아니라, 종성의 자음과 다음에 입력될 초성의 자음이 동일한 키에 지정되어 발생하는 자음 충돌을 방지하는 기능도 담당하게 된다. 예를 들면 '간다'라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서 '간'의 'ㄴ'과 '다'의 'ㄷ'을 입력하려면 도 13의 자판구조에서는 'ㄴ'을 입력한 다음 이동키를 눌러주어야 하는데 이 이동키의 기능을 '**'키가 담당하는 것이다. 즉 '간다'를 입력하기 위한 키 누름 순서는 다음과 같다.The '**' in charge of the sound function does not merely translate the transcoding function that converts 'A' into 'ㄲ', but the consonant collision occurs when consonants of consonants and consonants of next consonants are assigned to the same key As well as a function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problem. For example, in order to input the word 'go', in order to input 'c' of 'kanji' and 'c' of 'kanji', it is necessary to input 'b' in the keyboard structure of FIG. 13 and then press the move key. The '**' key is responsible for the function. That is, the key press sequence for inputting 'go' is as follows.

1 - 5 - 4 - 2 - 4 - 2 - 5 - 41 - 5 - 4 - 2 - 4 - 2 - 5 - 4

('ㄱ' + '+' + 'ㅇㅁ' + 'ㄴㄷ' + '**' + 'ㄴㄷ' + '+' + 'ㅇㅁ')('A' + '+' + 'ㅇㅁ' + 'c' + '**' + 'c' + '+' + 'ㅇㅁ')

'*'가 두 번 표시된 것은 경음 변환기능에서는 동일한 자음 반복을 의미하지만, 자음 충동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키로서의 기능을 담당할 때는 추가 자음을 입력하게 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경음 다음에 동일한 자음이 이어지는 경우 '**'키를 눌러주면 동일한 효과를 가져온다. '*' Is indicated twice, which means the same consonant repetition in the transcription conversion function, but can be understood as meaning to input an additional consonant when the function as a movement key for preventing consonant impulse is performed. If the consonant is followed by the same consonant, pressing the '**' key will produce the same effect.

위의 '간다'의 경우에는 'ㄴ'의 경우 경음에 해당하는 자음이 없어서 '**'키를 한 번 눌러주면 되었지만, 만약 '각기'와 같이 종성과 초성으로 쓰이는 'ㄱ'은 경음에 해당하는 'ㄲ'을 '**'을 눌러 주어 입력하므로 '**'를 한 번 눌러주는 것은 오류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를 자음 충돌 방지 기능과 경음 변환기능을 담당하게 하고자 한다면, '**'를 한 번 누르면 종성, 초성 자음 충돌 방지 기능을 담당하고, 두 번 눌러주면 경음변환 기능을 담당하게 하여 '각기'와 같이 두 가지 기능이 동시에 가능한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go' above, 'ㄱ' means that there is no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punctuation, so you have to press the '**' key once. But if you use 'ㄱ' '**' is input by pressing '**', pressing '**' once causes an error. Therefore, if you want '**' to take charge of the consonant collision prevention function and the transducing function, press '**' once to take charge of the prevention of consonant and leading consonant collis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ase where two functions such as 'each' are possible at the same time.

따라서, '**'키의 기능은 한 번, 두 번 눌러 줌에 따라 종성, 초성 자음 충돌 방지기능과 경음화 변환 기능을 담당하게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구성이다. Accordingly, the function of the '**' key is to constitute the function of the longitudinal, consecutive consonant collision prevention function and the transposition convers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zooming once or twice.

(4-3)(4-3)

위의 실시예에서와 달리, 한글 자음 중에서 'ㅇ'이 가지는 특수성을 이용하여 전술한 구성의 쌍자음 기능을 가지는 도 13 및 도 15의 '**'의 기능을 담당하게 하여 입력의 편리성을 더욱 증가시키게 하는 것이다. Unlike the above embodiment, by taking advantage of the specificity of 'ㅇ' among the Korean consonants, the function of '**' in FIG. 13 and FIG. 15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double consonant function is handled, More.

한글이 창제될 당시에는 'ㅇ'이 초성 'ㅇ'과 종성 'ㅇ'으로 구분되어 초성 'ㅇ'은 실질적인 음가는 없고 단지 모음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 요소로서 사용되었다. 즉 자음과 자음 사이에는 'ㅇ'이 이용되는 경우는 없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는 것이 본 구성의 핵심이다. At the time when Hangul was created, 'ㅇ' was divided into 'ㅇ' and '字', and 'ㅇ' was used as a component to maintain vowel shape without substantial sound. In other words, 'ㅇ' is not used between consonants and consonants. The use of this point is at the heart of this configuration.

즉 도 16에 보이는 자판 배열에서 '각기'를 입력하는 경우 첫 번째 음절인 '각'의 종성 'ㄱ'과 두 번째 음절의 초성 'ㄱ'이 동일한 1번 키를 눌러 입력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첫 번째 'ㄱ'을 입력하기 위해 1번 키를 누른 다음 4번 키를 눌러 준 후에 다시 1번 키를 눌러 주면 'ㄱ'을 두 번 입력하게 하는 방식이다. That is, in the case of inputting 'each' in the keyboard layout shown in FIG. 16, there occurs a problem in which the first syllable 'urn' of 'angularity' and the first syllable 'A' In this case, to input the first 'ㄱ', press key 1, then press key 4, then press key 1 again to input 'a' twice.

만약 'ㅇ'에 해당하는 4번 키를 눌러주지 않고 1번 키를 두 번 연속으로 눌러 주면 'ㄱ'을 두 번 입력하지 않고 'ㅋ'을 입력하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자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ㅇ'의 실직적인 입력은 없고 단지 자음 충돌을 피하기 위한 이동키의 역할만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자음과 자음 사이에서 'ㅇ'에 해당하는 4번 키를 두 번 눌러주면 첫 번째 자음을 경음화시켜 쌍자음을 입력시키는 기능도 담당하게 된다. If you press key 1 twice consecutively without pressing key 4 corresponding to 'ㅇ', you will enter 'ㅋ' instead of typing 'a' twice. Therefore, between consonant and consonant There is no practical input of 'ㅇ' and it is only the role of the move key to avoid collision of consonants. Further, if the fourth key corresponding to 'ㅇ' is pressed twice between the consonant and the consonant, the first consonant is sounded to input the consonant.

이는 'ㅇ'를 두 번 연속으로 자음과 자음 사이에서 입력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이동키의 기능뿐만 아니라 쌍자음 입력 기능도 담당할 수 있게 하여 준다. 예를 들면 도 15의 자판배열로 '빨리'를 입력하기 위한 키 누름 순서는 7 - 4 - 4 - 5 - 6 - 3 - 4 - 3 - 6 이 되는데 첫 번째 음절 '빨'의 'ㅃ'의 입력을 위해 4번 키를 두 번 눌러 주었고, 두 번째 음절의 초성 'ㄹ'이 첫 번째 음절 '빨'의 종성과 동일하여 3번 키를 연속으로 눌러주지 못하므로 이를 피하기 위해 연속되는 3번 키 입력 중간에 4번 키를 눌러 주어 입력이 완성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실제로 'ㅇ'의 입력에는 전혀 지장을 주지않으므로 'ㅇ'을 이용하여 이동키의 기능과 쌍자음 기능도 함께 담당하게 하여 줌으로서 도 9에 보이는 자판 배열에서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눌러주어야 입력이 가능했던, 모음 'ㅣ'와 'ㅡ'를 자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게 하여 준다. 따라서 모음 중 사용 빈도 수가 가장 높은 'ㅣ'의 경우 한 번의 누름 동작으로 입력할 수 있게 하여 주어 입력 횟수의 감소로 인한 입력의 효율성을 더욱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도 9의 자판 구조에서 'ㅣ'와 'ㅡ'가 배열 되었던 자리를 'ㅝ'와 'ㅘ'(1502)가 지정되어 이들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ㅜ'와 'ㅓ', 'ㅗ'와 'ㅏ'를 두 개의 모음으로 4번의 누름 동작으로 입력하여야 했던 것을 두 번의 누름 동작으로 입력이 가능하게 되고, 더욱이 도 16(III)에 보이는 바와 같이 '웨'와 '왜'(1503)도 세 번의 누름 동작으로 입력하게 되어 입력의 효율성은 훨씬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Since 'ㅇ' is never input between two consecutive consonants and consonants, it allows not only the function of the move key but also the function of inputting a double consonant. For example, the key press sequence for inputting 'fast' in the keyboard layout of FIG. 15 is 7 - 4 - 4 - 5 - 6 - 3 - 4 - 3 - 6, where the first syllable ' The second syllable 'd' is the same as the first syllable 'su', so that the third syllable key can not be pressed in succession. Press key 4 in the middle of the input to complete the input. Since this method does not hinder the input of 'o' at all, it is necessary to press the activation key of the vowel in the keyboard layout shown in FIG. 9 by using the 'o' Allowing the vowels 'ㅣ' and 'ㅡ' to be used with consonants. Therefore, in case of 'ㅣ'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among the vowels, it is possible to input a single pressing operation,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input due to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input. In addition, the positions where 'ㅣ' and 'ㅡ' are arranged in the keyboard structure of FIG. 9 are designated as' '' and 'ㅓ', 'ㅓ' 'And' why '(1503), as shown in FIG. 16 (III), can be input by two pushing operations, And the input efficiency becomes much higher because it is input by three pushing operations.

(4-4)(4-4)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하나의 키에 여러 개의 자음이 지정되어 누름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입력되는 멀티탭핑(Multi-tapping)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자음 충돌(앞 글자의 종성과 뒷 글자의 초성이 같은 키에 지정되는 경우)을 방지하기 위한 자음 배열 방식이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sonant collision occurs in a case where a plurality of consonants are assigned to one key and are sequentially inputted in the order of pressing, Is assigned to the same key) is a consonant arrangement method.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선택 기능키를 지정하고 있다. 이 선택 기능키의 기능은 각각의 키에 지정된 으뜸 문자외의 나머지 비으뜸문자를 선택하게 한다. To this end, a separate function key is design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of this select function key allows you to select the remaining non-uppercase letters for each key.

도 17(I)에 보이는 자판 배열은 으뜸문자만이 각 키에 표시되어 있어서 각각의 키를 눌러 줄 경우에는 이들 으뜸문자가 입력되고, 나머지 비으뜸 문자는 선택 기능키인 (*)키를 각각의 키를 눌러 준 다음에 이어 눌러 줄 경우에 입력되는 것이다. In the keyboard layout shown in FIG. 17 (I), only the uppermost letters are displayed on each of the keys. When the respective keys are pressed, the uppermost letters are input. And then pressing the key of the key.

예를 들면 'ㅋ'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ㄱ'키를 눌러 준 다음 '*'키를 눌러주면 입력되는 방법이다. 마찬가지로 'ㄲ'의 경우는 'ㄱ'키를 눌러 준 다음 '*'키를 두 번 연이어서 눌러 주면 입력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7(I)에 보이는 자판 배열에서 각각의 키에 지정된 으뜸문자와 비으뜸문자는 다음과 같다. 괄호안의 문자가 비으뜸문자로서 순서대로 배열된 것이다.For example, to enter 'ㅋ', press 'A' key and then press '*' key. Likewise, in case of 'ㄲ', press 'A' key and then press '*' key twice in succession. Therefore, in the keyboard layout shown in FIG. 17 (I), the upper and lower letters assigned to each key are as follows. The characters in parentheses are arranged in order as non-uppermost characters.

1 번 키 - ㄱ(ㅋ,ㄲ), 2 번 키 - ㄴ, 3 번 키 - ㄷ(ㅌ, ㄸ),     Key 1 - Key 2 - Key 3 - Key (,, ㄸ)

3 번 키 - ㄹ, 6 번 키 - ㅁ,     Key # 3 - Key # 6 - Key,

7 번 키 - ㅂ(ㅍ, ㅃ), 8 번 키 - ㅅ(ㅆ), 9 번 키 - ㅈ(ㅊ, ㅉ),     Key 7 - F, Key 8 - Key 9 - C,

0 번 키 - ㅇ(ㅎ).                          Key 0 - ㅇ (heh).

그리고, 선택기능키는 12개의 키를 갖는 키패드 핸드폰의 경우 (*)키 혹은 (#)가 담당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편리성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자음 배열을 갖는 자판에서 한글의 입력은 키패드 핸드폰의 경우 이미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바와 같고, 자음의 입력의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In the case of a keypad mobile phone having twelve keys, the selection function key can be assigned to the (*) key or (#), which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n the case of the keyboard having the consonant arrangement, the input of Hangul is already described in the case of the keypad mobile phone in Embodiment 2, and the case of inputting consonants is as described above.

[실시예 5][Example 5]

(5-1)(5-1)

본 발명의 입력부(110)가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과 같이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장치로 구성된 경우에, 본 발명은 한번의 터치 및 드래그에 의해 초성과 중성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즉, 자음과 모음이 동시에 음절로서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In the case where the input uni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 device for sensing the touch of a user such as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can input the initial value and the neutral value by one touch and drag. That is,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input simultaneously as syllables.

도 13의 경우를 예로 들면, 기존의 키패드 핸드폰에서는 '가'를 입력하기 위해 'ㄱ'에 해당하는 1번 키를 눌러준 다음 'ㅏ'를 입력하기 위해 모음 입력활성화 기능을 갖는 5번 키를 눌러 주고 이어서 4번 키를 눌러주면 '가'의 입력이 이루어진다. In the case of FIG. 13, for example, in a conventional keypad mobile phone, the user presses the first key corresponding to 'A' to input 'a', and then presses the fifth key having the vowel input activation function And then press key 4 to enter 'A'.

이러한 키패드 핸드폰에 비해 터치센서를 이용한 가상키보드로 구성된 입력장치의 경우 'ㄱ'을 입력하기 위해 1번 키의 영역을 터치한 다음 손을 터치센서(터치스크린 핸드폰의 경우 화면)에 닿아 있는 상태에서 5번 키 영역으로 이동하여 모음 입력활성화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이어서 4번 키 영역으로 이동한 다음 손가락을 터치센서(터치스크린 핸드폰의 경우 화면)로부터 이격하면 한 번에 '가'의 입력이 완성되는 방식이다. In the case of an input device composed of a virtual keyboard using a touch sensor as compared to such a keypad mobile phone, in order to input 'a', touch the area of the key 1 and then hold the hand in touch with the touch sensor Move to the 5th key area to activate the vowel input activation function, then move to the 4th key area and then move the finger away from the touch sensor (screen for the touch screen mobile phone) to be.

이렇게 할 경우 세 번의 터치 동작이 한 번의 터치 동작으로 대체되어 입력 속도에서 획기적인 증가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만약 '다'를 이러한 음절 입력 방법으로 입력하고자 한다면, 2번 키 영역을 한 번 터치한 다음 두 번째 터치하고서는 손을 터치센서((터치스크린 핸드폰의 경우 화면)로부터 이격하지 말고 닿아 있는 상태에서 5번 키영역으로 이동하여 모음 입력활성화를 시키고 이어서 4번 키 영역으로 이동한 다음 손가락을 이격하면 '다'의 입력이 완성되는 것이다. In this case, three touch operations are replaced with one touch operation, resulting in a dramatic increase in the input speed. If you want to input 'Da' by using the syllable input method, touch the 2nd key area once and then touch the second time. Then, do not separate your hand from the touch sensor (screen for touch screen mobile phone) Moving to key area 5 and activating vowel input, moving to key area 4, and then separating the finger, the input of 'D' is completed.

즉 한글 문자의 초성을 선택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손가락을 터치센서로부터 이격하지 않고 그대로 원하는 모음을 선택하는 stroke 방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haracter of the Hangeul character is selected, it is possible to select a desired vowel as it is without separating the finger from the touch sensor.

홑모음의 경우 자음 선택 후에 터치상태에서 모음 입력활성화를 이룬다음 홑모음에 해당하는 키 영역으로 손가락을 이동한 후 이격하면 '자음+홑모음'의 구성을 갖는 음절의 입력이 가능하다. In the case of a single vowel, after the consonant is selected, the vowel input is activated in the touch state. After the finger is moved to the key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ingle vowel, the syllable having the composition of the consonant +

하지만 겹모음의 경우는 홑모음과 달리 한번의 스트로크(stroke)로 입력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겹모음의 경우 먼저 자음을 선택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떼지 말고 모음 입력활성화를 이루기 위해 5번 키 영역으로 이동한 다음 손을 떼어, 겹모음 입력활성화 상태를 만들고 이 상태에서 겹모음에 해당하는 영역을 터치한 후 손가락을 떼면 겹모음의 입력이 완성된다. However, in the case of a double vowel, unlike a single vowel, input is impossible with a single stroke. Therefore, in the case of such a double vowel, first, in order to activate the vowel input without moving the finger while keeping the consonant selected, move to the key area No. 5 and then release the hand to make the double-vowel input activation state, and touch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double- Once you release your finger, the input of the double vowel is completed.

예를 들면 '야'를 입력하기 위해서 'ㅇㅁ'에 해당하는 6번 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5번 키 영역으로 이동하여 손가락을 터치센서로부터 이격하고, 이어서 6번 영역(이 경우 'ㅑ'에 해당)을 터치한 후 이격하면 입력이 완성되는 것이다. 즉 '야'의 경우 홑모음인 '아'의 경우와 동일한 스트로크(stroke) 괘적을 가지지만 단지 중간에 5번 키 영역에서 단절되는 동작만을 가짐으로 손 쉽게 겹모음의 입력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예는 단지 본 발명의 모음 구성이 스트로크(stroke) 방식에 의한 '자음+모음'의 동시 입력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가상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에서 본 구성의 자음의 입력을 위해서 굳이 터치센서로부터 손가락의 이격이 이루어지지 않고도 자음의 입력을 완성하는 것이 본 구성의 내용이다.For example, in order to input 'Ya', touch the key No. 6 corresponding to 'ㅇㅁ', move to the key area of No. 5, move the finger away from the touch sensor, Touching and touching it will separate the input. That is, in the case of 'Ya', the stroke has the same stroke as the case of the single vowel 'A', but only the operation to cut off in the key area of the middle 5 is possible so that the input of the double vowel can be easily performed. This example merely shows that the vowel arrang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imultaneously inputting a consonant + vowel by a stroke method. Therefore, in order to input the consonant of the present configuration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virtual keyboard, it is the content of this configuration that the consonant input is completed without the finger being separated from the touch sensor.

(5-2)(5-2)

실시예 5-1 및 실시예 4-4를 조합한 입력방법이 도 18에 보여지고 있다. An input method combining Example 5-1 and Example 4-4 is shown in Fig.

도 1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아가씨'를 입력할 때, 첫 글자인 '아'의 경우 'ㅇ'키에 손가락이 닿은 상태에서 시작하여 모음 입력활성화키(+) 영역을 거쳐 'ㅏ'가 지정된 'ㅁ'키 영역에 이른 다음 손가락을 이격한다. As shown in FIG. 18, when the first letter 'ah' is input, the 'o' starts with the finger touching the 'o' key, and the 'a' ㅁ 'key area and then separates the finger.

'가'의 경우도 'ㄱ'키에 손가락이 닿은 상태에서 시작하여 모음 입력활성화키(+) 영역을 거쳐 'ㅏ'가 지정된 'ㅁ'키 영역에 이른 다음 손가락을 이격한다. In the case of 'a', start with the finger touching the 'a' key, move through the vowel activation key (+) area, reach the 'k' key area designated 'a', and then separate the finger.

마지막으로 '씨'의 경우는 'ㅅ'키를 터치한 다음 손가락을 이격하고, '*'키를 터치하여 입력 문자가 'ㅅ'에서 'ㅆ'으로 변경되게 한 다음 이 상태에서 손가락을 이격하지 않고 모음 입력활성화키(+) 영역을 거쳐 'ㅣ'가 지정된 'ㄷ'키 영역에 이른 다음 손가락을 이격하면 '씨'의 입력이 완성되는 것이다. Finally, in case of 'Mr.', touch the 'ㅅ' key, then move the finger away, and touch '*' key to change the input character from 'ㅅ' to 'ㅆ' If you move to the 'ㄷ' key area through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 area and the 'ㅣ' key, and then move your finger away, the input of 'Mr.' will be completed.

도 18에서 검은 원으로 표시된 것은 터치-이격을 의미하고(이하 검은 원으로 표시된 것은 터치스크린의 경우 '터치-이격' 동작을 의미하고, 키패드의 경우 누름동작을 의미한다.), 곡선은 손가락이 터치센서에 접촉된 상태에서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바 곡선의 시작점은 접촉이 시작되는 지점이고 화살표가 위치한 지점은 손가락이 접촉이 끊기는 마지막 지점을 표시한다.In FIG. 18, the black circles indicate touch-spacing (the black circles represent the 'touch-spacing' operation in the case of a touch screen and the pressing operation in the case of a keypad) The starting point of the curve indicating the movement path in contact with the touch sensor is the point at which the contact starts, and the point where the arrow is located indicates the last point at which the finger is disconnected.

(5-3)(5-3)

도 19는 '야'를 입력하는 또 다른 방법을 키패드의 경우와 비교한 것이다. FIG. 19 compares another method of inputting 'night' with that of the keypad.

첫 번째 방법은 도 19(I)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ㅇ'키를 터치하고 이격(①)한 다음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두 번 터치-이격 과정(②,③)을 거친고 마지막으로 'ㅁ'키를 터치-이격(④)하여 '야'의 입력을 완성한다. 여기서 터치-이격 과정은 키패드 핸드폰에서 누름-이격 동작과 동일하므로 키패드 핸드폰에서 '야'를 입력하는 과정은 도 19(I)과 동일하다. In the first method, as shown in FIG. 19 (I), after touching the key 'ㅇ', the user presses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twice through the touch-separation process (② and ③) 'Key to touch-off (④) to complete the input of' Night '. Here, the process of inputting 'night' in the keypad mobile phone is the same as that of FIG. 19 (I) because the touch-spacing process is the same as the push-apart operation in the keypad mobile phone.

다만 19(II)~(V)의 화살표를 갖는 곡선은 손가락이 터치센서에 닿아 있는 상태에서의 움직임을 의미하므로 키패드에서는 적용할 수 없고 단지 터치센서를 이용한 가상키보드 시스템에만 유용한 방법이다. 도 19(II)의 ①과정은 'ㅇ' 입력이고, ② 과정은 단모음 활성화과정이고, ③ 과정은 겹모음 활성화 과정 및 'ㅑ'입력 과정이다. 만약 ② 과정 다음에 바로 'ㅁ'키를 터치-이격하면 '아'가 입력되는데 이는 ③ 과정에서 처음 접촉하는 지점이 모음 입력활성키 영역이므로 ③ 과정은 도 18(I)의 ③ 과 ④ 과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따라서, 터치-이격 과정을 한 번 생략하는 효과를 가져와 입력 효율을 증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However, the curved line with arrows 19 (II) to (V) means a movement in the state where the finger touches the touch sensor, so it can not be applied to the keypad, and is useful only for the virtual keyboard system using the touch sensor. The process (1) of FIG. 19 (II) is the input of 'o', the process of the short vowel activation process, and the process of the double vowel activation process. If the 'ㅁ' key is touched after the step ②, 'a' is inputted if the step is separated. This is because the first contact point in the step ③ is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region. It has the same effect as the simultaneous execution. Therefore, the touch-spacing process is omitted once, thereby increasing the input efficiency.

마찬가지로 도 19(III)의 ① 과정은 도 18(I)의 ① 과 ② 과정을, 그리고 도 19(III)의 ② 과정은 도 19(I)의 ③ 과 ④ 과정과 동일한 효과를 가져오므로 결국 두 번의 터치-이격 과정을 생략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Likewise, the process (1) of FIG. 19 (III) has the same effect as the processes (1) and (2) of FIG. 18 (I) It will have the effect of omitting two touch-spacing processes.

[실시예 6][Example 6]

(6-1)(6-1)

모음도 자음과 마찬가지로 선택기능키를 이용하여 단모음을 겹모음화할 수 있다. As with consonants, vowels can be double-vowelized using the selection function keys.

도 20은 이러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아'와 '야'의 입력을 동일한 궤적과 터치-이격 과정을 거치고 '야'의 경우 마지막에 선택기능키를 터치-이격하게 함으로써 '야'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FIG. 20 illustrates this embodiment. In this case, when the input of 'ah' and the input of 'night' are performed through the same trajectory and touch-spacing process and in the case of ' .

이는 사용자들이 자음의 선택과 동일한 기작으로 모음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려로서 '아'와 '야'의 입력을 동일한 궤적과 터치-이격 과정을 거치고 '야'의 경우 마지막에 선택기능키를 터치-이격하게 함으로서 단순화 시키는 장점을 가져오고, 도 19(I)~(III)의 과정에서 일부가 잘못되어 '아'가 입력되더라도 처음부터 수정하지 않고 단지 선택기능키를 터치-이격하는 과정만으로 수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게 된다. In order to allow users to input a vowel with the same mechanism as the consonant selection, 'ah' and 'ya' input are subjected to the same trajectory and touch- 19 (I) to (III), it is possible to correct only the process of touching the selection function key without changing it from the beginning even if 'A' is inputted in the process of FIGS. To provide a solution.

또한, 도 17에도 도시되어 있는데, 도 17에서 보이는 단모음의 입력 후에 선택기능키의 영역을 터치-이격하면 그에 해당하는 겹모음이 입력되도록 하는 방안으로 'ㅣ' 또는 'ㅡ'를 입력 한 후에 '*'키 영역을 터치-이격하면 'ㅢ'가 입력되고, 'ㅏ', 'ㅓ', 'ㅗ', 'ㅜ'를 입력 한 후에 '*'키 영역을 터치-이격하면 'ㅑ', 'ㅕ', 'ㅛ', 'ㅠ'가 각각 입력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음절입력 방식 중에서 도 19의 곡선으로 표시된 터치상태에서의 손가락움직임은 키패드 핸드폰에 적용이 불가능하지만, '*'키를 이용하여 모음 활성화키가 한 번 터치 되었을 때 입력 가능한 모음(도 17(I)에 나타나는 모음군)을 두 번 터치하였을 때 입력 가능한 모음(도 17(II)에 보여지는 모음군)으로 변화시키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17, when a region of the selected function key is touched and separated after inputting the short vowel sound as shown in FIG. 17, a '?' Or '?' Is inputted as a method for inputting the corresponding double vowel, Touch 'key area', 'ㅢ' will be input, ''',' ㅓ ',' ㅗ ',' ㅜ '',' ㅛ ', and' ㅠ ', respectively. The finger movement in the touch state indicated by the curved line in FIG. 19 is not applicable to the keypad mobile phone. However, when a vowel activation key is touched once using the '*' key (FIG. 17 (I) (The group of vowels shown in Fig. 17 (II)) when the user touches the vowel group twice (i.e., the vowel group shown in Fig. 17 (II)).

[실시예 7][Example 7]

(7-1)(7-1)

본 발명의 실시예 7-1은 한글의 21개 모음을 단모음+단모음 혹은 겹모음+단모음의 조합이 아닌 모음 입력활성화키 영역을 세 번까지 터치하거나, 세 번 터치한 것으로 간주되도록 하여 한 번에 선택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Embodiment 7-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in which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region is considered to be touched three times or is touched three times instead of a combination of short vowel + short vowel or double vowel + And provide a way to enter.

도 21(I), (II), (III)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한 번 터치하면 단모음군(ㅏ, ㅓ, ㅗ, ㅜ, ㅡ, ㅣ, ㅔ, ㅐ 8자 - 도 21(I) )을 선택 입력할 수 있고, 두 번 터치하면 겹모음군(ㅑ, ㅕ, ㅛ, ㅠ, ㅢ, ㅖ, ㅒ, 7자 - 도 21(II) )를 선택 입력할 수 있고, 세 번 터치하면 복모음군(ㅚ, ㅘ, ㅙ, ㅟ, ㅝ, ㅞ, 6자 - 도 21(III) )를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자음배열이 도 21(I)과 같이 10개의 자음이 모음 입력활성화키 주위에 배열되고 도 17에서의 선택기능키(1602)와 달리 도 21의 자음 배열에서 자음을 멀티탭방식으로 입력하고 (*)키(1902)를 자음충돌을 방지하는 이동키의 기능을 담당하게 하는 경우에는 (*)키를 모음 입력활성화키와의 조합으로 모음입력 활성화키의 터치 횟수를 줄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1 (I), (II), and (III), when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is touched once, a short vowel group (a, b, c, t, (I)) can be selected by touching twice, and a double-tone group (ㅑ, ㅕ, ㅛ, ㅠ, ㅢ, ㅖ, ㅒ, (ㅚ, ㅘ, ㅙ, ㅟ, ㅝ, ㅞ, 6 characters - Figure 21 (III)) can be selected by touch. As shown in FIG. 21 (I), consonants are arranged around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s and unlike the selection function keys 1602 in FIG. 17, consonants are input in a multi-tap manner in the consonant arrangement of FIG. ) Key 1902 serves as a move key for preventing a consonant collis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touches of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by combining the key with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즉 도 21(IV)의 복모음군에 속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세 번 터치할 필요가 없이 (*)키를 터치한 다음 모음 입력활성화키(1901)를 터치하면 두 번의 터치로 복모음군의 모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결국 (*)키(1902)가 모음 입력활성화키(1901)의 두 번 터치에 해당하는 역할을 담당하여 터치 횟수를 감소시키게 된다. That is, it is not necessary to touch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three times to input a vowel group belonging to the diphthong group of FIG. 21 (IV). If the user touches the (*) key and touches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1901, So that the vowel group can be selected. As a result, the (*) key 1902 corresponds to the double touch of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1901,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touches.

이는 키패드 핸드폰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세 번 눌러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두 번의 누름( (*)키 한 번 + 모음 입력활성화키 한 번 )으로 마무리 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This is also applicable to the keypad cell phone, which means that you can press the key twice to activate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three times (one key (*) + one key activation key) .

도 21에서 (*)의 기능은 자음 충돌을 방지하는 이동키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므로 (*)가 자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입력 칸 이동을 실행시키지만 (*)키 다음에 모음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입력 칸 이동이 아니라 모음 입력활성화키 두 번 누름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In FIG. 21, the function (*) in FIG. 21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movement key to prevent the consonant collision, so (*) executes the movement of the input space between the consonant and the consonant (*), It is not the movement, but the function that presses the activation key of the vowel twice.

그렇지만 터치센서를 이용한 가상키보드 입력방법에서 (*)키를 터치-이격한다고 하여도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터치하기 전까지는 화면상에 복모음군이 표시되지 않아야 하는데 이는 (*)키 이후에 자음키가 입력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만약 도 21의 (*)키가 도 17에서와 같이 선택 기능키(1602)의 기능을 담당한다면 (*)키는 더 이상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두 번 터치한 효과를 가질 수는 없다. However, even if the virtual keyboard input method using the touch sensor (*) touches the key, the group of diphthongs should not be displayed on the screen until the user touches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And may be input. If the (*) key in FIG. 21 corresponds to the selection function key 1602 as shown in FIG. 17, the (*) key can no longer have the effect of touching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twice.

이는 (*)키가 선택 기능키의 기능을 담당하는 경우 (*)키를 터치-이격한 다음 단모음입력을 위해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터치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단모음 입력과 복모음 입력이 동일한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동일한 과정으로 두 가지 기능을 구현되는 모순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when the (*) key is responsible for the function of the selected function key (*), it is necessary to touch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for the short vowel input after touching the key, so that the short vowel input and the double- This is because the inconsistency of implementing the two functions occurs in the same process.

그리고, 도 22는 도 21의 자판 배열을 가로 모드로 변경하였을 경우 모음의 배열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21과 도 22의 자판배열 구조에 있어서 모음 입력활성화키(1901, 2101)가 가져오는 장점은 마침표, 쉼표, 물음표를 굳이 일반적으로 터치센서를 이용한 가상키보드 상에 존재하는 별도의 메뉴키를 구성하여 이를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기호입력 자판을 불러오지 않아도 도 21(II), 도 22(II)에 보이는 바와 같이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혹은 터치-이격 한 상태에서 이들 문장부호를 단모음과 같이 한 번에 선택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22 shows an array structure of vowels when the keyboard layout of FIG. 21 is changed to the landscape mode. In the keyboard layout arrangement of FIGS. 21 and 22,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s 1901 and 2101 have a separate menu key existing on the virtual keyboard using a touch sensor, such as a period, a comma, and a question mark 21 (II) and 22 (II) without touching it with a finger to call up the symbol input key board, these punctuation symbols are displayed in a state of touching the short vowel It will provide a way to select and enter at the same time.

키패드 핸드폰의 경우에 '?', '.', ','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누른 다음 도 21의 경우 'ㅇ', 'ㅈ', 'ㅎ'키를 눌러 주면 되고, 도 22의 경우 'ㄹ', 'ㅂ', 'ㅎ'키를 눌러 주면 이들 자음 대신에 문장 기호가 입력되는 것이다. In order to input '?', '.', ',' In the case of a keypad mobile phone, the user presses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and then presses the 'o', 'o', and ' If you press '' ',' '', 'ㅎ' key, the sentence symbol will be input instead of these consonants.

(7-2)(7-2)

본 발명의 실시예 7-2는 실시예 7-1의 구성에서 제공하는 복모음 입력 방법의 모음 입력활성화키의 누름 횟수(터치스크린을 이용한 가상키보드의 경우는 터치 횟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에서 사용하는 '*'키 대신에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Embodiment 7-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method of reducing the number of times of pressing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the number of touches in the case of a virtual keyboard using the touch screen) of the diphthong input method provided in the configuration of Embodiment 7-1 A method of using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instead of the " * " key is provided.

도 23(III)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겹모음 입력하기 위해 모음 입력활성키를 연속 두 번 누르는 동작(터치스크린 방식에서는 두 번의 터치-이격하는 동작) 대신 홑모음을 입력한 후(①, ②)에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한 번 더 눌러주는 동작(③)으로 겹모음을 입력하게 하면, 겹모음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3 (III), in order to input a double vowel, after inputting a single vowel instead of pressing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twice in succession (in the touch screen mode, two touch-spacing operations) If you input a double vowel by pressing the vowel activation key once more (③), you can input a double vowel.

다만 도 23(III)에 방법으로 겹모음( 'ㅑ', 'ㅕ', 'ㅛ', 'ㅠ', 'ㅢ', 'ㅒ', 'ㅖ')을 입력할 경우 오토마타 구성상 복모음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모음을 연속으로 입력하는 방법은 불가능하여 진다. 예를 들면 'ㅘ'를 입력하기 위해 'ㅗ'와 'ㅏ'를 연속으로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도 23의 오토마타 구성상 'ㅘ'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ㅛ'와 'ㅁ'을 입력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However, if you enter the double vowels ('ㅑ', 'ㅕ', 'ㅛ', '' ',' ㅢ ',' ㅒ ',' ㅖ ') in the method of Figure 23 (III) It is impossible to input each short vowel continuously. For example, if you want to input 'ㅗ' and 'ㄱ' to input 'ㅘ', you should input 'ㅛ' and 'ㅁ' instead of 'ㅘ' It is to be brought.

왜냐하면 'ㅗ'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도 23(I)에 보이는 자판에서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눌러주고 키 'ㄷ'를 누른 다음 이어서 'ㅏ'를 입력하기 위해 모음 입력활성화키와 키 'ㅁ'을 눌러 주어야 하는데 이는 'ㅏ'를 입력하기 위한 모음 입력활성화키 누름 동작이 모음입력활성화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이미 입력된 모음 'ㅗ'를 겹모음 'ㅛ'로 변화시키는 동작을 가져오므로 마지막에 눌리는 키 'ㅁ'은 자음 'ㅁ'을 그대로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In order to input 'ㅗ', press the key input activation key in the keyboard shown in FIG. 23 (I), press the key 'c', and then press the vowel activation key and the key 'k' This is because the action of pressing the key input activation key for inputting the 'a' brings the action of changing the already inputted vowel 'ㅗ' into the double vowel 'ㅛ' instead of bringing the vowel input activation, ㅁ 'is to input the consonant' ㅁ 'as it is.

따라서, 도 23(IV)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복모음의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했던 방법과 같이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두 번 연속 눌러준후, 해당되는 복모음이 할당된 분할영역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3 (IV), in the case of the diphthong tone, it is possible to input the diphthong tone as a method of selecting the divided region to which the corresponding diphthong tone is allocated by pressing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twice in succession desirable.

(7-3)(7-3)

복모음 입력의 경우, 사용자의 복모음의 배열의 직관성을 높이기 위해 누름횟수를 증가시키더라도 그 복모음을 구성하는 단모음을 모두 누르도록 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intuitiveness of the arrangement of the user's diphthongs, in the case of the diphthongs input, there may be a method of pressing all the short voices constituting the diphthongs even if the number of presses is increased.

예를 들어, 'ㅟ'를 입력하기 위해 'ㅜ'와 'ㅣ'를 각각 입력하는 방법을 위해서는 오토마타의 구성을 도 23(IV)를 도 24(IV-1)과 같이 변경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a may be changed as shown in FIG. 23 (IV) to FIG. 24 (IV-1) in order to input 't' and 'l' to input 'ㅟ'.

즉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두 번 눌러 주었을 경우 이후에 눌려지는 두 번의 누름키는 모두 모음에 해당하는 문자를 입력하게 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if the user presses the activation key of the vowel twice, the two pushing keys to be pressed afterward are all to input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vowel.

[실시예 8][Example 8]

(8-1)(8-1)

실시예 5에서는 초성 및 중성을 입력할 때 한번의 터치 및 드래그 동작으로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예를 들어보았다. In Embodiment 5, an example has been shown in which an input can be easily performed by one touch and drag operation when inputting initial and neutral.

위의 실시예 5에서는 중성이 단모임인 경우만을 예로 들었으나, 'ㅘ, ㅝ, ㅟ, ㅙ, ㅢ, ㅞ, ㅚ'와 같이 복모음인 경우에도 경우에도 유사한 동작으로 입력이 가능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 5, although only the case of the neutral group is taken as an example, it is possible to input the similar operation even in the case of a double voice such as 'ㅘ, ㅝ, ㅟ,., ㅢ, ㅞ, ㅚ'.

실시예 5 및 실시예 7과 연관하여 설명해보겠다.The fifth embodiment and the seven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3의 키패드 자판에 적용된 키 누름 방법은 터치스크린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며, 터치 횟수를 줄이기 위해 드래그 동작까지 이용한 것이 도 25에 도시되어 있다. The key pressing method applied to the keypad keyboard of FIG. 23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touch screen, and FIG. 25 illustrates the use of the key pressing method until the drag operation to reduce the number of touches.

도 25(II)는 도 23(II)와 동일하게 'ㅏ'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두 번의 터치가 한 번의 드래그 동작으로 대체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25(III)은 한 번의 드래그 동작과 이어지는 터치-이격 동작으로 'ㅠ'가 입력됨을 보여주고 있다. FIG. 25 (II) shows that two touches can be replaced by one drag operation by inputting 'a' in the same manner as FIG. 23 (II), and FIG. 25 (III) And 'ㅠ' is inputted as a touch-spacing operation.

더 나아가서 도 25(III-1)은 한 번의 드래그 동작으로 모든 겹모음이 입력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도 24(III-1)은 도 24(III)에 비하여 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Furthermore, FIG. 25 (III-1) shows that all the double voices can be input by one drag operation. However, FIG. 24 (III-1) has a higher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n error as compared with FIG. 24 (III).

그 이유는 도 25(III)은 드래그 동작의 종료지점이 명확하여 홑모음이 정확히 결정되고 그에 따라 겹모음도 정확하게 결정된다. 하지만 도 25(III-1)은 동작이 끊어지지 않는 장점은 있지만 실제로 손가락 드래그 동작중에 'ㅜ'만이 아니라 'ㅓ', 'ㅡ'를 동시에 지나칠 수 있으며, 이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이 이동 궤적이 정확히 이루어지는 경우에 적당하며, 손가락과 같이 그 궤적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는 바람직하지 않다.This is because the end point of the drag operation is clear in Fig. 25 (III), so that the single vowel is accurately determined and accordingly the double vowel is also accurately determined. However, in FIG. 25 (III-1),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is not interrupted. However, during the finger dragging operation, not only 't' but also 'ㅓ' and ' And it is not preferable that the locus of the finger is inaccurate.

마지막으로 도 25(IV)는 복모음의 입력이 한 번의 터치-이격 동작에 이은 드래그 동작으로 완성됨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 특징은 입력되는 복모음은 드래그 동작의 시작위치와 종료위치에 해당하는 홑모음의 결합으로 결정된다. 25 (IV) shows that the input of the diphthong tone is completed by a drag operation after one touch-spacing operation. The feature is that the input diphthong is a combination of the first vowel corresponding to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of the drag operation .

(8-2)(8-2)

도 26은 확장키에 의한 모음 배열이 도 25와 같을 때, '오'(I), '요'(II), (II-1) 및 '왜'(III)를 드래그 방식으로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도 26(I)는 '오', 도 26(II)는 '요', 도 26(III)은 '왜'의 입력 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26(II-1)은 겹모음 '요'를 입력하기 위해 '오'를 입력한 다음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다시 한 번 터치-이격 함으로서 '요'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26 shows an example of inputting 'O' (I), 'Yo' (II), (II-1), and 'Why' (III) by dragging when the vowel arrangement by the expansion key is as shown in FIG. 26 (II) and 26 (III) show the input process of "why", and FIG. 26 (II-1) And inputting 'o' in order to input a double vowel 'yo', and then inputting 'yo' by touching-away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again.

도 26(II)와 도 26(II-1)을 비교하면, 도 26(II)에 보여지는 손가락의 궤적은 정확히 모음 입력활성화키 영역에서 곧바로 'ㅗ'키 영역으로 이동하기보다 자연스럽게 'ㅏ' 혹은 'ㅣ'의 영역을 거치게 되므로 '야'를 입력하는 과정이나 '의'를 입력하는 과정과 혼선을 야기할 수 있는데 반해, 도 26(II-1)의 손가락 궤적은 중간에 'ㅏ' 혹은 'ㅣ'키 영역을 거치더라도 손가락 이격이 'ㅗ'의 위치에서 이격하기만 하면 '오'가 정확히 입력된 후 모음입력활성화키가 다시 터치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입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26 (II) is compared with FIG. 26 (II-1), the locus of the finger shown in FIG. 26 (II) is more accurate than moving from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region to the ' The finger trajectory of FIG. 26 (II-1) may be interrupted with a process of inputting a 'Ya' or a process of inputting a ' Even if the 'ㅣ' key area is used, since the finger input is separated from the 'ㅗ' position and the 'o' is input correctly and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is touched again, more accurate input is possible.

겹모음과 달리 복모음이 가지는 장점은 드래그의 종료지점이 명확하여 중간에 경유하는 지점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도 26(IV)와 같이 '왜'를 입력하는 경우 드래그 동작 중에 'ㅗ' 뿐만 아니라 'ㅣ'와 'ㅏ'도 경유하게 되는데, 종료지점이 'ㅐ'에 해당하므로 이와 결합할 수 있는 모음은 'ㅗ'뿐이어서 도 23(III-1)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입력 에러가 문제되지 않는다. Unlike the double vowel, the advantage of the double vowel sounds is that the end point of the drag is clear, so the point passing through the middle is not a big problem. For example, when 'why' is input as shown in FIG. 26 (IV), not only 'ㅗ' but also 'ㅣ' and 'a' are passed through during the drag operation. Since the end point corresponds to 'ㅐ' The input error that may occur in Figure 23 (III-1) does not matter.

도 26에서와 같은 드래그 동작의 장점은 '터치-이격'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하여주어 모든 모음을 하나의 드래그 동작으로 입력 가능하게 하여 주는 바, 도 27와 도 28에 이러한 입력 방법이 나타나 있다. The advantage of the drag operation as shown in FIG. 26 is that it is possible to omit the 'touch-spacing' process so that all the vowels can be input by one drag operation. FIGS. 27 and 28 show such an input method .

도 27과 도 28의 차이는 자음과 모음 배열이 세로 모드인 경우와 가로 모드인 경우일 뿐 단모음, 겹모음, 복모음에 대한 입력 방법은 방향이 90도 바뀌었을 뿐 동일하다. 27 differs from FIG. 28 in that the consonant and vowel arrangements are in the vertical mode and the horizontal mode, but the input method for the short vowels, the double vowels, and the double vowels is the same except that the direction is changed by 90 degree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음'+'모음' 입력 방법은 8개의 홑모음의 위치만을 숙지하고 있으면 한 번의 드래그로 쉽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며 궤적을 정의하는 모음 키의 영역이 구체적으로 정의되어 있어서 정확한 모음 입력을 보장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sonant' + 'vowe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method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easily by one drag if only the positions of the eight single vowels are known, The area of the key is specifically defined, ensuring accurate vowel input.

본 발명의 입력해석부(120)는 1) 사용자가 입력부(110) 상에서 드래그 동작을 하는 경우, 그 드래그 동작 중에 접촉된 모든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가 모두 선택된 것으로 볼 수도 있고, 2) 그 중 소정 넓이 이상 접촉이 된 것으로 판단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만 선택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The input analysis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1) when the user performs a drag operation on the input unit 110, all the characters assigned to all the divided regions contacted during the drag operation are selected; (2) It may be considered that only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divided area determined to have contacted by a predetermined width or more are selected.

또한, 3) 드래그 동작 중에 접촉된 모든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 중 순서대로 입력이 되었을 때 글자를 만들 수 있는 문자만 선택된 것으로 볼 수도 있고, 4)최초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와 이격시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는 선택된 것으로 보고, 중간에 접촉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는 최초 선택된 문자 및 최종 선택된 문자 사이에서 선택되었다고 했을 때 글자를 이룰 수 있는 문자만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can be regarded that only the characters that can make letters when inputted in order among the characters assigned to all the divided areas contacted during the dragging operation are selected; or 4) The character assigned to the divided area may be regarded as being selected, and the character assigned to the intermediate contacted area may be selected only when the character is selected between the first selected character and the last selected character.

이 때, 최초로 선택된 문자는, 초성이나 중성을 입력하기 위해 최초로 선택된 문자를 의미할 수도 있다. 중성의 경우 확장키인 모음입력활성화키 또는 모음입력활성화키가 접촉된 후 최초로 접촉된 문자를 최초로 선택된 문자로 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elected character may mean the first selected character to input the leading or neutral. In the case of neutral, the activation key or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which is an extended key, can be displayed as the first selected character after the first contacted key is touched.

입력해석부(120)가 3)번 방식으로 판단을 내린다고 할 때 드래그 방식으로 복모음을 한번에 입력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오해를 방지할 수 있는 모음키의 배열이 중요하다. When the input analyzing unit 120 makes a judgment based on the method 3), in order to input the diphthongs at a time in a drag manner, it is important to arrange the vowel keys to prevent misunderstanding as much as possible.

예를 들어, 앞의 예에서 '왜'를 입력하는데'ㅏ'의 위치에 'ㅣ'가 있는 경우에는 'ㅚ'가 입력되었는지 'ㅙ'가 입력되었는지 불명확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For example, if you type 'why' in the previous example and 'ㅣ' at 'a', you may be uncertain whether 'ㅚ' or 'ㅙ' is entered.

이러한 오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모음입력활성화키를 중심으로 단모음에 해당하는 '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ㅔ'의 8개 모음이 배치되는데 한 번의 드래그 동작으로 모든 단모음, 겹모음, 복모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도 27 및 도 28과 같이 'ㅗ'와 'ㅜ'과 모음이 배치되는 정사각형 영역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In order to minimize such misunderstandings, eight vowels of a short vowel corresponding to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are arranged, namely, a, v, ㅗ, ㅜ, ㅡ,,, ㅐ and ㅔ. , And in order to input the diphthongs, 'ㅗ' and '' 'should be placed in the corner area of the square area where the vowel is arranged as shown in FIGS. 27 and 28.

만약 'ㅗ' 와 'ㅜ'가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복모음을 화면에 표시되는 단모음의 조합으로 표시할 수 없게 된다. 이를 도 30으로 설명하면, 도 30(I)은 'ㅗ'와 'ㅜ'가 모서리에 배치된 것으로 단모음인 '오'와 '우'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인접한 영역을 거쳐서 'ㅗ'와 'ㅜ'가 선택되어도 이들 궤적이 만들 수 있는 모음은 '오'와 '우'밖에 없게 된다.If 'ㅗ' and 'ㅜ' are placed in the corner area, it is impossible to display the diphthong by the combination of short vowels displayed on the screen. 30 (I) of FIG. 30 shows a case in which 'ㅗ' and 'ㅜ' are arranged at the corners. In order to input 'o' and ' Is selected, the vowels that these trajectories can make are only 'o' and 'ooo'.

이에 반해 도 30(II)와 도 30(III)과 같이 'ㅗ'와 'ㅜ'가 모서리가 아닌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모서리 영역의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궤적인 두 개의 모음을 입력하게 되는 문자입력 오토마타 구성의 모순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On the contrary, when 'ㅗ' and 'ㅜ' are arranged in a non-edge area as shown in FIGS. 30 (II) and 30 (III), a character input This leads to a contradiction in the construction of the automata.

예를 들면 도 30(II)는 'ㅣ'를 입력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는데, 실제로 ①의 궤적은 '아'와 '오'영역을 거치지 않고 '이'영역을 선택하게 되어 정확하게 '이'의 입력이 완성된다. 하지만 ①의 궤적을 가지게 되는 확율은 '0'(zero)에 가까우므로 실제로 손가락의 움직임은 ①의 궤적을 벗어난 ②의 궤적을 그리게 된다. 이 경우 의도하지 않은 'ㅚ'가 입력되므로 실질적으로 'ㅣ'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이 없게 되는 것이며 만약 이 궤적이 'ㅣ'를 입력하도록 지정한다면 'ㅚ'를 입력하기 위한 궤적은 'ㅗ'와 'ㅣ'를 잇는 궤적이 될 수 없고 또 다른 궤적을 만들어야 하게 되는데 이는 복모음의 입력방법이 복모음을 구성하는 단모음을 연결하는 궤적이어야 한다는 직관성을 벗어나게 되어 난점이 되는 것이며 이러한 직관성을 벗어난 궤적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은 실제로 불가능하고 사용자가 일일이 기억하고 있거나 기억하지 못하면 사용방법을 다시 숙지해야 되는 불편한 점을 야기 시킨다. For example, Fig. 30 (II) shows the movement of a finger inputting 'ㅣ'. Actually, the trajectory of (1) actually selects' i 'region without going through' Is completed. However, since the probability of having the trajectory of (1) is close to '0' (zer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ctually draws the trajectory of (2) out of the trajectory of (1). In this case, since the unintended 'ㅚ' is input, there is no way to actually input 'ㅣ'. If the trajectory specifies to input 'ㅣ', the trajectory for inputting 'ㅚ' And it is necessary to create another trajectory.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get out of the intuition that the input method of the diphthong should be a trajectory connecting the short vowels constituting the diphthong. And it is inconvenient to know how to use it again if the user does not remember or memorize it.

이점은 도 30(III)에서도 나타나는데 모음 'ㅗ'의 경우는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지 않아도 도 30(III)의 궤적 ①과 ②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문제가 없지만 모음 'ㅜ'의 경우 도 30(III)의 궤적 ④에서 보는 바와 같이 'ㅣ'를 입력하기 위한 궤적이 복모음 '위'를 입력하기 위한 궤적과 겹치게 되어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30 (III). In the case of the vowel "ㅗ", there is no problem as shown in the traces 1 and 2 in FIG. 30 (III) The trajectory for inputting 'I' overlaps with the trajectory for inputting the 'up' sound as shown in the trajectory ④ of FIG.

따라서, 도 30(II) 혹은 도 30(III)과 같은 단모음의 배열, 특히 'ㅗ'와 'ㅜ'가 모서리가 아닌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적어도 'ㅗ'와 'ㅜ' 중의 하나는 'ㅗ'와 'ㅜ'를 포함하는 복모음 입력을 위한 궤적이 이들 복모음을 이루는 각각의 단모음을 연결하는 궤적으로 구성될 수 없게 된다. Therefore, in the case where the arrangement of the short vowels as shown in FIG. 30 (II) or FIG. 30 (III), in particular, 'ㅗ' and 'ゅ' The trajectory for the input of the diphthongs including 'ㅗ' and 'ㅜ' can not be composed of the trajectories connecting the respective short vowels constituting these diphthongs.

추가적으로 'ㅢ'는 복모음으로 간주하여 'ㅡ'와 'ㅣ'를 연결하는 궤적으로 입력하게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ㅡ'도 복모음을 구성하는 첫 단모음에 해당하므로 'ㅗ'와 'ㅜ'와 마찬가지로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어야 한다. 하지만 도 30(I)에 보이는 바와 같이 'ㅣ'와 마주 보는 위치에 배치되면 굳이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지 않아도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ㅡ'의 경우 복모음을 구성하는 단모음이 'ㅣ'외에는 없으므로 'ㅡ'와 인접한 키 영역에 'ㅡ' 이외의 단모음이 배치되면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된다. In addition, 'ㅢ' is regarded as a diphthong and it can be input as a trail connecting 'ㅡ' and 'ㅣ'. For this, 'ㅡ' corresponds to the first short vowel that constitutes the diphthong, so 'ㅗ' and 'ㅜ' Should be placed in the corner area. However, as shown in FIG. 30 (I), if the light emitting diode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no problem arises even if the light emitting diode is not disposed in the corner area. In the case of 'ㅡ', since there is no short vowel constituting the diphthong, there is no problem if a short vowel other than 'ㅡ' is placed in the key region adjacent to 'ㅡ'.

하지만, 'ㅡ'에 반해서 'ㅗ'와 'ㅜ'는 피해야 할 모음이 'ㅣ' 뿐만 아니라 'ㅜ'의 경우 'ㅓ'와 'ㅔ', 'ㅗ'의 경우 'ㅏ'와 'ㅐ'가 더 존재하게 되므로 각각 피해야할 모음이 3 가지이므로 'ㅗ'가 'ㅏ', 'ㅐ', 'ㅣ'와 인접하지 않고, 동시에 'ㅜ'도 'ㅓ', 'ㅔ', 'ㅣ'와 인접하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는 방법은 없게 된다. 즉, 'ㅗ'와 'ㅜ'는 'ㅡ'와 달리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어야 한다는 점이 본 구성의 원리이며 'ㅗ'와 'ㅜ'가 동시에 모시리 영역에 모서리에 배치된다면 나머지 단모음은 어디에 배치된다 하더라도 복모음을 드래그 동작으로 입력할 때 단모음을 입력하는 궤적과 충돌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However, in contrast to 'ㅡ', 'ㅗ' and 'ㅜ' should be avoided not only in 'ㅣ' but also in 'ㅓ' and 'ㅔ' for 'ㅜ', 'a' and 'ㅐ' for '가' 'ㅗ' is not adjacent to 'a', 'ㅐ', 'ㅣ', and 'ㅜ' is also adjacent to 'ㅓ', 'ㅔ', and 'ㅣ' because there are three vowels to avoid each. There is no way to place it so that it does not. In other words, if 'ㅗ' and 'ㅜ' are placed on the corner at the same time, 'ㅗ' and 'ㅜ' should be placed in the corner area unlike 'ㅡ' When inputting the diphthong with the drag operation, it does not cause collision with the trajectory of entering the short vowel.

부득이 'ㅗ'와 'ㅜ'중 하나만을 모서리 영역에 배치할 경우 모서리 이외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은 인접한 좌우 혹은 상하 영역의 키에 복모음을 구성하지 않는 모음을 배치한다면 역시 문제가 되지 않는다. Inevitably, if only one of 'ㅗ' and 'ㅜ' is placed in an edge area, it is also not a problem if a vowel which does not constitute a diphthong is arranged in the key of the adjacent left or right or upper and lower area.

다만 'ㅗ', 'ㅜ'중 하나만을 모서리 영역에 배치할 경우 복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드래그 동작이 도 27(IV)와 도 28(IV)에 보이는 바와 같이 유사한 복모음의 입력이 일직선상에 구성되지 못하게 되지만 근본적인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구성은 터치방식의 입력장치에서 모든 자음과 모음을 손가락이 가상키보드에 보이는 자음과 모음을 따라서 이동하면 한 번의 터치로 입력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However, when only one of 'ㅗ' and 'ㅜ' is arranged in the corner area, the drag operation for inputting the diphthong tone is not performed on the straight line as shown in FIG. 27 (IV) and FIG. 28 (IV) It will not fail, but it is not a fundamental problem. Accordingly, this configuration provides a method in which all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input by a single touch when the finger moves along consonants and vowels displayed on the virtual keyboard in the touch-type input device.

한편, 상기한 드래그 입력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키패드의 누름 동작에 1:1 대응시킬 수 있음을 도 29에 보여주고 있으며 각각의 번호는 누름동작의 순서이다. 29 shows that the above-described drag input method can correspond 1: 1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keypad as show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pective numbers are the order of the pressing operation.

즉 도 26 (I), (II), (III)의 홑 모음('오'), 겹 모음('요'), 복모음('왜')에 해당하는 키패드 누름 동작이 도 29(I), (II), (III)에 보여지고 있다. 다만 도 26(II)와 도 26(II-1)은 키패드 누름 동작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반대로 도 26(III)은 키패드 누름동작이 도 29(III)와 29(III-1)에 보여지는 바와 두 가지 경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9(III-1)은 도 23의 구성에 따른 것이며, 도 29(III)은 도 24(IV-1)의 구성에 따른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I), (II) and (III) of FIG. 26 correspond to the single vowel ('o'), the double vowel (' (II) and (III). 26 (II) and 26 (II-1), the keypad pr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Conversely, in FIG. 26 (III), the keypad pressing operation is shown in FIGS. 29 (III) and 29 And two cases. Fig. 29 (III-1) corresponds to the configuration in Fig. 23, and Fig. 29 (III) shows the metho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 Fig. 24 (IV-1).

[실시예 9][Example 9]

실시예 9는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두 개의 키에 할당하는 방법으로 모음 입력을 더욱 간편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Embodiment 9 provides a method of simplifying vowel input by assigning a vowel input activation key to two keys.

도 3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키의 배열이 좌우로 길게 늘어져서 이루어지는 경우 모음 입력활성화키가 하나일 경우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손가락의 이동이 불편하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좌(2901), 우(2902)에 하나씩 배치하여 손 쉽게 모음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도 31과 같이 키 배열이 이루어지는 경우 자연스럽게 양 손(양쪽 엄지)을 사용하게 되어 손가락(엄지)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손쉬운 입력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31, when the arrangement of the keys is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movement of the finger for inputting the vowel is inconvenient when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is one.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31,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movement of the finger (thumb) by using both hands (both thumbs) naturally when the key arrangement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31, thereby facilitating easy input will be.

더욱이 자음선택키가 좌(2903), 우(2904)에 배치되어 각각의 키에 지정된 비으뜸문자의 선택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가운데에 위치한 '@(2905)'키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space'혹은 '취소'키로 지정할 수도 있고, 확장기능을 추가하여 다양한 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 키(menu key)로도 활용 가능하다.Furthermore, the consonant selection keys are arranged in the left (2903) and right (2904) to facilitate selection of the non-augmented characters assigned to each key, and the '@ (2905)' key in the middle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have. For example, you can use 'space' or 'cancel' key, or you can use it as a menu key to add various functions by adding extended functions.

[실시예 10][Example 10]

실시예 10은 확장키를 특정 분할영역에 할당하지 않고,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확장키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예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 10 relates to an example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extended key is selected according to a gesture of a user without allocating an extended key to a specific divided area.

예를 들어, 자음 입력시에 처음 터치센서를 터치한 지점에서 일정한 직선거리를 움직인 다음 이격하는 경우 모음 입력활성화키의 기능을 담당하게 하는 것이다. (이 직선거리는 처음 터치하는 지점을 중심으로하는 원의 반지름에 해당하고, 이 반지름으로 만들어지는 원 밖 영역이 모음 입력활성화 영역이 되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a consonant is input, when the first touch sensor is touched at first, a predetermined straight line distance is moved and then separated, the function of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is taken. (This straight distance corresponds to the radius of the circle centered on the first touch point, and the outer circle area made of this radius becomes the vowel input activation area.)

자음의 선정은 처음 손가락이 터치센서에 닿는 위치에 해당하는 가상키보드의 키에 지정된 문자로 이루어지고 이 상태에서 손가락이 그대로 이격하면 선택된 자음이 입력되고, 계속 자음의 입력이 수행될 수 있으며, 만약 처음 닿은 위치에서 일정한 거리(이 거리는 너무 짧으면 우연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모음 입력창이 활성화될 수 있고, 거리가 너무 크면 모음 입력창을 활성화시키는데 불편함을 초래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에 따라 변경 가능하게 하면 된다.)를 이동한 후에 이격하면 모음 입력창이 활성화 되어 모음 입력이 실행될 수 있다. The selection of consonants consists of the letters assigned to the keys of the virtual keyboar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first finger touching the touch sensor. In this state, when the finger is separated as it is, the selected consonants are inpu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touching position (if this distance is too short, the collection input window can be activated for the accidental finger movement, and if the distance is too large, it becomes inconvenient to activate the collection input window, so that i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 Is moved and then separated, the vowel input window is activated and the vowel input can be executed.

이를 도 21의 자판 배열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1(I)의 자음 입력 창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손가락만을 사용하여 '해'를 입력하는 경우, 본 구성이 없다면 'ㅎ'이 지정된 터치센서 영역을 터치한 다음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터치하기 위해 손가락이 모음 입력활성화키까지 이동하여 모음 입력창(도 21(II))을 활성화시킨 후 모음 'ㅐ'가 지정된 영역까지 되돌아 와야 하는 불편함을 겪어야 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as the keyboard layout of FIG. As shown in the consonant input window of FIG. 21 (I), when 'solver' is input using only one finger, if there is no such configuration, the user touches the touch sensor area designated ' The finger must go to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to activate the vowel input window (Fig. 21 (II)) and then experience the inconvenience that the vowel 'ㅐ' must return to the designated area.

하지만 본 구성을 이용하면 간단히 'ㅎ'을 터치한 상태에서 'ㅐ'가 지정된 키 영역으로 손가락을 이동하여 터치센서로부터 이격한 다음 다시 'ㅐ'가 지정된 영역을 터치하면 간단히 '해'를 입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만 이 경우에는 모음 입력활성화를 위한 손가락 이동 거리를 'ㅎ'이 지정된 영역에서 'ㅐ'가 지정된 영역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설정한 경우이어야 한다.) However, with this configuration, if you simply touch 'ㅎ', move your finger to the key area designated 'ㅐ', move it away from the touch sensor, and then touch 'ㅐ' It will be possible. (However, in this case, the finger movement distance for activation of the vowel must be set to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designated area to the specified area.

더욱이 이러한 구성은 터치센서의 좌측 영역에 지정된 자음을 입력한 다음 터치센서의 우측영역에 지정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양손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져와 입력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Further, this configuration provides a method of simultaneously inputting the consonant specified in the left area of the touch sensor and then using both hands to input the designated vowel in the right area of the touch sensor, thereby simultaneously increasing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the input .

만약 이러한 구성이 아니라면 손가락이 터치센서에 닿아 있는 상태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거나,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If this is not the case, it would be inconvenient to move from the left to the right or from the right to the left with the finger touching the touch sensor.

예를 들면 '개'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왼손 엄지 손가락으로 'ㄱ'이 지정된 좌측상단 영역을 터치한 다음 모음 입력창활성화를 위한 직선 이동거리보다 더 이동한 다음 이격한 상태에서 오른손 엄지로 'ㅐ'가 지정된 터치센서 영역을 터치하면 'ㅐ'의 입력이 완료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데'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ㄷ'을 입력 한 후에 'ㅔ'를 입력하기 위해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거쳐서 'ㅔ'가 지정된 영역까지 많은 거리를 움직여야 할 필요가 없이 오른손 엄지로 'ㄷ'을 터치한 후 모음 입력활성화 반경에 해당하는 거리 이상을 움직인 다음 이격하면 모음 입력창이 활성화되어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ㅔ' 영역을 터치하면 한 손가락을 사용하여 먼 거리를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For example, if you want to enter 'dog', touch the upper left area designated 'A' with your left thumb, move it further than the straight line movement distance to activate the vowel input window, 'Is touched, the input of' ㅐ 'is completed. Similarly, if you want to enter 'D', you do not have to move a lot of distance to the 'ㅔ' designated area through the vowel activation key to enter 'ㅔ' after typing 'ㄷ' Touching the 'c', move th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radius of the vowel input activation, and then move the vowel input window when it is separated, it is inconvenient to use a single finger to move a long distance by touching the 'ㅔ' area with the left thumb Can be eliminated.

따라서 본 구성에 따라서 문자 입력이 이루어질 경우 손가락의 이동거리가 줄어드는 효과와 동시에 양손을 사용하여 손가락 이동거리를 더욱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haracter is inpu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finger is reduced, and at the same time, the finger movement distance is further shortened using both hands.

[실시예 11][Example 11]

앞에서의 실시예에서는 확장키인 모음입력활성화키에는 아무 문자도 할당되지 않았고, 확장영역에 오직 새로운 문자가 할당되도록 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예만을 설명하였다. In the above embodiment, only the example in which no character is assigned to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which is an extended key, and only a function of assigning a new character to the extended area is described.

그러나, 확장키에도 특정 문자를 할당할 수 있으며, 그 예를 설명한 것이 실시예 11이다.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assign a specific character to the extended key, and an example thereof is described in the eleventh embodiment.

실시예 11은 자음 'ㅁ'에 해당하는 분할영역에 확장키가 할당되어 있어서, 자음을 입력하는 단계에서는 'ㅁ'이 입력되고, 모음이 입력되는 단계에서는 확장키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되어 있다.  In Embodiment 11, the extended key is allocated to the divided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 So that? 'Is input in the step of inputting the consonant, and the function of the extended key is performed in the step of inputting the vowel.

구체적으로, 모음의 입력은 도 32에 보이는 바와 같이 'ㅁ'이 지정된 키 영역을 중심으로 손가락이 만드는 궤적에 따라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며 그 방법은 도 27 및 도 28에 보여지는 원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자음의 경우는 각각의 키 영역을 터치-이격 동작에 의해 입력된다. Specifically, the input of the vowel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locus generated by the finger around the key region designated by 'k?' As shown in FIG. 32, and the method is based on the principle shown in FIG. 27 and FIG. In the case of consonants, each key region is input by a touch-spacing operation.

다만, 경, 격음의 경우 해당 자음의 단자음, 예를 들면 'ㅋ', 'ㄲ'의 경우 'ㄱ',을 입력한 후에 '격음,경음'키를 터치하여 순차적으로 'ㄱ-ㅋ-ㄲ-ㄱ'으로 변환시켜 입력할 수 있다. However, in case of light and shout, after inputting the terminal sound of the corresponding consonant such as' ㅋ 'and' ㄲ ', touch' umpun, Can be converted into 'a'.

도 32를 이용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ㄱ'키 영역을 터치한 후 손가락을 'ㅁ'키 영역으로 이동하고 이 상태에서 모음자판이 활성화되어 나타나면 'ㅏ'키 영역으로 손가락을 이동한 다음 이격하면 'ㄱ'과 'ㅏ'가 동시에 입력되어 '가'의 입력이 완료되는 것이다. 즉 손가락 터치가 자음에서 시작하여 'ㅁ'키 영역을 지나 원하는 모음키 영역에서 이격하면 처음에 터치한 키 영역에 해당하는 자음과 마지막에 선택된 모음(복모음 혹은 겹모음의 경우는 모음자판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결정됨)이 입력되는 것이다. 32, in order to input 'a', the 'A' key region is touched and the finger is moved to the 'K' key region. When the vowel keyboard is activated in this state, the 'a' key region 'And' a 'are input at the same time, the input of' a 'is completed. That is, if the finger touch starts from the consonant and passes through the 'ㅁ' key area and is separated from the desired vowel key area,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key region and the last selected vowel (in the case of the double vowel or double vowel, Which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n the finger.

다만 'ㅁ'의 경우 'ㅁ'키 영역을 터치한 후에 그 위치에서 그대로 이격하면 'ㅁ'만이 입력되고, 모음과 같이 입력하고자 하면 다른 자음과 동일하게 'ㅁ'키를 터치했을 때 활성화되는 모음자판 상의 모음 키 영역으로 손가락을 이동한 다음 이격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처음 터치센서를 닿는 위치가 'ㅁ'키 영역일 때는 'ㅁ'이 입력되지만, 다른 자음 키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ㅁ'키 영역으로 이동하면 'ㅁ'은 입력되지 않고 단지 모음 자판을 활성화시키는 역할만을 담당하는 것이 본 구성의 내용이며 모음만을 입력하고 하는 경우 'ㅁ'키를 이용할 수 없으므로 별도의 모음키(3101)를 두어 이 모음키를 터치해도 모음키가 활성화되어 모음만을 입력할 수 있는 방법도 제공될 수 있다.However, in case of 'ㅁ', only 'ㅁ' is input when touching the 'ㅁ' key area and then separated from the position. If you want to input like a vowel, You can move your finger to the vowel key area on the keyboard and then release it. Accordingly, when the position touching the touch sensor for the first time is the 'ㅁ' key area, 'ㅁ' is inputted. However, if the user touches another consonant key area and moves to the 'ㅁ' key area, 'ㅁ' The user can not use the 'ㅁ' key when inputting only a vowel. Therefore, even if a user touches the vowel key by placing a separate vowel key 3101, the vowel key is activated and only the vowel is input There is also a way to do that.

[실시예 12][Example 12]

실시예 12에서는 각각의 키가 확장키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한다.In the twelfth embodiment, a case where each key performs the function of an extended key will be described.

즉, 앞에서는 확장키로 모음입력활성화키만이 있었지만, 실시예 12에서는 각 자음이 할당된 분할영역도 확장키의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설명한다.That is, although only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has been previously described as the expansion key, in the twelfth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divided region to which each consonant is allocated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extended key will be described.

각각의 분할영역에는 복수개의 문자세트가 할당되고, 사용자가 특정 분할영역을 선택하면 그 분할영역의 확장키에 설정된 확장영역에 속하는 분할영역 각각에 각 확장키에 할당된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되도록 하는 것이다. A plurality of character sets are allocated to each of the divided areas, and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divided area, a plurality of characters allocated to each extended key are allocated to each of the divided areas belonging to the extended area set in the extended key of the divided area will be.

이 때, 확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에는 아무 문자도 할당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즉, 확장영역에서 제외), 다른 확장영역과 같이 문자가 할당되도록 할 수도 있다(즉, 확장영역에 포함). At this time, no characters may be allocated to the partition to which the extended key is allocated (i.e., not included in the extended area), and characters such as other extended areas may be allocated (i.e., included in the extended area).

도 33은 이 중 확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에도 문자가 할당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33 shows an example in which a character is allocated to a divided area to which an extended key is assigned.

도 33의 각 분할영역에는 하나의 확장키별로 경음과 격음이 같이 할당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실시예 11에서와 같이 'ㅁ'이 모음입력활성화키의 기능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33, each of the divided regions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udness and the trembling are assigned to one extended key, and '?' Is also configur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as in the eleventh embodiment.

각 분할영역에 대한 확장영역을 어느 방향으로 하는 것은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자유로이 결정될 수 있으나, 본 구성에 의한 자음의 입력이 모음의 입력과 구분이 되기 위해서는 경,격음에 해당하는 자음이 각각의 단자음으로부터 확장되어 선택될 때, 'ㅁ'키 영역을 지나치게 되면 모음 입력과 혼동이 될 수 있으므로 이를 피할 수 있도록 도 33에 보이는 것처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distinguish the consonant input from the vowel from the vowel input,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light and shout sounds may be separated from each terminal sound by the system designer. It is preferable to arrange it as shown in FIG. 33 so that it can be confused with the vowel input when it is overpassed.

도 33(VI)에 보이는 바와 같이 'ㅈ'의 경음인 'ㅊ'과 격음인 'ㅉ'이 서로 직각 방향으로 배치하면 도 33(V)에 비해 'ㅉ'의 선택하기 위한 손가락의 움직임이 감소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As shown in FIG. 33 (VI), when the punctuation sign 'J' and the 'F' sign are arranged perpendicularly to each other, the movement of the finger for selecting 'ㅉ' Effect.

[실시예 13][Example 13]

실시예 13은 각각의 분할영역에 자음 문자 및 확장키 기능이 부여되어 있고, 각각의 확장키가 선택되면 모음뿐만 아니라 분할영역에 할당된 자음의 경음과 격음까지도 같이 확장영역에 할당되어 사용자가 한번에 경음 또는 격음 및 모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In the thirteenth embodiment, consonant letters and extended key functions are assigned to each of the divided areas, and when the respective extended keys are selected, not only the vowel but also the consonants and muffles of the consonants allocated to the divided areas are also allocated to the extended area, It is characterized by a point that allows you to choose between mute or tremulous and vowel.

도 34(I)에 보이는 바와 같이 터치식 입력 방식의 가상키보드가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자음이 배치된 12개의 키 영역의 좌우로 한 칸씩의 여유 공간이 있는 경우 본 구성이 적용 가능한 것이다. As shown in FIG. 34 (I), this configuration is applicable when the virtual keyboard of the touch-type input method has a sufficient space and there are left and right spaces of 12 key areas in which consonants are arranged.

도 34를 통해 설명하면, 손가락이 터치하기 전의 가상키보드 자판은 도 34(I)의 구성을 보여주는 바 단지 자음이 10개의 키에 배치된 배열이다. 이 상태에서 'ㄱ'키 영역을 터치하면 본 발명의 아홉 번째 구성에 다른 모음 배열이 'ㄱ'키 영역 주위에 표시되고(도 34(II)) 이 상태에서 도 27와 도 28에 나타나 있는 드래그 동작으로 원하는 모음의 입력이 이루어져서 한 번의 터치로 자음과 모음의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34, the virtual keyboard keyboard before the finger touches is shown in Fig. 34 (I), in which only consonants are arranged in ten keys. When the 'A' key region is touched in this state, another vowel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nint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around the 'A' key region (FIG. 34 (II)), The desired vowel input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so that the consonant and vowel are simultaneously input by one touch.

만약 '카'를 입력하고자 하거나, '까'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ㄱ'키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ㅋ'영역 (도 34(III)) 혹은 'ㄲ'영역(도 34(IV))으로 이동하여 모음 입력을 위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ㄱ'대신 'ㅋ' 혹은 'ㄲ'이 결합된 음절의 입력이 완성된다. (Fig. 34 (III)) or the 'ㄲ' region (Fig. 34 (IV)) in the state where the user tries to input 'ka' or ' ) And performing the drag operation for the vowel input, the input of the syllable combining 'ㅋ' or 'ㄲ' is completed instead of 'a'.

도 35에는 'ㄷ'과 'ㅂ'에 해당하는 모음 및 자음의 배열이 표시되어 있고, 도 36에는 'ㅅ'과 'ㅈ'에 해당하는 모음 및 자음의 배열이 표시되어 있다. 도 37과 도 38은 'ㅇ'과 'ㅎ'에 대한 모음 및 자음의 확장 배열이 표시되어 있는데, 'ㅇ'의 경우 그 자체로 'ㄱ, ㄷ, ㅂ, ㅅ, ㅈ'과 달리 확장되어야 할 경,격음은 없지만 도 33에 보이는 자음의 배열에서는 'ㅎ'의 경우 모음을 확장 배열할 공간이 부족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ㅎ'을 'ㅇ'의 확장 자음으로 지정하여 도 37과 같이 배치하여 모음을 동시에 입력 가능하게 하거나, 아예 'ㅎ'키 자체에 확장 'ㅎ'(3701)을 구성하여 모음을 동시에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손가락을 터치한 상태에서 확장 'ㅎ'(3701)키 영역으로 이동하면 모음배열이 나타나게 하여 모음을 동시에 입력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In FIG. 35, arrangements of vowels and consonants corresponding to 'c' and 'f' are displayed, and in FIG. 36, arrangements of vowels and consonants corresponding to 'g' and 'i' are displayed. Figures 37 and 38 show the extended arrangement of vowels and consonants for 'ㅇ' and 'ㅎ'. In the case of 'ㅇ', however, it should be extended unlike 'a, c, f, In the arrangement of the consonants shown in FIG. 33, there is not enough room for expanding the vowels in the arrangement of the consonants shown in FIG. 33. Therefor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ㅎ' is designated as an extension consonant of 'ㅇ' If the user wishes to input the vowel at the same time or to simultaneously enter the vowel by constructing the expansion key '3701' in the 'hh' key itself, if the user touches the finger and moves to the expansion key '3701' You can also provide a way to have vowel arrays appear so you can enter them at the same time.

따라서 도 34 내지 도 38에 보여지는 각각의 자음 키 영역 주위로의 모음배열에 따른 자음+모음의 동시 입력은 본 발명의 장점을 더욱 효과적으로 증가시켜 한 번의 터치로 모든 자음과 모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게 한다. Therefore, simultaneous input of consonant + vowel according to vowel arrangement around each consonant key area shown in Figs. 34 to 38 effectively increases the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all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input by one touch .

[실시예 14][Example 14]

실시예 14는 경,격음 키에 관한 것으로 앞선 실시예에서는 경,격음키는 자음의 입력이 이루어진 후에 입력된 자음을 경음 혹은 격음으로 변환시키게 되는데, 이는 본 발명에서 자음과 모음의 동시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연속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The embodiment 14 relates to a light and shattering key. In the above embodiment, the light and shatter keys convert the consonant input into consonant or phonetic sound after the consonant is input. This is becau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leads to a decrease in continuity.

이에 본 실시예 14에서는 자음과 모음의 동시 입력이 이루어진 후에 경,격음키를 터치하면 이미 입력된 자음이 경음 혹은 격음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것이다.Thus, in the fourteenth embodiment, when consonant and vowel are concurrently input, a consonant and a vowel are touched, and then the already inputted consonant is converted into a verb or a tremor.

이를테면 드래그 동작에 의해 'ㄱ'과 'ㅏ'를 동시에 입력하여 '가'를 입력된 후에 '경,격음'키를 터치하면 이미 입력된 '가'가 '카'로 변환되고 한 번 더 '경,격음'키를 터치하면 '카'가 '까'로 변환되는 것이다. For example, if you type 'a' and 'a' at the same time by dragging, 'a' is input and 'a' is touched, 'a' is converted to 'ka' , And the 'shake' key is touched, the 'k' is converted to 'k'.

따라서, 'ㄷ -> ㅌ-> ㄸ -> ㄷ', 'ㅂ -> ㅍ -> ㅃ -> ㅂ', 'ㅅ -> ㅆ -> ㅅ', 'ㅈ -> ㅊ -> ㅉ -> ㅈ'의 변환이 모음이 입력된 상태에서도 이루어지게 된다. Therefore, '- -> - -> ㄸ ->', - -> - -> ㅃ -> ', - -> ㅆ -> ㅅ, The conversion is performed even when the vowel is input.

심지어 'ㅇ'의 'ㅎ'으로의 변환도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를 입력한 후에 '경,격음'키를 터치하면 '아'가 '하'로 변환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하'가 입력된 후에 '경,격음'키를 터치하면 '하'가 '아'로 다시 변환된다. Even the conversion of 'o' to 'heh' can be done in the same way. For example, after typing 'ah', touch 'Kyung, Dum' key and 'ah' will be converted to 'Ha'. Further, when the user touches the 'light / shake' key after 'H' is input, 'H' is converted back to 'H'.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도 33~도 38에 보여지는 자음의 경음, 격음의 선택을 위한 동작을 생략하고 단순히 '경,격음'키를 터치함으로써 일관성 있는 동작을 유지하게 하는 장점을 가져오게 된다. 즉 사용자는 도 34에 보이는 바와 같이 'ㄱ'의 위치만을 기억하면 더 이상 'ㅋ'과 'ㄲ'의 위치에 대하여 고민할 필요가 없으며, 더욱이 'ㅌ', 'ㄸ', 'ㅍ', 'ㅃ', 'ㅆ', 'ㅊ', 'ㅉ', 'ㅎ'의 위치에 대해 고민할 필요도 없어져서 문자 입력이 한결 간단해 지는 장점을 가져온다.
The advantage of this configuration is that the operation for choosing the sound and sound of the consonants shown in FIGS. 33 to 38 is omitted, and merits of touching the 'light and shout' key are provided to maintain a consistent operation. That is, the user does not have to worry about the positions of 'k' and '더' if he / she only memorizes the position of 'a' as shown in FIG. 34. Further, ''',' It is not necessary to worry about the positions of 'ㅃ', 'ㅆ', ''',' ㅉ ', and' ㅎ '.

본 발명의 입력시스템은 한글뿐만 아니라 영어, 힌디어 등 외국어 입력시스템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The inpu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Korean, but also to foreign language input systems such as English and Hindi.

먼저 영어의 경우를 보면, 영어의 경우에는 자음 이후에 바로 자음이 나오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한글과 같이 모음입력활성화키가 별도로 두는 것이 큰 장점이 되지 않을 수 있다.First, in the case of English, in the case of English, there are many consonants immediately after consonants. Therefore, it may not be a great advantage to set a vowel input activation key as in Hangul.

그 대신 단어예측 입력시스템을 도입하면 본 발명의 확장키 개념이 문자 입력에 있어 매우 편리한 도구가 될 수 있다. Instead, when the word prediction input system is introduced, the extended key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 very convenient tool for inputting characters.

단어예측 입력시스템은 하나의 분할영역에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된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각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을 조합하여 만들 수 있는 단어를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사용자가 그 중 하나를 선택하면 그 단어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In a case where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ssigned to one division area, the word prediction input system predicts words that can be created by combining the letters assigned to the respective division areas selected by the user and displays them to the user, So that the word is input.

즉, 입력이 문자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단어단위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That is,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input is done on a word-by-word basis rather than on a character-by-character basis.

이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분할영역들에 할당된 문자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단어의 종류가 사용자가 확장키를 선택한 경우에 발생되는 확장영역에 할당되게 되며, 사용자는 그 단어들 중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할당된 분할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를 입력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type of the word that can b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characters allocated to the user-selected divided regions is allocated to the extended area generated when the user selects the extended key, The user can input a desired word by selecting a divided area to which the word is assigned.

구체적인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Specific exampl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예 15][Example 15]

일반적인 키패드 핸드폰용 영어 자판은 도 39(I)에 보이는 바와 같이 '1'번 키에는 문장부호가 지정되고(혹은 '1'번 키에 'QZ@'가 지정되고 문장부호는 모드 변환을 통해 각각의 키에 나누어져 지정되기도 한다.), '2'번 키부터 '9'번 키까지 26개의 알파벳이 지정되는데,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이들 번호 키 중에서 하나의 키에 기호 혹은 문자를 지정하지 않고 예측 단어를 선택하기 위한 확장키 역할을 담당하게 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39 (I), in a typical keypad mobile phone English mobile phone, a punctuation code is assigned to the key '1' (or 'QZ @' is assigned to the key '1' 26 alphabets are assigned to the keys '2' to '9'. In the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symbols or characters are not assigned to one key among these number keys And serves as an extension key for selecting a prediction word.

한글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해 5번 키를 이러한 목적에 맞도록 확장키로 지정한 예를 아래에 설명한다. 5번 키를 제외한 나머지 '1'번 키부터 '9'번 키까지 알파벳이 지정되고, '5'번 키(3801)는 한글의 모음 입력활성화키와 같이 그 자체로는 문자가 지정되어 있지 않아(숫자 '5'는 지정될 수 있음) 문자입력을 담당하지 않고 대신 단순히 '예측 단어' 선택을 위한 기능키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한글에서 모음입력 활성화키는 모음의 입력에 이용되었는데 반해 예측 단어 입력방식에서 모음입력 활성화키에 해당하는 확장키(3801)는 '예측 단어 선택' 및 문장부호의 입력에 이용될 수 있다.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as in Hangul, an example of specifying key 5 as an extension key for this purpose is described below. The alphabet is assigned from the key '1' to the key '9' excluding the key No. 5, and the key '5' (3801) is not assigned a character by itself (The number '5' can be specified.) It does not take charge of character input but instead simply acts as a function key for selecting 'prediction word'.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in Korean is used for inputting a vowel while the extension key 3801 corresponding to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in the predictive word input method can be used for 'prediction word selection' and input of a sentence code.

확장키를 터치방식의 가상키보드 입력시스템에 적용한 일 예가 도 40에 보여진다. 도 40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력장치에서 'I am a boy.'라는 문장의 입력과정 중에서 'am'을 입력하는 단계인데, 잘 알려진 단어예측 시스템인 Nuance의 'T9'을 참고할 경우(www.t9.com), 'am'을 입력하기 위해 가상키보드(3903)에서 1번 키('1', 'a', 'b', 'c'가 지정됨)와 6번 키('6', 'm', 'n', 'o'가 지정됨)를 손가락으로 터치-이격하면(이하 도 40부터 도 61까지의 도면에서 터치스크린 혹은 터치패드를 이용한 가상키보드 입력시스템을 보여 주는 경우에 검은 원은 터치-이격 동작을 의미하고, 화살표를 갖는 선은 꼬리부분이 처음 접촉되는 지점이고 화살표 부분이 마지막으로 이격되는 드래그 동작을 의미한다. 이는 도 25에 표시된 것과 동일한 표시 방법이다.) An example of applying the extension key to the virtual keyboard input system of the touch method is shown in FIG. 40 is a step of inputting 'am' in the input process of the sentence 'I am a boy.' In the touch screen type input device. When referring to 'T9' of Nuance, a well known word prediction system (www.t9 a ',' b ', and' c 'are designated in the virtual keyboard 3903 to input' am ' (In the drawings of FIGS. 40 to 61, when a virtual keyboard input system using a touch screen or a touch pad is displayed, a black circle is touched with a touch A line with an arrow means a drag operation in which a tail portion is first contacted and an arrow portion is finally separated. This is the same display method as that shown in Fig.

예측되는 숫자 및 단어는 '16', 'an', 'am', 'co', 'cm' 5 가지여서 '예측단어 목록창'(3902)에 나열되고, 이 중에서 가장 사용 빈도가 큰 'an'이 입력창(3901)에 잠정적으로 입력된다(도 40(II)). 도 40에 보이는 바와 같이 입력창에 입력된 단어는 밑줄로 표시되는데 이는 입력창에 입력된 단어가 '잠정적 입력 단어'임을 표시하고 아직 '단어 예측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The predicted numbers and words are listed in the 'Predictive word list window' 3902 in the form of '16', 'an', 'am', 'co', and 'cm' Is provisionally input to the input window 3901 (Fig. 40 (II)). As shown in FIG. 40, the words entered in the input window are displayed as underlined lines, indicating that the word input in the input window is a 'provisional input word' and that the word prediction state is still maintained.

이런 다음 손가락으로 확장키를 터치한 다음 이격하지 않은 상태로 드래그 동작으로 3번 키로 이동한 후 손가락을 이격하면 'am'이 확정 입력되며(도 40(III)), 'space'를 입력하고자 하면 이 상태에서 'space' 키를 터치하면 된다.(도 40(IV)) If the user touches the extended key with the next finger and then moves to the third key in the drag operation with no separation, 'am' is confirmed when the finger is separated (Fig. 40 (III)). In this state, the 'space' key is touched (see FIG. 40 (IV)).

도 40(IV)에 보여지는 'space'키를 통한 'space' 입력 방법은 터치입력 방식에서는 도 41(III)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한 번의 드래그 동작으로 더욱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40에서 '예측 단어' 선택(도 40(III))과 'space' 입력(도 40(IV))을 위해 두 번의 터치 동작이 이루어지나 도 41에서는 한 번의 터치/드래그 동작으로 이 두가지 동작에 해당하는 기능이 완성 되는 것이다. The 'space' input method using the 'space' key shown in FIG. 40 (IV) can be further simplified by a single drag operation as shown in FIG. 41 (III) in the touch input method. That is, two touch operations are performed for selecting the 'predicted word' (FIG. 40 (III)) and 'space' input (FIG. 40 (IV)) in FIG. 40. In FIG. 41, Is completed.

이러한 확장키의 작동 원리가 도 42에 설명되어 있는 바, 단순한 '확장키' 터치(4101)는 숫자 '5'를 입력하게 되고(도 42(I)), 도 42(II)와 도 42(III)에 보여지는 '확장키'로부터 시작되는 드래그 동작(4102, 4103)은 문자 혹은 숫자('5')의 입력이 아닌 '예측 단어'의 선택이 이루어진다. 다만 도 42(II)에 보여지는 '확장키'에서 시작하고 나머지 키에서 종료되는 드래그 동작(4102)은 예측단어의 선택 및 입력을 완성하고, 도 42(III)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다시 '확장키'로 회귀하는 드래그 동작(4103)은 예상단어의 선택 입력과 함께 'space'의 입력도 동시에 이루어진다. 42, the simple 'extended key' touch 4101 is input with the number '5' (FIG. 42 (I)), and FIG. 42 (II) and FIG. 42 The drag operation 4102 or 4103 starting from the 'extended key' shown in FIG. 3B or III is performed to select the 'predicted word' rather than the input of the letter or number ('5'). However, the drag operation 4102 starting from the 'extended key' shown in FIG. 42 (II) and ending with the remaining key completes the selection and input of the predicted word, Quot ;, the drag operation 4103 for returning to the " key "

그리고, 도 42(IV)에 보여지는 드래그 동작(4104)은 터치 시작점이 '확장키'가 아닌 나머지 키에서 시작되고, '확장키'로 드래그 되어 손가락이 이격되는 경우 터치가 시작된 키에 지정된 기호(symbol)의 입력이 이루어진다. In the drag operation 4104 shown in FIG. 42 (IV), when the touch start point is started from the remaining key other than the 'extended key', and the finger is dragged by the 'extended key' (symbol) is input.

따라서, 본 구성에 따라 '확장키'를 이용하면 '예측 단어' 선택/입력, 'space'의 입력 및 '기호'의 입력이 '1'번~'9'번 키(필요하다면 '0'번키와 '#'키 및 '*'키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음)로 쉽게 완성될 수 있어서 One-thumb operation이 용이한 입력시스템을 제공한다. 두 손을 사용하여야 하는 qwerty keyboard보다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extended key' is used, 'predicted word' selection / input, 'space' input and ' Quot ;, "# ", and " * " keys) to provide an input system that is easy to complete in a one-thumb operation. It provides a more convenient way to input than a qwerty keyboard that requires two hands.

즉 확장키를 이용하면 예측 단어를 선택-입력하기 위해 '예측 단어목록 창'(3902)까지 손가락을 움직일 필요가 없고, 원하는 단어를 쉽게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손가락으로 '예측 단어목록 창'(3902)에서 직접 원하는 단어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므로, '예측 단어목록 창'의 크기가 작아져도 되고 이로서 '예측 단어목록 창'(3902)으로 인해 입력창(3901)이 가려지는 불편함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if the extended key is used, it is not necessary to move the finger to the 'predicted word list window' 3902 in order to select and input the predicted word, and the user can easily select the desired word. The size of the 'predicted word list window' may become smaller because the desired word is not directly selected in the 'predicted word list window' 3902 with the finger. Thus, the 'predicted word list window' ) Can be eliminated.

영어의 경우 문장입력 과정에서 가장 많이 쓰이게 되는 'space'를 '확장키'에 지정하여 손가락의 움직임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숫자 '5'의 입력을 수행할 별도의 가상키보드 모드를 채용하거나, '확장키' 이외의 키에 숫자 '5'를 지정하여 숫자 '5'를 입력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하면 된다. In English,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movement of the finger by designating 'space', which is most used in the process of inputting a sentence, as 'extended key'. To do this, a separate virtual keyboard mode for inputting the number '5' may be employed, or a number '5' may be assigned to a key other than the 'extended key' so that there is no problem in inputting the number '5'.

예를 들면 도 59(I) 혹은 도 59(II)의 키 배열의 경우 '확장키'에 숫자 '5'를 지정할 필요가 없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확장키'가 'space' 입력 기능을 숫자 입력기능에 구애됨 없이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key arrangement shown in FIG. 59 (I) or FIG. 59 (II), there is no need to designate the number '5' in the 'extended key'. In this case, Can be performed without regard to the number input function.

그리고 '확장키'가 'space'의 입력 기능을 담당하는 경우, '단어 예측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경우 입력창에 보여지는 '잠정 입력 단어'(3904 - 밑줄을 긋거나 단어의 배경색을 달리하여 등 잠정적 입력상태로 표시됨)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라면 '확장키'를 터치-이격할 때 이 '잠정적 입력 단어'를 확정시키고(잠정적 입력단어의 밑줄이 사라진다.) 동시에 'space'를 입력하게 하여 '예측 단어 선택'과 'space'의 입력을 한 번의 동작으로 수행할 수 있다. If 'extended key' is responsible for 'space' input function and 'word predictive state' is maintained, 'temporary input word' (3904 - shown under the input window) If you want to input a word (such as a temporary input), touch 'Extended Key' to set the 'Temporary Input Word' when you touch it, and enter 'space' at the same time Input of 'prediction word selection' and 'space' can be performed in a single operation.

그리고 '단어 예측 상태'가 종료되었을 때는 '확장키'는 단순히 'space' 입력 기능만을 수행하게 된다. 만약 '단어 예측' 상태에서 '확장키'가 드래그 동작이 수반되지 않는 단순한 터치-이격 동작으로는 아무런 기능을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한다면, '확장키'가 손가락 휴식 자리(resting area)로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단어 예측 상태'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손가락이 '확장키'에서 다른 키로 이동한 다음 이격 할 경우 위에서 설명한 '예측 단어 선택' 기능 대신에 손가락이 이격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키의 입력기능을 담당하도록 하면 손가락이 처음 터치한 키가 '확장키'라 할지라도 문자입력을 위한 키 선택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동작에 'shift' 기능까지 추가한다면 단어의 첫 글자의 대문자화를 위한 'shift'키의 입력을 위한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를 입력하기 위해 'ghi'키를 터치하기 전에 'shift'키를 터치할 필요 없이, '확장키'를 터치하고 이 상태에서 드래그 동작으로 'ghi'키로 이동한 다음 이격하면 '예측 단어 목록창'에 'g', 'h', 'i'가 보여지는 것이 아니라 이들 문자의 대문자형인 'G', 'H', 'I'가 보여지면서 첫 글자가 대문자화된 단어의 입력이 준비완료되는 것이다. When the 'word prediction state' is terminated, the 'extended key' simply performs the 'space' input function. If the 'extended key' in the 'word prediction' state is set not to perform any function with a simple touch-spacing operation that does not involve a drag operation, the 'extended key' can be a resting area . In addition, if the 'predictive word state' is not activated and the finger moves from 'extended key' to another key and is spaced apart, the function of inputting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nger is spaced apart The key selection for character input may be easily performed even if the key first touched by the finger is an 'extended key'. Further, if the 'shift' function is added to the above operation, the operation for inputting the 'shift' key for capitalization of the first letter of the word can be omitted. For example, if you touch 'extended key' without touching 'shift' key before touching 'ghi' key to enter 'I', move to 'ghi' 'G', 'H', 'I' are shown in uppercase letters of these characters, not 'g', 'h' and 'i' The input is read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확장키'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서 10개의 숫자 키 만으로도 qwerty keyboard 보다 편리한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구성의 핵심이다. As described above, it is a key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various functions can be performed by using one 'extended key',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venient input method rather than a qwerty keyboard with only 10 numeric keys.

즉, 도 42에 보이는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혹은 터치패드 입력시스템의 경우 '확장키'를 활용한 단순한 터치/이격 동작과 드래그 동작 등 다양한 동작에 서로 다른 기능을 부여하여 문자입력의 편리성 및 효율성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42, in the case of the touch screen or the touch pad input system, various functions such as a simple touch / separation operation and a drag operation using 'extended key' are given different functions, .

도 42에 보여지는 터치스크린 혹은 터치패드 입력방법에서 '확장키'를 활용한 동작으로는 첫 째, '확장키'를 단순히 터치-이격하는 동작(4101), 두 째 '확장키'를 터치하고 드래그 동작으로 다른 키를 선택하는 동작(4102), 세 째 '확장키'를 터치하고 드래그 동작으로 다른 키를 선택한 다음 다시 '확장키'로 회귀하는 동작(4103), 네 째 '확장키'외의 키를 터치하고 드래그 동작으로 '확장키'를 선택하는 동작(4104), 그리고 마지막으로 '확장키'외의 키를 터치하고 드래그 동작으로 '확장키'를 지나친 후 다른 키를 선택하는 동작(4105) 등이다. In the touch screen or touchpad input method shown in FIG. 42, an operation using the 'extended key' may be performed by first touching the 'extended key' 4101 and touching the second 'extended key' An operation 4102 of selecting another key by a drag operation, an operation 4103 of touching a third 'extended key', selecting another key by a drag operation and then returning to an 'extended key' 4103, An operation 4105 of touching a key and selecting an 'extended key' as a drag operation; and finally, an operation 4105 of touching a key other than the 'extended key' and selecting another key after passing the 'extended key' .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첫 번째 동작(4101)은 숫자 '5'를 입력하는 기능을 담당하거나 'space'를 입력하되 '단어 예측 상태'가 활성화되어 있을 때는 '잠정 입력 단어'와 'space'를 동시에 입력하는 기능을 갖도록 한다. As already described, the first operation 4101 is for inputting the number '5' or inputting 'space', and when the word prediction state is activated, 'temporary input word' and 'space' .

두 번째 동작(4102)은 '예측 단어'를 입력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세 번째 동작(4103)은 '예측 단어 입력'과 동시에 'space'의 입력 기능을 담당한다. 네 번째 동작(4104)은 각각의 키에 지정된 기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다섯 번째 동작(4105)은 기호 입력을 수정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할 수 있다. The second operation 4102 functions to input a 'prediction word', and the third operation 4103 functions to input 'space' simultaneously with 'prediction word input'. The fourth operation 4104 is responsible for entering the symbols designated for each key, and the fifth operation 4105 is responsible for modifying the symbol input.

도 42는 가상키보드 상에서 '확장키'를 운용하는 손동작과 함께, 그에 따라 일어나는 키의 색깔 변화와 각각의 키에 지정된 문자의 변화를 일어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FIG. 42 shows a result of a hand operation for operating an 'extended key' on a virtual keyboard, and a change in the color of the key and a change in the character assigned to each key.

도 42(I)은 아무런 변화가 없는 가상키보드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확장키'를 터치하기 전에 어떠한 키 입력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임을 알려주고 있다. FIG. 42 (I) shows a virtual keyboard with no change, which indicates that no key input is made before touching the 'extended key'.

즉 아직 '단어 예측 상태'가 비활성 상태여서 입력창에 '단어 예측 목록창'이 없으며 손가락을 '확장키'의 주변 키로 이동하더라도 '예측 단어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That is, 'predictive word state' is inactive, so there is no 'word predictive list window' in the input window, and 'predictive word selection' is not performed even if a finger is moved to a neighbor key of 'extended key'.

하지만 '확장키'를 터치하기 이전에 이미 키 입력이 이루어져 '단어 예측 상태'가 활성화 상태이라면(입력창에 '예측 단어 목록창'이 나타나 있는 상태) 손가락이 '확장키'를 터치하는 순간에 도 42(II)와 (III)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각의 키 영역이 노란색으로 변화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단어 예측 상태'가 이미 활성화 되었음을 의미하고 이 상태에서 '확장키' 주변의 키로 손가락을 드래그하고 이격하면 이격하는 지점의 키에 지정된 번호에 해당하는 '예측 단어'가 입력됨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각 키에 표시된 숫자는 '예측 단어 목록창'의 나열 번호에 해당된다. However, if the key input is already made before the 'extended key' is touched and the 'word prediction state' is active (the 'prediction word list window' is displayed in the input window) As shown in Figs. 42 (II) and (III), it is possible to set each key area to change to yellow. This means that the 'word prediction state' has already been activated. In this state, when a finger is dragged to a key around the 'extended key', the user is notified that the 'predicted word'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number is input It will be a role. The number displayed in each key corresponds to the list number in the Predictive word list window.

그리고 도 42(IV)와 (V)는 각 키의 색깔 변화는 없지만 각각의 키에 보여지는 문자는 도 42(I)과 달리 '기호(symbol)'가 보여지는 경우로 '확장키'를 터치하기 전에 이미 '기호 입력 상태'가 활성화 되어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있다. 특히 도 42(IV)에서 '!'(느낌표 기호)가 지정된 '1'번 키만 노란색으로 표시된 것은 '확장키'로 손가락이 이동하기 전에 처음 터치한 위치가 '1'번 키에 해당함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며, 도 42(V)에서 ' " '(겹따옴표 기호)가 지정된 '3'번 키가 노란색으로 표시된 것은 손가락이 이격할 경우 겹따옴표가 입력됨을 알려주는 것이다. 42 (IV) and (V), there is no change in the color of each key. However, the character shown in each key is different from the character shown in FIG. 42 (I) The user is informed that the 'symbol input state' has already been activated. In particular, in FIG. 42 (IV), when only the '1' key with the '!' (Exclamation point symbol) designated in yellow is displayed, the first touch position corresponds to the '1' key before the finger moves to the 'extended key' In FIG. 42 (V), the '3' key with the symbol '' '(double quotation mark) is indicated in yellow, indicating that the double quotation mark is entered when the finger is spaced.

이상은 '확장키'를 운용하는 손가락의 동작과 관려된 가상키보드 상에서의 변화의 일 예를 설명한 것으로 도 42(I)~(V)에 보여지는 '확장키' 운용 손가락 동작에 설정된 기능에 맞도록 변화가 가능하다. The above describe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finger operating the 'extended key' and the change on the virtual keyboard related to the operation. The 'extended key' operation shown in FIG. 42 (I) It is possible to change it.

도 43은 도 42에 보여지는 '확장키' 운용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그 차이점은 기호 입력과 예측 단어 입력을 위한 동작이 서로 바뀌었다는 점이다. 즉 도 43에서는 기호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확장키'를 먼저 터치한 다음 드래그 동작으로 원하는 키를 선택한 다음 이격하면 되고(4202), '단어 예측 상태'가 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 '예측 단어'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먼저 예측 단어의 번호에 해당하는 키를 터치하여 선택한 다음 드래그 동작으로 '확장키'로 이동한 다음 이격하면 된다.(4203) FIG. 43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extended key' operating method shown in FIG. 42, the difference being that operations for inputting a symbol and inputting a predicted word have been changed. In other words, in FIG. 43, in order to input a symbol, 'extended key' is touched first and then a desired key is selected by a drag operation and then separated (4202). If 'word predicted state' is activated, 'predicted word' In operation 4203, a key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predicted word is first touched to select and then moved to the 'extended key' by the drag operation.

즉 '예측 단어'의 입력을 위한 동작이 '확장키'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확장키'에서 종료하므로 '확장키'로 손가락이 이동하기 전까지는 가상키보드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고, 손가락이 '확장키'로 이동하여야 도 43(IV)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각각의 키의 색이 노란색으로 변화되고 처음 터치한 키의 색은 파란색으로 변하여 처음 터치한 키의 위치를 나타낸다. That is, since the operation for inputting the 'prediction word' does not start at the 'extended key' but ends at the 'extended key', the virtual keyboard does not change until the finger moves to the 'extended key' Extended key ', the color of each key changes to yellow as shown in FIG. 43 (IV), and the color of the first touched key turns blue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first key touched.

심지어 도 43(IV)의 드래그 동작은 굳이 '확장키'에서 이격할 필요가 없이 처음 터치한 위치의 키에서 일정한 거리이상 움직일 경우 동일한 기능을 담당하도록 하여도 문제가 없다. Even if the drag operation of FIG. 43 (IV) does not ne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xtended key', there is no problem even if the same function is performed when the key is moved over a certain distance from the key of the first touched position.

도 43(V)는 '잠정적 입력 단어'의 선택 및 입력과 동시에 'space'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4204)으로 처음 터치한 키의 위치로 돌아와서 이격하면 된다. 실제로 영어 문자에서는 그 어느 문자보다 'space'의 입력이 많이 사용되므로, 도 42(II)와 도 43(IV)의 드래그 동작은 '잠정적 입력 단어'의 입력과 'space'의 입력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도 42(III)과 도 43(V)의 드래그 동작은 '잠정적 입력 단어'의 입력만을 담당하도록 설정하여 실제로 'space'의 입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경우보다 많으므로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소시킬 수 있다. FIG. 43 (V) shows an operation 4204 for inputting 'space' at the same time as selecting and inputting 'provisional input word', and it is necessary to return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touch key to be separated. In fact, since the input of 'space' is used more than any character in English characters, the drag operation of FIG. 42 (II) and FIG. 43 (IV) i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input of the 'provisional input word' , The drag operation of FIG. 42 (III) and FIG. 43 (V) is set so that only the input of the 'provisional input word' is set so that the input of the 'space' .

더욱이 '확장키'에서 시작하여 '확장키'에서 종료되는 드래그 동작이 추가적인 'space'의 입력이 없이 단지 '예측 단어'만의 입력을 이루는 경우, 이러한 동작이 완료(도 42(VI)-①)됨과 동시에 '기호자판'이 화면에 나타나고(도 42(VI)-②) 이 상태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장기호가 지정된 키를 터치-이격(도 41(VI)-③)하면 기호 입력이 도 42(III)과 도 42(IV)에 보여지는 두 번의 드래그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것보다 단순한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42 (VI-1)), when the drag operation terminated at the 'extended key' and ends at the 'extended key' results in input of only the 'predicted word' without the input of the additional 'space' (VI-2). In this state, when the key designated by the sentence symbol to be input is touch-separated (FIG. 41 (VI) - 3) III < / RTI > and Fig. 42 (IV).

특히 드래그 동작 중에 '기호 자판'이 나타나도록 하는 경우(도 42(VI)-②) 도 42(IV)보다 좋은 점은 '기호 입력'을 위한 터치-이격 동작(도 42(VI)-③)이 이미 화면에 보여지는 '기호자판'을 보면서 이루어지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기호의 선택이 용이해지는 장점을 가져온다는 점이며 만약에 도 42(VI)-③의 기호 입력 준비 상태에서 벗어나 숫자 혹은 또 다른 문자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기호자판'상의 '확장키'를 터치-이격하여 기호 입력과정을 벗어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호자판'상의 '확장키'는 'space'의 입력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고 아니면 단지 아무런 기능 없이 기호 입력 과정을 벗어나는 기능만을 담당하게 할 수도 있는데 이는 단어 예측 방법의 구성에 따라 결정하면 될 것이다. 42 (VI-2)). The advantage of FIG. 42 (IV) is that the touch-spacing operation (FIG. 42 (VI) (VI-3), it is possible to select a symbol to be input easily. If the symbol is entered in a state of being ready for entering the symbol in FIG. 42 (VI) The user can escape from the symbol input process by touching the 'extension key' on the 'key keyboard'. To this end, the 'extended key' on the 'symbol keyboard' may be responsible for the input function of 'space', or it may only take the function of out of the symbol input process without any function. Will be.

그리고 도 42(VI) 보여지는 과정을 도 43(V)의 드래그 동작에도 적용하여 간편한 '기호 입력'과정(도 43(VI))을 이룰 수 있다. The process shown in FIG. 42 (VI) can also be applied to the drag operation in FIG. 43 (V) to achieve a simple 'symbol input' process (FIG. 43 (VI)).

도 44은 숫자의 입력을 제외한 순수한 문자와 기호만을 각각의 키에 지정한 가상키보드의 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키보드를 이용할 경우 '확장키'를 지나치는 드래그 동작(4301, 4302)이 각각의 키에 지정된 문자들 중에서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는 기능을 담당하도록 설정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즉, 'xwyz'가 지정된 '9'번 키를 접촉한 상태에서 드래그 동작(4301)으로 '확장키'를 지나쳐서 'jkl'이 지정된 '4'번 키로 이동한 후 손가락을 이격하면 'x, w, y, z' 중에서 네 번째 문자인 'z'를 입력하고, 만약 '1'번 키에서 손가락이 이격하면 첫 번째 문자인 'x'를, 그리고 '2'번 키에서 이격하면 'w'를, '3'번 키에서 이격하면 'y'를 입력하도록 하는 설정이다. 44 shows an example of a virtual keyboard in which only pure characters and symbols other than the input of numbers are assigned to respective keys. When such a keyboard is used, dragging operations 4301 and 4302 that pass the 'extended key' And a function of inputting one character out of the characters specified in FIG. That is, if the user touches the key '9' designated 'xwyz' and moves to the '4' key designated 'jkl' after passing the 'extended key' in the drag operation 4301, , 'y', and 'z', if the finger is separated from the '1' key, the first character 'x' , And 'y' if it is separated from '3' key.

즉 마지막 이격하는 지점에 해당하는 키가 '1'번 키 이면 첫 번째 문자가, '2'번 키 이면 두 번째 문자가, '3'번 키 이면 세 번째 문자가 입력되는 식이다. 각각의 키에 4개 이상의 문자가 설정되어 있어도 이격되는 지점의 키를 달리하면 되므로 '단어 예측 입력방법'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도중이라도 각각의 키에 지정된 다수의 문자와 기호 중에서 특정한 문자 혹은 기호 입력이 가능하다. That is, if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last separating point is '1' key, the first character is input, if the key is '2', the second character is input, and when the key is '3' Even if four or more characters are set in each ke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keys at the separated positions. Therefore, even when a character is input by the 'word prediction input method', a specific character or symbol This is possible.

더 나아가서 '확장키'가 'space' 입력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면 '5'번 키를 통해 숫자 '5'의 입력이 가능하므로 각각의 숫자의 입력도 도 43에 보여지는 드래그 동작으로 수행가능하다. Further, if the 'extended key' does not perform the 'space' input function, the number '5' can be input through the '5' key, so that the input of each number can also be performed by the drag operation shown in FIG.

이를테면 '1'번 키에 지정된 문자는 숫자 '1'을 포함하여 'a, b, c' 총 4가지 이므로 숫자의 경우는 '1'번 키에서 시작하여 '4'번 키에서 종료하는 드래그 동작으로 설정하면 각각의 키에 지정된 문자 및 숫자 중에서 원하는 것을 입력할 수 있게 되며, '단어 예측 입력방법'에서는 '1'번 키 입력의 경우 '1'번 키에 지정된 모든 철자(도 43(I)의 가상키보드의 경우 'a', 'b', 'c', '1' 네 가지) 대해서 '단어 예측 알고리즘'(Disambiquity Methodology)으로 단어를 예측해야 하지만 도 44의 동작으로 키 입력이 되는 경우에는 'a, b, c, 1'에 대해서 모두 검색할 필요 없이 이들 중 하나에 대해서만 검색하면 되는 것이다. For example, the character assigned to the key '1' contains a number '1', and the number of keys is 'a, b, c' (I) in the case of the key input of '1' in the 'word prediction input method', it is possible to input any one of the letters and numbers assigned to each key, The word is predicted by the 'Disambiquity Methodology' with respect to the four virtual keyboards 'a', 'b', 'c' and '1' 'a', 'b', 'c', and '1' need to be searched.

그리고, 고유명사와 같이 '단어 예측 알고리즘'(Disambiquity Methodology)이 적용될 수 없는 경우에는 단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를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는 모드로(핸드폰의 경우 멀티탭 방식) 변환되어야 하는데, 도 44의 드래그 방식에 의해 각각의 철자가 입력되도록 입력장치의 구성이 설정된다면 '단어 예측 방법'의 적용이 어려운 단어의 입력을 가상키보드 모드의 변환(이를테면 멀티탭 방식으로의 변환)이 없어도 동일한 가상키보드(자판배열)로 입력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In the case where the 'Disambiquity Methodology' can not be applied as in the case of proper nouns, it is required to be converted into a mode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a multi-tap method) in which each character constituting a word can be separately input, If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device is set so that each spelling is input by the dragging method of the virtual keyboard (for example, the conversion of the virtual keyboard mode such as the conversion to the multi-tap mode) Keyboard layout).

이러한 '확장키'를 활용한 터치/드래그 동작에 도 42에 도시한 기능을 부여한 일 예를 도 45에 보여주고 있다. 이는 문장 'I am a boy.'의 마지막 단어인 'boy'를 입력하는 과정이다. 'boy'의 경우 '1', '6', '9'번 키를 연속으로 터치한 다음(도 44(I), (II), (III)) 예상되는 단어 9 개 중에서 'boy'를 선택하기 위해 '확장키'로부터 시작하는 드래그 동작으로 예측 단어 배열 번호 'III'에 해당하는 단어를 선택 입력한다.(도 45(IV)) 그리고 도 42(IV)에 보여지는 방법대로 쉼표(.)를 입력하기 위해 '8'번 키에서 '확장키'로 이어지는 드래그 동작을 취하게 된다.(도 45(V)) An example of assigning the function shown in FIG. 42 to the touch / drag operation using the 'extended key' is shown in FIG. This is the process of entering 'boy', the last word of the sentence 'I am a boy.' In case of 'boy', touch '1', '6', and '9' successively (Fig. 44 (I) The word corresponding to the predicted word arrangement number 'III' is selected and input into the drag operation starting from the 'extended key' (FIG. 45 (IV)) and the comma (.)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method shown in FIG. Quot; 8 " key to the " extension key "

또, 도 45(III)에 보이는 바와 같이 'boy'의 경우 예상되는 단어가 9 가지나 된다. 이들 9개의 '예측 단어'를 화면에 나열하고 이 중에서 직접 선택할 경우 '예측 단어목록 창'도 커져야 하며, 이렇게 커진 '예측 단어목록 창'(4401)에서 원하는 단어를 선택하려면 손가락 가상키보드로부터 먼 거리를 움직여야 하고, 심지어 'boy'와 같이 예측 단어의 갯수가 많아지면 각각의 단어를 선택하기 위한 영역이 커져서 심지어 입력창 전체를 가리게 되는 불편함을 초래한다. As shown in FIG. 45 (III), there are nine words expected in the case of 'boy'. In order to select a desired word from the 'predicted word list window' 4401, which is enlarged, the 'predicted word list window' should be enlarged when the nine predicted words are listed on the screen, And even if the number of predicted words such as 'boy' is increased, the area for selecting each word becomes larger, which results in inconvenience that even the entire input window is covered.

이에 반해 도 42에는 확장키'를 이용한 드래그 동작으로 '예측 단어목록 창'의 원하는 예측 단어의 배열 번호에 해당하는 키를 선택한다. 이러한 '예측 단어' 나열과 선택 방법은 한 손가락(엄지)의 관절 운동 범위 내에서 단어의 예측을 위한 키 입력과 '예측 단어'의 선택이 이루어져 '예측 단어' 중에서 원하는 단어가 쉽게 선택 입력된다. 더욱이 '예측 단어목록 창' 영역을 손가락으로 터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예측 단어목록 창'의 크기를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축소하더라도 하등의 문제가 없다. In contrast, in FIG. 42, a key corresponding to an array number of a desired prediction word in the 'predicted word list window' is selected by a drag operation using the extended key '. In order to select and select the prediction words, a key input for predicting the word within the range of motion of one finger (thumb) and a selection of a 'prediction word' are made, and a desired word among the 'prediction word' is easily selected. Furthermore, since there is no need to touch the 'predicted word list window' area with a finger, there is no problem even if the size of the 'predicted word list window' is reduced to such a size as to be recognized.

따라서, '예측 단어 목록창'이 입력창을 가리게 되는 문제도 자연스럽게 제거되는 장점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점이 도 45(IV)에 보여지는 '예측 단어 선택' 방법이 가져오는 장점이다. Therefore, the advantage that the 'prediction word list window' hides the input window is also remarkably removed. This is an advantage brought about by the 'prediction word selection' method shown in FIG. 45 (IV).

이러한 장점을 더 발전시킨 것이 도 46이다. 도 46은 '예측 단어 목록창'(4501)의 직관성의 향상을 위해 '확장키'키를 중심으로 예측 단어들을 배치한 것이다. 이렇게 '확장키'키 주변에 배치하게 되면 굳이 도 45(IV)에서와 같이 '예측 단어목록 창'의 단어 배열 번호(underlined number)를 확인하지 않아도 예측 단어 배열 방향을 보고 선택을 위한 손가락의 드래그 방향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This advantage is further developed in FIG. FIG. 46 shows prediction words arranged around the 'extended key' key to improve the intuitiveness of the 'predicted word list window' 4501. If the user does not check the underlined number of the 'predicted word list window' as in FIG. 45 (IV), the user can see the predicted word arrangement direction and drag the finger for selection The direction can be easily recognized.

더 나아가서 선택되는 예상 단어의 배경색(4502)을 달리하면(도 46(IV)) 선택이 옳게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도 제공한다. 기호 입력의 경우에도 '확장키'로 손가락을 이동하면 입력창에 '기호 배열 표시 창'(4503)을 나타내고 처음 손가락이 터치한 키의 배경색(4504)을 주변의 키와 달리하면 선택된 키가 입력하고자 하는 기호에 해당되는 키인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46 (IV)),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election is correct or not by further changing the background color 4502 of the predicted word to be selected. In the case of inputting a symbol, if a finger is moved with the 'extended key', a 'symbol array display window' 4503 is displayed in the input window. If the background color 4504 of the key touched by the first finger is different from the surrounding key, It provides a way to check if the key corresponds to the desired symbol.

만약에 잘못 선택이 되었다면 도 471(II)에 보여지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 완료 전에 손쉽게 수정될 수 있다. 즉 도 47(II)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드래그 동작으로 '확장키'를 터치하게 되면 입력창에 '기호배열 표시창'이 나타나고 동시에 처음에 손가락이 터치한 키의 배경색이 나머지 키와 다르게 표시 되어, 원하는 기호의 선택이 올바로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만약 입력하고자 하는 키가 아닌 다른 키를 잘못 선택하였다면 이 상태에서 손을 떼지 않고 원하는 키로 손가락을 이동한 후 이격하면 처음 터치한 키(comma, ',') 대신에 마지막에 선택한 키(period, '.')가 입력된다.(도 47 (III)) 따라서, '입력취소'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쉽게 수정할 수 있으며 혹시라도 기호의 입력을 원하지 않는 경우는 처음에 터치한 키로 되돌아 와서 이격하면(도 47(IV)) 아무런 입력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If the wrong selection is made, it can be easily modified before completion of input by the method shown in Figure 471 (II). 47 (II), when the 'extended key' is touched by a drag operation, a 'symbol array display window' is displayed in the input window and the background color of the key first touched by the finger is displayed differently from the remaining keys, If you make a wrong selection of a key other than the one you want to input, move your finger to the desired key without releasing your hand in this state, ) (Fig. 47 (III)).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modify the key without having to perform an 'input cancellation' process. If the user does not want to input a symbol, (Fig. 47 (IV)), no input is made.

도 46은 '예측 단어' 뿐만 아니라 기호의 입력을 위해서도 드래그 동작이 필요한데 도 47은 기호의 입력은 화면에 '기호 자판'이 보여진 상태에서 원하는 기호가 지정된 키 영역을 터치/이격함으로서 기호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46 shows a case where a drag operation is required to input not only a 'predicted word' but also a symbol. FIG. 47 shows a case where a symbol key is displayed on the screen, .

도 47(III)은 이미 1 번 키, 6번 키, 9번 키를 터치/이격 한 상태에서 '예측 단어 목록'이 화면에 나타나 있는 경우로 46(III)과 동일한 상태이다. 다만 이 상태(도 47(III))에서 '확장키'를 터치한 다음 3번 키로 드래그 동작이 이루어지고 손가락이 이격하면(4602) 'boy'+'space'의 입력이 함께 이루어지고(도 48(V)), '확장키'를 터치한 다음 3번 키로 드래그 동작이 이루어진 다음 다시 '확장키'로 되돌아와서 손가락이 이격하면(4603) 'boy'만이 입력되도록(도 48(V-1)) 한 점이 도 46과 다른 점이며 이는 도 42(VI)의 내용을 적용한 것이다. 47 (III) shows a case where the 'predicted word list'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state where the first key, the sixth key and the ninth key are touched /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state (Fig. 47 (III)), if the user presses the 'extended key' and then performs the drag operation with the key 3 and the finger is separated (4602), 'boy' + 'space' (V-1), the 'extended key' is touched and then the drag operation is performed with the third key, and then the 'extended key' is again returned to allow only the 'boy' ) Is different from FIG. 46 in that the content of FIG. 42 (VI) is applied.

이러한 '확장키'로 되돌아 오는 드래그 동작의 경우(4603) 'boy'의 입력과 동시에 화면에는 '기호 자판'이 나타나도록(도 48(V-1)) 하여 '가상키패드'의 각각의 키 영역을 터치/이격할 경우(4604) 문자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키 영역에 지정된 기호가 입력되도록 한 것이다. In the case of the drag operation returning to the 'extended key' (4603), 'key' is displayed on the screen simultaneously with the input of 'boy' (4604), the characters are not input but the symbols designated in the key areas are inputted.

이상은 터치방식의 가상키보드 입력방식의 경우 '확장키'를 적용하여 단어예측 입력방법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도 39에 보이는 것과 같은 12개 키에 기초한 키패드 시스템의 경우 '5'번 키를 '확장키'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키의 숫자가 많아지거나 배열이 달라질 경우 하나 이상의 확장키를 지정할 수 있으며, 그 위치도 '예측 단어 목록'의 표시가 용이하고, 손가락의 움직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위치가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the keypad system based on the twelve keys as shown in FIG. 39, the '5' key is referred to as " Extended key '. However, when the number of keys is increased or the arrangement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designate one or more extension keys. Also, it is possible to easily display the' predicted word list ' .

도 59에 보이는 바와 같이 4*3(4줄*3열) 키 배열이 아닌 3*4(3줄*4열) 키 배열(도 59(I))인 경우 중앙의 2개의 키(5501)를 확장키로 설정 가능하고, 3*5(3줄*5열) 키 배열(도 59(II))의 경우 양손 사용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키 배열의 중앙 좌우에 두 개의 확장키(5502)를 배치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확장키의 원리를 키패드 방식의 단어예측 방법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이 도 49 ~ 도 51에 보여지고 있으며, 도 49 ~ 도 51의 키패드(4703)는 가상키보드가 아닌 물리적인 키패드를 의미한다. As shown in FIG. 59, in the case of a key arrangement of 3 * 4 (3 rows * 4 columns) (Figure 59 (I)) rather than 4 * 3 (4 rows * 3 columns) In the case of the key arrangement of 3 * 5 (3 rows * 5 columns) (Figure 59 (II)), two extension keys 5502 are arranged at the center left and right of the key arrangement, . 49 to 51, and the keypad 4703 shown in FIGS. 49 to 51 is a physical keyboard, not a virtual keyboard. The keypad 4703 shown in FIGS. Means a keypad.

도 47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am'이라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문자 'a'와 'm'이 지정된 '1'번키와 '6'번 키를 눌러주고 예상 단어 목록창(4702)에서 'II'번 예측 단어인 'am'을 입력하기 위해 '확장키'인 '5'번 키와 '2'번 키를 순서대로 눌러 주면 된다. 49(III)에서 점선 화살표는 도 45에서 보여지는 터치방식 상에서 드래그 동작에 해당됨을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5'번 키를 눌러 주어 'space'의 입력을 마무리한다. As shown in FIG. 47, in order to input the word 'am', '1' and '6' keys having the letters 'a' and 'm' 5 'key and' 2 'key, which are' extended key ', in order to input' am ', which is a prediction word, 49 (III), the dotted arrow indicates that the drag operation corresponds to the touch method shown in FIG. Finally, press '5' key to finish typing 'space'.

다만 터치방식과 달리 키패드 방식에서는 '확장키'에 해당하는 '5'번 키를 눌러주는 동작이 숫자 '5'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인지, 예상 단어 목록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사전 동작인지를 구분할 수 없다. 따라서, '5'번 키에 숫자 지정을 제외 시키고 단지 문자만을 지정하면, '5'번 키의 누름 동작이 '단어 예측 상태'가 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 예상 단어 목록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고, '단어 예측 상태'가 활성화 되지 않은 경우에 'space' 입력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However, unlike the touch method, in the keypad method,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5' key corresponding to the 'extended key' is an operation for inputting the number '5' or a dictionary operation for inputting the expected word list number none. Accordingly, if only the character is designated by excluding the numeric designation in the key '5',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key '5' takes charge of the function of inputting the predicted word list number when the word prediction state is activated , And the 'space' input function when the 'word prediction state' is not activated.

다만 일반적으로 길게 누를 경우 문자가 아닌 숫자의 입력을 위한 누름 동작으로 인식하게 하는 방법을 택하면 '5'번 키가 '확장키'로서 '예측 단어 선택' 및 'space' 입력 기능뿐만 아니라 숫자 '5'의 입력도 담당할 수 있게 된다. However, if the user presses the key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recognized as a pushing operation for inputting a number. In this case, the '5' key is used as an 'extended key' 5 ". < / RTI >

도 42(IV)에 보여지는 기호의 입력을 위한 드래그 동작을 키패드에 그대로 적용한다면, 문자가 지정된 키를 먼저 눌러 준 다음에 '확장키'를 눌러 주어야 하는데 이 때 '확장키'의 누름 동작이 문자가 지정된 키를 눌러서 '단어 예측 상태'가 활성화 되어 있으므로, 기호 입력을 위한 누름 동작인지 아니면 '예측 단어'의 선택을 위한 누름 동작인지를 구분할 수 없으므로, 키패드 방식의 입력 방법에서는 터치방식의 입력 방법에서 적용되었던 도 42(IV)의 드래그 동작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If the drag operation for inputting the symbol shown in FIG. 42 (IV) is applied to the keypad as it is, the user must press the designated key first and then the 'extended key' Since the 'word predictive state' is activated by pressing the key designated by the character, it can not be discriminated whether it is a pressing operation for inputting a symbol or a pressing operation for selecting a 'prediction word'. Therefore, in the keypad-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drag operation in Fig. 42 (IV) which has been applied in the method of Fig. 42 (IV) can not be performed.

따라서, 도 49 ~ 도 5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별도의 기호 입력을 위한 '기호 선택 기능키'를 설정(도 49~도 51에서는 '#'키를 '기호 선택 기능키'로 지정)하여, 문자가 지정된 키를 누른 다음 '확장키'를 누르는 동작은 단지 '예측 단어 선택' 기능만이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기호의 입력은 '기호 선택 기능키'를 눌러준 각각의 기호가 지정된 키를 눌러 줌으로 이루어진다. Therefore, as shown in FIGS. 49 to 51, a 'symbol selection function key' for specifying a symbol is set (in FIG. 49 to FIG. 51, the '#' key is designated as a 'symbol selection function key' Pressing the specified key and then pressing the 'extended key' will only work with the 'predictive word selection' function. Therefore, the symbol input is performed by pressing the designated key by pressing the symbol selecting function key.

이러한 기호 입력 방법은 '확장키'가 '단어 예측 상태'가 비활성화 상태일 때는 'space'의 입력을 담당하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도 49(IV)의 'space'의 입력을 위한 '확장키' 누름 동작은 이를 반영하고 있다. Such a symbol input method is not a problem even if the 'extended key' is in charge of inputting 'space' when the 'word predicted state' is inactive, so the 'extended key' for inputting 'space' in FIG. Behavior reflects this.

그리고, 도 49의 '0'번 키에 지정된(양손을 이용하여 키패드를 두 손으로 조작하는 경우 '*'키 혹은 '#'키에 지정하여도 무방하다. 대신 '0'번 키에는 이들 키에 지정된 기능을 지정하면 된다.) 'space'입력 기능은 '단어 예측 상태'가 활성화 되어 있을 때는 '잠정 입력 단어'의 확정과 'space'의 입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면 '잠정 입력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 '확장키'를 이용하는 것보다 타수를 줄일 수 있어서 효율적이다. If the keypad is operated with both hands by using both hands,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ate it as a '*' key or a '#' key in the '0' key in FIG. 49. Instead, 'Space' input function is to activate 'temporary input word' and 'space' at the same time when 'word predictive state' is activated, and input 'temporary input word' This is more efficient than using 'extended keys' to do so.

이러한 설정으로 'I am a boy.'의 마지막 단어인 'boy'와 '.'를 입력하는 과정이 도 50에 보여지고 있다. 'boy'의 입력을 위해서 '1'번 키, '6'번 키, '9'번 키를 차례로 눌러주어 'boy'에 해당하는 '예측 단어 목록'을 이룬 다음(도 50(III)) 'boy'를 선택하기 위해 '확장키'인 '5'번 키와 예측 단어 목록번호 'II'에 해당하는 '2'번 키를 차례로 눌러 주어 'boy'의 입력을 마친다.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last words 'boy' and '.' Of 'I am a boy.' With this setting is shown in FIG. 50 (III)) corresponding to 'boy' by pressing keys '1', '6' and '9' in order to input 'boy' key 'key to select' boy 'and' 2 'key corresponding to the predicted word list number' II 'in order to finish typing' boy '.

이어서 '.'를 입력하기 위해 '기호 선택 기능키'를 눌러 준 다음 '8'번 키를 눌러주면 'boy.'의 입력이 완료된다. 도 49(III)과 마찬가지로 도 50(IV)의 점선 화살표는 터치 입력방식에서의 드래그 동작에 해당됨을 보여주기 위한 참고 표시이다. Then press 'Symbol Select Function Key' to enter '.' And press '8' key to complete 'boy.' Input. Like the case of FIG. 49 (III), the dotted arrow in FIG. 50 (IV) is a reference for showing that it corresponds to the drag operation in the touch input method.

도 51은 도 50과 동일한 내용이고 단지 '예측 단어 목록'이 수직으로 나열한 형태가 아닌 '확장키' 주위에 배치된 키패드 배열 형태의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역시 키패드 핸드폰의 경우 화면의 크기가 크지 않아서 '예측 단어 목록창'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를 선택하는 것은 더욱 어렵고, 도 50의 번호순으로 배열하는 것보다는 직관적인 배열 형태가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의 선택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FIG. 51 is the same as FIG. 50, but shows a keypad arrangement type arranged around the 'extended key' rather than the 'predicted word list' arranged vertically. In the case of the keypad mobile phone, the size of the screen is not so large, and it is more difficult to select the word to be input in the 'predicted word list window'. The intuitive arrangement type This can be done easily.

본 구성은 단어 예측 입력 방법에 있어서 확장키(예측 단어 선택 기능키)를 손가락 움직임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고, 이 키를 중심으로 예측 단어를 배열하여 손쉽게 원하는 단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단어 예측 방법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방안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구성은 예측 단어 입력 방법을 이용하는 영어 이외의 언어에 대해서도 사전적인 데이터 베이스(Word Database)로부터 예측되는 단어의 목록을 확장키 주변에 배열하고 이들 단어 목록으로부터 직관적으로 선택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리는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In the word prediction input method, an extended key (a predicted word selection function key) is arranged at a position where finger movement can be minimized, and a predicted word is arranged around the key to easily select a desired word, And provides a way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rediction method. Therefore, this configuration can arrange a list of words predicted from a dictionary database (Word Database) for a language other than English using a predictive word input method, around the extended key, and allow selection input from the list of words intuitively The principles are equally applicable.

그리고 도 51(VI)는 도 42(VI)에 보여지는 터치스크린 방식에서 '예측 단어'의 선택과 동시에 '기호자판'의 활성화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키패드에도 적용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FIG. 51 (VI) shows an example in which a configuration in which a 'predictive word' is selected and a 'sign language keyboard' is automatically activated is also applied to the keypad in the touch screen method shown in FIG. 42 (VI).

도 42(VI)에 보여지는 과정에서 '확장키'의 'space' 입력 기능이 도 42(I)~도 42(V)에서 보여지는 '확장키'를 통한 'space' 입력 기능과 차이점이 있는데 이러한 차이 점이 도 51(I)~도 51(V)의 과정과 도 51(VI)에도 나타난다. 즉 이미 도 42(VI)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예측 단어'가 지정된 키 영역에서 손가락이 이격되는 드래그 동작(4102)은 'space'의 입력 기능을 동시에 담당하고 '확장키'로 다시 돌아와서 손가락이 이격되는 드래그 동작(4103)은 '예측 단어'만을 입력하게 한다. In the process shown in FIG. 42 (VI), the 'space' input function of the 'extended key' differs from the 'space' input function of the 'extended key' shown in FIG. 42 (I) This difference is also shown in the process of FIGS. 51 (I) to 51 (V) and FIG. 51 (VI). 42 (VI), the drag operation 4102 in which the finger is spaced apart from the key region in which the 'prediction word' is designated receives the 'space' input function at the same time and returns to the 'extended key' The drag operation 4103 which is spaced apart allows only the 'prediction word' to be input.

즉 도 42(I)~(V)의 구성을 키패드 방식에 적용한 도 51(I)~(V)에서는 '예측 단어'를 선택하기 위해 '확장키'('5'번 키)를 눌러준 다음 '예측 단어 번호'에 해당하는 '3'번 키를 눌러주면 '예측 단어'인 'boy'가 입력된다. 51 (I) to (V)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FIGS. 42 (I) to (V) is applied to the keypad system, the 'extended key' If '3' key corresponding to 'predicted word number' is pressed, 'predicted word' 'boy' is input.

하지만 도 42(VI)의 구성을 적용한 도 51(VI)에서는 '확장키'('5'번 키)를 눌러준 다음 '예측 단어 번호'에 해당하는 3번 키를 눌러주면(도 51(VI)-①) '예측 단어'와 'space'의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이 상태에서 '확장키'를 다시 눌러주면(도 51(VI)-②) 입력된 'space'를 취소시켜 실질적으로 '예측 단어'의 입력만이 이루어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51 (VI)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FIG. 42 (VI) is applied, pressing the '3' key corresponding to the 'predicted word number' after pressing the 'extended key' ) -①) 'Prediction word' and 'space' are input simultaneously. If the 'extension key' is pressed again in this state (FIG. 51 (VI) Predicted word ".

이렇게 하여 도 42(VI)의 터치스크린 방식에 적용된 구성과 동일한 과정 및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단어 예측 상태'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확장키'('5'번 키)를 눌러준 다음 '예측 단어 번호'에 해당하는 '3'번 키를 눌러주면 '예측 단어'인 'boy'와 'space'의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이 상태에서 '기호 선택 기능키'인 '확장키'를 눌러주면 실질적으로 'backspace'키의 기능과 화면상에 '기호자판'을 활성화시키는(도 51(VI)-③) 기능이 동시에 이루어져 결국 도 51(VI)-①의 누름 동작(도 42(VI)의 드래그 동작에 해당하는 누름 동작으로 점선으로 표시됨)으로 입력된 'space'가 삭제되고 입력커서가 이미 입력된 '예측 단어'('boy') 바로 다음에 위치하게 되어 기호 입력 상태가 준비되는 것이다. (사실 도 42(VI)에 보여지는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에서의 드래그 과정은 키패드 방식인 도 51(VI)-①과 도 49(VI)-②의 과정을 화면상에서 나타나고 있지는 않지만 실질적으로 내부에서 진행하고 있는 것이다.)이 상태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기호 '.'(마침표)가 지정된 '8'번 키를 눌러주면(도 51(VI)-④) 기호의 입력이 완료된다.(도 51(VI)-⑤) Thus, the same process and result as those applied to the touch screen method of FIG. 42 (VI) are obtained. Therefore, if you press the '3' key corresponding to the 'predicted word number' after pressing the 'extended key' ('5' key) while the word prediction state is active, If 'height' and 'space' are entered at the same time and 'extended key', which is 'symbol selection function key', is pressed in this state, the 'backspace' key function and 'sign board' Quot; space " inputted as a pushing operation (Fig. 51 (VI) -③) and concurrently pressing the pushing operation (the push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ragging operation of Fig. 42 (VI) And the input cursor is positioned immediately after the already inputted 'predicted word' ('boy') (in fact, the drag process in the touch screen input method shown in FIG. 42 (VI) 51 (VI) -① and 49 (VI) -② which are the keypad method are not shown on the screen, 51 (VI-4)) is completed by pressing the key '8' designated with the symbol '.' (Period) to be input in this state. 51 (VI-5)

'예측 단어'의 선택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space'의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진다면 '확장키'를 눌러서 다시 'space'를 입력할 필요가 일반적으로 없기 때문에 도 51(VI)에 적용된 구성은 크게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space'의 입력이 빈번할 경우 '확장키'에서 시작되어 '예측 단어 나열 번호'가 지정된 키 영역으로의 드래그 동작이 '예측 단어와 'space'의 입력을 동시에 구현하는 42(VI)의 구성이 도 42(I)~(V)의 구성보다 유용하므로 이를 키패드 방식에 적용한 도 51(VI)의 구성이 도 42(I)~(V)의 구성보다 더 유용하다. When the 'prediction word' is selected and the 'space' input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re is generally no need to input the 'space' again by pressing the 'expansion key'. Does not occur. Therefore, if the 'space' input is frequent, the drag operation to the key region starting from the 'extended key' and the 'predicted word listing number' (I) to (V), the configuration of FIG. 51 (VI), which is applied to the keypad method, is more useful than the configuration of FIG. 42 (I) to (V).

더 나아가서 '단어 예측 상태'가 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 '확장키'를 두 번 연속으로 눌러 주어 '잠정 입력 단어'의 입력과 'space'의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면 굳이 별도의 'space'키('0'번 키)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어 손가락의 움직임을 1~9번 키 내에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Furthermore, if the 'word prediction state' is activated, if 'expansion key' is pressed twice consecutively to input 'temporary input word' and 'space' simultaneously, a separate 'space' key ('0 Quot; 'key), thereby providing a method of moving the finger within the keys 1 to 9.

[실시예 16][Example 16]

실시예 16은 모음입력활성화키의 개념을 단어 예측 입력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으로, 위의 실시예 15 중에서 터치스크린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터치하는 가상키보드 상에 '예측 단어 목록'을 표시하여 예측 단어 목록의 인지를 더욱 용이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Embodiment 16, the concept of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is applied to the word prediction input system. In the embodiment 15 described above, a 'predicted word list' is displayed on a virtual keyboard that a user directly touche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일반적으로 단어 예측 입력 방법의 경우 사용에 불편을 느끼는 점은 키보드(키패드)와 입력창을 번갈아 보면서 예측 단어의 확인과 키 입력 확인을 진행해야 하는 긴장감이다. 하지만 도 5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예측 단어 목록'이 (터치스크린 방식과 같이) 손가락이 직접 닿는 가상키보드의 키에 보여진다면 굳이 '예측 단어 목록'을 확인하기 위해 단어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입력창과 가상키보드를 번갈아 볼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도 52는 이러한 구성을 도 51에 적용한 동일한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Generally, in the case of the word prediction input method, the user feels inconvenience in using the keyboard (keypad) and the input window while checking the prediction word and checking the key input. However, if the 'predicted word list' is displayed on the key of the virtual keyboard directly touching the finger (as in the touch screen method) as shown in FIG. 53, the input window for inputting words and the virtual You do not need to look at the keyboard alternately. Fig. 52 shows the same process of applying this configuration to Fig.

도 53과 도 54는 본 구성에 따라 단어 예측 방법으로 입력하는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영어 단어 'coordination'을 입력하는 과정으로 도 53(I)는 'coordination'의 첫 문자 'c'를 입력하기 위해 '1'번 키를 터치-이격했을 때의 상황이다. 입력창뿐만 아니라 가상키보드에도 '예측 단어 목록창'(5101)의 내용이 보여진다. '예측 단어 목록창'과 가상키보드 상의 붉은색으로 표시된 키 영역은 '확장키'의 1:1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그리고 가상키보드 상에 보여지는 '예측 단어'는 각각의 키에 지정된 파란색 문자들과 구분하기 위해 붉은 색으로 표시된다. 이는 '확장키'가 붉은 색으로 표시되어 있어 이들 '예측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확장키'를 터치하거나 드래그 동작으로 '확장키'를 지나쳐야 됨을 연상시키기 위함이며 다르게 표현될 수도 있다. 53 and 54 show an example of inputting by the word prediction metho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FIG. 53 (I) shows a situation in which the first key 'c' of 'coordination' is touched by touching the key '1' in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English word 'coordination'. The contents of the 'predicted word list window' 5101 are displayed on the virtual keyboard as well as the input window. The 'predicted word list window' and the red colored key area on the virtual keyboard represent a 1: 1 correspondence relationship of 'extended key'. The 'prediction word' shown on the virtual keyboard is displayed in red to distinguish it from the blue characters assigned to each key. This is because the 'extended key' is displayed in red and it is reminded that the 'extended key' must be touched or the 'extended key' must be passed in order to input the 'predicted word'.

이들 '예측 단어 목록'에서 단어의 나열은 알파벳 순서로 할 수도 있고, 사용 빈도 수에 따라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순서대로 나열할 수도 있다. 하지만 가능하면 '잠정 입력 단어'를 '예측 단어 목록창'의 위치 중에서 손가락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이면 좋다. 이를테면 '1'번, '3'번, '7'번 혹은 '9'번 키와 같이 '확장키'로부터 대각선 방향에 있는 위치보다는 상하좌우 직선 방향으로 위치한 '2', '4', '6', '8'번 키의 위치가 손가락이 '확장키'로부터 움직이기에 용이하므로 이들 후자의 위치에 '잠정 입력 단어'를 나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53에서는 '2'번 키 위치에 배치되었다. In these 'predictive word lists', words can be listed in alphabetical order, or they can be listed in order of most frequently us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However, if possible, the 'temporary input word' should be a position where the finger is easily accessible from the 'predicted word list window'. For example, '2', '4', '6', and '6' are located in the diagonal direction from the 'extended key' rather than the positions in the diagonal direction such as '1', '3', '7'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temporary input word' in the latter position, and it is disposed in the key position '2' in FIG.

도 53의 가상키보드에는 각 키에 지정된 숫자를 나타내고 있지 않은데, 이는 사용자들이 이미 숫자의 배열 위치를 숙지하고 있다는 가정하에서 생략된 것이다. 필요하다면 도 51과 같이 가상키보드에 숫자를 표시할 수도 있다. The virtual keyboard of FIG. 53 does not show the number assigned to each key, which is omitted on the assumption that users already know the position of the numbers. If necessary, a number may be displayed on the virtual keyboard as shown in FIG.

이렇게 가상키보드에서 숫자 표시를 생략한 이유는 본 구성의 목적에 따라 각각의 키에 '예측 단어'가 표시될 경우 각 키에는 그 키에 지정된 숫자와 문자 및 '예측 단어'까지 표시되어 '예측 단어'의 인지가 어렵게 되므로 숫자는 편의상 표시를 하지 않은 것이다. The reason for omitting the numeric display in the virtual keyboard is that, when the 'predicted word' is displayed in each ke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configuration, each key is displayed up to the number and character designated in the key and 'predicted word'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number is not displayed for convenience.

도 53의 가상키보드는 '확장키'가 'space'의 입력 기능도 담당하도록 설정된 경우로, 입력창에 '잠정 입력 단어'를 가상키보드의 '확장키'에도 표시하여 '확장키'를 터치-이격하여 'space'를 입력할 때 동시에 입력되는 '잠정 입력 단어'(도 51에서 입력창의 밑줄 그어진 단어)를 재확인시켜 입력 에러를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예측 단어 목록창'에 밑줄친 단어로 '잠정 입력 단어'가 표시되므로 '확장키'에 굳이 표시하지 않아도 문제는 없다. The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 53 is configured so that the 'extended key' is also set to perform the input function of 'space'. The 'virtual key word' is also displayed on the 'extended key' This is because it helps to prevent an input error by reconfirming the 'temporary input word' (the underlined word in the input window in FIG. 51) inputted at the same time when the 'space' is inputted at a distance. There is no problem if you do not display 'Expansion Key' because 'Expected Word List Window' shows underlined words as 'Temporary Input Word'.

도 53(V)에는 '예측 단어'가 두 가지인 경우로서 (여기서 '예측 단어'는 지금까지 입력된 키 순서에 의해 입력 가능한 단어의 알파벳 순서가 Word Database에서 선택 가능한 단어들의 '어두'에 해당되는 것을 말한다.) 이들 '예측 단어'를 '확장키' 상하에 배치하였는데 이는 이들 '예측 단어'가 길어지더라도 51(I)~(IV)에서와 같이 인접한 키에 배치할 때 인접한 키에 배정된 예측 단어들끼리의 중첩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53 (V) shows a case where there are two 'predicted words' (the 'predicted word'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alphabetical order of the words that can be input by the key order inputted up to now is 'dark' These predicted words are arranged above and below the extended key. This means that even if these 'predicted words' are lengthened, they are assigned to adjacent keys when placed in adjacent keys as in 51 (I) to (IV) So as to prevent overlapping problems between the predicted words.

그리고 마지막으로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 'coordination'의 처음 7 자('coordin')까지 입력되면(도 54(II)) '예측 단어'는 오직 하나이므로 추가로 입력되어야 하는 부분은 'coordin'의 뒤에 오게 되는 어미 변화형이다. 이들 어미 변화형을 나열하는 것은 단어 전체를 나열할 경우 각각의 키 영역을 벗어나므로 어미 변화형만을 나열하여 이웃한 키에 배치된 단어들끼리 중첩되지 않게 하고, 어미 변화형이 결합된 단어 전체를 검색하는 것보다 어미 변화형만을 검색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When the first seven characters ('coordin') of the word 'coordination' to be inputted last are inputted (FIG. 54 (II)), since there is only one 'prediction word' Is the ending type. If the whole words are listed, the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only the ending variants are listed so that the words arranged in the neighboring key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is is because it is easier to retrieve only the end variant than to search.

예를 들면 도 54(II)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al, -ate, -ates, -ation, -ating 등의 추가적인 어미 변화형의 목록이 가능하며 이들 어미 변화형을 선택하면(도 54(III)) '예측 단어'로 표시된 'coordin'과 이들 어미 변화형이 결합한 단어가 입력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4 (II), it is possible to list additional ending variants such as -al, -ate, -ates, -ation, and -ating. When these ending variants are selected )) 'Coordin' marked 'predicted word' and the words combined with these modified forms are input.

도 54에서 '예측 단어'가 배치된 키(5201)는 파란색 배경색을 갖는데 이는 '예측 단어'가 하나뿐임을 표시하고 나머지 키에 배열된 단어들은 이 파란색 배경을 갖는 키에 배치된 '예측 단어'의 어미 변화형임을 알게한다. In FIG. 54, the key 5201 in which the 'predicted word' is arranged has a blue background color, which indicates that there is only one 'predicted word', and the words arranged in the remaining keys are 'predicted word' Of the ending.

따라서, 사용자는 '예측 단어'가 배치된 키의 배경색이 파란색으로 변하면 키 입력을 진행하는 것보다 '예측 단어'에 추가되는 '어미 변화형'을 '예측 단어 목록창'에서 어미 부분만을 쉽게 검색해 볼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함이다. Therefore, when the background color of the key in which the 'predicted word' is placed is changed to blue, the user can easily search only the mother part in the 'predicted word list window', which is added to the 'predicted word' This is to guide you to see.

예를 들면 도 5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측 단어'가 파란색 배경을 가지게 되면 추가적인 키 입력은 이미 '예측 단어 목록창'에 보이는 '예측 단어'를 근간으로 만들어지는 단어들만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므로, 손가락으로 '확장키'를 터치하고 드래그 동작으로 어미 변화형의 하나인 '-ation'(5202)가 지정된 키로 이동시킨 후 이격하면 'coordination'의 입력이 완료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4, if the 'predicted word' has a blue background, the additional key input means that only the words based on the 'predicted word' already shown in the 'predicted word list window' Touching the 'extension key' and moving the '-ation' 5202, which is one of the mother change types, to the designated key by the drag operation, the input of 'coordination' is completed.

즉 'coordin'이 예측 단어로 잠정 입력된 상태에서 나머지 철자 'ation'을 하나 하나 추가적으로 입력하기 위해 필요한 다섯 번의 터치 동작이 생략가능해 지는 것이다. In other words, in a state in which 'coordin' is provisionally input as a predicted word, five touch operations necessary to additionally input the remaining spell 'ation' can be omitted.

만약 도 54(II)에서 보여지는 상태에서 어미 변화형을 살펴보기 보다 오히려 'coordination'의 모든 철자를 다 입력한 후 '확장키'의 터치-이격 동작으로 'coordination'의 입력을 완료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어미 변화형'을 이용하면 '어미 변화형'까지 모두 포함된 단어를 가상키보드상의 각각의 키에 표시하여 이웃한 키에 지정된 예측 단어끼리 중첩되어 서로 분간이 어렵게 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져온다. In the state shown in FIG. 54 (II), it is possible to input all the words of 'coordination' rather than to look at the change form of the mother, and to complete the input of 'coordination' by touch- . In this way, when the 'ending type' is used, the words including all the 'ending type' are displayed on the respective keys on the virtual keyboard, thereby preven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predicted words assigned to the neighboring key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It brings the advantage.

도 54는 예측단어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어미만을 표시하여 가상키패드(키보드)상의 각각의 키 영역에 예측단어를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는데, 만약 예측 단어 전체를 각각의 키 영역에 보여주고자 한다면 '확장키'의 좌우 열(column)에 위치한 키에만 예측 단어를 배치하고 '확장키'와 동일한 열(column)에 있는 키에는 배치하지 않아 예측단어가 키 영역을 벗어나 이웃한 키 영역에 배치된 예측단어와 중첩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FIG. 54 shows a method of displaying predicted words in each key region on a virtual keypad (keyboard) by displaying only the ending when a predicted word has a long length. If predicted words are displayed in each key region The predictive word is arranged only in the keys located in the left and right columns of the 'extended key' and not arranged in the key in the same column as the 'extended key', so that the predicted word leaves the key area, It is possible to prevent overlapping with the arranged prediction words.

[실시예 17][Example 17]

실시예 17은 '단어 예측 입력방법'에 '확장키'를 적용하여 '예측 단어'의 선택을 용이하도록 한 실시예 15 및 실시예 16에서 '확장키'에도 문자를 지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Embodiment 17 provides a method of assigning a character to an 'extended key' in embodiments 15 and 16 in which 'prediction key' is applied to 'word prediction input method' to facilitate selection of 'prediction word' .

도 55에 보여지는 가상키보드는 '확장키'에도 문자 'jkl'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확장키'에도 문자를 지정할 경우 '확장키'가 도 42에 보여지는 '확장키' 활용 동작 중에서 터치-이격 동작(도 42(I))으로는 'space'의 입력 기능을 담당할 수 없으며 단지 도 42(II)~(V)에 보여지는 드래그 동작에 따른 기능만을 담당하게 하는 것이다. The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 55 shows a case where the character 'jkl' is also designated in the 'extended key'. In this case, when a character is assigned to the 'extended key', the 'extended key' can take on the 'space' input function in the touch-separated operation (FIG. 42 (I)) among the 'extended key' But only the functions according to the drag operation shown in Figs. 42 (II) to (V) are taken.

예를 들면 도 42(IV)에 보여지는 기호(symbol) 입력은 '확장키'에 문자 'jkl'이 지정되더라도 아무런 지장없이 수행되는 것이다. 즉, 드래그 동작의 인식이 가능한 터치방식의 입력장치에서는 도 39(I)에 보여지는 기존의 키패드(혹은 키보드) 자판을 그대로 이용하더라도 '단어 예측 입력'에는 하등의 지장을 주지 않는다. For example, the symbol input shown in FIG. 42 (IV) is performed without any problem even if the character 'jkl' is assigned to the 'extended key'. That is, in the touch-type input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the drag operation, even if the existing keypad (or keyboard) keyboard shown in FIG. 39 (I) is directly used,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word prediction input.

따라서, 본 구성의 장점은 터치방식의 입력장치에서 기존의 자판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단지 '예측 단어'의 선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예측 단어 선택'방법은 새로운 것이지만 자판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기존에 익숙하여 있는 자판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입력 방법에 쉽게 적응하도록 한다. Therefore, an advantage of this configuration is that the 'predicted word' can be easily selected while using the existing keyboard as it is in a touch-based input device. Although the 'predictive word selection' method is new, since the keyboard is used as it is, it is easily adapted to the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keyboard that is already familiar.

다만, '확장키'의 기능을 담당하는 '5'번 키가 'space' 입력 기능을 담당할 수 없으므로 '잠정 입력 단어'의 입력도 드래그 동작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서 별도의 'space'키(5303)가 '잠정 입력 단어'의 확정 및 'space'의 입력 기능을 담당한다면 굳이 드래그 동작으로 '잠정 입력 단어'의 확정이 불필요하고 단순 터치-이격 동작으로 '잠정 입력 단어'의 입력이 완료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5' key, which is the function of 'extended key', can not be responsible for 'space' input function, input of 'temporary input word' should also be done by dragging. Therefore, if a separate 'space' key 5303 is responsible for determining the 'provisional input word' and inputting the 'space', it is unnecessary to determine the 'provisional input word' by the drag operation and the simple touch- The input of the input word can be completed.

[실시예 18][Example 18]

실시예 18은 '예측 단어 목록'을 위한 공간이 제한되어 '예측 단어 목록창'에 예측 단어를 모두 나열할 수 없을 경우 이를 해결 하기 위한 방안으로 '예측 단어 목록창' 중 하나의 키 영역에 '이동키'를 설정하여 이 '이동키'를 선택하면 또 다른 '예측 단어 목록창'을 보여주는 구성이다. Embodiment 18 is a method for solving the case where all the predicted words can not be listed in the 'predicted word list window' because the space for the 'predicted word list' is limited, Move Key 'and select' Move Key 'to display another' Predictive Word List Window '.

도 56 내지 도 58은 이러한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도 40(I)에 보여지는 일반적인 영어 자판의 경우 'boy'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abc'키, 'mno'키, 'wxyz'키를 차례로 키 입력하여야 하는데 이 순서대로 입력되었을 때 예측되는 단어를 Amy, any, boy, box, bow, cow, cox, coy, BMW까지 9개를 가정하였을 경우 도 56(I)에 보이는 '예측 단어 목록창'에 단어를 위한 공간이 1번 ~ 9번 키 중 '확장키'를 제외하고 8개만이 가능하다고 하면 이들 예측 단어를 모두 표시할 수 없게 된다. 56 to 58 show such a configuration. In the case of the general English keyboard shown in FIG. 40 (I), in order to input 'boy', 'abc' key, 'mno' key and 'wxyz' In the case where nine predicted words are input to Amy, any, boy, box, bow, cow, cox, coy, and BMW, the predicted word list window shown in FIG. 56 (I) If the space for the word is only 8 except for the 'expansion key' among the 1 to 9 keys, all these predicted words can not be displayed.

이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이동키'(5401)를 '예측 단어 목록창'의 하나의 키영역에 지정하여 7개의 예측 단어와 함께 목록창에 보여주고, '이동키'(5401)를 선택하면(5403) 나머지 '예측 단어 목록창'을 보여주어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도 56의 경우에는 'BMW')를 선택 입력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도 56(III)에 보여지는 이동키(5402)는 다시 이전의 '예측 단어 목록창'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역방향 이동키이다. 만약 도 56(III)에 보여지는 예측 단어 목록창의 예측 단어의 수가 7개를 초과한다면 이 역시 정방향 이동키(5401)를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As a method for supplementing this, a 'move key' 5401 is assigned to one key region of the 'predicted word list window' and displayed in the list window together with the seven predictive words, and 'move key' 5401 is selected (5403) The user can select and input a word to be input ('BMW' in FIG. 56) by showing the remaining 'predicted word list window'. The move key 5402 shown in FIG. 56 (III) is a backward move key that can move back to the previous 'predicted word list window'. If the number of predicted words in the predictive word list window shown in FIG. 56 (III) exceeds 7, the forward direction key 5401 should also be included.

도 56에 보여지는 가상키보드는 '확장키'에 문자 'jkl'이 지정된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 운용 방법은 실시예 17의 구성에 따른다. The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 56 shows a case where the character 'jkl' is assigned to the 'extended key',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i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venteenth embodiment.

도 56에 보여지는 이동키(5401, 5402)를 이용하지 않고 대신에 '확장키'를 '이동키'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하게 하도록 한 내용이 도 57와 도 58에 보여지고 있다. 57 and 58 show the contents of the 'extended key' instead of the 'moving key 5401 and 5402 shown in FIG. 56 instead of the' moving key '.

'확장키'의 다른 기능과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단어 예측 상태'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확장키'를 터치/이격하는 동작이 '이동키'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 If there is no conflict with other functions of the 'extended key', the operation of touching / separating the 'extended key' when the 'word prediction state' is in the activated state is responsible for the function of the 'move key'.

도 57(I)은 도 56(I)과 동일하게 이미 'abc', 'mno', 'wxyz'키가 연속으로 터치/이격 되어 'any'가 '잠정 입력 단어'로 입력창에 출력된 상태이며 '예측 단어 목록'창이 화면에 표시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확장키'를 터치/이격하면(도 57(II)) 두 번째 '예측 단어 목록'('BMW' 한 단어만이 보여지고 있다.)이 화면에 나타나고 다시 한 번 '확장키'를 터치/이격하면(도 57(IV)) 더이상 '예측 단어'가 없으므로 첫 번째 '예측 단어 목록'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Figure 57 (I) shows a state in which 'abc', 'mno', and 'wxyz' keys are continuously touched / spaced apart and 'any' is output to the input window as a 'provisional input word' And the 'Predictive word list' window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is state, if the 'extended key' is touched / separated (FIG. 57 (II)), a second 'predicted word list' (FIG. 57 (IV)), there is no 'predicted word', so that the first predicted word list is switched to the first predicted word list.

만약 'BMW'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도 58(III)에 보여지는 것처럼 드래그 동작(5406)으로 'BMW'가 지정된 영역으로 이동한 다음 이격하면 된다. 더욱 간단하게는 도 57(III) 혹은 도 57(V)처럼 '단어 예측 목록'의 활성화 상태(각각의 키 영역에 문자는 보이지 않고 예측 단어만이 보여지는 경우)가 확실한 경우는 단지 'BMW'가 지정된 영역을 터치/이격하는 동작만으로도 'BMW'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If you want to enter 'BMW', you can move the 'BMW' to the designated area with the drag operation (5406) as shown in FIG. 58 (III) More simply, if the activated state of the 'word predictive list' (the character is not shown in each key area but only the predictive word is shown) as in FIG. 57 (III) or FIG. 57 (V) Can be inputted by simply touching / separating the designated area.

예를 들면 도 58(I)의 경우 '예측 단어'를 선택 입력하려면 드래그 동작으로 '예측 단어'가 지정된 영역으로 이동하고 이격하여야 하지만 도 58(III)과 같이 가상키보드 상에 '예측 단어'만이 표시되어 각각의 키 영역이 '예측 단어' 선택만을 위한 상태임을 나타낼 경우 각각의 키 영역을 터치/이격 함으로서 '예측 단어'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58 (I), in order to select and input the 'predicted word', it is necessary to move and separate the 'predicted word' from the designated area by a drag operation. However, Quot; predicted word " is displayed for each of the key regions, it is possible to input the 'predicted word' by touching / separating each key region.

그리고 도 57은 '예측 단어 목록'창이 입력창에 보여지지 않고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보이게 할 수도 있도록 설정할 경우 도 57과 같이 가상키보드에만 '예측 단어'가 표시될 경우 간혹 손가락으로 '예측 단어'가 가려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보완할 수 있지만 입력창에 '예측 단어 목록'이 보여질 경우 입력창의 영역이 축소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예측 단어 목록'창의 유무를 설정하도록 하면 된다. 57, the 'predicted word list' window is not displayed in the input window. However, when the 'predicted word list' window is displayed only on the virtual keyboard as shown in FIG. 57, 'Can be compensated for. However, sinc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area of the input window is reduced when the' predicted word list 'is displayed in the input window,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redicted word list 'window is set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do.

본 구성의 장점은 중국어와 힌두어와 같이 단어예측 문자입력 방법을 이용한 문자입력에 있어서 동일한 키 입력에 예측 되는 단어의 수가 10개 이상 혹은 20개 이상인 경우가 흔한 경우 쉽게 선택 입력이 가능하게 하여 입력 속도의 증가를 가져오며 특히 손가락이 가상키보드(가상키패드) 혹은 물리적인 키패드의 문자키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도 '예측 단어'의 선택이 이루어지는 장점을 가져온다.
The advantage of this configuration is that when the number of words predicted in the same key input is more than 10 or more than 20 in the case of the character input using the word prediction character input method such as Chinese and Hindi, And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predicted word' without leaving the finger of the virtual keypad (virtual keypad) or the character key area of the physical keypad.

그리고 본 구성은 도 49 ~ 도 5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키패드 입력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어서 일반적으로 이동키를 사용하여 '예측 단어'중에서 원하는 단어를 힘들게 선택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 있게 하여 준다. 예를 들면 영어의 경우 도 56 내지 도 58의 'BMW'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잠정 입력 단어'인 'any'로부터 'BMW'를 찾아 가는데 무려 이동키를 7번 눌러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며 더 나아가서 도 58(I)과 같이 입력창에 '예측 단어 목록'을 보여줌으로 하여 사용자가 키입력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항상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장점도 가져온다.49 to FIG. 51,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keypad input device, so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hardly selecting a desired word among 'predicted words' by using a move key. For example, in the case of English, if the user wants to input 'BMW' shown in FIG. 56 to FIG. 58,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pressing the move key seven times in order to search for 'BMW' from 'any' As shown in FIG. 58 (I), the 'predicted word list' is displayed in the input window,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always check whether or not the key input is correctly performed.

[실시예 19][Example 19]

실시예 19는 '확장키'를 한 번의 터치-드래그 동작으로 단어를 입력하도록 하는 글라이드 방식(단어를 구성하는 첫 문자가 지정된 키 영역을 터치한 다음 이 단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가 지정된 키 영역을 모두 순서대로 지나치고 이 단어의 마지막 문자가 지정된 키 영역에서 손가락을 이격하여 단어를 입력하는 방식)의 단어 예측 방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19, the 'extended key' is used in a glide manner in which a word is inputted by one touch-drag operation (the first character constituting the word is touched, and then, In which the last character of the word is passed in order and the word is input by separating the finger in the designated key region).

도 60은 도 42와 도 43에 보여지는 '확장키'를 이용한 드래그 동작에 설정된 기능을 글라이드 방식 문자입력 방법에 적용하여 '예측 단어'의 선택 및 입력이 용이하도록 함을 보여주는 일 예로서 'wrote'와 마침표('.')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FIG. 60 is an example showing that the function set in the drag operation using the 'extended key' shown in FIG. 42 and FIG. 43 is applied to the glide type character input method to facilitate selection and input of 'predicted word' 'And a period ('. ').

특이한 사항은 '확장키'가 'g'와 'h'키 사이의 공간에 별도의 키로 지정되어 키보드의 중앙에 배치되어 '확장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0(I)은 가상 쿼티 자판(virtual qwerty keyboard)에서 문장의 마지막 단어인 'wrote'를 입력하기 위해 'wrote'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어를 지나치는 드래그 동작(5601)을 표시하고 있고, 이러한 궤적에서 예측되는 '단어'로는 'wrote, word, weird, wire, wore, wired' 등인데 이들 '예측 단어'들이 '확장키' 주위에 두 개의 키 영역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도 60(II)) The unusual thing is that the 'extended key' is specified as a separate key in the space between the 'g' and 'h' keys, so that i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keyboard so that the 'extended key' can be easily used. 60 (I) shows a drag operation 5601 that passes through each word constituting "wrote" to input "write", which is the last word of a sentence in a virtual qwerty keyboard. Words, which are predicted in the trajectory, are 'write, word, weird, wire, wore, wired' etc. These 'prediction words' are arranged in two key regions around the 'extended key' ))

이는 12개의 키를 이용하는 가상키보드보다 도 60에 보여지는 full qwerty keyboard는 일반적으로 각각의 키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하나의 키에 '예측 단어'를 배치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만약 full qwerty keyboard도 각각의 키가 충분히 커서 '예측 단어'를 배치 할 수 있다면 굳이 도 60(II)과 같이 두 개의 키 걸쳐서 '예측 단어'를 배치할 필요는 없다. This is because the full qwerty keyboard shown in FIG. 60 is generally smaller than the virtual keyboard using 12 keys, and it is difficult to arrange the 'predicted word' in one key because each key is small in size. If the full qwerty keyboard is large enough to accommodate the 'predicted word', it is not necessary to place the 'predicted word' over two keys as in (II).

도 60(I)에 보여지는 손가락 궤적은 'wrote'보다는 'word'를 입력하기 위한 궤적에 가까워서, '잠정 입력 단어'(5603)로서 'word'가 선택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마침표('.')가 지정된 키 영역을 터치-이격(5604)하여 'wrote.'의 입력이 쉽게 이루어짐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도 42(VI)의 설정 즉 '확장키'를 활용하여 '예측 단어'의 입력과 기호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설정을 적용한 일 예로서 '글라이드 입력 방식'에도 '확장키'의 활용이 문자입력을 더욱 용이하게 하여 줌을 보여주고 있다. The finger trajectory shown in FIG. 60 (I) is close to the locus for inputting 'word' rather than 'wrote', and 'word' is selected as the 'provisional input word' 5603. In this state, the key region designated by the period ('.') Is touch-separated (5604), indicating that the input of 'wrote.' Is easy. This is an example of applying the setting for facilitating the input of the 'prediction word' and the input of the symbol by using the setting of FIG. 42 (VI), that is, the 'extended key' It shows zooming by making it easier to input characters.

다만 도 60(II)에 보여지는 '기호자판'은 일회성 입력(기호를 입력하고 나면 도 60(IV)에 보이는 것처럼 문자입력을 위한 qwerty keyboard 자판으로 자동 전환됨을 의미)에 사용됨을 보여주고 있는데 만약 연속해서 기호 혹은 숫자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기호자판'을 고정시키는 별도의 자판 전환 키를 설정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다만 도 60(II)에 보여지는 드래그 동작(5602)은 '확장키'를 이용할 경우 '기호자판'을 별도의 키를 터치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화면에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기능을 보여주기 위한 일 예이지 이것이 '일회성' 자판기능만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However, the 'sign board' shown in FIG. 60 (II) is used for a one-time input (meaning that after inputting a symbol, it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keyboard of the qwerty keyboard for inputting characters as shown in FIG. 60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method of setting a separate keyboard switching key for fixing the 'symbol keyboard' in case that a symbol or a number must be continuously input. However, the drag operation 5602 shown in FIG. 60 (II) is an example for showing a function that can be activated to the screen naturally without touching a separate key by using the 'extended key' It does not mean that only the 'one-time' keyboard function can be applied.

그리고 예측 단어 선택을 위핸 드래그 동작(5602)은 한글의 모음입력 활성화키를 이용하여 모음을 입력하는 드래그 동작과 마찬가지로 예측단어가 지정된 영역(도 56(II)에서 배경색을 달리하는 두 개의 키가 합쳐져서 구분된 영역)으로 손가락이 이동하거나 이 영역을 지나치는 동작일 수도 있으며 심지어 이들 키 영역을 향하는 방향을 설정하여 드래그 동작의 방향이 이들 방향과 일치하고 드래그 동작이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면 기능이 실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은 도 42와 도 43에 보여지는 드래그 동작에도 적용 될 수 있다.The drag operation 5602 for selecting a predictive word is similar to the drag operation of inputting a vowel by using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of Hangul, in which the two keys having different background colors are combined Or may be a movement of a finger over the area or even a direction toward the key area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drag operation coincides with these directions and the function is realized when the drag operation moves over a certain distance You may. This point can also be applied to the drag operation shown in Figs. 42 and 43. Fig.

[실시예 20][Example 20]

실시예 20은 단어 예측 문자입력 방법에서 두 개의 키를 동시에 입력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The twentieth embodiment applies a method of simultaneously inputting two keys in the word prediction character input method.

도 55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boy'라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 'b'가 지정된 '1'번 키와 'o'가 지정된 '6'번 키를 각각 터치-이격할 것이 아니라 드래그 동작으로 '1'번 키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6'번 키 영역으로 이동하여 이격하면 터치 시작지점과 이격 지점에 지정된 문자를 동시에 입력하는 방법이다. For example, in order to input the word 'boy' in FIG. 55, the '1' key designated 'b' is not touch-separated from the '6' key designated 'o' Touching the key area '1' and moving to the key area '6' will separate the touch start point and the designated characters at the separation point.

이렇게 터치 시작점의 키에 지정된 문자와 이격 지점에 지정된 문자를 동시에 입력하게 되면 도 53에 보이는 'boy'의 입력도 두 번의 터치 동작으로 완료될 수 있으며, 도 40에 보이는 'am'의 입력을 위한 두 번의 터치 동작('1'번 키 와 '6'번 키를 각각 터치-이격해야 하는 두 번의 동작)이 한 번의 터치-드래그 동작으로 키 입력이 완료된다. If the character designated by the key of the touch start point and the character designated at the spacing point are input at the same time, the input of 'boy' shown in FIG. 53 can also be completed by two touch operations. Two touch operations (two operations requiring touch-separation of the '1' key and the '6' key) are completed by one touch-drag operation.

만약 이러한 드래그 동작의 기능이 도 42와 도 43에 보여지는 '확장키'를 이용하는 드래그 동작에 부여된 기능과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 42 혹은 도 43의 각각의 드래그 동작에 기능 설정이 적절히 이루어지면 터치 횟수를 반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더 나아가서 도 60에 보여지는 글라이드 방식의 단어 예측 입력 방식이 도 39(I)에 보여지는 4*3(4줄*3열)배열의 숫자키 중심의 자판에 적용될 경우도 도 39(II)와 같이 '확장키'를 지정하여 예측 단어의 선택이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60의 full qwerty 자판에 비해 손가락의 움직임 폭이 줄어들어 한 손으로 모바일 기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한 손가락(주로 엄지손가락)의 관절 운동만으로도 글라이드 방식의 단어 예측 입력 방식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장점을 가져온다.If the function of the drag operation is appropriately set to each of the drag operations shown in FIG. 42 or 43 so that a conflict with a function given to the drag operation using the 'extended key' shown in FIGS. 42 and 43 does not occur The number of touches can be reduced to half. Furthermore, when the word prediction input method of the glide method shown in FIG. 60 is applied to the keyboard of the numeric key center of 4 * 3 (4 rows * 3 columns) arrangement shown in FIG. 39 (I) In this case, compared to the full qwerty keyboard shown in Fig. 60, the movement width of the finger is reduced, so that one finger (mainly the thumb The fingertip movement of the finger can be used only by the glide-based word prediction input method.

[실시예 21][Example 21]

'단어 예측 상태'가 비활성화 상태일 때 '확장키'를 이용한 드래그 동작을 화면상에서 커서(포인터)의 이동 기능을 담당하도록 하는 것이다. When the word predictive state is in the inactive state, the drag operation using the extended key takes charge of the movement function of the cursor on the screen.

도 42 혹은 도 43에 보여지는 '확장키'를 이용한 드래그 동작에 부여된 기능과 충돌이 없다면 도 61(II)와 도 61(IV)에 보여지는 드래그 동작에 커서 이동 제어 기능을 부여하면, 화면상의 원하는 위치로의 커서 이동을 가상키보드에서 손가락을 고정시킨 채 수행할 수 있는 편리함을 가져온다. 이는 일반적으로 키보드를 사용하다 커서를 움직이기 위해 마우스를 조작하려고 키보드로부터 손을 떼어 마우스로 가져가는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해 키보드 내에 위치한 포인팅스틱과 같은 편리함을 가져오는 것이다. If there is no conflict with the function given to the drag operation using the 'extended key' shown in FIG. 42 or 43, if the cursor movement control function is given to the drag operation shown in FIGS. 61 (II) and 61 It is convenient to move the cursor to a desired position on the virtual keyboard while holding the finger fixed on the virtual keyboard. This is usually a keyboard, which brings the convenience of a pointing stick within the keyboard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taking the mouse off the keyboard to manipulate the mouse to move the cursor.

도 61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력 방법에서 입력창(5701)의 네 번째 줄에 보여지는 단어 'correction'을 삭제하기 위해 '확장키'를 이용하는 과정이다. 가상키보드(5702)는 '단어 예측 상태'가 비활성화 상태이므로 '확장키'의 터치에 따른 '예측 단어' 선택 기능은 작동하지 않고 대신 '확장키'를 터치하면 화면에 '커서 제어 자판'(5703)이 화면에 나타난다. 61 is a process of using an 'extended key' to delete the word 'correction' shown in the fourth line of the input window 5701 in the touch screen input method. The virtual keyboard 5702 does not operate the 'prediction word' selec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touch of the 'extended key' because the 'word prediction state' is in the inactive state. Instead, when the 'extended key' ) Appears on the screen.

만약 '확장키'를 단순히 터치-이격하면 'space'를 입력하거나 이 동작에 설정된 기능이 작동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본 구성에서는 '확장키'를 터치하고 상하좌우로 이동하면 커서(포인터)의 이동을 유발하고 도 61(III)에 보이는 바와 같이 'set for drag'라고 명명된 키에서 이격하면 '커서 제어 자판'이 화면상에서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되어 도 61(IV)에 보이는 것처럼 원하는 단어를 선택할 수 있는 드래그 동작이 가능해진다. If you simply touch 'Extend Key' - you will enter 'space' or the function set for this action will work. However, 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user touches the 'extended key' and moves upward, downward, leftward, or rightward to cause movement of the cursor (pointer), and when the key is separated from the key labeled 'set for drag' Is maintained in the activated state on the screen, a drag operation that enables a user to select a desired word as shown in FIG. 61 (IV) becomes possible.

'selection'키는 원하는 문자, 단어, 혹은 문장 전체의 선택(selection)이 주 목적이므로 이 키에서 이격되면 문자, 단어, 혹은 문장 전체의 선택을 위해 커서의 이동이 필수적이므로 '커서 제어 자판'을 계속 활성화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원하는 단어의 선택이 완료되면 단순히 복사하는 경우라면 'copy'키를 터치-이격하면 되고, 삭제하고자 한다면 'copy/cut'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 동작으로 '확장키'로 이동하여 이격하면 단어 'correction'이 제거되고 '커서 제어 자판'은 화면에서 사라지고 '문자 입력자판'이 나타난다. 이는 단어 'correction'이 제거된 목적이 다른 위치에 삽입하기 위함일 수도 있고 아니면 다를 다른 단어를 'correction'이 있던 자리에 삽입하기 위함일 수도 있기 때문에 '커서 제어 자판'이 사라지고 '문자 입력 자판'이 화면에 보여지는 것이다. 만약 단어 'correction'을 다른 자리에 삽입하고자 한다면 도 61(II) 혹은 도 61(IV)에 보이는 것처럼 '확장키'를 터치한 다음 상하좌우 이동키(5704) 영역으로 손가락을 드래그하면 된다. The 'selection' key is the main purpose of selecting the desired character, word or sentence. Therefore, if the key is separated from this key, it is necessary to move the cursor to select the entire character, word, or sentence. It is preferable to keep it active. Then, if you want to simply copy the desired word, touch 'copy' key. If you want to delete it, touch 'copy / cut' key and move to 'extension key' The word 'correction' is removed and the 'cursor control keyboard' disappears from the display and the 'keyboard' appears. This is because the purpose of eliminating the word 'correction' may be to insert it at another position, or it may be to insert a different word at a place where 'correction' was placed, so that the 'cursor control board' disappears, This is what you see on the screen. If the word 'correction' is to be inserted at another position, the 'extended key' may be touched and the finger may be dragged to the left, right, and up arrow keys 5704, as shown in FIG. 61 (II) or FIG.

그리고 이들 상하좌우 이동키를 조작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그 중 한 가지는 손가락이 이들 이동키에 놓여져 있는 동안에는 이들 이동키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커서의 이동이 지속되며, 다시 손가락이 '확장키'로 되돌아 오면 커서의 이동이 멈추도록 하는 방법이다. 다만 도 61에서는 '확장키'를 이용하여 커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도 가능함을 보여주고자 한다. 따라서, '확장키'가 예측 단어의 선택 뿐만 아니라 문자입력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고,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식 입력방법의 경우에는 도 59(III)에 보이는 바와 같이 문자입력 자판의 외부에 별도의 '확장키'(5504)를 배치하여 두 개의 '확장키'에 동시에 손가락이 접촉하여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문자입력 자판의 외부에 위치한 '확장키'에 지금까지 설명한 기능 외의 부가적인 기능을 부여하거나, 문자입력자판 내부의 '확장키'(5503)와 동일한 기능을 분담하여 문자입력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도 있다.There are various ways to manipulate the up, down, left, and right move keys. One of them is that while the finger is placed on these move keys, the movement of the cursor continues in the directions indicated by these move keys. This is a way to stop the movement of the cursor. However, in FIG. 61, it is shown that a method of controlling the cursor movement using the 'extended key' is also possible. Therefore, the 'extended key' can set not only the selection of the predicted word but also various functions necessary for the character input. In the case of the multi-touch capable touch input method, as shown in FIG. 59 (III) Since there is no problem even if a finger touches two 'extended keys' at a time by disposing a separate 'extended key' 5504, the 'extended keys' located outside the letter input keyboard will have additional functions Or the same function as the 'extended key' 5503 in the character input keyboard can be allocated to make the character input more convenient.

[실시예 22][Example 22]

앞에서 설명한 영어의 단어예측을 통한 입력은 한글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 27에 보여지는 모음 입력활성화키(2501)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단어예측방식을 적용하는 것이다. The input from the word prediction in English described above can also be applied to the Korean language. This embodiment applies the word prediction method to the Korean input method using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2501 shown in FIG.

단어예측방법은 이미 T9으로 명명된 문자입력방법으로 잘 알려져 있으면 정확하게는 Disambiguating method를 의미하는 것이다. 하나의 키에 여러 개의 문자가 지정될 경우 이들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여러 번의 누름 동작이 필요하지 않고, 한 번의 누름 동작만으로 이들 문자들을 입력할 수 있다. The word prediction method is precisely a disambiguating method if it is well known as a character input method already named T9. If multiple keys are assigned to a key, you do not need to press them several times to enter them, and you can enter them with just one push.

예를 들어 일반적인 multi-tap 방식으로 영어의 'mom'이라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아래에 보이는 바와 같이 'mno'키를 연속해서 5번을 눌러 주어야 하는데, 이 경우 'm'과 'o'을 구분하기 위해 이동키(→)를 중간에 눌러주어야만 하고 마찬가지로 'o'와 'm'을 구분하기 위해서도 이동키(→)를 눌러주어야 하므로 총 7번의 누름 동작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반해 단어예측방식으로는 세 번만 눌러주면 되어 실질적으로 2배 이상의 입력속도의 증가를 가져온다. For example, to enter the word 'mom' in English in a general multi-tap manner, you must press the 'mno' key five times in succession, as shown below.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o' and 'm', it is necessary to press the move key (→), so a total of 7 pressing operations is required. On the other hand, the word prediction method requires only three presses, resulting in an input speed increase of substantially twice as much.

Figure 112014105889336-pat00001
Figure 112014105889336-pat00001

이렇게 문자입력 속도의 향상을 가져오는 단어예측방식도 한글 문자입력방법에 쉽게 적용되지 못하는데 그 이유는 각각의 키에 지정되는 문자들의 조합이 예측되는 단어의 확률이 낮게 만들거나 위의 영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속도의 향상을 도모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The word prediction method, which improves the speed of character input, can not be easily applied to the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because the combination of the characters assigned to each key makes the probability of the word predicted low, Similarly, the input speed can not be improved.

표 1은 기존의 삼성 천지인, 엘지 나랏글, 팬텍 SKY-II와 도 85(I)에 보여지는 본 발명의 글자판에 대해서 한글 단어가 가질 수 있는 키 순서를 검색하였을 때 동일한 키 순서를 가지는 단어들의 갯수가 1부터 10까지인 경우를 올림차순으로 배열한 것이다. Table 1 shows the number of words having the same key order when searching for the key sequences that can be used for the Hangul word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5 (I) and the conventional Samsung Cheonjin, LG Naragul, Pantech SKY-II, Is in the order of 1 to 10 in ascending order.

참고로 천지인은 모음의 경우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불가능하므로 표에 보이는 분포는 모음입력을 '천(

Figure 112014105889336-pat00002
), 지(ㅡ), 인(l)'삼재로 실제 모음을 입력하고 자음의 경우에만 단어예측방식이 적용하여 산출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확하게 1개의 단어만 예측할 확률이 90%에 지나지 않는다. For reference, it is impossible to predict how vowels can be predicted,
Figure 112014105889336-pat00002
), Ji (ㅡ), and. (L), and the word prediction method was applied only to consonants. Nevertheless, there is only a 90% chance of predicting exactly one word.

이런 점에서 예측 정확도의 순서는 본 발명 > SKY-II > 나랏글 > 천지인 순서이다. 실제 단어예측방식을 적용할 경우 예상되는 입력속도 증가는 천지인의 경우 12%, 나랏글의 경우 15%, 본 발명의 경우 29%이다. 이러한 결과는 적어도 입력속도가 30%정도 증가하여야 단어예측방식을 활용한다는 결과에 비추어 한글의 경우 단어예측방식이 기존의 입력방법에 적용이 어려운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하날글은 단어예측방식 적용이 가능한 자판 배열을 보여주고 있다. In this respect, the order of the prediction accuracy is the o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SKY-II> Naragle> In case of applying the real word prediction method, the expected input speed increase is 12% in case of Tianjin, 15% in case of Naruto, and 29% in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word prediction method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conventional input method in the case of Hangul in view of the result that the input speed must be increased by at least 30% to utilize the word prediction method. Thus, Hahnal describes a keyboard layout that can be applied to word prediction.

이에 본 구성은 본 발명에 단어예측방식이 적용될 때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72는 이러한 구성을 위한 도 27에 보이는 자판 배열의 변화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when the word prediction method i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72 is a variation of the keyboard layout shown in Fig. 27 for such a configuration.

도 72에 보이는 자판의 특징의 하나는 '경,격음'키에 모음이 배정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단어예측방식이 작동할 경우라 하더라도 언제든지 일반 입력방식의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keyboard shown in FIG. 72 is that no vowel is assigned to the " light " Therefore, even if the word prediction method operates, the general input method can be selected at any time.

예를 들면 도 72에 보이는 자판으로 단어예측방식이 작동될 때 'ㅋ'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단지 'ㄱ'키를 눌러주면 된다. 하지만 'ㄱ'키를 눌러주고 이어서 '경,격음'키를 눌러주면 단어예측방식은 입력한 자음을 'ㅋ'으로 확정하여 더 이상 자음의 경우 모호성(disambiguity)이 존재하지 않게 되어 예측단어방식이라 할지라도 일반입력 때와 동일하게 입력 기작이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the word predicting method is operated with the keyboard shown in FIG. 72, only 'A' key is required to input 'k'. However, if you press the 'A' key and then press the 'Kyung, Shim' key, the word prediction method will confirm that the consonant input is 'ㅋ' and no more disambiguity will exist in the consonant. The input mechanism will operate the same as in normal input.

마찬가지로 모음의 경우도 '모음 입력활성화키(하날키)'를 눌러주면 이어서 입력되는 문자는 모음으로서 확정되므로 자,모의 구분의 모호성이 제거되어 이 역시 일반 입력때와 동일하게 입력 기작이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Likewise, in the case of the vowel, if the user presses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the key to the left key)', the input character is determined as a vowel, so that the ambiguity of the vowel classification is removed, will be.

따라서, 본 구성에 따라 도 72의 자판으로 구성된 입력방법을 이용하면 일반 입력 방식과 단어예측방식이 혼합된 입력방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 점이 본 구성의 요지이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input method composed of the keyboard of FIG. 72 is used, an input method in which a general input method and a word prediction method are mixed can be realized. This is the essence of this configuration.

한글자판에 따른 동일한 키 sequence로 예상되는 단어 갯수 및 그에 해당하는 확률분포The number of words expected by the same key sequence according to Korean keyboard and the corresponding probability distribution 단어집합의 원소 수Number of elements in a word set 하날글Honal 스카이 IISky II 나랏글Nagle 천지인Heavenly Father 종수Number 백분율percentage 종수Number 백분율percentage 종수Number 백분율percentage 종수Number 백분율percentage 10이상over 10 00 00 00 00 204204 0.752850.75285 00 00 99 00 00 33 0.008870.00887 7575 0.276780.27678 00 00 88 00 00 77 0.020700.02070 5151 0.188210.18821 00 00 77 00 00 1010 0.029570.02957 115115 0.424400.42440 00 00 66 00 00 4848 0.141950.14195 215215 0.793440.79344 1010 0.027280.02728 55 33 0.007800.00780 144144 0.425870.42587 302302 1.114511.11451 2626 0.070930.07093 44 3030 0.078050.07805 352352 1.041021.04102 552552 2.037132.03713 136136 0.371040.37104 33 237237 0.616620.61662 930930 2.750422.75042 10981098 4.052114.05211 538538 1.467821.46782 22 19701970 5.125545.12554 33033303 9.768439.76843 31423142 11.595411.5954 27202720 7.420957.42095 1One 3619536195 94.17294.172 2901929019 85.82285.822 2130321303 78.617678.6176 3323333233 90.669290.6692 system 3843538435 100100 3381333813 100100 2709727097 100100 3665336653 100100

애국가 첫 소절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을 입력할 때 필요한 키 누름 횟수 비교Comparing the number of keystrokes required when typing the first measure of the national anthem, "East Sea Water and Mt. 입력 방식Input method 천지인Heavenly Father 나랏글Nagle 하날글Honal 단어예측방식 Word prediction method 적용 전Before application 5959 4747 5151 적용 후After applying 5252 4040 3636

본 발명의 입력시스템은 힌디어 입력방법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힌디어의 경우에도 한글과 같이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글자를 형성하므로 앞의 실시예에서 한글에 적용했던 모음입력활성화키 개념을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inpu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the Hindi input method. In the case of Hindi, since consonants and vowels are combined to form letters as in Hangul, it is possible to introduce the concept of vowel input activation key applied to Korean characters in the above embodiment.

보다 자세한 내용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알아보겠다.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through concrete examples.

[실시예 23][Example 23]

실시예 23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힌디어 입력방법에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적용하는 것으로서 도 6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15개의 키 중 8 개의 키에 자음과 모음을 배열하고 자음 혹은 모음의 입력이 한 번의 터치로 수행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62, a vowel input activation key is applied to a hindi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s shown in FIG. 62, a consonant and a vowel are arranged in eight keys among 15 keys, . ≪ / RTI >

그리고, candrabindu를 포함하는 문자 부호는 이들 자음과 모음이 지정되지 않은 키에 지정할 수 있는데, 이들 문자 부호들을 하나의 키에 모두 지정하고 자음과 모음 처럼 확장 기능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도록 하거나(도 63(VIII)), 도 6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기 다른 키에 지정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서 도 6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자음 입력시에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만약에 도 63(VIII)에 보이는 바와 같이 문자 부호들이 별도의 키에 지정되어 확장기능을 통해 입력된다면, 도 65와 같이 결합형 모음은 자음입력시에 손가락이 터치된상태에서 위치에서 자음에 이어서 입력이 가능하다. 도 65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Figure 112014105889336-pat00003
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원하는 자음을 선택한 다음(도 65(I)) 원래의 키 위치로 되돌아 오면(도 65(II)) 결합형 모음이 키 주변에 확장 배열되고(도 65(III)), 이 상태에서 모음
Figure 112014105889336-pat00004
이 지정된 위치로 손가락을 드래그 동작으로 이동한 후(도 65(III)) 이격하면(도 65(IV))
Figure 112014105889336-pat00005
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만 이 경우는 결합형 모음이 확장 배열 가능하도록 자판의 열이 5개를 가져야 하는 경우에 가능하다. 도 62(I)은 힌디어 가상키보드 메인 화면을 보여주고 있는데, 모음 입력활성화키(5801)는 모든 모음이 지정된 키로서 우리말 '아'에 해당하는
Figure 112014105889336-pat00006
를 대표문자로 하여 표시되어 있으며 나머지 자음의 경우는 붉은 색 문자로 표시된 대표 문자를 포함한 5개의 문자가 각각의 키에 지정되어 있고, 각각의 키에 속한 문자는 아래와 같고, 마지막
Figure 112014105889336-pat00007
의 경우는 4개의 문자가 지정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character code including candrabindu can be assigned to a key in which these consonants and vowels are not designated. These characters can be assigned to a single key and input through an extension function like consonants and vowels (VIII)), it may be assigned to a different key as shown in FIG. And may be input at the time of consonant input as shown in FIG. 63 (VIII), if the character codes are assigned to a separate key and input through the extended function, the combined vowel is followed by the consonant at the position in the state where the finger is touched during the consonant input Input is possible. 65, for example,
Figure 112014105889336-pat00003
The combination vowel is expanded and arranged around the key (Fig. 65 (III)) when the desired vowel is selected (Fig. 65 (I)) and returned to the original key position In this state,
Figure 112014105889336-pat00004
(Fig. 65 (III)) (Fig. 65 (IV)) after moving the finger to the designated position by the drag operation
Figure 112014105889336-pat00005
Is input. In this case, however, it is possible to have five rows of keyboards so that a combined vowel can be expanded and arranged. 62 (I) shows the main screen of the Hindi virtual keyboard, wherein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5801 is a key for all the vowels designated as the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06
, And in the case of the remaining consonants, five characters including a representative character represented by a red character are assigned to each key, the characters belonging to each key are as follows,
Figure 112014105889336-pat00007
, Four characters are designated.

Figure 112014105889336-pat00008
Figure 112014105889336-pat00008

실제 가상키보드를 이용한 자음의 입력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상키보드 메인 화면에서 각각의 대표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키를 터치하면 도 63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각 그룹에 지정된 문자들이 대표문자 키 둘레에 표시되는데, 가상키보드 메인 화면(도 62(I))의 좌측 열에 위치한 대표 문자 키의 경우는 그룹에 속한 자음들을 시계 방향의 순서로 배정하고, 중앙 열에 위치한 대표 문자 키의 경우는 좌우대칭 형태를 갖추어서 위로부터 아래로 배정하고, 우측 열에 위치한 대표 문자 키의 경우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위로부터 아래로 배정한다. The method of inputting the consonants using the virtual keyboard is as follows. 63, when characters corresponding to respective representative characters are touched on the virtual keyboard main screen,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respective groups are displayed around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keys as shown in FIG. 63. In the virtual keyboard main screen (FIG. 62 In the case of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key located in the column, the consonants belonging to the group are arranged in the clockwise order. In the case of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key located in the center column, the consonant characters are alloca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with symmetrical shapes, In the case of counterclockwise, it is assigned from top to bottom.

만약 화면의 크기가 가상키보드의 구성이 3열이 아니라 5열이 가능하다면, 도 62에 보이는 가상키보드의 좌측과 우측 열에 배정된 대표문자의 경우에도 중앙열과 마찬가지로 각 대표문자키에 지정된 문자들을 좌우대칭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63에 보여지는 한가지 특이할 점은 각각의 대표문자키를 터치하여 각 그룹에 속한 문자가 대표문자 키 주위에 배정되지만 정작 대표문자 키 위치에는 아무런 문자도 배정되지 않는 점이다. 따라서, 각각의 키를 대표하는 대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가상키보드 메인 화면에서 대표 문자키를 터치한 다음 각 그룹에 속한 문자들이 확장 배열될 때 대표문자는 도 59에 보이는 바와 같이 원래의 위치에서 위로 한 칸 이동하여 배치되므로 대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한 칸 위로 손가락을 움직여서 선택한 다음 손가락을 이격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대표문자 중의 하나인

Figure 112014105889336-pat00009
의 입력은 도 62(I)에 보이는 가상키보드 메인화면에서
Figure 112014105889336-pat00010
로 대표되는 키(5803)를 터치한 후
Figure 112014105889336-pat00011
를 포함하여 이 그룹에 속한 5개의 문자가 확대 배열 된 상태(도 60a(I))에서
Figure 112014105889336-pat00012
의 위치로 손가락을 이동(도 60a(II))한 후에 손가락을 이격하면
Figure 112014105889336-pat00013
이 입력되는 것이다. 이렇게 대표문자 키의 위치에 아무런 문자도 지정하지 않는 이유는 힌디어 자음의 경우 자음에 추가되는 기호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 자음 입력 후에 독립형 모음의 입력도 손쉽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서는 모음 입력 방법에 이후에 설명된다. 힌디어의 경우 모음의 경우 자음과 달리 하나의 키에 의해 입력되게 되는데, 힌디어의 모음은 동일한 발음을 두 가지로 표기하게 되는데, 이중 자음과 결합하여 쓰이는 것을 결합형 모음(dependent vowels)이라 하고 자음과 결합되지 않고 단독으로 쓰이는 것을 독립형 모음(independent vowels)이라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독립형 모음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14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15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16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17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18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19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20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21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22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23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24
)은 11개가 있고, 결합형 모음(
Figure 112014105889336-pat00025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26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27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28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29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30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31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32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33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34
)은 총 10개가 있는데, 이들 모음을 모음 입력활성화키가 터치될 경우 이들 모음을 모음 입력활성화키의 주변에 배열하여 입력되도록 하는 방법을 본 구성은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글의 단모음과 겹모음을 구성하는 바와 같이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한 번 터치하면 도 62(III)과 같이 독립형 모음이 모음 입력활성화키 주변에 배열되어 입력 가능하게 되며,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두 번 터치하면 도 62(IV)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결합형 모음이 모음 입력활성화 키 주변에 배열되어 입력 가능하게 되어 하나의 키에 21개의 모음이 배열 되도록 한 것이 본 구성의 내용이다. If the size of the screen is such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virtual keyboard is not three columns but five columns, the representative characters assigned to the left and right columns of the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 They can be arranged symmetrically. One specific point shown in FIG. 63 is that characters belonging to each group are allocated around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key by touching each representative character key, but no character is assigned to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key position. Accordingly, in order to input a representative character representative of each key, a representative character key is touched on the virtual keyboard main screen, and when the characters belonging to each group are extended,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is changed from the original position to the upper Because you are moved by one space, you must move your fingers up one space to select representative characters, and then separate your fingers. For example, one of the
Figure 112014105889336-pat00009
Is input from the virtual keyboard main screen shown in Fig. 62 (I)
Figure 112014105889336-pat00010
Touches a key 5803 represented by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11
60A (I)) in which five characters belonging to this group are arranged in an enlarged arrangement
Figure 112014105889336-pat00012
(Fig. 60 (II)) after the finger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finger
Figure 112014105889336-pat00013
Is input. The reason for not specifying any character in the position of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key is that in the case of the Hindi consona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easily inputting the symbols added to the consonant, and furthermore,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vowel input method. In Hindi, the vowels are entered by a single key, unlike consonants. The Hindi vowels contain the same pronunciations in two forms. Dependent vowels are used in conjunction with consonants, It is called independent vowels that are not combined and used singly. Thus, a commonly used standalone collection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14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15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16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17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18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19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20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21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22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23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24
) Are 11, and the combination vowel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25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26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27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28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29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30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31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32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33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34
) Are arranged in the vicinity of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when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is touched, the present configuration is provided. As shown in FIG. 62 (III), when the user presses the activation key of the vowel once, the independent vowel is arranged around the activation key of the vowel, and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is touched twice 62 (IV), the combination type vowel is arranged around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so that 21 vowels can be arranged in one key.

다만 결합형 모음자판은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두 번 터치하여 나타나게 하는 방법 외에 자음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독립형 모음 입력 가능상태에서 결합형 모음 입력 가능상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게 하여 결합형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굳이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두 번 터치할 필요가 없게 구성하는 것이다. 즉 자음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모음자판은 항상 결합형 모음자판으로 전환되어 가상키보드가 도 62(II)과 같이 변환되고, 이 상태에서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터치하면 도 62(IV)와 같이 결합형 모음자판이 화면에 나타나게 된다. 결합형 모음은 항상 자음의 입력이 이루어진 다음 이어서 입력이 이루어지므로 문장의 처음 시작이나 문장 중의 새로운 단어의 시작 위치 혹은 단어 입력 중에 모음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모음이 독립형 모음자판으로 전환되도록 하면 모음의 입력을 위해 사용자가 독립형과 결합형을 선택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문장 혹은 단어 입력 상황에 따라 독립형 모음자판과 결합형 모음 자판을 자동으로 전환시키는 것도 본 구성의 요소이다. 즉 본 구성에서는 문장의 시작을 위한 스페이스 입력 혹은 단어의 띄어쓰기를 위한 스페이스 입력 다음에는 도 62(III)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항상 독립형 모음 입력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2(I)와 도 62(II)에 보여지는 가상키보드의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터치하면 각각 도 68에 보여지는 독립형 모음자판(도 68(I))과 결합형 모음자판(도 68(II))으로 모음 활성화 상태가 되는데 이들 활성화 모음 자판은 입력되어야 할 모음의 절 반만이 보여지고 있다. However, the combined vowel keyboard can be used to display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by touching twice. In addition, when the consonant is input, the automatic vowel input is enabled and the combination vowel input is enabled. For this reason, you do not have to touch the vowel activation key twice. In other words, when the consonant is input, the vowel keyboard is always converted to the combined vowel keyboard, and the virtual keyboard is converted as shown in FIG. 62 (II). When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is touched in this state, The vowel keyboard appears on the screen. Since the consonant vowel is always input after the consonant is input, if the vowel is input during the beginning of a sentence or the beginning of a new word in a sentence or during word input, if the vowel is converted to a standalone vowel keyboar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abor required for the user to select the stand-alone type and the combined type. It is also an element of this configuration to automatically switch between a stand alone vowel keyboard and a combined vowel keyboard according to the sentence or word input situation. That is, in this configuration, after the space input for starting the sentence or the space for word spacing, the independent vowel input state is always maintained as shown in FIG. 62 (III). When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of the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s. 62 (I) and 62 (II) is touched, the independent vowel keyboard (Fig. 68 (I) II)), the activated vowel panel shows only half of the vowels to be input.

따라서 실제 모음이 실질적인 모음 입력 방법은 도 69와 도 70에 나타나 있다. 발음기호 [a]에 해당하는 독립형 모음

Figure 112014105889336-pat00035
는 도 69(I)에 보이는 바와 같이 독립형 모음자판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손가락이 위로 이동하여
Figure 112014105889336-pat00036
를 선택한 다음 손가락이 이격하면 입력된다. Therefore, a practical vowel input method is shown in FIGS. 69 and 70. FIG. Standalone collection corresponding to the pronunciation symbol [a]
Figure 112014105889336-pat00035
As shown in FIG. 69 (I), the finger moves upward in a state in which the independent bar-code board is activated
Figure 112014105889336-pat00036
And then enters it when the finger is separated.

그리고 발음기호 [a:]에 해당하는

Figure 112014105889336-pat00037
Figure 112014105889336-pat00038
를 선택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원래 모음 입력활성화 키의 위치로 되돌아와서 손가락을 이격하면 입력된다. 마찬가지로 힌디어의 모음 중에서 장,단음 중에서 단음에 해당하는
Figure 112014105889336-pat00039
는 독립형 모음자판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들 모음이 표시된 곳으로 손가락을 이동한 다음 이격하면 입력이 완료되며, 이들 독립형 모음의 장모음에 해당하는
Figure 112014105889336-pat00040
는 각각의 해당 단모음을 선택할 때 도 69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모음 입력활성화키의 위치에 표시되고, 손가락이 단모음의 위치에서 모음 입력활성화키의 위치로 되돌아와서 이격하면 해당 장모음의 입력이 완료되는 것이다. 결합형 모음의 경우도 독립형 모음과 동일한 방식으로 입력되는데, 다만 결합형 모음의 경우 발음 [a]에 해당하는 단모음이 없으므로 장모음 [a:]에 해당하는
Figure 112014105889336-pat00041
는 도 68(II)에 보이는 바와 같이 결합형 모음자판이 활성화 되었을 때 나머지 단모음들과 함께 화면에 나타나게 된다. And corresponding to the pronunciation symbol [a:]
Figure 112014105889336-pat00037
The
Figure 112014105889336-pat00038
Is selected, the finger is returned to the position of the activation key of the original vowel, and the finger is input to be separated. Similarly, among the vowels in Hindi,
Figure 112014105889336-pat00039
When the finger is mov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independent bar-shaped keyboard is activated to the place where the bar is displayed and then separated, the input is completed, and the long vowel corresponding to the long vowel
Figure 112014105889336-pat00040
As shown in FIG. 69, when the respective short vowels are selected, the input of the corresponding long vowels is completed when the finger returns to the position of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at the position of the short vowel and is separated from the position . The combination vowels are also input in the same way as the independent vowels, except that in the case of a combined vowel, there is no short vowel corresponding to the pronunciation [a]
Figure 112014105889336-pat00041
As shown in FIG. 68 (II), when the combined vowel keyboard is activated, the remaining vowels appear on the screen together with the remaining short vowels.

그리고, 도 69(II),도 69(IV)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Figure 112014105889336-pat00042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43
이 선택되면 이웃한 4개의 키 영역으로 확장(노란색으로 표시된 영역)되는데 그 이유는 이들 모음의 장모음에 해당하는
Figure 112014105889336-pat00044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45
이 배정된 원래의 모음 입력활성화키 위치로 손가락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웃한 단모음을 터치하여 이들 단모음이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As shown in Figs. 69 (II) and 69 (IV)
Figure 112014105889336-pat00042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43
Is selected, it is expanded to four neighboring key regions (the area marked in yellow), which corresponds to the long vowel of these vowels
Figure 112014105889336-pat00044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45
In order to prevent activation of the short vowels by touching neighboring short vowels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finger to the original vowel input activation key position assigned to the user.

예를 들면

Figure 112014105889336-pat00046
의 경우 도 69(II)와 같이 4개의 키 영역이 활성화되지 않고 단지
Figure 112014105889336-pat00047
Figure 112014105889336-pat00048
에 해당하는 키 영역만 활성화 된다면(노란색 영역으로 표시된다면)
Figure 112014105889336-pat00049
을 선택하기 위해
Figure 112014105889336-pat00050
이 위치한 키 영역에서
Figure 112014105889336-pat00051
이 위치한 키 영역으로 이동하는 과정 중에 이웃한
Figure 112014105889336-pat00052
키 혹은
Figure 112014105889336-pat00053
키 영역을 터치하여 이들 단모음을 활성화시켜
Figure 112014105889336-pat00054
를 선택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For example
Figure 112014105889336-pat00046
69 (II), four key regions are not activated and only four key regions are activated
Figure 112014105889336-pat00047
Wow
Figure 112014105889336-pat00048
Is activated (if it is displayed as a yellow area)
Figure 112014105889336-pat00049
To select
Figure 112014105889336-pat00050
In the key area where
Figure 112014105889336-pat00051
In this case,
Figure 112014105889336-pat00052
Key or
Figure 112014105889336-pat00053
Touch the key area to activate these short voices
Figure 112014105889336-pat00054
Can not be selected.

간혹

Figure 112014105889336-pat00055
(봄베이)처럼 자음 다음에 독립형 모음의 입력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자음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자동으로 결합형 모음 자판으로 자동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본 구성에 비추어 독립형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터치하여 결합형 모음자판을 독립형 모음자판으로 전환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sometimes
Figure 112014105889336-pat00055
(Bombay), it is necessary to input a standalone vowel next to a consonant. When the consonant input is made, the automatic convers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to the combined vowel keyboard. In view of this configuration, in order to input a standalone vowel, So that it is inconvenient to convert the combined vowel keyboard into a stand-alone vowel keyboard.

하지만 위에서 자음 자판배열의 설명에서 잠깐 언급된 대표문자키가 터치되었을 때 실제로 대표문자키의 위치에는 아무런 문자도 배정하지 않고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데 이 용도가 다름 아닌 결합형 모음 자판의 독립형 모음 자판으로의 변환 기능이다. 즉

Figure 112014105889336-pat00056
(봄베이)처럼
Figure 112014105889336-pat00057
의 자음 입력 후에는 본 구성에 따라 모음 자판이 결합형 모음자판으로 변환된 상태가 되므로 독립형 모음인
Figure 112014105889336-pat00058
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통해 독립형 모음자판으로의 전환시켜서 입하여야 하지만, 도 67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자음입력 과정에서 결합형 모음자판을 독립형 모음자판으로의 변환을 이룰 수 있다. However, in the description of the consonant keyboard layout above, when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key mentioned for a moment is touched, it is actually used for another purpose without assigning any character to the position of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key. . In other words
Figure 112014105889336-pat00056
Like Bombay
Figure 112014105889336-pat00057
The vowel keyboard is converted into the combined vowel keyboar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Figure 112014105889336-pat00058
It is necessary to switch to a stand-alone vowel keyboard through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However, as shown in FIG. 67, the vowel keyboard can be converted into a stand-alone vowel keyboard during the consonant input process.

예를 들면,

Figure 112014105889336-pat00059
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도 62에 보이는 가상키보드에서
Figure 112014105889336-pat00060
가 속한 그룹을 대표하는 대표문자
Figure 112014105889336-pat00061
키를 터치한 다음(도 67(I))
Figure 112014105889336-pat00062
의 위치로 손가락이 터치된 상태에서 이동한 다음(도 67(II)) 가상키보드 초기화면(도 62(I))에서
Figure 112014105889336-pat00063
키가 배열되었던 위치(6201)로 되돌아와서(도 67(III)) 손가락을 이격하면 모음자판이 독립형 모음자판으로 변경되는 것이다. 만약 손가락이 도 67(II)의 상태에서 이격하면 위에서 설명한대로
Figure 112014105889336-pat00064
이 입력됨과 동시에 모음자판이 결합형 모음자판으로 변경되므로
Figure 112014105889336-pat00065
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이미 결합형 모음자판(도 62(II))으로 변경된 모음 자판을 독립형 모음자판(도 62(III))으로 전환시키기 위해서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두 번 터치하여야 하는 불편 함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대표문자키가 터치 되었을 때 실제로 대표문자키의 위치에는 아무런 문자도 배정하지 않고 또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데 이는 힌디어 자음의 경우 추가적인 기호(
Figure 112014105889336-pat00066
- bindu, candrabindu, candra, nukta, halant)를 첨부하여 자음의 변화를 이루고 있는데 이들 자음 변화에 필요한 기호를 활성화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Figure 112014105889336-pat00067
의 첫 글자인
Figure 112014105889336-pat00068
의 입력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면, 도 66에 보이는 바와 같이
Figure 112014105889336-pat00069
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도 62에 보이는 가상키보드에서
Figure 112014105889336-pat00070
가 속한 그룹을 대표하는 대표문자
Figure 112014105889336-pat00071
키를 터치한 다음(도 66(I))
Figure 112014105889336-pat00072
의 위치로 손가락이 터치된 상태에서 이동한 다음(도 66(II)) 가상키보드 초기화면(도 62(I))에서
Figure 112014105889336-pat00073
키가 배열되었던 위치(6201)로 되돌아오면(도 66(III)) 네 개의 자음보조 기호들(
Figure 112014105889336-pat00074
- bindu, candrabindu, candra, nukta, halant)이 나타나고 이 중에서 아누스와라(bindu)
Figure 112014105889336-pat00075
가 위치한 곳으로 손가락이 이동한 다음(도 66(IV)) 이격하면
Figure 112014105889336-pat00076
의 입력이 완료된다. For example,
Figure 112014105889336-pat00059
In order to input the virtual keyboard,
Figure 112014105889336-pat00060
Representative characters representing the group to which
Figure 112014105889336-pat00061
After touching the key (Fig. 67 (I)),
Figure 112014105889336-pat00062
(Fig. 67 (II)) and then moves to the virtual keyboard initial screen (Fig. 62 (I))
Figure 112014105889336-pat00063
When the finger is moved back to the position 6201 where the keys are arranged (Fig. 67 (III)), the vowel keyboard is changed to the independent vowel keyboard. If the finger is separated from the state of Figure 67 (II), as described above
Figure 112014105889336-pat00064
The vowel keyboard is changed to the combined vowel keyboard
Figure 112014105889336-pat00065
It is inconvenient to touch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twice in order to switch the vowel key board already changed to the combined vowel key board (Fig. 62 (II)) to the independent vowel key board (Fig. 62 . Furthermore, when a representative character key is touched, it is used for another purpose without actually assigning any character to the position of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key, which is an additional symbol in the case of the Hindi consonant
Figure 112014105889336-pat00066
- bindu, candrabindu, candra, nukta, and halant) to make the changes of consonants.
Figure 112014105889336-pat00067
The first letter of
Figure 112014105889336-pat00068
As shown in Fig. 66,
Figure 112014105889336-pat00069
In order to input the virtual keyboard,
Figure 112014105889336-pat00070
Representative characters representing the group to which
Figure 112014105889336-pat00071
Key is touched (Fig. 66 (I)),
Figure 112014105889336-pat00072
(Fig. 66 (II)), the virtual keyboard initial screen (Fig. 62 (I)) is displayed
Figure 112014105889336-pat00073
When the key is returned to the position 6201 (Fig. 66 (III)), four consonant auxiliary symbols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74
- bindu, candrabindu, candra, nukta, halant), among which bindu
Figure 112014105889336-pat00075
(Fig. 66 (IV)) after the finger is moved to the place where the finger is located
Figure 112014105889336-pat00076
Is completed.

자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음의 경우도 문자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이 동일한데, 예를 들면 한국어로 '네'를 의미하는

Figure 112014105889336-pat00077
를 입력할 경우 먼저
Figure 112014105889336-pat00078
를 입력하게 되고, 본 구성에 따라 모음 자판은 결합형 모음자판으로 자동으로 변환되어 도 7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터치하면(도 71(I))를 모음 입력활성화키 주변에 결합형 모음이 배열되고(도 71(II)) 이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위로 이동하여 를 선택한 다음 다시 위로 이동하여
Figure 112014105889336-pat00079
를 선택한 후 손가락을 이격한 다음 candrabindu가 지정된 키를 터치/이격하면(도 71(IV))
Figure 112014105889336-pat00080
이 입력되는 것이다. As in the case of consonants, the method of inputting a letter symbol is the same in the case of vowels. For example, in Korean,
Figure 112014105889336-pat00077
If you enter
Figure 112014105889336-pat00078
71, the vowel keyboard is automatically converted into a combined vowel keyboard, and when the vowel input activation key is touched (Fig. 71 (I)) as shown in Fig. 71, 71 (II)). In this state, the user moves his / her finger upward to select it and then moves up again
Figure 112014105889336-pat00079
(Fig. 71 (IV)), candrabindu touches / separates the designated key after separating the finger after selecting it,
Figure 112014105889336-pat00080
Is input.

도 64(V)와 (VI)에 보이는 것처럼 자음보조 기호를 자음입력시에 키 확장기능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도 있고, 아예 자판의 키에 이들 기호를 별도로 지정하여 입력하게 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64 (V) and (VI), the consonant supplementary symbols may be input by using the key expansion function at the time of consonant input, or these symbols may be separately designated to the keys of the keyboard.

예를 들면 도 62(I)에 보이는 반자음 형성에 이용되는 기호

Figure 112014105889336-pat00081
(halant) 처럼 candrabindu가 지정된 키의 바로 밑의 키에 지정할 수도 있고, 아니면 도 64(V)와 (VI)에 보이는 것처럼 자음키에 확장기능을 부여하여 자음 입력시에 동시에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아예 문자부호를 모두 도 63(VIII)에 보이는 것처럼 candrabindu의 확장 영역에 지정할 수도 있다. 이는 터치식 입력 방식에서 드래그 방식이 가지는 장점을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For example, the symbols used in the semi-consonant formation shown in Fig. 62 (I)
Figure 112014105889336-pat00081
candrabindu may be assigned to a key directly below the designated key as in the case of a halant, or it may be input simultaneously with consonant input by assigning an extension function to the consonant key as shown in FIGS. 64 (V) and (VI) All of the character codes can be assigned to the extension area of candrabindu as shown in FIG. 63 (VIII). This is to utilize the advantage of the drag method in the touch input method.

이상에서 본 것처럼 자음 및 모음과 결합되는 기호들은 그 위치 및 키 지정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해 변화가 가능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쓰임새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4105889336-pat00082
와 같이 일반 컴퓨터 키보드에서 독립 문자로 입력되는 문자들을 각각을 구성하는 힌디어 문자와 문자기호의 결합으로 입력 함으로서 제한된 키의 숫자로 모든 힌디어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게 하는 것도 본 구성의 요소이다. 즉
Figure 112014105889336-pat00083
Figure 112014105889336-pat00084
의 경우는
Figure 112014105889336-pat00085
Figure 112014105889336-pat00086
를 입력한 후에
Figure 112014105889336-pat00087
(candra) 기호와
Figure 112014105889336-pat00088
(halant) 기호를 각각 입력하여 완성하게 되며
Figure 112014105889336-pat00089
의 경우는
Figure 112014105889336-pat00090
Figure 112014105889336-pat00091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므로 ,
Figure 112014105889336-pat00092
의 입력 후에
Figure 112014105889336-pat00093
(halant)를 입력하고 이어서
Figure 112014105889336-pat00094
를 입력하면 완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컴퓨터 키보드에서 독립된 문자로 입력되는 문자를 조합형태가 아닌 하나의 키로 입력하고자 하는 방법도 가능하지만, 가능하면 9개의 키를 이용하여 문자의 위치 파악이 용이하고, 손가락의 움직임 거리를 최소화 하여, 키의 위치를 파악하는 걸리는 시간을 줄여서 입력 편리성을 고취시키고자 함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ymbols and the positions associated with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changed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the specific use thereof is as follows.
Figure 112014105889336-pat00082
, It is also possible to input all the Hindi characters with a limited number of keys by inputting the characters inputted as independent characters from the general computer keyboard as a combination of the Hindi characters and the letter symbols constituting each of them. In other words
Figure 112014105889336-pat00083
Wow
Figure 112014105889336-pat00084
In the case of
Figure 112014105889336-pat00085
Wow
Figure 112014105889336-pat00086
After entering
Figure 112014105889336-pat00087
(candra) symbol and
Figure 112014105889336-pat00088
(halant) symbols, respectively.
Figure 112014105889336-pat00089
In the case of
Figure 112014105889336-pat00090
Wow
Figure 112014105889336-pat00091
. Therefore,
Figure 112014105889336-pat00092
After the input of
Figure 112014105889336-pat00093
(halant) and then
Figure 112014105889336-pat00094
Is comple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put characters input by independent characters from a computer keyboard into one key instead of a combination form. However,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a character using nine keys if possible, , And to reduce the time taken to locate the key, thereby enhancing the input convenience.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Claims (19)

복수의 분할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할영역을 감지하는 입력부; 및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에 대응되는 정보를 할당하고, 상기 입력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 중 어느 하나의 분할영역이 선택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분할영역에 할당된 정보가 입력되는 것으로 해석하는 입력해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 각각은 복수의 문자가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분할영역 중 둘 이상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들을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의 순서에 따라 조합하여 생성될 수 있는 예측단어들이 추출되어 상기 각각의 분할영역에 할당되며,
상기 입력해석부는 상기 예측단어가 할당된 분할영역이 소정의 방법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방법에 의해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예측단어가 입력되는 것으로 해석하고,
상기 분할영역은 상기 복수의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와 상기 예측단어가 할당되는 경우에 있어서, 위치 및 크기가 변경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
An input unit having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and detecting a divided region selected by a user among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And
An input analyzing unit that allocat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interprets that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divided area is input when the input unit detects that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is selected; / RTI >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is assigned a plurality of characters,
If two or more of the divided regions are selected, predicted words that can be generat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characters allocated to the selected divided region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selected divided regions are extracted and allocated to the respective divided regions,
Wherein the input analyzing unit interprets that the prediction word assigned to the divided area selected by the method is input when the divided area to which the predictive word is allocated is selected by a predetermined method,
Wherein the segmented area is not changed in position and size when the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llocated and when the predicted word is alloc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해석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할영역에는 확장키가 할당되도록 하고,
상기 분할영역이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확장키가 선택되면, 상기 확장키를 제외한, 상기 확장키에 인접한 분할영역을 포함하는 확장영역에 상기 추출된 예측단어가 할당되며,
상기 분할영역이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확장키가 선택된 후 상기 확장영역에 속하는 분할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예측단어가 할당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예측단어가 입력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analysis unit allocates an extended key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When the one or more divided regions are selected and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the extracted predicted word is allocated to an extended region including a divided region adjacent to the extended key except for the extended key,
Wherein when one or more of the divided regions are selected and the divided region belonging to the extended region is selected after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the predicted word assigned to the divided region to which the predicted word is allocated is inpu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터치센서를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의 접촉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해석부는 상기 예측단어가 할당된 분할영역에 상기 사용자가 접촉한 후, 소정 거리 이상 드래그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분할영역에 할당된 예측단어가 입력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includes a touch sensor,
Wherein the input analysis unit interprets that a predicted word assigned to the divided area is inpu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dragged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fter the user touches the divided area to which the predicted word is allocated, Information inpu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해석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할영역에는 확장키가 할당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이 둘 이상 선택되고 상기 확장키가 선택된 후, 상기 확장키를 제외한, 상기 확장키에 인접한 분할영역을 포함하는 확장영역에 속하는 분할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예측단어가 할당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예측단어 및 스페이스키가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analysis unit allocates an extended key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When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are selected and more than one divided region belonging to an extended region including a divided region adjacent to the extended key except for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after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The predicted word and the space key assigned to the area are sequentially inpu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터치센서를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의 접촉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이 하나 이상 선택된 다음 이루어지는 상기 확장키의 선택과 상기 분할영역의 선택이 하나의 드래그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
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input unit includes a touch sensor,
Wherein the selection of the extended key and the selection of the divided region in which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are selected are performed by one drag oper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이 하나도 선택되지 않아 상기 예측단어가 상기 분할영역에 할당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확장키의 선택과 상기 분할영역의 선택을 이루는 하나의 드래그 동작이 상기 예측단어의 입력대신에 선택된 분할영역에 해당하는 문자를 대문자로 입력되도록 하여쉬프트(shift) 키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in a state in which n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is selected and the predictive word is not allocated to the divided area, one drag operation that includes the selection of the extended key and the selection of the divided area, Wherein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ivided region is input in an upper case letter instead of an input of the inputting unit, so as to function as a shift ke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영역이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확장키, 상기 확장영역에 속하는 분할영역, 상기 확장키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예측단어 및 스페이스키가 순차적으로 입력된 것으로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artitioned areas is selected, and the extended key, the partitioned area belonging to the extended area, the predictive word and the space key assigned to the selected partitioned area are sequentially And the word input is interpreted as being input as a wor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영역이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확장키, 상기 확장영역에 속하는 분할영역, 상기 확장키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면, 상기 분할영역에 할당된 예측단어는 대문자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divided regions is selected, and the extended key, the divided region belonging to the extended region, and the extended key are sequentially selected, the predictive word assigned to the divided region is input in capital letters A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through word prediction.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터치센서를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의 접촉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이 하나 이상 선택된 다음 이루어지는 상기 확장키, 상기 분할영역, 상기 확장키의 선택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선택과정이 하나의 드래그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
9. The apparatus of claim 7 or 8, wherein the input unit includes a touch sensor,
Wherein the series of selection processes leading to the selection of the extended key, the divided region, and the extended key in which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are selected is performed by one drag oper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된 분할영역에는 숫자도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된 분할영역 중 제1분할영역이 선택된 후, 상기 확장키가 할당된 분할영역이 선택되고, 상기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된 분할영역 중 제2분할영역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1분할영역에 할당된 복수개의 문자 중 제2분할영역에 할당된 숫자의 순서에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number is assigned to the divided area to which the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llocated,
When a first partitioned area among the partitioned areas to which the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llocated is selected and a partitioned area to which the extended key is allocated is selected and a second one of the partitioned areas to which the plurality of characters is allocated is selected, And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order of the numbers assigned to the second partitioned area among the plurality of characters assigned to the one partitioned area is inpu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터치센서를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의 접촉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분할영역, 상기 확장키, 상기 분할영역 선택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선택과정이 하나의 드래그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
[12]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input unit includes a touch sensor,
And a series of selection processes leading to the division region, the expansion key, and the division region selection are performed by one drag oper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된 분할영역은 드래그 방식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The information input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ivided region to which the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llocated is selected by a drag meth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영역이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확장키, 상기 확장영역에 속하는 분할영역, 상기 확장키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예측단어가 입력되고, 상기 확장영역에 기호가 새로 할당되어 선택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one or more of the divided regions are selected, and when the extended key, the divided region belonging to the extended region, and the extended key are sequentially selected, the selected predictive word is input, Wherein the information is input to the information inputting system through word predic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터치센서를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의 접촉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확장키, 상기 분할영역, 상기 확장키의 선택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선택과정이 하나의 드래그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
14. The apparatus of claim 13, wherein the input unit includes a touch sensor,
Wherein a series of selection processes leading to selection of the extended key, the divided region, and the extended key is performed by one drag oper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된 분할영역이 순차적으로 선택될 때, 상기 입력해석부는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예측단어들의 목록 중 하나의 예측단어를 추출하고,
상기 정보입력시스템은
상기 추출된 예측단어를 임시로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divided regions to which the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llocated are sequentially selected, the input analyzing unit extracts one predicted word from a list of predicted words including a combination of characters assigned to the selected divided region,
The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an output unit for temporarily outputting the extracted predicted word to a scree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예측단어들 중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의 조합 부분이 모두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출력부는 상기 확장영역에 상기 선택된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의 조합 부분을 제외한 문자만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5, wherein, when all the combinations of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selected divided region among the predicted words including the combination of the characters allocated to the selected divided region are all the same, So that only the characters excluding the combination part of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input word are output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터치센서를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의 접촉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해석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할영역에는 확장키가 할당되도록 하고,
1. 상기의 분할영역이 선택되고 상기 확장키가 선택되는 드래그 동작,
2. 상기의 분할영역이 선택되고 상기 확장키가 선택된 후 상기 확장영역에 속하는 분할영역이 선택되는 드래그 동작,
3. 상기 확장키가 선택되고 상기의 분할영역이 선택되는 드래그 동작,
4. 상기 확장키가 선택되고 상기의 분할영역이 선택된 후 상기 확장키가 선택되는 드래그 동작을 각각 구분하여 기능을 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includes a touch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in contact with the input unit. The input unit is configured to assign an extended key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1. A drag operation in which the above-mentioned divided area is selected and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2. A drag operation in which a divided region belonging to the extended region is selected after the divided region is selected and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3. A drag operation in which the extended key is selected and the divided region is selected,
4. The information input system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extension key is selected and the dragging operation in which the extension key is selected after the division area is selec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를 선택하는 방법과 상기 분할영역에 할당된 예측단어를 선택하는 방법은 서로 구분되며, 상기 분할영역에 할당된 문자를 선택할 때에는 상기 확장키에도 문자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method of selecting a character assigned to the divided area and a method of selecting a predicted word assigned to the divided area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when a character assigned to the divided area is selected, Is assigned to the input word.

삭제delete
KR1020147030950A 2009-08-23 2010-08-23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tilizing word prediction and method thereof KR10156037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911 2009-08-23
KR1020090077911A KR20110020341A (en) 2009-08-23 2009-08-23 Text input method by a touch pointing device with a bottom switch
KR1020090084684 2009-09-09
KR1020090084684A KR20110026857A (en) 2009-09-09 2009-09-09 Input method for korean text
KR1020090086195 2009-09-12
KR1020090086195A KR20110028419A (en) 2009-09-12 2009-09-12 Input method for korean text
KR1020090091458A KR20110034084A (en) 2009-09-28 2009-09-28 Input method for korean text
KR1020090091458 2009-09-28
KR1020090099025 2009-10-17
KR1020090099025A KR20110042144A (en) 2009-10-17 2009-10-17 Input method for korean text
KR1020090104579 2009-10-30
KR1020090104579A KR20110047809A (en) 2009-10-30 2009-10-30 HanalGeul Input method for Korean Text
KR1020090114858A KR20110058171A (en) 2009-11-25 2009-11-25 A new model of a virtual music keyboard with the touch keypad
KR1020090114858 2009-11-25
KR1020100001485 2010-01-08
KR1020100001485A KR20110081365A (en) 2010-01-08 2010-01-08 Hanalgeul input method for korean text
KR1020100008166 2010-01-28
KR1020100008166A KR20110088310A (en) 2010-01-28 2010-01-28 Hanalgeul input method for korean text
KR1020100015419 2010-02-19
KR20100015419 2010-02-19
KR1020100016886 2010-02-25
KR20100016886 2010-02-25
KR20100025482 2010-03-22
KR1020100025482 2010-03-22
KR20100025663 2010-03-23
KR1020100025663 2010-03-23
KR20100058331 2010-06-21
KR1020100058331 2010-06-21
KR20100058968 2010-06-22
KR1020100058968 2010-06-22
KR20100063329 2010-07-01
KR1020100063329 2010-07-01
KR20100064159 2010-07-04
KR1020100064159 2010-07-04
US34435710P 2010-07-06 2010-07-06
US61/344,357 2010-07-06
KR1020100081209 2010-08-23
PCT/KR2010/005604 WO2011025200A2 (en) 2009-08-23 2010-08-23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 using extension key
KR20100081209 2010-08-2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699A Division KR20140018436A (en) 2009-08-23 2010-08-23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tilizing word prediction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713A KR20140141713A (en) 2014-12-10
KR101560372B1 true KR101560372B1 (en) 2015-10-19

Family

ID=4671472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699A KR20140018436A (en) 2009-08-23 2010-08-23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tilizing word prediction and method thereof
KR1020127004777A KR101426843B1 (en) 2009-08-23 2010-08-23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tilizing extension key and method thereof
KR1020147030950A KR101560372B1 (en) 2009-08-23 2010-08-23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tilizing word prediction and method thereof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699A KR20140018436A (en) 2009-08-23 2010-08-23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tilizing word prediction and method thereof
KR1020127004777A KR101426843B1 (en) 2009-08-23 2010-08-23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tilizing extension key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140018436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249B1 (en) * 2012-12-14 2013-07-05 배정은 Selective data input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4007832B (en) 2013-02-25 2017-09-01 上海触乐信息科技有限公司 Continuous method, system and the equipment for sliding input text
KR102182672B1 (en) * 2014-01-11 2020-11-24 (주)네온베리 The method for searching integrated multilingual consonant pattern and apparatus thereof
KR20230135890A (en) * 2022-03-17 2023-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ermin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6613A (en) * 2004-05-06 2005-11-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 system for accomplishment a vocabulary
CN104007931A (en) * 2007-01-30 2014-08-27 三星电子株式会社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KR20080083986A (en) * 2007-03-14 2008-09-19 정영재 A keypad array and its inputing method of mobile phone for hindi langu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843B1 (en) 2014-08-06
KR20120083293A (en) 2012-07-25
KR20140141713A (en) 2014-12-10
KR20140018436A (en)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6086B2 (en)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utilizing extension key and method thereof
US85834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KR100478020B1 (en) On-screen key input device
CN102934417B (en) Multilingual key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20107110A (en) Features of data entry system
US20110291940A1 (en) Data entry system
KR101791929B1 (en) Integrated keyboard for inputting multiple languages
MX2011001722A (en) Data entry system.
JP2007133884A5 (en)
KR20000035960A (en) Speed typing apparatus and method
JP5228633B2 (en) Electronic dictionary apparatus and program
JP6620480B2 (en)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 input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1560372B1 (en)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tilizing word prediction and method thereof
MXPA01007505A (en) Speed typing apparatus and method.
JP5977764B2 (en)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using extended key
KR20080095811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120097921A (en)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tilizing extension key and method thereof
CA2671309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diacritical selection and text disambiguation
JP2013219638A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KR100846042B1 (en) The method of providing more bigger effect of button
KR20100025628A (en) The method of providing more bigger effect of button
KR20090119184A (en) The method of providing more bigger effect of button
KR20180106277A (en) Text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in terms of the nature of syllable structure
KR20080101696A (en) The method of providing more bigger effect of button
KR20150109550A (en) Inputting and registering a new word which has a symbol with 9 keys in predictive text inpu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