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7032A -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7032A
KR20110057032A KR1020090113569A KR20090113569A KR20110057032A KR 20110057032 A KR20110057032 A KR 20110057032A KR 1020090113569 A KR1020090113569 A KR 1020090113569A KR 20090113569 A KR20090113569 A KR 20090113569A KR 20110057032 A KR20110057032 A KR 20110057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film
conductive electrode
electromagnet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환
Original Assignee
최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환 filed Critical 최현환
Priority to KR1020090113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7032A/ko
Publication of KR20110057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0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류가 흐르는 원형 코일에 유도되는 전자석의 성질을 이용하여 링형태로 배열된 투명 전도성 전극이 형성된 여러 층을 적층 하여 만들어진 필름에 형성된 코일형태의 투명 전극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투명 박막의 각 터치입력점{TOUCH INPUT POINT}에 상부로 돌출되는 무빙{MOVING} 셀{CELL}를 구성함으로써 터치스크린상에 그림이나 문자, 숫자의 표시 형태에 따라 터치패널상에 그 모양이 촉감 가능한 3차원의 돌출된 셀로 표현되는 능동형의 촉감형 터치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의 촉감을 제공하는 터치패널의 구조 및 동작 방식이 제공된다.
터치 패널, 투명 박막, HAPTIC.

Description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TOUCH PANEL BY USING FACE-TO-FACE TRANSPARENT ELECTRO-MAGNET}
본 발명은 전도성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력이 유도되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한 촉감 기능을 갖는 터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 터치입력점{TOUCH INPUT POINT}에 원형의 투명전극을 형성한 여러 겹의 필름을 적층하여 만들어진 투명 필름을 서로 반대로 마주보게 함으로써 각 터치입력점에 해당하는 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발생된 전자석의 방향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만들어 인접한 필름의 코일에 반발력에 의한 기계적 팽창을 만들어 터치 스크린상에 그림이나 문자, 숫자의 표시 형태에 따라 터치 패널 상에 그 모양이 촉감 가능한 3차원의 돌출된 셀로 표현되는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터치 패널은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의 기능을 화면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특정한 기능을 처리하도록 한 패널이다.
터치스크린 기술은 PDA/PMP, 터치패드, 네비게이션에서부터 최근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햅틱 폰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터치 패널을 탑재한 기기는 휴대성이 좋고 작동방식이 간편하여 직관적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반면 정확성, 속도, 문자입력 등에서 오류 입력 등의 아직까지 기존 마우스나 키보드와 같은 기계적 입력장치에 비해 개선해야할 부분이 존재한다.
터치패널은 투명전도막(ITO: Indium Tin Oxide)이 증착된 상판과 하판(Film 또는 Glass)으로 구성되며, 터치입력 유무를 판단하고 입력좌표를 검출, 컨트롤러로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터치패널은 구현방식에 따라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방식, IR(Infrared) 방식 등으로 구분되며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한 터치스크린용 패널이 접촉 유무 및 접촉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전달하는 수동적 센서 동작만을 수행하는 것이며, 2차원적인 입력방식으로 밖에 제공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2차원적 센서 기능만을 담당하는 터치 패널에 비해 사용자로 하여금 스크린상의 이미지나 문자의 형상을 3차원적으로 돌출된 셀을 접촉함으로써 인식할 수 있고 키의 입력 여부를 상기 터치 패널 상판에 돌출된 셀의 상하 운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능동적인 키 입력방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터치패널이 차지하는 부분을 상기의 투명 전자석을 이용한 터치패널의 돌출된 셀을 누를때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를 이용하여 감지할수 있으므로 촉감기능을 겸비한 터치패널의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터치패널의 제작공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투명전도막(ITO: Indium Tin Oxide)을 필름상에 증착함으로써 투명 전자석을 제작함으로써 이에 따른 경제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은,
하측의 제2 보호필름(104a) 상부에 형성되되, 하측에 컬럼버스(COLUMN BUS) 전도성전극을 포함하는 하측 컬럼버스필름(102f)이 형성되며, 상기 컬럼버스필름 상부에 서로 인접한 세미원형 전도성전극과 전기적으로 접합되어 투명전자코 일(102)를 구성하는 하측 제1필름, 제2 필름, 제3 필름 이 접합되며,
상기의 하측 제3 필름 상부에 전기적으로 접합되는 하측 로우버스(ROW BUS) 전도성라인을 포함하는 하측 로우버스 필름과,
상기의 하측 로우버스(ROW BUS) 필름 상부에 형성되는 중간분리막(101)과
상기의 중간 분리막(101) 상부에 컬럼버스(COLUMN BUS) 전도성전극을 포함하는 상측 컬럼버스필름(100f)이 접합되며,
상기의 상측 컬럼버스필름 상부에 서로 인접한 세미원형 전도성전극과 전기적으로 접합되어 투명전자코일(102)를 구성하는 상측 제1필름, 제2 필름, 제3 필름 이 접합되며, 상기의 상측 제3 필름 상부에 상측 로우버스(ROW BUS) 전도성전극을 포함하는 로우버스필름(100b)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하측 및 상측의 투명전자석코일(100, 102)를 구성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접합되는 인접한 필름의 수를 증가시켜 투명전자석의 세기를 강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은 종래의 2차원적 센서 기능만을 담당하는 터치 패널에 비해 사용자로 하여금 스크린상의 이미지나 문자의 형상을 3차원적으로 돌출된 셀을 접촉함으로써 인식할 수 있고 키의 입력 여부를 상기 터치 패널 상판에 돌출된 셀의 상하 운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능동적인 키 입력방식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터치패널 제작 공정에 상기의 터치패널의 제작공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투명전도막(ITO: Indium Tin Oxide)을 필름상에 증착함으로써 투명 전자석을 제작함으로써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은,
하측에 제2 보호필름 상부에 형성되되,
외부회로와 연결되는 전도성전극을 포함하는 하측 컬럼버스 필름(102f) 상단에 컬럼버스 투명 전도성전극(102f-1)이 형성되고,
상기의 컬럼버스 필름(102f) 상단에 인접한 원형의 투명 전도성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도성전극판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이 적층되며, 상기의 투명필름의 상부에 일측이 뚫려있는 링 형태의 투명 전도성전극을 포함하는 하측 제1 투명 필름(102e)와;
상기의 하측 제1 투명 필름(102e) 상단에 인접한 원형의 투명 전도성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도성전극판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이 적층되며, 상기의 투명필름의 상부에 일측이 뚫려있는 링 형태의 투명 전도성전극을 포함하는 하측 제2 투명 필름(102d)와;
상기의 하측 제2 투명 필름(102d) 상단에 인접한 원형의 투명 전도성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도성전극판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이 적층되며, 상기의 투명필름의 상부에 일측이 뚫려있는 링 형태의 투명 전도성전극을 포함하는 하측 제3 투명 필름(102c)와;
상기의 하측 제3 투명 필름(102c) 상단에 인접한 투명 전도성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도성전극판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102b)이 적층되며,
상기의 투명필름(102b) 상부에 외부회로와 연결되는 전도성전극을 포함하는 하측 로우버스 필름(102a) 상단에 로우버스 투명 전도성전극(102a-1)을 형성하여 하측 투명 전자석 필름을 구성한다.
상기의 하측 투명전자석 필름 상단에 중간분리막(101)이 형성되며,
상기의 중간분리막(101) 상측에는, 외부회로와 연결되는 전도성전극을 포함하는 상측 컬럼버스 필름(100f) 상단에 컬럼버스 투명 전도성전극(100f-1)이 형성되고,
상기의 컬럼버스 필름(100f) 상단에 인접한 원형의 투명 전도성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도성전극판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이 적층되며, 상기의 투명필름의 상부에 일측이 뚫려있는 링 형태의 투명 전도성전극을 포함하는 상측 제1 투명 필름(100e)와;
상기의 상측 제1 투명 필름(100e) 상단에 인접한 원형의 투명 전도성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도성전극판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이 적층되며, 상기의 투명필름의 상부에 일측이 뚫려있는 링 형태의 투명 전도성전극을 포함하는 상측 제2 투명 필름(100d)와;
상기의 상측 제2 투명 필름(100d) 상단에 인접한 원형의 투명 전도성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도성전극판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이 적층되며, 상기의 투명필름의 상부에 일측이 뚫려있는 링 형태의 투명 전도성전극을 포함하는 상측 제3 투명 필름(100c)와;
상기의 상측 제3 투명 필름(100c) 상단에 인접한 투명 전도성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도성전극판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100b)이 적층되며,
상기의 투명필름(100b) 상부에 외부회로와 연결되는 전도성전극을 포함하는 상측 로우버스 필름(100a) 상부에 로우버스 투명 전도성전극(100a-1)을 형성하여 상측 투명 전자석 필름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하측에 투명 전도성 컬럼버스를 포함하는 필름과;
상단에 인접한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투명전도성 전극을 포함하는 투명필름과;
상단에 하측의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투명전도성 전극과 뚫린 방향이 어긋난 또 다른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투명전도성 전극을 포함하는 투명필름과;
상단에 하측의 세미원형 투명전도성 전극과 뚫린 방향이 어긋난 또 다른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투명전도성 전극을 포함하는 투명필름과;
상단에 하측의 세미원형 투명전도성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도성전극판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
상기의 투명필름 상부에 투명 전도성 로우버스를 포함하는 필름을 포함하는 하나의 투명전자석을 포함하는 투명 필름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적층되는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투명전도성 전극을 포함 하는 투명필름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형성되는 투명전자석의 세기를 강화할 수 있다.
상기의 투명 전자석코일이 활성화되어 터치패드 상측으로 돌출하는 하나의 단위셀을 구성하며, 하측 및 상측의 투명 전자석 필름에 형성된 각각의 셀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3차원적인 돌출된 글자나 그림을 표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단위셀 구조를 도시한 투명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5 * 5 및 단위셀을 포함하는 하측 투명전자석 필름과 상측 전자석 필름으로 구성된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로써, 상측과 하측에 투명전도성 전극을 포함하는 컬럼버스(ROW BUS) 및 로우버스(ROW BUS)를 포함하는 투명 필름이 형성되며,
상기의 컬럼버스와 로우버스 필름 사이에 각각의 셀의 위치에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투명전도성 전극을 포함하는 투명 필름이 형성되며, 상기의 인접한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투명전도성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투명전도성 전극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을 포함하여 하측 및 상측의 투명전자석 필름이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단위셀의 내부 투명 전도성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2 * 2 셀의 전도성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측 및 상측에 각각의 투명전자석필름 내부에 형성되는 투명전자석코일 및 하부 및 상부의 투명전도성 컬럼버스 및 로우버스의 라인에 을 통해 외부에서 일정한 전류를 흐르게 하며, 상기의 투명 전자석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하측 투명전자석 필름과 상측 투명전자석 필름의 각각의 셀에 유도되는 전자석의 극성에 따라 해당되는 셀이 상부로 돌출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여기된 상태의 전도성전극 및 상측 패널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여기된 상태의 전도성전극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자석의 극성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여기된 상태의 전도성전극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자석의 극성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각각의 셀은 비 활성화상태로 존재하며, 하측 및 상측의 투명 전자석필름의 해당되는 셀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해당되는 셀의 상측 및 하측의 투명전자석코일이 서로 잡아당기거나 밀게 함으로써 터치패드의 특정 입력점을 외부로 돌출되도록 만든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팽창된 셀의 전도성전극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자석의 극성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수축된 셀의 전도성전극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자석의 극성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하측 및 상측의 투명전자석 필름의 해당되는 셀에 흐르는 전류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측 및 상측의 해당 셀의 투명전자석 코일에 생성되는 전자석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정렬되어 하측 및 상측 셀의 투명전자석 코일이 서로 끌어당기고, 하측 및 상측의 투명전자석 필름의 해당되는 셀에 흐르는 전류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생성되는 전자석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정렬되어 하측 및 상측 셀의 투명전자석 코일이 서로 밀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단위셀을 구성하는 인접한 상측 및 하측의 필름에 적층된 투명 전도성 전극의 접촉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단위셀를 구성하는 인접한 상측 및 하측의 필름에 적층된 투명 전도성 전극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하측 및 상측에 형성되는 투명 전자석 필름을 구성하는 각각의 셀에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투명전도성 전극을 포함하는 투명필름의 인접한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투명전도성 전극을 포함하는 투명필름과 전기적으로 접합되는 적층 구조를 보이고 있다. 각각의 셀에 일측이 뚫린 형태의 투명전도성 전극을 포함하는 인접한 투명필름은 결합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전자석 코일을 형성하게 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각각의 셀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의 변화에 의해 활성화되는 단위셀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각각의 셀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의 변화에 의해 활성화되는 단위셀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하측 및 상측의 투명전자석 필름의 해당되는 셀에 흐르는 전류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측 및 상측의 해당 셀의 투명전자석 코일에 생성되는 전자석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정렬되어 하측 및 상측 셀의 투명전자석 코일이 서로 끌어당기고, 하측 및 상측의 투명전자석 필름의 해당되는 셀에 흐르는 전류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생성되는 전자석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정렬되어 하측 및 상측 셀의 투명전자석 코일이 서로 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하측 및 상측의 투명 필름의 각 구성요소들이 결합하여지며, 제작 프로세스를 설명하자면, 우선 외부의 구동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전극을 포함하는 하측 컬럼버스(COLUMN BUS) 필름이 준비되 며,
상기의 하측 컬럼버스(COLUMN BUS) 필름 상측에 컬럼버스 마스크필름을 덮고 투명전도성(ITO: Indium Tin Oxide) 증착시켜 투명 컬럼버스 전도성라인을 형성하고,
상기의 하측 컬럼버스 투명필름 상측에 각각의 컬럼버스 전도성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을 덮으며,
상측에 각각의 셀에 해당하는 영역에 일측이 뚫려있는 링 형태의 패턴을 포함하는 마스크를 덮은 후 다시 투명전도층(ITO: INDIUM TIN OXIDE)를 증착시키고,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셀 영역에 형성된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투명 전도성전극과 일측이 비틀려 하측의 전도성 링과 상측의 전도성 링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속된 코일형태를 만드는 방식으로 상측에 각각의 셀에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과 그 상측에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패턴을 포함하는 마스크를 덮은 후 투명전도층(ITO: INDIUM TIN OXIDE)를 증착시킴으로써 하측 및 상측의 투명전자석 필름의 코일 제작이 이루어지며,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투명 전도성전극을 포함하는 최 상층 필름을 형성한 후에는 상기의 최상층 투명 필름과 상측의 로우버스(ROW BUS) 투명 전도성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 각각의 로우버스 전도성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을 덮고 투명전도막(ITO: INDIUM TIN OXIDE)를 증착함으로써 하측 및 상측의 투명전자석 필름의 제작 공정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은 센서 및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과 함께 투명 터치 패널상에 촉감 반응 기술을 더함으로써 터치스크린 패널의 사용편의성 특징을 극대화함으로써 신규 응용 분야 창출 가능성을 더욱 확장시킬 것이며 이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시장 확대를 견인할 핵심 포인트가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단위셀 구조를 도시한 투명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단위셀의 내부 투명 전도성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2 * 2 셀의 전도성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여기된 상태의 전도성전극 및 상측 패널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여기된 상태의 전도성전극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자석의 극성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여기된 상태의 전도성전극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자석의 극성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팽창된 셀의 전도성전극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자석의 극성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수축된 셀의 전도성전극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자석의 극성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단위셀를 구성하는 인접한 상측 및 하측의 필름에 적층된 투명 전도성 전극의 접촉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단위셀를 구성하는 인접한 상측 및 하측의 필름에 적층된 투명 전도성 전극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각각의 셀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의 변화에 의해 활성화되는 단위셀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각각의 셀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의 변화에 의해 활성화되는 단위셀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의 동작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상측 투명 전자석코일
100-1 : 상측 투명 제1 전자석코일
100-2 : 상측 투명 제2 전자석코일
100-3 : 상측 투명 제3 전자석코일
100-4 : 상측 투명 제4 전자석코일
100a : 상측 로우버스(ROW BUS) 필름
100a-1 : 상측 로우버스(ROW BUS) 제1 전도성라인
100a-2 : 상측 로우버스(ROW BUS) 제2 전도성라인
100b : 상측 로우버스(ROW BUS) 버퍼 필름
100c : 상측 제3 필름
100d : 상측 제2 필름
100e : 상측 제1 필름
100f : 상측 컬럼버스(COLUMN BUS) 필름
100f-1 : 상측 컬럼버스(COLUMN BUS) 제1 전도성라인
100f-2 : 상측 컬럼버스(COLUMN BUS) 제2 전도성라인
101 : 중간 분리막
102 : 하측 투명 전자석코일
102-1 : 하측 투명 제1 전자석코일
102-2 : 하측 투명 제2 전자석코일
102-3 : 하측 투명 제3 전자석코일
102-4 : 하측 투명 제4 전자석코일
102a : 하측 로우버스(ROW BUS) 필름
102a-1 : 하측 로우버스(ROW BUS) 제1 전도성라인
102a-2 : 하측 로우버스(ROW BUS) 제2 전도성라인
102b : 하측 로우버스(ROW BUS) 버퍼 필름
102c : 하측 제3 필름
102d : 하측 제2 필름
102e : 하측 제1 필름
102f : 하측 컬럼버스(COLUMN BUS) 필름
102f-1 : 하측 컬럼버스(COLUMN BUS) 제1 전도성라인
102f-2 : 하측 컬럼버스(COLUMN BUS) 제2 전도성라인
103a : 상측 투명전자석 코일 제1 보호필름
103a : 상측 투명전자석 코일 제2 보호필름
104a : 하측 투명전자석 코일 제1 보호필름
104a : 하측 투명전자석 코일 제2 보호필름
105a : 제1 투명전극판 연결필름
105a-1 : 제1 투명전극판 연결필름홈
105b : 제1 세미원형 투명전극판 필름
105b-1 : 제1 세미원형 투명전극
105c : 제2 투명전극판 연결필름
105c-1 : 제2 투명전극판 연결필름홈
105d : 제2 세미원형 투명전극판 필름
105d-1 : 제2 세미원형 투명전극
106a : 하단 컬럼버스 투명필름
106a-1 : 컬럼버스 투명 전도성전극
106b : 상단 투명필름
106b-1 : 상단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투명전도막
106b-2 : 투명 전도성 연결 전극
106b-3 : 전도성 연결홈
106c : 상단 투명필름
106c-1 : 상단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투명전도막
106c-2 : 투명 전도성 연결 전극
106c-3 : 전도성 연결홈
106d : 상단 로우버스 투명필름
106d-1 : 로우버스 투명 전도성전극
106d-2 : 투명 전도성 연결 전극
106d-3 : 전도성 연결홈

Claims (8)

  1.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에 있어서,
    투명 필름 혹은 글라스로 형성되는 하부 컬럼버스 필름(102f)과;
    상기 하부 컬럼버스필름의 상단에 형성되는 하부 투명전도성전극(102f-1)과;
    상기 하부 컬럼버스필름의 상단에 형성되되, 일부가 하부투명전도성전극(102f-1)과 연결되는 전도성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102e)과;
    상기 투명필름(102e) 상단에 형성되되,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투명 전도성전극막(102e-1);
    상기 투명필름(102e) 상단에 형성되되, 일부가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하부투명전도성전극(102e-1)과 일측이 어긋나 연결되는 전도성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102d)과;
    상기 투명필름(102d) 상단에 형성되되,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투명 전도성전극막(102d-1);
    상기 투명필름(102d) 상단에 형성되되, 일부가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하부투명전도성전극(102d-1)과 일측이 어긋나 연결되는 전도성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102c)과;
    상기 투명필름(102c) 상단에 형성되되,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투명 전도성전극막(102c-1);
    상기 투명필름(102c) 상단에 형성되되, 일부가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하부 투명전도성전극(102c-1)과 일측이 어긋나 연결되는 전도성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102b)과;
    상기 투명필름(102b)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의 전도성 연결홈에 증착된 전도성전극막(102b-1);
    상기 투명필름(102b) 상단에 형성되되, 하부투명전도성전극(102b-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투명 필름 혹은 글라스로 형성되는 상부 로우버스 필름(102a)과;
    상기 로우버스 필름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투명전도성전극(102a-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측 투명전자석필름;
    상기의 항측 상부 로우버스필름(102a) 상단에 형성되는 중간 분리막(101);
    투명 필름 혹은 글라스로 형성되는 하부 컬럼버스 필름(100f)과;
    상기 하부 컬럼버스필름의 상단에 형성되는 하부 투명전도성전극(100f-1)과;
    상기 하부 컬럼버스필름(100f)의 상단에 형성되되, 일부가 하부투명전도성전극(100f-1)과 연결되는 전도성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100e)과;
    상기 투명필름(100e) 상단에 형성되되,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투명 전도성전극막(100e-1);
    상기 투명필름(100e) 상단에 형성되되, 일부가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하부투명전도성전극(100e-1)과 일측이 어긋나 연결되는 전도성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100d)과;
    상기 투명필름(100d) 상단에 형성되되,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투명 전도성전극막(100d-1);
    상기 투명필름(100d) 상단에 형성되되, 일부가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하부투명전도성전극(100d-1)과 일측이 어긋나 연결되는 전도성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100c)과;
    상기 투명필름(100c) 상단에 형성되되,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투명 전도성전극막(100c-1);
    상기 투명필름(100c) 상단에 형성되되, 일부가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하부투명전도성전극(100c-1)과 일측이 어긋나 연결되는 전도성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100b)과;
    상기 투명필름(100b)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의 전도성 연결홈에 증착된 전도성전극막(100b-1);
    상기 투명필름(100b) 상단에 형성되되, 하부투명전도성전극(100b-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투명 필름 혹은 글라스로 형성되는 상부 로우버스 필름(100a)과;
    상기 로우버스 필름(100a)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투명전도성전극(100a-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측 투명전자석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및 상측의 투명전자석 필름을 구성하는 각각의 셀 영역이 일부가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하부투명전도성전극과 일측이 어긋나 연결되는 전도성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과;
    상기 투명필름 상단에 형성되되,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투명 전도성전극막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
  3. 제 1항 내지 2항 중 한항에 있어서,
    외부의 구동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전극을 포함하는 하측 컬럼버스(COLUMN BUS) 필름이 준비되며,
    상기의 하측 컬럼버스(COLUMN BUS) 필름 상단에 컬럼버스 마스크필름을 덮고 투명전도성(ITO: Indium Tin Oxide) 증착시켜 투명 컬럼버스 전도성라인을 형성하며,
    상기의 하측 컬럼버스 투명필름 상단에 각각의 컬럼버스 전도성라인과 일부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을 덮고,
    상단에 각각의 셀에 해당하는 영역에 일측이 뚫려있는 링 형태의 패턴을 포함하는 마스크를 덮은 후 다시 투명전도막(ITO: INDIUM TIN OXIDE)를 증착시키고,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셀 영역에 형성된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투명 전도성전극과 일측이 비틀려 하측의 투명 전도성 링과 상측의 전도성 링이 서로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속되어 코일형태를 만드는 방식으로 상측에 각각의 셀에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과 그 상단에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패턴을 포함하는 마스크를 덮은 후 투명전도막(ITO: INDIUM TIN OXIDE)를 증착시킴으로써 하측 및 상측의 투명전자석 필름의 코일이 형성되며,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투명 전도성전극을 포함하는 최 상층 필름 상단에, 상기의 최상층 투명 필름과 상측의 로우버스(ROW BUS) 투명 전도성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 각각의 로우버스 전도성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을 덮고 투명전도막(ITO: INDIUM TIN OXIDE)를 증착함으로써 하측 및 상측의 투명전자석 필름을 형성하는 공정 프로세스를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
  4. 제 1항 내지 2항 중 한항에 있어서,
    외부의 구동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전극을 포함하는 컬럼버스(COLUMN BUS) 필름(106a)과;
    상기의 컬럼버스 필름 상단에 컬럼버스 마스크필름을 덮고 투명전도성(ITO: Indium Tin Oxide) 증착시켜 투명 컬럼버스 전도성라인(106a-1)을 형성하며,
    일부가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하부투명전도성전극(106a-1)과 연결되는 전도성 연결홈(106b-3)을 포함하는 투명필름(106b))과;
    상기의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 상단에 각각의 셀에 해당하는 영역에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패턴을 포함하는 마스크를 올린 후투명전도막(ITO: INDIUM TIN OXIDE)(106b-1)를 증착시키고,
    일부가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하부투명전도성전극(106b-1)과 일측이 어긋나 연결되는 전도성 연결홈(106c-3)을 포함하는 투명필름(106c))과;
    상기의 연결홈을 포함하는 투명필름 상단에 각각의 셀에 해당하는 영역에 일 측이 뚫린 링 형태의 패턴을 포함하는 마스크를 올린 후투명전도막(ITO: INDIUM TIN OXIDE)(106c-1)를 증착시키고,
    외부의 구동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전극을 포함하는 로우버스(ROW BUS) 필름(106d)과;
    상기의 로우버스 필름 상단에 로우버스 마스크필름을 덮고 투명전도성(ITO: Indium Tin Oxide) 증착시켜 투명 로우버스 전도성라인(106d-1)을 형성하며,
    상기의 컬럼버스 투명전도성 전극이 형성된 컬럼버스 필름과 일측이 뚫린 링 형태의 투명 전도성전극이 증착된 투명 필름 및 로우버스 투명전도성 전극이 형성된 로우버스 필름을 각각의 셀의 전도성 연결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성 전극(106b-2, 106c-2, 106d-2)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하측 및 상측의 투명전자석 필름 제작 공정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
  5.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무빙셀은,
    하측 및 상측의 투명전자석 필름의 해당 셀의 전자석 코일(100, 102) 흐르는 전류의 회전 방향을 서로 반대로 형성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
  6.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무빙셀은,
    하측 및 상측의 투명전자석 필름의 해당 셀의 하측 투명 전자석코일(102) 및 상측 투명 전자석코일(100)에 유도되는 전자석의 N극과 N극의 반발력에 의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
  7.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무빙셀은,
    하측 및 상측의 투명전자석 필름의 해당 셀의 하측 투명 전자석코일(102) 및 상측 투명 전자석코일(100)에 유도되는 전자석의 S극과 S극의 반발력에 의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
  8.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하측 및 상측의 투명전자석 필름의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전류에 의해 활성화된 해당 셀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를 측정하여 터치입력점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
KR1020090113569A 2009-11-23 2009-11-23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 KR201100570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569A KR20110057032A (ko) 2009-11-23 2009-11-23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569A KR20110057032A (ko) 2009-11-23 2009-11-23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032A true KR20110057032A (ko) 2011-05-31

Family

ID=44365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569A KR20110057032A (ko) 2009-11-23 2009-11-23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70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3913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及びその駆動方法
CN105518596B (zh) 用于局部力和近距离感测的装置和方法
CN105739754B (zh) 触摸面板和包括触摸面板的显示设备
JP6121555B2 (ja) 物理的フィードバック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装置、並びにディスプレイアセンブリ、電子機器、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04025000B (zh) 单衬底触摸传感器
CN102455834B (zh) 静电电容型触摸屏面板
US9377908B2 (en) Haptic actuating touch screen
US10509526B2 (en) Three-dimensional touch control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CN103941946A (zh) 一种触摸屏及显示装置
US201402671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KR101362843B1 (ko) 터치 스크린 장치와 그 방법
JP2013514590A (ja) 動作モードを変更する方法および装置
TW201135546A (en) Contactless touch panel
KR102476614B1 (ko) 터치 스크린,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CN102427354B (zh) 具有电流模拟触感反馈的按键开关以及触敏显示器
CN203759677U (zh) 一种触摸屏及显示装置
CN103927072A (zh) 一种tft阵列基板、触摸显示面板以及触摸显示装置
CN106055140A (zh) 具有屏蔽的电极的力增强的输入装置
CN104965623A (zh) 一种触控模组、触摸屏、其触摸定位方法及显示装置
KR20120030202A (ko) 투명전자석 매트릭스필름을 이용한 촉감형 터치패드
JP2015511361A (ja) 柔軟かつ透明な感知領域を有するタブレット
JP2017021631A (ja) 静電容量式入力装置
KR20110127341A (ko) 투명전자석필름 및 이를 이용한 촉감가능형 터치패널 장치
CN103488328B (zh) 具有传感器构件的触控窗口
KR20110057032A (ko) 투명전자석을 이용한 촉감기능을 갖는 터치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