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6268A - 특정 장소에서의 우선권 정보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특정 장소에서의 우선권 정보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6268A
KR20110056268A KR1020110042799A KR20110042799A KR20110056268A KR 20110056268 A KR20110056268 A KR 20110056268A KR 1020110042799 A KR1020110042799 A KR 1020110042799A KR 20110042799 A KR20110042799 A KR 20110042799A KR 20110056268 A KR20110056268 A KR 20110056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ustomer
booth
card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신한카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카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한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2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6268A/ko
Publication of KR20110056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장소에서의 우선권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특정장소에서의 우선권 정보 처리 시스템은, 특정 카드로 특정장소 입장권을 구매한 고객의 카드정보 및 무선단말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와 상기 고객이 상기 특정장소에 설치된 특정 부스의 우선 이용을 위해 신청하는 특정 부스 이용 우선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수단과, 상기 고객의 상기 특정장소 입장시, 상기 고객이 우선 이용을 신청한 특정 부스에 구비된 단말로 상기 우선권 이용 신청 고객의 고객정보를 제공하는 수단 및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고객의 우선권 적용 시간정보를 상기 고객의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특정 장소에서의 우선권 정보 처리 시스템{System for Processing Policy Information of Giving Priority in the Specific Place}
본 발명은, 특정 카드로 특정장소 입장권을 구매한 고객의 카드정보 및 무선단말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와 상기 고객이 상기 특정장소에 설치된 특정 부스의 우선 이용을 위해 신청하는 특정 부스 이용 우선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고객의 상기 특정장소 입장시, 상기 고객이 우선 이용을 신청한 특정 부스에 구비된 단말로 상기 우선권 이용 신청 고객의 고객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고객의 우선권 적용 시간정보를 상기 고객의 무선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특정장소에서의 우선권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시장이나 놀이공원을 방문하는 고객들은, 입장권 등의 구매시, 당일 또는 현장에서의 구매보다는 인터넷이나 전화 등을 이용한 예매를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입장권 등의 예매는, 현장에서의 번거로움이나 혼잡함을 피하고, 입장권 구매를 위해 대기하는 시간을 줄여, 보다 효과적인 시간 계획을 세울수 있도록 한다.
특히, 놀이공원 등에서는 해당 놀이기구에 대해 사전 예약을 실시함으로서, 해당 시간에 고객이 줄을 서지 않고, 바로 탈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고객은 사전 예약을 하기 위해, 예약 접수대에 가서 예약시간이 표시된 소정의 예약증을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카드로 특정장소 입장권을 구매한 고객의 카드정보 및 무선단말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와 상기 고객이 상기 특정장소에 설치된 특정 부스의 우선 이용을 위해 신청하는 특정 부스 이용 우선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수단과, 상기 고객의 상기 특정장소 입장시, 상기 고객이 우선 이용을 신청한 특정 부스에 구비된 단말로 상기 우선권 이용 신청 고객의 고객정보를 제공하는 수단 및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고객의 우선권 적용 시간정보를 상기 고객의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특정장소에서의 우선권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특정장소에서의 우선권 정보 처리 시스템은, 특정 카드로 특정장소 입장권을 구매한 고객의 카드정보 및 무선단말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와 상기 고객이 상기 특정장소에 설치된 특정 부스의 우선 이용을 위해 신청하는 특정 부스 이용 우선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수단과, 상기 고객의 상기 특정장소 입장시, 상기 고객이 우선 이용을 신청한 특정 부스에 구비된 단말로 상기 우선권 이용 신청 고객의 고객정보를 제공하는 수단 및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고객의 우선권 적용 시간정보를 상기 고객의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은 특정 부스(또는 놀이기구) 이용 우선권을 신청함으로서, 전시장이나 놀이공원 등의 방문시, 입장을 위해 기다리거나 줄을 서야하는 불편함 없이 해당 부스(또는 놀이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특정 부스(또는 놀이기구) 이용 우선권 신청시, 소정의 동선정보를 더 제공함으로서, 전시장이나 놀이공원에서 시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특정 장소(전시장 등)에서의 우선권 부여 정책 운용 시스템에 대한 일 실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저장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고객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특정 부스 우선 이용 신청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특정 부스 우선 이용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저장매체에 특정 부스 우선 이용을 위한 소정의 정보가 저장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전시장에 방문한 고객에 대한 특정 부스 우선 이용이 허여되기까지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전시장 입장 고객의 카드로부터 카드정보를 확인하는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전시장 입장 고객의 무선 단말로부터 무선 단말 정보를 확인하는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기지국B에서 무선 단말기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고객 무선 단말로 특정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 권한 내역이 제공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임을 밝힌다.
도면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특정 장소(전시장 등)에서의 우선권 부여 정책 운용 시스템에 대한 일 실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도시된 특정 장소(전시장 등)에서의 우선권 부여 정책 운용 시스템은, 전시장(또는 놀이공원) 등을 방문하려는 고객이, 상기 전시장(또는 놀이공원)에 대한 입장권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또는 입장하기 이전에, 상기 전시장(또는 놀이공원)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부스(또는 놀이기구)를 우선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소정의 권한을 미리 요청하면, 상기 고객이 요청한 권한 정보를 상기 고객의 카드정보 또는 무선 단말 번호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고,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또는 놀이공원) 입장 시에, 상기 고객의 카드정보 또는 무선 단말 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또는 놀이공원) 내의 특정 부스(또는 놀이기구)에 대한 우선적 이용 권한을 요청한 고객임을 인지하고, 상기 고객의 무선 단말로 상기 우선적 이용 권한 정보(예컨대, 우선권 이용시간 정보, 우선권 이용 대상 부스 또는 놀이기구 위치 정보 등)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객의 상기 전시장(또는 놀이공원)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부스(또는 놀이기구)를 우선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소정의 권한은, 상기 고객이 특정 카드로 상기 전시장(또는 놀이공원)에 대한 입장권을 구매함으로서, 요청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특정 카드는, 예컨대 특정 부스(또는 놀이기구)에 대한 우선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선불카드, 신용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멤버쉽 카드, 포인트 카드, ID 카드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특정 장소(전시장 등)에서의 우선권 부여 정책 운용 시스템은, 상기 특정 카드로 상기 전시장(또는 놀이공원) 입장권을 구매하거나, 또는 상기 전시장(또는 놀이공원) 입장전에 상기 전시장(또는 놀이공원) 내의 특정 부스(또는 놀이기구)에 대한 우선적 이용을 요청한 고객의 카드정보(예컨대, 카드번호 등)와 상기 고객이 요청한 상기 특정 부스(또는 놀이기구)에 대한 우선적 이용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한 후, 상기 고객의 전시장(또는 놀이공원) 이용시, 상기 전시장(또는 놀이공원)에 구비된 카드 단말(예컨대, 게이트에 구비되거나, 특정 부스 등에 구비된 단말)에서 상기 고객의 카드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카드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또는 놀이공원) 내의 특정 부스(또는 놀이기구)에 대한 우선적 이용 권한을 요청한 고객임을 인지하고, 상기 고객에게 상기 우선적 이용 권한 정보(예컨대, 우선권 이용시간 정보, 우선권 이용 대상 부스 또는 놀이기구 위치 정보 등)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객에게 제공되는 상기 특정 부스(또는 놀이기구)에 대한 우선적 이용 권한 정보(예컨대, 우선권 이용시간 정보, 우선권 이용 대상 부스 또는 놀이기구 위치 정보 등)는 지류로 인쇄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장소(전시장 등)에서의 우선권 부여 정책 운용 시스템은, 상기 전시장(또는 놀이공원)에 대한 입장권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또는 입장하기 이전에, 상기 전시장(또는 놀이공원)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부스(또는 놀이기구)를 우선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소정의 권한을 미리 요청하였을 때, 상기 고객이 요청한 권한 정보가 상기 고객의 IC카드에 소정의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형태로 탑재되는 경우,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또는 놀이공원) 입장 시에, 상기 전시장(또는 놀이공원)에 구비된 카드 단말(예컨대, 게이트에 구비되거나, 특정 부스 등에 구비된 IC카드 단말)에서 상기 고객의 IC카드에 탑재된 상기 권한 정보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확인함으로서,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또는 놀이공원) 내의 특정 부스(또는 놀이기구)에 대한 우선적 이용 권한이 있는 고객임을 인지하고, 상기 특정 부스(또는 놀이기구)에 대한 우선적 이용을 허여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특정 장소(전시장 등)에서의 우선권 부여 정책 운용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라 전시장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부스의 이용 또는 방문에 대한 우선적 권한을 신청한 고객의 카드 정보와 상기 고객 무선 단말 정보(예컨대, 무선 단말 번호)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수단(100)과, 상기 고객의 상기 전시장 방문시, 상기 고객의 카드 또는 무선 단말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 또는 무선 단말 정보를 독출하는 정보 독출수단과, 상기 정보 독출수단을 통해 독출되는 정보(예컨대, 카드 정보, 무선 단말 정보 등)와 연계되어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정보(예컨대, 고객 정보, 무선 단말 정보, 특정 부스에 이용에 대한 우선권 정보 등)를 확인하여 추출하는 정보 추출수단(110)과, 상기 추출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부스에 대한 우선적 이용 또는 방문 대상 고객인지 확인하는 정보 확인수단(105)과,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부스에 대한 우선적 이용 또는 방문 대상 고객으로 확인되면, 해당 부스 단말로 상기 고객의 방문 정보(예컨대, 입장 시간 정보 등)를 전송하여 상기 고객의 상기 부스 우선 이용 또는 방문 시간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전송수단(115)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스 단말로부터 상기 고객의 상기 부스 우선 이용 또는 방문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120)과, 상기 부스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상기 고객의 상기 부스 우선 이용 또는 방문 시간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고객의 부스 우선 이용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정보 산출수단 및 상기 산출된 부스 우선 이용 시간 정보를 상기 고객 무선 단말로 전송하여 통지하는 정보 제공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저장수단(100)은, 상기 특정 카드로 전시장 입장권을 구매한 고객, 또는 상기 전시장 입장 이전에 상기 전시장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부스에 대한 이용을 예약한 고객, 또는 소정의 요금을 지불하고 상기 전시장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을 신청한 고객 소유의 카드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 무선 단말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 또는 상기 특정 장소(전시장 등)에서의 우선권 부여 정책 운용 시스템과 연동하는 소정의 결제 시스템(또는 예약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 권한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더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독출수단은, 상기 전시장에 방문하는 고객의 무선 단말 또는 고객 소유 카드로부터 카드 정보 또는 무선 단말 정보를 독출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정보 독출수단은 상기 고객 카드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를 독출하는 경우, 상기 전시장에 구비된 소정의 카드 리더기와 연동하여 상기 카드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드 리더기는 상기 전시장의 입구(게이트) 단말 또는 부스 단말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 리더기는 상기 고객 카드와 연동하기 위한 카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시장 방문 고객의 MS(Magnetic Stripe)카드, IC카드, 무선단말기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금융 IC칩, 전자통장을 포함하는 카드로부터 소정의 카드정보를 독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는, 접촉식 인터페이스 및/또는 비접촉식 인터페이스 및/또는, 무선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는 ISO/IEC 7816에 근거하여, 접촉식 IC카드에 구비된 COB(Chip On Board; COB)와 전기적으로 접촉 접점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접촉점을 통해 상기 접촉식 IC카드의 IC칩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이용하는 상기 반이중(Half Duplex) 방식의 트랜잭션 등을 통해 상기 IC칩으로부터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예컨대, 카드번호 정보, 칩 관련 정보 등)를 인터페이싱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는 ISO/IEC 14443에 근거하여, 정전결합(Capacitive Coupling) 및/또는 전자유도(Inductive Coupling) 등을 이용하여 비접촉식 IC카드와 비접촉식으로 전기적 접점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IC카드의 IC칩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APDU를 이용하는 상기 반이중(Half Duplex) 방식의 트랜잭션 등을 통해 상기 IC칩으로부터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예컨대, 카드번호 정보, 칩 관련 정보 등)를 창구 단말로 인터페이싱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는, 상기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소정의 정보(예컨대, 카드 정보 등)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무선 단말과 소정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휴대 인터넷 통신, 적외선(Infrared Ray)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무선랜(Wireless LAN)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ZigBee 통신, UWB 통신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독출수단이 상기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 정보를 독출하는 경우, 상기 정보 독출수단은 상기 전시장에 구비된 로컬 중계기와 연동하여 상기 고객 무선 단말 정보를 독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하기의 도면9 내지 도면10의 실시예를 통해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정보 추출수단(110)은, 상기 정보 독출수단이 상기 카드 리더기와 연동하여 상기 고객 카드로부터 카드 정보를 독출하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와 연동하여 상기 독출된 카드 정보와 연계되어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고객 정보 및 무선 단말 정보를 확인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정보 추출수단(110)은 상기 정보 독출수단이 상기 로컬 중계기와 연동하여 상기 고객 무선 단말로부터 무선 단말 정보를 독출하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와 연동하여 상기 독출된 무선 단말 정보와 연계되어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고객 정보 및 카드 정보를 확인하여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 확인수단(105)은 상기와 같이 정보 추출수단(110)을 통해 추출된 상기 전시장에 방문한 고객의 고객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부스에 대한 우선적 이용 또는 방문 대상 고객인지 확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정보 확인수단(105)은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 내에서 우선 이용할 적어도 둘 이상의 우선 이용 대상 부스를 포함하는 동선 정보를 기 저장(등록)한 고객인지 확인하며, 만약 상기 고객이 상기 동선 정보를 기 저장한 고객인 경우, 상기 동선상에 위치하는 우선 이용 대상 부스 정보(예컨대, 부스 단말 정보 등)를 더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전송수단(115)은, 상기 정보 확인수단(105)을 통해 상기 전시장에 입장한 고객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 대상 고객으로 인지되는 경우, 상기 정보 확인수단(105)으로부터 상기 고객의 우선 이용 대상 부스 정보(예컨대, 부스 단말 정보 등)를 전달받고, 도면1에 도시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고객의 우선 이용 부스 단말로 상기 고객의 전시장 입장 정보(예컨대, 방문 시간 정보 등)를 전송하여 상기 고객의 우선 이용 시간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 전송수단(115)은, 상기 고객이 전시장 부스 방문 동선을 지정한 경우, 상기 동선에 따라 순차적으로 해당 부스 단말로 상기 고객의 입장 정보(예컨대, 방문 시간 정보 등)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신수단(120)은, 상기 고객의 우선 이용 대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스 단말로부터 상기 고객의 부스 우선 이용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 때, 상기 정보 수신수단(120)은 상기 부스 단말로부터 상기 고객에게 제공할 소정의 메시지(또는 데이터)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메시지(또는 데이터)는, 환영 메시지, 안내 메시지, 쿠폰, 행운권(행운번호 등), 부스 위치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산출수단은, 상기 정보 수신수단(120)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선 이용 대상 부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고객의 해당 부스 우선 이용 시간 정보를 수신 및 소팅하여 상기 고객의 부스 우선 이용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 때, 상기 정보 산출수단은 고객의 부스 방문 동선 정보들을 참조하여, 상기 동선에 따라 상기 고객의 부스 우선 이용 시간 정보 또는 우선 이용 내역 정보(예컨대, 우선 이용 권한을 포함하는 정보 등)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산출수단은, 상기 정보 수신수단(120)의 상기 고객 부스 우선 이용 시간 정보를 수신한 결과, 우선 이용 시간이 중복되는 부스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정보 전송수단(115)을 통해 상기 우선 이용 시간 중복 부스 단말로 우선 이용 시간 중복 메시지를 전송하여, 우선 이용 시간을 변경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수단은, 상기 정보 산출수단을 통해 상기 고객의 우선 이용 대상 부스(들)에 대한 우선 이용 시간 정보 또는 우선 이용 내역 정보가 산출되면,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고객 무선 단말로 제공하거나, 상기 고객에게 직접 프린팅하여 출력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도시된 고객 카드는, 상기 전시장 방문을 위한 입장권을 구매하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고객의 전시장 입장여부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선불카드(Prepaid Card) 및/또는 신용카드(Credit Card) 및/또는 체크카드(Check Card) 및/또는 멤버쉽 카드 및/또는 포인트 카드 및/또는 ID카드 및/또는 멤버스 카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 무선 단말은 상기 전시장에 방문한 고객의 입장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무선 단말 정보(예컨대, 전화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일련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ESN) 등)를 제공하며, 또한 상기 전시장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선 이용 대상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 시간 정보 및 기타 정보(예컨대, 부스 위치 정보 등)를 제공받은 수단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고객 무선 단말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기반하는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는 이동 통신 단말로서, 개인 통신 단말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및/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단말기 및/또는 개인 디지털 셀룰러 단말기(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및/또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단말기 및/또는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및/또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및/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기 및/또는 휴대 인터넷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부스 단말은 소정의 통신 네트워크(예컨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장소(전시장 등)에서의 우선권 부여 정책 운용 시스템에 구비되는 기능 수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정보 전송수단(115)으로부터 상기 전시장에 입장한 고객의 전시장 입장 정보(예컨대, 방문 시간 정보 등)를 전송받고, 상기 고객의 우선 이용 시간 정보를 상기 정보 수신수단(120)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부스 단말은, 상기 고객의 전시장 입장 정보(예컨대, 방문 시간 정보 등)를 전송받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고객의 부스 우선 이용 시간 정보를 입력 또는 추출하여 상기 정보 수신수단(120)으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Loading)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별도 도시하지 않음).
또한, 상기 부스 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부스 단말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구성부(예컨대, 화면 출력부, 키 입력부, 카드 인터페이스 및 네트워크 통신부 등)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각 구성요소로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명령전달 및 구성요소 간 정보 또는 데이터의 흐름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부스 단말은, 상기 정보 전송수단(115)으로부터 상기 고객의 전시장 입장 정보와 상기 고객 무선 단말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고객의 부스 우선 이용 시간 정보 또는 우선 이용 권한을 포함하는 내역 정보를 상기 고객 무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도시된 저장매체는, 상기 특정 장소(전시장 등)에서의 우선권 부여 정책 운용 시스템 상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특정 장소(전시장 등)에서의 우선권 부여 정책 운용 시스템과 연동하거나, 또는 소정의 저장매체 운용수단을 통해 운용 및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전시장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부스의 이용 또는 방문에 대한 우선적 권한을 신청한 고객이 상기 전시장에 방문하였을 때, 상기 고객에 대한 인증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정보들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정보들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하기의 도면2 내지는 도면5에 도시된 저장매체 정보 구조 및 정보 테이블에 대한 실시예를 통해 기술하기로 한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저장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특정 장소(전시장 등)에서의 우선권 부여 정책 운용 시스템과 연동하는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저장정보들이 상기 저장매체 내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저장되어 있는 저장정보간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본 도면2는 본 발명이 소정의 전시장에서 구현되는 경우 구축될 수 있는 저장매체에 대한 예시도로서, 도시된 저장매체는 본 발명에 따라 전시장에 입장하는 고객의 카드정보 또는 무선 단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 대상 고객인지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도시된 저장매체는 고객 무선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 개인 정보와 상기 고객 소유 카드정보와 상기 전시장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부스 정보가 상호 연계 처리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 개인 정보는, 고객 무선 단말 정보, 고객이름, 고객 회원번호(상점회원 가입한 경우), 고객 나이, 고객 성별, 고객 취미, 고객 직업, 고객 관심 분야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객 무선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는,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 입장권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또는 상기 특정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을 신청하는 과정에서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고객 무선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는 하기의 도면3의 데이터 테이블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특히, 상기 고객 무선 단말 정보는, 전화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일련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ESN)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전시장에 방문한 고객의 입장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전시장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선 이용 대상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 시간 정보 및 기타 정보(예컨대, 부스 위치 정보 등)를 제공받은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카드정보는, 선불카드(Prepaid Card) 및/또는 신용카드(Credit Card) 및/또는 체크카드(Check Card) 및/또는 멤버쉽 카드 및/또는 포인트 카드 및/또는 ID카드 및/또는 멤버스 카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 입장권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또는 상기 특정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을 신청하는 과정에서 입력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카드 정보는, 상기 고객의 상기 전시장 방문시, 상기 고객의 전시장 입장여부 및 특정 부스 우선 이용 신청 고객 여부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우선권 이용 대상 부스 정보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전시장 등을 방문하려는 고객이, 상기 전시장에 대한 입장권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또는 입장하기 이전에, 상기 전시장 방문시 우선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소정의 권한을 미리 요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선 이용 대상 부스에 대한 상세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우선 이용 대상 부스에 대한 상세정보는, 우선 이용 시간대 정보와, 우선 이용 대상 특정카드 정보와, 우선 이용 예약 정보, 부스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2에 도시된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정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사항을 위배하지 않는 범위에서, 전시장에 입장하는 고객의 카드정보 또는 무선 단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 대상 고객인지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들을 다양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저장매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추가 및/또는 수정 등이 충분히 가능할 수 있음을 밝힌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고객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3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저장 정보중, 무선 단말 정보와 카드정보를 포함하는 고객 개인정보를 도시한 데이터 테이블 예시도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단말 정보 및 카드정보는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에 방문하였을 때, 상기 고객이 특정카드로 전시장 입장권을 구매한 고객인지, 또는 사전에 상기 전시장 내의 특정 부스에 대한 이용 예약을 신청한 고객인지, 또는 별도의 요금을 지불하고 특정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을 신청한 고객인지 확인하는 근거가 된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특정 부스 우선 이용 신청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4는 본 발명에 따라 전시장 방문시, 특정 부스(예컨대, “AA 전자 주식회사”)를 우선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들의 우선 이용 신청 내역을 데이터 테이블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4를 참조하면, “AA 전자 주식회사”가 운영하는 부스에 12:00에 우선 이용 신청된 고객이 25명이고, 상기 25명에 대한 고객 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부스 우선 이용 시간은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 입장권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또는 부스 이용 예약을 신청하는 과정에서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에 방문하였을 때, 상기 부스에서 상기 고객의 전시장 방문 정보(예컨대, 방문 시간정보 등)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결정될 수 있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특정 부스 우선 이용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5를 참조하면, 도시된 특정 부스 우선 이용 정보는, 부스 정보(명칭)와, 부스 우선 이용 시간 정보와, 부스 우선 이용이 적용되는 특정 카드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AA 전자 주식회사”가 운영하는 부스의 경우, 부스 우선 이용이 가능한 시간은 12:00~15:00이며, 또한, 부스 우선 이용이 적용되는 특정 카드는 “SH 멤버스 카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객의 상기 전시장(또는 놀이공원)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부스(또는 놀이기구)를 우선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소정의 권한은, 상기 고객이 특정 카드로 상기 전시장(또는 놀이공원)에 대한 입장권을 구매함으로서, 획득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특정 카드는, 예컨대 특정 부스(또는 놀이기구)에 대한 우선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선불카드, 신용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멤버쉽 카드, 포인트 카드, ID 카드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6a와 도면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저장매체에 특정 부스 우선 이용을 위한 소정의 정보가 저장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6a는 고객이 특정 카드로 전시장 입장권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특정 부스 우선 이용 관련 정보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카드는, 특정 부스(또는 놀이기구)에 대한 우선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선불카드, 신용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멤버쉽 카드, 포인트 카드, ID 카드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6a를 참조하면, 도시된 정보 저장 과정은, 전시장에 구비된 특정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을 신청하고자 하는 고객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스 이용에 따른 우선권이 부여되는 특정카드로 상기 전시장 입장을 위한 입장권을 구매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으며(600a), 이하 흐름도에서는 편의상 상기 도면1에 도시된 각 기능 수단들은 상기 기능 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로 총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서버는 상기 특정 카드 정보와 연계처리 되어 저장될 상기 고객의 무선 단말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고객으로부터 고객 소유 무선 단말 정보를 수신한다(605a).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서버는 상기 고객의 전시장내 부스 이용 동선 지정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데(610a),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 내 부스 이용 도선에 대한 지정이 없다면(615a), 상기 고객의 무선 단말 정보와 상기 특정 카드 정보를 연계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한다(620a).
반면에,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 내 부스 이용 동선을 지정하고자 한다면, 상기 서버는 상기 고객의 무선 단말 정보와 상기 특정 카드 정보 및 지정된 동선 정보를 연계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한다(625a).
바람직하게, 상기 고객의 특정 카드 정보와 무선 단말 정보는 상기 고객 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의 특정 부스 우선 이용 신청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면6b는 본 발명에 따라 고객이 특정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 예약 신청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객 소유 카드 정보 및 무선 단말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6b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는 고객이 전시장 입장권 구매시, 특정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 예약을 신청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600b).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특정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 예약은 그에 대응하는 소정의 요금이 책정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상기 특정 부스의 우선 이용 예약에 대한 소정의 요금을 지불하는 것을 포함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특정 부스의 우선 이용에 대한 요금이 있다면(605b), 상기 고객은 상기 특정 부스 이용 예약에 따른 추가 요금을 지불한다(610b).
상기 고객의 상기 특정 부스 이용 예약에 대한 추가 요금이 지불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고객으로부터 고객 소유 카드정보 및 무선 단말 정보를 수신한다(615b).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고객의 전시장 내 부스 이용 동선 지정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데(620b), 상기 고객의 전시장내 부스 이용 동선 지정여부가 확인되지 않으면(625b), 상기 서버는 상기 고객의 무선 단말 정보와 상기 특정 카드 정보를 상기 우선 이용 예약 정보와 연계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한다(630b).
반면에, 상기 고객의 전시장내 부스 이용 동선 지정여부가 확인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고객의 무선 단말 정보와 상기 특정 카드 정보 및 지정된 동선 정보를 상기 우선 이용 예약 정보와 연계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한다(635b).
도면7a와 도면7b와 도면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전시장에 방문한 고객에 대한 특정 부스 우선 이용이 허여되기까지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7a와 도면7b와 도면7c는 전술한 도면6a와 도면6b의 과정을 통해 고객의 특정 부스 우선 이용을 위한 소정의 정보(예컨대, 카드정보, 무선 단말 정보, 우선 이용 권한 정보, 전시장 부스 방문 동선 정보 등)가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후,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에 방문하였을 때, 상기 방문한 고객이 상기 특정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 대상 고객임을 판단하고, 상기 고객에게 상기 특정 부스 우선 이용에 대한 소정의 우선 이용 권한 내역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7a는 상기 전시장에 방문한 고객의 소유 카드를 통해 상기 고객이 특정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 대상 고객임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예시도로서,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고객의 전시장 입장시, 소정의 단말에서 상기 고객 소유 카드를 리딩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700a).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에서 고객 소유 카드를 리딩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은, 하기의 도면8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말에서 상기 고객 소유 카드를 리딩하면, 상기 리딩된 고객 카드 정보는 상기 서버로 전달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저장매체와 연동하여, 상기 리딩된 카드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된 고객 정보 및 고객 무선 단말 정보를 확인한다(705a).
그리고, 상기 서버는 상기 고객 카드정보와 고객 정보 및 고객 무선 단말 정보를 근거로, 상기 고객이 특정 부스 이용에 대한 우선적 이용 권한이 부여된 고객인지 판단한다(710a).
만약, 상기 고객이 특정 부스 이용에 대한 우선적 이용이 허여된 고객이라면(715a), 상기 서버는 상기 고객의 우선 이용 대상 부스(단말) 정보를 확인하고(720a), 상기 확인된 우선권 이용 대상 부스(단말)로 상기 고객의 입장 정보(예컨대, 입장 시간 정보 등)를 전송한다(725a).
그러면, 상기 고객 입장 정보를 전송받은 우선 이용 대상 부스(단말)는 상기 고객의 입장 정보(입장시간정보 등)를 근거로 상기 고객의 부스 우선 이용 시간 정보를 확인(또는 산출)하고(730a), 상기 확인(또는 산출)된 상기 고객의 부스 우선 이용 시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우선 이용 대상 부스(단말)는 상기 전시장 내 부스 위치 정보 및/또는 부스 안내 메시지 등을 상기 서버로 더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우선 이용 대상 부스(단말)로부터 상기 확인(또는 산출)된 상기 고객의 상기 부스 우선 이용 시간 정보 및 위치정보 등을 수신하고(735a), 상기 고객 무선 단말로 상기 우선 이용 부스 위치 정보 및 우선권 이용 시간 정보 등을 전송함으로서 상기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 권한 내역을 전달하게 된다(740a).
도면7b는 상기 전시장에 방문한 고객의 소유 무선 단말을 통해 상기 고객이 특정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 대상 고객임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예시도로서,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고객의 전시장 입장시, 전시장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 중계기를 통해 상기 고객의 무선 단말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으며(700b), 상기 로컬 중계기를 통해 상기 고객의 무선 단말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하기의 도면11 내지는 도면13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전시장 내에 구비된 로컬 중계기를 통해 상기 고객 무선 단말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저장매체와 연동하여, 상기 확인된 무선 단말 정보와 연계 처리된 고객 정보 및/또는 고객 카드 정보를 확인한다(705b).
그리고, 상기 서버는 상기 확인된 고객 카드정보와 고객 정보 및 고객 무선 단말 정보를 근거로, 상기 고객이 특정 부스 우선 이용 대상 고객인지 판단하고(710b), 만약 상기 고객이 상기 특정 부스 우선 이용 대상 고객이라고 판단되면(715b), 상기 서버는 상기 고객의 우선 이용 대상 부스(단말) 정보를 확인한다(720b).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확인된 우선 이용 대상 부스(단말)로 상기 고객의 입장 정보(예컨대, 입장시간 정보 등) 및 무선 단말 정보를 전송하고(725b), 상기 우선 이용 대상 부스(단말)은 상기 고객의 입장 정보(입장시간정보 등)를 근거로 우선권 이용 시간 정보 산출(또는 확인)한다(730b).
그리고, 상기 우선 이용 대상 부스(단말)은 상기 고객 무선 단말로 상기 산출(또는 확인)된 상기 고객의 우선 이용 대상 부스 위치 정보 및 부스 우선 이용 시간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 권한 내역을 상기 고객에게 전달한다(735b).
도면7c는 상기 전시장에 방문한 고객의 소유 카드를 통해 상기 고객이 특정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 대상 고객임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객의 부스 방문 동선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지정된 부스 방문 동선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고객의 부스 우선 이용 시간 정보를 산출(또는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고객의 전시장 입장시, 소정의 단말에서 상기 고객 소유 카드를 리딩하여(700c), 상기 리딩된 카드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와 연동하여, 상기 리딩된 카드정보와 연계 처리된 고객 정보 및 고객 무선 단말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705c).
상기 서버는 상기 확인된 고객 카드정보와 고객 정보 및 고객 무선 단말 정보를 근거로, 상기 고객이 특정 부스 이용에 대한 우선 권한이 부여되는 고객인지 판단하는데(710c), 여기서 상기 고객이 특정 부스 이용에 대한 우선 권한이 부여되는 고객이라면(715c), 상기 서버는 상기 저장매체와 연동하여, 상기 고객의 부스 방문 동선지정 여부를 더 확인할 수 있다(720c).
만약, 상기 고객이 기 지정한 전시장 방문시의 부스 방문 동선 정보가 존재한다면(725c), 상기 서버는 상기 고객이 지정한 부스 방문 동선상의 부스(단말) 정보를 확인한다(730c).
그리고, 상기 서버는 상기 고객이 지정한 부스 방문 동선상의 부스(단말)와 연동하여, 상기 동선에 따른 부스별 우선권 이용 시간 정보를 산출(또는 확인)한다(735c).
그러면, 상기 서버(또는 상기 동선상의 부스(단말))는 상기 고객 무선 단말로 상기 우선권 이용 부스 위치 정보 및 우선권 이용 시간 정보를 전송하여(740c), 상기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 권한 내역을 상기 고객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하, 도면8은 상기 도면7a의 과정에서 전술된 전시장 방문(또는 입장) 고객 카드로부터 카드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간단한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전시장 입장 고객의 카드로부터 카드정보를 확인하는 간단한 구성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소정의 무선 인터페이스 규격을 포함하여 상기 고객에게 발급된 또는 고객이 소유한 카드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 안으로 방문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면8은 소정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입구 게이트에 구비된 소정의 RF 리더에서 상기 고객 카드를 인식하여 상기 고객이 전시장에 방문했는지 확인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사항을 위배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전시장에 구비된 입장 게이트에서 상기 고객 카드 및/또는 고객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 안으로 방문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시스템의 일부를 변형하여 실시하는 각각의 실시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전시장의 입구 게이트에는 상기 고객 카드에 구비된 무선 인터페이스 특성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 규격을 제공하는 RF 리더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시장을 방문하는 고객이 무선 인터페이스 기반 고객 카드를 상기 RF 리더에 근접시키면, 상기 RF 리더는 각각의 무선 인터페이스 규격을 통해 상기 고객 카드에 저장된 매체 저장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카드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전시장의 입구 게이트에 구비된 상기 RF 리더기는 상기 전시장에 구비된 소정의 단말(또는 로컬서버)로 상기 추출된 고객 카드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단말(또는 로컬서버)은 상기 RF 리더로부터 상기 고객 카드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소정의 정보 추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또는 로컬서버)은 상기 RF 리더로부터 입력된 고객 카드정보를 근거로 소정의 네트워크 및/또는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특정 장소(전시장 등)에서의 우선권 부여 정책 운용 시스템 상의 서버(예컨대, 정보 독출수단을 포함하는 서버)로 상기 입력된 카드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 카드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무선 단말 정보 및/또는 고객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전송부와, 네트워크 및/또는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서버가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 정보 및/또는 고객 정보를 추출하면, 상기 추출된 상기 무선 단말 정보와 고객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추출된 고객 카드정보와 상기 수신된 무선 단말 정보 및/또는 고객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또는 로컬서버)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 카드정보와 매칭되는 무선 단말 정보 및/또는 고객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된 무선 단말 정보 및/또는 고객 정보가 상기 고객 카드정보와 연계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한 후, 상기 고객 카드정보 및/또는 무선 단말 정보 및/또는 고객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고객 무선 단말로 특정 부스 우선 이용에 대한 권한 내역을 전송하거나 출력하는 정보 제공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면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전시장 입장 고객의 무선 단말로부터 무선 단말 정보를 확인하는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면9는 소정의 무선 인터페이스 규격을 포함하여 전시장에 입장하는 고객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 안으로 방문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면9는 무선 단말 인식을 통해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에 방문했는지 확인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9를 참조하면, 상기 전시장의 입구 게이트에는 상기 고객 무선 단말이 상기 입구 게이트를 통과했음을 인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 중계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시장을 방문하는 고객이 소정의 무선 단말을 상기 로컬 중계를 통과 시키면, 상기 로컬 중계기는 상기 무선 단말기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사항을 위배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전시장에 구비된 입장 게이트에서 상기 고객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고객이 상기 전시장 안으로 방문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시스템의 일부를 변형하여 실시하는 각각의 실시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로컬 중계기는 일정 영역 내에서 이동 통신망 상에 구비된 소정이 기지국의 미약한 신호를 증폭하여 블록화된 음영지역에서 상기 기지국을 대신하여 소정의 무선 단말과 무선 채널(예컨대, 파일롯 채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로컬 중계기는 상기 음영지역과 무관하게 전계강도를 증폭하여 상기 입장 게이트를 통과하는(또는 입장 게이트 근처의) 무선 단말이 상기 로컬 중계기와 무선 채널을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시장에 입장하는 방문객의 무선 단말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대한 기술적 설명은 도면10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로컬 중계기와 연계되는 기지국이 소정의 전시장 전용 기지국(예컨대, 상기 단말(또는 로컬서버)에서 무선 단말을 소지한 고객이 전시장에 방문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상기 단말(도는 로컬서버)과 직접 통신하는 기지국)인 경우, 상기 단말장치(또는 로컬서버)는 상기 로컬 중계기 및/또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전시장에 방문한 고객의 무선 단말 정보(예컨대, 입구 게이트에 구비된 로컬 중계기와 무선 채널이 연결된 무선 단말의 무선단말정보)를 직접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로컬 중계기와 연계되는 기지국의 망연동 기지국(예컨대, 종래 이동 통신망 상에 구비된 기지국)인 경우, 상기 단말(또는 로컬서버)은 상기 로컬 중계기로부터 상기 전시장에 방문한 고객의 무선 단말 정보(예컨대, 입구 게이트에 구비된 로컬 중계기와 무선 채널이 연결된 무선 단말의 무선단말정보)를 직접 추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단말(또는 로컬서버)과 이동 통신망을 연결하는 소정의 무선망 연동수단을 통해 소정의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 통신망 상의 무선교환국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HLR/VLR에 구비된 무선단말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전시장에 방문한 고객의 무선단말정보(예컨대, 입구 게이트에 구비된 로컬 중계기와 무선 채널이 연결된 무선 단말의 무선단말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면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기지국B에서 무선 단말기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소정의 무선 단말기가 기지국A와 채널이 연결된 상태(예컨대, 무선 단말기와 기지국A가 통신채널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순방향 채널 및/또는 역방향 채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기지국B가 관리하는 셀영역B으로 진입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채널이 기지국A에서 기지국B으로 핸드오프(Handoff)되면서 상기 기지국B가 상기 무선 단말기 정보를 확인하는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도면9와 도면10을 참조하여 상기 로컬 중계기에서 상기 전시장에 방문한 고객의 무선단말정보(예컨대, 입구 게이트에 구비된 로컬 중계기와 무선 채널이 연결된 무선 단말기의 무선단말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도면10에서는 편의상 상기 기지국A와 채널이 연결된 무선 단말기가 통화대기 상태에서 상기 기지국B가 관리하는 셀영역B로 위치 이동시, 상기 기지국A에서 기지국B로 소프트 핸드오프되는 것으로 하며, 상기 기지국B와 관리하는 셀영역B는 주파수 도달 범위가 수백미터 이내(예컨대, 건물에 구비되는 미니 기지국)인 것으로 한다. 상기 셀영역B는 상기 기지국B의 전계강도가 상기 기지국B의 전계강도를 초과하는 영역으로 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B가 관리하는 셀영역B로 위치 이동하는 것은 상기 기지국A의 전계강도보다 기지국B의 전계강도가 커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상기 기지국A에서 기지국B로 핸드오프가 발생하는 조건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기술적 특징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위배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의 다양한 상태(예컨대, 트래픽 상태 등)에 대응하는 다양한 핸드오프 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기지국B가 상기 무선 단말기 정보를 확인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 무선 단말기가 트래픽 상태라면, 상기 무선 단말기와 각 기지국 사이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트래픽 채널에 포함되어 송수신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B과 관리하는 셀영역B로 위치 이동하기 전(예컨대, 핸드오프가 발생하기 전)에 상기 무선 단말기는 기지국A와 채널이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A과 연결된 호출채널(Page Channel)을 통해 상기 기지국B에 대한 PN 오프셋 및 주파수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NLM(Neighbor List Message)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상기 무선 단말기가 기지국B와 관리하는 셀영역B로 진입시 핸드오프 과정이 고속으로 발생하게 된다.
물론,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NLM에 상기 기지국B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이 경우 상기 핸드오프 과정은 상기 기지국B에 대한 파일롯 채널 검색 과정을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기지국B에서 상기 셀영역B로 진입하는 모든 무선 단말기에 대하여 PSMM(Pilot Strength Measurement Message)을 요청하는 절차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A와 기지국B는 소정의 유선 구간을 통해 상기 기지국들과 교환국을 연결하며 폴링(Polling)이나 선택(Selection), 회복(Recover) 등의 망 제어 과정을 관리하는 지국에 해당하는 소정의 제어국(BSC)과,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일반 전화망, 동일 또는 다른 이동 통신망에 있는 다른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 사이의 사용자 트래픽을 위한 접속점을 구성하는 교환국, 및 상기 이동 통신망에 가입한 가입자의 무선 단말기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홈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 및/또는 방문자위치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만, 본 도면4에서는 상기 기지국A와 기지국B가 같은 제어국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서로 다른 제어국과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B가 관리하는 셀영역B로 진입하면(예컨대, 상기 기지국A의 전계강도보다 기지국B의 전계강도가 커지면), 상기 무선 단말기는 NLM을 참조하여 상기 기지국B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기지국A에서 기지국B로 핸드오프하기 위한 소정의 PSMM을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A로 전송하는데, 상기 PSMM은 상기 무선 단말기와 채널이 연결된 기지국A 관련 정보와 상기 무선 단말기가 핸드오프하고자 하는 기지국B 관련 정보가 포함한다.
상기 PSMM을 수신한 기지국A는 상기 PSMM에 포함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의 채널을 상기 기지국A에서 기지국B로 핸드오프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과정에서 상기 기지국B로 상기 무선 단말기 정보가 제공된다. 즉, 상기 무선 단말기의 채널을 상기 기지국A에서 기지국B로 핸드오프하기 위해 기지국A와 기지국B는 상기 무선 단말기로 HDM(Handoff Direction Message)을 내려주는데, 상기 HDM를 내려주기 위해 상기 기지국A는 상기 기지국B로 상기 PSMM을 전송한 무선 단말기에 대한 핸드오프 관련 정보를 상기 기지국B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기지국A에서 기지국B로 제공하는 핸드오프 관련 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초기화 상태에서 동적으로 생성되어 상기 기지국A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무선 단말기에 대한 동적식별정보(예컨대, NID(Network I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기지국B는 상기 동적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망 상의 HLR/VLR로부터 상기 동적식별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소정의 무선 단말기 정보(예컨대,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요청 및 이를 수신하며, 이에 의해 상기 기지국B는 상기 셀영역B로 위치 이동한 무선 단말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기지국A에서 기지국B로 제공하는 핸드오프 관련 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기 정보(예컨대, 무선 단말기에 대한 롱 코드(Lond Code)에 포함된 MIN 및/또는 ESN(Electronic Serial Number) 값)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기지국B는 상기 셀영역B로 위치 이동한 무선 단말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면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고객 무선 단말로 특정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 권한 내역이 제공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면11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객 무선 단말로 전송되는 특정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 권한 내역은, 우선 이용 순위, 부스 정보, 부스 위치, 우선 이용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객 무선 단말로 전송되는 특정 부스에 대한 우선 이용 권한 내역은 (가)와 같이 문자/숫자 등으로 이루어진 소정의 인증코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나)와 같이 바코드 형태의 인증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100 : 정보 저장수단 105 : 정보 확인수단
110 : 정보 추출수단 115 : 정보 전송수단
120 : 정보 수신수단 125 : 정보 독출수단
130 : 정보 제공수단 135 : 정보 산출수단
140 : 저장매체 145 : 고객 카드
150 : 고객 무선 단말

Claims (1)

  1. 특정 카드로 특정장소 입장권을 구매한 고객의 카드정보 및 무선단말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와 상기 고객이 상기 특정장소에 설치된 특정 부스의 우선 이용을 위해 신청하는 특정 부스 이용 우선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수단;
    상기 고객의 상기 특정장소 입장시, 상기 고객이 우선 이용을 신청한 특정 부스에 구비된 단말로 상기 우선권 이용 신청 고객의 고객정보를 제공하는 수단; 및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고객의 우선권 적용 시간정보를 상기 고객의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특정장소에서의 우선권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0110042799A 2011-05-06 2011-05-06 특정 장소에서의 우선권 정보 처리 시스템 KR20110056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799A KR20110056268A (ko) 2011-05-06 2011-05-06 특정 장소에서의 우선권 정보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799A KR20110056268A (ko) 2011-05-06 2011-05-06 특정 장소에서의 우선권 정보 처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469A Division KR20070052632A (ko) 2005-11-17 2005-11-17 특정 장소(전시장 등)에서의 우선권 부여 정책 운용방법 및시스템과 이를 위한 우선권 부여 정책 운용장치,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268A true KR20110056268A (ko) 2011-05-26

Family

ID=4436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799A KR20110056268A (ko) 2011-05-06 2011-05-06 특정 장소에서의 우선권 정보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62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591B1 (ko) 고 처리율의 요금 지불 및 시스템 액세스를 가능케 하는 생체 인식 솔루션
US1023581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onic payment for parking in gated garages
US20150134428A1 (en) Connected toll pass
CN106097504A (zh) 一种酒店自行入住的实现方法
KR101720854B1 (ko)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 및 방법
KR101539847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60048640A1 (en) Patient management service method, treat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er node and server applied thereto
CN106572488A (zh) 一种终端设备的wifi热点共享方法以及终端设备
KR20100091590A (ko) 월드 가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공중 무선랜 서비스 네트워크 시스템
KR20070052629A (ko) 특정 장소(전시장 등)에서의 고객 정보 운용방법 및시스템과 이를 위한 고객정보 운용장치, 정보 저장매체,기록매체
KR20180012370A (ko) 선주문의 효과적 대응을 위한 주문 정렬 방법
KR100832828B1 (ko) 연예인 전시장 운영을 통한 연예인 팬클럽 회원 유치방법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454835B1 (ko) Nfc 기반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쿠폰 발행 시스템 및 방법
Gautam et al. Existing scenario of near field communication in transport sector
KR20110056268A (ko) 특정 장소에서의 우선권 정보 처리 시스템
KR20070052632A (ko) 특정 장소(전시장 등)에서의 우선권 부여 정책 운용방법 및시스템과 이를 위한 우선권 부여 정책 운용장치, 기록매체
KR100832817B1 (ko) 팬클럽 부스 운용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0824565B1 (ko) 정보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110056270A (ko) 특정 장소에서의 고객 정보 운용방법
KR20180110301A (ko)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KR20070121896A (ko) 행사장 운영 방법
KR100832834B1 (ko) 연예인 전시장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JP5272382B2 (ja) 移動通信端末の通信機能制御方法
KR20070052635A (ko) 특정 장소(전시장 등)에서의 카드 정보 운용방법 및시스템과 이를 위한 카드정보 운용장치, 기록매체
KR101612943B1 (ko) 근거리 유저 식별을 통한 자동 판매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