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6077A -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 - Google Patents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6077A
KR20110056077A KR1020090112761A KR20090112761A KR20110056077A KR 20110056077 A KR20110056077 A KR 20110056077A KR 1020090112761 A KR1020090112761 A KR 1020090112761A KR 20090112761 A KR20090112761 A KR 20090112761A KR 20110056077 A KR20110056077 A KR 20110056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rive gear
food waste
drying furnace
main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재
배병찬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2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6077A/ko
Publication of KR20110056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4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 F26B13/18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heated or cooled, e.g. from inside, the material being dried on the outside surface by conduction
    • F26B13/183Arrangements for heating, cooling, condensate remov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using movable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9Alarm systems; Safety sytems, e.g. preventing fire and explo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Abstract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가 제공된다. 개시된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는 건조로의 하면에 형성되는 배출홀에 대응하는 배출공을 구비한 주구동기어, 상기 주구동기어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보조구동기어, 및 상기 주구동기어의 상기 배출홀 개폐 여부를 센싱하는 감지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구동기어는 기어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주구동기어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배출홀과 상기 배출공 간의 상호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조로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해 한 쌍의 맞물린 구동기어 및 감지 스위치를 사용하여 건조로 하단에 형성된 배출홀의 개폐를 정밀하게 수행하게 한다.
치륜, 구동기어, 건조로, 감지 스위치, 배출홀

Description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Food Waste Discharging Structure of a Toothed Wheel Type and Food Dispos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 및 건조하여 배출하는 음식물처리기의 건조로에서 치륜 구조로 이루어진 배출장치를 구비하여 건조로 하단에 구비된 배출구의 개폐를 정확하게 조절하고자 하는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발효처리방식, 소각처리방식, 사료 및 비료(퇴비)로 재활용하는 방식, 땅속으로 매립하는 방식 등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들은 대규모의 시설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수집과 운반 또는 저장에 따른 악취나 불편함 등의 다양한 부작용과 환경오염이라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유발하므로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환경오염을 줄이고 이를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시급하게 요구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억제 및 재 활용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처리기는 탈수, 절단 및 건조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함과 아울러 부피를 줄여 그 배출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싱크대에 부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탈수하면서 절단하여 잘게 잘라주는 탈수/절단부, 탈수 및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모터에 의해서 일-방향 회전되는 회전날개에 의해서 탈수 및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를 골고루 뒤집고 분산시키면서 고열에 의해서 수분을 제거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 건조로 및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어 저장되는 배출함을 갖추어 구성된다. 한편, 프리스탠딩 타입의 음식물 처리기는 싱크대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와 유사하지만 건조로에서 탈수 및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게 컴팩트하게 구조가 만들어져 어느 장소에서든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제작이 되어진다.
그러나, 싱크대 부착형 또는 프리스탠딩 타입의 음식물 처리기들 모두 건조로에서 분쇄 및 건조가 이루어진 다음에 음식물찌꺼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건조로의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이용하여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는 건조로에 별도의 개폐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분쇄가 완전히 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도 배출구를 통해 한꺼번에 빠져 나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즉, 사용자 입장에서 분쇄 및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음식물 처리물이 배출구 하부의 배출함으로 토출되는 경우에는 다시 분쇄 및 건조 작업 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를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건조로에 별도의 개폐 장치가 구비된 경우라도 상기 개폐장치는 단순히 건조로의 하단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구조의 기능만을 담당하므로써 정밀한 제어를 수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기존의 싱크대 내부에 설치되는 방식이 아닌 프리 스탠딩 방식의 음식물 처리기가 소비자들 사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인데, 소비자들 사이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잘게 분쇄됨이 없이 건조로 내부에 남아있다라는 불만이 접수되고 있는 바 그로 인해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하단에 배치되는 배출장치의 구조를 제어모터 및 감지스위치를 이용한 치륜 타입의 구동형태로 구성하여 정밀한 위치제어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건조로에서 처리가 완료된 음식물쓰레기의 배출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는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는 건조로의 하면에 형성되는 배출홀에 대응하는 배출공 을 구비한 주구동기어, 상기 주구동기어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보조구동기어, 및 상기 주구동기어의 상기 배출홀 개폐 여부를 센싱하는 감지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구동기어는 기어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주구동기어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배출홀과 상기 배출공 간의 상호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구동모터는 스테핑 모터 구동 타입일 수 있다.
상기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는 상기 건조로의 외부 하면에 장착되고 가이드홀이 관통형성된 지지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구동기어로부터 돌출 형성된 기어가이드가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운동함으로써 상기 주구동기어의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감지 스위치는 돌출형성된 감지단을 구비하고, 상기 주구동기어의 회전운동 중에 상기 기어가이드와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주구동기어의 회전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건조로에 형성된 배출홀에 대응하는 배출공을 구비한 주구동기어, 상기 주구동기어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보조구동기어, 상기 주구동기어가 배출홀을 개폐하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감지 스위치, 및 상기 건조로의 외부 하면에 장착되고 가이드홀이 관통형성된 지지패널을 구비한 배출장치와, 상기 건조로에서 토출되는 배출공기의 냉각 및 응축을 수행하는 냉각장치와, 상기 냉각장치로부터의 응축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후 배출하는 응축수 저장조와, 및 상기 건조로에서 상기 냉 각장치로의 배출공기의 유동을 지원하는 순환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는 건조로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해 한 쌍의 맞물린 구동기어 및 감지 스위치를 사용하여 건조로 하단에 형성된 배출홀의 개폐를 정밀하게 수행하게 한다. 주구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기어가이드가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기어가이드가 감지 스위치와 연동하여 전기적으로 위치센싱을 진행함으로써 주구동기어에 형성된 배출공과 배출홀의 위치관계에 대해서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다. 더불어, 스테핑모터에 의한 주구동기어의 회전에 대해 정확한 구동이 이루어지는지 파악하여 즉각적인 정비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하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에 대한 부분확대사시도, 도 3은 제어부를 중심으로 한 구성요소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건조로의 배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배출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건조로의 부분확대저면도, 및 도 5는 건조로의 배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배출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건조로의 부분확대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음식물 처리기(10)는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분쇄 및 건조 작업이 행해지는 공간인 건조로(11), 건조로(11)의 상단에 도어(미도시)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도어지지부(12), 상기 도어지지부(12)에 형성된 토출구(13)를 통해 건조로(11)에서 외부로 배출공기를 유동하게 하는 순환팬(20), 순환팬(20)에 의해 이송된 배출공기에 대한 강제냉각을 통해 배출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를 액화하여 응축수로 변화하게 하는 냉각장치(30), 냉각장치(30)를 거친 응축수에 대한 저장을 통해 갑작스런 유량 증가에 대한 압력 완충 작용을 행하는 응축수 저장 조(40), 및 상기 건조로(11) 하면에 형성된 배출홀(15)에 대한 개폐 작용을 행하는 배출장치(100)를 구비한다.
건조로(11)는 내부에 나선 모양의 날개를 가진 분쇄스크류(16))가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며 분쇄스크류(16)의 회전구동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잘게 분쇄되는 동시에 히터(미도시)에 의해 분말상태로 건조 작업이 행해진다. 분쇄스크류(16)는 건조로(11) 하부 중앙에 마련되는 구동모터 체결부(50)에 접속되는 스크류 구동모터(60)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냉각장치(30)는 내부에 스파이럴 형상의 냉각체(미도시)가 구비되고, 배출공기가 냉각체를 거치면서 나선 모양으로 하강하며 회전유동을 하는 과정에서 냉각이 원활하게 일어나게 할 수 있다. 즉, 냉각체는 냉각장치(30) 내에 수직으로 배치된 임의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반향으로 휘어져 나가는 날개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고온다습한 배출공기가 넓은 면적을 서서히 지나면서 자연냉각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하는 구조가 된다. 냉각장치(30)의 상단에는 냉각팬(32)이 배치되어 바람을 강제적으로 불어넣음으로써 냉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배출장치(100)는 건조로(11)에 형성된 배출홀(15)에 대응하는 배출공(124)을 구비한 주구동기어(120), 주구동기어(120)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보조구동기어(130), 주구동기어(120)가 배출홀(15)을 개폐하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감지 스위치(140), 및 건조로(11)의 외부 하면에 장착되고 가이드홀(114)이 관통형성된 지지패널(110)을 포함한다. 지지패널(110)에 형성된 회전중심홀(112)은 주구동기 어(120)의 중심과 일치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지지패널(110)이 주구동기어(120)를 하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지지패널(110)은 단부에 다수의 고정구(111)를 구비하는데, 상기 고정구(111)는 지지패널(110)을 주구동기어(120)와 간섭되지 않게 건조로(11)의 하면에 부착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고정구(111)를 통해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미도시)이 결합되어져 단단히 고정된다.
주구동기어(120)는 외주면에 제1치형(121)이 형성된 톱니바퀴 형상이고, 보조구동기어(130)는 외주면에 제2치형(131)이 형성된 톱니바퀴 형상이며, 상기 치형들(121,131)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한쌍의 구동기어(120,130)가 연동하여 회전구동하게 된다. 보조구동기어(130)는 기어구동모터(135)에 의해 구동되고, 주구동기어(1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배출홀(15)과 배출공(124) 간의 상호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기어구동모터(135)는 스테핑 모터 방식의 구동 타입이 적용되어져 보조구동기어(130)의 회전을 일정한 단위의 회전각도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주구동기어(120)는 보조구동기어(130)와의 잇수비를 계산하여 회전각도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주구동기어(120)의 표면으로는 기어가이드(122)가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기어가이드(122)는 가이드홀(114)을 따라 운동함으로써 주구동기어(120)의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즉, 가이드홀(114)은 지지패널(110)의 회전중심홀(112)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호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기어가이드(122)는 주구동기어(120)의 회전 중에 가이드홀(114)과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이드홀(114) 내 면과 일정한 이격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감지 스위치(140)는 돌출형성된 감지단(142)을 구비하고, 주구동기어(120)의 회전운동 중에 기어가이드(122)와의 접촉을 통하여 주구동기어(120)의 회전 상태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 감지 스위치(140)는 그 일단에 마련되는 접속단자(143)를 통하여 제어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제어부(150)는 기어가이드(122)의 감지단(142)에 대한 가압작용을 센싱하여 주구동기어(120)의 회전을 감지하게 된다. 제어부(150)에서 기어구동모터(135)에 구동명령을 내렸을 때 보조구동기어(130)와 주구동기어(120)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기어가이드(122)에 의한 감지단(142)의 눌림이 있었는지 여부를 센싱하여 주구동기어(12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150)에 센싱값이 인식되지 않는다면 주구동기어(120) 또는 감지 스위치(140)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이 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점검시 주구동기어(120)가 정상적으로 회전구동한다면 감지 스위치(140)의 센싱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감지단(142)은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기어가이드(122)의 이동에 따라 복수개의 감지단(142)이 차례로 가압되는 것을 제어부(150)에서 감지함으로써 주구동기어(120)가 회전하는 것을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주구동기어(120)의 회전에 따른 배출홀(15)의 개폐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기어가이드(122)가 가이드홀(114)의 일측단에 정지한 상태에서 건조로(11)의 배출홀(15)이 개방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상기의 상 태는 배출홀(15)과 배출구(124)가 완전히 일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건조로(11) 내의 건조된 음식물 찌꺼기의 배출이 최대로 일어날 수 있게 된다.
배출홀(15)의 개방을 통한 음식물의 배출작용이 진행된 후 제어부(150)는 기어구동모터(135)를 통하여 보조구동기어(130)을 가동하도록 한다. 보조구동기어(130)가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함에 따라 보조구동기어(130)에 맞물린 주구동기어(1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을 개시한다. 주구동기어(120)가 회전함에 따라 기어가이드(122)는 가이드홀(114)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의 이동과정 중에 기어가이드(122)는 감지 스위치(140)의 감지단(142)을 가압하여 누르고 지나가게 된다. 여기에서, 감지단(142)에 대한 누름 작용을 통한 센싱값이 접속단자(143)를 통해 제어부(150)에 전달되어 주구동기어(120)의 회전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감지단(142)은 기어가이드(122)의 이동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는데, 이런 구조하에서는 각 감지단(142)에 대한 주구동기어(120)의 위치값을 미리 제어부(150)에 설정함으로써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조로(11)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해 한 쌍의 맞물린 구동기어(120,130) 및 감지 스위치(140)를 사용하여 건조로(11) 하단에 형성된 배출홀(15)의 개폐를 정밀하게 수행하게 한다. 즉, 배출홀(15)에 대한 직접적인 개폐작용을 하는 주구동기어(120)에 형성된 기어가이드(122)가 감지 스위치(140)와 연동하여 전기적으로 위치센싱을 진행함으로써 기어구동모터(135)에 의한 주구동기어(120)의 회전에 대해 정확한 구동이 이루어지는지 파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하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에 대한 부분확대사시도,
도 3은 제어부를 중심으로 한 구성요소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건조로의 배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배출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건조로의 부분확대저면도, 및
도 5는 건조로의 배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배출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건조로의 부분확대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식물 처리기 11 : 건조로
12 : 도어 지지부 13 : 토출구
15 : 배출홀 20 : 순환팬
30 : 냉각장치 40 : 응축수 저장조
42 : 응축수 배출구 50 : 구동모터 체결부
100 : 배출장치 110 : 지지패널
111 : 고정구 112 : 회전 중심홀
114 : 가이드홀 120 : 주구동기어
121 : 제1치형 122 : 기어가이드
124 : 배출공 130 : 보조구동기어
131 : 제2치형 140 : 감지스위치
142 : 감지단 143 : 접속단자

Claims (5)

  1. 건조로의 하면에 형성되는 배출홀에 대응하는 배출공을 구비한 주구동기어;
    상기 주구동기어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보조구동기어; 및
    상기 주구동기어의 상기 배출홀 개폐 여부를 센싱하는 감지 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구동기어는 기어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주구동기어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배출홀과 상기 배출공 간의 상호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구동모터는 스테핑 모터 구동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의 외부 하면에 장착되고 가이드홀이 관통형성된 지지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구동기어로부터 돌출 형성된 기어가이드가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운 동함으로써 상기 주구동기어의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스위치는 돌출형성된 감지단을 구비하고, 상기 주구동기어의 회전운동 중에 상기 기어가이드와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주구동기어의 회전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
  5. 제 1항 내지 제 4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에서,
    상기 건조로에서 토출되는 배출공기의 냉각 및 응축을 수행하는 냉각장치;
    상기 냉각장치로부터의 응축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후 배출하는 응축수 저장조; 및
    상기 건조로에서 상기 냉각장치로의 배출공기의 유동을 지원하는 순환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20090112761A 2009-11-20 2009-11-20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 KR20110056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761A KR20110056077A (ko) 2009-11-20 2009-11-20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761A KR20110056077A (ko) 2009-11-20 2009-11-20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077A true KR20110056077A (ko) 2011-05-26

Family

ID=4436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761A KR20110056077A (ko) 2009-11-20 2009-11-20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60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785B1 (ko) * 2019-10-16 2021-04-07 신홍섭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785B1 (ko) * 2019-10-16 2021-04-07 신홍섭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WO2021075751A1 (ko) * 2019-10-16 2021-04-22 주식회사 허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N114585455A (zh) * 2019-10-16 2022-06-03 翰玛尔股份有限公司 食物垃圾处理装置
CN114585455B (zh) * 2019-10-16 2023-10-03 翰玛尔股份有限公司 食物垃圾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0618B1 (en) Garb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deodorizing unit
KR10068695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2013542072A5 (ko)
KR20100081170A (ko) 2중 스크류 구조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KR100903745B1 (ko)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20110056077A (ko) 치륜형 음식물쓰레기 배출구조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
JP2013108737A (ja) 汚泥等の高速乾燥パドルドライヤーとその制御方法
KR20110065781A (ko) 2중 스크류 구조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31805A (ko) 음식물 처리기용 이송 유닛 및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 제어 방법
KR201101075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N112076706A (zh) 一种反应釜配料控制装置的操作方法
JP2009172568A (ja) 飲食ごみ処理装置
WO2005007311A1 (ja) 飲食物に関した廃棄物処理装置
KR10216452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전처리부 및 그 동작 방법
JP2009107104A (ja) 製函機の屑処理装置
CN208846920U (zh) 一种热能除渣机系统
KR200383472Y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269957B1 (ko) 이동식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CN204693987U (zh) 耙式干燥器
CN208282560U (zh) 一种生物工程用环保的干燥设备
CN214867440U (zh) 一种手柄蝶阀生产加工用钻孔装置
KR2010001212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TWM579877U (zh) Environmentally-friendly composting machine with high sealing degree feeding and discharging cover
CN210527518U (zh) 一种带粉碎功能的管道垃圾投放站
CN211816695U (zh) 一种多级粉碎的厨余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