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523A - Mrsa 치료용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Mrsa 치료용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5523A
KR20110055523A KR1020117002083A KR20117002083A KR20110055523A KR 20110055523 A KR20110055523 A KR 20110055523A KR 1020117002083 A KR1020117002083 A KR 1020117002083A KR 20117002083 A KR20117002083 A KR 20117002083A KR 20110055523 A KR20110055523 A KR 20110055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hlorhexidine
concentration
mrsa
methylene b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2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1335B1 (ko
Inventor
케일 스트리트
니콜라스 로에벨
리사 페디고
Original Assignee
온딘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온딘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온딘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55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55Amidines (), e.g. guanidine (H2N—C(=NH)—NH2), isourea (N=C(OH)—NH2), isothiourea (—N=C(SH)—NH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57Photodynamic therapy with a photosensitizer, i.e. agent able to produce reactive oxygen species upon exposure to light or radiation, e.g. UV or visible light; photocleavage of nucleic acids with an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증감제 및 클로르헥시딘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MRSA의 치료용 감광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광증감제, 약 0.01% 이상 및 약 2% v/v 미만 농도의 클로르헥신딘,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치료 부위에 적용하고; 또 치료 부위에 있는 미생물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광증감제에 의해 흡수된 파장에서 치료 부위에 광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질병 유발 미생물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MRSA 치료용 조성물 및 방법{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ment of MRSA}
본 발명은 감광성 조성물 및 MRSA 치료 효능을 향상시키는 한편 치료 부위에서 숙주 조직에 대한 자극과 민감성을 감소시키는 메티실린 내성(Methicilin resistant)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MRSA") 치료용 조성물을 사용을 사용한 광역동적 소독 방법을 제공한다.
구상의 그램-음성 호기성 생물인 MRSA는 50%까지의 에스. 아우레우스(S. aureus) 원내감염의 원인이며, 전세계의 중요한 치료실, 중환자실 및 일반 병원에서 수십억 달러 문제를 나타낸다. 세균은 천연적으로 항생물질에 적응하기 때문에, MRSA에 걸린 95% 이상의 환자는 1차(first-line) 항생물질에 반응하지 않는다. 특정 MRSA 균주는 반코마이신®과 같은 글리코펩티드 항생물질에 대해서도 내성이어서, 상기 질병에 대한 가장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효과적인 항생물질 치료를 없앤다. MRSA는 메티실린, 옥사실린, 페니실린 및 아목시실린과 같은 대부분의 항생물질에 대하여 내성인 사실로 인하여, 항생물질의 사용없이 MRSA를 치료할 필요가 존재한다.
광역동적 소독(photodynamic disinfection)은 시험관에서 효과적인 비-항생물질 항균 방법인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에 바람직한 대체 치료 방법이다. MRSA 치료 모달리티(modality)로서 광역동적 소독의 1개의 예시적 이점은 그러한 비특이적 세균 메카니즘으로 인하여, 전형적으로 항생물질의 사용을 어렵게 할 수 있는 내성 문제를 겪지 않는다. 다른 예시적 이점으로서, MRSA가 인체 중 가장 흔히 발견되는 비강(예컨대 코 점막)과 같은 영역에 적용될 수 있는 국소적인 치료로서 이용될 수 있는 점이다.
광역동적 소독은 기본적으로 감광성 조성물의 1 이상의 광증감제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광 에너지의 사용을 포함하므로 이들 광증감제는 기질/표적에 직접적으로 에너지를 통과시키거나(I형 반응), 또는 분자 산소와 반응하여 반응성 산소 종(II형 반응)을 생성할 수 있다. 이들 반응은 주로 지질 과산화, 막 손상 및 세포내 성분에 대한 손상을 통한 MRSA와 기타 미생물 세포의 비특이적 감소를 매개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광증감제(예컨대 페노티아진)와 클로르헥시딘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MRSA 치료용 감광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은 MRSA의 광역동적 소독에 사용될 때 MRSA 치료 효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서, 상기 감광성 조성물은 또한 치료 부위에서 숙주 조직에 대한 자극과 민감성을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제거한다.
본 발명은 광증감제, 클로르헥시딘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치료 부위에 적용하고; 또 치료 부위에서 MRSA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광증감제에 의해 흡수된 파장에서 치료 부위에 광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MRSA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약 0.01% 내지 약 2% v/v 농도의 광증감제, 클로르헥시딘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질병 유발 미생물을 함유하는 치료 부위에 적용하고; 또 치료 부위에서 미생물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광증감제에 의해 흡수된 파장에서 치료 부위에 광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질병 유발 미생물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발명의 요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을 읽어보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다음은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다:
도 1은 실시예 I에 기재된 3개 조성물의 흡수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
도 2는 실시예 II에 기재된 실험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표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설명
본 발명에서, 클로르헥시딘은 MRSA 등과 같은 질병 유발 미생물을 감소, 제거 및/또는 치사(이후, 총괄해서 "감소하는", "감소시키는" 및/또는 "감소"로 칭함)시키기 위한 광역동적 소독의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광증감제와 조합한다. 본 발명의 감광성 조성물은 광증감제, 클로르헥시딘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은 클로르헥시딘에 의해 제공된 더욱 일관적 화학 소독과 광역동적 소독의 강력한 단기간 항균 효과를 조합한다.
클로르헥시딘(예컨대,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클로르헥시딘 디히드로클로리드, 클로르헥시딘 디아세테이트 등)은 국소 피부 표면 소독(예컨대 외과용 스크러브 등)을 위해 사용되는 넓은 스펙트럼의 항균제이다. 이러한 적용을 위해, 클로르헥시딘은 전체 부피의 ≥ 2 % ("% v/v")의 농도로 흔히 사용된다. 예컨대 BactoShield® (2%, 4%), Betasept® (4%), ChloraPrep® (2%), Chlorostat® (2%), Dial® Surgical Scrub (4%), Dyna-Hex (2%, 4%) Hibiclens® (4%) 및 Operand® (2%) 참조. 특히 민감성 피부 영역에서 클로르헥시딘 함유 제품의 사용과 관련하여 자극 및 민감성이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서, 클로르헥시딘은 치료 영역에서 숙주 조직에 대한 있을 수 있는 자극 및 민감성을 감소 및/또는 제거하는 농도로 제공된다. 이러한 가능성있는 자극 및 민감성의 감소 및/또는 제거는 치료 영역에 있는 숙주 조직이 코 점막과 같이 민감한 조직일 때 특히 유용하다. 예시적으로 적합한 농도는 약 1% v/v; 약 0.5% v/v; 약 0.25% v/v; 약 0.125% v/v; 약 0.125% v/v 내지 약 1% v/v 범위; 약 0.125% v/v 내지 약 0.8% v/v 범위; 약 0.125% v/v 내지 약 1.5% v/v 범위; 약 0.25% v/v 내지 약 0.5% v/v 범위; 약 0.25% v/v 내지 약 1% v/v 범위; 약 0.25% v/v 내지 약 1.5% v/v 범위; 약 1% v/v 미만 약 0.1 % v/v 이상인 범위; 약 0.8% v/v 미만 약 0.1% v/v 이상인 범위; 약 2% v/v 미만 약 0.1% v/v 이상인 범위; 및 약 2% v/v 미만 약 0.125% 이상인 범위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약"은 상기 기재된 값의 +/- 20%를 의미한다.
광증감제의 예는 I형 및 II형 광반응에 영향을 주는 광증감제를 포함하며, 이때 I형 반응은 광 적용시 전자 추출 산화환원-형 반응을 생성하고 또 II형 반응은 광 적용시 일중항 산소(분자 산소를 통하여)를 생성한다. 광증감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의 적합한 유형은 포르피린, 클로린, 박테리오클로린, 프탈로시아닌, 나프탈로시아닌, 텍사피린, 베르딘, 푸르푸린 또는 페노포르비드와 같은 테트라피롤 또는 그의 유도체; 미국 특허번호 6,211,335호, 6,583,117호; 및 6,607,522호 및 미국 특허 공개번호 2003-0180224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페노티아진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페노티아진은 메틸렌 블루, 톨루이딘 블루, 및 미국 특허 공개번호 2004-0147508호에 개시된 것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광증감제는 인도시아닌 그린이다. 본 발명은 또한 메틸렌 블루 및 톨루이딘 블루 등과 같은 2 이상의 광증감제의 사용을 고려한다. 상기 언급된 광증감제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증감제는 감광성 조성물 내에 적합한 양으로 존재한다. 그 예는 총 중량에 대하여 약 0.001%(% wt) 내지 약 10% wt, 약 0.005% wt 내지 약 5% wt, 약 0.01% wt 내지 약 1% wt, 약 0.01% wt 내지 약 0.1% wt, 및 약 1% wt 이하일 수 있다. 총 중량에 대한 %(% wt)는 총 중량/부피의 % (% w/v) 또는 총 부피/부피의 %(% v/v)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위하여, 광증감제의 상기 농도는 % wt, % w/v, 또는 % v/v 로 표현될 수 있고 또 이러한 농도의 표현은 그의 등가표현(예컨대 % wt로 표현된 경우, % w/v 및 % v/v로 측정된 등가 농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미한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하의 실시예 II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로르헥시딘은 약 0.1% v/v 내지 약 1% v/v과 같은 낮은 농도 수준에서도 MRSA와 같은 미생물 병원체를 감소 및/또는 제거하는데 광역동적 소독의 항균 효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0.125% v/v 내지 0.5% v/v의 클로르헥시딘 농도에서, 조합된 클로르헥시딘과 광역동적 소독의 항균 활성은 2개의 항균 방법 그 자체의 부가적 효과만을 고려할 때 예상될 수 있는 것보다 더 크다. 이는 저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및 광역동적 소독이 동시에 전달될 때 항균 효과의 예상치 않은 증강을 나타낸다. 이러한 증강은 클로르헥시딘이 통상의 국소 피부 소독을 위해 흔히 사용되는 농도보다 더 낮은 농도로 사용될 때에도 생긴다. 따라서, 클로르헥시딘의 더 낮은 농도는 클로르헥시딘과 보통 관련된 자극 및/또는 민감성을 감소 및/또는 제거하며, 또 광역동적 반응의 항균능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것은 치료 부위인 코 점막의 민감성으로 인하여 비강에 위치한 MRSA의 치료에서 특히 중요하며 또 재착생(recolonization)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든 MRSA 병원체 생물을 박멸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감광성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더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조성물의 다른 성분(예컨대 광증감제 및 클로르헥시딘, 등)과 함께 투여되는 희석제, 보조제, 부형제, 또는 비히클(vehicle)이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연방 또는 주 정부의 감독관에 의해 인가되거나, 또는 미국 약전 또는 동물, 더욱 특히 인간에 사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인정된 약전에 수록되어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바람직하게는 멸균 액체이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물, 염수 용액, 덱스트로오스 용액, 글리세롤 용액, 포스페이트 완충된 염수 용액 등을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광증감제 및 클로르헥시딘과 함께 조합되면, 감광성 조성물이 치료 부위에 흘러가기에 충분히 낮은 점도를 갖게하는 한편, 치료 부위 내에서 조성물을 유지하기에 충분히 높은 점도를 갖게 한다. 또한 치료 부위에서 용융물 또는 용액으로 가는 것과 같이 치료 부위에 투여된 후 액체로 되는 조성물을 고려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조성물은 치료 부위에 액체로서 적용된 후 겔화될 수 있다; 이것은 조성물이 치료 부위를 효과적으로 둘러싸게 하는 한편, 치료 부위에 조성물을 유지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재한 본 발명의 감광성 조성물을 치료 부위에 적용하고; 또 치료 부위에서 MRSA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감광성 조성물에 의해 흡수된 파장에서 치료 부위에 광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MRSA 치료를 위한 광역동적 소독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한 MRSA를 치료하기 위한 치료 부위는 바람직하게는 MRSA에 대한 활성 부위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비강(예컨대 코 점막)일 것이다. 비강의 전비공(anterior nares)의 광역동적 소독은 MRSA를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제거한다.
광을 치료 부위에 적용하기 전에, 감광성 조성물을 적어도 약 1초,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5초,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초,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초 내지 30초 동안 치료 부위와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 동안 적용될 수 있는 광은 감광성 조성물에 함유된 광증감제에 의해 흡수될 수 있는 파장의 광이다. 상기 파장은, 사용된 특정 감광성 화합물 및 광 강도에 따라서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약 160 nm 내지 1600 nm, 약 400 nm 내지 약 900 nm, and 약 500 nm 내지 약 850 nm이다. 예컨대, 광증감제가 메틸렌 블루이면, 파장은 바람직하게는 약 650 nm 내지 685 nm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60 nm 내지 약 680 nm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65 nm 내지 약 675 nm 범위일 수 있다.
생성된 광은 단일 파장 또는 복수 파장일 수 있다. 상기 광은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LED"), 백열 공급원, 형광 공급원 등과 같은 적합한 기술에 기재된 광 방출 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광은 레이저 또는 LEDS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증감제 농도 및 발광 장치의 전력에 따라서, 치료 부위에 대한 광 적용은 약 15 초 내지 약 5 분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15 초 내지 약 2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 초 내지 약 90 초,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 초 내지 60 초와 같은 짧은 시간만을 필요로 할 수 있다. 각 광 적용 주기 동안 제공된 광 에너지는 약 1 J/cm2 내지 약 25 J/cm2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 J/cm2 내지 약 20 J/cm2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 J/cm2 내지 약 12 J/cm2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치료 부위에 위치한 MRSA의 성질과 정도에 따라서, 의사는 다수 주기의 광 적용(예컨대 약 2 내지 약 10, 약 3 내지 약 5 주기 등)을 치료 부위에 가함으로써 치료 부위에 적용된 전체 축적된 광 에너지를 초래하며, 이것은 각 주기 동안 제공된 광 에너지보다 실질적으로 더 높을 수 있다. 치료 부위에 위치한 미생물의 성질과 정도에 따라서, 전체 방법은 소망하는 효과를 달성할 때까지 복수회 반복(예컨대 약 2 내지 약 10, 약 3 내지 약 5회 등)할 수 있다. 광증감제 농도, 파장 및/또는 치료 부위에 적용된 전체 축적 광 에너지의 선택은 본 발명의 방법이 치료 부위에서 표적 MRSA를 약 9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이상 감소시키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료 부위에 광을 적용하는 것은 치료 부위에서 및/또는 치료 부위 주변에서 숙주 조직에 대한 생리학적 손상을 유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논의한 본 발명의 감광성 조성물 및 광역동적 소독 방법은 바이러스, 진균, 및 세균과 같은 기타 질병관련된 미생물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미생물의 일부 예는 비제한적으로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 coli "), 엔테로코커스 파에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E. faecalis"),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칸디다(Candida),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액티노박터 속(Acinetobacter sp.,) 및 일반적으로 구강내에 존재하는 병원성 그램 음성 생물(예컨대 포르피로모나스(Porphyromonas), 프레보텔라(Prevotella), 푸소박테륨(Fusobacterium), 탄네렐라(Tannerella), 액티노바실루스(Actinobacillus), 셀레노모나스(Selenomonas), 아이케넬라(Eikenella), 캄필로박터(Campylobacter), 월리넬라(Wolinella)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설명과 예시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 그의 원리와 그의 실제적 적용을 숙지시키기 위해 제시된 것이다. 당업자들은 특정 용도의 요건에 가장 잘 맞도록 본 발명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는 본 발명을 총망라한 것 또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을 참조하여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와 함께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에 대해 등가인 전체 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특허출원 및 공개를 비롯한 모든 논문과 참고문헌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이하의 실시예는 예시적 목적으로 제공되며 본 발명을 총망라한 것 또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I
도 1을 참조하면, 다음 3개 조성물의 특징적 특성이 제공된다: (a) 순수 중 0.01% wt 농도의 메틸렌 블루; (b) 순수 중 0.5%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및 (c) 순수 중 0.01% wt 농도의 메틸렌 블루 및 순수 중 0.5%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도 1의 수평 길이는 단위 길이당 흡수(광학 밀도)를 도시한다. 도 1의 수직 길이는 파장 nm을 도시한다. 도 1 중의 3개 라인(a, b, c)은 이들 3개 조성물의 흡수 특징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특징적 흡수 특징은 0.5% v/v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를 0.01% wt 메틸렌 블루 조성물에 부가하는 것이 가시 파장 범위에서 메틸렌 블루의 흡수 특징을 현저하게 변화시키지 않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II
약 107 CFU/ml의 MRSA(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33592TM) 플랑크톤 배양액에 이하에 기재한 대조물 및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와 메틸렌 블루 조성물의 상이한 조합물 7개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시험관내 실험을 실시하였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조합물은 다음 활성 성분으로 구성된다: (a) 0.01% wt 농도의 메틸렌 블루 및 0.001%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b) 0.01% wt 농도의 메틸렌 블루 및 0.01%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c) 0.01% wt 농도의 메틸렌 블루 및 0.125%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d) 0.01% wt 농도의 메틸렌 블루 및 0.25%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및 (e) 0.01% wt 농도의 메틸렌 블루 및 0.5%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조 배합물은 (f) 0.01% wt 농도의 메틸렌 블루 단일; (g) 0.001%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단일; (h) 0.125%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단일; (i) 0.25%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단일; 및 (j) 0.5%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단일로 구성된다. 상기 기재한 모든 플랑크톤성 MRSA 배양물에 220 mW 출력을 갖는 비-열적 다이오드 다이오드 레이저를 파장 670 nm에서 30초간(에너지 투입량 = 10.3 주울/cm2) 광조사(irradiation)하였다.
그 후, 모든 플랑크톤성 MRSA 배양물을 조사하고 또 플랑크톤성 MRSA 감소량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도 2에서, 상기 논의한 조성물 번호는 칼럼 I에 나타내고; 각 배양물 중의 메틸렌 블루의 농도는 칼럼 II에 나타내며; 각 배양물 중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의 농도는 칼럼 III에 나타내고; 또 광조사를 가하지 않은 정수(대조군) 중의 플랑크톤성 MRSA 배양물과 비교한 상기 각 배양물에 대한 플랑크톤성 MRSA의 생존성 감소(처리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한 생존 콜로니 개수에서의 로그 감소로 표현)를 칼럼 IV에 나타낸다. 도 2의 가로줄은 상기 논의한 각 배양물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0.01% wt 농도의 메틸렌 블루 단독을 사용하여 얻은 MRSA 생존성에서의 감소(가로줄 f 참조)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3.1 log10이었고,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단독 조성물에 노출된 후 얻은 MRSA 생존성의 감소(가로줄 "g", "h", "l",및 "j" 참조)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0 내지 2.7 log10(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의 농도에 따라 다름)이었다. 상기 데이터는 광 존재하에서 메틸렌 블루 및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조합된 조성물에 노출된 후 얻은 MRSA 생존성 감소는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농도가 0.25% v/v 또는 0.5% v.v일 때 100% 박멸(>7.2 log10 감소)에 상응함을 보여준다.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농도가 0.125% v/v 였을 때, MRSA 생존성 감소는 >99.999%이었다(5.7 log10 감소).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농도가 0.01% v/v 이하였을 때, MRSA 생존성 감소는 조사된 메틸렌 블루 단독을 사용하여 얻은 감소와 등가였으며, 이는 클로르헥시딘의 이들 농도가 더 이상 항균 효능에 기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II에 제공된 데이터는 저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예컨대 0.01% v/v 이상)와 광활성화된 메틸렌 블루의 조합이 광활성화된 메틸렌 블루 단독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MRSA를 감소하는 더욱 강력한 단기간 항균 효과를 초래함을 보여준다. 이들 연구에 이용된 클로르헥시딘의 농도 몇몇은 단독으로도 MRSA를 감소하는 측정가능한 항균 효과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지만, 저 농도의 클로르헥시딘과 메틸렌 블루의 조합물을 사용하는 광역동적 소독 방법보다는 훨씬 적었다.
실시예 III
약 107 내지 108 CFU/ml의 플랑크톤성 에스. 아우레우스(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33592TM) 플랑크톤 배양물에 대조군 정수 또는 이하의 조성물 X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시험관내 실험을 실시하였다. 조성물 X는 정수 중 약 0.01% v/v 농도의 메틸렌 블루 및 정수 중 약 0.25%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였다. 정수 또는 조성물 X 중의 배양물을 암소에 두거나 또는 총 에너지 투입량 약 20.6 주울/cm2로 670 nm 비열적 레이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60초 노출). 노출 후, 모든 샘플을 희석하고 고체 매질에 플레이팅하여 후속 성장을 관찰하였다. 각 실험 조건에서 에스. 아우레우스(S. aureus)의 생존성 감소는 광조사를 받지 않은 정수 중의 플랑크톤성 에스. 아우레우스(대조군)와 비교하였다.
결과는 광조사된 조성물 X에 노출된 후 에스.아우레우스에 대하여 현저한 항균 효능을 나타내었다. 광조사된 조성물 X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에스. 아우레우스에서 5.4 log10 감소를 달성하였다. 광조사되지 않은 조성물 X에 대한 노출은 플랑크톤성 에스.아우레우스의 생존성에서 감소가 적었고,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0.7 log10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메틸렌 블루의 광 활성화 부재시에는 60초 노출 후의 0.25%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의 항균 효능은 미미함을 보여준다. 부가적으로, 광조사된 정수 중의 샘플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균 생존성에서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지 않으며, 이는 감소 효능이 레이저 치료 단독에 의한 열적 또는 광 효과에 기인한 것이 아님을 나타낸다. 이들 결과는 광증감제 (예컨대 메틸렌 블루와 같은 페노티아진) 및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의 조합이 상승작용 효과를 가지고 있어서 광역동적 소독에 사용될 때 현저하게 향상된 항균 효능을 제공함을 보여준다.
실시예 IV
약 107 내지 108 CFU/ml의 MRSA(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33592)를 정수 대조군 또는 다음 조성물에 노출시키는 것에 의해 시험관내 실험을 실시하였다. 조성물 A는 정수 중 약 0.01% v/v 농도의 메틸렌 블루 및 정수 중 0.25%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였다. 조성물 B는 정수 중 약 0.01% wt 농도의 메틸렌 블루 활성성분을 함유하였다. 조성물 C는 정수 중 약 0.25% v/v의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활성성분을 함유하였다.
메틸렌 블루 (조성물 A 및 B) 또는 정수에 노출된 MRSA 세균 접종물은 총 에너지 투입량 10.3 주울/cm2 의 670 nm 비-열적 레이저를 사용하여 광조사처리하였다(약 30초의 노출).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단독(조성물 C)에 노출된 접종물은 광조사를 받지않았고, 데이-엔글레이 브로스(broth)를 사용하여 클로르헥시딘이 중화되기 전에 30초 동안 단독으로 방치하였다. 중화 용액은 클로르헥시딘의 항균 활성을 중지시켜서, 모든 실험 샘플에 걸쳐 시험 물질에 대한 상응하는 치료 및/또는 노출 시간을 허용한다.
노출 후, 모든 샘플을 희석하고 고체 매질에 플레이팅하여 후속 성장을 관찰하였다. 각 실험 조건에서 MRSA의 생존성 감소는 광조사를 받지 않은 정수 중의 플랑크톤성 MRSA 샘플(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결과는 조성물 A(메틸렌 블루 및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가 MRSA 박멸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임을 보여준다. 상기 조성물을 광조사 노출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MRSA 생존성에서 7.3 log10 감소를 생성하였다(100% 박멸). 조성물 B(메틸렌 블루) 존재하에서의 광조사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MRSA 생존성에서 4.8 log10 감소를 나타내었다. 조성물 C(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노출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MRSA 생존성에서 0.4 log10 감소 정도의 무시가능한 수준의 박멸을 생성하였다. 광조사된 정수 중의 샘플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균 생존성에서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는 상기 감소 효과가 레이저 치료 단독의 열적 또는 광 효과에 기인한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요컨대, 메틸렌 블루 및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와 광 조사의 조합 치료의 항세균 효능은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또는 광 조사된 메틸렌 블루 단독을 이용하는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더 우수하였다. 이는 각자 개별적으로 보여진 단순한 부가에 의한 감소 효과에서 예상된 것에 비하여 더욱 강력한 항세균 작용을 생성하는 이들 2개 물질이 조합시 증강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V
약 107 내지 108 CFU/ml의 MRSA(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33592)를 정수 대조군 또는 이하의 조성물에 노출시키는 것에 의해 시험관내 실험을 실시하였다. 조성물 D는 약 0.01% w/v 농도의 메틸렌 블루 활성성분을 함유하였다. 조성물 E는 정수 중 약 0.125%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활성성분을 함유하였다. 조성물 F는 정수 중 약 0.25%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활성성분을 함유하였다. 조성물 G는 정수 중 약 0.01% w/v 농도의 메틸렌 블루 및 정수 중 약 0.125%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활성성분을 함유하였다. 조성물 H는 정수 중 약 0.01% w/v 농도의 메틸렌 블루 및 정수 중 약 0.25%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활성성분을 함유하였다.
모든 메틸렌 블루 함유 샘플(조성물 D, G 및 H)에 총 에너지 투입량 10.3 주울/cm2 의 670 nm 비-열적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조사하였다(약 30초의 노출). 정수 중의 샘플 및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단독(조성물 E 및 F)에는 광조사를 하지 않고 데이-엔글레이 브로스(Dey-Engley broth)를 사용하여 중화하기 전에 30초 동안 방치하였다. 이러한 중화 용액은 클로르헥시딘의 항균 활성을 중지시키므로, 모든 실험 샘플에 걸쳐 시험 물질에 대한 상응하는 치료 및/또는 노출 시간을 허용한다.
노출 후, 모든 샘플을 희석하고 고체 매질에 플레이팅하여 후속 성장을 관찰하였다. 각 실험 조건에서 MRSA의 생존성 감소는 광조사를 받지 않은 정수 중의 플랑크톤성 MRSA 샘플("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결과는 조성물 D(메틸렌 블루)과 광조사에 노출된 MRSA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생존성에서 4.8 log10 감소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조성물 E 및 F(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에 대한 노출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MRSA 생존성에서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다. 조성물 G(메틸렌 블루 및 0.125%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와 광조사에 대한 노출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MRSA 생존성에서 3.8 log10 감소를 나타내었다. 조성물 H(메틸렌 블루 및 0.25%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와 광조사에 대한 노출은 MRSA에 대하여 최고의 항세균 효과, 즉 대조군과 비교하여 생존성에서 7.3 log10 감소(100% 박멸)를 나타내었다.
상기 기재된 데이터를 기초로 할 때, 메틸렌 블루 및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를 모두 함유하는 조성물의 항균 효능은 상기 물질을 단독 사용하여 얻은 효능에 비하여 훨씬 더 우수하였다. 또한 조합 치료에서 MRSA 생존성 감소는 2개의 개별 치료의 조합 효능에 비하여 더 크며, 이는 증강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데이터는 2개의 상이한 항세균제의 단순한 누적 작용과 반대로 참된 증강 효과를 제시하며, 이는 시험된 클로르헥시딘 디클루코네이트 단독의 농도가 30초간의 노출 후 MRSA 생존성에 대하여 아무런 효과를 가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시예 I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틸렌 블루의 천연의 광학 흡수 특징은 클로르헥시딘 디클루코네이트 존재하에서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착화되거나 현저하게 반응한 2개 성분은 서로의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을 것이다. 클로르헥시딘은 그램 양성 생물의 외막 상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단독으로는 살세균성이 아닌 저 농도는 세균이 광증감제를 침투하게 할 것이다. 이는 메틸렌 블루 분자의 증가된 막 및 세포내 응집을 허용한다. 메틸렌 블루를 치사량 이하 농도의 클로르헥시딘을 조합함으로써 달성한 MRSA의 강한 박멸은 이것이 MRSA의 광역동적 소독을 위한 유망한 배합물일 수 있음을 제시한다.
실시예 Vl
메틸렌 블루,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의 MRSA의 바이오필름 박멸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바이오필름은 각 웰에 약 108 CFU/ml의 플랑크톤성 MRSA(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33592) 접종물을 씨딩(seeding)하는 것에 의해 평평한 바닥인 96-웰 배양으로 성장시켜 35 내지 37℃에서 진탕하는 것에 의해 48시간 동안 성장시켰다. 상기 수순에 따라서 바이오필름을 확립한 후, 시험 웰로부터 액체 매질을 제거하고 또 상기 웰을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를 사용하여 2회 헹구어서 모든 플랑크톤성, 비-바이오필름 관련된 생물을 제거하였다.
200 ㎕의 하기 각 조성물을 바이오필름에 약 10초 동안 적용하는 것에 의해 시험관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 용액. 조성물 I은 정수 중 약 0.01% v/v 농도의 메틸렌 블루 및 정수 중 약 0.25% v/v의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를 함유하였다. 조성물 J는 정수 중 약 0.01 %v/v 농도의 메틸렌 블루 활성성분을 함유하였다. 조성물 K는 정수 중 약 0.25%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활성성분을 함유하였다. 조성물 L은 정수 중 약 0.50%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활성성분을 함유하였다. 조성물 M은 농도 정수 중 약 0.125%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활성성분을 함유하였다. 조성물 N은 정수 중 약 0.01% v/v 농도의 메틸렌 블루 활성성분 및 정수 중 약 0.50%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활성성분을 함유하였다. 조성물 O는 정수 중 약 0.01% v/v 농도의 메틸렌 블루 및 정수 중 약 0.125%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를 함유하였다.
10 초 후, 상기 조성물은 이들의 각 바이오필름 웰로부터 모두 제거하였다. 메틸렌 블루(조성물 I, J, N 및 O)에 의해 처리된 상기 바이오필름에 약 7 주울/cm2의 총 에너지 투입량으로 670 nm 비-열적 다이오드 레이저를 조사하였다(약 20 초의 노출). 정수 조성물 또는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단독 조성물 중의 하나(조성물 K, L 및 M)에 의해 노출된 바이오필름 웰은 광조사없이 20초간 암소에서 단독 방치하였다. 20초 직후(광조사 후 또는 광조사 없이), 데이-엔글레이 브로스의 중화 용액을 양쪽 시험 및 대조 조건에서 모든 바이오필름 웰에 부가하였다. 모든 바이오필름을 중화 용액에 노출시키면, 상기 웰 플레이트는 높은 세팅의 초음파분쇄기에 30분간 전달하였다. 초음파처리 후, 각 웰로부터 액체 샘플을 고체 매질에 플레이팅하여 생존 생물의 생장을 허용한다.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 용액의 비-조사 대조(대조군)과 비교하여 MRSA 박멸을 결정하기 위하여 플레이트 콜로니 개수를 실시하였다.
상기 결과는 조성물 J(메틸렌 블루)과 광조사 노출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MRSA 생존성에서 2.4 log10 감소를 생성하였다. 조성물 L(0.50% v/v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에 대한 노출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MRSA 생존성에서 1.3 log10 감소를 생성하였다. 조성물 K(0.25% v/v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에 대한 노출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MRSA 생존성에서 1.1 log10 감소를 생성하였다. 조성물 M(0.125% v/v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에 대한 노출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MRSA 생존성에서 0.6 log10 감소를 생성하였다. 따라서,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만을 갖는 조성물(조성물 L, K 및 M)의 경우, 데이터는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의 농도가 0.5% v/v에서 0.125% v/v로 감소함에 따라서 MRSA 바이오필름에 대하여 감소하는 항균 효능을 나타내었다.
메틸렌 블루 및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와 함께 광조사 노출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조성물 I(메틸렌 블루 및 0.25% v/v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4.2 log10 감소를 생성하였다. 조성물 M(메틸렌 블루 및 0.50% v/v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4.5 log10 감소를 생성하였다. 조성물 O(메틸렌 블루 및 0.125% v/v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4.3 log10 감소를 생성하였다. 이들 결과는 조합된 메틸렌 블루와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조성물(조성물 I, N 및 O)이 메틸렌 블루 단독 또는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단독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비하여 훨썬 우수한 항균 효능을 생성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조합된 조성물을 사용하여 달성된 생존성에서 감소는 개별 성분의 누적 항균 효과에 비하여 더 높았고, 이는 증강 효과를 제시한다. 또한 조합된 메틸렌블루와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조성물(조성물 I, N 및 O)의 항균 효능은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농도가 0.5% v/v에서 0.125% v/v로 감소함에 따라 약간 감소하였다.
실시예 VII
본 연구는 고 수준의 MRSA가 있는 상피 표면 상에 위치한 인간 전층(full thickness) 피부 배양물에 대한 다양한 광증감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광역동적 소독의 항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MRSA(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33592)의 스톡 바이얼은 사용하기 전에 -80℃에서 냉동시켰다. 해동되면, 배양액을 TSA(tryptic soy agar)(Hardy Diagnostics 제조,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 마리아 소재) 상에 플레이팅하고 또 콜로니가 눈에 보일 때까지 37℃에서 성장시켰다. 이들을 계대배양(sub-cultured)하여 생장 상을 확실히하고 또 피부 표면의 군체형성을 위해 ~109 CFU/ml 접종물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사용된 인간 피부 배양물 모델은 EpiDerm FTTM 전층 피부 모델(MatTekTM Corporation 제조, 미국 매릴랜드 애쉬랜드 소재)이었다. 이 제품은 공기/매질 계면에서 배양되어 전층 상피화된 인간 피부의 층상(표피 및 피부)의 인택트 모델(intact model)을 형성하는 인간-유래 표피 각질세포 및 인간-유래 섬유아세포로 이루어진다. 이들 구조는 미분 마커, 지질 프로필, 및 생체내 상황의 기저막 구조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고 또 인간 피부에 대한 상기 물질/치료 효능을 연구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이용되었다. 피부 샘플은 제조자로부터 얻은 6-웰 플레이트 중의 세포 배양 삽입물에 수용하고 또 사용하기 전 평형화를 허용하는 선적 후 37℃(5% CO2) 배양물에서 24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제조한 소량 부피(25 ㎕)의 MRSA 접종물을 배양 샘플의 정점 표면에 피펫팅하고, 삽입물의 측면으로 흐르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37℃(5% CO2)에서 철야로 배양하였다. 안정한 군체형성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접종 후 5일 동안 24시간 마다 멸균 목면-선단의 면봉을 사용하여, 접종된 조직 표면을 샘플링하였다. 데이터는 인간 피부 배양액의 상피 표면을 109 CFU/ml의 MRSA와 접종하면 5일간에 걸쳐 ~107 CFU/ml의 안정한 군체형성을 초래하였다.
MRSA 군체형성된 피부 구조의 상피 표면에 정수 대조군 또는 하기 조성물 중의 하나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부 구조의 샘플 각각에 하기 조성물 중의 하나의 50 ㎕ 부분표본(aliqot)을 부가하였다: (i) 정수 대조군 ("대조군"); (ii) 정수 중 약 0.01% v/v 농도의 메틸렌블루 및 정수 중 약 0.25%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P; (iii) 정수 중 약 0.01% wt 농도의 메틸렌블루를 함유하는 조성물 Q; 및 (iv) 정수 중 약 0.25%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R.
정수, 조성물 P, 조성물 Q 또는 조성물 R 중의 하나를 적용한 후, 피부 구조를 670 nm 섬유-광학적으로 커플링된 레이저 시스템 바로 아래에 두고, SMA-형 커넥터에서 종료되고 또 실험실 스탠드/클램프를 이용하여 중지시켰다. 각 샘플의 조직은 캐나다 뱅쿠버 비.씨.에 소재하는 온다인 바이오파마 코포레이션(Ondine Biopharma Corp.)에 의해 제조된 산광기(light diffuser) 선단의 표면에 대응하는 조직 표면에서 전력 밀도(~400 mW/cm2)를 생성하기 위하여 광섬유 공급원의 종료 단부로부터 7cm 거리에 위치시켰다. 샘플은 상기 전력 밀도를 사용하여 670 nm 비-열적 다이오드 레이저에 의해 약 120초 동안 광조사하였다(총 에너지 투입량 = 약 48 주울/cm2). 이 광조사 방법은 크기와 형상에서 부적합성으로 인하여 MRSAidTM 산광기 선단 자체가 세포 배양액 삽입물에 위치할 수 없었기 때문에 필요하였다.
120초 후, 샘플에 50 ㎕의 각 조성물(즉, 정수, 조성물 P, 조성물 Q, 또는 조성물 R)을 적용하고 또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은 동일 방법을 이용하여 120초 동안 (총 에너지 투입량 = 약 48 주울/cm2) 광조사하였다. 따라서, 샘플에 96 주울/cm2 의 총 에너지 투입량을 광조사하였다.
제2 라운드의 광조사한 직후, 샘플의 처리 표면으로부터 과량의 조성물을 제거하였다. 멸균 면-선단 면봉을 사용하여 조직 표면을 샘플링하고 또 3% 트윈-80 및 0.75% 레시틴을 함유하는 0.45% v/v 염수 용액을 사용하여 글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의 작용을 억제하기 위하여 이들을 중화시켰다. 예비적 실험에 의하면 상기 용액이 생존성 평가를 위하여 플레이팅하기 전에 면봉 상에 존재하는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를 효과적으로 중화시킴을 확인시켜주었다. 면봉을 액체 회복 매질에 두고 또 샘플을 고체 매질에 플레이팅하여 후속 성장을 관찰하였다. 각 실험 조건에서 MRSAS의 생존성에서 감소를 광조사받지 않은 정수에서 플랑크톤성 MRSA 샘플("대조군")과 대조하였다.
처리된 피부 구조의 절반은 치료 직후 샘플링하였고 또 나머지 반은 샘플링하기 전에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치료 직후에 취한 샘플로 부터 얻은 데이터는 다음을 나타내었다: (i) 조성물 Q(메틸렌 블루)와 함께 광조사 노출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MRSA 생존성에서 0.2 log10 감소를 초래하였다; (ii) 조성물 C(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에 의한 노출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MRSA 생존성에서 1.1 log10 감소를 초래하였다; 또 (iii) 조성물 P(메틸렌 블루 및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에 의한 노출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MRSA 생존성에서 5.1 log10 감소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즉각적인 샘플링 데이터는 메틸렌 블루 및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조성물 P)의 조합은 광조사될 때 MRSA 생존성에서 현저하고 급속한 감소를 초래함을 보여주었다. 대조적으로, 메틸렌 블루 단독(조성물 Q) 또는 광 단독(정수를 갖는 광사된 대조군)의 적용은 치료 직후 대조군과 비교하여 생존성에서 현저한 감소를 초래하지 않았다.
치료 24시간 후에 취한 샘플로부터 얻은 데이터는 다음을 나타내었다: (i) 조성물 Q(메틸렌 블루)에 의한 노출은 치료 직후의 대조군의 값에 상응하였다; (ii) 조성물 R(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에 의한 노출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MRSA 생존성에서 4.3 log10 감소를 초래하였다; 또 (iii) 조성물 P(메틸렌 블루 및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에 의한 노출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MRSA 생존성에서 5.9 log10 감소를 초래하며, 이는 조직 표면 상에 모든 군체형성된 MRSA의 전체 박멸을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는 메틸렌 블루 및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를 함유하는 조성물 P는 치료 직후 및 치료한지 24시간 후 단일 성분 조성물에 비하여 피부 표면 상에서 MRSA 군체형성을 감소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광증감제(예컨대 메틸렌 블루와 같은 페노티아진) 및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의 조합은 상기 물질 단독으로 달성한 값의 합과 비교하여 감소 효과를 증강시켰다.
실시예 VIII
실시예 VII에 기재된 피부 배양액 모델을 사용하여 제2 연구를 실시하여 MRSA 성장의 장기간 억제를 결정하였다. 정수 대조군 또는 정수 중 약 0.01% v/v 농도의 메틸렌 블루 및 정수 중 약 0.25%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S를 MRSA 군체형성된 피부 샘플에 적용하고 동일 적용, 광조사 및 실시예 VII에 기재된 샘플링 순서 및 과정를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치료한 지 24시간, 48시간 및 120시간 후에 표면 면봉 샘플을 취하였다. 시험에 이용할 수 있는 샘플의 수의 제한으로 인하여, 본 연구에 대하여 치료 직후에 면봉 샘플을 취하지 않았다.
치료한지 24시간 후에, 조성물 S와 함께 광조사 노출은 광조사되지 않은 대조군(정수)에 비하여 MRSA 생존성에서 3.6 log10 감소를 초래하였다. 치료한지 48시간 후 및 치료한지 120시간 후, 조성물 S에 대한 노출은 MRSA의 전체 박멸을 초래하였다. 이 시점에서 상응하는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에서, 세균 생존성은 107 - 108 CFU/ml 범위에 머물렀다. 이것은 치료 조건에서 세균 생존성 손실이 군체 형성의 자연적 손실 또는 배양액에서 조직 생존성 감소에 기인한 것이 아님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IX
실시예 VII에 기재된 피부 배양액 모델을 사용하여 제3 연구를 실시하여 MRSA 성장의 장기간 억제를 결정하였다. 정수 대조군 또는 하기 조성물 중의 하나를 피부 샘플에 적용하여 실시예 VII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적용, 광조사 및 샘플링 수순과 과정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조성물 T는 정수 중 약 0.01% v/v 농도의 메틸렌 블루 및 정수 중 약 0.25%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활성성분을 함유하였다. 조성물 U는 정수 중 약 0.01 %v/v 농도의 메틸렌 블루 활성성분을 함유하였다. (i) 실시예 VII에 기재된 바와 같은 광역동적 소독 치료 직후; (ii) 치료한지 24시간 후; 및 (iii) 치료한지 48시간 후에 면봉 샘플을 취하였다.
결과는, 치료 직후에 취한 샘플의 경우 조성물 T(메틸렌 블루 및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와 함께 광조사 노출은 그의 필적하는 광조사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MRSA 생존성에서 1.1 log10 감소를 초래함을 보여주었다. 치료한지 24시간 후 취한 샘플의 경우, 조성물 T와 함께 광조사 노출은 그의 필적하는 광조사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MRSA 생존성에서 3.1 log10 감소를 초래함을 보여주었다. 치료한지 48시간 후 취한 샘플의 경우, 조성물 T와 함께 광조사 노출은 그의 필적하는 광조사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MRSA 생존성에서 3.5 log10 감소를 초래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광조사되지 않은 대조군에서, 군체형성된 MRSA 개수는 시간 경과에 따라 증가하며, (i) 치료 직후에 취한 샘플의 경우 6.8; (ii) 치료한지 24시간 후 취한 샘플의 경우 7.8; 및 (iii) 치료한지 48시간 후 취한 샘플의 경우 8.4인 log10 개수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결과는 조성물 U(메틸렌 블루)와 함께 광조사 노출이 시험한 어떤 시점에서든 광조사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MRSA 생존성에서 현저한 감소를 초래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이들 결과는 메틸렌 블루 및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의 조합이 증강효과를 가져서 현저히 향상된 항균 효능을 제공하고; 48시간에 걸쳐 MRSA 성장을 억제함을 보여주었다.

Claims (20)

  1. 광증감제;
    클로르헥시딘;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고,
    MRSA를 함유하는 치료 부위의 광역동적 소독을 위해 사용되는, 메티실린 내성(methicillin resistant)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MRSA")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광증감제가 페노티아진인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광증감제가 메틸렌 블루인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로르헥시딘이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인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로르헥시딘의 농도가 약 0.01% 이상 약 2% v/v 미만인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로르헥시딘의 농도가 약 0.01% 이상 약 1% v/v 미만인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로르헥시딘의 농도가 약 0.125% v/v 내지 약 1.5% v/v인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로르헥시딘의 농도가 약 0.125% v/v 내지 약 0.8% v/v인 조성물.
  9. 약 1 % wt 이하 농도의 페노티아진;
    약 0.125% 내지 약 1 %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며,
    질병 유발 미생물을 광역동적 소독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역동적 소독용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페노티아진이 메틸렌 블루인 조성물.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미생물이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 coli"), 엔테로코커스 파에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칸디다(Candida),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액티노박터 속(Acinetobacter sp.,), 포르피로모나스(Porphyromonas), 프레보텔라(Prevotella), 푸소박테륨(Fusobacterium), 탄네렐라(Tannerella), 액티노바실루스(Actinobacillus), 셀레노모나스(Selenomonas), 아이케넬라(Eikenella), 캄필로박터(Campylobacter), 월리넬라(Wolinella) 및 그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2. 광증감제, 약 0.01% 이상 약 2% v/v 미만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질병 유발 미생물을 함유하는 치료 부위에 적용하고; 또 치료 부위에서 미생물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광증감제에 의해 흡수된 파장에서 치료 부위에 광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질병 유발 미생물을 감소시키기 위한 의약을 제조하기 위한 감광성 조성물의 용도.
  13. 제 12항에 있어서, 광증감제가 페노티아진인 용도.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광증감제가 메틸렌 블루이고 또 파장이 약 600 nm 내지 약 700 nm 범위인 용도.
  15. 제 12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로르헥시딘의 농도가 약 0.01% v/v 이상 약 1% v/v 미만인 용도.
  16. 제 12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로르헥시딘의 농도가 약 0.0125% v/v 이상 약 1.5% v/v 미만인 용도.
  17. 제 12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이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 coli"), 엔테로코커스 파에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칸디다(Candida),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액티노박터 속(Acinetobacter sp.,), 포르피로모나스(Porphyromonas), 프레보텔라(Prevotella), 푸소박테륨(Fusobacterium), 탄네렐라(Tannerella), 액티노바실루스(Actinobacillus), 셀레노모나스(Selenomonas), 아이케넬라(Eikenella), 캄필로박터(Campylobacter), 월리넬라(Wolinella) 및 그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18. 제 12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 부위가 비강인 용도.
  19. 제 12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 부위가 전비공인 용도.
  20. 약 1 % wt 이하 농도의 페노티아진; 약 0.125% 내지 약 1 % v/v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MRSA를 함유하는 치료 부위에 적용하고; 또 치료 부위에서 MRSA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페노티아진에 의해 흡수된 파장에서 치료 부위에 광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MRSA") 치료용 의약을 제조하기 위한 감광성 조성물의 용도.
KR1020117002083A 2008-08-01 2009-07-29 Mrsa 치료용 조성물 및 방법 KR101631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57708P 2008-08-01 2008-08-01
US61/085,577 2008-08-01
US18606809P 2009-06-11 2009-06-11
US61/186,068 2009-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523A true KR20110055523A (ko) 2011-05-25
KR101631335B1 KR101631335B1 (ko) 2016-06-16

Family

ID=4127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083A KR101631335B1 (ko) 2008-08-01 2009-07-29 Mrsa 치료용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8247406B2 (ko)
EP (1) EP2323643B1 (ko)
JP (1) JP2011529898A (ko)
KR (1) KR101631335B1 (ko)
CN (1) CN102112120B (ko)
AU (1) AU2009276679B2 (ko)
CA (1) CA2732307C (ko)
ES (1) ES2421731T3 (ko)
GB (1) GB2475005A (ko)
HK (1) HK1158522A1 (ko)
IL (1) IL210997A (ko)
WO (1) WO20100146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21731T3 (es) 2008-08-01 2013-09-05 Ondine Int Ltd Composición y procedimiento para el tratamiento de MRSA
JP5651426B2 (ja) * 2010-10-25 2015-01-14 阪田 功 クロリン誘導体
US20140119985A1 (en) * 2010-12-22 2014-05-01 Ortner Cleanroom Engineering Gmbh Photodynamic Control of Microbial Growth on Surfaces
US11058793B2 (en) 2011-05-16 2021-07-13 Avery Dennison Corporation Adhesive containing microparticles
EP2780005A1 (en) * 2011-11-17 2014-09-24 Avery Dennison Corporation Controlled release of active using ph
US11497932B2 (en) 2012-04-05 2022-11-15 Light Line Medical, Inc. Electromagnetic radiation delivery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for preventing, reducing and/or eliminating catheter-related infections during institutional or in-home use
CN105073934B (zh) 2013-02-07 2021-12-28 艾利丹尼森公司 具有改进性质的抗微生物粘合剂
EP2968014B1 (en) 2013-03-15 2019-04-24 Avery Dennison Corporation Transparent cover dressing application system and inclusion of label strip
US10016375B2 (en) 2013-12-12 2018-07-10 Paul J. Rucinski Material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infections
SG10201811454WA (en) 2013-12-12 2019-01-30 Innovation Technologies Inc Material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infections
EP3151813B1 (en) 2014-06-05 2020-12-09 Avery Dennison Corporation Articles with active agent concentrated at the substrate contacting surface and related methods
EP3597767A1 (en) 2014-09-16 2020-01-22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Engineered water nanostructures (ewns) and uses thereof
JP6602400B2 (ja) * 2016-02-04 2019-11-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線力学療法用組成物、殺菌システムおよび殺菌システムの作動方法
GB201718631D0 (en) 2017-11-10 2017-12-27 Pci Biotech As Method
WO2020246350A1 (ja) * 2019-06-03 2020-12-10 学校法人慈恵大学 殺菌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70023A2 (en) * 2006-12-01 2008-06-12 Pond Gary J Improved dental irrigan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N066795A0 (en) * 1995-01-20 1995-02-16 Macquarie Research Limited Method of repair
US20020022660A1 (en) * 1998-01-20 2002-02-21 Hanuman B. Jampani Deep penetrating antimicrobial compositions
US6607522B1 (en) * 2000-03-16 2003-08-19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Methods for tissue welding using laser-activated protein solders
GB0023367D0 (en) * 2000-09-23 2000-11-08 Univ Leeds Photosensitisers
GB0113121D0 (en) * 2001-05-30 2001-07-18 Univ Leeds Biologically active photosensitisers
WO2006050058A2 (en) * 2004-10-28 2006-05-11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Methods of detection and therapy of inflamed tissues using immune modulation
US20090093470A1 (en) * 2007-10-08 2009-04-09 Ondine International, Ltd. Photodynamic therapy process and photosensitizer compositions therefor
ES2421731T3 (es) 2008-08-01 2013-09-05 Ondine Int Ltd Composición y procedimiento para el tratamiento de MRS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70023A2 (en) * 2006-12-01 2008-06-12 Pond Gary J Improved dental irrig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58522A1 (en) 2012-07-20
AU2009276679B2 (en) 2013-05-16
ES2421731T3 (es) 2013-09-05
IL210997A (en) 2016-05-31
CA2732307A1 (en) 2010-02-04
US20100029779A1 (en) 2010-02-04
US8247406B2 (en) 2012-08-21
AU2009276679A1 (en) 2010-02-04
IL210997A0 (en) 2011-04-28
KR101631335B1 (ko) 2016-06-16
CA2732307C (en) 2017-01-24
CN102112120A (zh) 2011-06-29
EP2323643B1 (en) 2013-05-08
CN102112120B (zh) 2013-01-23
GB201103465D0 (en) 2011-04-13
JP2011529898A (ja) 2011-12-15
EP2323643A1 (en) 2011-05-25
GB2475005A (en) 2011-05-04
WO2010014676A1 (en) 2010-02-04
US8618091B2 (en) 2013-12-31
AU2009276679A2 (en) 2011-02-03
US20120277660A1 (en)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335B1 (ko) Mrsa 치료용 조성물 및 방법
Soukos et al. Photodestruction of human dental plaque bacteria: enhancement of the photodynamic effect by photomechanical waves in an oral biofilm model
Li et al. Effects of 5-aminolevulinic acid–mediated photodynamic therapy on antibiotic-resistant staphylococcal biofilm: an in vitro study
K Sharma et al. Drug discovery of antimicrobial photosensitizers using animal models
Komine et al. A small amount of singlet oxygen generated via excited methylene blue by photodynamic therapy induces the sterilization of Enterococcus faecalis
Wardlaw et al. Photodynamic therapy against common bacteria causing wound and skin infections
Vahabi et al. The effect of antimicrobial photodynamic therapy with radachlorin and toluidine blue on streptococcus mutans: an in vitro study
Bevilacqua et al. The impact of photodynamic therapy on the viability of Streptococcus mutans in a planktonic culture
Ribeiro et al. Photodynamic inactivation of microorganisms present on complete dentures. A clinical investigation: Photodynamic disinfection of complete dentures
Pourhajibagher et al. Photo-activated disinfection based on indocyanine green against cell viability and biofilm formation of Porphyromonas gingivalis
Luan et al. Histological evaluation of the safety of toluidine blue-mediated photosensitization to periodontal tissues in mice
Rosa et al. Effectiveness of antimicrobial photodynamic therapy using a 660 nm laser and methyline blue dye for inactivating Staphylococcus aureus biofilms in compact and cancellous bones: An in vitro study
Lin et al. Toluidine blue-mediated photodynamic therapy of oral wound infections in rats
Ossmann et al. Photodynamic killing of Enterococcus faecalis in dentinal tubules using mTHPC incorporated in liposomes and invasomes
de Paula Zago et al. Antimicrobial photodynamic therapy against metronidazole-resistant dental plaque bactéria
Pan et al. In vitro antimicrobial effect of curcumin-based photodynamic therapy on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Fekrazad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photoactivated disinfection with Radachlorin®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an in vitro study)
JP2012520876A (ja) 光線力学殺菌用の組成物
D'Ercole et al. Near-infrared NIR irradiation and sodium hypochlorite: An efficacious association to counteract the Enterococcus faecalis biofilm in endodontic infections
Park et al. Antimicrobial photodynamic therapy efficacy against specific pathogenic periodontitis bacterial species
Ahrari et al. Antimicrobial photodynamic therapy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by indocyanine green and 810-nm diode laser
de Oliveira et al. LED antimicrobial photodynamic therapy with phenothiazinium dye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 in vitro study
Ghasemi et al. Antimicrobial efficacy of photodynamic therapy using two different light sources on the titanium-adherent biofilms of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An in vitro study
Ishiwata et al. Control of Burn Wound Infection by Methylene Blue‐Mediated Photodynamic Treatment With Light‐Emitting Diode Array Illumination in Rats
US20100233022A1 (en) Composition for photodynamic disinf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