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978A - Cooking appliance - Google Patents

Cooking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978A
KR20110054978A KR1020090111817A KR20090111817A KR20110054978A KR 20110054978 A KR20110054978 A KR 20110054978A KR 1020090111817 A KR1020090111817 A KR 1020090111817A KR 20090111817 A KR20090111817 A KR 20090111817A KR 20110054978 A KR20110054978 A KR 20110054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urner
unit
reflector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8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3981B1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1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981B1/en
Publication of KR20110054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9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9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Abstract

PURPOSE: A cooking appliance is provided to prevent damage to an ignition unit by the flame of an oven burner by locating the on the upper part of the oven burner. CONSTITUTION: A cooker comprises a cavity(210), a burner, a reflector, and an ignition part. The cavity forms a cooking chamber(211). The burner locates in cavity. The burner generates flame by combusting gas. The reflector locates in the upward of the burner. The reflector reflects the heat from the burner to the cavity. The ignition part locates in the upward of the oven burner. The burner forms a plurality of first gas holes through which gas passes. The gas passing through each gas hole is lighted by the ignition part.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Cooking appliance

본 실시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조리기기는 가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기기이다. 상기 가열원으로는, 일 례로 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버너가 사용될 수 있다. Cooking equipment is a device for heating food using a heating source. As the heating source, for example, a burner that generates heat by burning gas may be used.

상기 버너 내부로 유입된 가스는 점화부에 의해서 점화되어 연소되고, 연소된 가스는 화염의 형태로 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화염에 의한 열에 의해서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진다. The gas introduced into the burner is ignited and burned by the ignition unit, and the burned gas is changed into a flame. And cooking of food is performed by the heat by the said flame.

본 실시 예의 목적은, 가스의 점화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연가스의 양을 줄이고, 점화 지연이 방지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in which the ignition of the gas is made stable, the amount of unburned gas is reduced, and the ignition delay is prevented.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에 위치되며, 가스의 연소에 의해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 상기 버너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버너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조리실로 반사키는 리플렉터; 및 상기 오븐 버너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리플렉터의 상방에 위치되는 점화부를 구비하는 점화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버너에는 가스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 1 가스홀이 형성되고, 상기 리플렉터에는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 가스홀이 형성되며, 상기 각 가스홀을 통과한 가스가 상기 점화부에 의해서 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a cooking apparatus includes: a cavity forming a cooking chamber; A burner located in the cooking chamber and generating a flame by burning gas; A reflector positioned above the burner and reflecting heat generated from the burner to the cooking chamber; And an ignition unit positioned above the oven burner, the ignition unit including an ignition unit positioned above the reflector, wherein the burn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gas holes through which gas passes, and the reflector includes a plurality of ignition units. A second gas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gas hole, and the gas passing through each gas hole is ignited by the ignition unit.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점화 유닛이 오븐 버너의 상측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오븐 버너에서 발생되는 화염에 의해서 상기 점화 유닛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as the ignition unit is positioned above the oven burner, the ignition unit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flame generated from the oven burner.

또한, 상기 오븐 버너에 형성된 복수의 가스홀의 길이 또는 폭의 합이 리플렉터의 커버면의 폭보다 작고, 상기 리플렉터에 형성된 복수의 가스홀의 길이 또는 폭의 합이 상기 리플렉터의 커버면의 폭보다 작으므로, 미연가스의 발생량이 최소 화되고, 점화가 지연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m of the lengths or widths of the plurality of gas holes formed in the oven burner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over surface of the reflector, and the sum of the lengths or widths of the plurality of gas holes formed in the reflector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over surface of the reflector. In this way, the amount of unburned gas is minimized and the ignition delay can be prevent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에는, 쿡탑부(100), 오븐부(200), 드로워부(300) 및 컨트롤부(400)가 구비되는 본체(10)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1, in the cooking applian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main body 10 including a cooktop unit 100, an oven unit 200, a drawer unit 300, and a control unit 400 may be provided. Included.

상기 쿡탑부(100)는 상기 본체(10)의 최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오븐부(200)는 상기 쿡탑부(100)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드로워부(300)는 상기 오븐부(200)의 하방에 배치된다. The cooktop unit 100 is disposed at the uppermost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oven unit 200 is disposed below the cooktop unit 100, and the drawer unit 300 is the oven unit ( 200).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400)는 상기 본체(10)의 상면 후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부(400)는 상기 쿡탑부(100)의 후방에 위치된다. The control unit 400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control unit 400 is located behind the cooktop unit 100.

상기 쿡탑부(100)에는 다수의 쿡탑버너(110)가 포함된다. 상기 쿡탑버너(110)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발생되는 화염으로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를 직접 가열한다. The cooktop par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cooktop burners 110. The cooktop burner 110 directly heats a container in which food is contained in a flame generated by burning a gas.

상기 쿡탑부(100)의 앞쪽에는, 다수 개의 노브(120)가 구비된다. 상기 노브(120)는, 상기 쿡탑 버너(110)로의 가스의 공급여부 및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미도시)를 개폐 또는 밸브의 개방 정도를 조절한다. In front of the cooktop 100, a plurality of knobs 120 are provided. The knob 120 controls the opening or closing of a valve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supply and supply of gas to the cooktop burner 110.

상기 오븐부(200)는 음식물이 조리되기 위한 조리실(211)을 형성하는 캐비티(210)가 포함된다. 상기 캐비티(210)의 내부에는 상기 조리실(211)에 수용된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오븐 버너(500)와, 상기 오븐 버너(500)의 상방에 구비되는 리플렉터(600)가 포함된다. The oven unit 200 includes a cavity 210 forming a cooking chamber 211 for cooking food. An interior of the cavity 210 includes an oven burner 500 for heating food contained in the cooking chamber 211 and a reflector 600 provided above the oven burner 500.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캐비티(21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상기 오븐 버너(500) 외에 상기 조리실(211)에 수용된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추가적인 가열원이 더 제공될 수 있다.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an additional heating source may be further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cavity 210 for heating food contained in the cooking chamber 211 in addition to the oven burner 500.

상기 조리실(211)은 도어(220)에 의하여 개폐된다. 상기 도어(220)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전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상기 조리실(211)을 개폐한다. 상기 도어(220)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220)의 회전을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핸들(221)이 구비된다. The cooking chamber 211 is opened and closed by a door 220. The door 220 opens and closes the cooking chamber 211 in a pull-down manner in which an upper end rotates up and down about its lower end.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220 is provided with a handle 221 that the user grips by hand for the rotation of the door 220.

상기 드로워부(300)는 음식물이 담겨지는 용기 등이 소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드로워부(300)에는 용기가 수납되는 드로워(310)가 포함된다. The drawer unit 300 allows the container in which food is to be kept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drawer unit 300 includes a drawer 310 for receiving a container.

상기 컨트롤부(400)는 상기 조리기기(1)의 동작을 위한 조작신호,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쿡탑부(100), 오븐부(200) 및 드로워부(30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400)는 상기 조리기기(1)의 동작에 관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한다. The control unit 400 may operate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signal for operating the cooking appliance 1, more specifically, the cooktop unit 100, the oven unit 200, and the drawer unit 300. Receive an operation signal for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1 to the outside.

상기 오븐 버너(500)는 상기 캐비티(210) 내부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오븐 버너(500)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발생되는 화염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211)의 내부의 음식물을 직접 복사 가열시킨다. The oven burner 500 is disposed above the cavity 210. The oven burner 500 directly radiates food in the cooking chamber 211 by a flame generated by burning gas.

도 2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리플렉터가 결합된 오븐 버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리플렉터와 오븐 버너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오븐 버너의 저면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ven burner in which a reflector is coupl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reflector and the oven burner a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4 is an ov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ottom view of the burner.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오븐 버너(500)의 상측에는 상기 리플렉터(600) 및 점화 유닛(700)이 결합된다. 1 to 4, the reflector 600 and the ignition unit 700 ar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oven burner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오븐 버너(500)에는, 가스 및 공기의 혼합 가스를 공급하는 공급부(510)와, 다수의 연소부(530, 550, 570)와, 상기 공급부(510)로부터 공급된 혼합 가스를 상기 다수의 연소부(530, 550, 570)로 분배하는 분배부(520)와, 상기 다수의 연소부(530, 550, 570)를 연통시키는 연통부(590)가 포함된다. The oven burner 500 includes a supply unit 510 for supplying a mixed gas of gas and air, a plurality of combustion units 530, 550, and 570, and a mixed gas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510. A distribution unit 520 for distributing to the combustion units 530, 550, and 570, and a communication unit 590 for communicating the plurality of combustion units 530, 550, and 570 are included.

상기 공급부(510)는, 도시되지 않은 노즐로부터 공급받은 가스 및 가스의 공급과정에서 함께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분배부(5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The supply unit 510 serves to deliver the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not shown) and the air introduced together in the supply process to the distribution unit 520.

그리고, 상기 공급부(510)의 단부는 상기 캐비티(210)의 측벽을 관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노즐의 일부가 상기 캐비티(210)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공급부(510)의 단부와 정렬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end portion of the supply part 510 may penetrate the sidewall of the cavity 210. Unlike this, a part of the nozzle may be aligned with an end of the supply part 510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cavity 210.

상기 공급부(510)로 유입된 가스 및 공기는 상기 공급부(510)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혼합되어, 혼합 가스의 형태로 상기 분배부(520)로 전달된다. Gas and air introduced into the supply unit 510 are mixed while flowing inside the supply unit 510, and are delivered to the distribution unit 520 in the form of mixed gas.

상기 다수의 연소부(530, 550, 570)는 제 1 연소부(530), 제 2 연소부(550) 및 제 3 연소부(570)가 포함된다. The plurality of combustion units 530, 550, and 570 include a first combustion unit 530, a second combustion unit 550, and a third combustion unit 570.

상기 제 1 연소부(530)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캐비티(210) 내부에 상기 오븐 버너(500)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2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first combustion unit 530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and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avity 210 in a state in which the oven burner 500 is disposed inside the cavity 210.

상기 제 2 연소부(550) 및 상기 제 3 연소부(570)는 상기 분배부(520)에서 상기 제 1 연소부(530)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보조부(552, 572)와, 상기 보조부(552, 572)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 1 연소부(530)와 실질적으로 평행을 이루는 메인부(554, 574)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소부(530)의 이격된 일측에 상기 제 2 연소부(550)의 메인부(554)가 위치되고, 상기 제 1 연소부(530)의 이격된 타측에 상기 제 3 연소부(570)의 메인부(574)가 위치된다. The second combustion unit 550 and the third combustion unit 570 may include auxiliary parts 552 and 572 extend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combustion part 530 in the distribution part 520, and the auxiliary part. Main parts 554 and 574 that are bent at 552 and 572 a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combustion unit 530 are included. Accordingly, the main part 554 of the second combustion part 550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first combustion part 530, and the third combustion is loc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mbustion part 530. The main part 574 of the part 570 is located.

상기 공급부(510)는 상기 각 보조부(552, 572)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분배부(520)와의 연결 부위는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510)는 상기 분배부(520)에서 상기 제 2 연소부(550) 또는 제 3 연소부(570) 측으로 연장된다. 도 4에는 일 례로 상기 공급부(510)가 상기 제 3 연소부(570) 측으로 연장되는 것이 도시된다. The supply part 510 may be disposed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f the auxiliary parts 552 and 572, and a connection part with the distribution part 520 may be bent. Thus, the supply unit 510 extends from the distribution unit 520 to the second combustion unit 550 or the third combustion unit 570. In FIG. 4, for example, the supply unit 510 extends toward the third combustion unit 570.

따라서, 상기 공급부(510) 내부를 유동하는 가스 및 공기는 상기 분배부(520)와 상기 공급부(510)의 연결 부위에서 방향 전환되어 상기 분배부(520)로 유동된다. Therefore, gas and air flowing in the supply unit 510 are divert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distribution unit 520 and the supply unit 510 and flow to the distribution unit 520.

상기 연통부(590)는 상기 각 연소부(530, 550, 570)의 단부를 연결시켜, 상기 각 연소부(530, 550, 570) 내부의 압력 평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각 연소부 간의 압력 평형이 이루어지는 경우, 특정 연소부에서 연소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ng unit 590 connects the end portions of the respective combustion units 530, 550, and 570 so that pressure balancing within each of the combustion units 530, 550, and 570 is achieved. When the pressure balance between the combustion units is made, deterioration of the combustion performance in the specific combustion unit can be prevented.

상기 각 연소부(530, 550, 570)에는 화염이 발생하기 위한 다수의 염공(526)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연소부(530)의 양측에는 다수의 염공(52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소부(530)의 양측에서 화염이 발생할 수 있다. Each of the combustion units 530, 550, and 57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lame holes 526 for generating a flame. In detail, a plurality of salt holes 526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combustion unit 530. Therefore, flames may occur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mbustion unit 530.

상기 제 2 연소부(550)의 메인부(554)의 일측에는 다수의 염공(526)이 형성 된다. 상기 메인부(554)의 일측은 상기 제 1 연소부(530)와 마주보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제 3 연소부(570)의 메인부(574)의 일측에는 다수의 염공(526)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부(574)의 일측은 상기 제 1 연소부(530)와 마주보는 부분을 의미한다. 즉, 상기 각 메인부(554, 574)의 일측에서만 화염이 발생하게 된다. A plurality of salt holes 526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part 554 of the second combustion part 550. One side of the main part 554 means a part facing the first combustion part 530. A plurality of salt holes 526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part 574 of the third combustion part 570. One side of the main part 574 means a part facing the first combustion part 530. That is, the flame is generated only at one side of each of the main parts 554 and 574.

한편, 상기 리플렉터(600)는 상기 캐비티(210)의 천장면과 상기 오븐 버너(500)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리플렉터(600)는 상기 오븐 버너(500)의 상면에 일 례로 용접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reflector 600 is disposed between the ceiling surface of the cavity 210 and the oven burner 500. In addition, the reflector 6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ven burner 500 by, for example, welding.

상기 리플렉터(600)는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발생된 화염의 열을 하방 즉 상기 조리실(211)의 내부의 음식물을 향하여 반사시킨다. 또한, 상기 리플렉터(600)는,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를 상기 리플렉터(600)의 상방, 즉 상기 조리실(211)의 천장면과 상기 리플렉터(600)의 상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시킨다. The reflector 600 reflects the heat of the flame generated from the oven burner 500 toward the food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211. In addition, the reflector 600,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urning the gas in the oven burner 500 above the reflector 600, that is,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211 and the reflector 600 Flow in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s of the

상기 리플렉터(600)는, 배기부(620)가 형성되는 반사부(610), 상기 배기부(620)를 커버하는 커버부(640) 및 고정 플랜지(6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610)는, 다수의 제 1 커버면(611), 경사면(613) 및 제 2 커버면(615)을 포함한다. The reflector 600 includes a reflector 610 in which an exhaust part 620 is formed, a cover part 640 covering the exhaust part 620, and a fixing flange 630. The reflection unit 61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ver surfaces 611, inclined surfaces 613, and second cover surfaces 615.

상기 다수의 제 1 커버면(611)은 좌우로 소정의 폭(W)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 연소부(530, 550, 570)의 직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커버면(611)의 개수는 상기 연소부의 개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613)은, 상기 제 1 커버면(611)의 양단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The plurality of first cover surfaces 611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W from left and right, and are located directly above the respective combustion units 530, 550, and 570. The number of the first cover surfaces 611 is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combustion units. The inclined surface 613 extends upwardly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both ends of the first cover surface 611.

상기 제 2 커버면(615)은 서로 인접하는 상기 경사면(613)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경사면(613)의 단부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커버면(615) 및 상기 제 2커버면(615)에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경사면(613)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집중된다. The second cover surface 615 is positioned between the inclined surfaces 613 adjacent to each other to connect ends of the inclined surfaces 613.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cover surface 615 and the two inclined surfaces 613 adjacent to the second cover surface 615,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urning the gas in the oven burner 500 is included. Are concentrated.

상기 고정플랜지(630)는 상기 반사부(610)의 상면 양측단부 전후단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고정플랜지(630)는 상기 반사부(610)를 상기 조리실(211)의 천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플랜지(63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커버면(611) 및 경사면(613)의 전후단 일부가 절개되어 상방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된다. The fixing flanges 630 are provided at front and rear ends of both side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flector 610. The fixing flange 630 is for fixing the reflector 610 to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211. The fixed flange 630 is formed by substantially cutting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first cover surface 611 and the inclined surface 613 and bending upward.

상기 배기부(620)는,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를 상기 조리실(211)의 천장면과 상기 반사부(610)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시킨다. 상기 배기부(620)는 상기 제 2 커버면(615)에 형성된다. The exhaust unit 620 discharges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urning the gas in the oven burner 500 to the space between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211 and the reflecting unit 610. The exhaust part 620 is formed on the second cover surface 615.

상기 커버부(640)는, 상기 배기부(620)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배기부(620)를 커버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640)는 상기 제 2 커버면(6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640)는 상기 연소 가스가 상기 리플렉터(600)의 상면과 상기 조리실(211)의 천장면 사이의 공간으로 고르게 퍼지도록 안내한다. The cover part 640 covers the exhaust part 62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exhaust part 620. In addition, the cover part 64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ver surface 615. The cover 640 guides the combustion gas to spread evenly in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reflector 600 and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211.

상기 커버부(640)는 상기 배기부(620)의 직상방에 위치된다. The cover part 640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exhaust part 620.

따라서,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발생된 화염의 열이 상기 커버부(640)에 의하여 하방, 즉 상기 조리실(211)의 내부로 반사된다. 또한 상기 배기부(620)를 통하여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상기 커버부(640)에 의하여 전후방 및/또는 좌우로 안 내되어 고르게 퍼지게 된다.Therefore, the heat of the flame generated by the oven burner 500 is reflected by the cover part 640 downward, that is, into the cooking chamber 211. In addition,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art 620 is evenly spread in front and rear and / or left and right by the cover part 640.

상기 점화 유닛(700)은, 고정 부재(710)에 의해서 상기 오븐 버너(50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점화 유닛(700)이 상기 오븐 버너(500)의 상측에 위치되면, 상기 오븐 버너(700)에서 발생되는 화염에 의해서 상기 점화 유닛(700)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ignition unit 700 may be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oven burner 500 by a fixing member 710. When the ignition unit 700 is located above the oven burner 500, the ignition unit 70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flame generated from the oven burner 700.

상기 고정 부재(710)는 상기 점화 유닛(700)을 지지하는 지지부(712)와, 상기 지지부(712)에서 연장되며, 상기 오븐 버너(500)의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부(714)가 포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부(714)는 상기 오븐 버너(500)의 상면에 일 례로 용접 결합될 수 있으나, 상기 결합부(714)의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fixing member 710 includes a support part 712 for supporting the ignition unit 700, a coupling part 714 extending from the support part 712, and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oven burner 500.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part 714 may be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ven burner 500 as an example, but the coupling method of the coupling part 714 is not limited.

상기 점화 유닛(700)에는 점화부(702)가 포함된다. 상기 점화 유닛(700)이 작동하면, 상기 점화부(702)는 고온으로 가열되고, 상기 점화부(702)에 가스가 접촉하게 되면, 가스가 점화된다. 상기 점화 유닛(700)은 공지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ignition unit 700 includes an ignition unit 702. When the ignition unit 700 is operated, the ignition unit 702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and when gas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gnition unit 702, the gas is ignited. Since the ignition unit 700 may be a known structu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점화부(702)는 상기 제 1 커버면(611)의 상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점화부(702)는 상기 제 1 커버면(611)의 상면과 이격된다. The ignition portion 702 is located above the first cover surface 611. In addition, the ignition unit 702 is spaced apart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surface 611.

상기 점화부(702)가 위치하는 상기 제 1 커버면(611)은 상기 제 1 연소부(530)의 상면에 위치하는 커버면일 수 있다. The first cover surface 611 on which the ignition unit 702 is located may be a cover surface loc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mbustion unit 530.

상기 점화부(702)에 의해서 상기 오븐 버너(500)의 가스가 연소되기 위하여, 상기 제 1 연소부(530)에는 가스가 배출되기 위한 복수의 제 1 가스홀(531, 532)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커버면(611)에는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을 통하여 배출된 가스가 통과되는 복수의 제 2 가스홀(641, 642)이 형성된다. In order to burn the gas of the oven burner 500 by the ignition unit 702, a plurality of first gas holes 531 and 532 are formed in the first combustion unit 530 to discharge the gas. The first cover surface 611 has a plurality of second gas holes 641 and 642 through which the ga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gas holes passes.

상기 제 1 가스홀 및 상기 제 2 가스홀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도 3에는 일 례로 두 개의 제 1 가스홀 및 두 개의 제 2 가스홀이 형성되는 것이 도시된다. The number of the first gas holes and the second gas holes is not limited, and FIG. 3 shows two first gas holes and two second gas holes, for example.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531, 532)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531, 532)을 연결시키는 가상의 선은 상기 제 1 연소부(530) 내부에서의 가스의 유동 방향과 경사질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가상의 선이 상기 제 1 연소부 내부의 가스 유동 방향과 교차된다. The plurality of first gas holes 531 and 5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irst gas holes 531 and 532 may be inclined with a flow direction of the gas inside the first combustion unit 530. In FIG. 3, the imaginary line intersects the gas flow direction inside the first combustion unit.

상기 가상의 선이 상기 제 1 연소부(530) 내부의 가스 유동 방향과 교차되면, 가스의 제 1 가스홀 통과 시기가 달라지는 것이 방지되어, 점화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When the virtual line crosses the gas flow direction inside the first combustion unit 530, the timing of passage of the first gas hole of the gas is prevented from being changed, so that igni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상기 복수의 제 2 가스홀(641, 64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531, 532)의 직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복수의 제 2 가스홀(641, 642)은, 상기 각 가스홀을 통과한 가스가 상기 점화부(702)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점화부(702)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The plurality of second gas holes 641 and 64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plurality of first gas holes 531 and 532. The plurality of second gas holes 641 and 642 are positioned adjacent to the ignition unit 702 such that the gas passing through each gas hole may contact the ignition unit 702.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 2 가스홀(641, 642)을 연결시키는 가상의 선은 상기 제 1 연소부(530) 내부에서의 가스의 유동 방향과 경사질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가상의 선이 상기 제 1 연소부 내부의 가스 유동 방향과 교차된다. In addition,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econd gas holes 641 and 642 may be inclined with a flow direction of the gas inside the first combustion unit 530. In FIG. 3, the imaginary line intersects the gas flow direction inside the first combustion unit.

상기 제 2 가스홀(641, 642)의 크기는 상기 제 1 가스홀(531, 532)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ize of the second gas holes 641 and 642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gas holes 531 and 532.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각 가스홀은 원형, 비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각 가스홀의 길이 또는 폭은, 상기 제 2 커버면(611)의 폭(W)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gas hole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circular, non-circular, or polygonal, and the length or width of each gas hole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W of the second cover surface 611. Can be.

상기 각 가스홀의 길이 또는 폭이라 함은, 원형인 경우 직경, 타원인 경우 장변의 길이, 다각형인 경우 가장 긴 변의 길이를 의미한다. The length or width of each gas hole means a diameter in the case of a circle, a length of a long side in the case of an ellipse, and a length of the longest side in the case of a polyg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531, 532)의 길이 또는 폭의 합이 상기 제 1 커버면(611)의 폭(W) 보다 작고,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641, 642)의 길이 또는 폭의 합이 상기 제 1 커버면(611)의 폭(W)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sum of the lengths or widths of the plurality of first gas holes 531 and 532 is smaller than the width W of the first cover surface 611, and the plurality of first gas holes 641 and 642. ) Or the sum of the lengths or widths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W of the first cover surface 611.

상기 각 가스홀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각 가스홀을 통과하는 가스의 양이 증가된다. 많은 양의 가스가 상기 각 가스홀을 통과하게 되면, 연소되지 않은 가스의 양이 증가되어 결과적으로 미연가스(CO)의 양이 증가되고, 점화가 지연될 수 있다. As the size of each gas hole increases, the amount of gas passing through each gas hole increases. When a large amount of gas passes through each of the gas holes, the amount of unburned gas is increased,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unburned gas CO, and ignition may be delayed.

상기 각 가스홀의 크기가 작을수록 좋으나, 다만, 상기 각 가스홀의 크기가 미세한 경우 가스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The smaller the size of each gas hole, the better. However, when the size of each gas hole is minute, gas may not flow smoothly.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점화가 이루어질 정도의 가스 량이 확보되도록 하면서 미연가스(CO)의 양이 줄어들도록, 복수의 제 1 가스홀(531, 532)이 상기 제 1 연소부(530)에 형성되도록 하고, 복수의 제 2 가스홀(641, 642)이 상기 리플렉터에 형성되도록 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first gas holes 531 and 532 are formed in the first combustion unit 530 so that the amount of unburned gas CO is reduced while ensuring the amount of gas to be ignit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gas holes 641 and 642 may be formed in the reflector.

특히,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531, 532)의 길이 또는 폭의 합이 상기 제 1 커버면(611)의 폭(W) 보다 작고,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641, 642)의 길이 또는 폭의 합이 상기 제 1 커버면(611)의 폭(W) 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In particular, the sum of the lengths or widths of the plurality of first gas holes 531 and 532 is smaller than the width W of the first cover surface 611, and the sum of the plurality of first gas holes 641 and 642 may be reduced. The sum of the lengths or widths is made smaller than the width W of the first cover surface 611.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점화 유닛(700)의 설치 위치는 가변될 수 있으며, 상기 점화 유닛(7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각 가스홀의 형성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점화 유닛의 점화부는 가스와의 용이한 접촉을 위하여, 상기 제 1 커버면의 상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gnition unit 700 may vary, and the formation position of each gas hole may var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gnition unit 700. However, the ignition unit of the ignition unit is preferably located above the first cover surface for easy contact with the gas.

이하에서는 상기 조리기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부(400)를 조작하여 상기 오븐부(200)를 사용한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400)로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오븐 버너(500)가 동작하여 조리실(211)의 내부의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진다. First, a user manipulates the control unit 400 to input an operation signal for cooking food using the oven unit 200. When the operation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400, the oven burner 500 operates to cook food in the cooking chamber 211.

상세하게는, 상기 공급부(510)를 통하여 상기 분배부(520)로 가스 및 공기가 공급된다. 상기 분배부(520)로 공급된 가스 및 공기는 상기 각 연소부(530, 550, 570)로 분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소부(530)로 공급된 가스 및 공기의 일부는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531, 532)을 통과한 후에 상기 복수의 제 2 가스홀(641, 642)을 통과한다. In detail, gas and air are supplied to the distribution unit 520 through the supply unit 510. Gas and air supplied to the distribution unit 520 are distributed to each of the combustion units 530, 550, and 570. A portion of the gas and air supplied to the first combustion unit 530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gas holes 531 and 532 and then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second gas holes 641 and 642. .

상기 복수의 제 2 가스홀(641, 642)을 통과한 가스 및 공기는 상기 점화부(702)와 접촉되어 점화된다. 상기 가스 및 공기가 점화되면, 상기 각 연소부의 가스 및 공기가 연소되어 화염이 발생하게 된다. Gas and ai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second gas holes 641 and 642 are ignited in contact with the ignition unit 702. When the gas and air are ignited, the gas and air of each of the combustion units are burned to generate a flame.

그러면,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발생되는 화염 및 열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211)의 내부의 음식물이 조리된다. 이 때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발생되는 화염의 열은 상기 리플렉터(600)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211)의 내부의 음식물을 향하 여 반사된다. Then, food inside the cooking chamber 211 is cooked by the flame and heat generated by the oven burner 500. At this time, the heat of the flame generated by the oven burner 500 is reflected by the reflector 600 toward the food inside the cooking chamber 211.

한편,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는 상기 리플렉터(600)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211)의 천장면과 상기 리플렉터(600) 사이의 공간으로 집중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소가스는 상기 리플렉터(600)의 제 2 커버면(615) 및 상기 제 2 커버면(615)에 인접하는 2개의 경사면(613) 사이의 공간에 집중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urning the gas in the oven burner 500 is concentrated through the reflector 600 to the space between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211 and the reflector 600. More specifically, the combustion gas is concentr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cover surface 615 of the reflector 600 and two inclined surfaces 613 adjacent to the second cover surface 615.

이와 같이 상기 제 2 커버면(615) 및 상기 경사면(613) 사이의 공간으로 집중된 연소가스는, 상기 배기부(620)를 통하여 상방, 즉 상기 조리실(211)의 천장면과 상기 반사부(610)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된다. The combustion gas concentr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cover surface 615 and the inclined surface 613 is upwardly through the exhaust portion 620, that is,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211 and the reflection portion 610. Flows into the space between them.

도 5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오븐 버너 및 리플렉터의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ven burner and the refl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오븐 버너 및 리플렉터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parts, excep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oven burner and the reflector. Therefore, hereinafter, only characteristic parts of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오븐 버너(800)는 바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븐 버너(800)는 수직 단면이 일 례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례로, 상기 오븐 버너(800)의 수직 단면은 타원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oven burner 8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bar type. The oven burner 800 may have a vertical cross section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oven burner 800 may be formed of an ellipse or a polygon.

상기 오븐 버너(800)의 상측에는 리플렉터(900) 및 점화 유닛(700)이 구비된다. 상기 리플렉터(900)는 상기 오븐 버너(800)의 직 상방에 위치되는 커버면(910)과, 상기 커버면(910)의 양측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920)이 포함된 다. An upper side of the oven burner 800 is provided with a reflector 900 and an ignition unit 700. The reflector 900 includes a cover surface 910 located directly above the oven burner 800 and an inclined surface 920 extending upwardly inclined from both sides of the cover surface 910.

그리고, 상기 오븐 버너(800)에는 복수의 제 1 가스홀(801, 802)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면(910)에는 복수의 제 2 가스홀(911, 912)이 형성된다. A plurality of first gas holes 801 and 802 are formed in the oven burner 800, and a plurality of second gas holes 911 and 912 are formed in the cover surface 910.

상기 각 가스홀의 위치 및 크기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positions and sizes of the gas hole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점화 유닛(700)은 상기 오븐 버너(800)에 설치되는 고정부재(730)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 점화 유닛(700)에는 점화부(702)가 포함되고, 상기 점화부(702)는 상기 커버면(910)의 상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점화부(702)는 상기 복수의 제 2 가스홀(911, 912)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gnition unit 700 is supported by a fixing member 730 installed in the oven burner (800). An ignition unit 702 is included in the ignition unit 700, and the ignition unit 702 is located above the cover surface 910. The ignition unit 702 is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second gas holes 911 and 912.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도 2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리플렉터가 결합된 오븐 버너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ven burner coupled to the ref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리플렉터와 오븐 버너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where the reflector and the oven bur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separated.

도 4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오븐 버너의 저면도.4 is a bottom view of the oven bur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오븐 버너 및 리플렉터의 사시도.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ven burner and the refl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laims (6)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A cavity forming a cooking chamber; 상기 조리실에 위치되며, 가스의 연소에 의해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 A burner located in the cooking chamber and generating a flame by burning gas; 상기 버너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버너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조리실로 반사키는 리플렉터; 및 A reflector positioned above the burner and reflecting heat generated from the burner to the cooking chamber; And 상기 오븐 버너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리플렉터의 상방에 위치되는 점화부를 구비하는 점화 유닛이 포함되고, An ignition unit positioned above the oven burner and including an ignition unit positioned above the reflector, 상기 버너에는 가스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 1 가스홀이 형성되고, The burner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gas holes through which gas passes, 상기 리플렉터에는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 가스홀이 형성되며, The reflector is formed with a second gas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gas holes, 상기 각 가스홀을 통과한 가스가 상기 점화부에 의해서 점화되는 조리기기. And a gas passing through the gas holes is ignited by the igni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너에는, 가스가 연소에 의한 화염이 발생되는 연소부가 포함되고, The burner includes a combustion unit in which a flame is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gas, 상기 리플렉터에는, 상기 연소부를 커버하는 커버면이 포함되고, The reflector includes a cover surface covering the combustion unit,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은 상기 연소부에 형성되고, The plurality of first gas holes are formed in the combustion unit, 상기 복수의 제 2 가스홀은 상기 커버면에 형성되는 조리기기. The plurality of second gas holes are formed on the cover surface.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의 길이 또는 폭의 합은 상기 연결면의 폭 보다 작은 조리기기. The sum of the lengths or widths of the plurality of first gas holes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onnecting surface.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복수의 제 2 가스홀의 길이 또는 폭의 합은 상기 연결면의 폭 보다 작은 조리기기. The sum of the lengths or widths of the plurality of second gas holes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onnecting surface.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을 연장시킨 가상의 선 또는 상기 복수의 제 2 가스홀을 연결시키는 가상의 선은 상기 연소부에서의 가스 유동 방향과 교차되는 조리기기. And a virtual line extending the plurality of first gas holes or a virtual lin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econd gas holes cross the gas flow direction in the combus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점화 유닛은, 상기 오븐 버너에 설치되는 고정 부재에 지지되는 조리기기. And the ignition unit is supported by a fixing member installed on the oven burner.
KR1020090111817A 2009-11-19 2009-11-19 Cooking appliance KR1016239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817A KR101623981B1 (en) 2009-11-19 2009-11-19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817A KR101623981B1 (en) 2009-11-19 2009-11-19 Cooking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978A true KR20110054978A (en) 2011-05-25
KR101623981B1 KR101623981B1 (en) 2016-05-24

Family

ID=4436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817A KR101623981B1 (en) 2009-11-19 2009-11-19 Cooking appli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98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981B1 (en)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9842A (en) Cooker
KR20120120535A (en) Cooker
EP2241819B1 (en) Cooking device
CA2732369C (en) Reflector and gas oven range comprising the same
EP2149750B1 (en) Burner and gas oven including the same
KR100938201B1 (en) A 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EP2161503B1 (en) Reflector and gas oven range comprising the same
KR100927328B1 (en) Burner and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the same
KR101040404B1 (en) Burner and cooking appliance
KR101623981B1 (en) Cooking appliance
KR20100013996A (en) Gas oven range
KR100938200B1 (en) A 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KR101040405B1 (en) Burner and cooking appliance
KR101073209B1 (en) Burner and cooking appliance
KR101040427B1 (en) Reflector and gas oven range comprising the same
KR101067949B1 (en) Reflecter and gas oven range comprising the same
KR20100012244A (en) Burner and gas oven range comprising the same
KR101040502B1 (en) Burner and cooking appliance
KR101710202B1 (en) Gas oven range
KR101845564B1 (en) Exhaust module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KR101665708B1 (en) Gas oven range
US9897323B2 (en) Gas oven
KR101040458B1 (en) Burner and gas oven range comprising the same
KR20120118811A (en) Cooker
KR20120007665A (en) Gas bur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