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843A - 가로수 보호기구 - Google Patents

가로수 보호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843A
KR20110054843A KR1020090111633A KR20090111633A KR20110054843A KR 20110054843 A KR20110054843 A KR 20110054843A KR 1020090111633 A KR1020090111633 A KR 1020090111633A KR 20090111633 A KR20090111633 A KR 20090111633A KR 20110054843 A KR20110054843 A KR 20110054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protection mechanism
roadside
roadside protection
inn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7716B1 (ko
Inventor
한경수
Original Assignee
한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수 filed Critical 한경수
Priority to KR1020090111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716B1/ko
Priority to US12/948,446 priority patent/US20120011767A1/en
Priority to US13/069,335 priority patent/US20110167717A1/en
Publication of KR20110054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01C9/005Coverings around trees forming part of the ro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조립이 용이하면서 결합력이 강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수 보호기구가 개시된다. 가로수 둘레의 지면 상에 설치된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외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된 덮개부재를 구비하는 가로수 보호기구에 있어서,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는 일정 길이마다 배치된 다수의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들의 양단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가로수 보호기구의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 파손된 부분만 분해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가로수 보호기구를 용이하게 설치 및 분해할 수 있다. 또한, 가로수 보호기구의 분해 조립이 간단하여 가로수 주변의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로수 보호기구{Apparatus for protection of roadside tree}
가로수 보호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수 주변에 매설되어 가로수에 수분의 공급을 용이하게 하고, 가로수 및 가로수 주변의 지면을 보호하는 가로수 보호기구에 관한 것이다.
가로수는 도로, 공원 등에 심어져 조경을 미려하게 하며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하지만, 가로수는 행인과 자동차 등이 자주 지나는 장소에 심어지기 때문에, 손상되기 쉽다. 또한, 폭우, 폭설, 태풍 등의 기상환경에 의해, 가로수가 뿌리째 뽑히는 경우도 발생한다.
가로수 보호기구는 가로수가 심어진 흙과 도로의 경계를 구획하고 행인이나 비 등에 의해 흙이 유실되지 않도록 울타리 역할을 한다. 또한, 가로수 보호기구는 가로수를 외력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하고 줄기의 곧은 성장을 돕는 등의 목적으로 설치된다.
종래의 가로수 보호기구는 가로수 주변의 지면에 일정 깊이 매설되도록 설치되고, 그 형상은 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가로수 보호기구는 사각형의 각변이 하나의 조립 부재이며, 조립 부재들이 조립되어 가로수 보호기구를 형성한다. 이러한 종래의 가로수 보호기구는 보행자가 자주 왕래하는 인도에 설치되므로, 보행자에 의해 조립부재의 일부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파손된 부분만 수리하기가 어려움으로써 하나의 조립 부재를 교체해야 한다. 이에 따라, 많은 유지보수 비용이 소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가로수 보호기구는 외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하나의 조립 부재의 재질이 금속이나 나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조립 부재 하나의 무게가 작업자가 감당하기에 용이한 무게가 아니므로, 다수의 작업자가 작업해야 하거나, 조립 부재를 리프팅할 수 있는 별도의 장비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가로수 보호기구는 외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가로수 보호기구가 조립된 상태에서 더욱 견고한 상태를 유지해야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로수 보호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하면서 결합력이 강한 가로수 보호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로수 둘레의 지면 상에 설치된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외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된 덮개부재를 구비하는 가로수 보호기구에 있어서,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는 일정 길이마다 배치된 다수의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들의 양단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기구의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 파손된 부분만 분해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가로수 보호기구를 용이하게 설치 및 분해할 수 있다. 또한, 가로수 보호기구의 분해 조립이 간단하여 가로수 주변의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기구가 가로수 주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기구(100)는 가로수 둘레의 지면 상에 설치된 내측 지지부재(110)와, 내측 지지부재(110)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외측 지지부재(120)와, 내측 지지부재(110)와 외측 지지부재(120) 사이에 배치된 덮개부재(130)를 구비한다. 여기서, 외측 지지부재(120)와 내측 지지부재(110)는 다수의 베이스 부재(101)와, 다수의 연결부재(102)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101)는 외측 지지부재(120) 또는 내측 지지부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마다 배치된다. 이러한 베이스 부재(101)의 소재로 나무, 금속 및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가공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부재(101)를 금속으로 사용하는 경우, 수분에 의해 산화되지 않도록 스테인리스 스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베이스 부재(101)의 소재를 스테인리스 스틸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수분에 의해 산화되지 않는 금속이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연결부재(102)는 베이스 부재(101)들의 양단을 연결한다. 연결부재(102)가 베이스 부재(101)들을 연결함으로써, 외측 지지부재(120)와 내측 지지부재(110)는 폐곡선 형상이 되어 가로수의 주변에 배치된다. 베이스 부재(101)와 연결부재(102)의 결합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가로수 보호기구(100)는 다수의 베이스 부재(101) 및 연결부재(102)가 조립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로수 보호기구(100)의 조립이 간단하여 가로수 보호기구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가로수 보호기구(100)의 분해가 용이하여 가로수 주변의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로수 보호기구의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 파손된 부분만 분해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더욱 많은 수의 베이스 부재(101)와 연결부재(102)들을 조립하여 가로수 보호기구(100)의 체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으나 내측 지지부재(110) 및 외측 지지부재(120)의 형상의 일예로, 내측 지지부재(110) 및 외측 지지부재(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지지부재(110)는 사각형이고, 외측 지지부재(120)는 오각형이 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지지부재(110)는 오각형이고, 외측 지지부재(120)는 팔각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외측 지지부재(120)와 내측 지지부재(110) 모두 팔각형 또는 오각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베이스 부재(101)는 특정 각도의 내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어 다각형의 꼭지점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내측 지지부재(110)가 사각형인 경우, 90ㅀ의 내각을 갖도록 베이스 부재(101)의 중앙을 절곡시켜서 사각형의 꼭지점에 배치한다. 그리고, 연결부재(102)로 베이스 부재(101)들을 연결한다. 또한, 내측 지지부재(110)가 오각형인 경우, 72ㅀ의 내각을 갖도록 베이스 부재(101)의 중앙을 절곡시켜서 오각형의 꼭지점에 배치한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101)를 연결부재(102)로 연결한다.
상기와 다르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지지부재(110) 및 외측 지지부재(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지지부재(110)는 다각형이고, 외측 지지부재(120)는 원형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지지부재(110)는 원형이고, 외측 지지부재(120)는 다각형이 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였으나 내측 지지부재(110)와 외측 지지부재(120) 모두 원형이 될 수 있다. 내측 지지부재(110) 및 외측 지지부재(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베이스 부재(101)는 직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연결부재(102)는 호(Arc)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부재(101)와 연결부재(102) 모두 곡률반경이 동일한 호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베이스 부재(101)와 연결부재(102) 모두 곡률반경이 상이한 호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내측 지지부재(110) 및 외측 지지부재(120)가 타원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내측 지지부재(110)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베이스 부재(101)가 4개인 경우, 베이스 부재(101)는 원형을 중심으로 90ㅀ마다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101)가 3개인 경우, 베이스 부재(101)는 원형을 중심으로 120ㅀ마다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가로수 보호기구(100)의 형상은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도 5는 베이스 부재(101)와 연결부재(102)의 결합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여 베이스 부재(101)와 연결부재(102)의 결합구조의 일예를 설명한다.
베이스 부재(101) 및 연결부재(102) 중 어느 하나는 돌출부(103)를 포함하고, 베이스 부재(101) 및 연결부재(102) 중 나머지 하나에는 수용부(104)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03)는 베이스 부재(101) 및 연결부재(102) 중 어느 하나의 일측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형성된다. 수용부(104)는 돌출부(103)와 맞닿는 일단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일정 깊이 인입된다. 베이스 부재(101)와 연결부재(102)가 결합되는 경우, 돌출부(103)는 수용부(104)에 수용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101)의 양단에 돌출부(103)가 형성된 경우, 연결부재(102)의 양단에는 수용부(104)가 형성된다. 또는, 베이스 부재(101)의 일측에는 돌출부(103)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수용부(104)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돌출부(103)는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103)가 하나로 이루어진 것보다 돌출부(103)와 수용부(104)가 맞닿는 접촉 면적이 증가된다. 따라서, 베이스 부재(101)와 연결부재(102)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03)와 수용부(104)는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것이 베이스 부재(101)와 연결부재(102)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데 더욱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는 가로수 보호기구(100)가 지면에 설치된 후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되어, 조립 상태가 변형되지 않게 된다.
한편, 베이스 부재(101) 및 연결부재(1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소자(140)는 베이스 부재(101) 및 연결부재(1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안착홈에 배치될 수 있다. 안착홈은 베이스 부재(101) 또는 연결부재(102)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일정 깊이 인입되고, 베이스 부재(101) 또는 연결부재(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발광소자(140)는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빛을 발광하거나, 가로수를 향하여 빛을 발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소자(140)는 가로수 주변에 빛을 조사하여 사용자가 심미적인 효과를 느낄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안착홈은 커버(15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커버(150)는 외부의 이물질이나 충격으로부터 발광소자(14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커버(150)는 발광소자(140)의 빛이 지나갈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150)가 특정 색을 갖도록 하여 발광소자(150)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커버(150)를 통과하면서 전술한 색으로 발광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커버(150)의 내면 또는 외면에 주름을 형성하여 발광소자(140)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발광소자(140)의 일예로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LED는 저전력으로 빛을 발광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발광소자(140)를 점등시켜 놓는 경우 소비전력을 절감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한편, 베이스 부재(101)에 발광소자(140)가 배치되는 경우, 베이스 부재(101)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선이 관통되어 지나갈 수 있도록 관통홈(10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내측 지지부재(110)와, 외측 지지부재(120) 및 덮개부재(130)의 상세한 구조의 일예를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내측 지지부재(110)는 외측 지지부재(1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측 지지부재(12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내측 지지부재(110)는 제1 단턱(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턱(111)은 내측 지지부재(1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제1 단턱(111)은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형성된다.
외측 지지부재(120)는 가로수가 심어진 지면의 외부 경계가 된다. 이러한 외측 지지부재(120)는 제2 단턱(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턱(121)은 외측 지지부재(120)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형성되며, 제1 단턱(111)과 대향되게 형성된다.
덮개부재(130)는 판형으로 이루어진다. 덮개부재(130)의 일단은 제1 단턱(111)에 안착되고, 타단은 제2 단턱(121)에 안착된다. 이러한 덮개부재(130)에는 복수의 홀(132, 도 3참조)이 형성되어 지면에 내린 비나 수분이 가로수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덮개부재(130)가 제1 단턱(111) 및 제2 단턱(121)에 안착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틀어지거나, 내측 지지부재(110) 및 외측 지지부재(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덮개부재(130)는 제1 단턱(111) 및 제2 단턱(121)에 안착됨으로써, 덮개가 흙에 묻힐 염려가 없다. 따라서, 덮개부재(130)의 하측에 배치된 흙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며,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가로수 보호기구(100)의 설치 및 분리를 더욱 용이하게 됨으로써, 가로수 보호기구(100) 설치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지지부재(110)와, 외측 지지부재(120) 및 덮개부재(130)의 일부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 가로수 보호기구(1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보수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로 되돌아가서, 덮개부재(130)의 다른 예로 다수의 단위 덮개부(131a, 131b)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부재(130)에 형성된 홀(132, 도 3 참조)을 통하여 휴지 또는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유입된 경우, 덮개부재(130)에서 하나의 단위 덮개부(131a)를 가로수 보호기구(100)로부터 제거하고,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재(130)의 일부분이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 파손된 단위 덮개부(131a, 131b)들 중 어느 하나만 교체하면 수리할 수 있으므로, 수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덮개부재(130)는 동일한 형상의 다수의 단위 덮개부(131a, 131b)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덮개부재(130) 전체를 한번에 제조하기 위한 금형보다 금형의 크기를 작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금형만 제조하여 단위 덮개부(131a, 131b)들을 다수개 제조하고, 제조된 단위 덮개부(131a, 131b)들을 조립하여 덮개부재(130)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부재(130)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가로수 보호기구(400)는 보조 지지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가로수보다 둘레가 상대적으로 큰 가로수에 가로수 보 호기구를 설치하는 경우, 전술한 가로수 보호기구보다 넓은 면적의 가로수 보호기구(400)를 설치해야 한다. 이 경우, 덮개부재(130)의 넓이도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재(130)를 더욱 많은 수로 나누고, 내측 지지부재(110)와 외측 지지부재(120) 사이에 보조 지지부재(160)를 배치한다. 이러한 보조 지지부재(160)에 의해 덮개부재(130)가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파손될 가능성이 더욱 적어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위한 보조 지지부재(160)의 형상의 일예로, 보조 지지부재(160)는 내측 둘레와 외측 둘레 각각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지지부재(110)의 제1 단턱(111)과 보조 지지부재(160)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단턱에 덮개부재(130a)가 안착된다. 그리고, 외측 지지부재(120)의 제1 단턱(121)과 보조 지지부재(16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단턱에 덮개부재(130b)가 안착된다.
전술한 가로수 보호기구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기구가 가로수 주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측 지지부재(내측 지지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기구의 평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와 연결부재의 결합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수직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기구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수직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300: 가로수 보호기구 101: 베이스 부재
102: 연결부재 103: 돌출부
104: 수용부 105: 관통홈
110: 내측 지지부재 111: 제1 단턱
120: 외측 지지부재 121: 제2 단턱
130: 덮개부재 131a,131b: 단위 덮개부
140: 발광소자 150: 커버

Claims (7)

  1. 가로수 둘레의 지면 상에 설치된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외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된 덮개부재를 구비하는 가로수 보호기구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외측 지지부재는,
    일정 길이마다 배치된 다수의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들의 양단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가로수 보호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부재 및 외측 지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특정 각도의 내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부재 및 외측 지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적어도 일측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돌출부와 맞닿는 일단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일정 깊이 인입되어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기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내측 지지부재는,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형성된 제1 단턱을 포함하고,
    외측 지지부재는,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단턱과 대향되게 형성된 제2 단턱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재는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은 제1 단턱에 안착되고, 타단은 제2 단턱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다수의 단위 덮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기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기구.
KR1020090111633A 2009-11-18 2009-11-18 가로수 보호기구 KR101167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633A KR101167716B1 (ko) 2009-11-18 2009-11-18 가로수 보호기구
US12/948,446 US20120011767A1 (en) 2009-11-18 2010-11-17 Tree guard
US13/069,335 US20110167717A1 (en) 2009-11-18 2011-03-22 Tree gu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633A KR101167716B1 (ko) 2009-11-18 2009-11-18 가로수 보호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843A true KR20110054843A (ko) 2011-05-25
KR101167716B1 KR101167716B1 (ko) 2012-07-20

Family

ID=44257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633A KR101167716B1 (ko) 2009-11-18 2009-11-18 가로수 보호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20120011767A1 (ko)
KR (1) KR1011677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257A (ko) * 2016-12-26 2018-07-04 어스그린코리아(주) 빗물침투형 연결 소켓, 및 이를 구비하는 보호판 지지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84075A1 (fr) * 2011-12-15 2013-06-21 Manuf Dispositif de coffrage du systeme racinaire d'un arbre
EP3334694A4 (en) 2015-08-11 2018-08-15 Paul Anthony Iorio Stormwater biofiltration system and method
US20180235158A1 (en) * 2015-09-11 2018-08-23 Mmt, Inc. Tree Frame and Grate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Growth of Vegetation in an Urban Environment
US20180228094A1 (en) * 2015-09-11 2018-08-16 Mmt, Inc. Tree Frame and Grate System with a Liner and Method to Improve Growth of Vegetation in an Urban Environment
KR101853492B1 (ko) 2016-10-05 2018-04-30 주식회사 윈윈 조립식 수목 보호틀
US10327436B2 (en) * 2016-10-18 2019-06-25 Lorraine Bevacqua Potted plant guar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3808A (en) * 1970-06-08 1972-05-16 Traffic & Safety Control Syste Illuminated safety curbing
US5323557A (en) * 1993-04-26 1994-06-28 Sonntag Donald J Landscaping mat
US6131888A (en) * 1998-04-15 2000-10-17 Brown; Ralph Wesley Method and connectors for construction of PVC gate structures
US6123443A (en) * 1998-09-11 2000-09-26 Conway; Todd Lighted curbing and flatwork and method of manufacture
JP3229873B2 (ja) * 1999-10-18 2001-11-19 日之出水道機器株式会社 樹木保護板
JP4171005B2 (ja) * 2005-05-20 2008-10-22 カネソウ株式会社 樹木の根元覆い装置
KR100695627B1 (ko) * 2005-09-12 2007-03-20 박인호 가로수 보호판용 가변형 받침대
US7628563B2 (en) * 2007-03-16 2009-12-08 Winkler John M Fitting for a T-slot structure
US7784217B2 (en) * 2007-09-13 2010-08-31 U.S. Foundry & Mfg. Corp. Fertilization grate and trough system
KR100870550B1 (ko) 2008-05-30 2008-11-26 (주)자움 가로수 보호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257A (ko) * 2016-12-26 2018-07-04 어스그린코리아(주) 빗물침투형 연결 소켓, 및 이를 구비하는 보호판 지지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716B1 (ko) 2012-07-20
US20110167717A1 (en) 2011-07-14
US20120011767A1 (en)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7716B1 (ko) 가로수 보호기구
KR101164224B1 (ko) 가로수 보호기구
KR100769039B1 (ko) 조명기구가 구비된 식생용 옹벽블록
KR100810755B1 (ko) 가로수 보호대
KR200401368Y1 (ko) 가로수 보호판
KR101700500B1 (ko) 가로수 지지대
KR20090006507U (ko) 체스블럭용 격자틀 및 이를 구비한 보도블럭 세트
KR100692084B1 (ko) 가로수 보호커버
KR100781609B1 (ko) 친환경적인 조경식재용 보행자도로 화단시설 설치구조
KR200373977Y1 (ko) 엘이디를 이용한 측방조명 수단을 갖는 보안등 지주구조
KR101064111B1 (ko) 가로수용 조명등장치
KR102058441B1 (ko) 조류퇴치기능을 가지는 경관조명등
KR101588387B1 (ko) 미관성을 향상시킨 수목보호대
KR200233709Y1 (ko) 가로수 보호망
KR200378407Y1 (ko) 가변형 수목 보호대
KR101112771B1 (ko)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285781Y1 (ko) 가로수 보호대
KR200449826Y1 (ko) 가로등의 지지기둥 조립체
KR100851887B1 (ko) 인조목을 이용한 볼라드
KR200352303Y1 (ko) 광고장치를 구비한 가로등주
KR100332653B1 (ko) 조립식 가로수 보호판
KR20080000754U (ko) 가로수보호판
KR200314108Y1 (ko) 조립식 수목 보호덮개
KR101476269B1 (ko) 수직 기둥의 녹화장치
KR101125748B1 (ko) 가로등 지주와 지지수단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