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712A -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712A
KR20110054712A KR1020090111464A KR20090111464A KR20110054712A KR 20110054712 A KR20110054712 A KR 20110054712A KR 1020090111464 A KR1020090111464 A KR 1020090111464A KR 20090111464 A KR20090111464 A KR 20090111464A KR 20110054712 A KR20110054712 A KR 20110054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clutch
wedge
roller
ball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2692B1 (ko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090111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692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69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는 외부의 핸들레버로부터 회전력을 전달하는 마운팅노브(3)가 축중심을 벗어난 위치에서 입력되어, 기어접촉부 흔들림현상을 크게 개선하고, 회전력을 받은 클러치(6)가 마찰력작용을 이용한 힘전달경로를 축중심과 동축상으로 형성해 클러치쪽 관련부품을 축소로 구성 단순화와 용이한 부품가공성을 얻으며, 클러치(6)쪽을 통한 회전으로 브레이크드럼(1)과 브레이크웨지(11)사이로 위치된 브레이크롤러(14)의 웨지작용을 해제함으로써, 시트쪽 링크의 섹터기어에 맞물린 기어축(12)을 회전시켜 시트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볼, 펌핑디바이스, 축방향

Description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Pumping ball type seat height holding device}
본 발명은 시트높이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힘을 축방향으로 전달해 상대부품 구조를 간단하게 한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의 실내앞쪽과 뒤쪽으로 설치된 좌석의자인 시트(Seat)는 탑승객의 편안함을 위해, 여러가지 편의장치를 구비한다.
일례로, 탑승객의 체형에 따라 앞·뒤로 밀고 당겨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Sliding)기능과 더불어, 상황에 따라 시트를 상·하로 움직이는 승강 기능은 물론, 시트의 등받이에 대한 기울기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Reclining)기능등이 있다.
이에 더해,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해 탑승객에게 맞추는 시트승강기능을 하는 시트높이고정장치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시트높이고정장치는 그 작동방식에 따라 다양한 방식을 가지며, 일례로 펌핑 볼타입(Pumping Ball Type)이라 불리는 펌핑디바이스(Pumping Device)가 있다.
상기 펌핑디바이스는 시트측에 구비된 레버를 업(UP)또는 다운(DOWN)하는 동작을 이용해 시트에 장착된 링크쪽으로 힘을 전달함으로써, 시트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펌핑디바이스는 크게 클러치유닛(Clutch Unit)과 브레이크유닛(Brake Unit)으로 구성되며, 상기 클러치유닛은 외부입력을 시트의 링크쪽으로 전달하는 작용을 하고, 상기 브레이크유닛은 동작 완료된 링크쪽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이 외부입력을 전달하는 특성상 클러치유닛은 링크쪽으로 외부입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해 작동을 원활하게 유지해야 하므로, 효과적인 힘전달을 위해 많은 부품들이 서로 연관작동되어 구조적으로 복잡한 구성을 갖는다.
일례로, 이러한 타입의 클러치유닛은 브레이크유닛쪽 브레이크력을 해제하기위한 힘 전달경로를 원주방향으로 갖는 롤러타입 클러치유닛이 있다.
상기 롤러타입 클러치유닛은 레버를 통한 회전으로 동축상으로 배열된 롤러를 원주방향으로 밀어내면, 상기 롤러가 롤러를 수용한 클러치드럼의 내벽과 웨지(쐐기, Wedge)작용을 일으켜 클러치드럼을 회전시켜준다.
상기와 같은 클러치드럼의 회전은 브레이크웨지의 회전력으로 전환된다.
브레이크웨지는 스플라인결합된 기어축을 회전시켜 기어축에 구비된 기어와 맞물린 링크쪽 섹터기어를 강제회전상태로 만들고, 이러한 섹터기어의 회전으로 링크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방식이다.
하지만, 상기 롤러타입 클러치유닛은 브레이크유닛 해제시 축중심에 대해 원 주방향으로 힘을 전달하는 경로를 채택함으로써, 구조의 복잡성을 더욱 증가시키고 가공성도 어려워 원가상승의 원인이 된다.
또한, 이러한 힘전달 경로구조는 힘전달을 위한 접촉면을 원주면으로 형성할 수밖에 없어, 부품수량을 증가시키는 별도의 연관된 상대부품을 갖추어야하므로 원가상승을 더욱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회전에 따른 마찰력작용을 이용한 힘전달경로를 축중심과 동축상으로 형성해 브레이크쪽 브레이크작용을 해제함으로써, 회전력을 원주방향으로 전달하는 방식에 비해 클러치쪽 관련부품을 줄여 구성을 단순화한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축중심과 동축상으로 갖는 힘전달경로를 이용함으로써, 클러치쪽 관련부품구조를 단순화해 용이한 가공성으로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는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가 리어커버와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한 브레이크드럼과;
상기 브레이크드럼의 축중심을 벗어난 위치에서 외부의 핸들레버에서 가해진 회전력을 브레이크드럼의 안쪽으로 전달하는 마운팅노브와;
상기 마운팅노브를 통한 회전으로 마찰력을 형성해, 상기 브레이크드럼의 축중심과 동축상으로 형성되는 힘전달경로를 가지면서 회전되는 클러치유닛과;
상기 클러치유닛쪽을 통한 회전으로 상기 브레이크드럼에 대한 웨지작용을 해제함으로써, 시트쪽 링크의 섹터기어를 회전시켜 시트높낮이를 조절하는 브레이크유닛;
을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운팅노브는 브레이크드럼의 중심위치에 대해 양쪽으로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슬롯쪽에 각각 위치된다.
상기 브레이크드럼과 리어커버는 축중심으로 각각 축홀을 뚫어 클러치유닛과 브레이크유닛을 축중심선상으로 위치시킨다.
상기 클러치유닛은 상기 브레이크드럼의 안쪽에서 브레이크드럼에 고정된 스프링스토퍼와, 작동후 초기상태 복귀를 위한 스프링과, 마운팅노브를 통해 회전될 때 상기 스프링을 변형하고, 축방향으로 전달된 회전력을 브레이크유닛쪽으로 출력하도록 클러치웨지판과 접촉된 볼을 갖춘 클러치리테이너로 구성한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스토퍼와 클러치리테이너사이에 탄발지지된 클러치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스토퍼와 클러치웨지판사이에 탄발지지된 레버스프링으로 구성하며, 스프링스토퍼의 축중심을 양분하는 부위쪽으로 각각 위치된다.
상기 클러치웨지판은 테두리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로 돌출된 한쌍의 웨지윙과, 중심위치의 축홀의 양쪽으로 마운팅노브를 끼우도록 뚫린 고정홀과, 한쪽면으로 형성된 볼홈을 갖춘다.
상기 클러치리테이너는 축홀을 형성해 양쪽면으로 돌출된 축홀보스와, 테두리에서 간격을 두고 돌출된 한쌍의 리테이너윙을 갖추고, 상기 축홀보스에 대해 동심원으로 볼을 끼워 고정하며, 상기 클러치웨지판의 직경보다 큰직경을 갖고, 한쌍의 리테이너윙은 상기 클러치웨지판의 한쌍의 웨지윙보다 작은 각으로 형성한다.
상기 브레이크유닛은 중심으로 축홀을 뚫고 한쪽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돌출된 돌출레그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레그를 형성하지 않은 한쪽면으로 축홀에 대해 동심원으로 원주홈을 형성한 클러치드럼과, 바디 테두리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돌출된 웨지보스를 형성한 브레이크웨지와, 상기 브레이크웨지를 관통한 한쪽은 브레이크드럼쪽으로 결합되고, 그 반대쪽은 리어커버의 축홀로 빠져나와 링크쪽 섹터기어에 맞물린 출력기어를 갖춘 기어축과, 상기 브레이크웨지쪽에 위치되어 브레이크드럼에 대한 마찰력으로 브레이크력을 발생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브레이크롤러 로 구성한다.
상기 브레이크웨지는 웨지보스의 양쪽으로 상기 브레이크롤러를 위치시키는 롤러위치면을 형성하고, 상기 롤러위치면사이는 브레이크웨지의 바디 외주면으로부터 튀어나온 구속구간면으로 이어지며, 상기 구속구간면은 클러치드럼과 브레이크웨지사이 간격을 줄여 브레이크롤러와의 웨지작용을 구현한다.
상기 브레이크롤러는 쌍을 이루는 제1·2롤러축과, 상기 제1·2롤러축사이로 위치되어 제1롤러축과 제2롤러축을 각각 밀어내는 인서트스프링으로 구성한다.
상기 브레이크롤러는 클러치드럼의 돌출레그를 이용한 쐐기원리로 브레이크된 상태를 해제하고, 해제된 상태에서 브레이크롤러가 브레이크웨지의 웨지보스쪽을 회전시켜준다.
상기 브레이크롤러는 상기 브레이크웨지쪽 회전시 상기 제1·2롤러축사이로 위치된 인서트스프링을 압축시키고, 상기 인서트스프링은 상기 제1·2롤러축과 접촉되지않는 상기 브레이크웨지의 웨지보스의 양측면쪽 공간으로 수용된다.
상기 제1·2롤러축사이의 거리는 클러치드럼의 돌출레그의 폭보다 좁게 형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쪽 브레이크작용을 해제하는 클러치쪽 힘전달경로를 축중심과 동축상으로 형성하므로, 클러치쪽 클러치쪽 관련부품을 줄여 구성을 단순화하는 효과를 갖고, 클러치쪽 관련부품구조도 단순화해 가공성도 용이한 효과를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원가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들레버의 조작력을 축중심을 벗어난 위치에서 입력되므로, 내부부품의 기어흔들림현상을 크게 개선하는 효과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는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된다.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는 리어커버(2)를 결합해 내부공간을 형성한 원통형상의 브레이크드럼(1)과, 상기 브레이크드럼(1)에 끼워져 외부의 핸들레버로부터 회전력을 전달하는 마운팅노브(3)와, 상기 마운팅노브(3)를 통해 핸들레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에 따른 마찰력작용을 이용한 힘전달경로를 축중심과 동축상으로 형성해 브레이크력을 해제하는 클러치유닛(A)과, 브레이크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유닛(A)을 통해 회전되어, 링크쪽 섹터기어를 강제회전시켜 시트 높이를 조정하는 브레이크유닛(B)으로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된 핸들레버 동작은 업(UP)/다운(DOWN)방식이며, 핸들레버 업(UP)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핸들레버 다운(DOWN)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브레이크드럼(1)과 리어커버(2)는 축중심으로 각각 축홀(1a,2a)을 뚫어 클러치유닛(A)과 브레이크유닛(B)을 축중심선상으로 위치시킨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드럼(1)에는 제한된 핸들레버의 회전각도내로 마운팅노브(3)를 움직이도록 가이드슬롯(1c)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운팅노브(3)는 핀축형상으로 2개가 한쌍을 이루므로, 상기 마운팅노브(3)가 결합되는 브레이크드럼(1)의 가이드슬롯(1c)도 중심위치에 뚫린 축홀(1a)의 양쪽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쌍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마운팅노브(3)가 브레이크드럼(1)의 축중심의 양쪽으로 위치되어 핸들레버의 조작력을 전달받음으로써, 작동시나 외부로부터 큰 힘전달시 브레이크유닛(B)쪽 기어흔들림현상을 크게 개선하거나 차단할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유닛(A)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유닛(A)은 돌출된 삽입보스를 이용해 브레이크드럼(1)의 안쪽에서 끼워진 스프링스토퍼(4)와, 작동후 초기상태 복귀를 위한 스프링(5)과, 마운팅노브(3)를 통해 회전될 때 상기 스프링(5)을 변형하고, 축방향으로 전달된 회전력을 브레이크유닛(B)쪽으로 출력하는 클러치(6)로 구성한다.
상기 스프링스토퍼(4)는 축중심으로 축홀(4a)을 뚫고, 상기 축홀(4a)의 양쪽 으로 가이드슬롯(4c)을 형성함으로써, 브레이크드럼(1)의 축홀(1a)과 가이드슬롯(1c)에 일치된 상태로 위치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스토퍼(4)는 축홀(4a)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는 180°위치에서 절곡된 한쌍의 스톱레그(4b,4bb)를 형성한다.
상기 스프링(5)은 클러치쪽 초기 복귀를 위한 탄성력을 형성하는 클러치스프링(5a)과, 핸들레버쪽 초기 복귀를 위한 탄성력을 형성하는 레버스프링(5b)으로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클러치(6)는 축중심에 대해 원형을 이루면서 배열된 볼(9)을 이용함으로써, 회전에 따른 마찰력작용을 이용한 힘전달경로를 축중심과 동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클러치(6)는 중심위치의 축홀(7a)의 양쪽에 뚫린 고정홀(7c)로 마운팅노브(3)가 끼워진 클러치웨지판(7)과, 축홀(8a)을 형성해 양쪽면으로 돌출된 축홀보스(8aa)로 클러치웨지판(7)에 끼워진 클러치리테이너(8)와, 상기 클러치리테이너(8)의 축중심에 대해 원형을 이루면서 배열된 볼(9)로 구성한다.
상기 클러치웨지판(7)은 테두리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인 180°각(a)으로 돌출된 한쌍의 웨지윙(7b,7bb)을 더 형성하며, 상기 웨지윙(7b,7bb)은 스프링스토퍼(4)의 직경 안쪽으로 위치된다.
상기 클러치리테이너(8)는 테두리에서 180°보다 작은각(b)으로 돌출된 한쌍의 리테이너윙(8b,8bb)을 형성하고, 축홀보스(8aa)에 대해 동심원을 이루는 볼홀을 이용해 볼(9)을 고정한다.
도 3(가)는 클러치드럼(10)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조립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웨지판(7)이 마운팅노브(3)를 고정한 상태에서 클러치리테이너(8)의 위로 얹혀지면, 상기 클러치웨지판(7)은 한쪽면으로 형성된 볼홈(7d)을 이용해 볼(9)에 밀착되고 클러치리테이너(8)와는 간격을 갖는 상태가 된다.
도 3(나)는 순차적으로 조립된 클러치(6)를 이루는 클러치웨지판(7)과 클러치리테이너(8)간 조립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리테이너(8)의 리테이너윙(8b,8bb)은 클러치웨지판(7)의 웨지윙(7b,7bb)사이로 위치되고, 상기 클러치리테이너(8)의 리테이너윙(8b,8bb)은 클러치드럼(10)의 직경과 같은 직경을 갖지만, 상기 클러치웨지판(7)의 웨지윙(7b,7bb)은 클러치리테이너(8)의 리테이너윙(8b,8bb)의 직경보다 작아 그 안쪽공간에 위치된다.
도 4는 순차적으로 조립된 클러치(6)가 조립된 상태에서 뒤쪽을 보여준 조립사시도이며, 서로 조립된 클러치웨지판(7)과 클러치리테이너(8)에 스프링스토퍼(4)와 스프링(5)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스토퍼(4)는 클러치웨지판(7)을 직경의 안쪽으로 위치시키며, 축중심을 양분해 상기 스프링스토퍼(4)의 한쪽으로 클러치스프링(5a)을 위치시키고, 반대쪽으로는 레버스프링(5b)을 위치시킨다.
상기 클러치스프링(5a)은 스프링스토퍼(4)의 스톱레그(4b,4bb)의 180°간격을 좁히는 위치에서 절곡된 부위와, 클러치리테이너(8)의 한쪽 리테이너윙(8bb)사 이에서 탄발지지된다.
하지만, 상기 레버스프링(5b)은 스프링스토퍼(4)의 스톱레그(4b,4bb)중 한쪽 스톱레그와 클러치웨지판(7)의 웨지윙(7b,7bb)중 한쪽 웨지윙을 통해 탄발지지된다.
도 5는 순차적으로 조립된 클러치(6)의 록킹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볼(9)이 클러치드럼(10)위에서 축홀(10a)에 대해 동심원으로 파여진 원주홈(10c)에 위치됨으로써, 클러치리테이너(8)는 볼(9)을 매개로 클러치웨지판(7)과 클러치드럼(10)사이에 위치된다.
도 6(가)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유닛(B)쪽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유닛(B)은 중심으로 축홀(10a)을 뚫고 한쪽으로 돌출된 돌출레그(10b)를 갖는 클러치드럼(10)과, 바디 외주면테두리에 돌출된 웨지보스(11a)를 형성한 브레이크웨지(11)와, 상기 브레이크웨지(11)에 결합되어 리어커버(2)의 축홀(2a)로 빠져나와 링크쪽 섹터기어에 맞물린 출력기어(13)를 갖춘 기어축(12)과, 상기 브레이크웨지(11)쪽에 위치되어 브레이크드럼(1)에 대한 마찰력으로 브레이크력을 발생하는 브레이크롤러(14)로 구성한다.
상기 클러치드럼(10)에는 돌출레그(10b)를 형성하지 않은 한쪽면으로 축홀(10a)에 대해 동심원으로 원주홈(10c)을 형성하며, 상기 원주홈(10c)은 클러치(6)의 볼(9)을 안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레이크웨지(11)는 축중심으로 스플라인홀(11b)을 형성하고, 상기 기어축(12)은 스플라인(12c)을 형성해 서로 스플라인결합되지만, 상기 브레이크웨지(11)와 기어축(12)은 강제압입으로 일체형 구조를 가질수도 있다.
상기 브레이크웨지(11)는 축중심에 대해 동심원으로 위치홈(11c)을 형성하는데, 상기 위치홈(11c)은 자동조립을 위한 위치기준으로 작용을 한다.
상기 브레이크웨지(11)는 웨지보스(11a)의 양쪽으로 브레이크롤러(14)를 위치시키는 롤러위치면(11d)을 형성하고, 상기 롤러위치면(11d)사이는 브레이크웨지(11)의 바디 외주면으로부터 튀어나온 구속구간면(11e)으로 이어진다.
상기 구속구간면(11e)은 브레이크드럼(1)과 브레이크웨지(11)사이 간격을 줄여 브레이크롤러(14)와의 웨지작용을 구현함으로써, 강한 브레이크력으로 브레이크웨지(11)를 구속해 기어축(12)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나)는 리어커버(2)밖으로 나온 기어축(12)을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축(12)은 브레이크드럼(1)의 축홀(1a)에 삽입되는 결합축(12a)과, 링크쪽 섹터기어에 멎물리는 출력기어(13)를 갖추고 리어커버(2)밖으로 빠져나온 연장축(12b)과, 상기 결합축(12a)에서 연장축(12b)을 잇는 구간을 이루어 브레이크웨지(11)의 스플라인홀(11b)에 결합되는 스플라인을 형성한 스플라인축(12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출력기어(13)는 링크쪽 섹터기어에 맞물려 브레이크력 해제시 링크쪽을 올리거나 내리며, 브레이크력 형성시 링크쪽 움직임을 구속하는 작용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롤러(14)는 쌍을 이루는 제1·2롤러축(14a,14b)과, 상기 제1·2롤러축(14a,14b)사이로 위치되어 제1롤러축(14a)과 제2롤러축(14b)을 각각 밀어내는 인서트스프링(14c)으로 구성한다.
상기 인서트스프링(14c)은 브레이크웨지(11)의 웨지보스(11a)를 감싸면서 양쪽으로 위치된 제1·2롤러축(14a,14b)을 각각 밀어내는 구조를 갖추며, 이를 위해 "M"형상으로 만들어준다.
도 7은 브레이크롤러(14)의 설치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웨지(11)의 웨지보스(11a)쪽의 롤러위치면(11d)에 조립되면, 인서트스프링(14c)으로부터 밀어내는 힘을 받는 제1·2롤러축(14a,14b)은 롤러위치면(11d)을 이어주면서 튀어나온 구속구간면(11e)을 통해 이동을 구속당함으로써 브레이크웨지(11)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롤러(14)는 제1·2롤러축(14a,14b)과 인서트스프링(14c)으로 한쌍을 이루고, 60°간격을 갖는 6쌍을 한단위로 구성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의 조립단면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마운팅노브(3)가 브레이크드럼(1)의 가이드슬롯(1c)에 삽입되어 브레이크드럼(1)의 외부로 위치되고, 기어축(6)이 링크쪽 섹터기어에 맞물린 출력기어(13)를 리어커버(2)의 외부로 위치되며, 그 내부공간으로는 클러치유닛(A)이 브레이크드럼(1)쪽으로 배열되고, 브레이크유닛(B)이 리어커버(2)쪽으로 배열된다.
클러치유닛(A)이 조립되면, 스프링스토퍼(4)가 한쌍의 가이드슬롯(4c)쪽으로 한쌍의 마운팅노브(3)를 관통시킨 상태로 브레이크드럼(1)의 안쪽공간에 위치되고, 한쌍의 클러치스프링(5a)과 레버스프링(5b)이 브레이크드럼(1)의 안쪽공간의 최외 곽으로 위치되며, 클러치웨지판(7)과 볼(9)을 갖춘 클러치리테이너(8)가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상기 스프링스토퍼(4)와 클러치웨지판(7)과 클러치리테이너(8)에는 각각 축홀(4a,7a,8a)을 형성함으로써, 브레이크드럼(1)의 축홀(1a)에 결합된 기어축(6)부위에 끼워져 조립된다.
상기 클러치웨지판(7)은 한쌍의 마운팅노브(3)가 결합됨으로써, 핸들레버의 업(UP)/다운(DOWN)에 따른 마운팅노브(3)의 움직임을 전달받는다.
상기 클러치리테이너(8)는 양쪽면으로 돌출된 축홀보스(8aa)를 이용함으로써, 클러치리테이너(8)를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위치된 클러치웨지판(7)과 클러치드럼(10)에 대한 조립위치를 잡아준다.
브레이크유닛(B)이 조립되면, 클러치드럼(10)이 브레이크드럼(1)의 안쪽공간의 최외곽으로 위치되며, 브레이크롤러(14)를 웨지보스(11a)에 위치시킨 브레이크웨지(11)가 브레이크드럼(1)의 안쪽내면으로 밀착된다.
상기 클러치드럼(10)은 클러치리테이너(8)의 돌출된 축홀보스(8aa)를 이용해 조립되고, 축홀(10a)에 대해 동심원으로 파여진 원주홈(10c)으로는 클러치리테이너(8)에 구비된 볼(9)을 위치시킨다.
상기 브레이크웨지(11)의 축중심에 대해 동심원으로 뚫려진 위치홈(11c)은 원주홈(10c)으로 인한 클러치드럼(10)의 돌출된 부위를 위치시켜줌으로써, 클러치드럼(10)에 대한 브레이크웨지(11)의 조립위치를 잡아준다.
기어축(12)은 브레이크드럼(1)쪽으로 결합된 결합축(12a)과 리어커버(2)의 밖으로 빠져나간 연장축(12b)을 잇는 구간을 이루는 스플라인축(12c)의 스플라인을 매개로 결합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높이고정장치에 핸들레버를 통한 힘작용시, 클러치유닛(A)쪽의 일부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레버의 업(UP)이나 또는 다운(DOWN)으로 마운팅노브(3)쪽이 브레이크드럼(1)의 가이드슬랏(1c)내에서 움직이면, 상기 마운팅노브(3)에 고정된 클러치웨지판(7)도 함께 움직여 회전된다.
핸들레버의 업(UP)이나 또는 다운(DOWN)은 단지 회전방향만 역방향이고 모든 작용이 동일하므로, 핸들레버의 조작 방향을 국한해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클러치웨지판(7)의 움직임은 스프링스토퍼(4)와 클러치리테이너(8)에 연관되게 설치된 한쌍의 클러치스프링(5a)과 레버스프링(5b)을 변형시키고, 동시에 클러치리테이너(8)를 움직여 브레이크유닛(B)쪽을 해제시킨다.
상기 클러치스프링(5a)은 스프링스토퍼(4)의 스톱레그(4b,4bb)의 180°간격을 좁히는 위치에서 절곡된 부위와, 클러치리테이너(8)의 한쪽 리테이너윙(8bb)사이에서 탄발지지됨으로써, 압축변형된 후 복귀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버스프링(5b)은 스프링스토퍼(4)와 클러치웨지판(7)을 통해 탄발지지됨으로써, 압축변형된 후 복귀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클러치웨지판(7)과 연동되어 브레이크유닛(B)쪽으로 축방향의 힘전달경로를 형성시키는 클러치리테이너(8)의 움직임은 볼(9)을 이용해 구현된다.
도 5는 클러치(6)의 미작동으로 록킹된 상태로서, 이러한 상태에서 클러치웨 지판(7)의 움직임은 볼(9)을 움직이도록 작용한다.
즉, 볼(9)이 클러치리테이너(8)에 결합된 상태에서 클러치웨지판(7)과 클러치드럼(10)사이에서 강한 마찰력을 갖고 위치됨으로써, 레버의 업(UP)이나 또는 다운(DOWN)으로 인한 마운팅노브(3)와 스프링스토퍼(4)를 통한 클러치웨지판(7)쪽 움직임이 볼(9)쪽을 강하게 밀고, 이러한 볼(9)쪽의 강한 밀림을 받은 클러치드럼(10)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브레이크롤러(14)를 이동시키고, 이를 통해 클러치드럼(10)이 브레이크웨지(11)쪽을 회전시킬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도 10은 클러치드럼(10)과 브레이크롤러(14) 및 브레이크웨지(11)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드럼(10)의 회전으로 움직이는 돌출레그(10b)는 브레이크롤러(14)중 회전방향쪽에 위치된 제2롤러(14b)쪽을 가압하고, 가압력으로 밀려난 제2롤러(14b)는 웨지보스(11a)에 끼워진 인서트스프링(14c)을 압축변형시킨다.
상기와 같은 제2롤러(14b)의 이동으로 제2롤러(14b)가 구속구간면(11e)쪽에서 롤러위치면(11d)쪽으로 이동됨으로써, 브레이크드럼(1)과 브레이크웨지(11)간 마찰력이 크게 약화되거나 해제된 상태로 전환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태에서 클러치드럼(10)의 회전은 브레이크웨지(11)쪽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브레이크웨지(11)의 회전은 브레이크웨지(11)에 고정된 기어축(12)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어, 상기 기어축(12)의 회전으로 기어축(12)에 고정된 출력기어(13)가 동 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출력기어(13)의 회전은 맞물린 섹터기어쪽에 전달되므로, 섹터기어를 통해 링크쪽이 작동되어 시트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시트높낮이 조정이 완료된 후 핸들레버에 가한 하중을 해제하면, 클러치스프링(5a)과 레버스프링(5b)의 탄성복원력으로 클러치유닛(A)쪽이 초기상태로 돌아가고 동시에 브레이크유닛(B)쪽도 록킹된 상태로 다시 전환된다.
클러치유닛(A)쪽의 초기상태복원은 클러치리테이너(8)가 클러치스프링(5a)의 복원력으로 핸들레버 조작시의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클러치리테이너(8)에 고정된 볼(9)과 접촉된 클러치웨지판(7)도 연속해서 작동되고, 상기 클러치웨지판(7)은 레버스프링(5b)의 복원력으로 마운팅노브(3)를 핸들레버 조작시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마운팅노브(3)쪽도 초기상태로 다시 전환된다.
브레이크유닛(B)쪽의 초기상태복원은 클러치스프링(5a)의 작용으로 핸들레버 조작시의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클러치리테이너(8)가 클러치드럼(10)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클러치드럼(10)을 통해 가해지던 회전력이 해제되고 동시에 브레이크롤러(14)의 웨지작용이 다시 구현된다.
즉, 브레이크롤러(14)에 클러치드럼(10)을 통한 하중이 해제되면, 압축되었던 인서트스프링(14c)의 탄성복원력을 받는 제2롤러(14b)는 브레이크웨지(11)의 롤러위치면(11d)쪽에서 구속구간면(11e)쪽으로 다시 이동되어, 도 7과 같은 초기상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브레이크롤러(14)의 초기상태복귀는 브레이크드럼(1)과 브레이크웨지(11)사이에 강한 마찰력을 형성하는 브레이크력인 웨지작용을 구현하므로, 시트 에 가해지는 하중을 통해 링크쪽에서 기어축(12)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브레이크드럼(1)에 대해 구속된 브레이크웨지(11)에서 차단되고, 이로 인해 시트는 높낮이를 조절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는 외부의 핸들레버로부터 회전력을 전달하는 마운팅노브(3)가 축중심을 벗어난 위치에서 입력되어, 기어접촉부 흔들림현상을 크게 개선된다.
또한, 회전력을 받은 클러치(6)가 마찰력작용을 이용한 힘전달경로를 축중심과 동축상으로 형성하므로, 클러치쪽 관련부품 축소로 구성 단순화와 용이한 부품가공성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클러치유닛쪽 분해사시도
도 3(가),(나)는 도 2에 따른 클러치유닛의 부분 결합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유닛을 조립된 상태에서 뒤쪽을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유닛의 록킹상태도
도 6(가),(나)는 도 1의 브레이크유닛쪽 구성도
도 7은 도 6에 따른 브레이크유닛의 조립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의 조립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유닛의 작동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회전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레이크드럼 1a,2a,4a,7a,8a,10a : 축홀
1b,2b : 측면플랜지 1c,4c : 가이드슬롯
2 : 리어커버 2c: 삽입보스
3 : 마운팅노브 4 : 스프링스토퍼
4b,4bb : 스톱레그 5 : 스프링
5a : 클러치스프링 5b : 레버스프링
6 : 클러치
7 : 클러치웨지판 7b,7bb : 웨지윙
7c : 고정홀 7d : 볼홈
8 : 클러치리테이너 8aa : 축홀보스
8b,8bb : 리테이너윙
9 : 볼 10 : 클러치드럼
10b : 돌출레그 10c : 원주홈
11 : 브레이크웨지 11a : 웨지보스
11b : 스플라인홀 11c : 위치홈
11d : 롤러위치면 11e : 구속구간면
12 : 기어축 12a : 결합축
12b : 연장축 12c : 스플라인
13 : 출력기어
14 : 브레이크롤러
14a,14b : 제1·2롤러축 14c : 인서트스프링

Claims (18)

  1. 리어커버와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한 브레이크드럼과;
    상기 브레이크드럼의 축중심을 벗어난 위치에서 외부의 핸들레버에서 가해진 회전력을 브레이크드럼의 안쪽으로 전달하는 마운팅노브와;
    상기 마운팅노브를 통한 회전으로 마찰력을 형성해, 상기 브레이크드럼의 축중심과 동축상으로 형성되는 힘전달경로를 가지면서 회전되는 클러치유닛과;
    상기 클러치유닛쪽을 통한 회전으로 상기 브레이크드럼에 대한 웨지작용을 해제함으로써, 시트쪽 링크의 섹터기어를 회전시켜 시트높낮이를 조절하는 브레이크유닛;
    을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노브는 브레이크드럼의 중심위치에 대해 양쪽으로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슬롯쪽에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드럼과 리어커버는 축중심으로 각각 축홀을 뚫어 클러치유닛과 브레이크유닛을 축중심선상으로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유닛은 상기 브레이크드럼의 안쪽에서 브레이크드럼에 고정된 스프링스토퍼와, 작동후 초기상태 복귀를 위한 스프링과, 마운팅노브를 통해 회전될 때 상기 스프링을 변형하고, 축방향으로 전달된 회전력을 브레이크유닛쪽으로 출력하도록 클러치웨지판과 접촉된 볼을 갖춘 클러치리테이너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스토퍼와 클러치리테이너사이에 탄발지지된 클러치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스토퍼와 클러치웨지판사이에 탄발지지된 레버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스프링과 레버스프링은 상기 스프링스토퍼의 축중심을 양분하는 부위쪽으로 각각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웨지판은 테두리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로 돌출된 한쌍의 웨지윙과, 중심위치의 축홀의 양쪽으로 마운팅노브를 끼우도록 뚫린 고정홀과, 한쪽면으로 형성된 볼홈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리테이너는 축홀을 형성해 양쪽면으로 돌출된 축홀보스와, 테두리에서 간격을 두고 돌출된 한쌍의 리테이너윙을 갖추고, 상기 축홀보스에 대해 동심원으로 볼을 끼워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리테이너는 상기 클러치웨지판의 직경보다 큰직경을 갖고, 상기 클러치리테이너의 한쌍의 리테이너윙은 상기 클러치웨지판의 한쌍의 웨지윙보다 작은 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유닛은 중심으로 축홀을 뚫고 한쪽으로 적 어도 1개 이상의 돌출된 돌출레그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레그를 형성하지 않은 한쪽면으로 축홀에 대해 동심원으로 원주홈을 형성한 클러치드럼과, 바디 테두리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돌출된 웨지보스를 형성한 브레이크웨지와, 상기 브레이크웨지를 관통한 한쪽은 브레이크드럼쪽으로 결합되고, 그 반대쪽은 리어커버의 축홀로 빠져나와 링크쪽 섹터기어에 맞물린 출력기어를 갖춘 기어축과, 상기 브레이크웨지쪽에 위치되어 브레이크드럼에 대한 마찰력으로 브레이크력을 발생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브레이크롤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웨지와 상기 기어축은 스플라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웨지는 웨지보스의 양쪽으로 상기 브레이크롤러를 위치시키는 롤러위치면을 형성하고, 상기 롤러위치면사이는 브레이크웨지의 바디 외주면으로부터 튀어나온 구속구간면으로 이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구속구간면은 클러치드럼과 브레이크웨지사이 간 격을 줄여 브레이크롤러와의 웨지작용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롤러는 쌍을 이루는 제1·2롤러축과, 상기 제1·2롤러축사이로 위치되어 제1롤러축과 제2롤러축을 각각 밀어내는 인서트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롤러는 클러치드럼의 돌출레그를 이용한 쐐기원리로 브레이크된 상태를 해제하고, 해제된 상태에서 브레이크롤러가 브레이크웨지의 웨지보스쪽을 회전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롤러는 상기 브레이크웨지쪽 회전시 상기 제1·2롤러축사이로 위치된 인서트스프링을 압축시키고, 상기 인서트스프링은 상기 제1·2롤러축과 접촉되지않는 상기 브레이크웨지의 웨지보스의 양측면쪽 공간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2롤러축사이의 거리는 클러치드럼의 돌출레그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스프링은 브레이크웨지의 웨지보스를 감싸면서 양쪽으로 위치된 제1·2롤러축을 각각 밀어내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KR1020090111464A 2009-11-18 2009-11-18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KR101582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464A KR101582692B1 (ko) 2009-11-18 2009-11-18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464A KR101582692B1 (ko) 2009-11-18 2009-11-18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712A true KR20110054712A (ko) 2011-05-25
KR101582692B1 KR101582692B1 (ko) 2016-01-05

Family

ID=44363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464A KR101582692B1 (ko) 2009-11-18 2009-11-18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6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1582A1 (en) * 2012-07-30 2014-02-06 Km&I.Co.,Ltd Pumping device for adjusting seat height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eat height for motor vehicle having the same
KR101421927B1 (ko) * 2013-06-26 2014-07-23 대원정밀공업(주) 차량 시트의 펌핑 디바이스
WO2015160014A1 (ko) * 2014-04-14 2015-10-22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 시트용 펌핑디바이스
CN110145556A (zh) * 2018-02-13 2019-08-20 福州明芳汽车部件工业有限公司 座椅高低调整装置的改良型刹车机构
US10703229B2 (en) 2017-12-26 2020-07-07 Hyundai Dymos Incorporated Seat pumping device for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7915A (ko) * 2003-07-12 2005-01-21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쿠션 펌핑디바이스
JP2007308050A (ja) * 2006-05-19 2007-11-29 T S Tec Kk 自動車用シートの高さ調整装置
KR20080028088A (ko) * 2006-09-26 2008-03-31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시트쿠션용 펌핑디바이스
WO2008038943A1 (en) * 2006-09-26 2008-04-03 Das Corporation Pumping device for seat cushion of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7915A (ko) * 2003-07-12 2005-01-21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쿠션 펌핑디바이스
JP2007308050A (ja) * 2006-05-19 2007-11-29 T S Tec Kk 自動車用シートの高さ調整装置
KR20080028088A (ko) * 2006-09-26 2008-03-31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시트쿠션용 펌핑디바이스
WO2008038943A1 (en) * 2006-09-26 2008-04-03 Das Corporation Pumping device for seat cushion of vehicl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1582A1 (en) * 2012-07-30 2014-02-06 Km&I.Co.,Ltd Pumping device for adjusting seat height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eat height for motor vehicle having the same
KR101361520B1 (ko) * 2012-07-30 2014-02-12 (주)케이엠앤아이 시트 높이 조절용 펌핑 디바이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 장치
KR101421927B1 (ko) * 2013-06-26 2014-07-23 대원정밀공업(주) 차량 시트의 펌핑 디바이스
WO2015160014A1 (ko) * 2014-04-14 2015-10-22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 시트용 펌핑디바이스
US10703229B2 (en) 2017-12-26 2020-07-07 Hyundai Dymos Incorporated Seat pumping device for vehicle
CN110145556A (zh) * 2018-02-13 2019-08-20 福州明芳汽车部件工业有限公司 座椅高低调整装置的改良型刹车机构
CN110145556B (zh) * 2018-02-13 2024-03-15 福州明芳汽车部件工业有限公司 座椅高低调整装置的改良型刹车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692B1 (ko) 201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8154B2 (en)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vehicle seat
US8292367B2 (en) Pumping device for seat cushion of vehicle
US9469219B2 (en) Pumping device for vehicle seat
KR20110054712A (ko)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KR101491883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1793446B1 (ko) 차량용 시트 펌핑디바이스
KR101417523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1294382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CN111433490A (zh) 能够二级限制差动的差动装置
KR101117794B1 (ko)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 장치
KR101173469B1 (ko) 시트용 펌핑 디바이스의 백 드라이브 방지장치
KR20110054713A (ko) 패시브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US11065995B2 (en) Pumping device for seat of vehicle
KR101144858B1 (ko)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 장치
CN114340943B (zh) 座椅高度调节致动器
KR101283124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US11274719B2 (en) Pumping device for seat of vehicle
KR20110054714A (ko) 다이알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KR101144861B1 (ko)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 장치
KR101788609B1 (ko) 차량용 시트 펌핑장치
KR101117796B1 (ko)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 장치
CN111344501B (zh) 反向输入阻断离合器
KR20190013453A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JP3796077B2 (ja) 二方向クラッチおよび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KR101107984B1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