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609B1 - 차량용 시트 펌핑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펌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609B1
KR101788609B1 KR1020110088213A KR20110088213A KR101788609B1 KR 101788609 B1 KR101788609 B1 KR 101788609B1 KR 1020110088213 A KR1020110088213 A KR 1020110088213A KR 20110088213 A KR20110088213 A KR 20110088213A KR 101788609 B1 KR101788609 B1 KR 101788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guide
spring
projection
brak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4648A (ko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10088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609B1/ko
Publication of KR20130024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는, 핸들레버로부터 입력되는 회전력을 링크수단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부; 상기 링크수단으로부터 상기 클러치부에 역입력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브레이크부; 상기 시트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클러치부와 브레이크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전면하우징; 상기 전면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레버와 상기 클러치부를 연결하는 레버브래킷; 상기 회전력과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하여 레버브래킷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리턴스프링; 및 상기 리턴스프링의 복원력을 상기 레버브래킷에 전달하고, 상기 클러치부와 상기 브레이크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스프링 가이드 및 제 2 스프링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부는, 중앙에 관통홀이 구비되고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브레이크드럼 및 일단에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연장축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링크수단과 연결되는 출력기어가 구비된 브레이크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턴스프링, 상기 제 1 스프링 가이드 및 상기 제2 스프링가이드는 상기 브레이크드럼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는 슬림한 두께를 갖게 되어 공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리턴스프링의 작동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최소화하고 그리스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는 스프링가이드를 사용하여 리턴스프링의 제조시 치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스프링 작용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스프링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펌핑장치{PUMP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펌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제공한 조작력으로 시트 내에 설치된 별도의 링크기구를 작동시켜서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고, 조절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펌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의 실내 앞쪽과 뒤쪽으로 설치된 운전석, 보조석 그리고 동승석 좌석의자인 시트(Seat)는 탑승객의 편안함을 위해, 여러 가지 편의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편의장치로서, 탑승객의 체형에 따라 앞·뒤로 밀고 당겨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Sliding) 기능과 더불어 시트의 등받이에 대한 기울기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Reclining) 기능 등이 구비된다.
이에 더해, 근래에 출시되거나 설정 기준 이상의 차량에 대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해 탑승객에게 맞추도록 시트 승강 기능을 하는 펌핑장치도 구비되고 있다.
이러한 펌핑장치는 크게 레버유닛(lever unit), 클러치유닛(Clutch Unit) 및 브레이크유닛(Brake Unit)으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유닛은 사용자의 조작력을 입력받아 상기 클러치유닛에 전달하고, 상기 클러치유닛은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력을 시트의 링크수단으로 전달하는 작용을 하고, 상기 브레이크유닛은 역 입력되는 동력을 차단하여 동작 완료된 링크수단을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레버유닛은 시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핸들레버의 상하조작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고 이를 클러치유닛에 전달하는 레버브래킷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펌핑장치는 상기 핸들레버 및 레버브래킷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리턴부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고, 이러한 리턴스프링의 작용으로 사용자의 조작력이 해제된 후에 상기 핸들레버와 상기 레버브래킷은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리턴부의 구성과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490313호는 레버에 연결되고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스프링후크가 리턴스프링의 양단부에 직접 접촉하고, 스프링후크 및 리턴스프링의 초기위치는 마찬가지로 상기 리턴스프링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정지부재에 의해서 제어되는 리턴부를 개시하나, 스프링후크 및 리턴스프링 후크의 초기위치를 정확히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프링후크, 리턴스프링의 양단부 및 정지부재의 치수가 매우 정밀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상기 치수의 정밀도가 유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유격이 발생하여 작동시에 레틀노이즈(Rattle Noise)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리턴스프링은 펌핑장치의 외곽에 배치되기 때문에 윤활제, 특히 그리스가 누설되어 커버 등에 오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며, 펌핑장치 자체의 직경 또한 커지게 된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0789641호는, 스프링스토퍼블록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등분한 스프링홈에 끼워져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15)을 이용하여 레버브래킷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구성을 개시하지만, 이러한 리턴부를 포함하는 주요 기능부들이 중심축선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어 전체 펌핑장치의 사이즈가 커질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갖는 펌핑장치는 공간활용 측면에서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789641호는, 판스프링의 형상을 갖는 스프링을 사용하여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펌핑장치를 개시하지만, 레버브래킷의 걸림턱이 상기 스프링의 양단부의 벤딩부위와 직접 접촉하는 구성을 취하기 때문에 레버작동시에 스프링이 이탈되어 복원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는, 핸들레버로부터 입력되는 회전력을 링크수단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부; 상기 링크수단으로부터 상기 클러치부에 역입력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브레이크부; 상기 시트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클러치부와 브레이크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전면하우징; 상기 전면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레버와 상기 클러치부를 연결하는 레버브래킷; 상기 회전력과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하여 레버브래킷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리턴스프링; 및 상기 리턴스프링의 복원력을 상기 레버브래킷에 전달하고, 상기 클러치부와 상기 브레이크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스프링 가이드 및 제 2 스프링가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부는, 중앙에 관통홀이 구비되고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브레이크드럼 및 일단에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연장축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링크수단과 연결되는 출력기어가 구비된 브레이크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턴스프링, 상기 제 1 스프링 가이드 및 상기 제2 스프링가이드는 상기 브레이크드럼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스프링 가이드 및 제 2 스프링가이드는 서로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연장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 및 제 2 스프링가이드 중에서 어느 하나가 상기 레버브래킷에 의해서 회전될 때 나머지 하나는 고정된다.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 및 제 2 스프링가이드는 각각 상기 연장축이 통과하는 축홀을 구비한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돌출부로부터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의 바디부와 제 2 스프링가이드의 바디부는 각각 제 1 바디부 및 제 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바디부의 상기 회전축방향 두께는 상기 제 1 바디부의 상기 회전축방향 두께보다 작다.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의 제 2 바디부와 상기 제 2 스프링가이드의 제 1 바디부는 상기 회전축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연장축에 삽입된다.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의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 사이에 상기 제 2 스프링 가이드의 제 2 돌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스프링 가이드의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 사이에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의 제 2 돌출부가 배치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턴스프팅은 압축코일스프링이 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턴스프링은,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의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스프링 가이드의 제 2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리턴스프링 및 상기 제 2 스프링 가이드의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의 제 2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리턴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레버브래킷은 상기 전면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브래킷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레그는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의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스프링가이드의 제 1 돌출부 사이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의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스프링가이드의 제 1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레그가 초기위치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고,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의 제 1 돌출부는 상기 브래킷레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일정한 각도와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될 때, 상기 제 2 스프링가이드의 제 1 돌출부는 상기 고정부재와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어 회전이 방지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전면하우징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전면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는, 슬림한 두께를 갖게 되어 공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는 리턴스프링의 작동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최소화하고 그리스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는 스프링가이드를 사용하여 리턴스프링의 제조시 치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스프링 작용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스프링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하는 차량 시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펌핑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드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샤프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스프링가이드의 정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스프링가이드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스프링가이드 및 제 2 스프링가이드가 결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펌핑디바이스의 초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초기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펌핑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펌핑디바이스에 사용자의 조작력이 제 1 방향으로 가해진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2은 도 11의 작동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펌핑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펌핑디바이스에 사용자의 조작력이 제 2 방향으로 가해진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작동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펌핑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드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펌핑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는, 도 1에 도시된 핸들레버 (100)로부터 입력되는 회전력을 링크수단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부 (260), 상기 링크수단으로부터 상기 클러치부에 역입력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브레이크부 (270), 상기 시트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클러치부 (260)와 브레이크부 (27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전면하우징 (250), 상기 전면하우징 (250)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레버 (100)와 상기 클러치부 (260)를 연결하는 레버브래킷 (210), 상기 회전력과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하여 레버브래킷 (210)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리턴스프링 (230), 상기 리턴스프링 (230)의 복원력을 상기 레버브래킷(210)에 전달하고, 상기 클러치부 (260)와 상기 브레이크부 (27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스프링 가이드 및 제 2 스프링가이드 (241, 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하우징 (250)은 리어커버 (280)와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원통 형상의 바디부 및 측면플랜지(253)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부에는 축홀 (252) 및 가이드슬롯 (255a)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플랜지 (253)에는 체결홀 (25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전면하우징 (250)은 전면 중심위치에 축홀 (252)을 구비하고, 양측면에 측면플랜지 (253)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플랜지 (253) 상에 체결홀 (254)이 다수 형성되고, 전면에 상기 축홀 (252)과 대체로 동심을 이루는 가이드슬롯 (255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슬롯 (255a)은 시트의 승강을 위해 상기 핸들레버 (100)의 업/다운 동작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입력축(261)에 조작력을 전달하는 레버브래킷 (210)의 스톱레그(미도시)가 통과하는 공간으로, 상기 가이드슬롯 (255a)에 의해 핸들레버 (100)에 연결된 상기 스톱레그의 회전 각도가 제한된다.
상기 리어커버 (280)는 전면하우징 (250)의 개방된 후면에 결합되고, 전면 중심위치에 축홀 (281)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측면플랜지 (282)가 형성되며, 측면플랜지 (282) 상에 전면하우징 (250)의 체결홀 (254)에 삽입되는 체결핀 (283)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전면하우징 (250)과 리어커버 (280)는 각각의 측면플랜지 (253, 282) 상에 관통공이 형성되므로 이 체결홀을 통해 체결수단으로 상호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전면하우징 (250)과 리어커버 (280)는 펌핑장치 (200)의 중심축 (A-A)에 대해서 대체로 일치되도록 각각 축홀 (212, 281)을 뚫어 클러치부 (260)와 브레이크부 (270)를 중심축 (A-A)에 정렬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클러치부 (260)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클러치부 (260)는 전면하우징 (250)의 내부에 삽입되고 레버브래킷 (210)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는 입력축 (261)과, 입력축 (261)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배치되는 계합자 (263)와, 상기 계합자 (263)와의 마찰 접촉을 통해 입력축(26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클러치드럼 (2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버브래킷 (210)은 전면이 시트 (300) 높이를 조정하도록 연결된 핸들레버 (100)와 연결되고, 중심부에는 입력축 (261)에 결합되기 위한 축홀 (212)이 형성되며, 후면에는 중심축 (A-A) 방향으로 전면하우징 (250)의 가이드슬롯 (255a)을 통과하는 스톱레그(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입력축 (261)은 그 선단이 전면하우징 (250)의 축홀 (252)을 관통하여 레버브래킷 (210)의 축홀 (212)에 삽입 고정되고, 후단은 전면하우징 (25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며, 중심부에는 후술하는 브레이크샤프트 (272)의 선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입력축 (261) 후단의 외주면에는 오목한 곡면 또는 평면 형상의 캠면이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캠면은 입력축 (261)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캠면에는 계합자 (263)가 배치되며, 이때 각 캠면과 계합자 (263)는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합자 (263)는 캠면과 클러치드럼 (262)의 내주면 (262a) 사이에 구속됨으로써, 입력축 (261)의 회전시 캠면과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계합자 (263)는 볼 또는 롤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외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계합자 (263)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클러치스프링 (2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클러치 스프링 (220)의 구조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핑장치의 중심축 (A-A) 방향의 두께를 고려하여 고리형상의 스프링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핸들레버 (100)를 이용하여 레버브래킷 (210)을 회전시키면, 상기 계합자 (263)는 그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클러치 스프링 (220)이 회전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후, 레버브래킷 (210)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해제되면, 압축되었던 클러치 스프링 (2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계합자 (263)와 상기 입력축 (261)은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상기 캠면이 형성되는 입력축 (261)의 후단은 클러치드럼 (262)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클러치드럼 (262)의 중심부 내주면에는 계합자 (263)에 마찰 접촉되는 가압면 (262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입력축 (26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각각의 캠면과 클러치드럼 (262)의 가압면 (262a) 사이마다 계합자 (263)가 삽입되고, 이러한 계합자 (263)는 입력축 (261)의 캠면과 클러치드럼 (262)의 가압면 (262a)에 대해 각각 접촉된다.
따라서, 입력축 (261)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계합자 (263)는 입력축 (261)의 캠면과 클러치드럼 (262)의 가압면 (262a)에 대해 각각 마찰 접촉됨으로써, 입력축 (261)의 회전 토크가 상기 계합자 (263)를 통해 클러치드럼 (262)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드럼 (262)의 중심부에는 축홀이 관통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중심축 (A-A)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레그 (262b)가 다수 형성되는데, 이러한 돌출레그 (262b)는 후술하는 브레이크드럼 (271)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웨지보스 (도 4의 271a)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클러치드럼 (262)의 회전력이 브레이크드럼 (271)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브레이크부 (27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이러한 브레이크부 (27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부 (270)는 외주면 테두리에 돌출된 웨지보스 (도 4의 271a)를 구비한 브레이크드럼 (271)과, 상기 브레이크드럼 (271)에 결합되어 리어커버 (280)의 축홀 (281)로 빠져나와 링크쪽 섹터기어에 맞물린 출력기어 (272a)를 구비한 브레이크샤프트 (272)와, 상기 브레이크드럼 (271) 쪽에 위치되어 전면하우징 (250)에 대한 마찰력으로 브레이크력을 발생하는 롤러부재 (273)로 구성된다.
상기 브레이크드럼 (271)과 상기 브레이크샤프트 (272)에 대한 상세 구성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드럼 (271)은 브레이크샤프트 (272)와 스플라인 결합하도록 중심부에 스플라인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샤프트 (27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스와 결합하는 키홈 (272b)이 형성되지만, 상기 브레이크드럼 (271)와 브레이크샤프트 (272)은 강제 압입으로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브레이크샤프트 (272)는 브레이크드럼 (271)의 중앙 관통홀 (271e)을 통과하여 상기 입력축 (261)의 삽입홀에 삽입되는 연장축 (272c)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축 (272c)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스프링가이드 (241, 24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브레이크드럼 (271)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웨지보스 (271a)가 일정 간격으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각 웨지보스 (271a)의 사이에 클러치드럼 (262)의 돌출레그 (262b)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드럼 (271) 외주면에는 롤러부재 (273)의 제 1 및 제 2 롤러축 (273a, 273b)이 삽입되는 롤러위치면 (271b)이 각 웨지보스 (271a)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위치면 (271b) 사이는 브레이크드럼 의 외주면으로부터 튀어나온 구속구간면 (271c)으로 이어진다. 상기 구속구간면 (271c)은 전면하우징 (250)과 브레이크드럼 (271) 사이의 간격을 줄여 롤러부재 (273)에 대한 웨지작용을 구현함으로써, 강한 브레이크력으로 브레이크드럼 (271)를 구속해 브레이크샤프트 (272)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샤프트 (272)는 링크쪽 섹터기어에 맞물려 브레이크력 해제시 링크쪽을 올리거나 내리며, 브레이크력 형성시 링크쪽 움직임을 구속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롤러부재 (273)는 쌍을 이루는 제 1 및 2 롤러축 (273a, 273b)과, 상기 제 1 및 2 롤러축 (273a, 273b) 사이에 위치되어 제 1 롤러축 (273a)과 제2 롤러축 (273b)을 각각 밀어내는 인서트스프링 (273c)으로 구성된다. 상기 인서트스프링 (273c)은 브레이크드럼 (271)의 웨지보스 (271a)를 감싸면서 양쪽으로 위치된 제 1 및 2 롤러축 (273a, 273b)을 각각 밀어내는 구조를 갖추며, 이를 위해 "M"형상으로 만들어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드럼 (271)의 웨지보스쪽의 롤러위치면 (271b)에 조립되어 인서트스프링 (273c)으로부터 밀어내는 힘을 받는 제 1 및 2 롤러축 (273a, 273b)은, 롤러위치면 (271b)을 이어주면서 튀어나온 구속구간면 (271c)을 통해 이동을 구속당함으로써 브레이크드럼 (271)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핸들레버 (100)를 통해 레버브래킷 (210)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해제될 경우에 핸들레버 (100)와 레버브래킷 (210)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리턴스프링 (23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턴스프링 (230)의 복원력을 상기 레버브래킷 (210)에 전달하고, 상기 클러치부 (260)와 상기 브레이크부 (27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스프링가이드 (241, 242)가 구비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턴스프링 (230), 상기 제 1 스프링 가이드 (241) 및 상기 제2 스프링가이드 (242)는 상기 브레이크드럼 (271)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브레이크드럼 (271)의 내부공간에 브레이크샤프트 (272)의 연장축 (272c)을 회전축으로하여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드럼(271)은 제 1 및 제 2 스프링가이드 (241, 242)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축방향 (A-A)으로 일면에 최소 깊이 D를 갖는 오목부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스프링가이드 (241, 242)는 상기 브레이크드럼 (271)의 최소 깊이 D를 갖는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방향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링가이드 (241, 242)가 결합된 결합체의 최대 두께는 상기 브레이크드럼 (271)의 오목부의 최소 깊이 D보다 작거나 같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링가이드 (241, 242)가 결합된 결합체는 리턴스프링과 함께 상기 브레이크드럼 (271)의 내부공간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방향으로 상기 결합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펌핑장치 (200)는 상기 회전축방향으로 슬림한 두께를 갖게 되어 공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리턴스프링도 브레이크드럼의 내부공간에 배치됨에 따라 주변구성물과 접촉 및 간섭으로 인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고, 기존 리턴스프링에 적용되는 윤활제, 특히 그리스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윤활제 누설로 인한 오염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스프링가이드 (241, 242)의 구체적인 개별 구성에 관해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 1 및 제 2 스프링가이드 (241, 242)가 결합된 결합체의 상세 구성에 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스프링가이드의 정면도이며,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스프링가이드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스프링가이드 (241) 및 제 2 스프링가이드 (242)는 서로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며, 서로 대향하여 상기 브레이크드럼 (271)의 내부공간에 서로 마주보도록, 제 1 스프링가이드 (241)의 제 2 바디부 (241b) 및 제 2 스프링가이드(242)의 제 2 바디부 (242b)가 회전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하기의 제 1 스프링가이드 (241)에 관한 설명은 제 2 스프링가이드 (242)에 동일하게 된다
먼저,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 (241)는 각각 전술한 브레이크샤프트 (272)의 연장축 (272c)이 통과하는 축홀 (241c)을 구비한 바디부 (241a, 241b), 상기 바디부 (241a, 241b)로부터 상기 연장축 (272c)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 (241d), 상기 바디부 (241a, 241b)로부터 상기 연장축 (272c)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돌출부 (241d)로부터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돌출부 (241e)를 포함한다.
한편, 제 1 스프링가이드 (241)의 바디부는 제 1 바디부 (241a) 및 제 2 바디부 (241b)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바디부 (241b)의 상기 회전축방향 두께 (제 2 두께)는 상기 제 1 바디부 (241a)의 상기 회전축방향 두께 (제 1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두께는 상기 제 1 두께의 0.5배 이하가 된다. 상기 제 1 두께는 제 1 스프링가이드 (241)의 상기 회전축방향으로 최대 두께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및 제 2 스프링 가이드 (241, 242)는 레버브래킷 (210)에 복원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상기 브레이크드럼 (271)의 내부공간에 브레이크샤프트 (272)의 연장축 (272c)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브레이크샤프트 (272)의 연장축 (272c)의 외경은 제 1 스프링 가이드 (241)의 축홀(241c)의 내경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스프링 가이드 (241)는 브레이크샤프트 (272)의 연장축 (272c)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지만, 이들 상호간에는 동력을 전달받는 상태가 아니며, 즉, 제 1 스프링 가이드 (241)는 브레이크샤프트 (272)의 연장축 (272c)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다. 이는 제 2 스프링가이드 (242)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 1 돌출부 (241d)의 일면은 고정부재 (251) 또는 브래킷레그 (211)와 접촉하며, 타면은 제 1 리턴스프링의 일단부와 접촉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제 2 돌출부 (241e)의 일면은 제 2 리턴스프링과 접촉하며, 타면은 제 2 스프링가이드 (242)의 제 2 돌출부 (242e)의 타면을 향한다.
이들 제 1 스프링가이드 (241), 제 2 스프링가이드 (242), 리턴스프링 (230) 및 브래킷레그 (211)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제 1 리턴스프링과 접촉하는 상기 제 1 돌출부 (241d)의 타면 및 제 2 리턴스프링과 접하는 제 2 돌출부 (241e)의 일면에는 리턴스프링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작동시 리턴스프링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홈 또는 돌출보스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스프링가이드 (241) 및 제 2 스프링가이드 (242)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1 스프링가이드 (241) 및 제 2 스프링가이드 (242)는 서로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며, 서로 대향하여 제 1 스프링가이드 (241)의 제 2 바디부 (241b) 및 제 2 스프링가이드(242)의 제 2 바디부 (242b)가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 1 스프링가이드 (241)의 제 2 바디부 (241b)의 두께 (제 2 두께)를 제 1 스프링가이드 (241)의 제 1 바디부 (241a)의 두께보다 작게, 바람직하게는 0.5 배 이하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링가이드(241, 242)가 상기 연장축 (272c)에 결합된 결합체의 두께가 제 1 스프링가이드 (241) 또는 제 2 스프링가이드 (242)의 최대 두께보다 적어도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 (241)의 제 1 돌출부(241d) 및 제 2 돌출부 (241e) 사이에 상기 제 2 스프링가이드 (242)의 제 2 돌출부 (242e)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스프링가이드 (242)의 제 1 돌출부 (242d) 및 제 2 돌출부 (242e) 사이에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 (241)의 제 2 돌출부 (241e)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 (241)의 제 1 돌출부 (241d)와 상기 제 2 스프링가이드 (242)의 제 1 돌출부 (242d) 사이에는 브래킷레그 (211) 및 고정부재 (251)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 (241)의 제 1 돌출부 (241d)와 상기 제 2 스프링가이드 (242)의 제 2 돌출부 (242e) 사이의 공간에는 제 1 리턴스프링이 배치되며, 상기 제 2 스프링가이드 (242)의 제 1 돌출부 (242d)와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 (241)의 제 2 돌출부 (241e) 사이의 공간에는 제 2 리턴스프링이 배치된다.
즉,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종래기술과는 달리 리턴스프링은 고정부재 (251) 및 브래킷레그 (211)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리턴스프링 (230)에 벤딩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리턴스프링 (230)의 치수관리는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리턴스프링이 직접 고정부재 및 브래킷레그와 접촉하는 경우 및 리턴스프링의 양단부에 벤딩이 형성된 경우에 비해서 작동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또한, 리턴스프링 (230)의 작동시 발생할 수 있는 래틀노이즈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펌핑장치 (200) 의 초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로서 레버브래킷 (210)에 회전력이 전달되기 전 상황 즉,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는 도 9의 초기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펌핑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1 스프링가이드 (241)의 제 1 돌출부 (241d)와 제 2 스프링가이드 (242)의 제 2 돌출부 (242e) 사이에는 제 1 리턴스프링 (230c)이 배치되고, 제 2 스프링가이드 (242)의 제 1 돌출부 (242d)와 제 1 스프링가이드 (241)와 제 2 돌출부 (242e) 사이에는 제 2 리턴스프링 (230b)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레버브래킷 (210)에 연결된 브래킷레그 (211)는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의 돌출부 (241b) 및 상기 제 2 스프링가이드의 돌출부 (242b) 사이로 연장된다. 상기 브래킷레그 (211)의 연장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상기 전면하우징 (250)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의 돌출부 (241b) 및 상기 제 2 스프링가이드의 돌출부 (242b) 사이에 고정부재(251)가 배치된다. 도면에는 연장축 (272c)을 중심으로 브래킷레그 (211)가 고정부재 (251)보다 더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의 경우도 적용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펌핑디바이스 (200)에 사용자의 조작력이 제 1 방향으로 가해진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12은 도 11의 작동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펌핑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턴스프링 (230b, 230c)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복원력을 작용한다.
상기 브래킷레그 (211)가 도 9 및 도 10의 초기위치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고,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 (241)의 제 1 돌출부 (241d) 및 제 2 돌출부 (241e)는 상기 브래킷레그 (21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일정한 각도와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될 때, 상기 고정부재(251)에 의해서 상기 제 2 스프링가이드 (242)의 제 1 돌출부 (242b)는 상기 고정부재(251)와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어 제 2 스프링가이드 (242)의 회전이 방지된다. 즉, 제 2 스프링가이드 (242)는 고정상태가 된다.
위와 같이 구성하는 것은, 리턴스프링 (230b, 230c)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초기상태로부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어 복원력을 발생하기 위해서는 리턴스프링 (230b, 230c)의 일단은 자유단으로서 이동되어 리턴스프링 (230b, 230c)이 변형될 때, 리턴스프링 (230)의 타단은 고정단으로서 위치가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과 같이 브래킷레그 (21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스프링가이드 (241)의 제 1 돌출부 (241d)와 제 2 돌출부 (241e)가 동시에 회전될 때, 제 2 스프링가이드(242)의 제 1 돌출부(242d)는 제 2 리턴스프링 (230b)의 고정단으로서 역할을 하고, 제 2 스프링가이드 (242)의 제 2 돌출부 (242e)는 제 1 리턴스프링 (230c)의 고정단으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그 결과, 제 1 스프링가이드 (241)가 회전함에 따라 제 1 리턴스프링 (230c) 및 제 2 리턴스프링 (230b)는 압축되어 변형되고, 본래 형상으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이 제 1 스프링가이드 (241)의 제 1 돌출부(241d) 및 제 2 돌출부 (241e)에 동시에 작용하여, 레버브래킷 (211)에 전달되는 회전력이 해제되었을 때, 리턴스프링 (230b, 230c)의 작용으로 제 1 스프링가이드(242)의 제 1 돌출부(242d) 및 제 1 돌출부 (242e)는 도 9 및 도 10의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제 1 스프링가이드(241)가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동안에도 제 2 스프링가이드 (242)는 고정부재 (251)의 작용으로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되어 여전히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리턴스프링 (230b, 230c)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으나, 코일형 압축스프링이 바람직하다. 다만, 코일스프링의 외경은 상기 브레이크드럼 (271)의 오목부의 최소 깊이 D보다 작거나 같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브래킷레그 (211)가 제 2 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본원의 리턴스프링 (230b, 230c)은 유효하게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브래킷레그 (211) 및 제 2 스프링가이드 (242) 가 초기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경우에 비해서 제 1 스프링가이드 (241)의 제 1 돌출부 (241d) 및 제 2 돌출부 (241e)가 고정단으로서 작용하고, 제 2 스프링가이드(242)의 제 1 돌출부 (242d) 및 제 2 돌출부 (242e)는 자유단으로서 작용한다는 점에서만 차이를 보이며, 리턴스프링 (230b, 230c)은 동일한 방식으로 유효하게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브래킷레그 (211)의 작용으로 제 1 리턴스프링 (230c) 및 제 2 리턴스프링 (230b)이 압축될 때 제 1 스프링가이드 (241) 및 제 2 스프링가이드 (242)의 회전축방향으로 이탈되는 힘을 받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턴스프링 (230b, 230c)은 브레이크드럼 (271)의 내부공간 오목부에 배치되고, 따라서 브레이크드럼 (271)의 내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리턴스프링 (230b, 230c)의 이탈은 브레이크드럼 (271)의 내측면에 의해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이와 반대방향으로의 리턴스프링 (230b, 230c)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15에는 클러치드럼 (262)에 구비된 이탈방지턱 (262c)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턱 (262c)은 클러치드럼 (262)의 가압면 (262a)으로부터 축홀의 중심을 향해서 돌출된 형상을 취하며, 따라서 이탈방지턱 (262c)의 내경은 가압면 (262a)의 내경보다는 작게 된다. 또한, 이탈방지턱 (262c)의 내경은 리턴스프링 (230b, 230c)이 배치되는 공간을 커버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리턴스프링 (230b, 230c)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이탈이 방지되며, 더불어 다른 구성물과의 간섭을 회비하여 신뢰성있는 작동성능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핸들레버로부터 입력되는 회전력을 링크수단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부;
    상기 링크수단으로부터 상기 클러치부에 역입력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브레이크부;
    시트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클러치부와 브레이크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전면하우징;
    상기 전면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레버와 상기 클러치부를 연결하는 레버브래킷;
    상기 회전력과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하여 레버브래킷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리턴스프링; 및
    상기 리턴스프링의 복원력을 상기 레버브래킷에 전달하고, 상기 클러치부와 상기 브레이크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스프링 가이드 및 제 2 스프링가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부는, 중앙에 관통홀이 구비되고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브레이크드럼 및 일단에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연장축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링크수단과 연결되는 출력기어가 구비된 브레이크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턴스프링, 상기 제 1 스프링 가이드 및 상기 제2 스프링가이드는 상기 브레이크드럼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스프링 가이드 및 상기 제 2 스프링가이드는 서로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연장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 및 상기 제 2 스프링가이드 중에서 어느 하나가 상기 레버브래킷에 의해서 회전될 때 나머지 하나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 및 상기 제 2 스프링가이드는 각각 상기 연장축이 통과하는 축홀을 구비한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돌출부로부터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의 바디부와 상기 제 2 스프링가이드의 바디부는 각각 제 1 바디부 및 제 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바디부의 회전축방향 두께는 상기 제 1 바디부의 회전축방향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의 제 2 바디부와 상기 제 2 스프링가이드의 제 1 바디부는 상기 회전축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연장축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의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 사이에 상기 제 2 스프링 가이드의 제 2 돌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스프링 가이드의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 사이에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의 제 2 돌출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턴스프팅은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턴스프링은,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의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스프링 가이드의 제 2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리턴스프링 및 상기 제 2 스프링 가이드의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의 제 2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디바이스.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브래킷은 상기 전면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브래킷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레그는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의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스프링가이드의 제 1 돌출부 사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디바이스.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의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스프링가이드의 제 1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디바이스.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레그가 초기위치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고, 상기 제 1 스프링가이드의 제 1 돌출부는 상기 브래킷레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일정한 각도와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될 때, 상기 제 2 스프링가이드의 제 1 돌출부는 상기 고정부재와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어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전면하우징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디바이스.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전면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디바이스.
KR1020110088213A 2011-08-31 2011-08-31 차량용 시트 펌핑장치 KR101788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213A KR101788609B1 (ko) 2011-08-31 2011-08-31 차량용 시트 펌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213A KR101788609B1 (ko) 2011-08-31 2011-08-31 차량용 시트 펌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648A KR20130024648A (ko) 2013-03-08
KR101788609B1 true KR101788609B1 (ko) 2017-10-23

Family

ID=48176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213A KR101788609B1 (ko) 2011-08-31 2011-08-31 차량용 시트 펌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6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9141A (zh) * 2015-08-27 2015-11-18 无锡全盛安仁机械有限公司 一种泵式汽车座椅高度调节装置的装配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41B1 (ko) * 2007-03-21 2007-12-27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쿠션용 펌핑장치
JP2011015894A (ja) * 2009-07-10 2011-01-27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41B1 (ko) * 2007-03-21 2007-12-27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쿠션용 펌핑장치
JP2011015894A (ja) * 2009-07-10 2011-01-27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648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446B1 (ko) 차량용 시트 펌핑디바이스
US10661685B2 (en) Pumping apparatus for vehicle seat
JP5344769B2 (ja) 車両用シートの高さ調節装置
KR101491883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US9469219B2 (en) Pumping device for vehicle seat
KR101491884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1417523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20140016064A (ko) 시트 높이 조절용 펌핑 디바이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 장치
KR101294382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1788609B1 (ko) 차량용 시트 펌핑장치
KR101582692B1 (ko) 펌핑 볼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KR101283124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1173469B1 (ko) 시트용 펌핑 디바이스의 백 드라이브 방지장치
KR101294578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1117794B1 (ko)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 장치
KR101732373B1 (ko) 차량용 시트 펌핑장치
CN112078446B (zh) 用于车辆座椅的座椅高度调节设备
KR101144858B1 (ko)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 장치
CN114340943A (zh) 座椅高度调节致动器
KR20110054713A (ko) 패시브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KR101565574B1 (ko) 시트용 높이 조절장치
KR102216944B1 (ko) 펌핑 디바이스
KR101421927B1 (ko) 차량 시트의 펌핑 디바이스
KR101621548B1 (ko) 다이알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KR101729609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