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2970A - 미아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아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2970A
KR20110052970A KR1020090109730A KR20090109730A KR20110052970A KR 20110052970 A KR20110052970 A KR 20110052970A KR 1020090109730 A KR1020090109730 A KR 1020090109730A KR 20090109730 A KR20090109730 A KR 20090109730A KR 20110052970 A KR20110052970 A KR 20110052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or
terminal device
guardian
network
beac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1567B1 (ko
Inventor
이정우
류제원
최영완
권영빈
박재화
박호현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09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567B1/ko
Publication of KR20110052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22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1/024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beacon transmit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36Threshold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미아 발생시 미아의 위치를 제공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미아를 추적할 수 있는 미아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미아 위치 추적 시스템은, 지그비 프로토콜(ZigBee protocol)의 종단기기(end device)로 작동하고 피보호자가 구비하는 종단기기, 상기 종단기기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지그비 프로토콜의 코디네이터(coordinator)로 작동하고 상기 피보호자의 보호자가 구비하는 제1 코디네이터 및 상기 피보호자 주변에 존재하는 상기 제1 보호자를 제외한 나머지 보호자가 구비하는 제2 코디네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종단기기는 상기 제1 코디네이터와 통신 단절 시 상기 제2 코디네이터가 형성하고 있는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상기 종단기기의 위치 정보를 추적센터에 제공할 수 있다.
미아, 지그비(ZigBee), 무선 개인영역 통신망(PAN), 코디네이터(coordinator), 종단기기(end device), non-beacon mode

Description

미아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URSUIT A LOST CHILD}
본 발명은 미아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미아 위치 추적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미아 발생 시 미아의 위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추적할 수 있는 미아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근래에는 무선통신의 발달에 근거하여 미아, 유괴 및 조난과 같은 상황(이하에서는 미아 발생 상황이라 통칭하여 설명한다)에서 신속하게 구조 요청자를 구조하기 위해 구조 요청자로부터 소정의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구조 요청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 방법이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미아 위치 추적 방법은 베이스 노드들이 곳곳에 충분히 설치된 놀이동산과 같은 한정된 공간에서 입장객들에게 센서를 나눠주고, 미아가 발생하는 경우 미리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 노드들을 통해 위치를 탐지하는 방법이 있었다. 또는, 아이가 지정된 지역을 벗어나거나 지정된 지역 내에서의 현재 위치에 대해서 부모가 자신과 아이가 가지고 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아이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미아 위치 추적 방법은 곳곳에 센서나 노드를 설치해야 하므 로 실제 설치 가능한 장소의 문제와 비용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GPS를 이용하는 경우 GPS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실내나 음영지역 및 고층 건물이 많은 복잡한 지형에서는 사용이 어렵고 신뢰성에 문제가 있으며 비용적인 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미아 위치 추적 방법은 부모가 자신의 아이가 미아가 되었음을 인지한 후 구조센터에 신고를 하면 부모의 말을 토대로 아이가 미아가 된 장소로 추정되는 위치에서 미아를 추적하게 된다. 그런데 실제로 미아가 된 장소와 시간을 정확히 알지 못한다면 미아 위치 추적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미아 탐색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미아 발생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아이가 이동하므로 미아를 찾을 수 있는 확률이 점차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미아 발생 시 미아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는 미아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미아 위치 추적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및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미아 위치 추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아 발생 시 미아의 위치를 제공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미아를 추적할 수 있는 미아 위치 추적 시스템은, 지그비 프로토콜(ZigBee protocol)의 종단기기(end device)로 작동하고 피보호자가 구비하는 종단기기, 상기 종단기기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지그비 프로토콜의 코디네이터(coordinator)로 작동하고 상기 피보호자의 보호자가 구비하는 제1 코디네이터 및 상기 피보호자 주변에 존재하는 상기 제1 보호자를 제외한 나머지 보호자가 구비하는 제2 코디네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종단기기는 상기 제1 코디네이터와 통신 단절 시 상기 제2 코디네이터가 형성하고 있는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상기 종단기기의 장치 정보를 추적센터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코디네이터는 상기 종단기기의 네트워크 결합 요청이 있으면 무조건 상기 종단기기를 네트워크에 참여를 수락하도록 작동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코디네이터는 미아 발생을 보호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람부가 구비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코디네이터는 미아 발생이 확인되면 보호자에게 이를 알려서 보호자가 추적센터에 미아 발생 신고를 하거나 코디네이터에서 자동으로 구조센터에 미아 발생 신고를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코디네이터는 상기 종단기기가 네트워크 결합될 때마다 이를 보호자에게 알리기 위해서 종단기기의 네트워크 결합 여부를 알리기 위한 알람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아 발생 시 미아의 위치를 제공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미아를 추적할 수 있는 미아 위치 추적 방법은, 지그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한 쌍으로 구성된 종단기기와 제1 코디네이터의 통신이 중단되면 상기 종단기기에서 제1 코디네이터 또는 상기 제1 코디네이터 주변의 제2 코디네이터에 네트워크 결합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종단기기가 상기 제2 코디네이터가 형성한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단계, 상기 제2 코디네이터에서 상기 종단기기의 미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코디네이터에서 상기 종단기기의 미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미아로 최종 판단 시 추적센터에서 상기 제2 코디네이터의 위치를 이용하여 미아를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결합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종단기기가 비컨 프레임 요청 신호(beacon frame request)를 방송(broad casting)하는 단계, 상기 비컨 프레임 요청 신호를 수신한 코디네이터에서 전송되는 비컨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비컨 프레임 중에서 비컨 프레임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된 비컨 프레임을 전송한 코디네이터에 네트워크 결합을 요청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컨 프레임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코디네이터의 비컨 프레임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코디네이터의 비컨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제1 코디네이터의 비컨 프레임이 없는 경우에는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가 높은 비컨 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단기기는 상기 제2 코디네이터가 형성한 네트워크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참여한 후 상기 제1 코디네이터 또는 다른 코디네이터에 네트워크 결합을 재요청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결합 재요청 단계는, 상기 종단기기가 상기 네트워크에 참여한 결합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결합 시간이 기 설정된 네트워크 결합 분리시간보다 같거나 크면 상기 종단기기가 상기 네트워크와의 결합을 끊는 단계, 상기 분리된 종단기기는 비컨 프레임 요청 신호를 방송하는 단계, 상기 비컨 프레임 요청 신호를 수신한 코디네이터에서 전송되는 비컨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비컨 프레임 중에서 비컨 프레임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비컨 프레임을 전송한 코디네이터에 네트워크 결합을 요청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비컨 프레임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코디네이터의 비컨 프레임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코디네이터의 비컨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제1 코디네이터의 비컨 프레임이 없는 경우에는 신호대잡음비가 높은 비컨 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코디네이터에서 미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코디네이터에서 상기 종단기기의 장치 정보가 수신이 단절되면 미수신 시간을 측정하는 단 계 및 상기 측정된 미수신 시간이 기 설정된 최종 미아 결정 시간보다 같거나 크면 구조센터에 미아 발생 신고를 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코디네이터에서 미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미수신 시간이 상기 최종 미아 결정 시간보다 작은 경우, 네트워크 결합 요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결합을 요청한 종단기기의 개인 통신망 고유번호(personal area network identifier, PANID)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종단기기의 PANID가 설정된 종단기기의 PANID가 아닌 경우 상기 구조센터에 미아 발생 신고를 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코디네이터에서 미아를 판단하는 단계는 제1 코디네이터에서 미아를 판단하는 단계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코디네이터에 네트워크 결합 요청 신호를 전송한 종단기기의 PANID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PANID가 설정된 PANID가 아닌 경우 상기 구조센터에 미아 발생 신고를 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적센터에서 미아를 추적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코디네이터의 미아 발생 신고를 접수하는 단계, 상기 제1 코디네이터의 미아 발생 신고 접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코디네이터의 미아 발생 신고가 접수되면 상기 제2 코디네이터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코디네이터의 위치로 출동하여 상기 종단기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적센터에서 대기하는 구조팀의 대기를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추적센터는 상기 제2 코디네이터의 미아 발생 신고가 접수되면 접수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접수 시간이 기 설정된 대기 해제 결정 시간보다 작으면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접수 시간이 기 설정된 대기 해제 결정 시간보다 같거나 크면 대기를 해제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지그비 종단기기와 코디네이터를 피보호자와 보호자가 각각 구비하고, 둘 사이의 통신이 중단되면 미아가 발생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미아 발생 시 피보호자의 주변에 위치하는 보호자들이 구비하고 있는 코디네이터와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구조센터에 피보호자의 초기 위치 정보와 미아 추적 영역 정보를 제공하므로 미아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들이 구비하는 지그비 코디네이터와 미아 발생 시 네트워크를 형성하므로 중계기 등의 기기를 추가하지 않고 미아 추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지그비(ZigBee)를 이용하여 저전력, 저비용, 초소형으로 미아 위치 추적을 위한 장치를 형성할 수 있으며, 피보호자 및 보호자가 평상시에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그비를 이용하므로 GPS 등 다른 기기에 비해 피보호자가 있는 장소와 관계없이 신호를 발생시키고 지속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므로 피보호자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위치 추적 시스템(100)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미아 위치 추적 시스템(100)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지그비 프로토콜(ZigBee protocol)의 코디네이터(coordinator)와 종단기기(end device)를 보호자와 피보호자가 각각 구비하며, 서로 거리가 멀어져서 통신 범위를 벗어나면 통신이 단절되는 것을 통해 피보호자가 보호자에서 멀리 떨어진 상태, 즉, 미아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미아 위치 추적 시스템(100)은 미아가 된 피보호자 주변에 각각 한 쌍이 코디네이터와 종단기기를 구비하는 다수의 보호자-피보호자들이 존재하므로 미아가 된 피보호자는 주변에 위치한 코디네이터 중 하나의 코디네이터를 선택하여 해당 코디네이터가 형성하고 있는 네트워크에 참여함으로써 피보호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미아 위치 추적을 용이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미아 위치 추적 시스템(100)의 일 예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미아'는 길을 잃거나 부모와 일시적으로 헤어진 아이뿐만 아니라 보호자와 일시적으로 떨어진 성인 등 실질적으로 다양한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미아가 되는 피보호자의 보호자를 '보호자 A'라 하고, 미아 상태의 피보호자가 네트워크 결합 요청을 하는 다른 보호자를 '보호자 B'라 한다.
미아 위치 추적 시스템(100)은 보호자 A와 피보호자가 서로 한 쌍으로 구성된 코디네이터(120)와 종단기기(110)를 구비하고, 코디네이터(120)와 종단기기(110)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피보호자의 종단기기(110)는 보호자 A의 코디네이터(120)에 종단기기(110)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번호와 신호 발생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정보(data)(S12)를 전송하고 코디네이터(120)는 응답신호(acknowledge, ACK)(S21)를 전송함에 따라 종단기기(110)와 코디네이터(120)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호자 A의 코디네이터(120)와 통신이 가능한 영역 RA 내에 피보호자가 존재하는 경우, 즉, 피보호자가 미아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종단기기(110)와 코디네이터(120) 사이에 지속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이에 반해, 피보호자가 코디네이터(120)와 통신 가능한 영역 RA를 벗어나면, 즉, 미아 상태가 되면 보호자 A의 코디네이터(120)와 통신이 단절되므로 코디네이터(120)와 종단기기(110)에서 모두 미아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미아 상태가 된 피보호자의 종단기기(110)는 지그비 통신을 이용하여 피보호자에게서 근접 거리에 위치하는 보호자 B의 코디네이터(121)에 네트워크 결합을 요청하여 보호자 B의 코디네이터(121)가 형성하고 있는 네트워크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종단기기(110)가 결합되면 보호자 B 또는 코디네이터(121)가 이를 확인하고 미아 발생 신고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미아 발생 신고가 접수되면 추적센터에서는 보호자 B와 통신이 가능한 영역 RB에 미아가 된 피보호자가 존재하는 것이므로 보 호자 B의 위치를 확인하여 보호자 B의 위치로 출동하고, RB 영역 내에서 미아를 추적하여 구조할 수 있다.
도 1에서 RC는 또 다른 보호자와 통신 가능한 영역을 도시하였고, 도면부호 111은 보호자 B의 피보호자가 구비하는 종단기기(111)이다.
종단기기(110)는 보호자 A와 마찬가지로 보호자 B의 코디네이터(121)에 장치 정보를 전송하면(S14) 보호자 B의 코디네이터(121)에서 ACK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지그비 통신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호자 B의 코디네이터(121)와 보호자 B의 피보호자의 종단기기(111) 사이에서도 종단기기(111)가 장치 정보를 전송하고 보호자 B의 코디네이터(121)는 ACK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지그비 통신이 이루어짐에 따라 미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위치 추적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위치 추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로써, 도 2는 미아 발생 시 피보호자가 구비하는 지그비 종단기기(1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미아 발생 시 보호자 A가 구비하는 지그비 코디네이터(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미아 발생 시 구조센터에서 미아 발생 신고를 접수하였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미아 발생 시 피보호자의 종단기기(1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보호자 A와 피보호자가 서로 한 쌍으로 구성된 코디네이터(120)와 종단기기(110)를 구비하고, 코디네이터(120)와 종단기기(110)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통신이 유지됨에 따라 피보호자가 미아 상태가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피보호자가 구비하는 종단기기(110)와 보호자 A의 코디네이터(120)는 한 쌍으로 인식되어 서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개인 통신망 고유번호(personal area network identifier, PANID)가 부여되고, 서로의 PANID를 확인함으로써 서로의 피보호자 및 보호자임을 확인할 수 있다.
종단기기(110)와 보호자 A의 코디네이터(120)의 통신에 대해 설명하면, 피보호자의 종단기기(110)는 보호자 A의 코디네이터(120)에 장치 정보(data)를 전송한다(S201). 여기서, 장치 정보는 종단기기(110)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번호와 신호 발생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자 A의 코디네이터(120)에서 피보호자의 종단기기(110)의 장치 정보를 수신하면 코디네이터(120)는 종단기기(110)로 응답신호(acknowledge, ACK)를 전송하고, 종단기기(110)에서 ACK 신호 수신 여부에 따라 종단기기(110)가 미아 상태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2).
여기서, 코디네이터(120)에서 장치 정보를 수신하거나 종단기기(110)에서 ACK를 수신하는 경우 피보호자는 보호자와 일정 거리 이내의 범위에 있으며 미아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종단기기(110)에서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코디네이터(120)의 ACK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종단기기(110)는 미아 상황이라고 판단하여 비컨 프레임 요청 신호(beacon frame request)를 방 송(broadcasting)한다(S203).
종단기기기(110)는 채널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지그비 채널에 대해서 비컨 프레임 요청 신호를 방송하게 된다. 그리고 등록된 채널에서 네트워크를 형성한 코디네이터는 채널 상태가 idle이면 종단기기(110)에서 방송되는 비컨 프레임 요청 신호를 PANID에 상관없이 인지할 수 있다. 비컨 프레임 요청 신호를 인지한 코디네이터는 비컨 프레임을 전송하고 종단기기(110)는 이와 같이 전송되는 비컨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종단기기(110)는 코디네이터에서 전송되는 비컨 프레임을 스캔하여(S204) 탐지할 수 있다(S205). 그리고 종단기기(110)는 종단기기(110)에서 방송한 비컨 프레임 요청 신호를 인지한 코디네이터들이 전송한 비컨 프레임을 수신하고, 수신된 비컨 프레임 중에서 하나의 비컨 프레임을 선택하고(S206), 해당 비컨 프레임을 전송한 코디네이터에게 해당 코디네이터가 형성한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위한 네트워크 결합(association)을 요청하여(S207), 해당 네트워크에 참여한다(S208).
상세하게는, 종단기기(110)는 수신된 비컨 프레임에서 어드레스 필드(address fields)에 저장되어 있는 PANID를 비교하여 보호자 A의 코디네이터(120)인지 아니면 다른 보호자의 코디네이터(121)인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PANID가 같은 경우에는 보호자인 보호자 A의 코디네이터(120)에서 전송한 비컨 프레임이므로 종단기기(110)는 해당 비컨 프레임을 선택한다. 그리고 PANID가 같지 않은 경우에는 보호자 A의 코디네이터(120)에서 보낸 비컨 프레임이 없으므로 수신 된 비컨 프레임 중에서 하나의 비컨 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단기기(110)는 수신한 비컨 프레임 중에서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가 좋은 비컨 프레임을 선택한다.
종단기기(110)와 거리가 가까울수록 종단기기(110)에서 수신된 비컨 프레임의 SNR이 좋으므로, 가장 SNR이 좋은 비컨 프레임을 선택함으로써 종단기기(110)에서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는 보호자의 코디네이터(121)가 형성한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다.
여기서, 종단기기(110)에서 네트워크 결합 요청을 받은 코디네이터(121)는 무조건 요청을 수락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종단기기(110)의 네트워크 결합 요청을 받은 코디네이터(121)는 이와 같은 결합 요청이 있음을 해당 코디네이터(121)를 구비하는 보호자(이하, '보호자 B'라 한다)에게 알리기 위한 알람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디네이터(121)는 진동이나 소리와 같은 방식으로 보호자 B에게 알람을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종단기기(110)는 보호자 B의 코디네이터(121)에서 네트워크 결합 요청이 수락되면 결합 시간 T1을 측정하기 시작한다(S209).
한편, 미아의 종단기기(110)는 보호자 B의 코디네이터(121)가 형성한 네트워크에 참여한 상태에서는 보호자인 보호자 A가 주변에 있는 경우에도 보호자 A의 코디네이터(120)가 형성한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없어서 미아로 판별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단기기(110)는 보호자 B의 코디네이터(121)가 형성한 네트워크에 일정시간 동안 참여한 후 다시 보호자 A의 코디네이터(120)를 찾 거나 또 다른 코디네이터를 찾기 위해서 분리된다.
즉, 결합 시간 T1은 종단기기(110)가 보호자 B가 구비하고 있는 코디네이터(121)가 형성한 네트워크에 결합 후 경과 시간으로 기 설정된 결합 분리 시간과 비교하여 T1이 결합 분리 시간과 같거나 크면, 종단기기(110)는 보호자 B의 코디네이터(121)의 네트워크에서 분리된다(S212). 분리된 종단기기(110)는 비컨 프레임 요청 신호를 방송하고, 비컨 프레임을 선택하고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일련의 단계(S203~S208)를 반복 수행하여 네트워크 결합을 재요청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그리고 결합 시간 T1이 결합 분리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종단기기(110)는 보호자 B의 코디네이터(121)와 네트워크 결합을 유지한다. 상세하게는, 종단기기(110)는 보호자 B의 코디네이터(121)에 장치 정보를 전송하고(S210), 보호자 B의 코디네이터(121)는 장치 정보 수신에 대한 응답신호 ACK를 전송한다(S211). 종단기기(110)가 보호자 B의 코디네이터(121)의 ACK를 수신하면 보호자 B의 코디네이터(121)와 정상적으로 네트워크가 형성된 경우이므로 T1 시간과 결합 분리 시간을 비교하여(S212) 결합 시간 T1이 결합 분리 시간보다 짧으면, 결합 시간 T1이 결합 분리 시간보다 같거나 커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결합 시간 T1을 측정한다.
만약 종단기기(110)에서 보호자 B의 코디네이터(121)의 ACK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종단기기(110)와 코디네이터(121) 사이에 통신망이 형성되지 못한 경우이므로, 종단기기(110)는 다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코디네이터(121)를 검색하기 위해서 비컨 프레임 요청 신호를 방송한다. 그리고 상술한 단계 S203~S210을 반복 수행하여 새로운 코디네이터(121)가 형성하고 있는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 다.
한편, 보호자 A의 코디네이터(120)는 피보호자가 구비하는 종단기기(110)와 통신이 단절되면 피보호자가 미아가 되었는지 여부를 최종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구조센터에 미아 발생 신고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보호자 A의 코디네이터(120)는 일정 시간 동안 종단기기(110)에서 전송되는 장치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미아 판단을 위한 미수신 시간 T2를 측정하고(S301), 측정된 미수신 시간 T2를 기 설정된 최종 미아 결정 시간과 비교한다(S302).
여기서, 최종 미아 결정 시간은 피보호자가 잠시 보호자 A와 떨어진 경우, 예를 들어, 잠시 화장실을 가거나 놀이기구를 타는 등의 행동으로 인해 보호자와 통신이 가능한 거리를 벗어난 경우이지만 미아라고 판단할 수 없는 경우에 대해 미아라고 판단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시간이다. 즉, 최종 미아 결정 시간은 피보호자와 보호자 사이의 통신 단절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장시간 유지되는 경우에만 미아라고 판단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미수신 시간 T2가 미아 결정 시간보다 같거나 큰 경우는 종단기기(110)가 미아 상태가 된 것이므로 구조센터에 미아 발생 신고를 한다(S307).
반면, 미수신 시간 T2가 미아 결정 시간보다 짧은 경우는 미아 상태가 아니므로 종단기기에서 네트워크 결합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03).
코디네이터(120)는 네트워크 결합 요청이 없는 경우에는 미수신 시간 T2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만약, 미수신 시간 T2가 미아 결정 시간보다 같거나 길어지면 구조센터에 미아 발생 신고를 한다(S307). 여기서, 미아 상태라고 판단되면 이를 보호자 A에게 알리기 위해서 코디네이터(120)는 진동이나 소리, 빛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는 알람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자 A는 코디네이터(120)의 알람을 통해 미아가 발생하였음을 신속하게 인지하고 구조센터에 미아 발생 신고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코디네이터(120)는 네트워크 결합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수신된 네트워크 결합 요청 신호에 포함된 PANID를 비교하여 신호를 전송한 종단기기가 자신의 피보호자가 구비하고 있는 종단기기(110)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304). PANID를 비교하여 피보호자의 종단기기(110)라고 확인된 경우에는 피보호자가 미아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S305),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단기기(110)와 네트워크 결합 상태를 유지하고 미아 위치 추적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PANID를 비교하여 피보호자의 종단기기(110)가 아니라 다른 종단기기라고 확인된 경우에는 자신의 피보호자가 아닌 또 다른 미아가 구비하고 있는 종단기기에서 네트워크 결합 요청을 하는 경우이므로 요청을 하는 종단기기를 구비하는 미아에 대한 미아 발생 신고를 구조센터에 한다(S306). 여기서 보호자 A의 코디네이터(120)에서 미아 발생 여부 판단 및 미아 발생 신고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보호자 B의 코디네이터(121) 역시 보호자 A의 코디네이터(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작동한다.
다음으로, 미아 발생 신고가 접수되면 구조센터는 미아 발생 신고를 확인하고 미아의 위치를 확인하여 미아가 있다고 추정되는 위치로 출동하여 미아를 구조할 수 있다.
한편, 미아가 발생하면 보호자 A와 보호자 B가 모두 미아 발생을 인지하고 미아 발생 신고를 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자 A의 경우 S307 단계에서와 같이 설정된 최종 미아 결정 시간 동안 종단기기(110)의 장치 정보가 수신되기를 기다린 후 미아 발생 신고를 하는 데 반해, 보호자 B의 경우에는 S306 단계에서와 같이 종단기기(110)가 네트워크에 참여하면 바로 미아 발생 신고를 하므로 보호자 A에 비해 더 빠르게 미아 발생 신고를 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미아가 발생하면 미아 상태의 피보호자의 종단기기(110)가 참여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코디네이터(121)를 구비하는 보호자 B의 미아 발생 신고가 구조센터에 접수된다(S401). 그리고 구조센터는 보호자 B의 미아 발생 신고가 접수되면 접수 시간 T3를 측정한다(S402).
구조센터는 미아 발생 신고가 접수되면 미아의 구조를 위한 구조팀이 출동 준비를 갖추고 출동 대기한다.
보호자 A의 미아 발생 신고가 접수되지 않으면(S403), 구조센터는 접수 시간 T3가 기 설정된 대기 해제 결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S407) 구조팀의 출동 대기 상태를 유지시킨다(S406). 여기서, 구조팀은 미아 발생 신고 접수 후 보호자 A의 미아 발생 신고가 접수되어 출동할 때까지 계속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미아 발생 상황이 아닌 경우 구조팀의 대기 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접수 시간 T3는 구조팀이 대기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시간이다. 보호자 B의 미아 발생 신고가 접수된 후 기 설정된 시간(대기 해제 결정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보호자 A의 미아 발생 신고가 없다면 실제 미아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구조센터는 구조팀의 대기 상태를 해제하고 미아 발생 상태라 아니라고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보호자 A의 미아 발생 신고가 접수되지 않았더라도 일정 시간 동안은 미아 발생 신고가 접수되는 지 여부를 좀더 기다리기 위해서 구조팀이 대기 하도록 대기 해제 결정 시간은 충분히 긴 시간으로 설정된다.
미아의 보호자인 보호자 A의 미아 발생 신고가 접수되면(S403), 실제 미아가 발생한 상황이므로 구조센터는 출동 대기 중인 구조팀을 미아의 구조를 위한 장소로 출동시킨다. 여기서, 미아가 된 피보호자는 보호자 B의 코디네이터(121)와 통신이 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므로 보호자 B의 위치를 확인하여(S404), 확인된 위치로 출동하여(S405) 미아를 추적하고 구조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자 B의 위치가 미아 위치 추적의 초기 위치가 되며, 미아가 된 피보호자는 보호자 B의 코디네이터(121)와 통신이 가능한 범위에 있는 것이므로 구조팀이 실제로 미아를 추적해야 하는 영역의 크기를 한정할 수 있어서 구조팀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미아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여기서, 종단기기(110)가 결합된 보호자 B의 코디네이터(121)는 종단기기(110)가 결합되었음을 보호자 B에게 진동이나 소리 등으로 알리므로 보호자 B는 종단기기(110)가 결합 시 구조센터로 전화를 걸어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종단기기(110)가 결합되면 보호자 B의 코디네이터(121)에서 자동으로 구조센터로 전화를 걸거나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조센터는 실질적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보호자 B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피보호자가 이동하는 경우 보호자 B의 코디네이터(121)와 통신이 가능한 범위를 벗어나면 보호자 B의 코디네이터(121)의 네트워크와의 결합을 끊은 후 상술한 S205~S208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코디네이터가 형성하고 있는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다. 여기서, 종단기기(110)가 새롭게 참여한 네트워크가 보호자 A의 코디네이터(120)가 형성한 네트워크인 경우 피보호자는 보호자에게 발견되어 미아 상태가 아니므로 출동을 취소할 수 있다. 그리고 구조팀은 출동을 취소하거나 구조센터로 복귀할 수 있다. 반면, 종단기기(110)가 새롭게 참여한 네트워크가 새로운 보호자의 코디네이터가 형성하고 있는 네트워크인 경우에는, 종단기기(110)가 참여하면 해당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코디네이터를 구비하는 보호자는 미아인 피보호자의 종단기기(110)가 자신의 네트워크에 참여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인지한 보호자 또는 코디네이터가 구조센터에 미아 발생 신고를 함으로써 피보호자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피보호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 예측이 가능하다. 그리고 구조센터는 출동 시점 또는 출동하여 이동하는 중에 최종 미아 발생 신고를 접수한 보호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미아를 추적하고 구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의 특성을 가진 지그비(ZigBee)를 이용하여 보호자와 피보호자가 각각 구비하도록 한 쌍의 코디네이터(120)와 종단기 기(110)를 구성하고, 종단기기(110)와 코디네이터(120) 사이에서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미아 발생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미아 상태에서 종단기기(110)는 주변의 보호자가 형성한 네트워크에 참여함으로써 미아의 위치 정보를 구조센터에 제공하므로 구조센터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미아를 구조할 수 있다. 또한, 미아의 위치는 미아 발생 신고를 전송한 보호자의 코디네이터(121)와 통신할 수 있는 범위로 한정되므로 구조센터에서 미아를 추적하는 영역을 한정하여 미아의 위치 추적 및 구조의 가능성을 높이고 시간과 노력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그비의 특성인 저전력, 저비용, 초소형의 장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하므로 미아 발생 및 미아 위치 추적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지그비를 이용함으로써 GPS를 사용할 수 없는 실내나 음영 지역 등에서도 정확하게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지그비는 미아 발생 신호와 같은 짧은 패킷으로 구성 가능한 정보의 송출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며 높은 전력 효율을 가지므로 장시간 통신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미아를 찾을 때까지 지속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그리고 미아 발생 시 미아는 주변의 보호자들이 형성한 네트워크에 참여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제공하므로 통신망에 부하를 증가시키지 않으며, 시스템 구축 비용 및 운용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효과적으로 미아 위치 추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위치 추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위치 추적 방법에서 피보호자가 구비하는 지그비 종단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위치 추적 방법에서 미아가 된 피보호자의 보호자가 구비하는 지그비 코디네이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위치 추적 방법에서 미아 발생 신고 시 구조센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미아 위치 추적 시스템
110, 111: 지그비 종단기기(end device)
120, 121: 지그비 코디네이터(coordinator)

Claims (15)

  1. 지그비 프로토콜(ZigBee protocol)의 종단기기(end device)로 작동하고 피보호자가 구비하는 종단기기;
    상기 종단기기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지그비 프로토콜의 코디네이터(coordinator)로 작동하고 상기 피보호자의 보호자가 구비하는 제1 코디네이터; 및
    상기 피보호자 주변에 존재하는 상기 제1 보호자를 제외한 나머지 보호자가 구비하는 제2 코디네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종단기기는 상기 제1 코디네이터와 통신 단절 시 상기 제2 코디네이터가 형성하고 있는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미아 위치 추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디네이터는 상기 종단기기의 네트워크 결합 요청이 있으면 상기 종단기기를 네트워크에 참여시키는 미아 추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디네이터는 미아 발생을 보호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람부가 구비된 미아 추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디네이터는 미아 발생을 확인하면 자동으로 구조센터에 미아 발생 신고를 하도록 형성된 미아 추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디네이터는 상기 종단기기의 네트워크 결합 여부를 알리기 위한 알람부가 구비된 미아 추적 시스템.
  6. 지그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한 쌍으로 구성된 종단기기와 제1 코디네이터의 통신이 중단되면 상기 종단기기에서 상기 제1 코디네이터 또는 상기 제1 코디네이터 주변의 제2 코디네이터에 네트워크 결합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종단기기가 상기 제2 코디네이터가 형성한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단계;
    상기 제2 코디네이터에서 상기 종단기기의 미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코디네이터에서 상기 종단기기의 미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미아로 최종 판단 시 추적센터에서 상기 제2 코디네이터의 위치를 이용하여 미아를 추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아 위치 추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결합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종단기기가 비컨 프레임 요청 신호(beacon frame request)를 방송(broad casting)하는 단계;
    상기 비컨 프레임 요청 신호를 수신한 코디네이터에서 전송되는 비컨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비컨 프레임 중에서 비컨 프레임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비컨 프레임을 전송한 코디네이터에 네트워크 결합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아 위치 추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 프레임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코디네이터의 비컨 프레임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코디네이터의 비컨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제1 코디네이터의 비컨 프레임이 없는 경우에는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가 높은 비컨 프레임을 선택하는 미아 위치 추적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기기는 상기 제2 코디네이터가 형성한 네트워크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참여한 후 상기 제1 코디네이터 또는 다른 코디네이터에 네트워크 결합을 재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아 위치 추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결합 재요청 단계는,
    상기 종단기기가 상기 네트워크에 참여한 결합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결합 시간이 기 설정된 네트워크 결합 분리시간보다 같거나 크면 상기 종단기기가 상기 네트워크와의 결합을 끊는 단계;
    상기 분리된 종단기기는 비컨 프레임 요청 신호를 방송하는 단계;
    상기 비컨 프레임 요청 신호를 수신한 코디네이터에서 전송되는 비컨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비컨 프레임 중에서 상기 제1 코디네이터의 비컨 프레임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코디네이터의 비컨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제1 코디네이터의 비컨 프레임이 없는 경우에는 신호대잡음비가 높은 비컨 프레임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비컨 프레임을 전송한 코디네이터에 네트워크 결합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미아 위치 추적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디네이터에서 미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코디네이터에서 상기 종단기기의 장치 정보가 수신이 단절되면 미수신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미수신 시간이 기 설정된 최종 미아 결정 시간보다 같거나 크면 구조센터에 미아 발생 신고를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아 위치 추적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디네이터에서 미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미수신 시간이 상기 최종 미아 결정 시간보다 작은 경우, 네트워크 결합 요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결합을 요청한 종단기기의 개인 통신망 고유번호(personal area network identifier, PANID)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종단기기의 PANID가 설정된 종단기기의 PANID가 아닌 경우 상기 구조센터에 미아 발생 신고를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미아 위치 추적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디네이터에서 미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코디네이터에 네트워크 결합 요청 신호를 전송한 종단기기의 PANID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PANID가 설정된 PANID가 아닌 경우 상기 구조센터에 미아 발생 신고를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아 위치 추적 방법.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센터에서 미아를 추적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코디네이터의 미아 발생 신고를 접수하는 단계;
    상기 제1 코디네이터의 미아 발생 신고 접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코디네이터의 미아 발생 신고가 접수되면 상기 제2 코디네이터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코디네이터의 위치로 출동하여 상기 종단기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미아 위치 추적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센터는 상기 제2 코디네이터의 미아 발생 신고가 접수되면 접수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접수 시간이 기 설정된 대기 해제 결정 시간보다 작으면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접수 시간이 기 설정된 대기 해제 결정 시간보다 같거나 크면 대기를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미아 위치 추적 방법.
KR1020090109730A 2009-11-13 2009-11-13 미아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 KR101191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730A KR101191567B1 (ko) 2009-11-13 2009-11-13 미아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730A KR101191567B1 (ko) 2009-11-13 2009-11-13 미아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970A true KR20110052970A (ko) 2011-05-19
KR101191567B1 KR101191567B1 (ko) 2012-10-15

Family

ID=44362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730A KR101191567B1 (ko) 2009-11-13 2009-11-13 미아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5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154B1 (ko) * 2016-12-08 2018-10-04 나병옥 미아추적시스템
EP4167603A4 (en) * 2020-08-07 2024-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ALARM SER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1567B1 (ko) 2012-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108B1 (ko) 위치 인식 시스템 및 그것의 위치 인식 방법
KR10083481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TWI475853B (zh) 用於合作傳輸一警報之程序及裝置
EP3005751B1 (en) System for maintaining the integrity of a tour group
JP2000184430A (ja) ワイアレス移動体の位置を決定する方法
CA3008465C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vice pairing for improved safety and security of first responders entering incident scene area
JP2015194943A (ja) 監視システム
CN110234154B (zh) 一种支持自组网的户外团队通讯系统
US11963067B2 (en)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tracking service on basis of context-aware information of location tracker
Suzuki et al. Soscast: Location estimation of immobilized persons through sos message propagation
KR101191567B1 (ko) 미아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
US8228847B2 (en) Multihop radio hazard reporting system
WO2006023841A2 (en) Roadside-bas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07275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기반한 재난 대피 서비스 방법
KR20080068363A (ko)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US20120190383A1 (en) Location measurement method
JP2010219956A (ja) 移動警告システム、移動体通信端末および移動警告方法
KR102026078B1 (ko) 중계 수행 가능한 ptt 단말 장치
KR20110042596A (ko) 미아 추적 시스템 및 위치 추적 방법
US20130210471A1 (en) Short range and low frequency text messaging system
WO2017186658A1 (en) Method for presence detection
KR101092779B1 (ko) 미아 추적 시스템 및 미아 위치 추적 방법
KR20210001091U (ko) 블루투스 기반 선박내 승무원 실시간 위치확인 시스템
US1040513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ith an emergency mode for locating survivors in disasters
TWI637647B (zh) 無線定位系統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