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0612A -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복합 위조 방지 방법 및 복합 위조 방지용 세트 - Google Patents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복합 위조 방지 방법 및 복합 위조 방지용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0612A
KR20110050612A KR1020110040411A KR20110040411A KR20110050612A KR 20110050612 A KR20110050612 A KR 20110050612A KR 1020110040411 A KR1020110040411 A KR 1020110040411A KR 20110040411 A KR20110040411 A KR 20110040411A KR 20110050612 A KR20110050612 A KR 20110050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anti
counterfeiting film
magnetic
counterfeiting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5719B1 (ko
Inventor
주재현
홍성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브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브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브릭
Priority to KR1020110040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719B1/ko
Publication of KR20110050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612A/ko
Priority to US13/813,953 priority patent/US8970943B2/en
Priority to PCT/KR2011/005648 priority patent/WO2012018209A2/ko
Priority to CN201180038319.8A priority patent/CN10305289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9Securities; Bank no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magneto-optical elements, e.g. exhibiting Faraday effec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variable-absorption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15 - G02F1/169
    • G02F1/172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variable-absorption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15 - G02F1/169 based on a suspension of orientable dipolar particles, e.g. suspended particles displa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1Testing electronic circuits therei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4Testing magnetic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hereof, e.g. by detection of magnetic impri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magneto-optical elements, e.g. exhibiting Faraday effect
    • G02F1/09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magneto-optical elements, e.g. exhibiting Faraday effect based on magnetophoretic effe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으로서, 상기 표시 영역은 경화 매질 내에 산포되어 있는 자성 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자성 용액은 유체에 동일 전하로 대전된 복수의 자성 입자가 분산된 콜로이드 용액으로서 자기장을 인가하면 그의 반사광 및 투과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며, 특정 에너지를 인가하면 소정의 특성이 발현되는 발현 물질이 상기 경화 매질 내에 상기 자성 용액과는 별도로 존재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복합 위조 방지 방법 및 복합 위조 방지용 세트{HYBRID ANTI-COUNTERFEIT FILM, METHOD OF THE SAME, HYBRID ANTI-COUNTERFEIT METHOD, AND HYBRID ANTI-COUNTERFEIT SET}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위조 방지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제 약품, 복제 양주, 위조지폐 등과 같은 복제/위조 제품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위조방지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다. 기존의 위조방지 기술로는 광간섭 무늬(Moire Pattern: 기하하적으로 규칙적인 분포로 된 점 또는 선을 겹쳤을 때 생기는 물결무늬 형태의 간섭무늬로, 복사기를 이용하여 위조한 경우 빛의 간섭현상으로 부분적인 색 변화와 물결모양의 무늬가 생김), 요판인쇄(凹형으로 각인된 인쇄판에 잉크를 채워, 종이에 인쇄하여 凸형의 잉크층을 이루게 하는 기법으로 글자나 문양 등을 볼록하게 인쇄하는 기법), 잠상 (Latent Image: 화선의 방향과 문양이 없는 부위의 구성을 달리하여 문자나 문양이 숨겨지도록 조각하여 일정한 방향 또는 방법에 의해서만 문자나 문양이 나타나 보이도록 하는 인쇄 기술), 광가변 요소(Optically Variable Device: 보는 각도에 따라 모양과 색상이 변하는 위변조 방지요소로 외국 은행권을 보면 보는 각도에 따라 색상이나 문양이 변하는 홀로그램이나 키네그램), 은화(隱畵)(Watermark: 위조방지를 위해 용지의 얇은 부분과 두꺼운 부분의 두께 차이에 의한 명암으로 나타나는 문양이나 문자로써 종이를 밝은 빛에 투과시켜 볼 때 반투명 또는 더 어둡게 보이는 도안이나 글씨 등의 무늬가 나타남), 은사 (Security Fiber: 용지에 삽입시키는 미세섬유로 색상, 크기, 성질, 모양, 광특성, 자성 등 고유 특성을 부여하는 여러 기능의 은사가 있으며 기기감지요소로도 활용됨) 기술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위조방지 기술은 유사기술에 의해 쉽게 복제/위조가 되기 때문에 좀 더 복잡하고 다양한 기술이 접목된 위조방지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특성을 복합적으로 도입하여 위조에 대한 기술장벽을 높이고, 별도의 분석장비 없이 용이하게 자성으로 구별가능 한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의 제조방법을 도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보다 정교하고 모방이 용이하지 않은 위조 방지용 복합 필름,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복합 위조 방지 방법 및 복합 위조 방지용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으로서, 상기 표시 영역은 경화 매질- 외부에너지에 의해 유체 형태에서 고형화되어 젤 혹은 고체 상태로 변화되는 물질- 내에 산포되어 있는 자성 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자성 용액은 유체에 동일 전하로 대전된 복수의 자성 입자가 분산된 콜로이드 용액으로서 자기장을 인가하면 그의 반사광 및 투과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며, 특정 에너지를 인가하면 소정의 특성이 발현되는 발현 물질이 상기 경화 매질 내에 상기 자성 용액과는 별도로 존재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복합 위조 방지 필름에 의하면 관련 제품의 위조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장점들 및 신규 특성들은 첨부 도면들 및 청구항들과 함께 고려될 때 본 발명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위조 방지 필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 용액에 자기장이 인가되었을 때에 반사광 및 투과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위조 방지 필름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위조 방지 방법의 흐름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복합 위조 방지 필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위조 방지 필름을 나타내고 있다. 이 복합 위조 방지 필름은 기판 또는 해당 대상의 표면상에 형성된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은 경화 매질 내에 산포되어 있는 자성 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자성 용액은 유체에 동일 전하로 대전된 복수의 자성 입자가 분산된 콜로이드 용액으로서 자기장을 인가하면 그의 반사광 및 투과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며, 특정 에너지를 인가하면 소정의 특성이 발현되는 발현 물질이 상기 경화 매질 내에 상기 자성 용액과는 별도로 존재하고 있다.
다중 특성 발현
이 복합 위조 방지 필름은 다중 특성을 발현하는데, 가령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 용액의 반사광 또는 투과도 변화와 상기 발현 물질의 소정의 발현 특성은 동시에 사용되거나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성용액의 유체 내에 자성입자 외에 특정 특성이 발현되는 물질을 혼합하여 자성용액의 자성입자에 의한 특성발현과, 자성용액의 특성발현 물질에 의한 발현과, 경화 물질내 특성발현 물질의 발현을 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에멀전 적용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영역은 경화되기 이전의 액체 매질 내에 상기 자성 용액을 에멀젼(emulsion) 형태로 분산시킨 후에 상기 액체 매질에 외부 에너지를 인가하여 상기 액체 매질을 상기 경화 매질로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캡슐화 적용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자성 용액을 광투과성 재료로 캡슐화하고, 상기 캡슐을 경화되기 이전의 액체 매질 내에 혼합시킨 후에, 상기 액체 매질에 외부 에너지를 인가하여 상기 액체 매질을 상기 경화 매질로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뱅크 적용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영역에 미세 격벽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미세 격벽구조 내부에 상기 자성 용액을 충진하고, 상기 자성 용액 위에 액체 매질을 도포한 후, 상기 액체 매질에 외부 에너지를 인가하여 상기 액체 매질을 상기 경화 매질로 경화시킴으로써 표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세 격벽 구조는 경화성 물질을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겔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체 매질은 외부 에너지가 인가됨에 따라서 고체 또는 겔(gel) 형태로 경화될 수 있다.
자성 용액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 용액은 친수성이고, 상기 경화 매질은 소수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 용액은 소수성이고, 상기 경화 매질은 친수성일 수 있다.
경화 매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체 매질에 인가되는 외부 에너지는 열 에너지, 광 에너지, 전기 에너지, 전자파 에너지 또는 운동 에너지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체 매질에 인가되는 외부 에너지는 자외선 영역의 빛 에너지일 수 있다.
상기 액체 매질에 인가되는 외부 에너지는 300℃ 이하의 열 에너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화 매질은 가역적으로 상변화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화 매질은 두 가지 용액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용매가 혼합되어야만 외부 에너지에 의해서 경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화 매질은 공기와 접촉 시 경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화 매질은 수분과 접촉 시에 경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화 매질은 가시광 영역의 광에 대해서 투과성일 수 있다.
자성 용액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 입자는 Fe 원소, Ni 원소, Co 원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 용액 내의 유체는 가시광 영역의 광에 대해서 투과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 용액은 외부 자기장 인가에 따라서 반사광의 파장이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 입자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자기장이 변하면 그 자기 분극(magnetic ploarization)의 양이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 용액의 유체는 열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며, 일정 열 에너지 이상에서는 자기 특성이 열화되는 바를 이용하여서 열 이력(history)이 측정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위조 감별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 정보 전달 또는 기억 기능까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 용액의 유체는 광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며, 일정 광 에너지 이상에서는 자기 특성이 열화되는 바를 이용하여서 광 이력(history)이 측정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위조 감별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 정보 전달 또는 기억 기능까지 수행될 수 있다.
자성 용액의 동작 원리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 용액에 자기장이 인가되었을 때에 반사광 및 투과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기 자성 용역에 외부 자기장이 인가될 시에, 입자에서 유발되는 자기 분극에 의한 자성 입자 간의 상호 작용 힘과 동일 전하로 대전된 자성 입자 간의 전기적 반발력 간의 균형에 의해서, 자성 입자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서 상기 간격에 대응하는 파장의 광이 반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 입자들 간의 간격이 상기 외부 자기장의 세기 또는 방향에 따라서 변하고, 상기 자성 입자들 간의 간격의 변화에 대응하여서 상기 반사되는 광의 파장도 변하고 이로써 표시되는 색도 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 입자는 초상자성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자기장이 인가되어 상기 자성 용액의 투과도가 변할 때에, 상기 자성 입자들이 상기 인가된 외부 자기장의 방향으로 정렬되는 정도가 변함으로써 광 투과도가 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자성 용액은 자기 유변(magneto-rheological fluid)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자성 입자는 강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발현 물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현 물질은 열 에너지, 광 에너지, 화학 에너지, 전기 에너지, 전자파 에너지, 운동 에너지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특정 특성이 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현 물질은 형광 물질, 인광 물질, 발광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외부 광 에너지를 조사함에 따라서 특정 파장 영역의 빛을 방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현 물질은 양자 점(quantum do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현 물질은 외부 열에너지에 따라서 색상이 변화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현 물질은 시온 안료 또는 시온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현 물질은 외부 수분에 따라서 색상이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현 물질은 외부 조사광의 입사각 또는 관찰각에 따라서 색상이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현 물질은 OVP(optical variable pigment)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현 물질은 외부 전자파 에너지에 의해 특정 정보를 나타내는 미세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세 소자는 RFID 소자, Zigbee 소자, bluetooth 소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위조 방지 필름은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기판 상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은 유연성 기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은 광 투과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영역이 개재되도록 상기 기판과 대향하는 면에 다른 막이 코팅될 수 있다. 이 추가된 다른 막은 내습성 또는 마모성
개선을 위한 것이다. 상기 추가된 다른 막은 가시광 영역에서 광투과성일 수 있다.
특정 패턴 형성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영역의 표면에 코팅되는 막에 특정 패턴이 형성되어 광투과도 및 반사광이 표시되는 영역을 특정 패턴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자성 용액은 특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경화 매질은 특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발현 물질이 특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성용액의 유체는 상기 경화물질을 경화시키는 에너지와는 상이한 에너지로 경화되는 물질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필름의 특정 영역에만 자성 용액의 유체를 경화시켜, 특정 패턴을 형성될 수 있다.
혼합 적용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영역 내에 홀로그램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영역으로 바코드, 상표로고 등의 특정 정보를 내포함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합 위조 방지용 세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을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과, 특정 패턴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필름에 접근/분리 가능한 자석을 포함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을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과, 특정 자극(magnetic polarity) 패턴을 가지며 상기 필름에 접근/분리 가능한 자석을 포함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제조 방법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위조 방지 필름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위조 방지 필름 제조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특정 에너지를 인가하면 소정의 특성이 발현되는 발현 물질을, 외부에서 특정 에너지를 인가하면 경화되는 액체 매질에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액체 매질과 자성 용액- 유체에 동일 전하로 대전된 자성 입자가 분산된 콜로이드 용액으로서 상기 자성 용액에 자기장을 인가하면 그의 반사광 및 투과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용액-을 혼합하여서 에멀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에멀젼을 기판 또는 해당 대상의 표면 상에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에멀젼에 외부 에너지를 인가하여서 상기 액체 매질만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포 단계는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또는 그라비아 오프셋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포 단계는 상기 기판 또는 대상의 표면 상에 특정 패턴이 형성되도록 상기 에멀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멀젼 내에 상기 발현 물질을 혼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발현 물질이 특정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에멀젼 내에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위조 방지 방법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위조 방지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 방법은 해당 대상의 표면 상에 표시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상기 표시 영역은 경화 매질 내에 산포되어 있는 자성 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자성 용액은 유체에 동일 전하로 대전된 자성 입자가 분산된 콜로이드 용액으로서 상기 자기장을 인가하면 그의 반사광의 파장 및 투과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며, 특정 에너지를 인가하면 소정의 특성이 발현되는 발현 물질이 상기 경화 매질 내에 상기 자성 용액과는 별도로 존재함-와, 상기 표시 영역에 외부 자기장을 인가하여서 자성 용액의 반사광의 파장 및 투과도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제 1 식별 단계와, 상기 표시 영역에 특정 에너지를 인가하여서 상기 발현 물질의 발현 특성을 식별하는 제 2 식별 단계와, 상기 제 1 식별 단계의 결과와 상기 제 2 식별 단계의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서 상기 해당 대상의 진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위조 방지 기술이 적용되는 대상들
본 발명의 복합 위조 방지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바의 실례는 주류, 고급 식품류, 지폐, 수표, 신분증, 여권, 차량 생산 번호, 고급 기계 ID, 고급 상품의 라벨, 의류의 라벨, 고급 가방의 라벨, 소프트웨어 제품 표시, 고급 전자 제품 번호 등이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되어서 인스트럭션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인스트럭션은 해당 대상의 목표 영역에 외부 자기장을 인가하여서 반사광의 파장 및 투과도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기 위한 제 1 인스트럭션과, 상기 목표 영역에 특정 에너지를 인가하여서 발현 물질의 발현 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제 2 인스트럭션과, 상기 제 1 식별의 결과와 상기 제 2 식별의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서 상기 해당 대상의 진위를 판단하는 제 3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목표 영역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합 위조 방지 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6)

  1.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으로서,
    상기 표시 영역은 경화 매질 내에 산포되어 있는 자성 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자성 용액은 유체에 동일 전하로 대전된 복수의 자성 입자가 분산된 콜로이드 용액으로서 자기장을 인가하면 그의 반사광 및 투과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며,
    특정 에너지를 인가하면 소정의 특성이 발현되는 발현 물질이 상기 경화 매질 내에 상기 자성 용액과는 별도로 존재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용액의 반사광 또는 투과도 변화와 상기 발현 물질의 소정의 발현 특성은 동시에 사용되거나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경화되기 이전의 액체 매질 내에 상기 자성 용액을 에멀젼(emulsion) 형태로 분산시킨 후에 상기 액체 매질에 외부 에너지를 인가하여 상기 액체 매질을 상기 경화 매질로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자성 용액을 광투과성 재료로 캡슐화 하고,
    상기 캡슐을 경화되기 이전의 액체 매질 내에 혼합시킨 후에,
    상기 액체 매질에 외부 에너지를 인가하여 상기 액체 매질을 상기 경화 매질로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 미세 격벽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미세 격벽구조 내부에 상기 자성 용액을 충진하고,
    상기 자성 용액 위에 액체 매질을 도포한 후,
    상기 액체 매질에 외부 에너지를 인가하여 상기 액체 매질을 상기 경화 매질로 경화시키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매질은 외부 에너지가 인가됨에 따라서 고체 또는 겔(gel) 형태로 경화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용액은 친수성이며,
    상기 경화 매질은 소수성인,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용액은 소수성이며,
    상기 경화 매질은 친수성인,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매질에 인가되는 외부 에너지는 열 에너지, 광 에너지, 전기 에너지, 전자파 에너지 또는 운동 에너지 또는 이들의 조합인,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매질에 인가되는 외부 에너지는 자외선 영역의 빛 에너지인,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매질에 인가되는 외부 에너지는 300℃ 이하의 열 에너지인,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매질은 가역적으로 상변화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매질은 두 가지 용액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용매가 혼합되어야만 외부 에너지에 의해서 경화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매질은 공기와 접촉 시 경화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매질은 수분과 접촉 시에 경화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매질은 가시광 영역의 광에 대해서 투과성인,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입자는 Fe 원소, Ni 원소, Co 원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용액 내의 유체는 가시광 영역의 광에 대해서 투과성인,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용액은 외부 자기장 인가에 따라서 반사광의 파장이 변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입자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자기장이 변하면 그 자기 분극(magnetic ploarization)의 양이 변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용역에 외부 자기장이 인가될 시에, 입자에서 유발되는 자기 분극에 의한 자성 입자 간의 상호 작용 힘과 동일 전하로 대전된 자성 입자 간의 전기적 반발력 간의 균형에 의해서, 자성 입자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서 상기 간격에 대응하는 파장의 광이 반사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입자들 간의 간격이 상기 외부 자기장의 세기 또는 방향에 따라서 변하고,
    상기 자성 입자들 간의 간격의 변화에 대응하여서 상기 반사되는 광의 파장도 변하고 이로써 표시되는 색도 변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입자는 초상자성체를 포함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자기장이 인가되어 상기 자성 용액의 투과도가 변할 때에, 상기 자성 입자들이 상기 인가된 외부 자기장의 방향으로 정렬되는 정도가 변함으로써 광 투과도가 변하게 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용액은 자기 유변(magneto-rheological fluid) 유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입자는 강자성체를 포함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 물질은 열 에너지, 광 에너지, 화학 에너지, 전기 에너지, 전자파 에너지, 운동 에너지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특정 특성이 발현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 물질은 형광 물질, 인광 물질, 발광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외부 광 에너지를 조사함에 따라서 특정 파장 영역의 빛을 방사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 물질은 양자 점인,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 물질은 외부 열에너지에 따라서 색상이 변화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 물질은 시온 안료 또는 시온 염료를 포함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3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 물질은 외부 수분에 따라서 색상이 변화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3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 물질은 외부 조사광의 입사각 또는 관찰각에 따라서 색상이 변화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3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 물질은 OVP(optical variable pigment)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3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 물질은 외부 전자파 에너지에 의해 특정 정보를 나타내는 미세 소자를 포함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소자는 RFID 소자, Zigbee 소자, bluetooth 소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37. 제 1 항에 있어서,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기판 상에 존재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유연성 기판인,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광 투과성인,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40.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이 개재되도록 상기 기판과 대향하는 면에 다른 막이 코팅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41. 제 40 항에 있어서,
    표면에 코팅되는 막은 가시광 영역에서 광투과성인 것을 특징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42. 제 40 항에 있어서,
    표면에 코팅되는 막에 특정 패턴이 형성되어 광투과도 및 반사광이 표시되는 영역을 특정 패턴화 하는 것을 특징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4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자성 용액은 특정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4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경화 매질은 특정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4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발현 물질이 특정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4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 내에 홀로그램 물질을 더 포함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47. 복합 위조 방지용 세트로서,
    제 1 항에 따른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과,
    특정 패턴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필름에 접근/분리 가능한 자석을 포함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세트.
  48. 복합 위조 방지용 세트로서,
    제 1 항에 따른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과,
    특정 자극(magnetic polarity) 패턴을 가지며 상기 필름에 접근/분리 가능한 자석을 포함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세트.
  4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용액의 유체는 열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며,
    일정 열 에너지 이상에서는 자기 특성이 열화되는 바를 이용하여서 열 이력(history)이 측정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5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용액의 유체는 광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며,
    일정 광 에너지 이상에서는 자기 특성이 열화되는 바를 이용하여서 광 이력(history)이 측정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51.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제조 방법으로서,
    특정 에너지를 인가하면 소정의 특성이 발현되는 발현 물질을, 외부에서 특정에너지를 인가하면 경화되는 액체 매질에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액체 매질과 자성 용액- 유체에 동일 전하로 대전된 자성 입자가 분산된 콜로이드 용액으로서 상기 자성 용액에 자기장을 인가하면 그의 반사광 및 투과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용액-을 혼합하여서 에멀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에멀젼을 기판 또는 해당 대상의 표면 상에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에멀젼에 외부 에너지를 인가하여서 상기 액체 매질만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제조 방법.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단계는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또는 그라비아 오프셋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제조 방법.
  53.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단계는 상기 기판 또는 대상의 표면 상에 특정 패턴이 형성되도록 상기 에멀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제조 방법.
  54.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 내에 상기 발현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발현 물질이 특정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에멀젼 내에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제조 방법.
  55. 복합 위조 방지 방법으로서,
    해당 대상의 표면 상에 표시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상기 표시 영역은 경화 매질 내에 산포되어 있는 자성 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자성 용액은 유체에 동일 전하로 대전된 자성 입자가 분산된 콜로이드 용액으로서 상기 자기장을 인가하면 그의 반사광의 파장 및 투과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며, 여러 종류의 에너지 중 특정 에너지를 인가하면 소정의 특성이 발현되는 발현 물질이 상기 경화 매질 내에 상기 자성 용액과는 별도로 존재함-와,
    상기 표시 영역에 외부 자기장을 인가하여서 반사광의 파장 및 투과도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제 1 식별 단계와,
    상기 표시 영역에 특정 에너지를 인가하여서 상기 발현 물질의 발현 특성을 식별하는 제 2 식별 단계와,
    상기 제 1 식별 단계의 결과와 상기 제 2 식별 단계의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서 상기 해당 대상의 진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위조 방지 방법.
  56.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되어서 인스트럭션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인스트럭션은,
    해당 대상의 목표 영역에 외부 자기장을 인가하여서 반사광의 파장 및 투과도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기 위한 제 1 인스트럭션과,
    상기 목표 영역에 특정 에너지를 인가하여서 발현 물질의 발현 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제 2 인스트럭션과,
    상기 제 1 식별의 결과와 상기 제 2 식별의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서 상기 해당 대상의 진위를 판단하는 제 3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040411A 2010-08-02 2011-04-28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복합 위조 방지 방법 및 복합 위조 방지용 세트 KR101335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411A KR101335719B1 (ko) 2011-04-28 2011-04-28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복합 위조 방지 방법 및 복합 위조 방지용 세트
US13/813,953 US8970943B2 (en) 2010-08-02 2011-08-01 Composite film for preventing forgery, and composite method for preventing forgery
PCT/KR2011/005648 WO2012018209A2 (ko) 2010-08-02 2011-08-01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및 복합 위조 방지 방법
CN201180038319.8A CN103052896B (zh) 2010-08-02 2011-08-01 复合防伪薄膜及复合防伪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411A KR101335719B1 (ko) 2011-04-28 2011-04-28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복합 위조 방지 방법 및 복합 위조 방지용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612A true KR20110050612A (ko) 2011-05-16
KR101335719B1 KR101335719B1 (ko) 2013-12-04

Family

ID=44361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411A KR101335719B1 (ko) 2010-08-02 2011-04-28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복합 위조 방지 방법 및 복합 위조 방지용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71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690A1 (ko) * 2011-06-02 2012-12-06 Lee Hyeun Ho 자성체 코어셀 제조방법
WO2013183972A1 (ko) * 2012-06-08 2013-12-12 주식회사 나노브릭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WO2014077604A1 (ko) * 2012-11-14 2014-05-22 주식회사 나노브릭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KR101527360B1 (ko) * 2013-09-17 2015-06-09 한국과학기술원 광결정을 구비하는 식별필름 및 식별 패턴, 이를 포함하는 위조방지 물건
CN106156672A (zh) * 2015-04-22 2016-11-23 上海天臣防伪技术股份有限公司 对含有磁性材料的防伪标识进行防伪识别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408B1 (ko) 2016-12-07 2020-09-04 주식회사 나노브릭 히든 이미지 효과를 나타내는 정품인증용 라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4492B1 (ko) 2017-08-23 2021-12-29 주식회사 나노브릭 상 분리되는 용매를 포함하는 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6659A (ja) * 1993-07-05 1995-06-06 Aiki Denko Kk 磁性流体ディスプレイ、磁性流体ディスプレイの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71042A (ja) * 1995-09-07 1997-03-18 Toppan Printing Co Ltd 磁気記録体及びその記録方法
KR20070031309A (ko) * 2004-05-28 2007-03-1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690A1 (ko) * 2011-06-02 2012-12-06 Lee Hyeun Ho 자성체 코어셀 제조방법
WO2013183972A1 (ko) * 2012-06-08 2013-12-12 주식회사 나노브릭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KR101470615B1 (ko) * 2012-06-08 2014-12-26 주식회사 나노브릭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US10302570B2 (en) 2012-06-08 2019-05-28 Nanobrick Co., Ltd. Apparatus for preventing counterfeiting and alteration
WO2014077604A1 (ko) * 2012-11-14 2014-05-22 주식회사 나노브릭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KR101476412B1 (ko) * 2012-11-14 2014-12-26 주식회사 나노브릭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EP2921901A4 (en) * 2012-11-14 2016-04-27 Nanobrick Co Ltd FRAUD AND FAKE PREVENTION DEVICE
US9568749B2 (en) 2012-11-14 2017-02-14 Nanobrick Co., Ltd. Forgery and falsification prevention device
KR101527360B1 (ko) * 2013-09-17 2015-06-09 한국과학기술원 광결정을 구비하는 식별필름 및 식별 패턴, 이를 포함하는 위조방지 물건
CN106156672A (zh) * 2015-04-22 2016-11-23 上海天臣防伪技术股份有限公司 对含有磁性材料的防伪标识进行防伪识别的方法
CN106156672B (zh) * 2015-04-22 2018-09-18 上海天臣防伪技术股份有限公司 对含有磁性材料的防伪标识进行防伪识别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5719B1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719B1 (ko)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복합 위조 방지 방법 및 복합 위조 방지용 세트
US8970943B2 (en) Composite film for preventing forgery, and composite method for preventing forgery
KR102189117B1 (ko) 시야각에 따른 광학 효과를 나타내는 광학 효과층, 그의 제조를 위한 방법 및 자기장 발생 장치, 자기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프린팅 어셈블리, 및 그의 용도
JP7024153B2 (ja) 効果層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
KR101731623B1 (ko) 위변조 방지 장치
JP6535926B2 (ja) 視角に応じた光学効果を示す光学効果層、その製造プロセス及び装置、光学効果層を有する物品、並びにその使用
CN104349904B (zh) 用于印刷能触知的安全特征的方法
TWI709626B (zh) 用於製造包含定向非球面磁性或可磁化顏料顆粒的光學效應層之磁性組件與製程
US9568749B2 (en) Forgery and falsification prevention device
KR20190041970A (ko) 광학 효과층 제조 방법
CN105283256B (zh) 用于生成凹场线的永久磁铁组件以及用于创建随其(反向滚动条)的光学效应涂层的方法
JP7362982B2 (ja) 非球状配向磁性又は磁化可能顔料粒子を含む光学効果層を生成するための磁気アセンブリ、装置、及びプロセス
CN105452392A (zh) 磁性或可磁化颜料粒子和光学效应层
CN106573271A (zh) 由产生凹场线的磁场发生装置制成的光学效应层的场内硬化方法
JP2017506575A (ja) 効果層を生成するためのプロセス
EP2846932A1 (en) Optical effect layer
JP2021536386A (ja) 配向非球状磁性又は磁化可能顔料粒子を含む光学効果層を生成するためのプロセス
KR20150081257A (ko) 비가역적 자기 유도 이미지 또는 패턴
CN115942999B (zh) 用于生产包含取向的片状磁性或可磁化颜料颗粒的光学效应层的磁性组件和方法
JP2021533005A (ja) 配向磁性又は磁化可能顔料粒子を含む光学効果層を生成するためのアセンブリ及びプロセス
JP2021531967A (ja) 光学効果層を生成するためのプロセス
JP5742361B2 (ja) 表示体及び情報印刷物
KR20200049792A (ko) 배향된 비-구형 편원 자성 또는 자화성 안료 입자를 포함하는 광학 효과층을 생성하기 위한 어셈블리 및 공정
KR20200049793A (ko) 배향된 비-구형 편원 자성 또는 자화성 안료 입자를 포함하는 광학 효과층을 생성하기 위한 어셈블리 및 공정
KR20200044046A (ko) 배향된 비-구형 편원 자성 또는 자화성 안료 입자를 포함하는 광학 효과층을 생성하기 위한 어셈블리 및 공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