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0084A - 인터넷 창과 콘텐츠 출력창을 일체화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 창과 콘텐츠 출력창을 일체화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0084A
KR20110050084A KR1020090106921A KR20090106921A KR20110050084A KR 20110050084 A KR20110050084 A KR 20110050084A KR 1020090106921 A KR1020090106921 A KR 1020090106921A KR 20090106921 A KR20090106921 A KR 20090106921A KR 20110050084 A KR20110050084 A KR 20110050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output
internet
modul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진용
김응진
Original Assignee
나인웨일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인웨일스(주) filed Critical 나인웨일스(주)
Priority to KR1020090106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0084A/ko
Publication of KR20110050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창과 콘텐츠 출력창을 일체화한 콘텐츠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음원데이터를 저장하는 콘텐츠저장모듈(11); 다수의 웹페이지를 포함한 웹사이트정보를 관리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0)의 웹브라우저(21)가 요구하는 웹사이트정보를 확인해 전송하는 웹사이트모듈(13);을 구비한 서비스서버(10) 및 웹브라우저(21)의 요청에 따라 다수의 인터넷 창을 순차 출력하는 운영체제(22); 인터넷 창 출력시 최상층에 위치하는 인터넷 창을 감지하는 출력창확인모듈(23a); 출력될 콘텐츠출력창의 형태 및 크기를 확인하고, 출력창확인모듈(23a)이 확인한 인터넷 창에 출력될 웹페이지의 출력위치를 재설정해서 콘텐츠출력창의 출력공간을 확보하는 출력창가공모듈(23f); 인터넷 통신을 매개로 서비스서버(10)로부터 내려받은 음원데이터의 실행을 이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플레이어(210)를 출력하되 출력창확인모듈(23a)의 신호에 따라 최상층에 위치하는 인터넷 창에서 출력창가공모듈(23f)이 확보한 출력공간에 플레이어(210)를 출력하는 프레임모듈(23b); 플레이어(210)의 제어에 따라 음원데이터를 실행하는 재생모듈(23d);을 구비한 클라이언트 단말기(20)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인터넷 창과 콘텐츠 출력창을 일체화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Contents system integrating Internet window and contents window}
본 발명은 인터넷 창과 콘텐츠 출력창을 일체화한 콘텐츠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이용자가 급증하면서 방송매체에 집중됐던 광고시장은 인터넷 매체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그런데, 방송매체에 비해 그 이용자의 연령대, 업무분야 및 이용목적이 다소 제한된 인터넷은 광고주에게 있어 광고하기 까다로운 매체이다. 게다가, 인터넷 이용자의 대부분은 인터넷 사용에 익숙한 젊은 연령대여서, 인터넷 이용에 방해를 줄 수 있는 광고물을 용이하게 회피하므로, 광고주는 방송매체에 비해 인터넷을 통한 광고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한편, 인터넷 이용자가 사용하는 컴퓨터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웹브라우저 프로그램과 더불어, 미디어플레이어, 뮤직플레이어, UCC 등 다양한 콘텐츠 제공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결국, 컴퓨터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시킬 수 있고, 이렇게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다수 개의 창들이 모니터에 동시에 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컴퓨터의 운영을 관리하는 OS(Operating System)는 모니터에 동시 출력되는 다수 개의 창들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이 요구되었다.
통상적으로, OS의 상기 기능은 이용자가 선택한 창이 다른 창들보다 우선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결국, 이용자가 다수 개의 출력 창들 중 임의로 하나를 선택해 클릭하면, 당해 창을 다른 창들보다 최상층에 출력시켜서, 상기 이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당해 창의 제공 콘텐츠 또는 정보를 가림없이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OS의 이러한 기능은 최상층에 출력되는 창이 단 한 개로 제한되므로, 두 창 이상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를 동시에 이용하고 싶은 이용자는 해당 콘텐츠를 제공하는 각 창들을 번갈아 선택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물론, 이러한 번거로움은 이용자가 컴퓨터를 이용해 특정 콘텐츠를 접하고 있을 경우 다른 콘텐츠의 이용을 기피하게 해서, 다양한 정보 및 콘텐츠를 동시 제공하는 컴퓨터의 고유한 장점을 무색하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터넷 이용자는 다양한 콘텐츠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공하는 창을 일체화해서, 동시에 둘 이상의 콘텐츠를 모니터에 출력해 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 및 정보이용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창과 콘텐츠 출력창을 일체화한 콘텐츠 제공시스템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원데이터를 저장하는 콘텐츠저장모듈; 다수의 웹페이지를 포함한 웹사이트정보를 관리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웹브라우저가 요구하는 웹사이트정보를 확인해 전송하는 웹사이트모듈;을 구비한 서비스서버 및
웹브라우저의 요청에 따라 다수의 인터넷 창을 순차 출력하는 운영체제; 인터넷 창 출력시 최상층에 위치하는 인터넷 창을 감지하는 출력창확인모듈; 출력될 콘텐츠출력창의 형태 및 크기를 확인하고, 출력창확인모듈이 확인한 인터넷 창에 출력될 웹페이지의 출력위치를 재설정해서 콘텐츠출력창의 출력공간을 확보하는 출력창가공모듈; 인터넷 통신을 매개로 서비스서버로부터 내려받은 음원데이터의 실행을 이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플레이어를 출력하되 출력창확인모듈의 신호에 따라 최상층에 위치하는 인터넷 창에서 출력창가공모듈이 확보한 출력공간에 플레이어를 출력하는 프레임모듈; 플레이어의 제어에 따라 음원데이터를 실행하는 재생모 듈;을 구비한 클라이언트 단말기
를 포함하는 인터넷 창과 콘텐츠 출력창을 일체화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이용자가 새로운 창을 출력하거나 기존에 출력된 창을 선택하면, 최상층에 위치하는 창에 콘텐츠 및 광고물 제공을 위한 콘텐츠 출력창이 출력되도록 하거나, 상기 콘텐츠 출력창이 독립된 창으로서 최상층에 위치하도록 해서, 이용자가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수행하는 작업 내용에 상관없이 상기 콘텐츠 출력창에 출력되는 콘텐츠 및 광고물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참고로, 미국 웹사이트인 'Qtrax.com'는 광고시청을 대가로 미국의 4대 메이저 음반사가 제공하는 음악서비스를 무료제공하는데, 본 발명은 'Qtrax.com'이 갖는 광고효율과 비교해 현저한 광고시청 효과가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공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공시스템은 인터넷 창과 콘텐츠 출력창을 일체화해서, 이용자가 하나의 창으로부터 인터넷 정보와 콘텐츠를 동시에 제공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콘텐츠 출력창은 광고물과 음악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인터넷 이용자에게 광고물의 시청 대가로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광고물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10)와, 서비스서버(10)에 접속하는 이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로 구성된다.
서비스서버(10)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저장모듈(11)과, 광고물을 저장하는 광고저장모듈(12)과, 이용자가 인터넷으로 접속하는 웹페이지의 정보를 저장하면서 웹페이지의 링크정보 및 실행정보를 저장하는 웹사이트모듈(13)을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서비스서버(10)가 관리하는 웹사이트에 가입한 이용자를 회원으로 관리하는 회원관리모듈(14)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웹사이트모듈(1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웹사이트를 구성하는 웹페이지를 저장하고, 이들의 실행을 처리하는 공지,공용의 웹사이트 관리수단으로,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웹페이지가 어떻게 검색돼 전송되고, 웹페이지에 포함된 텍스트와 이미지 등에 연결된 링크정보가 어떻게 처리되는지에 대한 통상적인 기술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회원관리모듈(14)은 서비스서버(10)가 관리하는 웹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관리하고, 이용자가 회원으로 가입하면서 생성시킨 ID 및 PW를 확인해서 웹사이트로의 로그인 등에 대한 작업을 처리하는 수단으로, 이 또한 공지,공용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공시스템은 서비스서버(10)가 관리하는 웹사이트를 이용자가 이용하기 위해 반드시 회원으로 가입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회원관리모듈(14)의 구성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계속해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0)는 통상적인 PC 또는 이에 상응하는 컴퓨터 를 지칭하는 것으로, 운영체제(22; OS)에 의해 운영 및 관리되고, 웹브라우저(21)를 통해 외부의 서비스서버(10)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기(20)는 본 발명에 따른 제공시스템 운용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프로그램(23) 또는 ActiveX 등(이하 '서비스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서비스프로그램(23)은 콘텐츠 출력창(200)을 구성 및 실행한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프로그램(23)은 운영체제(22)와 통신하면서 운영체제(22)가 출력하는 다수 개의 창들 중 최상층에 위치한 출력창을 확인하는 출력창확인모듈(23a)과, 콘텐츠 출력창(200)의 기본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을 출력 및 실행하는 프레임모듈(23b)과, 콘텐츠 출력창(200)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 및 광고물을 저장하는 저장모듈(23c)과,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모듈(23d)과, 광고물을 실행하는 광고모듈(23e)과, 인터넷 창(100) 내에 콘텐츠 출력창(200)이 삽입되는 지점을 강제로 확보하는 출력창가공모듈(23f)로 구성돼 클라이언트 단말기(20)에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공시스템의 실시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공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단말기(20)에 광고물을 출력 게시해서, 이용자가 광고물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프레임모듈(23b)과 저장모듈(23c)과 재생모듈(23d)과 광고모듈(23e)과 출력창가공모듈(23f)이 클라이언트 단말기(20)에 설치됨은 전술한바 있다.
이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의 웹브라우저(21)를 실행시켜서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넷 창(100)을 출력한다. 한편, 웹브라우저(21)의 실행명령과 링크된 프레임모듈(23b)은 인터넷 창(100) 출력시 서비스아이콘(201)을 인터넷 창(100)의 일지점에 함께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서비스아이콘(201)이 인터넷 창(100)의 명칭이 기재되는 상단바(112)에 배치되도록 했다. 그러나, 서비스아이콘(201)은 광고물 출력을 위해 이용자가 클릭하는 실행수단이므로, 인터넷 창(100)의 상단바(112)는 물론,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좌측 상단에 'GGUM'으로 표시 출력된 아이콘이미지) 주소창(111)을 포함하는 컨트롤영역(110)의 일지점 또는 웹페이지영역(120) 등과 같이 이용자가 보고 쉽게 클릭할 수 있는 위치에 출력될 수 있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0) 모니터(20a)의 바탕화면(B)에 독립된 아이콘(I)과 더불어 출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용자가 인터넷 창(100)을 출력시킨 상태에서 콘텐츠를 이용하면서 광고물을 시청하기 위해 서비스아이콘(201)을 클릭하면, 콘텐츠 제공을 위한 플레이어(210)가 출력된다. 물론, 플레이어(210)의 출력위치는 서비스아이콘(201)과 마찬가지로 인터넷 창(100)의 일지점 또는 바탕화면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나, 이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하면서 상기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 창(100)과 콘텐츠 출력창(200)을 일체화하기 위해 해당 인터넷 창(100)에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출력창(200)은 인터넷 창(100)에서 웹페이지영역(120)에 출력된다. 이를 위해 출력창가공모듈(23f)은 웹페이지영역(120)에서 출력되는 웹페이지를 상하좌우 중 한 곳으로 강제 이동시켜서 인위적인 공간을 형성시킨다.
일 예로, 도 2(b)를 참조해 설명하면, 콘텐츠 출력창(200)의 플레이어(210)를 출력하기 위해서 출력창가공모듈(23f)은 웹페이지영역(120)에 출력되고 있는 웹페이지를 상부로 강제 이동시키고, 웹페이지의 이동으로 형성된 하부 공간에 플레이어(210)를 출력 배치해서, 이용자는 인터넷 창(100)과 콘텐츠 출력창(200)이 일체화된 것과 같은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출력창가공모듈(23f)이 수행하는 웹페이지의 출력위치 이동은 웹페이지를 인터넷 창(100)의 웹페이지영역(120)에 출력하는 통상적인 과정에서 출력위치를 재설정함으로서 가능하다.
이외에도, 플레이어(210)를 포함하는 콘텐츠 출력창(200)은 웹페이지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 출력될 수도 있다. 이는 이용자가 웹페이지 정보를 보지 않는 상태에서 플레이어(210)가 제공하는 음악서비스만을 청취할 경우, 한정된 모니터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한 예시는 광고창(220)을 설명하면서 재 언급한다.
참고로, 플레이어(210)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제공시스템의 제공 콘텐츠는 음악서비스를 그 실시예로 개시한다. 이는 음악서비스가 인터넷 이용자의 이용이 활발하고, 음악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인터넷 창(100) 내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으며, 음악서비스 이용을 위한 이용자의 플레이어(210) 조작이 수월하기 때문이다.
한편, 플레이어(210)는 별도의 서비스아이콘(201) 클릭없이 최초에 출력되는 인터넷 창(100)에 출력되어서, 이용자가 인터넷 통신을 즐기기 위해 웹브라우 저(21)를 실행시키면 서비스아이콘(201) 등의 실행메뉴를 별도 클릭하지 않아도 상기 음악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플레이어(210)는 웹브라우저의 실행에 종속되지 않는 독립된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즉, 웹브라우저가 실행되더라도 콘텐츠 출력창(200)이 반드시 출력되는 것은 아니며, 이용자가 통상적인 애플리케이션 실행작업(아이콘 클릭, 실행메뉴 클릭 등)을 하듯이 콘텐츠 출력창(200) 출력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계속해서, 이용자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어(210)를 클릭하면, 이용자가 서비스서버(10)로부터 내려받은 음원 리스트(도 8 참조), 또는 서비스서버(10)가 임의로 내려보낸 음원 리스트(도 8 참조), 또는 서비스서버 인터넷 창(300)이 출력될 수 있다. 물론, 음원 리스트를 통해 이용자가 선곡할 수도 있고, 음원 리스트에 제시되지 않은 음원데이터를 서비스서버 인터넷 창(300)에서 검색해 이를 내려받기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음원 리스트는 이용자가 광고물을 시청하는 대가로 제공되는 콘텐츠인 음악서비스 정보가 기록된 창으로, 이용자가 서비스서버(10)에 접속해서 내려받기를 직접 진행해 전송받거나, 이용자가 웹브라우저(21)를 실행시켜서 인터넷 창(100)을 열면 프레임모듈(23b)이 서비스서버(10)에 자동으로 접속해서 서비스서버(1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결국, 이용자는 음원 리스트에 게시된 음원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해서 음악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참고로, 이용자가 자신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에 내려받은 음원은 음원데이터 전체일 수도 있고, 서비스서버(10)의 콘텐츠저장모듈(11)에 저장된 해당 음원 데이터와의 링크정보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이용자가 음악서비스를 받기 위해 음원 리스트의 해당 음원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 정보는 서비스서버(10)로 전송되고, 서비스서버(10)는 콘텐츠저장모듈(11)에서 상기 음원데이터를 검색해서 스트리밍방식으로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기(20)로 전송한다. 물론, 클라이언트 단말기(20)의 플레이어(210)는 전송되는 음원데이터를 실행시켜서, 이용자가 음악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플레이어(210) 클릭시 서비스서버 인터넷 창(300)이 출력되면, 이용자는 서비스서버 인터넷 창(300)의 웹페이지를 확인해서 자신이 듣고 싶은 음원을 확인해 선택할 수 있고, 이렇게 선택된 음원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20)에 내려받을 수 있다. 이렇게 내려받은 음원데이터는 저장모듈(23c)에 저장되거나, 스트리밍방식으로 플레이어(210)에 의해 실행될 것이다.
계속해서, 이용자가 서비스서버(1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인 음악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술한 작업을 진행하면, 서비스서버(10)는 이용자가 광고물 시청을 허락한 것으로 간주하고, 광고물데이터를 광고저장모듈(12)에서 검색해 클라이언트 단말기(20)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0)는 광고물데이터를 저장모듈(23c)에 저장한다. 물론, 광고물데이터는 음원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웹브라우저(21) 실행시 모든 광고물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20)로 전송해 저장모듈(23c)에 저장한 후 광고모듈(23e)에 실행될 수도 있고, 재생모듈(23d)에 의한 음원데이터의 실행처럼 서비스서버(10)로부터 실시간으로 내려받아 광고모듈(23e)을 통해 스트리밍방식으로 실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로, 광고물은 광고모듈(23e)이 광고물데이터 를 내려받아 소리 및 영상 등 다양한 수단으로 출력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공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단말기(20)의 모니터(20a)에 출력되고 있는 출력창의 개수에 상관없이, 플레이어(210)를 포함하는 콘텐츠 출력창(200)이 출력창들 중 최상층에 위치한 출력창에 배치되도록 한다. 즉, 이용자가 플레이어(210)를 클릭함으로서 출력되는 서비스서버 인터넷 창(300)이 인터넷 창(100)과 비교해 최상층에 위치하므로, 최초에 인터넷 창(100)에 배치 출력되던 콘텐츠 출력창(200)이 서비스서버 인터넷 창(300)의 컨트롤영역(310)으로 옮겨져서 출력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프로그램(23)은 출력창확인모듈(23a)을 포함한다. 출력창확인모듈(23a)은 운영체제(22)를 감지해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0)의 모니터(20a)에 출력되고 있는 출력창의 개수와 출력순서를 확인하고, 최상층에 위치한 출력창의 정보를 검색해서 프레임모듈(23b)에 전송한다. 계속해서, 상기 정보를 수신한 프레임모듈(23b)은 상기 정보에 따라 최상층 출력창의 구조를 확인해서, 현재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 출력창(200)을 최상층 출력창의 해당 위치에 배치 출력한다(도 5 참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공시스템의 콘텐츠 출력창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광고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의 광고창(220)으로 출력된다. 광고창(220)은 인터넷 창(100)의 웹페이지영역(120)에 출력되는 웹페이지와 함께 이용 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광고창(220)은 출력창가공모듈(23f)에 의해 확보된 공간에 배치된다.
그런데, 광고창(220)은 광고물의 내용과 그 형태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출력되므로, 출력창가공모듈(23f)은 광고창(220)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웹페이지영역(120)의 가공형태를 달리할 수 있다. 즉,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웹페이지를 웹페이지영역(120)에서 오른쪽으로 완전히 밀어서 왼쪽에 형성된 공간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플레이어(210)와 광고창(220)을 상하로 배치하거나 도 4(c)와 같이 플레이어(210)와 광고창(220)을 수평하게 일렬배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로, 도 7은 광고창(220)의 출력모습을 보인 이미지이다.
한편, 광고창(220)은 플레이어(210)에 비해 비교적 넓은 공간을 점유하므로, 출력창가공모듈(23f)은 콘텐츠 출력창(200)이 웹페이지에 간섭을 주지않는 충분한 공간확보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출력창(200)은 웹페이지를 덮는 방식으로 출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광고창(220)이 웹페이지를 덮을 경우엔, 이용자가 플레이어(210) 조작시에만 상기 광고창(220)이 출력되도록 하거나, 일정시간 이상 컴퓨터의 조작이 없을 경우 화면보호기와 같이 웹페이지를 덮도록 출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공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공시스템의 실시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공시스템의 콘텐츠 출력창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공시스템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실시모습을 보인 이미지이다.

Claims (3)

  1. 음원데이터를 저장하는 콘텐츠저장모듈(11); 다수의 웹페이지를 포함한 웹사이트정보를 관리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0)의 웹브라우저(21)가 요구하는 웹사이트정보를 확인해 전송하는 웹사이트모듈(13);을 구비한 서비스서버(10) 및
    웹브라우저(21)의 요청에 따라 다수의 인터넷 창을 순차 출력하는 운영체제(22); 인터넷 창 출력시 최상층에 위치하는 인터넷 창을 감지하는 출력창확인모듈(23a); 출력될 콘텐츠출력창의 형태 및 크기를 확인하고, 출력창확인모듈(23a)이 확인한 인터넷 창에 출력될 웹페이지의 출력위치를 재설정해서 콘텐츠출력창의 출력공간을 확보하는 출력창가공모듈(23f); 인터넷 통신을 매개로 서비스서버(10)로부터 내려받은 음원데이터의 실행을 이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플레이어(210)를 출력하되 출력창확인모듈(23a)의 신호에 따라 최상층에 위치하는 인터넷 창에서 출력창가공모듈(23f)이 확보한 출력공간에 플레이어(210)를 출력하는 프레임모듈(23b); 플레이어(210)의 제어에 따라 음원데이터를 실행하는 재생모듈(23d);을 구비한 클라이언트 단말기(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창과 콘텐츠 출력창을 일체화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10)는 광고물데이터를 저장하는 광고저장모듈(12)을 더 포 함하고; 프레임모듈(23b)은 서비스서버(10)로부터 내려받은 광고물데이터가 실행되는 광고창(220)을 출력하며; 클라이언트 단말기(20)는 출력된 광고창(220)에 광고물을 실행하는 광고모듈(23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창과 콘텐츠 출력창을 일체화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창(220)은 웹사이트의 링크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창과 콘텐츠 출력창을 일체화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KR1020090106921A 2009-11-06 2009-11-06 인터넷 창과 콘텐츠 출력창을 일체화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KR20110050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921A KR20110050084A (ko) 2009-11-06 2009-11-06 인터넷 창과 콘텐츠 출력창을 일체화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921A KR20110050084A (ko) 2009-11-06 2009-11-06 인터넷 창과 콘텐츠 출력창을 일체화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084A true KR20110050084A (ko) 2011-05-13

Family

ID=4436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921A KR20110050084A (ko) 2009-11-06 2009-11-06 인터넷 창과 콘텐츠 출력창을 일체화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00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6421B1 (en) Online information system with per-document selectable items
US93365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overlay advertising and purchasing utilizing on-line video or streaming media
US20130006759A1 (en) Monetizing user generated content with embedded advertisements
US201002231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xml syndication feeds into online advertisement
US20100070876A1 (en) Self-Replicating Rich Media Interface
JP5231084B2 (ja) 電子広告配信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70287000A1 (en) Dynamically generating video / animation, in real-time, in a display or electronic advertisement based on user data
Hosio et al. Application discoverability on multipurpose public displays: popularity comes at a price
US201401649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on mobile devices
US20160239171A1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distribution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1303322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vertisement delivery
JP2017059081A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装置および配信装置
US10089650B1 (en) Leveraging ad retargeting for universal event notification
JP2016177579A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配信装置および配信方法
JP7044674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Vahl et al. Facebook Marketing all-in-one for Dummies
JP6186457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US201401649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on mobile devices
US20180018697A1 (en) Content provision server by which advertisement is displayed, method therefor, and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lectronic device in which method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within content is recorded as program
KR20110050084A (ko) 인터넷 창과 콘텐츠 출력창을 일체화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JP5028447B2 (ja) Idでメッセージを伝達するサーバ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6566915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配信装置および配信方法
JP2017129752A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方法及び制御装置
JP2020042636A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JP6576532B1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