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9169A - 구조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구조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9169A
KR20110049169A KR1020090106052A KR20090106052A KR20110049169A KR 20110049169 A KR20110049169 A KR 20110049169A KR 1020090106052 A KR1020090106052 A KR 1020090106052A KR 20090106052 A KR20090106052 A KR 20090106052A KR 20110049169 A KR20110049169 A KR 20110049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ctural
fastened
adapter
pipe
structura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애
Original Assignee
이미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애 filed Critical 이미애
Priority to KR1020090106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9169A/ko
Publication of KR20110049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1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관 상호간의 체결을 위해 구조관에 추가되는 별도의 구성이 필요치 않으며 구조관의 체결 및 해체가 쉽고 간단하면서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구조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조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구조관 연결구로서, 서로 연결되는 구조관을 둘러싸도록 중공 원통형상을 가지며 원통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개방부를 구비하되는 몸체부와, 상기 개방부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서로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와, 상기 몸체부 내측 둘레에서 이 몸체부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조관 연결구{CONSTRUCTION PIPE CONNECTOR}
본 발명은 하중을 지지하는 2개의 구조관을 연결하여 구조관의 길이를 조정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하중 지지용 구조관 연결구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조관을 서로 쉽고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으면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관 연결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공사장에서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잭 서포트는 거푸집을 지지 혹은 거푸집의 탈거 후 건축물의 크랙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가설재로서 바닥에 스크류잭 (110) 과 구조관 (120) 및 상부 플랜지 (130) 로 구성되는 잭서포트 (100) 를 설치하여 지지하게 된다.
설치높이의 변동이 있는 경우 통상적으로 스크류잭 (110) 을 통해 조절되며 높이상승을 크게 하는 경우에는 잭서포트 (100) 의 상부에 별도의 구조관 (200) 을 추가로 연결하게 되는 데, 이때 구조관 (200) 의 플랜지 (210) 는 잭서포트 (100) 의 상부플랜지 (130) 에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관 연결방식에서는 구조관의 단부에 항상 플랜지를 별도로 장착되어 있어야 하는 바, 구조관 제품 단가가 고가이며 구조관의 체결 및 해체 에도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단점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구조관은 건축재 자체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거푸집 지지용으로 사용되는 가설재이어서 동일한 제품을 여러 번 사용하게 되고, 구조관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빈번하게 되어 이러한 작업 도중에 플랜지부 (130, 210) 의 구조관에 대한 장착위치가 변형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변형된 상태에서 다시 가설재로 사용되는 경우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관 (120) 과 구조관 (200) 사이의 체결이 수직 방향으로 일치되지 않게 되고 이러한 불일치는 구조관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분력을 발생시켜 플랜지를 서로 체결하고 있는 볼트를 전단파손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관 상호간의 체결을 위해 구조관에 추가되는 별도의 구성이 필요치 않으며 구조관의 체결 및 해체가 쉽고 간단하면서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구조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관을 서로 연결하여 구조관을 길이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구조관 연결구로서, 서로 연결되는 구조관을 둘러싸도록 중공 원통형상을 가지며 원통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개방부를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개방부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서로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와, 상기 몸체부 내측 둘레에서 이 몸체부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조관 연결구에서, 상기 몸체부의 내경은 체결되는 구조관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체결되는 구조관의 외면에 마찰력이 형성되도록 상기 체결부가 체결된 경우에 상기 구조관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조관 연결구에서, 상기 돌출부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조관 연결구에서, 상기 돌출부의 하나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조관 연결구에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외경이 다른 구조관을 체결하기 위한 어댑터가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어댑터의 내경은 체결되는 구조관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체결되는 구조관의 외면에 마찰력이 형성되도록 상기 체결부가 체결된 경우에 상기 구조관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조관 연결구에서, 상기 어댑터는 일부가 개방된 상태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어댑터 개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조관 연결구에서, 상기 어댑터는 저면부가 중심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어댑터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어댑터 지지부의 폭(c)은 상기 돌출부(30)의 폭(b)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별도의 플랜지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와 같은 별도의 플랜지부를 구조관에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이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기본적으로 플랜지부 자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구조관의 체결, 해체가 용이하며 본 발명의 체결부에서도 체결부재를 완전히 해제시키지 않고 단지 헐겁게 하는 것만으로 구조관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을 가진다.
더욱이, 외경이 서로 상이한 구조관을 체결하는 경우에도 간단하게 어댑터만을 이용하면 쉽게 양 구조관을 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체결되는 구조관이 서로 외경은 동일하나 두께가 다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구조관을 체결할 수 있는 유리한 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구조관 연결구는 구조관 체결에 여러 번 사용되는 경우에도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편심발생이 최소화되며, 이로 인해 구조관에 발생하는 전단력이나 좌굴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조관 연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조관 연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조관 연결구(1)는, 서로 연결되는 구조관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부(2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측 둘레에서 이 몸체부(1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30)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몸체부(10)는 통상적으로 금속제로 이루어지고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몸체부(10)의 내경은 체결되는 구조관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한편, 몸체부(10)는 길이방향 단면에서 볼 때 폐쇄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11)가 존재하는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체결부(20)는 몸체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체결부에는 볼트체결을 위한 볼트구멍(21)이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도 3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조관 연결구에서 체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20)는 길이방향으로 수직한 형상을 가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구멍(21)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조관 연결구에서 돌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돌출부(30)는 몸체부(10)의 내측에서 몸체부(10)의 중심을 향해 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30)의 폭은 지지되는 구조관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구조관의 지지측면에서 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30)는 하나로 형상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형상부(30a)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돌출부(30)의 형상은 환형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기만 하면 사각 형상부(30b) 등의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형성된 연결구를 이용하여 구조관을 체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는 도 2 에서 A-A 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조관 연결구에 구조관이 삽입되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외경이 동일한 2개의 구조관을 체결하는 경우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구조관을 상부에서 몸체부(10)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돌출부(30)에 의해 지지되게 하고, 하부구조관을 하부에서 상방으로 몸체부(10)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돌출부(30)에 의해 지지되게 한다.
그런 다음,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20)에 형성된 볼트구멍(21)으로 볼트(40)를 삽입하고 이를 너트(미도시)로 체결함으로써 2개의 구조관이 체결된다.
몸체부(10)의 외경이 체결되는 구조관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면, 체결부(20)에서 볼트를 통해 체결하는 경우 구조관의 횡방향으로 수평력(N)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수평력(N)에 의해 몸체부(10)와 구조관 사이에서는 구조관의 길이방향으로 마찰력(F=μN, μ:마찰계수)이 발생함으로써 상부 및 하부 구조관이 모두 견고하게 체결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돌출부(30)의 폭(b)이 체결되는 구조관의 두께(t)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구조관의 외경은 동일하나 두께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도 양자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연결구에서는 체결된 구조관을 다시 분리하는 경우에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체결부재인 볼트 및 너트를 완전히 해체시킬 필요 없이 단순치 볼트를 헐겁게 풀어주기만 하면 구조관이 용이하게 분리되어 간편하게 구조관을 해체할 수 있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조관 연결구에서 외경이 서로 상이한 구조관을 체결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한편, 서로 체결되는 구조관의 외경이 상이한 경우에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형성된 어댑터(50)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댑터(50)는 구조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는 연장되는 어댑터 개방부(51)를 구비한다.
어댑터(50)의 내경은 체결되는 구조관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체결되는 구조관의 외면에 마찰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가 체결된 경우에 상기 구조관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어댑터(50)의 저면부는 원판 또는 환형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조관을 지지하는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저면부가 환형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저면부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어댑터 지지부(52)의 폭(c)은 돌출부(30)의 폭(b)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어댑터(50)가 돌출부(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5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부 구조관 및 하부 구조관의 어느 일방의 외경이 타방보다 작은 경우에도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본 발명의 구조관 연결구가 동일한 외경의 구조관을 서로 체결하는 경우는 물론 구조관의 외경이 상이한 경우에도 연결구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하나의 연결구를 여러 가지 상이한 외경을 가지는 구조관을 체결하는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플랜지부를 구비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구조관을 여러 번 체결 및 해체하는 경우에도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바,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경우에도 편심으로 인한 전단력 및 좌굴의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관을 연결하는 연결구로서 작용을 신뢰성 있게 수행하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조관 연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조관 연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조관 연결구에서 체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조관 연결구에서 돌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에서 A-A 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조관 연결구에 구조관이 삽입되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조관 연결구에서 외경이 서로 상이한 구조관을 체결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종래기술에서의 구조관 연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Claims (7)

  1.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관을 서로 연결하여 구조관을 길이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구조관 연결구로서,
    서로 연결되는 구조관을 둘러싸도록 중공 원통형상을 가지며 원통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개방부를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개방부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서로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와,
    상기 몸체부 내측 둘레에서 이 몸체부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관 연결구.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경은 체결되는 구조관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체결되는 구조관의 외면에 마찰력이 형성되도록 상기 체결부가 체결된 경우에 상기 구조관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관 연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관 연결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하나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관 연결구.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외경이 다른 구조관을 체결하기 위한 어댑터가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어댑터의 내경은 체결되는 구조관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체결되는 구조관의 외면에 마찰력이 형성되도록 상기 체결부가 체결된 경우에 상기 구조관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관 연결구.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일부가 개방된 상태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어댑터 개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관 연결구.
  7.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저면부가 중심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어댑터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어댑터 지지부의 폭(c)은 상기 돌출부(30)의 폭(b)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관 연결구.
KR1020090106052A 2009-11-04 2009-11-04 구조관 연결구 KR201100491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052A KR20110049169A (ko) 2009-11-04 2009-11-04 구조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052A KR20110049169A (ko) 2009-11-04 2009-11-04 구조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169A true KR20110049169A (ko) 2011-05-12

Family

ID=44360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052A KR20110049169A (ko) 2009-11-04 2009-11-04 구조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91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0639B2 (ja) 車両のための取付け装置
FI85298B (fi) Staellning med kopplingsanordningar.
US6026521A (en) Two-piece water closet ring
JP2011094474A (ja) 杭頭接合構造
WO2018019269A1 (zh) 一种轻钢房屋连接结构及安装方法
US20180266477A1 (en) Connecting Structural Member
KR20120087908A (ko) 적층 고무체의 부착 구조 및 이 부착 구조를 구비하는 구조체
US7967272B2 (en) Industrial hangers for framing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5134433B2 (ja) 配管パイプ支持用のレベルバンド
KR20110049169A (ko) 구조관 연결구
CN104675095A (zh) 可调式钢管支撑
KR200440004Y1 (ko) 잭 서포트용 구조관 연결구
EP2156083B1 (en) Clamp for suspending a pipe
KR101957643B1 (ko)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
US20080203242A1 (en) Spacer Assembly
EP2388518B1 (en) Buckstay connecting system
KR101097180B1 (ko) 볼트 체결용 인서트
JP4612490B2 (ja) ボルト体の垂設補助具
KR102105232B1 (ko) 강관 말뚝에 밀착되는 가설벤트 연결용 강관 말뚝 캡
CN104595315A (zh) 易拆卸膨胀螺栓
RU211544U1 (ru) Профиль
CN210531362U (zh) 利用本体异形加强结构稳定的膨胀螺母
RU2781837C1 (ru)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монтажной системы с применением профиля и монтажная система, в которой использован такой узел
KR102627313B1 (ko)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
CN203797162U (zh) 一种小间隙可调节管道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