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643B1 -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 - Google Patents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643B1
KR101957643B1 KR1020180112240A KR20180112240A KR101957643B1 KR 101957643 B1 KR101957643 B1 KR 101957643B1 KR 1020180112240 A KR1020180112240 A KR 1020180112240A KR 20180112240 A KR20180112240 A KR 20180112240A KR 101957643 B1 KR101957643 B1 KR 101957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astening
airtight
contact
pylon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문
Original Assignee
유경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경문 filed Critical 유경문
Priority to KR1020180112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2Protecting metallic construction elements against corros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은, 송변전 배전을 위해 연결되는 제1 철탑기둥 및 제2 철탑기둥의 연결 부위에서 발생 가능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철탑기둥의 끝단에 형성된 제1 중공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 상기 제2 철탑기둥의 끝단에 형성된 제2 중공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 사이에 배치되되, 배치되는 개수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를 구비하는 커플러부, 상기 제1 철탑기둥의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제1 중공을 규정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에 연결되며, 탄성고무 재질로 형성된 채, 상기 제1 중공을 커버하여 상기 제1 중공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1 기밀부를 구비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철탑기둥의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제2 중공을 규정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부에 연결되며, 탄성고무 재질로 형성된 채, 상기 제2 중공을 커버하여 상기 제2 중공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2 기밀부를 구비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Connecting system of iron tower}
본 발명은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송변전 배전을 위해 연결되는 제1 철탑기둥 및 제2 철탑기둥의 연결 부위에서 발생 가능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송전변전 배전 철탑은 시공 후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산화작용에 의해 부식이 일어나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철탑기둥간의 이음부에서 이러한 부식현상이 주로 발생된다. 이를 보완하고자 아연도금이 된 철재를 사용하고 있으나, 그러한 도금상태 또한 장기간의 사용이 보장되어야 하는 철탑에는 임시방편적인 효과만 나타낼 뿐인 한편, 철탑의 사용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철탑의 정기적인 점검, 부품교체, 보강 등에 더욱 주의를 기우려야 하지만, 이를 위해 행해지는 작업과정, 예로써 부식된 철재의 표면에서 녹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그 위에 페인팅을 하거나, 부식된 기존 철재에 보강 철재를 덧대어 보강하거나, 부식된 철재 위에 새로운 철재를 결합하거나, 부식된 철재를 완전히 제거하고 새로운 철재로 교체하는 등의 작업과정이 매우 번거로움에 따라 철탑, 그 중에서도 철탑 이음부의 부식 방지를 위한 방안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3364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송변전 배전을 위해 연결되는 제1 철탑기둥 및 제2 철탑기둥의 연결 부위에서 발생 가능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은, 송변전 배전을 위해 연결되는 제1 철탑기둥 및 제2 철탑기둥의 연결 부위에서 발생 가능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철탑기둥의 끝단에 형성된 제1 중공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 상기 제2 철탑기둥의 끝단에 형성된 제2 중공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 사이에 배치되되, 배치되는 개수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를 구비하는 커플러부, 상기 제1 철탑기둥의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제1 중공을 규정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에 연결되며, 탄성고무 재질로 형성된 채, 상기 제1 중공을 커버하여 상기 제1 중공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1 기밀부를 구비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철탑기둥의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제2 중공을 규정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부에 연결되며, 탄성고무 재질로 형성된 채, 상기 제2 중공을 커버하여 상기 제2 중공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2 기밀부를 구비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밀부는, 상기 제1 중공의 외부측으로 돌출된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삽입부에 의해 상기 제1 중공으로 삽입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철탑기둥과 상기 커플러부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2 기밀부는, 상기 제2 중공의 외부측으로 돌출된 제3 위치에서, 상기 제2 삽입부에 의해 상기 제2 중공으로 삽입되는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2 철탑기둥과 상기 커플러부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의 상기 제1 삽입부는, 상기 제1 중공으로의 인입에 따라 상기 제1 기밀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중공으로부터의 인출에 따라 상기 제1 기밀부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1 기밀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제1 중공으로의 인입에 따라 상기 외측면이 상기 제1 삽입부의 외면에 밀착된 채, 상기 제1 중공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제1 중공으로부터의 인출에 따라 상기 외측면이 상기 제1 삽입부의 외면과 밀착 해제된 채, 상기 제1 중공으로 인출되고,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제2 중공으로의 인입에 따라 상기 제2 기밀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중공으로부터의 인출에 따라 상기 제2 기밀부가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며,상기 제2 기밀부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2 삽입부의 상기 제2 중공으로의 인입에 따라 상기 외측면이 상기 제2 삽입부의 외면에 밀착된 채, 상기 제2 중공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 삽입부의 상기 제2 중공으로의 인출에 따라 상기 외측면이 상기 제2 삽입부의 외면과 밀착 해제된 채, 상기 제2 중공으로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의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철탑기둥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채, 복수의 제1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밀부는, 제1 절곡선이 형성된 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상기 제1 절곡선을 기준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1 절곡선은,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1 기밀부의 접촉 면적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철탑기둥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채, 복수의 제2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밀부는, 제2 절곡선이 형성된 채,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상기 제2 절곡선을 기준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2 절곡선은, 상기 제2 체결부와 상기 제2 기밀부의 접촉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의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제1 삽입부와 연결되는 제1 체결대응부, 상기 제2 삽입부와 연결되는 제2 체결대응부 및 상기 제1 체결대응부와 상기 제2 체결대응부를 연결하는 체결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체결대응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나사공과 대응되는 복수의 제1 나사대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대응부는, 상기 복수의 제2 나사공과 대응되는 복수의 제2 나사대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밀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1 체결대응부가 평행하게 배치된 채,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커플러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2 기밀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2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대응부가 평행하게 배치된 채,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커플러부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의 상기 제1 삽입부는, 일측은 상기 제1 체결부와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체결대응부와 접촉되는 제1 체결매개부 및 상기 제1 기밀부와 접촉되는 제1 기밀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삽입부는, 일측은 상기 제2 체결부와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체결대응부와 접촉되는 제2 체결매개부 및 상기 제2 기밀부와 접촉되는 제2 기밀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체결매개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나사대응공과 상기 복수의 제1 나사공과 연통되는 복수의 제1 체결나사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체결매개부는, 상기 복수의 제2 나사대응공과 상기 복수의 제2 나사공과 연통되는 복수의 제2 체결나사공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의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나사공이 형성되는 제1 나사형성부 및 상기 제1 나사형성부와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기 제1 절곡선을 기준으로 절곡된 상기 제1 기밀부의 일부분과 접촉되는 제1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촉부는, 요철부를 구비하여, 상기 요철부에 의해 상기 제1 기밀부와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의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제1 절곡선을 기준으로 절곡된 상기 제1 기밀부의 일부분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기밀부는, 상기 제1 절곡선을 기준으로 절곡된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형상이 상기 제1 삽입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의 상기 제1 절곡선을 기준으로 절곡된 상기 제1 기밀부의 일부분은,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1 체결대응부가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 중에,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1 체결대응부 사이에서 가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송변전 배전을 위한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은, 제1 철탑기둥 및 제2 철탑기둥의 연결 부위로의 산성, 눈, 빗물 등이 침투되지 않도록 하여, 연결 부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이 설치된 철탑기둥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의 제1 기밀부 및 제1 삽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의 제1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이 설치된 철탑기둥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1)은 송변전 배전을 위해 연결되는 제1 철탑기둥(P1) 및 제2 철탑기둥(P2)의 연결 부위에서 발생 가능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철탑기둥(P1)은 상기 제2 철탑기둥(P2)의 상측에 연결되어 철탑기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1)은 커플러부(10), 제1 연결부(20) 및 제2 연결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부(10)는, 상기 제1 철탑기둥(P1)의 끝단에 형성된 제1 중공(H1)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11), 상기 제2 철탑기둥(P2)의 끝단에 형성된 제2 중공(H2)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13) 및 상기 제1 삽입부(11)와 상기 제2 삽입부(13)를 연결하고, 외력에 의해 중심축 방향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수축 또는 확장되는 길이조절부(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20)는, 상기 제1 철탑기둥(P1)의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제1 중공(H1)을 규정하는 제1 체결부(21) 및 상기 제1 체결부(21)에 연결되며, 탄성고무 재질로 형성된 채, 상기 제1 중공(H1)을 커버하여 상기 제1 중공(H1)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1 기밀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밀부(23)는, 상기 제1 중공(H1)의 외부측으로 돌출된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삽입부(11)에 의해 상기 제1 중공(H1)으로 삽입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철탑기둥(P1)과 상기 커플러부(10)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30)는, 상기 제2 철탑기둥(P2)의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제2 중공(H2)을 규정하는 제2 체결부(31) 및 상기 제2 체결부(31)에 연결되며, 탄성고무 재질로 형성된 채, 상기 제2 중공(H2)을 커버하여 상기 제2 중공(H2)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2 기밀부(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밀부(33)는, 상기 제2 중공(H2)의 외부측으로 돌출된 제3 위치에서, 상기 제2 삽입부(13)에 의해 상기 제2 중공(H2)으로 삽입되는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2 철탑기둥(P2)과 상기 커플러부(10)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의 제1 기밀부 및 제1 삽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1)의 상기 제1 삽입부(11)는, 상기 제1 중공(H1)으로의 인입에 따라 상기 제1 기밀부(23)가 상기 제1 위치(도 4 참조)에서 상기 제2 위치(도 6 참조)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중공(H1)으로부터의 인출에 따라 상기 제1 기밀부(23)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밀부(23)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1 삽입부(11)의 상기 제1 중공(H1)으로의 인입에 따라 상기 외측면이 상기 제1 삽입부(11)의 외면에 밀착된 채, 상기 제1 중공(H1)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 삽입부(11)의 상기 제1 중공(H1)으로부터의 인출에 따라 상기 외측면이 상기 제1 삽입부(11)의 외면과 밀착 해제된 채, 상기 제1 중공(H1)으로 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밀부(23)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중공(H1)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상기 제1 중공(H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상기 제1 기밀부(23)는, 상기 제1 삽입부(11)에 의해 가압 및 밀착되면서, 형태가 변형된 채, 외측면이 상기 제1 삽입부(11)에 의해 안으로 밀려들어갈 수 있다. 쉽게 말해, 상기 제1 기밀부(23)는, 상기 제1 삽입부(11)에 의해 뒤집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한 상기 제1 기밀부(23)는, 상기 제1 삽입부(11)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삽입부(11)의 상기 제1 중공(H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삽입부(11)와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면서, 상기 제1 기밀부(23)와 밀착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밀착 해제란, 상기 제1 기밀부(23)와의 접촉 영역이 줄어들면서, 이격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삽입부(11)와 밀착 해제된 상기 제1 기밀부(23)는, 상기 제1 삽입부(11)와 접촉되기 전 형태로 유지된 채, 상기 제1 삽입부(11)와의 접촉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1 기밀부(23)는 상기 제1 중공(H1)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제1 기밀부(23)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1 기밀부(23)의 파손 및 손상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한 상기 제1 기밀부(23)는, 재차 상기 제1 삽입부(11)와의 접촉이 용이한 상태일 수 있다.
참고로 만약, 상기 제1 기밀부(23)가 상기 제1 삽입부(11)에 의해 상기 제1 중공(H1)으로 인입되지 않고, 인입된 상태가 유지된다고 한다면, 고무탄성 재질로 형성된 상기 제1 기밀부(23)로의 상기 제1 삽입부(11)의 삽입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삽입부(11)의 표면과 상기 제1 기밀부(23)와의 마찰에 의해 상기 제1 삽입부(11)의 상기 제1 기밀부(23)로의 슬라이딩이 여의치 않을 뿐만 아니라, 강제로 인입을 시도할 경우, 상기 제1 기밀부(23)가 찢어지거나 꾸겨져, 상기 제1 중공(H1)의 기밀이 유지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제2 삽입부(13)는, 상기 제2 중공(H2)으로의 인입에 따라 상기 제2 기밀부(33)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중공(H2)으로부터의 인출에 따라 상기 제2 기밀부(33)가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밀부(33)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2 삽입부(13)의 상기 제2 중공(H2)으로의 인입에 따라 상기 외측면이 상기 제2 삽입부(13)의 외면에 밀착된 채, 상기 제2 중공(H2)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 삽입부(13)의 상기 제2 중공(H2)으로의 인출에 따라 상기 외측면이 상기 제2 삽입부(13)의 외면과 밀착 해제된 채, 상기 제2 중공(H2)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밀부(33)와 상기 제2 삽입부(13)의 관계는, 상기 제1 기밀부(23)와 상기 제1 삽입부(11)의 관계와 동일한 관계이므로, 상기 제2 기밀부(33)와 상기 제2 삽입부(13)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 기밀부(23)와 상기 제1 삽입부(11)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나아가, 이하 상기 제1 기밀부(23)와 상기 제1 삽입부(11)의 관계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별도의 부가설명이 없더라도, 상기 제2 기밀부(33)와 상기 제2 삽입부(13)의 관계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15)는, 상기 제1 삽입부(11)와 연결되는 제1 체결대응부(151), 상기 제2 삽입부(13)와 연결되는 제2 체결대응부(152) 및 상기 제1 체결대응부(151)와 상기 제2 체결대응부(152)를 연결하는 체결연결부(15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대응부(151)는, 상기 복수의 제1 나사공(211)과 대응되는 복수의 제1 나사대응공(15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대응부(152)는, 상기 복수의 제2 나사공과 대응되는 복수의 제2 나사대응공(15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밀부(23)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1 체결부(21)와 상기 제1 체결대응부(151)가 평행하게 배치된 채,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제1 연결부(20)와 상기 커플러부(1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밀부(33)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2 체결부(31)와 상기 제2 체결대응부(152)가 평행하게 배치된 채,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제2 연결부(30)와 상기 커플러부(10)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삽입부(11)는, 일측은 상기 제1 체결부(21)와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체결대응부(151)와 접촉되는 제1 체결매개부(113) 및 상기 제1 기밀부(23)와 접촉되는 제1 기밀접촉부(1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매개부(113)는, 상기 복수의 제1 나사대응공(151a) 및 상기 복수의 제1 나사공(211)과 연통되는 복수의 제1 체결나사공(113a)을 구비할 수 있다.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상기 제1 연결부(20), 상기 제1 삽입부(11), 상기 길이조절부(15)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나사공(211), 상기 복수의 제1 체결나사공(113a), 상기 복수의 제1 나사대응공(151a)은 순서대로 배열된 채, 동일한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연결부(20), 상기 제1 삽입부(11) 및 상기 길이조절부(15)는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삽입부(13)는, 일측은 상기 제2 체결부(31)와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체결대응부(152)와 접촉되는 제2 체결매개부(133) 및 상기 제2 기밀부(33)와 접촉되는 제2 기밀접촉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매개부(133)는, 상기 복수의 제2 나사대응공(152a)과 상기 복수의 제2 나사공과 연통되는 복수의 제2 체결나사공(133a)을 구비할 수 있다.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상기 길이조절부(15), 상기 제2 삽입부(13), 상기 제2 연결부(30)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2 나사대응공(152a), 상기 제2 체결나사공(133a)
상기 복수의 제1 나사공(211), 상기 복수의 제2 체결나사공(133a), 상기 복수의 제2 나사대응공(152a)은 순서대로 배열된 채, 동일한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연결부(30), 상기 제2 삽입부(13) 및 상기 길이조절부(15)는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의 제1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1)의 제1 체결부(21)는, 상기 제1 철탑기둥(P1)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채, 복수의 제1 나사공(21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체결부(21)는, 상기 복수의 제1 나사공(211)이 형성되는 제1 나사형성부(21a) 및 상기 제1 나사형성부(21a)와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기 제1 절곡선(231)을 기준으로 절곡된 상기 제1 기밀부(23)의 일부분과 접촉되는 제1 접촉부(2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부(21b)는, 요철부를 구비하여, 상기 요철부에 의해 상기 제1 기밀부(23)와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부에 의해 상기 제1 기밀부(23)의 가압력이 높아져, 상기 제1 기밀부(23)에 의한 기밀이 장시간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밀부(23)는, 제1 절곡선(231)이 형성된 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상기 제1 절곡선(231)을 기준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곡선(231)은, 상기 제1 체결부(21)와 상기 제1 기밀부(23)의 접촉 면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부(21b)는, 상기 제1 절곡선(231)을 기준으로 절곡된 상기 제1 기밀부(23)의 일부분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밀부(23)는, 상기 제1 절곡선(231)을 기준으로 절곡된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형상이 상기 제1 삽입부(11)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밀부(23)는, 상기 제1 삽입부(11)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1 삽입부(11)의 외면에 밀착된 채, 구겨지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1 삽입부(11)와 상기 제1 기밀부(23)의 형태가 동일 또는 유사하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밀부(23)는, 고무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외측면이 내측면으로 말려들어가도록 하여 뒤집힌 상태에서도 원래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밀부(23)의 형상이 상기 제1 삽입부(11)의 외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라면, 상기 제1 삽입부(11)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겨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삽입부(11)는, 상기 제1 기밀부(23)와의 접촉에 따라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즉, 끝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접촉 영역을 넓혀 가도록
또한, 상기 제1 절곡선(231)을 기준으로 절곡된 상기 제1 기밀부(23)의 일부분은, 상기 제1 체결부(21)와 상기 제1 체결대응부(151)가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 중에, 상기 제1 체결부(21)와 상기 제1 체결대응부(151) 사이에서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31)는, 상기 제2 철탑기둥(P2)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채, 복수의 제2 나사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밀부(33)는, 제2 절곡선이 형성된 채,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상기 제2 절곡선을 기준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곡선은, 상기 제2 체결부(31)와 상기 제2 기밀부(33)의 접촉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은, 길이조절부(15)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1)과 동일하므로, 이하 길이조절부에 관한 설명만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의 길이조절부(50)는, 제1 길이조절부(45) 및 제2 길이조절부(5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길이조절부(45) 및 상기 제2 길이조절부(55)는, 상술한 길이조절부(15)와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길이조절부(50)는, 상기 제1 철탑기둥(P1) 및 상기 제2 철탑기둥(P2)에 의한 철탑기둥의 전체 길이를 변화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철탑기둥의 높이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철탑기둥(P1) 및 상기 제2 철탑기둥(P2)은, 시공 전에 미리 기 설정된 크기로 제작된 철탑기둥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철탑기둥 설치 환경에 따라 철탑기둥을 복수개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원하는 철탑기둥의 높이가 기 제작된 철탑기둥의 길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길이조절부(55)를 추가하여 철탑기둥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철탑기둥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3 길이조절부, 제4 길이조절부를 추가하여 철탑기둥을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
P1: 제1 철탑기둥
P2: 제2 철탑기둥
10: 커플러부
11: 제1 삽입부
13: 제2 삽입부
15: 길이조절부
20: 제1 연결부
21: 제1 체결부
23: 제1 기밀부
30: 제2 연결부
31: 제2 체결부
33: 제2 기밀부

Claims (8)

  1. 송변전 배전을 위해 연결되는 제1 철탑기둥 및 제2 철탑기둥의 연결 부위에서 발생 가능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철탑기둥의 끝단에 형성된 제1 중공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 상기 제2 철탑기둥의 끝단에 형성된 제2 중공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 사이에 배치되되, 배치되는 개수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를 구비하는 커플러부;
    상기 제1 철탑기둥의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제1 중공을 규정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에 연결되며, 탄성고무 재질로 형성된 채, 상기 제1 중공을 커버하여 상기 제1 중공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1 기밀부를 구비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철탑기둥의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제2 중공을 규정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부에 연결되며, 탄성고무 재질로 형성된 채, 상기 제2 중공을 커버하여 상기 제2 중공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2 기밀부를 구비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밀부는,
    상기 제1 중공의 외부측으로 돌출된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삽입부에 의해 상기 제1 중공으로 삽입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철탑기둥과 상기 커플러부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2 기밀부는,
    상기 제2 중공의 외부측으로 돌출된 제3 위치에서, 상기 제2 삽입부에 의해 상기 제2 중공으로 삽입되는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2 철탑기둥과 상기 커플러부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제1 삽입부는,
    상기 제1 중공으로의 인입에 따라 상기 제1 기밀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중공으로부터의 인출에 따라 상기 제1 기밀부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1 기밀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제1 중공으로의 인입에 따라 상기 외측면이 상기 제1 삽입부의 외면에 밀착된 채, 상기 제1 중공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 삽입부의 상기 제1 중공으로부터의 인출에 따라 상기 외측면이 상기 제1 삽입부의 외면과 밀착 해제된 채, 상기 제1 중공으로 인출되고,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제2 중공으로의 인입에 따라 상기 제2 기밀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중공으로부터의 인출에 따라 상기 제2 기밀부가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2 기밀부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2 삽입부의 상기 제2 중공으로의 인입에 따라 상기 외측면이 상기 제2 삽입부의 외면에 밀착된 채, 상기 제2 중공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 삽입부의 상기 제2 중공으로의 인출에 따라 상기 외측면이 상기 제2 삽입부의 외면과 밀착 해제된 채, 상기 제2 중공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철탑기둥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채, 복수의 제1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밀부는,
    제1 절곡선이 형성된 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상기 제1 절곡선을 기준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1 절곡선은,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1 기밀부의 접촉 면적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철탑기둥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채, 복수의 제2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밀부는,
    제2 절곡선이 형성된 채,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상기 제2 절곡선을 기준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2 절곡선은,
    상기 제2 체결부와 상기 제2 기밀부의 접촉 면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제1 삽입부와 연결되는 제1 체결대응부, 상기 제2 삽입부와 연결되는 제2 체결대응부 및 상기 제1 체결대응부와 상기 제2 체결대응부를 연결하는 체결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체결대응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나사공과 대응되는 복수의 제1 나사대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대응부는,
    상기 복수의 제2 나사공과 대응되는 복수의 제2 나사대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밀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1 체결대응부가 평행하게 배치된 채,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커플러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2 기밀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2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대응부가 평행하게 배치된 채,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커플러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는,
    일측은 상기 제1 체결부와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체결대응부와 접촉되는 제1 체결매개부 및 상기 제1 기밀부와 접촉되는 제1 기밀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삽입부는,
    일측은 상기 제2 체결부와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체결대응부와 접촉되는 제2 체결매개부 및 상기 제2 기밀부와 접촉되는 제2 기밀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체결매개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나사대응공 및 상기 복수의 제1 나사공과 연통되는 복수의 제1 체결나사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체결매개부는, 상기 복수의 제2 나사대응공 및 상기 복수의 제2 나사공과 연통되는 복수의 제2 체결나사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나사공이 형성되는 제1 나사형성부 및 상기 제1 나사형성부와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기 제1 절곡선을 기준으로 절곡된 상기 제1 기밀부의 일부분과 접촉되는 제1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촉부는,
    요철부를 구비하여, 상기 요철부에 의해 상기 제1 기밀부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제1 절곡선을 기준으로 절곡된 상기 제1 기밀부의 일부분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기밀부는,
    상기 제1 절곡선을 기준으로 절곡된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형상이 상기 제1 삽입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선을 기준으로 절곡된 상기 제1 기밀부의 일부분은,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1 체결대응부가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 중에,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1 체결대응부 사이에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
KR1020180112240A 2018-09-19 2018-09-19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 KR101957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240A KR101957643B1 (ko) 2018-09-19 2018-09-19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240A KR101957643B1 (ko) 2018-09-19 2018-09-19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643B1 true KR101957643B1 (ko) 2019-03-12

Family

ID=65800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240A KR101957643B1 (ko) 2018-09-19 2018-09-19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6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3571A (zh) * 2019-05-06 2019-09-24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嘉兴供电公司 一种用于附墙抱杆的抱箍
CN110700674A (zh) * 2019-10-24 2020-01-17 安徽汀阳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铁塔基材防腐保护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8023B2 (ja) * 1992-11-06 1997-08-27 東陶機器株式会社 パネル連結機構
KR101028147B1 (ko) * 2009-12-29 2011-04-08 (주)한국에스코 송전변전 배전 강재 전신주 이음장치
KR101033642B1 (ko) 2009-12-29 2011-05-09 (주)한국에스코 송전변전 배전 철탑기둥 이음부 부식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8023B2 (ja) * 1992-11-06 1997-08-27 東陶機器株式会社 パネル連結機構
KR101028147B1 (ko) * 2009-12-29 2011-04-08 (주)한국에스코 송전변전 배전 강재 전신주 이음장치
KR101033642B1 (ko) 2009-12-29 2011-05-09 (주)한국에스코 송전변전 배전 철탑기둥 이음부 부식방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3571A (zh) * 2019-05-06 2019-09-24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嘉兴供电公司 一种用于附墙抱杆的抱箍
CN110700674A (zh) * 2019-10-24 2020-01-17 安徽汀阳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铁塔基材防腐保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643B1 (ko) 철탑기둥 연결 시스템
US6209278B1 (en) Flooring panel
US20180245716A1 (en) Conduit clip
US10056748B2 (en) Electrical box support
EP3067574A1 (en) A clip and fastening structure
US11274440B2 (en) Suspension ceiling support clip
CN101951749A (zh) 电气设备的安装装置及具有该安装装置的电路断路器
US20100223822A1 (en) Identification device for electrical lines
AU2011364630B2 (en) Spigot-and-socket conduit joint with anchor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200444230Y1 (ko)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KR101094637B1 (ko) 막부재 연결장치
KR102012793B1 (ko) 신축이음장치
KR20130029322A (ko) 관거용 시일재
US10851821B2 (en) Panel splice connector for linear panels
KR101933128B1 (ko) 연장가능한 콘크리트 전주 유닛
KR100388855B1 (ko) 통신케이블 지지용 케이블 홀더
KR200373989Y1 (ko) 연결부재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
CN212715918U (zh) 线管固定件
KR200264316Y1 (ko) 오수관 고정구
KR101310848B1 (ko) 수평보강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
EP2201281A1 (en) Conduit mounting apparatus
KR20170089241A (ko) 스페이서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US20070107929A1 (en) Insulator integrated with clamp
KR20130074591A (ko) 수평보강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
JP5419566B2 (ja) ピット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