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8936A -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8936A
KR20110048936A KR1020090105703A KR20090105703A KR20110048936A KR 20110048936 A KR20110048936 A KR 20110048936A KR 1020090105703 A KR1020090105703 A KR 1020090105703A KR 20090105703 A KR20090105703 A KR 20090105703A KR 20110048936 A KR20110048936 A KR 20110048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log information
test signal
robot program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065B1 (ko
Inventor
갈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090105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065B1/ko
Publication of KR20110048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2Query formulation
    • G06F16/90332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09Gam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 서비스에 있어서 로봇 프로그램에 의해 불법적으로 이루어지는 게임 플레이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정상적인 게임 클라이언트라면 무시하게 되는 테스트 신호를 게임 클라이언트로 전송한 후 해당 테스트 신호에 대응하여 이루어지는 사용자 액션을 감시하거나, 또는 소정의 게임 명령어 입력을 금지시킨 상태로 게임을 진행한 후 금지된 게임 명령어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게임 관리자가 게임 내에서 각 사용자 캐릭터들의 행동을 일일이 감시하지 않더라도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를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고, 불법 게임 이용자들에 대한 제재 조치의 명확한 근거를 확보하여 불필요한 다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온라인 게임, 로봇 프로그램, 불법, 감시, 검출

Description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 검출 방법{ Method for Detecting Game Play Controlled by Robot Program }
본 발명은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와 관련하여 로봇 프로그램에 의해 불법적으로 이루어지는 게임 플레이를 효율적으로 검출하고, 로봇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제재 근거를 명확하게 보존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망과 컴퓨터 관련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온라인 게임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부분의 온라인 게임은 게임 내에서 특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여러 게임 아이템을 이용하여 진행된다. 게임 아이템은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고 가상 공간에 존재하는 것일 뿐이지만 많은 사용자들이 소유를 원하거나 그 획득이 쉽지 않은 것들은 높은 자산적 가치를 지닌다.
이 때문에 자산적 가치가 높은 게임 아이템을 획득하기 위하여 게임을 부정하게 이용하는 사례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그 중의 하나가 로봇 프로그램(불법 프로그램이나 'BOT' 등으로도 불린다)을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것이다.
로봇 프로그램은 게임 클라이어트를 변조/개조하여 만들어질 수 있으며, 프로그래밍된 내용에 따라 마치 자신이 사용자인 것처럼 위장하여 게임 내에서 스스로 몬스터와 계속 대결을 진행함으로써 게임 아이템을 획득하거나 게임 내 레벨을 높이는 등 비정상적으로 게임을 진행한다.
이러한 로봇 프로그램은 게임 서버로부터 게임 클라이언트로 수신되는 신호를 나름대로 해석하여 게임을 진행한다.
로봇 프로그램이 사용되면, 정상적인 게임 사용자들의 게임 진행을 방해하여 민원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난다.
로봇 프로그램에 의해 게임이 이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게임 관리자(GM: Game Master)가 직접 의심되는 캐릭터의 동작 상태를 조사하고 있다.
그러나, 게임 관리자가 수많은 캐릭터의 행동을 게임 내에서 일일이 감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고, 많은 인원을 로봇 프로그램에 의해 조정되는 캐릭터를 감시하기 위해 투입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면에서 부담이 크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상황을 신속하게 해결하지 못하면 정상적으로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불편을 초래하여 고객 불만의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로봇 프로그램에 의해 불법적으로 이루어지는 게임 플레이를 효율적으로 검출하고, 로봇 프로그램을 이용한 사용자에게 취하는 제재의 근거를 명확하게 보존하여 법적 분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 검출 방법의 일 실시예는, 게임 서버가 테스트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게임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게임 서버가 상기 테스트 신호의 전송과 그에 대응하여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액션 정보에 관련된 로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로그정보 관리 프로그램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로그 정보를 출력하여 게임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테스트 신호란 정상적인 게임 클라이언트라면 무시하게 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테스트 신호는 유효한 게임 신호 중 소정 부분이 불완전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불완전한 신호는 무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테스트 신호는 해당 신호를 무시할 것을 지시하는 특수 코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상기 특수 코드가 포함된 신호는 무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그정보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테스트 신호에 대응해서는 발생할 수 없는 사용자 액션이 나타난 로그 정보를 선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 검출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는, 게임 서버가 게임 클라이언트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게임 명령어 입력이 금지된 상태로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게임 서버가 상기 소정의 게임 명령어 입력이 금지된 상태로 진행된 게임과 관련된 로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로그정보 관리 프로그램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로그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금지된 게임 명령어가 입력되었는지를 조사함으로써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게임 서버는 사용자 캐릭터의 게임 내 기능을 제한하는 형태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이 금지되는 게임 명령어는 상기 사용자 캐릭터의 게임 내 기능 제한을 해제하는 게임 명령어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상적인 게임 환경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사용자 액션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여 로봇 프로그램에 의해 불법적으로 이루어지는 게임 플레이를 검출할 수 있다.
정상적인 게임 환경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사용자 액션의 발생은 로그 기록에 명확하게 남게 되므로, 게임 관리자는 각 사용자 캐릭터들의 게임 내 행동을 일일이 감시하지 않아도 로그 기록을 통해 불법적인 게임 플레이를 손쉽고 효율적으로 가려 낼 수 있다.
또한, 사람의 경험과 시각에 의존하여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를 감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부정확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비정상적인 게임 플레이와 관련된 로그 기록은 명백한 증거가 될 수 있으므로 로봇 프로그램 이용자에 대한 제재시 발생할 수 있는 소송이나 민원을 줄이고 불필요한 다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자면, 각 사용자는 사용자 컴퓨터(11)에 설치된 게임 클라이언트(12)를 구동하여 인터넷망 등의 통신망(13)을 통해 게임 서버(15)에 접속함으로써 온라인 게임을 이용한다.
온라인 게임의 종류나 내용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자면 여러 사용자가 동시 다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유형의 게임을 들 수 있다.
사용자 컴퓨터(11)는 데스크 탑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 등의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뿐 아니라 휴대폰이나 개인정보단말(PDA)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이 게임 서버(15)에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을 이용할 수 있는 성능을 갖는 임의의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게임 클라이언트(12)는 사용자 컴퓨터(11)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통신망(13)을 통해 다운로드되어 설치되고 최신 버젼으로 유지된다.
게임 클라이언트(12)는 게임 관련 공지사항의 디스플레이, 게임 화면 처리, 사운드 효과 처리, 게임을 위한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 등 사용자측에서 수행되어야 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게임 서버(15)와 통신하면서 온라인 게임을 진행시킨다.
게임 클라이언트(12)와 게임 서버(15)의 역할 분담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게임 서버(15)는 각 사용자들의 게임 이용과 관련한 로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하여 유지한다.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되어 유지될 로그 정보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자면 각 사용자의 로그인 시각과 로그 아웃 시각 등 일반적인 서지 정보와, 게임에 이용된 캐릭터 정보, 사용자가 입력한 게임 명령어 정보, 사용자 캐릭터의 게임 내 이동 상황 정보, 게임 내 재화 습득 정보 등 일체의 게임 진행 정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로그 정보는 각 사용자의 게임 이용 내역을 파악할 수 있는 주요 자료가 되며, 게임 관리자(18)는 로그정보 관리 프로그램(17)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되어 있는 로그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로그정보 관리 프로그램(17)은 게임 관리자(18)가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되어 있는 로그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로그정보 관리 프로그램(17)은 다양한 방식으로 게임 관리자(18)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각 사용자의 게임 이용 내역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로봇 프로그램을 통해 부정한 방법으로 온라인 게임을 이용하려는 사용자는 사용자 컴퓨터(11)에 로봇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로봇 프로그램은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게임 계정을 이용하여 마치 자신이 사용자인 것처럼 위장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 있으며, 특정 몬스터와 대결하여 게임 아이템을 획득하는 역할을 집중적으로 수행하는 등 프로그래밍된 내용에 따라 스스로 온라인 게임을 진행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를 검출 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게임 서버(15)는 테스트 신호를 통신망(13)을 통해 게임 클라이언트(12)로 전송한다(S21).
여기서 테스트 신호란 이 신호를 받는 게임 클라이언트가 정상적인 것인라면 무시하게 되는 신호를 말하며, 게임 클라이언트(12)는 게임 서버(15)로부터 테스트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인식하여 무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테스트 신호는 로봇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인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신호로 이해될 수도 있다.
테스트 신호를 구성하는 하나의 예는 게임 진행에 사용되는 유효한 신호 중 소정 부분을 불완전한 상태로 만드는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자면, 게임에 사용되는 어느 신호가 필드 #1, 필드 #2, 필드 #3이 연속적으로 존재해야 하나의 완전한 신호를 구성한다고 가정할 때, 테스트 신호는 도 3b에 도시된 예와 같이 필드 #1과 필드 #2는 존재하지만 필드 #3은 생략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게임 클라이언트(12)가 정상적인 것이라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불완전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신호가 필드 #1, 필드 #2, 필드 #3이 연속적으로 모두 존재해야 유효한 신호라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이 불완전한 신호를 무시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 컴퓨터(11)에서 로봇 프로그램이 구동되고 있다면 로봇 프로그램은 게임 서버(15)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프로그래밍된 내용에 따라 임의적으로 해석하여 실행하기 때문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게임 환경에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테스트 신호를 구성하는 또 다른 예는 테스트 신호에 해당 신호를 무시하라고 지시하는 특수 코드를 포함시키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자면, 각 신호에 일정 크기의 특수 코드를 포함시킬 수 있는데, 특수 코드가 삽입될 위치나 특수 코드 값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특수 코드를 4비트의 바이너리 정보로 구성하고, 그 값 중 '1110'을 해당 신호에 대한 무시를 지시하는 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게임 클라이언트(12)가 정상적인 것이라면 특수 코드 값이 '1110'인 신호는 무시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 컴퓨터(11)에서 로봇 프로그램이 구동되고 있다면, 로봇 프로그램은 해당 테스트 신호를 유효한 신호로 해석하여 처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게임 환경에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한편, 게임 서버(15)는 단계 S21에서 이루어진 테스트 신호의 전송과 그에 대응하여 게임 클라이언트(12)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액션 정보에 관련된 로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하여 유지한다(S22).
그리고, 로그정보 관리 프로그램(17)은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되어 있는 로그 정보를 모니터 화면이나 프린터 등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여 게임 관리자(18)가 확인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S23).
이때 로그정보 관리 프로그램(17)은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되어 있는 각 로그 정보를 분석하여 단계 S21에서 전송하였던 테스트 신호에 대응해서는 발생할 수 없는 사용자 액션이 나타난 로그 정보를 선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단계 S21에서 전송하였던 테스트 신호에 대응해서는 발생할 수 없는 사용자 액션이 나타났다면, 이는 로봇 프로그램에 의해 불법적으로 게임이 진행된 결과임을 말해 준다.
그러므로 이러한 로그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한다면 게임 관리자가 해당 로그 정보를 기초로 어느 사용자가 언제 로봇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였는지를 더욱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제 테스트 신호가 적용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자면, 정상적인 게임 클라이언트(12)는 게임 서버(15)로부터 어떤 신호가 수신되면(S51), 이 신호가 테스트 신호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2).
그리고 단계 S52에서의 확인 결과 단계 S51에서 수신된 신호가 테스트 신호인 경우에는 해당 신호를 무시하고(S53), 테스트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신호를 해석하여 처리한다(S54).
즉, 단계 S51에서 수신된 신호가 테스트 신호인 경우에는 이 테스트 신호로 인해 게임 환경이 변동되지 않으므로 테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어떤 사용자 액션이 발생할 여지가 없다.
그러므로 데이터베이스(16)에는 사용자 액션과 관련된 특별한 로그 정보가 기록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자면, 로봇 프로그램은 게임 서버(15)로부터 테스트 신호가 수신되면(S61), 이 테스트 신호를 임의적으로 해석하여 유효하게 처리하기 때문에 테스트 신호로 인해 게임 환경이 변동될 수 있다(S62,S63).
예로서 단계 S61에서 게임 서버(15)로부터 수신된 테스트 신호가 게임 화면에 어떤 게임 아이템을 떨어 뜨리도록 하는 신호와 관련된 것이고, 게임 아이템이 게임 화면에 떨어지면 사용자가 특정 게임 명령어를 입력하여 해당 게임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테스트 신호가 도 3b에 도시된 예처럼 불완전하게 구성된 것이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예처럼 특수 코드를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하더라도 필드 #1과 필드 #2의 정보로부터 게임 아이템의 종류 등 기본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면 로봇 프로그램은 해당 테스트 신호를 유효하게 처리하여 해당 게임 아이템을 게임 화면에 떨어 뜨려 게임 환경을 변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로봇 프로그램은 게임 화면에 떨어진 해당 게임 아이템을 획득하는 사용자 액션을 취할 수 있다(S64).
그러면 로봇 프로그램이 취한 사용자 액션과 그 결과 등의 정보가 게임 서버(15)로 전송되고(S65), 게임 서버(15)는 해당 사용자 액션과 관련된 로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한다.
그런데, 이 게임 아이템의 획득은 정상적인 게임 환경에서는 발생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테스트 신호에 따라 특정 게임 아이템의 획득 상태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시함으로써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를 검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를 검출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게임 서버(15)는 게임 클라이언트(12)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게임 명령어 입력이 금지된 상태로 게임을 진행시킨다(S71).
단계 S71에서 게임 서버(15)가 게임 클라이언트(12)와의 사이에서 진행하는 게임의 종류와 내용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게임 서버(15)가 사용자 캐릭터에게 마법을 걸어 사용자 캐릭터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등 사용자 캐릭터의 게임 내 기능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입력이 금지되는 게임 명령어는 사용자 캐릭터의 게임 내 기능 제한을 해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게임 명령어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예에서 사용자 캐릭터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마법을 해제하는 게임 명령어가 입력 금지될 수 있다.
한편, 게임 서버(15)는 단계 S71에서 진행된 게임과 관련된 로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하여 유지한다(S72).
그리고, 로그정보 관리 프로그램(17)은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되어 있는 로그 정보를 분석하여 금지되었던 게임 명령어가 입력되었는지를 조사함으로써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를 선별한다(S73).
이에 따라 게임 관리자(18)는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가 어느 것인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정상적인 게임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금지된 게임 명령어를 입력할 수 없으므로, 금지된 게임 명령어가 입력되고 그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었다면 로봇 프로그램에 의해 게임이 진행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사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자면, 게임 서버(15)가 단계 S71에서 해당 사용자 캐릭터에게 마법을 걸어 사용자 캐릭터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하였고, 해당 마법을 해제할 수 있는 게임 명령어인 'ctrl + c' 키의 입력이 금지되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ctrl + c'는 키보드(81)의 'ctrl' 키와 'c' 키를 동시에 입력해야 하는 것, 또는 그에 대응하는 명령을 마우스(82)를 이용하여 입력해야 하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정상적인 사용자는 사용자 컴퓨터(11)에 연결되어 있는 키보드(81)나 마우스(82)를 이용하여 'ctrl + c' 키를 입력할 수 없다.
그러나, 로봇 프로그램(85)이 게임을 진행하는 경우라면 로봇 프로그램(85)은 게임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조작하여 사용자 캐릭터에게 걸린 마법을 해제해 버린 후 게임을 계속 진행할 수 있다.
즉, 로봇 프로그램(85)은 사용자 컴퓨터(11)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므로 키보드(81)나 마우스(82)를 이용한 'ctrl + c' 키 입력이 잠겨 있다고 하더라도 해당 게임 명령어가 입력된 상태로 조작할 수 있다.
만일 로봇 프로그램(85)이 금지된 게임 명령어가 입력된 상태로 조작하여 마법을 해제하였다면, 이 사실과 그 이후에 로봇 프로그램이 진행한 게임 관련 정보가 게임 서버(15)로 전달되고, 이와 관련된 로그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되어 유지된다.
그러므로 단계 S71에서 소정의 게임 명령어 입력이 금지된 상태로 게임을 진행시킨 후 금지된 게임 명령어가 입력된 사실이 로그정보를 통해 밝혀지면 로봇 프로그램에 의해 게임이 진행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관리자가 각 사용자 캐릭터의 게임 내 행동을 일일이 감시하지 않더라도 로그 정보를 기초로 하여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불법적인 게임 플레이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로그 정보에 불법적인 게임 이용 상황이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으므로 로봇 프로그램 이용자에 대한 제재 근거가 명확해지기 때문에 불필요한 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요,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를 검출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
도 3과 도 4는 테스트 신호의 설명을 위한 예,
도 5는 정상적인 게임 클라이언트에서 테스트 신호가 적용되는 예,
도 6은 로봇 프로그램에 대해 테스트 신호가 적용되는 예,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를 검출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사용자 컴퓨터 12: 게임 클라이언트
13: 통신망 15: 게임 서버
16: 데이터베이스 17: 로그정보 관리 프로그램
18: 게임 관리자

Claims (6)

  1. 게임 서버가 테스트 신호(정상적인 게임 클라이언트라면 무시하게 되는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게임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게임 서버가 상기 테스트 신호의 전송과 그에 대응하여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액션 정보에 관련된 로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로그정보 관리 프로그램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로그 정보를 출력하여 게임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 검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는 유효한 게임 신호 중 소정 부분이 불완전한 상태로 구성되고,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불완전한 신호는 무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 검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는 해당 신호를 무시할 것을 지시하는 특수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상기 특수 코드가 포함된 신호는 무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 검출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정보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테스트 신호에 대응해서는 발생할 수 없는 사용자 액션이 나타난 로그 정보를 선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 검출 방법.
  5. 게임 서버가 게임 클라이언트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게임 명령어 입력이 금지된 상태로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게임 서버가 상기 소정의 게임 명령어 입력이 금지된 상태로 진행된 게임과 관련된 로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로그정보 관리 프로그램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로그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금지된 게임 명령어가 입력되었는지를 조사함으로써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 검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서버는 사용자 캐릭터의 게임 내 기능을 제한하는 형태로 게임을 진행하고, 상기 입력이 금지되는 소정의 게임 명령어는 상기 사용자 캐릭터의 게임 내 기능 제한을 해제하는 게임 명령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 검출 방법.
KR1020090105703A 2009-11-03 2009-11-03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 검출 방법 KR101610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703A KR101610065B1 (ko) 2009-11-03 2009-11-03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703A KR101610065B1 (ko) 2009-11-03 2009-11-03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936A true KR20110048936A (ko) 2011-05-12
KR101610065B1 KR101610065B1 (ko) 2016-04-08

Family

ID=44360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703A KR101610065B1 (ko) 2009-11-03 2009-11-03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0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4980A1 (en) * 2011-10-13 2013-04-18 Neop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account
WO2013100257A1 (ko) * 2011-12-30 2013-07-04 (주)네오위즈게임즈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게임 제공 서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4980A1 (en) * 2011-10-13 2013-04-18 Neop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account
JP2014534842A (ja) * 2011-10-13 2014-12-25 ネオ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異常アカウント検出装置及び方法
WO2013100257A1 (ko) * 2011-12-30 2013-07-04 (주)네오위즈게임즈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게임 제공 서버
KR101368676B1 (ko) * 2011-12-30 2014-03-03 (주)네오위즈게임즈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게임 제공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065B1 (ko) 2016-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4365B2 (en) Secure anti-cheat system
KR20150138340A (ko) 게임 데이터 수집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5453517B (zh) 游戏方法和系统
CA3040126C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online game
KR101237161B1 (ko) 온라인 게임의 비공개 봇 검출방법
KR20110048936A (ko)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 검출 방법
IL2759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games
US8388441B2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use of hack tool in online game
JP2016101395A (ja)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611170B1 (ko) 로봇 프로그램에 의한 게임 플레이 검출 방법
KR101155255B1 (ko) 온라인 게임 서비스에 있어서의 불량 유저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Joshi Cheating and virtual crimes in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games
US10780346B2 (en) Server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server apparatus, and program
KR102551096B1 (ko)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Turnbull Forensic investigation of the Nintendo Wii: A first glance
KR20120094671A (ko) 온라인 게임 서비스에 있어서의 불량 유저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39108A (ko) 온라인 게임 시스템의 불량 유저 모니터링 방법 및 온라인 게임 시스템을 위한 불량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US202203183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execution state
KR102006458B1 (ko) 게임 계정 조작 탐지 방법 및 장치
KR101699693B1 (ko) 온라인 게임에서 비정상적인 함수 호출을 탐지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387122B1 (ko) 아케이드 게임의 사용자 게임정보 저장 시스템 및 그 저장 방법
KR20120020610A (ko) 온라인 게임의 봇 프로그램 패턴 수집방법
KR20200055644A (ko) 게임 계정 조작 탐지 방법 및 장치
CN115335127A (zh) 用于反作弊检测的系统和方法
KR20220018835A (ko)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