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8378A -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또는 탄력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또는 탄력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8378A
KR20110048378A KR1020090105154A KR20090105154A KR20110048378A KR 20110048378 A KR20110048378 A KR 20110048378A KR 1020090105154 A KR1020090105154 A KR 1020090105154A KR 20090105154 A KR20090105154 A KR 20090105154A KR 20110048378 A KR20110048378 A KR 20110048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allus
cosmetic composition
skin
extr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4132B1 (ko
Inventor
최민희
안기웅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더페이스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페이스샵 filed Critical (주)더페이스샵
Priority to KR1020090105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132B1/ko
Publication of KR20110048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1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의 두 유효성분의 상승 작용에 의해 피부 주름과 탄력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보습력을 향상킨다.
함초 캘러스 추출물, 채널드랙 추출물,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화장료

Description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또는 탄력증진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licornia herbacea callus extracts and Pelvetia Canaliculata extracts for improving skin wrinkle or enhancing elasticity}
본 발명은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의 두 유효성분의 상승 작용에 의해 피부 주름과 탄력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보습력을 향상킨다.
피부의 노화는 크게 내인적 노화(Intrinsic aging)와 외인적 노화(Extrinsic aging)로 대별된다(Cosmetics & Toiletories, 111:31-37(1996)). 내인적 노화는 나이가 듦에 따라 피부의 생리적 기능이 점차 저하되어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노화 현상으로 임상학적으로 탄력이 감소하고, 피부결이 거칠어지며, 깊은 주름이 생기고 색소가 침착 되는 특징이 있다(Arch Dermatol., 130:87-95(1994)). 외인적 노화는 자외선,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및 스트레스 등의 외인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노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요인들에 의해 피부의 노화가 급속히 진행되며, 그 결과 피부 표면에 거친 주름이 생성되고 탄력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피부의 노화 기작을 규명하기 위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어 여러 가지 피부 노화의 원인들이 밝혀졌다. 피부가 온도의 변화, 습도의 저하 또는 바람 등에 의해 건조하게 되면 외부에 대한 방어벽으로서의 피부 생리 활성이 저하되어 노화가 촉진된다. 또한, 유해 활성산소종 또는 자유 라디칼에 피부가 노출되면 체내의 산화 작용에 의해 과산화 지질이 생성되고 피부를 구성하는 여러 단백질들의 변형을 유발하게 된다. 한편 피부 진피의 대부분(피부 전체 건조 중량의 약 70-80%)을 차지하는 콜라겐(Collagen)과 신축성이 큰 엘라스틴 (Elastin) 단백질은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단백질로 피부 진피층에서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조직의 결합력 및 탄력성 등에 관여한다(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21:610-613(1989)). 콜라겐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자외선에 노출이 많이 될수록 양적 감소를 보인다. 콜라겐은 형태와 구조적 특징에 따라서 분류되는데, 이들 중에서 가장 특징이 잘 알려진 것은 타입 I, II, III 그리고 IV이다. 콜라겐 타입 I과 III는 진피층의 세포간질의 구성성분을 이루고 콜라겐 타입 IV는 DEJ(Dermal Epidermal Junction)의 주요 구성물질이 된다. DEJ는 피부의 표피층과 진피층 사이에 위치하여 두 층간의 물질 투과와 수송을 조절해주며 인접한 피부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며 피부의 견고성을 유지시켜준다. 피부의 주요 구조적 성분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자연적 또는 외부 자극에 의해 구조가 변성되거나 생합성 량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피부 노화가 가속화된다. 또한 콜라게네이즈의 발현 량과 활성 역시 피부 노화를 가속화 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콜라겐 합성 촉진물질로 기존에 레티노인산(Retinoic acid), 표피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 형질전환성장인자; Cardinale G. et al., Adv. Enzymol., 41, p. 425, 1974),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JP8-231370), 베툴린산(Betulinic acid(JP8-208424)), 클로렐라 추출물(JP9-40523, JP10-36283, 섬유아세포 증식 촉진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표피성장인자는 상피세포, 내피세포 및 섬유아세포 세포증식의 강력한 촉진제로 작용하며, 상피세포 결손 시 상피세포의 이동과 증식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상처치유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레티놀은 콜라겐 합성과 분해억제에 매우 효과적이며 레티놀의 피부주름 개선 효과는 미국 특허 제4,603,146호 및 제4,877,805호 등에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레티노인산의 경우 불안정하고, 피부 적용 시 자극, 발적 등의 안정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으며, 클로렐라 추출물 등은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기능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기존의 콜라겐 합성능 촉진 물질보다 효과가 높은 새로운 콜라겐 합성 촉진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두 유효성분의 상승 작용에 의해 피부 주름과 탄력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보습력을 향상시키는 주름 개선 또는 탄력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보습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은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상기 함초 캘러스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1~20.0 중량%, 채널드랙 추출물은 0.01~20.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취, 또는 분무제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두 유효성분의 상승 작용에 의해 피부 주름과 탄력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보습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다.
본 발명은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두 유효성분의 상승 작용에 의해 피부 주름과 탄력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보습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함초(Salicornia herbacea)는 흔히 퉁퉁마디로도 불리며, 한국(서해안·울릉도)·일본·중국·인도·우수리강·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쌍 떡잎식물 중심자목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로 바닷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마디가 많고 두드러지며, 1-2번 갈라지고, 가지는 대생, 다육질이고, 비대하며, 짙은 녹색, 후에 붉은 색으로 변한다. 잎은 없다. 꽃은 녹색, 이삭화서, 가지 끝에 달린다. 마디 위에 마주 난 움푹 들어간 구멍 속에 2-3송이의 작은 꽃이 숨어 있다. 화피는 역원추형, 다육질로 통통하며, 꽃이 핀 후 자라서 열매를 둘러싼다. 수술은 1-2개, 자방은 난형, 암술대는 2개가 길게 나온다. 열매는 포과, 납작한 난형, 화피에 싸인다. 함초 염분에는 NaCl(염화나트륨) 96%와 미네랄 4%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 소금에 함유되어 있는 NaCl(염화나트륨)과 미네랄의 함량에 차이가 있으며, 특히 미네랄의 함량이 함초 염분에 더 많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바닷물을 증발시켜 결정체를 얻은 후 정제하여 만든 소금과는 달리 염생 식물인 함초가 바닷물의 염분을 삼투압 방식을 통해 흡수하여 생체에 저장하고, 함초 뿌리는 불순물을 걸러내고 순수한 NaCl(염화나트륨)과 바닷물에 있는 미네랄, 효소등을 흡수하여 사람의 신진대사 및 건강을 유지하는데 일반 소금에 비교할 수 없는 탁월한 성분으로 밝혀져 있다. 결과적으로 일반 소금과 함초의 염분에서 기능적 차이는 미네랄의 함량과 일반 소금에는 존재하지 않는 바닷물의 특별한 청정 효소까지 함초가 흡수하여 신체 신진대사에 도움을 주며, 그 외 일반 소금에서 볼 수 없는 많은 생리활성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생리활성 물질들은 고혈압, 당뇨, 심혈관 질환, 면역계 질환, 항암, 각종 염증, 천식, 기미, 주근깨 등 여러 가지 질병에 관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채널드랙(Pelvetia Canaliculata)은 프랑스 Brittany 해역에 서식하는 작은 모양의 갈조류로 조간대 상부의 암반에 뭉쳐난다. 몸은 5~15cm이고 직립한다. 식물체의 뿌리는 반상이고, 원기둥 모양의 줄기와 복차상으로 갈라지는 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가지는 상부로 갈수록 약간 납작하고 가지 끝부분이 불룩해져서 기포를 이룬다. 만조 때는 바닷물에 잠기고 간조 때는 공기에 드러나는 조간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자외선에 대한 내성이 강하고, 급격한 온도변화 및 염분 농도변화에 의한 탈수에도 강한 저항성을 나타낸다. 봄철(매년 1~2월) 에는 포자 번식을 위한 임신(Pregnant) 상태가 되어 Growth factors, Isoflavone, 천연 모유성분인 Fucose를 다량함유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성 호르몬 전구물질인 DHEA(Dehydroepiandrosterone) 유사효능을 발휘하여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을 활성화시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면역력을 증가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캘러스는 정상적인 기관형성이나 조직분화를 일으키는 능력을 잃은 무정형의 조직 또는 세포 덩어리로서 대부분 유세포로 되어있으며, 식물체에서 잘라낸 조직을 다양한 배지, 바람직하게는 옥신(Auxin) 또는 사이토키닌(Cytokinin)을 함유한 배지에서 배양하거나 식물체에 상처를 내거나 또는 식물체의 상구를 옥신으로 처리하였을 때 생긴다. 캘러스는 식물세포 배양, 특히 조직배양을 통하여 잎, 줄기, 뿌리, 근경, 열매, 씨앗 등 식물의 어느 부분에서도 유도될 수 있으며, 계대배양에 의해 계속해서 만들어 낼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캘러스의 유도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물의 조직 또는 이의 절편체를 조직배양용 배지에서 배양한다. 바람직하게는 배지로는 MS (Murashige & Skoog) 배지, WHITE 배지, B5 배지, R2 배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 때 식물의 종(Species), 식물체의 나이, 배양기관의 종류와 그의 숙도 등을 고려하여 배양하고자 하는 식물에 적합한 배지를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배지에 생장조절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장조절제는, 공지된 다양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IAA(3-Indoleacetic acid), IAld (3-Indoleacetaldehyde), IPA(3-Indolepyruvic acid), IAN(3-Indoleacetonitrile), IAE(Ethyl ester of indoleacetic acid)와 같은 옥신(Auxin) 및 그의 유도체(예: 2,4-D(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NAA(Naphthaleneacetic acid)) 및 키네틴(Kinetin), BA(Benzoic acid), CPPU(N-(2-chloro-4-pyridyl)-N'-phenylurea)와 같은 사이토키닌(Cytokinin) 및 그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세포의 분화 및 증식에 작용하는 천연 추출물 등을 배지에 추가로 첨가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캘러스 유도 및 배양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식물체의 조직 일부를 분리하여 소독한 후 탄수화물이나 아미노산과 같은 유기 성분, 질소, 인산, 칼륨과 같은 무기 양분 및 옥신과 같은 식물 호르몬을 함유한 한천 배지에서 배양한다. 얼마 후에 이 조직의 세포가 세포 분열을 하여 세포의 덩어리인 캘러스가 생기면, 배지로부터 캘러스를 분리하여 신선한 고체 배지 위에 치상한다. 이 후, 일정기간 간격으로 계대 배양한다. 대량 생산을 위해 상기 배양된 캘러스를 아가만 제외한 동일한 조성의 액체 배지에서 배양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함초 캘러스 및 채널드랙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또는 (g)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생약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화장수, 에센스, 크림, 팩, 젤, 로션, 연고, 패치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형에 있어서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혼합물의 함량은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기대하기가 힘들며, 20 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함초 캘러스의 제조
함초 뿌리를 멸균 처리한 후, 약 1cm 길이로 절단하였다. 0.5mg/L 농도의 2,4-D(2,4-Dichlorophenoxy acetic acid)와 0.1mg/L 농도의 Kinetin이 첨가되어 있는 MS 배지(Sigma 사) 위에 치상하였다. 약 2주 후에 무정형의 캘러스 조직이 유도되면, 이를 별도로 분리하여 신선한 고체배지 위에 치상하고, 일정기간 간격으로 계대배양 하였다. 이 후, 한천을 제외한 동일한 조성의 액체 배지에서 25℃, 35일 간 배양하여 대량 생산하였다.
[제조예 2]함초 캘러스 추출물의 제조
대량 생산한 함초 캘러스 50g을 취하여 정제수 200ml에 침지시켜 50℃ 수욕조에서 10시간 동안 온탕 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취하였다. 질소를 사용하여 여과액에서 수분을 증발시켜 농축한 다음, 이를 정제수에 녹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채널드랙 추출물의 제조
정제수에 침지시켜 염분을 제거한 후 채널드랙 50g을 파쇄기에 곱게 파쇄하여 1.0%의 제2 인산칼륨용액 500~1000mL을 첨가하여 40~50℃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겔상태의 알긴을 얻는다. 알긴 분해효소(Alginate lyase)를 이용하여 가수분해한 후 건조하여 알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 후, 알긴을 추출한 나머지 고형분에 2.5~3.5배의 에칠알코올을 첨가하여 3시간 교반한 후 6~8배의 물을 첨가하고 55~65℃의 온도에서 9~11시간 분해한 후 기름종이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었다. 질소를 사용하여 여과액에서 수분을 증발시켜 농축하여 비알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알긴 추출물과 비알긴 추출물을 1:1로 정제수에 녹여 채널드랙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한국세포주은행)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96-well microplate)의 각 웰에 2 x 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시그마 사) 배지에서 37℃,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 상기 제조한 함초 캘러스 추출물, 채널드랙 추출물, 함초 캘러스와 채널드랙 추출물을 1:1로 혼합한 추출물이 0.2, 0.5, 1.0% 농도로 포함된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실험군과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대조군을 48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프로콜라겐(Procollagen) 타입 I C-펩타이드 (PICP) 양을 키트(Takara, 일본국)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새로 합성된 콜라겐 양을 측정하였다. PICP 양은 ng/2x104 세포로 환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농도(%)
콜라겐 합성 량 (ng/2 x 104)
함초 캘러스 추출물 채널드랙 추출물 함초 캘러스+채널드랙 추출물
0.2 105 109 125
0.5 118 124 152
1.0 137 150 243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콜라겐의 합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고, 특히 함초 캘러스와 채널드랙을 함께 사용하였을 경우에 1.0% 농도에서 콜라겐 생합성 양이 함초 캘러스 추출물 단독 사용보다 1.8배, 채널드랙 추출물 단독 사용보다는 1.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같이 썼을 때 탁월한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제조예 4]실시예 및 비교예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다음 표와 같은 조성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바셀린 7.0 7.0 7.0 7.0
유동파라핀 5.0 5.0 5.0 5.0
밀납 2.0 2.0 2.0 2.0
폴리솔베이트-60 2.0 2.0 2.0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2.5 2.5 2.5
스쿠알란 3.0 3.0 3.0 3.0
프로필렌글리콜 6.0 6.0 6.0 6.0
글리세린 4.0 4.0 4.0 4.0
트리에탄올아민 0.5 0.5 0.5 0.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0.5 0.5 0.5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1 0.1 0.1 0.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함초캘러스추출물 1.0 2.0 - -
채널드랙추출물 1.0 - 2.0 -
향,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실험예 2]보습 효과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각 화장료의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 화장료가 도포된 피부를 대상으로 하여 수분 보유능 및 수분 증발량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실험예 2-1: 수분 보유능의 측정
22℃ 및 상대습도 45%의 항온 항습실에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각 화장료를 30명의 피시험자 하박 안쪽에 일정량 (0.03g/16㎠)을 도포하고, 도포 전, 도포 1시간 후 및 도포 2시간 후의 피부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정상 피부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측정 기기는 피부의 수분 함량에 따른 피부의 전기 용량을 측정하여 보습력을 측정하는 수분 함량측정기(Corneometer CM825, Courage + Khazaka사, 독일연방국)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나 있다.
구 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대조군
도포 전 피부 전기전도도 50 50 50 50 50
도포 1시간 후 피부 전기전도도 88 65 74 59 50
도포 2시간 후 피부 전기전도도 80 60 68 53 50
실험예 2-2: 수분 증발량의 측정
팔의 상박 부위에 테이프 스트리핑 (Tape stripping)을 실시하여 피부의 방어막을 약화시킨 후, 실험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실험자에게 각 화장료를 도포한 후, 수분증발량기(Tewameter TM300, Courage + Khazaka사, 독일연방국)를 이용하여 12 시간마다 1분 간격으로 5회씩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구  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대조군(%)
0시간 후 수분 증발량 100 100.0 100 100 100.0
12시간 후 수분 증발량 73.5 90.1 83.5 92.8 93.4
24시간 후 수분 증발량 54.9 78.5 70.0 84.1 86.3
36시간 후 수분 증발량 35.7 68.8 58.1 77.5 79.0
48시간 후 수분 증발량 25.1 59.7 45.9 68.0 72.4
상기 실험예 2-1 및 2-2의 결과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모두 함유하는 실시예 화장료가 각각을 함유한 비교 예 1, 2의 화장료에 비해서 피부의 전기 전도도가 높고, 적은 수분 손실 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동시에 사용하였을 경우에 뛰어난 피부 보습 상승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피부주름 개선 효과
본 발명의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건강한 35세에서 50세의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네 그룹으로 나누고, A 그룹에는 실시예를, B 그룹에는 비교예 1를, C 그룹에는 비교예 2를, D 그룹에는 비교예 3의 제형을 눈가를 중심으로 하루 2회씩 (아침 및 저녁) 3개월간 도포하였다. 3개월 후 주름의 개선 정도를 피험자의 설문 및 주름의 영상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피험자의 설문은 사용전과 비교하여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4단계로 판단하였으며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주름의 영상분석에 의한 평가는 실험이 시작되기 전 눈 밑의 레플리카를 채취하고 실험이 종료된 직후의 레플리카를 눈 밑의 동일 부위에서 채취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주름의 2차원적 분석으로 주름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영상분석에 의한 주름 밀도의 측정 결과는 사용 전에 대한 주름 밀도에 대한 감소율로 표 6에 나타내었다.
시료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
실시예 1 - 3 3 4
비교예 1 1 4 3 2
비교예 2 2 4 3 1
비교예 3 9 1 - -
시료 주름 밀도 감소율 (%)
실시예 1 35.3
비교예 1 15.4
비교예 2 13.1
비교예 3 1.8
표 5, 6의 결과에서와 같이,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동시에 함유한 실시예가 각각을 따로 사용한 비교예 1, 2 보다 더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4]피부탄력효과
본 발명의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탄력 증진효과를 측정하였다. 20세 이상의 건강한 여성 40명(평균연령 37세)을 네 그룹으로 나누고, A 그룹에는 실시예를, B 그룹에는 비교예 1를, C 그룹에는 비교예 2를, D 그룹에는 비교예 3의 제형을 눈가를 중심으로 하루 2회씩(아침 및 저녁) 12주간 도포한 후, 피부탄력 측정기(Cutometer MPA580, Courage + Khazaka사, 독일연방국)를 이용하여 온도 24-26℃, 습도 75의 조건에서 피부탄력을 측정하였다. 시험결과는 cutometer MPA580의 R5(R5(12주)-R5(0주)) 값으로 기재하였는데, R5 값은 순수탄성도 (Net elasticity)의 성질을 나타내며, 1에 가까울수록 탄력도가 우수함을 나타낸다. 결과는 하기 표 7에 기재되어 있다.
실험 제형 피부탄력효과
실시예 0.15
비교예 1 0.07
비교예 2 0.06
비교예 3 0.01
표 7의 결과에서와 같이,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동시에 함유한 실시예의 피부탄력 효과가 각각을 사용했을 때 보다 약 2배 이상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제형의 안정성 시험
상기 본 발명의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에 대한 안정성 시험을 하기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화장료의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3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하고 또한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한 후, 변색 및 변취, 분리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3에 정리되어 있다. 이 때 제품 변색 및 변취, 분리 정도를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0: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조금 분리(변색); 3: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4: 심하게 분리(변색); 및 5: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구 분 제형의 안정성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45℃ 4℃ 45℃ 4℃ 45℃ 4℃ 45℃ 4℃
변색 0 0 0 0 0 0 0 0
변취 0 0 0 0 0 0 0 0
분리 0 0 0 0 0 0 0 0
표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와 비교예 1~3은 45℃에서 변색이나 변취, 분리 현상이 거의 없이 안정하였고 이는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이 제형내에서 안정한 상태로 존재함을 나타낸다.
이하 상기한 실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의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하기의 제형예들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함초 캘러스 추출물 0.5
채널드랙 추출물 0.5
1.3-부틸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올레일알코올 0.1
폴리솔베이트 20 0.5
에탄올 15.0
벤조페논-9 0.05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함초 캘러스 추출물 1.0
채널드랙 추출물 1.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1.2
토코페닐아세테이트 3.0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3.0
마카다이아너트오일 2.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1.0
비에치티이 0.01
EDTA-2Na 0.01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3. 영양크림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함초 캘러스 추출물 2.0
채널드랙 추출물 2.0
세토스테아릴알콜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트리옥타노인 5.0
폴리솔베이트 60 1.2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스쿠알란 5.0
유동 파라핀 3.0
싸이클로메치콘 3.0
비에이치티이 0.05
델타-토코페롤 0.2
농글리세린 4.0
1,3-부틸렌글리콜 2.0
산타검 0.1
EDTA-2Na 0.05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4. 마사지크림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사지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함초 캘러스 추출물 0.5
채널드랙 추출물 0.5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0.5
밀납 2.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폴리솔베이트 60 3.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세테아릴알코올 2.0
유동파라핀 3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5. 팩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함초 캘러스 추출물 1.0
채널드랙 추출물 1.0
프로필렌글리콜 2.0
글리세린 4.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3
에탄올 7.0
피이지-40 히드로게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0.8
트리에탄올아민 0.3
비에치티이 0.01
EDTA-2Na 0.01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Claims (5)

  1.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3.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함초 캘러스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1~20.0 중량%, 채널드랙 추출물은 0.01~20.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취, 또는 분무제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105154A 2009-11-02 2009-11-02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또는 탄력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74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154A KR101074132B1 (ko) 2009-11-02 2009-11-02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또는 탄력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154A KR101074132B1 (ko) 2009-11-02 2009-11-02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또는 탄력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378A true KR20110048378A (ko) 2011-05-11
KR101074132B1 KR101074132B1 (ko) 2011-10-17

Family

ID=4423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154A KR101074132B1 (ko) 2009-11-02 2009-11-02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또는 탄력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1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90575A1 (en) 2018-03-23 2019-09-26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2261115B1 (ko) 2020-12-04 2021-06-04 주식회사 네오캠코리아 함초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가시오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3161415A1 (en) * 2022-02-28 2023-08-31 Merck Patent Gmbh Cosmetic use of a composition comprising an aqueous seaweed extract of pelvetia canaliculata for increasing gloss of ski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181B1 (ko) 2006-09-27 2007-10-04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태 추출물을 이용한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90575A1 (en) 2018-03-23 2019-09-26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11701322B2 (en) 2018-03-23 2023-07-18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2261115B1 (ko) 2020-12-04 2021-06-04 주식회사 네오캠코리아 함초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가시오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3161415A1 (en) * 2022-02-28 2023-08-31 Merck Patent Gmbh Cosmetic use of a composition comprising an aqueous seaweed extract of pelvetia canaliculata for increasing gloss of sk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4132B1 (ko) 201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101651321B1 (ko) 알로에 베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1124971B1 (ko) 함초캘러스 추출물 및 라미나리아 디지타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또는 피부탄력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53186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20150064515A (ko)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78594B1 (ko) 하수오 추출물, 대추 추출물 및 황촉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74132B1 (ko) 함초 캘러스 추출물과 채널드랙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또는 탄력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4158A (ko) 아쿠아포닉스 재배기술을 이용한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4858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0802A (ko) 팔미토일올리고펩타이드와 두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2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03654B1 (ko) 하고초 추출물과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3500A (ko) 노루오줌 추출물
KR20160021371A (ko) 수선화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염 및 항노화 효과를 지닌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93923B1 (ko) 잘피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염 및 항노화 효과를 지닌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04463A (ko)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89793A (ko) 화장료 조성물
KR101619710B1 (ko) 튤립나무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90105225A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9201A (ko) 황칠나무 수액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93223A (ko) 소엽맥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8084A (ko) 두충 추출물과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130050173A (ko) 맹그로브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14344B1 (ko)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