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8095A -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 - Google Patents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8095A
KR20110048095A KR1020090104761A KR20090104761A KR20110048095A KR 20110048095 A KR20110048095 A KR 20110048095A KR 1020090104761 A KR1020090104761 A KR 1020090104761A KR 20090104761 A KR20090104761 A KR 20090104761A KR 20110048095 A KR20110048095 A KR 20110048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 block
band
block nut
flange portion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식
Original Assignee
신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식 filed Critical 신경식
Priority to KR1020090104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8095A/ko
Publication of KR20110048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 F16L21/005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made of elastic material, e.g. partly or completely surrounded by clam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 설비기관 및 건축물 등에서 호스나 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호스 연결용 클램프이다. 특히, 호스나 관을 연결함에 있어서, 플렌지부에 내장되는 스톱블럭너트가 스크류볼트를 빼어 체결하려고 할 때, 중력에 의해서 플렌지부의 간격에서 빠져나가 이를 다시 주워 내장시키는 번거로운 작업을 차단하고자, 상기 스톱블럭너트를 간격에서 압박하는 압점을 형성하고; 상기 스톱블럭너트가 작업과정에서 돌아가 상기 스크류볼트를 관통시키기 어려운 각도로 스크류공이 회전하게 되면 이를 보정하기 쉽도록 플렌지부와 스톱블럭너트에 표시선과 대응표시선을 형성시킨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스크류볼트, 스톱블럭너트, 플렌지부, 조임밴드, 클램프, 밴드조임부

Description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clamp for easy to assembling}
본 발명은 기계, 설비기관 및 건축물 등에서 호스나 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호스 연결용 클램프이다. 특히, 호스나 관을 연결함에 있어서, 플렌지부에 내장되는 스톱블럭너트가 스크류볼트를 빼어 체결하려고 할 때, 중력에 의해서 플렌지부의 간격에서 빠져나가 이를 다시 주워 내장시키는 번거로운 작업을 차단하고자, 상기 스톱블럭너트를 간격에서 압박하는 압점을 형성하고; 상기 스톱블럭너트가 작업과정에서 돌아가 상기 스크류볼트를 관통시키기 어려운 각도로 스크류공이 회전하게 되면 이를 보정하기 쉽도록 플렌지부와 스톱블럭너트에 표시선과 대응표시선을 형성시킨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램프는 다양한 기구나 기계 및 조립구성물품들을 조립하여 체결하고자 마련된 도구이다. 그런데 이러한 클램프 중 본 발명과 같은 클램프는 대체적으로 호스와 호스를 연결하고 그 연결부위의 외주면을 견고하게 조여 체결시키기 위한 도구이다. 이 클램프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는데, 각종의 기계에 형성되는 호스의 연결과, 건축물과 수리시설 등의 호스간 연결에도 사용이 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클램프는 많은 문제점을 낳고 있다. 즉, 본 발명인 도시된 도 1 내지 6에서와 같은 클램프는 사실상 종래에도 존재했었다. 그런데 종래의 클램프는 도시된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그 플렌지부를 형성하는 간격(21)이 내장되는 스톱블럭너트(30)에 비하여 넓기에 스크류볼트(40)를 해체하게 되면, 상기 간격(21)에서 스톱블럭너트(30)가 빠져나와 바닥에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원통형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상기 스톱블럭너트(30)는 일단 바닥으로 구르게 되면 이를 찾기 위해서 상당한 수고를 해야만 한다. 사실상 작업을 하기 위해서 사다리 등에 올라가 작업을 하다가, 상기 스크류볼트(40)를 빼어 클램프(100)를 체결하기 위한 과정에서 스톱블럭너트(30)가 빠져 지면으로 떨어지면, 이를 찾기 위해서 사다리를 내려와야만 하는 것이다.
또한 작은 스톱블럭너트(3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기에 지면에서 잘 구르는 성질이 있기에 좁은 틈으로 굴러 들어가면 이를 찾기가 수고스러운 작업을 방불케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계, 설비기관 및 건축물 등에서 호스나 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호스 연결용 클램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호스나 관을 연결함에 있어서, 플렌지부에 내장되는 스톱블럭너트가 스크류볼트를 빼어 체결하려고 할 때, 중력에 의해서 플렌지부의 간격에서 빠져나가 이를 다시 주워 내장시키는 번거로운 작업을 차단하고자, 상기 스톱블럭너트를 간격에서 압박하는 압점을 형성하고; 상기 스톱블럭너트가 작업과정에서 돌아가 상기 스크류볼트를 관통시키기 어려운 각도로 스크류공이 회전하게 되면 이를 보정하기 쉽도록 플렌지부와 스톱블럭너트에 표시선과 대응표시선을 형성시킨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는, 몸체의 외곽부로 일측방향 또는 양방향에서 스크류볼트(40)를 조여 플렌지부(20)의 간격을 좁히는 방식으로, 내측 조임밴드(11)를 호스(1)의 외주면에 밀착, 견고히 체결을 달성하는 호스(1) 등의 연결을 위한 클램프(100)에 있어서, 외주면 일측방향 또는 양방향에 쌍으로 형성하되, 조임밴드(11)를 겹으로 절곡하여 그 사이 간격(21)에 각각 원형 단면의 스톱블럭너트(30)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측면으로 스크류볼트(40)의 관통 플렌지공(28)이 형성되는 밴드끝단 플렌지부(20)와; 상기 밴드끝단 플렌지부(20)의 사 이 간격에 삽입된 스톱블럭너트(30)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밴드끝단 플렌지부(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펀칭 압점(25)이; 결합하되, 상기 조임밴드(11)를 절곡하여 플렌지부(20)와 밴드조임부(10)를 형성하고, 상기 플렌지부(20)의 사이 간격(21)에 끼워진 스톱블럭너트(30)가 압점(25)에 의해서 빠지지 않도록 하고, 플렌지공(28)과 스크류공(41)을 관통한 스크류볼트(40)로 죄어 간격을 좁히며 밴드조임부(10)의 내주면에 끼인 호스(1)를 강하게 조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에 따른, 상기 압점(25)은, 밴드끝단 플렌지부(20)의 상방향, 하방향 또는 상하방향에 선택적으로 채택하되 각각 1 내지 4개씩을 형성시키고 : 상기 밴드끝단 플렌지부(20)를 이루는 조임밴드(11)의 상하면에 스톱블럭너트(30)의 정확한 안착점을 확인시키는 표시선(50)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스톱블럭너트(30)의 상하면에도 대응표시선(60)을 형성하되, 상기 표시선(50)의 형성위치 설정은 스톱블럭너트(30)에 형성되는 관통 스크류공(41)에 정확하게 스크류볼트(40)가 관통될 수 있는 각도를 표식하는 방식이며 : 상기 표시선(50)과 대응표시선(60)은, 조임밴드(11)의 상하면에 펀칭 또는 페인팅의 방식으로 표식을 형성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에 따른, 상기 스톱블럭너트(30)는, 스톱블럭너트(30)의 상하면에 드라이버로 돌릴 수 있도록 "1자" 또는 "+자" 형상의 홈(36)을 구성하고 : 상기 대응표시선(60)은 스톱블럭너트(30)에 형성되는 "1자" 또는 "+자"의 홈(36)으로 적용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종래 클램프에서 발생되어 온 문제점인, 체결시 스톱블럭너트가 빠져 이를 다시 찾아 끼우고 작업을 해야만 하는 점을 해결하여, 작업과 조립이 간편해 졌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스톱블럭너트가 플렌지부에서 돌아갔을 경우에, 이를 맞추기 위해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만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단순하게 표시선과 대응표시선을 일치시키는 작업으로 스크류볼트를 용이하게 관통시킬 수 있게 하여 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종래 사용되어 온 클램프를 그대로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조립성을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활용가능성과 효과의 현저성이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몸체의 외곽부로 일측방향 또는 양방향에서 스크류볼트(40)를 조여 플렌지부(20)의 간격을 좁히는 방식으로, 내측 조임밴드(11)를 호스(1)의 외주면에 밀착, 견고히 체결을 달성하는 호스(1) 등의 연결을 위한 클램프(100)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된 도 1 내지 도 6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외주면 일측방향 또는 양방향에 쌍으로 형성하되, 조임밴드(11)를 겹으로 절곡하여 그 사이 간격(21)에 각각 원형 단면의 스톱블럭너트(30)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측면으로 스크류볼트(40)의 관통 플렌지공(28)이 형성되는 밴드끝단 플렌지부(20)가 있고, 상기 밴드끝단 플렌지부(20)의 사이 간격(21)에 삽입된 스톱블럭너트(30)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밴드끝단 플렌지부(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펀칭 압점(25)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되, 상기 조임밴드(11)를 절곡하여 플렌지부(20)와 밴드조임부(10)를 형성하고, 상기 플렌지부(20)의 사이 간격(21)에 끼워진 스톱블럭너트(30)가 압점(25)에 의해서 빠지지 않도록 하고, 플렌지공(28)과 스크류공(41)을 관통한 스크류볼트(40)로 쌍의 스톱블럭너트(30)를 죄어 간격을 좁히며 밴드조임부(10)의 내주면에 끼인 호스(1)를 강하게 조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것처럼 금속이나 특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상기 조임밴드(11)를 접어 플렌지부(20)와 밴드조임부(10) 부위를 일체로 제작한다. 물론 도시된 도 1에서처럼, 하나의 조임밴드(11) 만을 이용하여 플렌지부(20)와 밴드조임부(10)를 형성하는 방식이 있고, 도 2에서처럼 2개의 조임밴드(11)를 이용하여 2개의 플렌지부(20)와 하나의 밴드조임부(10)를 형성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클램프(100)는 상기 플렌지부(20)에 체결된 스크류볼트(40)를 회전시키게되면, 상기 스크류볼트(40)가 상기 스톱블럭너트(30)의 스크류공(41)을 관통하여 서로 스톱블럭너트(30) 간의 간격을 좁히면서, 조임밴드(11)의 몸체 부분인 밴드조임부(10)를 이용하여 내측의 호스(1)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클램프 작용을 한다. 이때 도 1과 같이 상기 하나의 플렌지부(20)를 가진 형태의 클램프(100)는 단 하나의 스크류볼트(40)를 조여 클램핑 작용을 완성하는 형태의 것이고, 도 2와 같이 플렌지부(20)가 형성된 것은 좌우 양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렌지부(20)의 스크류볼트(40)를 조이는 방식으로 체결을 완성한다.
바로 본 발명은 이러한 2가지 형태의 클램프(100)에 모두 적용되어 사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클램프(100)는 그 플렌지부(20)에 원통형의 스톱블럭너트(30)를 내장하게 된다. 플렌지부(20)를 형성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조임밴드(11)를 절곡하여 서로 겹치게 형성하고, 그 겹친 끝단에 일정한 간격(21)이 형성될 수 있게 하고, 이 간격(21)을 플렌지부(20)로 활용하는 것이다. 상기 끝단 플렌지부(20)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플렌지공(28)이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공(28)과 삽입되는 스톱블럭너트(30)의 관통 스크류공(41)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톱블럭너트(30)의 일측 스크류공(41)에 스크류볼트(40)를 끼우고 타측 스톱블럭너트(30)에 형성된 스크류공(41)에 스크류 체결을 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좌우 양쪽의 스톱블럭너트(30)가 스크류볼트(40)에 의해 조여지면 조여질수록 그 간격을 좁히며, 밀착되고, 그 작용에 의해서 상기 조임밴드(11)는 간격을 좁히면서 내부의 호스(1)를 가압하여 강하게 클램핑하는 것 이다.
이러한 작업을 할 때, 반드시 해야만 하는 선 조건 작업으로는 호스(1)의 외주면에 본 발명의 클램프(100)를 끼우는 작업을 해야만 하는데, 그 작업을 위해서는 스크류볼트(40)를 빼내어 클램프(100)의 조임밴드(11)를 호스(1)의 외주면에 감싸야만 한다. 바로 이 작업을 함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볼트(40)를 빼내는 작업을 하는 동안에 종래의 클램프(100)는 상기 스톱블럭너트(30)가 빠져서 작업을 중단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비일비재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클램프부(20)의 일측에 가압된 압점(25)을 형성하여 상기 크램프부(20)의 간격(21) 내주면을 돌출시키고 있다.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자면, 도시된 도 4에서처럼, 클램프부(20)를 형성하는 조임밴드(11)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간격(21)의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펀칭 압점(25)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압점(25)은 간격(21)의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삽입되는 스톱블럭너트(3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스톱블럭너트(30)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압점(25)은 스톱블럭너트(30)의 외주면에 마찰을 가하고, 상기 스톱블럭너트(30)가 억지 끼움의 방식으로 견고히 처음의 위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작용에 따라, 상기 스톱블럭너트(30)는 스크류볼트(40)를 해체하는 과정에서도 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한 것이다.
그럼 이러한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서 상세한 구성과 그 작용을 살펴본다.
상기 압점(25)은, 밴드 끝단 플렌지부(20)의 상방향, 하방향 또는 상하방향에 선택적으로 채택하되 각각 1 내지 4개씩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실례로 도시된 도 4에는 상기 밴드 끝단 플렌지부(20) 중 상, 하 방향에 모두 각각 2개씩의 압점(25)을 형성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형태는 다양하게 확대가 가능하다. 즉, 전술된 것처럼 상 방향에만 형성시켜도 무방하고, 하 방향에만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 압점의 형성의 갯수도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중요하게는 상기 플렌지부(20)의 간격(21)에 내장되는 스톱블럭너트(30)가 빠지지 않는 마찰과 가압을 가져올 수 있는 어떠한 다른 방식의 실시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밴드끝단 플렌지부(20)를 이루는 조임밴드(11)의 상하면에 스톱블럭너트(30)의 정확한 안착점을 확인시키는 표시선(50)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스톱블럭너트(30)의 상하면에도 대응표시선(60)을 형성하되, 상기 표시선(50)의 형성위치 설정은 스톱블럭너트(30)에 형성되는 관통 스크류공(41)에 정확하게 스크류볼트(40)가 관통될 수 있는 각도를 표식하는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스톱블럭너트(30)는 일단 간격(21)의 내부에 삽입되면, 처음의 삽입위치를 고수하기 유리하다. 압점(25)에 의해 견고히 간격(21)에 가압되어 위치 확보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위치가 작업자의 실수나 어떠한 충격에 의해서 회전하게 되면, 스크류볼트(40)를 체결하기 힘든 경우가 발생될 소지가 많다. 다시 설명하자면, 상기 클램프(100)를 형성하는 플렌지부(20)는 도시된 도 4에서처럼 그 측면으로 스크류볼트(40)가 관통될 플렌지공(41)이 좌우 방향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그 플렌지부(20)의 간격(21) 사이에 끼워질 스톱블럭너트(30)의 외주면에도 관통된 스크류공(41)이 형성된다. 양자는 모두 연통된 상태를 유지해야만 된다. 이유는 상기 플렌지공(28)과 스크류공(41)에 모두 스크류볼트(40)가 끼워져 관통되어야만 하고, 좌우 쌍으로 형성되는 플렌지부(20)에 삽입되는 2개의 스톱블럭너트(30)를 모두 관통 체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도 4 (a)에서처럼, 이러한 스톱블럭너트(30)가 회전하여 플렌지공(28)과 스톱블럭너트(30)에 형성된 스크류공(41)이 연통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 스크류볼트(40)가 관통할 수 없기에 그러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스톱블럭너트(30)를 회전시켜 자신의 스크류공(41)이 플렌지부(20)의 플렌지공(28)에 연통될 수 있는 각도로 재 위치시켜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플렌지부(20)를 형성하는 조임밴드(11)의 상하에 일정한 형태의 표시선(50)을 형성한다.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표시선(50)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대응표시선(60)을 스톱블럭너트(30)의 상하면에 형성하여 상기 표시선(50)에 상기 대응표시선(60)이 일치할 수 있도록 위치 확인하는 것이다{도 4 (b)에 도시}. 작업자는 클램프(100)를 스크류볼트(40)로 결합하기 전에 상기 스톱블럭너트(30)의 상하면에 표시된 대응표시선(60)이 플렌지부(20)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표시선(50)과 일치할 경우에만 스크류볼트(40)를 끼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표시선(50)과 대응표시선(60)의 위치설정은 스톱블럭너트(30)의 외주면을 관통한 스크류공(41)이 삽입될 스크류볼트(40)의 완벽한 관통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선정하여 제작시 형성해야만 한다. 상기 표시선(50)과 대응표시선(60)의 위치는 클램프(10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어떠한 각도에 표시해도 무방하지만, 중요한 점은 그 표시된 각도에 표시선(50)과 대응표시선(60)을 일치시킨 경우에는 관통되는 스크류볼트(4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벌어져 삽입된 스톱블럭너트(30)의 스크류공(41)을 완벽하게 관통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표시선(50)과 대응표시선(60)은, 조임밴드(11)의 상하면에 펀칭 또는 페인팅의 방식으로 표식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도 1에는 표시선은 펀칭으로 대응표시선(60)은 페인팅이나 펜으로 체크를 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표시선(50)은 펀칭으로 대응표시선(60)은 홈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본 발명은 이렇게 표시선(50)과 대응표시선(60)을 형성하는 것이 더 중요하지, 그 실시된 방식은 중요하지 않다.
다음으로 상기 스톱블럭너트(30)는, 스톱블럭너트(30)의 상하면에 드라이버로 돌릴 수 있도록 "1자" 또는 "+자" 형상의 홈(36)을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톱블럭너트(30)는 그 압점(25)에 의해서 위치가 가압되어 사실상 잘 돌아가지 않는다. 플렌지부(20)의 폭과 스톱블럭너트(30)의 높이는 대체적으로 동일하게 유지시켜 생산되기에 작업자가 손가락의 악력을 이용하여 상기 스톱블럭너트(30)를 회전시키기는 그리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스톱블럭너트(30)가 플렌지부(20)의 간격(21)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때, 스톱블럭너트(30)의 상하면에 드라이버 홈을 통해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작업자는 클램프(100)에 스크류볼트(40)를 체결할 때, 상기 스톱블럭너트(30)가 회전하여 표시선(50)과 대응표시선(60)이 일치하는 않은 위치에 있게 되면{도 4의 (a)에 도시}, 드라이버를 상기 "1자" 또는 "+자" 형상의 홈(36)에 끼워 상기 스톱블럭너트(30)를 회전시켜 도시된 도 4의 (b)에서처럼, 표시선(50)과 대응표시선(60)이 일치하는 정 위치를 확보하고 클램핑하면 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상기 대응표시선(60)은 스톱블럭너트(30)에 형성되는 "1자" 또는 "+자"의 홈(36)으로 적용한다. 별도의 대응표시선(60)을 스톱블럭너트(30)의 상하면에 형성시키는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지만, 상기 "1자" 또는 "+자" 의 홈(36)을 대응표시선(60)으로 인식하고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작업자가 이미 클램프(100)의 작동방식을 인지하고, 상기 대응표시선(60)인 "1자" 또는 "+자"의 홈(36)를 회전시켜 표시선(50)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 작업을 하면 되는 것이다.
즉, 대응표시선(60)을 사실상 "1자" 또는 "+자"의 홈(36)으로 적용해도 무방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클램프에 대한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클램프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클램프를 결합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클램프의 요부 결합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클램프에서 스톱블럭너트의 체결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클램프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호스 10; 밴드조임부
11; 조임밴드 20; 플렌지부
21; 간격 25; 압점
28; 플렌지공 30; 스톱블럭너트
36; 홈 40; 스크류볼트
41; 스크류공 50; 표시선
60; 대응표시선

Claims (5)

  1. 몸체의 외곽부로 일측방향 또는 양방향에서 스크류볼트(40)를 조여 플렌지부(20)의 간격을 좁히는 방식으로, 내측 조임밴드(11)를 호스(1)의 외주면에 밀착, 견고히 체결을 달성하는 호스(1) 등의 연결을 위한 클램프(100)에 있어서,
    외주면 일측방향 또는 양방향에 쌍으로 형성하되, 조임밴드(11)를 겹으로 절곡하여 그 사이 간격(21)에 각각 원형 단면의 스톱블럭너트(30)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측면으로 스크류볼트(40)의 관통 플렌지공(28)이 형성되는 밴드끝단 플렌지부(20)와;
    상기 밴드끝단 플렌지부(20)의 사이 간격에 삽입된 스톱블럭너트(30)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밴드끝단 플렌지부(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펀칭 압점(25)이; 결합하되, 상기 조임밴드(11)를 절곡하여 플렌지부(20)와 밴드조임부(10)를 형성하고, 상기 플렌지부(20)의 사이 간격(21)에 끼워진 스톱블럭너트(30)가 압점(25)에 의해서 빠지지 않도록 하고, 플렌지공(28)과 스크류공(41)을 관통한 스크류볼트(40)로 죄어 간격을 좁히며 밴드조임부(10)의 내주면에 끼인 호스(1)를 강하게 조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점(25)은,
    밴드끝단 플렌지부(20)의 상방향, 하방향 또는 상하방향에 선택적으로 채택하되 각각 1 내지 4개씩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
  3. 청구항 2 있어서,
    상기 밴드끝단 플렌지부(20)를 이루는 조임밴드(11)의 상하면에 스톱블럭너트(30)의 정확한 안착점을 확인시키는 표시선(50)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스톱블럭너트(30)의 상하면에도 대응표시선(60)을 형성하되, 상기 표시선(50)의 형성위치 설정은 스톱블럭너트(30)에 형성되는 관통 스크류공(41)에 정확하게 스크류볼트(40)가 관통될 수 있는 각도를 표식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표시선(50)과 대응표시선(60)은, 조임밴드(11)의 상하면에 펀칭 또는 페인팅의 방식으로 표식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톱블럭너트(30)는, 스톱블럭너트(30)의 상하면에 드라이버로 돌릴 수 있도록 "1자" 또는 "+자" 형상의 홈(36)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
KR1020090104761A 2009-11-02 2009-11-02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 KR20110048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761A KR20110048095A (ko) 2009-11-02 2009-11-02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761A KR20110048095A (ko) 2009-11-02 2009-11-02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095A true KR20110048095A (ko) 2011-05-11

Family

ID=44239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761A KR20110048095A (ko) 2009-11-02 2009-11-02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80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0139A (zh) * 2013-01-22 2013-05-08 天津鹏翎胶管股份有限公司 通过安装标记快速完成卡箍装配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0139A (zh) * 2013-01-22 2013-05-08 天津鹏翎胶管股份有限公司 通过安装标记快速完成卡箍装配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7909B2 (ja) マット、可搬型建設用多孔マットシステム、工具および方法
US8997543B2 (en) Crimp die set
US8172280B2 (en) Sheet metal corner for duct flanges
US3869944A (en) Open clamp with means for closing the band ends
JP6337244B1 (ja) ナット緩み防止具
KR20110048095A (ko)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
US20120159755A1 (en) Railroad Tie Clip Remover
EP2087963A3 (de) Reibschweißverfahren
KR200487780Y1 (ko) 파이프 고정용 밴드
KR20160066797A (ko) 형강재 볼트 구멍 마킹장치
US20070036630A1 (en) Penetrating washer
US366532A (en) tuerk
JP6815011B2 (ja) タイトフレーム
KR101194642B1 (ko)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
KR20130107009A (ko) 비계파이프 결합용 클램프
JP2016125520A (ja) ネジ式機械式継手による鋼管柱の接合の管理方法
KR101674922B1 (ko) 고정핀 결합형 앙카볼트
JP6254050B2 (ja) 折板屋根の改修方法、改修折板屋根および固定具
US10024471B2 (en) Hose barb leak, blowout and damage prevention system
JP2017039191A (ja) 共廻り防止治具
CN203755713U (zh) 一种用于栏杆底部的组合式挡脚板装置
US20120317775A1 (en) Tool remover
JP5954166B2 (ja) ホース接続構造
US1635147A (en) Metal sheeting
JP6853935B2 (ja)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