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7266A - 다중 무선기들을 갖춘 디바이스들을 위한 ip 이동성 - Google Patents

다중 무선기들을 갖춘 디바이스들을 위한 ip 이동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7266A
KR20110047266A KR1020117007122A KR20117007122A KR20110047266A KR 20110047266 A KR20110047266 A KR 20110047266A KR 1020117007122 A KR1020117007122 A KR 1020117007122A KR 20117007122 A KR20117007122 A KR 20117007122A KR 20110047266 A KR20110047266 A KR 20110047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wtru
multihoming
function
st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7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밈 에이 라만
캐서린 리벳
광 루
Original Assignee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filed Critical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10047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2Manipulation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5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network layer [OSI layer 3], e.g. X.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77Multiple interfaces, e.g. multihomed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6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etworks is unlicen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무선 송수신 유닛(WTRU)은 이동성 관리 기능부 및 멀티호밍 기능부를 포함한다. 이동성 관리 기능부는 매체 독립 핸드오버(Media Independent Handover; MIH) 프로토콜을 이행할 수 있고, 멀티호밍 기능부는 Shim6 프로토콜을 이행할 수 있다. 이동성 관리 기능부는 링크 상태 정보를 멀티호밍 기능부에 전달할 수 있다. 링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호밍 기능부는 링크 장애 검출 프로시저를 가속화하거나 또는 감속화할 수 있고, 경로 탐사 프로시저를 위한 고려를 위해 잠재적인 경로들의 리스트를 수정할 수 있고, 및/또는 경로 탐사 프로시저를 개시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멀티호밍 기능부는 추가적인 통신 자원들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동성 관리 기능부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이동성 관리 기능부는 비활성 무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후속적인 경로 탐사 프로시저들은 활성화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축될 수 있는 경로들의 탐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무선기들을 갖춘 디바이스들을 위한 IP 이동성{IP MOBILITY FOR DEVICES WITH MULTIPLE RADIOS}
현재의 발명개시는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멀티호밍(Multihoming)은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네트워크에 참여중인 디바이스에 대한 다중 IP 어드레스들의 구성이다. 멀티호밍은 다중 IP 어드레스들을 단일 링크에 할당하는 것 및 구별된 IP 어드레스들과 함께 다중 물리적 인터페이스들을 활용하는 것을 포함한, 여러 접근법들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처리량과 신뢰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데이터를 병렬 스트림들로 분할하는데 멀티호밍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스트림은 세 개의 구별된 링크들을 거쳐 세 개의 구별된 IP 어드레스들을 이용하여 세 개의 병렬 스트림들을 통해 호스트에서 수신될 수 있다. 그런 후 수신된 데이터는 호스트에서 재결합될 수 있다.
IP 버전 6(IPv6)의 경우에서는, 멀티호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 Shim6 프로토콜이 활용될 수 있다. Shim6은 호스트 기반이며, 여러 개의 IP 경로들, 장애 검출 및 복구, 및 최상의 경로 선택을 관리하는 능력과 같은 특징들을 제공한다. IP 버전 4(IPv4) 멀티호밍에서는, 어드레스 프리픽스(address prefix)들이 필요했었는데, 이것은 라우팅 테이블들의 크기를 증가시켰고, 그 결과, 패킷들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증가시켰다. Shim6과 IPv6을 이용함에 따라, 어드레스 프리픽스들은 필요하지 않게 되고, 이로써 IPv4 멀티호밍의 성능 지연을 회피한다.
Shim6은 프로토콜 스택에서의 네트워크 층을 수정함으로써 작업을 한다. Shim6을 이용한 두 개의 호스트들이 접속할 때, 이 호스트들은 Shim6 컨텍스트(context)를 구축하고, 호스트들에 도달될 수 있도록 해주는 다중 IPv6 어드레스들을 포함한 정보를 교환한다. 패킷의 전송 동안에, 패킷은 의도한 수령측 호스트의 목적지 IP 어드레스와 함께 상위층으로부터 송신측 호스트내의 네트워크 층에서 수신된다. 네트워크 층에서의 Shim6 엘리먼트는 목적지 호스트를 위한 상이한 IP 어드레스를 대체시키고, 그런 후 전송 층까지 패킷을 전달한다. 이러한 대체는, 예를 들어, 패킷에서 원래 표시되었던 목적지 IP 어드레스가 더 이상 실행가능하지 않는 목적지 호스트에 대한 링크를 식별해주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현재의 전송층 구성을 파손시키지 않고서 새로운 경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Shim6에서, 전송층에 알려진 IP 어드레스를 "식별자"라고 부르는 반면에, 네트워크층과 데이터 링크층에 알려진 IP 어드레스를 "로케이터"라고 부른다. Shim6 엘리먼트는 경로 선택을 용이하게 하도록 식별자와 로케이터간의 맵핑을 저장한다.
도 1은 Shim6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두 개의 호스트들의 예시를 보여준다. 상태 A(150)에서, 호스트 A(190)와 호스트 B(192)는 제1 링크(120)를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Shim6을 이용하여, 호스트 A(190)와 호스트 B(192)는 상태 B(152)로 천이할 수 있으며, 이 상태 B(152)에서는 호스트 A(190)와 호스트 B(192)가 제2 링크(130)를 이용하여 통신한다. 호스트 A(190)는 두 개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즉 ISPl(102)과 ISP2(104)에 접속된다. 호스트 A(190)는 멀티호밍되고, ISPl(102)에 의해 제1 IP 어드레스(ISPl.A)를 할당받고, ISP2(104)에 의해 제2 IP 어드레스(ISP2.A)를 할당받는다. 호스트 A(190)는 ISPl(102)와 ISP2(104)를 통해 인터넷(106)에 접속된다. 호스트 B(192)는 ISP3(108)에 접속되고, ISP3(108)을 통해 인터넷(106)에 접속된다. 호스트 B(192)는 ISP3(108)에 의해 IP 어드레스(ISP3.B)를 할당받는다. 상태 A(150)에서, 호스트 A(190)와 호스트 B(192)는 링크(120)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이 링크(120)는 ISPl(102)과 ISP3(108)을 통해 동작한다. 상태 A(150)에서, 호스트 B(192)에서의 프로토콜 스택내의 네트워크 층은 ISP1.A 어드레스 또는 ISP2.A 어드레스의 호스트 A(190)에 어드레싱된 패킷들을 전송층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만약 패킷이 ISP2.A에 어드레싱되면, 호스트 B(192)에서의 Shim6 층은 목적지가 ISP1.A이라는 것을 표시하도록 패킷 헤더를 변경할 것을 결정할 수 있고, 제1 링크(120)를 통한 통신을 위해 수정된 패킷을 데이터 링크층에 전달할 수 있다. 호스트 B(192)에서의 전송층은 패킷을 호스트 A(190)에 실제로 전달하기 위해 어느 어드레스를 이용하는지를 알고 있지 않은데, 이것은 Shim6 서브층에 의해 처리되기 때문이다. 만약 제1 링크(120)가 사용불가능하게 되면, 호스트 A(190)와 호스트 B(192)는 상태 B(152)로 천이하고, 제2 링크(130)를 이용하여 통신한다. 상태 B(152)에서, 호스트 B(192)에서의 프로토콜 스택내의 네트워크 층은 ISP1.A 또는 ISP2.A의 호스트 A(190)에 어드레싱된 패킷들을 수신할 수 있다. 만약 패킷이 ISP1.A에 어드레싱되면, 호스트 B(192)에서의 Shim6 층은 헤더를 ISP2.A로 재어드레싱할 것이다. 전송층의 동작은 천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상태 A(150)로부터 상태 B(152)로의 천이는 호스트 A(190) 또는 호스트 B(192)에서의 전송층 자원들의 재구성을 필요하지 않는다. 링크 장애를 검출하고 링크들간의 천이(예컨대, 상태 A(150)와 상태 B(152)간의 천이)를 수행하기 위해 Shim6에 의해 제공된 프로시저들이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Shim6은 링크 장애를 검출하기 위한 FBD(Forced Bidirectional Detection) 프로시저를 정의한다. FBD는 두 개의 호스트사이에서 이용된 IP 어드레스 쌍의 실행가능성(또는 "도달가능성")을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도달가능성은 상호적 트래픽의 측면에서 분석되며; 한 방향에서의 트래픽은 리턴 방향에서의 트래픽의 예상을 일으킨다. 두 개의 노드들이 Shim6 콘텍스트를 성공적으로 구축한 후 FBD 프로시저가 시작된다. FBD를 이행하는 노드는 두 개의 타이머들, 즉 (1) 마지막 패킷이 보내진 이후의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송신 타이머, 및 (2) 마지막 패킷이 수신된 이후의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킵얼라이브(keepalive) 타이머를 이용한다. 이 두 개의 타이머들은 상호배타적이며, 그 결과 어느때라도 하나 보다 많은 타이머가 구동되지 않는다. 호스트가 발신 데이터 패킷을 Shim6 컨텍스트내에서 생성할 때, 송신 타이머가 작동한다. 만약 이 때 킵얼라이브 타이머가 구동중에 있다면, 킵얼라이브 타이머는 중단된다. 호스트가 착신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때, 송신 타이머는 중단되고, 킵얼라이브 타이머가 작동한다. 만약 킵얼라이브 타이머가 킵얼라이브 타임아웃 값을 초과하면, 킵얼라이브 패킷이 다른 호스트로 송신된다. 만약 송신 타이머 값이 송신 타임아웃 값을 초과하면, 호스트는 다른 호스트가 도달불가능하다고 결정내린다. FBD를 이용함으로써, 나머지 다른 호스트가 도달불가능한지를 호스트가 결정는데에 수십 초가 걸릴 수 있다.
도 2는 FBD 프로시저를 도시하는 신호도이다. 호스트 A(290)와 호스트 B(292)는 Shim6 콘텍스트를 구축해왔다. 호스트 A는 자신의 송신 타이머를 작동시키고(단계 202), 데이터 패킷을 호스트 B(292)에 송신한다(단계 204). 호스트 B(292)는 자신의 송신 타이머를 작동시키고(단계 206), 데이터 패킷을 호스트 A에 송신한다(단계 208).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호스트 A(290)는 자신의 송신 타이머를 중단시키고(단계 210), 자신의 킵얼라이브 타이머를 작동시킨다. 호스트 A(290)의 킵얼라이브 타이머가 만료하고(단계 212), 호스트 A(290)는 자신의 송신 타이머를 작동시키며(단계 212), 킵얼라이브 패킷을 호스트 B(292)에 보낸다(단계 214). 킵얼라이브 패킷에 응답하여, 호스트 B(292)는 자신의 송신 타이머를 중단시킨다(단계 216). 호스트 B(292)는 자신의 송신 타이머를 작동시키고(단계 218), 데이터 또는 킵얼라이브 패킷을 호스트 A(290)에 보낸다(단계 220). 데이터 또는 킵얼라이브 패킷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호스트 A는 자신의 송신 타이머를 중단시킨다(단계 222). 이 때에, 호스트 A(290)와 호스트 B(292) 모두는 자신들이 통신하기 위해 이용하고 있는 링크가 실행가능하다라고 결정한다.
그런 후, 호스트 A(290)는 자신의 송신 타이머를 작동시키고(단계 224), 데이터 또는 킵얼라이브 패킷을 보낸다(단계 226). 데이터 또는 킵얼라이브 패킷은 호스트 B(292)에 도달하지 않는다. 호스트 B(292)의 송신 타이머가 만료되고(단계 228), 링크 장애가 호스트 A(290)에 표시된다. 호스트 A(290)의 송신 타이머가 만료되고(단계 232), 링크 장애가 호스트 B(292)에 표시된다. 이 때, 호스트 A와 호스트 B 모두는 자신들이 통신하기 위해 이용하고 있는 링크가 파손되었다라고 결정한다.
Shim6은 또한 로케이터 쌍 탐사 프로시저를 정의하며, 이것은 호스트들이 링크 장애를 경험할 때 호스트들이 실행가능한 링크를 탐사하는데 이용된다. 로케이터 쌍 탐사 프로시저에 따르면, 제일 먼저 링크 장애를 검출한 호스트가 상이한 어드레스 쌍들을 이용하여 나머지 다른 호스트에게 프로브(probe) 메시지들을 보낸다. 상기 호스트는 프로브 메시지를 돌려받을 때 까지 어드레스 쌍 조합들에 걸쳐 반복한다. 응답 프로브 메시지는, 초기 프로브 메시지가 나머지 다른 호스트에 도달되었으며, 링크가 양 방향들로 작동한다라고 확인시켜준다.
도 3은 로케이터 쌍 탐사 프로시저를 도시하는 신호도이다. 호스트 B(392)에서, 송신 타이머가 만료되고(단계 302), 호스트 A(390)와 호스트 B(392) 사이에서 통신하는데 이용중인 링크에 대한 장애가 표시된다. 그런 후, 호스트 B(392)는 IP 어드레스 쌍(B1, A1)에 의해 정의된 링크에 대한 프로브 요청을 보낸다(단계 304). 프로브 요청은 "탐사중" 상태를 표시하는 필드를 포함한다. 프로브 요청은 호스트 A(390)에 도달하지 않는다. 그런 후, 호스트 B(392)는 링크(B2, A1)에 대한 프로브를 보낸다(단계 306). 이 프로브는 호스트 A(390)에 도달하지 않는다. 그런 후, 호스트 B(392)는 링크(B2, A2)에 대한 프로브 요청을 호스트 A(390)에 보낸다(단계 308). 이 프로브는 호스트 A에 도달되어 호스트 A에 의해 수신된다. 프로브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호스트 A(390)는 링크(A2, B2)에 대한 리턴 프로브를 보낸다(310). 리턴 프로브는 "인바운드오케이"의 상태를 표시하는 필드를 갖는다. 이 리턴 프로브는 호스트 B에 도달되어 호스트 B에 의해 수신된다. 리턴 프로브에 응답하여, 호스트 B(392)는 "동작중"의 상태를 갖는 프로브를 호스트 A에 보낸다(312). "동작중" 프로브는 호스트 A(390)에 도달되어 호스트 A에 의해 수신된다. 이 때, 호스트 A(390)와 호스트 B(392) 모두는 IP 어드레스 쌍(B2, A2)을 이용하여 실행가능한 링크를 구축한다. 그런 후, 호스트 A는 링크(A2, B2)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호스트 B에 보낸다(단계 314).
전기전자 공학회(IEEE) 802.21 매체 독립 핸드오버(Media Independent Handover; MIH)는 이종적인(heterogeneous) 링크 층(레이어 1 및 레이어 2) 기술들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들간의 디바이스들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정의한다. MIH는 변화하는 링크 상황들 및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요건들에 응답하는 핸드오버 및 링크 적응을 위한 메카니즘들을 정의한다. MIH는, MIH 서비스들의 이행부이며, MIH 디바이스들 및 네트워크에서 이행되는 논리 엔티티로서 취급되는 MIH 기능부(MIH Function; MIHF)를 명시한다.
도 4는 MIHF(400)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프로토콜 스택(450)을 도시한다. MIHF(400)는 세 개의 MIH 서비스들, 즉 매체 독립 이벤트 서비스, 매체 독립 정보 서비스(Media Independent Information Service; MIIS), 및 매체 독립 커맨드 서비스(Media Independent Command Service; MICS)를 이행한다. 매체 독립 이벤트 서비스는 물리층, 데이터 링크층 및 논리 링크층 상태 변경들과, 링크들의 구축 및 해체와 같은, 이벤트들의 통지와 관련이 있다. MIHF는 상위층(레이어 3 이상의 레이어들) 엔티티들인 MIH 유저(404)들에게 이러한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프로토콜 스택(450)은 제1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에 따른 매체 특정 링크 층 기능을 이행하는 제1 링크 층 컴포넌트(420)를 포함한다. 제2 링크 층 컴포넌트(430)는 제2 RAT에 따른 매체 특정 링크 층 기능을 이행한다. 예로서, 제1 링크 층 컴포넌트(420)는 IEEE 802.11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표준들에 따라 작동할 수 있는 반면에, 제2 링크 층 컴포넌트(430)는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진화된 유니버셜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표준들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MIH에서, 기능성 엔티티들간의 정보의 교환들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Service Access Point; SAP)들을 통해 일어난다. MIH 유저(404)는 제1 논리 링크 제어(Logical Link Control; LLC) SAP(406)를 통해 제1 링크 층 컴포넌트(420)와 통신할 수 있고, 제2 LLC_SAP(408)를 통해 제2 링크 층 컴포넌트(430)와 통신할 수 있다. MIHF(400)와 MIH 유저(404)는 MIH_SAP(402)를 이용하여 통신한다. MIHF(400)와 제1 링크 층 컴포넌트(420)는 MIH_LINK_SAP(410)를 통해 통신한다. MIHF(400)와 제2 링크 층 컴포넌트(430)는 MIH_LINK_SAP(418)를 통해 통신한다. MIH_LINK_SAP(410, 418) 각각은 매체 특정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SAP, 물리 층(physical layer; PHY) SAP, 및/또는 논리 링크 제어(Logical Link Control; LLC) SAP로서 이행될 수 있다.
제1 링크 층 컴포넌트(420)는 MIH_LINK_SAP(410)를 통해 MIHF(400)에게 MAC 또는 PHY 상태 변경을 통지할 수 있고, 후속하여 MIHF(400)는 MIH_SAP(402)를 통해 이벤트의 통지를 MIH 유저(404)에 전달할 수 있다. MIHF(400)는 추가적으로 네트워크 SAP(MIH_NET_SAP)를 통해 원격 MIHF(미도시)와 통신할 수 있고, 예컨대, 새로운 액세스 네트워크들 및 링크 QoS 정보의 검출에 관한 이벤트 통지들을 원격 MIHF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MIIS의 목적은 네트워크 선택 및 핸드오버를 용이하게 하도록 이용가능한 네트워크들의 글로벌 조망을 획득하는 것이다. MIIS는 핸드오버 후보자들과 관련된 MIH 디바이스들 및 MIH 가능 네트워크들간의 정보의 교환을 위한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MIIS 정보는 MIH_SAP(402)상에서 뿐만 아니라, MIH_LINK_SAP(410, 418)상에서 양 방향들로 전달될 수 있다.
MICS는 링크들간의 핸드오버의 개시를 가능하게 해준다. MICS를 이용하여, 핸드오버 명령들은 MIH_SAP(402)를 통해 MIH 유저(404)로부터 MIHF(400)에서 수신된다. 핸드오버 명령에 응답하여, MIHF(400)는 하위층 엔티티들을 제어하는 명령을 발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네트워크로부터 또다른 네트워크로 프로토콜 스택(450)을 핸드오버하기 위해 제1 링크 층 컴포넌트(420) 및 제2 링크 층 컴포넌트(430)와 통신할 수 있다.
MIH와 Shim6과 같은 현재의 기술들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접속을 향상시키기 위한 메카니즘들을 제공하지만, 현재의 기술들은 미해결된 수 많은 쟁점들을 남겨두고 있다. 단일 모드 및 듀얼 모드 무선 디바이스들을 위한 현재의 전력 절감 기술들은 링크 퀄리티 및 요구된 QoS와 같은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들이 언제 턴온 및 턴오프되는지를 결정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들은 멀티모드, 멀티호밍 디바이스들에서 전력 절감 기술들이 이행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현재의 기술들은 멀티모드, 멀티호밍 디바이스들을 위한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방법을 제안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현재의 기술들은 핸드오버 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액세스 네트워크 특성 및 멀티호밍 IP 경로 특성 모두를 고려하는 해결책들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다중 무선 인터페이스들을 갖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황에서 전력 절감 및 IP 링크/액세스 네트워크 이동성을 위한 기술들이 요망된다.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은 이동성 관리 기능부 및 멀티호밍 기능부를 포함한다. 이동성 관리 기능부는 매체 독립 핸드오버(Media Independent Handover; MIH) 프로토콜을 이행할 수 있고, 멀티호밍 기능부는 Shim6 프로토콜을 이행할 수 있다. 이동성 관리 기능부는 링크 상태 정보를 멀티호밍 기능부에 전달할 수 있다. 링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호밍 기능부는 링크 장애 검출 프로시저를 가속화하거나 또는 감속화할 수 있고, 경로 탐사 프로시저를 위한 고려를 위해 잠재적인 경로들의 리스트를 수정할 수 있고, 및/또는 경로 탐사 프로시저를 개시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멀티호밍 기능부는 추가적인 통신 자원들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동성 관리 기능부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이동성 관리 기능부는 비활성 무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후속적인 경로 탐사 프로시저들은 활성화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축될 수 있는 경로들의 탐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 무선 인터페이스들을 갖춘 무선 디바이스들의 상황에서 전력 절감 및 IP 링크/액세스 네트워크 이동성을 위한 기술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이해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예시를 통해 주어진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Shim6을 이용한 IP 링크들간의 스위칭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링크 장애 검출을 위한 Shim6 강제된 양방향 검출(Forced Bidirectional Detection; FBD) 프로시저를 도시하는 신호도이다.
도 3은 IP 경로들의 탐사를 위한 Shim6 로케이터 쌍 탐사 프로시저를 도시하는 신호도이다.
도 4는 매체 독립 핸드오버(Media Independent Handover; MIH) 기능부(MIHF)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다.
도 5는 이동성 관리 기능부로부터 멀티호밍 기능부에 전달된 링크 상태 정보에 기초한 장애 검출 프로시저의 가속화를 도시하는 신호도이다.
도 6은 이동성 관리 기능부로부터 멀티호밍 기능부에 전달된 링크 상태 정보에 기초한 경로 탐사/링크 구축 프로시저의 수행을 도시하는 신호도이다.
도 7은 멀티호밍 기능부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한 이동성 관리 기능부에 의한 무선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를 도시하는 신호도이다.
도 8은 이동성 관리 기능부 및 멀티호밍 기능부를 포함한 무선 송수신 유닛(WTRU)을 위한 예시적인 아키텍쳐를 도시한다.
도 9는 이동성 관리 기능부 및 멀티호밍 기능부를 포함한 무선 송수신 유닛(WTRU)을 위한 예시적인 소프트웨어 아키텍쳐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들을 이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념 블럭도이다.
이하에서 언급시, 용어 "무선 송수신 유닛(WTRU)"은 사용자 장비(UE), 이동국, 고정 가입자 유닛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 호출기, 셀룰러 폰, 개인 보조 단말기(PDA), 컴퓨터, 또는 무선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나, 이러한 예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언급시, 용어 "링크 층 컴포넌트"는 무선 액세스 기술(RAT)에 따라 레이어 1 및/또는 레이어 2 기능성을 이행하는 컴포넌트이다. 이하에서 언급시, 용어 "기지국"은 노드 B, 싸이트 제어기,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무선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인터페이싱 장치를 포함하나, 이러한 예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언급시, "멀티호밍 기능부"는 멀티호밍 기능의 적어도 몇몇의 서브세트를 이행하는 모듈이다. 멀티호밍 기능은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다중 물리 인터페이스들에 대응하는 단일 IP 어드레스를 유지하는 것; 다중 IP 경로들에 대응하는 다중 IP 어드레스들을 유지하는 것; 멀티호밍 이용을 위한 IP 경로들을 식별해주는 IP 어드레스 쌍들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것; 멀티호밍된 IP 링크들상의 링크 퀄리티(장애를 포함함)를 검출하는 것; 멀티호밍된 IP 링크들을 위한 IP 어드레스들의 쌍들에 대한 탐사; 멀티호밍된 IP 세션들의 도메인간 핸드오버; 및 멀티호밍된 IP 링크들을 통해 페이로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IP 어드레스들의 전환/맵핑을 포함한다. Shim6 이행부는 멀티호밍 기능부의 하나의 예시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원리들은 Shim6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언급시, "이동성 관리 기능부"는 이동성 관리 기능의 적어도 몇몇의 서브세트를 이행하는 모듈이다. 이동성 관리 기능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용가능한 이종적인 액세스 네트워크들, 이러한 액세스 네트워크들의 속성들, 및/또는 이 네트워크들상의 링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생성하고, 및/또는 저장하는 것; 및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들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이종적인 링크 층 컴포넌트들에게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매체 독립 핸드오버(MIH) 기능부(MIHF)는 이동성 관리 기능부의 하나의 예시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원리들은 MIH 또는 MIHF의 이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링크 상태 정보에 기초한 장애 검출 타이머들의 수정을 도시하는 신호도이다. 도 5는 WTRU에서 구현된 이동성 관리 기능부(MMF)(590) 및 제1 멀티호밍 기능부(MHF)(592)를 도시한다. 도 5는 추가적으로 WTRU 또는 비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는 제2 디바이스상에서 구현된 제2 멀티호밍 기능부(594)를 도시한다. MMF(590)는 현재의 활성 링크에 관한 링크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502). 링크 상태 정보는 링크 상황들이 저하중에 있다는 것 및/또는 링크상의 접속이 손실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링크 상태 정보는 또한 링크상의 접속이 손실될거라는 낮은 확신도(confidence) 또는 높은 확신도를 표시할 수 있다. MMF(590)는 링크 상태 정보를 제1 MHF(592)에 전달한다.
제1 MHF(592)는 수신된 링크 상태 정보의 내용에 기초하여 링크 장애 검출에서 이용된 하나 이상의 타이머 파라미터들의 지속기간을 수정한다(단계 506). 예를 들어, 제1 MHF(592)는 킵얼라이브 또는 송신 타이머 파라미터들의 지속기간들을 수정할 수 있다(단계 506). 제1 MHF(592)는 링크상의 접속이 손실될거라는 확신도에 비례하는 양만큼 하나 이상의 지속기간들을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접속이 손실될거라는 낮은 확신도를 링크 상태 정보가 나타내면, 킵얼라이브 타이머 지속기간은 자신의 이전 지속기간의 절반으로 세팅될 수 있다. 만약 접속이 손실될거라는 높은 확신도를 링크 상태 정보가 나타내면, 킵얼라이브 타이머는 중단될 수 있거나 또는 킵얼라이브 타이머의 지속기간이 제로로 세팅될 수 있으며, 이로써 킵얼라이브 메시지가 즉시 보내질 것이다.
제1 MHF(592)에서의 킵얼라이브 타이머는 수정된 지속기간에 기초하여 만료하고(단계 508), 송신 타이머는 작동하며(508), 제1 MHF(592)는 킵얼라이브 패킷을 제2 MHF(594)에 보낸다(단계 510). 킵얼라이브 패킷은 제2 MHF(594)에게 링크 퀄리티에 관하여 통지하기 위해 불량한 링크 퀄리티의 표시를 운송할 수 있다(단계 510). 제2 MHF(594)는 킵얼라이브 패킷을 예상보다 이른 시간에 수신한 것(단계 510)에 기초하여 킵얼라이브 타이머 또는 송신 타이머와 같은, 하나 이상의 링크 장애 검출 타이머들의 타이머 지속기간을 수정할 수 있다(단계 512). 이와 달리 또는 추가적으로, 제2 MHF(594)는 제2 디바이스에서 구현된 MMF(미도시)로부터 수신된 링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머 지속기간들을 수정할 수 있다(단계 512).
제2 MHF(594)에서의 킵얼라이브 타이머는 수정된 지속기간에 기초하여 만료하고(단계 514), 송신 타이머는 작동하며(514), 제2 MHF(594)는 데이터 또는 킵얼라이브 패킷을 제1 MHF(592)에 보낸다(단계 516). 데이터 또는 킵얼라이브 패킷에 응답하여, 제1 MHF(592)는 자신의 송신 타이머를 중단시킨다(단계 518). 제1 MHF(592)는 데이터 또는 킵얼라이브 패킷을 보내고(단계 522), 자신의 송신 타이머를 작동시키지만(단계 520), 데이터 또는 킵얼라이브 패킷은 제2 MHF(594)에 도달되지 않는다. 제2 MHF(594)에서의 (수정된 지속기간에 기초한) 송신 타이머는 만료하고(단계 524), 링크 장애를 표시한다. 제1 MHF(592)에서의 (수정된 지속기간에 기초한) 송신 타이머는 만료하고(단계 526), 링크 장애를 표시한다. 링크 장애가 검출된 후, 제1 MHF(592)와 제2 MHF(594)는 경로들을 탐사하고 및/또는 새로운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프로시저를 수행할 수 있다(단계 528). 경로들을 탐사하고 및/또는 새로운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프로시저는, 예컨대, 로케이터 쌍 탐사 프로시저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불량한 링크 상태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는, 타이머 지속기간들은 단축되도록 수정될 수 있다(단계 506, 512). 양호한 링크 상태 정보가 MMF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킵얼라이브 타이머가 예상된 시간 보다 늦게 수신될 때, 타이머 지속기간들은 양자택일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보다 길어지도록 수정될 수 있다. MMF로부터의 링크 상태 입력에 기초하여 장애 검출 타이머의 지속기간을 조정하는 것은, 지속기간이 보다 길도록 세팅되거나 또는 보다 짧도록 세팅되는지 여부에 따라, 링크 장애 검출을 보다 빠르게 하거나 또는 보다 느리게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6은 MMF(690)로부터 수신된 링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탐사 및/또는 링크 구축 프로시저를 수행(단계 606)하는 제1 MHF(692)를 도시하는 신호도이다. 도 6은 WTRU에서의 이동성 관리 기능부(MMF)(690) 및 제1 멀티호밍 기능부(MHF)(692)를 도시한다. 도 6은 WTRU 또는 비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는 제2 디바이스상에서 구현된 제2 MHF(694)를 추가적으로 도시한다.
MMF(690)는 링크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단계 602), 링크 상태 정보를 제1 MHF(692)에 전달한다(단계 604). 링크 상태 정보는, 예컨대, 새로운 링크들의 발견, 링크들의 파손, 및/또는 링크 퀄리티, QoS, 및 링크 데이터 레이트와 같은 추가적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MHF(692)는 잠재적인 링크 후보자들에 관한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단계 692). 링크 후보자 정보는 리스트, 집합, 또는 임의의 기타 적절한 데이터 구조로 저장될 수 있다. 예로서, 제1 MHF(692)는 제2 MHF(694)를 포함한 제2 디바이스와 잠재적으로 통신할 때 이용할 수 있는 세 개의 IP 어드레스들{IP_A, IP_B, 및 IP_C}을 표시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만약 IP_A에 대응하는 링크가 다운되었다라고 표시하는 링크 상태 정보를 제1 MHF(692)가 수신하면(단계 604), IP_A가 경로 탐사/링크 구축에 대한 후보자로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반영하도록 제1 MHF(692)는 자신의 링크 후보자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만약 IP_B에 대응하는 링크가 불량한 퀄리티를 갖는다라고 표시하는 링크 상태 정보를 제1 MHF(692)가 수신하면, 제1 MHF(692)는 IP_B를 경로 탐사/링크 구축에 대한 덜 바람직한 후보자로서 간주할 것이며, IP_B의 후보자로서의 바람직도를 다운그레이드할 것이다. 만약 제1 MHF(692)가 후보자들의 순서화된 리스트를 유지한다면, 보다 양호한 대응 링크 퀄리티 정보를 갖춘 다른 후보자들이 IP_B에 앞서 선택되도록 제1 MHF(692)는 리스트를 재순서화할 수 있다.
제1 MHF(692)와 제2 MHF(694)는 수정된 후보자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탐사/링크 구축 프로시저를 수행한다(단계 606). 경로들을 탐사하고 및/또는 새로운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프로시저는, 예컨대, 로케이터 쌍 탐사 프로시저일 수 있다. {IP_A, IP_B, 및 IP_C}를 포함한 위의 예시에 기초하여, 제1 MHF(692)는 IP_C를 통해 제1 프로브 요청을 제2 MHF(694)에 보냄으로써 경로 탐사/링크 구축 프로시저를 수행할 수 있다(단계 606). IP_C를 이용한 경로 탐사가 성공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에만 제1 MHF(692)는 IP_B를 이용하여 경로를 탐사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링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IP_A는 잠재적인 후보자들의 리스트로부터 삭제되었기 때문에, 제1 MHF(692)는 IP_A를 이용하여 프로브 요청을 보내는 것을 시도하지 않을 것이다.
제1 MHF(692)는 수신된 링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탐사/링크 구축 프로시저를 추가적으로 트리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상태 정보는 현재 활성화된 것으로 간주된 링크가 다운되었다라고 표시할 수 있다. 링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MHF(692)는 현재의 링크를 즉시 포기하고 새로운 링크를 구축할 것을 결정내릴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제1 MHF(692)는 새로운 링크에 대한 검색 이전에 링크 장애 검출 프로시저의 완료때 까지 대기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서 제1 MHF(692)는 새로운 링크를 구축하는쪽으로 작업을 즉시 시작하기 위해 현재 진행중인 임의의 장애 검출 프로시저들을 멈추거나 무시할 수 있다.
제1 MHF(692)는 또한, 새로운 링크가 검출되었다거나 또는 이전에 발견된 링크가 사용가능하다라고 표시하는 링크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것(단계 604)에 응답하여, 경로 탐사/링크 구축 프로시저를 개시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은 추가적으로 예컨대 불량한 현재 링크 상태를 표시하는 정보와 같은 이전에 수신된 링크 상태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도 7은 제1 MHF(792)로부터 수신된 자원 요건 메시지에 기초하여 MMF(790)가 비활성 무선기를 활성화시키는 것(706)을 도시한다. MMF(790)와 제1 MHF(792)는 WTRU에서 구현된다. 제2 MHF(794)는 WTRU 또는 비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는 제2 디바이스상에서 구현된다. 제1 MHF(792)는 추가적인 통신 자원들이 필요하다고 결정한다(단계 702). 예를 들어, 이것은 링크상의 대역폭이 증가되어야 한다는 결정일 수 있거나, 새로운 IP 어드레스가 필요하다는 결정일 수 있거나,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는 결정일 수 있거나, 또는 현재의 상황이 새로운 QoS 요건을 지원하지 않는다라는 결정일 수 있다. 제1 MHF(792)는 추가적인 통신 자원들이 필요하다라고 표시하는 자원 요건 메시지를 MMF(790)에 전달한다(단계 704). 양자택일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자원 요건 메시지는 추가적인 통신 자원들에 대한 명령 또는 요청일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MMF(790)는 현재 비활성상태에 있는 WTRU에서의 무선기를 활성화시킬 것(단계 706)을 선택할 수 있고, 이로써 무선기는 후속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새로운 무선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MIH_LINK_SAP를 통해 보내진 MIH 메시지들 또는 프리미티브들을 이용함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다(단계706). 제1 MHF(792)와 제2 MHF(794)는 경로 탐사 및/또는 링크 구축을 위한 프로시저를 수행할 수 있고(단계 708), 새롭게 활성화된 무선기를 통해 이용가능한 경로들이 후보자로서 간주될 수 있다. 경로 탐사 및/또는 링크 구축을 위한 프로시저는, 예컨대, 로케이터 쌍 탐사 프로시저일 수 있다.
도 8은 MMF(802) 및 제1 MHF(808)을 병합한 WTRU("호스트 A")(890)를 위한 예시적인 아키텍쳐를 도시한다. WTRU(890)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방법들 및 특징들을 이행하도록 구성가능하다. WTRU(890)는 직접적 인터페이스(856)를 통해 제1 MHF(808)와 통신하는 MMF(802)를 포함한다. 제1 MHF(808)는 상위층 블럭(806)내에 포함된다. 상위층 블럭(806)은 네트워크층, 전송층, 세션층, 프리젠테이션층,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층을 포함한, 레이어 3 이상의 레이어에서의 엔티티들을 포함한다. 상위층 블럭(806)은 하나 이상의 MIH 유저 엔티티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MMF(802)는 인터페이스(854)를 통해 상위층 블럭(806)과 추가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854)는 매체 독립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예컨대, MIH 유저들과 통신하기 위한 MIH_SAP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WTRU(890)는 제1 RAT에 따른 링크층 기능을 이행하는 제1 링크 층 컴포넌트(816)를 포함한다. 제1 링크 층 컴포넌트(816)는 제1 RAT에 따라 동작하는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822)와 통신할 수 있다. 제2 링크 층 컴포넌트(818)는 제2 RAT에 따른 링크층 기능을 이행하며, 제2 RAT에 따라 동작하는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824)와 통신할 수 있다. 제3 링크 층 컴포넌트(820)는 제3 RAT에 따른 링크층 기능을 이행하며, 제3 RAT에 따라 동작하는 제3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826)와 통신할 수 있다. MMF(802)는 인터페이스들(858, 860, 862)을 통해 링크층 컴포넌트들(816, 818, 820)과 통신한다. 인터페이스들(858, 860, 862)은 매체 의존적 인터페이스들일 수 있고, 예컨대 MIH_LINK_SAP 인터페이스들일 수 있다. 링크층 컴포넌트들(816, 818, 820)에 의해 지원된 각각의 RAT들은 서로 다를 수 있다. WTRU(890)는 또한 추가적인 링크층 컴포넌트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WTRU(890)에서의 제1 MHF(808)는 WTRU(890)를 위한 제1 IP 어드레스(810)("IP_A"), 제2 IP 어드레스(812)("IP_B"), 및 제3 IP 어드레스(814)("IP_C")를 유지한다. 제1 MHF(808)는 대응하는 링크층 컴포넌트들(816, 818, 820)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822, 824, 826)을 통해, 각각의 IP 어드레스들(810, 812, 814)로부터의 IP 경로들을 통한 IP 링크들을 구축할 수 있다.
WTRU(890)는 인터넷(828)을 통해 WTRU(890)와 호스트 B(892)를 접속시켜주는 활성 IP 링크(850)를 통해 호스트 B(892)와 통신한다. 호스트 B(892)는 WTRU 또는 비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호스트 B는 제2 MHF(842)를 포함한다. 제2 MHF(842)는 호스트 B(892)를 위한 제4 IP 어드레스(830)("IP_D") 및 제5 IP 어드레스(840)("IP_E")를 유지한다. WTRU(890)내의 제1 MHF(808)의 시점으로부터 보면, 활성 IP 링크(850)는 (IP_C, IP_E)로서 특징지어질 것이고, 반면에, 호스트 B(892)내의 제2 MHF(842)에 의해서는 활성 IP 링크(850)가 (IP_E, IP_C)로서 특징지어질 것이다.
도 9는 MHF(972)와 통신하는 MMF(906)를 포함한 WTRU(900)를 위한 예시적인 소프트웨어 아키텍쳐를 도시한다. WTRU(900)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방법들 및 특징들을 이행하도록 구성가능하다. 무선 액세스 컴포넌트(904)는 서로 다른 RAT 유형들의 네트워크들에 각각 액세스할 수 있는 네 개의 RAT 스택들(910, 912, 914, 916)을 포함한다. 비록 네 개의 RAT 스택들(910, 912, 914, 916)이 예시로서 도시되지만, 현 발명개시의 원리들은 두 개, 세 개, 네 개, 또는 그 이상의 RAT 스택들을 포함한 WTRU들에 적용가능하다. 무선 액세스 컴포넌트(904)는 WTRU(900)에 탈착가능하게 삽입가능할 수 있으며, 이것은 예컨대, 범용 직렬 버스(USB) 동글(dongl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무선 액세스 컴포넌트(904)는 WTRU(900)내의 컴포넌트로서 구현될 수 있다.
네 개의 RAT 스택들(910, 912, 914, 916)은 WTRU(900)내의 네 개의 대응하는 RAT 드라이버들(920, 922, 924, 926)과 통신한다. RAT 드라이버들(920, 922, 924, 926)은 MMF(906)내의 대응하는 RAT 인터페이스들(930, 932, 934, 936)과 통신한다. RAT 드라이버들(930, 932, 934, 936)은 MMF(906)내의 이동성 정책 모듈(940)과 통신한다. 이동성 정책 모듈(940)은 WTRU(900)내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기 모듈(976) 및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978)과 통신한다. 이동성 정책 모듈(940)은 음성 콜 연속성(Voice Call Continuity; VCC) 인터페이스(950),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인터페이스(952), 전송층 인터페이스(954), 이동 IP(Mobile IP; MIP) 인터페이스(956), 및 멀티호밍 인터페이스(958)을 포함한, 상위층들에 대한 복수의 인터페이스들과 추가적으로 통신한다. 이동성 정책 모듈(940)은 또한 추가적인 상위층 인터페이스들(미도시)과 통신할 수 있다.
상위층 링크층 컴포넌트(908)는 상위층(레이어 3 이상의 레이어) 기능을 이행하기 위한 복수의 모듈들을 포함한다. VCC 클라이언트 모듈(962)은 MMF(906)내의 VCC 인터페이스(950)뿐만이 아니라 SIP 모듈(964)과 통신한다. SIP 모듈(964)은 추가적으로 SIP 인터페이스(952) 및 전송층 모듈(966)과 통신한다. 전송층 모듈(966)은 송신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유저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 스트림 제어 송신 프로토콜(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SCTP), 데이터그램 혼잡 제어 프로토콜(Datagram Congestion Control Protocol; DCCP), 및/또는 이와 다른 전송층 프로토콜들과 같은 전송층 프로토콜들을 이행할 수 있다. 전송층 모듈(966)은 전송층 인터페이스(954)뿐만이 아니라, MIP 모듈(968), IP 모듈(974), 및 MHF(972)과 통신한다. MIP 모듈(968)은 MIP를 이행하고, MIP 인터페이스(956)와 통신한다. MHF(972)는 IP 모듈(974)에 별도로 접속될 수 있거나 또는 IP 모듈(974)과 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MHF(972)는 멀티호밍 인터페이스(958)와 통신한다. 멀티호밍 인터페이스(958)는 적응층으로서 작동한다. 이것은 정보를 변환하여 이동성 정책 모듈(940)과 MHF(972) 사이에 이 정보를 전송한다. 멀티호밍 인터페이스(958)는 MMF(906)와 통신하는 RAT 스택들(910, 912, 914, 916) 모두로부터 링크층 정보를 수신한다.
멀티호밍 인터페이스(958)는 MHF(972)와 MMF(906)에서 이용된 기술들 및 프로토콜들에 따라 상이하게 이행될 수 있다. 멀티호밍 인터페이스(958)과 MHF(972) 사이의 메시지들의 전달은 언어 특정적 또는 언어 독립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또는 기타 프로토콜로서 이행될 수 있다. [표 1]과 [표 2]는 Shim6 기능을 이행하는 MHF(972)과 MIH 기능을 이행하는 MMF(906) 사이의 통신을 기술하는 예시적인 API를 도시한다.
MMF 에서 수신된 메시지 MMF 로부터 MHF 에 보내진 메시지
MIH_Link_Going_Down Shim6_Link_Going_Down
MIH_Link_Down Shim6_Link_Down
MIH_Link_Detected Shim6_Link_Detected
MIH_Link_Up Shim6_Link_Up
N/A Shim6_Register
[표 1]의"MMF에서 수신된 메시지" 열은 MMF(906)에서 수신될 수 있고 멀티호밍 인터페이스(958)에 제공될 수 있는 MIH 메시지들을 표시한다. 멀티호밍 인터페이스(958)는 MIH 메시지를 수신하고, "MMF로부터 MHF에 보내진 메시지" 열에서 대응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며, 생성된 메시지를 MMF(906)에 전달한다. MIH 메시지들은 MIH_LINK_SAP, MIH_NET_SAP, 또는 MIH_SAP과 같은 SAP, 또는 이와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MMF(906)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Shim6_Link_Going_Down 메시지에 응답하여, MHF(972)는 이 메시지가 현재의 활성 링크에 관한 것인지를 분석한다. 만약 메시지가 현재의 활성 링크에 관한 것이라면, MHF(972)는 로케이터 쌍 탐사 프로시저의 트리거를 즉시 가속화하기 위해 타이머 파라미터들을 조정할 수 있다. 만약 링크가 다운중이라는 높은 확신도를 메시지가 표시하면, MHF(972)는 킵얼라이브 타이머를 중단시킬 수 있고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즉시 보낼 수 있다. 만약 링크가 다운중이라는 낮은 확신도를 메시지가 표시하면, MHF(972)는 킵얼라이브 타이머를 타이머 값의 절반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만약 메시지에서 기술된 링크가 현재의 활성 링크가 아니라면, MHF(972)는 로케이터 쌍 탐사를 위한 고려에서 이 링크를 제거한다. Shim6_Link_Down 메시지에 응답하여, MHF(972)는 로케이터 쌍 탐사 프로시저를 즉시 시작한다. Shim6_Link_Detected 메시지에 응답하여, MHF(972)는 로케이터 쌍 탐사 프로시저를 위한 높은 우선순위의 후보자로서 새로운 링크를 추가한다. 만약 현재의 활성 링크가 문제를 겪고 있다면, MHF(972)는 즉시 새로운 IP 링크를 구축할 것을 시도할 수 있다. 현재의 활성 링크가 문제를 겪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MHF(972)는 하나 이상의 QoS 파라미터들을 분석할 수 있고, 및/또는 하나 이상의 QoS 파라미터들을 문턱값과 비교할 수 있다. Shim6_Link_Up 메시지에 응답하여, MHF(972)는 로케이터 쌍 탐사 프로시저를 시작한다. Shim6_Register 메시지는 MIH 메시지에 응답하여 생성되지 않지만, MMF(906)과 MHF(972)간의 통신을 구축하기 위해 MMF(906)가 활성화될 때에는 생성된다. 이 Shim6_Register 메시지는 MHF(972)가 MMF(906)와의 통신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Shim6_Register 메시지에 응답하여, MHF(972)는 MMF(906)에서 콜백 기능을 호출할 수 있다.
[표 2]는 예시적인 API에 따라 MHF(972)로부터 멀티호밍 인터페이스(958)에 보내질 수 있는 메시지들을 도시한다.
MHF 에서의 이벤트 MHF 로부터 MMF 로 보내진 메시지
MHF가 추가적인 통신 자원들이 필요하다고 결정한다 Shim6_LinkUpReq
MHF가 MMF로부터 등록해제할 것을 결정한다 Shim6_Unregister
MHF가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한다 Shim6_Unregister
"MHF에서의 이벤트" 열은 MHF(972)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들을 기술한다. 이러한 이벤트들에 응답하여, MHF(972)는 "MHF로부터 MMF로 보내진 메시지" 열에서 대응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를 멀티호밍 인터페이스(958)에 전달한다.
MHF(972)는, 이용가능한 대역폭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새로운 IP 어드레스 및/또는 새로운 무선 인터페이스와 같은) 추가적인 통신 자원들이 필요하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Shim6_LinkUpReq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Shim6_LinkUpReq 메시지에 응답하여, MMF(906)는 비활성 무선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이것을 턴온시킬 수 있다. 양자택일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MMF(906)는 WTRU(900)를 위한 새로운 IP 어드레스의 할당을 개시할 수 있다. MMF(906)는, 예컨대 매체 의존적 MIH_LINK_SAP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추가적인 무선 인터페이스들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하위층 링크층 컴포넌트들과 통신할 수 있다. MMF(906)는 비활성 무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예컨대, MIH Link_Action.request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MHF(972)가 MMF(906)로부터 등록해제할 것을 결정하거나 또는 MMF(906)에서 에러가 발생할 때, MHF(972)는 Shim6_Unregister 메시지를 멀티호밍 인터페이스(958)에 전달할 수 있다. Shim6_Unregister 메시지에 응답하여, MMF(906)는 MHF(972)에 대응하는 어떠한 엔트리들 또는 기타의 데이터를 삭제하여, MMF(906)와 MHF(972) 간의 통신을 종결시킨다.
도 10은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특징들 및 엘리먼트들을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50)을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050)은 제1 RAT을 이행하는 제1 기지국(base station; BS)(1030)과 통신할 수 있고, 제2 RAT을 이행하는 제2 기지국(1040)과 통신할 수 있는 WTRU(1000)를 포함한다.
WTRU(1000)는 제1 송신기(1008), 제1 수신기(1002), 및 제1 안테나(1004)와 통신하는 프로세서(1006)를 포함한다. 제1 송신기(1008), 제1 수신기(1002), 및 제1 안테나(1004)는 제1 RAT을 이행하도록 구성가능하다. 프로세서(1006)는 또한 제2 송신기(1018), 제2 수신기(1012), 및 제2 안테나(1014)와 통신한다. 제2 송신기(1018), 제2 수신기(1012), 및 제2 안테나(1014)는 제2 RAT을 이행하도록 구성가능하다. 프로세서(1006)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메시지들 및 신호들을 생성하고, 인코딩하며, 디코딩하도록 구성가능하며, 멀티호밍 기능부(미도시) 및 이동성 관리 기능부(미도시)로 하여금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기능을 이행하도록 지시하고 및/또는 작동시키도록 구성가능하다. 송신기들(1008, 1018) 및 수신기들(1002, 1012)은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메시지들과 신호들을 각각 송신하고 수신하도록 구성가능하다. 제1 송신기(1008) 및 제1 수신기(1002)는 트랜스시버로서 구현될 수 있고, 및/또는 제2 송신기(1018) 및 제2 수신기(1012)는 트랜스시버로서 구현될 수 있다. WTRU(1000)는 또한 추가적인 다양한 RAT들에 따라 통신할 수 있는 프로세서(1006)와 통신하는 추가적인 트랜스시버들(미도시) 및/또는 송신기/수신기 쌍(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양자택일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WTRU(1000)는 프로세서(1006)와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트랜스시버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하나 이상의 트랜스시버들 각각은 트랜스시버 당 하나 보다 많은 RAT을 이용하여 통신가능하다.
제1 기지국(1030)은 송신기(1038), 수신기(1032), 및 안테나(1034)와 통신하는 프로세서(1036)를 포함한다. 제2 기지국(1040)은 송신기(1048), 수신기(1042), 및 안테나(1044)와 통신하는 프로세서(1046)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들(1036, 1046)은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메시지들과 신호들을 생성하고, 인코딩하며, 디코딩하도록 구성가능하다. 송신기들(1038, 1048) 및 수신기들(1032, 1042)은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메시지들과 신호들을 각각 송신하고 수신하도록 구성가능하다. 제1 기지국(1030) 및/또는 제2 기지국(1040)은 원격 MIHF(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양자택일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1 기지국(1030) 및/또는 제2 기지국(1040)은, 제1 기지국(1030) 및/또는 제2 기지국(1040)이 접속되어 있는 코어 네트워크내의 네트워크 노드에서 구현된 원격 MIHF 및 WTRU(1000)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WTRU(1000) 및 기지국들(1030, 1040)에서 구현될 수 있는 RAT들은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다음과 같은 기술들을 포함한다: 전기전자공학회(IEEE)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802.11x;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CDMA2000); 유니버셜 이동 원격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UMTS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UTRAN);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GSM 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GERAN); 무선 브로드밴드(Wireless Broadband; WiBro);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진화된 UTRAN(EUTRAN); 및 LTE 어드밴스드.
실시예들
1.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에서 이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성 관리 기능부가 멀티호밍 기능부와 통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2. 실시예 1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에게 링크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3. 실시예 2에 있어서, 상기 링크 상태 정보는, 링크 상황들이 저하중에 있다는 것; 링크 접속이 손실될 수 있다는 것; 하나 이상의 새로운 링크들이 발견되었다는 것; 하나 이상의 링크들이 파손되었다는 것; 링크 퀄리티 정보; 서비스 퀄리티(Quality of Service; QoS) 정보; 및 데이터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4.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3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상기 링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링크 장애 검출에 이용된 하나 이상의 타이머 파라미터들의 지속기간을 수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5.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상기 링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링크 장애 검출에 이용된 하나 이상의 타이머 파라미터들의 지속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6.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5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상기 링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링크 장애 검출에 이용된 하나 이상의 타이머 파라미터들의 지속기간을 연장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7.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6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타이머 파라미터들은 킵얼라이브(keepalive) 타이머 또는 송신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8.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7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상기 링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링크 후보자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9. 실시예 8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상기 수정된 링크 후보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로 탐사 또는 링크 구축 프로시저를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10. 실시예 9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사 또는 링크 구축 프로시저는 Shim6 로케이터 쌍 탐사 프로시저인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11.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10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 상태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경로 탐사 또는 링크 구축 프로시저를 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12.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자원 요건 메시지를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에 보내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13.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자원 요건 메시지는 링크상의 대역폭이 증가되어야 한다는 것, 새로운 IP 어드레스가 필요하다는 것, 새로운 무선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는 것, 또는 현재의 링크 상황이 QoS 요건을 지원하지 않는다라는 것을 표시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14. 실시예 12 또는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자원 요건 메시지는 요청 또는 명령인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15. 실시예 12 내지 실시예 14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원 요건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가 무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16. 실시예 15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는 MIH_LINK_SAP를 통해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17. 실시예 15 또는 실시예 16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상기 활성화된 링크를 포함하도록 링크 후보자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18. 실시예 15 내지 실시예 17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하나 이상의 링크들이 고려되는 경로 탐사 또는 링크 구축 프로시저를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19.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8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가 MIH_Link_Going_Down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 및 상기 MIH_Link_Going_Down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는 Shim6_Link_Going_Down 메시지를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에 전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20.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9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him6_Link_Going_Down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로케이터 쌍 탐사 프로시저에서 이용된 하나 이상의 타이머 파라미터 값들을 수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21. 실시예 20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는 상기 Shim6_Link_Going_Down 메시지와 연계되거나 또는 상기 Shim6_Link_Going_Down 메시지내에 포함된 확신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타이머 파라미터 값들을 수정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22. 실시예 19 내지 실시예 21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상기 Shim6_Link_Going_Down 메시지에 기초하여 킵얼라이브 타이머 값을 감소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23. 실시예 19 내지 실시예 22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him6_Link_Going_Down 메시지에서 표시된 링크가 다운중에 있다라는 높은 확신도를 표시하는 파라미터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킵얼라이브 타이머 값을 제로로 감소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24. 실시예 19 내지 실시예 23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him6_Link_Going_Down 메시지에서 표시된 링크가 다운중에 있다라는 높은 확신도를 표시하는 파라미터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킵얼라이브 타이머 값을 절반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25. 실시예 19 내지 실시예 24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him6_Link_Going_Down 메시지가 현재의 활성 링크와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26. 실시예 19 내지 실시예 25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him6_Link_Going_Down 메시지가 현재의 활성 링크와 관련이 있다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하나 이상의 타이머 파라미터 값들을 수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27. 실시예 19 내지 실시예 26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상기 Shim6_Link_Going_Down 메시지에 기초하여 링크 후보자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28. 실시예 27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링크 후보자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은 상기 Shim6_Link_Going_Down 메시지가 현재의 활성 링크와 관련이 없다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29. 실시예 19 내지 실시예 28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상기 Shim6_Link_Going_Down 메시지에서 표시된 링크를 로케이터 쌍 탐사 프로시저를 위한 고려에서 삭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30.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9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가 MIH_Link_Down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 및 상기 MIH_Link_Down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가 Shim6_Link_Down 메시지를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에 전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31. 실시예 30에 있어서, 상기 Shim6_Link_Down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로케이터 쌍 탐사 프로시저를 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32.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1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가 MIH_Link_Detected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 및 상기 MIH_Link_Detected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가 Shim6_Link_Detected 메시지를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에 전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33.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상기 Shim6_Link_Detected 메시지에서 표시된 링크를 포함하도록 링크 후보자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34. 실시예 32 또는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상기 Shim6_Link_Detected 메시지에서 표시된 링크를 로케이터 쌍 탐사 프로시저를 위한 높은 우선순위 후보자로서 추가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35. 실시예 32 내지 실시예 34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him6_Link_Detected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로케이터 쌍 탐사 프로시저를 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36.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적어도 하나의 QoS 파라미터를 분석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QoS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로케이터 쌍 탐사 프로시저를 개시할 것을 결정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37.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6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가 MIH_Link_Up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 및 상기 MIH_Link_Up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가 Shim6_Link_Up 메시지를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에 전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38. 실시예 37에 있어서, 상기 Shim6_Link_Up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로케이터 쌍 탐사 프로시저를 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39.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8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추가적인 통신 자원들이 필요하다고 결정하는 것; 및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Shim6_LinkUpReq 메시지를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에 전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40. 실시예 39에 있어서, 상기 Shim6_LinkUpReq 메시지는 새로운 IP 어드레스 또는 새로운 무선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라고 표시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41. 실시예 39 또는 실시예 40에 있어서, 상기 Shim6_LinkUpReq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가 무선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를 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42.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가 MIH 메시지 또는 프리미티브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를 개시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43. 실시예 41 또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가 MIH Link_Action.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를 개시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44. 실시예 39 내지 실시예 43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him6_LinkUpReq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가 상기 WTRU를 위한 새로운 IP 어드레스의 할당을 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45.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4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 및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가 언어 특정 또는 언어 독립적 API 또는 기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46.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5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가 MIH 기능을 이행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47.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6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Shim6 기능을 이행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48.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7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방법을 이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송수신 유닛(WTRU).
49. 실시예 48에 있어서, 상기 WTRU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50. 실시예 48 또는 실시예 49에 있어서, 상기 WTRU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시버는 두 개 이상의 RAT들을 이용하여 통신가능한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51. 실시예 48 내지 실시예 50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WTRU는 적어도 하나의 단일 모드 트랜스시버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52. 실시예 48 내지 실시예 51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WTRU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 모드 트랜스시버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53. 실시예 48 내지 실시예 52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WTRU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54.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 기능;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기능; 기지국 제어기(BSC) 기능; MIH 서버 기능;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Packet Data Gateway; PDG)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이행하는 것인, 네트워크 노드.
55. 실시예 48 내지 실시예 52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WTRU와, 실시예 53 또는 실시예 54의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본 발명의 특징부 및 구성요소들이 특정한 조합형태로 상술되었지만, 상술한 각 특징부 또는 구성요소들은 다른 특징부 및 구성요소들없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특징부 및 구성요소들과 함께하거나 또는 일부를 배제하는 다양한 조합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들 및 특징들의 서브 엘리먼트들은, 임의의 조합 또는 서브 조합으로, (동시적인 방식을 포함하여) 임의적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특징들 및 엘리먼트들은 범용 컴퓨터, 특정 목적용 컴퓨팅 또는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 및/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적절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레지스터, 캐시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또는 기타의 RA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매체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또는 블루 레이 디스크(BD)와 같은 광학 매체, 또는 이와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가 포함되나, 이러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프로세서에는 단일 코어 또는 멀티 코어 범용 프로세서, 특수 목적용 프로세서, 통상의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하나 이상의 응용 특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하나 이상의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회로, 및 집적 회로(IC), 시스템 온 칩(system-on-a-chip; SOC), 및 상태 머신(state machine)이 포함되나, 이러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멀티호밍 기능부 및 이동성 관리 기능부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적절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에는, 예로서, 실행가능 프로그램, 펑션, 메쏘드 콜, 프로시저, 루틴 또는 서브루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 스크립트 또는 매크로, 오브젝트, 또는 데이터 구조가 포함된다.
소프트웨어와 연계되는 프로세서가 무선 송수신 유닛(WTRU), 사용자 장비(UE), 단말기, 기지국,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또는 임의의 호스트 컴퓨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트랜스시버를 구현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WTRU는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모듈, 비디오폰, 스피커폰, 진동 장치, 스피커, 마이크로폰, 텔레비젼 트랜스시버, 핸드프리 헤드셋, 키보드, 블루투스R 모듈, 주파수 변조(FM) 무선 유닛, 액정 디스플레이(LCD) 디스플레이 유닛,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유닛,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 미디어 플레이어, 비디오 게임 플레이어 모듈, 인터넷 브라우저, 및/또는 임의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모듈 또는 광대역(UWB) 모듈과 같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모듈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190: 호스트 A, 106: 인터넷
192: 호스트 B, 404: MIH 유저들
590: 이동성 관리 기능부, 592, 594: 멀티호밍 기능부
690: 이동성 관리 기능부, 692, 694: 멀티호밍 기능부
790: 이동성 관리 기능부, 792, 794: 멀티호밍 기능부
890: 호스트 A, 802: 이동성 관리 기능부
806: 상위층들, 808, 842: 멀티호밍 기능부
828: 인터넷, 892: 호스트 B
908: 상위층 프로토콜들, 962: VCC 클라이언트
966: 전송층, 972: 멀티호밍 기능부
906: 이동성 관리 기능부, 950: VCC 인터페이스
952: SIP 인터페이스, 954: 전송층 인터페이스
956: MIP 인터페이스, 958: 멀티호밍 인터페이스
940: 이동성 정책, 930: RAT1 인터페이스
932: RAT2 인터페이스, 934: RAT3 인터페이스
936: RAT4 인터페이스, 976: 네트워크 접속 제어기
978: 유저 인터페이스, 920: RAT1 드라이버
910: RAT1 스택, 1006, 1046, 1036: 프로세서

Claims (20)

  1.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에 있어서, 제1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이행하도록 구성된 제1 링크층 컴포넌트; 제2 무선 액세스 기술(RAT)을 이행하도록 구성된 제2 링크층 컴포넌트; 멀티호밍 기능부; 및 상기 제1 링크층 컴포넌트로부터 링크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링크 상태 정보를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1 링크층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링크층 컴포넌트와 통신하는 이동성 관리 기능부를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는 링크에 대한 상황들이 저하(degrade)중에 있다라고 표시하는 상기 링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링크 장애 검출 타이머 파라미터의 지속기간을 단축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는 링크에 대한 상황들이 저하중에 있다라고 표시하는 상기 링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에서 경로 탐사 후보자들의 리스트로부터 링크를 삭제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는 또한 현재의 활성 링크가 다운(down)중에 있다라고 표시하는 상기 링크 상태 정보에 응답하여 경로 탐사 프로시저를 개시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는 또한 새로운 링크가 발견되었다라고 표시하는 상기 링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탐사 후보자들의 리스트에 상기 새로운 링크를 추가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는 또한 링크가 이용가능하다라고 표시하는 상기 링크 상태 정보에 응답하여 경로 탐사 프로시저를 개시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는 IEEE 매체 독립 핸드오버(Media Independent Handover; MIH)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는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 Shim6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9.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 이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성 관리 기능부가 링크 상태 정보를 링크층 컴포넌트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가 상기 링크 상태 정보를 멀티호밍 기능부에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링크에 대한 상황들이 저하중에 있다라고 표시하는 상기 링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링크 장애 검출 타이머 파라미터의 지속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링크에 대한 상황들이 저하중에 있다라고 표시하는 상기 링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탐사 후보자들의 리스트로부터 링크를 삭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현재의 활성 링크가 다운(down)중에 있다라고 표시하는 상기 링크 상태 정보에 응답하여 경로 탐사 프로시저를 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새로운 링크가 발견되었다라고 표시하는 상기 링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탐사 후보자들의 리스트에 상기 새로운 링크를 추가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가, 링크가 이용가능하다라고 표시하는 상기 링크 상태 정보에 응답하여 경로 탐사 프로시저를 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는 IEEE 매체 독립 핸드오버(MIH)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는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 Shim6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이행 방법.
  17.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 있어서, 제1 무선 액세스 기술(RAT)을 이행하도록 구성된 제1 링크층 컴포넌트; 제2 무선 액세스 기술(RAT)을 이행하도록 구성된 제2 링크층 컴포넌트; 상기 제1 링크층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링크층 컴포넌트와 통신하는 이동성 관리 기능부; 및 자원 요건 메시지를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멀티호밍 기능부를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요건 메시지는, 새로운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어드레스가 필요하다라고 표시하거나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라고 표시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리 기능부는 상기 자원 요건 메시지에 응답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호밍 기능부는 또한 상기 자원 요건 메시지에 응답하여 경로 탐사 프로시저를 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경로 탐사 프로시저는 상기 활성화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적어도 하나의 경로의 탐사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KR1020117007122A 2008-08-29 2009-06-12 다중 무선기들을 갖춘 디바이스들을 위한 ip 이동성 KR201100472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299008P 2008-08-29 2008-08-29
US61/092,990 2008-08-29
PCT/US2009/047177 WO2010024961A1 (en) 2008-08-29 2009-06-12 Ip mobility for devices with multiple radio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266A true KR20110047266A (ko) 2011-05-06

Family

ID=41066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122A KR20110047266A (ko) 2008-08-29 2009-06-12 다중 무선기들을 갖춘 디바이스들을 위한 ip 이동성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259592B2 (ko)
EP (1) EP2329679A1 (ko)
JP (1) JP2012501582A (ko)
KR (1) KR20110047266A (ko)
CN (1) CN102138362A (ko)
AR (1) AR073146A1 (ko)
AU (1) AU2009286054A1 (ko)
TW (1) TW201010489A (ko)
WO (1) WO2010024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08334B1 (en) * 2007-10-26 2012-12-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home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AU2009286054A1 (en) * 2008-08-29 2010-03-0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IP mobility for devices with multiple radios
EP2178265B1 (en) * 2008-10-17 2013-09-04 Alcatel Lucent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IP
US9025531B2 (en) 2011-03-04 2015-05-05 Blackberry Limited Mobile device driven information exchange
CN102685768B (zh) * 2011-03-08 2016-02-03 华为技术有限公司 心跳消息的处理方法、心跳周期的获取方法及接入网设备
WO2012138760A1 (en) * 2011-04-04 2012-10-1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elected ip traffic offload and local ip access
US8787159B2 (en) * 2011-04-14 2014-07-22 Alcatel Lucent Mechanism for wireless access networks to throttle traffic during congestion
EP2702790B1 (en) * 2011-04-27 2016-11-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measurement result
US8848540B2 (en) * 2011-08-02 2014-09-30 Infosys Limited Estimating multimedia data packet buffering time streamed over a selected wireless network
CN102932820A (zh) * 2011-08-09 2013-02-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链路处理方法、装置和系统
US9231850B2 (en) * 2012-02-21 2016-01-05 Cisco Technology, Inc. Keepalive mechanism to maintain links in a lossy environment
JP5983073B2 (ja) 2012-06-15 2016-08-3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628377B2 (en) * 2013-02-27 2017-04-18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Method for link failure detection and session transfer to a lively link in the multihoming environment of ID/locator split-based networks
US10313913B2 (en) * 2013-05-09 2019-06-04 Qualcomm Incorporated Overload control and supervision for wireless devices
US9769058B2 (en) 2013-05-17 2017-09-19 Ciena Corporation Resilient dual-homed data network hand-off
US10455490B2 (en) * 2013-12-19 2019-10-2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Network access through a second wireless network
US10098181B2 (en) 2014-03-19 2018-10-09 Apple Inc. Selecting a radio access technology mode based on current conditions
JP6599886B2 (ja) * 2014-11-11 2019-10-30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端末装置の通信制御方法、コアネットワーク内の制御装置及びコアネットワークの通信制御方法
CN110557848B (zh) * 2018-06-01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3984B1 (en) 2001-12-19 2009-01-27 Boingo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networks by a mobile device
US7567503B2 (en) * 2002-12-26 2009-07-28 Panasonic Corporation Mobile network control device and mobile network control method
US7472200B1 (en) * 2003-12-03 2008-12-30 Cisco Technology, Inc. Arrangement in a multi-homed transport endpoint for selecting a source address based on source-destination address pair metrics
JP2005250626A (ja) * 2004-03-02 2005-09-15 Hitachi Ltd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8526463B2 (en) * 2005-06-01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to support data applications in a multi-homing,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
US7706281B2 (en) * 2006-01-06 2010-04-27 Cisco Technology, Inc. Selecting paths in multi-homed transport-layer network associations
AU2009286054A1 (en) * 2008-08-29 2010-03-0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IP mobility for devices with multiple radio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59592B2 (en) 2012-09-04
EP2329679A1 (en) 2011-06-08
JP2012501582A (ja) 2012-01-19
TW201010489A (en) 2010-03-01
CN102138362A (zh) 2011-07-27
WO2010024961A1 (en) 2010-03-04
AU2009286054A1 (en) 2010-03-04
US20100054135A1 (en) 2010-03-04
AR073146A1 (es)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7266A (ko) 다중 무선기들을 갖춘 디바이스들을 위한 ip 이동성
JP5089777B2 (ja) マルチモードクライアントのセッション連続性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電話会議の方法
KR101213545B1 (ko) 액세스 시스템들 사이의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4988921B2 (ja) 回線交換ドメインからパケット交換ドメイン上の回線交換サービスへのハンドオーバ
US8867486B2 (en)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employing IP flow mobility
KR100970310B1 (ko) 패킷 카피-및-포워드를 이용하여 핸드오프 동안 패킷의손실 방지
TWI434583B (zh) 無線通訊系統中處理交遞中的呼叫的方法及其無線通訊裝置
Ferretti et al. A survey on handover management in mobility architectures
KR102293707B1 (ko) 전송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20102118A (ko) 소스 및 타겟 액세스 시스템들 사이에서의 터널링을 구현하는 시스템-간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들, 장치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들
CA25951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 transfer across heterogeneous networks
EP3099111B1 (en)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US8665818B2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anchoring of circuit-switched calls
KR101617610B1 (ko) 네트워크-기반 ip 이동성을 지원하는 다중-액세스 모바일 통신 시스템 내의 트래픽 오프로드
US20140079023A1 (en) Method of Internet Protocol (IP) to IP handover
US11950128B2 (en) Edge offloading in a mobile network having a converged core architecture
KR101323016B1 (ko) 신속한 확립전-단절 매체 독립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RU2608594C2 (ru) Bss-извлеченная информация для cs-ps srvcc
Chang et al. Timed PR-SCTP for Fast Voice/Video over IP in Wired/Wireless Environments.
Angoma et al. A vertical handoff implementation in a real testbed
Trossen et al. Seamless mobile applications across heterogeneous Internet access
Park et al. P2P-based mobility management protocol for global seamless handover i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Tang et al. Cross-layer handover scheme for multimedia communications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s
Queiroz et al. Analysis of the integration of WiMAX and cellular networks
KR20220050089A (ko) 전송 계층에서 네트워크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