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6952A - 틸팅이 가능한 탈것 - Google Patents

틸팅이 가능한 탈것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6952A
KR20110046952A KR1020090103679A KR20090103679A KR20110046952A KR 20110046952 A KR20110046952 A KR 20110046952A KR 1020090103679 A KR1020090103679 A KR 1020090103679A KR 20090103679 A KR20090103679 A KR 20090103679A KR 20110046952 A KR20110046952 A KR 20110046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ilting
parallel link
tilting shaf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준
Original Assignee
박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준 filed Critical 박찬준
Priority to KR1020090103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6952A/ko
Publication of KR20110046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9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6Frames for 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틸팅이 가능한 탈것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단부에 핸들이 형성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핸들축, 핸들축의 하단에 구비되고, 페달의 회전에 의해 앞바퀴를 회전시켜 이동시키는 구동부, 핸들축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형성되되, 핸들축이 축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틸팅축, 틸팅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시트부, 틸팅축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시트부 및 틸팅축의 자유회전을 단속하고, 틸팅축의 회전력을 양단 후측으로 전달시키는 패러렐 링크부, 및 패러렐 링크부의 양단 후측에 각각 구비되어 전달되는 회전에 의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하측에 뒷바퀴가 각각 구비된 뒷바퀴 회전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핸들축을 일측으로 기울이면 틸팅축이 일측으로 회전되고, 이 틸팅축의 회전력이 패러렐 링크부에 의해 회전축을 일측으로 회전시켜 뒷바퀴가 기울어짐에 따라 탑승자가 중력 및 원심력에 의해 중심을 잃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한 쌍의 뒷바퀴가 노면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감을 부여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탈것, 자전거, 세발, 삼륜, 3륜, 선회, 틸팅, 카빙

Description

틸팅이 가능한 탈것{Tilting vehicle}
본 발명은 탈것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지 및 저속 주행시에는 핸들축과 시트부의 틸팅을 방지하고 주행중 선회시나 주행 방향에 대해 좌우로 경사진 뱅크(bank) 상의 주행시에는 핸들축과 시트부의 틸팅을 가능하게 해주는 패러렐 링크부를 구비하여 탑승자가 중력이나 원심력에 의해 중심을 잃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한 쌍의 뒷바퀴에 의해 미끄러운 노면에서도 쓰러지지 않는 안정성을 유지함으로써 정지와 주행시를 막론하여 탈것이 쓰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틸팅이 가능한 탈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전기 스쿠터, 모터 사이클 등 바퀴가 두 개인 탈것은 주행중 선회시나 주행 방향에 대해 좌우로 기울어진 뱅크(bank) 상의 주행시에 틸팅이 가능하여 원심력이나 중력에 의해 쓰러지지 않는 안정성을 지니고 있다. 반면에 이러한 두 바퀴의 탈것은 정지시나 저속 주행시나 미끄러운 노면에서의 주행시에는 쉽게 쓰러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앞바퀴나 뒷바퀴를 두 개로 하되 틸팅은 불가능한 탈것이 개발되어 사용되 고 있는데, 이러한 탈것들은 두 바퀴의 폭을 충분히 크게 하지 않으면 주행중 선회시나 뱅크(bank) 주행시에 원심력이나 중력에 의해 쓰러지기 쉬운 단점이 있다.
앞바퀴나 뒷바퀴가 두 개이고 틸팅도 가능한 탈것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대부분 그 틸팅 메카니즘이 복잡하거나 크거나 무겁거나 고가이거나 주행 속도에 따른 틸팅의 제어가 원활치 않다. 때문에 특히 자전거의 경우에는 3륜이면서 틸팅이 가능한 것의 대중적 보급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핸들축과 틸팅축, 뒷바퀴 회전축 및 시트부가 패러렐 링크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비하여 정지나 저속 주행시에는 틸팅이 쉽게 일어날 수 없도록 하여 탑승자가 중력에 의해 중심을 잃는 것을 방지하고, 주행중 선회시나 주행 방향에 대해 좌우로 기울어진 뱅크(bank) 상의 주행시에는 탑승자가 핸들축과 자신의 무게 중심을 한쪽으로 기울임에 따라 틸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한 쌍의 뒷바퀴에 의해 미끄러운 노면에서도 쓰러지지 않는 안정성을 유지함으로써 정지와 주행시를 막론하여 쓰러지지 않는 틸팅이 가능한 탈것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상단부에 핸들이 형성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핸들축, 상기 핸들축의 하단에 구비되고, 페달의 회전에 의해 앞바퀴를 회전시켜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핸들축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형성되되, 상기 핸들축이 축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틸팅축, 상기 틸팅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시트부, 상기 틸팅축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부 및 핸들축와 틸팅축의 자유회전을 단속하고, 상기 틸팅축의 회전력을 양단 후측으로 전달시키는 패러렐 링크부, 및 상기 패러렐 링크부의 양단 후측에 각 각 구비되어 전달되는 회전에 의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하측에 뒷바퀴가 각각 구비된 뒷바퀴 회전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핸들축을 일측으로 기울이면 상기 틸팅축이 일측으로 회전되고, 이 틸팅축의 회전력이 상기 패러렐 링크부에 의해 회전축을 일측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뒷바퀴가 기울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부는, 상기 앞바퀴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전기나 연료에 의해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부는, 시트, 일단이 상기 시트의 하측으로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틸팅축의 전단부에 위치되는 시트프레임, 상기 시트프레임의 중간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틸팅축의 후단부에 위치되는 리프팅프레임, 상기 틸팅축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그 축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고, 상기 시트프레임의 타단과 리프팅프레임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 중 후단부에 설치된 연결부재를 상기 패러렐 링크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패러렐 링크부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 중앙부에 상기 틸팅축이 설치되는 제1설치공과 후면 양단부에 상기 뒷바퀴 회전축이 각각 설치되는 제2설치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설치공을 기준으로 전면 중앙 양측 하단부에 가이드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진 패러렐 링크 케이스, 및 상기 패러렐 링크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틸팅축의 회전력을 상기 뒷바퀴 회전축으로 전달시키는 패러렐 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의 상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되, 상기 틸팅축의 중심축 선을 따라 직경방향의 면을 갖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러렐 링크는, 상기 틸팅축과 연결되어 동일하게 회전되는 제1회전판, 상기 제1회전판의 양측에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뒷바퀴 회전축과 연결되어 동일하게 회전되는 제2회전판, 및 상기 제1회전판과 한 쌍의 제2회전판에 각각 연결되어 제1회전판의 회전력을 제2회전판에 전달시키는 다수의 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판에는 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전면 상단부가 돌출 형성되되, 그 양측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틸팅축과 동일하게 회전되면서 상기 핸들축과 틸팅축을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측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되, 상기 틸팅축의 중심축 선을 따라 직경방향의 면을 갖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 탈것에 의하면, 핸들축과 틸팅축, 시트부, 뒷바퀴 회전축이 패러렐 링크부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어서 정지나 저속 주행시에는 틸팅이 쉽게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탑승자가 중력에 의해 중심을 잃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주행중 선회시나 주행 방향에 대해 좌우로 기울어진 뱅크(bank) 주행시에는 틸팅이 가능하며, 한 쌍의 뒷바퀴에 의해 미끄러운 노면에서도 쓰러지지 않는 안정성을 유지함으로써 정 지와 주행시를 막론하여 탈것이 쓰러지지 않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이 가능한 탈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이 가능한 탈것의 분리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이 가능한 탈것의 패러렐 링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이 가능한 탈것의 패러렐 링크부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이 가능한 탈것의 패러렐 링크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이 가능한 탈것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이 가능한 탈것의 뱅크주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틸팅이 가능한 탈것(10)은 핸들축(100)과 구동부(200), 틸팅축(300), 시트부(400), 패러렐 링크부(500) 및 뒷바퀴 회전축(600)으로 구성된다.
핸들축(100)은 상단부에 핸들(110)이 형성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하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구동부(200)는 핸들축(100)의 하단에 구비되고, 페달(210)의 회전에 의해 앞바퀴(220)를 회전시켜 이동시키는 것으로, 핸들축(100)과 고정되어 그 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하게 회전되고,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지게 구비된다.
이때, 구동부(200)는 탑승자가 직접 페달(210)을 회전시켜 앞바퀴(220)를 회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구동수단(230)이 더 구비되어 앞바퀴(220)를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수단(230)은 전기나 연료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별도의 배터리나 연료통이 구비되어 구동수단(230)에 전기나 연료를 공급하게 된다.
이 구동수단(230)의 실시 예로 모터나 엔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동부(200)를 비롯한 틸팅축(300)이나 핸들축(100) 등 설치 가능한 곳이면 어디든지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배터리와 연료통 역시 어디든지 설치됨이 당연하다.
또한 구동수단(230)에 의해 앞바퀴(220)가 자동으로 회전될 경우, 페달(210)은 회전되지 않아 탑승자가 발을 놓을 수 있음이 당연하다.
틸팅축(300)은 핸들축(100)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형성되되, 핸들축(100)이 축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구동부(200)의 상측에 구비된다.
이는, 틸팅축(300)이 탈것(10)의 기본 골격임에 따라 이 틸팅축(300)의 전단부에서 핸들축(100)이 회전되어 조향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시트부(400)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틸팅축(3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는, 주행 중 일방향으로 선회할 경우, 틸팅축(300)이 핸들축(100)과 함께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시트부(400)에 지장을 받지않고, 틸팅축(300)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일 수 있게 된다.
패러렐 링크부(500)는 틸팅축(300)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시트부(400)의 자유회전을 단속하고, 틸팅축(300)의 회전력을 양단 후측으로 전달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패러렐 링크부(500)는 시트부(400)가 틸팅축(300)에서 자유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시트부(400)의 후측 하단부를 단속하는 것으로, 이는 탑승자가 정지시나 저속 주행 시, 일측 또는 타측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패러렐 링크부(500)는 핸들축(100)과 틸팅축(300)이 패러렐 링크 케이스(510)에 대해 자유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틸팅축(300) 후단부를 단속하는 것으로, 이는 정지시나 저속 주행시에 앞바퀴(220)와 두 개의 뒷바퀴(61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패러렐 링크부(500)는 틸팅축(300)의 회전력을 양측으로 분리하여 동일하게 전달하는 것으로, 한 쌍으로 구비되는 뒷바퀴 회전축(600)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뒷바퀴 회전축(600)은 하측에 뒷바퀴(610)가 구비되고, 패러렐 링크부(500)의 양단 후측에 각각 구비되어 전달되는 회전에 의해 그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이는, 핸들축(100)과 틸팅축(300)이 기울어지는 경사와 동일하게 뒷바퀴 회전축(600)을 기울임에 따라 뒷바퀴(610)가 기울어져 원심력에 대응함에 따라 안정 적으로 선회하거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기울어진 뱅크(bank) 상을 주행을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틸팅이 가능한 탈것(10)의 작동을 살펴보면, 선회하거나 뱅크 상을 주행하기 위해 핸들축(100)을 일측으로 기울여 앞바퀴(220)를 이동방향으로 기울이게 되어 원심력에 대응할 수 있고, 이 핸들축(100)의 기울임에 의해 틸팅축(300)이 일측으로 회전된다.
이 틸팅축(300)의 회전은 회전력을 패러렐 링크부(500)에 전달하고, 패러렐 링크부(500) 회전력을 양측으로 전달하여 각 뒷바퀴 회전축(600)을 회전시킴에 따라 각 뒷바퀴(610)가 앞바퀴(220)와 동일하게 기울어져 선회 시, 탈것을 쓰러뜨리려는 원심력을 상쇄시키며 안정적으로 선회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패러렐 링크부(500)는 시트부(400)의 자유회전이나 핸들축(100)과 틸팅축(300)의 자유회전을 방지하게 되어 있으나, 탑승자가 틸팅을 하고자 하여 핸들축을 일측으로 기울임과 동시에 시트(410) 상에서 자신의 무게 중심을 같은 측으로 이동시키면 즉각적으로 쉽게 틸팅이 일어나게 된다.
이는 일차적으로는 핸들(110)로부터 지면까지의 길이가 핸들축(100)과 틸팅축(300)이 결합되는 지점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핸들축(100)을 일측으로 기울일 때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틸팅이 용이하게 일어나는 것이다.
이차적으로는 탑승자가 핸들축(100)을 일측으로 기울이되 시트(410) 상에서 자신의 무게 중심을 같은 측으로 이동시키지 않거나, 반대로 무게 중심만 이동시키 고 핸들축(100)을 기울이지 않으면, 제1회전판(522) 상의 가이드부재(528)이나 패러렐 링크 케이스(510) 상의 가이드돌기(516)가 후측 연결부재(440)의 돌기와 맞닿아 자유회전에 저항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탑승자가 의도적으로 틸팅을 하고자 하여 핸들축(100)의 기울임과 시트(410) 상의 무게 중심 이동을 동시에 시도하면 상기한 자유회전에 대한 저항이 즉각 없어지면서 틸팅이 용이하게 일어나는 것이다.
그리고 시트부(400)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410)와 시트프레임(420), 리프팅프레임(430), 연결부재(440) 및 탄성부재(450)로 구성된다.
시트프레임(420)은 일단이 시트(410)의 하측으로 설치되고, 타단이 틸팅축(300)의 전단부에 위치되고, 리프팅프레임(430)은 시트프레임(420)의 중간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틸팅축(300)의 후단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연결부재(440)는 틸팅축(30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그 축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고, 시트프레임(420)의 타단과 리프팅프레임(430)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된다.
다시 말해, 연결부재(440)는 그 내부가 통공되고, 외주면에는 양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 통공에 의해 틸팅축(30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그 외측으로 끼워지며, 한 쌍의 돌기에 시트프레임(420)의 타단 또는 리프팅프레임(430)의 타단부가 연결된다.
탄성부재(450)는 연결부재(440) 중 후단부의 설치된 연결부재를 패러렐 링크부(500)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연결부재(440)를 후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이 연결부재(440)와 연결된 리프팅프레임(430)을 후측으로 가압하여 시트부(400) 전체를 후측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시트부(400)가 틸팅축(300) 상에서 자유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시트부(400)가 탑승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패러렐 링크부(50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패러렐 링크 케이스(510)와 패러렐 링크(520)로 구성되며, 패러렐 링크(520)는 패러렐 링크 케이스(510)의 내부에 구비된다.
먼저, 패러렐 링크 케이스(51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와 연통된 제1설치공(512)과 제2설치공(514) 및 전면에 가이드돌기(516)가 형성된다.
제1설치공(512)는 패러렐 링크 케이스(510)의 전면 중앙부에 형성되어 틸팅축(300)이 설치되고, 제2설치공(514)는 후면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뒷바퀴 회전축(600)이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가이드돌기(516)는 제1설치공(512)을 기준으로 전면 중앙 양측 하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돌기(516)는 틸팅축(300)의 후단에 위치된 연결부재(440)의 돌기가 닿는 것으로, 가압부재(450)에 의해 후측으로 가압되는 연결부재(440)의 돌기가 가이드돌기(516)의 상면과 닿아 시트부(400)가 자유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 다.
이때, 가이드돌기(516)의 상면은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되, 틸팅축(300)의 중심축 선을 따라 전방으로 형성된 상면이 틸팅축(300)의 직경방향과 일치되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돌기(516)의 나선형 상면은 후단부 연결부재(440)의 돌기 외주면과 닿아 시트부(400)의 자유 회전에 탄력적인 저항을 줌으로써 자유회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트부(400)가 회전될 경우, 연결부재(440)의 돌기 외주면이 가이드돌기(516)의 나선형 상면 중 어느 한 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연결부재(440)가 전진하여 가압부재(450)를 압축시키게 되고, 그로 인한 탄발력이 발생됨에 따라 시트부(400)가 자유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이 가압부재(450)의 탄발력은 시트부(400)의 회전 중단 시, 연결부재(440)를 원위치시키는 힘으로 작용하여 시트부(400)의 위치를 안정적이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압부재(450)는 연결부재(440)의 이동에 따라 리프팅프레임(430)의 타단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 일단과 연결된 시트프레임(420)과 시트(410)를 들어올림으로써 탑승자의 체중에 비례하는 중력에 의한 저항 또한 발생시켜 시트부(400)의 위치를 안정적이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패러렐 링크(520)는 패러렐 링크 케이스(5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틸팅축(300)의 회전력을 뒷바퀴 회전축(600)으로 전달시키게 된다.
이러한 패러렐 링크(520)는 제1회전판(522)과 제2회전판(524) 및 링크(526)로 구성되며, 제1회전판(522)은 틸팅축(300)과 연결되어 동일하게 회전된다.
제2회전판(524)은 제1회전판(522)의 양측에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고, 뒷바퀴 회전축(600)과 연결되어 제1회전판(522)와 동일하게 회전되며, 링크(526)는 제1회전판(522)와 한 쌍의 제2회전판(524)에 각각 연결되어 제1회전판(522)의 회전력을 제2회전판(524)에 전달시키게 된다.
이때, 제1회전판(522)에는 가이드부재(528)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이 가이드부재(528)는 전면 상단부가 돌출 형성되되, 그 양측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528)는 핸들축(100)과 틸팅축(300)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패러렐 링크 케이스(510)의 가이드돌기(516)와 함께 시트부(400)의 후단 연결부재(440)의 돌기를 가이드하되, 이 가이드부재(528)는 틸팅축(300)과 고정됨에 따라 연결부재(440)의 돌기 중 어느 하나와 닿아 틸팅축(300)의 자유회전을 단속하게 된다.
이 가이드부재(528)는 가이드돌기(516)와 동일하게 그 양측면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되, 틸팅축(300)의 중심축 선을 따라 전방으로 형성된 상면이 틸팅축(300)의 직경방향과 일치되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528)의 나선형 양측면은 연결부재(440)의 돌기 외주면과 닿아 제1회전판(522)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틸팅축(300)과 핸들축(100)의 자유 회전 에 탄력적인 저항을 줌으로써 자유 회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후단 연결부재(440)의 돌기 외주면이 가이드부재(528)의 나사산에 걸려 틸팅축의 중심축 선을 따라 돌기가 이동하면서 연결부재가 가압 부재(450)를 응축시킴으로써 저항이 발생한다.
이때 가이드돌기의 이동에 따라 리프팅프레임(430)의 타단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 일단과 연결된 시트를 들어올림으로써 탑승자의 체중에 비례하는 중력에 의한 저항 또한 발생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틸팅이 가능한 탈것(10)의 작동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 시 핸들축(100)을 일측으로 기울이여 앞바퀴(220)를 이동방향으로 기울이게 되어 원심력에 대응할 수 있고, 이 핸들축(100)의 기울임에 의해 틸팅축(300)이 일측으로 회전된다.
이 틸팅축(300)의 회전은 회전력을 패러렐 링크부(500)에 전달하고, 패러렐 링크부(500) 회전력을 양측으로 전달하여 각 뒷바퀴 회전축(600)을 회전시킴에 따라 각 뒷바퀴(610)가 앞바퀴(220)와 동일하게 기울어져 선회 시, 탈것을 쓰러뜨리려는 원심력을 상쇄시키며 안정적으로 선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방향에 대해 좌우로 기울어진 뱅크(bank)를 이동할 경우, 그에 따른 뱅크(bank) 주행을 도시한 것으로, 탈것(10)의 선회할 경우와 동일하게 경사면을 주행할 수 있음이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이 가능한 탈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이 가능한 탈것의 분리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이 가능한 탈것의 패러렐 링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이 가능한 탈것의 패러렐 링크부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이 가능한 탈것의 패러렐 링크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이 가능한 탈것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이 가능한 탈것의 뱅크주행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탈것 100 : 핸들축
110 : 핸들 200 : 구동부
210 : 페달 220 : 앞바퀴
230 : 구동수단 300 : 틸팅축
400 : 시트부 410 : 시트
420 : 시트프레임 430 : 리프팅프레임
440 : 연결부재 450 : 가압부재
500 : 패러렐 링크부 510 : 패러렐 링크 케이스
512 : 제1설치공 514 : 제2설치공
516 : 가이드돌기 520 : 패러렐 링크
522 : 제1회전판 524 : 제2회전판
526 : 링크 528 : 가이드부재
600 : 뒷바퀴 회전축 610 : 뒷바퀴

Claims (8)

  1. 상단부에 핸들이 형성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핸들축;
    상기 핸들축의 하단에 구비되고, 페달의 회전에 의해 앞바퀴를 회전시켜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핸들축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형성되되, 상기 핸들축이 축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틸팅축;
    상기 틸팅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시트부;
    상기 틸팅축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부 및 핸들축와 틸팅축의 자유회전을 단속하고, 상기 틸팅축의 회전력을 양단 후측으로 전달시키는 패러렐 링크부; 및
    상기 패러렐 링크부의 양단 후측에 각각 구비되어 전달되는 회전에 의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하측에 뒷바퀴가 각각 구비된 뒷바퀴 회전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핸들축을 일측으로 기울이면 상기 틸팅축이 일측으로 회전되고, 이 틸팅축의 회전력이 상기 패러렐 링크부에 의해 회전축을 일측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뒷바퀴가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탈것.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앞바퀴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전기나 연료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탈것.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시트;
    일단이 상기 시트의 하측으로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틸팅축의 전단부에 위치되는 시트프레임;
    상기 시트프레임의 중간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틸팅축의 후단부에 위치되는 리프팅프레임;
    상기 틸팅축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그 축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고, 상기 시트프레임의 타단과 리프팅프레임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 중 후단부에 설치된 연결부재를 상기 패러렐 링크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틸팅이 가능한 탈것.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러렐 링크부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 중앙부에 상기 틸팅축이 설치되는 제1설치공과 후면 양단부에 상기 뒷바퀴 회전축이 각각 설치되는 제2설치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설치공을 기준으로 전면 중앙 양측 하단부에 가이드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진 패러렐 링크 케이스; 및
    상기 패러렐 링크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틸팅축의 회전력을 상기 뒷바퀴 회전축으로 전달시키는 패러렐 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틸팅이 가능한 탈것.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의 상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되, 상기 틸팅축의 중심축 선을 따라 직경방향의 면을 갖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탈것.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러렐 링크는,
    상기 틸팅축과 연결되어 동일하게 회전되는 제1회전판;
    상기 제1회전판의 양측에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뒷바퀴 회전축과 연결되어 동일하게 회전되는 제2회전판; 및
    상기 제1회전판과 한 쌍의 제2회전판에 각각 연결되어 제1회전판의 회전력을 제2회전판에 전달시키는 다수의 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틸팅이 가능한 탈것.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판에는 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전면 상단부가 돌출 형성되되, 그 양측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틸팅축과 동일하게 회전되면서 상기 핸들축과 틸팅축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탈것.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측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되, 상기 틸팅축의 중심축 선을 따라 직경방향의 면을 갖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탈것.
KR1020090103679A 2009-10-29 2009-10-29 틸팅이 가능한 탈것 KR201100469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679A KR20110046952A (ko) 2009-10-29 2009-10-29 틸팅이 가능한 탈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679A KR20110046952A (ko) 2009-10-29 2009-10-29 틸팅이 가능한 탈것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952A true KR20110046952A (ko) 2011-05-06

Family

ID=4423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679A KR20110046952A (ko) 2009-10-29 2009-10-29 틸팅이 가능한 탈것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69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635B1 (ko) * 2014-12-31 2015-12-31 이종호 틸팅 가능한 삼륜 탑승용 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635B1 (ko) * 2014-12-31 2015-12-31 이종호 틸팅 가능한 삼륜 탑승용 기구
WO2016108354A1 (ko) * 2014-12-31 2016-07-07 이종호 틸팅 가능한 삼륜 탑승용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38128B (zh) 电动自行车
CN102216152B (zh) 改进的踏板车和踏板驱动组件
CN103129668B (zh) 全方向移动车
US9162557B2 (en) Drive unit for a vehicle wheel
WO2005066015A1 (ja) 自転車および自転車用の差動装置
KR100649051B1 (ko) 자전거
US20160304149A1 (en) Tricycle with two riding modes
CN115535133A (zh) 用于人力车辆的变速器
US11440346B2 (en) Hub assembly and drive train
US20100283216A1 (en) Bicycle with two front wheels
WO2019123162A1 (en) A system for providing automati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20110046952A (ko) 틸팅이 가능한 탈것
KR101363173B1 (ko) 씽싱바퀴ⅰ
JP2011025766A (ja) 折りたたみ式電動補助自転車
JP2019038480A (ja) 電動3輪自転車
EP3106378B1 (en) Bicycle pedal structure capable of triggering auxiliary power
JP7188829B1 (ja) 後二輪車両
CA2925042C (en) Bicycle pedal structure capable of triggering auxiliary power
KR101212300B1 (ko) 좌우틸팅이 가능한 삼륜자전거
US9409623B1 (en) Bicycle pedal structure capable of triggering auxiliary power
JP7287731B1 (ja) 後二輪車両
RU2414374C2 (ru) Велосипед с приводом на переднее управляемое колесо
JP3224056U (ja) 二輪駆動走行車両
KR101488849B1 (ko) 자전거
JP2023544926A (ja) 2つの独立した駆動輪を備える自転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