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6327A - 휴대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6327A
KR20110046327A KR1020100104519A KR20100104519A KR20110046327A KR 20110046327 A KR20110046327 A KR 20110046327A KR 1020100104519 A KR1020100104519 A KR 1020100104519A KR 20100104519 A KR20100104519 A KR 20100104519A KR 20110046327 A KR20110046327 A KR 20110046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tate
electronic device
projector
port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1777B1 (ko
Inventor
세이지 호리이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46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6Cooling; Preventing overhe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열원부로부터의 열에 의한 기기 표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사용자가 쾌적하게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휴대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제1의 케이스와, 제1의 케이스의 하나의 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면이 마주한 상태를 유지하여 제1의 케이스에 대해서 상대 위치가 변화 가능한 제2의 케이스와, 제2의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열원부를 구비하고, 제2의 케이스의 표면에는, 제1의 케이스와 제2의 케이스가 서로 마주하여 대향하고 있는 제1 상태에서는 제1의 케이스에 의해 덮여지고, 또한 제1의 케이스와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여 제1의 케이스와 제2의 케이스가 대향하는 면적이 제1의 상태보다도 감소하는 제2의 상태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되는 제1의 영역과, 제1의 상태 및 제2의 상태의 어디에 있어서나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제2의 영역이 있고, 제1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열원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휴대 전자 기기{MOBI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스크린이나 벽면에 화상을 투영하는 화상 투영부를 가지는 휴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벽면이나 스크린에 화상을 투영하는 장치로는, 이른바 프로젝터가 있다. 이 프로젝터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소정 위치에 고정한 상태로 사용되는, 이른바 거치형의 장치가 주류이다. 이 거치형의 프로젝터는, 고정한 상태에서, 일정 부분의 벽면이나 스크린에 화상을 투영시킨다.
이에 대해서, 최근, 프로젝터로서, 소형으로 운반이 용이한 휴대형의 프로젝터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상부 캐비넷과, 하부 캐비넷과, 상부 캐비넷 및 하부 캐비넷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렌즈와 광원을 가지는 프로젝터가 탑재된 프로젝터 기능이 있는 휴대 단말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7-96542호 공보
상기한 종래의 거치형의 프로젝터는, 대화면에 투영하기 위한 고휘도의 광원을 이용하고 있어, 광원으로부터의 발열량도 많으므로, 방열 효율을 좋게 하기 위한 팬이나 통풍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의 프로젝터 기능이 있는 휴대단말의 경우는, 매우 컴팩트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젝터의 광원이 발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기구를 별도 추가하면, 대형화할 우려가 있다.
여기서, 종래의 프로젝터 기능이 있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는, 프로젝터를 연속 사용한 경우에 광원 부근의 온도 상승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휴대전화기 등의 휴대 전자 기기의 경우는, 통화시 나 조작시에 사용자의 피부가 직접 단말 표면에 닿기 때문에, 프로젝터의 탑재 위치가 다른 부분보다도 뜨겁다는 온도차를 느끼기 쉽다. 이 때문에, 휴대 전화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서는, 프로젝터 기능이 있는 휴대단말의 예로서, 폴더형, 슬라이더 타입, 스트레이트(캔디바) 타입의 각각의 예가 나타나 있다. 어느 타입의 휴대단말이나 리시버 부근의 전단부에 프로젝터의 광 사출부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를 냉각하는 기구는 갖춰져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프로젝터 사용후는 리시버 부근이 뜨거워져, 휴대단말을 사용하여 통화하면, 귀만 뜨겁게 느껴지므로 사용 중의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휴대단말을 프로젝터 사용후에 휴대하는 것을 생각하면, 어느 타입이나 휴대할 수 있는 상태로 한 경우, 프로젝터에서 발생한 열이 휴대단말의 표면을 뜨겁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가열되는 부분(예를 들면 리시버 주변)과 그 외의 부분의 사이에 온도차가 생긴다. 이 때문에, 휴대단말을 손으로 운반하거나, 휴대단말로 통화를 행하는 등을 위해서 휴대단말에 접촉했을 때에,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열원부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열원부로부터의 열에 의한 기기 표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사용자가 쾌적하게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휴대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 전자 기기로서, 제1의 케이스와, 상기 제1의 케이스의 하나의 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면이 서로 마주 본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1의 케이스에 대해서 상대 위치가 변화 가능한 제2의 케이스와, 상기 제2의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열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의 케이스의 표면에는, 상기 제1의 케이스와 상기 제2의 케이스가 마주하여 대향하고 있는 제1의 상태에서는 상기 제1의 케이스에 의해 덮여지고, 또한 상기 제1의 케이스와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여, 상기 제1의 케이스와 상기 제2의 케이스가 대향하는 면적이 상기 제1의 상태보다도 감소하는 제2의 상태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되는 제1의 영역과, 상기 제1의 상태 및 상기 제2의 상태의 어디에 있어서나,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제2의 영역이 있고, 상기 제1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열원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의 영역은, 상기 열원부가 발생시킨 열이 상기 제2의 영역보다도 많이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원부는, 화상을 투영하는 투영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영부는, 상기 제1의 케이스와 상기 제2의 케이스가 상기 제2의 상태에 있을 때 화상의 투영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영부는, 상기 제1의 케이스와 상기 제2의 케이스가 상기 제1의 상태에 있을 때는 화상의 투영을 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의 영역은, 방열용의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의 영역은, 상기 제1의 케이스를 평탄한 받침대 상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제1의 케이스와 상기 제2의 케이스가 상기 제2의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받침대의 표면으로부터 이간한 상태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를 향해 송풍하는 팬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영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당해 휴대 전자 기기를 휴대하도록 촉구하는 알림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을 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의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상태에 있을 때 노출되는 제3의 영역에 조작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의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의 케이스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의 상태로부터 상기 제2의 상태로 상기 상대 위치를 변화시키고, 상기 투영부의 광 출사부가, 상기 제2의 케이스의 이동 방향의 전단부의 상기 제1의 영역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자 기기는, 제1의 케이스와 제2의 케이스가 대향하는 면이 서로 마주한 상태를 유지하여 상대 위치를 변화시켰을 때에 노출되는 제1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열원부를 배치함으로써, 열원부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케이스의 외주측의 표면에 전달되기 어렵게 하고, 케이스의 외주측의 표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사용자가 쾌적하게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휴대 전자 기기의 제1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휴대 전자 기기의 제2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휴대 전자 기기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나타내는 휴대 전자 기기의 제1의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3에 나타내는 휴대 전자 기기의 제2의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휴대 전자 기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내는 휴대 전자 기기를 측면 방향으로부터 본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휴대 전자 기기를 측면 방향으로부터 본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8은 프로젝터의 사용 종료 시에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메시지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휴대 전자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휴대 전자 기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는 것,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 이른바 균등한 범위의 것이 포함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휴대 전자 기기의 일예로서 휴대 전화기를 드는데,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은 휴대전화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휴대용 네비게이션 장치, 노트북 PC, 게임기 등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
우선, 휴대 전자 기기의 외관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휴대 전자 기기의 제1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휴대 전자 기기의 제2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휴대 전자 기기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휴대 전자 기기(10)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 전화기이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 형상의 제1의 케이스(10a)와 대략 직방체 형상의 제2의 케이스(10b)를 가지고, 제1의 케이스(10a)와 제2의 케이스(10b)의 각각 면적이 가장 큰 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의 케이스(10a)와 제2의 케이스(10b)의 서로 마주하는 면의 크기는, 대략 동일하다. 휴대 전자 기기(10)는, 제1의 케이스(10a)와 제2의 케이스(10b)의 서로 대향하고 있는 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의 케이스(10a)를 제2의 케이스(10b)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전화기이다. 또한, 도 1에는, 제1의 케이스(10a)와 제2의 케이스(10b)가 서로 마주 하고 대향하고 있는, 구체적으로는, 제1의 케이스(10a)와 제2의 케이스(10b)가 서로 마주하는 면(대면하고 있는 면)의 겹치는 영역이 가장 큰 상태(즉, 완전하게 겹쳐 있는 상태)인 제1의 상태의 휴대 전자 기기(10)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에는, 제2의 케이스(10b)와 제1의 케이스(10a)의 상대 위치를 제1의 상태로부터 화살표 A방향으로 변화시키고, 제1의 케이스(10a)와 제2의 케이스(10b)의 대향하고 있는 면의 겹쳐 있는 면적이 제1의 상태보다도 감소한 제2의 상태의 휴대 전자 기기(10)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제2의 케이스(10b)의 표면 중, 제1의 상태에서는 제1의 케이스(10a)에 의해 덮여져 있는데, 제2의 상태에서는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 즉, 제1 상태에서는, 제1의 케이스(10a)에 덮여지고(대면하고 있고), 제2 상태에서는, 제1의 케이스(10a)에 덮여지지 않은(대면하지 않은) 영역을, 제2의 케이스(10b)에 있어서의 제1의 영역으로 한다. 또한, 제2의 케이스(10b)의 표면 중, 제1의 상태 및 제2의 상태의 어느것에 있어서나, 항상 외부로 노출되고 있는 영역, 즉, 제1의 상태 및 제2의 상태의 어느 경우에서나 제1의 케이스(10a)에 의해 덮여지지 않은 영역을, 제2의 케이스(10b)에 있어서의 제2의 영역으로 한다. 또한, 제1의 케이스(10a)의 표면 중, 제1의 상태에서는 노출되어 있지 않지만, 제2의 상태에서는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을, 제1의 케이스(10a)에 있어서의 제3의 영역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의 영역에는, 후술하는 조작 키(13) 및 마이크(15)가 배치되어 있다.
제1의 케이스(10a)에는,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조작 키(13), 휴대 전자 기기(10)의 통화 시에 음성을 넣는 마이크(15) 외, 휴대 전화기의 주요한 기능을 완수하는 후술하는 휴대 전화 회로 기판, 스피커(17), 카메라 모듈(40), 메인 안테나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2의 케이스(10b)에는, 표시부로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2)가 설치되고, 이 면은 제2의 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디스플레이(12)는, 소정의 화상으로서, 휴대 전자 기기(10)가 수신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 일때에 대기 화상을 표시하거나, 휴대 전자 기기(10)의 조작을 보조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메뉴 화상을 표시하기도 한다. 이 디스플레이(12)의 하방에는, 방향 및 결정 키(1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2)의 상방에는, 휴대 전자 기기(10)의 통화 시에 음성을 발하는 리시버(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의 케이스(10b)의 내부, 구체적으로는, 제1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프로젝터(34)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은, 도 2의 휴대 전자 기기(10)를 이면측, 즉, 디스플레이(12), 조작 키(13)가 설치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의 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휴대 전자 기기(10)의 이면측에 설치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케이스(10b)의 제1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프로젝터(34)가 배치되어 있다. 제2의 케이스(10b)의 제1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프로젝터(34)를 배치함으로써, 열원부인 프로젝터(34)로부터 발생한 열이, 제2의 영역보다도 제1의 영역에 많이 전달되는(전열) 구성이 된다. 즉, 제1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제2의 케이스(10b)의 내부에 있어서, 발생한 열이 제2의 영역보다도 제1의 영역에 많이 전달되는 위치이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케이스(10b)의 제1의 영역에는, 슬릿(35)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35)은, 제2의 케이스(10b)와 케이스 외부를 연결하는 통풍구이며, 프로젝터(34)의 광원 등의 열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 과열된 케이스 내의 공기를 케이스 외부로 방출시키는 개구부가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부로서 슬릿을 설치했는데, 공기를 흐르게하는 통풍구이면, 어떤 형상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다수의 구멍, 혹은 메쉬형상의 개구로 해도 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케이스(10a)의 이면측, 즉 조작 키(13)가 배치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의 면측에는, 스피커(17) 및 카메라 모듈(40)이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4a는, 도 3에 있어서의 휴대 전자 기기(10)의 제1의 케이스(10a)의 내부 구조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b는, 제2의 케이스(10b)의 내부 구조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이용하여, 휴대 전자 기기(10)의 상술한 각 구성의 내부에 있어서의 배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케이스(10a)의 내부에는, 스피커(17), 휴대 전화 회로 기판(22a), 메인 안테나(26a), 카메라 모듈(40)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40)은, 상술한 것처럼, 화상을 취득하는 촬영 렌즈가 제1의 케이스(10a)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케이스(10b)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12)의 이면(화상을 표시하는 면과는 반대의 면)측에 프로젝터(34)와, 프로젝터 제어 기판(22b)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로젝터(34)는 광 사출부(34a)를 가지고 있다. 광 사출부(34a)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즉, 제2의 케이스(10b)에 형성된 개구부에 배치되어 있다. 프로젝터(34)는, 광 사출부(34a)로부터 광을 사출시킴으로써 화상을 투영한다.
또한, 휴대 전자 기기(10)는, 제2의 케이스(10b)의 내부에, 진동 모터(38)와, 진동 모터(38)의 회전축에 연결된 팬(38a)을 가진다. 진동 모터(38)는, 회전축에 편심추가 붙은 편심 모터이며, 편심추가 붙은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진동을 발생시켜, 제2의 케이스(10b)를 진동시킨다. 또한, 진동 모터(38)는, 착신 알림 시에 사용되고, 제2의 케이스(10b)를 진동시킴으로써, 음성을 출력하지 않고, 착신을 통지할 수 있다.
팬(38a)은, 진동 모터(38)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고, 진동 모터(38)가 회전함으로써 회전한다. 진동 모터(38)가 회전함으로써 팬(38a)이 회전하면, 제2의 케이스(10b) 내에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다. 팬(38a)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발생함으로써, 슬릿(35)을 통하여 제2의 케이스(10b)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가 순환한다. 이에 따라, 프로젝터(34)의 주위의 뜨거워진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프로젝터(34) 및 그 주변부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과 같이, 팬(38a)을 프로젝터(34)에 인접하여 배치하고, 팬(38a)으로부터 송풍되는 바람을 프로젝터(34)에 맞히거나, 또는, 팬(38a)에 의해 프로젝터(34)의 주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젝터(34)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기존의 진동 모터(38)의 끝에 팬(38a)을 부가하는 것만으로, 프로젝터(34)의 냉각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 기능의 추가를 위해서 증가하는 부품 점수나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어,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2)의 면(제2의 영역)과 프로젝터(34)의 사이에는, 단열 시트(39)를 개재시키고 있다. 단열 시트(39)를 배치함으로써, 프로젝터(34)의 광원 등의 열원부로부터 발생한 열이 디스플레이(12)측의 면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단열 시트로는, 예를 들면 전자 기기용의 마이크로 벌룬(독립 기포)을 주체로 한 얇은 시트형상의 단열재 등을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34)를 디스플레이(12)가 설치된 제2의 케이스(10b)측에 배치함으로써, 화상 투영 시에 제2의 케이스(10b)를 제2의 상태로 해도 투영 화상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열원을 분산함으로써, 제1의 케이스(10a) 및/또는 제2의 케이스(10b)의 일부, 특히 표면의 일부만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CD 등의 디스플레이(12)와 같이 그다지 발열하지 않는 부품밖에 탑재되어 있지 않은 제2의 케이스(10b)에 프로젝터(34)를 설치한다. 또한, 프로젝터(34)정도의 발열량은 없지만, 발열원이 될 수 있는 휴대 전자 기기(10)의 조작 키(13)측의 휴대 전화 회로 기판(22a)이나 도시하지 않은 배터리 등을 제1의 케이스(10a)측에 설치한다. 또한, 카메라 모듈(40)을 제1의 케이스(10a)측에 설치함으로써, 프로젝터(34)의 발열로부터 떼어놓을 수 있어, 디스플레이(12)측의 회로와 조작 키(13)측의 회로의 접속 갯수를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휴대 전자 기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상술한 휴대 전자 기기(1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전자 기기(10)는, 제어부(22), 기억부(24), 송수신부(26), 조작부(28), 음성 처리부(30), 표시부(32), 프로젝터(34), 온도 센서(36), 및 진동 모터(38)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2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MPU:Micro Processor Unit) 등의 휴대 전자 기기(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처리부이다. 즉, 휴대 전자 기기(10)의 각종 처리가, 조작부(28)의 조작이나 휴대 전자 기기(10)의 기억부(24)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에 따라 적절한 순서로 실행되도록, 송수신부(26)나, 음성 처리부(30)나, 표시부(32)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휴대 전자 기기(10)의 각종 처리로는, 예를 들면, 회선 교환망을 통하여 행해지는 음성 통화, 전자 메일의 작성 및 송수신, 인터넷의 Web(World Wide Web) 사이트의 열람 등이 있다. 또한, 송수신부(26), 음성 처리부(30), 표시부(32) 등의 동작으로는, 예를 들면, 송수신부(26)에 의한 신호의 송수신, 음성 처리부(30)에 의한 음성의 입출력, 표시부(32)에 의한 화상의 표시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2)는, 기억부(24)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예를 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의거하여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제어부(22)는, 기억부(24)에 저장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으로부터 명령 코드를 순차적으로 읽어들여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22)가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는, 예를 들면, 프로젝터의 구동 및 후술하는 진동 모터(38)를 이용한 냉각 팬의 회전 제어를 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지화상이나 동화상을 재생하는 화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종 게임을 작동시키는 게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있다.
기억부(24)에는, 제어부(22)에서의 처리에 이용되는 소프트웨어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상술한, 프로젝터(34)의 구동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태스크나, 정지 화상이나 동화상을 재생하는 화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태스크, 각종 게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태스크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24)에는, 이들 태스크 이외에도, 예를 들면, 통신, 다운로드된 음성 데이터, 혹은 기억부(24)에 대한 제어에 제어부(22)가 이용하는 소프트웨어, 통신 상대의 전화번호나 메일 주소 등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어드레스장, 발신음이나 착신음 등의 음성 파일, 소프트웨어의 처리 과정에서 이용되는 일시적인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의 처리 과정에서 이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일시적인 데이터는, 제어부(22)에 의해 기억부(24)에 할당된 작업 영역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기억부(24)는, 예를 들면, 불휘발성의 기억 디바이스(ROM:Read Only Memory 등의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하드 디스크 장치 등)나, 읽고 쓰기 가능한 기억 디바이스(예를 들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된다.
송수신부(26)는, 메인 안테나(26a)를 가지고,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채널을 통하여, 기지국과의 사이에 CDMA 방식 등에 의한 무선 신호 회선을 확립하고, 기지국과의 사이에 전화 통신 및 정보 통신을 행한다.
조작부(28)는, 예를 들면, 전원 키, 통화 키, 숫자 키, 문자 키, 방향 키, 결정 키, 발신 키 등, 각종 기능이 할당된 조작 키(13)와 방향 및 결정 키(14)로 구성되고, 이들 키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면, 그 조작 내용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발생한 신호는, 사용자의 지시로서 제어부(22)에 입력된다.
음성 처리부(30)는, 마이크(15)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나 리시버(16)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음성 처리부(30)는, 마이크(15)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증폭하고, AD 변환(Analog Digital 변환)을 실행한 후 다시 부호화 등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고,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22)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2)로부터 보내지는 음성 데이터에 대해서 복호화, DA 변환(Digital Analog 변환), 증폭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아날로그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나서, 리시버(16)에 출력한다.
표시부(32)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 EL(Organic Electro-Luminescence) 패널 등으로 구성된 표시 패널(상술한 디스플레이(12) 등)을 구비하고, 제어부(22)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에 따른 영상, 화상 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표시 패널에 표시시킨다. 또한, 표시부(32)는, 디스플레이(12)에 추가하여, 예를 들면, 케이스를 닫은 상태에서도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위치에 서브 디스플레이를 설치해도 된다.
프로젝터(34)는, 화상을 투영하는 화상 투영 기구이며, 상술한 것처럼, 제2의 케이스(10b)의 제1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휴대 전자 기기(10)는, 프로젝터(34)의 광 사출부(34a)로부터 화상을 투영하는, 즉 화상을 구성하는 광을 사출함으로써, 제2의 케이스(10b)의 슬라이드 방향(도 2의 A방향 참조)에 대향하는 면에 있는 도시하지 않은 벽면이나 스크린 등 중, 일정한 영역(투영 영역)에 화상을 투영한다. 또한, 프로젝터(34)는, 제어부(22)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고, 제어부(22)로부터 보내지는 다양한 영상, 예를 들면 영화, 프레젠테이션 자료를 투영하여, 투영 영역에 표시시킬 수 있다.
프로젝터(34)는, 광원과, 화상 데이터에 따라,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투영하는지 여부를 전환하는 광학계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프로젝터(34)에는, 할로겐 라이트나, LED(Light Emitting Diode) 광원, LD(Laser Diode) 광원을 광원으로 하여,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를 광학계로 한 구성의 프로젝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광학계를 투영 영역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하고,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화상에 맞추어 광학계의 각 화소를 온 오프시킴으로써 화상을 투영 영역의 전면에 투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34)에는, 레이저광을 광원으로 하여,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투과시킬지 여부를 전환하는 전환 소자와, 전환 소자를 통과한 광을 래스터 주사시키는 미러로 구성되는 광학계로 한 구성의 프로젝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미러에 의해 레이저광으로부터 사출된 광의 각도를 바꾸어, 투영 영역의 전면에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주사시킴으로써, 투영 영역에 화상을 투영시킬 수 있다.
온도 센서(36)는, 프로젝터(34)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검출 기구이다. 진동 모터(38)는, 상술한 것처럼, 편심 모터로 구성되고, 회전축의 선단에 팬(38a)이 접속되어 있다. 진동 모터(38)는, 회전축의 끝에 장착된 팬(38a)을 회전시킴으로써, 제2의 케이스(10b)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프로젝터(34)를 냉각한다. 또한, 제어부(22)는, 온도 센서(36)에서 검출된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진동 모터(38)를 회전시켜 팬(38a)을 회전시킨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휴대 전자 기기(10)는, 기본적으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휴대 전자 기기(10)의 화상 표시 투영 동작, 구체적으로는, 프로젝터(34)에 의한 화상 투영 중과, 화상 투영 종료후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6은, 도 2에 도시하는 휴대 전자 기기를 측면 방향으로부터 본 일부 절결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휴대 전자 기기를 측면 방향으로부터 본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여기서, 실시 형태 1에 관한 휴대 전자 기기(10)는, 프로젝터(34)를 이용하여 화상 표시 투영을 행하는 경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케이스(10a)에 대해서 제2의 케이스(10b)를 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프로젝터(34)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대응하는 제1의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휴대 전자 기기(10)의 제어부(22)는, 프로젝터(34)의 광 사출부(34a)로부터 광을 사출시켜, 벽면 혹은 스크린 상에 화상을 투영한다. 이와 같이, 투영 시는, 휴대 전자 기기(10)를 제2의 상태로 함으로써, 프로젝터(34)의 광원 등으로부터 발생한 열이 전열하는 제1의 영역을, 제1의 케이스(10a)에 대향하지 않고, 외기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젝터(34)에서 발생한 열을 높은 방열 효과로 케이스(제2의 케이스(10b))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케이스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자 기기(10)는, 제1의 케이스(10a)와 제2의 케이스(10b)의 위치 관계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 센서를 설치하고, 제어부(22)는,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제2의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만 화상의 투영을 허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적절한 자세 이외에서의 화상의 투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자 기기(10)의 제어부(22)는, 프로젝터(34) 내부의 온도 센서(36)에 의해 내부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으로 된 것을 검지하면, 진동 모터(38)를 회전시킨다. 진동 모터(38)를 회전시킴으로써, 팬(38a)을 회전시켜 송풍을 행하고, 프로젝터(34)로부터 발생한 열로 뜨거워진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슬릿(35)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젝터(34)를 강제 냉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동 모터(38) 및 팬(38a)에 의해 냉각함으로써, 프로젝터(34)를 장시간 연속 사용하는 경우에도, 확실히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자 기기(10)는, 제1의 케이스(10a)에 대해서 제2의 케이스(10b)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더 타입으로 하고, 열원을 가지는 프로젝터(34)를 제2의 케이스(10b)의 슬라이드 시에 외부로 노출하는 제1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휴대 전자 기기(10)를 받침대 상에 두고 화상을 투영하는 경우에도,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34)가 제1의 케이스(10a)의 두께분만큼 받침대로부터 이격하고, 프로젝터(34)의 열이 주로 전해지는 제1의 영역도 받침대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외기에 의한 방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슬릿(35)을 통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휴대 전자 기기(10)는, 제2의 케이스(10b)의 디스플레이(12)와, 프로젝터(34)의 사이에 단열 시트(39)를 배치했기 때문에, 프로젝터(34)에서 발생한 열이 디스플레이(12)측의 면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한 제1의 영역으로부터의 방열 효과, 팬(38a)에 의한 냉각 효과에 추가하여, 단열 시트(39)에 의한 단열 효과에 의해 프로젝터(34)에서 발생한 열이 제2의 케이스(10b)의 디스플레이(12)측의 면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의 케이스(10b)의 제2의 영역이 가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프로젝터(34)의 사용 중에 전화가 걸려와 리시버(16)에 귀를 대었다고 해도, 표면 온도차를 줄일 수 있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고 통화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케이스(10b)를 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변위시킨 제2 상태에서 프로젝터(34)에 의해 화상 투영을 행하고, 투영 종료후에 휴대 전자 기기(10)를 휴대하는(포켓에 넣는다, 가방에 넣는다, 손에 든다)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프로젝터(34)의 투영 종료 후, 휴대 전자 기기를 휴대하는 경우는, 기본적으로, 제1의 케이스(10a)와 제2의 케이스(10b)의 상대 위치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상태로 되돌려진다. 이 상태에서는, 열원부가 되는 프로젝터(34)가 제1의 케이스(10a)와 제2의 케이스(10b)의 디스플레이(12)의 사이에 끼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의 영역도 제1의 케이스(10a)와 대면하는 위치가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프로젝터(34)의 투영 종료 후에 제2의 케이스(10b)를 제1 상태로 되돌리는 것만으로, 프로젝터(34)에 의해 가열된 제1의 영역에 직접 손대지 않고 휴대 전자 기기(10)를 휴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젝터(34)의 사용에 의해 가장 많이 가열되는 제1의 영역이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휴대 전자 기기(10)의 표면 온도차가 생기기 어려워져, 휴대 전자 기기(10)를 손으로 들었다고 해도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자 기기(10)는, 프로젝터(34)의 사용 중의 제2 상태에 있어서, 외기에의 방열과, 팬(38a)에 의한 강제 냉각에 의해 제1의 영역에 추가하여, 제2의 영역도 온도 상승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프로젝터(34)와 디스플레이(12)의 사이에는, 단열 시트(39)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프로젝터(34)로부터 디스플레이(12)측의 면에 열이 전달되기 어려워져, 프로젝터(34)의 투영 직후라도 디스플레이(12) 측면 등의 제2의 영역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의 케이스의 제2의 영역과, 제1의 케이스의 표면의 사이의 온도차도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전자 기기(10)는, 프로젝터(34)의 사용 종료 시에, 프로젝터(34)에 의해, 휴대 전자 기기를 제1 상태로 하도록 촉구하는 메시지를 투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8은, 프로젝터의 사용 종료 시에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메시지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면, 제어부(22)는, 프로젝터(34)의 투영 종료 시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 사용 후는 조작부를 닫아 주세요」와 같은 알림 정보를 투영 화상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메시지를 투영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해서 휴대 전자 기기(10)를 제1의 상태에 되돌리고 나서 휴대하도록 주의를 촉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젝터(34)의 투영 종료 후, 사용자가 휴대 전자 기기(10)를 제1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잊어, 제2 상태로 휴대하고, 프로젝터(34)의 열이 전달되는 제2의 케이스(10b)의 제1의 영역에 사용자가 접촉하여, 불쾌감을 느낄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투영 화상에 상기 알림 정보를 포함시켜 투영하도록 했는데, 이에 대신하여 휴대 전자 기기(10)의 디스플레이(12)에 표시시켜도 되고, 또한, 양쪽 모두에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프로젝터(34)는, 디스플레이(12)의 기판이나, 제2의 케이스(10b)의 디스플레이(12)측의 면에 대해서 간극을 두고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의 케이스(10b)의 제1의 영역측의 면에 고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프로젝터(34)를, 제2의 케이스(10b)의 디스플레이(12)측의 면으로부터 떼어 배치함으로써, 제2의 케이스(10b)의 디스플레이(12)측의 면에 열이 전달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케이스(10b)의 제1의 영역, 혹은 프로젝터(34)의 외주부(외장)에 이용하는 부재로는, 열 전도율이 양호한 구리(Cu)나 알루미늄(Al) 등의 복합 재료를 방열판 재료로서 이용함으로써, 방열 효과를 한층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방열판 재료의 표면에 요철 형상의 핀을 붙여 표면적을 늘림으로써, 방열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는, 예를 들면 투영 화상의 전환 타이밍에 진동 모터(38)를 간헐적으로 회전 제어하거나, 진동 모터(38)를 회전시켜 냉각하고 있는 동안은 반대로 투영 동작의 쪽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투영하는 화상에 접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38)는, 회전축과 편심추의 사이에 원웨이 클러치를 개재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진동 모터는, 한쪽의 방향, 예를 들면 순방향으로의 회전 시에는, 편심추를 회전시켜 바이브레이션을 발생시키고, 다른쪽의 방향, 예를 들면 역방향 회전 시에는, 편심추를 회전시키지 않고, 회전축 선단의 팬(38a)만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팬만을 회전시킬 수 있어,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고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2)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휴대 전자 기기의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전자 기기(10)의 제1의 케이스(10a)의 길이 방향으로 제2의 케이스(10b)를 슬라이드시킨 제2의 상태에서, 프로젝터(34)에 의해 화상 투영을 행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이 타입의 휴대 전자 기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2는, 휴대 전자 기기(100)의 제1의 케이스(110a)의 짧은 방향으로 제2의 케이스(110b)를 슬라이드시키는 타입의 휴대 전화에 프로젝터(134)를 탑재한 예이다. 이 도 9에 도시하는 제2의 상태에 있어서, 프로젝터(134)의 광 출사부(134a)로부터 화상 투영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휴대 전자 기기(100)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상기 실시 형태 1과 동일한데,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의 케이스(110a)와 제2의 케이스(110b)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는 이동 방향을 짧은 방향으로 하는 점이 상이하다. 이에 따라, 프로젝터(134)의 광 출사부(134a)는, 이동 방향(화살표 B방향)의 전단부의 제1의 영역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휴대 전자 기기(100)는, 상기한 구성 이외는 실시 형태 1의 휴대 전자 기기(10)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휴대 전자 기기(100)와 같이, 제1의 케이스(110a)의 짧은 방향으로 제2의 케이스(110b)를 슬라이드시키는 타입이어도, 제2의 상태에서 노출되고, 제1의 상태에서 제1의 케이스(110a)와 대향하는 위치가 되는 제1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프로젝터(134)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하는 자세(제1 상태)에서는, 가장 열이 많이 전달되는 제1의 영역이 사용자에게 닿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134)에 의한 화상 투영 시는, 프로젝터(134)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노출하고 있는 제1의 영역으로부터 방열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자 기기(100)도, 제어부(22)가 프로젝터(134) 내부의 온도 센서(36)에 의해 내부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 된 경우에, 진동 모터(38)를 회전시켜 팬(38a)을 회전하고, 프로젝터(134) 내부의 공기를 슬릿(35)으로부터 배출함으로써, 프로젝터(134)를 강제 냉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의 온도 상승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자 기기(100)도, 제2의 케이스(110b)의 디스플레이(112)와, 프로젝터(134)의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단열 시트가 배치됨으로써, 프로젝터(134)에서 발생한 열이 디스플레이(112)측의 면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휴대 전자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3은, 휴대 전자 기기(200)의 제1의 케이스(210a)와 제2의 케이스(210b)를 리시버(216) 부근에 설치한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화살표 C방향으로 제2의 케이스(210b)를 90도 회전시켜 제2의 상태로 하고, 외부로 노출된 제1의 영역에 배치된 프로젝터(234)의 광 출사부(234a)로부터 화상 투영을 행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제2의 케이스(210b)를 화살표 C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 제2의 상태로 하여, 통화나 화상 투영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휴대 전자 기기(200)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상기 실시 형태 1및 2와 동일한데,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의 케이스(210a)와 제2의 케이스(210b)의 가장 면적이 넓은 면끼리를 대향시킨 제1 상태로부터, 제2의 케이스(210b)를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대 위치를 변화시켜, 제2의 상태로 하는 점이 상이하다. 이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 제2의 케이스(210b)의 제1의 영역에 프로젝터(234)가 배치되고, 광 출사부(234a)는 단부의 제1의 영역 근처에 설치되는 점이 상이하다.
휴대 전자 기기(200)는, 상기한 구성 이외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휴대 전자 기기(10)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휴대 전자 기기(200)와 같이, 제1의 케이스(210a)에 대해서 제2의 케이스(210b)를 회전시켜 제2의 상태로 하는 타입이어도, 제2의 상태에서 노출되고, 제1의 상태에서 제1의 케이스(210a)와 대향하는 위치가 되는 제1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프로젝터(234)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하는 자세(제1의 상태)에서는, 가장 열이 많이 전달되는 제1의 영역이 사용자에 닿지않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234)에 의한 화상 투영 시는, 프로젝터(234)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노출하고 있는 제1의 영역으로부터 방열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자 기기(200)도, 제어부(22)가 프로젝터(234) 내부의 온도 센서(36)에 의해 내부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으로 된 경우에, 진동 모터(38)를 회전시켜 팬(38a)을 회전하고, 프로젝터(234) 내부의 공기를 슬릿(35)으로부터 배출함으로써, 프로젝터(234)를 강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자 기기(200)도, 제2의 케이스(210b)의 디스플레이(212)와, 프로젝터(234)의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단열 시트를 배치함으로써, 프로젝터(234)에서 발생한 열이 디스플레이(212)측의 면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자 기기는, 벽면이나 스크린에 화상을 투영하는 휴대형의 장치로서 이용하는 것에 적합하다.
10, 100, 200 : 휴대 전자 기기 10a : 제1의 케이스
10b : 제2의 케이스 12, 112, 212 : 디스플레이
13, 113, 213 : 조작 키 14 : 방향 및 결정 키
15, 115, 215 : 마이크 16, 116, 216 : 리시버
17 : 스피커 22 : 제어부
22a : 휴대 전화 회로 기판 22b : 프로젝터 제어 기판
26a : 메인 안테나 28 : 조작부
30 : 음성 처리부 32 : 표시부
34, 134, 234 : 프로젝터
34a, 134a, 234a : 광 출사부 35 : 슬릿
36 : 온도 센서 38 : 진동 모터
38a : 팬 40 : 카메라 모듈

Claims (11)

  1. 제1의 케이스와,
    상기 제1의 케이스의 하나의 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면이 마주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1의 케이스에 대해서 상대 위치가 변화 가능한 제2의 케이스와,
    상기 제2의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열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의 케이스의 표면에는,
    상기 제1의 케이스와 상기 제2의 케이스가 서로 마주하여 대향하고 있는 제1의 상태에서는 상기 제1의 케이스에 의해 덮여지고, 또한 상기 제1의 케이스와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여, 상기 제1의 케이스와 상기 제2의 케이스가 대향하는 면적이 상기 제1의 상태보다도 감소하는 제2의 상태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되는 제1의 영역과,
    상기 제1의 상태 및 상기 제2의 상태의 어디에 있어서나,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제2의 영역이 있고,
    상기 제1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열원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원부는, 상기 열원부가 발생시킨 열이 상기 제2의 영역보다도 많이 상기 제1의 영역에 전달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원부는, 화상을 투영하는 투영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투영부는, 상기 제1의 케이스와 상기 제2의 케이스가 상기 제2의 상태에 있을 때에 화상의 투영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투영부는, 상기 제1의 케이스와 상기 제2의 케이스가 상기 제1의 상태에 있을 때는 화상의 투영을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영역은, 방열용의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영역은, 상기 제1의 케이스를 평탄한 받침대 상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제1의 케이스와 상기 제2의 케이스가 상기 제2의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받침대의 표면으로부터 이간된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케이스 내의 공기를 상기 개구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송풍하는 팬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투영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당해 휴대 전자 기기를 휴대하도록 촉구하는 알림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을 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상태에 있을 때 노출되는 제3의 영역에 조작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의 케이스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의 상태로부터 상기 제2의 상태로 상기 상대 위치를 변화시키고,
    상기 투영부의 광 출사부가, 상기 제2의 케이스의 이동 방향의 전단부의 상기 제1의 영역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1020100104519A 2009-10-28 2010-10-26 휴대 전자 기기 KR101371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48216A JP5433376B2 (ja) 2009-10-28 2009-10-28 携帯電子機器
JPJP-P-2009-248216 2009-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327A true KR20110046327A (ko) 2011-05-04
KR101371777B1 KR101371777B1 (ko) 2014-03-07

Family

ID=43536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519A KR101371777B1 (ko) 2009-10-28 2010-10-26 휴대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57997B2 (ko)
EP (1) EP2317381B1 (ko)
JP (1) JP5433376B2 (ko)
KR (1) KR1013717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736B1 (ko) * 2010-06-17 201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장치
US9930785B2 (en) * 2014-10-15 2018-03-27 AzTrong Inc. Configurable heat conducting path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M510477U (zh) * 2015-05-06 2015-10-11 Conary Entpr Co Ltd 自行車行車動態資訊顯示裝置
US10054847B1 (en) * 2017-05-04 2018-08-21 Hui Zhao Angularly rotary projector
CN108124031B (zh) * 2017-12-21 2020-08-18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侧键、包含侧键的移动终端及其配置系统和方法
US11856120B2 (en) * 2019-01-11 2023-12-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IT201900019892A1 (it) 2019-10-28 2021-04-28 Fater Spa Contenitore per rifiuti domestici, in particolare per prodotti sanitari assorbenti usati
JP7349625B2 (ja) * 2019-12-10 2023-09-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
WO2021182649A1 (ko) * 2020-03-09 2021-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3690085B (zh) * 2021-08-09 2024-06-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8484B2 (ja) 1998-07-14 2008-10-22 日立ライティング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
KR20020050445A (ko) 2000-12-21 2002-06-27 구자홍 과열 방지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JP2006217014A (ja) 2005-02-01 2006-08-17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端末装置
DE602006015388D1 (de) 2005-05-09 2010-08-26 Lg Electronics Inc Optisches System eines tragbaren Projektors und mobiles Kommunikationsendgerät damit
WO2007029805A1 (ja) * 2005-09-09 2007-03-15 Nikon Corporation プロジェクタ付き電子機器
JP4437777B2 (ja) * 2005-09-27 2010-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機能付携帯端末
US7809414B2 (en) 2005-12-14 2010-10-05 Sharp Kabushiki Kaish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opening/closing operation method, and display method
JP5186727B2 (ja) 2006-03-31 2013-04-24 株式会社ニコン プロジェクタ付き電子カメラ、投影装置および電子機器
EP1887761A3 (en) * 2006-08-08 2012-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lidable and rotatable housing covering a qwerty keypad
KR100905554B1 (ko) 2006-08-30 2009-07-02 삼성전기주식회사 광변조기를 이용한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2008219757A (ja) * 2007-03-07 2008-09-18 Nec Corp 移動体通信機器及び移動体通信機器における冷却方法
KR101390082B1 (ko) * 2007-08-01 2014-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9199301A (ja) * 2008-02-21 2009-09-03 Nec Tokin Corp 電子機器
JP5446101B2 (ja) * 2008-03-03 2014-03-19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
JP4695661B2 (ja) * 2008-03-13 2011-06-0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33376B2 (ja) 2014-03-05
KR101371777B1 (ko) 2014-03-07
US8857997B2 (en) 2014-10-14
US20110096303A1 (en) 2011-04-28
EP2317381A1 (en) 2011-05-04
JP2011097289A (ja) 2011-05-12
EP2317381B1 (en)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777B1 (ko) 휴대 전자 기기
US8494591B2 (en) Disabling operation of features on a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ased upon location
US7953436B2 (en) Disabling operation of a camera on a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ased upon enabling or disabling devices
WO2019179281A1 (zh) 电子设备
US20080310108A1 (en) External heat sink for electronic device
WO2010150891A1 (ja) 携帯電子機器
EP1895750A1 (en) Method for disabling features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ased upon location, and device therefor
KR20140000933A (ko) 이동 단말기
JP2004072420A (ja) 携帯電話装置
US11309633B2 (en) Antenna device and mobile terminal
CA2625126C (en) Classmark change message system and method
KR20170116619A (ko) 단말 및 서버를 이용한 가상 led 전광판
JP2011176643A (ja) 携帯ユニット及び携帯電子機器
KR20180006013A (ko) Ptt 기능을 갖는 무선 디바이스 간의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EP1895764A1 (en) Disabling operation of a camera on a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ased upon enabling or disabling devices
CN106598175B (zh) 移动终端
CN217904461U (zh) 电子设备组件及其保护壳
CN216752429U (zh) 保护壳及终端设备
CN107566565A (zh) 摄像头散热组件、移动终端及散热控制方法
US20050186987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4978521B2 (ja) 携帯端末
US11483421B2 (en) Terminal device
CN110162140B (zh) 一种可穿戴设备及充电插座
WO2009080060A1 (en) Improved cooling arrangement, device and method
KR2015007060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