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6268A - 코일 단자 - Google Patents

코일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6268A
KR20110046268A KR1020100095001A KR20100095001A KR20110046268A KR 20110046268 A KR20110046268 A KR 20110046268A KR 1020100095001 A KR1020100095001 A KR 1020100095001A KR 20100095001 A KR20100095001 A KR 20100095001A KR 20110046268 A KR20110046268 A KR 20110046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terminal
wire
coil terminal
iro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1560B1 (ko
Inventor
쯔까사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95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560B1/ko
Publication of KR20110046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코일 단자에 대한 피복선의 접속 위치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피복선에 굴곡 부하가 걸리지 않아, 코일 단자에 피복선을 안정적으로 접속한다. 전자석 블록(2)에 권취하는 코일(22)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피복선(8)이 접속되는 코일 단자(28A)로서, 코일(2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281)와, 접속부(281)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되며 피복선(8)이 접속되는 단자 본체부(282)를 구비하고, 단자 본체부(282)는, 코일 단자(28A)의 제1 단에 형성되는 기초부(282b)와, 기초부(282b)로부터 제2 단으로 각각 연장되어 설치되고, 슬릿(282a)을 사이에 두고 병설되며 단자 본체부(282)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들보부(282c)로 구성되고, 슬릿(282a) 내에 피복선(8)이 배치되고 피복선(8)의 선단의 코어선(81)이 기초부(282b)에 납땜된다.

Description

코일 단자{COIL TERMINAL}
본 발명은, 코일 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코일이 권취되는 전자석 블록과, 그 전자석 블록에 의해 구동되어 접점을 개폐하는 접점 블록을 구비한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코일 단자에 피복선을 접속하는 수단으로서, 피복선을 납땜에 의해 코일 단자에 접속하는 수단이나, 피복선을 코일 단자에 계지시킴으로써 피복선을 코일 단자에 접속하는 수단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리고, 상기 납땜에 의해 피복선을 코일 단자에 접속하는 수단의 일례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22)이 권취되는 전자석 블록(2)의 코일(2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대략 평판 형상의 단자(7)에, 피복선(8)의 선단의 코어선(81)을 납땜에 의해 접속한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3-332123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예에서의 접속 수단에서는, 코일 단자(7)에 피복선(8)을 납땜할 때, 코일 단자(7)에 피복선(8)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코일 단자(7)에 대하여 피복선(8)의 접속 위치가 안정되지 않아, 품질에 변동이 생길 우려가 있었다.
또한, 피복선(8)을 코일 단자(7)에 납땜할 때, 도 8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단자(7)의 접속면과 피복선(8)을 나란히 하면, 그 피복선(8)의 코어선(81)과 코일 단자(7)의 접속면 사이에는, 피복선(8)의 피복의 두께부만큼 간극 S가 생긴다. 그 때문에, 코어선(81)을 접속면에 납땜할 때에는, 코어선(81)을 접속면측으로 구부려 그 코어선(81)을 접속면에 나란하게 한 후에 납땜할 필요가 있어, 코어선(81)에 굴곡 부하가 걸려, 피복선(8)과 코일 단자(7) 사이에서 접속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코일 단자에 대한 피복선의 접속 위치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피복선에 굴곡 부하가 걸리지 않아, 코일 단자에 대하여 피복선을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코일 단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석 블록에 권취하는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피복선이 접속되는 코일 단자로서,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피복선이 접속되는 단자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 본체부는, 상기 코일 단자의 제1 단에 형성되는 기초부와, 그 기초부로부터 제2 단으로 각각 연장되어 설치되고, 슬릿을 사이에 두고 병설되며 상기 단자 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들보부로 구성되고, 상기 슬릿 내에 상기 피복선이 배치되고 그 피복선의 선단의 코어선이 상기 기초부에 납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 단자에 피복선을 납땜에 의해 접속할 때, 코일 단자의 단자 본체부에서의 슬릿 내에 피복선을 배치함으로써, 한 쌍의 들보부에 의해 그 한 쌍의 들보부의 병설 방향에서의 피복선의 이동이 규제되어 피복선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슬릿에 피복선을 배치함으로써 코어선을 구부리지 않고 접속면을 따르게 할 수 있어 코어선에 굴곡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코일 단자에 대하여 피복선을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들보부는, 그 간격이 적어도 일부의 개소에서 상기 피복선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피복선을 협지하는 협지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들보부에 의해 피복선을 협지함으로써 피복선의 이동이 규제되어, 코일 단자에 대하여 피복선을 더욱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각 들보부는, 한쪽의 들보부로부터 다른 쪽의 들보부를 향하여 돌기부가 형성되고, 그 돌기부는, 상기 단자 본체부의 두께 방향에서의 상기 피복선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들보부에 형성되는 돌기부에 의해, 단자 본체부의 두께 방향에서의 피복선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코일 단자에 대하여 피복선을 더욱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코일 단자에 대한 피복선의 접속 위치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피복선에 굴곡 부하가 걸리지 않아, 코일 단자에 대하여 피복선을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코일 단자를 구비한 전자석 블록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코일 단자를 구비한 전자석 블록의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코일 단자를 구비한 릴레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릴레이의 내부 기기 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3c는 릴레이의 접점 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코일 단자부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코일 단자의 다른 형태에서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코일 단자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종래예에 따른 코일 단자를 구비한 전자석 블록의 정면도.
도 8은 종래예에 따른 코일 단자부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코일 단자에 관하여, 릴레이가 구비하는,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자석 블록(2)에 적용한 실시 형태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릴레이 이외의 전기 기기 전반에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적용 가능하다.
우선, 본 실시 형태에서의 릴레이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3a에서의 상하 좌우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 좌우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한다.
릴레이는, 중공(中空) 상자형의 케이스(4) 내에, 전자석 블록(2)과 접점 블록(3)(도 3b)을 일체로 조합하여 구성되는 내부 기기 블록(1)(도 3c), 및 접점 블록(3)(도 3b)의 접점간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단시간에 소거하기 위한 요크(9)를 수납하고 있다.
전자석 블록(2)은, 절연 재료로 형성되며 코일(22)이 감겨 장착되는 중공 통 형상의 코일 보빈(21)과, 하면이 막힌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코일 보빈(21)의 내경부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는 원통 부재(23)와, 원통 부재(23)의 통 내에 고정되며 통전된 코일(22)에 의해 자화되는 고정 철심(24)과, 고정 철심(24)과는 원통 부재(23)의 축 방향으로 대향하여 그 원통 부재(23) 내에 배치되며 코일(22)의 통전의 온/오프에 따라서 고정 철심(24)에 흡인되어 원통 부재(23) 내를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 철심(25)과,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코일 보빈(21)을 포위하는 계철(26)과, 상단이 고정 철심(24)에 당접하고 하단이 가동 철심(25)에 당접하며, 가동 철심(25)에 하방으로 힘을 가하는 복귀 용수철(27)과, 코일(22)의 양단에 각각 접속되는 코일 단자(28A)를 구비한다.
또한, 접점 블록(3)은,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며 하면이 개구된 중공 상자형으로 형성되는 밀봉 용기(31)와, 대략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며 밀봉 용기(31)의 상면에 관통 설치되고 하면에 고정 접점(32)이 설치되는 고정 단자(33)와, 고정 접점(32)에 접촉 분리되는 가동 접점(34)을 갖고 밀봉 용기(31) 내에 배설되는 가동 접촉자(35)와, 가동 접촉자(35)의 하면에 당접하고 가동 접촉자(35)에 고정 단자(33)측으로 힘을 가하는 접압 용수철(36)과, 상단에 접압 용수철(36)이 당접하고 하단부가 가동 철심(25)과 연결되어 가동 철심(25)의 이동에 연동하는 가동축(5)을 구비한다.
코일 보빈(21)은,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대략 원통 형상의 몸통부(21c)와, 몸통부(21c)의 상단에 형성되는 차양부(21a)와, 몸통부(21c)의 하단에 형성되는 차양부(21b)로 구성된다. 그리고, 몸통부(21c)에는 코일(22)이 권취되어 있다.
원통 부재(23)는, 코일 보빈(21)의 내경부에 삽입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원통부(23a)와, 원통부(23a)의 상단에 형성되는 차양부(23b)로 구성되고, 그 차양부(23b)는, 코일 보빈(21)의 상면 대략 중앙의 개구 주연에 형성되는 오목부(211)에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원통 부재(23)의 원통부(23a) 내에서의 하단측에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대략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가동 철심(25)이 배설되고, 또한, 가동 철심(25)의 상방에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대략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 철심(24)이 삽입되어, 고정 철심(24)과 가동 철심(25)이 대향 배치된다. 여기서, 고정 철심(24)의 상면 및 가동 철심(25)의 하면에는, 복귀 용수철(27)의 외경에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가진 오목부(24a, 25a)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오목부(24a)의 저면에 복귀 용수철(27)의 상단이 당접하고, 오목부(25a)의 저면에 복귀 용수철(27)의 하단이 당접하고 있다.
계철(26)은, 차양부(21a)의 상면에 겹쳐서 배설되는 대략 사각형 판 형상의 제1 계철판(26A)과, 코일 보빈(21)의 하단측에 배설되는 대략 사각형 판 형상의 제2 계철판(26B)과, 제2 계철판(26B)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계철판(26C)과, 제2 계철판(26B)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는 대략 원형의 개구 주연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대략 원통 형상의 제4 계철판(26D)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계철판(26A)은, 코일 보빈(21)의 차양부(21a)의 상면에 겹쳐서 배치됨으로써, 원통 부재(23) 및 고정 철심(24)의 빠짐 방지 부재로 되어 있다.
제4 계철판(26D)은, 코일 보빈(21)의 하단측의 내주면과 원통 부재(23)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고, 계철(26)과 고정 철심(24)과 가동 철심(25)과 함께 자기 회로를 형성하고 있다.
복귀 용수철(27)은, 고정 철심(24)과 가동 철심(25) 사이에 압축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가동 철심(25)을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코일 단자(28A)는, 코일 보빈(21)에서의 차양부(21a)의 둘레부에 예를 들면 끼워 맞춤으로써 고정되는 접속부(281)와, 접속부(281)의 단부로부터 그 접속부(281)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피복선이 접속되는 단자 본체부(282)로 구성된다.
그리고, 코일(22)의 단부가, 접속부(281)에 연결됨으로써, 코일 단자(28A)와 코일(22)이 도통한다.
단자 본체부(282)는, 코일 단자(28A)의 굴곡부(28a)로부터 코일 단자(28A)의 선단을 향하여 형성되는 슬릿(282a)과, 코일 단자(28A)의 선단에 형성되는 대략 평판 형상의 기초부(282b)와, 기초부(282b)의 하단(슬릿(282a)측의 단부)으로부터 굴곡부(28a)를 향하여 각각 연장되어 설치되며 슬릿(282a)을 사이에 두고 병설되는 한 쌍의 들보부(282c)로 구성된다. 또한, 들보부(282c)는, 그 들보부(282c)의 두께 방향(접속부(281)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가동축(5)은,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하 방향으로 긴 장척 둥근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축부(52)와, 그 축부(52)의 상단에 축부(52)와 일체로 형성되는 차양부(51)로 구성된다.
축부(52)는, 제1 계철판(26A)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 구멍(261)과, 고정 철심(24)과, 복귀 용수철(27)에 삽입되어 통과하고, 하단부가 가동 철심(25)의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 구멍(25b)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가동 철심(25)과 접속된다. 또한, 축부(52)의 상단은, 제1 계철판(26A)의 삽입 구멍(26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 개소에 차양부(51)가 접속된다.
차양부(51)는, 연철로 이루어지며 대략 사각형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는 볼록부(51a)에 접압 용수철(36)의 하단부가 끼워 넣어져 있다.
가동 접촉자(35)는,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35a)의 좌우 양단측에 가동 접점(34)이 고착된다. 또한, 본체부(35a)의 하면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는 볼록부(35b)에 접압 용수철(36)의 상단이 끼워 넣어져 있다.
고정 단자(33)는, 구리 등의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대략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차양부(33a)가 형성되며, 하면에 가동 접점(34)에 대향하는 고정 접점(32)이 고착되어 있다. 또한, 고정 단자(33)의 상면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나사 구멍(33b)이 뚫려 있다.
밀봉 용기(31)는 세라믹 등의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하면이 개구된 중공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상기 고정 단자(33)가 관통 설치되는 2개의 관통 구멍(31a)이 병설된다. 그리고, 고정 단자(33)가, 차양부(33a)를 밀봉 용기(3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시킨 상태에서 관통 구멍(31a)에 관통 설치되어 경납땜에 의해 접합된다. 또한, 밀봉 용기(31)의 개구 주연에는 플랜지(38)의 일단이 경납땜에 의해 접합된다. 그리고, 플랜지(38)의 타단이 제1 계철판(26A)의 상면에 경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밀봉 용기(31)는 밀폐된다.
또한, 밀봉 용기(31)의 주위에는,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된 요크(9)가 설치되어 있다.
접압 용수철(36)은, 가동 접촉자(35)에서의 하면과, 가동축(5)의 차양부(51)에서의 상면 사이에서 압축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가동 접촉자(35)를 고정 접점(32)측으로 탄성적으로 힘을 가하는 것이다.
케이스(4)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며 대략 사각형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 기기 블록(1)을 수납하고, 고정 단자(33)의 차양부(33a)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구(4a)와, 코일 단자(28A)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구(4b)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코일 단자(28A)에, 일단이 외부 전원 등에 접속된 피복선(8)의 타단이 접속되고, 그 피복선(8)을 통하여 코일(22)이 통전된다. 그리고, 가동 철심(25)이, 통전된 코일(22)에 의해 자화된 고정 철심(24)에 흡인되어 상방으로 슬라이딩하고, 가동 철심(25)에 연결된 가동축(5)이 연동하여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가동축(5)의 차양부(51)가 접압 용수철(36)을 통하여 가동 접촉자(35)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그 가동 접촉자(35)에 고착된 가동 접점(34)이 고정 접점(32)에 당접하여, 접점간이 도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코일 단자(28A)는, 피복선(8)이 접속될 때, 도 4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본체부(282)의 한 쌍의 들보부(282c) 사이의 슬릿(282a)에 피복선(8)의 선단측이 배치된다. 그리고, 피복이 박리되어 코어선(81)이 노출되는 피복선(8)의 선단은, 단자 본체부(282)의 기초부(282b)에 납땜에 의해 접속 고정된다.
여기서, 피복선(8)은, 코일 단자(28A)에 납땜될 때, 병설되는 한 쌍의 들보부(282c)에 의해, 상기 병설 방향에서의 피복선(8)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피복선(8)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접속 위치가 안정된다.
또한, 피복선(8)은, 슬릿(282a)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선단의 코어선(81)을 기초부(282b)에 나란하게 하여 납땜함으로써, 피복이 코일 단자(28A)에 간섭하지 않고 코어선(81)과 기초부(282b)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코어선(81)에 굴곡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그 코어선(81)에 굴곡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 단자(28A)와 피복선(8) 사이에서의 접속 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코일 단자(28A)에 대하여 피복선(8)을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또한, 한 쌍의 들보부(282c)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들보부(282c)의 돌출 방향에서의 선단부로부터,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대략 삼각 형상의 돌기부(282d)를 형성함으로써, 코일 단자(28A)에 접속된 피복선(8)이, 들보부(282c)의 돌출 방향(도 5에서의 전후 방향)에서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코일 단자(28A)에 대하여 피복선(8)을 더욱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단자(28A)에 대하여 피복선(8)을 납땜에 의해 접속하고 있지만, 접속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용접 등에 의해 접속을 행하여도 된다.
<실시 형태 3>
본 실시 형태의 코일 단자(28B)에 대하여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코일 단자(28B)와 실시 형태 2의 코일 단자(28A)에서는, 단자 본체부(282)에서의 들보부(282e)의 형상만이 상이하고, 실시 형태 2와 공통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공통의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코일 단자(28B)에서의 한 쌍의 들보부(282e)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들보부(282e)의 병설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고, 한 쌍의 들보부(282e)의 간격이, 피복선(8)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피복선(8)은, 한 쌍의 들보부(282e)에 의해 협지되어 그 들보부(282e)의 병설 방향(도 6에서의 좌우 방향)에서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코일 단자(28B)에 대하여 피복선(8)을 더욱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2 : 전자석 블록
8 : 피복선
81 : 코어선
22 : 코일
28A, 28B : 코일 단자
281 : 접속부
282 : 단자 본체부
282a : 슬릿
282b : 기초부
282c, 282e : 들보부

Claims (3)

  1. 전자석 블록에 권취하는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피복선이 접속되는 코일 단자로서,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와, 그 접속부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피복선이 접속되는 단자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 본체부는, 상기 코일 단자의 제1 단에 형성되는 기초부와, 그 기초부로부터 제2 단으로 각각 연장되어 설치되고, 슬릿을 사이에 두고 병설되며 상기 단자 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들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릿 내에 상기 피복선이 배치되고, 그 피복선의 선단이 상기 기초부에 납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들보부는, 그 간격이 적어도 일부의 개소에서 상기 피복선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피복선을 협지하는 협지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단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들보부는, 한쪽의 들보부로부터 다른 쪽의 들보부를 향하여 돌기부가 형성되고, 그 돌기부는, 상기 단자 본체부의 두께 방향에서의 상기 피복선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단자.
KR20100095001A 2009-10-26 2010-09-30 코일 단자 KR101171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5001A KR101171560B1 (ko) 2009-10-26 2010-09-30 코일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45541 2009-10-26
KR20100095001A KR101171560B1 (ko) 2009-10-26 2010-09-30 코일 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268A true KR20110046268A (ko) 2011-05-04
KR101171560B1 KR101171560B1 (ko) 2012-08-06

Family

ID=44241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95001A KR101171560B1 (ko) 2009-10-26 2010-09-30 코일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56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552B2 (ja) * 1997-08-19 2000-03-06 小倉クラッチ株式会社 コイル組立体
JP2003332123A (ja) 2002-05-14 2003-11-21 Sanyo Electric Co Ltd ソレノイ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1560B1 (ko) 2012-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236E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US10026577B2 (en) Contact switching device
US10153115B2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US8823474B2 (en) Contact switching mechanism and electromagnetic relay
EP2639810B1 (en) Electromagnetic relay
JP2005222946A (ja) 電磁リレー及びリセプタクル
JP5104599B2 (ja) 電磁開閉装置
JP5368937B2 (ja) コイル端子
KR101171560B1 (ko) 코일 단자
JP4645659B2 (ja) 電磁継電器
JP4645663B2 (ja) リレー
JP6123269B2 (ja) 電磁接触器
CN110520957B (zh) 触点装置和电磁继电器
JP2021144957A (ja) 電磁継電器
US10943751B2 (en) Electromagnetic relay
JP2000260284A (ja) 電磁リレー及びその組立て方法
JP2016181386A (ja) 接点装置および当該接点装置を有する電磁リレー、電線取付方法
CN212365865U (zh) 触点装置、电磁继电器和具备电磁继电器的装置
JP5336271B2 (ja) 接点装置
JP2017199884A (ja) スプール及び電磁接触器
JP3137228U (ja) ソレノイド
WO2020148996A1 (ja) リレー
WO2018123810A1 (ja) 電磁継電器
JP2019169479A (ja) 電磁継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