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6110A - 전기선 연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선 연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6110A
KR20110046110A KR1020090102959A KR20090102959A KR20110046110A KR 20110046110 A KR20110046110 A KR 20110046110A KR 1020090102959 A KR1020090102959 A KR 1020090102959A KR 20090102959 A KR20090102959 A KR 20090102959A KR 20110046110 A KR20110046110 A KR 20110046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acking
screw
branch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2939B1 (ko
Inventor
박경모
김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원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원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원솔루션
Priority to KR1020090102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939B1/ko
Publication of KR20110046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1End pieces for multiconductor cables supported by the cable and for facilitating connections to other conductive members, e.g. for liquid cooled weld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선 연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지중에 매설되는 고압전선 연결 및 유지 보수의 편리성, 작업성 개선, 로진(rosin) 없이 긴밀한 수밀 유지, 분선의 편리성을 두루 제공하는 전기선 연결 커넥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2가닥의 전기선(100)을 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전기선 연결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전기선(100)들의 선단 피복(110)을 벗긴 상태의 심재(120)가 양측으로 내입되어 클램핑 고정되는 동 재질의 터미널(2)과; 상기 터미널(2)의 외부에 씌워지도록 파형의 주름관(4) 양측단에 나사관(5)을 형성한 바디(3)와; 상기 바디(3)에 형성된 홈(3a)에 삽입되는 패킹(7) 및 패킹(7)을 가압하도록 양측 나사관(5)에 체결되는 가압턱(6a)이 형성된 고정너트(6)로 구성하며;
상기 주름관(4)에 분기용 나사관(10)을 형성하고, 이에 연질 합성고무 구성의 분기용 바디(13)를 연결너트(16)로 결합하며, 그 내부로 연결단자(11) 및 연결 터미널(12)을 설치하여 분선되게 한 것이다.
전기선, 연결 커넥터, 터미널, 분기용 터미널, 분선

Description

전기선 연결 커넥터{Connecter for electric appliance}
본 발명은 전기선 연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중에 매설되는 고압전선 연결 및 유지 보수의 편리성, 작업성 개선, 로진(rosin) 없이 긴밀한 수밀 유지, 분선의 편리성을 두루 제공하는 전기선 연결 커넥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지중에 매설되는 고압전선의 경우 각 맨홀마다 전기선을 전기선 연결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전기선 연결 커넥터는 좌우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측방에 주입구멍이 형성된 구성으로 터미널을 이용하여 전기선을 연결한 상태에서 튜브를 씌우고 주입구멍으로 로진을 용융한 상태로 주입하는 구성이었다.
상기한 종래 전기선 연결 커넥터의 경우 전기선 연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즉 터미널로 연결한 후 튜브를 씌운 상태에서 로진을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융융 로진을 튜브에 주입한 후 경화될 때 까지 기다려야 하는 것이다.
또한 전기선을 분선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와 같이 로진을 경화시킨 전기선 연결 커넥터를 분리한 후 분선하고 다시 상기한 작업을 행해야 함으로 작업성 저하, 인건비 상승, 재료비 증가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좁은 맨홀 내에서 가스토치를 사용해야 하므로 화재 및 감전의 위험성에 작업자가 노출되는 등 산업재해 위험성이 있었던 바, 업계에서는 상기한 종래 전기선 연결 커넥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신규한 전기선 연결 커넥터 제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지중에 매설되는 고압전선 연결 및 유지 보수의 편리성, 작업성 개선, 로진(rosin) 없이 긴밀한 수밀 유지, 분선의 편리성을 두루 제공하는 전기선 연결 커넥터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2가닥의 전기선을 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전기선 연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기선들의 선단 피복을 벗긴 상태의 심재가 양측으로 내입되어 클램핑 고정되는 동 재질의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의 외부에 씌워지도록 파형의 주름관 양측단에 나사관을 형성한 바디와; 상기 바디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패킹 및 패킹을 가압하도록 양측 나사관에 체결되는 가압턱이 형성된 고정너트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주름관에 분기용 나사관을 형성하고, 이에 연질 합성고무 구성의 분기용 바디를 연결너트로 결합하며, 그 내부로 연결단자 및 연결 터미널을 설치하여 분선되게 하였다.
또한 상기 연결단자의 하단은 터미널에 형성된 안치홈에 내입되게 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기선 연결 커넥터를 사용할 경우 로진 없이도 작업이 가능한 것으로 단시간에 전기선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재료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선 작업을 단선 없이 쉽게 행할 수 있으며, 맨홀 내에서 종래와 같이 가스토치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화재 및 감전의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기선 연결 커넥터(1)는 도시된 바와 같이 2가닥의 전기선(100)을 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이웃하는 전기선(100)들의 선단 피 복(110)을 벗겨 들어난 심재(120)를 내입하여 클램핑 고정하는 터미널(2)을 동 재질로 구성한다.
상기 터미널(2)의 외부에는 파형의 주름관(4) 양측단에 나사관(5)을 형성한 바디(3)가 씌워진다.
상기 바디(3)의 주름관(4)은 전기선(100)을 매설 상태에서 지반 침하 등으로 양측 전기선(100)이 휘는 경우 주름관(4)에서 일정부분 흡수하여 전기선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기능성이 있다.
상기 바디(3)의 양측 나사관(5)에는 가압턱(6a)이 형성된 고정너트(6)를 체결하며, 상기 바디(3)와 고정너트(6) 사이에는 전기선(100)의 외부 피복(110)과 밀착되는 합성고무 재질의 패킹(7)을 개재한다.
상기 패킹(7)은 바디(3)에 형성된 홈(3a)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너트(6)가 체결될 때 가압턱(6a)에 의해 압축되면서 내면이 전기선(100)의 피복(110) 외주연을 압착하면서 수밀을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로진(rosin)을 용융하여 주입하고, 또한 이를 식히는 등의 작업공정 없이 전기선 연결이 가능하므로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디(3)에는 도면상에서 볼 때 아래쪽에 접시선 연결돌기(8)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지선 연결돌기(8)에는 접지선(9)이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보인 전기선 연결 커넥터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기선 연결 커넥터(1)의 제 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의 구성을 적극적으로 개량하여 분선(130)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 주름관(4)에 직각방향으로 분기용 나사관(10)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이 분기용 나사관(10)으로는 상기 동 재질의 터미널(2) 중간에 전기선(100)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나사구멍(2a)에 결합되는 연결단자(11)를 노출되게 결합한다. 이때 연결단자(11)의 하단은 터미널(2)에 형성된 안치홈(2b)에 내입되어 넓은 접지면을 갖도록 함으로 해서 분선(130)으로 안정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연결단자(11)는 상측으로 적층 결합할 수 있으며, 연결단자(11)에는 직각방향으로 분기용 터미널(12)을 결합한다.
상기 분기용 터미널(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선(130)이 한쪽으로 결합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분선(130)이 양쪽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상기 분기용 터미널(12)은 엘보 또는 T형(도시되지 않음.)으로 구성된 연질 합성고무 구성의 분기용 바디(13)가 씌워진다.
본 발명에 도시된 분기용 바디(13)는 상기 직각의 엘보관(14)의 한쪽에 분기용 나사관(10)의 상면과 대응하는 걸림턱(15)을 형성하고, 다른 쪽에 나사관(16)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턱(15)은 경질 합성수지 구성의 연결너트(17)에 강제로 끼움하여 결합하며, 연결너트(17)를 분기용 나사관(10)에 체결할 때 분기용 나사관(10)의 상면과 걸림턱(15) 사이에 패킹(18)을 개재하여 수밀 상태로 고정되게 하고, 상기 나사관(16)에는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이 분기용 바디(13)에 형성된 홈(13a)에 패킹(19)을 삽입한 상태로 가압턱(20a)이 형성된 고정너트(20)를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15)의 위쪽으로는 걸림턱(15)과 동일한 중심 선상에 위치하도록 단자 조립나사관(21)을 형성하고 패킹(22)을 개재하고 마개(23)를 결합한다.
도 5는 본 발명 제 2실시예의 다른 사용예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상기 단자 조립나사관(21)을 통하여 상기와 같이 연결단자(11) 및 분기용 터미널(12)과 분기용 바디(13)를 결합하여 복수로 분선(130)한 예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전기선 연결 커넥터(1)를 이용하여 전기선(100)을 연결코자 할 시에는 먼저 바디(3)의 양측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너트(6)와 패킹(7)을 분리한 상태에서 연결코자 하는 전기선(100)에 이들을 삽입한 후 양측 전기선(100) 단부에서 피복(110)을 벗긴 후 심재(120)를 터미널(2) 양측에 형성된 전선 삽입홈(2c)에 끼워서 클램핑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터미널(2)을 이용하여 양측 전기선(100)을 클램핑 고정한 후 터미널(2)이 바디(3) 내측에 위치하도록 바디(3)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분리된 상태로 있는 패킹(7) 및 고정너트(6)를 바디(3)의 나사관(5)에 체결한다. 이때 패킹(7)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기선(100)의 피복(110)에 밀착 고정되어 수밀을 유지하므로 외부에서 터미널(2) 쪽으로 유입되는 습기를 완벽하게 차단하게 되는 것이 다.
또한 본 발명 제2실시예와 같이 구성할 경우 전기선(100)에서의 분선(130)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제 2실시예를 이용코자 할 시에는 먼저 바디(3)의 주름관(4)에 형성된 분기용 나사관(10)에 분기용 바디(13)를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분기용 바디(13)를 결합한 상태에서 단자 조립나사관(21)을 통해서 연결단자(11)를 내입하여 상기 바디(3) 내측에 위치하는 터미널(2)에 결합하고, 나사관(16)을 통해서 내입되는 분기용 터미널(12)을 연결단자(11)에 결합한 후 상기에서와 같이 분기용 바디(13)의 나사관(16)에 패킹(19)과 고정너트(20)를 체결하여 분선(130)하면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보인 전기선 연결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 2실시예의 다른 사용예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전기선 연결 커넥터 2:터미널
2a:나사구멍 2b:안치홈
3:바디 3a:홈
4:주름관 5:나사관
6:고정너트 6a:가압턱
7:패킹 10:분기용 나사관
11:연결단자 12:분기용 터미널
13:분기용 바디 13a:홈
14:엘보관 15:걸림턱
16:나사관 17:연결너트
18,19,22:패킹 20:고정너트
20a:가압턱 21:조립나사관
23:마개 100:전기선
110:피복 120:심재
130:분선

Claims (3)

  1. 2가닥의 전기선(100)을 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전기선 연결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전기선(100)들의 선단 피복(110)을 벗긴 상태의 심재(120)가 양측으로 내입되어 클램핑 고정되는 동 재질의 터미널(2)과;
    상기 터미널(2)의 외부에 씌워지도록 파형의 주름관(4) 양측단에 나사관(5)을 형성한 바디(3)와;
    상기 바디(3)에 형성된 홈(3a)에 삽입되는 패킹(7) 및 패킹(7)을 가압하도록 양측 나사관(5)에 체결되는 가압턱(6a)이 형성된 고정너트(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선 연결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4)에 직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분기용 나사관(10)과;
    상기 분기용 나사관(10)을 통해서 노출되도록 전기선(100)과 직각방향으로 터미널(2)에 형성한 나사구멍(2a)에 결합한 다단으로 조립되는 연결단자(11)와;
    상기 연결단자(11)에 직각방향으로 결합한 분기용 터미널(12)과;
    상기 분기용 터미널(12)에 씌워지도록 직각의 엘보관(14) 한쪽에 분기용 나사관(10) 상면과 대응하는 걸림턱(15)을 형성하고, 다른 쪽에 나사관(16)을 형성한 연질 합성고무 구성의 분기용 바디(13)와;
    상기 걸림턱(15)이 강제 끼움되어 걸림되며, 상기 분기용 나사관(10)과의 사이에 패킹(18)이 개재된 상태로 결합되는 연결너트(17)와;
    상기 분기용 바디(13)에 형성된 홈(13a)에 삽입되는 패킹(19) 및 패킹(19)을 가압하도록 나사관(16)에 체결되는 가압턱(20a)이 형성된 고정너트(20)와;
    상기 걸림턱(15)과 반대측에 걸림턱(15)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엘보관(14)에 형성한 단자 조립나사관(21) 및 패킹(22)을 개재한 상태로 나사 결합되는 마개(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선 연결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11)의 하단은 터미널(2)에 형성된 안치홈(2b)에 내입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선 연결 커넥터.
KR1020090102959A 2009-10-28 2009-10-28 전기선 연결 커넥터 KR101062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959A KR101062939B1 (ko) 2009-10-28 2009-10-28 전기선 연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959A KR101062939B1 (ko) 2009-10-28 2009-10-28 전기선 연결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110A true KR20110046110A (ko) 2011-05-04
KR101062939B1 KR101062939B1 (ko) 2011-09-07

Family

ID=44241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959A KR101062939B1 (ko) 2009-10-28 2009-10-28 전기선 연결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9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75132A (zh) * 2015-12-10 2016-03-02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输电运行检修分公司 一种tyyh型引流线夹
KR102091183B1 (ko) * 2019-09-05 2020-03-19 주식회사 종합전기기술사사무소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
CN113394576A (zh) * 2021-07-30 2021-09-14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发动机搭铁组件及车架
KR102410363B1 (ko) 2021-01-27 2022-06-22 전종득 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774Y1 (ko) 2001-05-12 2001-11-16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선보호관용 연결구의 방음구조
KR200381103Y1 (ko) 2005-01-18 2005-04-08 백준식 향상된 결합상태를 갖는 전선관 커넥터
KR200401178Y1 (ko) * 2005-08-30 2005-11-15 김진규 방수 및 절연용 슬리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75132A (zh) * 2015-12-10 2016-03-02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输电运行检修分公司 一种tyyh型引流线夹
KR102091183B1 (ko) * 2019-09-05 2020-03-19 주식회사 종합전기기술사사무소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
KR102410363B1 (ko) 2021-01-27 2022-06-22 전종득 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CN113394576A (zh) * 2021-07-30 2021-09-14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发动机搭铁组件及车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2939B1 (ko)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3130C (en) Ground strap shield connector
US9196976B2 (en) Tapered ground strap shield connector
JP5392640B2 (ja) ケーブル接続装置
KR101062939B1 (ko) 전기선 연결 커넥터
CN110521075B (zh) 用于保持屏蔽电缆的保持设备
US6126483A (en) Interconnect system for heating conductors in an aircraft
CN203415725U (zh) 核电低压电缆端子式中间连接结构
CN117374619B (zh) 一种防水电缆
KR101490314B1 (ko)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단자
KR101573004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CN109378605B (zh) 插接式电缆连接头
KR100823052B1 (ko)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KR100639313B1 (ko) 고압전기 분기 슬리브용 절연재 커버
CN112769091A (zh) 一种快捷组合式电缆中间接头与电缆中间连接方法
KR101095471B1 (ko) 케이블접속구조체
CN101832427B (zh) 密封光电分壁连接装置及密封舱装置
KR101457349B1 (ko) 스크류 압축식 지중저압 케이블 접속장치
KR100816282B1 (ko) 배전 선로의 분기슬리브
KR101423948B1 (ko) 접지용 절연플러그의 절연캡
KR200461136Y1 (ko)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CN113612172A (zh) 一种预制装配式电气快装管线、连接装置和系统
KR200342004Y1 (ko)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JP2009259822A (ja) 基礎絶縁プラグ及び製造方法
KR100819143B1 (ko)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JP2015186296A (ja) 絶縁被覆電線の止水構造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