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5766A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5766A
KR20110045766A KR1020090102464A KR20090102464A KR20110045766A KR 20110045766 A KR20110045766 A KR 20110045766A KR 1020090102464 A KR1020090102464 A KR 1020090102464A KR 20090102464 A KR20090102464 A KR 20090102464A KR 20110045766 A KR20110045766 A KR 20110045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eans
light guide
guide plate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8154B1 (ko
Inventor
이경찬
김찬환
이건호
Original Assignee
(주)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텍 filed Critical (주)코텍
Priority to KR1020090102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154B1/ko
Priority to EP10826985.3A priority patent/EP2495019A4/en
Priority to PCT/KR2010/006810 priority patent/WO2011052900A2/ko
Priority to US13/503,807 priority patent/US8711059B2/en
Publication of KR20110045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5/00Roulette games
    • A63F5/04Disc roulettes; Dial roulettes; Teetotums; Dice-top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75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04Player-machine interfaces
    • G07F17/3211Display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4Arrangements combining different electro-active layers, e.g. electrochromic, liquid crystal or electroluminesc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1Function characteristic transmis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62Switchable arrangements whereby the element being usually not switch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 디스플레이수단(10)과, 상기 전방 디스플레이수단(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디스플레이수단(10)의 일부를 통해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의 이미지가 시인 가능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방 디스플레이수단(10)은: 표시패널(20); 상기 표시패널(20)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이 시인 가능한 투시창(16)이 형성된 제1도광판(36)과, 상기 제1도광판(36)의 둘레에 배치되는 제1광원(38)과, 상기 제1도광판(36)의 배면에서 광을 반사하며 상기 투시창(16)에 대응하는 영역이 개구되어 이미지홀(18)을 형성하는 반사시트(39)를 포함하는 전방 백라이트(30); 및 상기 전방 백라이트(30)의 후방에서 상기 투시창(1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후방을 향해 V자 형태로 절곡되어,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제1도광면(42a)과, 이 제1도광면(42a)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제2도광면(42b)을 갖는 제2도광판(42)과, 상기 제2도광판(4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어 각각 제1도광면(42a)과 제2도광면(42b)을 조명하는 제2광원(44)을 포함하는 후방 백라이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화된 구조의 후방 백라이트(40)를 오프 제어하는 경우 후방 백라이트(40)를 투시하여 후방 디스플레이수단을 시인 가능하게 함으로써 후방 디스플레이수단과 전방 디스플레이수단이 조합된 이미지를 표현하도록 하는 한편, 후방 백라이트(40)를 온 제어하는 경우 전방 백라이트의 투시창 영역을 후방 백라이트가 조명함으로써 전방 디스플레이수단 의 전체 화면 디스플레이시 화면의 단절 없이 선명한 화면표시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Figure P1020090102464
전방 디스플레이수단, 후방 디스플레이수단, 전방 백라이트, 후방 백라이트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전방 디스플레이수단과 후방 디스플레이수단이 소정 이미지를 조합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디스플레이수단 자체의 전체 화면 디스플레이시 화면의 단절 없이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릴 표시수단을 이용한 슬롯머신 게임장치에 있어서, 게임의 흥미를 유발하고 좀 더 다채로운 이미지 연출을 위하여 액정표시장치가 이용된다. 통상 액정표시장치는 전방에 배치되며,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도광판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부의 후방에는 심볼마크가 도안된 릴밴드를 장착한 회전릴이 설치된다. 따라서, 도광판의 개구부를 통해 후방의 회전릴 표시수단이 투시되는 동시에, 전방의 액정표시장치를 통해 게임과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게임 참여자의 흥미를 유발시킨다.
그런데, 위와 같은 게임장치는 도광판의 개구부에서는 광이 방사되지 않음으 로 인해, 전방의 액정표시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이미지가 단절되어 표시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후방의 회전릴 표시수단이 정지된 상태에서 전방의 액정표시장치를 통해 당첨내용과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하게 되는데, 이때 회전릴 표시수단이 투시되는 영역에서는 백라이트가 존재하지 않음으로 인해 영상 표시가 어렵다. 따라서, 전방의 액정표시장치를 통해 당첨내용, 안내 메시지 등을 표시하는 것이 매우 제한적이며 단절된 화면 표시밖에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후방의 회전릴 표시수단이 별도의 조명수단에 의해 조명되지만, 후방 조명수단을 끈 상태에서도, 도광판의 개구부를 통해 후방의 회전릴 표시수단이 항상 노출되어 있다. 이는 게임이 진행되지 않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외관을 조잡하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전방 디스플레이수단과 후방 디스플레이수단이 소정 이미지를 조합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특화된 구조의 후방 백라이트를 별도로 설치하여 후방 디스플레이수단이 투시 가능한 동시에 전방 디스플레이수단의 전체 영역을 조명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방 디스플레이수단 자체에서 전체 화면을 화면의 단절 없이 표시 가능하게 하고, 전방 디스플레이수단에서 당첨내용, 안내 메시지, 기타 게임과 관련된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제약이 없으며, 게임이 진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화면 디스플레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 디스플레이수단의 표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게임의 유휴상태를 확연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 백라이트의 도광판을 절개하지 않고, 일부 영역에만 패턴영역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영역에는 비패턴영역부를 형성하여 투시창을 구성함으로써, 도광판의 제조공정을 간소화하고, 전방 백라이트의 휘도를 높이고, 투시창에서 전방 백라이트와 후방 백라이트간 광간섭을 억제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방 디스플레이수단(10)과, 상기 전방 디스플레이수단(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디스플레이수단(10)의 일부를 통해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의 이미지가 시인 가능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디스플레이수단(10)은: 표시패널(20); 상기 표시패널(20)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이 시인 가능한 투시창(16)이 형성된 제1도광판(36)과, 상기 제1도광판(36)의 둘레에 배치되는 제1광원(38)과, 상기 제1도광판(36)의 배면에서 광을 반사하며 상기 투시창(16)에 대응하는 영역이 개구되어 이미지홀(18)을 형성하는 반사시트(39)를 포함하는 전방 백라이트(30); 및 상기 전방 백라이트(30)의 후방에서 상기 투시창(1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후방을 향해 V자 형태로 절곡되어,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제1도광면(42a)과, 이 제1도광면(42a)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제2도광면(42b)을 갖는 제2도광판(42)과, 상기 제2도광판(4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어 각각 제1도광면(42a)과 제2도광면(42b)을 조명하는 제2광원(44)을 포함하는 후방 백라이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은 복수열의 가변이미지를 갖는 회전릴 표시수단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은 LCD, PDP, OLED, AMOLED 중 어느 하나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은 소정 이미지를 표시하는 사진 또는 사물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이 회전릴 표시수단이거나 소정 이미지를 표시하는 사진 또는 사물인 경우,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을 조명하는 후방 디스플레이 조명수단(56)을 더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패널(20)은 TFT기판(26)과 칼라필터(24)가 접합되고, TFT기판(26)과 칼라필터(24) 사이에 액정이 봉입된 액정패널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도광판(36)의 투시창(16)은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의 위치에 대응하여 부분적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도광판(36)은 투시창(16) 이외의 영역에는 패턴이 인쇄된 패턴영역부(36a)를 형성하고, 투시창(16) 영역에는 패턴이 인쇄되지 않은 비패턴영역부(36b)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패널(20)의 후방에 배치되는 광학셔터(46)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상기 광학셔터(46)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로 구성된 액정셔터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광원 및 제2광원은 CCFL 또는 LED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따르면, 전방 디스플레이수단에 후방 디스플레이수단이 시인 가능한 투시창을 갖는 전방 백라이트를 장치하고, 이 투시창에 대응하는 영역에 후방을 향해 V자 형태로 굴곡된 도광판을 갖는 후방 백라이트를 장치함으로써, 후방 백라이트를 온/오프 제어함에 따라 후방 디스플레이수단이 투시되어 전방 디스플레이수단과 조합된 이미지를 연출하거나, 후방 디스플레이수단의 투시를 차단하고 전방 디스플레이수단 전체 화면에서 영상의 단절 없이 표시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게임과 관련된 이미지의 다채로운 연출을 가능하게 하며, 게임이 진행되지 않을 때에는 후방 디스플레이수단을 완전히 차단하고 전방 디스플레이수단의 전체 영역에 걸쳐 게임과 관련된 이미지를 표현하여 보다 고품질의 영상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패널의 후방에 광학셔터를 배치함으로써, 광학셔터를 투명 또는 차단상태로 제어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체 화면을 온/오프 제어함으 로써 게임장치의 유휴상태를 확연하게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 백라이트의 도광판에 투시창을 형성함에 있어, 도광판을 절개하지 않고, 도광판의 일부영역에만 패턴영역부를 형성하고 투시창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패턴을 인쇄하지 않는 비패턴영역부로 형성함으로써, 도광판의 절개공정을 제거하여 제조공정을 간소화함은 물론, 도광판을 절개하는 경우에 비해 도광판 내부에서의 전반사 공간이 늘어나 전방 백라이트의 휘도레벨을 높일 수 있으며, 패턴영역부와 비패턴영역부 사이에서의 광차단 효과에 기인하여 전방 백라이트와 후방 백라이트간 광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효과는 비단 슬롯머신과 같은 게임장치에 국한되지 않고, 전방 디스플레이와 후방 디스플레이를 조합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2D 영상과 3D 영상을 구현하는 기술 및 기타 전방 디스플레이와 후방 디스플레이의 조합에 의한 이미지 표시 기술 등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은 전방 디스플레이수단과 이 전방 디스플레이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디스플레이수단이 조합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슬롯머신과 같은 게임장치로 이용되거나, 기타 전, 후방 디스플레이가 조합되어 표시되는 게임장치, 3D 입체영상 표시장치, 전자 액자 등 다양한 형태로 응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전방 디스플레이수단으로 액정표시장치가 설치되고, 후방 디스플레이수단으로 회전릴 표시수단이 설치된다. 회전릴 표시수단은 릴 밴드에 인쇄된 심볼마크를 가변적으로 표시하며, 심볼마크의 조합에 따라 당첨여부가 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후방 디스플레이수단은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수단으로 대체 가능하다. 예컨대, 통상 알려진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장치가 후방 디스플레이수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소정 이미지를 표시하는 사진이나 사물(예컨대, 쥬얼리 등과 같은)이 후방 디스플레이수단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전방 디스플레이수단의 일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개략적으로 묘사한 단면 구성도이다. 전방 디스플레이수단(10)은 도 1에서 전면에 도시된 순서대로 표시패널(20)과, 광학셔터(46)와, 전방 백라이트(30)와, 후방 백라이트(40)가 복층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전방 디스플레이수단(10)의 후방에는 도 2 및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이 설치된다.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의 일예로서, 도 2의 실시예는 회전릴 표시수단이 설치된 예를 보인 것이며, 도 3의 실시예는 평판형 표시장치가 설치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으로 회전릴 표시수단이 설치되는 경우, 회전릴 표시수단은 회전릴(52)의 외주면에 릴밴드(54)가 부착된 형태를 가지며, 릴밴드(54)에는 도시 안된 심볼마크가 도안된다. 그리고, 회전릴(52)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심볼마크를 조명하기 위한 후방 디스플레이 조명수단(56)이 설치된다. 따라서, 후방 디스플레이 조명수단(56)으로 회전릴(52)을 조명하여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을 시인 가능하게 하며, 회전릴(52)이 회전하다가 정지할 때 전방 디스플레이수단(10)을 통해 투시되는 심볼마크의 조합에 의해 게임의 당첨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으로 LCD, PDP, OLED, AMOLED 등의 표시장치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후방의 표시장치를 통해 게임내용에 해당하는 영상 이미지를 표시하고, 게임 내용에 해당하는 영상 이미지가 전방 디스플레이수단(10)을 통해 투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으로 설치되는 표시장치는 통상 알려진 표시장치와 다름없으므로 백라이트를 포함한 내부의 자세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슬롯머신 게임장치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방 디스플레이수단(10)의 복수 영역을 투시 가능하게 하고, 전방 디스플레이수단(10)과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이 이미지를 조합 표시하여 3D 입체영상을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패널(20)은 바람직하게는 액정패널이다. 표시패널(20)은 TFT기판(26)과 칼라필터(24)가 접합된 패널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편광필름(22, 28)이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TFT기판(26)은 통상 알려진 액정패널과 마찬 가지로, 화소 및 화소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게이트 메탈과 소스 메탈이 종횡으로 배선된 어레이기판이며, 칼라필터(24)는 글래스 기판 상에 R, G, B 패턴이 인쇄되거나 R, G, B 필름이 코팅된 기판이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TFT기판(26)과 칼라필터(24)가 접합된 패널의 측부에는 드라이브IC가 실장되며, TFT기판(26)과 칼라필터(24) 사이에는 액정이 봉입된다. 편광필름(22, 28)은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패턴이 인쇄된 필름으로서, 액정의 움직임에 따라 빛의 편광방향이 전환되면, 빛의 투과 및 차단을 결정하여 칼라필터를 통한 다양한 색상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필름이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시패널(20)은 보호 필름 또는 글래스 등 다른 구성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패널(20)과 전방 백라이트(30) 사이에는 광학셔터(46)가 설치된다. 광학셔터(46)는 전방 백라이트(30)의 광을 광학적으로 투과하거나 차단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으로 구성된다. PDLC는 편광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고분자 내에 액정을 포함시킨 패널로서,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액정 분자가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광을 차단시키며, 전압을 인가하면 액정이 가지런하게 되면서 투과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은 전방 광학셔터(46)는 전방 백라이트(30) 및 후술하는 후방 백라이트(40)의 광을 차단하여 전방 디스플레이수단(10)의 디스플레이를 강제로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방 백라이트(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시트(32) 및 확산시트(34)와 같은 광학시트들과, 제1도광판(36)과, 제1광원(38)과, 반사시트(39)로 구성된다. 프리즘시트(32)는 광을 집광하기 위한 광학시트이고, 확산시트(34)는 광을 분산시켜 광 균일도를 얻기 위한 광학시트이다. 이와 같은 광학시트들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광학시트들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보호시트 등이 더 부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광학시트들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을 시인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개구된 이미지홀(18)이 형성된다.
상기 제1도광판(36)은 두께면으로 제1광원(38)으로부터의 광을 입사받아 면발광하는 패널로서, 투명 아크릴 등으로 구성된다. 제1광원(38)은 도 1에서와 같이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로 구성되거나 도 2 및 3에서와 같이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광원(38)은 제1도광판(36)의 둘레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도시된 예에서는 제1도광판(36)의 상, 하측에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지만, 좌, 우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도광판(36)에는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이 시인 가능한 투시창(16)이 형성된다. 투시창(16)은 비발광영역으로서, 투시창(16)이 형성된 영역에서는 전방 백라이트(30)에 의한 백라이트 광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표시패널(20) 상에 화면 디스플레이가 일어나는 중에도 투시창(16)을 통해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을 시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의 실시예에서 투시창(16)은 제1도광판(36)의 중앙부 3개 영역을 개구하여 형성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제1도광판(36)의 중앙부를 절개하지 않고도 투시창(16)을 형성하는 기술을 제공하며, 이에 대하여는 도 4 및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반사시트(39)는 제1도광판(36)의 배면에서 광을 반사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광학시트에서와 마찬가지로 투시창(16)에 대응하는 영역이 개구되어 이미지홀(18)을 형성한다. 반사시트(39)는 보호용 글래스의 전면에 반사필름을 부착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방 디스플레이수단(10)에서 전체 화면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방 백라이트(30) 후방에 별도의 후방 백라이트(40)를 더 설치하고 있다. 도 2 및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표시패널(20)과 전방 백라이트(30)는 전방 백라이트 하우징(12) 내에 설치되며, 후방 백라이트(40)는 별체로 이루어진 후방 백라이트 하우징(14) 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후방 백라이트 하우징(14)은 전방 백라이트 하우징(12) 배면의 개구부에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후방 백라이트(40)는 전방 백라이트(30)의 투시창(1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도광판(42)과, 이 제2도광판(42)의 둘레에 배치되는 제2광원(44)으로 구성된다. 제2도광판(42)은 제1도광판(36)과 마찬가지로 투명 패널로 구성되며, 제2광원(44)은 CCFL 또는 LED로 구성된다.
그런데, 여기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후방 백라이트(40)는 전방 디스플레이수단(10)을 조명하는 동시에 투시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후방 백라이트(40)의 배면에는 반사시트를 설치하지 않는다. 대신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백라이트(40)는 일반적인 백라이트 구성과 달리 특화된 구성을 갖는다.
후방 백라이트(40)의 제2도광판(42)은 후방을 향해 V자 형태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도광판(42)의 상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 진 제1도광면(42a)을 형성한다. 제2도광판(42)의 하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제2도광편(42b)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도광면(42a)의 상부와 제2도광면(42b)의 하부에는 각각 제2광원(44)이 설치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도광면(42a)과 제2도광면(42b) 각각의 전면에는 도광판 내로 입사된 광을 수집하여 전면으로 굴절시키기 위한 패턴이 인쇄된다. 예를 들어, 패턴은 매트릭스 형태의 도트 패턴이다.
위와 같은 구조의 후방 백라이트(40)는 제1도광면(42a)과 제2도광면(42b)이 각각 경사면을 형성하고, 제2광원(44)의 빛을 배면측으로 입사받아 전면측으로 방사한다. 이때,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도광면(42a)과 제2도광면(42b)은 별도의 반사시트 없이 광을 전면으로 방사하며, 배면으로는 광을 방사하지 않게 된다. 만약, 후방 백라이트(40)를 오프시킨다면, 제2도광판(42)은 투명 상태로 전환되며 후방에 배치된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을 투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후방 백라이트(40)가 오프 상태라면, 후방 백라이트(40)를 통해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이 투시되면서, 전방 디스플레이수단(10)과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이 상호 조합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후방 백라이트(40)를 온 시키면,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이 시야에서 차단되는 동시에, 후방 백라이트(40)가 전방 백라이트(30)의 투시창(16) 영역을 조명하면서 비로소 전방 디스플레이수단(10)의 전체 화면을 통해 선명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방 백라이트(40)를 디밍(dimming) 제어하여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의 시인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후방 백라이트(40)의 전면에 광학셔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후방 백라이트(40) 전면의 광학셔터가 차단 상태에 놓이면, 후방 백라이트(40)가 희미하게 보이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1도광판(36)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A-A'를 따라 절개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1도광판(36)의 중앙부를 개구하지 않고 투시창(16)을 형성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광판(36)은 패턴영역부(36a)와 비패턴영역부(36b)를 갖는다. 제1도광판(36)에서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이 투시되지 않는 영역, 즉, 투시창(16)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만 소정 패턴을 인쇄한다. 패턴영역부(36a)에 형성되는 패턴은, 통상적으로 도광판의 표면 전체에 걸쳐 인쇄되는 패턴과 동일하며, 이 패턴은 도광판 내부로 입사된 광을 수집하여 전방으로 굴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패턴영역부(36a)에 인쇄되는 패턴은 매트릭스 형태의 도트 패턴일 수 있으며, 패턴의 행간 및 열간 간격을 조정하는 것으로 도광판의 휘도를 결정하거나, 복합적인 패턴을 이용하여 휘도를 높이고 도광판의 광 균일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제1도광판(36)에서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이 투시되는 투시창(16)에 해당되는 영역에는 패턴이 인쇄되지 않는 비패턴영역부(36b)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비패턴영역부(36b)에서는 제1도광판(36) 내부로 입사된 광이 전반사하면서 전면으로 방출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제1도광판(36)은 패턴영역부(36a)의 전면에서만 발 광하고, 비패턴영역부(36b)의 전면에서는 발광하지 않는다.
여기서, 제1도광판(36)의 비패턴영역부(36b) 내에서 일어나는 광의 전반사는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으며, 따라서 비패턴영역부(36b)는 실제로 투명하게 관찰된다.
이와 같은 제1도광판(36)의 구성에 따르면, 도광판의 중앙부를 커팅하여 제거하지 않으므로, 제1도광판(36)의 제조공정을 크게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제1도광판(36)을 절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광의 전반사 영역이 늘어남으로써 휘도레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제1광원(38)의 소비전력을 줄여 장치 전체의 전력사용량을 낮출 수 있다. 또한, 패턴영역부(36a)와 비패턴영역부(36b) 사이에서 광 차단 효과가 발생함으로써, 전방 백라이트(30)와 후방 백라이트(40)간 광간섭을 크게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 디스플레이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1도광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도 4에서 A-A'를 따라 절개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방 디스플레이수단 12 : 전방 백라이트 하우징
14 : 후방 백라이트 하우징 16 : 투시창
18 : 이미지홀 20 : 표시패널
22 : 편광필름 24 : 칼라필터
26 : TFT기판 28 : 편광필름
30 : 전방 백라이트 32 : 프리즘시트
34 : 확산시트 36 : 제1도광판
36a : 패턴영역부 36b : 비패턴영역부
38 : 제1광원 39 : 반사시트
40 : 후방 백라이트 42 : 제2도광판
42a : 제1도광면 42b : 제2도광면
44 : 제2광원 46 : 광학셔터
50 : 후방 디스플레이수단 52 : 회전릴
54 : 릴밴드 56 : 후방 디스플레이 조명수단

Claims (11)

  1. 전방 디스플레이수단(10)과, 상기 전방 디스플레이수단(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디스플레이수단(10)의 일부를 통해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의 이미지가 시인 가능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디스플레이수단(10)은:
    표시패널(20);
    상기 표시패널(20)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이 시인 가능한 투시창(16)이 형성된 제1도광판(36)과, 상기 제1도광판(36)의 둘레에 배치되는 제1광원(38)과, 상기 제1도광판(36)의 배면에서 광을 반사하며 상기 투시창(16)에 대응하는 영역이 개구되어 이미지홀(18)을 형성하는 반사시트(39)를 포함하는 전방 백라이트(30); 및
    상기 전방 백라이트(30)의 후방에서 상기 투시창(1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후방을 향해 V자 형태로 절곡되어,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제1도광면(42a)과, 이 제1도광면(42a)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제2도광면(42b)을 갖는 제2도광판(42)과, 상기 제2도광판(4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어 각각 제1도광면(42a)과 제2도광면(42b)을 조명하는 제2광원(44)을 포함하는 후방 백라이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은 복수열의 가변이미지를 갖는 회전릴 표시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은 LCD, PDP, OLED, AMOLE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은 소정 이미지를 표시하는 사진 또는 사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을 조명하는 후방 디스플레이 조명수단(5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20)은 TFT기판(26)과 칼라필터(24)가 접합되고, TFT기판(26)과 칼라필터(24) 사이에 액정이 봉입된 액정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광판(36)의 투시창(16)은 후방 디스플레이수단(50)의 위치에 대응하여 부분적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광판(36)은 투시창(16) 이외의 영역에는 패턴이 인쇄된 패턴영역부(36a)를 형성하고, 투시창(16) 영역에는 패턴이 인쇄되지 않은 비패턴영역부(36b)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20)의 후방에 배치되는 광학셔터(4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셔터(46)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로 구성된 액정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 및 제2광원은 CCFL 또는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90102464A 2009-10-27 2009-10-27 디스플레이장치 KR101068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464A KR101068154B1 (ko) 2009-10-27 2009-10-27 디스플레이장치
EP10826985.3A EP2495019A4 (en) 2009-10-27 2010-10-06 DISPLAY APPARATUS
PCT/KR2010/006810 WO2011052900A2 (ko) 2009-10-27 2010-10-06 디스플레이장치
US13/503,807 US8711059B2 (en) 2009-10-27 2010-10-06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464A KR101068154B1 (ko) 2009-10-27 2009-10-27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766A true KR20110045766A (ko) 2011-05-04
KR101068154B1 KR101068154B1 (ko) 2011-09-27

Family

ID=43922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464A KR101068154B1 (ko) 2009-10-27 2009-10-27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11059B2 (ko)
EP (1) EP2495019A4 (ko)
KR (1) KR101068154B1 (ko)
WO (1) WO201105290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5720A1 (ko) * 2020-05-22 2021-11-25 주식회사 토비스 투과부를 갖는 도광판 및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구비한 게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224B1 (ko) * 2009-10-27 2011-07-04 (주)코텍 디스플레이장치
KR101357185B1 (ko) * 2011-09-21 2014-02-05 (주)코텍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
KR101314267B1 (ko) * 2011-10-14 2013-10-02 주식회사 토비스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게임기
JP2013240457A (ja) * 2012-05-18 2013-12-05 Universal Entertainment Corp ゲーミングマシン
KR101432772B1 (ko) * 2012-11-26 2014-08-21 (주)코텍 디스플레이 장치
JP2017107048A (ja) * 2015-12-09 2017-06-15 オムロ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遊技機
US10696218B1 (en) * 2018-12-20 2020-06-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llumination device
USD1023405S1 (en) 2023-12-11 2024-04-16 Shenzhen Yimai E-commerce Co., Ltd. Picture ligh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4799B2 (en) * 2001-12-14 2006-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ing device for dual liquid crystal display and folder-type mobile phone therewith
JP2004166959A (ja) * 2002-11-20 2004-06-17 Aruze Corp 遊技機
JP2004166963A (ja) * 2002-11-20 2004-06-17 Aruze Corp 遊技機
JP2004329692A (ja) * 2003-05-09 2004-11-25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および遊技機
AU2005211539B2 (en) * 2004-09-30 2008-04-03 Universal Entertainment Corporation Gaming machine and game system
JP2006158446A (ja) 2004-12-02 2006-06-22 Olympia:Kk 遊技機
KR100821528B1 (ko) 2005-11-28 2008-04-11 주식회사 토비스 디스플레이 화면이 구비된 게임머신
KR100858868B1 (ko) 2006-11-07 2008-09-17 주식회사 토비스 슬롯머신용 릴게임에서의 절환게임이 가능한 화상디스플레이 패널 투광구조
WO2009016604A1 (en) * 2007-08-02 2009-02-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tendue conserving, color-mixed, and high brightness led light source
JP2009204885A (ja) * 2008-02-28 2009-09-10 Omron Corp 表示装置
KR101046224B1 (ko) * 2009-10-27 2011-07-04 (주)코텍 디스플레이장치
TWI416444B (zh) * 2011-03-21 2013-11-21 Wistron Corp 顯示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5720A1 (ko) * 2020-05-22 2021-11-25 주식회사 토비스 투과부를 갖는 도광판 및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구비한 게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5019A4 (en) 2014-03-19
WO2011052900A2 (ko) 2011-05-05
US20120206320A1 (en) 2012-08-16
WO2011052900A3 (ko) 2011-09-09
KR101068154B1 (ko) 2011-09-27
EP2495019A2 (en) 2012-09-05
US8711059B2 (en) 201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224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1068154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9101826B2 (en) Display device for a slot machine
US2010014443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nit . gaming device ,and display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unit
KR101153892B1 (ko) 서브백라이트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EP1705927A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using time-sequential method
KR101357185B1 (ko)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
JP5160635B2 (ja) 液晶表示ユニット、液晶表示ユニットの制御方法及び遊技装置
KR101165437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2004329858A (ja) スロットマシーン型遊技機
KR20110032340A (ko) 액정표시모듈 및 그를 이용한 표시장치
JP6216054B2 (ja) 遊技機用表示装置
JP2006061468A (ja) 遊技機
KR20110045775A (ko) 도광판
JP2007033908A (ja) 液晶表示装置
JP2004254950A (ja) 遊技機
JP2007054257A (ja) 表示装置
KR20130096596A (ko) 영상표시장치
JP2007256840A (ja) 液晶表示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CN103048830A (zh) 具有可局部动态控制照明的背光模组的液晶显示器
JP2006098550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