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5421A - 조경용 띠 - Google Patents

조경용 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5421A
KR20110045421A KR1020090101995A KR20090101995A KR20110045421A KR 20110045421 A KR20110045421 A KR 20110045421A KR 1020090101995 A KR1020090101995 A KR 1020090101995A KR 20090101995 A KR20090101995 A KR 20090101995A KR 20110045421 A KR20110045421 A KR 20110045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scaping
strip
band
presen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4781B1 (ko
Inventor
박찬도
Original Assignee
박찬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도 filed Critical 박찬도
Priority to KR1020090101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7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45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8Raised beds; Planting beds; Edging elements for beds, lawn or the like, e.g.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단이나 정원 등과 같이 화초나 나무가 심어지는 장소에 설치되어 식재되는 식물들 사이를 구분하거나 하나의 장식으로 사용되는 조경용 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경용 띠는 화단이나 정원 등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분리하거나 특정 모양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잘 휘어지도록 탄성을 갖는 연질의 재질로 만들어진 긴 띠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매설홈이 형성되어 상기 매설홈이 지중에 매설되었을 때 흙이 채워져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조경, 구분, 장식, 띠

Description

조경용 띠{band for landscape}
본 발명은 조경용 띠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화단이나 정원 등과 같이 화초나 나무가 심어지는 장소에 설치되어 식재되는 식물들 사이를 구분하거나 하나의 장식으로 사용되는 조경용 띠에 관한 것이다.
생활환경이 개선되고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정원이나 제방, 언덕 또는 방벽 등의 조경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조경 시설에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식재됨은 물론 다양한 종류의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조경 시설의 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서로 다른 식물 또는 서로 다른 색을 갖는 동종의 식물을 분리하여 특정 모양으로 꾸미는 조경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즉, 도로 가의 언덕에는 해당 지역의 특산물을 표시하거나 그 지역의 상징인 캐릭터를 표시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색의 꽃이나 식물을 식재하는 방식의 조경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렇게 특정 모양으로 식물을 식재하는 방식의 조경은 원하는 영역에 특정 상징물의 모양을 그린 후 서로 다른 색상이나 종류의 식물을 이웃하는 영역과 다르게 심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렇게 서로 다른 종류나 색의 식물을 식재하여 특정 모양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구분된 영역마다 다른 식물을 식재하여야 하나 그 구분이 명확하지 못하여 식물을 식재하는 과정에서 그 모양이 흐트러지는 일이 많았으며, 많은 노력을 통해 특정 모양으로 조경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이웃하는 식물의 뿌리가 다른 영역으로 뻗어나가 서로 다른 식물들이 섞여 최초 시공시의 모양을 잃게 되며 이렇게 최초의 모양을 잃게 되면 다시 조경 공사를 하여야 하므로 조경에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써, 심어지는 식물들 사이의 구분을 분명하게 함으로써 특정 모양으로 식물을 식재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심어진 나무들이 자라더라도 그 뿌리가 이웃 공간으로 뻗어 나가지 못하여 조경된 모양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도록 조경 공간을 불리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자체로 하나의 조경용 조형물을 구성할 수 있는 조경용 띠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경용 띠는 화단이나 정원 등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분리하거나 특정 모양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잘 휘어지도록 탄성을 갖는 연질의 재질로 만들어진 긴 띠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매설홈이 형성되어 상기 매설홈이 지중에 매설되었을 때 흙이 채워져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경용 띠는 심어지는 식물들 사이의 구분을 분명하게 함으로써 특정 모양으로 식물을 식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경용 띠로 구분된 영역에 심어진 나무들이 자라더라도 조경용 띠에 의해 뿌리가 이웃 공간으로 뻗어나가지 못하게 되어 조경된 모양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조경용 띠를 원하는 모양으로 굽혀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지중에 매설함으로써, 그 자체로 하나의 조경용 조형물로서 미려한 조경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띠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띠의 일예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띠의 다른 일예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띠의 또 다른 일예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띠를 이중으로 결합한 상태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띠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띠를 설치한 상태의 일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띠를 설치한 상태의 다른 일예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띠의 결합 단부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조경용 띠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구분할 뿐만 아니라, 특정 모양이 외부로 노출되게 지면에 일부를 매설함으로써 그 자체로 하나의 조경용 조형물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경용 띠는 화단이나 정원 등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분리하거나 특정 모양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잘 휘어지도록 탄성을 갖는 연질의 재질로 만들어진 긴 띠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매설홈(11)이 형성되어 상기 매설홈(11)이 지중에 매설되었을 때 흙이 채워져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조경용 띠는 도 1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판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중에 매설되는 일측 가장자리에는 길이 방향으로 매설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매설홈(11)은 조경용 띠(1)의 어느 일측에만 형성하거나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 7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경용 띠(1)가 지중에 매설되었을 때 이 매설홈(11)에 흙이 채워져 조경용 띠(1)가 지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도면상에는 상기 매설홈(11)을 호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일예로 도시하였으나 사각 또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할 수 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조경용 띠(1)는 도 7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는 지면으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지면에 일부가 매설된다.
이렇게 조경용 띠(1)는 그 두께는 2cm내지 10cm, 폭은 10cm내지 30cm정도로 구성할 수 있으나, 두께 8cm, 폭15cm이상으로 구성할 경우 너무 무거울 뿐만 아니라 잘 휘어지지 않음으로 원하는 모양으로 굽히는 데 어려움이 있고, 재료비가 많이 소요되므로 두께는 약3cm 전후, 폭은 15cm 이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경용 띠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가 채워진 띠의 형상으로 구성할 경우에도 자체 무게가 너무 무거울 뿐만 아니라 재료비가 많이 소요됨으로 도 2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를 비워 중공부(1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공부(1a)는 도시한 바와 같이 조경용 띠(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렇게 중공부(1a)를 형성할 경우 조경용 띠(1)을 구성하는 양 측벽이 약해질 수 있다.
즉, 도 3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부(1a)를 형성한 속이 빈 긴 통체 형상으로 구성할 경우 양 측벽이 토사에 의해 밀려 찌그러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중공부(1a)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날개(1b)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강날개(1b)는 도시한 바와 같이 조경용 띠(1) 내부의 중공부(1a)의 내벽들 사이에 형성되어 양 측벽이 안쪽으로 밀리지 않게 지지한다.
상기 보강날개(1b)를 많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보강날개(1b)를 많이 형성할 경우 속이 채워진 것과 다르지 않고 보강날개를 형성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1내지 3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경용 띠(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면에 길이 방 향으로 홈을 형성하거나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물결무늬가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경용 띠(1)를 너무 두껍게 제작할 경우 무거워 운반이나 시공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약 3cm 전후의 두께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시공장소나 용도에 따라 더 두껍게 설치되어야 할 경우가 있으며, 이때 조경용 띠(1)를 두 가닥 이상으로 설치함으로써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6,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경용 띠(1)를 두 가닥으로 설치하여 외부로 노출된 조경용 띠(1)의 넓이가 넓어지게 할 수 있다.
이렇게 두 가닥 이상으로 조경용 띠(1)를 설치할 때 두 가닥의 띠가 서로 분리되면 시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공후 두 가닥이 서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이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구조가 요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조경용 띠(1)의 바깥면 일측에는 결합돌부(12)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결합홈부(13)를 형성하였다.
즉, 도 6, 도 8,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한 가닥의 조경용 띠(1)에 형성된 결합돌부(12)가 다른 가닥의 조경용 띠(1)에 형성된 결합홈부(13)에 끼워지게 함으로써 두 가닥의 조경용 띠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부(12)와 결합홈부(13)는 단면이 호형을 이루고 있으며, 결합홈부(13)의 개방된 부분이 결합돌부(12)의 지름보다 작아 결합돌부(12)를 결합홈부(13)에 억지끼움하여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돌부(12)가 결합홈부(13)에 억지끼움 될 수 있는 것은 상기한 바 와 같이 본 발명의 조경용 띠(1)가 탄성 및 연성을 갖기 때문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부분적으로만 이중으로 설치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경용 띠(1)의 단부는 도 7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가 지중에 매설되고 일부는 지면으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서로 연결되는 단부는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수단(2)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상기 연결수단(2)은 조경용 띠(1)의 단부가 연결되는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경용 띠(1)의 단부가 서로 각을 이루고 연결될 때에는 단부를 원하는 각으로 잘라낸 후 잘라진 단부를 서로 대면되게 한 후, 스테이플러(stapler)나 리벳(rivet)을 박아 연결하거나 별도의 연결판을 설치한 후 스테이플러(stapler)나 리벳(rivet) 등으로 연결판을 조경용 띠(1)에 고정시켜 연결할 수 있다.
또 다른 연결방법의 하나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경용 띠(1)의 단부가 서로 일직선을 이루고 연결시킬 경우로 이때는 별도의 연결판을 조경용 띠(1)의 일측에 고정나사나 스테이플러(stapler)나 리벳(rivet)등으로 고정시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으로 조경용 띠(1)를 설치할 경우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이 연결되는 부분이 서로 엇갈리게 연결시킨다.
이렇게 이중으로 설치된 조경용 띠(1)의 연결되는 단부(1c)를 서로 엇갈리게 설치할 경우 별도의 연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경용 띠(1)는 결합돌부(12)를 결합홈부(13)에 끼워 두 가닥을 평행하게 설치할 수 있고, 연결되는 단부(1c)가 서로 엇갈리게 설치될 경우 이웃하는 조경용 띠(1)에 형성된 결합돌부(12)가 다른 조경용 띠(1)의 연결 단부(1c)가 대면된 상태로 결합홈부(13)에 끼워짐으로써 연결 단부(1c)를 별도의 연결수단 없이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경용 띠는 연질의 합성수지나 고무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타이어 등의 폐고무를 이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색으로 구성하고 원하는 모양으로 굽혀 시공함으로써 식물을 식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하나의 조경용 조형물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경용 띠(1)를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하는 방법은 이미 통상의 합성수지 제품이나 고무제품에 색을 얻는 방법과 동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띠의 서로 다른 예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띠를 이중으로 결합한 상태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띠를 설치한 상태의 일예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띠의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10 및 11은 결합단부의 서로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이중으로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이중으로 설치되었을 때 결합단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조경용 띠 11 : 매설홈 12 : 결합돌부 13 : 결합홈부
1a : 중공부 1b : 보강날개
2 : 연결수단

Claims (4)

  1. 화단이나 정원 등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분리하거나 특정 모양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잘 휘어지도록 탄성을 갖는 연질의 재질로 만들어진 긴 띠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매설홈이 형성되어 상기 매설홈이 지중에 매설되었을 때 흙이 채워져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경용 띠는 내부가 비어 길이 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날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경용 띠의 바깥면 일측에는 결합돌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띠.
KR1020090101995A 2009-10-27 2009-10-27 조경용 띠 KR101154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995A KR101154781B1 (ko) 2009-10-27 2009-10-27 조경용 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995A KR101154781B1 (ko) 2009-10-27 2009-10-27 조경용 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421A true KR20110045421A (ko) 2011-05-04
KR101154781B1 KR101154781B1 (ko) 2012-06-18

Family

ID=44240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995A KR101154781B1 (ko) 2009-10-27 2009-10-27 조경용 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7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5454A (zh) * 2015-10-21 2018-09-28 陈伟民 一种防膨胀树坛砌砖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75051U (ko) 1980-05-30 1981-12-24
KR960009638U (ko) * 1994-09-12 1996-04-12 잔디 분리구
JP3984423B2 (ja) 2001-02-07 2007-10-03 東洋エクステリア株式会社 花壇外周縁部区画用エッジ材及びその連結部材
JP3084216U (ja) * 2001-08-22 2002-03-08 敦 鈴木 花壇の合成樹脂製区画用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5454A (zh) * 2015-10-21 2018-09-28 陈伟民 一种防膨胀树坛砌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4781B1 (ko) 2012-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63566A1 (en) Multi-dimensional paver edging
US5379546A (en) Bed divider
US20030000135A1 (en) Lawn edging
CA2147346C (en) Groundcovering element, method for its manufacture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mould to be applied with the manufacturing method
KR20140134150A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
KR101154781B1 (ko) 조경용 띠
CN103243739A (zh) 具有自嵌锁功能的加筋土挡墙生态面板结构
KR101193330B1 (ko)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CN203238661U (zh) 具有自嵌锁功能的加筋土挡墙生态面板结构
KR20170046201A (ko) 병렬조립이 가능한 식재용 플랜트
CN2749256Y (zh) 树篱
US5490362A (en) Hollow block system
KR101556605B1 (ko) 천연 잔디의 식재판과 이를 이용한 잔디밭 시공방법
KR20110003841U (ko) 식생 옹벽블록
KR100902166B1 (ko) 친환경 식생블록
KR100523340B1 (ko)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
JP6853062B2 (ja) 舗装用ブロックおよびその敷設パターン
KR101822473B1 (ko) 식재면적이 넓은 친환경 잔디블록
KR100749877B1 (ko) 속채움블록
KR100379906B1 (ko) 조경용 꽃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892256B1 (ko) 가로수 조경용 블록
KR100332653B1 (ko) 조립식 가로수 보호판
JP3856874B2 (ja) 植樹壁用擁壁形成部材の構築装置
CN110214754A (zh) 一种能种植物的蚯蚓养殖砖的制作方法
KR100749875B1 (ko) 속채움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