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5360A -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5360A
KR20110045360A KR1020090101908A KR20090101908A KR20110045360A KR 20110045360 A KR20110045360 A KR 20110045360A KR 1020090101908 A KR1020090101908 A KR 1020090101908A KR 20090101908 A KR20090101908 A KR 20090101908A KR 20110045360 A KR20110045360 A KR 20110045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refrigerant
outlets
supplie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9892B1 (ko
Inventor
정하진
배학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1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892B1/ko
Priority to US12/805,916 priority patent/US8635880B2/en
Publication of KR20110045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25D11/02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with two or more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07Flow-diver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0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를 공급받는 저장실의 설정모드에 따라 각 저장실에 냉매를 공급하는 밸브의 개방시간비율을 가변시켜 각 저장실에 분배되는 냉매량을 조절함으로써 특정 저장실로의 냉매 쏠림을 방지하여 냉매가 부족한 저장실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각 저장실의 좌우 온도편차를 줄여 각 저장실의 고내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저장실에 공급되는 냉매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를 가진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에서 흡입 및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변화시킨 다음, 응축기에서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를 방열시켜 상온 고압의 액화 냉매로 변화시키고, 저장실 주변에 배치된 증발기로 공급하여 증발기에서 냉매가 기화되면서 주변을 냉각시켜 식품을 설정 온도 조건으로 유지하도록 운전된다.
냉장고에 다수의 저장실이 마련되는 경우에 각각의 저장실의 설정 온도 조건을 충족하도록 응축기와 각 저장실의 증발기사이의 냉매유로에 설치된 냉매밸브를 작동시켜 각 증발기로 분배되는 냉매량을 제어한다.
각 저장실의 동시 운전시에 냉매밸브의 작동을 제어하여 일정시간 단위로 냉매유로를 변경해가면서 각 저장실의 증발기마다 냉매를 분배한다.
그런데 기존에는 냉매밸브의 개방시간비율이 각 저장실에 대응하여 고정되어 있다. 일예로, 3개의 저장실 모두 "김치실"로 사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냉매밸브의 개방 시간비율은 제1 저장실에 대해서는 40%, 제2 저장실에 대해서는 30%, 제3 저장실에 대해서는 30%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저장실의 증발기에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냉매밸브의 개방시간이 40초라고 가정하면, 제2 저장실에 대해서는 30초, 제3 저장실에 대해서는 30초로 정해진다.
최근에는 저장실의 설정온도를 자신의 기호에 맞게 설정할 수 있어 원하는 저장실을 "김치실"로 사용하다가 "냉동실"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김치실을 냉동실로 변경해서 사용한 경우에도 냉매밸브가 고정된 개방시간비율로 개방된다.
따라서, 냉동실의 경우 김치실보다 저압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부하가 적어 냉동실의 증발기로 냉매가 집중적으로 흘러 냉매 쏠림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통상 김치실의 경우, -1℃로 온도 제어를 하지만, 냉동실의 경우, -18℃로 온도 제어하기 때문이다.
김치실이 저장실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파이프 형태의 증발기를 이용하여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직접 냉각방식인 직냉식에 의해 냉각되는 경우에는 냉매 부족으로 인해 저장실의 좌우 온도 편차가 더욱 커진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저장실의 설정모드에 따라 각 증발기에 냉매를 공급하는 밸브의 개방시간비율을 가변시키는 방식으로 냉매 쏠림으로 인한 냉매 부족을 해소시켜 각 저장실의 고내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복수의 저장실과,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유출구를 구비하는 밸브와, 상기 복수의 저장실에 냉매를 공급할 때 상기 복수의 유출구 중 하나의 유출구만이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되, 상기 냉매를 공급받는 저장실의 설정모드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방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저장실의 설정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분배되는 상기 냉매의 비율을 조절하되, 상기 복수의 저장실의 설정온도에 대응하는 시간 비율을 근거로 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공급되는 냉매량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저장실에 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유출구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유출구를 서로 번갈아 개방/폐쇄시켜 상기 복수의 저장실에 냉매가 교대로 공급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유출구를 서로 번갈아 개방/폐쇄시키는 데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유출구를 상기 냉매를 공급받는 저장실의 설정온 도에 대응하는 시간 비율을 근거로 하여 개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실의 설정온도에 대응하는 시간 비율은 상기 저장실의 설정온도가 낮을수록 그에 대응하는 유출구의 개방시간비율이 낮아지도록 미리 설정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저장실과,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유출구를 구비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실에 냉매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유출구 중 하나의 유출구만이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되, 상기 냉매를 공급받는 저장실의 설정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저장실의 설정모드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방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저장실의 설정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분배되는 상기 냉매의 비율을 조절하되, 상기 복수의 저장실의 설정온도에 대응하는 시간 비율을 근거로 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공급되는 냉매량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저장실에 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유출구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유출구를 서로 번갈아 개방/폐쇄시켜 상기 복수의 저장실에 냉매가 교대로 공급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유출구를 서로 번갈아 개방/폐쇄시키는 데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유출구를 상기 냉매를 공급받는 저장실의 설정온도에 대응하는 시간 비율을 근거로 하여 개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실의 설정온도에 대응하는 시간 비율은 상기 저장실의 설정온도가 낮을수록 그에 대응하는 유출구의 개방시간비율이 낮아지도록 미리 설정된 것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저장실의 설정모드에 따라 냉매밸브의 개방시간비율을 가변시킴으로써 냉매 쏠림을 예방하여 냉매 부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각 저장실의 좌우 온도편차를 줄여 각 저장실의 고내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직냉식 냉장고를 Ⅱ-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좌측 저장실(12)과, 우측 저장실(13)과, 본체(1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좌측 및 우측 저장실(12,13)을 개폐하는 도어(11)와, 본체의 전면상부에 형성된 입력부(25)을 구비한다.
좌측 및 우측 저장실(12,13)의 하부에는 격벽에 의해 좌측 및 우측 저장실(12,13)과 분리되고 냉각장치들이 위치하는 전장실(20)이 마련되고, 좌측 및 우측 저장실(12,13)의 외부면 사이에는 좌측 및 우측 저장실(12,13)의 온도를 일정하기 유지시키기 위한 단열재가 충진된다.
좌측 저장실(12)의 외측상부 둘레에는 열교환작용을 수행하는 제1 증발 기(14)와 좌측 저장실(12) 상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제1 증발기(14)의 표면온도를 검출하는 제1 온도센서(17)가 설치되며, 좌측 저장실(12)의 외측하부 둘레에는 열교환작용을 수행하는 제2 증발기(15)와 좌측 저장실(12) 하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제2 증발기(15)의 표면온도를 검출하는 제2 온도센서(18)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좌측 저장실(12)의 내부에는 좌측 저장실(12)의 상부와 하부를 분리하기 위해 칸막이(24)가 장착되며, 이 칸막이(24)는 좌측 저장실(12) 상부와 하부의 냉기 교환을 억제하여 독립적으로 온도를 제어하게 한다. 이때, 칸막이(24)에 의해 분리된 좌측 저장실(12)의 상부를 제1 저장실(12a) 및 좌측 저장실(12)의 하부를 제2 저장실(12b)이라 한다.
우측 저장실(13)의 외측상부 둘레에는 열교환작용을 수행하는 제3 증발기(16)와 우측 저장실(13)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제3 증발기(16)의 표면온도를 검출하는 제3 온도센서(19)가 설치된다. 이 때, 우측 저장실(13)은 제3 저장실(13)이라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 저장실에 설치되는 증발기는 두 개, 우측 저장실에 설치되는 증발기는 한 개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좌측 저장실에 설치되는 증발기가 한 개, 우측 저장실에 설치되는 증발기가 두 개이거나 두 저장실 모두에 설치되는 증발기가 각각 두 개 이상일 수도 있다. 전장실(20)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1)와, 압축기(21)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22)와, 응축기(22)의 일측에 설치되며 응축기(22)에 강제 송풍 하는 송풍팬(23)을 구비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로서 상부에 배치된 1개의 간냉식 저장실과 그 하부에 배치된 2개의 직냉식 저장실로 구성된 직간냉식 혼합형 김치냉장고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직간냉식 혼합형 김치냉장고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간냉식 혼합형 냉장고의 상부에 배치되는 간냉식 저장실(44)이 마련된다. 이 간냉식 저장실(44)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본체(30)와 힌지(35)에 의하여 결합되는 회동 가능한 도어(31)가 마련되어 있고, 도어(31)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각 저장실(44,45,46)의 운전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34)이 마련되어 있다.
간냉식 저장실(44)의 일측에는 파이프와 냉각핀으로 구성되는 증발기(36)와, 이 증발기(36)의 냉기를 간냉식 저장실(44)에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37)이 마련된다. 이 송풍팬(37)에 의하여 강제 유동되어 저온의 증발기(36)와 열교환하는 내부 공기에 의하여 간냉식 저장실(44)에 냉기가 공급된다.
간냉식 저장실은(44)은 직냉식 저장실(45,46)과 달리 냉기 공급원인 증발기(36)가 저장실 일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저장실내 온도편차가 크고 송풍팬(37)에 의한 강제 유동으로 인하여 저장물의 수분증발량이 많다는 단점을 가지지만, 냉기 공급원인 증발기(36)와 저장실 내면이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성에발생이 적고 송풍팬(37)의 제어에 따라서 폭넓은 온도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간냉식 저장실(44)의 하부에 배치되는 직냉식 저장실(45,46)은 서랍형 수납 함(40,41)과 전면의 개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수납함(40,41)에 결합된 도어(32,33)를 구비한다.
직냉식 저장실(45,46)의 외주면에는 파이프 형태의 증발기(38)가 저장실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본체(30)와 저장실 외주면 사이의 단열재에 매입되어 배치되고, 열전도에 의하여 저온의 증발기(38)로부터 저장실의 외면 및 내면에 전달되는 냉기는 저장실 내부 공기의 자연대류에 의하여 직냉식 저장실(45,46)에 공급된다.
직냉식 저장실(45,46)은 냉기 공급원인 증발기(38,39)가 저장실의 외면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저장실의 내면에 성에가 발생하는 단점은 있으나, 증발기(38,39)가 저장실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간냉식 저장실(44)보다 냉기 공급원의 분포가 균일하여 내부 온도편차가 작다는 장점과 송풍팬(37)이 없기 때문에 저장물의 수분 증발량이 작다는 장점을 가진다.
간냉식 저장실(44) 및 직냉식 저장실(45,46)의 상부면에는 각 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각 증발기(37,38,39)의 온도를 감지하는 3개의 온도센서(미도시)가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냉장고의 개략적인 제어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10)의 입력측에는 제1 내지 제3 온도센서(17,18,19)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내지 제3 온도센서(17,18,19)는 제1 내지 제3 저장실(12a,12b,13) 각각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제1 내지 제3 증발기(14,15,16)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에 대응되 는 크기의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또한, 제1 내지 제3 저장실(12a,12b,13)의 온도를 설정하여 제어부(110)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25),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110)의 출력측에는 압축기(21)를 구동하기 위한 압축기구동부(130)와, 냉매밸브인 4방 밸브(141)를 구동하기 위한 밸브구동부(1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110)는 제1 내지 제3 온도센서(17,18,19)를 통해 검출되는 온도정보에 근거하여 제1 내지 제3 저장실(12a,12b,13) 각각의 온도가 목적하는 온도를 추종하도록 압축기(21) 및 4방 밸브(141)를 제어한다.
상기한 4방 밸브(141)는 스테핑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스테핑 모터 밸브로서, 하나의 유입구(141a)와 세 개의 유출구(141b,141c,141d)를 구비하고, 각 유출구가 개방되는 특정 회전 각도에 따라 제1 내지 제3 유출구(141b,141c,141d)를 교대로 개방함으로써 세 개의 저장실(12a,12b,13)에 냉매를 공급한다. 이 때, 4방 밸브(141)는 세 개의 유출구(141b,141c,141d) 중 어느 쪽이든 하나를 개방한 경우에는 나머지 둘의 유출구는 각각 폐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4방 밸브(141)는 2개의 3방 밸브(151,152)로 대체 가능하다. 3방 밸브(151,152)는 하나의 유입구(151a,152a)와 두 개의 유출구(151b,151c,152b,152c)를 구비하고, 각 유출구가 개방되는 특정 회전 각도에 따라 제1 내지 제2 유출구(151b,151c152b,152c)가 교대로 개방됨으로써 세 개의 저장실(12a,12b,13)에 냉매를 공급한다. 즉, 압축기(21)에서 생성된 냉매는 2개의 유입 구(151a,152a)로 각각 공급되어 4개의 유출구(151b,151c,152b,152c)를 통해 제1 내지 제3 저장실(12a,12b,13)로 공급된다. 이때, 4개의 유출구(151b,151c,152b,152c) 중 3개의 유출구를 교대로 개방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저장실(12a,12b,13)로 공급되는 냉매량을 조절한다.
상기한 제어부는 제1 내지 제3 저장실(12a,12b,13) 중 적어도 2개의 저장실에 냉매를 공급할 때 냉매밸브의 각각의 유출구 중 하나의 유출구만을 교대로 개방시켜 냉매를 공급받을 저장실에 냉매를 공급한다.
이 때, 제어부는 냉매를 공급받는 저장실의 설정모드에 따라 냉매밸브의 개방시간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는 냉매를 공급받을 저장실의 설정모드에 따라 냉매를 공급받는 저장실 각각에 분배되는 냉매의 비율을 조절하되, 냉매를 공급받는 저장실의 설정온도에 대응하는 시간 비율을 근거로 하여 냉매를 공급받는 저장실 각각에 공급되는 냉매량을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저장실들의 설정모드에 따른 냉매밸브의 개방시간 및 개방시간비율을 나타낸다. 도 8은 도 7에서 세 개의 저장실이 모두 김치실로 작동할 때 4방 밸브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 9는 도 7에서 제1 저장실은 냉동실로 작동하고 제2 저장실 및 제3 저장실이 김치실로 작동할 때 4방 밸브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에서 제3 저장실을 사용하지 않을 때 4방 밸브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저장실 내지 제3 저장실(12a,12b,13)의 설정모드별로 4방 밸브(141)의 개방시간 및 개방시간비율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4방 밸브(141)는 제1 내지 제3 유출구(141b,141c,141d)를 교대로 개방함으로써 세 개의 저장실(12a,12b,13)에 냉매를 공급한다. 이 때, 4방 밸브(141)는 세 개의 유출구(141b,141c,141d) 중 어느 쪽이든 하나를 개방한 경우에는 나머지 둘의 유출구는 각각 폐쇄된다.
일예로, 제1 저장실 내지 제3 저장실(12a,12b,13)이 김치실로 작동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4방 밸브(141)의 제1 유출구 내지 제3 유출구(141b,141c,141d)의 개방시간비율은 4 : 3 : 3의 비율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 때, 제1 유출구 내지 제3 유출구(141b,141c,141d)를 제어하는 주기(T)가 100sec 로 가정하면, 제1 유출구 내지 제3 유출구(141b,141c,141d)는 각각 40sec, 30sec, 30sec 동안 교대로 개방된다(도 8 참조).
또한, 제1 저장실(12a)은 냉동실로 작동하고 제2 저장실 및 제3 저장실(12a,12b,13)은 김치실로 작동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4방 밸브(141)의 제1 유출구 내지 제3 유출구(141b,141c,141d)의 개방시간비율은 2 : 4 : 4의 비율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 때, 제1 유출구 내지 제3 유출구(141b,141c,141d)를 제어하는 주기(T)가 150sec 로 가정하면, 제1 유출구 내지 제3 유출구(141b,141c,141d)는 각각 30sec, 60sec, 60sec 동안 교대로 개방된다(도 9 참조). 이 때, 4방 밸브의 개방시간비율이 4 : 3 : 3의 비율에서 2 : 4 : 4의 비율로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는 데, 냉동실에 대응하는 유출구의 개방시간비율을 낮추고, 낮춘 만큼 김치실에 대응하는 유출구들의 개방시간비율을 높여 준다. 이는 냉동실의 경우, 상대적으로 저압이 형성되기 때문에 유출구를 짧은 시간 동안 개방하더라도 냉매 집중에 의해 상대 적으로 많은 양의 냉매가 유입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1 저장실(12a)은 냉동실로 작동하고 제2 저장실은 김치실로 작동하고 제3 저장실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4방 밸브(141)의 제1 유출구 및 제2 유출구(141b,141c)의 개방시간비율은 1 : 3의 비율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저장실의 설정모드별 냉매밸브의 개방시간비율은 자체 내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 이 때, 제1 유출구 및 제2 유출구(141b,141c)를 제어하는 주기(T)가 120sec 로 가정하면, 제1 유출구 및 제2 유출구(141b,141c)는 각각 30sec, 90sec 동안 교대로 개방된다(도 9 참조).
따라서, 일예로, 세 개의 저장실을 모두 김치실로 작동하다가 사용자가 제1 저장실의 설정모드를 냉동실로 변경시켜 사용하더라도 4방 밸브의 개방시간비율이 4 : 3 : 3의 비율에서 2 : 4 : 4의 비율로 변경되기 때문에 냉동실로의 냉매 쏠림을 막아 다른 김치실의 냉매 부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각 저장실의 좌우 온도편차를 줄여 각 저장실의 고내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동일한 설정모드의 저장실이더라도 저장실의 설정온도에 따라 냉매 쏠림 현상이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해당 저장실의 설정온도가 낮을수록 그에 대응하는 유출구의 개방시간비율이 낮아지도록 가중치를 적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냉장고의 개략적인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냉장고에서 냉매밸브를 1개의 4방 밸브 대신에 2개의 3방 밸브로 구성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저장실들의 설정모드에 따른 냉매밸브의 개방시간 및 개방시간비율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세 개의 저장실이 모두 김치실로 작동할 때 4방 밸브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서 제1 저장실은 냉동실로, 제2 저장실 및 제3 저장실이 김치실로 작동할 때 4방 밸브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제3 저장실을 사용하지 않을 때 4방 밸브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17 : 제1 온도센서 18 : 제2 온도센서
19 : 제3 온도센서 21 : 압축기
110 : 제어부 130 : 압축기 구동부
140, 150 : 밸브구동부 141 : 4방 밸브
151, 152 : 3방 밸브

Claims (10)

  1. 복수의 저장실과,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유출구를 구비하는 밸브와,
    상기 복수의 저장실에 냉매를 공급할 때 상기 복수의 유출구 중 하나의 유출구만이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되,
    상기 냉매를 공급받는 저장실의 설정모드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방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저장실의 설정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분배되는 상기 냉매의 비율을 조절하되, 상기 복수의 저장실의 설정온도에 대응하는 시간 비율을 근거로 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공급되는 냉매량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저장실에 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유출구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유출구를 서로 번갈아 개방/폐쇄시켜 상기 복수의 저장실에 냉매가 교대로 공급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유출구를 서로 번갈아 개방/폐쇄시키는 데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유출구를 상기 냉매를 공급받는 저장실의 설정온도에 대응하는 시간 비율을 근거로 하여 개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설정온도에 대응하는 시간 비율은 상기 저장실의 설정온도가 낮을수록 그에 대응하는 유출구의 개방시간비율이 낮아지도록 미리 설정된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6. 복수의 저장실과,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유출구를 구비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실에 냉매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유출구 중 하나의 유출구만이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되,
    상기 냉매를 공급받는 저장실의 설정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저장실의 설정모드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방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실의 설정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분배되는 상기 냉매의 비율을 조절하되, 상기 복수의 저장실의 설정온도에 대응하는 시간 비율을 근거로 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공급되는 냉매량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저장실에 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유출구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유출구를 서로 번갈아 개방/폐쇄시켜 상기 복수의 저장실에 냉매가 교대로 공급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유출구를 서로 번갈아 개방/폐쇄시키는 데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유출구를 상기 냉매를 공급받는 저장실의 설정온도에 대응하는 시간 비율을 근거로 하여 개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설정온도에 대응하는 시간 비율은 상기 저장실의 설정온도가 낮을수록 그에 대응하는 유출구의 개방시간비율이 낮아지도록 미리 설정된 것을 포 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0090101908A 2009-10-26 2009-10-26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649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908A KR101649892B1 (ko) 2009-10-26 2009-10-26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12/805,916 US8635880B2 (en) 2009-10-26 2010-08-24 Refrigerator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container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908A KR101649892B1 (ko) 2009-10-26 2009-10-26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360A true KR20110045360A (ko) 2011-05-04
KR101649892B1 KR101649892B1 (ko) 2016-08-23

Family

ID=43897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908A KR101649892B1 (ko) 2009-10-26 2009-10-26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35880B2 (ko)
KR (1) KR1016498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3717A (ko) * 2013-04-15 2014-10-2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의 멀티-룸 냉각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795210T3 (da) * 2011-12-20 2021-06-28 B Medical Systems Sarl Køleelement og køleindretning
US11649999B2 (en) 2021-05-14 2023-05-1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rect cooling ice maker with cooling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9858A1 (en) * 2003-12-22 2006-08-17 Kabushiki Kaisha Toshiba Refrigerator
US7181921B2 (en) * 2001-08-16 2007-02-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ete Gmbh Combination refrigerating appliance and evaporators for same
US20070084238A1 (en) * 2005-10-17 2007-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6056B2 (en) * 2002-08-02 2004-09-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oling system with evaporators distributed in parallel
DE102004014926A1 (de) * 2004-03-26 2005-10-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zwei Lagerfächern
KR100561599B1 (ko) 2004-06-16 2006-03-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김치냉장고 운전방법
KR20060114964A (ko) 2005-05-03 2006-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1921B2 (en) * 2001-08-16 2007-02-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ete Gmbh Combination refrigerating appliance and evaporators for same
US20060179858A1 (en) * 2003-12-22 2006-08-17 Kabushiki Kaisha Toshiba Refrigerator
US20070084238A1 (en) * 2005-10-17 2007-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3717A (ko) * 2013-04-15 2014-10-2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의 멀티-룸 냉각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94726A1 (en) 2011-04-28
KR101649892B1 (ko) 2016-08-23
US8635880B2 (en) 201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975B1 (ko) 냉장고
JP6114039B2 (ja) 混合型冷蔵櫃
KR101809971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140711B1 (ko)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WO2020015407A1 (zh) 一种具有深冷功能的双系统风冷冰箱及其制冷控制方法
AU2018202121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00065472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2003075050A (ja) 冷蔵庫
AU2018202123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10045360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70778A (ko) 냉장고
KR100757109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JP4559608B2 (ja) 低温貯蔵庫
KR100751436B1 (ko) 냉장고용 온도전환 히팅장치 및 그의 온도 제어방법
KR20120044556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34080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TWI636226B (zh) Refrigerator with independent greenhouse
KR20050023788A (ko) 냉장고의 온도제어장치
KR100443988B1 (ko)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7436217B2 (ja) 冷蔵庫
JP2001317852A (ja) 冷蔵庫
JP7344651B2 (ja) 冷蔵庫
KR100826934B1 (ko)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JP2005140483A (ja) 冷蔵庫
KR20000059577A (ko) 김치저장고의 운전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