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718A - 무선랜 시스템에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랜 시스템에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718A
KR20110044718A KR1020100103655A KR20100103655A KR20110044718A KR 20110044718 A KR20110044718 A KR 20110044718A KR 1020100103655 A KR1020100103655 A KR 1020100103655A KR 20100103655 A KR20100103655 A KR 20100103655A KR 20110044718 A KR20110044718 A KR 20110044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output
station
path loss
frame
acce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5712B1 (ko
Inventor
이일구
최지연
이석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10044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inform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랜 시스템의 스테이션 및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이러한 기술에 따르면, 무선랜 시스템에서 제1스테이션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을 포함하는 경로 손실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경로 손실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출력에 따라,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에 상기 최대값을 더한 만큼의 경로 손실 값 또는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무선랜 시스템에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NON POWER IN WLAN SYSTEM}
본 발명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랜 시스템의 스테이션 및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기(Wireless Communication Device)에서 송신단은 수신단의 약 2배에서 2.5배의 소비전력을 필요로 하며, 송신단의 요구 소비 전력은 송신 출력 크기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상용 무선랜 장치(Commercial Wireless LAN Device)는 소비 전력 보다 전송 성능에 초점을 두어, 송신 출력을 최대 송신 출력으로 설정하여 프레임을 전송한다.
이동 가능한 단말기(Portable Device)에서 최대 송신 출력을 사용하면. 무선 단말의 소비 전력 효율이 문제가 된다. 이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적 송신 출력 제어 기능은 배터리 소모량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간섭에 대한 면역 능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단말 대 접속 중계점(Station-to-AP) 간 혹은 단말 대 단말(Station-to-Station)간, 송신 출력 제어(Transmit Power Control)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링크 제어(Link Control) 관점에서 전송 속도 제어(Transmit Rate Control)와 조합된 알고리즘이 필요하며, 숨겨진 노드 문제(Hidden Node Problem)를 고려함과 동시에 기본 서비스 셋(Basic Service Set) 네트워크 단위를 고려한 송신 출력 제어 방식이 요구된다.
숨겨진 노드(hidden node) 문제는, 채널에 의한 경로 손실을 겪은 기본 서비스 셋 내의 특정 단말의 송신 신호가 다른 단말의 수신 감도에 미치는 못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 경우, 한 단말이 채널을 점유하고 있는 것을 다른 단말이 인지하지 못 하고, 다른 단말이 전송을 시도함으로써 신호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숨겨진 노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RTS(Ready-to-Send) 및 CTS(Clear-to-Send) 프레임이 이용된다. RTS 및 CTS 프레임이 최대 파워로 전송한 후에, 채널을 점유하여 송신 기회를 획득한 스테이션은, 점유된 전송 기회 시간 동안 적절한 송신 파워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잦은 데이터 통신 과정에서 최대 송신 출력을 이용한 RTS 및 CTS 프레임 교환은 무선 단말의 스루풋 효율 및 전력 소비 효율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더불어서 서로 다른 기본 서비스 셋에 속한 접속 중계점의 전파 범위에 속해 있는 단말의 성능과, 공존 기본 서비스 셋(OBSS)에 속한 단말에 의한 다른 단말의 성능 저하가 문제될 수 있다. 특히 차세대 무선랜의 경우, 대역폭이 넓어지고 다중 모드, 다중 사용자 스킴(scheme)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무선랜에서 간섭 문제가 심각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은 통신 성능을 유지하며 전력 소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히든 노드 문제와 공존 서비스 셋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제1스테이션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을 포함하는 경로 손실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경로 손실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출력에 따라,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에 상기 최대값을 더한 만큼의 경로 손실 값 또는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제1스테이션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 사이의 제1경로 손실 값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제2경로 손실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출력에 따라,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 또는 상기 제2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스테이션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경로 손실 값 중 최대 값에 따라,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출력에 따라,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랜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을 포함하는 경로 손실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경로 손실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에 상기 최대값을 더한 만큼의 경로 손실 값 또는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신 출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무선랜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을 포함하는 경로 손실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경로 손실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출력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에 상기 최대값을 더한 만큼의 경로 손실 값 또는 상기 송신 출력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스테이션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신 출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무선랜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 사이의 제1경로 손실 값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제2경로 손실 값을 획득하는 획득부 및 상기 제1 및 제2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 또는 상기 송신 출력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스테이션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상기 제2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송신 출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출력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스테이션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획득하는 획득부; 및 상기 경로 손실 값 중 최대 값에 따라,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송신 출력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구되는 트래픽 및 요구되는 전력 소비 효율에 따라 송신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전력 소비 효율 및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의 종류에 따라 송신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전력 소비 효율 및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랜 표준에서 사용되는 빠른 링크 적응 방식과 함께 송신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전송 속도로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의 송신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공존 기본 서비스 셋 문제와 히든 노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파 범위와 본 발명에 따른 고속 모드 및 저전력 모드의 전파 범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스테이션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스테이션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히든 노드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액세스 포인트와 스테이션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종래와 달리 본 발명은 경로 손실 값을 이용함으로써, 최대 송신 출력으로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고 송신 출력을 조절하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스테이션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제2스테이션과의 경로 손실 값을 제1스테이션이 알고 있을 경우, 제1스테이션은 최대 송신 출력으로 프레임을 전송할 필요없이 제2스테이션과의 경로 손실 값에 따라 송신 출력을 조절하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스테이션은, 제1스테이션의 전파 범위가 제2스테이션을 초과하지 않도록 송신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성능은 유지되면서 프레임 송신에 따른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경로 손실 값에 따라 송신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전력 소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고속 모드 및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며 송신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고속 모드는 RTS 및 CTS 프레임을 이용하지 않고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모드를 나타낸다. 고속 모드에서는 RTS 및 CTS 프레임이 이용되지 않기 때문에 고속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그리고 저전력 모드는 RTS 및 CTS 프레임을 이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모드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은 프레임에 따라 고속 모드 및 저전력 모드를 사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종래와 같이 최대 송신 출력으로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모드를 최대 출력 모드로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고속 모드 및 저전력 모드에 따른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은 이용되는 경로 손실 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101) 및 2개의 스테이션(103, 105)을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이 설명된다. 그리고 도 1에서는 이용되는 경로 손실 값에 따라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의 2가지 실시예가 설명된다. 먼저 제1실시예를 설명하고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101)와 스테이션(103, 105)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이 이용된다. 즉, 액세스 포인트(101)와 제1스테이션(103) 사이의 경로 손실 값과, 액세스 포인트(101)와 제2스테이션(105)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이 이용된다. 경로 손실 값은 스테이션 또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1)는 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을 제1 및 제2스테이션(103, 105)으로 전송한다. 제1스테이션(103)은 고속 모드 또는 저전력 모드에 따라, 제1스테이션(103)과 액세스 포인트(101) 사이의 경로 손실 값에 최대값을 더한 만큼의 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거나 제1스테이션(103)과 액세스 포인트(101)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고속 모드에서는 RTS 및 CTS 프레임이 이용되지 않기 때문에, 제1스테이션(103)은 제1스테이션(103)과 액세스 포인트(101) 사이의 경로 손실 값에 최대값을 더한 만큼의 경로 손실 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한다. 도 1에서 최대 경로 손실 값은 액세스 포인트(101)와 제2스테이션(105)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이다. 즉, 제1스테이션(103)은 제1스테이션(103)과 액세스 포인트(101) 사이의 경로 손실 값에 액세스 포인트(101)와 제2스테이션(105)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더한 만큼의 송신 출력 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한다. 경로 손실 값은 신호 전송 거리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제1스테이션(103)은 전술된 방법으로 조절된 송신 출력에 따라 데이터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101)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스테이션(103)은 d1+d2만큼의 거리에 대응되는 경로 손실 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고, 제어된 송신 출력에 따라 데이터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101)로 전송할 수 있다.
제1스테이션(103)과 제2스테이션(105) 사이의 거리는 d3로서 d1+d2보다 작으므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테이션(103)의 송신 신호 범위에 제2스테이션(105)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RTS 및 CTS 프레임이 이용되지 않더라도, 제2스테이션(105)은 제1스테이션(103)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히든 노드 문제에 따른 신호 충돌 문제가 해결될 수 있으며, 송신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RTS 및 CTS 프레임이 이용되지 않음으로써 스루풋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저전력 모드에서 제1스테이션(103)은 RTS 프레임을 전송할 경우, 제1스테이션(103)과 액세스 포인(101)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에 최대값을 더한 만큼의 경로 손실 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1스테이션(103)은 최대 송신 출력으로 RTS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송신 기회를 획득한 제1스테이션(103)이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경우, 제1스테이션(103)은 제1스테이션(103)과 액세스 포인트(101) 사이의 경로 손실 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한다.
저전력 모드에서 제1스테이션(103)은 RTS 프레임을 이용하여 송신 기회를 획득하기 때문에,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경우, 제1스테이션(103)과 액세스 포인(101)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에 최대값을 더한 만큼의 경로 손실 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할 필요가 없다. 즉, 저전력 모드에서 제1스테이션(103)은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경우, 고속 모드와 같이 송신 출력을 제어할 필요가 없다.
한편, 액세스 포인트(101)는 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 및 두번째로 큰 값을 제1 및 제2스테이션(103, 105)으로 전송할 수 있다. 두번째로 큰 값을 전송하는 것은 최대 경로 손실 값에 대응되는 제2스테이션(105)을 위함이다. 제2스테이션(105)은 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에 두번째로 큰 값을 합한 만큼의 경로 손실 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제2스테이션(105)은 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의 두배만큼의 경로 손실 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전자보다 송신 출력에서 손해를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무선랜 시스템에 포함된 모든 무선랜 장치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이 이용된다. 즉, 액세스 포인트(101)와 제1스테이션(103) 사이의 경로 손실 값, 액세스 포인트(101)와 제2스테이션(105) 사이의 경로 손실 값 및 제1스테이션(103)과 제2스테이션(105)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이 이용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이용되는 경로 손실 값에 차이가 있을 뿐, 기본적인 송신 전력 대응 방법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제1실시예의 경우, 설계가 간단하며 RTS 프레임 및 CTS 프레임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비하여, 제2실시예의 경우, 송신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서 고속 모드나 RTS 프레임 전송의 경우, 제1스테이션(103)은 d1+d2만큼의 거리에 대응되는 송신 출력에 따라 프레임을 전송하지만, 제2실시예의 경우 제1스테이션(103)은 d3만큼의 거리에 대응되는 송신 출력에 따라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스테이션(103)과 제2스테이션(105)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이 이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제1실시예보다 송신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스테이션(103)은 제2스테이션(105)과의 제1경로 손실 값 및 액세스 포인트(101)와의 제2경로 손실 값을 획득한다. 그리고 제1스테이션(103)은 제1 및 제2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1스테이션(103)은 고속 모드 또는 저전력 모드에 따라 제1 및 제2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거나 또는 제2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고속 모드에서는 RTS 및 CTS 프레임이 이용되지 않기 때문에, 제1스테이션(103)은 제1 및 제2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한다. 제1스테이션(103)은 전술된 방법으로 조절된 송신 출력에 따라 데이터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10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서 최대값은 제1경로 손실 값이다. 즉, 제1스테이션(103)은 d3만큼의 거리에 대응되는 경로 손실 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고, 제어된 송신 출력에 따라 데이터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10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테이션(103)의 송신 신호 범위에 제2스테이션(105)이 포함된다. 따라서 RTS 및 CTS 프레임이 이용되지 않더라도, 제2스테이션(105)은 제1스테이션(103)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히든 노드 문제에 따른 신호 충돌 문제가 해결될 수 있으며, 송신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RTS 및 CTS 프레임이 이용되지 않음으로써 스루풋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저전력 모드에서 제1스테이션(103)은 RTS 프레임을 전송할 경우, 제1스테이션(103)은 제1 및 제2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1스테이션(103)은 최대 송신 출력으로 RTS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송신 기회를 획득한 제1스테이션(103)이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경우, 제2경로 손실 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한다.
이상에서는 제1스테이션(103)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었는데, 제2스테이션(105) 역시 제1스테이션(103)과 같이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액세스 포인트(101)는 제1 및 제2스테이션(103, 105) 사이의 경로 손실 값 중 최대 값에 따라 송신 출력을 제어한다. 즉, 액세스 포인트(101)는 제1스테이션(103)과의 경로 손실 값 및 제2스테이션(105)과의 경로 손실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경로 손실 값 중 최대 값에 따라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랜 시스템에서 통신은 액세스 포인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액세스 포인트(101)는 최대 경로 손실 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감소함과 동시에 신호 충돌없이 프레임이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서 액세스 포인트(101)를 기준으로 하는 최대 경로 손실 값은 제2스테이션(105)과의 경로 손실 값이다. 즉, 액세스 포인트(101)는 d2만큼의 거리에 대응되는 경로 손실 값에 따라 송신 출력을 제어하고, 제어된 송신 출력에 따라 프레임을 제1 및 제2스테이션(103, 105)로 전송한다. 제1스테이션(103)은 액세스 포인트(101)의 송신 신호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전술된 고속 모드 및 저전력 모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고속 모드 및 저전력 모드는 전송 속도가 우선되는지 아니면 소비 전력이 우선되는지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전송 속도가 우선될 경우, 트래픽이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는 고속 모드, 트래픽이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저전력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소비 전력이 우선될 경우, 단말(스테이션)의 전력량이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는 고속 모드, 전력량이 기 설정된 임계치 보다 작은 경우에는 저전력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파 범위와 본 발명에 따른 고속 모드 및 저전력 모드의 전파 범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제2 및 제3스테이션의 전파 범위를 나타낸다. 도 2a의 전파 범위는 최대 출력 모드에 따른 전파 범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및 제3스테이션의 고속 모드 및 저전력 모드에서의 전파 범위와 액세스 포인트의 전파범위를 나타낸다. 도 2b에서 저전력 모드의 전파 범위는 데이터 프레임 및 응답 프레임이 송수신되는 전파 범위를 나타내며, 저전력 모드의 전파 범위는 고속 모드의 전파 범위보다 좁다.
도 2a 및 도 2b에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스테이션 각각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다. 즉, 도 2a 및 도 2b에서 고속 모드 및 저전력 모드의 전파 범위는 최대 출력 모드에 따른 전파 범위보다 좁으며, 전파 범위에 스테이션이 모두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 충돌 문제를 해결하면서 송신 전력이 종래보다 감소됨을 알 수 있다.
한편, 경로 손실 값에 따른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을 수학식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이하에서는 제1스테이션과 제2스테이션 사이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이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Figure pat00001
예를 들어, 제1스테이션이 제2스테이션으로 제1프레임을 전송한 경우, [수학식 1]에서 PL(Path Loss)은 제1스테이션과 제2스테이션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이며, TPG(Transmit Power Gain)1은 제1스테이션이 전송한 제1프레임에 포함된 송신 출력 이득 값이다.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1은 제1프레임을 수신한 제2스테이션에서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 측정 치이다. 즉, 제2스테이션은 제1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된 제1프레임에 포함된 송신 출력 이득 값과 RSSI를 이용하여 경로 손실 값을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수학식 2]에서 TPG2는 제2스테이션이 제1프레임을 수신한 이후, 제1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제2프레임에 대한 송신 출력 이득 값이다. RSSI2는 제2스테이션이 제1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한 제1프레임에 포함된 수신 신호 강도 값이다. 채널 상태나 스테이션 특성이 동일할 경우, RSSI1 및 RSSI2는 동일할 수 있다. PL은 [수학식 1]에서 계산된 경로 손실 값이다. 그리고 RG는 요구되는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한 이득 값이다. 즉, 제2스테이션은 [수학식 1]에 의한 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수학식 2]와 같이 송신 출력을 제어하여, TPG2와 같은 송신 출력으로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경로 손실 값을 획득하기 위해 송신 출력 값(TPG)과 수신 신호 강도 값(RSSI)가 송수신되는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 장치가 수신 신호 강도를 직접 측정함으로써 경로 손실 값을 구할 수 있다. 또는 종래와 같이 송신 시간 정보가 포함된 송신 프레임을 이용하여 송수신 시간차이를 구함으로서 경로 손실 값을 구할 수 있다.
도 1의 제1실시예에서 제1스테이션(103)은 액세스 포인트(101)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에 포함된 송신 출력 값과, 액세스 포인트(101)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에 대한 RSSI를 이용하여, 제1스테이션(103)과 액세스 포인트(101)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스테이션(103)은 제1스테이션(103)과 액세스 포인트(101)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액세스 포인트(101)로 전송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1)는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을 다시 스테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제2실시예에서 제1스테이션(103)은, 무선랜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105) 또는 액세스 포인트(101)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에 포함된 송신 출력 값과, 무선랜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105) 또는 액세스 포인트(101)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에 대한 RSSI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경로 손실 값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은 가변되는 전송 속도를 추가로 고려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인 무선랜 시스템에서 전송 속도는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채널 상태 변화 등에 따라 전송 속도가 조절되는 링크 적응 방법이 사용된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전송 속도 즉, 데이터 전송율에 다라 송신 출력을 추가로 제어한다. 수학식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3
[수학식 3]에서 TPG3는 제2스테이션이 [수학식 2]에 따라 제2프레임을 전송한 이후 전송하는 제3프레임에 대한 송신 출력 이득이다. AG는 전송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이득 값이다. 즉, 제2스테이션은 경로 손실 값 뿐만 아니라, AG를 함께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전파 범위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전송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송신 전력의 증가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2스테이션은 AG를 증가시킴으로써 전송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제2스테이션의 데이터 전송율이 감소되는 경우, 제2스테이션은 제2스테이션의 전파 범위를 유지하면서도, 송신 전력을 더욱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전송 속도에 따른 MCS(Modulation and Coding Set)는 [수학식 4]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4]에서 RC는 AG에 근거한 전송 속도 제어 값이다. 그리고 MCS 레벨은 전송 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되는 값으로서, Current MCS 레벨 값은 현재 데이터 전송율에 따른 변조 방식 및 코딩율을 나타내며, Next MCS 레벨 값은 다음 데이터 전송율에 따른 변조 방식 및 코딩율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제2스테이션은 기 결정된 송신 출력에 따라 적절한 MCS 레벨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제2스테이션의 기 결정된 송신 출력 값과 AG의 합에 의해 송신될 신호에 대한 수신단의 RSSI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AG의 크기에 따라 RSSI를 추정하여 MCS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IEEE 802.11n 표준에 따르면,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제1스테이션은 자신의 MCS 정보를 응답 프레임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제2스테이션은 응답 프레임에 포함된 MCS 정보(제1MCS 값)와 자신의 MCS 레벨 값(제2MCS 값) 중 최소 값을 하기의 [수학식 5]에 따라 MCS 값으로 설정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여기서, Min(A,B) = A와 B 중 최소값임.
즉, 제2스테이션은, 제2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을 수신한 제1스테이션으로부터 데이터 전송율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기 결정된 송신 출력에 기초하여, 제2스테이션의 데이터 전송율과 제1스테이션의 데이터 전송율 중 작은 데이터 전송율에 따라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제1스테이션 역시 제2스테이션과 같이 MCS 레벨 값을 설정할 수 있다.
MCS 레벨 값이 작을수록 채널 변화에 신뢰성이 높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채널 변화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결과적으로 표준에서 제시한 응답 프레임을 활용한 클로우즈 루프 (Close loop) 기반 빠른 링크 적응 방식에, 본 발명에 따른 오픈 루프 (Open Loop) 방식이 접목되며, 2개의 MCS 레벨 값 중 낮은 값을 이용함으로써, 채널의 변화에 대해 보다 안정적으로 적응된 상태에서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기초하여, 스테이션 및 액세스 포인트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스테이션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은 단계 S301로부터 시작된다. 단계 S301에서 제1스테이션은 무선랜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을 포함하는 경로 손실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다. 제1스테이션은 제1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할 수 있으며, 무선랜 시스템에 포함된 스테이션 역시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는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을 스테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스테이션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에 포함된 송신 출력 값과,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에 대한 RSSI를 이용하여, 제1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생성힐 수 있다.
단계 S303에서 제1스테이션은 경로 손실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한다. 이 때, 제1스테이션은 제1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에 최대값을 더한 만큼의 경로 손실 값 또는 제1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한다.
단계 S305에서 제1스테이션은 제어된 송신 출력에 따라, 프레임을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S303에서 제1스테이션은 고속 모드의 경우, 즉 전송 프레임이 데이터 프레임 또는 응답 프레임인 경우, 제1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에 최대값을 더한 만큼의 경로 손실 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1스테이션은 저전력 모드에서 전송 프레임이 RTS 프레임일 경우, 제1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에 최대값을 더한 만큼의 경로 손실 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스테이션은 저전력 모드에서 전송 프레임이 데이터 프레임 또는 응답 프레임일 경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303에서 제1스테이션은 제1스테이션의 데이터 전송율에 따라, 송신 출력을 추가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스테이션은 가변되는 전송 속도를 추가로 고려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은 제1스테이션의 전송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 또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데이터 전송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단계 S305에서 제1스테이션은 단계 S303의 송신 출력에 기초하여, 제1스테이션의 데이터 전송율과 수신된 데이터 전송율 중 작은 데이터 전송율에 따라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스테이션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은 단계 S401로부터 시작된다.
단계 S401에서 제1스테이션은 무선랜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 사이의 제1경로 손실 값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제2경로 손실 값을 획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스테이션은 무선랜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 또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에 포함된 송신 출력 값과, 무선랜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 또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에 대한 RSSI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경로 손실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제1스테이션은 제1 및 제2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한다. 이 때, 제1스테이션은 제1 및 제2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 또는 제2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한다.
단계 S405에서 제1스테이션은 제어된 송신 출력에 따라, 프레임을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S303에서 제1스테이션은 고속 모드의 경우, 즉 전송 프레임이 데이터 프레임 또는 응답 프레임인 경우, 제1 및 제2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한다. 또는 제1스테이션은 저전력 모드에서 전송 프레임이 RTS 프레임일 경우, 제1 및 제2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스테이션은 저전력 모드에서 전송 프레임이 데이터 프레임 또는 응답 프레임일 경우, 제2경로 손실 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403에서 제1스테이션은 제1스테이션의 데이터 전송율에 따라, 송신 출력을 추가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스테이션은 가변되는 전송 속도를 추가로 고려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은 제1스테이션의 전송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 또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데이터 전송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단계 S405에서 제1스테이션은 단계 S403의 송신 출력에 기초하여, 제1스테이션의 데이터 전송율과 수신된 데이터 전송율 중 작은 데이터 전송율에 따라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이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은 단계 S501로부터 시작된다.
단계 S501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와, 스테이션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획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세스 포인트는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에 포함된 송신 출력 값과,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에 대한 RSSI를 이용하여 경로 손실 값을 획득하거나 또는 스테이션으로부터 경로 손실 값을 수신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와 스테이션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503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경로 손실 값 중 최대 값에 따라, 송신 출력을 제어한다.
단계 S505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송신 출력에 따라, 프레임을 전송한다.
한편, 단계 S503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의 데이터 전송율에 따라, 송신 출력을 추가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액세스 포인트는 가변되는 전송 속도를 추가로 고려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의 전송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으로부터 데이터 전송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단계 S505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단계 S503의 송신 출력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데이터 전송율과 수신된 데이터 전송율 중 작은 데이터 전송율에 따라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출력 제어 방법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비콘 프레임의 경우 최대 출력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비콘 프레임의 송신 출력까지 조절될 경우, 기본 서비스 셋에 포함된 스테이션이 아닌 새로운 스테이션이 비콘 프레임을 발견하여 기본 서비스 셋에 접속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최대 출력으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비콘 프레임의 경우 100ms 이상의 간격으로 전송되므로, 데이터 프레임과 같은 다른 프레임에 비해 소비 전력 효율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에 따를 경우, 공존 기본 서비스 셋(OBSS)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송신 출력이 제어될 경우, 최대 출력 모드와 비교하여 전파 범위가 좁아지므로 다른 기본 서비스 셋과의 교집합 구역이 발생될 확률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본 서비스 셋이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과 함께 일반적인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으로 구성되는 경우, 일반적인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에 의한 신호 충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도 1에서 설명된 제2실시예의 경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도 1에서 설명된 제1실시예의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 각각이 포함된 기본 서비스 셋(BSS)에 대해, 공존 기본 서비스 셋이 존재하는 경우, 송신 전력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S503에서 송신 전력이 제어된 후, 공존 기본 서비스 셋이 존재하는 경우, 공존 기본 서비스 셋 영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송신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 각각이 포함된 기본 서비스 셋(BSS)에 대해, 공존 기본 서비스 셋이 존재하는 경우, 스테이션과의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은, 공존 기본 서비스 셋이 존재하여 송신 전력을 감소시켰음에도 불구하고 공존 기본 서비스 셋 영역이 존재할 경우에, 스테이션과의 채널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히든 노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는 제1액세스 포인트(AP1) 및 제1 내지 제 6스테이션(STA1 내지 STA6)이 포함된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히든 노드 문제 해결 과정이 설명된다. 도 6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원은 제1스테이션의 전파 범위를 나타내고, 점선으로 표시된 원은 제1액세스 포인트의 전파 범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1액세스 포인트 및 제1스테이션의 전파범위는 가변될 수 있다. 제1스테이션은 RTS 프레임을 제1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고 제1액세스 포인트는 CTS 프레임을 전송한다. 송신 기회를 획득한 제1스테이션은 제1액세스 포이트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CTS 프레임을 수신한 제2스테이션은 제1액세스 포인트로 응답 프레임을 전송한다.
도 6에서 최소 전파 범위가 이용될 경우, 제1액세스 포인트의 전파범위에 제1 및 제2스테이션이 포함되므로, 제1 및 제2스테이션에 대해 히든 노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3 내지 제6스테이션은 제1 및 제2스테이션에 대해 히든 노드가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제3 내지 제6스테이션에 대한 경로 손실 정보를 이용하여 히든 노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스테이션이 감지된 경우, 제1스테이션은 제5스테이션과의 경로 손실 정보를 이용하여 전파 범위가 확장되도록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히든 노드 문제를 최소화하고, 성능을 유지하면서 소비 전력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에서는 본 발명이 프로세스 관점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는 장치적인 관점에 의해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출력 제어 방법에 포함된 단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송신 출력 제어 장치에 포함된 구성 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신 출력 제어 장치는 무선랜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을 포함하는 경로 손실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경로 손실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출력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에 상기 최대값을 더한 만큼의 경로 손실 값 또는 상기 송신 출력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스테이션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한다. 여기서, 송신 출력 제어 장치는 스테이션에 포함될 수 있으며, 스테이션은 송신 출력에 따라,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출력 제어 장치는 무선랜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 사이의 제1경로 손실 값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제2경로 손실 값을 획득하는 획득부 및 상기 제1 및 제2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 또는 상기 송신 출력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스테이션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상기 제2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한다. 여기서, 송신 출력 제어 장치는 스테이션에 포함될 수 있으며, 스테이션은 송신 출력에 따라,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출력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송신 출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출력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스테이션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획득하는 획득부; 및 상기 경로 손실 값 중 최대 값에 따라,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송신 출력 제어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에 포함될 수 있으며, 스테이션은 송신 출력에 따라,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출력 제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CD, DVD와 같은 유형적 매체뿐만 아니라 반송파와 같은 무형적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20)

  1. 무선랜 시스템에서 제1스테이션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을 포함하는 경로 손실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경로 손실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출력에 따라,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에 상기 최대값을 더한 만큼의 경로 손실 값 또는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프레임은 데이터 프레임이며,
    상기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에 상기 최대값을 더한 만큼의 경로 손실 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프레임은 RTS 프레임 및 데이터 프레임이며,
    상기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프레임이 RTS 프레임일 경우,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에 상기 최대값을 더한 만큼의 경로 손실 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며,
    상기 전송 프레임이 데이터 프레임일 경우,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스테이션의 데이터 전송율에 따라, 상기 송신 출력을 추가로 제어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 또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데이터 전송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스테이션의 데이터 전송율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 전송율 중 작은 데이터 전송율에 따라 프레임을 전송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에 포함된 송신 출력 값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에 대한 RSSI를 이용하여,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
  8. 무선랜 시스템에서 제1스테이션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 사이의 제1경로 손실 값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제2경로 손실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출력에 따라,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 또는 상기 제2경로 손실 값을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프레임은 데이터 프레임이며,
    상기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프레임은 RTS 프레임 및 데이터 프레임이며,
    상기 전송 프레임이 RTS 프레임일 경우, 상기 제1 및 제2경로 손실 값 중 최대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며,
    상기 전송 프레임이 데이터 프레임일 경우, 상기 제2경로 손실 값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스테이션의 데이터 전송율에 따라, 상기 송신 출력을 추가로 제어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 또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데이터 전송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스테이션의 데이터 전송율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 전송율 중 작은 데이터 전송율에 따라 프레임을 전송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손실 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랜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 또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에 포함된 송신 출력 값과, 상기 무선랜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 또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에 대한 RSSI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경로 손실 값을 획득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
  14.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스테이션 사이의 경로 손실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경로 손실 값 중 최대 값에 따라,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출력에 따라,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손실 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에 포함된 송신 출력 값과, 상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에 대한 RSSI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 손실 값을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경로 손실 값을 수신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데이터 전송율에 따라, 상기 송신 출력을 추가로 제어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으로부터 데이터 전송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데이터 전송율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 전송율 중 작은 데이터 전송율에 따라 프레임을 전송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최대 출력으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 각각이 포함된 기본 서비스 셋(BSS)에 대해, 공존 기본 서비스 셋이 존재하는 경우, 송신 전력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 각각이 포함된 기본 서비스 셋(BSS)에 대해, 공존 기본 서비스 셋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스테이션과의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송신 출력 제어 방법.
KR1020100103655A 2009-10-23 2010-10-22 무선랜 시스템에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785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1232 2009-10-23
KR1020090101232 2009-10-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8275A Division KR101928476B1 (ko) 2009-10-23 2017-09-29 무선랜 시스템에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718A true KR20110044718A (ko) 2011-04-29
KR101785712B1 KR101785712B1 (ko) 2017-10-17

Family

ID=438983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655A KR101785712B1 (ko) 2009-10-23 2010-10-22 무선랜 시스템에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170128275A KR101928476B1 (ko) 2009-10-23 2017-09-29 무선랜 시스템에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8275A KR101928476B1 (ko) 2009-10-23 2017-09-29 무선랜 시스템에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5) US8750269B2 (ko)
KR (2) KR1017857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1910B2 (ja) 2006-10-03 2013-08-21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E−utra用の干渉緩和を伴う結合型開ループ/閉ループ(cqiベース)アップリンク送信電力制御
ES2762183T3 (es) * 2007-03-07 2020-05-22 Interdigital Tech Corp Procedimiento combinado de bucle abierto/bucle cerrado para controlar la potencia de enlace ascendente de una estación móvil
US8750269B2 (en) * 2009-10-23 2014-06-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WLAN system
US9288773B2 (en) 2011-04-22 2016-03-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from peer discovery in WWAN
CN108632972B (zh) 2011-06-13 2022-09-16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控制移动站的发射功率的方法
ES2672499T3 (es) * 2011-08-30 2018-06-14 Reseiwe A/S Comunicación inalámbrica de tasa reducida usando codificación de protocolo
AR090130A1 (es) 2012-02-28 2014-10-22 Telefonica Sa Metodo y sistema de control dinamico de potencia
US9179244B2 (en) * 2012-08-31 2015-11-03 Apple Inc. Proximity and tap detection using a wireless system
EP3007493B1 (en) 2013-07-31 2017-09-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and receiving data frame
US20150131624A1 (en) * 2013-11-08 2015-05-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low-rate communications in high-efficiency wireless networks
WO2015070443A1 (zh) * 2013-11-15 2015-05-21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调整方法及装置
US10274602B2 (en) * 2014-07-14 2019-04-30 Iposi, Inc. Tomographic loss factor estimation
CN108207024A (zh) * 2016-12-20 2018-06-26 华为技术有限公司 发射功率控制方法,设备和无线控制器
US11432247B2 (en) 2019-04-22 2022-08-30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varying wireless transmit power based on path loss information
US11297673B2 (en) * 2020-03-06 2022-04-05 Cisco Technology, Inc. Radio resource management using line of sight feedback

Family Cites Families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36368C (zh) * 1997-08-01 2007-09-05 萨尔布研究及发展私人有限公司 多站网络中的功率匹配
US6807165B2 (en) * 2000-11-08 2004-10-19 Meshnetworks, Inc. Time division protocol for an ad-hoc, peer-to-peer radio network having coordinating channel access to shared parallel data channels with separate reservation channel
US20020172186A1 (en) * 2001-04-09 2002-11-21 Peter Larsson Instantaneous joint transmit power control and link adaptation for RTS/CTS based channel access
US6978151B2 (en) * 2001-05-10 2005-12-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pdating path loss estimation for power control and link adaptation in IEEE 802.11h WLAN
US8050360B2 (en) * 2002-06-12 2011-11-01 Intellectual Ventures I Llc Direct link relay in a wireless network
US8897828B2 (en) * 2004-08-12 2014-11-25 Intellectual Ventures Holding 81 Llc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33355B2 (en) * 2005-04-21 2013-04-3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loud packets to estimate path loss
CN100546269C (zh) 2005-05-10 2009-09-30 三菱电机株式会社 终端控制装置以及无线lan系统
US7643843B2 (en) * 2005-06-14 2010-01-0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 power control in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84139B1 (ko) 2005-06-15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DFT spread OFDMA 시스템의 파일럿 전송방법
US20070183386A1 (en) 2005-08-03 2007-08-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Sequences and Multi-User Reference Signal Sequence Allocation
US7653357B2 (en) * 2005-08-22 2010-01-26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Access point interference control and selection methods
US7760681B1 (en) * 2005-11-21 2010-07-20 Marvell International Ltd. Transmit power adaptation algorithm using 802.11H
US7911935B2 (en) 2006-02-08 2011-03-22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leaving sequence elements of an OFDMA synchronization channel
EP2044700B1 (en) * 2006-07-12 2015-10-21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predictabl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GB0619530D0 (en) 2006-10-03 2006-11-15 Nokia Corp Signalling
KR101341493B1 (ko) * 2007-01-30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환경에 따른 mcs 인덱스 선택 방법, 자원 할당방식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송신기
US8472558B2 (en) 2007-01-31 2013-06-25 Panasonic Corporation Radio transmission device and radio transmission method
CN101136894B (zh) 2007-03-23 2012-1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可扩展的ofdm及ofdma带宽分配的方法和系统
KR100968223B1 (ko) 2007-05-01 2010-07-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ack/nak 제어정보의 송수신방법 및 장치
CN106850118B (zh) 2007-06-18 2019-05-10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发送装置、参照信号生成方法、集成电路、接收装置及接收方法
JP5024533B2 (ja) 2007-06-19 2012-09-12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リファレンス信号系列の割当方法および装置
WO2009019878A1 (ja) 2007-08-08 2009-02-12 Panasonic Corporation 無線送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WO2009039383A2 (en) 2007-09-21 2009-03-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structure for ofdm based transmissions
KR101461232B1 (ko) 2007-09-24 2014-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할당 방법
US20090138603A1 (en) 2007-11-28 2009-05-28 Qualcomm Incorporated Protection for direct link setup (dls) transmiss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20100284265A1 (en) 2007-12-27 2010-11-11 Panasonic Corporation Sequence number establishing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apparatus
JPWO2009084225A1 (ja) 2007-12-27 2011-05-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系列番号設定方法、無線通信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基地局装置
US8116271B2 (en) 2008-02-07 2012-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to allocate acknowledgement channels
KR20090093025A (ko) 2008-02-28 2009-09-0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 및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추정을 위한 파일럿할당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채널 품질 추정을 위한송신기 및 수신기
US8625508B2 (en) 2008-04-29 2014-01-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multiple antenna for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8891350B2 (en) 2008-07-07 2014-11-18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of data transmission over guard sub-carriers in multi-carrier OFDM systems
US9031052B2 (en) 2008-07-14 2015-05-12 Lg Electronics Inc. Uplink transmission control method in system supporting an uplink multiple access transmission mode
ES2666205T3 (es) 2008-07-22 2018-05-03 Lg Electronics Inc. Método para asignar un PHICH en un sistema que usa SU-MIMO con múltiples palabras de código en enlace ascendente
KR101440628B1 (ko) 2008-08-11 2014-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Sc-fdma 시스템에서 전송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WO2010065160A1 (en) * 2008-12-01 2010-06-10 Marvell World Trade Ltd. Access point enhancements
US8379581B2 (en) 2008-12-08 2013-02-19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uplink power control
JP2010206547A (ja) 2009-03-03 2010-09-16 Sharp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受信装置、送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の通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自律分散型ネットワーク
US9647810B2 (en) 2009-03-17 2017-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pilot signals in multi-stream transmissions
CA2766062C (en) 2009-06-19 2014-09-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Reference signal desig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0151092A2 (ko) 2009-06-26 2010-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mimo 전송에서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27533A (ko) 2009-09-09 2011-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1034392A2 (ko) 2009-09-18 2011-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클러스터드 디에프티 스프레드 오에프디엠 전송에 있어서 상향링크 복조용 레퍼런스 시그널의 생성 및 전송 방법
US8750269B2 (en) * 2009-10-23 2014-06-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WLAN system
US8422420B1 (en) * 2009-12-17 2013-04-16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power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4255007A1 (en) * 2010-02-02 2023-10-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 power contro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867574B2 (en) 2010-06-02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Format of VHT-SIG-B and service fields in IEEE 802.11AC
CN101958774B (zh) 2010-09-30 2015-10-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反馈信息发送方法和用户设备
US9585025B2 (en) * 2011-02-16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transmit power for better frequency re-use in TV white space
CN102932891A (zh) * 2011-03-31 2013-02-13 北京新岸线无线技术有限公司 上行接入开环功率控制的方法及装置
US9369971B2 (en) * 2011-09-28 2016-06-14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10015736B2 (en) * 2012-06-18 2018-07-03 Nokia Technologies Oy Scanning by determining an access point based on received downlink frames
US9185745B2 (en) * 2012-11-06 2015-11-1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lay operation in Wi-Fi networks
US20140372274A1 (en) * 2013-06-14 2014-12-18 Chicago Mercantile Exchange Inc. Countdown timing in financial instrument trading having a reporting obligation
EP3007493B1 (en) * 2013-07-31 2017-09-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and receiving data frame
US9661656B2 (en) * 2014-02-14 2017-05-23 Intel IP Corporation Enhanced channel access mechanism for improving performance in dense WiFi environments
US10080188B2 (en) * 2014-02-27 2018-09-18 Conversant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ireless network
US9775117B1 (en) * 2014-09-26 2017-09-26 Newracom, Inc. Dynamic clear channel assessment
WO2017070957A1 (zh) * 2015-10-30 2017-05-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发送方法和设备
US10136440B2 (en) * 2016-01-08 2018-11-2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ower indications
US10573144B2 (en) * 2016-10-10 2020-02-25 Netgear, Inc. Changing topology in a wireless network
JP2018152722A (ja) * 2017-03-13 2018-09-27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2019057763A (ja) * 2017-09-19 2019-04-11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09803363B (zh) * 2017-11-17 2022-11-08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通信装置和系统
EP3965481B1 (en) * 2017-11-23 2024-03-2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network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40710A1 (en) 2023-02-09
US8750269B2 (en) 2014-06-10
US9161316B2 (en) 2015-10-13
US20160021619A1 (en) 2016-01-21
KR101785712B1 (ko) 2017-10-17
US11490337B2 (en) 2022-11-01
KR101928476B1 (ko) 2018-12-12
KR20170117978A (ko) 2017-10-24
US20140233509A1 (en) 2014-08-21
US10880841B2 (en) 2020-12-29
US20110096760A1 (en) 2011-04-28
US20210127338A1 (en)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476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588152B2 (en) Access point (AP) controlled uplink RTS/CTS configuration and disablement
EP3206313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idle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378953B2 (en) Transmission between a sensor and a controller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JP5075019B2 (ja)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送信電力設定方法
US200600467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erformance in wireless networks by tuning receiver sensitivity thresholds
CN111294837B (zh) 自适应空间复用
US96933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lear channel assessment threshold
KR20190007407A (ko) 전자 장치, 정보 처리 디바이스 및 정보 처리 방법
US8942159B2 (en) Terminal in digital mobile radio relay system, transmission power regulat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US9119178B2 (en) Efficient transmission parameter selection
JP201516728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集中制御局及び無線通信方法
Jung et al. RARA: Rate adaptation using rate-adaptive acknowledgment for IEEE 802.11 WLANs
JP2018515983A (ja) 動的感度制御のための技法
WO2024005906A1 (en) Beamforming techniques in wi-fi frequency bands
KR200422108Y1 (ko) 경로 손실을 추정하기 위하여 라우드 패킷을 생성하기 위한장치
Li et al. On Utilizing Directional Antenna in 802.11 Networks: Deafness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