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528A -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밸런싱 제어방법과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밸런싱 제어방법과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528A
KR20110044528A KR1020090101251A KR20090101251A KR20110044528A KR 20110044528 A KR20110044528 A KR 20110044528A KR 1020090101251 A KR1020090101251 A KR 1020090101251A KR 20090101251 A KR20090101251 A KR 20090101251A KR 20110044528 A KR20110044528 A KR 20110044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ventilation
room
electric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5443B1 (ko
Inventor
김송이
Original Assignee
김송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송이 filed Critical 김송이
Priority to KR1020090101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443B1/ko
Publication of KR20110044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5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cylindrical or spherical bodies which are rota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구역 내지는 각 실(룸)별 실질적인 환기의 밸런싱이 구현될 뿐만 아니라, 운전전력을 최소화시켜 에너지 절감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풍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나아가 소음이 거의 없는 운전이 가능한,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가장 경제적인 최적의 환기 밸런싱(balancing) 제어방법과 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의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만을 환기시키는 때에 그 하나의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의 전동디퓨저(540)를 최대로 개방하고 그 하나의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에 요구되는 설계풍량 및/또는 사용자의 희망풍량을 출력풍량(OF)으로 하는 급기팬의 회전수를 설정하며, 2이상의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을 환기시키는 때에는 환기유니트(510)의 급기팬으로부터 환기설비(500)의 구역별 내지 실(룸)별 일정한 유동구조하에서의 급기덕트(520)를 통한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의 전동디퓨저(540)까지의 유동저항(정압손실) 차이를 고려하여 그 2이상의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중 가장 많은 정압을 요구하는 전동디퓨저(540)를 최대로 열고 그 다음 많은 정압을 요구하는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을 조절하여 그 2이상의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에 요구되는 설계풍량 및/또는 사용자의 희망풍량을 각 출력풍량(OF)으로 하는 급기팬의 회전수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의 환기조합구성 또는 전동디퓨저(540)들의 개방조합구성(이하, 환기조합구성이라 함)별로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데이타와 급기팬의 회전수데이타를 기준데이타로 설정하여 메모리수단(551)에 저장하는 기준데이타설정단계; 및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환기조합구성의 선택시 컨트롤러(550)에 의해 그 환기조합구성에 대응되는 기준데이타를 독취하여 각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데이타에 의해 각 전동디퓨저(540)를 개폐시키고 급기팬을 급기팬의 회전수데이타에 의해 구동시키는 자동환기밸런싱 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환기설비, 전동디퓨저, 구역별, 밸런싱, 에너지 절감, 풍량정밀제어

Description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밸런싱 제어방법과 제어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ntilation-balance in a district-unit ventilation equipment using motorized diffusers with a damper and a diffuser integrated}
본 발명은,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 밸런싱 제어방법과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행 환기설비에 있어서는, 기존 주택 및 다중이용시설의 세대별 환기방식으로 배기의 종류에 따라 덕트환기(duct return)방식, 실공간(복도, 계단) 환기(room return)방식이 결합된 덕트환기(duct return)방식, 천장공간 환기(ceiling return)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기존 주택 및 다중이용시설의 세대별 환기방식은, 실(룸)별 환기 운전이 용이하지 아니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룸)별 환기방식(200)은, 도 1의 계통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가 가능하도록 전동댐퍼를 이용하여 설비를 구성된다. 즉, 급배기팬과 열교환소자(선택사항임)를 구비하는 환기유니트(211), 급기덕트(212), 배기덕트(213),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별 수동디퓨저(214) 및 전동댐퍼(2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실(룸)별 내지 구역별 환기가 가능하게 구성되지만, 여전히 기류순환 및/또는 공기저항 내지는 풍압손실이 서로 달라 공동 급배기를 통해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에 균일하게 환기가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가 있으며, 전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의 환기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전 설비의 용량과 소비전력이 증대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고, 이에 따라 휠터교환, 전열교환기, 교체비 등의 유지관리비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동디퓨저(214) 및 전동댐퍼(215)가 분리되게 설치되므로 설치비도 그만큼 과다하게 되고, 전동댐퍼(215)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구(221)를 천장(220)에 설치하고 있지만, 여전히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점검구(221)의 설치로 인한 건축비 상승과 반자 외관 손상이라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또, 종래 수동구조의 디퓨저의 경우 현재 모든 건축물에 대해 환기밸런싱을 위한 시험 및 밸런싱 조정(TAB: testing, adjusting & balancing) 작업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환기설비에 있어서는 요구되는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의 설계풍량을 만족시키도록 모든 환기설비에 대한 밸런싱작업이 이루어져야 하였다. 지금까지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풍량밸런싱이 설계 풍량을 기준으로 각각의 디퓨저들을 수동으로 조절하여 구현되었고 이와 같이 하여 조절된 디퓨저의 개도율은 건축 시설물과 같이 통상적으로 영구히 변하지 아니하였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최대한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고안된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도 3 및 도 4와 관련하여 후술됨)가 별도의 출원으로 출원된다.
또, 상술한 다양한 구성의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별 환기설비에 있어서, 전동댐퍼방식이나 전동디퓨저방식 모두 디퓨저콘이 유동적이고 불규칙한 구동으로 인하여 디퓨저 개도율을 고정시켜 밸런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커다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구역 내지는 각 실(룸)별 실질적인 환기의 밸런싱이 구현될 뿐만 아니라, 운전전력을 최소화시켜 에너지 절감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풍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나아가 소음이 거의 없는 운전이 가능한,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 밸런싱 제어방법과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 밸런싱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는, 환기유니트의 급기팬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급기덕트와, 개도율이 조절가능한 댐퍼 및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통해 풍량조절가능하게 각 구 역 내지 실(룸)별로 공급하거나, 그 구역 내지 실(룸)내의 공기를 배기팬에 의해 배기덕트(530)와 개도율이 조절가능한 댐퍼 및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540)를 통해 풍량조절가능하게 외부로 배기시켜 그 각 구역 내지 실(룸)을 환기시키기 위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 밸런싱 제어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구역 내지 실(룸)만을 환기시키는 때에 그 하나의 구역 내지 실(룸)의 전동디퓨저를 최대로 개방하고 그 하나의 구역 내지 실(룸)에 요구되는 설계풍량 및/또는 사용자의 희망풍량을 출력풍량으로 하는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를 설정하며, 2이상의 구역 내지 실(룸)을 환기시키는 때에는 환기유니트의 급기팬이나 배기팬으로부터 환기설비의 구역별 내지 실(룸)별 일정한 유동구조하에서의 급기덕트를 통한 각 구역 내지 실(룸)의 전동디퓨저까지의 유동저항(정압손실) 차이를 고려하여 그 2이상의 구역 내지 실(룸)중 가장 많은 정압을 요구하는 전동디퓨저를 최대로 열고 그 다음 많은 정압을 요구하는 전동디퓨저의 개도율을 조절하여 그 2이상의 구역 내지 실(룸)에 요구되는 설계풍량 및/또는 사용자의 희망풍량을 각 출력풍량으로 하는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각 구역 내지 실(룸)의 환기조합구성 또는 전동디퓨저들의 개방조합구성(이하, 환기조합구성이라 함)별로 전동디퓨저의 개도율데이타와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데이타를 기준데이타로 설정하여 메모리수단에 저장하는 기준데이타설정단계, 및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환기조합구성의 선택시 컨트롤러에 의해 그 환기조합구성에 대응되는 기준데이타를 독취하여 각 전동디퓨저의 개도율데이타에 의해 각 전동디퓨저를 개폐시키고 급기팬이나 배기팬을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데이타에 의해 구동시키는 자동환기밸런싱 제 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준데이타설정단계는, 먼저, 각 설계풍량 및/또는 사용자의 각 희망풍량중 하나를 요구풍량으로 결정하고, 각각의 전동디퓨저별로 그 전부 개방상태에서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면서 풍량측정 및 변환제어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출력풍량이 요구풍량과 일치하는 때의 회전수데이타를 각각 전동디퓨저의 독립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로 설정,저장하는 독립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설정단계와, 가능한 환기조합구성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동디퓨저들중 독립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가 최대(유동저항, 즉 정압손실이 최대)인 전동디퓨저의 개도율데이타를 전부 개방시키기 위한 개도율데이타로 설정,저장하는 전부개도율설정단계와, 그 전부개도율로 설정되는 전동디퓨저를 전부 개방시키고 이에 해당하는 독립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로 급기팬이나 배기팬을 가동시킨 후, 그 전동디퓨저에서의 출력풍량을 해당 요구풍량으로 유지시킨 채, 나머지 전동디퓨저들중 독립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가 2번째로 큰 전동디퓨저의 개도율과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면서 출력풍량이 요구풍량과 일치하는 때의 개도율을 해당 환기조합구성에서의 해당 전동디퓨저의 개도율데이타로 설정,저장하고, 나머지 전동디퓨저들중 독립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가 가장 작은 전동디퓨저까지 반복하여, 그 이전의 전동디퓨저의 출력풍량을 요구풍량으로 유지시킨 채, 해당 전동디퓨저의 개도율과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면서 해당 출력풍량이 해당 요구풍량과 일치하는 때의 개도율을 해당 환기조합구성에서의 해당 전동디퓨저의 개도율데이타로 설정,저장하는 중간 개도율설정단계와, 그 개도율설정반복단계에서 최후로 개도율이 설정된 때의 급 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를 해당 환기조합구성에서의 회전수데이타로 설정,저장하는 조합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설정단계와, 가능한 환기조합구성중 나머지 환기조합구성들에 대해 위의 전부개도율설정단계, 중간 개도율설정단계, 및 조합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설정단계를 반복하여 나머지 환기조합구성들에 대한 각 개도율데이타와 회전수데이타를 설정,저장하는 반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기준데이타설정단계는, 일정한 유동구조를 지니는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에서 이루어진 후, 동일한 각 환기조합구성에 대한 개도율데이타 및 회전수데이타가 그대로 상기 일정한 유동구조와 동일한 유동구조를 지니는 다른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 밸런싱 제어에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환기조합구성과 함께 수동풍량증가 또는 수동풍량감소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된 환기조합구성에 대응되는 기준데이타를 컨트롤러에 의해 독취하여 각 개도율데이타에 의해 각 전동디퓨저를 개폐시킴과 동시에 독취된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데이타를 비례적으로 증감시킨 회전수데이타로 급기팬이나 배기팬을 구동시킴으로써 풍량을 조절하는 수동환기밸런싱 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 밸런싱 제어장치의 일실시예는, 환기유니트의 급기팬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급기덕트와 개도율이 조절가능한 댐퍼 및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통해 풍량조절가능하게 각 구역 내지 실(룸)별로 공급하거나, 그 구역 내지 실(룸)내의 공기를 배기팬에 의해 배기덕트와 개도율이 조절가능한 댐퍼 및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통해 풍량조절가능하게 외부로 배기시 켜 그 구역 내지 실(룸)내의 공기를 배기팬에 의해 외부로 배기시켜 그 각 구역 내지 실(룸)을 환기시키기 위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 밸런싱 제어장치에 있어서: 요구되는 설계풍량 및/또는 사용자의 희망풍량에 따라 환기유니트의 급기팬이나 배기팬으로부터 환기설비의 구역별 내지 실(룸)별 일정한 유동구조하에서의 급기덕트를 통해 각 구역 내지 실(룸)에 설치된 각 전동디퓨저까지의 유동저항(정압손실) 차이를 고려하여 각 환기조합구성별로 전동디퓨저의 개도율데이타와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데이타가 기준데이타로 설정되어 저장되는 메모리수단;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자동환기밸런싱 제어를 위해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소정의 환기조합구성에 대응되는 개도율데이타와 회전수데이타를 독취하여 직류전원공급 및 통신라인을 통해 제어를 위한 직류전원으로 각 전동디퓨저의 모터컨트롤러와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모터드라이버에 공급하여 그 전동디퓨저의 개도율과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구역 내지 실(룸)을 환기하기 위해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구역 내지 실선택버튼부; 그리고 자동환기를 선택하기 위한 자동선택버턴을 포함하는 기능선택버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준데이타를 설정하기 위해, 각 급기덕트와 전동디퓨저사이에 설치되어 전동디퓨저측 단부에서 층류를 제공하기 위한 디퓨저 밸런싱 스테이션(DBS)과; 상기 디퓨저 밸런싱 스테이션(DBS)의 전동디퓨저측 단부로부터 출력풍량을 측정하여 디지털값으로 변환출력하기 위한 풍량측정 및 변환제어수단과, 환기할 구역 내지 실(룸)을 선택하여 환기조합구성을 형성하고, 그 각 환기조합구성에 따라 각 전동디퓨 저의 출력풍량이 요구풍량에 일치되도록 상기 풍량측정 및 변환제어수단과 컨트롤러를 통해 각 전동디퓨저와 급기팬이나 배기팬을 소정의 전동디퓨저의 개도율데이타와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데이타로 제어하고, 그 전동디퓨저의 출력풍량이 요구풍량에 일치된 때에 해당 환기조합구성에 대응하여 각 개도율데이타와 회전수데이타를 설정,저장하기 위한 컴퓨터로 구성되는 자동풍량밸런싱 데이터 설정장치가 전동디퓨저의 개도율데이타와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데이타를 설정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수단은, 일정한 유동구조를 지니는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에서 얻어진 각 환기조합구성에 대한 개도율데이타 및 회전수데이타가 그대로 상기 일정한 유동구조와 동일한 유동구조를 지니는 다른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 밸런싱 제어를 위해 저장될 수도 있다.
또, 상기 전동디퓨저는, 급기덕트에 연결되어 각 구역 내지 실(룸)별에 설치되며, 각형 단면 또는 원형 단면 등의 디퓨저콘과 디퓨저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디퓨저콘과 디퓨저케이싱사이의 유동통로가 개도율의 조절과 함께 개폐가능하도록 디퓨저케이싱에 대해 디퓨저콘이 설치되며, 상기 디퓨저콘이, 개방되는 때에 디퓨저케이싱과의 사이에서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디퓨저콘 몸체와, 그 디퓨저콘 몸체와의 사이에 적어도 공간부를 두고 분해조립가능하게 디퓨저콘 몸체에 고정되는 디퓨저콘 카버와, 그 공간부에서 고정되게 설치되는 모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모터수단은 스테핑모터이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개도율데이타는 전기적 펄스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요구되는 설계풍량 및/또는 사용자의 희망풍량에 따라 환기유니트의 급기팬이나 배기팬으로부터 환기설비의 구역별 내지 실(룸)별 일정한 유동구조하에서의 급기덕트를 통해 각 구역 내지 실(룸)에 설치된 각 전동디퓨저까지의 유동저항(정압손실) 차이를 따라 상이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각 구역 내지 실(룸)의 환기조합구성 또는 전동디퓨저들의 개방조합구성(이하, 환기조합구성이라 함)별로도 상이한 회전수데이타 및/또는 개도율데이타에 의거하여 전동디퓨저와 급기팬이나 배기팬을 운전함으로써 출력풍량이 요구풍량과 일치되게 공급되어 각 구역 내지는 각 실(룸)별 실질적인 환기의 밸런싱이 구현될 뿐만 아니라, 운전전력을 최소화시켜 에너지 절감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풍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 종래 수동구조의 디퓨저의 경우 현재 모든 건축물에 대해 환기밸런싱을 위한 TAB(testing, adjusting & balance)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며, 동일한 유동구조를 지니는 다른 환기설비에도 한번 얻어진 회전수데이타와 개도율데이타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다른 모든 환기설비에 대한 밸런싱작업이 불필요하다는 효과도 있다.
또, 본 발명이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에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특정구성의 전동디퓨저를 이용함으로써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특정구성의 전동디퓨저의 특징도 그대로 지닐 수 있게 된다. 즉, 건축비의 절감이나 반자 외관 손상이 없으며, 수리가 용이하고, 유지보수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등의,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의 효과이외에도, 각 구역 내지는 각 실(룸)별 실질적이고도 신속하며 실용적인 환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실제 사용 풍량의 감소로 폐열회수 효율도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설치비가 저렴하게 되고, 초기 투자비를 조기에 회수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어방법과 제어장치가 적용되는 바람직한 환기설비의 실시예들을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또, 아래에서 본 발명의,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 밸런싱 제어방법과 제어장치의 구성과 그 작용 및 효과가,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하여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다양한 종래 공지된, 환기유니트, 컨트롤러 등의 환기설비의 기술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과 도시는 생략된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500)의 구성의 일실시예가 개략 계통도로 도시된다. 그 환기설비(500)는, 외부의 공기를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별로 공급하고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도록 적어도 급배기팬이 내장된 환기유니트(510)를 구비하며, 또한, 하나의 급기덕트(520),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다수의 전동디퓨저(540), 컨트롤러(550) 및 하나의 배기덕트(530) 또는 천장공간(535)으로의 유도덕트(5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환기유니트(510)는,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에서 환기유니트(510)에서 급기팬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하나의 급기덕트(520) 및 각 일체형 전동디퓨저(540)를 통해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별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각 구역 내지 실(룸)별(RM1,RM2,RM3,RM4)내의 공기는, 도 3의 실시예의 경우 각 일체형 전동디퓨저(540), 하나의 배기덕트(530) 및 환기유니트(510)를 통해 배기팬에 의해 배출되며,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각 일체형 전동디퓨저(540), 천장공간(535)으로의 유도덕트(531), 천장공간(535), 하나의 배기덕트(530) 및 환기유니트(510)를 통해 배기팬에 의해 배출된다.
도 5 내지 도 7과 도 10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에 특히 적합한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540)의 구성의 실시예들이 도시되며, 이 실시예들은 전동디퓨저(540)의 예시적인 것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전되지는 아니하며,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이 조절가능한 것이면, 본 발명이 채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동디퓨저(540)는, 각형 단면 또는 원형 단면 등의 디퓨저콘(디플렉터)(10)과 디퓨저케이싱(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디퓨저콘(10)과 디퓨저케이싱(20)사이의 외주의 유동통로가 개도율의 조절과 함께 개폐가능하도록 디퓨저케이싱(20)에 대해 디퓨저콘(10)이 설치되며, 상기 디퓨저콘(10)이, 개방되는 때에 디퓨저케이싱과의 사이의 외주에서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디퓨저콘 몸체(11)와, 그 디퓨저콘 몸체와의 사이에 적어도 공간부(13)를 두고 분해조립가능하게 디퓨저콘 몸체에 고정되는 디퓨저콘 카버(12)와, 그 공간부(13)에서 고정되게 설치되는 모터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퓨저콘(10)의 단순한 구성으로는 디퓨저콘 몸체(11) 없이 디퓨저콘 카버(12)의 배면에 모터수단(60) 및 후술하는 가이드수단(18)을 해체가능하게 고정시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디퓨저콘(10)과 디퓨저케이싱(20)의 폐쇄시 기밀을 보장하도록 실링부재(1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공간부(13)에는 모터수단(60)의 제어를 위한 피씨비기판(70)도 함께 설치되는 것이 유지보수면에서 바람직하다. 이 경우, 케이블을 컨넥터로 연결함으로써 디퓨저콘(10)의 분해시 용이하게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부호 "19", "22c" 및 "42"는 케이블(72,73)의 통과공이며, 기밀을 유지하도록 실링재(19a, 7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퓨저콘 몸체(11)와 디퓨저콘 카버(12)는,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실링부재(14)를 개재하여 나사(14a)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모터수단(60)은 통상 DC전원을 이용하는 기어드 모터로서 스테핑모터가 적합하지만, 이들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그 모터수단(60)은, 디퓨저콘(10)의 상하 이동 구성을 통해 개도율을 조절하기 위한 일예의 구성으로, 디퓨저콘 몸체(11)의 공간부(13) 중앙 외부로 회전가능하게 돌출하는 리드 스크류(62)가 모터회전축(61)에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퓨저콘(10)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개도율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모터수단(60)의 회전시 디퓨저콘(10)의 회전운동을 방지하고 상하로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그 일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봉형상의 가이드수단(18)과, 그 가이드수단(18)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관통공(17)을 구비하고 그 디퓨저케이싱(20)에 설치되는 고정지지부재(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리드스크류(62)와 맞물리는 고정너트(65)가 그 고정지지부재(15)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또, 그 고정지지부재(15)는 내부케이싱(21)에 분해조립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일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지지부재(15)의 각 단부에 결합부(16)가 절곡된 ㄱ자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케이싱(21)에는 그 고정지지부재(15)의 결합부(16)가 삽입되는 홈형상의 결합홈이 결합부(26)에 설치됨과 동시에 그 고정지지부재(15)의 결합부(16)의 결합홈에의 출입을 위한 관통홈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고정지지부재(15)의 조립시에는 관통홈을 통해 고정지지부재(15)의 결합부(16)를 삽입하여 내부케이싱(21)의 결합홈내에서 약간 회전시킴으로써 이탈되지 아니하게 된다. 분해시에는 그 역으로 작동된다. 이와 같이 고정지지부재(15)를 분해조립시킨 후, 디퓨저콘 카버(12)를 디퓨저콘 몸체(11)로부터 분해조립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디퓨저콘(10)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하에 리미트 스위치(71)가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최대개도율 조정너트(66)를 함께 설치함으로써 스토퍼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디퓨저콘(10)의 최대개도율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환경에 적응시켜 불필요한 개방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에너지 낭비를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의 전동디퓨저(540)는, 실내 환기용으로 천장(50)에 설치된 뒤, 점검이나 보수가 필요한 때, 디퓨저콘(10)을 디퓨저케이싱(20)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디퓨저콘(10)의 디퓨저콘 카버(12)를 디퓨저콘 몸체(11)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모터수단(60)이나 피씨비기판(70) 등의 점검이나 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 조정너트(66)의 조정이 필요한 때에는 디퓨저콘(10)을 디퓨저케이싱(20)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고정지지부재(15)와 내부케이싱(21)의 결합부(16,26)가 구성된 때에는 디퓨저콘(10)을 약간 해체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결합홈으로부터 들어올려 관통홈을 통해 분리시킴으로써 디퓨저케이싱(20)으로부터 디퓨저콘(10)이 분리될 수 있게 된다. 결합은 해체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디퓨저콘(10)과 디퓨저케이싱(20)의 해체결합구성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성과 작동을 지니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540)는, 모터수단(60)이나 피씨비기판(70)이 디퓨저콘(10)과 함께 분해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점검구가 불필요하게 되고 천장이 미려하게 구성될 수 있게 된다. 디퓨저콘 카버(12)만을 외부에서 직접 분해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간단한 유지보수가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불사용시 디퓨저콘(10)을 폐쇄할 수 있고 디퓨저콘(10)의 변위조절이 용이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례적으로 풍량제어가 실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절너트(66)에 의해 최대개도율을 환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특히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과 제어장치에 의해 빌딩 에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서는 종래의 평행익(PB) 댐퍼나 대향익(OB) 댐퍼의 특성곡선과 비교하면, 본 발명에 이용되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540)의 특성을 잘 알 수 있다. 또, 구성이 간단하고 해체와 조립이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모터수단(60)이나 피씨비기판(70)이 내장되므로 고장의 염려가 극소화되게 되고 유로에 지장을 줌이 없어 유동저항을 저감시키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전동디퓨저(540)의 구성중,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전동디퓨저(540)와 다른 점은, 특히 모터수단(60)이 모터회전축(61)을 통해 상기 디퓨저콘(10)의 디퓨저케이싱(20)에 대한 상대적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디퓨저콘(10)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며, 하우징(80)내에 밀폐되게 설치된다는 것이다. 클램프(41)는, 디퓨저케이싱(20)의 외부케이싱(22)을 덕트(4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 이외의 구성은 대략 도 5 및 6의 구성과 동일,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다만, 도 10과 도 11의 구성의 차이는, 도 10의 전동디퓨저(540)에서는 모터수단(60) 및 하우징(80)이 디퓨저콘(10)과 함께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지만, 도 11의 전동디퓨저(540)에서는 모터수단(60) 및 하우징(80)이 고정지지부재(81)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즉, 착탈가능하게 디퓨저케이싱(20)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리드 스크류(62)의 회전시 고정너트(65)가 고정부재(30)에 의해 상기 가이드수단(18)에 고정되어 함께 상하로 상기 고정지지부재(15)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또, 도 12에 도시된 전동디퓨저(540)는, 유동통로의 개도율을 조절하도록 회동가능하게 상기 디퓨저케이싱(120)의 수직덕트부(121) 내부에 설치되는 회동댐퍼(170)와, 그 회동댐퍼(170)를 조절가능하게 회동구동시키도록 수직덕트부(121)의 외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16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디퓨저콘형 기류방향안내수단(110)을 구비하며, 유지 보수를 위하여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디퓨저(540)를 천장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아래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기류방향안내수단(110)으로서의 디퓨저콘의 기류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수단(130,140)인 리드 스크류(140)와 고정너트(130)에 의해 그 디퓨저콘과 디퓨저케이싱(120)사이의 외주의 유동통로의 개도율을 조절함과 동시에 폐쇄가 가능하게 되지만, 실제 개도율은 회동댐퍼(170) 및 구동수단(16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며, 그 구동수단(160)으로는, 통상 DC전원을 이용하는 기어드 스테핑 모터가 채용되는 것이 본 발명에는 특히 적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되는 일체형 전동디퓨저(540)의 모터수단(60)은 급기팬이나 배기팬과 함께 다음에 설명되는 제어방법과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유니트(510)의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 및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을 제어하여 각 구역 내지 실(룸)별(RM1,RM2,RM3,RM4)의 환기조합구성 또는 전동디퓨저(540)들의 개방조합구성(이하, 환기조합구성이라 함)에 따른 자동풍량밸런싱시스템(Auto Air Balancing System(AABS))의 원리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컨트롤러(550), 메모리수단(551), 실선택버튼부(561), 기능선택버튼부(562) 및 각 전동디퓨저(540)의 모터컨트롤러(545)와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모터드라이버(5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동풍량밸런싱시스템(Auto Air Balancing System(AABS))의 원리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환기유니트(510)의 급배기팬과 가장 가까운 구역 내지 실(룸)(RM1)의 전동디퓨저(540)와 가장 먼 구역 내지 실(룸)(RM4)의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이 같은 경우 그 각 전동디퓨저(540)에서 공급되는 풍량은 매 우 다르므로 각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을 조절하여 그 각 전동디퓨저(540)의 출력풍량(OF)이 설계자에 의해 요구되는 설계풍량이나 사용자의 희망풍량(요구풍량)과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메모리수단(551)에는, 요구되는 설계풍량 및/또는 사용자의 희망풍량에 따라 환기유니트(510)의 급기팬이나 배기팬으로부터 환기설비(500)의 구역별 내지 실(룸)별 일정한 유동구조하에서의 급기덕트(520)를 통해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에 설치된 각 전동디퓨저(540)까지의 유동저항(정압손실) 차이를 고려하여 각 환기조합구성별로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데이타와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데이타가 기준데이타로 설정되어 저장된다.
컨트롤러(550)는,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500)의 자동환기밸런싱 제어를 위해 상기 메모리수단(551)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환기조합구성에 대응하는 개도율데이타와 회전수데이타를 독취하여 직류전원공급 및 통신라인(552)을 통해 제어를 위한 직류전원으로 각 전동디퓨저(540)의 모터컨트롤러(545)와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모터드라이버(515)에 공급하여 그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과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그 전동디퓨저(540)의 모터가 스테핑모터가 바람직하며, 이 경우, 개도율데이타는 전기적 펄스값으로 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됨이 없이 여타의 DC모터와 엔코더를 사용하여 개도율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상 컨트롤러(550) 및 메모리수단(551)은, 리모컨(560)에 내장된다.
다수의 구역 내지 실선택버튼부(561)는, 도 14의 리모컨(5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을 환기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도록 구 성되며, 기능선택버튼부(562)는, 자동환기를 선택하기 위한 자동선택버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기능선택버튼부(562)에는 전원버턴과, 수동으로 풍량을 증감할 수 있도록 수동 풍량조절 증감버턴이 제공된다.
또, 상기 메모리수단(551)은, 일정한 유동구조를 지니는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500)에서 얻어진 각 환기조합구성에 대한 개도율데이타 및 회전수데이타가 그대로 상기 일정한 유동구조와 동일한 유동구조를 지니는 다른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500)의 제어를 위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동주택의 경우 다수의 동일 환기 덕트 설비로 설계된 세대들 중 한 아파트에서 자동풍량밸런싱시스템의 원리에 의한 회전수데이타와 개도율데이타를 설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동일 환기 덕트 설비로 설계된 전 세대의 환기 유니트용 메모리수단(551)에 입력시켜 자동 풍량 밸런싱을 구현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기준데이타는 아파트 내지 공동주택의 종류 만큼만 구축해도 되고 전 세대에 대한 TAB(testing, adjusting and balancing)는 불필요하게 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환기설비의 제어장치에 의한 제어방법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기준데이타설정단계와 자동환기밸런싱 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준데이타설정단계는, 하나의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만을 환기시키는 때에 그 하나의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의 전동디퓨저(540)를 최대로 개방하고 그 하나의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에 요구되는 설계풍량 및/또는 사용자의 희망풍량을 출력풍량(OF)으로 하는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를 설정하며, 2이상의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을 환기시키는 때에는 환기유니트(510)의 급기팬이나 배기팬으로부터 환기설비(500)의 구역별 내지 실(룸)별 일정한 유동구조하에서의 급기덕트(520)를 통한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의 전동디퓨저(540)까지의 유동저항(정압손실) 차이를 고려하여 그 2이상의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중 가장 많은 정압을 요구하는 전동디퓨저(540)를 최대로 열고 그 다음 많은 정압을 요구하는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을 조절하여 그 2이상의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에 요구되는 설계풍량 및/또는 사용자의 희망풍량을 각 출력풍량(OF)으로 하는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의 환기조합구성별로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데이타와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데이타를 기준데이타로 설정하여 메모리수단(551)에 저장하는 것이다.
그 기준데이타들은, 하나 또는 다수의 방이 환기 될 때에 각각의 설계풍량 또는 희망풍량으로 환기되도록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데이타(전기적 펄스량)를 설정하여 그 개도율데이타 및 회전수데이타를 메모리수단(551)에 영구히 저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표1는 4개의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에 대한 환기조합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16가지의 경우의 수로 구분된다. 여기서는 실2(RM2)에 해당하는 전동디퓨저(540)는 MD2-1 및 MD2-2로서 2개가 설치되는 것을 가정하였으며, 동시에 개폐되게 되지만, 실2의 구역을 나누어서 MD2-1과 MD2-2를 분리되게 개폐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 기준데이타설정단계의 실시예가 도 16 및 도 17과 관련하여 후술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9504076106-PAT00001
자동환기밸런싱 제어단계에서는, 그 일예가 도 15에 흐름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팬이나 배기팬 및 전동디퓨저(540)들이 먼저 초기화(단계 S1)된 뒤, 사용자가 기능선택버튼부(562)에서 자동을 선택한 후(단계 S2), 실선택버튼부(561)에 의해 어느 하나의 환기조합구성의 선택(단계 S3)시, 단계 S4 및 단계 S5에서 컨트롤러(550)에 의해 그 환기조합구성에 대응되는 기준데이타(각 개도율데이타 및 회전수데이타)가 메모리수단(551)로부터 독취되고, 독취된 회전수데이타가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모터드라이버(515)로 전송, 급기팬이나 배기팬이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데이타에 의해 구동되어 원하는 속도와 풍량의 급기를 얻을 수 있게 되고, 각 개도율데이타는 각 전동디퓨저의 모터컨트롤러(545)로 전송되여 각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데이타에 의해 각 전동디퓨저(540)가 해당 개도율로 개폐됨으로써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의 각 전동디퓨저(540)에서 설정된 출력풍량(OF)이 얻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자동풍량밸런싱이 달성되게 된다. 도 15의 흐름도는 일예로 도시될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자동풍량밸런싱시스템에 의한 자동환기가 이루어지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수동환기밸런싱 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 수동환기밸런싱 제어단계에서는, 사용자가 기능선택버튼부(562) 및 실선택버튼부(561)를 통해 환기조합구성과 함께 수동풍량조절증가 또는 수동풍량조절감소를 선택하면(단계 S5 및 S6), 선택된 환기조합구성에 대응되는 기준데이타를 컨트롤러(550)에 의해 독취하여 각 개도율데이타에 의해 각 전동디퓨저(540)를 개폐시킴과 동시에 독취된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데이타를 수동풍량조절증감 양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감시킨 회전수데이타를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모터드라이버(515)에 전송하여 급기팬이나 배기팬을 구동시킴으로써 풍량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여전히 풍량의 증감에 따라 설정된 기준데이터에 비례하여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의 자동환기(풍량)밸런싱이 얻어지게 된다.
도 14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 밸런싱 제어운전요령의 일예는 다음과 같다.
① 전원 S/W를 켠다. 풍량조절은 자동으로 설정(자동 풍량조절 S/W(자동선택버턴) ON)되고, 초기 풍량은 0인 상태(풍량표시등 OFF)로 된다(전원 LED ON 상태).
② 환기하고자 하는 방을 실선택버튼부(561)에서 선택한다(LED 램프에 의해 표시: 즉, 한번 누르면 열림(LED ON), 열림 상태에서 다시 한번 누르면 닫힘(LED OFF)).
③ 자동 풍량조절 상태(자동환기밸런싱 제어상태)에서 각방의 S/W를 ON(LED Lamp에 의해 표시)시키면 각실의 MD 열림 개도율은 자동으로 조절(Balance)되어 설계 풍량 또는 사용자의 희망풍량으로 해당 실이 환기된다. 팬 총 공급 풍량은 열린 방의 수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된다.
④ 자동 풍량조절 상태에서 환기되고 있는 도중 선택방수를 변경하여도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풍량)와 각방의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은 자동으로 재 조절(Re-Balance)되어 설계 풍량으로 환기된다.
⑤ ③또는 ④항의 상태에서 수동 풍량조절 S/W(증가 또는 감소 버튼)를 작동시키면 자동 풍량조절 S/W는 OFF되고, 각실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상태는 자동 풍량조절시의 상태의 개도율로 고정되고 풍량을 수동으로 자유로이 증감할 수 있게 된다. 다시 자동 풍량조절 S/W를 ON시키면 ③또는 ④항의 상태로 환기된다.
⑥ 한실만 선택하고 자동 풍량조절 S/W를 ON 시키면 해당 실의 전동디퓨저(540)는 최대로 열리고 설계 풍량으로 환기되어 사용전력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두 실이상 선택할 경우에도 가장 먼 실의 전동디퓨저(540)는 최대로 열리고 나머지 실들의 전동디퓨저(540)는 자동밸런싱되어 사용전력을 최소화시킨다.
⑦ 실 선택 S/W 모두를 OFF 하거나 전원을 OFF 하면 급배기팬 동작이 멈추고 모든 전동디퓨저(540)는 닫힌다.
상술한 회전수데이타 및 개도율데이타인 기준데이타설정단계는, 일예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자동풍량밸런싱 데이터 설정장치(600)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 자동풍량밸런싱 데이터 설정장치(600)는, 디퓨저 밸런싱 스테이션(DBS)(640), 풍량측정 및 변환수단(620,630), 그리고 컴퓨터(610)로 구성된다.
그 디퓨저 밸런싱 스테이션(DBS)(640)는, 각 급기덕트(520)와 전동디퓨저(540)사이에 설치되어 전동디퓨저(540)측 단부에서 층류(laminar flow)를 제공하게 되며, 풍량측정 및 변환제어수단(620,630)의 구성의 일예는, 상기 디퓨저 밸런싱 스테이션(DBS)(640)의 전동디퓨저(540)측 단부로부터 출력풍량(OF)을 측정하여 디지털값으로 변환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디퓨저 밸런싱 스테이션(DBS)(640)의 전동디퓨저(540)측 단부에 설치되는 열선방식(풍속에 따라 열변화를 감지하는 열선의 전류 차이 감지방식)이나 풍압방식 등의 풍량감지 스테이션(FMS: flow measuring station) (630)과 그 풍량감지 스테이션(630)에 공기압측정라인(621)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트랜스미터(T/R) 스테이션(transmitter station) 및 콘트롤러(630)로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610)는, 환기할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을 선택하여 환기조합구성을 형성하고, 그 각 환기조합구성에 따라 각 전동디퓨저(540)의 출력풍량(OF)이 요구풍량에 일치되도록 상기 풍량측정 및 변환제어수단(620,630)과 컨트롤러(550)를 통해 각 전동디퓨저(540)와 급기팬이나 배기팬을 소정의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데이타와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데이타로 제어하고, 그 전동디퓨저(540)의 출력풍량(OF)이 요구풍량에 일치된 때에 해당 환기조합구성에 대응하여 각 개도율데이타와 회전수데이타를 설정,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그 컴퓨터(610)는 위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전용 컨트롤러로 대체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화면구성의 일예가 도 17에 도시된다. 도 17에서 먼저, 각 설계풍량 및/또는 사용자의 각 희망풍량중하나를 요구풍량으로 정하고 실선택수단(611)에서 어느 하나의 구역 내지 실(룸)(RM1,RM2, RM3,RM4)를 클릭하여 선택하고 전부개방 선택수단(613)을 클릭하여 그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의 전동디퓨저(540)를 전부 개방시킨 상태에서 총 출력풍량 수동조절수단(619)을 통해 10mV 또는 100mV씩 업하여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면서 풍량측정 및 변환제어수단(620,630)에 의해 측정되고 변환되어 컴퓨터(610)로 입력, 표시되는 실별 출력풍량표시부(614: 총 출력풍량표시부(615)와 동일)에 표시되는 출력풍량이 요구풍량과 일치하는 때에 회전수데이타표시부(617)에 나타난 회전수데이타를 각각 전동디퓨저(540)의 독립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로 설정(Set클릭),저장(Save클릭)한다(독립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설정단계).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모터는 표 2를 얻기 위한 실시예에서는 브러쉬리스 DC모터(brushless DC motor: BLDC)가 채용되었으며, 회전수데이타는 0-5V 사이의 전압신호(mV)로 구성되고 그 DC모터의 제어 드라이버(입력전압에 따라 속도가 조절되는 타입의 드라이버)에서 회전수데이타 신호에 대응하여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게 되고, 이 급기팬이나 배기팬 모터의 속도에 따라 풍량이 변화된다. 표 2에서 독립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설정단계는 2-5의 경우로서 1320-1680mV이 설정되었다. 이때, 전부 개방을 위한 개도율데이타는 모두 3200이다. 이 개도율데이타는, 전동디퓨저(540)에 스테핑모터를 채용한 경우 그 단위가 펄스로서 전부 폐쇄상태에서 3200펄스 구동하여 완전 개방된 상태의 각위치데이터이다. 위에서 요구풍량을 입력, 저장하여 독립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설정단계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프로그램이 구성될 수도 있다.
그 뒤, 가능한 환기조합구성중 어느 하나에 따라 실선택수단(611)을 클릭하고 그 환기조합구성의 전동디퓨저(540)들중 독립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가 최대(유동저항, 즉 정압손실이 최대)인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데이타로 전부 개방시키기 위한 상기 개도율데이타가 설정,저장된다(전부개도율설정단계). 표 2의 6의 경우(구역 내지 실(룸)(RM1,RM2)의 조합), 전부개도율설정단계에서도 유동저항, 즉 정압손실이 최대인 구역 내지 실(룸)(RM2)의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데이타가 3200으로 설정된다.
그런 다음, 그 전부개도율로 설정되는 정압손실이 최대인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의 전동디퓨저(540)를 전부 개방시키고 이에 해당하는 독립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로 급기팬이나 배기팬을 가동시킨 후, 그 전동디퓨저(540)에서의 출력풍량(OF)을 해당 요구풍량으로 유지시킨 채, 나머지 전동디퓨저(540)들중 독립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가 2번째로 큰, 즉 유동저항 내지 정압손실이 2번째로 큰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과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를 개도율 입력표시부(616) 및 총 출력풍량 수동조절수단(619)에 의해 증가시키면서 실별 출력풍량표시부(614)상의 출력풍량이 요구풍량과 일치하는 때의 개도율을 해당 환기조합구성에서의 해당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데이타로 설정,저장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전동디퓨저(540)들중 독립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가 가장 작은 전동디퓨저(540)까지 반복하여, 그 이전의 전동디퓨저(540)의 출력풍량(OF)을 요구풍량으로 유지시킨 채, 해당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과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면서 해당 출력풍량(OF)이 해당 요구풍량과 일치하는 때의 개도율을 해당 환기조합구성에서의 해당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데이타로 설정,저장한다(중간개도율 설정단계). 표 2에서 6의 경우 개도율데이타 2800이 구역 내지 실(룸)(RM1)에 설정된다. 표 2에서 6-8의 경우 2개의 구역 내지 실(룸)으로 환기조합구성이 이루어지므로 중간개도율 설정단계에서 상기 나머지 전동디퓨저(540)들에 대해 반복하지는 아니하지만, 9-16의 경우에는 3개 이상이므로 2개의 전동디퓨저(540)에 대해서는 반복하여 중간개도율이 설정된다.
상기 중간개도율 설정단계에서 최후로 개도율이 설정된 때 회전수데이타표시부(617)상의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를 해당 환기조합구성에서의 회전수데이타로 설정,저장한다(조합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설정단계). 표 2에서 6의 경우 1480mV로 설정된다.
그 뒤, 가능한 환기조합구성중 나머지 환기조합구성들에 대해서 위의 전부개도율설정단계, 중간개도율 설정단계, 및 조합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설정단계를 반복하여 나머지 환기조합구성들에 대한 각 개도율데이타와 회전수데이타를 설정,저장한다(반복단계). 표 2에 7-16의 경우 위 6의 경우와 동일하게 반복된다. 도 17에서 "615"는 총 출력풍량표시부이고, "618"은 총전력표시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작성된 표 2의 기준데이타들에 의해 자동밸런싱선택수단(612)을 클릭하여 자동풍량밸런싱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610)에 저장된 기준데이타들은 다시 리모컨(560)의 메모리수단(551)에 저장되어 본 발명에 따른 환기밸런싱 제어방법과 제어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상술한 메모리수단(551)에 저장된 기준데이타들은 변경될 수 없도록 저장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하여 실제 설정된 데이터들이 아래의 표 2로 예시된다.
Figure 112009504076106-PAT00002
상술한 바와 청구범위에서는 단지 전동디퓨저(540)라고 한 것은 통상 급기덕트(520)측이나 배기덕트(530)측의 어느 하나를 말하지만, 양측에 전동디퓨저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양측의 전동디퓨저(540)를 포함하여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경우에도 강제 급기식 또는 강제 배기식 환기설비에서와 같이 필요에 따라 일측의 전동디퓨저(540)만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 위에서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에 대해서만 언급되지만, 강제 급기식 또는 강제 배기식 환기설비를 제외하고는 통상 급기팬 및 배기팬의 회전수를 일치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구역 내지 실(룸)이라 할지라도, 그 모든 경우의 환기조합구성에 대해 환기량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고, 각각의 환기조합구성에 따른 각각의 전동디퓨저(540)의 밸런싱이 정확히 이루어지는 전동디퓨저(540)의 각각의 필요한 전기적 펄스값의 개도율데이타와 급기팬의 회전수데이타가 정해져 메모리수단(551)에 저장되므로, 사용자가 어떠한 환기조합구성을 선택하여 환기하더라도 설계풍량 내지는 희망풍량을 기준으로 전동디퓨저(540)들이 자동으로 밸런싱 되어 환기운전이 구현되게 된다.
본 발명의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 밸런싱 제어방법과 제어장치의 구성과 그 작용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창출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동댐퍼방식 구역별 내지 실(룸)별 주택 및 다중이용시설의 환기설비를 도시한 개략 계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동댐퍼 및 수동디퓨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략 부분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계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의 구성의 일예를 폐쇄상태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개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디퓨저콘의 해체과정중의 사시사진이다.
도 8 및 도 9는 풍량제어에 관한 종래의 댐퍼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디퓨저의 특성곡선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의 구성의 다른 예들을 폐쇄상태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 밸런싱 제어장치의 개략구성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 밸런싱 제어장치용 리모콘(유선)의 외관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 밸런싱 제어방법의 개략구성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기준데이타를 얻기 위해 환기설비에 설치된 상태의 자동풍량밸런싱 데이터 설정장치의 구성을 일예로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7는 컴퓨터에 의해 기준데이타를 얻기 위해 자동풍량밸런싱 데이터 설정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디퓨저콘 11: 디퓨저콘 몸체
12: 디퓨저콘 카버 13: 공간부
14: 실링부재 15: 고정지지부재
16,26: 결합부 17: 가이드공
18: 가이드수단 19: 통과공
19a: 실링재 20: 디퓨저케이싱
21: 내부케이싱 21a,22a: 플랜지
21d,22d: 결합부 22: 외부케이싱
22b: 나사 22c: 관통공
30: 고정부재 40: 덕트
41: 클램프 42: 관통공
50: 천장 60: 모터수단
61: 모터회전축 62: 리드 스크류
65: 고정너트 66: 최대개도율 조정너트
70: 피씨비기판 71: 리미트스위치
72,73: 케이블 75: 컨넥터
110: 기류방향안내수단 120: 디퓨저케이싱
121: 수직덕트부 121a: 플랜지부
122: 신축성 연결덕트부 123: 수평덕트부
130: 고정너트 140: 스크류
150: 천장 151: 관통공
160: 구동수단 170: 회동댐퍼
200: 환기설비(종래) 211: 환기유니트
212: 급기덕트 213: 배기덕트
214: 수동디퓨저 215: 전동댐퍼
216: 컨트롤러 220: 천장
221: 점검구 500: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
510: 환기유니트 515: 급기팬(배기팬)모터 드라이버
520: 급기덕트 530: 배기덕트
531: 유도덕트 535: 천장공간
540: 일체형 전동디퓨저 545: 전동디퓨저 모터컨트롤러
550: 컨트롤러 551: 메모리수단
552: 직류전원공급 및 통신라인 560: 리모콘(유선)
561: 실선택버튼부 562: 기능선택버튼부
600: 자동풍량밸런싱 데이터 설정장치
610: 컴퓨터 611: 실선택수단
612: 자동밸런싱선택수단 613: 전부개방 선택수단
614: 실별 출력풍량표시부 615: 총 출력풍량표시부
616: 개도율 입력표시부 617: 회전수데이타표시부
618: 총전력표시부 619: 총 출력풍량 수동조절수단
620: T/R 스테이션 및 컨트롤러 621: 공기압측정라인
630: 풍량감지 스테이션(FMS) 640: 디퓨저 밸런싱 스테이션(DBS)
RM1,RM2,RM3,RM4: 구역 내지 실(룸)

Claims (8)

  1. 환기유니트(510)의 급기팬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급기덕트(520)와 개도율이 조절가능한 댐퍼 및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540)를 통해 풍량조절가능하게 각 구역 내지 실(룸)별(RM1,RM2,RM3,RM4)로 공급하거나, 그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내의 공기를 배기팬에 의해 배기덕트(530)와 개도율이 조절가능한 댐퍼 및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540)를 통해 풍량조절가능하게 외부로 배기시켜 그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을 환기시키기 위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500)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만을 환기시키는 때에 그 하나의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의 전동디퓨저(540)를 최대로 개방하고 그 하나의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에 요구되는 설계풍량 및/또는 사용자의 희망풍량을 출력풍량(OF)으로 하는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를 설정하며, 2이상의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을 환기시키는 때에는 환기유니트(510)의 급기팬이나 배기팬으로부터 환기설비(500)의 구역별 내지 실(룸)별 일정한 유동구조하에서의 급기덕트(520)나 배기덕트(530)를 통한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의 전동디퓨저(540)까지의 유동저항(정압손실) 차이를 고려하여 그 2이상의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중 가장 많은 정압을 요구하는 전동디퓨저(540)를 최대로 열고 그 다음 많은 정압을 요구하는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을 조절하여 그 2이상의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에 요구되는 설계풍 량 및/또는 사용자의 희망풍량을 각 출력풍량(OF)으로 하는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의 환기조합구성 또는 전동디퓨저(540)들의 개방조합구성(이하, 환기조합구성이라 함)별로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데이타와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데이타를 기준데이타로 설정하여 메모리수단(551)에 저장하는 기준데이타설정단계; 및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환기조합구성의 선택시 컨트롤러(550)에 의해 그 환기조합구성에 대응되는 기준데이타를 독취하여 각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데이타에 의해 각 전동디퓨저(540)를 개폐시키고 급기팬이나 배기팬을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데이타에 의해 구동시키는 자동환기밸런싱 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 밸런싱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데이타설정단계는, 먼저, 각 설계풍량 및/또는 사용자의 각 희망풍량중 하나를 요구풍량으로 정하고, 각각의 전동디퓨저(540)별로 그 전부 개방상태에서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면서 풍량측정 및 변환제어수단(620,630)에 의해 측정되는 출력풍량(OF)이 요구풍량과 일치하는 때의 회전수데이타를 각각 전동디퓨저(540)의 독립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로 설정,저장하는 독립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설정단계와, 가능한 환기조합구성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동디퓨저(540)들중 독립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가 최대(유동저항, 즉 정압손실이 최대)인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데이타를 전부 개방시키기 위한 개도율데이타 로 설정,저장하는 전부개도율설정단계와, 그 전부개도율으로 설정되는 전동디퓨저(540)를 전부 개방시키고 이에 해당하는 독립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로 급기팬이나 배기팬을 가동시킨 후, 그 전동디퓨저(540)에서의 출력풍량(OF)을 해당 요구풍량으로 유지시킨 채, 나머지 전동디퓨저(540)들중 독립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가 2번째로 큰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과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면서 출력풍량(OF)이 요구풍량과 일치하는 때의 개도율을 해당 환기조합구성에서의 해당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데이타로 설정,저장하고, 나머지 전동디퓨저(540)들중 독립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가 가장 작은 전동디퓨저(540)까지 반복하여, 그 이전의 전동디퓨저(540)의 출력풍량(OF)을 요구풍량으로 유지시킨 채, 해당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과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면서 해당 출력풍량(OF)이 해당 요구풍량과 일치하는 때의 개도율을 해당 환기조합구성에서의 해당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데이타로 설정,저장하는 중간개도율 설정단계와, 그 중간개도율설정단계에서 최후로 개도율이 설정된 때의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를 해당 환기조합구성에서의 회전수데이타로 설정,저장하는 조합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설정단계와, 가능한 환기조합구성중 나머지 환기조합구성들에 대해 위의 전부개도율설정단계, 중간 개도율설정단계, 및 조합운전시의 회전수데이타설정단계를 반복하여 나머지 환기조합구성들에 대한 각 개도율데이타와 회전수데이타를 설정,저장하는 반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 밸런싱 제어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데이타설정단계는, 일정한 유동구조를 지니는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500)에서 이루어진 후, 동일한 각 환기조합구성에 대한 개도율데이타 및 회전수데이타가 그대로 상기 일정한 유동구조와 동일한 유동구조를 지니는 다른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500)의 제어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 밸런싱 제어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환기조합구성과 함께 수동풍량증가 또는 수동풍량감소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된 환기조합구성에 대응되는 기준데이타를 컨트롤러(550)에 의해 독취하여 각 개도율데이타에 의해 각 전동디퓨저(540)를 개폐시킴과 동시에 독취된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데이타를 비례적으로 증감시킨 회전수데이타로 급기팬이나 배기팬을 구동시킴으로써 풍량을 조절하는 수동환기밸런싱 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 밸런싱 제어방법.
  5. 환기유니트(510)의 급기팬이나 배기팬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급기덕트(520)와 개도율이 조절가능한 댐퍼 및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540)를 통해 풍량조절가능하게 각 구역 내지 실(룸)별(RM1,RM2,RM3,RM4)로 공급하거나, 그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내의 공기를 배기팬에 의해 배기덕트(530)와 개 도율이 조절가능한 댐퍼 및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540)를 통해 풍량조절가능하게 외부로 배기시켜 그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을 환기시키기 위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500)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요구되는 설계풍량 및/또는 사용자의 희망풍량에 따라 환기유니트(510)의 급기팬이나 배기팬으로부터 환기설비(500)의 구역별 내지 실(룸)별 일정한 유동구조하에서의 급기덕트(520)를 통해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에 설치된 각 전동디퓨저(540)까지의 유동저항(정압손실) 차이를 고려하여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의 환기조합구성 또는 전동디퓨저(540)들의 개방조합구성(이하, 환기조합구성이라 함)별로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데이타와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데이타가 기준데이타로 설정되어 저장되는 메모리수단(551);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500)의 자동환기밸런싱 제어를 위해 상기 메모리수단(551)으로부터 소정의 환기조합구성에 대응되는 개도율데이타와 회전수데이타를 독취하여 직류전원공급 및 통신라인(552)을 통해 제어를 위한 직류전원으로 각 전동디퓨저(540)의 모터컨트롤러(545)와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모터드라이버(515)에 공급하여 그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과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550);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을 환기하기 위해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구역 내지 실선택버튼부(561); 그리고
    자동환기를 선택하기 위한 자동선택버턴을 포함하는 기능선택버튼부(56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 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 밸런싱 제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각 급기덕트(520)와 전동디퓨저(540)사이에 설치되어 전동디퓨저(540)측 단부에서 층류를 제공하기 위한 디퓨저 밸런싱 스테이션(DBS)(640)과; 상기 디퓨저 밸런싱 스테이션(DBS)(640)의 전동디퓨저(540)측 단부로부터 출력풍량(OF)을 측정하여 디지털값으로 변환출력하기 위한 풍량측정 및 변환제어수단(620,630)과; 환기할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을 선택하여 환기조합구성을 형성하고, 그 각 환기조합구성에 따라 각 전동디퓨저(540)의 출력풍량(OF)이 요구풍량에 일치되도록 상기 풍량측정 및 변환제어수단(620,630)과 컨트롤러(550)를 통해 각 전동디퓨저(540)와 급기팬이나 배기팬을 소정의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데이타와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데이타로 제어하고, 그 전동디퓨저(540)의 출력풍량(OF)이 요구풍량에 일치된 때에 해당 환기조합구성에 대응하여 각 개도율데이타와 회전수데이타를 설정,저장하기 위한 컴퓨터(610);로 구성되는 자동풍량밸런싱 데이터 설정장치(600)가, 전동디퓨저(540)의 개도율데이타와 급기팬이나 배기팬의 회전수데이타를 설정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 밸런싱 제어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551)은, 일정한 유동구조를 지니는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500)에서 얻어진 각 환기조합구성에 대 한 개도율데이타 및 회전수데이타가 그대로 상기 일정한 유동구조와 동일한 유동구조를 지니는 다른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500)의 제어를 위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 밸런싱 제어장치.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디퓨저(540)는, 급기덕트(520)에 연결되어 각 구역 내지 실(룸)별(RM1,RM2,RM3,RM4)에 설치되며, 각형 단면 또는 원형 단면 등의 디퓨저콘(10)과 디퓨저케이싱(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디퓨저콘(10)과 디퓨저케이싱(20)사이의 유동통로가 개도율의 조절과 함께 개폐가능하도록 디퓨저케이싱(20)에 대해 디퓨저콘(10)이 설치되며, 상기 디퓨저콘(10)이, 개방되는 때에 디퓨저케이싱(20)과의 사이에서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디퓨저콘 몸체(11)와, 그 디퓨저콘 몸체(11)와의 사이에 적어도 공간부(13)를 두고 분해조립가능하게 디퓨저콘 몸체에 고정되는 디퓨저콘 카버(12)와, 그 공간부(13)에서 고정되게 설치되는 모터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모터수단(60)은 스테핑모터이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개도율데이타는 전기적 펄스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 밸런싱 제어장치.
KR1020090101251A 2009-10-23 2009-10-23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밸런싱 제어방법과 제어장치 KR101125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251A KR101125443B1 (ko) 2009-10-23 2009-10-23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밸런싱 제어방법과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251A KR101125443B1 (ko) 2009-10-23 2009-10-23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밸런싱 제어방법과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528A true KR20110044528A (ko) 2011-04-29
KR101125443B1 KR101125443B1 (ko) 2012-03-27

Family

ID=4404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251A KR101125443B1 (ko) 2009-10-23 2009-10-23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밸런싱 제어방법과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44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9119A (zh) * 2017-06-26 2017-12-08 重庆大学 一种适用于空调房间的气流组织诱导增强系统
KR102150604B1 (ko) * 2019-03-12 2020-09-01 박소영 벤추리형 가변 풍량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량 제어 방법
KR102150618B1 (ko) * 2019-06-17 2020-09-01 박소영 에너지 가변 풍량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실별 풍량 제어 및 에너지 사용량 측정이 가능한 중앙 공조 시스템
KR20210085650A (ko)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복수의 전동 디퓨저의 공기 유량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3202536A (zh) * 2021-05-19 2021-08-03 湘潭大学 多风机通风系统的风量调节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646111A (zh) * 2020-12-17 2022-06-21 庆东纳碧安株式会社 执行各室集中换气的换气装置及换气装置的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01065A (zh) * 2014-06-25 2014-10-15 南京诺丹工程技术有限公司 用于通风柜补风气帘的补风控制系统
CA3103244A1 (en) 2018-06-11 2019-12-19 Broan-Nutone Llc Ventilation system with automatic flow balancing derived from neural network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682B1 (ko) * 2006-09-29 2007-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퓨져와 이를 갖는 환기장치 및 그 환기장치의운전제어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9119A (zh) * 2017-06-26 2017-12-08 重庆大学 一种适用于空调房间的气流组织诱导增强系统
KR102150604B1 (ko) * 2019-03-12 2020-09-01 박소영 벤추리형 가변 풍량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량 제어 방법
KR102150618B1 (ko) * 2019-06-17 2020-09-01 박소영 에너지 가변 풍량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실별 풍량 제어 및 에너지 사용량 측정이 가능한 중앙 공조 시스템
KR20210085650A (ko)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복수의 전동 디퓨저의 공기 유량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4646111A (zh) * 2020-12-17 2022-06-21 庆东纳碧安株式会社 执行各室集中换气的换气装置及换气装置的控制方法
CN114646111B (zh) * 2020-12-17 2023-12-29 庆东纳碧安株式会社 执行各室集中换气的换气装置及换气装置的控制方法
CN113202536A (zh) * 2021-05-19 2021-08-03 湘潭大学 多风机通风系统的风量调节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202536B (zh) * 2021-05-19 2023-09-26 湘潭大学 多风机通风系统的风量调节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5443B1 (ko)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443B1 (ko)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환기밸런싱 제어방법과 제어장치
US11092347B2 (en) Chilled beam module, system, and method
US950038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ventilation system for the ventilation of an enclosure and a ventilation system
US8702482B2 (en) Ventilation controller
CA2719399C (en) Ventilation unit calib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9534797B2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KR101256780B1 (ko) 직접 부하 제어 모드를 갖는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CN110173844A (zh) 智能空气管理系统、智能管道及相关控制房间温度的方法
GB2470528A (en) Ventilation heat exchanger unit
KR101847426B1 (ko) 지하공간 환기 기능을 갖는 공동주택용 배기장치
KR20100007803U (ko) 전동 리니어 디퓨저
KR200454288Y1 (ko) 전동 디퓨저
KR200458580Y1 (ko)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
KR20100034586A (ko) 풍속에 따른 온/오프 제어 시스템
KR200463501Y1 (ko) 전동 디퓨저
CN205579871U (zh) 照明型压力无关变风量控制装置
Zhang et al. The Prospect for Using Airside Economizers in China
EP1736714A1 (en) Ventilation system with control means
JP2005241159A (ja) 多室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