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580Y1 -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 - Google Patents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580Y1
KR200458580Y1 KR2020090013849U KR20090013849U KR200458580Y1 KR 200458580 Y1 KR200458580 Y1 KR 200458580Y1 KR 2020090013849 U KR2020090013849 U KR 2020090013849U KR 20090013849 U KR20090013849 U KR 20090013849U KR 200458580 Y1 KR200458580 Y1 KR 2004585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room
cone
damper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8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272U (ko
Inventor
김송이
Original Assignee
김송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송이 filed Critical 김송이
Priority to KR2020090013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58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2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2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5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36Ducting arrangements with ducts including air distributors, e.g. air collecting boxes with at least thre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02P80/15On-site combined power, heat or cool generation or distribution, e.g. combined heat and power [CHP]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 구역 내지는 각 실(룸)별 실질적인 환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치비가 저렴하게 되고, 초기 투자비를 조기에 회수할 수 있으며, 수리가 용이하고, 유지보수비용이 저렴하며, 폐열회수 효율도 증가하게 되고, 건축비의 절감과 함께 반자 외관 손상없이 실용적임과 동시에 신속한 환기를 달성할 수 있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를 제공하기 위해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으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하나의 급기덕트(520); 급기덕트(520)에 연결되어 각 구역 내지 실(룸)별(RM1,RM2,RM3,RM4)에 설치되며, 각형 단면 또는 원형 단면 등의 디퓨저콘(10)과 디퓨저케이싱(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디퓨저콘(10)과 디퓨저케이싱(20)사이의 유동통로가 개도율의 조절과 함께 개폐가능하도록 디퓨저케이싱(20)에 대해 디퓨저콘(10)이 설치되며, 디퓨저콘(10)이, 개방되는 때에 디퓨저케이싱(20)과의 사이에서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디퓨저콘 몸체(11)와, 그 디퓨저콘 몸체(11)와의 사이에 적어도 공간부(13)를 두고 분해조립가능하게 디퓨저콘 몸체에 고정되는 디퓨저콘 카버(12)와, 그 공간부(13)에서 고정되게 설치되는 모터수단(60)과, 상기 모터수단(60)의 모터회전축(61)에 연결되고, 상기 디퓨저콘 몸체(11)의 공간부(13) 중앙 외부로 회전가능하게 돌출하는 리드 스크류(62)와, 상기 모터수단(60)의 회전시 디퓨저콘(10)의 회전운동을 방지하고 상하로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봉형상의 가이드수단(18)과, 상기 리드스크류(62)와 맞물리는 고정너트(65)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수단(18)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관통공(17)을 구비하며 그 디퓨저케이싱(20)에 분해조립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지지부재(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540); 일체형 전동디퓨저(540)의 모터수단(6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콘트롤러(550); 그리고, 각 구역 내지 실(룸)별(RM1,RM2,RM3,RM4)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덕트(530) 또는 천장공간(535)으로의 유도덕트(5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환기설비, 전동디퓨저, 구역별, 폐열회수, 점검구,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Description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district-unit ventilation equipment using motorized diffusers each of which integrates a damper and a diffuser}
본 고안은,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에 관한 것이다.
현행 환기설비에 있어서는, 기존 주택 및 다중이용시설의 세대별 환기방식으로 배기의 종류에 따라 덕트배기(duct exhaust)방식, 실공간(복도, 계단) 배기(room exhaust)방식과 덕트배기(duct exhaust)방식이 결합된 실공간배기방식 , 천장공간 배기(ceiling exhaust)방식과 덕트배기방식이 결합된 천장공간배기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기존 주택 및 다중이용시설의 세대별 환기방식은, 실(룸)별 환기 운전이 용이하지 아니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룸)별 환기방식(100)은, 도 1의 계통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가 가능하도록 전동댐퍼를 이용하 여 설비를 구성된다. 즉, 급배기팬과 열교환소자(선택사항임)를 구비하는 환기유니트(111), 급기덕트(112), 배기덕트(113),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별 수동디퓨저(114) 및 전동댐퍼(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실(룸)별 내지 구역별 환기가 가능하게 구성되지만, 여전히 기류순환 및/또는 공기저항 내지는 풍압손실이 서로 달라 공동 급배기를 통해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에 균일하게 환기가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가 있으며, 전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의 환기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전 설비의 용량과 소비전력이 증대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고, 이에 따라 휠터교환, 전열교환기, 교체비 등의 유지관리비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동디퓨저(114) 및 전동댐퍼(115)가 분리되게 설치되므로 설치비도 그 만큼 과다하게 되고, 전동댐퍼(115)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구(121)를 천장(120)에 설치하고 있지만, 여전히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점검구(121)의 설치로 인한 건축비 상승과 반자 외관 손상이라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구역 내지는 각 실(룸)별 실질적인 환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치비가 저렴하게 되고, 초기 투자비를 조기에 회수할 수 있으며, 수리가 용이하고, 유지보수비용이 저렴하며, 폐열회수 효율도 증가하게 되고, 건축비의 절감과 함께 반자 외관 손상없이 실용적임과 동시에 신속한 환기를 달성할 수 있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를 제공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는, 급기팬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각 구역 내지 실(룸)별로 공급하고 그 구역(룸)내의 공기를 배기팬에 의해 외부로 배기시켜 그 각 구역 내지 실(룸)을 환기시키는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에 있어서: 상기 각 구역 내지 실(룸)으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하나의 급기덕트; 상기 급기덕트에 연결되어 각 구역 내지 실(룸)별에 설치되며, 각형 단면 또는 원형 단면 등의 디퓨저콘과 디퓨저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디퓨저콘과 디퓨저케이싱사이의 유동통로가 개도율의 조절과 함께 개폐가능하도록 디퓨저케이싱에 대해 디퓨저콘이 설치되며, 상기 디퓨저콘이, 개방되는 때에 디퓨저케이싱과의 사이에서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디퓨저콘 몸체와, 그 디퓨저콘 몸체와의 사이에 적어도 공간부를 두고 분해조립가능하게 디퓨저콘 몸체에 고정되는 디퓨저콘 카버와, 그 공간부에서 고정되게 설치되는 모터수단과, 상기 모터수단(60)의 모터회전축(61)에 연결되고, 상기 디퓨저콘 몸체(11)의 공간부(13) 중앙 외부로 회전가능하게 돌출하는 리드 스크류(62)와, 상기 모터수단(60)의 회전시 디퓨저콘(10)의 회전운동을 방지하고 상하로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봉형상의 가이드수단(18)과, 상기 리드스크류(62)와 맞물리는 고정너트(65)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수단(18)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관통공(17)을 구비하며 그 디퓨저케이싱(20)에 분해조립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지지부재(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 상기 일체형 전동디퓨저의 모터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콘트롤러; 그리고, 상기 각 구역 내지 실(룸)별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덕트 또는 천장공간으로의 유도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기덕트 또는 유도덕트에도 상기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가 설치되고 그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도 상기 콘트롤러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팬 및 급기팬과 함께 전열교환소자가 설치되는 환기유니트를 통해 외부의 공기와 배기되는 공기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고안이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에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함으로써 건축비의 절감이나 반자 외관 손상이 없으며, 수리가 용이하고, 유지보수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등의,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의 효과이외에도, 각 구역 내지는 각 실(룸)별 실질적이고도 신속하며 실용적인 환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실제 사용 풍량의 감소로 폐열회수 효율도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설치비가 저렴하게 되고, 초기 투자비를 조기에 회수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아래에서 본 고안의,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구성과 그 작용 및 효과가, 본 고안의 특징과 관련하여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다양한 종래 공지된, 환기유니트, 콘트롤러 등의 환기설비의 기술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과 도시는 생략된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500)의 구성이 개략 계통도로 도시되며, 도 5 내지 도 7에는 본 고안에 이용되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540)의 구성을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의 단면도와 디퓨저콘(10)의 해체과정중의 사 시사진이 도시된다.
도 3 및 도 4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500)는, 외부의 공기를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별로 공급하도록 적어도 급배기팬이 내장된 환기유니트(510)를 구비하며, 또한, 하나의 급기덕트(520),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다수의 전동디퓨저(540), 콘트롤러(550) 및 하나의 배기덕트(530) 또는 천장공간(535)으로의 유도덕트(5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환기유니트(510)는,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에서 환기유니트(510)에서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하나의 급기덕트(520) 및 각 일체형 전동디퓨저(540)를 통해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별로 공급된다. 그 일체형 전동디퓨저(540)는, 상기 급기덕트(520)에 연결되어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별로 설치되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형 단면 또는 원형 단면 등의 디퓨저콘(디플렉터)(10)과 디퓨저케이싱(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디퓨저콘(10)과 디퓨저케이싱(20)사이의 외주의 유동통로가 개도율의 조절과 함께 개폐가능하도록 디퓨저케이싱(20)에 대해 디퓨저콘(10)이 설치되며, 상기 디퓨저콘(10)이, 개방되는 때에 디퓨저케이싱과의 사이의 외주에서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디퓨저콘 몸체(11)와, 그 디퓨저콘 몸체와의 사이에 적어도 공간부(13)를 두고 분해조립가능하게 디퓨저콘 몸체에 고정되는 디퓨저콘 카버(12)와, 그 공간부(13)에서 고정되게 설치되는 모터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퓨저콘(10)과 디퓨저케이싱(20)의 폐쇄시 기밀을 보장하도록 실링부재(1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공간부(13)에는 모터수단(60)의 제어를 위한 피씨비기판(70)도 함께 설치되는 것이 유지보수면에서 바람직하다. 이 경우, 케이블을 컨넥터로 연결함으로써 디퓨저콘(10)의 분해시 용이하게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부호 "19", "22c" 및 "42"는 케이블(72,73)의 통과공이며, 기밀을 유지하도록 실링재(19a, 7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퓨저콘 몸체(11)와 디퓨저콘 카버(12)는,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나사(14a)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실링부재(14)가 삽입된다.
상기 모터수단(60)은 통상 DC전원을 이용하는 기어드 모터가 채용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그 모터수단(60)은, 디퓨저콘(10)의 상하 이동 구성을 위한 일예의 구성으로, 디퓨저콘 몸체(11)의 공간부(13) 중앙 외부로 회전가능하게 돌출하는 리드 스크류(62)가 모터회전축(61)에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퓨저콘(10)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개도율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모터수단(60)의 회전시 디퓨저콘(10)의 회전운동을 방지하고 상하로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그 일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봉형상의 가이드수단(18)과, 그 가이드수단(18)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관통공(17)을 구비하고 그 디퓨저케이싱(20)에 설치되는 고정지지부재(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리드스크류(62)와 맞물리는 고정너트(65)가 그 고정지지부재(15)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또, 그 고정지지부재(15)는 내부케이싱(21)에 분해조립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일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지지부재(15)의 각 단부에 결합부(16)가 절곡된 ㄱ자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케이싱(21)에는 그 고정지지부재(15)의 결합부(16)가 삽입되는 홈형상의 결합홈이 결합부(26)에 설치됨과 동시에 그 고정지지부재(15)의 결합부(16)의 결합홈에의 출입을 위한 관통홈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고정지지부재(15)의 조립시에는 관통홈을 통해 고정지지부재(15)의 결합부(16)를 삽입하여 내부케이싱(21)의 결합홈내에서 약간 회전시킴으로써 이탈되지 아니하게 된다. 분해시에는 그 역으로 작동된다. 이와 같이 고정지지부재(15)를 분해조립시킨 후, 디퓨저콘 카버(12)를 디퓨저콘 몸체(11)로부터 분해조립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디퓨저콘(10)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리미트스위치(71,72)가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최대개도율 조정너트(66)를 함께 설치함으로써 스토퍼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디퓨저콘(10)의 최대개도율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환경에 적응시켜 불필요한 개방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에너지 낭비를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퓨저는, 실내 환기용으로 천장(50)에 설치된 뒤, 점검이나 보수가 필요한 때, 디퓨저콘(10)을 디퓨저케이싱(20)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디퓨저콘(10)의 디퓨저콘 카버(12)를 디퓨저콘 몸체(11)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모터수단(60)이나 피씨비기판(70) 등의 점검이나 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 조정너트(66)의 조정이 필요한 때에는 디퓨저콘(10)을 디퓨저케이싱(20)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고정지지부재(15)와 내부케이싱(21)의 결합부(16,26)가 구성된 때에는 디퓨저콘 (10)을 약간 해체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결합홈으로부터 들어올려 관통홈을 통해 분리시킴으로써 디퓨저케이싱(20)으로부터 디퓨저콘(10)이 분리될 수 있게 된다. 결합은 해체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디퓨저콘(10)과 디퓨저케이싱(20)의 해체결합구성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성과 작동을 지니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540)가, 본 고안에 따라 실내 환기용으로 채용되며, 모터수단(60)이나 피씨비기판(70)이 디퓨저콘(10)과 함께 분해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점검구가 불필요하게 되고 천장이 미려하게 구성될 수 있게 된다. 디퓨저콘 카버(12)만을 외부에서 직접 분해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간단한 유지보수가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불사용시 디퓨저콘(10)을 폐쇄할 수 있고 디퓨저콘(10)의 변위조절이 용이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례적으로 풍량제어가 실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절너트(66)에 의해 최대개도율을 환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빌딩 에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서는 종래의 평행익(PB) 댐퍼나 대향익(OB) 댐퍼의 특성곡선과 비교하면, 본 고안에 이용되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540)의 특성을 잘 알 수 있다. 또, 구성이 간단하고 해체와 조립이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모터수단(60)이나 피씨비기판(70)이 내장되므로 고장의 염려가 극소화되게 되고 유로에 지장을 줌이 없어 유동저항을 저감시키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이용가능한 일체형 전동디퓨저(540)의 구성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는 아니하며, 별도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는 전동디퓨 저에 더욱 구체적으로 상세히 도시되고 설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일체형 전동디퓨저(540)는, 그 모터수단(60)이 콘트롤러(550)에 포함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본 고안의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구역 내지 실(룸)별(RM1,RM2,RM3,RM4)내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의 배기덕트(530)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술한 일체형 전동디퓨저(540)의 장점이외에도 그 일체형 전동디퓨저(540)를 이용함으로써 급기덕트(520)와 배기덕트(530)가 각각 하나씩으로 구성될 수 있어 각 실(룸)별 환기 내지 구역별 환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또한, 그 설치비도 저렴하게 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6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내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덕트(530) 대신, 천장공간(535)으로의 유도덕트(53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도덕트(531)에도 상기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540)가 설치되고 그 일체형 전동디퓨저(540)의 모터수단(6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도 콘트롤러(550)에 설치된다.
도 3 및 도 4에서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500)의 환기유니트(510)는, 급배기팬이외에 전열교환소자가 설치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전열교환소자 없이 급배기팬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은, 칸막이 또는 벽으로 구분된 룸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구분은 없는 공간에서의 구역을 포함하는 것으 로, 본 고안은, 대공간을 필요로 하는 건축물의 VAV 시스템이나 음식점 등과 같이 가용시간대와 위치가 일정치 아니한 공간의 국부 환기용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우선 소비전력이 획기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즉, 선택한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만 환기가 가능하여 종래의 세대별 환기방식에 비해 소비전력이 50%이상 절감되고, 특정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만의 최대 풍량으로 환기운전이 가능하여 신속한 환기가 필요한 경우 매우 실용적이다.
또, 댐퍼 및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540)를 환기설비에 채용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세대별 환기방식에 비해 실제사용 풍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휠터나 전열교환기의 교체주기가 연장되어 유지관리비가 40%이상 절감되게 되며, 이에 따라 전기소모비의 절감과 함께 세대별 환기방식에 비해 3.3년(천장공간방식은 1.7년)이면 추가되는 투자비를 회수할 수 있게 되어 경제적으로 획기적이라고 할 수 있다. 천장공간방식의 경우,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 환기가 실현될 수 있으면서 덕트 공사비를 30%은 절감할 수 있어 더욱 경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사용 풍량을 최소로 최적화할 수 있게 되어 풍량감소로 인한 폐열 회수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구성과 그 작용 및 효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환기설비는, 가히 사용자 지향형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동댐퍼방식 구역별 내지 실(룸)별 주택 및 다중이용시설의 환기설비를 도시한 개략 계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동댐퍼 및 수동디퓨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략 부분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계통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이용되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의 구성을 폐쇄상태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개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디퓨저콘의 해체과정중의 사시사진이다.
도 8 및 도 9는 풍량제어에 관한 종래의 댐퍼와 본 고안에 이용되는 디퓨저의 특성곡선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디퓨저콘 11: 디퓨저콘 몸체
12: 디퓨저콘 카버 13: 공간부
14: 실링부재 15: 고정지지부재
16,26: 결합부 17: 가이드공
18: 가이드수단 19: 통과공
19a: 실링재 20: 디퓨저케이싱
21: 내부케이싱 21a,22a: 플랜지
21d,22d: 결합부 22: 외부케이싱
22b: 나사 22c: 관통공
30: 고정부재 40: 덕트
41: 클램프 42: 관통공
50: 천장 60: 모터수단
61: 모터회전축 62: 리드 스크류
65: 고정너트 66: 최대개도율 조정너트
70: 피씨비기판 71: 리미트스위치
72,73: 케이블 75: 컨넥터
100: 환기설비(종래) 111: 환기유니트
112: 급기덕트 113: 배기덕트
114: 수동디퓨저 115: 전동댐퍼
116: 콘트롤러 120: 천장
121: 점검구
500: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본 고안)
510: 환기유니트 520: 급기덕트
530: 배기덕트 531: 유도덕트
535: 천장공간 540: 일체형 전동디퓨저
550: 콘트롤러 RM1,RM2,RM3,RM4: 구역 내지 실(룸)

Claims (2)

  1. 급기팬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각 구역 내지 실(룸)별(RM1,RM2,RM3,RM4)로 공급하고 그 구역(룸)(RM1,RM2,RM3,RM4)내의 공기를 배기팬에 의해 외부로 배기시켜 그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을 환기시키는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에 있어서:
    상기 각 구역 내지 실(룸)(RM1,RM2,RM3,RM4)으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하나의 급기덕트(520);
    상기 급기덕트(520)에 연결되어 각 구역 내지 실(룸)별(RM1,RM2,RM3,RM4)에 설치되며, 각형 단면 또는 원형 단면 등의 디퓨저콘(10)과 디퓨저케이싱(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디퓨저콘(10)과 디퓨저케이싱(20)사이의 유동통로가 개도율의 조절과 함께 개폐가능하도록 디퓨저케이싱(20)에 대해 디퓨저콘(10)이 설치되며, 상기 디퓨저콘(10)이, 개방되는 때에 디퓨저케이싱(20)과의 사이에서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디퓨저콘 몸체(11)와, 그 디퓨저콘 몸체(11)와의 사이에 적어도 공간부(13)를 두고 분해조립가능하게 디퓨저콘 몸체에 고정되는 디퓨저콘 카버(12)와, 그 공간부(13)에서 고정되게 설치되는 모터수단(60)과, 상기 모터수단(60)의 모터회전축(61)에 연결되고, 상기 디퓨저콘 몸체(11)의 공간부(13) 중앙 외부로 회전가능하게 돌출하는 리드 스크류(62)와, 상기 모터수단(60)의 회전시 디퓨저콘(10)의 회전운동을 방지하고 상하로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봉형상의 가이드수단(18)과, 상기 리드스크류(62)와 맞물리는 고정너트(65)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수단(18)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관통공(17)을 구비하며 그 디퓨저케이싱(20)에 분해조립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지지부재(1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540);
    상기 일체형 전동디퓨저(540)의 모터수단(6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콘트롤러(550); 그리고,
    상기 각 구역 내지 실(룸)별(RM1,RM2,RM3,RM4)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덕트(530) 또는 천장공간(535)으로의 유도덕트(5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530) 또는 유도덕트(531)에도 상기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540)가 설치되고 그 일체형 전동디퓨저(5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도 상기 콘트롤러(550)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팬 및 급기팬과 함께 전열교환소자가 설치되는 환기유니트(510)를 통해 외부의 공기와 배기되는 공기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
KR2020090013849U 2009-10-23 2009-10-23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 KR2004585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849U KR200458580Y1 (ko) 2009-10-23 2009-10-23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849U KR200458580Y1 (ko) 2009-10-23 2009-10-23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272U KR20110004272U (ko) 2011-04-29
KR200458580Y1 true KR200458580Y1 (ko) 2012-02-15

Family

ID=4421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849U KR200458580Y1 (ko) 2009-10-23 2009-10-23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58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199B1 (ko) * 2013-10-28 2014-02-11 (주)새한공조 하이브리드 공조를 위한 스마트 공기 조화기
JP6989848B2 (ja) * 2018-04-13 2022-01-12 株式会社久米設計 床吹出口装置
WO2024071316A1 (ja) * 2022-09-28 2024-04-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換気システム及び換気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606B1 (ko) * 2006-06-12 2007-03-02 이재천 열교환장치를 이용한 통합 환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606B1 (ko) * 2006-06-12 2007-03-02 이재천 열교환장치를 이용한 통합 환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272U (ko) 201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184B1 (ko) 전동 디퓨저
US11466872B2 (en) Modular heat pump system
JP4792347B2 (ja) 吹出口の風向制御機構およびダクトレス換気システム
US20120238199A1 (en) Air conditioning equipment for air-return area or room by using damper-diffuser integrated motorized diffuser
KR200458580Y1 (ko)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구역별 내지 실(룸)별 환기설비
KR100964979B1 (ko) 하이브리드 환기 장치
KR200454288Y1 (ko) 전동 디퓨저
KR101311181B1 (ko) 공기조화시스템
JP5762317B2 (ja) 空気調和装置
KR100893073B1 (ko) 발코니 결로 방지 기능이 통합된 욕실 환기 시스템
JP2006046731A (ja) 換気システムと住宅構造
KR20100010441U (ko) 전동 디퓨저
KR20110070123A (ko) 실내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67864B1 (ko) 실내공기 순환용 급배기 장치
JP2010101600A (ja) 空調システム
KR100583940B1 (ko) 건축물 천장 환기시설물
KR20190108744A (ko) 건물의 실내 환기장치
KR100996626B1 (ko) 실내공기 환기장치
KR102555313B1 (ko) 흡배기 전환 환기장치 및 그 환기장치를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방법
JP2006105459A (ja) ガラリ
KR101203703B1 (ko) 자력을 이용한 무동력 역류방지댐퍼유닛을 구비한 환기장치
KR101432611B1 (ko) 덕트공조시스템의 에어커튼을 방지할 수 있는 댐퍼장치
JP2006242492A (ja) 空気調和機
KR20230021948A (ko) 고효율 멀티 운전방식을 갖는 환기시스템
KR20130039571A (ko) 태양광을 이용한 창호 자동 환기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