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034A -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034A
KR20110044034A KR1020090100832A KR20090100832A KR20110044034A KR 20110044034 A KR20110044034 A KR 20110044034A KR 1020090100832 A KR1020090100832 A KR 1020090100832A KR 20090100832 A KR20090100832 A KR 20090100832A KR 20110044034 A KR20110044034 A KR 20110044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case
door
switch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6813B1 (ko
Inventor
김현중
박재성
서현덕
Original Assignee
동우정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정밀(주) filed Critical 동우정밀(주)
Priority to KR1020090100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813B1/ko
Publication of KR20110044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여부를 인지하기 위한 스위치가 일체로 구비되면서 도어의 개폐에 따라 동작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벽면에는 후크 삽입공 및 소켓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는 설치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탄력 설치되며, 외주면 중 어느 한 부위에는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다른 한 부위에는 가압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의 또 다른 한 부위에는 후크 걸림공이 요입 형성된 캠; 상기 케이스에 상기 캠의 회전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젖힘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에 선택적으로 걸려 캠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가이드레버; 그리고,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면서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on) 혹은, 오프(off)되는 스위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Figure P1020090100832
도어, 래치 어셈블리, 스위치 유닛, 일체, 캠, 가이드레버

Description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latching assembly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여부를 인지하기 위한 스위치가 일체로 구비되면서 도어의 개폐에 따라 동작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등과 같은 가전 제품에서는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구비된다.
상기한 도어에는 그의 안정적인 개폐 상태의 유지를 위한 래치 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상기한 도어의 반복적인 가압 동작에 의해 상기 래치 어셈블리의 구속 및 구속 해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한 도어가 냉장고에 적용되는 도어(혹은, 냉장고용 홈바의 도어) 등과 같이 기기 내부의 공간을 외부 공간으로부터 밀폐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도어일 경우 상기한 도어의 개폐에 대한 정확한 인지가 이루어져야만 하였고, 이로 인해 종래에는 상기 도어에 스위치 유닛이 추가로 제공되고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 유닛은 도어의 열림시 내부 조명을 밝히거나 혹은, 냉기유출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래치 어셈블리 및 스위치 유닛은 서로 개별적인 구성으로 인해 충분한 설치 공간이 필요함으로써 소형 도어에의 적용이 어려웠던 문제점을 가진다.
특히, 상기한 스위치 유닛은 도어의 개폐에만 동작됨에 따라 래치 어셈블리의 정확한 구속 혹은, 구속 해제에 대한 인지는 못하였기 때문에 감지 오류가 많이 야기되었던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개폐에 따른 각종 제어를 위한 스위치 유닛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도어의 개폐에 따른 구속과 연동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래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에 따르면 외벽면에는 후크 삽입공 및 소켓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는 설치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탄력 설치되며, 외주면 중 어느 한 부위에는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다른 한 부위에는 가압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의 또 다른 한 부위에는 후크 걸림공이 요입 형성된 캠; 상기 케이스에 상기 캠의 회전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젖힘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에 선택적으로 걸려 캠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가이드레버; 그리고,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면서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on) 혹은, 오프(off)되는 스위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버는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결합단과, 상기 결합단의 끝단에 하향 절곡 형성되는 걸림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캠에 형성된 가이드부는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버의 걸림단이 젖혀지도록 안내하는 경사턱 과, 상기 경사턱을 통해 안내된 걸림단이 안착되어 구속되는 구속턱 및 상기 걸림단이 상기 구속턱 내로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유닛은 상기 가압돌부에 의해 가압되면서 캠의 방사 방향을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가압력이 해제될 경우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재와, 상기 스위치의 이동에 따라 서로 간의 접촉단자가 접촉되면서 상기 소켓 삽입공을 통해 삽입된 소켓과 결합되는 한 쌍의 터미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케이스 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단과, 상기 몸체단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상기 가압돌부에 의해 가압되는 돌출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 중 상기 스위치의 몸체단이 설치되는 부위에는 상기 몸체단이 상기 캠의 안착부위를 향해 과도하게 돌출됨을 방지하도록 가로막는 스토퍼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터미널은 상기 케이스 내에 고정되면서 제1접촉단자를 가지는 제1터미널과, 일단은 상기 케이스 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으로부터 휨 가능하게 절곡되면서 상기 제1터미널의 제1접촉단자와 대응되는 제2접촉단자를 가지며, 상기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스위치에 고정되는 연동단을 가지는 제2터미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는 래치 구 조와 스위치 유닛이 서로 일체형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한 스위치 유닛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추가로 확보할 필요가 없다는 장착 공간 효율의 향상을 얻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는 도어를 반복적으로 가압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해당 도어의 구속 및 구속 해제가 이루어짐과 더불어 이러한 조작에 의한 구속 동작에 연동되면서 스위치 유닛의 온/오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작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는 냉장고용 홈바 도어에 적용되는 래치 어셈블리임을 그 예로 한다.
첨부된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이하, “래치 어셈블리”라 함)는 크게 케이스(100)와, 캠(200)과, 가이드레버(300) 및 스위치 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케이스(100)는 래치 어셈블리의 외관을 이루는 부위로써, 냉장고 본체(도시는 생략됨)의 벽면 내부에 매립 설치된다.
상기한 케이스(100)는 내부에 설치 공간을 갖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특히 제조 및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 두 부분으로 분할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한 케이스(100)의 외벽면 중 상기 냉장고 본체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벽면(도면상 저면)에는 홈바 도어에 돌출된 후크(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후크 삽입공(110)이 관통 형성되며, 후방측 벽면(도면상 좌측면)에는 전원 연결을 위한 소켓(도시는 생략됨)이 삽입되도록 소켓 삽입공(12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캠(200)은 상기 홈바 도어의 후크(10)를 구속 혹은, 구속 해제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 케이스(10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가이드레버(300)는 상기 캠(20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 케이스(100)에 결합되는 결합단(310) 및 상기 결합단(310)의 끝단에 하향 절곡 형성되는 걸림단(320)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캠(200)은 대략 원형의 외관을 가지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면서 예컨대, 비틀림 스프링과 같은 탄력부재(210)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에 원위치로의 복귀가 가능하도록 탄력 설치되며, 상기한 캠(20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부(220)와 가압돌부(230)가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후크 걸림공(240)이 요입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220)는 상기 가이드레버(300)에 의한 구속이 이루어지는 부위로써, 경사턱(221)과 구속턱(222) 및 안내턱(2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턱(221)은 첨부된 도 3과 같이 상기 캠(2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외향 경사지면서 상기 캠(2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부위로써 상기 가이드레버(300)의 걸림단(320)이 젖혀지도록 안내하는 부위이다.
또한, 상기 구속턱(222)은 상기 캠(20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경사턱(221)의 끝단부위에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경사턱(221)을 통해 안내된 걸림 단(320)이 안착되어 구속되는 부위이다.
특히, 상기 구속턱(222)은 상기 걸림레버(30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걸림단(320)이 안착되는 부위가 요입되게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안내턱(223)은 상기 구속턱(222)의 끝단과 대략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캠(2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걸림단(320)이 상기 구속턱(222) 내로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부위로써, 상기 구속턱(222)의 안착 부위를 일부 가로막도록 형성된다. 즉, 캠(200)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레버(300)의 걸림단(320)이 상기 구속턱(222)의 안착 부위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레버(300)는 그의 복원부재(33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의 과정에서 상기 안내턱(223)은 상기 가이드레버(300)의 복귀를 가로막으면서 상기 캠(200)을 회전시키는 힘의 해제로 인한 캠(200)의 미세한 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구속턱(222) 내로 상기 걸림단(320)이 위치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가이드레버(300)의 결합단(310)은 케이스(100)에 직접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첨부된 도 1과 같이 상기 케이스(100)에 고정되는 별도의 샤시(340)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특히 상기 캠(200)의 회전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젖힘 및 상하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레버(300)는 캠(20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외력의 해제시 상기 캠(200)의 외주면 중 어느 한 측으로 수평 이동되면서 젖혀질 수 있도록 복원부재(330)에 의해 탄력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복원부재(330)는 상기 가이드레버(300)의 수평 이동 및 상하 기울어짐이 동시에 가능 하도록 상기 가이드레버(300)의 대각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코일형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위치 유닛(400)은 상기 캠(200)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ON) 혹은, 오프(OFF)되면서 냉장고 내부의 각종 램프 혹은, 냉기유동을 위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신호를 제공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 케이스(100) 내에 설치된다.
상기한 스위치 유닛(400)은 스위치(410)와 복원부재(420) 및 한 쌍의 터미널(430,4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410)는 상기 캠(200)의 회전에 따른 가압돌부(230)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캠(200)의 방사 방향을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일련의 구성이며,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100) 내에는 상기한 스위치(4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단(130)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치(410)는 상기 안내단(130) 내에 수용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스위치(410)는 상기 안내단(130)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 이동되는 몸체단(411)과, 상기 몸체단(411)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상기 가압돌부(230)에 의해 가압되는 돌출단(4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00) 내부 중 상기 스위치(410)의 몸체단(411)이 설치되는 부위에는 상기 몸체단(411)이 상기 캠(200)의 안착 부위를 향해 과도하게 돌출됨을 방지하도록 가로막는 스토퍼(1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원부재(420)는 상기한 스위치(410)의 가압력이 해제될 경우 복 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스위치(410)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몸체단(411) 후방측에 설치되면서 압축 및 복원 가능한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터미널(430,440)은 상기 스위치(410)의 이동에 따라 서로 간의 접촉단자(431,441)가 접촉되면서 상기 소켓 삽입공(120)을 통해 삽입된 소켓과 결합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 케이스(100) 내에 고정되면서 제1접촉단자(431)를 가지는 제1터미널(430)과, 일단은 상기 케이스(100) 내에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일단으로부터 휨 가능하게 절곡되면서 상기 제1접촉단자(431)와 대응되는 제2접촉단자(441)를 가지며, 상기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스위치(410)의 몸체단(411)에 고정되는 연동단(442)을 가지는 제2터미널(440)로 구성된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은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는 케이스(100) 내에 일체로 구비되는 스위치 유닛(400)의 한 쌍의 터미널(430,440)이 수 터미널(male terminal)로 구성됨과 더불어 소켓은 암 터미널(female terminal)로 구성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케이스(100) 내의 한 쌍의 터미널(430,440)을 암 터미널(female terminal)로 구성함과 더불어 소켓은 수 터미널(male terminal)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의 동작 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홈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캠(200)에 형성된 후크 걸림공(240)은 케이스(100)에 형성된 후크 삽입공(110)과 대응되게 위치됨과 더불어 첨부된 도 3과 같이 가이드레버(300)는 그의 복원부재(330)에 의해 어느 한 측(도면상 상측)으로 젖혀진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첨부된 도 2와 같이 스위치 유닛(400)을 구성하는 스위치(410)는 캠(200)에 형성된 가압돌부(230)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후퇴 이동된 상태를 유지함과 더불어 한 쌍의 터미널(430,440)에 형성된 각 접촉단자(431,441)는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한 홈바 도어의 개방 상태에서는 각 터미널(430,440)과 연결된 소켓(도시는 생략됨)을 통해 홈바 도어의 열림에 대한 신호가 제공되고, 이러한 신호에 의해 냉장고의 운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도시는 생략됨)는 냉기 유동 및 각종 램프의 동작이 제어(예컨대, 램프의 발광)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홈바 도어의 개방 상태에서 사용자가 홈바 도어를 닫게 되면 상기한 홈바 도어에 형성된 후크(10)는 첨부된 도 4와 같이 케이스(100)에 형성된 후크 삽입공(110)을 통해 캠(200)의 후크 걸림공(240) 내로 요입되면서 상기 캠(200)을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한 캠(200)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한 캠(200)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레버(300)의 걸림단(320)은 상기 캠(200)의 경사턱(221)에 의해 첨부된 도 5와 같이 점차적으로 다른 한 측(도면상 하측)으로 젖혀진다.
이와 함께, 첨부된 도 4와 같이 스위치 유닛(400)을 구성하는 스위치(410)는 상기 캠(200)에 형성된 가압돌부(230)에 의해 계속적으로 가압된 상태를 이룸으로써 상기 제2터미널(440)에 형성된 제2접촉단자(441)와 제1터미널(430)의 제1접촉단자(431)는 서로 통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계속적인 홈바 도어의 닫힘력에 의해 상기한 홈바 도어의 완전한 닫힘이 이루어지게 되면 첨부된 도 6과 같이 홈바 도어의 후크(10)는 캠(200)의 후크 걸림공(240)에 걸리게 되고, 가이드레버(300)의 걸림단(320)은 첨부된 도 7과 같이 상기 캠(200)의 구속턱(222)이 형성된 부위를 초과하는 순간 그의 복원부재(330)에 의해 상기 구속턱(222)의 내측으로 젖혀지면서 상기 구속턱(222) 내에 구속된다.
따라서, 상기한 캠(200)은 그의 탄력부재(210)에 의한 복원력이 제공된다 하더라도 역방향(도면상 시계 방향) 회전이 방지되면서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캠(200)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레버(300)의 걸림단(320)이 상기 구속턱(222)의 안착 부위를 초과하면서 그의 복원부재(330)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받아 원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에서 상기 캠(200)에 형성된 안내턱(223)은 상기 가이드레버(300)의 복귀를 가로막게 되고, 계속해서 상기 캠(200)을 회전시키는 힘의 해제로 인한 캠(200)의 미세한 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가이드레버(300)의 걸림단(320)은 상기 구속턱(222) 내에 위치된 상태로 구속된다.
이와 함께, 첨부된 도 6과 같이 스위치 유닛(400)을 구성하는 스위치(410)는 상기 캠(200)의 가압돌부(230)에 의한 가압력이 해재됨에 따라 그의 복원부재(420)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2터미널(440)에 형성 된 제2접촉단자(441)는 제1터미널(430)의 제1접촉단자(431)로부터 이격되면서 서로 간의 통전이 해제되며, 컨트롤러는 상기한 통전 해제에 따른 신호를 토대로 각종 램프나 냉기 유동 등의 제어(예컨대, 램프의 발광 중단)를 수행하게 된다.
결국,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홈바 도어는 닫힘 상태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되어 원치않는 개방됨이 방지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홈바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홈바 도어를 열고자 할 경우에는 홈바 도어를 그의 닫힘 방향으로 미는 조작을 통해 수행된다.
즉, 홈바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홈바 도어를 추가적으로 밀게 되면 캠(200)은 첨부된 도 8과 같이 상기 홈바 도어의 후크(10)에 의해 상기 후크(10)가 미는 방향(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일부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첨부된 도 9와 같이 캠(200)에 형성된 구속턱(222)은 가이드레버(300)의 걸림단(320)으로부터 이탈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레버(320)는 그의 복원부재(330)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최초의 위치(도면상 상측 부위)로 젖혀지면서 상기 구속턱(222)이 위치된 부위를 벗어나게 된다.
이후, 홈바 도어를 가압하는 힘이 해재되면 캠(200)은 그의 탄력부재(210)로 인한 복원력에 의해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후크(10)의 구속을 해제하면서 최초의 위치 즉, 첨부된 도 2와 같은 최초 상태의 위치로 복귀된다.
특히, 상기한 캠(200)의 시계 방향 회전이 진행되는 도중에는 상기 캠(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압돌부(230)는 스위치 유닛(400)을 구성하는 스위치(410)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상기 스위치(410)의 후퇴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제2터미널(440)의 연동단(442)이 휘면서 상기 제2터미널(440)에 형성된 제2접촉단자(441)는 제1터미널(430)의 제1접촉단자(431)와 접촉되어 서로 간의 통전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각 터미널(430,440)과 연결된 소켓을 통해 홈바 도어의 열림에 대한 신호가 제공되고, 이러한 신호에 의해 냉장고의 운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는 냉기유동 및 각종 램프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는 래치 구조와 스위치 유닛(400)이 서로 일체형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한 스위치 유닛(400)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추가로 확보할 필요가 없음과 더불어 오작동에 대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의 각 상황별 상태 중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의 각 상황별 상태 중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의 각 상황별 상태 중 도어의 폐쇄가 진행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의 각 상황별 상태 중 도어의 폐쇄가 진행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의 각 상황별 상태 중 도어의 폐쇄가 완료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의 각 상황별 상태 중 도어의 폐쇄가 완료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의 각 상황별 상태 중 도어의 개방이 진행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의 각 상황별 상태 중 도어의 개방이 진행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후크 100. 케이스
110. 후크 삽입공 120. 소켓 삽입공
130. 안내단 140. 스토퍼
200. 캠 210. 탄력부재
220. 가이드부 221. 경사턱
222. 구속턱 223. 안내턱
230. 가압돌부 240. 후크 걸림공
300. 가이드레버 310. 결합단
320. 걸림단 330. 복원부재
340. 샤시 400. 스위치 유닛
410. 스위치 411. 몸체단
412. 돌출단 420. 복원부재
430. 제1터미널 431. 제1접촉단자
440. 제2터미널 441. 제2접촉단자
442. 연동단

Claims (5)

  1. 외벽면에는 후크 삽입공 및 소켓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는 설치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탄력 설치되며, 외주면 중 어느 한 부위에는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다른 한 부위에는 가압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의 또 다른 한 부위에는 후크 걸림공이 요입 형성된 캠;
    상기 케이스에 상기 캠의 회전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젖힘 및 상하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에 선택적으로 걸려 캠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가이드레버; 그리고,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면서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on) 혹은, 오프(off)되는 스위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버는 상기 케이스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단과, 상기 결합단의 끝단에 하향 절곡 형성되는 걸림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캠에 형성된 가이드부는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버의 걸림단이 젖혀지도록 안내하는 경사턱과, 상기 경사턱을 통해 안내된 걸림단이 안착되어 구속되는 구속턱 및 상기 걸림단이 상기 구속턱 내로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은
    상기 가압돌부에 의해 가압되면서 캠의 방사 방향을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가압력이 해제될 경우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재와,
    상기 스위치의 이동에 따라 서로 간의 접촉단자가 접촉되면서 상기 소켓 삽입공을 통해 삽입된 소켓과 결합되는 한 쌍의 터미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케이스 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단과, 상기 몸체단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상기 가압돌부에 의해 가압되는 돌출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 중 상기 스위치의 몸체단이 설치되는 부위에는 상기 몸체단이 상기 캠의 안착부위를 향해 과도하게 돌출됨을 방지하도록 가로막는 스토퍼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터미널은
    상기 케이스 내에 고정되면서 제1접촉단자를 가지는 제1터미널과,
    일단은 상기 케이스 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으로부터 휨 가능하게 절곡되면서 상기 제1터미널의 제1접촉단자와 대응되는 제2접촉단자를 가지며, 상기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스위치에 고정되는 연동단을 가지는 제2터미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
KR1020090100832A 2009-10-22 2009-10-22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 KR101056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832A KR101056813B1 (ko) 2009-10-22 2009-10-22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832A KR101056813B1 (ko) 2009-10-22 2009-10-22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034A true KR20110044034A (ko) 2011-04-28
KR101056813B1 KR101056813B1 (ko) 2011-08-16

Family

ID=44048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832A KR101056813B1 (ko) 2009-10-22 2009-10-22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81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85185A3 (en) * 2012-07-09 2016-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tch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80043750A (ko) * 2016-10-20 2018-04-30 비트론 에스.피.에이. 개선된 듀얼 푸시 도어로크 장치
WO2019235747A1 (ko) * 2018-06-08 2019-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0746411B2 (en) 2017-01-26 2020-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aratus
US11174581B2 (en) * 2017-07-13 2021-11-16 Emz-Hanauer Gmbh & Co. Kgaa Overlifting door latch with locking mechanism
EP4155491A1 (de) * 2021-09-23 2023-03-29 Titus d.o.o. Dekani Verschlus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n wohnwagen oder wohnmobi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25345C2 (de) 1977-06-04 1985-05-23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Aus einem Stahlblechzuschnitt gebogener Schließkloben für einen Kraftfahr-Türverschluß
KR200416692Y1 (ko) 2006-03-08 2006-05-22 동우정밀(주) 가전제품용 도어래치유닛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85185A3 (en) * 2012-07-09 2016-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tch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80043750A (ko) * 2016-10-20 2018-04-30 비트론 에스.피.에이. 개선된 듀얼 푸시 도어로크 장치
US10746411B2 (en) 2017-01-26 2020-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aratus
US11174581B2 (en) * 2017-07-13 2021-11-16 Emz-Hanauer Gmbh & Co. Kgaa Overlifting door latch with locking mechanism
WO2019235747A1 (ko) * 2018-06-08 2019-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391505B2 (en) 2018-06-08 2022-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EP4155491A1 (de) * 2021-09-23 2023-03-29 Titus d.o.o. Dekani Verschlus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n wohnwagen oder wohnmob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6813B1 (ko) 201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813B1 (ko)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
US10068729B2 (en) Switch device
RU2401048C2 (ru)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ытового прибора
EP2502772B1 (en) Device for preventing fueling error
US20190264481A1 (en) Appliance Door Lock
ES2188305A1 (es) Un dispositivo de cierre y liberacion para la puerta de un aparato electrico domestico.
KR20150015032A (ko) 전기 콘센트
KR20140098956A (ko) 푸시 앤 푸시 도어락 장치
JP6711722B2 (ja) 車両ドアの開閉装置
CN109509651B (zh) 开关装置和相关联的开关
KR101310179B1 (ko) 도어락 장치
JP4545052B2 (ja) コネクタの連結構造
US10519699B2 (en) Motor vehicle lock with microswitch
US10626638B2 (en) Door latch device
KR101675468B1 (ko) 비상 정지용 누름 버튼 스위치
KR100809357B1 (ko)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US10662683B2 (en) Latch for motor vehicle with pawl position retaining
US7278619B2 (en) Cup holder device
JP6111373B1 (ja) 防火戸用自動閉鎖装置
US20230420201A1 (en) Module for Generating Opening Signals
JP2004058731A (ja) 携帯機スロット装置
TWI633567B (zh) Push switch
KR101123946B1 (ko) 도어 잠금장치
KR20030021837A (ko) 자동차의 잼 방지용 프론트 도어래치 구조
JP5002282B2 (ja) 蓋を備え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