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594A - 자체 연료를 제조하는 산업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자체 연료를 제조하는 산업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594A
KR20110043594A KR1020117000909A KR20117000909A KR20110043594A KR 20110043594 A KR20110043594 A KR 20110043594A KR 1020117000909 A KR1020117000909 A KR 1020117000909A KR 20117000909 A KR20117000909 A KR 20117000909A KR 20110043594 A KR20110043594 A KR 20110043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combustible fluid
unit
flue gas
organ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에르 쟝브와느
다비 갤리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10043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35Heating the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3/00Gaseous fuels;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 C10L3/06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C10G, C10K3/02 or C10K3/04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py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13Carbonaceous raw material
    • C10J2300/0916Biom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81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biological plants, e.g. involving bacteria, algae, fungi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5/00Preventing emissions
    • F23J2215/50Carbon di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가능 유체를 버닝하는 버너를 갖는 산업 제조 유닛을 포함하는 플랜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유닛은 CO2를 함유하는 연소 배연 가스를 생성하고, 상기 플랜트는 유기물이 공급된 연소가능 유체 생산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물은 상기 생산 유닛에서 유체로 분해되고, 상기 연소가능 유체 생산 유닛은 가스 형태로 연소가능 유체를 형성하도록 스팀 또는 산소 또는 CO2를 포함하는 산화 가스와 유기물이 반응함으로써 유기물을 분해하는 열 화학 기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체 연료를 제조하는 산업 디바이스{INDUSTRIAL DEVICE MANUFACTURING ITS OWN FUEL}
본 발명은 에너지원으로서 생물체량(biomass)과 같은 유기물을 이용하는 산업 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산업 공정에서 화석 에너지의 이용을 대신하고 대기로의 CO2의 방출을 낮추고 에너지 비용을 낮추는데 목적을 둔 기술을 제안한다. 사실상, 대기에서 온실 가스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목적에 대해, 산업 제조업자들은, 항상 더 많은 탄소 및 CO2를 지표면으로 되돌려 보내기 때문에 화석 에너지(석유 또는 천연 가스로부터)를 이용하지 않고, 그 대신 그 성장을 위해 CO2를 흡수하는 생물체량과 같은 재활용가능한 연료를 이용하기 위해 적절한 재정적 정책에 의해 장려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 플랜트는, 한 편으로, 특히 가스 연료형의 연소가능 연료를 이용하는 연소 시스템(적어도 하나의 버너를 포함)를 포함하고 연소 가스를 생성하는 제조 유닛을 포함하고, 다른 한 편으로, 유기물의 분해에 의해 생성된 연소가능 유체를 생성하는 연소가능 유체 생성 유닛(특히 기화기를 포함할 수 있는)을 포함한다. 연소가능 유체는 제조 유닛으로 운반되는데, 여기서 연소가능 유체는 버너에서 버닝된다. 유체 생산 유닛은 기화기를 포함하여, 가스의 형태로 연소가능 유체를 생성하고, 제조 유닛 및 기화기는 유리하게 서로 가까이 있어서, 연료 생산 유닛에서 생성된 연소가능 가스는 저장되지 않고, 제조 유닛으로 직접 보내진다. 이것은 운송 물질 및 열 손실을 피한다. 제조 유닛과 연료 생산 유닛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 10km 미만, 심지어 5km 미만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첫째로 연소가능 유체를 버닝하는 버너를 포함하는 산업 제조 유닛을 포함하는 플랜트, 및 상기 연소가능 유체를 생산하는 생산 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기 산업 제조 유닛은 CO2를 함유하는 연소 배연 가스를 생성하고, 상기 생산 유닛에는 유기물이 공급되고, 상기 유기물은 상기 생산 유닛에서 상기 유체로 분해된다.
배연 가스의 열은 유기물 건조기 또는 유기물을 생성하는 생물 반응기 또는 보일러와 같은 연소가능 유체 생산 체인의 요소를 가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 산업 제조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열 플럭스는 유기물을 기화 또는 액화하는 반응(흡열일 수 있는)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제조 유닛은 특히 유리 로(모든 유리 응용: 평평한 유리, 중공 유리, 섬유, 등에 대해), 전기 발전기, 야금 플랜트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제조 유닛은 연소가능 유체(가스 또는 액체)를 버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너를 이용하고, 특히 상기 버너가 침지된 버너 또는 루프 버너 유형인 것이 가능하다.
기화기는 열 화학 모드로 동작한다. 열 화학 모드에 따라, 유기물은 열 기화기에서의 열 화학 공정에 의해 고온에서 분해된다. 화학 반응은 일반적으로 800℃ 내지 1700℃ 사이에서, 스팀 또는 산소 또는 CO2를 포함하는 산화 가스와 반응하는 유기물에 의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생성된 연소 가스는 또한 "합성 가스"로 불리고, 일산화탄소 및 수소의 큰 비율을 함유한다. 이것은 또한 일반적으로 메탄을 함유한다. 수소와 일산화탄소의 몰비의 합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10%, 심지어 일반적으로 적어도 30%, 또는 더욱이 심지어 적어도 35%이다. 이러한 연소가능 가스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1 MJ/Nm3의, 심지어 일반적으로 적어도 5 MJ/Nm3의 순 발열량을 갖고, 아마 적어도 10 MJ/Nm3에 도달하지만, 일반적으로 30 MJ/Nm3미만인 순 발열량을 갖는다. 유기물은 생물체량과 같은 연소가능 고체 또는 액체 및/또는 소비된 타이어, 플라스틱, 자동차 분쇄(grinding) 잔류물, 진흙(sludge), 연소가능 치환 물질(CSM이라 불림) 또는 심지어 가정 폐기물과 같은 폐기물일 수 있다. 유기물은 생물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거나, 농식품 산업으로부터 나온다. 이것은 동물 사료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다음과 같은 유형의 지상(terrestrial) 또는 수상(aqueous) 생물체량일 수 있다: 짚, 억새 식물(miscanthus stalks), 해초, 산림 생물체량, 에너지 작물, 덩굴, 짧은 성장 주기를 갖는 숲(brushwood), 등. 이것은 또한 석탄, 갈탄(lignite), 토탄(peat) 등일 수 있다. 이것은 제지 산업으로부터 나오는 폐목재, 폐지일 수 있다. 이것은 유기 폴리머,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타이어 잔류물 또는 자동차 부품 분쇄물일 수 있다. 생물체량은 유리하게 해초일 수 있다. 그 이유는, 해초가 생존을 위해 단지 태양(예외와 별도로), 물, CO2 및 올리고-요소만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해초의 성장은 매우 빠를 수 있고(연간 몇몇 수확량), 식량 작물과 경쟁하지 않고도 적합한 생물 반응기에서 성장될 수 있다. 생물 반응기에서 해초의 성장률은 자연에서의 성장률보다 50배 더 클 수 있다. 해초의 성장은 즉각적인 환경에서 CO2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가속화될 수 있고, 이러한 특성은 생물 반응기에서 이용된다. 생물체량은 일반적으로, 건조되어 정확한 입자 크기로 감소된 후에 기화된다. 경우에 따라서, 이것은 이때 액화될 수 있다.
생물 화학 기화 모드(본 발명의 배경에 사용되지 않은)에 따라, 생물체량은 박테리아의 영향을 통해 일반적으로 10 내지 80℃, 바람직하게 40 내지 70℃, 더 일반적으로 40 내지 65℃의 온도로 생물 기화기(bio-gasifier)에서 분해된다. 생물 기화기에서의 분해는 일반적으로 공기가 없을 때 발생한다. 이러한 모드에 따라, 형성된 연소가능 가스(바이오 가스라 불릴 수 있음)는 메탄을 함유한다. 이것은 또한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를 함유한다. 생물 화학 기화 플랜트는 열 화학 기화 플랜트보다 훨씬 더 많은 공간을 요구한다. 더욱이, 그 안의 가스 생산은 또한 훨씬 더 느리다.
형성된 연소가능 유체는 산업 제조 유닛의 버너에 공급된다. 제조 유닛에서 연소가능 유체(버너를 통한)의 연소로 인해, 제조 유닛은 열의 상당한 소스 및 CO2의 소스를 나타내는 배연 가스를 방출한다. 일례가 주어지면, 가스 로를 떠나는 배연 가스는 통상적으로 300 내지 600℃이다. 배연 가스 열은 특히 열 화학 기화기의 동작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기화기가 스팀과 유기물(합성 가스의 경우에) 사이의 반응의 원리에 따라 동작하기 때문에, 배연 가스 열은, 이러한 물이 기화기로 보내지기 전에 보일러에서 물을 가열하고 증발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연 가스 열의 일부는 또한 기화기를 위해 의도된 생물체량을 건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 동작 속도, 고온에서의 동작 및 큰 열 요건(열 화학 반응은 흡열 반응이다) 때문에, 열 화학 기화기 자체는 산업 제조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연소 배연 가스에서 즉시 이용가능한 열의 상당한 양의 이용에 매우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첫째로 연소 유체를 버닝하는 버너를 갖는 산업 제조 유닛을 포함하는 플랜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닛은 CO2를 함유하는 연소 배연 가스를 생성하고, 상기 플랜트는 생산 유닛에서 상기 유체로 분해되는 유기물이 공급된 연소가능한 유체 생산 유닛을 포함하고, 연소가능 유체 생산 유닛은 가스 형태로 연소가능 유체를 형성하도록 스팀 또는 산소 또는 CO2를 포함하는 산화 가스와 유기물이 반응함으로써 유기물을 분해하는 열 화학 기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조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배연 가스는 해초와 같은 플랜트 재료 유형인 유기물을 포함하는 생물 반응기에 보내질 수 있고, 상기 플랜트 재료는 성장시키기 위해 배연 가스로부터 CO2를 흡수하고, 그 후 상기 플랜트 재료는 연소가능 유체로 분해되기 위해 연소가능 유체 생산 유닛으로 보내진다.
유기물은 기화기로 보내지기 전에 열분해 동작에 의해 오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환될 수 있다. 특히 생물체량 유형의 특정한 고체 유기물은 (사실상 유기물로부터 자연스럽게 형성하는 석유의 방식으로) 압력 하에 약 500℃에서 열분해에 의해 점성 액체(또는 오일)로 사실상 변환될 수 있다. 특히, 해초 자체는 이러한 변환에 매우 적합한데, 이는 특정한 해초의 양의 약 40%를 오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액체로의 변환은 기화기에 도입될 물질의 체적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더욱이, 오일에서의 이러한 응축된 재료는 운송비가 적절하게 되는 정도로 쉽게 운송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개시 생물체량의 경우가 아닌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에너지의 관점에서 너무 부피가 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연소가능 유체 생산 유닛은 열 화학 기화기에 공급되기 전에 유기물을 액화시키기 위한 열분해 반응기를 포함할 수 있다.
산업 유닛에 따라, 특히 생물체량 유형의 유기물의 열 변환으로부터 나오는 이러한 연소가능 액체는 또한 (기화되지 않고) 버너로 직접 보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연소가능 유체는 연소가능 액체이고, 상기 연소가능 유체를 생성하기 위한 유닛은 이러한 유기물을 상대적으로 유성 액체로 변환하기 위해 이러한 열분해 반응기를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액체가 침지되거나 침지되지 않든지 간에 유리 로의 버너에 직접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조 유닛을 떠나는 배연 가스는 또한 이산화탄소의 실질적인 소스이다. 이러한 이산화탄소는 생물 반응기에서 성장되는 생물체량을 직접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산업 유닛을 떠나는 CO2는 유기물로의 CO2의 생물학적 변환에 의해 생물체량을 성장시키도록 한다. 그러한 동작은 생물 반응기에서 수행된다. 해초의 경우에, 생물 반응기는, 해초가 성장하는 물을 포함한다. 산업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CO2는 이러한 성장 물에서 거품이 인다(bubbled). 따라서, CO2는 물에서 용해되고, 해초와 직접 접촉하게 되고, 이러한 해초는 이에 따라 CO2를 흡수한다. 이에 따라 생물 반응기는 산업 제조 유닛에 의해 출력된 열/CO2 플럭스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열/CO2 플럭스는 배연 가스, 또는 그 부분을 생물 반응기에 직접 주입함으로써, 또는 경우에 따라서, 배연 가스의 온도를 낮추도록 정화 및/또는 열 교환 이후에 조합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설페이트의 형태로 배연 가스에 가능하면 함유된 설퍼는 또한 특정한 유형의 생물체량의 신진대사에서 유리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배연 가스로부터 복원될 수 있는 CO2의 양은 생물체량을 성장시키는데 필요한 양과 동일하다. 생물 반응기는 바람직하게 산업 제조 유닛의 바로 근처에 위치되어, 열 손실을 방지하도록 운송 물질을 갖는 것을 피하게 된다.
그러므로, 유리 로를 떠나는 열/CO2 플럭스의 적어도 일부는 에너지를 제조 유닛에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생물체량을 성장시키거나(산업 제조 라인으로의 에너지 체인의 완전한 일체화) 또는 단지 생산 라인의 외부에서 개시 생물체량의 처리(건조, 기화 등)를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ash)의 형태로 기화 및/또는 액화 동작 이후에 얻어진 생물체량의 광물 부분(포스페이트, 칼륨 등)은 생물체량의 성장을 위한 영양소로서 생물 반응기에 재순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플랜트에 의해 작용된 산업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산업 제조 유닛은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유리는 연소가능 유체를 버닝하는 버너를 갖는 로에서 용융된다.
본 발명은 열 화학 기화기 자체는 산업 제조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연소 배연 가스에서 즉시 이용가능한 열의 상당한 양의 이용에 효과적이다.
도 1은 그 출력(예를 들어 유리)이 2에서 떠나는 제조 유닛(1)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배연 가스는 상기 유닛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버너에 의해 생성되고 3에서 방출되고, 이러한 배연 가스는 열 교환기(7)로 보내져서, 배연 가스의 열은 해초가 성장하는 생물 반응기(8)에 의해 취득되고, 이러한 해초는 열 기화기(9)에서 분해되어, 6을 통해 산업 제조 라인(1)으로 보내지는 연소가능 가스를 생성하는, 제조 유닛(1)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그 출력(예를 들어 유리)이 2에서 떠나는 제조 유닛(1)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배연 가스는 상기 유닛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버너에 의해 생성되고 3에서 방출되고, 배연 가스는 열 교환기(10)를 통과하여, 일부 열을 산출하고, 그런 후에 해초가 성장하는 생물 반응기(11)로 직접 나아가고, 생물 반응기(11)에서 생성된 해초는 건조기(12)로 보내지고, 열 교환기(10)에서, 배연 가스 열의 일부는 공기 회로에 의해 취득되어, 15에서 열 교환기에 들어가고, 고온의 공기는 해초를 건조시키기 위해 14를 통해 건조기(12)로 보내지고, 건조된 해초는 열 기화기(13)에서 분해되어, 6을 통해 산업 제조 유닛(1)으로 보내지는 연소가능 가스를 생성하는, 제조 유닛(1)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그 출력(예를 들어 유리)이 2에서 떠나는 제조 유닛(1)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배연 가스는 상기 유닛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버너에 의해 생성되고 3에서 방출되고, 배연 가스는 증발되도록 의도된 물을 가열시키기 위해 보일러(16)를 통과하고, 해초가 성장하는 생물 반응기(17)로 보내지고, 해초는 성장하기 위해 배연 가스로부터 CO2를 소비하고, 이러한 해초는 6을 통해 산업 제조 유닛(1)의 버너로 보내지는 연소가능 가스를 생성하는 열 기화기(18)로 20을 통해 보내지고, 보일러(16)에 의해 생성된 스팀은 19를 통해 기화기로 보내져서, 생물체량과 반응하고 합성 가스를 생성하는, 제조 유닛(1)을 도시한 도면.
30MW 전력의 유리 로의 경우가 고려된다. 기화기가 로로부터 나오는 에너지의 복원에서 이익을 얻지 않으면, 라인의 완전한 동작에 필요한 생물체량의 총량은 80 000 t/year (4 MWh/t에서)이고; 이러한 생물체량은 유리 로에 공급하기 위해 3kWh/m3의 NCV(순 발열량)을 갖는 합성 가스의 240 000 m3/day와, 기화기를 동작시키기 위해 60 000 m3/day를 공급한다. 생물체량은 생물 반응기에서 생물체량의 성장을 공급하기 위해 가능하면 이용가능한 CO2의 약 150 000t/year를 나타낸다. 기화기가 민감한 열(4MW 이용가능)의 형태로 배연 가스로부터 나오는 에너지의 복원에서 이익을 얻지 않으면, (다음의 한정되지 않은 리스트에서)
- 습기 함량을 10% 미만이 되도록 하기 위해 생물체량을 건조시키고; 및/또는
- 유체화-베드(bed) 또는 순환-베드 기화기의 열-전달 매질을 예열하여, 생물체량으로부터 나오는 에너지를 절감하고, 이용가능한 가스의 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및/또는
- 생물체량이 성장하는 생물 반응기를 가열하고; 및/또는
- 메인 로 또는 열 기화기에 공급하기 위한 합성 가스를 예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연소가능 유체를 버닝하는 버너를 갖는 산업 제조 유닛을 포함하는 플랜트로서, 상기 유닛은 CO2를 함유하는 연소 배연 가스를 생성하는, 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플랜트는 유기물이 공급된 연소가능 유체 생산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물은 상기 생산 유닛에서 유체로 분해되고, 상기 연소가능 유체 생산 유닛은 가스 형태로 연소가능 유체를 형성하도록 스팀 또는 산소 또는 CO2를 포함하는 산화 가스와 유기물이 반응함으로써 유기물을 분해하는 열 화학 기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생산 유닛은 배연 가스의 열에 의해 가열된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유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생물 반응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보일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연 가스는 플랜트 재료 유형인 유기물을 포함하는 생물 반응기로 보내지고, 상기 플랜트 재료는 성장하기 위해 배연 가스로부터 CO2를 흡수하고, 그 후 상기 플랜트 재료는 연소가능 유체로 분해되기 위해 연소가능 유체 생산 라인으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은 해초 또는 억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능 유체를 생성하기 위한 유닛은 열 화학 기화기에 공급되기 전에 유기물을 액화시키기 위한 열분해 반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랜트에 의해 작용되는 산업 제조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산업 제조 유닛은 유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 제조 방법.
KR1020117000909A 2008-07-18 2009-07-16 자체 연료를 제조하는 산업 디바이스 KR201100435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54880A FR2933988B1 (fr) 2008-07-18 2008-07-18 Dispositif industriel fabriquant son propre combustible
FR0854880 2008-07-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594A true KR20110043594A (ko) 2011-04-27

Family

ID=4038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909A KR20110043594A (ko) 2008-07-18 2009-07-16 자체 연료를 제조하는 산업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10179716A1 (ko)
EP (1) EP2304003A2 (ko)
JP (1) JP2011528390A (ko)
KR (1) KR20110043594A (ko)
CN (1) CN102099448A (ko)
BR (1) BRPI0916785A2 (ko)
EA (1) EA201170225A1 (ko)
FR (1) FR2933988B1 (ko)
MX (1) MX2011000530A (ko)
WO (1) WO201000732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0331A1 (ko) * 2013-11-28 2015-06-04 해표산업 주식회사 억새 펠릿용 난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5274B (zh) * 2012-11-21 2014-11-26 清华大学 微藻养殖设备
CN109231960A (zh) * 2018-10-16 2019-01-18 萍乡市华星环保工程技术有限公司 废弃陶瓷填料再生制备废水处理用陶瓷球的方法
IT202000006325A1 (it) * 2020-03-25 2021-09-25 Biokw Srl Metodo per la valorizzazione energetica di biomasse ed impianto per realizzare tale metodo
CN115286208A (zh) * 2022-08-25 2022-11-04 华新水泥股份有限公司 水泥窑余热烘干及协同处置污泥的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4026A (en) * 1980-01-18 1982-06-08 Institute Of Gas Technology Hybrid bio-thermal liquefaction
US5300226A (en) * 1990-10-23 1994-04-05 Stewart E. Erickson Construction, Inc. Waste handling method
AU656937B2 (en) * 1991-01-28 1995-02-23 Stewart E. Erickson Construction Inc. Waste handling method
US5798497A (en) * 1995-02-02 1998-08-25 Battelle Memorial Institute Tunable, self-powered integrated arc plasma-melter vitrification system for waste treatment and resource recovery
ES2184825T3 (es) * 1995-11-28 2003-04-16 Ebara Corp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el tratamiento de desechos por gasificacion.
FR2758100B1 (fr) * 1997-01-06 1999-02-12 Youssef Bouchalat Procede de traitement et valorisation energetique optimisee des boues de stations d'epuration urbaine et industrielle
JP2961247B2 (ja) * 1997-12-10 1999-10-12 工業技術院長 セルロース系バイオマスのガス化方法
DE10047262B4 (de) * 2000-09-23 2005-12-01 G.A.S. Energietechnologie Gmbh Verfahren zur Nutzung methanhaltiger Gase
DE10047264B4 (de) * 2000-09-23 2006-05-04 G.A.S. Energietechnologie Gmbh Verfahren zur Nutzung von methanhaltigem Biogas
JP2002327183A (ja) * 2001-02-27 2002-11-15 Mitsubishi Heavy Ind Ltd 廃棄物のガス化発電設備
JP4146287B2 (ja) * 2003-05-30 2008-09-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バイオマス利用方法およびバイオマス利用システム
DE102004044645B3 (de) * 2004-09-13 2006-06-08 RÜTGERS Carbo Tech Engineering GmbH Umweltschonendes Verfahren zur Gewinnung von Bioerdgas
JP2006191876A (ja) * 2005-01-14 2006-07-27 Mitsubishi Heavy Ind Ltd バイオマス利活用システム
JPWO2007108509A1 (ja) * 2006-03-22 2009-08-06 タマティーエルオー株式会社 循環型バイオマスエネルギー回収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08024449A2 (en) * 2006-08-23 2008-02-28 Praxair Technology, Inc. Gasification and steam methane reforming integrated polygeneration method and system
FR2929955B1 (fr) * 2008-04-09 2012-02-10 Saint Gobain Gazeification de materiaux organiques combustib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0331A1 (ko) * 2013-11-28 2015-06-04 해표산업 주식회사 억새 펠릿용 난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99448A (zh) 2011-06-15
FR2933988B1 (fr) 2011-09-09
WO2010007325A3 (fr) 2010-03-11
EA201170225A1 (ru) 2011-06-30
MX2011000530A (es) 2011-03-15
WO2010007325A2 (fr) 2010-01-21
EP2304003A2 (fr) 2011-04-06
JP2011528390A (ja) 2011-11-17
FR2933988A1 (fr) 2010-01-22
BRPI0916785A2 (pt) 2018-02-14
US20110179716A1 (en)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domsirichakorn et al. Review of hydrogen-enriched gas production from steam gasification of biomass: the prospect of CaO-based chemical looping gasification
Priyadarsan et al. Fixed-bed gasification of feedlot manure and poultry litter biomass
US8510985B2 (en) Energy production from algae in photo bioreactors enriched with carbon dioxide
US8246700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ycling flue gas
KR101619357B1 (ko)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건조 및 반탄화 시스템
KR20110043594A (ko) 자체 연료를 제조하는 산업 디바이스
Salgado et al. Simultaneous production of biochar and thermal energy using palm oil residual biomass as feedstock in an auto-thermal prototype reactor
Kurniawan et al. Wastewater sludge as an alternative energy resource: A review
CN110746070A (zh) 生物质气炭联产耦合污泥深度处置系统及方法
Yu et al.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carbon structures of pine sawdust-and wheat straw-derived biochars produced in air-limitation, carbon dioxide, and nitrogen atmospheres, and their variation with charring temperature
CN110848665B (zh) 基于生物质热解气化与燃烧的汽/炭组合生产工艺及其应用
CN211595397U (zh) 生物质气炭联产耦合污泥深度处置系统
EP2532728B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lying thermal energy to a thermal processing system from the gasification of dry, carbon-containing raw materials, followed by oxidation, and installation for operating this system
RU2475677C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твердых бытовых и промышленных отходов с получением синтез-газа
Altynbaeva et al. Kinetics of biomass low-temperature pyrolysis by coats–redfern method
CN104629804A (zh) 一种生物质的气化方法
KR102451467B1 (ko) 바이오매스를 저온열분해에 의해 제조하는 연료용 수성가스 제조방법
David et al. Biomass-alternative renewable energy source and its conversion for hydrogen rich gas production
US201101650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gaseous effluents for independently producing h2 and co
Kobyłecki et al. Carbonization of biomass–an efficient tool to decrease the emission of CO 2
Shcheklein et al. Production of liquid fuel from wood
Krysanova et al.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hydrothermal carbonization of organic fertilizers with the production of carbon fuel
Mukhtar Manure to energy: understanding processes, principles and jargon
Baláš et al. Steam influence on biomass gasification process
Dutta et al. Fuel characteristics of some indigenous 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