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022A -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022A
KR20110043022A KR1020090099934A KR20090099934A KR20110043022A KR 20110043022 A KR20110043022 A KR 20110043022A KR 1020090099934 A KR1020090099934 A KR 1020090099934A KR 20090099934 A KR20090099934 A KR 20090099934A KR 20110043022 A KR20110043022 A KR 20110043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
content
medium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인스아이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인스아이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인스아이앤에스
Priority to KR1020090099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3022A/ko
Publication of KR20110043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4Query formulation using image data, e.g. images, photos, pictures taken by a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컨텐츠 제공 방법은 복수의 매체를 통해 접속 가능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매체를 통해 인식된 오프라인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오프라인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매체의 접속을 허락하는 단계; 접속된 특정 매체의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환경 정보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재생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오프라인 식별자와 매칭되는 특정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특정 컨텐츠를 상기 특정 매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과 이동통신망의 확산과 더불어 인터넷 웹, IPTV, 이동통신, DMB 등의 이른바 다매체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사용자는 데스크탑 PC나 노트북을 이용하여 유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PDA나 모바일폰을 이용하여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DMB 또는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접속하거나, TV를 이용하여 인터넷 방송(IPTV)을 시청하는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컨텐츠를 접하고 있다.
그러나, 매체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접할 수 있는 컨텐츠는 한계가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주로 이용하는 매체를 통해 한정된 컨텐츠를 접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편리하게 제공 받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프라인 식별자를 인식한 특정 매체에 인식된 오프라인 식별자와 매칭되는 컨텐츠를 특정 매체의 재생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매체를 통해 접속 가능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매체를 통해 인식된 오프라인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오프라인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매체의 접속을 허락하는 단계; 접속된 특정 매체의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환경 정보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재생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오프라인 식별자와 매칭되는 특정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특정 컨텐츠를 상기 특정 매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매체를 통해 접속 가능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매체를 통해 인식된 오프라인 식별자를 수신하는 수신부; 특정 매체의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환경 정보 추출하는 호출부; 추출된 재생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오프라인 식별자와 매칭되는 특정 컨텐츠를 추출하는 제작부; 추출된 특정 컨텐츠를 상기 특정 매체에 제공하는 전송부; 및 오프라인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매체의 접속을 허락하고, 수신부, 호출부, 제작부, 및 전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오프라인 식별자의 인식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제공의 다양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오프라인 매체에 삽입된 오프라인 식별자의 인식을 이용하여 매체의 특성에 맞는 특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크로스 미디어 환경하에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은 네트워크(150)를 통해 연결되어 특정 매체(100)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네트워크(150)라 함은 매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망을 말하는 것으로, 인터넷 망, 무선 통신망, 방송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매체(100)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에 접속되는 다양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 TV(Television),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데스크 탑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매체(100)는 오프라인 매체(50)에 삽입되거나 부착된 오프라인 식별자(51)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은 특정 매체(100)에 의해 인식된 오프라인 식별자(51)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매체(100)의 접속을 허락할 수 있다. 오프라인 상태라 함은 단말기의 입출력 장치 따위가 연결되어 있지 아니하여 중앙 처리 장치의 직접적인 제어를 받지 아니하는 상태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오프라인 식별자(51)는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어되지 아니하는 식별자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특정 바코드, 특정 상품의 로고 등이 있다. 또한, 오프라인 매체(50)는 입출력 장치 따위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여 중앙 처리 장치(미도시)를 통해 오프라인 식별자(51)를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매체를 말한다. 여기서 직접적 제어라 함은 중앙 처리 장치의 제어에 의해 오프라인 식별자(51)의 형태가 변화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오프라인 매체(50)의 예로, 잡지, 특정 상품(옷, 구두, 핸드백 등)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장치가 구비되어 있더라도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 오프라인 식별자(51)를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경우, 오프라인 매체(50)로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 부착된 바코드가 오프라인 식별자일 경우, 상기 PC는 오프라인 매체(50)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어되지 않는 식별자라면, 특정 모니터에 출력되는 로고 등도 오프라인 식별자가 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은 복수개의 매체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은 다매체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은 컨텐츠 디스플레이, 컨텐츠 전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매체로는 TV, IPTV, 이동통신(모바일), 인터넷 웹(Web), DMB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V는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신호를 복조하여 영상과 음성 정보를 표시하는 매체를 말한다. TV는 아날로그(analog) 신호를 사용하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는 디지털 TV를 포함할 수 있다.
IPTV는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방송채널, VOD(Video On Demand),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 등을 하나의 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IPTV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CP(Contents Provider), PP(Program Provider) 등으로부터 컨텐츠의 수집 및 가공과 IPTV망으로의 원활한 전송을 위하여 압축하는 컨텐츠 포맷 결정, 컨텐츠를 보유한 저작권자의 권리 보호와 불법 유통을 방지하기 위한 컨텐츠 보호기술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IPTV는 단순한 인터넷 TV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가 아닌 단순한 리모컨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전용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매체를 가리킨다.
이동통신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2세대 이동통신, WCDMA(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CDMA2000,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등의 3세대 이동통신 및 Wibro,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차세대 이동통신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휴대를 전제로 하는 모바일폰(Mobile Phone)의 상대적으로 작은 화면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전용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매체를 가리킨다.
인터넷 웹(Internet Web)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이용하여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xml(extended markup language),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등의 마크 업 언어로 제작된 문서를 전송하는 매체를 가리킨다.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는 지상파 DMB 및 위성 DMB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휴대 가능한 DMB 단말기의 상대적으로 작은 화면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전용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매체를 가리킨다.
한편, 명세서 전체에서, 매체에 대응하는 컨텐츠라 함은 해당 매체를 통해 재생이 용이하도록 최적화된 컨텐츠를 가리킨다. 구체적인 예로, 인터넷 웹에 대응하는 컨텐츠는 html, xml 등의 마크 업 언어나 java script, 등의 스크립트 언어, active x, ocx 등의 애드인 프로그램 등으로 이루어지며, TCP/IP를 통해 전송되는 컨텐츠를 가리킨다. 이동통신에 대응하는 컨텐츠는 인터넷 웹의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용하기 위해 간략화한 것으로서 WAP을 통해 전송되는 컨텐츠를 가리킨다. IPTV에 대응하는 컨텐츠는 MPEG-2, MPEG-4, WMV-9, H.264 등으로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가리킨다. DMB에 대응하는 컨텐츠는 MPEG-2 또는 MPEG-4로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파일로서 IPTV보다는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도록 인코딩된 파일을 가리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은 분할부(310), 데이터 베이스(311), 호출부(312), 제작부(313), 수신부(314), 전송부(315), 출력부(316), 분석부(317), 링크부(318), 및 제어부(3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실시 태양에 따라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이 추가될 수도 있다.
분할부(310)는 컨텐츠를 객체별로 분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객체라 함은 상기 컨텐츠를 이루는 구성 요소를 말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이미지와 텍스트로 구성된 기사일 경우, 이미지 및 텍스트 모두 하나의 객체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가 제1이미지 영역과 제2이미지 영역으로 세분화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1이미지 영역 및 제2이미지 영역도 각각의 객체가 될 수 있다.
또한, 분할부(310)는 분할된 객체를 특정 코드와 연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분할부(310)는 각 객체의 속성을 특정 코드와 연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A는 A코드와 연계되고, B객체는 B코드와 연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객체의 속성이라 함은 특정 객체를 다른 객체와 구분짓기 위한 본질적인 특성을 말한다. 객체의 모든 특성을 특정 코드와 연계시키는 방법 보다 객체의 속성만 추출하여 연계시키는 방법을 통해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1은 객체 A, 객체 B, 및 객체 C로 구성되고, 컨텐츠 2는 객체 A, 객체 B, 및 객체 D로 구성되었다고 가정하자. 만약, 컨텐츠 단위로 컨텐츠를 데이터 베이스(311)에 저장할 경우, 데이터 베이스(311)에는 컨텐츠 1(객체 A+객체 B+객체 C) 및 컨텐츠 2(객체 A+객체 B+객체 D)가 저장되어, 객체 A 및 객체 B가 중복 저장될 수 있다. 하지만, 객체별로 분할하여, 분할된 객체 및 분할된 객체 와 연계된 특정 코드가 데이터 베이스(311)에 저장될 경우, 데이터 베이스(311)에 저장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는 객체 A, 객체 B, 객체 C, 객체 D, 및 해당 객체에 연계된 코드 정보만 저장되면 된다. 따라서 상기 객체별 분할 방법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작하고, 저장할 경우, 데이터 베이스(311)에 저장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 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가 객체별로 분할되어 있을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 시에도, 로딩(loading)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객체가 특정 코드와 연계되어 있을 경우, 각 코드의 트래킹(tracking) 체크를 통해 각 객체의 추적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객체의 추적 정보라 함은 객체의 자취와 관련된 정보를 말한다. 상기 추적정보는 객체의 추출회수, 추출된 객체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추출된 객체의 변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은 각 코드가 추출된 회수에 대응되게 각 코드에 넘버링을 함으로써, 각 코드의 트래킹을 체크할 수 있다. 처음 추출되는 객체 A는 "A_0001"이라는 코드와 연계시키고, 두 번째 추출되는 객체 A는 "A_0002"라는 코드와 연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객체 속성과 연계된 코드(예를 들어, 객체 A의 경우 "A") 뒤에 넘버링 되는 숫자(예를 들어, 0001, 0002)를 통해 각 객체의 추출 회수를 체크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311)는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이다. 예를 들어, 특정 컨텐츠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311)에 저장될 수 있다. 특정 컨텐츠는 특정 브랜드에 관련된 기사, 동영상, 이미지, 제품의 상세 정보, 제품에 관한 기사, 제품 이미지, 및 제품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특정 컨텐츠를 이루는 객체가 특정 코드와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정 컨텐츠 제공이라 함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사용자로 가상의 피팅(fitting) 룸 제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호출부(312)는 접속된 특정 매체(100)의 재생 환경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재생 환경 정보는 기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311)로부터 추출할 수도 있고, 상기 접속된 특정 매체(1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재생 환경 정보는 접속된 특정 매체(100)의 단말 특성 정보, 사용자 재생 취향 특성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특성 정보는 상기 접속된 매체의 디코딩 성능 정보 및 디스플레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재생 취향 특성 정보는 사용자 고유의 재생 취향 및 선호도에 대한 정보로, 이는 사용자의 선호도 또는 단말의 성능으로부터 기인할 수 있다. 사용자 재생 취향 특성 정보는 컨텐츠가 가상의 카메라의 촬영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일 경우, 가상 카메라의 초점 거리에 대한 정보, 가상 3차원 장면에서 카메라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 가상 3차원 장면에서 가상 카메라가 향하는 위치에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호출부(312)는 추출된 재생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접속된 특정 매체와 대응되는 특정 객체 코드를 데이터 베이스(311)에서 호출할 수 있다.
제작부(313)는 상기 호출부(312)에서 호출한 특정 객체 코드와 대응되는 객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를 조합하여 특정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수신부(314)는 다양한 신호, 컨텐츠, 특정 매체(100)를 통해 인식된 오프라인 식별자(51)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314)는 특정 매체의 접속 신호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특정 매체(100)를 통해 인식된 오프라인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접속 신호는 제어부(319)로 전달되어 분석될 수 있다. 제어부(319)는 상기 접속 신호를 분석하여, 접속된 매체의 종류, 접속 매체의 위치 정보, 또는 접속 매체의 사용자 정보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319)는 상기 분석된 정보를 토대로 특정 매체의 접속 허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접속이 허락된 경우,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은 접속 매체(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수신된 오프라인 식별자(51)는 특정 매체의 접속 신호 및 특정 컨텐츠 요청 신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부(314)는 접속되는 매체에 대응되게 수신 통로를 구비할 수도 있다(미도시). 예를 들어, 모바일을 통한 접속신호는 제1수신 통로로 수신되고, 인터넷 웹을 통한 접속신호는 제2수신 통로로 수신되고, TV를 통한 접속신호는 제3수신 통로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수신부(314)는 상기 접속되는 매체에 대응되는 수신 통로를 통해 접속 매체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전송부(315)는 데이터 베이스(311)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311)에 저장된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외부공간으로 전송한다. 외부 공간이라 함은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 이외의 외부 공간을 말한다. 예 를 들어, 상기 외부 공간은 사용자 단말기, 광고주 단말기, 특정 웹 사이트(또는 특정 웹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공간은 외부 사용자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사용자 공간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 외부에 존재하는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사용자와 연계된 공간을 말한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의 미니 홈피, 블로그, 이메일(E-mai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송부(315)는, 제어부(319)의 제어를 통해,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에 접속된 매체를 고려하여 특정 데이터(예를 들어, 컨텐츠 또는 링크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부(315)는 모바일 단말기에 모바일용 컨텐츠를, TV에는 TV용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송부(315)는 접속되는 매체에 대응되게 전송 통로를 구비할 수도 있다(미도시). 예를 들어, 모바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제1전송 통로를 통해 전송되고, 인터넷 웹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제2전송 통로로 전송되고, TV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제3전송 통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출력부(316)는 각종 정보가 포함된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입력된 검색어에 매칭된 검색결과를 나타내는 화면, 컨텐츠 탐색을 위한 화면, 특정 컨텐츠 재생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분석부(317)는 사용자의 행동 이력을 분석하여 사용자 행동 패턴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분석부(317)는 인터넷 URL, IPTV 운영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피드백된 행동패턴정보를 분석하거나,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특정 객체의 이용회수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 의 행동 이력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317)는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여 컨텐츠 또는 특정 객체의 반응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으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 또는 특정 객체의 스크랩 수, 댓글 수, 상기 특정 컨텐츠의 편집횟수 등이 반응 정보가 될 수 있다.
링크부(318)는 특정 링크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공간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링크 정보 함은 특정 공간으로 연결하기 위한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가 링크 정보의 일례가 될 수 있다. 링크 정보에 의해 연결되는 특정 공간은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 내에 존재할 수도 있고,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제어부(319)는 분할부(310), 데이터 베이스(311), 호출부(312), 제작부(313), 수신부(314), 전송부(315), 출력부(316), 분석부(317), 및 링크부(318)에서 수행하는 전반적인 기능을 유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컨텐츠 객체화를 통해 특정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을 통해 매체별로 컨텐츠를 생성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별로 컨텐츠가 분할된 경우, 분할된 객체를 매체별 성격에 맞게 조합하여 특정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특정 컨텐츠는 사용자에게 제공되거나 이미지로 변환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311)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객체에 대한 매핑(mapping) 테이블(401) 및 분할된 객체가 저장된 객체 데이 터 베이스(4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출부(312)는 모바일용 컨텐츠 1을 제공하기 위해, 객체 구성 코드 A, B, 및 C를 호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 구성 코드라 함은 분할된 특정 객체와 연계된 특정 코드를 말한다. 상기 객체 구성 코드 A, B, 및 C가 호출되면 제작부(313)는 상기 호출된 코드와 연계된 객체를 객체 데이터 베이스(402)로부터 추출하여 조합한 후, 특정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호출부(312)는 인터넷용 컨텐츠 1을 제공하기 위해, 객체 구성 코드 A, B, C, 및 D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객체 구성 코드 A, B, C, 및 D가 호출되면 제작부(313)는 상기 호출된 코드와 연계된 객체를 객체 데이터 베이스(402)로부터 추출하여 조합한 후, 특정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모바일용 컨텐츠 1과 인터넷용 컨텐츠 1의 구성 객체가 다른 이유는 매체별 환경에서 기인한다. 예를 들어, 매체별로 디코딩 능력, 재생 능력, 또는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다르기 때문에, 컨텐츠를 구성하는 객체 구성 코드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해 생성된 복수 개의 컨텐츠는 각 매체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특정 매체(100)는 오프라인 매체(50)에 부착되거나 삽입된 오프라인 식별자(51)를 인식할 수 있다(S410). 상기 특정 매체(100)는 오프라인 식별자(51)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특정 매체(100)에 카메라가 구비된 경우, 상기 카메라가 상기 인식 모듈의 일례가 될 수 있다.
수신부(314)는 특정 매체(100)를 통해 인식된 오프라인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S420). 예를 들어, 특정 매체(100)가 오프라인 식별자를 인식한 경우, 상기 특정 매체(100)는 인식된 오프라인 식별자를 자동으로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으로 전송하여, 수신부(314)가 상기 오프라인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오프라인 식별자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319)는 특정 매체(100)의 접속 허부를 판단할 수 있다(S430). 예를 들어, 제어부(319)는 상기 수신된 오프라인 식별자, 접속된 매체의 종류, 접속 매체의 위치 정보, 또는 접속 매체의 사용자 정보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319)는 상기 수신된 오프라인 식별자 및 분석된 정보를 토대로 특정 매체의 접속 허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접속이 정상적인 경우, 제어부(319)는 특정 매체를 통한 사용자 접속을 허락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프라인 식별자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의 접속 요청 신호 및 특정 컨텐츠 요청 신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호출부(312)는 접속된 특정 매체의 재생 환경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440). 상기 재생 환경 정보는 접속된 특정 매체(100)의 단말 특성 정보, 사용자 재생 취향 특성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 환경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311)에 기 저장된 경우, 호출부(312)는 데이터 베이스(311)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호출부(312)는 접속된 매체(100)를 통해서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접속 매체(100)의 재생 환경 정보가 추출된 경우, 호출부(312)는 추출된 재생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수신된 오프라인 식별자와 매칭되는 특정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S450).
그리고 전송부(315)는 상기 특정 컨텐츠를 특정 매체(100)에 제공할 수 있 다(S460).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특정 매체(100)로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의 소정 영역에는 인터렉션 기능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인터렉션 기능은 특정 메뉴와 연동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특정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통신은 특정 매체(100)와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과의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메뉴는 특정 컨텐츠를 구성하는 객체 중 특정 객체와 관련된 링크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화면으로 링크시키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정보는 상기 특정 객체를 이용하여 최초로 제작된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공간으로 연결되는 정보, 특정 객체와 관련된 특정 브랜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공간으로 연결되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컨텐츠는 전송부(315)를 통해 특정 매체(100)로 전송된 경우, 특정 매체(100)의 사용자는 접속된 매체(100)에 대응되는 최적의 특정 컨텐츠를 확인함과 동시에 특정 메뉴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는 오프라인 식별자와 매칭되는 최적의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고, 인터렉션 기능이 설정된 소정 영역 선택을 통해 관련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렉션 기능이 특정 객체와 관련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공간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기능일 경우(특정의 링크정보가 삽입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인터렉션 기능이 설정된 소정 영역 선택을 통해 상기 특정 객체와 관련된 상품의 구매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프라인 식별자와 매칭되는 컨텐츠 추출 단계(S450)는 특정 객체 코드 호출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S450 단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호출부(312)는 재생 환경 정보를 근거로 접속된 매체(100)와 대응되는 특정 객체 코드를 데이터 베이스(311)에서 호출할 수 있다(S451).
제작부(313)는 호출된 코드와 연계된 객체의 조합을 통해 특정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452). 객체의 조합을 통해 특정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9)는 특정 컨텐츠 생성 시, 특정 컨텐츠가 접속된 특정 매체(100)의 디스플레이 규격의 최대폭을 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스크롤 기능 수행 없이도 한 눈에 특정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로 증강현실 제공을 생각할 수 있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한 분야로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을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증강현실은 가상의 공간과 사물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가상 현실과 달리 현실세계의 기반 위에 가상의 사물을 합성하여 현실세계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들을 보강해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가상의 피팅 룸을 증강현실의 일례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S460 단계의 일례로, 가상의 피팅 룸을 제공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7은 가상의 피팅 룸을 제공 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가상의 피팅 룸이라 함은 오프라인 피팅 룸이 아닌,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에서 특정 매체로 제공하는 피팅 룸을 말한다. 상기 가상 피팅 룸은 실제 오프라인 피팅 룸에서 특정 상품(예를 들어, 옷, 신발, 가방 등)을 착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출력되는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송부(315)는 수신된 오프라인 식별자와 매칭되는 가상의 피팅 룸을 특정 매체(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 피팅 룸은 출력부(316)를 경유하여, 특정 매체(10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가상의 피팅 룸이 제공된 경우, 특정 매체(100)에 구비된 카메라(702)에 의해 사용자(701)가 촬영될 수 있다. 촬영된 사용자 영상은 상기 특정 매체(100)로 입력되어,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으로 전송될 수 있다(S461). 제어부(319)의 제어를 통해 특정 사용자 영상(703)은 특정 매체(10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의 피팅 룸에서 제공하는 특정 객체(704)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462). 이 경우, 제어부(319)는 입력된 사용자 영상과 관련된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319)는 사용자 인식 시, 사용자의 체형을 함께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객체(704)는 사용자와 연계되어 저장된 객체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영상(703)은 카메라(702)를 통해 촬영되는 실제 사용자(701)일 수도 있고, 실제 사용자(701)와 연계된 특정 캐릭터일 수도 있다.
사용자(701)는 상기 특정 객체(704) 선택 또는 착용을 위해 특정 제츠 처(gesture)를 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제스처는 특정 매체(100)를 통해 인식되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은 인식된 제스쳐를 수신할 수 있다(S463). 상기 특정 제스쳐는 에어 터치, 카메라 방향 조정, 특정 매체(100)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소정 영역 터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제스쳐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319)는 상기 특정 객체(704)를 상기 제스쳐에 대응되게 제어할 수 있다(S464). 예를 들어, 제어부(319)는 특정 제스쳐에 의해 특정 객체(704)가 선택되어 상기 사용자 영상(703)에 착용되게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319)는 사용자(701) 체형을 인식하여 상기 특정 객체(704)의 착용 상태를 사용자(701)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해 매체별로 컨텐츠를 생성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S450 단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S460 단계의 일례로, 가상의 피팅 룸을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가상의 피팅 룸을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20)

  1. 복수의 매체를 통해 접속 가능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매체를 통해 인식된 오프라인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프라인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매체의 접속을 허락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특정 매체의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환경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재생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오프라인 식별자와 매칭되는 특정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특정 컨텐츠를 상기 특정 매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매체로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는
    인터렉션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 기능은
    링크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화면으로 링크시키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정보는
    상기 특정 객체와 관련된 특정 브랜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공간으로 연결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환경 정보는
    사용자 재생 취향 특성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는
    추출된 재생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접속된 특정 매체와 대응되는 특정 객체 코드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된 특정 객체 코드와 대응되는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객체를 조합하여 특정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가 상기 접속된 특정 매체의 디스플레이 규격의 최대폭을 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특정 매체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매체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 영상 및 특정 객체를 상기 특정 매체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특정 매체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특정 제스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제스쳐에 대응되게 상기 출력된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특정 매체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영상과 관련된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특정 객체는 상기 사용자와 연계되어 저장된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은
    체형 인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1. 복수의 매체를 통해 접속 가능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매체를 통해 인식된 오프라인 식별자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특정 매체의 단말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환경 정보 추출하는 호출부;
    상기 추출된 재생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오프라인 식별자와 매칭되는 특정 컨텐츠를 추출하는 제작부;
    상기 추출된 특정 컨텐츠를 상기 특정 매체에 제공하는 전송부; 및
    상기 오프라인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매체의 접속을 허락하고, 상기 수신부, 상기 호출부, 상기 제작부, 및 상기 전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매체로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는
    인터렉션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 기능은
    링크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화면으로 링크시키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정보는
    상기 특정 객체와 관련된 특정 브랜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공간으로 연결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환경 정보는
    사용자 재생 취향 특성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부는
    추출된 재생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접속된 특정 매체와 대응되는 특정 객체 코드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호출하고, 상기 제작부는
    상기 호출된 특정 객체 코드와 대응되는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객체를 조합하여 특정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가 상기 접속된 특정 매체의 디스플레이 규격의 최대폭을 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출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출력부는 상기 특정 매체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 영상 및 특정 객체를 상기 특정 매체를 통해 출력되게 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특정 매체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특정 제스쳐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제스쳐에 대응되게 디스플레이된 특정 객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영상과 관련된 사용자를 인식하되,
    상기 특정 객체는 상기 사용자와 연계되어 저장된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은
    체형 인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090099934A 2009-10-20 2009-10-20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110043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934A KR20110043022A (ko) 2009-10-20 2009-10-20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934A KR20110043022A (ko) 2009-10-20 2009-10-20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022A true KR20110043022A (ko) 2011-04-27

Family

ID=44048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934A KR20110043022A (ko) 2009-10-20 2009-10-20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30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5025B2 (en) Various systems and methods for expressing an opinion
CN107087224B (zh) 内容同步设备和方法
KR20110003213A (ko)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US10277933B2 (en) Method and device for augmenting user-input information related to media content
CN105210376B (zh) 使用音频流识别与当前播放的电视节目相关联的元数据
KR101748370B1 (ko) 식별 코드 운용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03688553B (zh) 将隐藏式字幕流用于设备元数据
US20080088735A1 (en) Social media platform and method
CN105580013A (zh) 通过搜索多个用户评论并将其覆盖到内容中来浏览视频
KR20110005140A (ko)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CN104823454A (zh) 向辅助连接设备的内容推送
CN104125483A (zh) 音频评论信息生成方法和装置,音频评论播放方法和装置
US8000578B2 (en) Method, system, and medium for providing broadcasting service using home server and mobile phone
KR102330790B1 (ko) Lbs 및 채팅 에이전트 기반 주문전화번호를 이용한 주문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113405A (ko) 미디어 가공 메커니즘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US201701348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interaction
KR20150066915A (ko) 방송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 디바이스
US201301328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interaction
KR20110040585A (ko)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110043022A (ko)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140099983A (ko) 리다이렉트를 이용한 광고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20045622A (ko) 큐알 코드를 이용하여 아이피티브이 콘텐츠에 대한 링크정보를 이기종의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30488B1 (ko) 연동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메타데이터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N103369366A (zh) 多媒体内容传播服务器及相关的多媒体播放方法
KR20110003214A (ko)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