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2894A - 상등수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상등수 배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42894A KR20110042894A KR1020090099758A KR20090099758A KR20110042894A KR 20110042894 A KR20110042894 A KR 20110042894A KR 1020090099758 A KR1020090099758 A KR 1020090099758A KR 20090099758 A KR20090099758 A KR 20090099758A KR 20110042894 A KR20110042894 A KR 201100428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ly pipe
- water
- pipe
- rotating
- dischar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2—Safety mechanis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체에 의하여 수위에 따라 물이 유입되는 공급관이 회전하여 상등수만을 배출시킬 수 있는 상등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에 저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3)이 형성된 저류조에 있어서, 하단부가 저류조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상단부로 물이 유입되는 공급관(10)과, 상기 배출구에 연결된 공급관(10)이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회전부(20)와, 상기 공급관(10)의 타단에 결합된 부체(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등수, 부체, 회전, 회전부, 배출관, 공급관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처리시설 또는 저수지 등에서 수위의 변화에 상관없이 상등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상등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부체에 의하여 수위에 따라 물이 유입되는 공급관이 회전하여 상등수만을 배출시킬 수 있는 상등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을 처리하는 장치로는 우수를 저장하는 우수 저류조, 하수를 저장하는 하수 저류조, 아파트 등에서 물을 보관하는 물 저조 등이 있다. 이와 같이 각종 저류조에 보관된 물은 장시간 고여 있도록 하므로 물속에 함유된 부유물질이 침전되어 바닥에 가라앉게 된다.
저류조 내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저류조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물을 사용하지만 비교적 깨끗한 상태가 유지되는 상등수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배출관의 위치가 저류조의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등수의 배출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출관에 여과막을 장착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여과막 처리에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되며 상등수를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0473885호에서는 측면에 상등수 유입구가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통기관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중앙에는 유입된 상등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형성되어 있는 방류기와; 방류기를 수직이동시키기 위한 부체와; 방류기의 유입구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에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부체를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과; 부체와 하우징을 통과하여 설치되고, 반응조의 내부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어 일정깊이 내에서의 부체 및 방류기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걸림판이 형성되어 있는 방류기 유도봉과; 방류기 하부의 배출관과 연결설치되는 신축관을 구비하는 자연부상식 상등수 배출장치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0473885호는 저류조의 수위가 낮아지면 신축관이 배출관보다 낮은 위치에 놓여지면서 유입된 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처리시설 또는 저수지 등에서 부체에 의하여 수위에 따라 물이 유입되는 공급관이 회전하여 수위의 변화에 상관없이 상등수만을 배출시킬 수 있는 상등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저수의 흐름에 의해 흔들이는 공급관이 저수의 흐름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전후좌우로 용이하게 흔들릴 수 있는 구조의 상등수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과제는 저수의 수위가 낮아지더라고 상등수를 배출시키는 구조가 저수지의 저면에 위치되지 않게 할 수 있는 상등수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하부에 저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3)이 형성된 저류조에 있어서, 하단부가 저류조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상단부로 물이 유입되는 공급관(10)과, 상기 배출구에 연결된 공급관(10)이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회전부(20)와, 상기 공급관(10)의 타단에 결합된 부체(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부(20)는 일단에 상기 공급관(10)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타단에 배출관(3)이 연결된 에 타단이 연결되는 주름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등수 배출장치.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부(20)는, 상기 공급관(10)의 하단에 관통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반구형상의 회전부재(21)와; 상기 회전부재(21)가 지지되어 회전되도록 반구의 캡형상의 회전지지면(2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지지면(22)에 상기 공급관(10)이 관통되도록 공급관(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관통홀(23)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3)과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지지면(22)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관(10)에서 공급되는 상등수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수용관(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급관(10)의 상단부가 저류조의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키는 높이조절부재(5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높이유지부재(50)는, 상기 공급관(10)에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리(51)와; 상기 공급관(10)의 상부에 위치되는 고리(51)에 상단이 회전되게 설치되는 수직샤프트(53)와; 상기 수직샤프트(53)의 하단에 볼조인트(54)로 설치되는 받침(55)과; 상기 수직샤프트(53)의 하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공급관(10)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리(51)에 타단이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10)로부터 상기 수직샤프트(53)의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수평샤프트(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처리시설 또는 저수지 등에 적용되어 수위의 변화에 상관없이 수위에 따라 물이 유입되는 공급관이 회전하기 때문에 수위에 관계없이 비 교적 깨끗한 상등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저수의 흐름에 의해 흔들이는 공급관이 저수의 흐름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전후좌우로 용이하게 흔들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수의 수위가 낮아지더라고 상등수를 배출시키는 구조가 저수지의 저면에 위치되지 않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등수 배출장치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등수 배출장치의 회전부에 대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등수 배출장치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동작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유지부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단부가 저류조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상단부로 물이 유입되는 공급관(10)과, 상기 배출구에 연결된 공급관(10)이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회전부(20)와, 상기 공급관(10)의 타단에 결합된 부체(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급관(10)의 상단부가 저류조의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키는 높이조절부재(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관(10)은 저수지 또는 저수탱크(1)에 설치되며, 저수탱크(1)의 넓이보다는 짧고 저수탱크(1)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저수탱크(1)의 하부에는 저수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관(3)이 설치된다. 이때, 배출관(3)에는 저수를 외부로 강제로 배출시키는 수중펌프(P)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관(10)은 하부가 저류조의 배출관(3)에 연결된다. 이때, 공급관(10)과 배출관(3)의 연결부분에는 공급관(10)이 상하로 회전시키는 회전부(20)가 설치된다. 또한, 공급관(10)의 상부에는 부체(30)가 설치된다. 이때, 부체(30)는 물에 잘 뜨는 스트로폼 또는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20)는 상기 공급관(10)의 하단에 관통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반구형상의 회전부재(21)와, 상기 회전부재(21)가 지지되어 회전되도록 반구의 캡형상의 회전지지면(2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지지면(22)에 상기 공급관(10)이 관통되도록 공급관(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관통홀(23)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3)과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지지면(22)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관(10)에서 공급되는 상등수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수용관(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관(24)을 통해 공급관(10)이 연결된 회전부재(21)가 삽입되면 회전부재(21)의 곡선으로 형성된 외주면이 회전지지면(22)의 곡선으로 형성된 내주면에 지지되므로, 공급관(10)은 회전부재(21)의 지지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재(21)의 외주면과 회전지지면(22)의 내주면의 반지름은 동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회전부(20)의 외부에 위치되는 저수가 회전부재(21)와 회전지지면(22)의 사이로 침투되지 못하므로, 저수의 상등수는 공급관(10)을 통해 배출관(3)으로 용이하게 안내되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0)는 상기 공급관(10)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등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관(3)에 타단이 연결되는 주름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회전부(20)인 주름관은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회전부(20)에 연결된 공급관(10)은 전후좌우 및 상하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높이유지부재(50)는 공급관(10)의 상단부가 저류조의 바닥보다 높은 위치로 유지되도록 공급관(10)과 저수탱크(1)를 이격시키는 받침부재 또는 삼각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공급관(10)의 외측 중앙에서 아래로 향한 부분에 받침부재 또는 삼각대 등을 설치하면 저수탱크(1)의 물이 부족하여 공급관(10)이 아래로 하강되어도 공급관(10)은 저수탱크(1)의 바닥에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저수탱크(1)의 바닥에 쌓여진 퇴적오니, 슬러지 등은 공급관(10)으로 공급되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10)은 상기 저수의 흐름에 순응하도록 외주면에 다수개의 홈(1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저수탱크(1)에 많은 양의 물이 투입되면 투입된 물이 이동되면서 공급관(10)의 측면으로 수압이 발생된다. 그러면, 공급관(10)은 회전부(20)를 축으로 회전되어 충격이 완화되지만 공급관(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홈(11)에 의해 공급관(10)은 더욱 용이하게 측면에 전해지는 수압을 견딜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유지부재(50)는 상기 공급관(10)에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리(51)와, 상기 공급관(10)의 상부에 위치되는 고리(51)에 상단이 회전되게 설치되는 수직샤프트(53)와, 상기 수직샤 프트(53)의 하단에 볼조인트(54)로 설치되는 받침(55)과, 상기 수직샤프트(53)의 하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공급관(10)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리(51)에 타단이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10)로부터 상기 수직샤프트(53)의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수평샤프트(5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55)의 외측에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다리(59)를 더 설치하면 공급관(10)은 볼조인트(54)에 의해 회전되어도 다수개의 다리(59)에 의해 넓은 면적이 확보되므로, 옆으로 기울어지지 않는다. 또한, 공급관(10)이 옆으로 기울어지지 않는 각도를 고려하여 볼조인트(54)의 회전각을 좁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저수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공급관(10)이 저수탱크(1)의 저면에 가까워지면 수직샤프트(53)의 받침(55)이 저수탱크(1)의 저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므로, 공급관(10)은 저수탱크(1)의 저면(바닥)에 가까워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높이유지부재(50)에 의해 공급관(10)은 저수탱크(1)의 저면에 가까워지지 않게 되므로, 저수탱크(1)의 슬러지 등은 공급관(10)으로 공급되지 않는다.
상기 수직샤프트(53)는 상하로 이격되게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샤프트(53)들의 일단에 서로 다른 방향의 숫나사산(54)을 형성되며, 상기 숫나사산(54)들에 동시에 결합되도록 양단에 서로 다른 방향의 암나사산(56)이 형성되는 나사부재(58)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부재(58)를 정회전시키면 상기 수직샤프트(53)들이 모여지고, 상기 나사부재(58)를 역회전시키면 상기 수직샤프트(53)들이 멀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공급관(10)의 사용시 퇴적오니 또는 슬러지 등이 많이 쌓인 경우에 는 나사부재(58)를 이용하여 수직샤프트(53)들의 높이를 조절하면, 공급관(10)은 저수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더라도 공급관(10)은 퇴적오니 또는 슬러지까지 회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저수탱크(1)에 저장된 저수의 상등수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면서, 저수탱크(1)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더라도 저수탱크(1)의 바닥에 쌓인 퇴적오니 또는 슬러지 등이 공급관(10)으로 배출되도록 안내되진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등수 배출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등수 배출장치의 회전부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등수 배출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4는 도 3의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유지부재의 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공급관
20 : 회전부
30 : 부체
50 : 높이유지부재
Claims (7)
- 하부에 저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3)이 형성된 저류조에 있어서,하단부가 저류조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상단부로 물이 유입되는 공급관(10)과,상기 배출구에 연결된 공급관(10)이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회전부(20)와,상기 공급관(10)의 타단에 결합된 부체(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등수 배출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20)는 일단에 상기 공급관(10)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타단에 배출관(3)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등수 배출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20)는,상기 공급관(10)의 하단에 관통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반구형상의 회전부재(21)와;상기 회전부재(21)가 지지되어 회전되도록 반구의 캡형상의 회전지지면(2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지지면(22)에 상기 공급관(10)이 관통되도록 공급관(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관통홀(23)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3)과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지지면(22)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관(10)에서 공급되는 상등수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수용관(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등수 배출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10)은 상기 저수의 흐름에 순응하도록 외주면에 다수개의 홈(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등수 배출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10)의 상단부가 저류조의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키는 높이조절부재(5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등수 배출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높이유지부재(50)는,상기 공급관(10)에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리(51);상기 공급관(10)의 상부에 위치되는 고리(51)에 상단이 회전되게 설치되는 수직샤프트(53);상기 수직샤프트(53)의 하단에 볼조인트(54)로 설치되는 받침(55);상기 수직샤프트(53)의 하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공급관(10)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리(51)에 타단이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10)로부터 상기 수직샤프트(53)의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수평샤프트(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등수 배출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직샤프트(53)는 상하로 이격되게 복수개로 구성되고,상기 수직샤프트(53)들의 일단에 서로 다른 방향의 숫나사산(54)을 형성되며,상기 숫나사산(54)들에 동시에 결합되도록 양단에 서로 다른 방향의 암나사산(56)이 형성되는 나사부재(58)를 포함하며;상기 나사부재(58)를 정회전시키면 상기 수직샤프트(53)들이 모여지고, 상기 나사부재(58)를 역회전시키면 상기 수직샤프트(53)들이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등수 배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9758A KR101143858B1 (ko) | 2009-10-20 | 2009-10-20 | 상등수 배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9758A KR101143858B1 (ko) | 2009-10-20 | 2009-10-20 | 상등수 배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2894A true KR20110042894A (ko) | 2011-04-27 |
KR101143858B1 KR101143858B1 (ko) | 2012-05-22 |
Family
ID=44048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9758A KR101143858B1 (ko) | 2009-10-20 | 2009-10-20 | 상등수 배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385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8366A (ko) * | 2018-07-16 | 2020-01-28 | (주)호담 엔지니어링 | 맑은물 인출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0308B1 (ko) | 2013-04-19 | 2013-07-01 | 주식회사 삼우이엔지 | Scum 유입 방지 장치를 구비한 무동력 상등수 배출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17612U (ja) * | 1995-05-01 | 1995-10-31 | 北九州市 | 上澄水取り出し装置 |
JP3104867B2 (ja) * | 1997-11-20 | 2000-10-30 | 鹿島建設株式会社 | 回分式水処理槽の処理水排出装置 |
KR200227779Y1 (ko) | 2001-01-03 | 2001-06-15 | 김용성 | 처리수 인발장치 |
JP2003220303A (ja) | 2002-01-31 | 2003-08-05 |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 沈殿槽用上澄水排出装置 |
-
2009
- 2009-10-20 KR KR1020090099758A patent/KR10114385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8366A (ko) * | 2018-07-16 | 2020-01-28 | (주)호담 엔지니어링 | 맑은물 인출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43858B1 (ko) | 2012-05-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491116C2 (ru) | Аэр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едения пузырьков газа в жидкую среду | |
US20160318776A1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oil spilled in ocean | |
KR101752689B1 (ko) | 부유식 수질 정화시스템 | |
KR101202889B1 (ko) | 오일스키머 | |
NO324642B1 (no) | Anordning for absorbering av flytende vaesker, sa som olje, bensin og lignende. | |
KR101757205B1 (ko) | 선회 상향류식 수처리 여과장치 | |
KR101143858B1 (ko) | 상등수 배출장치 | |
JP2006320776A (ja) | スカム収集装置 | |
JP2006326378A (ja) | 水中攪拌機 | |
JP2019042711A (ja) | 浮遊物除去装置 | |
KR20090089542A (ko) | 취수용 물탱크 | |
EP4189169B1 (en) | Device and method for collecting a substance from a liquid surface | |
KR20130013129A (ko) | 진공탱크를 이용한 탈수 및 침전이 포함된 준설공법 | |
KR101069879B1 (ko) | 상등수 배출장치 | |
KR102219088B1 (ko) | 수질정화장치 | |
JP2015047522A (ja) | 流体撹拌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サンドポンプ | |
JP6389074B2 (ja) | 海水交換装置 | |
US11229861B2 (en) | Sludge harvester improvements | |
KR101181960B1 (ko) | 유체흡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 |
KR101712061B1 (ko) | 수중 슬러지 회수용 이젝터 | |
JP6391350B2 (ja) | スカム除去装置及びスカム除去方法 | |
KR20170001504U (ko) | 차단장치를 포함하는 씨체스트 | |
KR101599224B1 (ko) | 오일 방제선 | |
KR102219083B1 (ko) | 수처리제 자동 살포장치 | |
KR200307802Y1 (ko) | 폐수처리기용 경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1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