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779Y1 - 처리수 인발장치 - Google Patents

처리수 인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779Y1
KR200227779Y1 KR2020010000113U KR20010000113U KR200227779Y1 KR 200227779 Y1 KR200227779 Y1 KR 200227779Y1 KR 2020010000113 U KR2020010000113 U KR 2020010000113U KR 20010000113 U KR20010000113 U KR 20010000113U KR 200227779 Y1 KR200227779 Y1 KR 2002277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ed water
buoy
water
val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1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성
신동찬
Original Assignee
김용성
신동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성, 신동찬 filed Critical 김용성
Priority to KR20200100001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7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7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779Y1/ko

Links

Landscapes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수처리방법에 의해 처리된 처리수만을 회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처리수 인발장치는 침전조 내의 수면에서 부유하면서 수위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움직이는 부표; 상기 부표에 연결되어 처리수를 인발시키는 인발관; 상기 인발관에 설치되어 상기 부표의 위치를 조절하는 회전 엘보우; 상기 인발관의 하단에 설치되어서, 침전과정을 통해 상부에 떠오른 처리수만을 회수하도록 조절하는 밸브; 및 상기 부표에 결합되어서, 상기 밸브의 개폐에 따라 인발관 입구를 개폐시키는, 내부에 볼이 내장된 자동 여닫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처리수 인발장치를 이용하면, 폐수처리가 끝나고 슬러지 및 오염물질 등의 침전에 의해 상부로 분리된 처리수를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인발할 수 있다. 특히, 단일의 조 내에서 무산소, 호기 및 침전 공정이 모두 행해지는 폐수처리방식에 적합한 처리수 인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처리수 인발장치{Apparatus for drawing treated water}
본 고안은 폐수처리방법에 의해 처리된 처리수만을 회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가 열렸을 때에만 침전조의 수면으로부터 인발관을 통해 처리수가 회수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각종 폐수를 각 성질에 맞게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침전에 의해 상부로 분리된 청정수만을 회수하기 위한 간편하고 효과적인 개선된 장치에 대해서는 거의 제시된 바 없었다.
특히, 무산소 공정, 호기 공정 및 침전 공정이 단일의 조 내에서 행해지는 폐수처리방법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상기 공정들 후에 처리수의 회수 공정까지도 상기 단일의 조 내에서 행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회수 방식은 제시된 바 없었다. 무산소 공정, 호기 공정 및 침전 공정이 단일의 조 내에서 일어난다면 침전에 의해 처리수가 상부로 분리되었다 하더라도 언제든지 하부 슬러지 또는 유입수에 의한 오염물질이 개입될 위험이 많으므로 처리수의 회수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간편하고 효과적인 처리수 회수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폐수처리가 끝나고 침전에 의해 상부로 분리된 처리수를 슬러지 또는 오염물질의 개입없이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인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단일의 조 내에서 무산소, 호기 및 침전 공정이 행해지는 폐수처리방식에 적합한 처리수 인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처리수 인발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부표 2: 자동 여닫개
3: 회전 엘보우 4: 밸브
5: 인발관 6: 볼
본 고안에 의한 처리수 인발장치는, 침전조 내의 수면에서 부유하면서 수위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움직이는 부표; 상기 부표에 연결되어 처리수를 인발시키는 인발관; 상기 인발관에 설치되어 상기 부표의 위치를 조절하는 회전 엘보우; 상기 인발관의 하단에 설치되어서, 침전과정을 통해 상부에 떠오른 처리수만을 회수하도록 조절하는 밸브; 및 상기 부표에 결합되어서, 상기 밸브의 개폐에 따라 인발관 입구를 개폐시키는, 내부에 볼이 내장된 자동 여닫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수 인발장치는, 상기 인발관 내에 잔존하는 공기를 배출하는 통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처리수 인발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처리수 인발장치는 부표(1), 자동 여닫개(auto-checker; 2), 인발관(5), 회전 엘보우(3) 및 밸브(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자동 여닫개(2)는 그 내부에 볼(6)이 내장되어 있다. 부표(1)는 수면 상에서 부유하면서 수위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움직임으로써, 자동 여닫개(2)가 항상 수면 아래 약 450mm 정도에 위치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처리수 인발장치는 인발관(5)을 통하여 밸브(4) 후단까지, 상기 침전 단계에서 상부로 이동한 처리수가 가득 찬 상태로 유지된다. 그 후 밸브(4)가 열리면 수위차에 의해 인발관(5) 내부에 있던 처리수가 배출된다. 이에 따라 자동 여닫개(2) 내에 내장된 볼(6)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인발관의 입구가 열리면서 침전조 내의 처리수가 인발관(5)을 통해 인발된다.
대부분의 처리수가 인발된 후 밸브(4)를 잠그면 자동 여닫개(2) 내부에 내장된 볼(6)이 중력에 의하여 하강함으로써 인발관(5) 입구를 폐쇄시킨다. 따라서 밸브(4)가 잠겨져 있는 상태에서는 침전조 내의 물질이 인발관(5) 내로 들어오지 못한다.
특히, 무산소, 호기 및 침전 공정이 단일의 조 내에서 행해지는 폐수처리방식에서, 침전 단계가 아닌 무산소 및 호기의 교반 단계에서는 밸브(4)를 잠그어서 오염물질이 인발관(5) 내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회전 엘보우(3)는 회전이 가능하므로 부표(1)가 적절한 장소에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침전조 내의 수위의 변동에 따라 부표(1)가 원활히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처리수 인발장치는 통기구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구는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통기구는 인발관(5)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인발시켜 인발관(5)이 처리수로만 가득 찬 상태가 되도록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인발관(5)이 잔존 공기 없이 처리수로만 가득 차면, 밸브(4)가 열릴 때 관 내에 부압이 확실하게 유지된다.
본 고안에 의한 처리수 인발장치를 이용하면, 폐수처리가 끝나고 침전에 의해 상부로 분리된 처리수를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인발할 수 있다. 특히, 단일의 조 내에서 무산소, 호기 및 침전 공정이 모두 행해지는 폐수처리방식에서, 무산소 및 호기 단계시 밸브가 닫혀져 있는 상태로 오염수가 인발되는 것을 막고, 침전이 끝난 후에야 밸브가 열려져서 청정한 처리수만을 인발할 수 있다.

Claims (2)

  1. 침전조 내의 수면에서 부유하면서 수위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움직이는 부표;
    상기 부표에 연결되어 처리수를 인발시키는 인발관;
    상기 인발관에 설치되어 상기 부표의 위치를 조절하는 회전 엘보우;
    상기 인발관의 하단에 설치되어서, 침전과정을 통해 상부로 분리된 처리수만을 회수하도록 조절하는 밸브; 및
    상기 부표에 결합되어서, 상기 밸브의 개폐에 따라 인발관 입구를 개폐시키는, 내부에 볼이 내장된 자동 여닫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수 인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발관 내에 잔존하는 공기를 배출하는 통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수 인발장치.
KR2020010000113U 2001-01-03 2001-01-03 처리수 인발장치 KR2002277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113U KR200227779Y1 (ko) 2001-01-03 2001-01-03 처리수 인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113U KR200227779Y1 (ko) 2001-01-03 2001-01-03 처리수 인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779Y1 true KR200227779Y1 (ko) 2001-06-15

Family

ID=73080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113U KR200227779Y1 (ko) 2001-01-03 2001-01-03 처리수 인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7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858B1 (ko) 2009-10-20 2012-05-22 (주)워터 아이엠에스 상등수 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858B1 (ko) 2009-10-20 2012-05-22 (주)워터 아이엠에스 상등수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502B1 (ko)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
KR200227779Y1 (ko) 처리수 인발장치
KR200426848Y1 (ko) 상등수 처리장치의 플렉시블 드레인 튜브
JPH0365298A (ja) 回分式活性汚泥処理装置
KR200320035Y1 (ko) 회분식 활성슬러지 공법에 이용되는 부력조절형 부상식상등수 배출장치
KR100406908B1 (ko) 정화수 배출장치
JPS6113113Y2 (ko)
KR20010074161A (ko) 오수처리장치의 처리수 배출장치
CN207483423U (zh) 一种难沉降污泥间歇式静止处理沉淀池
KR200235057Y1 (ko) 회분식 활성슬러지법에 사용되는 부상식 상등수배출장치
JPH10202248A (ja) 汚水処理装置
JP3790857B2 (ja) 浮上ろ材を用いたろ過装置及びろ過方法
KR200371017Y1 (ko) 오폐수 처리용 가압부상조
KR20050030479A (ko) 초기우수 배제 시스템
CN216890211U (zh) 一种用于处理渗滤液的序批式气浮装置
KR100427461B1 (ko) 여과와 중력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
CN213623755U (zh) 一种一体化污水处理设备
KR200194179Y1 (ko) 폐수 처리 장치
JPH11333210A (ja) 沈殿分離装置
KR200364633Y1 (ko) 슬러지 침전장치
KR100466717B1 (ko) 에스비알 하수처리시스템의 처리수 유출방법 및 장치
KR200188801Y1 (ko) 정화조의 스컴 처리구조
JPH0137755Y2 (ko)
KR101074380B1 (ko) 처리수 배출장치
KR19990030399A (ko)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 및 수질 정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