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2816A - Field work monitorring system of safety helmet - Google Patents

Field work monitorring system of safety helm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816A
KR20110042816A KR1020090099658A KR20090099658A KR20110042816A KR 20110042816 A KR20110042816 A KR 20110042816A KR 1020090099658 A KR1020090099658 A KR 1020090099658A KR 20090099658 A KR20090099658 A KR 20090099658A KR 20110042816 A KR20110042816 A KR 20110042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oice call
monitoring system
management targe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6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철우
김광윤
Original Assignee
(주)텔레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텔레콤랜드 filed Critical (주)텔레콤랜드
Priority to KR1020090099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2816A/en
Publication of KR20110042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8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field work monitoring system of a safety helmet is provided to control a target and a workplace in remote in real time by installing a camera unit for taking a picture of a circumstance. CONSTITUTION: In a field work monitoring system of a safety helmet, a camera unit(111) takes a picture of a circumstance. A first communication unit(112) includes a voice calling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manager of a control center. A communication unit(120)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a target and the manger and transmits the image of circumstance to the control center.

Description

안전모의 작업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Field work monitorring system of safety helmet}Field work monitorring system of safety helmet

본 발명은 안전모의 작업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관리 대상이 착용하는 안전모에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와 관리 대상과 중앙제어부의 관리자 간의 상호 음성 통화를 위한 신호 송수신 처리 및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된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중앙제어부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구비한 안전모의 작업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site monitoring system of a helmet, th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 for the mutual voice call between the camera unit and the management target and the manager of the central control unit to obtain an image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management target to the helmet worn by the management target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an image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management object acquired by the camera unit to the central control unit.

현대 사회에 접어들면서, 일정한 공간, 예컨대 주택, 공공장소, 작업 및 건설 현장에서는 예컨대 화재, 붕괴, 유해가스누출 등 인위적인든 비인위적인든 여러 유형의 비상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As we enter modern society, there are many types of emergencies, both artificial and inhuman, such as fires, collapses and hazardous gas leaks in certain spaces, such as houses, public places, work and construction sites.

이러한 비상상황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비상상황발생을 조기에 발견하여야 하며, 관련 비상상황의 정도를 명확하게 파악하여야 그에 대한 최적의 대응이 가능하며, 이로써 비상상황의 조기종결 및 비상상황으로 인해 피해의 최소화가 가능할 것이다.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 that can be caused by such an emergency situation, an emergency situation should be detected at an early stage, and an appropriate response can be obtained by clearly understanding the degree of the emergency situation. Emergency situations will minimize damage.

종래에는, 예컨대 공공시설물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폐쇄회로 카메라, 고속도로 등에 설치되어 있는 감시카메라 등이 이러한 목적으로 운용되고 있으나, 일정한 건물 내에서나, 일정한 기관에서 지엽적으로 운용하므로, 비상상황에 대처하는 속도나 그 적합성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Conventionally, for example, various closed-circuit cameras installed in public facilities, surveillance cameras installed on expressways, and the like are operated for this purpose. However, there is a problem of lack of suitability.

또한, 비상상황에 대해 유선이나 무선의 전화시스템을 통해 전달하는 경우에는 비상상황의 정확한 묘사가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명확한 상황파악이 어려운 점도 노출되고 있다. In addition,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system, an accurate descrip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is not made, so that it is difficult to clearly identify the situation.

그리고 비상상황을 정확하게 모니터링하지 못하는 문제로 인하여 무고한 인명과 재산의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은 사실이다. In addition, the inability to accurately monitor emergency situations can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injury to innocent people and property.

그렇다고 하여, 상시적으로 소정의 내부 공간을 외부에서 24시간 내내 감시하는 것은 사생활보호나 비밀이 요청되는 업무진행과 관련해서는 이를 채택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비상상황발생시에만 작업 현장의 비상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음은 사실일 것이다.Nevertheless, the constant internal monitoring of certain internal spaces for 24 hours is difficult to adopt in relation to the work progress that requires privacy or confidentiality. Therefore, it would be true that the development of a device that can monitor the work site emergency situation only in case of an emergency situation is required.

따라서, 각종 비상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과 연동되어 동작하는 비상상황발생 및 그에 따른 상황감시를 위한 카메라 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기술적인 개발은 상당한 진전을 가지고 제시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Therefore, it is also true that the technical development to make the camera operation for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ence and the situation monitoring according to the detection means that can automatically detect a variety of emergency situations has been presented with considerable progress.

그러나, 현재까지 발달해왔고, 앞으로도 계속하여 발전할 통신기반기술과 접목하여, 자동화된 감시수단은 물론 원격지에서 비상시에 한정해서라도 작업 현장을 감시할 수 있는 수단이 개발될 수 있다면, 비상상황감시관련 장비업계나 관련 사업 을 영위하는 관련 업계에도 획기적인 전환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However, emergency monitoring-related equipment can be developed by combining with communication-based technology that has been developed up to now and will continue to be developed. We believe the company will be able to make a major breakthrough in the industry and related industries.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관리 대상이 착용하는 안전모에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와 관리 대상과 중앙제어부의 관리자 간의 상호 음성 통화를 위한 신호 송수신 처리 및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된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중앙제어부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구비함으로써, 관리자는 원거리에서도 관리 대상 및 작업 현장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안전모의 작업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raised in the prior art, the camera unit for acquiring an image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management target to the helmet worn by the management target and the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manager and the manager of the central control unit With a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image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management target obtained by the camera unit to the central control unit, the administrator can control the management target and the work site in a long distance accurately in real tim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ite monitoring system.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현장의 관리 대상이 착용하는 안전모에 구비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 관리 대상이 중앙제어부의 관리자와 상호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음성 통화 수단을 구비하는 제 1 음성 통화부; 및 관리 대상과 관리자 간의 상호 음성 통화를 위한 신호 송수신 처리를 수행하며,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된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중앙제어부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의 안전모의 작업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onitoring system provided in a hard hat worn by the management target of the work site, the camera unit for obtaining an image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management target; A first voice call unit configured to include a voice call unit so that a management object can make a voice call with a manager of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which performs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ing for mutual voice call between the management target and the manager and transmits an image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management target acquired by the camera unit to the central control uni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hard hat shop floor monitoring system.

이때, 카메라부는 야간 및 어두운 장소에서도 선명하게 주변 상황에 대한 영 상을 획득하기 위한 적외선 카메라로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amera unit may be provided as an infrared camera for acquiring an image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clearly even at night and in a dark place.

또한, 안전모는 카메라부를 선택적으로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 또는 터치 센서의 형태를 갖는 카메라 작동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lmet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operating means in the form of a switch or a touch sensor to selectively turn on (ON) / off (OFF) the camera unit.

그리고 송수신부는 무선 통신망으로, 무선 개인영역 네트워크(WPAN), 무선 랜(WLAN) 또는 무선도시지 역통신망(WMAN)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transceiver i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be any one of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a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WMAN).

또한, 제 1 음성 통화부의 음성 통화 수단은 송수신부의 신호 송수신 처리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호출자 음성 신호를 송수신부로 전달하는 마이크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oice call means of the first voice call unit may be provided with a microphone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 of the transceiver unit and a microphone for transmitting a caller voice signal to the transceiver unit.

또한, 중앙제어부는 송수신부를 통해 작업대상과 상호 음성 통화를 수행하고,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전송받아 관리 대상 및 작업 현장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may perform a voice call with the work target through a transceiver, and receive an image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management target to control the management target and the work site in real time.

이때, 중앙제어부는, 송수신부로부터 전송된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부에 저장된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출력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 1 음성 통화부와 상호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마이크 및 스피커로 구성된 음성 통화 수단이 구비된 제 2 음성 통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entral control unit, th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mage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management target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output and display an image of a surrounding situation of a management target stored in a storage unit; And a second voice call unit provided with a voice call means composed of a microphone and a speaker to enable mutual voice call with the first voice call un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리 대상이 착용하는 안전모에 카메라부 및 제 1 음성 통화부와 관리 대상과 중앙제어부의 관리자 간의 상호 음성 통화를 위한 신 호 송수신 처리 및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된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중앙제어부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구비함으로써, 관리자는 원거리에서도 관리 대상 및 작업 현장을 용이하게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helmet worn by the management object,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ing for mutual voice call between the camera unit and the first voice call unit and the manager of the management object and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the surroundings of the management object obtained by the camera unit By providing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image of the situation to the central control unit,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control the management target and the work site in real time from a long distance.

따라서, 제 1 음성 통화부 및 제 2 음성 통화부를 구비함으로써, 관리자에게 작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긴급상황 또는 장애상황에 대한 영상 및 음성정보가 실시간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관리 대상과 관리자 간의 원활하고 효율적인 의사소통 교환이 이루어져 긴급상황 또는 장애상황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by providing the first voice call unit and the second voice call unit, video and audio information on emergency or disability situations occurring in the workplace are delivered to the manager in real time, so that smooth and efficient intention between the management target and the manager is achieved. There is an effect that communication can be made quickly and precisely in response to an emergency or disability situation.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의 작업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Matters relating to the operational effects, including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helmet si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작업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helmet si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작업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에 구비되는 안전모에 대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작업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 른 안전모의 작업현장 모니터링 시스템의 중앙제어부에 대한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hard hat provided in the work site monitoring system of the helm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the work site monitoring system of the helm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the central control unit of the helmet monitoring si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작업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크게 관리 대상이 착용하는 안전모(110)에 구비된 카메라부(111), 제 1 음성 통화부(112), 송수신부(120) 및 송수신부(120)에 의해 영상 및 음성신호를 전송받아 관리 대상 및 작업 현장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to 3, the work site monitoring system 100 of the helm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equipped with a camera unit 111, the first voice provided in the helmet 110 worn by the management target The communication unit 112, the transceiver 120 and the transceiver 120 may include a central control unit 130 to receive the video and audio signals to control the management target and the work site.

여기서, 관리 대상은 작업 및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작업자이며, 안전모의 작업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110)은 원거리에서도 관리자가 작업 및 건설현장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Here, the management target is a worker who works in the work and construction site, hard work site monitoring system 110 refers to a system that allows the manager to monitor the work and construction sites from a distance.

카메라부(111)는 관리 대상이 필히 착용해야 하는 안전모(110)의 측면 내지는 소정의 위치에 적용되어, 사방으로 회전하면서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카메라부(111)는 특정한 시간에 특정한 장소에서 관리 대상이 어떤 작업 활동을 행하는지를 알 수 있다. The camera 111 may be applied to a side or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hard hat 110 that a management target must wear, and may rotate in all directions to obtain an image of a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management target. That is, the camera unit 111 may know what work activity the management target performs at a specific place at a specific time.

이때, 카메라부(111)는 야간 및 어두운 장소에서도 선명하게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적외선 카메라로 구비될 수 있다. 적외선 카메라는 적외선 건판을 사용하여 촬영하는 카메라로, 원경 촬영, 특수 감열체에 의한 열 사진 촬영, 방사도의 측정 및 미소 온도차의 검출 따위에 이용된다.In this case, the camera unit 111 may be provided as an infrared camera to obtain an image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clearly even at night and in a dark place. Infrared cameras are cameras that are photographed using an infrared dry plate, and are used for distant photography, thermal photography by a special thermal element, measurement of radiation, and detection of minute temperature differences.

그리고 안전모(110)에는 카메라부(111)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카메라 작동수단(11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관리 대상이 긴급상황 또는 장애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카메라부(111)를 온(ON)/오프(OFF)를 간편하게 조작 할 수 있어 그외 다른 상황에서는 관리 대상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카메라 작동수단(113)은 스위치 또는 터치 센서의 형태로 안전모의 측면 내지는 소정의 위치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hard hat 110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operating unit 113 capable of selectively operating the camera unit 111. That is, when an emergency or a failure occurs in the management target, the camera unit 111 can be easily turned on or off as necessary, thereby protecting the privacy of the management target in other situations. It was made. At this time, the camera operating means 113 may be applied to the side or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helmet in the form of a switch or a touch senso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 1 음성 통화부(112)는 작업 현장의 관리 대상과 중앙제어부(130)의 관리자간의 상호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음성 통화 수단을 제공한다. 이때, 음성 통화 수단은 스피커 및 마이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피커는 송수신부(120)의 신호 송수신 처리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마이크는 호출자 음성 신호를 송수신부(120)를 통해 중앙제어부(130)로 전달한다. 따라서, 관리 대상과 관리자 간의 원활하고 효율적인 의사소통 교환을 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voice call unit 112 provides a voice call means to enable mutual voice call between the management target of the work site and the manager of the central control unit 130. At this time, the voice call means may be made of a speaker and a microphone. The speaker outputs a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 of the transceiver 120, and the microphone transmits the caller voice signal to the central controller 130 through the transceiver 120. Therefore, a smooth and efficient communication exchange between the management target and the manager can be performed.

송수신부(120)는 작업 현장의 관리 대상과 중앙제어부(130)의 관리자 간의 상호 음성 통화를 위한 신호 송수신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송수신부(120)는 카메라부(111)에 의해 획득된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중앙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송수신부(120)는 카메라부(111) 및 제 1 음성 통화부(11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중앙제어부(130)로 전달하고, 제 2 음성 통화부로(133)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관리 대상 즉, 제 1 음성 통화부(112)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transceiver 120 performs a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 for a mutual voice call between a management target of a work site and a manager of the central controller 130. In addition, the transceiver 120 may transmit an image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management target obtained by the camera unit 111 to the central controller 130. That is, the transceiver 120 transmits the video and audio signals output from the camera 111 and the first voice call unit 112 to the central controller 130, and is output from the second voice call unit 133. It serves to deliver the voice signal to the management object, that is, the first voice call unit 112.

이때, 송수신부(120)는 무선 통신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무선 통신망으로는 무선 개인영역 네트워크(WPAN), 무선 랜(WLAN) 또는 무선 도시지역통신망(WMAN) 중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ransceiver 120 may be formed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one of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or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WMAN) may be appli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여기서, 무선 개인영역 네트워크는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무선 랜은 Wireless Local Network, 무선 도시지역통신망은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이다. 즉, 서비스 영역의 크기에 따른 분류라고 생각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것인지, 지역적으로 사용하는 것인지, 넓은 영역에서 사용하는 것인지에 따라 분류되는 것이다. 또한, 이들은 각자의 용도에 따라 Bluetooth, Wi-Fi, Wibro, Wimax로 다시 구분된다. 이때, Bluetooth는 무선 개인영역 네트워크, Wi-Fi는 무선 랜, Wibro와 Wimax는 무선 도시지역통신망에 해당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is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the wireless LAN is a wireless local network, and the wireless urban area communication network is a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In other words, it can be considered as a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ervice area. It is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it is used individually, locally or in a wide area. They are further divided into Bluetooth, Wi-Fi, Wibro, and Wimax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uses. In this case, Bluetooth may correspond to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i-Fi may be a wireless LAN, and Wibro and Wimax may correspond to a wireless urban area network.

중앙제어부(130)는 송수신부(120)를 통해 관리 대상과 상호 음성 통화를 수행하고, 송수신부(120)로부터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전송받아 관리 대상 및 작업 현장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The central controller 130 performs a voice call with the management object through the transceiver 120 and receives an image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management object from the transceiver 120 to control the management object and the work site in real time. Can be.

이때, 중앙제어부(130)는 저장부(131), 디스플레이부(132) 및 제 2 음성 통화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entral controller 130 may include a storage unit 131, a display unit 132, and a second voice call unit 133.

저장부(131)는 송수신부(120)로부터 전송된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132)는 저장부(131)에 저장된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32)는 카메라부(111)의 작동 여부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즉, 관리 대상이 카메라 작동 수단(113)을 통해 카메라부(111)를 온(ON) 시키면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이 실시간 동영상으로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되고, 관리 대상이 카메라 작동 수단(113)을 통해 카메라부(111)를 오프(OFF) 시키면 동영상 디스플레이가 정지될 수 있다. 제 2 음성 통화부(133)는 제 1 음성 통화부(112)와 상호 음성 통화가 가능하 도록 음성 통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음성 통화 수단은 마이크 및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31 stores an image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management target transmitted from the transceiver 120. The display unit 132 may output and display an image of surrounding conditions of a management targe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1.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32 may operate according to whether the camera unit 111 operates. That is, when the management object turns on the camera unit 111 through the camera operating means 113, an image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management object is automatically displayed as a real-time video, and the management object is the camera operating means 113. When the camera unit 111 is turned off, the video display may be stopped. The second voice call unit 133 may be provided with voice call means to enable mutual voice call with the first voice call unit 112. At this time, the voice call means may be composed of a microphone and a speaker.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의 작업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관리 대상이 착용하는 안전모(110)에 카메라부(111) 및 제 1 음성 통화부(112)와 관리 대상과 중앙제어부(130)의 관리자 간의 상호 음성 통화를 위한 신호 송수신 처리 및 카메라부(111)에 의해 획득된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중앙제어부(130)로 전송하는 송수신부(120)를 구비함으로써, 관리자는 원거리에서도 관리 대상 및 작업 현장을 용이하게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ork site monitoring system 100 of the hard 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amera unit 111 and the first voice call unit 112 and the management target and the central control unit 130 in the hard hat 110 worn by the management object. By providing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oces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for mutual voice call between the managers and the image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management target obtained by the camera unit 111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30, the manager is remote In addition, control targets and shop floors can be easily controlled in real time.

따라서, 제 1 음성 통화부(112) 및 제 2 음성 통화부(133)를 구비함으로써, 관리자에게 작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긴급상황 또는 장애상황에 대한 영상 및 음성정보가 실시간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관리 대상과 관리자 간의 원활하고 효율적인 의사소통 교환이 이루어져 긴급상황 또는 장애상황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by providing the first voice call unit 112 and the second voice call unit 133, the management object to be delivered to the administrator in real time video and audio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situation or failure situation, management target The smooth and efficient exchange of communication between managers and managers has the effect of enabling prompt and accurate actions in emergency or disability situation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경 및 개량 형태 또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작업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에 구비되는 안전모에 대한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hard hat provided in the work site monitoring system of the hard h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작업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에 대한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a hard hat work si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작업현장 모니터링 시스템의 중앙제어부에 대한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central control unit of the helmet monitoring si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Sign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10 : 안전모 111 : 카메라부110: hard hat 111: camera unit

112 : 제 1 음성 통화부 120 : 송수신부112: first voice call unit 120: transceiver unit

130 : 중앙제어부 133 : 제 2 음성 통화부130: central control unit 133: second voice call unit

Claims (8)

작업현장의 관리 대상이 착용하는 안전모에 구비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monitoring system provided in the hard hat worn by the management target of the work site,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 A camera unit obtaining an image of a surrounding situation of a management object; 관리 대상과 중앙제어부의 관리자의 상호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음성 통화 수단을 구비하는 제 1 음성 통화부; 및A first voice call unit having a voice call means for mutual voice call between the management subject and the manager of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관리 대상과 관리자 간의 상호 음성 통화를 위한 신호 송수신 처리를 수행하며,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된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중앙제어부로 전송하는 송수신부;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configured to perform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ing for mutual voice call between the management target and the manager, and to transmit an image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management target acquired by the camera unit to the central controll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의 작업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Hard hat shop floor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카메라부는 야간 및 어두운 장소에서도 선명하게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적외선 카메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의 작업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Hard work sit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amera unit is provided with an infrared camera to obtain a clear image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at night and dark place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안전모는 카메라부를 선택적으로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 또는 터치 센서의 형태를 갖는 카메라 작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의 작업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Hard hat work site monitoring system of the hard ha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amera operating means in the form of a switch or a touch sensor to selectively turn (ON) / off (OFF) the camera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송수신부는 무선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의 작업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Hard hat on-sit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ceiver i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무선 통신망은 무선 개인영역 네트워크(WPAN), 무선 랜(WLAN) 또는 무선 도시지역통신망(WMAN)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의 작업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any one of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wireless LAN (WLAN) or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WMA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제 1 음성 통화부의 음성 통화 수단은 송수신부의 신호 송수신 처리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호출자 음성 신호를 송수신부로 전달하는 마이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의 작업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The voice call means of the first voice call unit includes a speaker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a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 of the transceiver and a microphone for transmitting a caller voice signal to the transceiv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중앙제어부는 송수신부를 통해 관리 대상과 상호 음성 통화를 수행하고,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전송받아 관리 대상 및 작업 현장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의 작업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The central control unit performs a mutual voice call with the management object through the transceiver, and receives a video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management object to control the management site and the work site in real tim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rd hat on-site monitoring system.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중앙제어부는,Central control unit, 송수신부로부터 전송된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A storage unit for storing an image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management target transmitted from the transceiver unit; 저장부에 저장된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출력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A display unit configured to output and display an image of a surrounding situation of a management target stored in a storage unit; And 제 1 음성 통화부와 상호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마이크 및 스피커로 구성된 음성 통화 수단이 구비된 제 2 음성 통화부;A second voice call unit provided with voice call means composed of a microphone and a speaker to enable mutual voice call with the first voice call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의 작업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Hard hat shop floor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KR1020090099658A 2009-10-20 2009-10-20 Field work monitorring system of safety helmet KR201100428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658A KR20110042816A (en) 2009-10-20 2009-10-20 Field work monitorring system of safety helm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658A KR20110042816A (en) 2009-10-20 2009-10-20 Field work monitorring system of safety helm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816A true KR20110042816A (en) 2011-04-27

Family

ID=44048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658A KR20110042816A (en) 2009-10-20 2009-10-20 Field work monitorring system of safety helm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2816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2075A (en) * 2013-12-19 2014-04-02 李刚 Wireless miniature audio and video collection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applicable to mine
CN108513103A (en) * 2018-04-23 2018-09-07 北京津泰海工科技有限公司 Damage the pipe emergency command means of communication and commander's case apparatus and damage pipe emergency command case
KR20230036242A (en) 2021-09-07 2023-03-14 주식회사 원포인트이엔지 Helmet for monitoring the safety status of industrial worker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2075A (en) * 2013-12-19 2014-04-02 李刚 Wireless miniature audio and video collection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applicable to mine
CN108513103A (en) * 2018-04-23 2018-09-07 北京津泰海工科技有限公司 Damage the pipe emergency command means of communication and commander's case apparatus and damage pipe emergency command case
KR20230036242A (en) 2021-09-07 2023-03-14 주식회사 원포인트이엔지 Helmet for monitoring the safety status of industrial work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4562B2 (en) Location management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KR101827733B1 (en) An intelligence type emergency shunting incitement method and system of the same
KR102101584B1 (en)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KR101252570B1 (en) Automatic fire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camera and integrated notifying device for the same
KR101297087B1 (en) Automatic fire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amera image and integrated notifying device for the same
JP5245054B2 (en) Alarm device and alarm system using the same
KR20140103859A (en) Unattended remote control system with app
KR101150993B1 (en) Tunnel emergency remote control system
JP2007329757A (en) Monitoring camera system, and monitoring control server
JP2010282316A (en) Security light pole and emergency reporting system
JP435439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956018B2 (en) Safety management system
KR101654181B1 (en) A security closed circuit television emergency call bell system using smart phone apps and smart tags
KR20110042816A (en) Field work monitorring system of safety helmet
CN105321310B (en) From warning system to the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service personnel transmission data
JP2005284861A (en) Security system and security method
JP2014102586A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apparatus detection program
RU2605505C1 (en) Territorial system for monitoring, warning and control of municipal and/or object level upon threat, occurence, during and at elimination of emergency situations
KR101577750B1 (en) System of emergency call based on IP PBX
KR101416076B1 (en) Cctv emergency call system
KR20140044422A (en) Automatic fire notification system using camera and black box and integrated notifying device for the same
KR101594053B1 (en) Security System Through Convergence Solutions
KR200449583Y1 (en) Utility tunnel Control System,equipped with local controller, transmitting its signal to Information Provider&#39;s Base ones
KR20220037866A (en) Fire monitoring system
KR200332862Y1 (en) Apparatus for remote monitor of office using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