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2618A -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가 이온결합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 겔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가 이온결합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 겔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618A
KR20110042618A KR1020090099369A KR20090099369A KR20110042618A KR 20110042618 A KR20110042618 A KR 20110042618A KR 1020090099369 A KR1020090099369 A KR 1020090099369A KR 20090099369 A KR20090099369 A KR 20090099369A KR 20110042618 A KR20110042618 A KR 20110042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philic polymer
polyhedral oligomeric
hybrid gel
oligomeric silsesquioxane
silsesquiox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5535B1 (ko
Inventor
김경민
임정혁
전종환
Original Assignee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99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535B1/ko
Publication of KR20110042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08L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83/04Polysiloxanes
    • C08J23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ilic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가 이온결합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 겔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이온결합이 가능한 친수성 고분자가 이온결합하여 3차원 네트워크 구조로 형성된 하이브리드 겔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겔, 나노복합체,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 친수성 고분자, 이온 결합

Description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가 이온결합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 겔 및 이의 제조방법{HYBRID GELS SYNTHESIZED WITH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AND HYDROPHILIC POLYMER VIA IONIC INTERAC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가 이온결합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 겔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도의 선진 기술분야의 발전과 더불어 고성능 다기능성 첨단 소재의 개발이 각계에서 연구되고 있다. 특히 고분자 신소재에 대한 연구는 유기고분자의 고기능화와 함께 유기 및 무기물의 혼합구조를 갖는 복합체와 같은 유기 또는 무기 하이브리드를 형성하는 기술이 가장 각광받는 신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유기 또는 무기 하이브리드가 첨단 소재 분야에서 각광받는 이유는 유기고분자와 무기 물질을 나노스케일로 혼성화하여 유기 또는 무기 하이브리드를 형성함으로써, 난연성, 고투과성, 내용제성(solvent-resistant property) 등이 향 상된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소재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은 폴리실세스퀴옥산 중에서 케이지(cage) 구조의 실세스퀴옥산을 말하며 케이지 구조의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은 유-무기가 혼합된 그물구조로서 안쪽에는 실록산 결합으로 이루어진 무기 프레임 네트워크(frame network)로 되어있고 바깥쪽에는 반응성 또는 비반응성 유기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는데, 비반응성 유기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아주 작은 실리카 입자와 같아서 나노복합체의 제조에서 많이 사용된다.
상술한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은 높은 내수성, 내후성, 내열성, 내구성, 가스투과성, 난연성 등을 나타내어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기 또는 무기 하이브리드는 비약적으로 향상된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유기 또는 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졸-겔법(sol-gel process)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졸-겔법을 사용하는 경우 무기 매트릭스가 종래의 유리 용융법(glass melting approach)에 비해 온화한 조건 하에서 메탈 알콕사이드의 가수분해반응 및 축합반응을 통해 유기 또는 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유기 또는 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을 제조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유기고분자와 무기 물질들 사이의 공유결합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수소결합, 이온결합, π-π 결합(aromatic interaction) 등의 물리적 상호작용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유기 또는 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을 제조하기 위한 졸-겔법을 사용하는 경우 하이브리드 물질의 제조과정에서 무기 메트릭스의 변형적인 수축이 일어날 수 있으며, 무기 메트릭스의 용매에 대한 불용성으로 인하여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졸-겔법이 아닌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과 친수성 고분자의 이온결합을 통하여 형성된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하이브리드 겔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가 이온결합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 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POSS)은 하기 화학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부가 실리카로 이루어지고 외부는 8개의 유기 관능기로 둘러싸인 케이지(cage) 구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63925176-PAT00001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친수성 고분자는 상술한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POSS)과 이온결합할 수 있는 친수성 고분자로서, 예를 들어,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poly(sodium 4-styrenesulfonate)), 폴리아크릴릭 에시드(poly(acrylic acid))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POSS)과 친수성 고분자를 수용액 상태에서 혼합하여 교반하는 경우 이온 결합을 통해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하이브리드 겔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가 이온결합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 겔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겔은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의 이온결합에 의해 연속적인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러한 3차원 네트워크 구조는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의 케이지 구조에 기인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겔은 열적, 기계적으로 우수하여 상처 부분의 건조 방지 및 습윤환경을 유지하여 상처를 치유하는 드레싱제, 피부의 보습을 유지 시켜주는 마스크 팩, 각종 컬럼에 사용되는 충진제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을 물에 용해시켜 실세스퀴옥세인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친수성 고분자를 물에 용해시켜 친수성 고분자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실세스퀴옥세인 수용액과 친수성 고분자 수용액을 혼합하여 하이브리드 겔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를 사용한 하이브리드 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를 사용한 하이브리드 겔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을 물에 용해시켜 실세스퀴옥세인 수용액을 제조한다(단계 1).
상술한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은 공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참조; R.M.Laine and M.C.Gravel, Polym . Prepr.,38,155(1997)).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은 물에 대해 가용성이기 때문에 물에 용해시켜 실세스퀴옥세인 수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친수성 고분자를 물에 용해시켜 친수성 고분자 수용액을 제조한다(단계 2).
상술한 바와 같이 친수성 고분자는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이온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poly(sodium 4-styrenesulfonate)), 폴리아크릴릭 에시드(poly(acrylic acid))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실세스퀴옥세인 수용액과 친수성 고분자 수용액을 혼합하여 하이브리드 겔을 형성한다(단계 3).
단계 3에서 실세스퀴옥세인 수용액과 친수성 고분자 수용액을 혼합한 후, 교반, 여과, 세척 및 건조 과정을 더 수행하여 하이브리드 겔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겔의 제조, 교반, 여과, 세척 과정은 20 ~ 100 ℃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건조 과정은 감압 하에 건조하는 경우와 온도를 가하여 건조하는 경우 두 가지로 행해질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겔의 제조시 교반시간은 1 ~ 60 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3에서와 같이 실세스퀴옥세인 수용액과 친수성 고분자 수용액을 혼합하는 경우, 가교제와 같은 역할을 하는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는 이온 결합을 하여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하이브리드 겔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하이브리드 겔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 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는 1:1 내지 5:1 중량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가 이온 결합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 겔을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9063925176-PAT00002
상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용액 내에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POSS)과 친수성 고분자인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PSS)를 수용액 내에서 혼합하는 경우 이온 결합에 의해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하이브리드 겔이 제조된다.
상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8개의 유기관능기를 가진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은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와 전기적 반응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2는 실세스퀴옥세인 수용액과 친수성 고분자 수용액으로 폴리(소듐 4-스 티렌설포네이트) 수용액(PSS 수용액)을 혼합하여 백색의 하이브리드 겔이 형성된 실험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실세스퀴옥세인 수용액(POSS 수용액)과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 수용액(PSS 수용액)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백색의 하이브리드 겔은 용매에 대해 불용성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과 친수성 고분자의 이온결합을 통하여 형성된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하이브리드 겔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겔은 우수한 물성을 가진 나노복합체로서 나노공학 분야의 신소재 개발 등 다양한 산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 실시예 >
< 실시예 1> 하이브리드 겔의 제조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 0.25 g을 증류수 10 ml에 용해시켜 실세스퀴옥산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Aldrich) (average Mw=70,000) 0.25 g을 증류수 10 ml에 용해시켜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 수용액에 상기 실세스퀴옥산 수용액을 천천히 첨가한 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 후 수득된 백색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수회 반복 세척하여 미반응된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과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를 제거한 후 진공 오븐에서 건조하여 하이브리드 겔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하이브리드 겔에 대하여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촬영하여 도 3에 나타내었고, 투과전자 현미경 사진을 촬영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 분자로 이루어진 검은색으로 나타난 구형의 응집입자들이 연속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 특유의 구조에 기인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도 5의 에너지 분산형 형광 X선 분석(EDX)에 의해 측정된 에너지 분산 스펙트럼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분산 스펙트럼에서 Si 및 S 원자의 스펙트럼은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가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과 혼성결합하여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 실험예 1> FT - IR 스펙트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의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 및 제조된 하이브리드 겔에 대해 FT-IR 스펙트럼 측정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의 (A), (B) 및 (C)는 각각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 및 하이브리드 겔의 FT-I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6의 (A)는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의 FT-IR 스펙트럼으로서 3300-2700 cm-1에서 아미노프로필기의 신축 피크를 나타내었고, 1610 cm-1 및 1500 cm-1에서 NH2기의 NH 비대칭 및 대칭 진동 밴드를 나타내었고, 그리고 1130 cm-1에서 Si-O-Si 신축 피크를 나타내었다. 도 6의 (B)는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의 FT-IR 스펙트럼으로서 1300-1100 cm-1에서 약한 흡수 피크를 나타내었고, 1620-1510 cm-1에서 각각 설포네이트기의 S≡O 신축 피크와 방향족기의 C=C 신축 피크가 나타났다. 도 6의 (C)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하이브리드 겔의 FT-IR 스펙트럼으로서 3400 및 1130 cm-1에서 두 개의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 유래 피크를 나타내었고, 1610 및 1510 cm-1에서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에서의 페닐기의 이중결합 구조와 관련된 강한 흡수 피크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상기 하이브리드 겔의 FT-IR 스펙트럼은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과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의 주요 특성을 모두 나타내었다.
< 실험예 2> 하이브리드 겔의 팽윤비 측정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POSS)과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PSS)의 사용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난 함량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하이브리드 겔들을 수용액 내에서 하루 동안 실온에서 침지시켜 하기 수학식에 따라 팽윤비를 측정하였다. 팽윤비 측정시험은 각 시료에 대해 2회씩 반복하여 평균값으로 계산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W-W。)/W。
상기 W은 팽윤된 하이브리드 겔의 무게이고, W。는 하이브리드 겔의 무게임.
구분 POSS 사용량(g) PSS 사용량(g) 하이브리드 겔
중량(g)
팽윤된 하이브리드 겔 중량(g) 팽윤비
1 0.25 0.25 0.10 0.360 2.60
2 0.50 0.25 0.10 0.325 2.25
3 0.75 0.25 0.10 0.301 2.01
4 0.125 0.25 0.10 0.186 0.86
표 1을 참조하면,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PSS)에 대한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POSS)의 사용량을 증가시키는 경우 팽윤비는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이드로겔의 제조시 가교제를 첨가하는 경우 수분 흡수 공간이 감소하여 팽윤비가 감소한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상기 결과를 검토한 결과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POSS)이 하이브리드 겔의 제조시 가교제로 사용되었고 많은 양이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이 사용될수록 팽윤비는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3> 하이브리드 겔의 열적 안정성 측정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POSS)과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PSS)의 사용량을 하기 나타난 함량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하이브리드 겔들에 대해 열중량 분석기를 사용하여 열적 안정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도 7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7에서 (A)는 POSS 단독, (B)는 PSS/POSS 1:1 중량비를 사용하여 제조된 하이브리드 겔, (C)는 PSS/POSS 1:2 중량비를 사용하여 제조된 하이브리드 겔, (B)는 PSS/POSS 1:3 중량비를 사용하여 제조된 하이브리드 겔, (D)는 PSS/POSS 1:5 중량비를 사용하여 제조된 하이브리드 겔에 대한 온도 기록 곡선이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겔의 제조시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POSS)의 사용량을 증가하는 경우 열적 안정성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이 3차원 구조를 가진 단단한 무기물인 것에 기인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가 이온결합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 겔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세스퀴옥세인 수용액과 친수성 고분자 수용액으로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 수용액(PSS 수용액)을 혼합하여 백색의 하이브리드 겔이 형성된 실험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하이브리드 겔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하이브리드 겔에 대한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하이브리드 겔을 에너지 분산형 형광 X선 분석(EDX)에 의해 측정한 에너지 분산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 및 제조된 하이브리드 겔에 대해 측정한 FT-I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예 3에서 하이브리드 겔들에 대해 열중량 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열적 안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
200: 친수성 고분자

Claims (15)

  1.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가 이온결합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 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은 내부가 실리카로 이루어지고 외부는 8개의 유기 관능기로 둘러싸인 케이지(cage)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 또는 폴리아크릴릭 에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겔은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의 이온결합에 의해 3차원 네트워크 구조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겔.
  6.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을 물에 용해시켜 실세스퀴옥세인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친수성 고분자를 물에 용해시켜 친수성 고분자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실세스퀴옥세인 수용액과 친수성 고분자 수용액을 혼합하여 하이브리드 겔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는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를 사용한 하이브리드 겔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는 1:1 내지 5:1 중량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를 사용한 하이브리드 겔의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 또는 폴리아크릴릭 에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를 사용한 하이브리드 겔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폴리(소듐 4-스티렌설포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를 사용한 하이브리드 겔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실세스퀴옥세인 수용액과 친수성 고분자 수용액을 혼합한 후, 교반, 여과, 세척 및 건조 과정을 더 수행하여 하이브리드 겔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를 사용한 하이브리드 겔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교반 과정은 1 ~ 60 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를 사용한 하이브리드 겔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겔의 제조시 교반, 여과, 세척 과정은 20 ~ 100 ℃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를 사용한 하이브리드 겔의 제조방법.
  13.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가 이온결합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 겔을 포함하는 상처 치유용 드레싱제.
  14.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가 이온결합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 겔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마스크 팩.
  15.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세인과 친수성 고분자가 이온결합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 겔을 포함하는 컬럼용 충진제.
KR1020090099369A 2009-10-19 2009-10-19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과 친수성 고분자가 이온결합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 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75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369A KR101075535B1 (ko) 2009-10-19 2009-10-19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과 친수성 고분자가 이온결합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 겔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369A KR101075535B1 (ko) 2009-10-19 2009-10-19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과 친수성 고분자가 이온결합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 겔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618A true KR20110042618A (ko) 2011-04-27
KR101075535B1 KR101075535B1 (ko) 2011-10-21

Family

ID=44047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369A KR101075535B1 (ko) 2009-10-19 2009-10-19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과 친수성 고분자가 이온결합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 겔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5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2718A (zh) * 2021-03-31 2021-07-06 海昌隐形眼镜有限公司 一种亲水性硅水凝胶、亲水性硅水凝胶角膜接触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6209B2 (en) 2006-10-27 2010-08-31 Xerox Corporation Nanostructured particles, phase change inks including same and methods for making same
KR100740908B1 (ko) 2006-11-03 2007-07-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양친매성 하이브리드폴리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00313B1 (ko) 2006-11-07 2008-02-0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설폰산기를 갖는 폴리실세스퀴옥산 나노입자를 함유한직접메탄올 연료전지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분리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2718A (zh) * 2021-03-31 2021-07-06 海昌隐形眼镜有限公司 一种亲水性硅水凝胶、亲水性硅水凝胶角膜接触镜及其制备方法
CN113072718B (zh) * 2021-03-31 2024-02-06 海昌隐形眼镜有限公司 一种亲水性硅水凝胶、亲水性硅水凝胶角膜接触镜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5535B1 (ko) 201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30422B (zh) 一种硅胶键载聚酰胺‑胺型树形分子吸附剂的制备方法
Mishra et al. Effects of ionic liquid-functionalized mesoporous silica on the proton conductivity of acid-doped poly (2, 5-benzimidazole) composite membranes for high-temperature fuel cells
Kurahashi et al. Role of block copolymer surfactant on the pore formation in methylsilsesquioxane aerogel systems
CN109778335B (zh) 一种改性聚丙烯纤维及制备方法
CN103086426A (zh) 二氧化钛气凝胶的制备方法
JP6220973B2 (ja) バイオポリマーマトリックスを含むモノリシックイオノゲル、及びその製造方法
González-Campo et al. Carboranyl units bringing unusual thermal and structural properties to hybrid materials prepared by sol− gel process
JP2022017189A (ja) 熱安定性及び耐溶媒性を有する導電性高分子複合材料
Sun et al. Fire retardant, UV and blue light double-blocking super clear Carboxymethylated cellulose bioplastics enabled by metal organic framework
CN114685907B (zh) 一种可调节双疏性荧光聚苯乙烯微球填料的制备方法以及应用
Lakshminarayana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roton conducting inorganic–organic hybrid nanocomposite membranes based on tetraethoxysilane/trimethylphosphate/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heteropoly acids
Wang et al. Flexible, high-temperature-resistant silica-polymer aerogel hybrids by templating polymethylsilsesquioxane microstructure with trace polyimide
Jankowska et al. New liquid-free proton conductive nanocomposite based on imidazole-functionalized cellulose nanofibers
Poscher et al. Surfactant-free synthesis of cyclomatrix and linear organosilica phosphazene-based hybrid nanoparticles
KR101075535B1 (ko) 폴리헤드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과 친수성 고분자가 이온결합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 겔 및 이의 제조방법
Ahmed et al. Nanocomposites dendritic polyamidoamine-based chitosan hyperbranched polymer embedded in silica–phosphate for waveguide applications
CN113526513B (zh) 块状木质素-二氧化硅复合气凝胶
Wahab et al. Photoactive perylenediimide-bridged silsesquioxane functionalized periodic mesoporous organosilica thin films (PMO-SBA15): synthesis, self-assembly, and photoluminescent and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WO2016052357A1 (ja) シリコーン多孔質体及びシリコーン多孔質体の製造方法
do Carmo et al. Thermolysis of octa (hydridodimethylsiloxyl) octasilsesquioxane in pyridine media and subsequent toluidine blue O adsorption
Huang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ton conductive phosphosilicate membranes based on inorganic–organic hybrid materials
CN115960464A (zh) 一种液态乙烯基笼型聚倍半硅氧烷改性的加成型液体硅橡胶及其制备方法
Di Noto et al. Two new siloxanic proton-conducting membranes: part I. synthesis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KR101111662B1 (ko) 건조조절 화학첨가제를 이용한 대면적 실리카 에어로젤 막의 제조 방법
JP4645196B2 (ja) 有機−無機複合イオン伝導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